갓파 (소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갓파》는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소설로, 정신병원 환자인 '제23호'가 갓파 나라를 방문한 경험을 이야기한다. 갓파 나라는 인간 세상과 상반된 가치관을 가진 곳으로, 자본주의, 철학, 자살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작품은 출간 당시 사회 풍자로 평가받았으며, 아쿠타가와의 개인적인 고뇌를 반영한다는 해석도 있다. 갓파는 영화, 연극, 만화 등으로 각색되었으며, 걸리버 여행기 등 다른 작품들과 유사점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작 작품 - 무녀도
김동리의 단편 소설 무녀도는 경주를 배경으로 기독교와 무속의 갈등, 그리고 벙어리 딸의 시선을 통해 시대 변화 속에서 전통적 가치가 몰락해가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 개작 작품 - 참마죽
참마죽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단편 소설로, 하급 관리인 오위가 마죽에 대한 욕망을 가지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통해 욕망의 허무함, 권력과 욕망, 소외된 인간이라는 주제를 탐구하며 드라마로도 제작되었다.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작품 - 지옥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단편 《지옥변》은 천재 화가 요시히데가 지옥도 병풍을 제작하며 딸을 희생하는 비극을 통해 예술과 삶, 권력과 예술의 관계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여러 미디어로 각색되어 재해석되고 있다.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작품 - 참마죽
참마죽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단편 소설로, 하급 관리인 오위가 마죽에 대한 욕망을 가지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통해 욕망의 허무함, 권력과 욕망, 소외된 인간이라는 주제를 탐구하며 드라마로도 제작되었다. - 갓파 - 갓파쿠와 여름방학을
《갓파 쿠와 여름방학을》은 하라 케이이치 감독이 갓파를 소재로 제작한 2007년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로, 갓파 '쿠'와 소년 '코이치'의 우정을 통해 현대 사회의 문제점을 풍자적으로 다루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갓파 - 야마와로
야마와로는 일본 서부 지역에서 가을에 갓파가 산으로 들어간 모습으로 여겨지는 요괴로, 갓파와 동일한 존재로 인식되며 계절에 따라 강과 산을 오가는 존재로, 이들의 이동 경로를 막으면 재앙을 불러온다는 속설이 있다.
갓파 (소설)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河童 (갓파) |
저자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
국가 | 일본 |
언어 | 일본어 |
장르 | 소설 |
출판일 | 1927년 |
출판 정보 | |
잡지 게재 | 개조 1927년 3월호 |
단행본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전집 제4권 이와나미 쇼텐, 1927년 다이도지 신스케의 반생 이와나미 쇼텐, 1930년 1월 |
2. 줄거리
정신과 병원의 환자인 '제23호'는 자신이 갓파의 나라를 방문했던 경험을 이야기한다. 3년 전, 호타카 산 등반 중 우연히 갓파를 만나 뒤쫓다가 길을 잃고 갓파의 나라에 도착하게 된다.
그곳은 여러 면에서 인간 사회와는 정반대의 모습을 보인다. 예를 들어, 출산 시에는 태아에게 태어나고 싶은지 의사를 묻고, 태아가 원치 않으면 합법적으로 낙태가 이루어진다. 한 태아는 "태어나고 싶지 않아요. 우선,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을 모든 것들을 생각하면 몸서리가 쳐져요. 정신병만 해도 충분히 끔찍하죠."라고 답하기도 한다.[5] 또한, 우생학적 관점에서 건강한 갓파가 불건전한 갓파와 결혼하는 것이 장려되기도 한다.
주인공은 다양한 갓파들을 만나는데, 자본주의자인 게루는 신기술 도입으로 해고된 노동자들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설명한다. 그는 '직공 도살법'에 따라 실업 상태가 된 갓파들을 가스로 안락사시킨 뒤, 그 고기를 다른 갓파들이 식용으로 소비한다고 말한다. 주인공이 경악하자 게루는 인간 사회의 매춘 문제를 언급하며 감상주의라고 일축하고 갓파 고기로 만든 샌드위치를 권한다.
