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종양바이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종양바이러스는 숙주나 신생아에게 질병을 거의 일으키지 않지만, 일부 경우 암으로 발전하는 바이러스이다. 종양바이러스 연구는 코흐의 가설 적용의 어려움, 다양한 형태, 그리고 암유전자 삽입 또는 원종양유전자 활성 증가를 통한 종양 발생 메커니즘 때문에 복잡하다. IARC는 종양바이러스를 발암성 위험도에 따라 분류하며,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HPV), B형 간염 바이러스(HBV), C형 간염 바이러스(HCV),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 인간 T 림프구 친화 바이러스(HTLV-1) 등이 대표적이다. 종양 유발 메커니즘은 직접적인 종양 유전자 삽입 또는 간접적인 만성 염증 유발을 통해 이루어진다. DNA 종양 바이러스는 p53과 Rb과 같은 종양 억제 단백질을 손상시키며, RNA 종양 바이러스는 역전사를 통해 숙주 세포에 침투하여 암을 유발한다. 암을 유발하는 주요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개발과 예방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종양바이러스 연구는 암의 역사와 바이러스학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암 물질 - 발암물질
    발암물질은 유전적 손상이나 세포 성장 촉진을 통해 암을 유발하는 물질로, 유전독성 및 비유전독성 기전을 가지며, 담배 연기, 석면, 방사선, 특정 화학물질, 바이러스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고, 여러 기관에서 각기 다른 기준으로 분류되며, 다양한 시험 방법을 통해 발암성을 평가한다.
  • 발암 물질 - 브로민화 에티듐
    브로민화 에티듐은 핵산 검출에 사용되는 형광 화합물로, DNA 및 RNA 검출에 활용되며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 시 DNA 밴드를 확인하는 데 사용되지만, 변이원성이 강해 취급에 주의해야 한다.
  • 바이러스 - 바이러스 복제
    바이러스 복제는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 내에서 자신의 유전 물질을 복제하여 새로운 바이러스 입자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숙주 세포의 자원을 이용해 부착, 침투, 탈피, 복제, 조립, 성숙, 방출의 단계를 거치며, 유전체 종류에 따라 다양한 복제 전략을 가진다.
  • 바이러스 - 바이러스 분류
    바이러스 분류는 바이러스의 정의, 분류 체계, 그리고 아바이러스 인자를 포함하여, 국제 바이러스 분류 위원회(ICTV)의 계층적 분류와 볼티모어 분류를 통해 바이러스를 다양한 기준으로 구분한다.
  • 바이러스학 - 코로나19 백신
    코로나19 백신은 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기술 플랫폼을 기반으로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었으나, 백신 접근성 불평등, 허위 정보, 법적 책임 문제 등 논란과 변이 바이러스 출현으로 인한 효과 감소, 부작용 등의 문제도 존재한다.
  • 바이러스학 - 백신
    백신은 약화된 병원체나 일부를 활용하여 인체의 면역계를 활성화, 특정 질병에 대한 항체 생성을 유도하는 의약품으로 감염병 예방에 효과적이지만, 부작용 발생 가능성과 효과의 다양성, 백신 거부와 오해로 인한 접종률 저하 및 감염병 확산의 위험이 존재하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안전성과 효능이 향상되고 새로운 기술을 이용한 백신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양바이러스
개요
정의암을 유발할 수 있는 바이러스
관련 질병
상세 정보
발견 시기1960년
관련 연구암성 핵단백질을 이용한 백혈병 및 진성 적혈구 증가증 유발 연구
종류인간 유두종바이러스 (HPV)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EBV)
B형 간염 바이러스 (HBV)
C형 간염 바이러스 (HCV)
인간 T-림프영양성 바이러스 1형 (HTLV-1)
카포시 육종 관련 헤르페스바이러스 (KSHV)
메르켈 세포 폴리오마바이러스 (MCV)
발병 기전바이러스 유전자 삽입을 통한 세포 성장 조절 유전자 파괴
바이러스 단백질을 이용한 세포 성장 촉진 및 면역 체계 회피
만성 염증 유발을 통한 암 발생 환경 조성
추가 정보일부 바이러스는 암 발생 위험을 높이지만, 감염 자체가 암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님
백신 접종 및 항바이러스 치료를 통해 예방 및 치료 가능

2. 정의 및 특징

종양바이러스는 다른 바이러스와 달리 숙주나 신생아에게 질병을 거의 일으키지 않으며, 극히 일부의 경우에만 감염이 암으로 발전한다.[78] 종양바이러스가 암을 유발하는지 여부를 연구하는 것은 어려운데, 코흐의 가설을 적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79] 코흐의 가설이 종양바이러스에 적용될 수 없는 이유는 바이러스만 분리 배양이 불가능하고, 대부분의 감염자가 증상을 보이지 않으며, 사람에게만 증상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를 직접 실험할 수 없다는 점이다.[79] 따라서 종양바이러스를 연구할 때는 브래드포드 힐 판정법을 주로 사용하지만, 이 역시 인과관계 판단에는 한계가 있다.[79]

종양바이러스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레트로바이러스는 DNA와 RNA를 모두 유전체로 가질 수 있어, 아데노바이러스와 같은 DNA 바이러스C형 간염 바이러스와 같은 RNA 바이러스 모두 암을 유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양바이러스는 숙주에서 별다른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아데노바이러스는 사람에게 암보다는 감기, 결막염 등을 일으키지만, 시리아햄스터에서는 종양을 일으킨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나 KSHV는 숙주 세포 DNA와 분리된 원형 에피솜이나 플라스미드 형태로 복제될 때 종양을 일으킨다. 폴리오마바이러스나 유두종바이러스는 바이러스 유전자가 숙주 세포 유전체에 삽입되는 경우에 암을 발생시킨다.

종양바이러스의 암유전자가 숙주세포로 삽입되거나, 숙주세포의 원종양유전자 활성을 증가시킬 때 종양이 발생한다.[80]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간암처럼, 바이러스가 간접적으로 만성 염증을 일으켜 수십 년에 걸쳐 암을 유발하기도 한다. 직접적으로 암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모든 종양세포에 바이러스 단백질이나 RNA가 하나씩 있어야 한다. 면역력이 저하된 경우 종양바이러스에 의한 암 발생 확률이 높아진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EBV) 구조


IARC의 발암성 위험 평가에 따르면, 다음 바이러스들이 암을 유발하거나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류된다.

