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토 자쿠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토 자쿠추는 1716년 교토에서 태어난 일본의 화가로, 니시키 시장의 식료품 가게를 운영하며 그림에 재능을 보였다. 가노파 화가에게 그림을 배우는 한편, 주변 사물을 관찰하고 실력을 연마하여 독자적인 화풍을 확립했다. 40세에 가업을 동생에게 물려주고 그림에 전념하며, 대표작인 《동식채회》를 비롯한 다양한 작품을 제작했다. 그는 생전에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사후 잊혔다가 1970년대 이후 재조명되어 인기를 얻었으며, 현재 그의 작품은 일본 국내외에서 전시되고 있다. 그러나 《조수화목도병풍》의 진위 여부를 둘러싼 논란이 미술사학계에서 지속되고 있다.

2. 생애

이토 자쿠추는 교토의 식료품점 마스야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그림에 재능을 보여 오사카가노파 화가 오카 슌보쿠에게 화조화를 배웠다고 전해지나, 가노파의 엄격한 가르침보다는 주변 사물을 관찰하고 스케치하며 독자적으로 실력을 연마했다.[6][7][8] 호랑이불사조 같은 환상적인 생물도 그렸지만, 닭과 다른 동물 그림의 세밀함과 묘사를 보면 실제 관찰을 바탕으로 작업했음을 알 수 있다.

1739년 23세에 아버지가 사망하여 식료품점을 물려받았으나, 그림에 몰두해 가게를 소홀히 했다.[6][7][8] 30대 후반 가모강 서쪽에 화실 신엔칸(心遠館)을 짓고, 린자이 종 승려 다이텐 켄조와 친분을 맺었다. 다이텐은 도덕경에서 따온 "자쿠추"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1756년 40세에 식료품점 경영을 포기하고 쇼코쿠지로 이사해 그림에 전념했다.[6][7][8] 1758년부터 동식채회를 그리기 시작해[7][8] 51세에 30점의 動植綵絵|동식채회일본어와 3점의 釈迦三尊図|석가삼존도일본어를 쇼코쿠지에 기증했다. 이 작품들은 국보로 지정되었으며 일본 회화사에서도 손꼽히는 걸작이다.[7][8]

자쿠추는 교토 미술계에서 명성을 얻어 헤이안 인물지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9] 금각사 벽화 50점을 포함해 일본 전역의 불교 사찰과 신사 그림을 의뢰받았다.[9] 50~60대에는 니시키 시장의 町年寄り|마치도시요리일본어라는 직책을 맡아 시장 재건에 힘쓰기도 했다.[7][8] 70대에 텐메이 대화재로 집을 잃고 오사카로 이주했으나, 仙人掌群鶏図襖絵|선인장 군계도일본어를 포함한 많은 대작을 그렸다.[7][8]

말년에는 교토 남쪽 만푸쿠지 분원 세키호지(ja])로 은퇴하여 84세로 사망할 때까지 그림을 그렸다.[7][8]

2. 1. 초기 생애와 배경

1716년 교토 니시키코지의 청과물 도매상 '마스야(桝屋)'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그림에 재능을 보였으며, 가노파 화가 오카 슌보쿠에게 화조화를 배웠다고 전해진다. 1739년, 23세에 아버지의 사망으로 가업을 이었으나, 그림에 몰두하여 가게를 소홀히 했다.[6][7][8]

30대 후반, 가모강 서쪽 기슭에 화실 '신엔칸(心遠館)'을 짓고, 쇼코쿠지의 선승 다이텐 겐조와 교류하며 '자쿠추(若冲)'라는 호를 받았다. '자쿠추'는 쇼코쿠지의 선승 다이텐 겐조에게 받은 것으로 추정되는 거사호[33]이며, 노자 45장의 '대영약충(大盈若沖, 크게 충실한 것은 텅 빈 것처럼 보인다)'에서 따온 것이다.[34]

2. 2. 화가로서의 자립과 활동

40세에 가업을 동생에게 물려주고 은거하여 본격적으로 그림에 전념했다.[6][7][8] 1758년경부터 대표작 동식물채회를 그리기 시작했다.[7][8]

1765년, 동식물채회 24폭과 석가삼존도 3폭을 쇼코쿠지에 기증했다.[7][8] 이 작품들은 당시 매우 인기를 얻었고 자쿠추의 명성을 널리 알렸다. 동식물채회는 현재 국보로 지정되었으며 자쿠추뿐만 아니라 일본 회화사에서도 가장 위대한 걸작 중 하나로 여겨진다.[7][8]

