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웨덴 육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웨덴 육군은 스웨덴군의 육상 전력을 담당하며, 1521년 구스타프 1세 바사를 호위하기 위해 창설된 부대를 기원으로 한다. 17세기에 발트해 지역의 강국으로 성장하며 육군을 중심으로 군사력을 강화했으며, 1901년 징병제를 도입하고, 냉전 시기에는 소련의 침공에 대비하여 강력한 육군을 유지했다. 2010년 징병제를 폐지했으나, 2017년 부활했다. 현재는 다양한 장비와 차량, 소화기를 운용하며, 징병제와 모병제를 병행하여 병력을 충원하고 있다. 스웨덴 향토 방위대는 40개 대대로 구성되어 국토 방위 임무를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스웨덴 육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스웨덴 육군
원어 이름Svenska Armén
스웨덴 육군 문장
스웨덴 육군의 국장
창설일1521년
국가스웨덴
소속스웨덴군
병과육군
규모6,850명
군가스벤스카 아르메인스 파라드마르시
기념일1월 14일
장비스웨덴 육군 장비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지휘관
육군 참모총장Jonny Lindfors
육군 부참모총장Anders Svensson
육군 참모장Stefan Jansson
주요 지휘관구스타브 2세 아돌프
칼 10세 구스타브
칼 11세
칼 12세
칼 구스타프 렌스키욀드
아담 루트비히 레벤하우프트
칼 14세 요한
쿠르트 폰 스테딩크
요한 아우구스트 산델스
전투 및 훈장
전투스웨덴 독립 전쟁
덴마크 백작의 내분
대 러시아 전쟁
북방 7년 전쟁
리보니아 전쟁
러시아-스웨덴 전쟁 (1590–1595)
지기스문트와의 전쟁
폴란드 전쟁
드 라 가르디 원정
잉그리아 전쟁
칼마르 전쟁
30년 전쟁
토르스텐손 전쟁
제1차 브레멘 전쟁
제2차 북방 전쟁
제2차 브레멘 전쟁
스코네 전쟁
대북방 전쟁
모자 전쟁
7년 전쟁
구스타프 3세의 러시아 전쟁
제1차 바르바리 전쟁
제4차 대프랑스 동맹
핀란드 전쟁
제6차 대프랑스 동맹
노르웨이 원정
콩고 위기
1999년 동티모르 위기
아프가니스탄 전쟁
상징

2. 역사

스웨덴 육군의 현대적인 기원은 덴마크가 지배하던 칼마르 동맹에 맞서 스웨덴 독립 전쟁이 벌어지던 152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달라르나 지방민들이 구스타브 1세 바사를 호위하기 위해 선발한 16명의 병사들이 스베아 생명수비대의 시초가 되었으며, 이 부대는 오늘날까지 이어져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연대 중 하나로 남아있다.

칼마르 전쟁(1611-1613) 묘사. 덴마크-노르웨이와 스웨덴 사이에서 벌어졌다.


독립 이후 스웨덴은 군사력을 꾸준히 강화하여 17세기에는 구스타프 2세 아돌프의 군사 개혁과 30년 전쟁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유럽의 군사 강국으로 부상했다. 이 시기 스웨덴은 발트해 지역의 패권을 장악하며 '발트 제국' 또는 '강대국 시대'(stormaktstidensv)를 열었다. 그러나 칼 12세가 이끈 대북방 전쟁(1700-1721)에서 러시아 제국에 패배하면서 강대국의 지위를 상실했다.

18세기와 19세기를 거치며 스웨덴은 나폴레옹 전쟁에 참전하여 덴마크-노르웨이로부터 노르웨이를 할양받는 등(이는 스웨덴이 마지막으로 참전한 전쟁이 되었다) 변화를 겪었으나, 이후로는 중립 정책을 국가의 기본 외교 노선으로 삼았다. 양차 세계 대전 중에는 무장 중립을 유지하며 직접적인 참전을 피했다. 1901년에는 현대적인 징병제를 도입하여 군의 근대화를 추진했다.[38]

냉전 시대에는 소비에트 연방의 위협에 대비하여 '종합 방위'(Totalförsvarsv) 개념을 발전시키고 강력한 국방력을 유지했다. 냉전 종식 후에는 군비 감축과 구조조정을 겪었으며, 현대 스웨덴 육군은 중립 정책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유럽 연합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코소보아프가니스탄 등에서의 국제 평화 유지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2. 1. 초기 역사

중세 바이킹 시대부터 스웨덴의 무장 조직은 존재했지만, 현대적인 스웨덴 육군의 기원은 덴마크가 주도하던 칼마르 동맹 시기인 1521년으로 여겨진다. 당시 달라르나 지방의 사람들은 스웨덴 독립 전쟁을 이끌던 귀족 구스타브 1세 바사를 보호하기 위해 16명의 건장한 남성을 호위병으로 선발했다. 이것이 오늘날 스베아 생명수비대의 시초이며, 이 부대는 현재까지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연대 중 하나로 활동하고 있다.

바사 왕가가 들어서면서 스웨덴은 점차 군사력을 강화해 나갔다. 독립 이후 스웨덴 육군은 리보니아 전쟁북방 7년 전쟁 등에 참전하며 발트해 지역으로 세력을 넓혀가기 시작했다.

2. 2. 강대국 시대

중세 바이킹 시대부터 스웨덴의 무장 조직은 존재했지만, 현대 육군의 기원은 칼마르 동맹 해체 후인 1521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후 바사 왕가 시대부터 지속적으로 군사력을 발전시켜왔다. 독립 후 스웨덴 육군은 리보니아 전쟁북방 7년 전쟁에 참전하며 발트해 방면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17세기는 스웨덴이 주변 강국들과 연이어 전쟁을 벌이며 군사적 역량을 시험받던 시기였다. 스웨덴-폴란드 전쟁, 30년 전쟁, 토르스텐손 전쟁, 칼 구스타프 전쟁(북방 전쟁), 스코네 전쟁 등이 대표적이다. 칼마르 전쟁(1611-1613)에서는 당시 강력한 군사력과 용병을 보유했던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4세에게 고전했다. 당시 스웨덴군은 러시아 혼란기 개입 등으로 약화된 상태였기에 덴마크군을 상대로 수세에 몰렸고, 결국 1613년 크네레드 조약을 통해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 하지만 분쟁 지역이었던 칼마르는 지켜내는 데 성공했다. 이후 스웨덴은 군사력을 회복하고 팽창을 거듭하여 1658년에는 덴마크로부터 스코네 지방을 빼앗으며 영토 확장의 정점을 찍었다. 이 시기 스웨덴은 강력한 육군을 기반으로 한 군사 강국으로 성장하여, 발트해 지역의 패권을 장악한 발트 제국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이 시대를 스웨덴 역사에서 강대국 시대(stormaktstidensv)라고 칭한다.

뤼첸 전투에서 전사하는 구스타프 2세 아돌프


스웨덴이 군사 강국으로 성장하는 데에는 국왕이 직접 군대를 이끌고 전장에 나서는 친정(親征) 문화가 큰 역할을 했다. 특히 바사 왕조의 구스타프 2세 아돌프, 팔츠 왕가의 칼 10세, 그리고 칼 12세는 직접 해외 원정을 감행하며 주변국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모두 전장에서 생을 마감했다.

1611년 즉위한 구스타프 2세 아돌프는 스웨덴 육군 현대화의 기초를 마련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당시 군사적으로 선진국이었던 네덜란드의 군사 이론을 독일 유학을 통해 습득하고[26] 이를 바탕으로 대대적인 군사 개혁을 단행했다. 해군력 강화에도 힘썼다[27]. 구스타프 2세 아돌프의 개혁 중 가장 혁신적인 업적으로 평가받는 것은 징병제를 통한 상비군의 창설이다[30][28]. 이는 안정적인 병력 수급을 가능하게 하여 스웨덴 육군의 전투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다만, 군복 도입 등 일부 개혁 내용은 그 이전부터 다른 유럽 국가들에서 시행되고 있었다는 지적도 있다[28][29].