등급바이러스관련 암
Type 1
(발암성 있음)
EB 바이러스버킷 림프종
B형 간염 바이러스간세포암
C형 간염 바이러스간세포암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16형자궁경부암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18형자궁경부암
인간 T 림프구 친화 바이러스 1형성인 T 세포 백혈병
Type 2A
(발암성 추정)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31형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33형
카포시 육종 관련 헤르페스바이러스카포시 육종
Type 2B
(발암성 의심)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2형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16, 18, 31, 33형 이외)
Type 3
(발암성 불명)
D형 간염 바이러스
인간 T 세포 친화 바이러스 2형


3. 종양 유발 메커니즘

종양바이러스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암을 유발하는 방식은 크게 직접적인 방식과 간접적인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11]

직접적인 방식은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에 암 유전자를 삽입하거나, 숙주 세포 내에 이미 존재하는 원종양유전자를 강화하는 것이다.[11] 예를 들어, vFLIP와 vCyclin은 숙주의 mir17-92 클러스터를 유도하여 TGF-β 신호 전달 경로를 간접적으로 방해한다.[12] 이 경우 모든 종양 세포에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 사본이 존재하며, 암을 유발하는 단백질이나 RNA를 발현한다. 이러한 종양에서는 외래 바이러스 항원이 발현되기 때문에, AIDS나 장기 이식 환자와 같이 면역력이 저하된 사람에게서 암 발생 위험이 더 높다.

정상 세포가 종양 유전자가 활성화되어 암세포로 변환되는 과정을 그림으로 나타냄.


간접적인 방식은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만성 염증이 수십 년에 걸쳐 발생하면서 돌연변이와 과형성을 유발하는 것이다. C형 간염 바이러스로 인한 간암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 경우, 이론적으로는 만성 염증으로 인해 충분한 돌연변이가 축적되면 종양 세포에서 바이러스 입자가 발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를 '때리고 빠지기(hit-and-run)'라고 표현하기도 하는데, 임상적으로 진단된 종양에서 바이러스가 사라질 수 있다는 논란이 있지만,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다. 그러나 실제로 이러한 현상은 드물게 발생한다.

종양바이러스 연구는 코흐의 가설을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78] 바이러스만 순수하게 분리 배양하기 어렵고, 대부분의 종양바이러스 감염자가 증상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사람에게만 증상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를 직접 사람에게 실험할 수 없다는 윤리적인 문제도 있다. 따라서 종양바이러스 연구에는 브래드포드 힐 판정법이 주로 사용되지만, 이 역시 인과관계를 판단하는 데 한계가 있다.[79]

IARC 발암성 위험 평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바이러스들이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ype바이러스관련 암
Type 1
(발암성이 있음)
EB 바이러스 (Epstein-Barr virus)버킷 림프종
B형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B virus; HBV)간세포암
C형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C virus; HCV)간세포암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16형 (Human papillomavirus type 16; HPV-16)자궁경부암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18형 (Human papillomavirus type 18; HPV-18)자궁경부암
인간 T 림프구 친화 바이러스 1형 (HTLV-1)성인 T 세포 백혈병
Type 2A
(아마 발암성이 있음)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31형 (Human papillomavirus type 31)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33형 (Human papillomavirus type 33)
카포시 육종 관련 헤르페스 바이러스 (Kaposi's sarcoma herpesvirus; KSHV / Human herpesvirus 8; HHV-8)카포시 육종
Type 2B
(발암성이 의심됨)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2; HIV-2)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16, 18, 31, 33형 이외)
Type 3
(발암성은 불명 - 현재 검증 중)
D형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D virus)
인간 T 세포 친화 바이러스 2형 (Human T-cell lymphotropic virus type II)


4. DNA 종양 바이러스

DNA 종양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 종양 억제 단백질, 즉 p53와 망막모세포종 단백질(Rb)을 손상시킨다. 바이러스가 DNA를 복제할 때 p53이 감염된 세포에서 세포 주기 정지 또는 세포 사멸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p53을 비활성화하는 것은 진화적으로 유리하다.[13] Rb 단백질은 중요한 세포 주기 체크포인트를 포함하여 여러 필수 세포 기능을 조절하므로, 바이러스는 규칙적인 세포 기능을 방해하기 위해 Rb 단백질을 표적으로 삼는다.[14]

아데노바이러스, 원숭이 바이러스 40(SV40),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HPV)는 광범위하게 연구된 세 가지 DNA 종양바이러스이다. 아데노바이러스는 설치류 모델에서 종양을 유발할 수 있지만, 인간에게는 암을 유발하지 않는다. SV40은 폴리오마바이러스의 일종으로 설치류 모델에서는 종양을 유발할 수 있지만, 인간에게는 종양을 유발하지 않는다. HPV는 자궁경부암 및 두경부암을 포함한 다른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세 가지 바이러스는 DNA 종양바이러스의 전형을 형성하며, 작용 기전이 유사하다.

DNA 종양 바이러스는 p53 및 Rb를 비활성화하여 세포를 변형시킨다.

바이러스 종류p53 비활성화Rb 비활성화
아데노바이러스아데노바이러스 E1B 단백질(55K)이 p53 결합 부위에 결합하여 유전자 조절 억제[5]아데노바이러스 초기 영역 1A(E1A)가 Rb에 결합하여 전사 자극[5]
원숭이 바이러스 40(SV40)대형 T 항원(LT)이 p53 DNA 결합 도메인에 결합하여 유전자 조절 방해[22][5]LT 단백질 사용[5]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HPV)E6 단백질이 E6-AP와 복합체를 형성, p53을 유비퀴틴화하여 분해[23]E7 단백질이 Rb에 결합[24]


  • '''IARC 발암성 위험 평가'''에 따른 DNA 종양 바이러스

등급바이러스 종류관련 암
Type 1 (발암성이 있음)
Type 2A (아마 발암성이 있음)
Type 2B (발암성이 의심됨)
Type 3 (발암성은 불명 - 현재 검증 중)



그 외에, B형 간염 바이러스(HBV)는 간세포암,[36]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 또는 HHV-4)는 4가지 유형의 암, 인간 거대세포바이러스(CMV 또는 HHV-5)는 점액표피양 암종 및 기타 악성 종양,[34] 카포시 육종 관련 헤르페스 바이러스(KSHV 또는 HHV-8)는 카포시 육종,[35] 메르켈 세포 폴리오마바이러스는 메르켈 세포 암종의 발달과 관련이 있다.

4. 1. 바이러스 DNA 통합

DNA 종양바이러스는 감염된 세포의 DNA를 숙주 세포의 유전체에 통합함으로써 세포를 형질전환시킨다.[18] DNA는 두 개의 어닐링된 가닥이 분리될 때 전사 또는 복제 중에 삽입되는 것으로 여겨진다.[5] 이 사건은 비교적 드물고 일반적으로 예측할 수 없으며, 통합 부위를 결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5] 통합 후, 숙주 세포의 세포 주기는 망막모세포종 단백질(Rb)과 p53의 조절을 잃고 세포는 종양을 형성하기 위해 복제하기 시작한다.[19]

바이러스는 p53을 비활성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아데노바이러스의 E1B 단백질(55K)은 p53이 유전체에 결합하는 부위에 결합하여 p53이 유전자 조절을 하지 못하도록 한다.[5] 원숭이 바이러스 40(SV40)에서는 대형 T 항원(LT)이 유사하게 작용하며, LT는 또한 p107 및 p130과 같은 다른 여러 세포 단백질에도 동일한 잔기에 결합한다.[22] LT는 (단백질이 아닌) DNA 상의 p53의 결합 도메인에 결합하여 p53이 유전자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을 다시 한 번 방해한다.[5]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HPV)는 대신 p53을 분해한다. HPV 단백질 E6는 E6-연관 단백질(E6-AP, UBE3A로도 알려짐)이라는 세포 단백질에 결합하여 p53의 빠르고 특정한 유비퀴틴화를 유발하는 복합체를 형성한다.[23]

4. 2. G1/S 검문소

뇌종양에서 비정상적인 p53 발현(갈색)을 보이는 세포를 보여주는 현미경 사진.