교토 미술계에서 명성을 얻어 병풍 그림 의뢰를 많이 받았으며, 헤이안 인물지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9] 개인 의뢰 외에도 일본 전역의 많은 불교 사찰과 신사의 패널 또는 병풍을 의뢰받았다. 그 예로, 44세에 다이텐 켄조의 요청으로 그린 금각사 사찰의 50점의 벽화가 있다.[9]

50대와 60대에는 니시키 시장의 町年寄り|마치도시요리일본어라는 직책을 맡아 시장 재건에 힘쓰기도 했다.[7][8]

70대에 텐메이 대화재로 집을 잃고 오사카로 이주했으나, 왕성한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7][8]

2. 3. 만년과 사망

만년의 자쿠추는 교토 남쪽 외곽에 있는 만푸쿠지 분원 사찰인 세키호지(ja])로 은퇴했다. 그곳에서 그는 많은 추종자들을 모았고, 85세로 사망할 때까지 계속 그림을 그렸다.[7][8] 1788년(천명 8년) 천명 대화재로 자택을 잃은 후, 도요나카의 서복사와 후시미의 해보사에서 대작의 장벽화를 제작하고, 상국사와의 영대공양 계약을 해제했다. 이후 후시미 심초의 석봉사에 은둔하여 의붓 여동생(막내 동생 소자쿠의 아내) 심적과 함께 살았다.[40]

자쿠추의 묘는 상경 상국사의 생전묘인 수장과 석봉사 두 곳에 있다.
교토에 있는 이토 자쿠추의 묘
자쿠추는 85세의 장수를 누리면서 많은 작품을 남겼지만, 만년에는 석봉사의 500 아라한 석상(통칭: 자쿠추 500 나한, cf. )이나 천장화 등의 제작에 힘썼으며,[41] 사후, 동사에 토장되었다. 후에 마스겐 7대째 청방이 자쿠추의 유언에 따라 묘 옆에 붓 모양의 석비를 세우고, 관명 해옥이 비문을 썼다.[42]

3. 작품 세계와 특징

이토 자쿠추의 작품에서 가장 흔한 주제는 조류, 특히 닭과 수탉이었다. 그는 학, 유황앵무, 앵무새, 봉황 등을 그린 그림으로도 유명하다.[17] 그의 대표작 중 하나는 "동식채회(動植綵絵)"(살아있는 생물의 다채로운 영역 그림)로, 1757년경부터 1765년까지 제작된 30점의 족자 세트이다. 쇼코쿠지(相國寺) 사찰에 헌정되었으며, 비단 위에 다양한 색상의 안료를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현재 궁내청 삼의장 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다.[17]

자쿠추는 주로 족자, 병풍, 미닫이문 패널에 먹으로 그림을 그렸으나, 만년에는 두루마리 그림을 즐겼다.[17]

1990년대 이후, 자쿠추는 초절한 기교와 기발한 구성으로 주목받았다. 2006년 도쿄 국립 박물관의 "프라이스 컬렉션 '자쿠추와 에도 회화'전"과 2016년 도쿄도 미술관의 "탄생 300주년 기념 자쿠추전"을 통해 그의 인기가 절정에 달했다.[51]

교토시니시키 시장 이토 자쿠추 탄생 300주년 기념 "니시키 시장 나이트 뮤지엄"(2016년)


다음은 자쿠추의 주요 작품 목록이다.

