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의 학생운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 학생 운동은 한국의 정치적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일제강점기에는 독립을, 해방 이후에는 정부의 부당함에 저항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았다. 3·1 운동, 6·10 만세 운동, 광주 학생 항일 운동 등 일제강점기에는 다양한 형태의 저항 운동이 전개되었고, 4·19 혁명, 부마민주항쟁, 6월 항쟁 등 민주화를 위한 학생들의 역할이 두드러졌다. 1980년대에는 마르크스주의적 시각을 바탕으로 노동자, 농민 등과 연대하며 사회 변혁을 추구했으며, 현대 사회에서도 촛불 시위, 대학 등록금 인하 운동, 위안부 합의 반대 시위 등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가 이어졌다. 한국 학생 운동은 민족적 사명감과 대승적 성격을 특징으로 하며, 한국 현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고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학생운동 - 2·8 독립 선언
    1919년 2월 8일 도쿄에서 재일 조선인 유학생들이 발표한 2·8 독립 선언은 민족자결주의에 입각하여 조선의 독립을 요구하며 3·1 운동의 기폭제가 된 한국 독립운동사의 중요한 사건이다.
  • 한국의 학생운동 - 브나로드 운동
    브나로드 운동은 1931년 동아일보사 주도로 시작되어 1938년 중단된 농촌 계몽 운동으로, 김성수, 송진우 등이 주도하고 학생들을 중심으로 농촌에서 문맹 퇴치, 학술 강연, 위생 개선 등의 활동을 펼쳤으나 일제의 탄압으로 중단, 해방 후 농활로 이어졌다.
  • 학생 운동 - 함바흐 축제
    함바흐 축제는 1832년 함바흐 성에서 3만 명 이상이 참여하여 독일 통일, 민족 해방, 국민 주권, 공화정 수립 등을 외친 독일 민주 운동의 중요한 정치 집회였으며, 독일 국기의 바탕이 된 흑-적-금 색상 조합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 학생 운동 - 2024년 방글라데시 쿼터 개혁 운동
    2024년 방글라데시 쿼터 개혁 운동 사진 자료 페이지는 2024년 방글라데시에서 발생한 쿼터 개혁 운동의 다양한 모습을 담은 사진 갤러리와 목록, 간략한 설명을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정치적 억압 - 국가보안법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국가보안법은 국가의 안전과 국민의 자유를 보호하기 위해 반국가 활동을 규제하는 법률로, 인권 보호를 위한 개정이 이루어졌으나 표현과 사상의 자유 침해 논란 및 악용 사례로 인해 존폐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정치적 억압 - 긴급조치
    긴급조치는 1974년부터 1979년까지 박정희 정권이 유신헌법에 근거하여 발동한 일련의 조치로, 헌법상 기본권 제한과 반정부 활동 탄압에 사용되었으며, 위헌 판결을 받았다.
한국의 학생운동
개요
분야사회운동
국가대한민국
시기1910년대 ~ 현재
관련 인물김남주
김지하
신경림
조태일
황석영
관련 단체전국민주학생총연맹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
민족해방애국학생회
사회주의학생연맹
한국기독학생회총연맹
배경
주요 원인일제강점기의 민족 차별 정책
권위주의 정권의 민주주의 탄압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의 불평등 심화
역사
1910년대항일 의병 운동
3·1 운동
1920년대6·10 만세 운동
광주학생항일운동
1930년대민족 말살 정책에 대한 저항
1940년대해방 이후 좌우익 대립과 분단
1950년대4월 혁명
1960년대한일 국교 정상화 반대 운동
3선 개헌 반대 운동
1970년대유신 체제 반대 운동
민청학련 사건
1980년대5·18 광주 민주화 운동
부천 경찰서 성고문 사건
6월 민주 항쟁
1990년대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의 활동
2000년대 이후반값 등록금 운동 등 사회 문제에 대한 참여
특징
주요 요구민주주의 쟁취
사회 정의 실현
민족 통일
등록금 인하
비정규직 철폐
환경 보호
주요 활동 방식시위
집회
파업
강연회
농성
대자보
영향대한민국 민주화에 기여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 증대
청년 세대의 정치 참여 확대
평가
긍정적 평가사회 변화를 이끄는 원동력
청년 세대의 사회 참여를 장려
정치에 대한 관심 증대
부정적 평가과격한 시위와 폭력 사태
사회 혼란 야기
일부 운동권의 비민주적 행태
같이 보기

