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밀 관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친밀 관계는 가깝고 사적인 유대감과 상호 소속감을 포함하며, 대화, 투명성, 취약성, 상호성을 통해 형성된다. 신체적, 감정적, 인지적, 영적 친밀함으로 분류되며, 자기 노출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발전한다. 관계 형성은 신체적 매력, 상호 호감, 자기 노출, 근접성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으며, 헌신, 타협, 의사소통을 통해 유지된다. 친밀 관계는 행복, 삶의 만족도,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갈등, 애착 불안정, 스트레스, 외도, 폭력 등 어려움과 도전에 직면하기도 한다. 문화적 차이, 성 소수자, 비독점적 관계 등 사회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하며, 19세기 말부터 심리학과 사회학에서 연구되기 시작하여, 존 가트만 등 주요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발전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친밀 관계 - 폴리아모리
폴리아모리는 모든 관계 참여자의 인지와 동의하에 여러 파트너와 동시에 로맨틱하고 성적인 관계를 맺는 다자간 연애의 한 형태로, 사랑, 친밀함, 정직, 소통 등의 가치를 중시하며, 실천 방식은 다양하지만 질투 관리와 상호 존중이 중요한 요소이다. - 친밀 관계 - 섹스 프렌드
- 인간 관계 - 동성애
동성애는 동성 간의 성적 매력, 행위, 애정을 의미하는 용어로, LGBT와 같은 포괄적인 용어가 사용되며 사회적 인식 변화와 함께 동성애자 권리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 인간 관계 - 연인
연인은 서로 사랑하는 관계를 뜻하며, 일본어의 '이모세', '오모히비토', '애인'과 영어의 'boyfriend', 'girlfriend', 'steady' 등 다양한 표현이 존재하지만, '아베크'는 점차 사용되지 않는 추세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친밀 관계 | |
---|---|
친밀한 관계 | |
개요 | |
정의 | 친밀한 관계는 육체적 또는 정서적 친밀감을 포함하는 대인 관계이다. 육체적 친밀감은 낭만적이거나 열정적인 애착 또는 성적 활동으로 특징지어진다. |
관계의 중요성 | 배우자와의 관계의 질은 개인의 행복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상호 의존성 | 친밀한 관계는 상호 의존성을 특징으로 한다. |
종류 | |
일반적인 종류 | 가족 우정 연애 관계 결혼 |
2. 친밀함의 정의와 유형
친밀함(Intimacy)은 가깝고 사적인 유대(association)와 상호연대(belonging together)의 감정을 포함한다.[138] 이는 타인의 지식과 경험을 통해 형성된 유대(bond)의 결과로서, 타인과 친숙하고 가까우면서도 정서적인 연결(connection)이다.[138] 인간관계에서의 진정한 친밀감은 대화(dialogue), 투명성(transparency), 취약성(vulnerability), 상호성(reciprocity)이 필요하다.[138] 달튼(Dalton) (1959)은 공식 경로로는 얻을 수 없는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고 그럴 의향이 있는 친밀한 사람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특정 문화 배경 내에 존재하는 '내부정보(inside information)'에 대하여 인류학자와 민족학자가 접할 수 있는 방식에 대하여 논의했다.[139]
인간의 관계 중, 대인관계에서는 친밀함의 의미와 정도가 모두 다르다.[138] 인류학에서, 친밀함은 유혹(seduction)이 성공하여 발생한 결과물이자, 숨겨진 사고와 감정을 자신감있게 드러내게 하는 라포 수립(rapport building) 과정이다. 친밀한 대화는 사람들을 하나로 묶은 비밀(confidences)(비밀스런 지식)의 기반이 된다.[140]
장기간 친밀함을 유지하는 것은 감정적 상호관계적 인식이 잘 형성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친밀함은 친밀한 관계의 참여자로서 떨어져 있거나 같이 있는 능력 모두를 포함한다. 이에 대하여 머레이 보웬(Murray Bowen)은 '자아 분화(self-differentiation, 혹은 differentiation of self)'라 하였다. 이는 팽팽한 대립과 돈독한 충성심 모두를 포함하는 감정적 범위가 있는 연결을 야기한다.[141] 자기를 타인으로부터 분화(differentiate)하는 능력이 결여된 것은 공생(symbiosis)으로, 가까움(closeness)이라는 감정에서는 비슷하여도 친밀함과는 다른 상태이다.
친밀한 행동은 가족구성원과 가까운 친구는 물론 사랑하는 사람들에게도 존재한다.[134] 그것은 상호적 자기노출(self-disclosure)과 허심탄회(candor)를 통하여 발전한다.[138] 친밀함을 만드는 기술이 서툴면 너무 빨리 친해질 수 있다. 혹은 개인 바운더리(personal boundary)를 찾고 연결을 유지하기 위하여 고생할 수 있으며, 친구 맺는 기술이 서툴고, 자기노출을 거절하거나 우정 혹은 우정관계에 있는 사람을 거절한다.[142] 친밀 문제의 심리학적 영향은 친밀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 성인에게서 보인다. 이들은 상대에게서 인간적 한계를 경험하고, 친밀관계가 단절되는 부정적인 결과를 두려워하게 된다. 연구는 친밀감에 대한 공포(fear of intimacy)는 감정적 가까움(emotional closeness)과 관계상의 만족(relationship satisfaction)으로부터 느끼는 안락함과 부적 관계(negative relation)에 있으며, 고독(loneliness)과 특성 불안(trait anxiety)과는 정적 관계(positive relation)에 있다고 밝혔다.[143]
레빙거(Levinger)와 스노엑(Snoek)의 독립모델은친밀 관계 발달을 네 단계로 나눈다.
- 1단계는 무접촉 단계(zero contact stage)로, 관계의 두 당사자 간에 접촉이 없다.
- 2단계는 인지 단계(awareness stage)로, 당사자간에 피상적인 혹은 깊은 접촉은 없지만 서로를 알고 있기만 하다.
- 3단계는 표면적 접촉 단계(surface contact stage)로, 서로 알게 되고 피상적인 접촉이 발생한다.
- 4단계는 공존 단계(coexistence phase) 혹은 상호성 단계(mutuality stage)로, 상호 의존이 크게 증가하고 깊은 접촉이 발생한다.[144]
친밀함은 다른 사람과 가깝고 개인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는 느낌이다.[5] 정서적 친밀감은 사람들 간의 자기 노출과 반응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형성되며,[6] 건강한 심리적 발달과 정신 건강에 매우 중요하다.[7] 정서적 친밀감은 개인 간의 상호 신뢰, 인정, 취약성, 그리고 친밀감을 만들어낸다.[8]
신체적 친밀감—손 잡기, 포옹, 키스, 그리고 성교를 포함한다—은 사람들 간의 유대감을 증진시키며 종종 낭만적인 친밀한 관계의 핵심 요소이다.[9] 신체적 접촉은 관계 만족도[10]와 사랑의 감정과 관련이 있다.[11] 많은 친밀한 관계가 신체적 또는 성적인 요소를 포함하지만, 성적인 가능성은 관계가 친밀해지는 데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다. 예를 들어, 퀘어플라토닉 관계는 우정 이상의 헌신과 친밀함을 포함하는 비낭만적인 친밀한 관계이다.[12]
학자들 사이에서 친밀한 관계의 정의는 다양하며 진화하고 있다. 일부는 이 용어를 낭만적인 관계에만 한정하여 사용하지만,[13][20] 다른 학자들은 우정과 가족 관계를 포함한다.[14] 일반적으로 친밀한 관계는 신체적 또는 정서적으로 친밀한 경험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대인 관계이다.[15]
학자들은 친밀함의 유형을 신체적, 감정적, 인지적, 영적 친밀함으로 나누었다.[145][146]

- 신체적 친밀함은 사적 공간 안으로 진입, 손잡기, 포옹, 입맞춤, 애무, 성행위 등을 포함한다.
- 감정적 친밀함은 특히 성적 관계에서 특정 수준의 신뢰가 형성되고 개인적 유대가 수립된 이후에 형성된다.[138] '사랑에 빠지는' 감정적 연결은 성적 매력으로부터 자극받은 생물화학적 차원(펜에틸아민)[147]과 신체적 가까움이나 성적 결합 이후에 수반되는 대화로 추동되는 사회적 차원을 모두 가지고 있다.[148] 사랑은 감정적 친밀함에 있어 중요한 요인이며, 질적, 양적 차원에서 좋아함과는 다르다. 사랑에는 열정적인 사랑, 우애, 희생적 사랑이 있다. 희생적 사랑은 결합 상태에서 개인의 의지가 소전제가 되며, 우애는 애착이라는 강렬한 감정이 축소되어 있고, 진정한 유대, 상호 헌신, 상호 양육, 친구의 성취에 대한 자랑스러움, 목표와 관점을 공유하는 것에서 오는 희생 등이 있다.[149] 열정적인 사랑은 열병, 사로잡힘, 황홀경의 고통, 상대와의 통합에서 오는 흥분의 감정이다.[149]
- 인지적 혹은 지성적 친밀함은 사고와 사상을 공유하고 의견 일치나 불일치를 즐길 때 발생한다.[146][150]
- 영적 친밀함은 영성을 통한 유대를 포함한다.[146]
2. 1. 유형
학자들은 친밀함의 유형을 신체적, 감정적, 인지적, 영적 친밀함으로 나누었다.[145][146]- 신체적 친밀함은 사적 공간 안으로 진입, 손잡기, 포옹, 입맞춤, 애무, 성행위 등을 포함한다.
