의령 남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령 남씨는 남민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남민은 당나라 사람으로 신라 경덕왕에게 남씨 성을 하사받고 영양현을 식읍으로 받았다.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146명, 상신 6명, 대제학 6명을 배출했으며, 남재, 남지, 남곤, 남구만 등 많은 명사를 배출했다. 주요 집성촌은 경기도 용인시, 충청북도 진천군, 충청남도 논산시, 전라남도 여수시, 경상북도 청도군 등에 분포하며, 2015년 인구 조사에서 경상남도 의령군과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1% 이상의 인구 비율을 보였다. 의령 남씨 인물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분류:의령 남씨를 참고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의령 남씨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의령 남씨 |
한자 표기 | 宜寧 南氏 |
로마자 표기 | Uiryeong Nam clan |
유형 | 씨족 |
국가 | 한국 |
민족 | |
지역 | 의령군 |
기원 | 한국 의령군 |
창시자 | 남민 |
웹사이트 | 의령 남씨 대종회 |
역사 | |
창건 | 남민(金忠) |
인물 | |
주요 인물 | 남이 남효온 남구만 귀인 남씨 남덕우 남재희 남경필 남태희 에릭 남 남현희 남재 남은 남지 남간 남휘 남치근 남곤 남포 남이공 남이웅 남이흥 남극관 남태제 남공철 남병길 남정철 남광우 남평우 남주홍 남충희 |
관련 인물 | 남주혁 남지현 남규리 남덕우 남경필 남현희 에릭 남 남태희 다원 남지현 남우현 |
기타 정보 | |
관향 | 경상남도 의령군 |
원시조 | 남민 |
시조 | 남군보(南君甫) |
인구 (2015년) | 162,729명 |
가문 상징 | |
![]() |
2. 기원
시조 남민(南敏)의 본명은 김충(金忠)이며, 당나라 여남(汝南) 사람인데, 755년(경덕왕 14년)에 당나라 안렴사(按廉使)로서 일본에 사신으로 가다가 풍랑을 만나 영덕군 축산면에 표착(漂着)하였다고 한다. 신라 경덕왕은 그가 여남(汝南)에서 왔다고 하여 남(南)씨로 사성(賜姓)하고 이름을 민(敏)이라 하였으며, 영양현(英陽縣)을 식읍(食邑)으로 삼게 하였다는 전설이 있다.
의령 남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46명, 상신(相臣) 6명, 대제학 6명을 배출하였다.
남민의 7대손 진용(鎭勇)의 맏아들 홍보(洪甫)는 영양(英陽), 둘째 군보(君甫)는 의령(宜寧), 막내 광보(匡甫)는 고성(固城)에 각각 관적(貫籍)하였다고 한다.
3. 역사
남군보(南君甫)의 현손인 남재(南在)가 조선 개국공신 1등에 녹훈되고, 1416년(태종 16년) 영의정에 올랐다. 남재의 손자 남지(南智)는 좌의정에 오르고, 남휘(南暉)는 태종의 부마(駙馬)가 되었다. 남곤(南袞)은 1523년(중종 18년) 영의정에 올랐다. 남이웅(南以雄)은 인조 때 춘성부원군(春城府院君)에 봉군되고 좌의정에 올랐다. 남재(南在)의 후손인 남구만(南九萬)은 소론(少論)의 영수로서 1687년(숙종 13) 영의정에 올랐다. 남유용(南有容)이 영조 때 대제학(大提學)을 지냈고, 남유용(南有容)의 아들 남공철(南公轍)이 순조 때 영의정을 역임하였다.
3. 1. 조선 전기
의령 남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46명, 상신(相臣) 6명, 대제학 6명을 배출하였다.
남군보(南君甫)의 현손인 남재(南在)가 조선 개국공신 1등에 녹훈되고, 1416년(태종 16년) 영의정에 올랐다. 남재의 손자 남지(南智)는 좌의정에 오르고, 남휘(南暉)는 태종의 부마(駙馬)가 되었다. 남곤(南袞)은 1523년(중종 18년) 영의정에 올랐다. 남이웅(南以雄)은 인조 때 춘성부원군(春城府院君)에 봉군되고 좌의정에 올랐다. 남재(南在)의 후손인 남구만(南九萬)은 소론(少論)의 영수로서 1687년(숙종 13) 영의정에 올랐다. 남유용(南有容)이 영조 때 대제학(大提學)을 지냈고, 남유용(南有容)의 아들 남공철(南公轍)이 순조 때 영의정을 역임하였다.