2. 역사

한국 학생 운동은 한국의 정치적 변화에서 주요한 역할을 맡았다. 해방 이전 학생 운동의 주요 목표는 식민지의 지배 규범에 대한 반발과 한국의 독립을 요구하는 것이었다. 1945년 광복 이후, 학생 운동은 주로 한국 정부의 잘못에 대해 권리를 세우고 바로 잡는 것과 관련이 있다. 한국은 정권의 교체시 마다 학생들의 정치적 움직임이 큰 변수로 작용하였다.[20] 그 예로, 1960년 3월 부정 선거에 대항해 4·19 혁명이 일어나기도 했다.

유신체제의 붕괴는 그 직접적인 계기가 개인과 그 추종자들에 의한 우발적인 거사였지만 학생들이 대규모적으로 참여한 시위였던 부마 민주항쟁이 결정적인 환경요인이었음은 이미 충분한 논증을 거친 주장이다.[20] 지난 87년 시작된 한국에서의 권위주의 퇴조도 학생들이 대부분의 물리력을 제공한 6월항쟁 이 계기가 됐음은 새삼 지적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20] 1980년 이후로 한국 학생 운동은 변화를 맞이한다. 6월항쟁 이후로 학생 운동은 막시즘에 기반한 명확한 목표를 갖고 농민, 도시빈민층 등 다른 집단과 협력하게 된다.[21]

2. 1. 일제 강점기

2. 1. 1. 3·1 운동 (1919)

학생 운동의 첫 번째 동기는 일본의 한국 지배에 대한 억압적인 통치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의 '민족 자결주의' 주장이었다.[1] 3·1 운동은 일본 식민 통치에 반대하는 전국적인 반일 독립 운동이었다.[1] 학생들은 주요 시위를 주도하지는 않았지만, 그들의 활동은 3.1 운동의 지도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1] 이 시위는 서울의 남대문 광장, 평양과 광주에서 시작되어 고종 (高宗, 조선의 제26대 국왕)의 장례식에 참석하는 사람들을 통해 농촌 지역으로 확산되었다.[1] 3.1 운동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승리한 국가의 식민지에서 시작된 최초이자 최대 규모의 전국적 운동이다.[1]

2. 1. 2. 6·10 만세 운동 (1926)

학생들은 순종의 장례 행렬에서 독립 선언서를 배포하며 시위를 벌였다. 200명 이상의 학생들이 체포되었다.[2]

2. 1. 3. 광주 학생 항일 운동 (1929-1930)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은 전국적인 반일 시위였다.[3] 이는 일제 강점기 동안 식민지 교육에 대한 차별과 한국 학생들에 대한 인종 차별에 반대하여 일어났다. 이 운동은 일본인 학생들이 한국인 여학생을 희롱하면서 촉발되었다.[3] 광주에서 대규모 가두 시위가 시작되어 전국으로 확산되었다.[3]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은 3·1 운동 이후 일본 제국주의에 맞선 대규모 민족 운동이었다.[3]

2. 2. 해방 이후

한국 학생 운동은 한국의 정치적 변화에서 주요한 역할을 맡았다. 해방 이전 학생 운동의 주요 목표는 식민지의 지배 규범에 대한 반발과 한국의 독립을 요구하는 것이었다. 1945년 광복 이후, 학생 운동은 주로 한국 정부의 잘못에 대해 권리를 세우고 바로 잡는 것과 관련이 있다. 한국은 정권의 교체시 마다 학생들의 정치적 움직임이 큰 변수로 작용하였다.[20] 그 예로, 1960년 3월 부정 선거에 대항해 4·19 혁명이 일어나기도 했다.