망막모세포종 단백질(Rb)과 종양 단백질 p53은 G1기와 S기 사이의 전환을 조절하며, DNA 손상 복구와 같은 적절한 검문 지점 입력이 완료될 때까지 DNA 복제 전에 세포 주기를 정지시킨다.[20] p53은 p21 유전자를 조절하며, 이 유전자는 Cyclin D-Cdk4/6 복합체에 결합하는 단백질을 생성하여 Rb 인산화를 막고 세포가 S기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21][5] 포유류에서 Rb가 활성화(비인산화)되면, E2F 전사 인자를 억제한다. E2F 전사 인자는 Cyclin E-Cdk2 복합체를 조절하며, 이는 Rb를 억제하여 양성 피드백 루프를 형성하고, 입력이 임계값을 넘을 때까지 세포를 G1기에 유지한다.[5]

4. 3. p53 비활성화

아데노바이러스는 아데노바이러스 E1B 단백질(55K)을 이용하여 p53이 유전체에 결합하는 것을 막는다. 이 단백질은 p53이 결합하는 부위에 대신 결합하여 p53의 유전자 조절 기능을 억제한다.[5]

원숭이 바이러스 40(SV40)의 대형 T 항원(LT)도 유사한 방식으로 p53의 기능을 방해한다. LT는 p53의 DNA 결합 도메인에 결합하여 유전자 조절을 막고, p107 및 p130과 같은 다른 세포 단백질에도 결합한다.[22][5]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HPV)는 E6 단백질을 통해 p53을 분해한다. E6는 E6-연관 단백질(E6-AP, UBE3A로도 알려짐)과 복합체를 형성하여 p53을 유비퀴틴화시켜 빠르게 분해한다.[23]

이처럼 바이러스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p53을 비활성화하여 세포 주기를 조절하고, 세포 사멸을 억제하여 세포 변형과 종양 발생을 유도한다.

4. 4. Rb 비활성화

망막모세포종 단백질(Rb)은 여러 바이러스 종양 단백질에 의해 비활성화된다. 아데노바이러스 초기 영역 1A(E1A)는 Rb에 결합하여 전사를 자극하고 세포를 변형시키는 종양 단백질이다.[5] 원숭이 바이러스 40(SV40)은 LT라는 단백질을 사용하여 Rb를 비활성화한다.[5]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HPV)는 E7이라는 단백질을 통해 Rb에 결합한다.[24] Rb는 인산화, 바이러스 종양 단백질과의 결합, 또는 돌연변이에 의해 비활성화될 수 있으며, 종양 단백질 결합을 막는 돌연변이는 암과 관련이 있다.[5]

4. 5. 변이

DNA 종양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종양 억제 단백질인 p53와 망막모세포종 단백질(Rb)을 손상시킨다. 바이러스가 DNA를 복제할 때 p53이 감염된 세포에서 세포 주기 정지 또는 세포 사멸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p53을 비활성화하는 것은 진화적으로 유리하다.[13] Rb 단백질은 중요한 세포 주기 체크포인트를 포함하여 여러 필수 세포 기능을 조절하므로, 바이러스는 규칙적인 세포 기능을 방해하기 위해 Rb 단백질을 표적으로 삼는다.[14]

아데노바이러스, 원숭이 바이러스 40(SV40),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16(HPV-16)은 광범위하게 연구된 세 가지 DNA 종양바이러스이다. 아데노바이러스는 설치류 모델에서 종양을 유발할 수 있지만, 인간에게는 암을 유발하지 않는다. 그러나 낭성 섬유증 및 암과 같은 질병에 대한 유전자 치료에서 전달체로 활용되어 왔다.[15] SV40은 폴리오마바이러스의 일종으로 설치류 모델에서는 종양을 유발할 수 있지만, 인간에게는 종양을 유발하지 않는다.[16] 약 1억 명의 사람들이 소아마비 백신을 통해 의도치 않게 SV40에 노출되었기 때문에, 이 현상은 20세기 종양 발생의 주요 논쟁 중 하나였다.[5] HPV-16은 자궁경부암 및 두경부암을 포함한 다른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7] 이 세 가지 바이러스는 DNA 종양바이러스의 전형을 형성하며, 작용 기전이 유사하다. 이들은 모두 DNA를 숙주 세포에 통합하여 전사하고 세포 주기의 G1/S 체크포인트를 우회하여 세포를 변형시킨다.

종양 바이러스는 감염된 세포의 DNA를 숙주 세포의 유전체에 통합함으로써 세포를 형질전환시킨다.[18] DNA는 두 개의 어닐링된 가닥이 분리될 때 전사 또는 복제 중에 삽입되는 것으로 여겨진다.[5] 이 사건은 비교적 드물고 일반적으로 예측할 수 없으며, 통합 부위를 결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5] 통합 후, 숙주 세포의 세포 주기는 Rb과 p53의 조절을 잃고 세포는 종양을 형성하기 위해 복제하기 시작한다.[19]

5. RNA 종양 바이러스

1960년대에는 RNA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이 다른 단일 가닥 RNA와 유사하다고 여겨졌다. 단일 가닥 RNA 복제는 RNA 의존적 RNA 합성을 포함하며, 이는 바이러스 코딩 효소가 부분적인 이중 가닥 RNA를 생성한다는 의미였다. 그러나 레트로바이러스 세포에서 이중 가닥 RNA가 발견되지 않으면서 이러한 믿음은 틀린 것으로 밝혀졌다. 1964년 하워드 테민은 프로바이러스 가설을 제안했지만, 곧 레트로바이러스 유전자 내에서 역전사가 발견되었다.

모든 종양 바이러스가 DNA 바이러스인 것은 아니다. C형 간염 바이러스와 인간 T 림프구 친화 바이러스(HTLV-1) 및 루스 육종 바이러스(RSV)와 같은 특정 레트로바이러스를 포함한 일부 RNA 바이러스도 종양을 유발할 수 있다. 레트로바이러스는 ''gag'', ''pol'', ''env''의 세 가지 주요 코딩 도메인을 가지며, 이를 통해 바이러스 입자를 구성하고, 역전사 및 통합 효소 정보를 저장하며, 외피 단백질을 생성한다.

