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역사관은 과거를 해석하고 이해하는 다양한 관점과 시각을 의미하며, 실증사관, 식민사관, 민족사관, 유물사관 등 여러 종류가 존재한다.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 식민사관에 대항하여 민족사관이 등장했으며, 광복 이후에도 식민사관과 민족사관, 강단사학과 재야사학, 대륙사관과 반도사관 등 다양한 역사관이 대립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관의 충돌은 역사 교육, 대중 매체, 한국 사회의 역사 인식에 큰 영향을 미치며, 한국 사회의 민족주의적 역사관의 한계와 다양한 역사관의 공존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 이루어지고 있다.
역사관은 시대와 사회, 그리고 개인의 가치관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대표적인 역사관은 다음과 같다.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부터 다양한 역사관이 충돌해 왔으며, 이는 현대에도 계속되고 있다.
2. 역사관의 종류
이 외에도 순환론적 사관(역사는 반복된다는 관점), 문명사관(인류 역사는 성장, 절정, 쇠퇴의 과정을 거친다는 사관), 역사주의 사관(모든 사상(事象)을 역사적 생성 과정으로 봄), 우연사관(역사는 우연히 벌어진 사건에 의해 달라짐), 영웅주의 사관(우연사관과 관련, 역사는 우연히 등장한 영웅이 바꾼다는 사관) 등이 있다.[119]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식민사관이 등장했고, 이에 대항하는 민족사관이 나타났다. 광복 이후에는 실증사관과 유물사관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민족사관의 영향도 여전히 남아있다.
2. 1. 실증사관
실증사관은 과거의 객관적이고 분명한 사실만을 역사로 인식하는 사관이다. 이병도 등 일본의 역사학계에서 전문 교육을 받은 역사학자들을 중심으로 실증사학이 등장했다. 대한민국에서는 해방 후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이 금지되면서 실증사학이 주류를 이루었지만, 민족사관의 입장에서는 실증사학이 식민사관의 아류라고 비판받기도 한다.
2. 2. 식민사관
일제강점기에 일본이 한국 식민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해 만들어낸 역사관이다. 타율성론, 정체성론, 당파성론 등이 주요 내용이며, 한국사의 독자성과 발전 가능성을 부정한다.[1]
삼품장영(三品彰英)은 자신의 저서 『조선사개설』에서 "조선사의 타율성"을 주장하며, 조선사의 성격을 종속성, 주변성, 다린성으로 규정했다. 그는 한반도라는 지리적 요인이 조선사를 규정하는 가장 큰 요인이라고 보았다. 아시아 대륙에 종속된 반도는 정치·문화적으로 대륙에서 일어난 변동의 영향을 받고, 주변에 위치함으로써 본류에서 벗어나 반도의 종속성을 갖게 된다고 주장했다.[9] 또한, 조선사의 다린성을 지적하며, 조선에서는 정치 문화에서 변증법적인 역사 발전의 발자취가 매우 부족하여 반도적 성격을 가진 조선은 옛날부터 중국의 지배를 받았고, 이후 만주, 몽골의 침략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반도적 성격은 사대주의라는 조선사의 성격 형성으로 이어졌다고 보았다.[9]
2016년 한양대학교에서 열린 학술회의에서 박찬흥(국회도서관 조사관)은 이케우치 히로시의 한사군과 고구려 역사 연구를 분석하여, 고대 한국사를 중국, 만주, 일본 열강 간의 각축장으로 보는 ‘타율성 사관’에 귀결된다고 비판했다.[2]
정준영(서울대학교)는 이마니시 류의 낙랑군 연구를 분석하여, 조선반도에 한사군이 존재함으로써 중국 문화가 전파되는 과정에서 조선인을 배제할 수 있었다고 분석하고, ‘중국을 제거하는 과정’을 ‘일본 민족이 되는 과정’으로 합리화했다고 비판했다.[2]
이러한 비판에 대해, 井上秀雄(이노우에 히데오)는 “요구의 정당성이나 강렬함에 져서, 영합적인 응답을 하는 것은, 훨씬 더 큰 해독을 사회에 흘리는 것이 아닌가”라고 반박하기도 했다.[10]
2. 3. 민족사관
일제강점기 식민사관에 대항하여 등장한 역사관으로, 한민족의 우수성과 주체적 발전을 강조한다.[119] 박은식, 신채호 등이 대표적인 민족사학자이며, 이들은 한국 민족 정신을 강조하기 위해 고대사를 연구하고 단군을 근거로 삼았다. 박은식은 "국혼"을, 신채호는 "나"와 "비나"의 투쟁을 역사의 중심으로 보는 등[17] 정신론적인 측면이 강하다.