- 감정적 친밀함은 특히 성적 관계에서 특정 수준의 신뢰가 형성되고 개인적 유대가 수립된 이후에 형성된다.[138] '사랑에 빠지는' 감정적 연결은 성적 매력으로부터 자극받은 생물화학적 차원(펜에틸아민)[147]과 신체적 가까움이나 성적 결합 이후에 수반되는 대화로 추동되는 사회적 차원을 모두 가지고 있다.[148] 사랑은 감정적 친밀함에 있어 중요한 요인이며, 질적, 양적 차원에서 좋아함과는 다르다. 사랑에는 열정적인 사랑, 우애, 희생적 사랑이 있다. 희생적 사랑은 결합 상태에서 개인의 의지가 소전제가 되며, 우애는 애착이라는 강렬한 감정이 축소되어 있고, 진정한 유대, 상호 헌신, 상호 양육, 친구의 성취에 대한 자랑스러움, 목표와 관점을 공유하는 것에서 오는 희생 등이 있다.[149] 열정적인 사랑은 열병, 사로잡힘, 황홀경의 고통, 상대와의 통합에서 오는 흥분의 감정이다.[149]
- 인지적 혹은 지성적 친밀함은 사고와 사상을 공유하고 의견 일치나 불일치를 즐길 때 발생한다.[146][150]
- 영적 친밀함은 영성을 통한 유대를 포함한다.[146]
3. 친밀한 관계의 형성과 발전
대인 매력은 잠재적인 친밀한 관계 파트너 사이의 첫인상의 기초이다. 관계 과학자들은 사람들 사이에 발생하는 로맨틱한 불꽃, 즉 "케미"는 신체적 매력, 개인적 자질, 그리고 사람들 사이의 긍정적인 상호 작용의 축적의 조합이라고 제안한다.[16] 연구자들은 신체적 매력이 초기 매력의 가장 큰 예측 변수임을 발견했다.[17] 진화론적 관점에서 볼 때, 이는 사람들이 좋은 신체적 건강의 지표를 보이는 파트너(또는 잠재적 배우자)를 찾기 때문일 수 있다.[18] 그러나 헌신적인 친밀한 관계에 있는 커플들은 신체적 매력에서 서로 일치하는 경향이 있으며, 커플의 구성원과 외부 관찰자 모두에게 유사하게 신체적으로 매력적이라고 평가받는다는 증거도 있다.[19][20] 따라서 개인의 자신의 매력에 대한 인식은 그들이 현실적인 파트너로 누구를 보는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20]
신체적 외모 외에도 사람들은 파트너에게서 신뢰성, 따뜻함, 충성심과 같은 바람직한 자질을 보고한다.[21] 그러나 이러한 로맨틱한 이상은 실제 매력 또는 관계 성공의 좋은 예측 변수는 아니다. 연구에 따르면 잠재적 파트너를 성격 특성을 기반으로 매칭하는 것이 성공적이라는 증거는 거의 없으며, 이는 로맨틱한 케미는 특성의 호환성 이상을 포함한다는 것을 시사한다.[22] 오히려, 사람들 사이의 반복적인 긍정적인 상호 작용과 로맨틱한 관심의 상호성은 매력과 관계 형성에 핵심적인 요소인 것으로 보인다. 상호 호감은 호감을 보이는 사람에 대해 신중한 사람에 의해 표시될 때 가장 의미가 있다.[23]
친밀한 관계를 맺을 가능성이 있는 파트너는 서로를 알아가는 과정에서 친밀감을 높이고 상대방이 바람직한 파트너인지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사용한다. 자기 노출, 즉 자신에 대한 정보를 드러내는 과정은 사람들 사이의 친밀감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24] 대화 상대가 반응을 보이고 자기 노출에 상호 응답할 때 친밀감이 증가하며, 사람들은 자신에게 감정적인 정보를 드러내는 상대를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25] 관계 형성 단계에서 사용되는 다른 전략으로는 유머, 신체 접촉 시도, 시선, 추파를 던지는 몸짓, 또는 장난스러운 상호 작용을 통해 접근 가능성과 관심을 나타내는 것 등이 있다.[26][27] 관계 형성 기간 동안 데이트, 구애, 또는 원나잇 스탠드 등을 통해 개인은 친밀한 관계에 더 투자하기 전에 다양한 대인 관계를 탐색할 수 있다.[28]
상황, 시기, 외부 환경은 매력과 개인이 친밀한 관계를 시작할 준비가 되었는지에 영향을 미친다. 개인은 평생에 걸쳐 관계에 대한 준비성에 차이를 보이며, 가족의 기대, 헌신적인 관계를 맺는 동료, 문화적 규범과 같은 다른 외부적인 압력이 사람들이 친밀한 관계를 추구하기로 결정하는 시기에 영향을 미친다.[29]
가까운 물리적 근접성은 반복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 서로를 알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관계 형성에 강력한 촉진제이다. 친밀한 파트너는 일반적으로 대학이나 학교, 직장 동료, 이웃, 술집 또는 종교 공동체에서 만난다.[30] 스피드 데이트, 중매인, 온라인 데이트 서비스는 관계를 시작하는 데 사용되는 더 구조화된 형식이다. 특히 인터넷은 사람들이 즉각적인 근접성을 넘어 잠재적인 파트너에게 접근할 수 있게 해주면서 친밀한 관계가 시작되는 방식을 크게 바꾸었다.[31][32] 2023년, 퓨 리서치 센터(Pew Research Center)는 30세 미만의 사람들의 53%가 온라인 데이트를 사용했으며, 헌신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성인 10명 중 1명이 온라인에서 파트너를 만났다는 것을 발견했다.[33] 그러나 데이트 앱이 데이트 폭력을 촉진할 가능성 때문에 데이트 앱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남아 있다.[33]
친밀한 관계가 시작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고 발전하며, 구성원들은 약속을 하고 관계 유지 행동을 할 수 있다. 지속적인 관계에서 커플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과 함께 자신의 이익을 보호해야 하며, 이는 타협, 희생, 그리고 의사소통을 필요로 한다.[35] 일반적으로, 친밀감과 헌신적인 감정은 관계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반면, 열정은 관계의 초기 단계의 흥분 이후 정체된다.[36]
지속적인 긍정적인 공유 의사소통과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관계를 강화하고 파트너 간의 헌신과 호감을 높이는 데 중요하다. 이러한 유지 행동에는 관계에 대한 헌신에 대한 확신을 제공하고, 공유 활동에 참여하고, 생각과 감정을 솔직하게 드러내고, 서로의 친구들과 시간을 보내고, 공유된 책임에 기여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37][38] 성적 행동을 포함한 신체적 친밀함 또한 관계에 대한 친밀감과 만족감을 증가시킨다.[39] 그러나 성적 욕망은 종종 관계 초기에 가장 크며, 관계가 발전함에 따라 줄어들거나 다시 나타날 수 있다.[40] 자녀의 출생과 같은 중대한 인생 사건은 관계를 급격히 변화시키고 친밀감을 유지하기 위한 적응과 새로운 접근 방식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부모가 되는 과정은 스트레스가 많은 기간이 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건강한 관계 기능의 일시적인 감소와 성적 친밀감의 감소와 관련이 있다.[41][42]
관계가 발전함에 따라 친밀한 파트너는 관계를 유지하려는 의사를 나타내기 위해 종종 헌신 계약, 의식 및 행동에 참여한다.[43] 여기에는 함께 이사하기, 책임이나 재산을 공유하고, 결혼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헌신 표시는 관계를 해소하는 데 물리적, 재정적, 상징적 장벽과 결과가 발생하므로 관계의 안정성을 높인다.[44] 일반적으로 관계 만족도와 투자의 증가는 헌신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45]
친밀한 관계에 있는 개인은 관계에 있음으로써 얻는 상대적인 개인적 이점과 비용을 평가하며, 이는 관계를 유지하거나 떠날지에 대한 결정에 기여한다. 헌신 투자 모델은 관계 만족도, 관계 투자, 그리고 관계의 대안 품질에 대한 평가가 개인이 관계를 유지하는지에 영향을 미친다고 제안하는 이론적 틀이다.[34]
관계는 보상적이고 진화적으로 필요하며, 거절은 스트레스적인 과정이기 때문에,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더 촉진하는 결정을 내리는 쪽으로 편향되어 있다.[46] 이러한 편향은 관계 평가에 왜곡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헌신적인 관계에 있는 사람들은 매력적인 다른 파트너를 무시하고 비하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를 통해 더 매력적인 파트너와 함께하려는 결정을 정당화한다.[47]
3. 1. 관계 형성 요인