5. 1. 바이러스의 특징

레트로바이러스는 ''gag'', ''pol'', ''env''의 세 가지 주요 코딩 도메인을 갖는다. ''gag'' 영역에서는 매트릭스, 캡시드, 뉴클레오캡시드 단백질을 구성하는 내부 바이러스 입자 단백질의 합성이 유지된다. ''pol''에는 역전사 및 통합 효소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env''는 바이러스 외피 단백질의 표면 및 막관통 단백질에서 유래된다. 모든 레트로바이러스에 존재하는 더 작은 네 번째 코딩 도메인이 있는데, ''Pol''은 바이러스 입자 프로테아제를 암호화하는 도메인이다.[1]

레트로바이러스는 표면 당단백질을 세포의 세포막 수용체에 부착함으로써 숙주 세포로 들어간다. 세포 내로 들어가면 레트로바이러스는 세포질에서 역전사를 거쳐 RNA 게놈의 이중 가닥 DNA 사본을 생성한다. 역전사는 또한 LTR(long terminal repeats, 장말단 반복)이라고 하는 동일한 구조를 생성한다. 장말단 반복은 DNA 가닥의 끝에 있으며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바이러스 DNA는 핵으로 이동하여 비리온 인테그라제의 도움을 받아 레트로바이러스 게놈의 한 가닥이 염색체 DNA에 삽입된다. 이 시점에서 레트로바이러스는 프로바이러스라고 한다. 염색체 DNA 내에서 프로바이러스는 세포 RNA 중합 효소 II에 의해 전사된다. 전사는 스플라이싱과 완전 길이 mRNA, 그리고 완전 길이 자손 비리온 RNA로 이어진다. 비리온 단백질과 자손 RNA는 세포질에서 조립되어 세포를 떠난다.[1]

5. 2. 레트로바이러스의 숙주 세포 진입

레트로바이러스는 표면 당단백질을 세포의 세포막 수용체에 부착시켜 숙주 세포로 들어간다. 세포 내로 들어가면 레트로바이러스는 세포질에서 역전사를 거쳐 RNA 게놈의 이중 가닥 DNA 사본을 생성한다. 역전사 과정에서 LTR(long terminal repeats, 장말단 반복)이라고 하는 동일한 구조도 생성된다. 장말단 반복은 DNA 가닥의 끝에 있으며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이후 바이러스 DNA는 핵으로 이동하여 비리온 인테그라제의 도움을 받아 레트로바이러스 게놈의 한 가닥이 염색체 DNA에 삽입된다. 이 시점에서 레트로바이러스는 프로바이러스라고 한다.[1]

6. 종양 바이러스의 분류

종양바이러스는 DNA 바이러스RNA 바이러스로 나눌 수 있다. 아데노바이러스와 같은 DNA 바이러스나, C형 간염 바이러스와 같은 RNA 바이러스가 암을 유발할 수 있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나 카포시 육종 관련 헤르페스바이러스(KSHV)같은 경우는 숙주 세포의 DNA와 떨어져서 원형 에피솜이나 플라스미드의 형태로 복제할 때 종양을 일으킨다. 폴리오마바이러스나 유두종바이러스같은 경우는 우연히 바이러스의 유전자가 숙주 세포의 유전체에 삽입된 경우에 암을 발생한다.[78]

종양바이러스에 있는 암유전자가 숙주세포로 삽입되거나, 숙주세포의 원종양유전자 활성을 증가시킬 때 종양이 발생한다.[80]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간암처럼 간접적인 방식으로 수십년에 걸쳐 만성 염증을 일으켜 암을 유발하기도 한다.[81] 후천면역결핍증후군 등 면역력이 저하된 경우 종양바이러스에 의해 암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79]

로베르트 코흐코흐의 가설은 바이러스성 질환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브래드포드 힐 기준과 같은 다른 척도는 암 바이러스학에 더 관련이 있지만 인과 관계를 결정하는 데에도 몇 가지 제한이 있다.[9][10]

IARC 발암성 위험 평가에 따르면, 발암성이 있거나(Type 1), 발암 가능성이 있거나(Type 2A), 발암성이 의심되는(Type 2B) 바이러스는 다음과 같다.

Type바이러스관련 암
Type 1 (발암성이 있음)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버킷 림프종
Type 1 (발암성이 있음)B형 간염 바이러스(HBV)간세포암
Type 1 (발암성이 있음)C형 간염 바이러스(HCV)간세포암
Type 1 (발암성이 있음)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16형 (HPV-16)자궁경부암
Type 1 (발암성이 있음)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18형 (HPV-18)자궁경부암
Type 1 (발암성이 있음)인간 T 림프구 친화성 바이러스 1형 (HTLV-1)성인 T 세포 백혈병
Type 2A (아마 발암성이 있음)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31형 (HPV-31)
Type 2A (아마 발암성이 있음)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33형 (HPV-33)
Type 2A (아마 발암성이 있음)카포시 육종 관련 헤르페스바이러스(KSHV / HHV-8)카포시 육종
Type 2B (발암성이 의심됨)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HIV-2)
Type 2B (발암성이 의심됨)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16, 18, 31, 33형 이외)
Type 3 (발암성은 불명 - 현재 검증 중)D형 간염 바이러스
Type 3 (발암성은 불명 - 현재 검증 중)인간 T 림프구 친화성 바이러스 2형 (HTLV-2)


6. 1. DNA 바이러스

DNA 종양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 종양 억제 단백질군인 p53과 망막모세포종 단백질(Rb)을 손상시킨다. 바이러스가 DNA를 복제하려 할 때 p53이 감염된 세포에서 세포 주기 정지 또는 세포 사멸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p53을 비활성화하는 것은 진화적으로 유리하다.[13] Rb 단백질은 중요한 세포 주기 체크포인트를 포함하여 여러 필수 세포 기능을 조절하므로, 규칙적인 세포 기능을 방해하려는 바이러스의 표적이 된다.[14]

카포시 육종은 피부에 덩어리를 형성할 수 있는 암으로, 카포시 육종 관련 헤르페스바이러스(KSHV), 즉 HHV-8이라고도 불리는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


여러 DNA 종양바이러스가 발견되었지만,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HPV) 외에 다음 바이러스들이 주로 연구 대상이다.

  • 아데노바이러스: 설치류 모델에서 종양을 유발할 수 있지만, 인간에게는 암을 유발하지 않는다.
  • 원숭이 바이러스 40(SV40): 폴리오마바이러스의 일종으로, 설치류 모델에서는 종양을 유발할 수 있지만, 인간에게는 종양을 유발하지 않는다.[16]
  • B형 간염 바이러스(HBV): 간세포암과 관련이 있다.[36]
  •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 또는 HHV-4): 4가지 유형의 암과 관련이 있다.
  • 인간 거대세포바이러스(CMV 또는 HHV-5): 점액표피양 암종 및 기타 악성 종양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34]
  • 카포시 육종 관련 헤르페스 바이러스(KSHV 또는 HHV-8): 피부암의 일종인 카포시 육종과 관련이 있다.[35]
  • 메르켈 세포 폴리오마바이러스: 폴리오마 바이러스 —는 메르켈 세포 암종의 발달과 관련이 있다.