  • 무에 쌍계도: 종이에 채색. 무와 닭 한 쌍을 그린 초기작. 후쿠다 미술관 소장.
  • 일출 봉황도: 비단에 채색. 일출의 욱일을 등지고 비상하는 봉황. 보스턴 미술관 소장.
  • 강낭콩 옥수수 도: 종이에 수묵, 2폭. 와카야마현 소도지 소장.
  • 오이 군충도: 비단에 채색, 1폭. 수세미벼메뚜기달팽이 등 벌레들이 노는 모습. 마스야마 세츠사이의 옛 애장품. 호소미 미술관 소장.
  • 풍죽도: 비단에 수묵, 1폭. 호소미 미술관 소장.
  • 욱일 봉황도: 비단에 채색. 1755년 운해에서 떠오르는 욱일과 봉황 두 마리. 궁내청산노마루 쇼조칸 소장.
  • 설매 웅계도: 눈 위에 핀 붉은 산다화 꽃과 수탉. 겐닌지 료소쿠인 소장.
  • 죽매 쌍학도: 매화와 대나무단정 한 쌍. 프라이스 컬렉션 소장.
  • 송응도(소나무에 매도): 비단에 수묵, 1폭. 소나무 가지에 멈춰 있는 . 프라이스 컬렉션 소장.
  • 수국 쌍계도: 비단에 채색. "동식채회"와 같은 기법.[53] 프라이스 컬렉션 소장.[54]
  • 대나무에 웅계도: 40대 초반 작품 추정. 호조지 소장.
  • 해골도: 탁본화. 호조지 소장.
  • 로쿠온지 대서원 장벽화: 50면 수묵 벽화. 1759년 제작. 쇼텐카쿠 미술관 보관. 중요 문화재.
  • 포도도: 덧문 그림 1칸 4면.
  • 포도 소금도: 바닥, 엇선반, 벽 그림 11면.[55]
  • 송학도: 덧문 그림 2칸 8면. 소나무에 단정 1마리.
  • 월야 파초도: 바닥 벽 그림 3칸 4면. 파초가 무성한 만월의 밤.
  • 파초 핍핍조도: 덧문 그림 3칸 8면. 파초와 팔가조.
  • 부용도: 덧문 그림 4칸 6면. 부용 덤불.
  • 쌍계도: 벽 그림 4칸 1면.
  • 국계도: 덧문 그림 4칸 4면.
  • 죽도: 협간 덧문 그림 4면.
  • 공작 봉황도: 비단에 채색, 쌍폭. 중요미술품. 2015년 83년 만에 발견 보도. 오카다 미술관 소장.
  • 연못 그림 덧문 그림: 종이에 수묵, 6폭(덧문 그림 개조). 1789년 추정. 사이후쿠지 소장. 중요 문화재.
  • 군계도 장벽화: 종이에 수묵, 9면. 1789년 추정. 카이호지 방장 그림. 교토 국립 박물관 소장.
  • 계두 당랑도: 비단에 채색, 1폭. 1789년 추정. 계두의 붉은 꽃송이와 사마귀. 개인 소장.


  • 석등롱도 병풍: 6폭 한 쌍. 석등롱과 고목 가지. 점묘 기법 사용. 카스가타이샤 또는 후시미이나리타이샤가 모델이라는 설.[68] 교토 국립 박물관 소장.
  • 군계도 압회첩 병풍: 세키호지 시절 작품. 킨카이코묘지 소장.
  • 상경도 병풍(상과 고래도 병풍): 왼쪽 폭에 고래, 오른쪽 폭에 흰 코끼리. 1795년 전후 작품 추정. 미호 미술관 소장.



Elephant and Whale Screens by Ito Jakuchu (Miho Museum)L.jpg|상경도 병풍(왼쪽)

Elephant and Whale Screens by Ito Jakuchu (Miho Museum)R.jpg|상경도 병풍(오른쪽)


  • 쥐 결혼도: 수묵화, 1폭. 결혼식. 호소미 미술관 소장.
  • 신교지 화훼도 천장화: 총 168장. 모란, 국화, 매화 등 다양한 꽃. 신교지 소장.
  • 백견도: 1799년 작품 추정. 강아지 59마리. 개인 소장.
  • 아부에 쌍계도: 닭 2마리와 아부 1마리.
  • 부모신도: 종이에 수묵, 1폭. 츠쿠모가미들의 백귀야행. 후쿠오카시 박물관 소장.



File:Itō Jakuchū - Roosters and Hens (left of a pair) - 2015.79.182.1 - Minneapolis Institute of Art.jpg|''Roosters and Hens'' (군계도 왼쪽), 미니애폴리스 미술관

File:Itō Jakuchū - Roosters and Hens (right of a pair) - 2015.79.182.2 - Minneapolis Institute of Art.jpg|''Roosters and Hens'' (군계도 오른쪽), 미니애폴리스 미술관


3. 1. 화풍과 기법

초기에는 가노파의 화가 오오카 슌보쿠에게 사사받아 화풍을 배웠다고 알려져있다.[43] 그러나 현존하는 작품에서는 가노파의 영향을 찾기 어렵지만, 일부 도상에서 가노파 회화나 그림책과의 유사점이 지적되기도 한다.[44] 이후 송원화[45], 특히 농채의 화조화를 배우고 모사했다. 그러나 모사에 싫증을 느낀 자쿠추는 실물 사생으로 방향을 전환했다.

자쿠추의 작품 주제는 조류, 특히 닭과 수탉이 많았지만, 학, 유황앵무, 앵무새, 봉황 등을 그린 그림도 유명하다. 그의 대표작 중 하나는 "동식채회(動植綵絵)"(살아있는 생물의 다채로운 영역 그림)이다. 1757년경부터 1765년까지 제작된 30점의 족자 세트로, 쇼코쿠지(相國寺) 사찰에 헌정되었다. 이 그림들은 비단 위에 다양한 색상의 안료를 사용하여 제작되었으며, 현재는 궁내청 삼의장 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다.