대인 매력은 잠재적인 친밀한 관계 파트너 사이의 첫인상의 기초이다. 관계 과학자들은 사람들 사이에 발생하는 로맨틱한 불꽃, 즉 "케미"는 신체적 매력, 개인적 자질, 그리고 사람들 사이의 긍정적인 상호 작용의 축적의 조합이라고 제안한다.[16] 연구자들은 신체적 매력이 초기 매력의 가장 큰 예측 변수임을 발견했다.[17] 진화론적 관점에서 볼 때, 이는 사람들이 좋은 신체적 건강의 지표를 보이는 파트너(또는 잠재적 배우자)를 찾기 때문일 수 있다.[18] 그러나 헌신적인 친밀한 관계에 있는 커플들은 신체적 매력에서 서로 일치하는 경향이 있으며, 커플의 구성원과 외부 관찰자 모두에게 유사하게 신체적으로 매력적이라고 평가받는다는 증거도 있다.[19][20] 따라서 개인의 자신의 매력에 대한 인식은 그들이 현실적인 파트너로 누구를 보는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20]신체적 외모 외에도 사람들은 파트너에게서 신뢰성, 따뜻함, 충성심과 같은 바람직한 자질을 보고한다.[21] 그러나 이러한 로맨틱한 이상은 실제 매력 또는 관계 성공의 좋은 예측 변수는 아니다. 연구에 따르면 잠재적 파트너를 성격 특성을 기반으로 매칭하는 것이 성공적이라는 증거는 거의 없으며, 이는 로맨틱한 케미는 특성의 호환성 이상을 포함한다는 것을 시사한다.[22] 오히려, 사람들 사이의 반복적인 긍정적인 상호 작용과 로맨틱한 관심의 상호성은 매력과 관계 형성에 핵심적인 요소인 것으로 보인다. 상호 호감은 호감을 보이는 사람에 대해 신중한 사람에 의해 표시될 때 가장 의미가 있다.[23]
친밀한 관계를 맺을 가능성이 있는 파트너는 서로를 알아가는 과정에서 친밀감을 높이고 상대방이 바람직한 파트너인지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사용한다. 자기 노출, 즉 자신에 대한 정보를 드러내는 과정은 사람들 사이의 친밀감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24] 대화 상대가 반응을 보이고 자기 노출에 상호 응답할 때 친밀감이 증가하며, 사람들은 자신에게 감정적인 정보를 드러내는 상대를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25] 관계 형성 단계에서 사용되는 다른 전략으로는 유머, 신체 접촉 시도, 시선, 추파를 던지는 몸짓, 또는 장난스러운 상호 작용을 통해 접근 가능성과 관심을 나타내는 것 등이 있다.[26][27] 관계 형성 기간 동안 데이트, 구애, 또는 원나잇 스탠드 등을 통해 개인은 친밀한 관계에 더 투자하기 전에 다양한 대인 관계를 탐색할 수 있다.[28]
상황, 시기, 외부 환경은 매력과 개인이 친밀한 관계를 시작할 준비가 되었는지에 영향을 미친다. 개인은 평생에 걸쳐 관계에 대한 준비성에 차이를 보이며, 가족의 기대, 헌신적인 관계를 맺는 동료, 문화적 규범과 같은 다른 외부적인 압력이 사람들이 친밀한 관계를 추구하기로 결정하는 시기에 영향을 미친다.[29]
가까운 물리적 근접성은 반복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 서로를 알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관계 형성에 강력한 촉진제이다. 친밀한 파트너는 일반적으로 대학이나 학교, 직장 동료, 이웃, 술집 또는 종교 공동체에서 만난다.[30] 스피드 데이트, 중매인, 온라인 데이트 서비스는 관계를 시작하는 데 사용되는 더 구조화된 형식이다. 특히 인터넷은 사람들이 즉각적인 근접성을 넘어 잠재적인 파트너에게 접근할 수 있게 해주면서 친밀한 관계가 시작되는 방식을 크게 바꾸었다.[31][32] 2023년, 퓨 리서치 센터(Pew Research Center)는 30세 미만의 사람들의 53%가 온라인 데이트를 사용했으며, 헌신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성인 10명 중 1명이 온라인에서 파트너를 만났다는 것을 발견했다.[33] 그러나 데이트 앱이 데이트 폭력을 촉진할 가능성 때문에 데이트 앱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남아 있다.[33]
3. 2. 관계 유지 및 발전
친밀한 관계가 시작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고 발전하며, 구성원들은 약속을 하고 관계 유지 행동을 할 수 있다. 지속적인 관계에서 커플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과 함께 자신의 이익을 보호해야 하며, 이는 타협, 희생, 그리고 의사소통을 필요로 한다.[35] 일반적으로, 친밀감과 헌신적인 감정은 관계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반면, 열정은 관계의 초기 단계의 흥분 이후 정체된다.[36]지속적인 긍정적인 공유 의사소통과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관계를 강화하고 파트너 간의 헌신과 호감을 높이는 데 중요하다. 이러한 유지 행동에는 관계에 대한 헌신에 대한 확신을 제공하고, 공유 활동에 참여하고, 생각과 감정을 솔직하게 드러내고, 서로의 친구들과 시간을 보내고, 공유된 책임에 기여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37][38] 성적 행동을 포함한 신체적 친밀함 또한 관계에 대한 친밀감과 만족감을 증가시킨다.[39] 그러나 성적 욕망은 종종 관계 초기에 가장 크며, 관계가 발전함에 따라 줄어들거나 다시 나타날 수 있다.[40] 자녀의 출생과 같은 중대한 인생 사건은 관계를 급격히 변화시키고 친밀감을 유지하기 위한 적응과 새로운 접근 방식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부모가 되는 과정은 스트레스가 많은 기간이 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건강한 관계 기능의 일시적인 감소와 성적 친밀감의 감소와 관련이 있다.[41][42]
관계가 발전함에 따라 친밀한 파트너는 관계를 유지하려는 의사를 나타내기 위해 종종 헌신 계약, 의식 및 행동에 참여한다.[43] 여기에는 함께 이사하기, 책임이나 재산을 공유하고, 결혼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헌신 표시는 관계를 해소하는 데 물리적, 재정적, 상징적 장벽과 결과가 발생하므로 관계의 안정성을 높인다.[44] 일반적으로 관계 만족도와 투자의 증가는 헌신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45]
친밀한 관계에 있는 개인은 관계에 있음으로써 얻는 상대적인 개인적 이점과 비용을 평가하며, 이는 관계를 유지하거나 떠날지에 대한 결정에 기여한다. 헌신 투자 모델은 관계 만족도, 관계 투자, 그리고 관계의 대안 품질에 대한 평가가 개인이 관계를 유지하는지에 영향을 미친다고 제안하는 이론적 틀이다.[34]
관계는 보상적이고 진화적으로 필요하며, 거절은 스트레스적인 과정이기 때문에,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더 촉진하는 결정을 내리는 쪽으로 편향되어 있다.[46] 이러한 편향은 관계 평가에 왜곡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헌신적인 관계에 있는 사람들은 매력적인 다른 파트너를 무시하고 비하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를 통해 더 매력적인 파트너와 함께하려는 결정을 정당화한다.[47]
3. 3. 관계 해소
관계를 떠나기로 하는 결정은 종종 관계 내 만족도와 헌신의 수준에 대한 평가를 포함한다.[48] 헌신 증가와 사랑의 감정과 같은 관계 요인은 결별 가능성을 낮추는 것과 관련이 있는 반면, 관계에 대해 상반된 감정을 느끼고 현재 관계에 대한 많은 대안을 인식하는 것은 관계 해소 가능성을 높이는 것과 관련이 있다.[49]특정 개인의 특성과 성격은 사람들이 관계 해체를 경험할 위험을 높인다. 신경증이 높은 사람(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하는 경향)은 관계 해체에 더 취약하며,[50] 연구에 따르면 애착 회피와 불안이 이별을 예측하는 데에도 작은 영향을 미친다.[49] 어린 나이에 결혼하고, 소득이 낮고, 교육 수준이 낮으며, 결혼 전 동거하는 것 또한 이혼 및 관계 해체 위험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특성들이 반드시 해체의 근본적인 원인은 아니다. 오히려, 개인들이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자원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일 뿐만 아니라, 관계 제도와 이혼에 대한 사회적, 문화적 태도를 반영한다.[51]
친밀한 관계를 종료하는 일반적인 전략으로는 결정 정당화, 사과, 연락 회피(고스팅), 또는 결정을 재고하기 전에 "잠시 떨어져 있는" 기간을 제안하는 것이 있다.[50] 친밀한 관계의 해소는 웰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스트레스적인 사건이며, 거부는 강한 당혹감, 슬픔, 분노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52] 관계가 헤어진 후, 개인은 불안, 우울 증상, 문제적인 물질 사용, 낮은 자존감의 위험에 처한다.[53][54] 그러나, 이별 후 기간은 이전 관계가 만족스럽지 못했을 경우, 특히 개인적인 성장을 촉진할 수도 있다.[55]
