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번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번군은 고조선 근방에 있던 독립 국가로 추정되며, 기원전 108년 위만조선 멸망 이후 전한에 의해 설치된 군현이다. 유주에 속했으며, 치소는 잡현, 15개 현을 관할했으나, 기원전 82년 임둔군과 함께 폐지되어 낙랑군에 편입되었다. 진번군의 위치에 대해서는 다양한 논쟁이 존재하며, 한반도 북부, 충청도, 경상도, 황해도·경기도, 한반도 남부 전역 등 여러 설이 제시되었다. 대한민국 학계에서는 한반도 남부에 위치했다는 주류적인 견해와 함께 북한 및 일부 재야사학계에서는 한사군이 한반도 밖에 위치했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사군 - 낙랑군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 멸망 후 설치한 한나라의 군현으로, 주변 소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고구려에 의해 멸망했다. - 한사군 - 낙랑국
낙랑국은 고대 한반도에 존재했던 국가로, 그 성격과 위치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며, 신라와 고구려와의 관계 속에서 멸망했다. - 삼국 시대 - 삼국사기
《삼국사기》는 고려 시대 김부식이 1145년에 완성한 기전체 형식의 역사서로, 삼국의 건국부터 멸망까지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으며, 신라 중심적인 시각이라는 비판도 있지만 한국 고대사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로 평가받는다. - 삼국 시대 - 낙랑군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 멸망 후 설치한 한나라의 군현으로, 주변 소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고구려에 의해 멸망했다. - 한나라 - 낙랑군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 멸망 후 설치한 한나라의 군현으로, 주변 소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고구려에 의해 멸망했다. - 한나라 - 초한전쟁
초한전쟁은 진나라 멸망 후 항우와 유방 세력 간에 벌어진 전쟁으로, 유방의 승리로 끝나 한나라가 건국되었으며, 신분 질서의 변화와 민본주의 정치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건이다.
진번군 | |
---|---|
개요 | |
국가 | 한 |
설치 시기 | 기원전 108년 |
폐지 시기 | 불명 |
지리 | |
위치 | 조선반도 북부 |
역사 | |
설치 | 기원전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을 멸망시키고 설치 |
관할 지역 | 현재의 황해도, 강원도 일대로 추정 |
소멸 | 시기 및 이유 불명. 고구려에 흡수되었다는 설, 후한 시기에 폐지되었다는 설 등 여러 주장이 있음 |
행정 구역 | |
속현 | 불명 |
현 위치 비정 | 황해도, 강원도 일대 |
2. 역사
진번은 원래 고조선 근방에 있던 독립 국가였던 것으로 보이며, 중국 역사서에 고조선과 함께 동방의 주요 국가명으로 자주 등장한다. 기원전 2세기에 위만이 준왕을 몰아내고 집권한 이후 위만조선에 복속되었으며, 위만조선은 복속된 진번 지역을 그대로 행정구역으로 편입하였다. 기원전 108년, 위만조선을 멸망시킨 전한은 위만조선의 행정구역을 그대로 계승하여 진번 지역에 진번군을 설치하였다. 진번군의 치소는 잡현(霅縣)이며, 15개 현을 관할하였다고 한다.[22]
기원전 82년에 임둔군과 함께 폐지되었으며, 진번군의 영역은 낙랑군에 편입되었는데, 소속 15개 현 가운데 7개 현만 편입되고 나머지 8개 현은 폐지된 것으로 보인다.[22]
2. 1. 기원과 위만조선 복속
진번은 원래 고조선 근방에 있던 독립 국가였던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역사서에 고조선과 함께 동방의 주요 국가명으로 자주 등장한다. 기원전 2세기에 위만이 준왕을 몰아내고 집권한 이후 진번은 위만조선에 복속되었다. 위만조선은 복속된 진번 지역을 그대로 행정구역으로 편입하였다. 기원전 108년, 위만조선을 멸망시킨 전한은 위만조선의 행정구역을 그대로 계승하여 진번 지역에 진번군을 설치하였다.[22]2. 2. 한사군 설치와 폐지
기원전 108년(원봉 3년) 한나라가 위만조선을 멸망시키고 유주자사부 산하에 설치한 군이다. 15개 현으로 구성되었으며, 군의 치소는 잡현[8]에 있었다. 잡현은 장안에서 7,640리[9] 떨어진 곳에 있었다. 관할 구역의 범위는 여러 설이 있어 확정되지 않았다.진번군은 설치된 이후 토착민들의 저항에 부딪혀 기원전 82년(시원 5년) 임둔군과 함께 폐지되었다. 진번군의 영역은 낙랑군에 편입되었는데, 소속 15개 현 가운데 7개 현만 편입되고 나머지 8개 현은 폐지된 것으로 보인다.[22] 낙랑군은 편입된 진번군 지역을 관할하기 위해 남부도위(南部都尉)를 설치하여 7개 현을 관할하게 하였다. 남부도위의 7개 현은 2세기 말에 대방군에 편입되었다.