자쿠추는 마스메가키(枡目描き)라는 독특한 기법을 사용했는데, 이는 화면을 작은 사각형 격자로 나누어 각 칸을 채색하는 방식이다. 이 기법으로 제작된 대표작으로는 이데미쓰 미술관에 소장된 (화조화목도병풍)이 있다.[10] 시즈오카 현립 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화조수목도) 또한 이 기법을 사용한 작품이다.[11]

자쿠추는 탁본(拓本) 기법을 활용한 판화 작품도 제작했다. 목판을 사용하여 정면摺り를 하는 방식으로, 탁본과 유사하여 "탁판화"라고 불린다.[47] 대표작으로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소장된 (즉흥적인 뱃놀이)가 있다.[17]

자쿠추의 화풍은 심남빈(심전(沈詮))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8] 그의 그림은 아름다운 색채와 치밀한 묘사를 특징으로 하며, 특히 닭 그림을 잘 그렸다.

3. 2. 주요 작품


  • 《동식채회(動植綵絵)》


動植綵絵|도쇼쿠사이일본어는 1757년경부터 1765년경까지 제작된 30폭의 족자 세트로, 다양한 동식물을 화려한 색채와 정교한 묘사로 그린 이토 자쿠추의 대표작이다. 쇼코쿠지(相國寺)에 기증되었으며, 현재는 궁내청 삼의환상장관에 소장되어 있다.[17]

''동식채회''의 주요 작품
제목설명
--고목과 흰 봉황을 그린 작품
--설경 속의 금계를 그린 작품
--여러 가금을 그린 작품
--장미와 작은 새를 그린 작품
--갈대와 기러기를 그린 작품
--여러 닭을 그린 작품
--연못가의 곤충들을 그린 작품
--남천과 수탉을 그린 작품
--여러 물고기를 그린 작품
--국화와 흐르는 물을 그린 작품


  • 《화조수목도병풍(鳥獣花木図屏風)》


鳥獣花木図屏風|조주카보쿠즈뵤부일본어는 격자무늬(마스메가키)를 사용하여 다양한 동물과 식물을 그린 작품이다. 각 격자는 개별적으로 채색되어 전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독특한 방식으로 제작되었다.[10] 이데미쓰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 《선인장 군계도(仙人掌群鶏図)》


仙人掌群鶏図|센닌쇼군케즈일본어는 6폭의 덧문 그림으로, 선인장과 다양한 종류의 닭을 그린 작품이다. 오사카부 도요나카시 사이후쿠지 소장이며,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 《석가삼존도(釈迦三尊図)》


釈迦三尊図|샤카산존즈일본어는 석가여래, 문수보살, 보현보살을 그린 3폭의 불화이다. 고려 불화를 보고 감동한 자쿠추가 원도를 충실하게 모사하면서도, 의문선과 색채 대비를 강조하여 장식적인 화면으로 완성했다. 쇼코쿠지 소장이다.

''석가삼존도''의 구성
제목설명
석가여래상중앙에 위치한 석가여래
문수보살상사자를 탄 문수보살
보현보살상6개의 어금니를 가진 흰 코끼리를 탄 보현보살


  • 《채충보(菜蟲譜)》


菜蟲譜|사이추후일본어는 채소, 과일, 곤충 등을 그린 그림 두루마리이다. 비단 위에 채색되었으며, 90여 가지의 과일과 채소, 50여 종의 곤충 등이 묘사되어 있다. 사노 시립 요시자와 기념 미술관 소장이며,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3. 3. 불교와의 관계

자쿠추는 독실한 불교 신자였으며, 특히 선종에 깊이 심취했다. 그의 작품에는 불교적 주제와 상징이 자주 등장한다. 대표적인 예로 《과소열반도》에서는 불교적 도상을 채소와 과일로 표현하기도 했다. 만년에 자쿠추가 은거한 세키호지에는 그가 직접 제작한 오백나한 석상이 있다.[1]

