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중국 성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趙)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로, 중국에서는 7번째, 한국에서는 11번째로 흔한 성씨이다. 조씨는 주나라 목왕 때 산융 지역의 조보가 진나라에 조(趙)에 봉해진 데서 유래했으며, 전국시대 조나라 멸망 이후 조고와 같은 인물이 등장했다. 한국에는 한양 조씨, 함안 조씨 등이 있으며, 2015년 대한민국 인구는 약 105만 명이다. 중국에서는 약 2,750만 명이 조씨를 사용하며, 현대 문화에서는 중국 공산당을 비유하는 단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조 (중국 성씨) | |
---|---|
성씨 정보 | |
이름 | 조 / 초 / 치우 / Triệu |
![]() | |
발음 | 'Zhào (표준 중국어 병음)' 'Ziu6 (광동어 월병)' 'Tiō (호키엔어 백화자)' 'Jo (한국어 RR)' 'Triệu (베트남어)' |
의미 | 주나라 시대의 봉건 국가 이름 |
지역 | 중국 |
언어 | 중국어 |
파생 | 초 Triệu |
기타 변형 | 차오 광둥어: Jew, Chew, 치우, Chu, Jew, Jue, Siu, Tsiu 상하이어: Zau |
각주 | 강희자전 항목 "趙"의 고대 중국어 의미 참고 |
한자 정보 | |
간체자 | 赵 |
번체자 | 趙 |
병음 | Zhào |
웨이드-자일스 | Chao4 |
상하이어 | Zâu |
월병 | Ziu6 |
예일 | Jiuh |
대만어 병음 | Tiō |
한글 | 조 |
로마자 표기 | Jo |
베트남어 | Triệu |
중고 한어 | ɖjéu |
상고 한어 (Baxter-Sagart) | '*' |
2. 역사
조(趙, Zhào)씨는 주나라 목왕 때 산시성 호족 '''조보'''(造父)가 진(晉)나라에 속했던 조(趙) 땅에 봉해지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그의 후손들이 조(趙)를 성으로 삼았다.
조(曹, Cáo)씨는 초나라의 운(妘)씨에서 파생되었다는 설과, 주나라 주무왕의 동생인 '''진탁'''(振鐸)이 조(曹)나라에 봉해진 후 그의 후손들이 나라 이름을 성으로 삼았다는 설이 전해진다.
2. 1. 한국
'''조'''(趙)는 한국의 성씨 중 하나이다. 2015년 대한민국 국세조사에 따르면 인구는 1,055,567명[11]이다.씨족(지역) | 시조 | 인원 (2015년) | 비고 |
---|---|---|---|
가림 조씨 | 394 | ||
가임 조씨 | 14 | ||
감안 조씨 | 7 | ||
강릉 조씨 | 30 | ||
강서 조씨 | 8 | ||
강화 조씨 | 12 | ||
개성 조씨 | 5 | ||
거창 조씨 | 8 | ||
경성 조씨 | 142 | ||
경주 조씨 | 912 | ||
계양 조씨 | 42 | ||
고양 조씨 | 6 | ||
고지 조씨 | 5 | ||
곡성 조씨 | 6 | ||
광명 조씨 | 7 | ||
광산 조씨 | 43 | ||
광양 조씨 | 6 | ||
광주 조씨 | 113 | ||
광천 조씨 | 5 | ||
괴산 조씨 | 78 | ||
교하 조씨 | 8 | ||
구로 조씨 | 13 | ||
군산 조씨 | 10 | ||
군포 조씨 | 6 | ||
근성 조씨 | 9 | ||
김녕 조씨 | 5 | ||
금산 조씨 | 5 | ||
김시 조씨 | 6 | ||
김식 조씨 | 31 | ||
김제 조씨 | 19,249 | ||
금택 조씨 | 6 | ||
김화 조씨 | 9 | ||
김해 조씨 | 316 | ||
나주 조씨 | 18 | ||
남양 조씨 | 70 | ||
남원 조씨 | 1,266 | ||
남평 조씨 | 14 | ||