군비 재건에 힘쓴 칼 11세


하지만 징병제는 국민들에게 큰 부담이었기에, 늘어나는 군사적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외국인 용병의 고용이 필수적이었다[31]. 초기에는 독일 출신 용병이 많았으나, 스웨덴-폴란드 전쟁 이후에는 영국 출신 용병, 특히 스코틀랜드 용병의 비중이 늘어났다. 스웨덴 입장에서 자국의 전쟁에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없는 영국 용병들은 높은 신뢰를 받았고, 그 결과 다른 국적의 용병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지위를 얻거나 귀족 작위를 받는 경우가 많았다[32]. 이들 중 상당수는 구스타프 2세 아돌프 사후에도 스웨덴에 남았으나, 잉글랜드 내전이 발발하자 대부분 고국으로 돌아갔다[32]. 이들이 스웨덴군에서 습득한 선진 군사 지식과 경험은 이후 영국군의 현대화에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스웨덴군에서 연대장을 지낸 존 헵번(John Hepburn영어)은 프랑스군을 거쳐 찰스 1세를 위한 보병 연대를 창설했는데[33][34], 이 부대는 왕정복고 이후 영국 보병 연대의 모델이 되었으며[35], 영국 육군 제1보병연대인 로열 스코츠 연대(현 로열 스코틀랜드 연대 제1대대)의 전신이 되었다.

대북방 전쟁 중 전사한 칼 12세의 유해. 탄흔이 남아있다.


17세기 후반, 계속된 전쟁으로 인한 군의 소모와 재정난으로 스웨덴의 국력은 점차 약화되었다. 네덜란드 침략 전쟁에서는 주변국을 상대로 수세에 몰리기도 했다. 그러나 전후 칼 11세가 강력한 국정 개혁을 추진하면서 육해군 전력이 다시 강화되었고, 육군에는 상비군 제도가 재정비되었다. 칼 11세의 군사 개혁은 평시에도 전시 체제를 유지하여 신속한 동원을 가능하게 하는 방어력 강화에 중점을 두었다. 이는 국내 보급에 의존하는 단기간의 공세 작전을 가능하게 했으며, 국왕의 절대적인 권력을 통해 제국의 지위를 유지하고 방어하는 데 기여했다. 스웨덴의 절대 군주제는 군사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국왕이 군 최고사령관으로서 강력한 권한을 행사하는 형태였다[36]. 칼 11세가 재건한 군사력은 18세기 초 그의 아들인 칼 12세가 대규모 해외 원정을 감행하는 기반이 되었다.

그러나 18세기에 들어 장기화된 대북방 전쟁(1700-1721)은 스웨덴에게 큰 시련을 안겨주었다. 전쟁 초기에는 승리를 거두기도 했으나, 결국 러시아 제국을 중심으로 한 동맹군에게 최종적으로 패배하면서 스웨덴은 발트해의 패권을 상실하고 많은 해외 영토를 잃었다. 전쟁 중이던 1718년, 노르웨이 원정 중 칼 12세가 전사하면서 스웨덴의 절대 왕정 시대는 막을 내렸고, 1721년 니스타트 조약 체결과 함께 스웨덴의 강대국 시대는 종결되었다. 이후 스웨덴은 "자유의 시대"로 불리는 시기를 맞이하게 된다.

2. 3. 절대 왕정 시대



17세기 후반, 북방 전쟁 등으로 스웨덴군은 소모되었고 재정난으로 국력이 약화되었다. 이로 인해 네덜란드 침략 전쟁에서는 주변 국가에 대해 수세에 몰렸다. 그러나 전쟁 이후 칼 11세는 국정 개혁을 단행하여 육군과 해군을 강화했고, 육군에서는 다시 상비군이 조직되었다.

칼 11세의 군사 개혁은 방위 체제 구축에 중점을 둔 것이었다. 평시에도 전시 체제를 유지하여 군의 동원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였다. 이러한 개혁을 통해 스웨덴은 국내에서의 물자 보급을 바탕으로 단기간의 전쟁이라면 다른 나라를 공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또한, 국왕의 전제적인 지도력을 통해 제국의 지위를 유지하고 방어하기 위해 「절대 왕정」이라는 통치 형태가 선택되었다. 칼 11세가 재건한 군사력은 18세기 초 칼 12세가 해외 원정을 떠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스웨덴의 절대 군주제는 군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으며, 국왕은 군의 최고 사령관 또는 군사 독재자(en krigsdiktatursv)로 자리매김했다.[36] 군 최고 사령관으로서의 절대적인 권한은 이후 절대 왕정이 부활한 구스타프 왕조 시대의 국왕 구스타프 3세 및 구스타프 4세 아돌프의 통치 기간, 그리고 스웨덴의 섭정 왕세자가 된 칼 요한에 의해서도 행사되었다. 절대 군주제가 완전히 폐지된 19세기 이후에도 스웨덴의 군주는 20세기 후반까지 군 최고 사령관의 지위를 유지했다.

18세기에 들어서자 장기화된 대북방 전쟁에서 스웨덴은 결국 패배했고, 많은 해외 영토를 잃었다. 이 전쟁을 계기로 러시아 제국이 북유럽의 새로운 패권 국가로 부상했다. 열세 속에서도 스웨덴군을 이끌었던 칼 12세가 전사하면서 스웨덴의 절대 왕정 시대는 막을 내렸다. 1721년 니스타트 조약이 체결되면서 「자유의 시대」가 시작되었고, 스웨덴은 주변 국가의 정세에 영향을 받기 쉬운 불안정한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2. 4. 자유의 시대 및 이후

18세기 초, 장기화된 대북방 전쟁에서 스웨덴이 최종적으로 패배하면서 많은 해외 영토를 잃었고, 러시아 제국이 북유럽의 새로운 패권 국가로 부상했다. 국내에서는 전쟁 중에도 군을 이끌었던 칼 12세가 전사하면서 절대 왕정이 막을 내렸다. 1721년 니스타트 조약 체결과 함께 이른바 '자유의 시대'가 시작되었으나, 이는 주변 강대국의 정세에 영향을 받기 쉬운 불안정한 시기이기도 했다. 특히 핀란드 지역은 러시아와의 분쟁지가 되었고, 결국 제2차 러시아-스웨덴 전쟁 패배 후 러시아의 보호 아래 핀란드 대공국으로 분리되었다.

18세기 후반, 구스타프 3세가 즉위하면서 '자유의 시대'는 끝나고 다시 강국 정책이 추진되었다. 그는 러시아-스웨덴 전쟁을 통해 러시아의 간섭을 중단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후 프랑스 혁명의 여파로 발발한 프랑스 혁명 전쟁나폴레옹 전쟁 시기에는 대프랑스 동맹의 일원으로 제4차 대프랑스 동맹제6차 대프랑스 동맹 등에 참여했으며, 라이프치히 전투에도 참전했다.

나폴레옹군의 원수에서 스웨덴 국왕이 된 칼 14세 요한.


나폴레옹 전쟁 말기에는 덴마크-노르웨이와의 짧은 전쟁에서 승리하여 노르웨이를 병합했다. 이는 스웨덴이 실질적으로 참전한 마지막 전쟁으로 기록된다. 빈 회의의 결정에 따라 노르웨이는 스웨덴과 동등한 지위의 동군 연합 국가인 스웨덴-노르웨이 연합 왕국을 이루게 되었다. 1905년 노르웨이가 독립을 선언했을 때 스웨덴 정부는 군대를 동원하며 반대했으나, 외교적 협상을 통해 전쟁은 피할 수 있었다.