철학자 맙구는 《바보의 말》이라는 격언집을 쓰고 있었는데, 여기에는 "바보는 항상 자신 이외의 것을 바보라고 생각한다"와 "우리는 인간보다 불행하다. 인간은 갓파만큼 진화하지 않았다."와 같은 구절이 담겨 있다. 한편, 회의주의적인 시인 톡쿠는 자살한 후 강령술을 통해 유령으로 나타나 주인공과 대화한다. 톡쿠는 자신의 사후 명성에 대해 걱정하면서도,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 필리프 마인랜더, 오토 바이닝거와 같이 자살한 작가들을 높이 평가한다. 그는 자살을 정당화한 미셸 드 몽테뉴는 긍정적으로 보지만, 자살하지 않은 염세주의자 아르투어 쇼펜하우어는 싫어한다고 말한다.
인간 세상으로 돌아온 주인공은 갓파 사회를 인간 사회보다 더 '깨끗한 존재'로 회상하며 그리워하게 되고, 결국 인간 혐오에 빠진다.
3. 등장인물
4. 작품 분석 및 평가
작품 《갓파》가 출간되었을 당시, 많은 일본 평론가들은 이를 통찰력이 부족하고 세련되지 못한 사회 풍자로 평가했다.[8] 그러나 이후 평론가들의 시각은 이 작품을 다이쇼 시대의 사회상을 반영한 풍자로 보는 입장과 작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개인의 고뇌가 담긴 표현으로 보는 입장으로 나뉘었다.[3] 吉田精一|요시다 세이이치일본어는 아쿠타가와의 편지를 근거로, 《갓파》가 사회 풍자보다는 작가 자신의 개인적인 세계관을 드러낸 작품이라고 주장했다.[2][8]
1947년 영어 번역본이 처음 나왔을 때, 미국 잡지 ''타임''의 한 평론가는 "미국 독자들에게 류노스케 아쿠타가와의 풍자는 일본인이 썼다고 하기에는 너무 훌륭하게 보였다"고 언급하며 작품의 수준을 높이 평가했다.[1] 수잔 J. 네이피어는 《갓파》를 "일본 최초의 본격적인 디스토피아 소설"로 평가하며 문학사적 의미를 부여했다.[3] 1970년대에 활동한 비평가 鶴田欣也|쓰루타 킨야일본어는 이 작품이 "공적인 주제와 사적인 환상의 혼합물임이 분명하며"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남긴다고 분석했다.[8]
《갓파》는 여러 문학 작품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으로 조나단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와 새뮤얼 버틀러의 ''에레혼''이 자주 언급된다.[3] 또한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화자가 등장한다는 점에서 니콜라이 고골의 ''광인일기''와 루쉰의 동명 소설 ''광인일기'', 그리고 마쓰나가 엔조의 정신병원을 배경으로 한 ''몽마식(夢魔食)'' 등도 《갓파》의 선례로 거론된다.[4]
작품 속에서 자살하는 시인 갓파 '톳쿠'는 종종 작가 아쿠타가와 자신의 모습이 투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아쿠타가와는 《갓파》가 출판된 해에 스스로 목숨을 끊었으며[5][6], 그의 기일은 이 소설을 기려 '갓파기'(河童忌)라고 불리기도 한다.[7]
4. 1. 주제
《갓파》는 갓파의 세계를 통해 인간 사회, 특히 다이쇼 시대 일본 사회의 모순과 부조리를 풍자하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주요 주제는 다음과 같다.- 사회 풍자: 작품 속 갓파 사회는 여러 면에서 인간 사회의 모습을 뒤집어 보여주거나 극단적으로 묘사한다. 예를 들어, 자본주의 사회의 비인간적인 면모는 실업자가 된 갓파 노동자들을 가스로 처리하여 식용으로 삼는다는 설정을 통해 드러난다.[5] 갓파 게엘은 이러한 행위를 인간 사회의 매춘 문제에 빗대어 정당화하려 한다. 또한 철학자 갓파 매그는 "바보는 항상 자신 이외의 것을 바보라고 생각한다"와 같은 격언을 통해 인간 사회의 어리석음을 꼬집는다. 이러한 풍자적 요소 때문에 조나단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나 새뮤얼 버틀러의 《에레혼》과 같은 작품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3] 니콜라이 고골의 《광인일기》나 루쉰의 《광인일기》처럼 정신이 온전치 못한 화자를 내세운 점도 특징이다.[4]
- 반출생주의: 갓파 사회에서는 태아가 태어나기 전에 아버지에게 태어날 의사가 있는지 질문받는다. 한 태아는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을 모든 것들", 특히 정신병과 같은 유전적 요인을 이유로 태어나고 싶지 않다고 답한다.[5] 태아가 거부 의사를 밝히면 합법적으로 낙태가 이루어지는 설정은 반출생주의적 사상을 강하게 반영한다. 이는 우생학적 관점과도 연결되어, 불건강한 갓파와의 결혼을 장려하여 악한 유전을 근절하려는 시도로 나타나기도 한다.