3. 명칭
위략에 나오는 위만조선 관련 기록 중 "조선공번"이라는 표현은 "조선의 속국(조선에 공물을 바치는 오랑캐)"이라는 해석[6]과 "조선과 '''공번'''"으로 해석하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조선과 공번"으로 해석할 경우, 다시 공이 실제로는 진번을 잘못 쓴 것인지, 아니면 공번이 맞고 진번이 오류[7]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사기 태사공자서에는 "'''진번'''"으로 표기되어 있어 '번' 자가 원래 '번'이었을 것이라는 추측도 가능하다. 사기집해에 따르면 진번의 '번' 자에 "서광왈일작막"이라 하여, "'''진막'''"으로 표기된 사례도 있었다. 이치무라 산지로는 "진=진(辰)이며, 번의 발음은 방(邦)에 가까우므로 진번은 진방(辰邦)이며, 진방은 곧 '진국'을 가리킨다"고 주장했다. 반면 조선민족사학의 신채호는 "진막"을 인용, 원래는 "진번막" 또는 "진막번"이었으며 "진번"은 약칭이었다고 주장하며, 진·번·막은 각각 진한·변한·마한을 의미한다고 해석했다.
4. 위치 논쟁
기원전 108년, 한나라가 위만조선을 멸망시킨 후 유주에 설치한 군현 중 하나가 진번군이다.[1] 기원전 82년에 폐지되었다.[10]
《위략》의 위만조선 관련 기술 중 "조선공번(朝鮮貢番)"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이를 "조선의 속국"으로 해석하는 설과[6] "조선과 공번"으로 해석하는 설이 있다. 후자의 경우, '공'은 오류이고 '진번'이 맞다는 설과, '공번'이 맞고 '진번'이 오류라는 설[7]로 나뉜다. 《사기》태사공자서에는 "진번"으로 표기되어 있어, '번' 자가 원래 '번(番)'이었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사기집해》에 따르면 진번을 "진막"으로 표기한 사례도 있어, 신채호는 원래 "진번막" 또는 "진막번"이었으며 "진번"은 약칭이었다고 주장하며, 진·번·막은 각각 진한·변한·마한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4. 1. 대한민국 학계의 주류적 견해
조선시대 실학자들은 낙랑군의 북쪽에 진번군이 있었는지, 남쪽에 있었는지를 놓고 많은 논란을 벌였다. 북방설은 요동 지역이었다는 주장,[23] 고구려 지역이라는 주장[24] 등이 있다. 남방설은 진국(辰國)을 진번으로 보는 주장, 강원도 지역이라는 주장,[25] 황해도 지역이라는 주장이 있다. 일제강점기 황해도 사리원시 당토성(唐土城)에서 '사군대방태수장무이전(使君帶方太守張撫夷塼)'이라는 명문이 새겨진 벽돌이 발견된 이후 대한민국의 학계에서는 대체로 황해도 지역을 진번군의 영역으로 보고 있다.[3]4. 2. 여러 학설
진번군의 위치와 영역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어 왔다. 조선시대 실학자들은 진번군이 낙랑군의 북쪽에 있었는지 남쪽에 있었는지를 놓고 많은 논쟁을 벌였다.[23][24][25]- 북방설: 요동 지역이었다는 주장과 고구려 지역이었다는 주장이 있다.