농양 조씨 | 11 | ||
능성 조씨 | 8 | ||
능주 조씨 | 5 | ||
단성 조씨 | 9 | ||
단양 조씨 | 55 | ||
달성 조씨 | 16 | ||
담양 조씨 | 192 | ||
당악 조씨 | 9 | ||
대구 조씨 | 9 | ||
대전 조씨 | 49 | ||
대천 조씨 | 54 | ||
덕림 조씨 | 26 | ||
덕산 조씨 | 14 | ||
덕수 조씨 | 10 | ||
도강 조씨 | 44 | ||
동두천 조씨 | 5 | ||
동래 조씨 | 73 | ||
림천 조씨| 조천혁 | 13 | |||
막양 조씨 | 35 | ||
모성 조씨 | 27 | ||
목산 조씨 | 20 | ||
목천 조씨 | 22 | ||
무안 조씨 | 19 | ||
문화 조씨 | 11 | ||
밀양 조씨 | 1,124 | ||
박양 조씨 | 6 | ||
반남 조씨 | 6 | ||
배천 조씨| 조지린 | 177 | |||
배촌 조씨 | 9 | ||
백주 조씨 | 123 | ||
백천 조씨| 조지린 | 75,978 | |||
봉양 조씨 | 8 | ||
부산 조씨 | 11 | ||
부안 조씨 | 17 | ||
부천 조씨 | 12 | ||
부평 조씨 | 5 | ||
분성 조씨 | 31 | ||
사천 조씨 | 5 | ||
산내 조씨 | 22 | ||
서해 조씨 | 11 | ||
선산 조씨 | 27 | ||
성남 조씨 | 33 | ||
성산 조씨 | 10 | ||
성안 조씨 | 969 | ||
성열 조씨 | 5 | ||
성주 조씨 | 80 | ||
성흥 조씨 | 6 | ||
수원 조씨 | 47 | ||
순창 조씨 | 34,069 | ||
순천 조씨 | 325 | ||
순흥 조씨 | 11 | ||
시흥 조씨 | 14 | ||
신녕 조씨 | 37 | ||
신안 조씨 | 7 | ||
신천 조씨 | 16 | ||
안덕 조씨 | 38 | ||
안동 조씨 | 33 | ||
안득 조씨 | 43 | ||
안산 조씨 | 31 | ||
안양 조씨 | 13 | ||
양단 조씨 | 8 | ||
양산 조씨 | 9 | ||
양성 조씨 | 127 | ||
양양 조씨 | 9 | ||
양주 조씨 | 29,631 | ||
양천 조씨 | 468 | ||
양평 조씨 | 15 | ||
여산 조씨 | 7 | ||
여주 조씨 | 6 | ||
여흥 조씨 | 9 | ||
연산 조씨 | 25 | ||
연안 조씨 | 52 | ||
연일 조씨 | 20 | ||
영덕 조씨 | 7 | ||
영등포 조씨 | 13 | ||
영양 조씨 | 99 | ||
영주 조씨 | 9 | ||
영창 조씨 | 15 | ||
영천 조씨 | 30 | ||
영춘 조씨 | 326 | ||
예산 조씨 | 7 | ||
예양 조씨 | 5 | ||
오천 조씨 | 9 | ||
옥양 조씨 | 205 | ||
옥주 조씨 | 303 | ||
옥창 조씨 | 8 | ||
옥천 조씨 | 53,406 | ||
옥촌 조씨 | 5 | ||
온양 조씨 | 37 | ||
왕양 조씨 | 10 | ||
왕천 조씨 | 41 | ||
료천 조씨 | 9 | ||
용인 조씨 | 24 | ||
우주 조씨 | 11 | ||
운천 조씨 | 6 | ||
울산 조씨 | 7 | ||
원주 조씨 | 20 | ||
월성 조씨 | 5 | ||
위산 조씨 | 9 | ||
위설 조씨 | 10 | ||
의주 조씨 | 11 | ||
이천 조씨 | 34 | ||
인동 조씨 | 39 | ||
인천 조씨 | 169 | ||
일직 조씨 | 5 | ||
임주 조씨 | 29 | ||
임천 조씨| 조천혁 | 14,258 | |||
입천 조씨 | 8 | ||
자천 조씨 | 7 | ||
장수 조씨 | 18 | ||
장천 조씨 | 11 | ||
장흥 조씨 | 8 | ||
전라 조씨 | 11 | ||
전의 조씨 | 30 | ||
전제 조씨 | 5 | ||
전주 조씨 | 290 | ||
정주 조씨 | 34 | ||
제주 조씨 | 14 | ||
조양 조씨 | 9 | ||