민족사관은 단군의 실존을 주장하고, 자본주의 맹아론, 내재적 발전론(한국은 외부 요인이 아닌, 스스로 발전해왔다는 주장), 식민지 수탈론(일본의 식민지 지배로 한국이 수탈당했다는 주장) 등을 제기한다.
광복 이후 군사정권은 국민 의식 형성을 위해 민족사관을 적극적으로 활용했으며, 이는 학교 역사 교육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국수주의적인 재야 사학에도 영향을 주었다.[17]
1981년 대한민국 교육부 장관은 대한민국 국회에 “국사 교과서 내용 시정 요구에 관한 청원서”를 제출하여[18], 제4차 교육과정 『국사』가 만들어졌다. 이 청원서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 단군은 실존 인물이다.
# 단군의 영토는 중국 베이징까지 존재했다.
# 왕검성은 중국 랴오닝성에 있었다.
# 한사군은 중국 베이징에 있었다.
# 백제는 3세기부터 7세기까지 중국 동부 해안을 베이징에서 상하이까지 통치했다.
# 신라의 최초 영토는 동부 만주였고, 통일신라의 국경은 베이징에 있었다.
# 백제가 일본 문화를 건설했다.
1982년 『국사』부터 2006년 『국사』까지는 고조선 건국에 대해 “단군왕검이 고조선을 건국했다고 한다”는 식으로 『삼국유사』를 인용하여 역사적 사실일 가능성을 서술했다.[19] 그러나 2007년 『국사』부터는 “단군왕검이 고조선을 건국했다”고 하며, 『삼국유사』의 단순 인용이 아닌 역사적 사실로 확정했다.[19]
자본주의 맹아론은 조선 후기에 자본주의의 맹아가 존재했으나 일본의 식민지 지배로 싹이 잘려버렸다는 설이다. 1950년대 후반 북한에서 처음 제기되었고, 1960년대 일본에 소개되어 1970년대에 영향력을 얻었다. 한국에는 1980년대 일본을 거쳐 퍼졌다. 그러나 그 이후 실증 연구의 발전으로 부정되고 있다.[20] 카터 에커트는 “한국인들이 그들의 역사에서 산업혁명의 씨앗(자본주의 맹아)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것은 오렌지 나무에서 사과를 찾는 것과 같다”고 비꼬았고, 이영훈은 “환상”이라고 말했다.[21]
내재적 발전론은 일본의 식민지 지배와 관계없이 조선은 경제 발전을 할 수 있었다는 견해이다. 이것은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대한 굴욕을 씻어주는 위안이 되고,[22] 일본 제국주의 학자들의 정체성론에 대한 반발이 숨겨져 있다. 그러나 일본 제국주의 학자들의 틀린 주장을 비판한다고 해서 내재적 발전론이 옳은지는 별개의 문제이다.[22]
2. 4. 유물사관
변증법적 유물론의 입장에서 사회 현상의 성립, 연관, 발전 방법을 설명한 마르크스주의의 역사관으로, 물질생산이 역사를 바꾼다는 사관이다.[119]
일제강점기 조선인 역사학자들의 민족사학, 사회경제사학, 실증사학이라는 세 가지 흐름 중 '''사회경제사학'''은 마르크스주의 사관(유물사관)에 기반한 역사학으로, 백남운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백남운은 일본 도쿄상과대학(현 일교대학)에 유학하며 마르크스주의의 영향을 받고, 조선으로 돌아와 유물사관에 기반하여 조선사를 연구하여 『조선사회경제사』(1933년), 『조선봉건사회경제사 상』(1937년)을 저술했다.