유신체제의 붕괴는 그 직접적인 계기가 개인과 그 추종자들에 의한 우발적인 거사였지만 학생들이 대규모적으로 참여한 시위였던 소위 부마 민주항쟁이 결정적인 환경요인이었음은 이미 충분한 논증을 거친 주장이다.[20] 지난 87년 시작된 한국에서의 권위주의 퇴조도 학생들이 대부분의 물리력을 제공한 6월항쟁 이 계기가 됐음은 새삼 지적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20] 1980년 이후로 한국 학생 운동은 변화를 맞이한다. 1980년 6월항쟁 이후로 학생 운동은 막시즘에 기반한 명확한 목표를 갖고 농민, 도시빈민층 등 다른 집단과 협력하게 된다.[21]

2. 2. 1. 4·19 혁명 (1960)

1960년 4월 11일, 3·15 부정선거에 대한 시위가 있은 지 거의 한 달 만에, 경찰의 최루탄이 머리에 박힌 고등학생의 시신이 마산시 강에서 발견되었다.[4] 이미 선거와 정부의 시위 진압 방식에 반감을 품고 있던 마산 시민들은 분노로 폭발했다.[4] 4월 18일, 서울 고려대학교 학생 지도자들이 시위를 조직하여 3,000명의 학생들을 이끌고 국회의사당으로 행진했다.[4] 시위대는 공정한 새로운 선거를 요구했다. 그러나 아무런 답변을 얻지 못했고, 다음 날인 4월 19일, 약 5만 명의 학생들이 경찰을 뚫고 서울 중심부의 주요 정부 청사 앞에서 만났다.[4] 이들은 30개의 다른 대학과 고등학교에서 왔으며, 서울의 거의 모든 주요 대학교를 대표했다.[4]

이미 1960년 3월 15일 선거 전부터 한국 국민들 사이에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었다.[4] 한국 경제는 경제 정책의 변화로 인해 위기를 겪었다.[4] 농촌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이동하면서 빈곤이 만연했지만, 실업률은 여전히 34.2%에 달했다. 이승만 대통령은 국민들을 강압적으로 통제하려 했지만, 이는 그의 정권의 비민주적인 성격을 드러낼 뿐이었다.[4] 학생들은 선거 제도의 개혁을 원했지만, 이승만이 선거를 조작하면서 좌절되었다.[4]

2. 2. 2. 1970년대 학생 운동

유신 체제는 1970년대 지식인과 학생들 사이에 큰 불만을 야기했으며, 대한민국 전역의 캠퍼스를 반정부 활동의 공간으로 만들었다.[5] 반체제는 소규모 독서 모임과 종교 인권 단체가 제공하는 교육 활동을 통해 정부의 감시를 피하면서 이루어졌다.[5]

학생들은 또한 지하 언론을 통해 비판적인 의견을 유포하는 데 관여했으며, 활동으로 인해 학교에서 퇴학당한 많은 학생들이 출판업에 종사한 것으로 여겨졌으며, 그곳에서 비판적인 언론인들이 민주언론시민연합을 결성했다.[5]

소련미국 군대에 의한 한반도 해방, 이승만 정권과 한국 전쟁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모든 형태의 정치적 반체제를 억압하려 했다.[5] 모든 형태의 정치적 반체제는 친공산주의 및 친북으로 간주되었으며, 그러한 모든 반체제 행위는 국가보안법에 따라 기소되었다.[5] 이러한 정치적 반체제에 대한 폭력적인 억압 외에도, 대한민국은 또한 급속한 국가 주도 자본주의 개혁과 산업화를 겪었다.[5] 이는 농업 부문의 노동력 감소와 농촌 인구 감소로 이어졌다.[5] 공장의 노동 조건은 열악했다.[5] 모든 시민 자유 제한은 북한의 위협에 직면하여 노동력을 단속하기 위한 것으로 간주되는 유신 체제하에서 정당화되었다.[5] 엄격한 노동법이 폭력적으로 시행되었다.[5]