4. 현대의 재평가와 영향

자쿠추는 생전에 이미 헤이안 인물지에 상위에 오를 정도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49] 1926년 아키야마 미쓰오에 의해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고, 1970년 쓰지 노부오의 저서 《기상의 계보》(미술출판사)[50]를 통해 이와사 마타베, 소가 쇼하쿠 등과 함께 '기상의 화가'로 재평가받으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1990년대 이후, 자쿠추는 초절한 기교와 기발한 구성으로 일부 애호가들에게 주목받았다. 2006년 도쿄 국립 박물관에서 개최된 조 프라이스 컬렉션 기반의 "프라이스 컬렉션 '자쿠추와 에도 회화'전"은 그의 인기에 불을 붙였다. 2016년 도쿄도 미술관에서 열린 "탄생 300주년 기념 자쿠추전"에서는 최장 5시간 20분을 기다려야 할 정도로 큰 인기를 끌며, 그의 인기가 절정에 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51]

자쿠추의 작품은 일본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2012년에는 미국 내셔널 갤러리 (워싱턴)에서 'Colorful Realm: Japanese Bird-and-Flower Paintings by Itō Jakuchū (1716–1800)'라는 제목으로 개인전이 열리기도 했다.

자쿠추의 주요 전시회는 다음과 같다:

연도전시회명개최지
1926년동식채회 30폭 전부 전시도쿄 제실 박물관
1971년특별전 '자쿠추'도쿄 국립 박물관
1989년-1990년'The Paintings of Jakuchu (자쿠추전)'뉴욕 아시아 소사이어티 갤러리,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2000년사후 200주년 기념 '자쿠추전'교토 국립 박물관
2006년이토 자쿠추 관련 전시아이치 현립 미술관, 오쿠라 슈코칸, MIHO MUSEUM, 센오 박고관, 야마구치 현립 하기 미술관・우라가미 기념관, 도쿄 국립 박물관, 교토 국립 근대 미술관, 규슈 국립 박물관, 아이치 현립 미술관, 황거・산노마루 쇼조칸
2007년'동식채회전'쇼텐카쿠 미술관
2009년'자쿠추 원더랜드'MIHO MUSEUM
2009년'황실의 명보 - 일본 미의 화'도쿄 국립 박물관
2010년'이토 자쿠추 Another World'시즈오카 현립 미술관, 지바 시립 미술관
2012년'Colorful Realm: Japanese Bird-and-Flower Paintings by Itō Jakuchū (1716–1800)'내셔널 갤러리 (워싱턴)
2013년동일본 대지진 부흥 지원 특별전 '자쿠추가 와주었습니다 프라이스 컬렉션 에도 회화의 아름다움과 생명'센다이 시 박물관, 이와테 현립 미술관, 후쿠시마 현립 미술관
2016년'탄생 300주년 기념 자쿠추전'도쿄도 미술관
2018년'Jakuchū (1716-1800) Le Royaume coloré des êtres vivants'프티 팔레
2019년'동일본 대지진 부흥 기원 이토 자쿠추전'후쿠시마 현립 미술관


5. 논란

소가 쇼하쿠, 나가사와 로세츠와 함께 자쿠추는 기상파로 불리기도 한다.[48] 자쿠추의 대표작으로 알려진 《조수화목도병풍》의 진위 여부를 두고 미술사학계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5. 1. 《조수화목도병풍》의 진위 논란

조 프라이스 컬렉션의 《조수화목도병풍》은 자쿠추의 대표작으로 미디어 등에서 자주 소개되는 작품이다.[71] 그러나 미술사학자 사토 야스히로는 이 작품이 자쿠추의 진품이 아니라는 견해를 꾸준히 제기해 왔다.[64]

사토는 프라이스 본과 다른 눈금 그리기 작품을 비교했을 때, 동식물이 자쿠추의 작품과는 다르게 흐물흐물하고 맺힘이 없는 곡선으로 그려져 있으며, 형태도 단순화되어 긴장감이 부족하다고 지적한다. 채색 또한 《수화조수도》보다 정교하지만, 눈금 내부의 채색에 일관성이 없고, 그러데이션을 사용하지 않고 눈금에 따라 색칠하는 단순한 기법을 사용하여 《흰 코끼리 군수도》의 채색 논리를 무시하고 도안화·장식화되었다고 비판한다. 이러한 점들을 근거로 사토는 자쿠추가 이 작품에 직접 관여하지 않았다고 보며, "자쿠추의 형태와 채색법에서 벗어나 다른 방향으로 폭주한, 질적으로 열등한 작품"으로 막말 무렵에 제작된 작자 불명의 모방작(자쿠추의 낙관이나 인장은 없으므로 위작은 아니다)이라고 주장한다.[64]