- 남방설: 진국을 진번으로 보는 주장, 강원도 지역이라는 주장, 황해도 지역이라는 주장이 있다. 일제강점기의 발굴 조사에서 황해도 사리원시에서 '사군대방태수장무이전(使君帶方太守張撫夷塼)'이라는 명문이 새겨진 벽돌이 발견된 이후, 대한민국의 한국사학계에서는 대체로 황해도 지역을 진번군의 영역으로 보고 있다.
《모릉서》에 따르면, 진번군은 15개의 현으로 구성되었으며,[1] 장안에서 3,000km 떨어진 사현(霅, Sa)에서 통치되었다.[2]
진번군의 위치에 대해서는 크게 북쪽 설과 남쪽 설이 대립한다.
- 북쪽 설: 후의 현도군에 해당한다는 설이다. 조선 중기 반청 감정이 성행하던 시대에 정극준, 이익 등이 제창했고, 일본의 나카 통세, 시라토리 구라키치 등이 심화시켰다. 이들은 중·조 국경 산악 지대, 통설에서 말하는 현도군의 후신인 고구려의 본토에 진번군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기원전 82년에 진번군은 폐지된 것이 아니라 현도군으로 개명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설은 현재 완전히 부정되어 어느 학계에서도 지지받지 못하고 있다.[10]
- 남쪽 설:
- 충청도 중심 설: 양수경, 내등호남, 이나바 이와키치 등이 주장했다. 이치무라 산지로는 진(真)은 진(辰)이고, 번(番)의 발음은 방(邦)에 가까우므로 진번(真番)은 진방(辰邦), 즉 진국이라고 보았다. 이마니시 류는 금강 유역에 "진국"이 있었다고 비정하고, 진번군은 충청도·전라도 범위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이 설은 일본에서 오랫동안 통설로 여겨졌다.[12]
- 경상도 설: 임둔군이 현재의 강원도이며, 진번군은 그 뒤에 이어진 경상도에 있었다는 설이다.[13] 진번(真番)의 '진(真)'은 뒤의 진한과, '번(番)'은 뒤의 변한과 이어지는 지명으로 보았다. 섭현은 현재의 경상북도 포항시로 비정된다.
- 낙랑군 남부, 경기도 설: 이병도는 진번군의 범위를 낙랑군의 남부와 경기도로 보았다. 북쪽으로는 재령강에서 낙랑군과 접하고, 동쪽으로는 임둔군, 남쪽으로는 진한과 각각 접하며, 서쪽으로는 황해에 닿아 현재의 황해남도·황해북도·경기도 일대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섭현은 현재의 서울 부근으로 추정했다.
- 한반도 남부 전역 설: 임둔군과 낙랑군을 제외한 한반도 남부 전역이라고 하는 설이다.[17] 오카다 히데히로는 진번군이 경상도와 전라도 양쪽 남부 해안에 닿아 있었고,[19] 섭현의 위치는 부산으로 비정하고 있다.
조선 시대에는 황해북도 평산군 설이나 강원도 춘천시 설 등이 있었다. 하지만 이들은 근대적인 역사학이 도입된 이후 빠르게 부정되었다.[20]
4. 3. 북한 및 일부 재야사학계의 주장
북한 학계와 한국 일부 재야사학계에서는 한사군이 한반도 밖에 위치했다고 주장하며, 한나라에 의한 한반도 병합 사실을 부정한다. 이들은 한사군이 요동군에 위치했다고 보며, 이 이론에서 진번군의 위치는 요동군의 동부와 거의 동일하다고 주장한다.[4]이러한 주장은 미국, 중국, 일본 학계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북한 학계와 한국 일부 재야사학계는 한사군이 한반도 외부, 즉 통설에서 말하는 요동군 내부에 존재했다고 주장한다. 다만, 당시 요동군과 조선의 경계는 박천강이었고 요동군은 평안북도를 포함하고 있었으므로 현재의 경계와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이 학설에 따르면 진번군은 통설에서 말하는 요동군 동부도위의 구역에 거의 해당한다.[21]
이러한 한사군 부인설은 북한 학계에서는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한국의 재야 역사학계에서도 지지를 얻고 있지만, 미국, 중국, 일본 학계에서는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참조
[1]
논문
A New Approach to the Household Register of Lelang Commandery
https://ijkh.khistor[...]
[2]
문서
Maolingshu(茂陵書) "真番郡治霅縣,去長安七千六百四十里,十五縣。"
[3]
서적
世界の歴史6
Chuokoron-Shinsha
[4]
서적
North Korea: A Country Study
https://books.google[...]
