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플라톤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라톤주의는 플라톤 철학을 따르는 사상으로, 이데아론을 핵심으로 한다. 이데아는 영원불변의 완벽한 유형이며, 감각 세계의 대상은 이를 불완전하게 모방한 것이다. 플라톤주의 윤리학은 좋음의 이데아에 기반하며, 덕은 지식이며 좋음의 최고 이데아를 인식하는 것이다. 고대부터 중세, 근대를 거쳐 현대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아카데미아, 신플라톤주의, 케임브리지 플라톤주의 등이 그 예시이다. 플라톤주의는 기독교, 이슬람, 영지주의 등 다양한 종교와 철학에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 철학에서는 추상 객체 이론으로도 이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플라톤주의 - 기게스의 반지
    기게스의 반지는 리디아의 목동 기게스가 발견한 투명해지는 반지를 통해 권력과 부도덕성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던지는 고대 그리스 이야기로, 플라톤의 『국가』에 등장하며 정의와 불의, 인간 본성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낸다.
  • 플라톤주의 - 추덕
    추덕은 신중, 용기, 절제, 정의의 네 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된 윤리적 가치로서,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유래하여 예술과 문학에서 표현되었으며 현대 사회에서도 기여할 잠재력이 있지만 시대적 한계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철학 - 개념
    개념은 사물이나 사상의 추상적인 일반화 또는 표상으로,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고 명사로 표현되며, 추상적 객체 또는 정신적 표상으로 여겨지는 존재론적 지위와 함께 철학, 심리학, 언어학 등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된다.
  • 철학 - 플라토닉 러브
    플라토닉 러브는 성적 요소 없이 깊은 애정과 우정을 나누는 관계를 뜻하며, 플라톤의 에로스 개념에서 시작되었으나 르네상스 시대 이후 비성적 이성애적 사랑으로 재해석되어 현대에는 깊은 유대감, 특히 퀴어플라토닉 관계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사랑과 우정의 경계가 모호하고 한국 사회에서는 널리 알려지지 않은 개념이다.
플라톤주의
플라톤주의
라파엘의
라파엘의 "아테네 학당"에 있는 플라톤, 1509년
인물
관련 인물플라톤
개요
내용플라톤의 생애
저작 전집
플라톤주의
인식론
정치 철학
플라톤의 실재론
개념 및 이론
핵심 개념이데아론
선의 이데아
사원덕
혼의 삼분설
상기설
시인 추방론
국제 분류 (플라톤)
혼합제
철인왕
밤의 회의
고귀한 거짓말
우화 및 비유
주요 우화규게스의 반지
국가의 배
태양의 비유
선분의 비유
동굴의 비유
에르의 신화
마차의 비유
데미우르고스
후대의 인용 및 비평
주요 논점에우티프론의 딜레마
제3의 인간 논증
플라톤의 문제
플라톤의 입체
수학적 플라토니즘
외송 이론
우주 영혼
아틀란티스
플라토닉 러브
열린 사회와 그 적
관련 항목
관련 주제아카데메이아
소크라테스 문제
플라톤 주해
플라톤의 쓰여지지 않은 교설
중기 플라톤주의
신플라톤주의
신플라톤주의와 기독교
플라톤 아카데미

2. 철학

플라톤 철학의 핵심은 이데아론이다.[6] 이데아는 영원불변하고 완벽한 유형으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감각 세계의 대상들은 이데아를 불완전하게 모방한 것에 불과하다.[6] 이데아의 수는 감각의 특정 대상에서 파생될 수 있는 보편적 개념의 수에 따라 정의된다.[6]