나폴레옹 전쟁 이후 스웨덴은 중립 정책을 국가의 기본 외교 노선으로 삼았다. 크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등 주요 국제 분쟁에서 불간섭 원칙을 지키기 위해 군대를 동원하고 국방 체제를 강화하는 무장 중립 정책을 펼쳤다. 19세기에는 범스칸디나비아주의의 영향이나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문제 등으로 인해 크림 전쟁이나 덴마크 전쟁 참전이 검토되기도 했으나, 최종적으로 중립 정책은 유지되었다.

육군 군복을 착용한 왕세자 시절의 구스타프 6세 아돌프.


중립을 유지하는 동안에도 군 현대화 노력은 계속되었다. 1901년 국방 개혁을 통해 일반 징병제가 도입되어 병역 제도가 정비되었다. 이 제도에 따라 병역 의무자는 보병의 경우 1년, 특수 기술 보유자는 추가로 240일간 복무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이 제도가 다시 검토되기도 했다. 1936년에는 예타 근위 연대에 2개의 기갑 대대가 창설되는 등, 이후 기갑 전력 확충과 보병 협동 전술 도입 등 현대적인 군대로 발전해 나갔다.

냉전 시대에 스웨덴은 비동맹 중립 정책을 고수하기 위해 징병제에 기반한 강력한 육군을 유지했다. 소비에트 연방의 잠재적 침공에 대비하여 '종합 방위' 개념을 발전시켰고, 이에 따라 전국적으로 쉘터 건설 등 전시를 상정한 인프라를 구축했다. 이 시기에는 독자적인 동원 능력을 갖춘 '종합 방위 시스템'이 완성되었다. 일반 동원을 지원하기 위해 향토 방위대가 조직되었으며, 유사시에는 수 시간 내에 10만 명, 최대 2주 내에 100만 명까지 동원하여 국토 방위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

냉전이 종결된 후 1990년대에는 육군 예산이 삭감되고 여러 연대가 해체되었다. 이로 인해 해당 연대가 주둔하던 지역 사회에서는 반발이 일기도 했다. 신규 하사관 임용은 감소하는 추세이며, 기초 훈련을 마친 신병들이 계속 복무하도록 장려되고 있다. 이들은 군사 기술 유지 및 향상에 기여하며, 국제적인 긴급 전개 임무에 투입될 수 있는 부대로 운용된다. 냉전 종결 이후 스웨덴은 중립 정책을 유지하면서도 국제 사회에서의 활동을 점차 늘려가고 있다. 이러한 기조 하에 NATO가 주도하는 코소보에서의 평화 유지 활동(코소보 치안 유지군)과 아프가니스탄에서의 ISAF 임무에도 참여하고 있다.

2. 5. 현대

1901년 스웨덴징병제를 도입했다.[3] 이 징병제는 2010년에 폐지되었으나, 2017년에 다시 부활했다.[4]

냉전 시대 동안 스웨덴은 비동맹 정책을 유지하며 징병제에 기반한 강력한 육군을 정비했다. 국군은 소비에트 연방의 잠재적인 침공에 대비하기 위해 '종합 방위'(Totalförsvarsv) 개념을 발전시켰다. 이 개념에 따라 스웨덴 전역에 쉘터 등이 건설되었고, 사회 기반 시설 역시 전시 상황을 고려하여 정비되었다. 이 시기에 구축된 '종합 방위 시스템'은 스웨덴이 독자적으로 대규모 동원을 가능하게 했다. 일반 시민들의 동원을 보호하기 위해 향토 방위대(Hemvärnet)가 조직되었으며, 유사시에는 몇 시간 안에 10만 명을 초기 동원하고, 2주 안에 최대 100만 명까지 동원하여 국토 방위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

냉전이 종결된 후 1990년대에는 육군 예산이 크게 삭감되었고, 많은 수의 연대가 해체되었다. 연대가 주둔하던 여러 지역 사회에서는 이러한 군 규모 축소에 항의하며, 지역 경제에 미칠 영향을 우려하여 국가 기관의 이전을 막고 실업률 증가를 억제하고자 노력했다.

또한, 신규 하사관 지원자 수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신병들은 기초 훈련을 마친 후에도 계속 군에 남아 복무하는 것이 권장되었다. 이렇게 계속 복무하는 인력으로 구성된 부대는 전문적인 군사 기술을 유지하고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국제적인 긴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파견될 수 있도록 운용되었다. 냉전 종결 이후 스웨덴은 전통적인 중립 정책을 유지하면서도 국제 사회에서의 활동을 점차 늘려나갔다. 이러한 변화의 일환으로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가 주도하는 코소보에서의 평화 유지 활동(코소보 평화유지군)과 아프가니스탄에서의 국제 안보 지원군(ISAF) 임무에도 참여했다.

3. 지휘 관계

1974년까지 스웨덴 군주는 공식적으로 국방군 전체의 최고 사령관이었으며, 1937년까지는 육군의 최고 사령관 지위를 가졌다.[1][2] 1937년, 평시 육군 지휘를 위해 육군참모총장(Chefen för armén|셰펜 푀르 아르멘sv, CA) 직책과 해당 본부가 신설되었다.[1]

1994년 스웨덴 국방군의 대규모 개편으로 육군참모총장(CA) 직책은 독립 기관으로서의 지위를 잃고, 국방군 전체가 최고 사령관(ÖB) 아래 통합되었다.[1] 대신 당시 새로 설립된 스웨덴 국방군 본부(HKV)에 육군사령관(Chefen för arméledningen|셰펜 푀르 아르멜레드닝엔sv) 직책이 신설되었다.[1][3]

1998년, 국방군은 다시 한번 재편되어 육군사령관의 대부분 임무는 새로 설립된 육군총감(Generalinspektören för armén|예네랄린스펙퇴렌 푀르 아르멘sv) 직책으로 이관되었다.[1] 이 직책은 스웨덴 해군 총감 및 스웨덴 공군 총감과 유사하며, 이후 육군 감찰관(Arméinspektören|아르메인스펙퇴렌sv)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2014년에는 육군참모총장(Arméchefen|아르메셰펜sv, AC) 직책이 다시 부활하였다.[1]

해군 제복을 입은 카를 16세 구스타프 국왕과 기마한 마르틸리 멜린 육군사령관


역대 육군 최고 사령관
이름초상임기
육군참모총장
Chefen för arménsv
페르 실반
Per Sylvansv
--1937년 – 1940년
이바르 홀름퀴스트
Ivar Holmquistsv
--1940년 – 1944년
아르키발드 더글러스
Archibald Douglas (1883–1960)sv
아르키발드 더글러스
1944년 – 1948년
카를 아우구스트 에렌스베르드
Carl August Ehrenswärdsv
--1948년 – 1957년
토르드 본데
Thord Bondesv
--1957년 – 1963년
쿠르트 괴란손
Curt Göranssonsv
쿠르트 괴란손
1963년 – 1969년
카를 에릭 알름그렌
Carl Eric Almgrensv
카를 에릭 알름그렌
1969년 – 1976년
닐스 셸드
Nils Sköldsv
--1976년 – 1984년
에릭 G. 벵트손
Erik G. Bengtssonsv
--1984년 – 1990년
오케 사그렌
Åke Sagrénsv
오케 사그렌
1990년 – 1994년
육군사령관
Chefen för arméledningensv
오케 사그렌
Åke Sagrénsv
--1994년 – 1996년
마르틸리 멜린
Mertil Melinsv
마르틸리 멜린
1996년 – 1998년
육군총감
Generalinspektörersv
파울 데겔룬드
Paul Degerlundsv
--1998년 – 2000년
알프 산드크비스트
Alf Sandqvistsv
알프 산드크비스트
2000년 – 2005년
스베르케르 예란손
Sverker Göransonsv
스베르케르 예란손(오른쪽)
2005년 – 2007년
베른트 그룬데비크
Berndt Grundeviksv
베른트 그룬데비크
2007년 –