반면, 쓰지 노부오는 흐물흐물한 선은 프라이스 본보다는 오히려 시즈오카현립미술관의 《수화조수도병풍》에 해당한다고 반박한다. 또한 《흰 코끼리 군수도》의 눈금 그리기 방법이 다른 것은 작품이 담채에서 농채로 전환될 때 나타나는 필연적인 변화라고 지적한다. 사토가 결점으로 지적하는 디자인화·의장화는 오히려 자쿠추가 의도한 것이며, 화면 전체의 색채 배치도 적절하다고 평가한다. 그림 속의 노새, 오랑우탄, 호저 역시 자쿠추와 동시대에 볼 수 있었던 동물들이며, 그 도상이 프라이스 본과 매우 유사하다고 주장한다.[72]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쓰지는 프라이스 본이 시즈오카현립미술관의 《수화조수도병풍》과 같은 화제 형식이 의장으로서 진화를 이룬, 현존하는 작품 중 가장 "자쿠추 디자인"이 완성된 작품이며, 자쿠추가 70대 후반에 제작한 것이라고 반론한다.[73]

사토는 츠지의 의견에 다시 반론한다. 그는 미술사학자들에게 자쿠추의 진가를 처음으로 알린 조 프라이스의 감식안을 고려해야 하지만, 소장자의 심기를 거스르지 않으려는 심리가 작용했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74] 묘선의 경우, 오른쪽 5폭째의 낙타와 오랑우탄의 윤곽선이 매우 조잡하며, 츠지가 지적을 인정한 오른쪽 2폭째의 당사자도 프라이스 본에서는 뭉툭하게 표현되어 있고, 시즈오카현립미술관 본에 나타난 다리, 육구, 발톱의 색칠도 생략되었다고 지적한다. 또한 프라이스 본에만 등장하는 호저, 노새, 오랑우탄, 하마, 바다사자, 낙타, 물소, 화식조 등은 시즈오카현이나 자쿠추의 다른 작품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는 점[62]에서 자쿠추와 프라이스 본 사이에 거리가 있다고 주장한다. 츠지가 인용한 우치야마 논문도 프라이스 본의 위치를 নির্ধারণ하는 데 기여하지만, 프라이스 본을 자쿠추의 작품으로 의심하지 않으며, 프라이스 본이 자쿠추 생존 시기의 작품이라고 단정할 충분한 근거를 제시하지 못한다고 비판한다. 더불어 프라이스 본은 시즈오카현립미술관 본과 비교했을 때 베껴 그리는 과정에서 많은 부분이 붕괴되었다는 점이 지적된다.[75][76] 이러한 논거를 바탕으로 사토는 "프라이스 본은 시즈오카현립미술관 본과 같은 유형의 병풍을 바탕으로 희귀한 동물을 추가하고, 동식물을 자쿠추처럼 그리지 못하는 대신 눈금 그리기에 몰두하여 <바탕>의 눈금과 <그림>의 그림이 역전된 병풍"이라고 결론짓는다.[59]

