켈트 다신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켈트 다신교는 고대 켈트족의 종교로, 다양한 신들을 숭배하며, 로마 제국 시대에는 로마 문화와 융합되어 혼합주의적인 종교 형태로 발전했다. 켈트 다신교는 스스로에 대한 기록을 남기지 않았지만, 로마인과 그리스인의 기록, 고고학적 증거, 아일랜드와 웨일스 신화 등을 통해 연구된다. 켈트 다신교는 드루이드, 시인, 축제, 다양한 신화적 인물과 이야기를 포함하며, 현대에는 켈트 신이교주의라는 신이교 운동으로 부활하려는 시도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켈트 다신교 - 드루이드
드루이드는 고대 켈트 사회의 지식 계층으로, 종교적,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며 구전으로 지식을 전승했고, 현대에는 신드루이드교를 통해 재해석되고 있다. - 켈트 다신교 - 켈트의 별세계
켈트의 별세계는 켈트 신화에서 현실 세계와 다른 차원의 공간으로, 영원한 젊음, 아름다움, 풍요가 넘치고 시간의 흐름이 다른 곳으로, 켈트족은 고대 무덤, 웅덩이, 바다, 특히 서쪽 바다를 통해 들어갈 수 있다고 믿었으며, 신화 속 영웅들의 모험 장소이자 죽은 자의 영혼이 가는 곳으로, 사윈, 벨테인 축제와 같은 특정 시기에 현실과의 경계가 약해진다고 여겨진다. - 유럽의 기독교화 - 북방십자군
북방십자군은 12세기부터 16세기까지 발트해 연안의 이교도들을 대상으로 종교적 개종, 경제적 이득, 정치적 세력 확장을 목적으로 덴마크, 스웨덴, 독일 등의 북유럽 국가들이 주도한 침략 및 정복 전쟁이다. - 유럽의 기독교화 - 키예프 루스의 기독교화
키예프 루스의 기독교화는 9세기에서 10세기에 걸쳐 키예프 루스에서 기독교를 받아들인 과정으로, 블라디미르 1세에 의해 988년 공식적인 기독교 국교화로 절정에 달해 키예프 루스의 문화, 정치, 종교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켈트 신화 - 파르치팔
《파르치팔》은 볼프람 폰 에센바흐가 크레티앵 드 트루아의 작품을 각색한 중세 고지 독일어 서사시로, 파르치팔의 성배 탐색과 기사도, 사랑, 방황을 다루며 후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켈트 신화 - 스프리건
기괴한 외모를 가진 콘월 지방의 요정 스프리건은 묻힌 보물을 지키며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는 존재로, 옷을 뒤집어 입는 방법으로 퇴치할 수 있다고 전해진다.
켈트 다신교 | |
---|---|
개요 | |
![]() | |
유형 | 민족 종교, 다신교 |
종교 중심지 | 네메톤 (신성한 숲/성소) |
성직자 | 드루이드 |
관련 종교 | 원시 인도유럽 종교 |
신앙 | |
주요 신 | 데보스 에포나 그라니오스 렌코 마트레스 마폰 모리타투스 네할렌니아 노덴스 수켈루스 테우타테스 |
기타 주목할 만한 존재 | 아이네 아라우스오 바우보 베누스 카마 카무로스 케르눈노스 코리브란데 코벤티나 다누 데아 마트로나 데흐테레 디안 케흐트 고이디브니우 구그니우 굴 길바르투스 고반논 그라니아 글라스티그 그레이드바흐 로게 리아논 루 메이브 모드론 모리안 니아 님프 로스메르타 슬라이게흐 수아다일 스켄브 테흐두하 투이렌 |
경전 | 오감 트랙트 콜랭의 달력 산 파트리치오의 찬가 |
주요 원칙 | 환생 애니미즘 자연 숭배 조상 숭배 영웅적 이상 저승 |
역사 및 문화 | |
기원 | 원시 켈트족 |
지역 | 켈트족의 분포 지역 |
시대 | 철기 시대 |
소멸 | 기독교화 |
생존 | 켈트 재건주의 |
같이 보기 | |
관련 주제 | 켈트 신화 켈트 재건주의 드루이드 켈트족 원시 인도유럽 종교 |
2. 명칭
켈트 다신교는 스스로를 부르는 이름이 없었다. 로마인들은 그저 이교도로 불렀다. 뒷날 켈트 다신교의 승려 드루이드를 이들 종교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보아 드루이드교라는 이름이 생겼다. 드루이드는 인도유럽어족에서 나무를 뜻하는 어근인 드르(DR)에서 파생된 것으로 많은 학자들은 드루이드란 낱말이 나무의 왕에 대한 존경에서 생겨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참나무에서 자라는 겨우살이는 이들에게 권능을 주는 약초였다. 나무를 신성하게 여기는 것은 여러 아리안계 신화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데 북유럽 신화의 신성한 나무인 발데르, 로마 신화의 황금가지 등이 그것이다.[100]
켈트 다신교는 고대 켈트족의 종교로, 원시 인도유럽 다신교에서 파생되었다. 켈트 신화의 많은 신들은 다른 인도유럽 신화와 유사성을 보인다. 예를 들어 켈트의 브리간티아는 로마의 아우로라와 유사하며, 웨일스의 아리안로트는 그리스의 셀레네와 유사하다. 아일랜드의 다누는 힌두의 다누와 유사하며, 다뉴브강 등의 지명 어원이 되기도 한다.[10]
3. 역사
로마 제국이 갈리아(기원전 58–51년)와 남부 브리튼(43년)을 정복하면서 켈트교는 로마화되었고, 혼합적인 갈로-로마 종교가 나타났다. 갈리아인들은 3세기부터 점차 기독교로 개종했다. 브리튼에서의 로마 통치 종식(약 410년) 이후, 켈트교는 앵글로색슨 이교로 대체되었고, 켈트족은 5세기부터 기독교로 개종했다. 그러나 켈트교는 신화 등에 영향을 미쳤고, 20세기에 켈트 신이교주의의 기반이 되었다.
로마 제국 치하의 켈트 사회는 점진적인 기독교화 과정을 거쳤지만, 관련 자료는 거의 없다. 성 바오로의 ''갈라디아서''는 켈트 출신이 포함되었을 수도 있는 회중에게 보낸 편지였다.