이후 백남운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건너가고,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계승되었다.
2. 5. 기타 사관
3. 한국의 역사관 논쟁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인에 의한 역사학에 민족사관, 사회경제사학(역사적 유물론), 실증사학이라는 세 가지 흐름이 있었고, 일본 측의 조선사관과 대립했다. 일본 제국주의는 식민사관을 통해 한국사의 타율성과 정체성을 강조하며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려 했고, 이에 대응하는 민족사관은 한민족 스스로가 일구어낸 역사를 강조하며 독립운동의 이념적 기반이 되었다.
광복 이후 식민사관은 그 힘을 잃어갔지만,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며, 아직도 곳곳에 식민사학의 영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광복 이후 한국 역사학계는 실증사학을 중심으로 하는 강단사학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민족사관에 기반한 재야사학과의 논쟁이 끊이지 않았다. 강단사학은 재야사학이 검증되지 않거나 유물, 유적, 기록과 일치하지 않는 점 등을 들어 비판하고, 재야사학은 강단사학이 식민사관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는 점을 들어 비판한다.
한국 전쟁 이후로는 대체로 한국에서는 실증사학이, 북한에서는 유물사학이 주류가 되었으나, 한국에서는 정계, 언론, 교육기관 등이 민족사학(민족주의 사관)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역사학계에서도 민족사학파와 실증사학파의 논쟁이 일어나고 있다.
3. 1. 식민사관 vs 민족사관
일제강점기에 일본은 식민사관을 통해 한국사의 타율성과 정체성을 강조하며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려 했다. 이에 맞서 한국에서는 민족사관이 등장하여 한국사의 주체성과 발전 가능성을 강조하며 독립운동의 이념적 기반이 되었다.
식민사관은 만선사관, 일선동조론, 타율성론, 정체성론, 당파성론 등을 주장했다.[1]
주장 | 내용 |
---|---|
타율성론 | 조선의 역사는 외부 세력에 의해 항상 타율적으로 움직여 왔다는 주장이다. 단군을 부정하고, 기자조선, 위씨조선, 한사군 등 조선의 출발점을 중국의 지배에 두고, 이후에도 중국의 속국이었다고 보았다. 더 나아가, 한반도 남부에는 임나일본부가 있었다고 주장했다.[7] |
정체성론 | 조선의 역사는 일본과 같은 중세의 봉건제가 없이 고대 상태로 정체되어 있었고, 일본의 헤이안 시대 수준에 머물렀다는 견해이다. 후쿠다 도쿠조는 조선에 봉건 제도가 없었기 때문에 20세기 초 조선 경제가 일본이나 유럽보다 1000년 이상 뒤처져 있다고 주장했다.[8] |
민족사관은 식민사관에 맞서 한국 민족의 우수성과 자주성을 강조하는 민족주의적인 역사관이다. 박은식, 신채호 등은 한국 민족 정신을 강조하기 위해 고대사를 연구하고 단군을 근거로 삼았다.[17] 이들은 독립운동 및 저항운동의 일환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민족사관은 단군의 실존을 주장하고, 자본주의 맹아론, 내재적 발전론, 식민지 수탈론 등을 제기한다.
주장 | 내용 |
---|---|
자본주의 맹아론 | 조선 후기에 자본주의의 맹아가 존재했으나 일본의 식민지 지배로 싹이 잘려버렸다는 설이다. |
내재적 발전론 | 일본의 식민지 지배와 관계없이 조선은 경제 발전을 할 수 있었다는 견해이다. |
식민지 수탈론 | 일본의 식민지 지배로 한국이 수탈당했다는 주장이다. |
광복 이후에도 식민사관의 잔재를 둘러싼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강단사학과 재야사학의 대립이 그 예시인데, 강단사학은 재야사학을 비판하고, 재야사학은 강단사학이 식민사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비판한다.