- 인간 혐오: 인간 세계로 돌아온 주인공 '23번 환자'는 갓파 사회를 오히려 '깨끗하고' 인간 사회보다 우월하다고 여기며 인간 혐오에 빠진다. 이는 인간 사회에 대한 작가의 비판적 시각을 극단적으로 보여주는 장치로 해석될 수 있다.
- 자살: 시인 갓파 톡쿠는 회의주의적 면모를 보이며 결국 자살한다. 그는 사후 강령술을 통해 나타나 자신의 명성을 걱정하고,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 필리프 마인랜더, 오토 바이닝거와 같이 자살한 인물들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반면, 자살을 정당화했지만 스스로 목숨을 끊지는 않은 미셸 드 몽테뉴는 높이 사면서도, 염세주의자였지만 자살하지 않은 아르투어 쇼펜하우어는 싫어하는 모순적인 모습을 보인다. 톡쿠의 모습은 작품 발표 해에 자살한 작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자신의 강박관념과 자화상으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다.[5][6] 아쿠타가와의 기일은 이 소설을 기려 '갓파기'(河童忌)라고 불리기도 한다.[7]
출간 당시 일본 평론가들은 이 작품을 통찰력이 부족한 사회 풍자로 평가절하하기도 했으나[8], 이후에는 다이쇼 시대에 대한 풍자로 보는 시각과 아쿠타가와의 개인적인 고뇌와 세계관을 반영한 작품으로 보는 시각으로 나뉘었다.[3][2][8] 수잔 J. 네이피어는 《갓파》를 "일본 최초의 본격적인 디스토피아 소설"로 평가했으며[3], 쓰루타 킨야는 작품이 "공적인 주제와 사적인 환상의 혼합물"로서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남긴다고 보았다.[8]
5. 영향
출간 당시 많은 일본 평론가들은 이 작품을 통찰력이 부족한 세련되지 못한 사회 풍자로 여겼다.[8] 이후 일본 평론가들 사이에서는 이 작품을 다이쇼 시대의 풍자로 보는 시각과 아쿠타가와의 개인적인 고뇌를 표현한 것으로 보는 시각으로 나뉘었다.[3] 1947년 첫 영어 번역본이 출간되었을 때, 잡지 ''타임''의 한 평론은 "미국 독자들에게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풍자는 일본인이 썼다고 하기에는 너무 훌륭하게 보였다"고 평가하기도 했다.[1] 요시다 세이이치는 아쿠타가와의 편지를 근거로 ''갓파''가 단순한 사회 풍자가 아니라 작가 개인의 세계관을 반영한 것이라고 주장했다.[2][8] 수잔 J. 네이피어는 ''갓파''를 "일본 최초의 본격적인 디스토피아 소설"이라고 평가했으며,[3] 1970년대 쓰루타 킨야는 이 작품이 "공적인 주제와 사적인 환상의 혼합물"로서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남긴다고 보았다.[8]
이 소설은 조너선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와 새뮤얼 버틀러의 ''에레혼''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3] 또한 정신 이상을 겪는 화자가 등장한다는 점에서 니콜라이 고골의 ''광인일기''와 루쉰의 동명 소설 ''광인일기'', 그리고 정신병원을 배경으로 한 마쓰나가 엔조의 ''몽마식(夢魔食)'' 등도 선례로 언급된다.[4]
작품 속에서 자살을 시도하는 시인 갓파인 톳쿠는 종종 아쿠타가와 자신의 모습이 투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아쿠타가와는 ''갓파''가 출판된 해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5][6] 그의 기일은 이 소설을 기려 '갓파기(河童忌)'라고 불리기도 한다.[7]
''갓파''는 여러 차례 영어로 번역되었다. 첫 번역은 1947년 시오지리 세이이치에 의해 "기모노를 입은 걸리버"라는 부제로 출간되었으며,[8] 이후에도 고지마 타케시(1967년), 제프리 보너스(1970년), 리사 호프만-쿠로다와 앨리슨 마킨 파웰(2023년) 등에 의해 번역본이 출간되었다.[8][9]
5. 1. 각색
소설 『갓파』는 발표 이후 영화, 연극, 만화 등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다.5. 1. 1. 영화
『'''갓파 kappa'''』라는 제목으로 2006년 5월 13일에 공개되었다. 감독은 아키하라 마사토시이며, 주연은 야나카 아츠시(도쿄 스카 파라다이스 오케스트라)이다.5. 1. 2. 연극
2021년 6월, 도쿄와 교토에서 "공상과학극 『Kappa』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갓파』에서~"라는 제목으로 상연되었다. 주연은 오리야마 나오히로(소년 닌자/쟈니즈 Jr.)가 맡았고, 연출은 스즈키 카츠히데가 담당했다. 스토리와 등장인물의 설정은 원작을 바탕으로 재구성되었으며, 스즈키는 "아쿠타가와(류노스케)의 말을 사용하여, 아쿠타가와의 머릿속을 들여다보는 듯이 만들었다"고 밝혔다.[11] 또한, 연극 전체적으로 인더스트리얼 록 음악이 사용되었다.다음 내용은 주로 공연 팸플릿을 출처로 한다.