로마에 정복되지 않은 아일랜드는 5세기부터 기독교화가 진행되었지만, 그 성격은 후대의 문서에서 추론할 수 있을 뿐이다.[3] 7세기 초, 교회는 아일랜드 드루이드를 불명예스럽게 만들었고, 전통 학문의 달인인 ''필리''(filidh)는 성직자들과 조화를 이루며 전통을 유지했다. 그러나 초기 방언 문학은 수도원 서사실에서 기록되어, 전통과 교회의 혁신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은 현대 학문의 과제이다.[3]
코르마크의 어휘집(c. 900년)에 따르면, 성 파트리치오는 ''필리''의 점술 의식을 추방했고, 교회는 동물 희생 등 기독교에 반하는 의식을 근절하려 노력했다.[4] 고대 의식에서 살아남은 것은 ''필리데흐트''와 신성한 왕권 관련 관습이었다. 왕과 주권의 여신 간의 신성 결혼(hierogamy), 즉 왕의 즉위식인 ''바나이스 리기''(banais ríghi, "왕권의 결혼")는 교회의 영향으로 의식에서 제거되었지만, 문학 전통에는 수세기 동안 남아 있었다.[4]
3. 1. 기원
켈트 다신교는 고대 켈트족이 행했던 종교로, 원시 켈트 다신교의 후손이며, 이는 다시 원시 인도유럽 다신교에서 파생되었다. 켈트 신화의 많은 신들은 다른 인도유럽 신화에서 동족 관계를 가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켈트의 브리간티아는 로마의 아우로라, 베다의 우샤스, 노르드의 아우르반딜과 유사하며, 웨일스의 아리안로트는 그리스의 셀레네, 발트의 메누오, 슬라브의 메세야츠와, 아일랜드의 다누는 힌두의 다누와 유사하며, 다뉴브강, 돈강, 드네프르강과 같은 여러 수계 지명의 어원이 되기도 한다.[10]
3. 2. 쇠퇴와 유산
로마 제국이 갈리아(기원전 58–51년)와 남부 브리튼(43년)을 정복한 후, 그곳의 켈트교는 로마화를 겪었고, 그 결과 레누스 마르스, 아폴로 그라누스, 텔레포루스와 같은 신들을 숭배하는 혼합적인 갈로-로마 종교가 나타났다.
갈리아인들은 3세기부터 점차 기독교로 개종했다. 브리튼에서의 로마 통치 종식(약 410년) 이후, 켈트교 이교주의는 앵글로색슨 이교로 대체되기 시작하여, 잉글랜드가 되었다. 브리튼과 아일랜드의 켈트족은 5세기부터 점차 기독교로 개종했다. 그러나 켈트교 이교주의는 많은 켈트 국가에 유산을 남겼으며, 신화에 영향을 미쳤고, 20세기에 새로운 종교 운동인 켈트 신이교주의의 기반이 되었다.
로마 제국 치하의 켈트 사회는 제국 나머지 지역과 유사한 방식으로 점진적인 기독교화 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제국 내 켈트인과 그들의 종교와 관련된 구체적인 문제에 대한 기독교 자료는 거의 없다. 성 바오로의 ''갈라디아서''는 켈트 출신이 포함되었을 수도 있는 회중에게 보낸 편지였다.
로마에 정복되지 않은 주요 켈트 국가인 아일랜드에서, 5세기부터 기독교로의 개종(기독교화)은 사회-종교 시스템에 필연적으로 심오한 영향을 미쳤지만, 그 성격은 훨씬 후대의 문서에서 추론할 수 있을 뿐이다.[3] 7세기 초까지 교회는 아일랜드 드루이드를 불명예스러운 무의미함으로 전락시키는 데 성공했으며, 전통적인 학문의 달인인 ''필리''(filidh)는 성직자들과 쉽게 조화를 이루며, 동시에 상당 부분의 기독교 이전 전통, 사회적 지위, 특권을 유지했다. 그러나 생존한 초기 방언 문학의 방대한 전체는 수도원 서사실에서 기록되었으며, 이는 쓰여진 텍스트에 반영된 전통의 연속성과 교회의 혁신 간의 상대적인 역할을 파악하는 현대 학문의 과제 중 하나이다.[3]
코르마크의 어휘집(c. 900년)은 성 파트리치오가 "악마"에게 제물을 바치는 ''필리''의 점술 의식을 추방했으며, 교회는 동물 희생과 기독교 가르침에 반하는 다른 의식을 근절하기 위해 특별한 노력을 기울였다고 전한다.[4] 고대 의식 관습에서 살아남은 것은 ''필리''의 전통적인 레퍼토리인 ''필리데흐트''와 신성한 왕권의 중심 기관과 관련되는 경향이 있었다. 좋은 예는 왕과 주권의 여신 간의 신성 결혼(hierogamy)에 대한 만연하고 지속적인 개념이다. 즉, 왕의 즉위의 핵심을 이루는 성적 결합 또는 ''바나이스 리기''(banais ríghi, "왕권의 결혼")는 교회의 영향으로 초기에 의식에서 제거된 것으로 보이지만, 문학 전통에서 수세기 동안 암묵적으로, 종종 매우 명시적으로 남아 있다.[4]
4. 문헌
켈트 다신교는 자체적인 기록을 남기지 않았고 남아있는 기록들은 매우 단편적이라[101][102] 연구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켈트 다신교 연구는 초기 기독교 문헌, 고대 로마인의 기록, 고고학적 발굴 성과에 의존한다.[103]
철기 시대 문화를 지녔던 켈트족들은 그리스 문자와 같은 문자를 사용할 줄 알았으나, 그들의 기록은 소실되었다. 켈트 다신교의 성직자인 드루이드들은 지식을 말로써만 전달했는데, 이는 비밀 유지를 위한 것이었다.[102]
고고학적 증거는 문헌 자료의 편견을 포함하지 않지만, 21세기 사고방식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여러 고고학적 발견은 켈트족 종교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대부분의 현존 켈트 미술은 구상적이지 않다. 일부 미술사학자들은 복잡하고 매력적인 장식 모티프에 종교적 의미가 있을 수 있다고 보지만, 그 의미는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현존하는 구상 기념 조각은 대부분 로마-켈트 시대의 것으로, 지방 로마 양식을 따르지만, 신으로 추정되는 인물들은 토르크를 착용하거나 로마화된 켈트 이름으로 보이는 로마 문자 비문이 있다. 파리 출토 선원 기둥은 많은 신의 형상을 담고 있으며, 티베리우스 황제(재위: 서기 14년)에게 헌정된 것으로 추정된다.