'''IARC 발암성 위험 평가'''에 따른 바이러스 분류는 다음과 같다.

Type바이러스관련 암
Type 1 (발암성이 있음)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버킷 림프종
Type 1 (발암성이 있음)B형 간염 바이러스(HBV)간세포암
Type 1 (발암성이 있음)C형 간염 바이러스(HCV)간세포암
Type 1 (발암성이 있음)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16형 (HPV-16)자궁경부암
Type 1 (발암성이 있음)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18형 (HPV-18)자궁경부암
Type 1 (발암성이 있음)인간 T 림프구 친화성 바이러스 1형 (HTLV-1)성인 T 세포 백혈병
Type 2A (아마 발암성이 있음)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31형 (HPV-31)
Type 2A (아마 발암성이 있음)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33형 (HPV-33)
Type 2A (아마 발암성이 있음)카포시 육종 관련 헤르페스바이러스(KSHV / HHV-8)카포시 육종
Type 2B (발암성이 의심됨)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HIV-2)
Type 2B (발암성이 의심됨)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16, 18, 31, 33형 이외)
Type 3 (발암성은 불명 - 현재 검증 중)D형 간염 바이러스
Type 3 (발암성은 불명 - 현재 검증 중)인간 T 림프구 친화성 바이러스 2형 (HTLV-2)


6. 1. 1. 인간 유두종바이러스 (HPV)

인간 유두종바이러스(HPV)는 DNA 바이러스로, 악성 형질전환을 일으켜 p53과 같은 종양 억제 단백질을 방해한다. p53의 작용을 방해하면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가 세포 주기의 다른 단계로 이동하여 바이러스 게놈을 복제할 수 있다. 세포를 세포 주기의 S기로 강제로 진입시키면 세포가 형질전환될 수 있다.[27] 인간 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은 자궁경부암, 외음부암, 질암, 음경암, 항문암, 그리고 HPV 양성 구강인두암의 주요 원인이다.[7][28][29][30][31][32][33] 거의 200가지의 뚜렷한 인간 유두종바이러스(HPV)가 있으며,[31] 많은 HPV 유형이 발암성이 있다.[7][28]

2005년 스웨덴 말뫼 대학교에서 진행된 연구는 인유두종 바이러스(HPV)에 감염된 사람과의 예방 조치를 하지 않은 구강성교는 구강암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시사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암 환자의 36%가 HPV에 감염된 반면, 건강한 대조군에서는 1%만 감염되었다.[72]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슨에 발표된 또 다른 연구는 구강성교와 인두암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HPV는 자궁경부암의 대다수와 관련이 있으므로, 이 상관관계는 HPV 감염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 연구는 평생 1~5명의 파트너와 구강성교를 한 사람은 전혀 하지 않은 사람에 비해 약 2배, 6명 이상의 파트너와 한 사람은 3.5배의 인두암 위험이 있다고 결론지었다.[73]

6. 2. RNA 바이러스

C형 간염 바이러스(HCV), 인간 T 림프구 친화 바이러스(HTLV-1), 루스 육종 바이러스(RSV)와 같은 일부 RNA 바이러스도 종양을 유발할 수 있다.[9]

모든 레트로바이러스는 ''gag'', ''pol'', ''env''라는 세 가지 주요 코딩 도메인을 갖는다. ''gag'' 영역에서는 매트릭스, 캡시드, 뉴클레오캡시드 단백질을 구성하는 내부 바이러스 입자 단백질의 합성이 유지된다. ''pol''에는 역전사 및 통합 효소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env''는 바이러스 외피 단백질의 표면 및 막관통 단백질에서 유래된다. 모든 레트로바이러스에 존재하는 더 작은 네 번째 코딩 도메인은 ''Pol''이며, 바이러스 입자 프로테아제를 암호화한다.

1960년대에는 RNA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이 다른 단일 가닥 RNA와 유사하다고 여겨졌다. 단일 가닥 RNA 복제는 RNA 의존적 RNA 합성을 포함하며, 이는 바이러스 코딩 효소가 부분적인 이중 가닥 RNA를 생성한다는 의미였다. 그러나 레트로바이러스 세포에서 이중 가닥 RNA가 발견되지 않으면서 이 믿음은 틀린 것으로 밝혀졌다. 1964년 하워드 테민은 프로바이러스 가설을 제안했지만, 곧 레트로바이러스 유전자 내에서 역전사가 발견되었다.

국제 암 연구소(IARC)의 발암성 위험 평가에 따르면, 다음 RNA 바이러스들이 발암성이 있거나(Type 1), 발암 가능성이 있거나(Type 2A), 발암성이 의심되는(Type 2B) 것으로 분류된다.

종류IARC 발암성 위험 평가관련 암
C형 간염 바이러스(HCV)Type 1 (발암성이 있음)간세포암
인간 T 림프구 친화 바이러스 1형 (HTLV-1)Type 1 (발암성이 있음)성인 T 세포 백혈병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HIV-2)Type 2B (발암성이 의심됨)


6. 3. 개요 표

바이러스암 발생 비율[7]관련 암 유형
B형 간염 바이러스(HBV)간세포암[36]
C형 간염 바이러스(HCV)간세포암[37]
인간 T 세포 림프 영양 바이러스(HTLV)0.03성인 T 세포 백혈병[38]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HPV)5.2자궁경부암,[7][28][29][31][32] 항문암,[7][30][31] 음경암,[7][30][31] 외음부암,[7][30][31] 질암,[7][30][31] HPV 양성 구강인두암[7][30][33] (미국 통계: 여성 83%, 남성 74%)[39]
카포시 육종 관련 헤르페스 바이러스(HHV-8)0.9카포시 육종, 다발성 캐슬만병, 원발성 삼출 림프종
메르켈 세포 폴리오마바이러스(MCV)NA메르켈 세포 암종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NA버킷 림프종, 호지킨 림프종, 이식 후 림프증식성 질환, 비인두암,[40] 위암의 한 아형[41]



2002년 전 세계적으로 바이러스에 기인한 새로운 암 발생률 추정.[7] NA는 정보를 사용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인간 암과 다른 바이러스의 연관성은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7. 인체 암 관련 주요 바이러스

사람에게 암을 유발하는 주요 바이러스는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 B형 간염 바이러스, C형 간염 바이러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인간 T 림프 영양성 바이러스, 카포시 육종 연관 헤르페스바이러스(KSHV), 메르켈 세포 다발성 바이러스이다.[42] 바이러스가 유발하는 종양의 방식은 '급성 변환'과 '느린 변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급성 변환 바이러스는 바이러스 종양 유전자(v-onc)라는 과활성 종양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감염된 세포는 v-onc가 발현되는 즉시 변환된다. 반면, 느린 변환 바이러스는 바이러스 게놈이 숙주 게놈의 원종양 유전자 근처에 삽입된다. 바이러스 프로모터 등은 원종양 유전자의 과발현을 유발하여 통제되지 않은 세포 증식을 유도한다. 바이러스 게놈 삽입은 원종양 유전자에 특이적이지 않고 해당 원종양 유전자 근처에 삽입될 확률이 낮기 때문에, 느린 변환 바이러스는 종양 잠복기가 매우 길다.