플라톤의 ''국가'' 5권에서 소크라테스는 글라우콘과의 대화를 통해 이데아론을 설명한다. 아름다운 것과 추한 것은 반대이므로 둘이지만, 각각은 하나다. 정의로운 것과 부당한 것, 선과 악 등 모든 이데아도 마찬가지다. 이데아 자체는 하나이지만, 행동, 육체 등과 관련하여 여러 곳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많아 보인다. 시각과 소리를 사랑하는 사람들은 아름다운 소리, 색깔, 모양 등을 좋아하지만, 아름다움 자체의 본질은 파악하지 못한다. 반면 아름다움 자체를 믿고 인식할 수 있는 사람은 깨어 있는 상태이며, 그렇지 못한 사람은 꿈을 꾸는 것과 같다.[12]

''국가'' 6권에서는 최고의 이데아를 좋음의 이데아로 규정한다. 좋음의 이데아는 다른 모든 이데아의 원인이 되며, 다른 이데아들의 존재와 앎은 좋음의 이데아에 조건적이다. 감각적 인상에서 파생된 개념은 참된 존재, 즉 이데아에 대한 지식을 줄 수 없다.[6] 이데아에 대한 지식은 감각의 어려움과 방해에서 벗어나 영혼의 활동, 즉 이성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다.[6] 변증법은 이데아에 대한 지식, 그리고 궁극적으로 좋음의 이데아로 우리를 이끄는 도구이며, 과학의 첫 번째이다.[6] 신플라톤주의플로티노스는 ''파르메니데스''의 초월적이고 절대적 일자[7]와 ''국가''의 좋음을 동일시했다.

플라톤주의 윤리학은 좋음의 이데아에 기반을 둔다. 지식이며, 좋음의 최고 이데아를 인식하는 것이다.[6]인식에서 영혼의 세 부분인 이성, 정신, 욕망이 모두 그 몫을 차지하여 지혜, 용기, 절제라는 세 가지 덕을 얻는다.[6] 이러한 덕들을 결합하는 것은 정의의 덕이며, 이는 영혼의 각 부분이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6]

플라톤이 그의 ''티마이오스''를 들고 있는 모습, 바티칸 프레스코화 아테네 학당의 세부 묘사

2. 1. 이데아론

플라톤 철학의 핵심은 이데아론이다.[6] 이데아는 영원불변하고 완벽한 유형으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감각 세계의 대상들은 이데아를 불완전하게 모방한 것에 불과하다.[6] 이데아의 수는 감각의 특정 대상에서 파생될 수 있는 보편적 개념의 수에 따라 정의된다.[6]

플라톤의 ''국가'' 5권에서 소크라테스는 글라우콘과의 대화를 통해 이데아론을 설명한다. 아름다운 것과 추한 것은 반대이므로 둘이지만, 각각은 하나다. 정의로운 것과 부당한 것, 선과 악 등 모든 이데아도 마찬가지다. 이데아 자체는 하나이지만, 행동, 육체 등과 관련하여 여러 곳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많아 보인다. 시각과 소리를 사랑하는 사람들은 아름다운 소리, 색깔, 모양 등을 좋아하지만, 아름다움 자체의 본질은 파악하지 못한다. 반면 아름다움 자체를 믿고 인식할 수 있는 사람은 깨어 있는 상태이며, 그렇지 못한 사람은 꿈을 꾸는 것과 같다.[12]

''국가'' 6권에서는 최고의 이데아를 좋음의 이데아로 규정한다. 좋음의 이데아는 다른 모든 이데아의 원인이 되며, 다른 이데아들의 존재와 앎은 좋음의 이데아에 조건적이다. 감각적 인상에서 파생된 개념은 참된 존재, 즉 이데아에 대한 지식을 줄 수 없다.[6] 이데아에 대한 지식은 감각의 어려움과 방해에서 벗어나 영혼의 활동, 즉 이성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다.[6] 변증법은 이데아에 대한 지식, 그리고 궁극적으로 좋음의 이데아로 우리를 이끄는 도구이며, 과학의 첫 번째이다.[6] 신플라톤주의플로티노스는 ''파르메니데스''의 초월적이고 절대적 일자[7]와 ''국가''의 좋음을 동일시했다.