3. 2. 강단사학 vs 재야사학
광복 이후 한국 역사학계는 실증사학을 중심으로 하는 강단사학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민족사관에 기반한 재야사학과의 논쟁이 끊이지 않았다. 재야사학은 강단사학이 식민사관을 극복하지 못했다고 비판하며, 단군, 고조선 등 고대사에 대한 독자적인 해석을 제시한다. 반면 강단사학은 재야사학이 검증되지 않거나 유적, 유물, 기록과 일치하지 않는 점 등을 들어 비판한다.[3]3. 3. 대륙사관 vs 반도사관
'''대륙사관'''(대륙사관)은 민족사관을 확장한 것으로, 조선의 역사 무대를 조선반도뿐 아니라 중국 대륙까지 확대하는 역사관이다. 고조선, 고구려, 발해(渤海)가 만주를 근거지로 했던 점을 강조할 뿐만 아니라, 신라와 백제도 중국 대륙을 영유했고, 고대에는 중국에 대해 조선이 우월했다는 주장을 펼친다.[80][81][82][83][84][85]이러한 대륙사관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황국사관(皇國史觀)을 바탕으로 한국사를 왜곡하고, 특히 고조선을 조선 역사에서 삭제하려 한 것에 대한 반발로, 고대 조선사의 주체를 중국인이 아닌 한민족으로 설정하고, 고대 한국 문화가 중국 황하 유역이나 시베리아 지역에서 유입되었다는 선입견을 극복하려는 시도로도 볼 수 있다.[86]
대륙사관과 관련된 여러 주장들은 다음과 같다.
주장 | 내용 |
---|---|
허경영 전 경제공화당 총재의 발언 (2007) | “중국 여러 나라와 연방을 이루어 아시아 연방을 만들고, 잃어버린 고구려 영토를 되찾고 싶다.”, “잃어버린 발해의 옛 영토와 삼국 시대에 유럽까지 뻗어나갔던 한반도의 고토를 되찾는 것이 나의 꿈이다.”[80] |
KBS 프로그램 「만주대탐사」 | “만주는 원래 한민족의 땅이다. 청(清)나라를 세운 아이신기오로(愛新覺羅)씨도 조상은 한국인이다.”[81] |
임균택 교수의 『한국사』 (2002) | 당(唐)나라 시대에 고구려, 신라, 백제가 중국의 대부분을 가지고 있었고, 당나라의 영토는 윈난성(雲南省)이나 쓰촨성(四川省) 등 몇몇 지역에 불과했다. 고구려, 백제를 멸망시킨 후 신라의 영토는 현재의 극동 연방관구(極東聯邦管區)(동시베리아), 몽골, 화북(華北) 지역 등 삼북(三北)(중국 북부 전체), 화중(華中) 지역, 티베트 자치구(西蔵自治區), 신장 위구르 자치구 등 광대한 지역이 되었고, 당나라는 화중 지역이나 화남(華南) 지역을 차지하는 데 그쳤다.[82] |
오제성 역사학자의 저서 | 『숨겨진 역사를 찾아서』, 『지도로 보는 한국역사』의 도표에는 고구려·백제가 활동했던 범위가 내몽골 자치구(內蒙古自治區)·산둥성(山東省)·푸젠성(福建省)에 이르고 있다.[83] |
김진경 국학 박사의 저서 (2018) | 『동방의 비밀1-조선천축』에서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등은 현재 중국의 베이징(北京)의 황하를 넘어 장강 남쪽 지역까지를 영토로 하고 있었고, 건국 초기에는 이미 현재 인도와의 교류가 활발했다고 주장.[85] |
이주한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연구위원의 주장 | 단군 신화는 사실이 아니고, 위만조선(衛氏朝鮮)은 한반도에 세워진 첫 번째 나라이며, 한반도의 철기 시대 철기 문화는 중국에서 유입되었다는 역사관은 왜곡된 것이다. 고조선의 철기 생산은 기원전 13세기이고, 중국의 기원전 8세기보다 훨씬 앞서며, 철기는 중국에서 수입된 것이 아니라 고조선의 영토인 만주와 한반도 지역의 동이족(東夷族)의 발달된 철기 문명을 중국이 수입한 것이다.[86] |
반면, '''반도사관'''은 대륙사관과 반대로 한민족의 역사가 한반도 내에서 전개되었다고 보는 관점이다.