주암 조씨 | 19 | ||
죽산 조씨 | 33 | ||
직산 조씨 | 4,360 | ||
진보 조씨 | 637 | ||
진안 조씨 | 8 | ||
진양 조씨 | 14 | ||
진위 조씨 | 15 | ||
진주 조씨 | 796 | ||
진해 조씨 | 73 | ||
창녕 조씨 | 473 | ||
창양 조씨 | 29 | ||
창령 조씨 | 14 | ||
창원 조씨 | 55 | ||
처인 조씨 | 5 | ||
천안 조씨 | 17 | ||
천양 조씨 | 9 | ||
청림 조씨 | 6 | ||
청송 조씨 | 28 | ||
청양 조씨 | 11 | ||
청주 조씨 | 68 | ||
청호 조씨 | 27 | ||
축안 조씨 | 5 | ||
춘천 조씨 | 13 | ||
충주 조씨 | 329 | ||
칠곡 조씨 | 5 | ||
태천 조씨 | 8 | ||
파산 조씨 | 44 | ||
파주 조씨 | 12 | ||
파평 조씨 | 48 | ||
평강 조씨 | 30 | ||
평괴 조씨 | 16 | ||
평산 조씨 | 3,348 | ||
평양 조씨 | 50,480 | ||
평창 조씨 | 17 | ||
평천 조씨 | 5 | ||
평택 조씨 | 130 | ||
평해 조씨 | 11 | ||
품양 조씨 | 6 | ||
풍강 조씨 | 9 | ||
풍경 조씨 | 9 | ||
풍괴 조씨 | 133 | ||
풍기 조씨 | 9 | ||
풍량 조씨 | 36 | ||
풍례 조씨 | 8 | ||
풍부 조씨 | 22 | ||
풍산 조씨 | 21 | ||
풍성 조씨 | 178 | ||
풍양 조씨 | 124,262 | ||
풍천 조씨 | 172 | ||
풍향 조씨 | 24 | ||
하남 조씨 | 39 | ||
하동 조씨 | 58 | ||
하만 조씨 | 41 | ||
하문 조씨 | 6 | ||
하안 조씨 | 12 | ||
하양 조씨 | 84 | ||
하열 조씨 | 8 | ||
한산 조씨 | 84 | ||
한성 조씨 | 206 | ||
한양 조씨| 조지수 | 332,580 | |||
한정 조씨 | 10 | ||
한천 조씨 | 5 | ||
함남 조씨 | 7 | ||
함녕 조씨 | 7 | ||
함산 조씨 | 21 | ||
함성 조씨 | 5 | ||
함안 조씨| 조정 | 282,890 | |||
함양 조씨 | 2,189 | ||
함열 조씨 | 417 | ||
함원 조씨 | 68 | ||
함종 조씨 | 12 | ||
함주 조씨 | 8 | ||
함창 조씨 | 37 | ||
함평 조씨 | 262 | ||
함한 조씨 | 15 | ||
함해 조씨 | 11 | ||
함혁 조씨 | 9 | ||
함흥 조씨 | 116 | ||
합천 조씨 | 31 | ||
해밀 조씨 | 5 | ||
해주 조씨 | 141 | ||
해평 조씨 | 8 | ||
홍성 조씨 | 10 | ||
홍양 조씨 | 18 | ||
화성 조씨 | 8 | ||
화양 조씨 | 50 | ||
환성 조씨 | 7 | ||
황양 조씨 | 26 | ||
황해 조씨 | 7 | ||
횡성 조씨 | 6,685 | ||
효창 조씨 | 12 | ||
흥양 조씨 | 375 |
2. 1. 1. 주요 인물
- 조정 - 고려의 중신. 후당에서 신라로 건너왔다.
- 조병옥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 조순 -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국회의원, 서울특별시장.
- 조일제 - 한국의 국회의원, 외교관.
- 조갑제 - 한국의 저널리스트.
- 조용필 - 대한민국의 가수.
- 조원진 - 한국의 국회의원.
- 조윤선 - 한국의 국회의원, 여성가족부 장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 조인성 - 한국의 프로 야구 선수.
- 조인성 - 한국의 배우.
- 조남철 - 한국의 바둑 기사.
- 조치훈 - 한국, 일본의 바둑 기사.
- 조수행 - 한국의 프로 야구 선수.