로마 정복 이전 기념비적 석조 조각은 드물며, 신을 표현했는지는 불분명하다. 히르슐란덴의 전사와 "글라우베르크 공자"(각각 기원전 6세기와 5세기, 독일 출토), 므셰케 제흐로비체 머리(기원전 2세기, 체코 출토), 남부 프랑스 오피둠인 로크페르투즈와 앙트르몽의 성소가 대표적이다. 켈트이베리아인의 "전사" 입상과 여러 지역 출토 석두도 있다. 초기 기념 조각은 무역을 통해 고전 세계와 접촉이 잦은 지역에서 발견된다. 나무 조각이 더 흔했을 가능성이 있다.
작은 머리 조각은 주로 금속 세공 장식으로 남아 있으며, 바스 유츠 플라곤처럼 종교적 의미를 가진 동물, 새도 있다.[18] 슈트렛베크 숭배 수레는 관제 또는 희생과 관련 있으며, 점에 사용된 금속 "스푼"도 발견되었다.
기원전 4세기 후반~정복 시대 켈트 주화는 그리스와 로마의 예를 모방하며, 머리와 말 모티프는 지역 종교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켈트족 땅인 갈리아, 레티아, 노리쿰, 브리타니아의 로마 속주 주화도 있다.
현존 기념물과 비문은 대부분 로마 시대로, 켈트 신과 로마 신 사이 혼합주의를 보인다. 형상과 모티프가 로마 이전 전통에서 유래해도, 관련 신화가 없어 해석이 어렵다. 케르눈노스는 뿔 달린 신으로, 묘사와 비문은 발견되었지만 관련 신화나 숭배 방식은 알려지지 않았다.
4. 1. 그리스-로마 자료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의 여러 작가들이 켈트족의 믿음과 관습에 대해 기록을 남겼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갈리아 전쟁기》에서 켈트족의 종교 관습을 언급했지만, 로마인의 관점에서 켈트족을 관찰하여 오류가 있을 수 있다.[104] 예를 들어 카이사르는 켈트족의 위커맨 관습을 인신공양으로 보았으나,[104] 이는 커다란 허수아비를 불태우는 축제일 뿐[105] 인신공양과는 관련이 없었다.이러한 자료들은 켈트족을 야만인[101]으로 묘사하는 등 로마의 시각에서 쓰여졌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106] 로마는 켈트족을 문명화되지 않은 존재로 묘사하여 정복의 당위성을 확보하려 했을 가능성이 있다.[22]
4. 2. 아일랜드-웨일스 자료
기독교가 전파된 뒤 중세 아일랜드와 웨일스에서 켈트 다신교는 신화와 전설의 형태로 남게 되었다. 웨일스의 마비노기온과 아일랜드 신화의 탄 보 후알크녀(Táin Bó Cúailnge|쿨리의 가축 약탈ga)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108]중세 수도원의 수사들에 의해 몇 세기에 걸쳐 쓰여진 아일랜드와 웨일스의 전설에서 켈트의 신들은 숭배 대상이 그리스도로 바뀜에 따라 신성을 잃고 역사적인 영웅의 모습으로 등장하게 되었다.[101] 켈트 종교에 대한 문학적 증거는 중세 시대에 아일랜드와 웨일스에서 기록된 자료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이 시기에는 전통적인 켈트 종교 관습이 멸종되고 오랫동안 기독교로 대체되었다. 아일랜드의 자료는 웨일스의 자료보다 더 훌륭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더 오래되었고 이물질의 오염이 덜하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자료는 서사시와 설화의 형태로, 기독교가 이 지역의 지배적인 종교가 된 지 여러 세기 후에 "이전의 이교도에 적대적이었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그것에 대해 무지했을 수도 있는" 기독교 수도승에 의해 기록되었다. 등장인물을 신으로 취급하는 대신, 역사적 영웅의 역할을 부여받아 때로는 초자연적 또는 초인적인 능력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아일랜드 자료에서 신들은 신화적인 투어허 데 다난 부족의 구성원이다.
전 기독교 시대의 진정한 잔향이나 공명을 담고 있다고 강력하게 주장할 수 있는 특정 텍스트를 골라낼 수 있지만, 이러한 텍스트가 음송 전통에서 보존된 음유 시인으로부터 파생된 실질적인 자료를 담고 있는지 또는 중세 수도원 전통의 창작물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5. 신앙
켈트 다신교는 여러 남신과 여신을 숭배하는 다신교였다. 그리스 신화, 리그 베다에 나오는 힌두교의 신들, 북유럽 신화처럼 인도유럽어족 신화에서 공통으로 발견되는 신들의 관계가 켈트 다신교에도 있었다. 켈트 신화의 신들은 선함, 밝음, 풍요 등을 관장하는 신들과 악함, 어둠, 빈곤을 가져오는 신들로 나뉘었다. 전자는 여신 다누를 중심으로 하는 "투어허 데 다넌"(다누의 가족)이라 불렸고, 후자는 돔누의 자식들로 "돔누의 신"이라 불렸다. 켈트인들은 이 신들과 더불어 "혼돈과 태고의 밤"의 거인들이 있다고 믿었다. 이 거인들은 동물의 머리에 기형적인 거대한 몸을 가졌다고 여겨졌으며, 신들보다 오래되었으나 결국 신들에게 굴복한다고 보았다. 이 거인들은 "포모르"라 불렸고, 이들의 왕은 죽음의 신 "발로르"였다.[109]
5. 1. 만신전
켈트 다신교는 여러 남신과 여신을 숭배하는 다신교였다. 200명이 넘는 켈트 신의 이름이 남아 있지만, 이들 중 많은 수는 동일한 신의 다른 이름, 지역 이름 또는 칭호였을 가능성이 높다. 켈트 신들은 지역마다 조금씩 다르게 불렸는데, 예를 들어 아일랜드의 루는 웨일스에서 "루구스"로 불렸다.켈트 다신교의 신들은 태양과 같은 자연에 신성을 부여한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다누와 같이 다른 정령들과 신들을 낳은 모신, 말의 여신인 에포나와 같은 여신들도 있었다. 한편,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면서 이들의 신들은 로마 신화의 신들 가운데 비슷한 상징을 지니는 신들과 동일한 것으로 여겨지게 되기도 하였다.
다양한 켈트 민족은 부족의 신이자 죽음의 신인 아버지 신(토우타티스가 그의 이름 중 하나일 가능성이 높음)과 땅, 대지 및 다산과 관련된 어머니 여신(마트로나가 그녀의 이름 중 하나일 가능성이 높음)을 가지고 있었다. 어머니 여신은 또한 부족과 그 땅의 수호신인 전쟁 여신의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었는데, 예를 들어 안드라스테가 있다.