3. 4. 기타 논쟁
민족사관은 식민사관에 대한 반발로, 한국 민족의 우수성과 자주성을 강조하는 역사관이다. 단군의 실존, 자본주의 맹아론, 내재적 발전론, 식민지 수탈론 등을 주장한다. 일제강점기에는 박은식, 신채호 등이 민족 정신을 강조하며 독립운동의 일환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해방 이후에는 군사정권에 의해 민족사관이 학교 교육에 영향을 미쳤고, 재야 사학에도 영향을 주었다.1981년 안호상은 단군 실존, 고조선과 백제의 중국 영토설 등을 담은 청원서를 국회에 제출했고, 이는 1982년부터 2006년까지 국사 교과서에 반영되었다.[18][19] 2007년 교과서부터는 단군왕검의 고조선 건국을 역사적 사실로 확정했다.[19]
'''자본주의 맹아론'''은 조선 후기에 자본주의의 싹이 있었으나 일본에 의해 좌절되었다는 주장이다. 1950년대 후반 북한에서 제기되어 1980년대 한국에 퍼졌으나, 이후 실증 연구로 부정되고 있다.[20] 카터 에커트는 이를 비꼬았고, 이영훈은 "환상"이라고 말했다.[21]
'''내재적 발전론'''은 조선이 일본과 관계없이 발전할 수 있었다는 주장이다. 이는 정체성론에 대한 반발로, 상대의 틀에서 싸우는 이데올로기적 사고방식이라는 비판도 있다.[22]
1980년대 역사학자 세대교체로 주관적인 민족사관이 대두하며, 침략이 없었다면 조선이 자립적으로 발전했을 것이라는 견해가 주류가 되었다.[23]
북한은 평양 중심의 대동강 문화를 "세계 5대 문명" 중 하나로 여긴다.
'''한국 기원설 사관'''은 중국이나 일본 역사의 주요 인물을 한국인으로 간주하여 민족적 자긍심을 고취하려는 경향이다.
- 김산호는 『대조선제국사』에서 만주가 한민족 영토이며, 애신각라는 "신라를 사랑하고 생각하라"는 뜻으로 신라 망명자 후손이라 주장했다.[87] 금의 아골타도 한민족이라 주장하며, 1만 년 역사를 주장한다.[87]
- 김은혜는 금과 청의 역사서가 시조를 신라 출신 금함포로 밝히고, 애신각라는 "신라를 사랑하고 기억한다"는 의미라고 주장한다.[88]
- 김두규는 금 시조 함포가 고려 출신이라고 말한다.[89][90]
- 고구려발해학회는 금과 청을 한국사 일부로 편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김의현은 금 태조 8대조가 신라 왕족 출신 금함포라고 말한다.[91]
- 한국 미디어 『파이낸스 투데이』는 청이 고구려와 발해를 계승하고, 금함포 후예 아골타가 개국한 금의 계승국이라고 보도한다.[92]
- 한국방송공사(KBS)는 아골타 조상이 신라인 함포이며, 금 멸망 후 여진이 중원을 장악한 청 황제 성씨는 애신각라로 금을 의미한다고 보도했다.[93]
- 이기백은 아골타가 신라 말~고려 초 황해 지역에서 생활하다 만주로 이주한 금씨 후예라고 말한다.[94]
- 이도학은 청 이전 여진 역사는 중국이 아닌 조선 역사라고 주장하며, 금 시조를 신라인 혹은 고려인으로 기록한 중국 사료를 근거로 제시한다.[95]
- 손진태는 발해와 금도 조선 역사라고 주장했다. 이종욱은 손진태가 시대적 상황 때문에 내셔널 아이덴티티 고취를 위해 발해와 금을 강조했다고 분석한다.[96]
- 동북아시아역사재단 김인희 위원은 함포가 신라계 고려인이라고 주장한다.[97][98]
- 한국 미디어는 중국이 고구려를 중국 역사라고 주장하면, 한국인은 금 및 청을 조선 역사 부록으로 취급하는 대항 논리가 가능하다고 주장한다.[99] 이종욱은 발해와 금은 한국인과 혈연관계가 없어 조선 역사 정사에 넣을 수 없다고 비판한다.[99]
4. 현대 한국 사회와 역사관
현대 한국 사회에서 역사는 단순한 과거의 기록을 넘어, 현재의 정체성과 미래의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특히, 한국의 특수한 역사적 경험은 다양한 역사관의 충돌을 야기하며, 이는 사회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고 있다.