4. 조직

스웨덴 육군의 평시 조직은 여러 병과의 다수 연대(sv)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이 연대들은 육군 및 향토방위군 소속의 다양한 대대들을 훈련시키는 기본적인 훈련 조직으로서 기능한다.[40] 냉전 종식 이후 활동 연대의 수는 감소하였으나, 2014년 러시아 연방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기점으로 고조된 동쪽의 안보 위협에 대응하여 스웨덴 육군은 다시 조직을 확장하고 전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국제 정세 변화 속에서 오랜 중립국 지위를 유지해 온 스웨덴은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정식 회원국으로 가입하며 집단 안보 체제에 편입되었다.[5]

스웨덴군은 과거 징병제에 기반한 대규모 동원 체제에서 벗어나, 현대 기동전 환경에 더 적합하고 높은 수준의 준비태세를 유지할 수 있는 전문적인 국방 조직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밟고 있다. 이는 상시 가용 병력을 확보하고 신속 대응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스웨덴 육군의 부대들은 임무의 성격에 따라 중대부터 여단 규모까지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는 모듈식 구조를 채택하여 작전 유연성을 높이고 있다. 중앙 지휘 체계 아래에는 이러한 다양한 규모의 전투 부대를 효과적으로 지휘하고 통제하기 위한 상설 참모 조직이 운영되고 있다.

4. 1. 평시 편제



스웨덴 육군의 평시 조직은 여러 병과의 다수 연대(sv)로 구성되며, 이 연대들은 육군과 향토방위군의 다양한 대대를 훈련시키는 역할을 한다.[40] 냉전 종식 후 활동 연대 수는 감소했으나, 2014년 이후 러시아 연방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안보 위협 증가에 대응하여 스웨덴 육군은 다시 확장을 시작했다. 오랜 중립 정책을 유지하던 스웨덴은 2024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정식 회원국이 되었다.[5]

스웨덴군냉전 시대의 대규모 동원 군대에서 벗어나, 현대 기동전에 더 적합하고 높은 대비태세를 갖춘 전문적인 국방 조직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겪고 있다. 1901년 도입된 징병제는 2010년에 폐지되었으나, 변화하는 안보 환경에 따라 2017년에 다시 부활했다.[3][4]

2014년 이후 스웨덴 육군은 상시 또는 파트타임 근무 군인 약 50,000명을 보유하고 있다. 이 중 8개의 기계화 보병 대대는 즉시 투입 가능하며, 총 71개 대대(상비군 19개 대대, 예비 중장갑 대대 4개, 지역 방위 대대 40개 등 포함)는 1주일 내 배치 준비 태세를 갖추고 있다. 상비군은 8개의 기계화 기동 대대, 포병 대대, 대공 대대, 공병 대대, 레인저, 수송 대대 등으로 구성된다.

근위보병


스웨덴 육군의 기본 부대 단위는 대대이지만, 모든 부대는 모듈식으로 설계되어 임무에 따라 중대에서 여단 수준까지 유연하게 전투팀을 구성할 수 있다. 중앙 사령부 아래에는 대규모 전투단을 지휘할 수 있는 6개의 상설 참모부(지역 참모부 4개, 여단 참모부 3개, 사단 참모부 1개)가 있다.

국제적으로는 유럽연합 전투단의 일부인 북유럽 전투단 편성에 참여하며, 지휘국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다음은 스웨덴 육군의 주요 병과별 부대 목록이다. (2009년 기준 현역병 약 10,200명, 징집병 약 5,800명[37])

병과부대명주둔지
보병근위연대(LG)스톡홀름주 스톡홀름
기병
(주로 경보병, 레인저, 헌병 훈련 담당)
기병근위연대(K 3)
(공중강습대대, 장거리정찰척탄병대대, ISTAR)
베스트라 예탈란드주 칼스보리
육군척탄병대대(AJB)
(척탄병대대, ISTAR)
노르보텐주 아르비츠야우르
근위연대(LG)
(근위기병대, 헌병대)
스톡홀름주 스톡홀름
근위기병
근위기병
생화학무기 방호종합방위보안센터(SkyddC)베스테르보텐주 우메오
기갑부대스카라보리 연대(P 4)베스트라 예탈란드주 셰브데
남 스코네 연대(P 7)스코네주 레빙헤드(sv)
노르보텐 연대(I 19)
(스웨덴 북부 부대 훈련 담당)
노르보텐주 보덴
포병포병연대(A 9)노르보텐주 보덴
방공포병방공연대(Lv 6)할란드주 할름스타드
공병예탈 공병연대(Ing 2)
(1개 중대는 아한대 작전을 위해 보덴에 분둔)
옌셰핑주 엑셰
통신관리연대(LedR)웁살라주 엔셰핑
후방지원수송연대(TrängR)베스트라 예탈란드주 셰브데


4. 2. 주요 부대

스웨덴 육군의 평시 조직은 여러 병과의 다수 연대(Regiment)로 구성된다. 냉전 종식 후 활동 연대 수는 감소했지만, 2014년 이후 러시아 연방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으로 인한 안보 환경 변화에 따라 스웨덴 육군은 다시 확장되기 시작했다. 오랜 중립국 지위를 유지했던 스웨덴은 2024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정식 회원국이 되었다.[5] 연대는 육군과 향토 방위군의 다양한 대대를 훈련시키는 훈련 조직 역할을 한다.

스웨덴군징병제 기반 군대에서 전문적인 국방 조직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는 냉전 시대의 대규모 군대에서 벗어나 현대 기동전에 더 적합하고 높은 대비태세를 갖춘 군대를 목표로 한 것이다. 2010년 폐지되었던 징병제는 2017년 부활했다.[4] 2014년 이후 스웨덴 육군은 약 50,000명의 상근 또는 파트타임 군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8개의 기계화 보병 대대는 즉시 투입 가능하고, 전체 71개 대대는 1주일 내에 배치될 준비가 되어 있다. 상비군은 8개의 기계화 기동 대대, 포병 대대, 대공 대대, 공병 대대, 레인저, 수송 대대 등 19개의 다양한 지원 대대와 4개의 예비 중장갑 대대, 40개의 지역 방위 대대로 구성된다. 모든 부대는 모듈식 구조로, 임무에 따라 중대에서 여단 수준까지 다양한 전투팀을 구성할 수 있다. 중앙 사령부 아래에는 대규모 전투단을 지휘할 수 있는 6개의 상설 참모부(지역 참모부 4개, 여단 참모부 3개, 사단 참모부 1개)가 있다.

스웨덴 군인들의 훈련


=== 평시 훈련 부대 ===

스웨덴 육군 연대는 육군의 신속 대응 조직 작전 대대에 대한 징집병 훈련을 담당한다. 갓란드 연대는 향토 방위군 부대 훈련을 전담한다. 현재 활동 중인 주요 연대와 평시 하급 부대는 다음과 같다.