2. 2. 3. 1980년대 학생 운동

1980년대 한국의 학생 운동은 대한민국의 정치적 환경에서 중요한 세력이 되었다.[5] 전환점은 1980년 5월의 광주 민주화 운동으로 볼 수 있다. 이 학살은 학생 운동에 명확한 목표, 즉 혁명을 제시했다. 1980년대 학생 운동은 또한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을 통해 이전 시대의 운동과 구별될 수 있다.[5]

이 운동을 이끌었던 세대는 나중에 386세대로 불렸다. 이들은 1980년대에 대학에 진학하여 학생과 노동자 모두의 억압을 직접 경험했다.[5]

소련미국 군대에 의한 한반도 해방, 이승만 정권과 한국 전쟁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모든 형태의 정치적 반체제를 억압하려 했다.[5] 모든 형태의 정치적 반체제는 친공산주의 및 친북으로 간주되었으며, 그러한 모든 반체제 행위는 국가보안법에 따라 기소되었다.[5] 이러한 정치적 반체제에 대한 폭력적인 억압 외에도, 대한민국은 또한 급속한 국가 주도 자본주의 개혁과 산업화를 겪었다.[5] 이는 농업 부문의 노동력 감소와 농촌 인구 감소로 이어졌다.[5] 공장의 노동 조건은 열악했다.[5] 모든 시민 자유 제한은 북한의 위협에 직면하여 노동력을 단속하기 위한 것으로 간주되는 유신 체제하에서 정당화되었다.[5] 엄격한 노동법이 폭력적으로 시행되었다.[5]

유신 체제는 1970년대 지식인과 학생들 사이에 큰 불만을 야기했으며, 대한민국 전역의 캠퍼스를 반정부 활동의 공간으로 만들었다.[5] 반체제는 소규모 독서 모임과 종교 인권 단체가 제공하는 교육 활동을 통해 정부의 감시를 피하면서 이루어졌다.[5]

학생들은 또한 지하 언론을 통해 비판적인 의견을 유포하는 데 관여했으며, 활동으로 인해 학교에서 퇴학당한 많은 학생들이 출판업에 종사한 것으로 여겨졌으며, 그곳에서 비판적인 언론인들이 민주언론시민연합을 결성했다.[5]

1980년대 한국 학생 운동에서 세 개의 주요 정치적 진영을 구별할 수 있다: 민족해방(NL), 민족민주(ND), 그리고 민중민주(PD).[5] 비록 서로 다른 정치적 견해에 기울어져 있었지만, 이들은 모두 여러 조직을 지원했으며, 함께 두 번의 주요 시위를 조직했다.[5] 1987년 이른바 '6월 민주 항쟁'에서 백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불법 가두 시위에 참여하여 직선제 대통령 선출을 포함한 광범위한 정치적 변화를 이끌었다.[5] 두 번째 시위는 '노동자 대투쟁'으로, 이는 독립적인 노동조합 운동의 길을 열었다.[5]

전두환 정권은 무력으로 민주화 운동을 탄압했다.[6] 이 과정에서 많은 시민과 학생들이 경찰에 의해 고문을 당했다.[6]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은 이러한 사례 중 하나이다.[6] 경찰은 이 사건을 단순한 쇼크사로 발표했지만, 부검 후 물고문을 가한 사실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6] 사건의 진실 일부가 드러난 후, 야당은 전두환 정권에 대한 새로운 공세를 시작했다. 이 사건과 관련된 추모 집회는 1987년 6월 민주 항쟁으로 이어졌다.[6]