- 조성진 - 한국의 피아니스트.
2. 2. 중국
중국에는 두 가지 주요 조(趙/赵, 曹)씨가 있다.'''조(赵, Zhào|자오중국어)'''씨는 주나라 목왕 때 산시성 호족 '''조보'''(造父)가 진(晉)나라에 속했던 조(趙) 땅에 봉해지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이 지역을 기반으로 조나라가 세워졌고, 그의 자손들이 조(趙)를 성으로 삼았다. 조 무령왕은 전국 시대 조나라의 유명한 군주이다. 전국 시대 말기 조나라는 진나라에 의해 수도 한단이 불타며 멸망했으며, 이후 진나라의 환관이었던 조고(趙高)는 진나라 멸망의 한 원인이 된 인물로 평가받는다. 조(赵)씨는 송나라의 국성이었기 때문에 백가성(百家姓)에서 가장 첫 번째로 등장하는 성씨이기도 하다.
중국 국가 통계국의 2010년 제6차 전국인구조사(第六次全國人口普查)에 따르면, 조(赵)씨는 약 2,750만 명으로 중국 내 성씨 인구 순위 7위를 차지했으며, 당시 중국 전체 인구의 약 2.29%에 해당했다.
'''조(曹, Cáo|차오중국어)'''씨는 초나라의 운(妘)씨에서 파생되었다는 설과, 주나라 주무왕의 동생인 '''진탁'''(振鐸)이 조(曹)나라에 봉해진 후 그의 후손들이 나라 이름을 성으로 삼았다는 설이 전해진다. 후한의 재상 조조(曹操)와 삼국시대 위나라의 개국자 조비(曹丕) 등이 이 성씨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조(曹)씨는 백가성에서 26위에 오른 성씨이며, 2013년 조사에서는 30위를 기록했다.
그 외에도 금나라 황족이었던 완안씨(完顔氏) 중 송나라 황녀의 혈통을 이은 일부 가계는 금나라 멸망 후 조(趙)씨 성을 사용하기도 했다. 또한 진나라의 먼 조상은 영성(嬴姓)이었으나, 진나라의 직접적인 조상인 비자는 조씨(趙氏)를 칭했다는 기록도 있다.[10]
2. 2. 1. 주요 인물
- 조 무령왕: 전국 시대 조나라의 군주.
- 조쇠: 춘추 시대 진나라의 정치가, 조나라의 시조.
- 조사: 전국 시대 조나라의 정치가이자 장군.
- 조괄: 전국 시대 조나라의 장군, 조사의 아들.
- 조정: 중국 최초의 황제, 진나라의 창시자. 일반적으로 진 시황(秦始皇)으로 알려져 있다.
- 조성교: 진 시황제의 이복동생.
- 조고: 진나라의 환관. 진나라 멸망에 영향을 미친 인물로 평가받는다.
- 조타: 남월의 건국자.
- 조충국: 전한의 장군.
- 조첩여: 한 무제의 후궁.
- 조비연: 전한 성제의 황후. 마른 체형 미인의 대명사로 알려져 있다.
- 조합덕: 한 성제의 후궁이자 조비연 황후의 여동생.
- 조운: 후한 말기부터 촉한 시기에 활동한 장군.
- 조상: 삼국 시대 오나라의 수학자.
- 조덕인: 당나라 말기의 군벌.
- 조추: 후당 말기의 군벌.
- 조덕군: 오대십국 시대 후당과 그 전신 국가 진나라의 장군.
- 조광의: 남한의 재상. (송 태종 조광의와 동명이인)
- 조광윤: 북송의 초대 황제 (송 태조).
- 조보: 북송의 재상.
- 조광의: 북송의 제2대 황제 (송 태종), 조광윤의 동생.
- 조덕소: 송 태조의 둘째 아들.
- 조지린: 조광윤의 증손자, 조덕소의 삼남.
- 조천혁: 조광윤의 현손, 조유길(趙惟吉)의 육남. (조유길은 링크 없음)
- 조항: 북송의 제3대 황제 (송 진종).
- 조진: 북송의 제4대 황제 (송 인종).
- 조서: 북송의 제5대 황제 (송 영종).
- 조욱: 북송의 제6대 황제 (송 신종).
- 조욱: 북송의 제7대 황제 (송 철종).