플라톤주의 윤리학은 좋음의 이데아에 기반을 둔다. 지식이며, 좋음의 최고 이데아를 인식하는 것이다.[6]인식에서 영혼의 세 부분인 이성, 정신, 욕망이 모두 그 몫을 차지하여 지혜, 용기, 절제라는 세 가지 덕을 얻는다.[6] 이러한 덕들을 결합하는 것은 정의의 덕이며, 이는 영혼의 각 부분이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6]

2. 2. 인식론

2. 3. 윤리학

2. 4. 영혼론

3. 역사

3. 1. 고대 철학

3. 1. 1. 아카데미아

아테네의 플라톤 아카데미 유적지


플라톤은 아테네 성벽 밖에 있는 신성한 숲이 있는 구역인 아카데미에서 강의를 했다. 이 학교는 플라톤 사후에도 오랫동안 그곳에서 계속되었다. 고(Old), 중(Middle), 신(New) 아카데미의 세 시기가 있었다. 고 아카데미의 주요 인물은 플라톤의 뒤를 이어 학교의 수장이 된 스페우시포스(플라톤의 조카, 기원전 339년까지)와 크세노크라테스(기원전 313년까지)였다. 그들 둘 다 피타고라스주의의 수에 대한 사변과 플라톤의 이데아론을 융합하려 했다.[37]

3. 1. 2. 회의주의 아카데미아

아르케실라우스는 기원전 266년경 아카데미의 수장이 되었다. 이 시기는 중기 아카데미로 알려져 있으며, 철학적 회의주의를 강력하게 강조했다. 이 시기는 스토아 학파와 그들의 진실의 확실성과 그것에 대한 우리의 앎에 대한 주장에 대한 공격으로 특징지어진다. 신 아카데미는 기원전 155년 아르케실라우스의 네 번째 계승자인 카르네아데스와 함께 시작되었다. 이 학파는 여전히 대체로 회의적이었으며, 절대적 진리를 아는 가능성을 부인했다. 아르케실라우스와 카르네아데스 모두 자신들이 플라톤의 진정한 교리를 유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3. 2. 중기 플라톤주의

기원전 90년경, 아스칼론의 안티오코스는 회의론을 거부하고 소요학파 및 스토아 철학의 교리와 융합된 중기 플라톤주의를 시작했다.[15] 중기 플라톤주의에서 플라톤의 이데아는 초월적인 것이 아니라 합리적인 정신에 내재해 있었으며, 물리적 세계는 살아있고 영혼이 있는 존재, 즉 세계 영혼이었다.[15] 이 시기에는 플루타르코스가 두각을 나타냈다.[15] 플라톤주의의 절충적인 성격은 피타고라스 학파(아파메이아의 누메니우스)와 유대 철학 (알렉산드리아의 필로)에 통합된 것에서 드러난다.[15]

아카데메이아 붕괴 후, 플라톤의 텍스트를 권위화하는 철학자들이 나타났다.[38] 그들은 "플라톤주의자"를 자칭하며, 아카데메이아를 중심으로 활동했던 학자들을 "아카데메이아 학파"라고 칭하며 구별했다.[38] 또한, 당시 플라톤주의자 중에는 신 피타고라스 학파도 존재했으며, 플라톤 사상의 근원(또는 나란히 존재하는 존재)으로서 피타고라스를 신격화했다.[38]

3. 3. 신플라톤주의

3세기플로티노스는 플라톤의 체계를 재구성하여 신플라톤주의를 확립했는데, 여기서 중기 플라톤주의는 신비주의와 융합되었다.[16][39] 존재의 정점에는 모든 것의 근원인 일자 또는 선이 있다.[16][39] 그것은 마치 자신의 존재를 반영하듯, 이성, 즉 ''누스''로부터 스스로 생성되는데, 여기에는 무한한 아이디어의 저장소가 담겨 있다.[16][39] ''누스''의 사본인 세계 영혼은 ''누스''가 하나 안에 있는 것처럼 그것에 의해 생성되고 포함되며, 본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물질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세계 영혼 안에 존재하는 몸을 구성한다.[16][39] 따라서 자연은 생명과 영혼을 부여받은 전체이다. 영혼은 물질에 묶여 몸의 속박에서 벗어나 원래의 근원으로 돌아가기를 갈망한다.[16][39] 덕과 철학적 사상으로 그것은 이성을 넘어 열광의 상태로 자신을 고양시킬 수 있으며, 그곳에서 이성이 알 수 없는 그 하나의 선한 근본 존재를 바라보거나 승천할 수 있다.[16][39] 이 선, 즉 일자와의 합일을 달성하는 것이 인간의 진정한 기능이다.[16][39]