평시 훈련 담당 연대 및 주요 하급 부대
연대소재지주요 훈련 담당 부대 및 역할
생명근위대 (LG)스톡홀름생명근위대 대대, 제1 기계화 보병대대 (제1 보병여단 징집병 훈련)[6], 제1 군사경찰대대[7], 제13 경비대대, 국방군 군사경찰 부대 (FM MPE), 스웨덴 국방군 군악대 (FöMus), 국방군 국제센터 (Swedint)
달라르나 연대 (I 13)팔룬2개 보병대대 훈련
노르보텐 연대 (I 19)보덴노르보텐 기갑대대 (제191/192 기계화 대대, 제19 여단 정찰 중대 병력 훈련), 국방군 동계 부대 (FMVE)
베스테르노를란드 연대 (I 21)솔레프테오2개 보병대대 훈련, 옘틀란드 레인저 군단 (JFK) (외스테르순드)
생명근위대 기갑연대 (K 3)칼스보리제31 레인저 대대, 제32 정보 대대 병력 훈련, 국방군 생존학교
노를란드 용기병 연대 (K 4)아르비드스야우르제193 레인저 대대 병력 훈련
스카라보리 기갑 연대 (P 4)스코브데제41/42 기계화 대대, 제1 중장비 수송 중대, 제4 여단 정찰 중대, 제1 사단 참모부 병력 훈련
남 스카니아 연대 (P 7)레빙헤드제71/72 경기계화 대대 병력 훈련
갓란드 연대 (P 18)비스뷔[8]갓란드 향토 방위군 훈련 및 지원 (갓란드 그룹 GLG, 갓란드 대대)
보덴 포병 연대 (A 8)보덴제91/92 포병 대대 병력 훈련, 포병 전투학교
스웨덴 방공 연대 (Lv 6)할름스타드제61/62 방공 대대 병력 훈련
예타 공병 연대 (Ing 2)엑쇠제21/22 공병 대대 병력 훈련, 야전 공사학교
예타 후방 연대 (T 2)스코브데제1/2 후방 대대 병력 훈련



=== 작전 편제 부대 (2024년 기준) ===

스웨덴 육군은 행정 구조와 작전 구조를 분리한다. 평시 부대는 훈련, 장비, 전투 준비태세를 담당하며, 이들이 전시에는 작전 편제(Försvarsmaktens Insatsorganisation, FM IO)에 따라 전시 부대(krigsförband)를 편성한다. 2022년 기준으로 제1사단이 작전 부대로 재편성되었으며, 현재 4개 여단(노르보텐 여단, 남 스카니 여단, 근위대 여단, 스카라보르그 여단)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12]

2024년 현재 육군의 주요 작전 편제 부대는 다음과 같다.


  • '''제1사단''' (1. divisionen - 창설 중)
  • 제1사단 참모부 (스코브데)[13] 및 참모대대, 전자전 대대, 지원대대, 공병대대

  • '''근위대''' (LG), 쿵스엥겐 (보병 및 헌병)
  • 근위대 대대 (Livbataljonen): 참모/지원 중대, 근위대 중대, 근위대 기마 중대, 기병 기마 중대[14]
  • 제1헌병대대: 인원 보호 중대, 헌병 중대 2개, 수사반
  • 제1보병여단 (근위대 여단, IB 1)[15]
  • 제1기계화보병대대 (파트리아 AMV 장비)[16], 제2기계화보병대대 (창설 중)
  • 제13경비대대: 육상 및 해상 경비 중대

  • '''라이프 레지먼트 휴사르''' (K 3), 칼스보리 (기병 - 경보병, 레인저, 정보)
  • 제31레인저 대대: 레인저 중대 3개
  • 제32정보 대대: 정찰 중대 2개, 낙하산 레인저 중대

  • '''노를란드 용기병 연대''' (K 4), 아르비드스야우르 (기병 - 레인저)
  • 노를란드 레인저 대대

  • '''스카라보르그 연대''' (P 4), 스코브데 (기갑)
  • 스카라보르그 여단 (MekB 4 - 일부 창설 중)
  • 제4여단 참모부[17] 및 지휘, 정찰, 통신, 방공 중대
  • 제41장갑대대 (스트리드스바겐 122 전차 2개 중대, CV90 기계화 2개 중대)
  • 제42장갑대대 (동일 편성)
  • 제43기계화대대 (창설 중)
  • 제4여단 지원대대, 공병대대, 포병대대
  • 제4장갑 수송 중대

  • '''남 스카니아 연대''' (P 7), 레빙헤드 (기갑)
  • 남 스카니 여단 (MekB 7 - 일부 창설 중)
  • 제7여단 참모부 및 지휘, 정찰, 통신, 방공 중대
  • 제71기계화보병대대 (파트리아 AMV 장비)
  • 제72장갑대대 (스트리드스바겐 122 전차 2개 중대, CV90 기계화 2개 중대)
  • 제73기계화대대 (창설 중)
  • 제7여단 지원대대, 공병대대, 포병대대
  • 제7장갑 수송 중대

  • '''달라르나 연대''' (I 13), 팔룬 (보병)
  • 제131보병대대 (창설 중), 제132보병대대 (창설 중)

  • '''고틀란드 연대''' (P 18), 비스뷔[8] (기갑)
  • 제181장갑대대 (스트리드스바겐 122 전차 1개 중대, CV90 기계화 1개 중대)

  • '''노르보텐 연대''' (I 19), 보덴 (기갑/기계화)
  • 노르보텐 여단 (NMekB 19 - 일부 창설 중)
  • 제19여단 참모부 및 지휘, 정찰(CV90 장비), 통신, 방공 중대
  • 제191장갑대대 (스트리드스바겐 122 전차 2개 중대, CV90 기계화 2개 중대)
  • 제192장갑대대 (동일 편성)
  • 제193기계화대대 (창설 중)
  • 제19여단 지원대대, 공병대대, 포병대대
  • 제19장갑 수송 중대

  • '''베스터노를란드 연대''' (I 21), 솔레프테오 (보병)
  • 제211보병대대 (창설 중)
  • 옘틀란드 레인저 군단 (Jämtlands fältjägarkår), 외스테르순드
  • 제212보병대대 (창설 중)

  • '''보덴 포병 연대''' (A 8), 보덴 (포병)
  • 제81포병대대 (아처 포대 3개)
  • 제82포병대대 (동일 편성)

  • '''베르그슬라겐 포병 연대''' (A 9), 크리스티네함 (포병)
  • 제91포병대대 (창설 중, 아처 포대 3개)
  • 제92포병대대 (창설 중, 동일 편성)

  • '''방공 연대''' (Lv 6), 할름스타드 (방공포병)
  • 제61방공대대, 제62방공대대

  • '''예타 물류 연대''' (T 2), 스코브데 (후방지원)
  • 제1물류대대, 제2물류대대
  • 제1/2의료 보강 중대, 제1교통 및 이동 통제 중대


=== 기타 지원 부대 ===

다음 국방군 기관은 육군 작전 편제에 추가적인 지원 부대를 제공한다.

  • '''지휘 연대''' (LedR), 엔셰핑 (통신 및 지휘)
  • 지휘 대대, 통신 대대, 전자전 대대, 심리전 부대, 기상 및 해양학 센터
  • '''국방군 국방의학 센터''', 괴테보리 (의무)
  • 제1병원 중대, 제2병원 중대
  • '''국가 CBRN 방어 센터''' (SkyddC), 우메오 (화생방 방호)
  • 제1CBRN 방어 중대
  • '''국방군 기술학교''', 할름스타드
  • 제1작전 물류 대대


스웨덴 육군은 유럽연합 전투단의 일부인 북유럽 전투단에도 부대를 파견하며, 때때로 지휘국 역할을 맡기도 한다.

5. 장비

스트리스포르돈 90


스웨덴 육군은 현대적인 군사 작전 수행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장비를 운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스트리스포르돈 90 보병전투차가 있다.