천둥, 바퀴, 황소와 관련된 남성 천신—타라니스로 확인됨—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기술과 공예의 신으로는 범지역 신 루구스와 대장장이 신 고바노스가 있었다. 켈트 치유 신들은 종종 성스러운 샘과 관련이 있었는데, 시로나와 보르보가 그 예이다.
다른 범지역 신에는 뿔 달린 신 케르눈노스, 말과 다산 여신 에포나, 신성한 아들 마포노스뿐만 아니라 벨레노스, 오그미오스, 수켈로스가 있다.[4] 일부 신들은 삼중으로 여겨졌는데, 세 어머니가 그 예이다.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같은 일부 그리스-로마 작가들은 신의 켈트 원어 이름을 기록하지 않고 대신 로마 또는 그리스에 해당하는 신으로 언급했다. 그는 가장 널리 숭배받는 갈리아 신이 무역의 로마 신인 메르쿠리우스라고 선언하면서 그들이 또한 아폴론, 미네르바, 마르스 및 유피테르를 숭배했다고 말했다.[24] 카이사르는 갈리아인들이 그들 모두가 죽음과 지하 세계의 신의 후손이라고 믿었으며, 그는 그를 디스 파테르와 같다고 했다.
덴마크 유틀란드에서 발견된 군데스트룹 가마솥에는 사슴뿔이 난 신이 새겨져 있는데, 많은 고고학자들은 이 신을 케르눈노스와 관련이 있다고 해석한다.

5. 2. 토속 신앙
켈트인들은 자연만물에 정령이 깃들어 있다고 여기는 애니미즘적인 신앙을 갖고 있었다.[110] 이는 한국의 무, 일본의 신토 등과 비견될 수 있다.바위, 시냇물, 산, 나무와 같은 장소는 모두 그곳에 거주하는 신에게 바쳐진 신사나 제물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이들은 범켈트족의 다신교 신들과는 달리 신사 근처에 사는 주민들에게 알려지고 숭배받는 지역 신들이었을 것이다. 켈트 종교에서 나무의 중요성은 에부로네스 부족의 이름 자체가 주목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고, 맥 퀼린(Mac Cuilinn)(호랑가시나무의 아들) 및 맥 이바르(Mac Ibar)(주목의 아들)와 같은 이름이 아일랜드 신화에 나타난다는 사실로 알 수 있다. 아일랜드에서는 지혜가 지혜의 우물(''토바르 세가이스(Tobar Segais)'')을 둘러싼 나무의 개암을 먹는 연어로 상징되었다.
초기 켈트 미술에 등장하는 비교적 적은 수의 동물 조형물에는 많은 물새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이 공중, 물, 땅 위를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은 켈트족 사이에서 특별한 지위 또는 중요성을 부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 예로는 토르스 포니 캡과 뿔(Torrs Pony-cap and Horns)(스코틀랜드), 바스 유츠 플라곤(Basse Yutz Flagons)(프랑스), 원즈워스 방패(Wandsworth Shield)(잉글랜드), 두나버니 육고리(Dunaverney flesh-hook)(청동기 시대 말 아일랜드)가 있다.
6. 종교 관습
켈트족은 자연, 가정 등 다양한 장소에서 신들에게 제물을 바치는 종교 관습을 가지고 있었다.
=== 신성한 장소 ===
켈트족은 네메톤이라 불리는 신성한 숲이나 빈터에서 종교 의식을 행했다. 그리스-로마 기록에는 켈트족이 신성한 숲에서 숭배했다는 내용이 있지만,[36] 고고학적 증거는 부족하다.[37] 골족의 경우 부르고뉴 센 강 근원의 세콰나 성소와 클레르몽페랑 근처 샤말리에르와 같이 특정 샘은 신성하게 여겨져 숭배 장소로 사용되었으며, 나무 조각 서원이 많이 발견되었다.[38]
철기 시대 갈리아, 벨기카, 브리튼의 켈트족은 사각형 또는 원형 목조 건물을 포함하는 사원을 지었고, 남부 독일 동쪽의 켈트족은 ''비어에크샨체''라는 직사각형 해자 울타리를 지었다.[39] 아일랜드에서는 종교 건물과 울타리가 원형이었으며, 타라 언덕(''테마르'')과 네반 요새(''에번 마차'')가 대표적인 예이다.[40] 로마 제국이 켈트족 땅을 정복했을 때, 초기 철기 시대의 신성한 장소가 재사용되어 그 위에 로마 신전이 세워지는 경우가 많았다.[41]
=== 제물 ===
켈트족은 신에게 기원물을 바쳤는데, 땅에 묻거나 강, 늪에 던졌다. 전쟁과 관련된 물품을 물이 있는 지역에 바치는 경향이 있었으며, 템스강의 배터시 방패, 원즈워스 방패, 워털루 투구와 같이 제작에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고 비쌌을 명품들이 그 예시이다.[43] 때로는 전쟁과 관련이 없는 보석 및 기타 고급 품목도 의례적인 맥락에서 기증되었다.[44]
=== 동물 희생 ===
고대 켈트인들은 가축이나 노동 동물을 희생하는 의식을 행했다.[45] 대 플리니우스는 드루이드가 두 마리의 흰 황소를 희생하고, 신성한 참나무에서 황금 낫으로 겨우살이를 잘라 비약을 만드는 의식을 수행했다고 기록했다.[46] 아일랜드 신화에는 황소를 희생하고 예언자가 황소 가죽 안에서 잠을 자 미래 왕에 대한 환상을 얻는 주술 의식인 ''타르브페이스''(황소 잔치)가 묘사되어 있다.[50]
=== 인신 공양 ===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 자료에는 켈트족이 인신공양을 했다는 기록이 있다.[53] 율리우스 카이사르[54]와 스트라보는 갈리아족이 위커맨이라 불리는 거대한 버들가지 형상에 동물과 인간을 넣어 불태웠다고 기록했다. 그러나 역사가들은 이러한 그리스-로마 기록을 주의해서 받아들여야 한다고 지적한다.[59] 켈트족 사이에서 인신공양의 고고학적 증거는 일부 존재하지만, 드문 경우이다.[53]
=== 머리 숭배 ===
켈트족은 인간의 머리 도상을 종교에서 중요하게 여겼던 것으로 보이며, 이를 "머리 숭배"[63] 또는 "잘린 머리 숭배"라고 부르기도 한다.[64] 켈트족은 로마인과 그리스인 사이에서 참수를 하는 민족으로 알려졌다. Mšecké Žehrovice와 Corleck 머리가 그 예시이다.[71]
6. 1. 신성한 장소
