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24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마트24는 대한민국의 편의점 브랜드로, 2022년 10월 기준 제주특별자치도를 제외한 전국에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수도권, 강원/충청, 영남, 호남 지역에 분포하며, 특히 경기도에 가장 많은 점포가 위치해 있다. 다양한 형태의 지점을 운영하며, 광주송정역점, 상수역점, AR공덕역점, 대저역점, 청량리점, 공덕역점 등이 대표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편의점 - 로손
로손은 1939년 미국에서 시작하여 일본, 대한민국 등에서 운영되는 편의점 브랜드로, 다양한 점포 형태와 자체 브랜드 상품, 로피 단말기 등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회 공헌 활동도 펼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편의점 - 미니스톱
미니스톱은 일본 이온의 출자로 1980년 일본에서 설립되어 패스트푸드와 편의점을 결합한 콤보스토어 형태의 편의점 체인으로, 핫도그, 소프트 아이스크림 등 자체 브랜드 상품 판매, 전자결제 시스템, 환경 보호 노력이 특징이었으나, 현재는 일본과 베트남에서만 운영되고 한국에서는 롯데그룹에 인수되어 세븐일레븐으로 전환되었다. - 신세계그룹 - 이관섭
이관섭은 행정고시 합격 후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을 거쳐 윤석열 정부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과 비서실장을 역임한 관료이다. - 신세계그룹 - 이마트
이마트는 1993년 대한민국 최초의 대형마트인 창동점을 개점한 신세계그룹의 핵심 계열사로, 월마트 코리아 인수, 다양한 사업 포맷 확장, 온라인 사업, 해외 진출 등을 통해 성장해 왔으나, 자체 브랜드 상품 개발 및 중소기업 상생 노력과 더불어 사회적 문제에 직면하며 국내외 다양한 형태의 매장을 운영하며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대형 유통업체이다. - 2006년 설립된 기업 - 버즈피드
버즈피드는 2006년 조나 퍼레티가 설립한 미국의 인터넷 뉴스 및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회사로, 바이럴 콘텐츠에서 저널리즘으로 확장했으나, 2021년 상장 후 어려움을 겪으며 2023년 뉴스 부문을 폐쇄하는 등 변화를 겪고 있다. - 2006년 설립된 기업 - X (소셜 네트워크)
트위터는 140자 이내의 짧은 글(트윗)로 실시간 소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되어 빠른 정보 확산과 실시간 대화를 가능하게 하지만, 가짜 뉴스 유포 등의 문제점도 제기되고 있다.
| 이마트24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회사 정보 | |
| 이름 | emart24 |
![]() | |
| 원어 이름 | 주식회사 이마트24 |
| 로마자 표기 | E-MART24 Inc. |
| 산업 | 편의점 |
| 설립 | 2006년 6월 9일 |
| 설립자 | 최두영 |
| 이전 회사 | 위드미 |
| 국가 | 대한민국 |
| 위치 |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 310, 4층 (성수동2가, 푸조비즈타워) |
| 주요 인물 | 송만준 (대표이사) |
| 서비스 | 편의점 |
| 자본금 | 52,050원 (2018.12) |
| 매출액 | 1,037,925원 (2018) |
| 영업이익 | -39,611원 (2018) |
| 순이익 | -39,978원 (2018) |
| 자산 총액 | 272,162원 (2018.12) |
| 주주 | (주) 이마트: 100% |
| 모기업 | (주) 이마트 |
| 직원 수 | 1.4명 (2018.12) |
| 웹사이트 | emart24 공식 웹사이트 |
| 추가 정보 | |
| 모기업 | 신세계그룹 |
| 매출액 (2015년) | 135,087,198,290 원 |
| 영업 이익 (2015년) | -26,206,317,666 원 |
| 순이익 (2015년) | -27,050,318,272 원 |
| 자산 (2015년 12월) | 64,437,311,193 원 |
2. 매장 지역
2. 1. 지역별 진출 현황
wikitext| 지역 | 지자체(대구경북이외지역에서 원패스[2]유통결제 가능) |
|---|---|
| 수도권 |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옹진군은 영흥면지역에만 진출) |
| 강원, 충청 | 화천군, 청양군제외한 나머지 |
| 경상도 | 봉화군, 영양군, 청송군, 울릉군 ,산청군제외 |
| 광주/전라 | 진안,장흥제외 |
2. 1. 1. 수도권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옹진군은 영흥면지역에만 진출)에 매장이 집중되어 있다.[2]2. 1. 2. 강원/충청
강원, 충청 지역은 화천군, 청양군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 진출해 있다.[2]2. 1. 3. 영남
경상도에는 대구광역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북도, 경상남도에 매장이 분포되어 있다.[2] 봉화군, 영양군, 청송군, 울릉군, 산청군은 제외된다.[2]2. 1. 4. 호남
광주/전라 지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북도, 전라남도에 매장이 분포되어 있다.[2] 진안, 장흥은 제외된다.[2]2. 2. 시도별 점포수
2022년 10월 현재, 이마트24는 제주특별자치도를 제외한 전국에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광역 자치 | 총계 |
|---|---|
| 서울특별시 | 988개점 |
| 부산광역시 | 417개점 |
| 대구광역시 | 361개점 |
| 인천광역시 | 481개점 |
| 광주광역시 | 157개점 |
| 대전광역시 | 216개점 |
| 울산광역시 | 180개점 |
| 세종특별자치시 | 56개점 |
| 경기도 | 1919개점 |
| 강원특별자치도 | 256개점 |
| 충청북도 | 193개점 |
| 충청남도 | 386개점 |
| 전북특별자치도 | 182개점 |
| 전라남도 | 202개점 |
| 경상북도 | 282개점 |
| 경상남도 | 430개점 |
경기도에 가장 많은 1919개 점포가 있으며, 서울특별시(988개), 인천광역시(481개), 경상남도(430개), 부산광역시(417개) 순으로 점포가 많다. 제주특별자치도에는 상인 단체들의 반발로 인해 점포가 없다.
3. 지점
이마트24는 다양한 형태의 지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광주송정역점, 상수역점, AR공덕역점, 대저역점, 청량리점, 공덕역점 등이 대표적이다. 이 중 일부 지점은 역사 내부에 위치하거나 특색 있는 디자인을 갖추고 있다. 난곡점과 같이 과거에 폐점된 사례도 존재한다.
3. 1. 주요 지점
이마트24의 주요 지점으로는 광주송정역점, 상수역점, AR공덕역점, 대저역점, 청량리점, 공덕역점 등이 있다.
3. 2. 특이 지점
일부 지점은 과거에 폐점된 사례도 있다(예: 난곡점).
참조
[1]
뉴스
신세계, 편의점 위드미 인수 결정 "유통채널 다각화에 온 힘 쏟는다"
http://biz.chosun.co[...]
조선비즈
2014-01-06
[2]
문서
영양,청송군을 제외한 대구경북지역(봉화,울릉 포함)은 GS25에서 결제가 가능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