참조

[1] 웹사이트 Itō Jakuchū | Japanese painter http://www.britannic[...]
[2] 웹사이트 ja:絶対に値の下がらない超優良銘柄 江戸絵画の王道 円山応挙 https://crea.bunshun[...] Shueisha 2023-05-29
[3] 웹사이트 Lineage of Eccentrics: The Miraculous World of Edo Painting https://www.tobikan.[...] Tokyo Metropolitan Art Museum 2023-05-20
[4] 웹사이트 ja:若冲ブームのルーツはここにあり 江戸時代の絵師に迫る「奇想の系譜展」 https://book.asahi.c[...] Asahi Shimbun 2019-03-06
[5] 웹사이트 ja:美術史を変えた奇跡の1冊「奇想の系譜」は何が凄いのか?記念講演会に出て考えてみた https://intojapanwar[...] Shogakukan 2022-02-22
[6] 논문 「伊藤若冲の初期絵画考<牡丹・百合図>を中心に」 学習院大学哲学会 2005
[7] 웹사이트 ja:伊藤若冲とは?奇想の絵師の代表作品と人生の解説、展覧会情報まとめ https://intojapanwar[...] Shogakukan 2018-10-18
[8] 웹사이트 ja:伊藤若冲とは 代表的な作品と経歴を解説 https://media.thisis[...] This is Media
[9] 웹사이트 ja:伊藤若冲の独創性に触れる 承天閣美術館 https://lexus.jp/mag[...] Lexus 2019-01-04
[10] 뉴스 出光美術館が若冲《鳥獣花木図屏風》など190点をプライスコレクションから購入。2020年に展覧会開催へ https://web.archive.[...] Bijutsu Techo 2019-06-27
[11] 웹사이트 ja:樹花鳥獣図屏風 https://spmoa.shizuo[...] Shizuoka Prefectural Museum of Art
[12] 웹사이트 ja:象と鯨図屏風 伊藤若冲筆 https://www.miho.jp/[...] Miho Museum
[13] 웹사이트 ja:キーパーソンに訊く 若冲ブーム https://wedge.ismedi[...] 2009-09-08
[14] 웹사이트 Bonhams : After Ito Jakuchu Dated 1890 https://www.bonhams.[...]
[15] 웹사이트 Jakuchū gafu - Artist: Ito Jakuchu https://artsandcultu[...]
[16] 웹사이트 TAB Event - Jakuchu Ito "Floral Designs of Edo" http://www.tokyoartb[...]
[17] 학술지 Goryeo Dynasty: Korea's Age of Enlightenment, 918–1392. By Kim Kumja Paik. San Francisco: Asian Art Museum—Chong—Moon Lee Center for Asian Art and Culture in cooperation with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Nara National Museum, 2003. 319 pp. $45.00 (paper). http://dx.doi.org/10[...] 2004-11
[18] 논문 Chinese Painters in Nagasaki: Style and Artistic Contaminatio during the Tokugawa Period (1603-1868) https://www.academia[...] 2015
[19] 웹사이트 Exchange: Three Eggplants and a Poem https://web.archive.[...] 2021-02-08
[20] 웹사이트 Elephant and Whale, by Itō Jakuchū - MIHO MUSEUM http://www.miho.or.j[...] 2021-02-08
[21] 웹사이트 Chrysanthemums amid Rocks LACMA Collections https://collections.[...] 2021-02-08
[22] 웹사이트 From the Harvard Art Museums' collections Old Pine https://web.archive.[...] 2021-02-08
[23] 웹사이트 White Plum Blossoms and Moon https://www.metmuseu[...] 2021-02-08
[24] 웹사이트 Mochi http://collection.im[...] 2021-02-08
[25] 웹사이트 Asian Art Museum Online Collection http://asianart.emus[...] 2021-02-08
[26] 웹사이트 White Cockatoo Yale University Art Gallery https://artgallery.y[...] 2021-02-08
[27] 웹사이트 Roosters and Hens [left of a pair], Itō Jakuchū ^ Minneapolis Institute of Art http://collections.a[...] 2021-02-08
[28] 문서 1885年に久保田米僊が若冲85年忌法要に際して描いた肖像。
[29] 문서 禅画や水墨画でよく使われる故事。サル参照
[30] 문서 『続諸家人物誌』。
[31] 문서 大典顕常 「若冲居士寿像の碣銘」、『小雲棲稿』巻九。
[32] 문서 「日本美術全集 14 若冲・応挙、みやこの奇想」
[33] 문서 居士:在家の仏教信者のこと。
[34] 문서 老子45章 「大成若缺, 其用不弊。大盈若沖, 其用不窮。大直若屈, 大巧若拙, 大辯若訥。躁勝寒, 靜勝熱。清靜為天下正」 http://ctext.org/hes[...]