B형 간염C형 간염을 포함한 간염 바이러스는 만성 바이러스 감염을 유발하며, B형 간염 환자의 0.47%(특히 아시아, 북미에서는 덜함)와 C형 간염 보균자의 1.4%에서 연간 간암으로 이어진다.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 감염이나 알코올 중독으로 인한 간경변은 간암 발생과 관련이 있으며, 간경변과 바이러스성 간염의 조합은 간암 발생의 가장 높은 위험을 나타낸다.

암 연구 발전을 통해 암을 예방하기 위한 백신이 개발되었다. B형 간염 백신은 원인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함으로써 간세포 암종을 예방하는 최초의 백신이다. 2006년, 미국 식품의약국은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인 가다실을 승인했다. 이 백신은 4가지 HPV 유형에 대해 보호하며, 이 유형들은 함께 자궁 경부암의 70%와 생식기 사마귀의 90%를 유발한다. 2007년 3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예방접종 자문위원회(ACIP)는 공식적으로 11~12세 여성에게 백신 접종을 권장했으며, 9세에서 26세 사이의 여성도 예방 접종 대상이 될 수 있음을 나타냈다.

IARC 발암성 위험 평가에 따른 인체 암 관련 주요 바이러스는 다음과 같다.

위험도바이러스 종류관련 암
Type 1
(발암성 있음)
EB 바이러스 (Epstein-Barr virus)버킷 림프종
Type 1B형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B virus; HBV)간세포암
Type 1C형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C virus; HCV)간세포암
Type 1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16형 (Human papillomavirus type 16; HPV-16)자궁경부암
Type 1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18형 (Human papillomavirus type 18; HPV-18)자궁경부암
Type 1인간 T 림프구 친화 바이러스 1형 (HTLV-1)성인 T 세포 백혈병
Type 2A
(아마 발암성이 있음)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31형 (Human papillomavirus type 31)
Type 2A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33형 (Human papillomavirus type 33)
Type 2A카포시 육종 관련 헤르페스바이러스 (Kaposi's sarcoma herpesvirus; KSHV / Human herpesvirus 8; HHV-8)카포시 육종
Type 2B
(발암성이 의심됨)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2; HIV-2)
Type 2B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16, 18, 31, 33형 이외)
Type 3
(발암성은 불명)
D형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D virus)
Type 3인간 T 세포 친화 바이러스 2형 (Human T-cell lymphotropic virus type II)


8. 역사

종양 바이러스 발견의 역사는 암의 역사 연구 및 바이러스학의 역사와 얽혀 있다. 인간 암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바빌로니아함무라비 법전(기원전 1754년경)이지만, 과학적 종양학은 19세기에 들어서야 복합 현미경과 무색 렌즈를 통해 종양을 현미경 수준에서 연구하면서 등장했다. 19세기 미생물학은 박테리아, 효모, 곰팡이, 원생동물이 암 발달에 관련되어 있다는 증거를 축적했다. 1926년에는 선충이 쥐에게 위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문서화한 공로로 노벨상이 수여되었다. 그러나 바이러스가 19세기 말 드미트리 이바노프스키와 마르티뉘스 베이예링크에 의해 처음 발견되면서, 암이 감염성 기원을 가질 수 있다는 인식은 훨씬 나중에야 나타났다.[43]

로베르트 코흐가 ''탄저균''이 탄저병을 유발할 가능성을 확립하기 위해 개발한 코흐의 가설은 바이러스성 질환에는 적용할 수 없다. 바이러스는 순수 배양에서 분리될 수 없기 때문이다. 엄격한 분리 기술조차도 유사한 밀도 특성을 가진 오염 바이러스를 배제할 수 없으며, 바이러스는 세포에서 배양해야 한다. 또한 무증상 바이러스 감염 및 보균은 대부분의 종양 바이러스에서 흔하며, 이는 코흐의 세 번째 원칙을 위반한다. Relman과 Fredericks는 코흐의 가설을 바이러스 유발 암에 적용하는 어려움을 설명했다.[9] 인간 바이러스에 대한 숙주 제한으로 인해 암 바이러스가 의심되는 바이러스를 실험적으로 전파하는 것은 비윤리적이다. 브래드포드 힐 기준[10]과 같은 다른 척도는 암 바이러스학에 더 관련이 있지만, 인과 관계를 결정하는 데에는 여전히 제한이 있다.

사람에게 암을 유발하는 주요 바이러스는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 B형 간염C형 간염 바이러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인간 T 림프 영양성 바이러스, 카포시 육종 연관 헤르페스 바이러스(KSHV) 및 메르켈 세포 다발성 바이러스이다. 실험 및 역학 데이터는 바이러스의 인과 관계를 시사하며, 이는 담배 사용에 이어 인간 암 발생의 두 번째로 중요한 위험 요소로 여겨진다.[42]

8. 1. 비인간 종양 바이러스의 역사

쇼페 유두종 바이러스에 감염된 토끼.


암이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는 이론은 1908년 코펜하겐 대학교의 올루프 방과 빌헬름 엘러만의 실험에서 시작되었다. 방과 엘러만은 조류 육종 백혈병 바이러스가 무세포 여과 후 닭 사이에서 전염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백혈병이 발생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44][45] 1910-1911년 페이턴 라우스는 닭의 고형 종양에서도 같은 현상이 나타남을 확인했다.[46][47] 록펠러 대학교의 라우스는 방과 엘러만의 실험을 확장하여 고형 종양인 육종이 무세포 방식으로 닭에게 전염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현재 ''라우스 육종''으로 알려짐). 닭이 이러한 전염에 매우 취약한 이유는 내생 레트로바이러스와 관련된 안정성 또는 불안정성의 특이한 특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47][48] 샬럿 프렌드는 쥐의 액체 종양에 대한 방과 엘러만의 연구 결과를 확인했다.[55] 1933년 리처드 쇼프와 에드워드 웨스턴 허스트는 야생 목화 꼬리 토끼의 사마귀에서 쇼페 유두종 바이러스를 발견했다.[43] 1936년 존 조셉 비트너는 젖을 통해 쥐의 실험실 계통 사이에서 전염될 수 있는 "염색체 외 인자"(즉, 바이러스)인 생쥐 유방 종양 바이러스를 확인했다.[49]