플로티노스의 제자인 포르피리오스는 이암블리코스를 따라 기독교에 의식적으로 반대하며 체계를 발전시켰다.[40] 이 시기에 플라톤 아카데미가 재건되었고, 그 유명한 수장은 플라톤의 저술에 대한 유명한 주석가인 프로클로스 (485년 사망)였다.[40] 아카데미는 로마 황제 유스티니아누스가 529년에 폐쇄할 때까지 존속했다.[40]

플라톤주의는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오리게네스[34], 카파도키아 교부[41]를 통해 기독교에 영향을 미쳤다.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도 가이우스 마리우스 빅토리누스가 라틴어로 번역한 포르피리오스와 프로티노스의 저작을 통해 플라톤주의를 접하고 영향을 받았다.[34]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를 비롯한 많은 서양 성직자들이 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3. 4. 중세 철학

플라톤주의는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와 오리게네스,[9] 카파도키아 교부들을 통해 기독교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17][34][41] 성 아우구스티누스 역시 포르피리오스 및/또는 플로티노스의 저서를 마리우스 빅토리누스가 라틴어로 번역한 것을 통해 플라톤주의를 접하고 큰 영향을 받았다.[9][34]

중세 시대에 플라톤주의는 권위 있는 것으로 여겨졌으며, 오늘날에도 플라톤주의에 포함된 생각의 많은 부분이 기독교의 항구적인 요소가 되었다.[9][34] 플라톤주의는 동서양의 신비주의에도 영향을 미쳤다.[9][18][34][42] 그 외에도 플라톤주의는 다양한 철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9][34] 13세기에는 아리스토텔레스플라톤보다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지만, 토마스 아퀴나스의 철학은 여전히 여러 면에서 근본적으로 플라톤적이었다.[9][34]

3. 5. 근대 철학

3. 5. 1. 르네상스

르네상스 시대는 플라톤 자신에 대한 관심을 포함하여 플라톤 사상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일어난 시기였다.[9] 16, 17, 19세기의 잉글랜드에서 플라톤의 사상은 케임브리지 플라톤주의자를 포함한 많은 종교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9] 그러나 유럽 대륙의 정통 프로테스탄트는 자연적인 이성을 불신하며 플라톤주의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는 경우가 많았다.[9]

근대 유럽에서 플라톤의 수용과 관련된 문제는 그의 저서에 나타난 동성애적 요소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하는 것이었다.[19]

''그리스도 플라톤주의''는 플라톤이 주장한 이원론적 우주론을 지칭하는 용어이며, 플라톤은 영은 선이지만 물질은 악이라고 주장했다.[20] 이는 일부 기독교 교회에 영향을 미쳤지만, 성경의 가르침은 이 철학과 직접적으로 모순되므로 오늘날 기독교 교회의 많은 교사들로부터 끊임없이 비판을 받고 있다. 감리교에 따르면, ''그리스도 플라톤주의''는 "하나님이 그가 창조하신 모든 것을 좋다고 부르시는 성경 기록과 직접적으로 모순된다."[20]

3. 5. 2. 근대 플라톤주의와 동성애 문제

근대 초기 영어에서는 플라톤주의와 남성 간의 낭만적인 우정을 연결 짓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리처드 크로포드는 플라톤주의가 남성 간의 낭만적인 우정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셰익스피어의 소네트와 미켈란젤로의 시와 같은 예술 작품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3. 6. 현대 철학

플로티노스와 같은 사상가들로부터 유래된 역사적 플라톤주의 외에도, 현대적 의미의 추상 객체 이론이 존재한다.[21] 현대 플라톤주의는 추상 객체가 시공간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완전히 비물리적이고 비정신적인 객체라는 견해이다.[21][49]

고틀로프 프레게는 현대 플라톤주의자들의 주요 선구자이다.