- 조길: 북송의 제8대 황제 (송 휘종), 시, 그림, 서예, 음악에 능했던 예술가 군주로 유명하다.
- 조백구: 송나라 시대의 화가.
- 조맹부: 남송부터 원나라 시기에 활동한 화가이자 서예가, 송 왕족의 후손이다.
- 조용: 원나라 시기의 서예가, 조맹부의 아들.
- 조이광: 명나라 시대의 문인이자 작가, 조맹부의 친척.
- 조익: 청나라 시대의 시인, 역사가, 비평가, 고증학자.
- 조지침: 청나라의 전각가, 서예가, 화가.
- 조지겸: 청나라 말기의 서예가, 화가, 전각가.
- 조이손: 『청사고』 편찬 주간.
- 자오위안런: 중국의 저명한 언어학자.
- 자오 단: 중국 영화 황금기 시절의 인기 배우.
- 자오수리: 중국의 소설가.
- 자오 이만: 중국의 독립운동가.
- 자오 얼펑: 청나라 말기 ~ 중화민국 초기의 군벌이자 역사가.
- 자오 어쉰: 청나라 말기 ~ 중화민국 초기의 관리, 쓰촨성 지사.
- 자오 푸신: 물리학 교수 (1904–1999).
- 자오주장: 중국의 기상학자, 지구물리학자, 우주과학자.
- 자오푸추: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가, 서예가, 중국 불교 협회 회장.
- 자오난치: 조선족 출신 중국 인민해방군 상장.
- 자오쯔양: 전 중국 공산당 총서기 및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총리. 덩샤오핑 시대 개혁개방 정책을 주도한 주요 인물 중 한 명이다.
- 자오중샹: 중국의 뉴스 캐스터.
- 자오사오캉: 타이완의 정치가.
- 자오번산: 중국의 유명 코미디언, 배우, 감독.
- 자오 바오퉁: 중국 인민지원군 공군의 한국 전쟁 에이스 조종사 (1928-2003).
- 자오 징민: 유엔 사령관을 역임한 중국 소장.
- 자오 징선: 중국의 소설가.
- 자오 지핑: 중국의 작곡가.
- 자오 리젠: 중국의 외교관, 정치인.
- 수이성 자오: 미국에서 활동하는 중국 정치학자.
- 일레인 L. 차오: 미국 정치인, 제24대 미국 노동부 장관 역임.
- 주디 추: 미국 정치인이자 교육자.
- 샘 추 린: 미국의 언론인.
- 로잘린드 차오: 미국의 배우.
- 세실 차오: 홍콩의 기업가.
- 자오 추안: 타이완의 팝 가수.
- 마크 차오: 타이완의 배우, 가수, 모델.
- 윈스턴 차오: 타이완의 배우.
- 신디 차오: 타이완의 보석 디자이너.
- 앤지 치우: 홍콩의 배우, 1973년 미스 홍콩 3위.
- 본디 치우: 홍콩의 가수 겸 배우.
- 빈센트 자오 (치우 만척): 중국의 무술가이자 배우.
- 자오 웨이 (비키 자오): 중국의 유명 배우, 가수, 영화 감독.
- 자오리잉: 중국의 배우.
- 자오루스: 중국의 배우.
- 자오 이친: 중국의 배우.
- 자오 지아민: 중국의 아이돌 가수, 중국 아이돌 그룹 SNH48의 전 멤버.
- 자오 위에: 중국의 가수, 중국 아이돌 그룹 SNH48의 멤버이자 걸그룹 본본 걸스 303의 멤버.
- 자오 홍보: 중국의 페어 피겨 스케이팅 선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자오루이루이: 중국의 여자 배구 선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자오레이레이: 중국의 여자 배드민턴 선수.
- 자오쉬르: 중국의 축구 선수(MF), 중국 대표.
- 자오 지웨이: 중국의 농구 선수.
- 자오타이롱: 중국의 농구 선수(SG), 중국 대표. (링크 없음)
- 자오루이: 중국의 농구 선수(PG), 중국 대표. (링크 없음)
- 자오 용성: 중국의 경보 선수.
- 자오 신퉁: 중국의 스누커 선수 (1997년 출생).
- 자오쯔하오: 중국의 탁구 선수. (링크 없음)
- 자오 종위안: 중국계 호주 체스 그랜드마스터.
- 잭 자오: 중국의 브리지 선수.