켈트족은 네메톤이라고 불리는 신성한 숲이나 빈터에서 종교 의식을 거행했다. 그리스-로마 기록에는 켈트족이 신성한 숲에서 숭배했다는 내용이 있으며, 타키투스는 그의 병사들이 "야만적인 의식에 신성한 숲"을 베어냈다고 묘사했다.[36] 그러나 이러한 숲은 고고학적 기록으로 남아있지 않아 직접적인 증거는 없다.[37] 특정 샘은 신성하게 여겨져 숭배 장소로 사용되었다. 골족의 예로는 부르고뉴 센 강 근원의 세콰나 성소와 클레르몽페랑 근처 샤말리에르가 있으며, 이곳에서는 나무 조각 서원이 많이 발견되었고 일부는 금속으로 만들어졌다.[38]철기 시대에 갈리아, 벨기카, 브리튼의 켈트족은 사각형 또는 원형 목조 건물을 포함하는 사원을 지었고, 보통 직사각형 울타리 안에 설치되었다. 남부 독일 동쪽의 켈트족은 ''비어에크샨체''라는 직사각형 해자 울타리를 지었는데, 어떤 경우에는 깊은 샤프트에 서원물을 묻는 신성한 공간이었다.[39] 아일랜드에서는 종교 건물과 울타리가 원형이었다. 배리 컨리프는 "아일랜드 종교 유적의 기념비성은 영국 및 유럽 대륙의 유적과 구별된다"고 했으며, 타라 언덕(''테마르'')과 네반 요새(''에번 마차'')가 대표적인 예이다.[40]
로마 제국이 켈트족 땅을 정복했을 때, 초기 철기 시대의 신성한 장소가 재사용되어 그 위에 로마 신전이 세워지는 경우가 많았다.[41] 로마-켈트 신전(파눔|fanumla)은 제국 북서부 켈트 지역에서만 발견되며, 고전적인 로마 신전과 달리 초기 켈트 목조 신전의 영향을 크게 받은 배치를 보인다.[42]
6. 2. 제물
켈트족은 신에게 기원물을 바쳤는데, 이는 땅에 묻거나 강, 늪에 던졌다. 배리 컨리프에 따르면, 같은 장소에 여러 차례 기원물을 두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특정 사건이 과거에 발생했거나, 진행 중이어서 속죄적인 응답을 요구할 때, 계절별로 또는 일정 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사용했음을 나타낸다.[43]특히 전쟁과 관련된 물품을 물이 있는 지역에 바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증거는 켈트 지역뿐만 아니라 켈트 이전 사회와 켈트 지역 밖에서도 발견된다. 예를 들어, 남부 잉글랜드의 템스강에는 배터시 방패, 원즈워스 방패, 워털루 투구와 같이 제작에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고 비쌌을 명품들이 많이 보관되어 있었다.[43] 웨일스 앵글시의 린 케릭 바흐에서는 주로 전투와 관련된 기원물이 기원전 1세기 말 또는 서기 1세기 초에 호수로 던져졌다.[43]
때로는 전쟁과 관련이 없는 보석 및 기타 고급 품목도 의례적인 맥락에서 기증되었다. 라인란트의 니더지어에서는 금으로 만든 45개의 동전, 두 개의 토크 및 팔찌가 담긴 그릇이 묻혀 있었고, 이와 유사한 기증물이 켈트 유럽의 다른 곳에서도 발견되었다.[44]
6. 3. 동물 희생
고대 켈트인들은 가축이나 노동 동물을 희생하는 의식을 행했다.[45] 이러한 의식은 생명력을 다른 세계로 옮겨 신들을 기쁘게 하고, 세계 간의 소통 채널을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여겨졌다. 동물 희생은 감사, 기원, 건강과 다산, 점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45] 신에게 온전히 바쳐진 동물은 묻거나 태웠고, 일부는 신과 인간이 함께 나누어 먹었다.[45]대 플리니우스는 드루이드가 두 마리의 흰 황소를 희생하고, 신성한 참나무에서 황금 낫으로 겨우살이를 잘라 불임과 독을 치료하는 비약을 만드는 의식을 수행했다고 기록했다.[46]
고고학자들은 일부 갈리아와 영국 성소에서 말과 소를 죽여 그 몸 전체를 조심스럽게 묻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구르네-쉬르-아론드에서는 동물의 뼈와 부러진 무기를 성소 경계 주변에 묻기 전에 동물이 부패하도록 놔두었다.[47] 이는 약 10년 간격으로 반복되었다.[48] 캐드버리 성에서는 동물 구덩이 매장 길이 신성한 건물로 이어졌다.[48] 영국 남부의 일부 부족들은 말과 개를 곡물 저장 구덩이에 조심스럽게 묻었는데, 이는 저장소 사용 기한이 다했을 때 지하 세계 신들에게 바치는 감사 제물로 여겨진다.[49]
아일랜드 신화에는 황소를 희생하고 예언자가 황소 가죽 안에서 잠을 자 미래 왕에 대한 환상을 얻는 주술 의식인 ''타르브페이스''(황소 잔치)가 묘사되어 있다.[50]
노르만 아일랜드 침공 이후, 웨일스의 제럴드는 타이르코넬의 아일랜드 왕들이 말 희생으로 즉위했다고 기록했다. 그는 흰 암말을 희생하여 국물로 요리하고 왕이 그 안에서 목욕하고 마셨다고 썼는데,[51] 이는 아일랜드인들을 야만적으로 묘사하려는 선전으로 간주되기도 한다.[52] 그러나 스칸디나비아와 인도에서도 왕권과 관련된 유사한 말 희생에 대한 언급이 드물게 있어 (아슈바메다 참조), 어느 정도 진실이 있을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51]
6. 4. 인신 공양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 자료에는 켈트족이 인신공양을 했다는 기록이 있다.[53] 율리우스 카이사르[54]와 스트라보는 갈리아족이 위커맨이라 불리는 거대한 버들가지 형상에 동물과 인간을 넣어 불태웠다고 기록했다. 이때 인간 희생자는 주로 범죄자였다고 한다. 포세이도니우스는 인신공양을 감독한 드루이드가 희생자의 죽어가는 몸짓을 보고 미래를 예언했다고도 기록했다.[55] 카이사르는 또한 갈리아족 족장의 노예들이 주인의 시신과 함께 장례식의 일부로 불태워졌다고 기록했다.[56] 1세기 로마 작가 루카누스는 갈리아 신인 에수스, 토우타티스, 타라니스에게 인신공양을 했다고 언급했다. 루카누스에 대한 4세기 주석에서 익명의 저자는 에수스에게 바치는 희생자는 나무에 교수형으로, 토우타티스에게 바치는 희생자는 익사형으로, 타라니스에게 바치는 희생자는 화형으로 처해졌다고 덧붙였다.[57] 2세기 로마 작가 카시우스 디오는 부디카의 군대가 로마의 브리타니아 침공에 대항한 반란 기간 동안 로마 포로를 꿰뚫었으며, 이는 안다테의 신성한 숲에서 축제와 제사를 지내면서 이루어졌다고 기록했다.[58] 그러나 역사가들은 이러한 그리스-로마 기록을 주의해서 받아들여야 한다고 지적한다. 켈트족을 야만적으로 보이게 하는 것이 그들에게 유리했기 때문이다.[59]켈트족 사이에서 인신공양의 고고학적 증거는 일부 존재하지만, 드문 경우이다.[53] 의례적 참수와 두개골 사냥은 고고학에서 많은 증거를 찾을 수 있는 주요 종교 및 문화 관습이었다. 여기에는 런도니움의 월브룩 강에서 발견된 많은 두개골과 고르네-쉬르-아론드의 갈리아 신전에서 발견된 머리 없는 시신이 포함된다.[60]