이러한 현대 플라톤주의[50]는 반심리학주의를 주장하는 베르나르트 볼차노를 비롯하여, 고틀로프 프레게, 에드문트 후설, 버트런드 러셀,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쿠르트 괴델 등 수많은 철학자, 수학자, 논리학자[51]들에 의해 지지되었다. 현대 플라톤주의에서는 수, 집합, 진리값, 속성, 개념, 명제, 의미와 같은 대상도 고찰 범위에 포함된다. 플라톤의 저작은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와 그의 과정 철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4. 종교에 대한 영향

플라톤주의는 오늘날 '정통' 가르침으로 분류되는 기독교[28] 및 이슬람의 교리에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고대 세계에 퍼져 있던 영지주의 또는 밀교적인 '이단' 전통에도 영향을 미쳤다. 전 세계 주요 종교였던 마니교[29][30], 만다교[31], 헤르메스주의 등이 그 예이다. 헤르메스주의에 대한 유럽 르네상스 학문과 직접적인 플라톤 철학(당시 유대교 마법과 신비주의, 이슬람 연금술 등, 기타 밀교 및 철학 연구 포함)을 통해, 당시의 마법과 연금술은 플라톤 철학의 여러 변형의 정점을 나타낸다.

줄리어스 에볼라는 플라톤적 형이상학을 근대성에 대한 그의 전통주의적 비판과 일치하는, 로마 이교 부흥에 대한 그의 비전에 통합했다. 이탈리아의 밀교 철학자이자 에볼라의 협력자인 아르투로 레기니 또한 고대 로마 종교를 부활시키려는 노력에서 신플라톤주의 사상을 널리 알렸다.[32]

많은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이 일신교와 유사한 다신교적 일신교를 믿었지만[43], 플라톤주의 역시 이교의 일신교(pagan monotheism)로 분류되는 경우가 있다[44]

플라톤주의는 기독교인들이 천사, 성인과 같은 신성(divine) 또는 (god)이라고 부를 수 있는 존재를 가지는 것처럼, 하나의 신을 특정 신(God 혹은 the God)이라고 부르고, 그 특정 신을 제외한 신들에게는 최고신을 정점으로 한 계층제보다 훨씬 더 철저한 종속 관계(파생 관계)를 부여했다고 여겨진다[45][46]。그들은 단순한 최고신이 아니라 '특정 신(the God) ', 그것만이 신이라고 부를 만한 유일무이한 신인 것처럼 특별한 명칭을 사용했다[45][46]

플라톤주의자에게 신은 유일한 존재였지만, 그 외에도 신성(divine)이라고 불리는 존재들이 있었으며, 그들은 특별한 신의 피조물이면서 신의 은혜로 불멸을 부여받았다. 그들은 유일한 특별한 신의 자비에 의해서만 불멸이며 신성했다[47]。 플라톤주의자는 지상의 세계가 악마로 가득 차 있다고 생각했지만, 악마의 모든 존재가 신성시되었던 것은 아니며, 그들 중에는 현명하지 않고 고결하지 않은 존재도 있었다[48]。문제 있는 악마를 조종하여 자기 이익을 위해 힘을 행사할 수 있다고 여겨졌다[48]

5. 주요 인물

해럴드 F. 체르니스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관계를 연구한 학자이다.