5. 1. 3. 만화
사이토 에이이치 판시리즈/문고 | 출판사 | 간행 연도 | ISBN |
---|---|---|---|
왕분사 명작 만화 시리즈 | 왕분사 | 1985년 | ISBN 978-4-01-023410-5 |
만화 톰 소여 문고 코믹 세계 명작 시리즈 | 호르푸 출판 | 1996년 4월 | ISBN 978-4-593-89990-6 |
모치즈키 미키야 판
시리즈/문고 | 출판사 | 간행 연도 | ISBN |
---|---|---|---|
휴먼 코믹스 | 고이케 서원 | 1998년 12월 | ISBN 978-4-88315-508-8 |
문호 시리즈 | (동상) | 2009년 7월 | ISBN 978-4-86225-465-8 |
지비키 카즈야 판
시리즈/문고 | 출판사 | 간행 연도 | ISBN |
---|---|---|---|
만화로 완독 | 일본 문예사 | 2009년 8월 | ISBN 978-4-537-10985-6 |
6. 유사 작품
인간 사회에 대한 풍자를 목적으로, 인간 이외의 가공의 생물이 사는 나라로의 모험담이라는 점에서 조나단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와 공통점을 지닌다.[3] 새뮤얼 버틀러의 ''에레혼'' 또한 아쿠타가와에게 영향을 미친 작품으로 언급되기도 한다.[3]
작품 속 자본가 게엘이 동족 식용(인간 사회의 식인 풍습에 비견되는)을 긍정하는 모습은 스위프트의 다른 작품인 ''소박한 제안''이나 H. G. 웰스의 ''타임머신''에서 나타나는 특정 계층에 의한 식인 묘사와 유사성을 보인다.
광인(狂人)을 주인공으로 내세운다는 점에서는 루쉰의 ''광인일기''와 유사하며,[4] 니콜라이 고골의 ''광인일기'' 역시 비슷한 선례로 언급된다.[4]
참조
[1]
뉴스
JAPAN: Gulliver in a Kimono
http://content.time.[...]
1947-08-25
[2]
서적
Akutagawa Ryunosukei
Sanseidou
1942
[3]
서적
The Fantastic in Modern Japanese Literature: The Subversion of Modernity
Routledge
1996
[4]
간행물
Voices of Madness in Japan: Narrative Devices at the Psychiatric Bedside and in Modern Literature
Routledge
2017
[5]
서적
The Search for Authenticity in Modern Japanese Liter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8
[6]
뉴스
Last word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7-09-27
[7]
뉴스
孫2人が語る芥川龍之介 命日の24日、ゆかりの地・田端で河童忌
https://www.tokyo-np[...]
Tokyo Shimbun
2019-07-26
[8]
간행물
Kappa
Monumenta Nipponica
null
[9]
웹사이트
Ryunosuke Akutagawa’s Kappa: Enter the absurdity of Kappa Land in this new English translation.
https://metropolisja[...]
Metropolis
[10]
서적
柳田国男対談集
筑摩書房
[11]
웹사이트
本日開幕!「Kappa」開幕前取材レポート公開!
https://www.plusa-th[...]
エイベックス
2021-06-05
[12]
웹사이트
少年忍者 織山尚大舞台初主演、青木滉平出演 空想科学劇『Kappa』上演決定!
https://www.plusa-th[...]
エイベックス
2021-03-13
[13]
Youtube
Science-fiction”Kappa”【空想科学劇『Kappa』】
https://www.youtube.[...]
plus a/プラスエー
2021-1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