고대 아일랜드의 여러 늪 시체는 의례적으로 살해된 왕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이는 심각한 작황 부진이나 기타 재앙 이후에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부는 영토 경계(경계 지점으로 여겨짐) 또는 왕실 즉위 장소 근처의 늪에 안치되었으며, 일부는 의례적인 마지막 식사를 한 것으로 밝혀졌다.[61][62]
6. 5. 머리 숭배
켈트족은 인간의 머리 도상을 종교에서 중요하게 여겼던 것으로 보인다. 이를 "머리 숭배"[63] 또는 "잘린 머리 숭배"라고 부르기도 한다.[64]켈트족은 로마인과 그리스인 사이에서 참수를 하는 민족으로 알려졌다. 기원전 1세기에 그리스 역사가 포세이도니우스와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켈트족 전사들이 전투에서 죽은 적의 머리를 베어 말의 목에 걸고 집 밖에 못 박아두었다고 기록했다.[63][65] 스트라보는 켈트족이 가장 존경받는 적의 머리를 삼나무 기름으로 미라로 만들어 전시했다고 썼으며,[63][66] 로마 역사가 리비우스는 보이족이 패배한 로마 장군의 해골에 금을 입혀 의식용 잔으로 사용했다고 썼다.[63]
고고학자들은 남부 갈리아인들이 머리를 미라로 만들고 전시했다는 증거를 발견했다.[67][68] 남부 갈리아 유적지인 앙트르몽에는 해골이 새겨진 기둥이 있었는데, 그 안에는 인간 해골이 못 박혀 보관되어 있었고, 그 중 15개가 발견되었다.[69] 켈트 지역에서는 여러 개의 얼굴을 가진 조각 석두가 발견되기도 한다.[70] Mšecké Žehrovice와 Corleck 머리가 그 예시이다.[71]
존 T. 코크는 머리를 보존하고 전시하기 위해 기울인 노력과 잘린 머리가 나타나는 빈도가 종교적 중요성을 시사한다고 말한다.[63] 배리 컨리프는 켈트족이 "머리의 힘에 대한 존경심"을 갖고 있었고 "뛰어난 머리를 소유하고 전시하는 것은 죽은 사람의 힘을 유지하고 통제하는 것"이라고 믿었다.[72] 고고학자 앤 로스는 "켈트족은 머리를 신성과 다른 세계의 힘의 상징으로 숭배했으며, 머리를 가장 중요한 신체 부위, 즉 영혼의 자리로 여겼다"고 주장했다.[73]
7. 사제
켈트 다신교의 사제는 드루이드라고 불렸으며, 이들은 "떡갈나무를 아는 것"이란 뜻을 지녔다.[113] 이들은 종교 의식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별도의 문헌을 남기지 않고 구전으로만 자신들의 지식을 전수하였다.[114] 로마의 기록에는 종종 드루이드들이 날씨와 바람을 바꾸고 마법을 부렸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이들이 인신공양을 하였다고 되어 있다.[115] 로마의 작가 루카누스는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드루이드의 제의 장소를 발견한 경위에 대해 설명하면서 드루이드들이 깊은 숲 속에서 나무를 경배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115]
7. 1. 드루이드
드루이드는 켈트 다신교의 사제로, 귀족과 같은 존중을 받았다. "떡갈나무를 아는 것"이라는 뜻을 지닌 드루이드는 별도의 문헌을 남기지 않고 구전으로만 지식을 전수하였다.[114] 로마의 기록에는 드루이드가 날씨와 바람을 바꾸는 마법을 부리고 인신공양을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115]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드루이드의 제의 장소를 발견한 경위를 설명한 로마 작가 루카누스는, 드루이드들이 깊은 숲 속에서 나무를 경배하였다고 기록하였다.[115]
율리우스 카이사르,[76] 키케로,[77] 타키투스,[78] 대 플리니우스[79] 같은 그리스-로마 작가들은 갈리아와 브리튼 사회에서 마법-종교 전문가 집단인 드루이드를 매우 존경했다고 기록했다. 카이사르의 기록에 따르면, 드루이드는 "신성한 숭배, 사적 또는 공적인 제사의 적절한 수행, 그리고 의례적 질문의 해석"을 담당했으며, 위커 맨 태우기와 같은 인신 제사를 주관했다.[76] 그러나 많은 역사가들은 이러한 기록이 편향되거나 부정확하다고 비판한다.[81][82] 아일랜드 민간 전승 자료에서도 드루이드는 사제이자 저주와 점술에 사용하는 초자연적인 힘을 가진 마법사로 묘사되며, 기독교의 도래에 반대하는 인물로 그려진다.[83]
피터 베레스포드 엘리스는 드루이드를 인도의 브라만 카스트와 동등한 존재로 여겼고,[84] 앤 로스는 부족 사회의 샤먼과 유사한 부족 사제로 보았다.[85] 반면, 로널드 허튼은 고대 드루이드에 대해 알려진 것이 거의 없으며, 전설적인 인물에 가깝다는 견해를 보였다.[86]
7. 2. 시인
아일랜드에서 필리는 예지력 있는 시인이었는데, 많은 사람들이 지식 보존, 운율, 방대한 양의 시 암송과 관련된 바테스와 혼동한다. 그들은 또한 마법사였는데, 아일랜드 마법은 본질적으로 시와 연결되어 있으며, 재능 있는 시인의 풍자는 풍자당하는 사람에게 심각한 저주였다.[87] 아일랜드에서 "바드"는 ''필리''보다 낮은 등급의 시인으로 간주되었으며, 마법 능력을 가진 영감을 받은 예술가라기보다는 음유시인이자 암송가에 가까웠다. 웨일스 전통에서 시인은 항상 "바르드"라고 불린다.켈트 시인은 등급에 관계없이 찬가와 풍자의 작가였으며, 주요 임무는 영웅과 그들의 업적에 대한 시를 짓고 낭송하며 후원자의 계보를 암송하는 것이었다. 그들의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야기, 시, 노래를 통해 후원자의 명성을 높이는 것이 필수적이었다. 서기 1세기, 라틴 작가 루카누스는 "바드"를 갈리아와 브리튼의 민족 시인 또는 음유시인이라고 언급했다.[88] 로마 갈리아에서는 이 제도가 점차 사라졌지만, 아일랜드와 웨일스에서는 유럽 중세 시대까지 살아남았다. 웨일스에서는 시인이자 위조자인 이올로 모건워크에 의해 바드 질서가 부활하고 성문화되었다. 이 전통은 웨일스 문학 사회의 모든 수준에서 열리는 많은 에이스트페드포드를 중심으로 지속되어 왔다.