4. 친밀함의 긍정적 효과
4. 1. 심리적 건강
친밀한 관계는 행복과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56] 더 나은 정신 건강을 가진 사람들이 친밀한 관계를 맺을 가능성이 더 높지만, 이러한 관계 자체가 선택 편향을 통제한 후에도 정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57] 일반적으로 결혼과 다른 유형의 헌신적인 친밀 관계는 행복 증가와 지속적으로 연관되어 있다.[58] 또한, 관계의 상호 의존적인 특성으로 인해, 한 파트너의 삶의 만족도는 관계의 질을 통제한 후에도 다른 사람의 삶의 만족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예측한다.[59]
친밀한 파트너로부터의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와 중요한 삶의 사건에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된다.[60] 반응적이고 타당하다고 인식되는 사람과의 친밀한 관계는 스트레스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며,[61] 친밀한 파트너와의 공유된 활동은 스트레스 경험과 관련된 감정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62] 긍정적인 경험에 대한 지원은 또한 관계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람들 간의 공유된 긍정적 감정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 사람이 좋은 소식을 공유하는 파트너에게 적극적이고 건설적으로 반응할 때 ("자본화"라고 불리는 과정) 두 개인의 웰빙이 증가한다.[63][64]
성적인 친밀 관계에서 성적 만족은 전반적인 관계 만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65] 성관계는 친밀감을 증진시키고, 행복을 증가시키며,[66] 즐거움을 제공하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67][68] 연구에 따르면, 적어도 일주일에 한 번 성관계를 갖는 커플이 일주일에 한 번 미만으로 성관계를 갖는 커플보다 더 큰 행복감을 보고한다.[69] 인간 성 심리 연구에 따르면, 높은 수준의 성관계의 요소에는 파트너와의 연결감, 원활한 의사소통, 취약성, 그리고 현재에 몰입하는 느낌 등이 포함된다. 친밀 관계에서의 높은 수준의 성관계는 관계를 강화하고 관련된 각 개인의 웰빙을 향상시킬 수 있다.[70]
4. 2. 신체적 건강
양질의 친밀한 관계는 신체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71] 친밀한 관계와 순환계, 면역계, 내분비계와 관련된 건강 결과 사이의 연관성이 과학 문헌에서 일관되게 확인되었다.[72] 더 나은 관계의 질은 더 낮은 사망률과 관련이 있으며,[73] 관계의 질은 염증 반응, 예를 들어 사이토킨 발현과 세포 신호 전달에 영향을 미친다.[74][75] 또한, 친밀한 파트너는 신체 활동 증가[76] 및 금연과 같은 건강한 행동을 장려하는 중요한 사회적 지원의 원천이다.[77]실험실 실험은 친밀한 파트너의 지원과 신체적 건강 간의 연관성에 대한 증거를 보여준다. 상처 및 염증 회복을 평가하는 연구에서 갈등과 적대감이 높은 관계에 있는 개인은 적대감이 낮은 관계에 있는 사람들보다 상처로부터 더 느리게 회복되었다.[79] fMRI 연구에서 친밀한 파트너의 사진을 보는 참가자는 낯선 사람의 사진을 보는 참가자에 비해 자극에 대한 통증을 덜 보고한다.[80][81] 또 다른 실험실 연구에서, 파트너로부터 문자 메시지를 받은 여성은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패러다임인 트리어 사회적 스트레스 테스트에 대한 심혈관 반응이 감소했다.[82] 성적 활동 및 기타 형태의 신체적 친밀함 또한 신체적 건강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반면, 친밀한 파트너 간의 갈등은 면역 및 내분비 시스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혈압을 높일 수 있다.[72]
5. 친밀함의 어려움과 도전
5. 1. 갈등
친밀한 관계에서의 불화는 스트레스가 많은 사건이며,[83]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부부가 사용하는 전략은 관계의 질과 성공에 영향을 미친다.[84] 일반적인 갈등 원인으로는 일과 가정 생활의 균형, 성관계 빈도, 재정, 가사 등에 대한 의견 불일치가 있다.[85]심리학자 존 고트만의 연구는 부부 관계에서의 갈등의 세 단계를 확인했다. 첫째, 부부는 문제에 대한 자신의 의견과 감정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그들은 논쟁하고 상대방을 설득하려 시도하며, 마지막으로, 관계의 구성원들은 타협점에 도달하기 위해 협상한다.[86]
개인은 일반적으로 갈등에 참여하는 방식이 다양하다.[86] 고트만은 행복한 부부와 불행한 부부가 갈등 중 상호 작용하는 방식이 다르다고 설명한다. 불행한 부부는 더 빈번하게 부정적인 어조를 사용하고, 의사소통 중에 더 예측 가능한 행동을 보이며, 파트너와 부정적인 행동의 사이클에 갇히는 경향이 있다.[87][20] 갈등 속의 다른 비생산적인 전략으로는 회피와 철회, 방어, 적대감이 있다.[88] 이러한 반응은 개인이 갈등에 위협을 느낄 때 두드러질 수 있으며, 이는 불안정한 애착 성향과 이전의 부정적인 관계 경험을 반영할 수 있다.[83] 갈등이 해결되지 않으면 관계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89]
건설적인 갈등 해결 전략에는 상대방의 관점과 우려 사항을 인정하고, 애정을 표현하고, 유머를 사용하고, 적극적으로 경청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의 효과는 갈등의 주제와 심각성, 관련된 개인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84] 해결되지 않은 갈등의 반복적인 스트레스는 친밀한 관계 파트너가 부부 상담을 찾거나, 자가 도움 자료를 참조하거나, 관계 종료를 고려하게 할 수 있다.[90]
5. 2. 애착 불안정
초기 대인 관계에서 형성된 애착 성향은 사람들이 친밀한 관계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불안정한 애착은 관계에서 특정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개인은 애착 불안(버림받는 것에 대해 얼마나 걱정하는지)과 회피(정서적 친밀감을 얼마나 회피하는지)에서 차이를 보인다.[91] 회피 또는 불안이 높은 불안정한 애착 성향은 친밀한 관계에서 더 빈번한 부정적 감정을 경험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92]애착 불안이 높은 개인은 특히 질투를 하기 쉽고, 파트너가 자신을 떠날지에 대해 고조된 고통을 경험한다.[93] 또한, 불안이 높은 개인은 관계에서 더 많은 갈등을 인지하며 그러한 갈등에 불균형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94] 반면에, 회피적 애착을 가진 개인은 친밀감 공포를 경험하거나, 가까운 관계의 잠재적 이점에 대해 무시할 수 있으며, 따라서 파트너와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95]
5. 3. 스트레스
친밀 관계 내외부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는 관계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96] 재정 문제, 가족의 의무, 직장 스트레스 등이 그 예시이다. 스트레스는 건강한 관계를 발전시키고 유지하는 데 중요한 심리적 자원을 고갈시킨다.[97]낮은 사회경제적 지위는 개인이 건강한 친밀 관계를 유지하는 데 투자하는 능력을 제약하는 특히 두드러진 스트레스 환경이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부부는 관계 해소율이 증가하고 관계 만족도가 낮아질 위험이 있다.[98]
5. 4. 외도
외도와 일부일처 관계 밖의 성관계는 일반적으로 비난받는 행동이며, 잦은 갈등의 원인이자 관계 해체의 원인이 된다.[99] 낮은 관계 만족도는 사람들이 주된 관계 밖에서 육체적 또는 정서적 관계를 갈망하게 할 수 있다.[99] 그러나 성적 기회가 많고, 성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성에 대해 더 관대한 태도를 가진 사람들도 외도를 할 가능성이 더 높다.[100] 미국에서는 성인의 15~25%가 파트너를 속인 적이 있다고 보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01]관계의 한 구성원이 성적 또는 정서적 독점 합의를 위반하면 주된 관계의 신뢰 기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개인은 우울증, 낮은 자존감, 불륜 이후의 정서적 조절 장애를 경험할 수 있다.[102] 외도는 궁극적으로 관계 해체 또는 이혼의 가능성을 높이는 것과 관련이 있다.[101]