참조

[1] 웹사이트 Abstract Objects http://plato.stanfor[...] 2012-03-01
[2] 웹사이트 Abstract Objects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3-09-29
[3] 간행물 The Enneads and St Augustine's Vision of Happiness Vigiliae Christianae 1963
[4] 서적 The Christian Tradition: A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Doctrine
[5] 서적 The G. K. Chesterton Collection II [65 Books] https://books.google[...] Catholic Way Publishing
[5] 서적 St. Thomas Aquinas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5] 서적 Catholicism: An Introduction: A comprehensive guide to the history, beliefs and practices of the Catholic faith Hachette UK
[5] 서적 Machiavelli and the Mayflower: How to Understand the Europeans https://books.google[...] La Rémige SARL
[5] 서적 Between Past and Future https://books.google[...] Penguin
[6] 서적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7] 웹사이트 "Theism" and Related Categories in the Study of Ancient Religions Society for Classical Studies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6-01-01
[8] 서적 The Republic of Plato
[9]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The Republic of Plato Oxford University Press
[11] 논문 Self‐Motion and Cognition: Plato's Theory of the Soul
[12] 서적 Republic
[13] 논문 Soul and Body in Plato and Descartes
[14] 논문 The Final Proof of the Immortality of the Soul in Plato’s Phaedo 102a–107a
[15] 웹사이트 Platonism – Medieval Platonism https://www.britanni[...]
[16] 서적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1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Later Greek and Early Medieval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서적 The Origins of the Christian Mystical Tradition: From Plato to Denys Oxford University Press
[19] 서적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 웹사이트 Heavenly minded: It's time to get our eschatology right, say scholars, authors http://www.umportal.[...] UM Portal 2009-04-06
[21] 웹사이트 Platonism in Metaphysics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2-07-10
[22] 논문 Naturalized Platonism vs. Platonized Naturalism
[23] 서적 God and Other Uncreated Things Routledge
[24] 서적 Meinongian Issues in Contemporary Italian Philosophy Walter de Gruyter
[25] 서적 Hannah Arendt and Leo Strauss: German Émigrés and American Political Thought After World War II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서적 The Christian Platonism of Simone Weil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27] 서적 Badiou and Philosophy Edinburgh University Press
[28] 서적 Christian Platonism: a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서적 Gnosticism, Platonism and the late ancient world: essays in honour of John D. Turner Brill
[30] 논문 Neoplatonism, The Response on Gnostic and Manichean ctiticism of Platonism http://dx.doi.org/10[...] 2017-05-13
[31] 서적 The Mandaean gnostic religion: worship practice and deep thought Sterling
[32] 서적 Occult Imperium: Arturo Reghini, Roman Traditionalism, and the Anti-Modern Reaction in Fascist Italy Oxford University Press
[33] 서적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34] 서적 The Republic of Plato
[35] 문서 유다야교의 우주관
[36]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37] 서적 世界哲学史 2 筑摩書房
[38] 서적 世界哲学史 2 筑摩書房
[39] 서적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40] 서적 世界哲学史 2 筑摩書房
[4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Later Greek and Early Medieval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서적 The Origins of the Christian Mystical Tradition: From Plato to Denys Oxford University Press
[43] 서적 No Other Gods: Emergent Monotheism in Israel https://books.google[...] Sheffield Academic Press 1997-05-01
[44] 간행물 "Theism" and Related Categories in the Study of Ancient Religions https://classicalstu[...] Society for Classical Studies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6-01-01
[45] 서적 Pagan Monotheism in Late Antiquity CLARENDON PRESS • OXFORD
[46] 서적 Pagan Monotheism in Late Antiquity CLARENDON PRESS • OXFORD
[47] 서적 Pagan Monotheism in Late Antiquity CLARENDON PRESS • OXFORD
[48] 서적 Pagan Monotheism in Late Antiquity CLARENDON PRESS • OXFORD
[49] 웹사이트 http://plato.stanfor[...]
[50] 문서 Platonism/platonism 표기법
[51] 문서 플라톤주의자들의 특징
[52] 문서 이데아론 용어
[53] 문서 이데아와 복사체의 관계
[54] 문서 플라톤의 이성 개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