8. 축제
켈트족은 일 년에 네 번의 축제를 열었다.[102] 현재 알려진 켈트의 종교적 축제는 아일랜드섬에서 행하여진 것들이다.
켈트족은 10월 31일에는 핼러윈 축제의 기원이 된 "샤빈의 날(삼하인)"을, 2월 1일에는 봄맞이 축제인 "임볼크"를, 5월 1일에는 베레누스를 기념하고 노동절의 기원이 된 "벨턴(벨테인)"을, 8월에는 루 라바다를 기리는 "루나사드"를 열었다.[102]
가장 오래된 켈트 달력은 2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콜리니 달력으로, 갈로-로마 시대에 속한다. 고대 켈트족이 어떤 종교 축제를 열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섬 켈트족은 중세 게일족에게 벨테인, 루그나사드, 사윈, 임볼크로 알려진 네 개의 계절 축제를 기념했다.
8. 1. 샤빈 (삼하인)
켈트 달력에서 새해는 11월 1일이었고 그 전날인 10월 31일 "샤빈의 날(삼하인)"은 까치설날과 같은 것이었다. 샤빈의 날은 오늘날 핼러윈 축제의 기원이 되었다.[111]
8. 2. 임볼크
아일랜드섬에서 2월 1일에 열린 봄맞이 축제이다.[102] 중세 게일족에게 임볼크는 벨테인 (5월 1일), 루그나사드 (8월 1일), 사윈 (11월 1일)과 함께 4대 계절 축제 가운데 하나였다.8. 3. 벨테인
5월 1일에 열리는 벨테인은 베레누스를 기념하는 축제였다. 5월의 첫날을 기념하는 이 축제는 근대에까지 이어져 메이 데이로 기념되었다. 1886년 5월 1일 미국의 시카고에서는 메이 데이를 맞아 8만여명의 노동자들이 8시간 노동제를 요구하는 시위를 벌이다 진압 경찰의 총격을 받았다. 이후 메이 데이는 노동절로 기념되고 있다.[112] 특히 벨테인은 중세 아일랜드 작가들에 의해 고대 기원으로 여겨진다.8. 4. 루나사드
8월에 열리는 루나사드는 루 라바다를 기리는 축제였다.[102] 중세 아일랜드 달력의 축일 가운데 일부는 선사 시대 축제에서 유래되었을 것이라고 추측되기도 하는데, 특히 콜리니 달력에서 발견되는 용어와 비교하여 그렇다. 섬 켈트족은 루그나사드 (8월 1일)를 기념했다. 킬로글린 퍼크 페어는 루그나사드의 생존물로 보인다.[91]9. 신화
켈트 다신교는 여러 신들을 숭배하면서 이들과 관련된 신화를 남겼다. 켈트 신화는 게르만 신화와 함께 유럽 문화의 근간을 이루는 신화이다.[116] 이들 신화는 이후 유럽의 전설과 동화의 근간을 이루게 되었다.
9. 1. 아일랜드 신화
기독교가 전파된 뒤 중세의 아일랜드와 웨일스에서 켈트 다신교는 신화와 전설의 형태로 남게 되었다. 웨일스의 마비노기온과 아일랜드 신화의 탄 보 후알크녀(Táin Bó Cúailnge|쿨리의 가축 약탈ga)등이 있다.[108]숭배의 대상이 켈트의 여러 신들에서 그리스도로 바뀐지 한참이 지나 중세 수도원의 수사들에 의해 몇 세기에 걸쳐 쓰여진 아일랜드와 웨일스의 전설에서 켈트의 신들은 신성을 잃고 역사적인 영웅의 모습으로 등장하게 되었다.[101]
아일랜드 신화는 크게 보아 4단계의 시대로 구분된다. 아래의 시대 구분 가운데 엄밀한 의미의 신화는 신화 시대로 국한되지만 이후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이야기들에서도 켈트 신화의 세계관이 담겨 있어 티르 나노그에 있는 신들이 종종 등장한다.[117]
- 신화 시대 : 여섯 종족이 차례로 아일랜드로 와서 정복하는 이야기. 다섯 번째로 아일랜드를 차지한 신족인 투어허 데 다넌은 인간인 게일족의 영웅들에게 패하고 이후 아일랜드는 인간의 세상이 된다.
- 얼스터 시대: 얼스터 지역을 중심으로 코누와 왕이 다른 지역과 싸운 영웅담이다. 그의 무사 쿠훌렌의 영웅담과 쿨린의 가축 약탈 이야기가 유명하다.