Nova Science Publishers
[5]
서적
人物
大修館書店
[6]
문서
有賀祖光の説では、史書に度々表れる「朝鮮真番」という言葉はすべて「朝鮮貢蕃」が正しく、貢蕃は「韓」を[[反切]]法によって二字に書き伸ばしたものであり(貢はk音、韓はh音だがそれは中央の標準発音であって東夷族は同じに発音していたとする)「朝鮮貢蕃」とは「朝鮮の地にある韓の国」の意味で、貢蕃郡設置に先立って韓という国が存在したのであって、半島の北部を朝鮮、南部を真番だとする理解は後世の誤認であるという。
[7]
문서
約二千年もの間、本当の名だと勘違いされていたが、考古学的な出土品によって本来の正しい名が知られ、これまでの名は実は誤記が定着したものだったという真相がようやく知られたケースとしては「夫租」(ふそ)と「沃沮」(よくそ)が有名である。
[8]
문서
霅の字はいろいろな読み方があるが普通はソウ(サフ)と読む。
[9]
문서
『[[茂陵書]]』の記載による。計算にもよるがこれはほぼ慶尚道か[[全羅道]]の中心もしくは南端に達する距離である。
[10]
문서
かつては在北説と在南説の2大対決の様相を呈していたが、その後、在南説が4つに枝分かれしたため「在南説」という用語自体が初心者には混乱の元になっている。
[11]
서적
隋唐帝国と古代朝鮮
中央公論新社
1997-01
[12]
문서
ただし既存の流布している歴史地図帳では「霅県」は全羅南道の西南の隅に想定されている。霅県が錦江流域ではやや距離に不足が生じ北に寄り過ぎるとの修正説による。
[13]
문서
最近の説のように誤解されがちだが、明治・戦前から上記の西南説の対抗馬として唱えられていた。
[14]
문서
李丙燾は[[帯方郡]]北方説に従って、[[漢江]]でなく載寧江を帯水とする。
[15]
문서
一般的には、南部都尉の7県は初めから楽浪郡のものであり真番郡はその外にあったと考えるので、李丙燾の説は事実上、真番郡の存在を半分否認する説である。
[16]
문서
この説も、井上秀雄が著作で紹介したため新しい説のように誤解されがちであるが元は李丙燾が戦前から主張していた古い説である。上記の中国地図出版『中国歴史地図集』などは井上の著作が売れていた1980年代の刊行である。
[17]
문서
『茂陵書』に記された真番郡治の里数距離を重んずる限り、慶尚道側か全羅道側かは分からないが少なくとも玄界灘に近い海岸線に接していた可能性は高く、朝鮮半島南部の全域だとするのは自然な解釈ではある。
[18]
문서
上述の「貢蕃」=「韓の反切」とする説でも、後世の三韓全体が「貢蕃郡」に該当すると考えることができる。ただしこの場合、郡設置に先立って「韓」が存在したという前提になることも上述の通りである。
[19]
문서
ただし岡田英弘の図示では楽浪郡と真番郡の境は明瞭でなく、楽浪郡が忠清道の一部を含んでいるようにみえる。初期の楽浪郡に同様の広さを想定する説は古くからあり、[[駒井和愛]]は[[忠清北道]][[丹陽郡]][[永春面]]か[[江原道 (朝鮮八道)|江原道]][[寧越郡]]まで広がっていたと比定した。
[20]
문서
韓百謙の説は、その後「在南説」の継承者としての上記の西南説や東南説へと発展していった。つまり「在南説」の元祖ともいえる。
[21]
문서
『[[史記集解]]』に「徐廣曰…(中略)…番汗県番音普寒反索隠徐氏據地理而知也…(中略)…番音潘又音盤」とあり、遼東郡の番汗県と真番郡とは番の字で相通じ、番汗県は今の平安北道[[博川郡]]であったことからここが真番郡とする説。
[22]
웹사이트
진번군-브리태니커 백과사전
http://100.nate.com/[...]
[23]
문서
이세구, ≪양와집≫, 18세기
[24]
문서
유득공, 《사군지》, 18세기
[25]
문서
한백겸, 《동국지리지》, 17세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