자세한 장비 목록은 아래 하위 문단 및 스웨덴 육군의 장비 목록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차량

스웨덴 육군 주요 운용 차량
구분모델명기반 모델운용 수량비고
주력 전차Strv 122레오파르트 2120대
주력 전차Strv 121레오파르트 2160대
Strv 121 전차
보병전투차Strv 9040스트리스포르돈 90372대
장갑병원수송차Pbv 401AMT-LB222대이 중 56대는 수륙양용 사양의 4020형
장갑병원수송차Pbv 302Pbv 302363대
장갑수송차Bv S10Bv 20650대
장갑병원수송차XA-180/XA-203XA-180 / XA-203202대


5. 2. 화포

예르브(Archer) 자주주포

  • 예르브(Archer) 자주주포 × 24문
  • FH77B 155mm 견인곡사포 × 50문
  • 120mm 박격포 × 208문
  • Strv 90LV 40mm 기관포 × 30문

5. 3. 미사일


  • RBS 70: 차량에 탑재하여 운용하는 지대공 미사일로, 16대를 보유하고 있다.
  • RBS 90: 병사가 직접 휴대하여 운용하는 지대공 미사일이다.

5. 4. 항공기


  • 스펠웨어(Spelwer) UAV × 3기

5. 5. 소화기

Ak 5와 전투복

  • Pistol m/88 권총
  • H&K MP5 기관단총
  • 레밍턴 M870 산탄총
  • M4A1 소총
  • Ak 24 소총
  • Ak 5 소총
  • Ak 4 소총
  • Ksp 58 범용기관총
  • Ksp 90 경기관총
  • Tksp 12.7mm 기관총
  • Psg 90 저격총
  • Ag 90 대물저격총
  • 다넬 MGL 유탄발사기
  • M203 유탄발사기
  • Grsp, Mk 19 자동유탄발사기
  • Grg m/48 무반동총
  • P-skott m/86 휴대용 대전차탄
  • RB-55/RB-56 휴대용 대전차 미사일
  • RBS 70 휴대용 지대공 미사일

5. 6. 전투복

전투복의 위장무늬로 채택된 M90은 스프린터 위장 스타일의 기하학적 패턴이다.

6. 병력 규모

스웨덴은 1901년 징병제를 도입했다.[3] 20세기 대부분 동안 스웨덴군은 기본 훈련을 받은 징집병과 주기적으로 재교육을 받는 예비군으로 구성되었다. 징병제는 2010년에 폐지되었으나, 2017년에 다시 부활했다.[4]

스웨덴 육군의 병력 규모는 시대 상황에 따라 크게 변동해왔다.

시대별 스웨덴 육군 병력 규모 변화 (동원 가능 총 병력 기준)
시기병력 규모주요 내용
1902년 ~ 제2차 세계 대전 시작 전약 10만 명1901년 징병제 도입. 징집병은 2년간 복무.
1945년 말약 70만 명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사력 증강. 징병 강화 및 복무 기간 연장.
1947년 말약 17만 명제2차 세계 대전 후 병력 감축.
1950년 ~ 1976년평균 25만 명
(최대 40만 명)
냉전 시작으로 다시 군사력 증강.
1980년대약 18만 명
1995년약 8만 명냉전 종식 후 대규모 구조 조정 및 병력 감축. 연간 징집 인원 축소. 의무 복무 기간 10개월로 단축.
2004년약 6만 명지속적인 병력 감축.
2013년약 1만 6천 명2010년 징병제 폐지 후 최저 수준 기록.
2014년 이후약 5만 명
(상근/비상근)
직업군인 중심의 전문 국방 조직으로 전환. 2017년 징병제 부활.



냉전 종식 이후 스웨덴 육군은 징병제 기반의 대규모 군대에서 벗어나, 현대 기동전에 더 적합하고 높은 준비태세를 갖춘 전문적인 군대로 전환하는 과정을 겪었다. 2014년 기준으로, 스웨덴군은 상시 근무 또는 비상근 근무를 하는 약 5만 명의 군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8개의 기계화 보병 대대는 즉시 투입 가능하고, 전체 71개 대대는 1주일 내에 배치될 준비가 되어 있다.[40] 정규 군대는 8개의 기계화 기동 대대, 포병 대대, 방공 대대, 전투 공병 대대, 경비대, 군수 대대 및 4개의 예비 중무장 대대와 40개의 영토 방위 대대로 구성된다. 모든 부대는 모듈식으로 구성되어 임무에 따라 중대에서 여단 규모까지 다양한 전투 부대를 편성할 수 있다.

스웨덴 정부는 2020년까지 5만 명의 전문 군인을 확보할 계획을 세웠으며, 이를 위해 대규모 홍보 캠페인을 진행했다. 또한, 과거에 해체되었던 달라르나 연대(Dalarna Regiment), 베스테르노를란드 연대(Västernorrland Regiment), 노를란드 기병 연대(Norrland Dragoon Regiment), 베르크슬라겐 포병 연대(Bergslagen Artillery Regiment) 등을 재창설하고, 예맡란드 레인저 군단(Jämtland Ranger Corps)을 베스테르노를란드 연대 예하 대대 규모로 재편성하는 등 군 조직을 다시 확장하고 있다.

7. 모병

17세기부터 1901년까지 스웨덴 육군의 모병은 징발제에 기반을 두었다. 1812년에는 20세에서 25세 사이의 모든 남성을 대상으로 연간 12일간 복무하는 제한적인 징병제가 도입되었고, 1858년에는 복무 기간이 2년에 4주로 증가했다. 징발제는 1901년에 폐지되고 모든 남성에 대한 보편적 징병제로 대체되었다.[3] 이때부터 모든 병력은 1년간의 의무 복무 기간 동안 징집병으로 충원되었으며, 훈련을 마친 부대는 예비역으로 편성되었다.

징병제 하에서 복무 평점이 우수한 징집병은 의무 복무를 마친 후 장교, 부사관으로 지원하거나, 2007년부터는 주로 북유럽 전투단에 배치될 전문 일병으로 군에 남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또한 스웨덴 육군은 1950년대부터 단기 계약 형태로 병사들을 모집하여 유엔 평화유지 활동에 파견해왔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2년부터 스웨덴 정부는 군사력 증강 계획에 따라 징병을 엄격히 시행하고 의무 복무 기간을 연장했다. 사병의 기본 훈련 기간은 12개월이었고, 소대장 예정자인 징집 하사(주로 고등학교 졸업생)는 18개월, 징집 장교는 24개월 동안 복무했다. 이러한 복무 기간은 점차 단축되어 2009년 징병 중단 직전에는 모든 징집병의 복무 기간이 동일해졌다. 징병은 사회적 의무의 일부이자 스웨덴의 '폴크헴메트(folkhemmet, 인민의 집)' 원칙을 수호하는 것이라는 인식과 함께 유지되었으나, 1950년대와 1960년대 냉전 시기에는 징병 회피 시 징역형에 처해지기도 했다.

냉전 종식 이후, 스웨덴 국방군은 징병제 기반의 대규모 군대에서 벗어나 현대의 기동전에 더 적합하고 높은 대비태세를 유지할 수 있는 전문적인 군 조직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밟았다. 이러한 변화의 일환으로 2010년 7월, 징병제가 폐지되고 완전한 전문 군인으로 구성된 모병제로 전환되었다.[4]

그러나 러시아 연방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변화된 안보 환경 속에서 2017년 3월 2일, 스웨덴 정부는 징병제를 다시 부활시키기로 결정했다.[4][5] 이에 따라 1999년생 남녀 약 13,000명 중 4,000명이 선발되어 2018년 1월부터 징집되기 시작했다. 스웨덴 정부는 국제 정세 변화에 따라 징집병 규모가 증가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23]

8. 계급

'''장교 계급'''[24]

장교 계급 계급장.