1950년대 초, 바이러스가 세포 내 유전자와 유전 물질을 제거하고 통합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이러한 유형의 바이러스가 게놈에 새로운 유전자를 도입하여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프렌드 바이러스에 감염된 쥐에 대한 유전자 분석 결과, 레트로바이러스의 통합이 종양 억제 유전자를 파괴하여 암을 유발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50] 1951년 루드비크 그로스는 최초의 생쥐 백혈병 바이러스(생쥐 백혈병 바이러스)를 확인했으며,[43] 1953년에는 쥐의 백혈병 추출물에서 쥐의 고형 종양을 유발할 수 있는 성분에 대해 보고했다.[51] 이 화합물은 이후 미국 국립 암 연구소의 사라 스튜어트와 버니스 에디에 의해 바이러스로 확인되었으며, 한때 "SE 폴리오마"라고 불렸다.[52][53][54] 1957년 샬럿 프렌드는 면역능력이 있는 쥐에게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생쥐 백혈병 바이러스 변종인 프렌드 바이러스를 발견했다.[55] 그녀의 연구 결과는 상당한 반발을 받았지만, 결국 학계에서 받아들여졌고 바이러스 종양 발생의 타당성을 확립했다.[56]

1961년 에디는 SV40를 발견했다. 머크 연구소는 살크 및 사빈 소아마비 백신 제조에 사용된 세포를 오염시키는 붉은털원숭이 바이러스의 존재를 확인했다. 몇 년 후, 이 바이러스가 시리아 햄스터에게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져 인간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현재 과학계는 이것이 인간 암을 유발할 가능성은 낮다는 데 의견을 모으고 있다.[57][58]

8. 2. 인간 종양 바이러스의 역사

앤서니 엡스타인, 버트 아총, 이본 바는 1964년 버킷 림프종 세포에서 최초의 인간 종양 바이러스인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를 확인했다. 이 바이러스는 인간 헤르페스 바이러스 4형으로도 알려져 있다.[59] 1960년대 중반, 바루크 블럼버그는 B형 간염 바이러스를 분리하고 특성화했다.[60] 이 바이러스가 간염의 원인이며 간세포 암종에 기여할 수 있다는 연관성은 1980년대 R. 팔머 비즐리 등의 역학 연구를 통해 확립되었다.[61]

1980년에는 최초의 인간 레트로바이러스인 인간 T-림프구 친화성 바이러스 1형(HTLV-I)이 버나드 포이에즈와 로버트 갤로에 의해 발견되었고,[62][63] 일본에서는 요시다 미츠아키와 연구진에 의해 독립적으로 발견되었다.[64] 1981년 교토 대학교의 히누마 요리오와 그의 동료들은 성인 T 세포 백혈병/림프종 환자에게서 유래한 백혈병 세포주에서 생성된 레트로바이러스 입자를 관찰하여 HTLV-1 바이러스와 질병 간의 인과 관계를 확립했다.[43]

하비 J. 알터, 마이클 호턴, 찰스 M. 라이스의 획기적인 실험으로 비-A, 비-B 간염의 원인 물질로 C형 간염 바이러스(HCV)가 발견됨 (2020년 노벨 생리의학상).


1984년에서 1986년 사이에 하랄트 추어 하우젠과 루츠 기스만은 자궁경부암을 유발하는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의 약 70%를 차지하는 HPV16과 HPV18을 발견했다. 이 공로로 2008년 노벨상이 수여되었다.[65] 1987년에는 키론(Chiron Corporation)의 마이클 호턴과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다니엘 W. 브래들리가 C형 간염 바이러스(HCV)를 발견했다.[66] HCV는 이후 전 세계적으로 간세포 암종의 주요 원인으로 밝혀졌다.[43]

1994년 컬럼비아 대학교의 패트릭 S. 무어와 위안 창은 에텔 세사르만과 함께[67][68] 표현 차이 분석을 사용하여 카포시 육종 관련 헤르페스 바이러스(KSHV)를 분리했다. 발레리 베랄과 동료들의 연구에서 시작된 이 연구는 KSHV가 카포시 육종 및 관련 암의 역학적 패턴에 책임이 있음을 밝혀냈다.[69][70]

2008년 위안 창과 패트릭 S. 무어는 디지털 전사체 빼기(DTS)라는 새로운 방법으로 머켈 세포 폴리오마바이러스의 DNA 조각을 분리하여, 이 바이러스가 머켈 세포 암종의 70~80%를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참조