5. 5. 친밀한 관계 폭력
신체적 학대, 심리적 학대, 경제적 학대, 성적 학대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친밀한 관계 내의 폭력은 세계 보건 기구에 따르면 여성의 30%가 친밀한 파트너에 의해 신체적 또는 성적 폭력을 경험한다고 추정한다.[103] 이러한 관계는 강력한 정서적 애착, 투자 및 상호 의존성으로 인해 학대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수 있다.[104]어린 시절 폭력 노출이나 학대 경험은 세대 간 폭력의 악순환으로 이어져 성인이 된 후 가해자 또는 피해자가 될 가능성을 높인다.[105] 가해자는 공격성, 충동성, 분노, 반사회적 인격 장애, 경계선 인격 장애와 같은 병리학적 성격 특성을 보일 수 있다.[106] 남성을 공격적이고 지배적인 존재로 묘사하는 가부장제 문화는 남성의 폭력 행사에 추가적인 위험 요소가 될 수 있지만,[107] 여성 가해자에 의한 폭력 또한 잘 기록되어 있으며,[108] 다른 맥락적 및 인구 통계학적 특성이 더 중요한 위험 요소로 나타나기도 한다.[109]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와 같은 맥락적 요인도 폭력 위험을 높이며, 관계 내 갈등과 불일치는 특히 적대적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에게서 친밀한 파트너 폭력과 관련이 있다.[110]
6. 사회문화적 다양성
6. 1. 문화적 차이
문화적 맥락은 의사소통 규범, 애정 표현, 헌신 및 결혼 관행, 그리고 성 역할을 포함한 친밀한 관계의 많은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111] 문화 간 연구에 따르면 중국의 개인은 연인과의 간접적이고 암시적인 의사소통을 선호하는 반면, 미국계 유럽인들은 직접적인 의사소통을 선호한다고 보고한다. 문화적으로 적절한 의사소통 스타일의 사용은 예상되는 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112] 문화는 또한 관계 내의 기대와 정서적 친밀감, 형평성, 지위 및 자율성과 같은 다양한 관계 중심 가치의 상대적 중요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13]사랑은 보편적인 인간의 감정으로 확인되었지만,[114] 사랑이 표현되는 방식과 친밀한 관계에서 사랑의 중요성은 관계가 발생하는 문화에 따라 다르다. 문화는 결혼과 같은 친밀한 관계를 인정하는 제도에 대한 신념을 구조화하는 데 특히 두드러진다. 사랑이 결혼에 필요하다는 생각은 미국에서 강력하게 지배적인 신념인 반면,[115] 인도에서는 전통적인 중매 결혼과 "사랑 결혼"(개인 선택 결혼이라고도 함) 사이의 구별이 이루어진다.[116]
6. 2. 성소수자와 친밀함
동성 커플에 대한 법적 관계 인정의 진전은 동성 간의 친밀함을 정상화하고 정당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117] 일반적으로 동성 간의 친밀한 관계와 이성 간의 친밀한 관계는 크게 다르지 않으며, 커플은 비슷한 수준의 관계 만족도와 안정성을 보고한다.[118]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동성 간의 친밀함과 이성 간의 친밀함 사이에는 몇 가지 일반적인 차이점이 있다. 관계 형성 기간 동안, 성 소수자들 사이에서는 우정과 낭만적 친밀함 사이의 경계가 더 미묘하고 복잡할 수 있다.[119] 예를 들어, 많은 레즈비언 여성들은 낭만적인 관계가 기존의 우정에서 발전했다고 보고한다.[120]특정 관계 유지 관행 또한 다르다. 이성 관계가 노동과 의사 결정 권한을 분담하기 위해 전통적인 성 역할에 의존할 수 있지만, 동성 커플은 가사 분담을 더 공평하게 할 가능성이 높다.[118] 레즈비언 커플은 이성애 커플에 비해 성관계 빈도가 더 낮고, 게이 남성은 비독점적 관계에 참여할 가능성이 더 높다.[121]
동성 관계는 낙인, 차별, 사회적 지지와 관련하여 고유한 어려움에 직면한다. 커플이 이러한 장애물에 대처함에 따라 관계의 질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122] 동성 결혼 금지와 같은 비우호적인 정책 환경은 웰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123] 커플로서 커밍아웃하고 법적으로 동성 관계를 인정하는 곳에서 생활하는 것은 개인 및 커플의 웰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124]
일부 무성애자들은 오로지 정서적으로 친밀한 관계를 맺지만, 다른 무성애자들의 관계는 비무성애자 파트너와의 협상에 따라 성관계를 포함하기도 한다.[125][126] 2019년 미국의 성 소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무성애자들은 최근 성관계를 가질 확률이 낮았지만, 친밀한 관계를 맺는 비율에서는 비무성애자 참가자들과 차이가 없었다.[127] 무성애자들은 자신의 성적 지향에 대한 낙인과 병리화에 직면하며,[128] 데이트 과정에서 성에 대한 가정들을 헤쳐나가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고 보고한다.[126] "퀘어플라토닉 관계"와 "스퀴시"(비성적 호감)를 포함한 다양한 용어들이 무성애자 커뮤니티에서 비성적 친밀 관계와 욕망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129]
6. 3. 비독점적 관계
비독점적 관계는 다자 연애, 개방적 관계, 스윙을 포함하며, 엄격하게 일부일처가 아닌 친밀한 관계를 맺거나 여러 명의 파트너와 합의 하에 신체적 또는 정서적으로 친밀한 관계를 맺는 행위를 말한다.[130] 서로 다른 파트너 간의 정서적, 신체적 친밀함의 정도는 다를 수 있다. 합의 하에 비독점적인 친밀한 관계를 맺는 개인들은 여러 파트너로부터 자신의 욕구를 충족하고, 파트너와 더 다양한 활동을 함께하며, 자율성과 개인적 성장을 느끼는 등, 관계 구성에 대한 여러 가지 이점을 인식한다.[131]7. 친밀함 연구의 역사
친밀 관계 연구는 다양한 집단 출신의 참가자를 사용하며, 가족 관계, 우정 관계, 로맨틱 관계 등 다양한 주제를 장기간 조사한다.[136] 최근 연구는 관계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혹은 불쾌한 측면을 모두 다룬다.
존 고트만(John Gottman) 등의 2010년 연구에서는 부부들을 기분좋은 곳에 초대하고 지난 싸움 주제를 불러일으키는 의견대립을 재논의하였다. 참가자들은 비디오녹화가 진행 중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음에도, 자기들 주제에 너무 빠져서 녹화중이랑 사실도 잊게 되었다.[136] 부부의 반응과 감정을 초단위로 관찰하면서, 부부의 이후 운명에 대하여 고트만은 93%의 정확도로 예측하였다.[136]
테리 오버치(Terri Orbuch)와 조셉 베로프(Joseph Veroff)는 2002년 연구에서 자기보고서(self-report)를 통하여 신혼부부를 장기간 관찰하는 종단연구(longitudinal study)를 실시하였다. 참가자들은 관계에 대한 특성과 현황에 대한 보고서를 제공하였다.[136] 이들 대부분은 연구 시작 이후 결혼생활이 끝났으나, 이러한 관계연구는 연구자가 후속상담(follow-up interview)을 통하여 결혼생활 처음부터 끝까까지를 추적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어떤 요인이 결혼생활을 지속하게 하고 어떤 것이 그럴지 않은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136] 관계과학 분야는 이제 막 시작하였지만, 다양한 학부 출신 연구자들이 관계과학의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136]
또한 친밀 관계에 영향을 주는 맥락적 요인들의 역할도 규명되었다. 허리케인 카트리나(Katrina)가 부부와 연인에게 끼친 영향에 대한 최근 연구에 의하면, 많은 경우 부정적 영향을 주기도 하였지만, 긍정적 변화를 가져온 경우도 적지 않았다. 특히 카트리나가 실업이나 장기 격리와 같은 부부나 연인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환경적 스트레스 유발 요인을 낳기도 했지만, 새로운 취업 기회나 미래에 대한 전망이 좋아지거나 소통과 지지가 더 커진 것으로 인하여 관계가 더 강화된 경우도 있었다.[151] 결과적으로 환경적 요인들도 친밀 관계를 강화한다고 할 수 있다.