- 피아나 기사단: 피아나 기사단의 단장 피아나와 그의 아들 오신의 모험담
- 역사시대 : 기독교 전래 이후 3세기에서 1,000년 무렵까지의 역사 인물들이 등장하는 모험담
9. 2. 아서 왕 전설
아서 왕 이야기는 기독교 전래 후에 완성되었지만, 켈트 신화에 뿌리를 두고 있다.[116] 웨일스 신화에서 급작스럽게 부각된 아서 왕은 초기에는 여러 영웅들과 동격으로 다루어졌으나, 이후에는 켈트의 신들 마저 부하로 복속시키는 초월적인 존재로 서술된다.[118]참조
[3]
서적
A History of Pagan Europe
Routledge
1995
[4]
간행물
The Celtic World
Routledge
2012
[10]
서적
The Oxford Introduction to Proto-Indo-European and the Proto-Indo-European World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06-08-24
[11]
서적
Exploring the world of the druids.
Thames & Hudson
2005
[18]
서적
Celtic Art in Europe: Making Connections
https://books.google[...]
Oxbow Books
2014
[22]
서적
The Encyclopedia of World Mythology
Parragon
1999
[24]
문서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25]
웹사이트
Introduction
http://www.juliettew[...]
2000
[29]
서적
Gods and Heroes of the Celts
Turtle Island Foundation, Berkeley, CA
1982
[30]
서적
A History of Pagan Europe
Routledge
1995
[31]
서적
Animals in Celtic Life and Myth
Routledge
1992
[34]
간행물
The Celts
[36]
문서
Annales
[37]
인용
[38]
인용
[39]
인용
[40]
인용
[41]
인용
[42]
서적
Roman Cult Images: The Lives and Worship of Idols from the Iron Age to Late Antiqu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43]
인용
[44]
인용
[45]
서적
Animals in Celtic Life and Myth
Routledge
2002
[46]
인용
[47]
인용
[48]
인용
[49]
인용
[50]
인용
[51]
인용
[52]
백과사전
Feis
Routledge
[53]
인용
[54]
서적
Gaius Julius Caesar 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 – Book VI:16, translated by W. A. McDevitte and W. S. Bohn, New York: Harper & Brothers, 1869
http://www.forumroma[...]
[55]
인용
[56]
서적
Gaius Julius Caesar 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 – Book VI:19, translated by W. A. McDevitte and W. S. Bohn, New York: Harper & Brothers, 1869
http://www.forumroma[...]
[57]
서적
Dictionary of Celtic Religion and Culture
Boydell & Brewer
1997
[58]
웹사이트
Roman History, Cassius Dio, p. 95 ch. 62:7, Translation by Earnest Cary, Loeb classical Library
https://penelope.uch[...]
2007-05-24
[59]
서적
The Barbarians Speak: How the Conquered Peoples Shaped Roman Europ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60]
간행물
[61]
서적
The Archaeology of Violence
SUNY Press
2013
[62]
학술지
The Dark Secrets of the Bog Bodies
https://www.academia[...]
Clear Media
2015-03
[63]
인용
[64]
서적
Druids: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65]
서적
History
[66]
서적
Geographica
[67]
학술지
Embalmed heads of the Celtic Iron Age in the south of France
2019
[68]
뉴스
The Gauls really did embalm the severed heads of enemies, research shows
https://www.theguard[...]
2018-11-07
[69]
인용
[70]
인용
[71]
뉴스
A history of Ireland in 100 objects: Corleck Head
https://www.irishtim[...]
The Irish Times
2023-06-05
[72]
논문
[73]
논문
[74]
서적
The Gods of the Celts
[75]
논문
[76]
문서
De bello gallico
[77]
문서
De divinatione
[78]
문서
Annales
[79]
문서
Historiae naturalis
[80]
논문
[81]
서적
The Druids
Thames & Hudson
[82]
논문
[83]
논문
[84]
서적
The Druids
Constable
[85]
서적
Pagan Celtic Britain
Routledge
[86]
서적
The Druids
Hambledon Continuum
[87]
웹사이트
The Brehon Laws
https://irishfolklor[...]
2018-09-02
[88]
문서
Pharsalia
[89]
서적
The wisdom of the outlaw: the boyhood deeds of Finn in Gaelic narrative tradi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90]
웹사이트
Beltane
https://www.britanni[...]
2021-03-08
[91]
웹사이트
The pagan origins of King of the goat's Puck Fair
http://www.irishcent[...]
2020-10-29
[92]
웹사이트
Well Dressing and Well Flowering Customs in England
https://www.historic[...]
2021-03-08
[93]
웹사이트
Clootie Wells: The Celtic Wishing Trees
https://www.amusingp[...]
2021-03-08
[94]
웹사이트
The Naomhóg of Inishkea
https://atlanticreli[...]
2013-09-01
[95]
웹사이트
Inishkea Islands in Co. Mayo in the West of Ireland
http://www.mayo-irel[...]
2021-03-08
[96]
웹사이트
Wedding Day Traditions
http://www.askabouti[...]
2021-03-08
[97]
웹사이트
Wren Day: An Ancient Irish Christmas Tradition That Survives to This Day
https://oldmooresalm[...]
2019-12-19
[98]
웹사이트
The Honest Truth: A spooky step back in time to skekling, Shetland's ancient form of Halloween guising
https://www.sundaypo[...]
2020-10-30
[99]
서적
Twilight of the Celtic Gods: An Exploration of Britain's Hidden Pagan Traditions
http://www.whitedrag[...]
[100]
서적
켈트 신화와 전설
황소자리
[101]
서적
Exploring the world of the druids
Thames & Hudson
[102]
서적
Mythology
Little Brown & Company
[103]
서적
Mythology
Little Brown & Company
[104]
서적
The Gallic War
[105]
웹사이트
WICKER-MAN
http://www.gallica.c[...]
2010-04-05
[106]
서적
The Encyclopedia of World Mythology
Parragon
1999
[107]
서적
재미있는 파리 역사 산책
북폴리오
2004
[108]
서적
켈트 신화와 전설
황소자리
2009
[109]
서적
켈트 신화와 전설
황소자리
2009
[110]
서적
Animals in Celtic life and myth
Routledge
1992
[111]
서적
안개너머의 나라 캘트의 속삭임
여름언덕
2004
[112]
서적
메이데이 100년의 역사
서해문집
2004
[113]
서적
황금가지 1권
을유문화사
[114]
서적
The Druids
HambledonContinuum
2007
[115]
서적
유럽의 정복자 켈트족
가람기획
2004
[116]
서적
신화적 상상력과 문화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117]
서적
안개너머의 나라 캘트의 속삭임
여름언덕
2004
[118]
서적
켈트 신화와 전설
황소자리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