} (대장)

| colspan=2| Generallöjtnant|sv (중장)

| colspan=2| Generalmajor|sv (소장)

| colspan=2| Brigadgeneral|sv (준장)

| colspan=2| Överste|sv (대령)

| colspan=2| Överstelöjtnant|sv (중령)

| colspan=2| Major|sv (소령)

| colspan=2| Kapten|sv (대위)

| colspan=3| Löjtnant|sv (중위)

| colspan=3| Fänrik|sv (소위)

|}

'''부사관 및 병 계급'''[25]

부사관 및 병 계급 계급장.

NATO 코드OF-9OF-8OF-7OF-6OF-5OF-4OF-3OF-2OF-1
계급장
계급명{{lang|sv|General|}
} (연대 관리관)

| colspan=2| Förvaltare|sv (관리관)

| colspan=1| Överfanjunkare|sv (상급 준위)

| colspan=1| Fanjunkare|sv (준위)

| colspan=3| Översergeant|sv (상급 중사)

| colspan=3| Sergeant|sv (중사)

| colspan=3| Överfurir|sv (상급 하사)

| colspan=3| Furir|sv (하사)

| colspan=4| Korpral|sv (상병)

| colspan=2| Vicekorpral|sv (일병)

| colspan=2| Menig 4|sv (병장)

| colspan=2| Menig 3|sv (상등병)

| colspan=1| Menig 2|sv (일등병)

| colspan=1| Menig 1|sv (이등병)

| colspan=2| Menig|sv (병)

|}

9. 향토 방위대

향토방위대는 총 2만 2천 명의 병력으로 구성되며, 40개 대대를 보유하고 있다.[18] 많은 병사들이 정규군 부대에서 해외 파병 경험을 가지고 있다.

9. 1. 북부 군관구

북부 군관구는 옘틀란드주, 노르보텐주, 베스테르보텐주, 베스테르노를란드주의 향토 방위대 부대에 훈련 및 행정 자원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19] 본부는 보덴에 위치한다.[19]

  • '''라플란드 예거 그룹''' (Lapplandsjägargruppensv – LJG): 키루나 (북부 노르보텐주) 소재.
  • * 라플란드 예거 대대 (Lapplandsjägarbataljonensv – 10. hvbat): 키루나 소재.
  • * 국경 예거 대대 (Gränsjägarbataljonensv – 11. hvbat): 칼릭스 소재.
  • '''노르보텐 그룹''' (Norrbottensgruppensv – NBG): 보덴 (남부 노르보텐주) 소재.
  • * 노르보텐 대대 (Norrbottensbataljonensv – 12. hvbat): 루레오 소재.
  • '''베스테르보텐 그룹''' (Västerbottensgruppensv – VBG): 우메오 (베스테르보텐주) 소재.
  • * 베스테르보텐 대대 (Västerbottensbataljonensv – 13. hvbat): 우메오 소재.
  • '''야전 예거 그룹''' (Fältjägargruppensv – FJG): 외스테르순드 (옘틀란드주) 소재.
  • * 야전 예거 대대 (Fältjägarbataljonensv – 14. hvbat): 외스테르순드 소재.
  • '''베스테르노를란드 그룹''' (Västernorrlandsgruppensv – VNG): 헤르네산드 (베스테르노를란드주) 소재.
  • * 옹에르만란드 대대 (Ångermanlandsbataljonensv – 15. hvbat, 옹에르만란드 주): 외른셸드스비크 소재.
  • * 메델파드 대대 (Medelpadsbataljonensv – 16. hvbat, 메델파드 주): 순드스발 소재.

9. 2. 중부 군관구

스웨덴 중부 군관구는 달라르나주, 예블레보리주, 쇠데르만란드주, 스톡홀름주, 웁살라주, 베스트만란드주 지역의 향토 방위대 부대에 훈련 및 행정 자원을 지원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20] 본부는 쿵생언에 위치한다.[20]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

NATO 코드OR-9OR-8OR-7OR-6OR-5OR-4OR-3OR-2OR-1
계급장
계급명{{lang|sv|Regementsförvaltare|}
집단명본부관할 지역/주요 부대예하 대대
달 연대 집단 (Dalregementsgruppen – DRG)팔룬달라르나주달 대대 (Dalabataljonen – 17. hvbat), 팔룬
예블레보리 집단 (Gävleborgsgruppen – GBG)예블레예블레보리주예블레보리 대대 (Gävleborgsbataljonen – 18. hvbat), 예블레
웁란드 및 베스트만란드 집단 (Upplands- och Västmanlandsgruppen – UVG)엔셰핑웁살라주베스트만란드주웁란드 대대 (Upplandsbataljonen – 21. hvbat), 웁살라
베스트만란드 대대 (Västmanlandsbataljonen – 22. hvbat), 베스테로스
근위대 집단 (Livgardesgruppen – LGG)쿵생언스톡홀름주아툰달란드 대대 (Attundalandsbataljonen – 23. hvbat), 스톡홀름
스톡홀름 대대 (Stockholmsbataljonen – 24. hvbat), 스톡홀름
텔예후스 대대 (Telgehusbataljonen – 25. hvbat), 쇠데르텔예
울브순다 대대 (Ulvsundabataljonen – 26. hvbat), 스톡홀름
쇠데르만란드 집단 (Södermanlandsgruppen – SLG)스트랭네스쇠데르만란드주쇠데르만란드 대대 (Södermanlandsbataljonen – 27. hvbat), 스트랭네스
쇠데르퇀 집단 (Södertörnsgruppen – UGS)베르가 해군기지스톡홀름 주 해안 지역로슬라겐 대대 (Roslagsbataljonen – 28. hvbat), 노르텔예 로슬라겐
쇠데르퇀 대대 (Södertörnsbataljonen – 29. hvbat), 베르가 해군기지 쇠데르퇀


9. 3. 남부 군관구

스웨덴 남부 군관구는 블레킹에주, 예뇌핑주, 칼마르주, 크로노베리주, 스코네주, 외스테르예틀란드주에 있는 향토방위대 부대에 훈련 및 행정 자원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21]

  • '''스웨덴 남부 군관구''', 레빙게뷔 소재[21]
  • * 생명 근위대 그룹 (Livgrenadjärgruppen|리브그레나예르그루펜sv – LGAG), 링셰핑(외스테르예틀란드주) 소재
  • ** 제1 생명 근위대 대대 (Första livgrenadjärbataljonen|푀르스타 리브그레나예르바탈요넨sv – 30. hvbat), 링셰핑 소재
  • ** 제2 생명 근위대 대대 (Andra livgrenadjärbataljonen|안드라 리브그레나예르바탈요넨sv – 31. hvbat), 노르셰핑 소재
  • * 북부 스몰란드 그룹 (Norra Smålandsgruppen|노라 스몰란드스그루펜sv – NSG), 엑셰(예뇌핑주) 소재
  • ** 북부 스몰란드 대대 (Norra Smålandsbataljonen|노라 스몰란드스바탈요넨sv – 33. hvbat), 예뇌핑 소재
  • * 칼마르-크로노베리 그룹 (Kalmar- och Kronobergsgruppen|칼마르 오크 크로노베리스그루펜sv – KRAG), 벡셰(칼마르주크로노베리주) 소재
  • ** 칼마르 대대 (Kalmarbataljonen|칼마르바탈요넨sv – 34. hvbat), 칼마르 소재
  • ** 크로노베리 대대 (Kronobergsbataljonen|크로노베리스바탈요넨sv – 35. hvbat), 벡셰 소재
  • * 블레킹에 그룹 (Blekingegruppen|블레킹에그루펜sv – BLG), 칼스크로나(블레킹에주) 소재
  • ** 블레킹에 서부 대대 (Blekinge västra bataljon|블레킹에 베스트라 바탈욘sv – 36. hvbat), 로네뷔 소재
  • ** 블레킹에 동부 대대 (Blekinge östra bataljon|블레킹에 외스트라 바탈욘sv – 37. hvbat), 칼스크로나 소재
  • * 스코네 그룹 (Skånska gruppen|스콘스카 그루펜sv – SSK), 레빙게뷔(스코네주) 소재
  • ** 남부 스코네 대대 (Södra skånska bataljonen|쇠드라 스콘스카 바탈요넨sv – 46. hvbat), 룬드 소재
  • ** 말뫼후스 대대 (Malmöhusbataljonen|말뫼후스바탈요넨sv – 47. hvbat), 말뫼(말뫼후스주) 소재
  • ** 스코네 용기병 대대 (Skånska dragonbataljonen|스콘스카 드라곤바탈요넨sv – 48. hvbat), 헬싱보리 소재
  • ** 북부 스코네 대대 (Norra skånska bataljonen|노라 스콘스카 바탈요넨sv – 49. hvbat), 크리스티안스타드 소재