노스웨스턴대학교(Northwestern University) 연구팀은 2013년 연구보고서에서 갈등으로 부부가 서로 보복하려는 부정적인 특성인 '부적 정서 상호성(negative-affect reciprocity)'이 결혼생활의 실패를 예측할 수 있는 가장 확고한 요소라는 것을 규명하였다. 그러나 시카고(Chicago)의 부부 120쌍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의하면, 이러한 관계 악화는 4개월마다 재평가 작문과제(reappraisal writing task)를 수행함으로써 완화된다.[152]
한 연구에서는 장기간 친밀 관계에 있는 이성 부부와 동성 커플은 서로의 나쁜 습관을 집어낼 수 있다고 지적한다. 연구는 한쪽에게 직접적으로 나쁜 영향을 끼치는 방향, 건강한 습관을 함께 들이는 방향, 개인적인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방향을 통하여, 이러한 나쁜 습관들이 장기간 친밀 관계에서 어떻게 진화되는지를 검토하였다.[153][154]
1980년대 초 개인관계국제네트워크(International Network of Personal Relationships, INPR)의 첫 회의가 개최되었다. 전세계 300여명의 학자들이 학회에 참석하였다.[155] 1984년 3월, 사회적개인적관계저널(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초판이 발행되었다.[155] 1990년대 INPR은 두 그룹으로 분열되었지만 2004년 4월 다시 합쳐져서 국제관계연구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Relationship Research, IARR)가 되었다.[136]
실번 톰킨스(Silvan Tomkins)의 연구에서 분화되어 자신만의 대인관계 연구를 수립한 정신과의사 도널드 네이선슨(Donald Nathanson)은 긍정적 정서를 극대화하고 부정적 정서를 최소화하며 정서 표현의 자유를 허용하는 양자 관계의 친밀 관계가 최선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는 톰킨스의 정서건강을 위한 청사진에 기반한 것으로, 톰킨스 역시 긍정적 정서의 극대화, 부정적 정서의 최소화, 정서 표현의 자유를 주장하였다.[156]
=== 아리스토텔레스 ===
고대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대인관계에 대하여 고찰하면서, "한 사람이 다른 한 사람에게 우호적으로 대하면 그 한 사람은 그 다른 사람의 친구가 되며, 그 다른 사람도 이에 대한 보답으로 그 한 사람에게 친구로 대한다"고 하였다.[137]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은 타고나면서부터 사회적 동물이라고 하였다.[137] 또한 그는 관계란 유용성, 즐거움, 덕에 기반한다고 주장하였다. 사람은 관계가 제공하는 도움과 소속감으로 인하여 유용성을 주는 관계에 끌린다. 즐거움에 기반한 관계에서는 사람은 함께 모일 때 즐거운 감정에 끌린다. 그러나 관계를 통해 어느 한쪽만 혜택을 입고 다른 한쪽은 이러한 혜택을 입지 못한다면, 유용성과 즐거움에 기반한 관계라도 오래 가지 못한다고 한다. 덕에 기반한 관계는 타인의 덕성에 끌려서 수립된 것이다.[136] 아리스토텔레스는 덕에 기반한 관계는 가장 오래 가며, 서로가 자발적으로 서로를 좋아하는 유일한 유형이라고 하였다. 1880년대 후반까지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분석 방식이 친밀 관계 분석을 지배하였다.[155]
=== 19세기 후반 ~ 20세기 초 ===
현대 심리학과 사회학은 19세기 말에 발생하였으며, 이때 학자들은 자신의 연구 영역에 관계를 포함시키고 친밀관계 분석과 관련한 내용의 새로운 기반을 마련하였다.[155]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부모-아이 관계와 그것이 인격발달(personality development)에 끼치는 영향에 대하여 서술하였고,[137] 감정과 기대를 매개로 유년기 경험이 성인기 관계로 전환되거나 그대로 이어진다고 보았다.[155] 또한 프로이트는 사람은 자신과 반대 성별의 부모와 닮은 사람을 결혼상대로 찾는다고 보았다.[155]
1891년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는 개인의 자아개념(self-concept)이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정립된다고 주장하였다.[137] 1897년 에밀 뒤르켐(Émile Durkheim)의 사회구조에 대한 관심은 사회적 고립(social isolation)과 소외(social alienation)에 대한 연구로 이어졌다.[137] 뒤르켐은 사회적 고립이 자살의 전조라고 주장하였고 이러한 주장은 친밀 관계의 중요한 발견이 되었다.[137] 사회적 고립에 관련하여 관계의 어두운 측면과 부정적 영향에 대하여서 뒤르켐은 아노미(anomie)라고 명명하였다.[155] 게오르크 짐멜(Georg Simmel)은 두 사람 간의 파트너십 혹은 양자관계(dyad)에 대하여 연구하였다.[136] 짐멜은 양자관계에는 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양측의 동의와 개입이 필요하지만, 관계는 한쪽의 제안만으로는 끝나게 된다고 주장하였다.[155] 위의 학자들은 자신의 이론의 증거를 찾으려 하였지만, 친밀관계의 개념적 설명에 그치고 실험적 기반은 아직 마련되지 못하였다.[136]
=== 1960년대 이후 ===
1898년 먼로(Monroe)의 연구는 친구 선택에 있어 아동의 특성과 습관을 검토하였는데, 친절, 발랄함, 정직과 같은 속성이 중요하게 나타났다.[136] 먼로는 7-16세 아동 2336명에게 어떤 종류의 친구를 가장 좋아하는지에 대해 물었고, 그 결과 아동들은 동갑에 동성이며 같은 체구에 머리와 눈 모양이 가볍고, 이전에 다투지 않은 친구, 동물과 사람에게 친절한 사람, 정직한 친구를 선호하였다. 종교와 부는 가장 중요성이 적은 요소였다.[136] 먼로의 연구는 친밀 관계 연구가 실험적인 것으로 변화하는 첫 연구였으며, 관계과학(relationship science)의 시발점으로 인정되었다.[136]
그러나 먼로 연구 이후 몇 년 동안 수행된 연구는 매우 적었다. 아동의 우정, 교제(courtship), 결혼, 가족에 대한 연구는 1930년대에 제한적으로 이뤄졌으나, 2차대전 기간 동안은 관계 연구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155] 1960년대에서 1970년대에 이르러서야 관계 연구가가 출판되면서 비로소 친밀관계가 연구 주제로서 큰 관심을 끌 수 있었다.[136]
사회심리학 분야에서 1950년대 말까지는 연구 대부분이 실험을 수반하지 않았으나,[155] 1960년대말 출간된 연구 과반 이상은 실험 연구를 동반하였다.[155] 또한 1960년대에는 심리학 분야에서 방법론적 변화도 있었는데, 실험 참가자 대부분은 학부생들이었고, 실험방법과 연구는 연구소에서 행해졌으며, 실험 방법은 사회심리학적 방법이 대부분이었다.[155] 이러한 실험을 통하여 관계도 과학적으로 연구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고,[136] 이로 인해 다른 전공 학자들도 관계과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친밀관계 연구는 국제적인 복합학문으로 성장하였다.[136]
=== 주요 학자 ===
7. 1. 아리스토텔레스
고대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대인관계에 대하여 고찰하면서, "한 사람이 다른 한 사람에게 우호적으로 대하면 그 한 사람은 그 다른 사람의 친구가 되며, 그 다른 사람도 이에 대한 보답으로 그 한 사람에게 친구로 대한다"고 하였다.[137]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은 타고나면서부터 사회적 동물이라고 하였다.[137] 또한 그는 관계란 유용성, 즐거움, 덕에 기반한다고 주장하였다. 사람은 관계가 제공하는 도움과 소속감으로 인하여 유용성을 주는 관계에 끌린다. 즐거움에 기반한 관계에서는 사람은 함께 모일 때 즐거운 감정에 끌린다. 그러나 관계를 통해 어느 한쪽만 혜택을 입고 다른 한쪽은 이러한 혜택을 입지 못한다면, 유용성과 즐거움에 기반한 관계라도 오래 가지 못한다고 한다. 덕에 기반한 관계는 타인의 덕성에 끌려서 수립된 것이다.[136] 아리스토텔레스는 덕에 기반한 관계는 가장 오래 가며, 서로가 자발적으로 서로를 좋아하는 유일한 유형이라고 하였다. 1880년대 후반까지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분석 방식이 친밀 관계 분석을 지배하였다.[155]7. 2. 19세기 후반 ~ 20세기 초
현대 심리학과 사회학은 19세기 말에 발생하였으며, 이때 학자들은 자신의 연구 영역에 관계를 포함시키고 친밀관계 분석과 관련한 내용의 새로운 기반을 마련하였다.[155]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부모-아이 관계와 그것이 인격발달(personality development)에 끼치는 영향에 대하여 서술하였고,[137] 감정과 기대를 매개로 유년기 경험이 성인기 관계로 전환되거나 그대로 이어진다고 보았다.[155] 또한 프로이트는 사람은 자신과 반대 성별의 부모와 닮은 사람을 결혼상대로 찾는다고 보았다.[155]1891년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는 개인의 자아개념(self-concept)이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정립된다고 주장하였다.[137] 1897년 에밀 뒤르켐(Émile Durkheim)의 사회구조에 대한 관심은 사회적 고립(social isolation)과 소외(social alienation)에 대한 연구로 이어졌다.[137] 뒤르켐은 사회적 고립이 자살의 전조라고 주장하였고 이러한 주장은 친밀 관계의 중요한 발견이 되었다.[137] 사회적 고립에 관련하여 관계의 어두운 측면과 부정적 영향에 대하여서 뒤르켐은 아노미(anomie)라고 명명하였다.[155] 게오르크 짐멜(Georg Simmel)은 두 사람 간의 파트너십 혹은 양자관계(dyad)에 대하여 연구하였다.[136] 짐멜은 양자관계에는 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양측의 동의와 개입이 필요하지만, 관계는 한쪽의 제안만으로는 끝나게 된다고 주장하였다.[155] 위의 학자들은 자신의 이론의 증거를 찾으려 하였지만, 친밀관계의 개념적 설명에 그치고 실험적 기반은 아직 마련되지 못하였다.[136]
7. 3. 1960년대 이후
1898년 먼로(Monroe)의 연구는 친구 선택에 있어 아동의 특성과 습관을 검토하였는데, 친절, 발랄함, 정직과 같은 속성이 중요하게 나타났다.[136] 먼로는 7-16세 아동 2336명에게 어떤 종류의 친구를 가장 좋아하는지에 대해 물었고, 그 결과 아동들은 동갑에 동성이며 같은 체구에 머리와 눈 모양이 가볍고, 이전에 다투지 않은 친구, 동물과 사람에게 친절한 사람, 정직한 친구를 선호하였다. 종교와 부는 가장 중요성이 적은 요소였다.[136] 먼로의 연구는 친밀 관계 연구가 실험적인 것으로 변화하는 첫 연구였으며, 관계과학(relationship science)의 시발점으로 인정되었다.[136]그러나 먼로 연구 이후 몇 년 동안 수행된 연구는 매우 적었다. 아동의 우정, 교제(courtship), 결혼, 가족에 대한 연구는 1930년대에 제한적으로 이뤄졌으나, 2차대전 기간 동안은 관계 연구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155] 1960년대에서 1970년대에 이르러서야 관계 연구가가 출판되면서 비로소 친밀관계가 연구 주제로서 큰 관심을 끌 수 있었다.[136]
사회심리학 분야에서 1950년대 말까지는 연구 대부분이 실험을 수반하지 않았으나,[155] 1960년대말 출간된 연구 과반 이상은 실험 연구를 동반하였다.[155] 또한 1960년대에는 심리학 분야에서 방법론적 변화도 있었는데, 실험 참가자 대부분은 학부생들이었고, 실험방법과 연구는 연구소에서 행해졌으며, 실험 방법은 사회심리학적 방법이 대부분이었다.[155] 이러한 실험을 통하여 관계도 과학적으로 연구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고,[136] 이로 인해 다른 전공 학자들도 관계과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친밀관계 연구는 국제적인 복합학문으로 성장하였다.[136]
7. 4. 주요 학자
참조
[1]
서적
Counseling Individuals Through the Lifespan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
간행물
Interdependence in Close Relationships
https://onlinelibrar[...]