[1] 논문 Hepatitis C virus syndrome: A constellation of organ- and non-organ specific autoimmune disorders, B-cell non-Hodgkin's lymphoma, and cancer 2015-03
[2] 논문 Mechanisms of HCV-induced liver cancer: what did we learn from in vitro and animal studies? 2014-04
[3] 웹사이트 Viruses that can lead to cancer https://www.cancer.o[...] American Cancer Society 2020-07-30
[4] 논문 Human oncogenic viruses: nature and discovery Royal Society Publishing 2017-10
[5] 논문 Studies on cancerous pathogenesis. Production of leukemia and polycythemia vera by means of cancerous nucleoproteins from tissue cultures 1960
[6] 서적 Immunology of Human Infection: Part II: Viruses and Parasites; Immunodiagnosis and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https://books.google[...] Plenum Publishing Corporation 2012
[7] 논문 The global health burden of infection-associated cancers in the year 2002 2006-06
[8] 논문 The landscape of viral associations in human cancers 2020-03
[9] 논문 Sequence-based identification of microbial pathogens: a reconsideration of Koch's postulates 1996-01
[10] 논문 The Environment and Disease: Association or Causation? 1965-05
[11] 서적 Microbes and malignancy: infection as a cause of human cancers Oxford University Press
[12] 논문 Kaposi's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KSHV) Induces the Oncogenic miR-17-92 Cluster and Down-Regulates TGF-β Signaling 2015
[13] 논문 The human papillomavirus E6 protein and its contribution to malignant progression 2001-11
[14] 논문 Retinoblastoma family proteins as key targets of the small DNA virus oncoproteins 2006-08
[15] 서적 Small DNA Tumor Viruses Caister Academic Press
[16] 논문 Is there a role for SV40 in human cancer? 2006-09
[17] 논문 Involvement of intact HPV16 E6/E7 gene expression in head and neck cancers with unaltered p53 status and perturbed pRb cell cycle control 2002-02
[18] 논문 Analysis of the sites of integration of viral DNA sequences in rat cells transformed by adenovirus 2 or SV40 1980
[19] 논문 p53, the Cellular Gatekeeper for Growth and Division 1997-02-07
[20] 서적 The cell cycle: principles of control New Science Press
[21] 논문 The common mechanisms of transformation by the small DNA tumor viruses: The inactivation of tumor suppressor gene products: p53 2009-02
[22] 논문 How the Rb tumor suppressor structure and function was revealed by the study of Adenovirus and SV40 2009-02
[23] 논문 The HPV-16 E6 and E6-AP complex functions as a ubiquitin-protein ligase in the ubiquitination of p53 1993-11
[24] 논문 The human papilloma virus-16 E7 oncoprotein is able to bind to the retinoblastoma gene product 1989-02
[25] 논문 Clonal integration of a polyomavirus in human Merkel cell carcinoma 2008-02
[26] 논문 Not Beyond Reasonable Doubt: Howard Temin’s Provirus Hypothesis Revisited https://pubmed.ncbi.[...] 2010-12
[27] 논문 The E6 oncoprotein encoded by human papillomavirus types 16 and 18 promotes the degradation of p53 1990-12
[28] 논문 Epidemiologic classification of human papillomavirus types associated with cervical cancer 2003-02
[29] 논문 Human papillomavirus and cervical cancer 2007-09
[30] 논문 Prospects for prevention of HPV-driven oropharynx cancer 2014-06
[31] 논문 HPV-associated diseases
[32] 웹사이트 Human papillomavirus (HPV) and cervical cancer https://www.who.int/[...] 2016-06
[33] 서적 Definitions StatPearls Publishing 2020-12-04
[34] 논문 Human cytomegalovirus and mucoepidermoid carcinoma of salivary glands: cell-specific localization of active viral and oncogenic signaling proteins is confirmatory of a causal relationship 2012-02
[35] 논문 Identification of herpesvirus-like DNA sequences in AIDS-associated Kaposi's sarcoma https://zenodo.org/r[...] 1994-12
[36] 간행물 Management of chronic hepatitis B infection: current treatment guidelines, challenges, and new developments 2014-05
[37] 서적 Report on Carcinogens http://ntp.niehs.nih[...]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ublic Health Service. 2017-01-08
[38] 간행물 Telomerase: a crucial player in HTLV-I-induced human T-cell leukemia http://cgp.iiarjourn[...]
[39] 웹사이트 How Many Cancers Are Linked with HPV Each Year? https://www.cdc.gov/[...] CDC.gov
[40] 간행물 Epstein-Barr virus infection in humans: from harmless to life endangering virus-lymphocyte interactions 2007-02
[41] 간행물 Epigenetic dysregulation in Epstein-Barr virus-associated gastric carcinoma: disease and treatments 2014-06
[42] 간행물 Viruses in human cancers 1991-11
[43] 간행물 The history of tumor virology 2008-10
[44] 간행물 Experimentelle Leukämie bei Hühnern
[45] 간행물 Experimentelle Leukämie bei Hühnern 1908
[46] 간행물 A Transmissible Avian Neoplasm. (Sarcoma of the Common Fowl.) 1910-09
[47] 간행물 A sarcoma of the fowl transmissible by an agent separable from the tumor cells 1911-04
[48] 간행물 Peyton Rous: father of the tumor virus 2005-02
[49] 간행물 The Milk-Influence of Breast Tumors in Mice 1942-05
[50] 간행물 Inactivation of the p53 oncogene by internal deletion or retroviral integration in erythroleukemic cell lines induced by Friend leukemia virus 1988-08
[51] 간행물 A filterable agent, recovered from Ak leukemic extracts, causing salivary gland carcinomas in C3H mice 1953-06
[52] 간행물 Neoplasms in mice inoculated with a tumor agent carried in tissue culture 1958-06
[53] 간행물 Characteristics of the SE polyoma virus 1959-11
[54] 서적 Pathology of Laboratory Rodents and Rabbits John Wiley & Sons 2013
[55] 간행물 Cell-free transmission in adult Swiss mice of a disease having the character of a leukemia 1957-04
[56] 뉴스 From Controversy to Consensus: How Charlotte Friend Changed Cancer Biology https://www.mskcc.or[...] Memorial Sloan Kettering Cancer Center 2019-04-18
[57] 간행물 Thirty-five year mortality following receipt of SV40- contaminated polio vaccine during the neonatal period 2001-11
[58] 간행물 SV40 and human cancer: a review of recent data 2007-01
[59] 간행물 Virus Particles in Cultured Lymphoblasts from Burkitt's Lymphoma 1964-03
[60] 웹사이트 Baruch S. Blumberg – Autobiography http://nobelprize.or[...] Nobelprize.org 2010-03-17
[61] 간행물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hepatitis B virus. A prospective study of 22 707 men in Taiwan 1981-11
[62] 간행물 Preface to 25 years of HTLV-1 and ATL research
[63] 간행물 History of the discoveries of the first human retroviruses: HTLV-1 and HTLV-2 2005-09
[64] 간행물 Human adult T-cell leukemia virus: molecular cloning of the provirus DNA and the unique terminal structure 1982-11
[65] 웹사이트 Harald zur Hausen – Autobiography http://nobelprize.or[...] Nobelprize.org 2010-03-17
[66] 간행물 Isolation of a cDNA clone derived from a blood-borne non-A, non-B viral hepatitis genome 1989-04
[67] 간행물 Yuan Chang and Patrick Moore: teaming up to hunt down cancer-causing viruses 2008-04
[68] 웹사이트 Ethel Cesarman, M.D., Ph.D. {{pipe}} Weill Cornell Medical College http://www.med.corne[...] Med.cornell.edu 2010-03-17
[69] 간행물 Kaposi's sarcoma among persons with AIDS: a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 https://zenodo.org/r[...] 1990-01
[70] 간행물 Kaposi's sarcoma 2000-04
[71] 논문 Human transcriptome subtraction by using short sequence tags to search for tumor viruses in conjunctival carcinoma 2007-10
[72] 웹사이트 Oral Sex Linked To Mouth Cancer Risk http://www.medindia.[...]
[73] 뉴스 Oral sex can cause throat cancer - 09 May 2007 http://www.newscient[...] New Scientist 2007-05-09
[74] 저널 Studies on cancerous pathogenesis. Production of leukemia and polycythemia vera by means of cancerous nucleoproteins from tissue cultures 1960
[75] 서적 Immunology of Human Infection: Part II: Viruses and Parasites; Immunodiagnosis and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https://books.google[...] Plenum Publishing Corporation 2016-10-20
[76] 저널 The global health burden of infection-associated cancers in the year 2002 2006-06
[77] 저널 The landscape of viral associations in human cancers 2020-02
[78] 저널 Sequence-based identification of microbial pathogens: a reconsideration of Koch's postulates 1996-01
[79] 저널 The Environment and Disease: Association or Causation? 1965-05
[80] 서적 Microbes and malignancy: infection as a cause of human cancers Oxford University Press
[81] 저널 Kaposi's Sarcoma-Associated Herpesvirus (KSHV) Induces the Oncogenic miR-17-92 Cluster and Down-Regulates TGF-β Signaling.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