9. 4. 서부 군관구

서부 군사 지역은 할란드주, 베름란드주, 베스트라 예탈란드주, 외레브로주에 있는 향토 방위대 부대에 훈련 및 행정 자원을 지원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22]

  • '''서부 군사 지역''', 스코브데[22]
  • * 외레브로-베름란드 그룹 (Örebro- och Värmlandsgruppen|sv – ÖVG), 외레브로 (외레브로주베름란드주)
  • ** 베름란드 대대 (Värmlandsbataljonen|sv – 19. hvbat), 칼스타드
  • ** 산나헤드 대대 (Sannahedsbataljonen|sv – 20. hvbat), 외레브로
  • * 스카라보르그 그룹 (Skaraborgsgruppen|sv – SKG), 스코브데 (베스트라 예탈란드주)
  • ** 키네 대대 (Kinnebataljonen|sv – 38. hvbat), 리드셰핑
  • ** 코킨드 대대 (Kåkindbataljonen|sv – 39. hvbat), 스코브데
  • * 보후스달 그룹 (Bohusdalgruppen|sv – BDG), 스크레드스비크 (보후슬렌달슬란드)
  • ** 보후스 대대 (Bohusbataljonen|sv – 40. hvbat), 우데발라
  • * 엘프스보르그 그룹 (Elfsborgsgruppen|sv – EBG), 캐링베르게트 (예테보리)
  • ** 예테보리 남부 대대 (Göteborgs södra bataljon|sv – 41. hvbat), 예테보리
  • ** 예테보리 북부 대대 (Göteborgs norra bataljon|sv – 42. hvbat), 예테보리
  • ** 예테보리 군도 대대 (Göteborgs skärgårds bataljon|sv – 43. hvbat), 예테보리
  • ** 엘프스보르그 대대 (Älvsborgsbataljonen|sv – 44. hvbat), 보로스
  • * 할란드 그룹 (Hallandsgruppen|sv – HAG), 할름스타드 (할란드주)
  • ** 할란드 대대 (Hallandsbataljonen|sv – 45. hvbat), 할름스타드

9. 5. 고틀란드 군관구

고틀란드 군사 지역은 비스뷔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예하에 다음과 같은 부대를 두고 있다.

  • '''고틀란드 연대''' (Gotlands regementesv, P 18): 비스뷔 소재. 181기갑대대와 고틀란드 그룹을 지휘한다. 또한 고틀란드 섬의 향토 방위대 대대(고틀란드 대대)에 대한 지휘권도 갖는다.[8]
  • * '''고틀란드 그룹''' (Gotlandsgruppensv, GLG): 비스뷔 소재. 고틀란드 연대 예하 부대이다.
  • ** '''고틀란드 대대''' (Gotlandsbataljonensv, 32. hvbat): 비스뷔 소재. 향토 방위대 소속 대대로, 고틀란드 그룹의 지휘를 받는다.

참조

[1]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22 Routledge
[2] 보도자료 Idag fyller Livgardet och armén 500 år https://www.mynewsde[...] Swedish Armed Forces 2021-01-14
[3] 웹사이트 Historia: Det svenska försvaret https://www.sakerhet[...] 2020-03-30
[4] 뉴스 Värnplikten har återinförts i Sverige https://www.aftonbla[...] 2017-03-02
[5] 웹사이트 Swedish military expansion – new regiment inaugurated in Arvidsjaur https://sverigesradi[...] Sveriges Radio 2021-09-24
[6] 웹사이트 https://www.forsvars[...] Swedish Armed Forces 2024-09-15
[7] 웹사이트 https://www.forsvars[...] Swedish Armed Forces 2024-09-15
[8] 웹사이트 Verksamhet på Gotland https://www.forsvars[...] Swedish Armed Forces
[9] 뉴스 Ofolkligt försvar http://www.st.nu/ofo[...] 2011-01-26
[10] 뉴스 Politiker till attack: Vill ha mer än en veckas skydd http://www.sydsvensk[...] 2013-01-10
[11] 웹사이트 Försvarsmaktens delårsrapport 2011 http://www.forsvarsm[...] Swedish Armed Forces 2011-08-12
[12] 웹사이트 Armén skapar divisionsförmåga https://www.forsvars[...] Swedish Armed Forces 2022-09-29
[13] 웹사이트 Stora kliv framåt för nya divisionsstaben under Aurora 23 https://officerstidn[...] Officerstidningen 2023-05-05
[14] 문서 citation needed
[15] 웹사이트 https://www.forsvars[...] Swedish Armed Forces 2024-09-15
[16] 웹사이트 Första brigaden återinvigd https://www.forsvars[...] Swedish Armed Forces 2024-09-15
[17] 웹사이트 https://www.forsvars[...] Swedish Armed Forces 2024-09-15
[18] 보도자료 Rikshemvärnschefens brev till hemvärnspersonalen, dec 2009 http://hemvarnet.se/[...] Home Guard 2009-12
[19] 웹사이트 Norra Militärregionens Utbildningsgrupper https://www.forsvars[...] Swedish Armed Forces
[20] 웹사이트 Mellersta Militärregionens Utbildningsgrupper https://www.forsvars[...] Swedish Armed Forces
[21] 웹사이트 Sodra Militärregionens Utbildningsgrupper https://www.forsvars[...] Swedish Armed Forces
[22] 웹사이트 Västra Militärregionens Utbildningsgrupper https://www.forsvars[...] Swedish Armed Forces
[23] 뉴스 Sweden brings back military conscription amid Baltic tensions https://www.bbc.com/[...] BBC News 2017-03-02
[24] 웹사이트 Försvarsmaktens Gradbeteckningar https://www.forsvars[...] Swedish Armed Forces 2014-01-02
[25] 웹사이트 Försvarsmaktens Gradbeteckningar https://www.forsvars[...] Swedish Armed Forces 2014-01-02
[26] 문서 ブレジンスキー1
[27] 문서 ブレジンスキー2
[28] 문서 ブレジンスキー2
[29] 문서 ブレジンスキー1
[30] 문서 ブレジンスキー1
[31] 문서 ブレジンスキー1
[32] 문서 ブレジンスキー1
[33] 문서 ブレジンスキー1
[34] 문서 Barthorp
[35] 웹사이트 ロイヤル・スコッツ連隊公式サイト http://www.army.mod.[...]
[36] 문서 入江
[37] 서적 Military Balance 2009
[38] 웹인용 Historia: Det svenska försvaret https://www.sakerhet[...] 2020-03-30
[39] 뉴스 Värnplikten har återinförts i Sverige https://www.aftonbla[...] 2017-03-02
[40] 웹인용 Swedish military expansion – new regiment inaugurated in Arvidsjaur https://sverigesradi[...] Sveriges Radio 2022-03-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