Wiley
2023-10-30
[3]
논문
The Psychology of Close Relationships: Fourteen Core Principles
https://www.annualre[...]
2017-01-03
[4]
논문
Marital Quality and Personal Well-Being: A Meta-Analysis
https://onlinelibrar[...]
2007
[5]
서적
Handbook of Closeness and Intimacy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6]
논문
Self-esteem's impacts on intimacy-building: Pathways through self-disclosure and responsiveness
https://www.scienced[...]
2023-08-01
[7]
논문
Understanding Emotional Intimacy: A Review of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the Role of Gender
https://www.jstor.or[...]
2002
[8]
논문
A concept analysis of intimacy
http://www.tandfonli[...]
1991
[9]
웹사이트
The Power of Touch: Physical Affection is Important in Relationships, but Some People Need More Than Others – Kinsey Institute Research & Institute News
https://blogs.iu.edu[...]
2023-11-17
[10]
논문
The science of interpersonal touch: An overview
https://www.scienced[...]
2010-02-01
[11]
논문
Love and affectionate touch toward romantic partners all over the world
2023
[12]
웹사이트
Queerplatonic Relationships: A New Term for an Old Custom {{!}} Psychology Today
https://www.psycholo[...]
2023-11-10
[13]
서적
Intimate Relationships
https://www.mheducat[...]
McGraw Hill
[14]
서적
Understanding Family Meanings: A Reflective Text
https://books.google[...]
Policy Press
2012
[15]
논문
Understanding Emotional Intimacy: A Review of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the Role of Gender
https://www.jstor.or[...]
2002
[16]
논문
Mate evaluation theory.
2023
[17]
논문
The predictive validity of ideal partner preferences: A review and meta-analysis.
http://doi.apa.org/g[...]
2014
[18]
간행물
Attraction and the Initiation of Relationships: A Re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http://dx.doi.org/10[...]
Psychology Press
2023-11-01
[19]
논문
Matching for attractiveness in romantic partners and same-sex friends: A meta-analysis and theoretical critique.
http://doi.apa.org/g[...]
1988
[20]
서적
Intimate Relationships
W. W. Norton & Company
2019-07-01
[21]
논문
Romantic relationships, ideal standards, and mate selection
https://www.scienced[...]
2015
[22]
논문
Predicting romantic interest during early relationship development: A preregistered investigation using machine learning
2023
[23]
논문
Selective Versus Unselective Romantic Desire: Not All Reciprocity Is Created Equal
http://journals.sage[...]
2007
[24]
논문
Self-disclosure and liking: A meta-analytic review.
http://doi.apa.org/g[...]
1994
[25]
논문
Intimacy as an interpersonal process: The importance of self-disclosure, partner disclosure, and perceived partner responsiveness in interpersonal exchanges.
http://doi.apa.org/g[...]
1998
[26]
논문
Strategic Behaviors in Romantic Relationship Initiation
http://journals.sage[...]
1999
[27]
논문
Human Nonverbal Courtship Behavior—A Brief Historical Review
http://www.tandfonli[...]
2010-03-24
[28]
논문
Dating Behavior: A Framework for Analysis and an Illustration
https://www.jstor.or[...]
1966
[29]
간행물
Relationship Receptivity Theory: Timing and Interdependent Relationship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11-08
[30]
간행물
Relationship initiation and development.
https://doi.org/10.1[...]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23-11-17
[31]
논문
Searching for a Mate: The Rise of the Internet as a Social Intermediary
http://journals.sage[...]
2012
[32]
논문
Dating apps: a literature review
https://www.tandfonl[...]
2022-04-03
[33]
웹사이트
Key findings about online dating in the U.S.
https://www.pewresea[...]
2023-02-02
[34]
서적
Close Romantic Relationships: Maintenance and Enhancement
Psychology Press
2001
[35]
문서
Relationship maintenance and dissolution. In M. Mikulincer, P. R. Shaver, J. A. Simpson, & J. F. Dovidio (Eds.), ''APA handbook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3. Interpersonal relations'' (pp. 581–604).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https://psycnet.apa.[...]
[36]
논문
Temporal course of the basic components of love throughout relationships
https://www.psycholo[...]
1998
[37]
논문
Maintenance Strategies and Romantic Relationship Type, Gender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
http://journals.sage[...]
1991
[38]
논문
A meta-analytic review of relationship maintenance and its correlates
http://journals.sage[...]
2013
[39]
논문
The magnetism that holds us together: sexuality and relationship maintenance across relationship development
https://linkinghub.e[...]
2015
[40]
간행물
Sex as Relationship Maintenance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
[41]
논문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impact on couples' romantic relationships
https://www.scienced[...]
2017-02-01
[42]
논문
Women's experiences of sex and intimacy after childbirth: making the adjustment to motherhood
https://www.tandfonl[...]
2012-12-01
[43]
논문
Commitment: Functions, Formation, and the Securing of Romantic Attachment
2010
[44]
서적
Handbook of Divorce and Relationship Dissolution
Psychology Press
2013
[45]
논문
Commitment and satisfaction in romantic associations: A test of the investment model
https://dx.doi.org/1[...]
1980
[46]
논문
We're Not That Choosy: Emerging Evidence of a Progression Bias in Romantic Relationships
2021
[47]
논문
The role of self-regulation in derogating attractive alternatives
https://www.scienced[...]
2010-07-01
[48]
논문
Wanting to Stay and Wanting to Go: Unpacking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Relationship Stay/Leave Decision Processes
http://journals.sage[...]
2018
[49]
논문
Predicting nonmarital romantic relationship dissolution: A meta-analytic synthesis
https://onlinelibrar[...]
2010
[50]
서적
Close Relationships: Functions, Forms and Processes
Psychology Press
2013
[51]
서적
Handbook of divorce and relationship dissolution
https://psycnet.apa.[...]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52]
간행물
A Little Bit about Love
http://dx.doi.org/10[...]
Elsevier
1974
[53]
논문
Relationship dissolution and psychopathology
https://www.scienced[...]
2022-02-01
[54]
논문
Making Sense and Moving On: The Potential for Individual and Interpersonal Growth Following Emerging Adult Breakups
2018
[55]
논문
Addition through subtraction: Growth following the dissolution of a low quality relationship
http://www.tandfonli[...]
2007
[56]
논문
Marital Quality and Personal Well-Being: A Meta-Analysis
https://onlinelibrar[...]
2007
[57]
논문
Romantic relationships and mental health
https://www.scienced[...]
2017
[58]
논문
Marital Status and Happiness: A 17-Nation Study
https://www.jstor.or[...]
1998
[59]
논문
Life Satisfaction in Close Relationships: Findings from a Longitudinal Study
https://doi.org/10.1[...]
2016-06-01
[60]
서적
Support Processes in Intimate Relationship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6-11
[61]
논문
Prosocial Behavior Mitigates the Negative Effects of Stress in Everyday Life
2016
[62]
논문
Relational regulation theory: A new approach to explain the link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http://doi.apa.org/g[...]
2011
[63]
논문
Making the good even better: A review and theoretical model of interpersonal capitalization
https://compass.onli[...]
2018
[64]
논문
The Capitalization Process in Stable Couple Relationships: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Benefits
2014
[65]
논문
No Longer in a Dry Spell: The Developing Understanding of How Sex Influences Romantic Relationships
2019
[66]
논문
Sex and happiness
https://www.scienced[...]
2015-04-01
[67]
논문
Why Humans Have Sex
http://dx.doi.org/10[...]
2007-07-03
[68]
논문
Sexual healing: Daily diary evidence that sex relieves stress for men and women in satisfying relationships
http://journals.sage[...]
2012
[69]
논문
Sexual Frequency Predicts Greater Well-Being, But More is Not Always Better
http://journals.sage[...]
2016
[70]
논문
The components of optimal sexuality: A portrait of "great sex"
https://www.research[...]
2009
[71]
논문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the Links Between Close Relationships and Health
2017
[72]
논문
Marriage and health: His and hers.
http://dx.doi.org/10[...]
2001
[73]
논문
Marital quality and health: A meta-analytic review.
2014
[74]
간행물
Close Relationships and Immunity
http://dx.doi.org/10[...]