- 브라이언 치우: 캐나다의 전 프로 미식축구 선수, 몬트리올 알루에츠에서 활약.
- 케니 치우: 캐나다의 정치인.
- 캐롤 자오: 캐나다의 테니스 선수 (1995년 출생).
- 볼드윈 치우 (온리 윈): 미국의 힙합 아티스트, 배우, 프로듀서. (온리 윈은 링크 없음)
- 클로이 자오: 중국 출신 미국의 영화 감독, 아카데미 감독상 수상자 (1982년 출생).
- 시란 제이 자오: 중국계 캐나다 작가 (1997년 출생).
- 벤 Y. 자오: 미국의 컴퓨터 과학 교수.
- 칭 자오: 전자 과학자. (링크 없음)
- 자오 윈: 홍콩의 변호사. (삼국 시대 조운과는 동명이인)
- 아만다 자오: 2002년 캐나다에서 살해된 중국인 여대생.
- 케이나 치우: 일본계 중국인 텔레비전 뉴스 기자 (1995년 출생).
- 창펑 자오: 실업가, 바이낸스 창업자.
2. 2. 2. 현대 문화
루쉰의 소설 ''아큐정전''에서 주인공 아큐는 마을의 존경받는 지주인 조 씨와 자신이 같은 성씨라고 주장한다. 이에 조 씨는 매우 화를 내며 아큐의 뺨을 때리고 "'''네놈이 어찌 조 씨냐!—조 씨라는 이름을 받을 만하다고 생각하느냐?'''"라고 소리친다.[3]2015년경부터 중국의 인터넷 공간에서는 ''조(趙)''라는 성씨가 중국 공산당을, '
2016년, 'Program Think'라는 필명을 사용하는 한 블로그 작가는 깃허브에 'Zhao'라는 이름의 프로젝트를 공개했다.[5] 이 프로젝트는 시진핑 중국 공산당 총서기를 포함한 중국 내 130개 이상의 유력 가문과 700명 이상의 인물들 간의 관계를 정리한 자료였다. 중국 국가 인터넷 정보판공실은 깃허브 측에 해당 프로젝트의 삭제를 요청했다.[6] 현재 중국 내에서는 해당 프로젝트 페이지에 접속하려고 하면 HTTP 451(법적인 이유로 접근 불가) 오류 코드가 표시된다.
2020년 중화인민공화국의 제7차 전국 인구 조사(국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赵)씨는 중국에서 8번째로 흔한 성씨이며, 약 2,867만 8천 명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8] 한편, 타이완의 2018년 통계에서는 44번째로 흔한 성씨이며, 약 106,583명이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9]
참조
[1]
웹사이트
Zhao Ziyang
http://www.collinsdi[...]
[2]
웹사이트
"趙"
https://kangxizidian[...]
康熙字典
[3]
웹사이트
The True Story of Ah-Q
https://www.marxists[...]
2017-06-30
[4]
웹사이트
赵家人 - China Digital Space
https://chinadigital[...]
2017-06-30
[5]
간행물
"zhao: 【编程随想】整理的《太子党关系网络》,专门揭露赵国的权贵"
https://github.com/p[...]
2017-07-01
[6]
간행물
gov-takedowns: Text of government takedown notices as received. GitHub does not endorse or adopt any assertion contained in the following notices
https://github.com/g[...]
GitHub
2017-06-30
[7]
웹사이트
中国信息报 2022年11月11日 2版 - “百家姓”规模及其占全国总人数比重
http://www.zgxxb.com[...]
中国信息报
2022-11-11
[8]
웹사이트
“百家姓”人口占全国人口比重达84.55%
http://www.zgxxb.com[...]
2022-11-11
[9]
웹사이트
全國姓名統計分析
https://www.ris.gov.[...]
중화민國內政部
2018-10
[10]
서적
『史記』秦本紀「女防生旁皋,旁皋生太幾,太幾生大駱 (秦)|大駱,大駱生非子。以造父之寵,皆蒙趙城,姓趙氏。秦之先為嬴姓。其後分封,以國為姓,有徐氏、郯氏、莒氏、終黎氏、運奄氏、菟裘氏、將梁氏、黄氏、江氏、修魚氏、白冥氏、蜚廉氏、秦氏。然秦以其先造父封趙城,為趙氏。」
[11]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