3. 2. 조선 후기
의령 남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46명, 상신(相臣) 6명, 대제학 6명을 배출하였다.
남군보(南君甫)의 현손인 남재(南在)가 조선 개국공신 1등에 녹훈되고, 1416년(태종 16년) 영의정에 올랐다. 남재의 손자 남지(南智)는 좌의정에 오르고, 남휘(南暉)는 태종의 부마(駙馬)가 되었다. 남곤(南袞)은 1523년(중종 18년) 영의정에 올랐다. 남이웅(南以雄)은 인조 때 춘성부원군(春城府院君)에 봉군되고 좌의정에 올랐다. 남재(南在)의 후손인 남구만(南九萬)은 소론(少論)의 영수로서 1687년(숙종 13) 영의정에 올랐다. 남유용(南有容)이 영조 때 대제학(大提學)을 지냈고, 남유용(南有容)의 아들 남공철(南公轍)이 순조 때 영의정을 역임하였다.
4. 항렬자
20세 | 21세 |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44세 | 45세 | 46세 | 47세 | 48세 | 49세 | 50세 |
---|---|---|---|---|---|---|---|---|---|---|---|---|---|---|---|---|---|---|---|---|---|---|---|---|---|---|---|---|---|---|
이(履) 계(啓) | 口교(敎) 口원(元) | 종(鍾) 정(廷) | 口연(淵) 口희(熙) | 상(相) | 口우(祐) | 기(基) | 口현(鉉) | 윤(潤) | 口식(植) | 병(炳) | 口균(均) | 진(鎭) | 口구(求) | 주(柱) | 口섭(燮) | 규(奎) | 口호(鎬) | 순(淳) | 口근(根) | 영(榮) | 口찬(瓚) | 종(鍾) | 口수(洙) | 정(禎) | 口엽(燁) | 주(周) | 口일(鎰) | 영(永) | 口표(杓) | 형(炯) |
5. 인물
의령 남씨는 인물에 대한 별도의 요약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하위 레벨 콘텐츠 정보도 없으므로, 본 섹션에서는 ``를 참고하여 관련 인물 분류를 안내하는 정도로 작성하겠습니다.
```wikitext
의령 남씨의 인물에 대해서는 분류:의령 남씨를 참고하라.
6.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성종의 후궁인 귀인 남씨를 비롯하여, 임영대군(세종의 사남)의 부인 군부인 의령 남씨, 금원군(중종의 서자)의 사위 남관, 정선공주(태종의 사녀)의 부마 남휘, 휘정옹주(성종의 서녀)의 부마 남섭원, 경순옹주(성종의 서녀)의 부마 남치원, 진남군(정종의 서자) 부인 의령 남씨(상호군 남심의 딸) 등이 있다.
7. 집성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갈담리, 파주시,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부천시 여월동·원종동, 남양주시 별내면 청학리에 집성촌이 있다.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평산리, 진천읍 원덕리, 음성군 음성읍 초천리·신천리에 집성촌이 있다.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 남산리, 아산시 도고면 시전리에 집성촌이 있다.
전라남도 여수시 오림동, 담양군 담양읍 가산리 삼다리, 고흥군 도화면에 집성촌이 있다.
경상북도 청도군, 영양군, 안동시, 울진군 죽변면, 매화면, 상주시 이안면, 구미시 무을면에 집성촌이 있다.
경상남도 진주시, 창원시, 의령군에 집성촌이 있다.
전라북도 정읍시 입암면 마석리에 집성촌이 있다.
8. 인구 분포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경상남도 의령군에 346명(총인구의 1.41%), 충청북도 음성군에 959명(총인구의 1.12%)이 거주하고 있어, 이 두 지역에서는 의령 남씨 인구 비율이 1%를 넘는다.[6] 다른 대부분의 자치단체에서는 총인구 대비 의령 남씨 인구 비율이 1% 미만이다.[6]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의령 남씨 宜寧南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논문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7
[4]
웹사이트
남씨대종회
http://namci.kr/nams[...]
2022-09-04
[5]
웹사이트
남씨(南氏) 본관(本貫) 의령(宜寧)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6
[6]
웹사이트
본관분포
https://sgis.kostat.[...]
2023-0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