시위가 격화되면서, 연세대학교 학생들은 현장으로 나설 것을 다짐하고 1987년 6월 9일 대학교에서 시위를 벌였다.[7] 시위 도중, 연세대 학생 이한열은 최루탄 파편이 머리에 박혀 중상을 입었고, 7월 5일 사망했다.[7] 이 사건들을 통해 시민들은 전두환 정권에 대한 불신을 갖게 되었고, 민주화 운동이 확산되어 6월 민주 항쟁이 절정에 달했다.[7] 전두환 정권은 직선제 개헌에 동의했다.[7]

박미는 "1980년대 학생 세대가 대한민국 사회의 민주화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고 기록했다.[5]

3. 현대 사회의 학생 운동

3. 1. 2008년 촛불 시위

2008년 미국에서 광우병이 발생한 이후, 대한민국에서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반대하는 촛불 시위가 열렸다.[8] 대한민국 정부는 쇠고기 수입을 중단했으나,[8] 이명박 정부는 2008년 4월 11일 미국과 쇠고기 수입 재개를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8] 이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팔아넘겼다는 비판을 불러일으켰다.[8]

2008년 5월 2일, 학생들과 시민들은 쇠고기 수입에 반대하는 또 다른 촛불 시위를 열었다.[8] 첫 모임에는 여고생들이 60% 이상 참가하였으며,[8] 시위는 100일 넘게 지속되면서 정치적 쟁점으로 비화되었다.[8] 6월과 7월 정점에는 수십만 명의 사람들이 집회에 참여하였고,[8] 정부는 경찰을 동원하여 많은 참가자들을 체포,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위반, 일반 교통 방해 혐의로 재판에 넘겼다.[8]

3. 2. 2011년 대학 등록금 인하 운동

새 정부는 선거 공약에서 대학 등록금 인하를 약속했지만, 재정 문제로 인해 이 약속을 이행하지 못했다.[9] 대학생과 관련 단체들은 정부가 약속을 이행할 것을 요구하며, 등록금이 너무 비싸고 학생들이 학업에 집중하기 어려울 정도로 아르바이트에 시달리고 있다고 주장했다.[10] 시민 사회와 대학생들은 매일 시위를 벌였다.[11] 학생들은 심지어 등록금 인하를 위해 1만 개의 번뇌를 없애기 위한 1만 번의 삼배를 하기도 했다.[11][12] 결국 정부는 약속했던 반값 등록금은 시행하지 않았지만, 저소득층을 위한 정부 장학금은 증액했다.[13]

3. 3. 2015-2016년 위안부 합의 반대 시위

많은 비정부 기구(NGO)와 국제 기구들이 25년 동안 위안부 문제의 본질을 조사하고 해결하려 노력했다.[14] 2015년 12월 28일, 대한민국과 일본은 '위안부' 또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에게 성 노예로 강제로 동원된 한국 여성들에 대한 합의에 도달했다.[14] 그러나 대학 대표들과 시민들은 이 합의가 부적절하다고 선언했다.[14] 최은혜 이화여자대학교 총학생회장은 "피해자들의 목소리는 배제되었다"며 "일본의 사과도 없었다. 이것은 수치스러운 합의이다. 위안부 피해자들은 국가 차원의 강제 동원 책임 명확화, 공식 사과, 법적 배상, 교과서 기록 및 처벌을 원했다. 따라서 이 땅에서 같은 일과 피해가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말이다."라고 선언했다.[14]

학생 시위는 서울 경기대학교, 경희대학교, 고려대학교, 동국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부산대학교, 서강대학교, 서울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세종대학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한양대학교, 홍익대학교에서 열렸으며, 25명의 총학생회장과 250명의 전국 대학 학생회 대표가 참석했다.[14]

많은 학생들을 포함한 활동가들은 2016년 1월까지 이 합의에 반대하는 다양한 시위를 벌였다.[15][16][17]