Elsevier
2023-11-23
[75]
논문
Close relationships, inflammation, and health
2010-09-01
[76]
논문
Interpersonal Processes of Couples' Daily Support for Goal Pursuit: The Example of Physical Activity
https://pubmed.ncbi.[...]
2018
[77]
논문
Perceived Partner Responsiveness Predicts Smoking Cessation in Single-Smoker Couples
2019
[78]
논문
Affectionate Touch to Promote Relational,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in Adulthood: A Theoretical Model and Review of the Research
http://journals.sage[...]
2017
[79]
논문
Hostile marital interactions,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and wound healing
https://pubmed.ncbi.[...]
2005
[80]
논문
Viewing Pictures of a Romantic Partner Reduces Experimental Pain: Involvement of Neural Reward Systems
2010-10-13
[81]
논문
A Picture's Worth: Partner Photographs Reduce Experimentally Induced Pain
http://journals.sage[...]
2009
[82]
논문
It just takes a text: Partner text messages can reduce cardiovascular responses to stress in females
https://www.scienced[...]
2018-07-01
[83]
논문
Couple conflict: insights from an attachment perspective
https://www.scienced[...]
2017
[84]
논문
What type of communication during conflict is beneficial for intimate relationships?
2017
[85]
논문
Problematic Issues in the Early Years of Marriage: Content for Premarital Education
http://journals.sage[...]
2003
[86]
간행물
The Roles of Conflict Engagement, Escalation, and Avoidance in Marital Interaction: A Longitudinal View of Five Types of Couples
http://dx.doi.org/10[...]
Routledge
2023-11-22
[87]
서적
Marital Interaction: Experimental Investigation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88]
논문
What Type of Communication during Conflict is Beneficial for Intimate Relationships?
2017
[89]
논문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Conflict Style in Romantic Relationships
http://www.tandfonli[...]
2000
[90]
논문
Marital Therapy, Retreats, and Books: The Who, What, When, and Why of Relationship Help-Seeking
https://onlinelibrar[...]
2009
[91]
논문
Adult attachment, stress, and romantic relationships
2017-02-01
[92]
논문
Influence of attachment styles on romantic relationships.
http://doi.apa.org/g[...]
1990
[93]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romantic jealousy in relationships
http://www.scielo.cl[...]
2017
[94]
논문
Perceptions of Conflict and Support in Romantic Relationships: The Role of Attachment Anxiety.
http://doi.apa.org/g[...]
2005
[95]
논문
Avoidance of Intimacy: An Attachment Perspective
http://dx.doi.org/10[...]
1990
[96]
논문
The Psychology of Close Relationships: Fourteen Core Principles
https://www.annualre[...]
2017-01-03
[97]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close relationships
Oxford University Press
[98]
논문
Socioeconomic Status and Intimate Relationships
2021
[99]
논문
Infidelity in Committed Relationships II: A Substantive Review
https://onlinelibrar[...]
2005
[100]
논문
Sexual Infidelity among Married and Cohabiting Americans
https://www.jstor.or[...]
2000
[101]
웹사이트
Who Cheats More? The Demographics of Infidelity in America
https://ifstudies.or[...]
2023-11-07
[102]
논문
Love and Infidelity: Causes and Consequences
2023
[103]
웹사이트
Violence against women
https://www.who.int/[...]
2023-11-24
[104]
논문
Leave or Stay?: Battered Women's Decision After Intimate Partner Violence
http://journals.sage[...]
2008
[105]
논문
Intimate partner violence: childhood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https://europepmc.or[...]
2013-09-01
[106]
논문
Intimate Partner Violence
http://dx.doi.org/10[...]
2013-04-12
[107]
논문
Intimate partner violence: A narrative review of the feminist, social and ecological explanations for its causation
https://www.scienced[...]
2013-11-01
[108]
논문
Women who perpetrate intimate partner violence: A review of the literature with recommendations for treatment
https://www.scienced[...]
2007-01-01
[109]
논문
Intimate partner violence: Persistence of myths and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https://www.scienced[...]
2008-03-01
[110]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Risk Factors for Intimate Partner Violence
2012
[111]
논문
Love Culturally: How Does Culture Affect Intimacy, Commitment & Love
http://dx.doi.org/10[...]
2023
[112]
논문
How You Talk About It Matters: Cultural Variation in Communication Directness in Romantic Relationships
http://journals.sage[...]
2022
[113]
논문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expectations in romantic relationships: India and the United States
https://www.tandfonl[...]
2019-10-02
[114]
간행물
Love
http://link.springer[...]
Springer Netherlands
2023-11-21
[115]
논문
The Association between Romantic Love and Marriage: Kephart (1967) Twice Revisited
http://journals.sage[...]
1986
[116]
논문
Choosing Love Over Tradition: Lived Experiences of Asian Indian Marriages
http://journals.sage[...]
2019
[117]
논문
Same-Sex Couples, Families, and Marriage: Embracing and Resisting Heteronormativity 1
https://compass.onli[...]
2013
[118]
논문
The Close Relationships of Lesbians and Gay Men
https://www.annualre[...]
2007
[119]
논문
Friendship and Attachment Among Heterosexual and Sexual-Minority Youths: Does the Gender of Your Friend Matter?
http://link.springer[...]
2002
[120]
논문
The Role of Friendship in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Lesbian Love Relationships
http://www.tandfonli[...]
1982
[121]
논문
Non-monogamy and sexual relationship quality among same-sex male couples
https://pubmed.ncbi.[...]
2012
[122]
논문
Same-sex relationships and minority stress
https://www.scienced[...]
2017-02-01
[123]
논문
The Interaction of Same-Sex Marriage Access With Sexual Minority Identity on Mental Health and Subjective Wellbeing
https://www.tandfonl[...]
2017-04-16
[124]
논문
Same-Sex Legal Marriag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indings From the California Health Interview Survey
2013
[125]
웹사이트
Understanding the Asexual Community
https://www.hrc.org/[...]
2023-11-17
[126]
논문
Making Sense in and of the Asexual Community: Navigating Relationships and Identities in a Context of Resistance
https://onlinelibrar[...]
2015
[127]
논문
Asexual and Non-Asexual Respondents from a U.S. Population-Based Study of Sexual Minorities
https://doi.org/10.1[...]
2020-02-01
[128]
논문
Beyond sex: A review of recent literature on asexuality
https://www.scienced[...]
2023-02-01
[129]
논문
From crushes to squishes: Affect and agency on r/ AskReddit and r/ Asexual
https://www.jbe-plat[...]
2023
[130]
논문
What do we know about consensual non-monogamy?
https://www.scienced[...]
2022-12-01
[131]
논문
Unique and Shared Relationship Benefits of Consensually Non-Monogamous and Monogamous Relationships
https://econtent.hog[...]
2017
[132]
문서
지내는 사이가 아주 가깝고 친하게 느끼는 정도를 말한다.
[133]
서적
Counseling Individuals Through the Lifespan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134]
서적
Understanding Family Meanings: A Reflective Text
https://books.google[...]
Policy Press
[135]
서적
Communication, Intimacy, and Close Relationships
https://books.google[...]
Elsevier
[136]
서적
"Intimate Relationships (5th ed.)"
McGraw-Hill
[137]
문서
The best of times, the worst of times: The place of close relationships in psychology and our daily lives
https://www.research[...]
Canadian Psychology
2007
[138]
서적
Handbook of Closeness and Intimacy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39]
문서
Men Who Manage
Wiley
[140]
문서
Nonverbal Courtship Patterns in Women: Contact and Consequences
https://www.research[...]
Ethnology and Sociobiology
1985
[141]
서적
The Social Animal
Worth Publishers
[142]
서적
Prentice Hall human sexuality
https://books.google[...]
Prentice Hall
[143]
간행물
Intimate Adult Relationships,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https://www.research[...]
Social Indicators Research
[144]
저널
Can You Tell That I'm in a Relationship? Attachment and Relationship Visibility on Facebook
2014-09-17
[145]
서적
Intimacy: International Survey of the Sex Lives of People at Work
Palgrave
[146]
서적
Dimensions of Human Behavior: The Changing Life Course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147]
서적
How to Make Anyone Fall in Love with You
Element
[148]
서적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Blackwell Publishers Ltd.
[149]
간행물
Historical and cross-cultural perspectives on passionate love and sexual desire
https://www.tandfonl[...]
[150]
서적
Communication and the Emotional, Cognitive, and Relational Consequences of First Sexual Encounters in Heterosexual Dyad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151]
간행물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36
[152]
저널
A Brief Intervention to Promote Conflict Reappraisal Preserves Marital Quality Over Time
http://faculty.wcas.[...]
2013-06-26
[153]
웹인용
Long-Term, Intimate Partnerships Can Promote Unhealthy Habits
http://www.uc.edu/ne[...]
UC News online Aug, 18, 2011
2011-08-17
[154]
저널
The Promotion of Unhealthy Habits in Gay, Lesbian, and Straight Intimate Partnerships
http://www.asanet.or[...]
106th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155]
서적
The Cambridge Handbook of Personal Relationship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6]
서적
The Restorative Practices Handbook
https://archive.org/[...]
International Institute for Restorative Practic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