[35] 문서 平賀蕉斎『蕉斎筆記』。
[36] 논문 伊藤若冲に関する史料について 鹿島美術財団
[37] 논문 京都錦高倉青物市場の公認をめぐって 中央印刷出版部
[38] 논문 若冲ワンダーランド (특별전 도록)
[39] 잡지 特集 伊藤若冲 永遠のアヴァンギャルド、その正体 美術出版社
[40] 서적 伊藤若冲 生涯と画業 小学館
[41] 웹사이트 信行寺本堂の天井に描かれた伊藤若冲の傑作が初公開! http://serai.jp/tour[...]
[42] 문서 宝蔵寺を菩提寺とする伊藤家は幕末の頃に没落し、1867年(慶応3年)、家屋敷を売り渡して大坂へ去った
[43] 논문 伊藤若冲の初期絵画考<牡丹・百合図>を中心に 学習院大学哲学会
[44] 문서 なお、大岡春卜は狩野派の絵本の出版を通して、その図像・画法の普及に貢献した人物である。
[45] 문서 中国の宋代および元代の絵画の総称。日本では特に鎌倉時代から室町時代にかけて伝えられた院体画・水墨画・仏画などを指す。
[46] 서적 描かれた都 ─開封・杭州・京都・江戸 東京大学出版会
[47] 논문 若冲の木版画 青裳堂書店
[48] 웹사이트 伊藤若冲と曽我蕭白 https://ja.kyoto.tra[...] 2021-03-09
[49] 문서 明和5年(1768年)版は大西酔月、円山応挙についで3番目。安永4年(1775年)と天明2年(1782年)の版では応挙の次で2番目。
[50] 서적 幻想の博物誌 伊藤若冲 ぺりかん社、ちくま学芸文庫、小学館(増訂版・2019年)
[51] 웹사이트 伊藤若冲/若冲ブーム https://imidas.jp/ge[...]
[52] 문서 英語表題:"Rooster and Hen with Hydrangeas".
[53] 문서 同工異曲:[日本美術用語]同じ拵(こしら)え(同じ技法、同じ技量)であるが、趣きが異なること。
[54] 웹사이트 http://www.panachepr[...]
[55] 문서 床貼付絵:[日本美術用語]とこはりつけえ。床壁貼付絵、床貼付とも称する。床の間の壁面に貼り付けた絵。
[56] 문서 現在、中幅の「釈迦如来像」はクリーブランド美術館蔵。左右の「文殊・普賢菩薩像」は静嘉堂文庫蔵。
[57] 논문 真贋を見分ける――江戸時代絵画を例に 東京大学出版会
[58] 논문 日本美術史不安無い86 ある誤報 東京大学出版会
[59] 논문 研究余録 プライス本鳥獣花木図の作者─辻惟雄氏への反論
[60] 논문 伊藤若冲の「升目画」作品を再考する─西陣織「正絵」との関係から 金沢美術工芸大学
[61] 논문 伊藤若冲独創の逸格描法について 東京国立博物館
[62] 논문 伊藤若冲の桝目描き鳥獣図屏風考察
[63] 논문 伊藤若冲の《白象群獣図》について
[64] 논문 若冲・蕭白とそうでないもの 東京大学大学院人文社会系研究科・文学部美術史研究室
[65] 논문 若冲のモザイク風四作品について
[66] 문서 英語表題:"the God of Longevity and Wisdom".
[67] 서적 伊藤若冲 菜蟲譜 光学調査報告書 東京文化財研究所
[68] 논문 伊藤若冲筆《石燈籠図屏風》試論 : 描かれた場の想定を中心に 東京大学大学院人文社会系研究科・ふ
[69] 문서 筋目描き:墨が滲みやすい画箋紙に墨を落とし、滲んだ墨と墨の接点(境目)に白く残る線を利用する画法。
[70] 서적 若冲の花 朝日新聞社
[71] 서적 伊藤若冲 鳥獣花木図屏風 小学館 2006-10-13
[72] 간행물 屏風のなかの動物たち ─伊藤若冲とその周辺の作品をめぐって─ 2014-03
[73] 간행물 研究余録 伊藤若冲「鳥獣花木図屏風」について ─佐藤康宏氏の問題提起に応じる─ 2014-06
[74] 문서 2015
[75] 논문 「鳥獣花木図屏風」の作者をめぐって:「樹花鳥獣図屏風」との比較を中心に https://hdl.handle.n[...] 学習院大学哲学会 2009-05
[76] 서적 2016年春季特別展 かざりー信仰と祭りのエネルギー MIHO MUSEUM 2016-03-01
[77] 간행물 晩年期若冲の作品─水墨略画を中心として─ 1972-03
[78] 간행물 若冲派について 公益財団法人秀明文化財団 2014-03
[79] 웹사이트 若冲展 釈迦三尊像と動植綵絵120年ぶりの再会 http://business.nikk[...] 日経ビジネス 2007-05-14
[80] 웹사이트 東で西で踊る伊藤若冲 東京と滋賀で展覧会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09-10-28
[81] 전시회 Colorful Realm: Japanese Bird-and-Flower Paintings by Itō Jakuchū (1716–1800) https://www.nga.gov/[...] National Gallery of Art 2012-03-30
[82] 웹사이트 若冲が来てくれました https://www.museum.o[...] 2019-04-08
[83] 웹사이트 若冲ブーム、生誕300年で絶頂 サブカル系若者が共鳴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6-05-15
[84] 웹사이트 「若冲展」 ついに「320分待ち」に呆れる声も http://getnews.jp/ar[...] ガジェット通信 2016-05-21
[85] 전시회 Jakuchū (1716-1800)Le Royaume coloré des êtres vivants http://www.petitpala[...] Petit Palais Musée des Beaux Arts de la Ville de Paris 2018-09-15
[86] 웹사이트 伊藤若冲展 https://art-museum.f[...] 2019-04-08
[87] 웹사이트 ライジング若冲 https://www.nhk.jp/p[...] NHK 2021-01-21
[88] 비디오 ハイビジョンスペシャル 神の手を持つ絵師 若冲 - NHK名作選(動画・静止画) NHKアーカイブス https://www2.nhk.or.[...] NH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