4. 평가

한국의 학생운동은 정치·사회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며, 민중운동을 이끌어왔다.[19] 초기 학생운동은 단순한 계몽운동을 넘어 일제에 적극적으로 저항하는 전위적이고 전투적인 성격을 띠었다.[19] 4·19 혁명 이후 학생운동은 정권을 교체할 만큼 성장했다.[19] 이러한 한국의 학생운동은 민족적 사명감에서 출발한 대승적(大乘的) 성격을 띤다는 점에서, 기성 가치와 권위에 대한 부정에서 출발하는 유럽 등 다른 나라의 학생운동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고 평가받는다.[19]

1980년대는 학생운동의 활력에 힘입어 한국 현대사에서 역동적인 시기 중 하나였다. 1980년대의 학생운동은 일제강점기 이래의 전통과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군부정권의 학살에 대한 항쟁 경험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이전 시기와는 달리 강한 이념성과 변혁지향성을 띠었다.[21][22][23] ‘민중 속으로’라는 구호는 1980년대 노동자·농민·도시빈민 등 민중을 지향했던 학생운동의 특징을 보여준다.[21][22][23] 학생들은 개인적 결단을 넘어 조직적으로 공장, 빈민촌, 농촌에 투신하며 이전 시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대중적인 기반과 지향을 보였다.[21][22][23]

참조

[1] 학술지 Youth-Student Movement in Korea 1964
[2] 서적 A History of Korea: From "Land of the Morning Calm" to States in Conflict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2-11-05
[3] 웹사이트 thesis 「study on socialism student movements in the late of 1920's」 http://www.riss.kr/l[...] 2016-04-25
[4] 학술지 From Protest to Change of Regime: The 4–19 Revolt and The Fall of the Rhee Regime in South Korea 1996-06-01
[5] 학술지 Organizing Dissent against Authoritarianism: The South Korean Student Movement in the 1980s https://www.ekoreajo[...] 2005
[6] 뉴스 Seoul Student's Torture Death Change Political Landscape https://www.nytimes.[...] 2016-04-27
[7] 웹사이트 이한열사망사건 http://terms.naver.c[...]
[8] 웹사이트 2016년, 다시 2008년 쇠고기 촛불을 말하는 이유 – PD저널 http://www.pdjournal[...] 2016-05-19
[9] 서적 최신 한국사회 이슈100선 이슈투데이
[10] 웹사이트 무등일보 -광주전남 대표 정론지 http://www.honam.co.[...] 2016-05-19
[11] 웹사이트 "[반값등록금 릴레이 시위-130일]한양대 장동주" http://news.khan.co.[...] 2016-05-19
[12] 웹사이트 대학생 "반값 등록금 실현" 1만 배 행진 http://mbn.mk.co.kr/[...] 2016-05-19
[13] 웹사이트 저소득층엔 반값등록금 넘어 전액장학금 http://www.seoul.co.[...] 2016-05-19
[14] 웹사이트 "[현장] 소녀상 앞 대학생들 \"日, 위안부 범죄 사죄하라… 한일합의 무효\" – 뉴스천지" http://www.newscj.co[...] 2016-05-19
[15] 웹사이트 "[From the scene] Student sit-in shields 'comfort woman' statue" http://www.koreahera[...] 2016-06-27
[16] 웹사이트 Students protecting comfort women statue hope to create national movement http://english.hani.[...] 2016-06-27
[17] 웹사이트 Students protest to protect comfort woman statue in Seoul : The DONG-A ILBO http://english.donga[...] 2016-06-27
[18] 뉴스 조선시대 성균관 유생 생활상 공개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00-05-22
[19] 문서 한국의 학생운동[서설] 글로벌 세계 대백과
[20] 저널 학생운동연구의 현황과 문제점 : 한국학생운동을 중심으로 http://210.101.116.1[...]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1] 뉴스 새책 Y대 학생처장이 본 1980년대 학생민주화운동 https://news.naver.c[...] 스포츠서울 2013-07-18
[22] 뉴스 '안녕들 하십니까' 한국사회 일깨우다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13-12-16
[23] 뉴스 대만 청년 파워와 통일 https://news.naver.c[...] 세계일보 2014-04-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