4. 1. 역사 교육 논쟁
한국의 역사 교육은 민족사관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왔으며, 이는 역사 교과서 서술을 둘러싼 논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17] 특히, 단군, 고조선, 고대사, 일제강점기 등에 대한 서술은 역사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일제강점기 시대에 박은식, 신채호 등은 한국 민족 정신을 강조하기 위해 고대사를 연구하고 단군을 근거로 삼았다. 박은식은 “국혼”을, 신채호는 “나”와 “비나”의 투쟁을 역사의 중심으로 보는 등 정신론적인 측면이 강하다. 이들은 일제강점기 일본 학자들의 역사 연구에 대항하여 한국 민족의 우수성과 자주적·주체적인 발전이 있었음을 강조하는 등 독립운동 및 저항운동의 일환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한국 독립 이후에는 군사정권에 의해 국민 의식 형성을 위해 민족사관이 동원되어 학교 역사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을 뿐 아니라, 국수주의적인 재야 사학에도 영향을 주었다.
1981년 대한민국 교육부 장관 안호상한국어은 '''1.''' 단군은 실존 인물이다, '''2.''' 단군의 영토는 중국 베이징까지 존재했다, '''3.''' 왕검성은 중국 랴오닝성에 있었다, '''4.''' 한사군은 중국 베이징에 있었다, '''5.''' 백제는 3세기부터 7세기까지 중국 동부 해안을 베이징에서 상하이까지 통치했다, '''6.''' 신라의 최초 영토는 동부 만주였고, 통일신라의 국경은 베이징에 있었다, '''7.''' 백제가 일본 문화를 건설했다는 내용의 “국사 교과서 내용 시정 요구에 관한 청원서”를 대한민국 국회에 제출하여[18], 제4차 교육과정 『국사』가 만들어졌다. 1982년 『국사』부터 2006년 『국사』까지는 고조선 건국에 대해 “단군왕검이 고조선을 건국했다고 한다”는 식으로 『삼국유사』를 인용하여 역사적 사실일 가능성을 서술했다.[19] 그러나 2007년 『국사』부터는 “단군왕검이 고조선을 건국했다”고 하며, 『삼국유사』의 단순 인용이 아닌 역사적 사실로 확정했다.[19]
1975년에 결성된 재야사학 역사 단체 “역사교과서 파동”은 “단군신화의 역사성을 강조하자”, “한사군은 부끄러운 일이니 조선의 역사에서 제외하자”고 주장하며, 학계를 식민사관한국어이라고 비난하고, 역사학자들을 공격했다.[16][29] 국사편찬위원회는 기존의 정설과 다르다는 이유로 이러한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자, 교육부 장관이 제소당했다.[16] 이들은 정계를 이용하여 1981년 8월에 안호상한국어 교육부 장관에게 “단군과 기자는 실재 인물이다”, “단군과 기자의 영토는 중국 베이징까지 존재했다”, “왕검성은 중국 랴오닝성에 있었다”, “한사군은 중국 베이징에 있었다”, “백제는 3세기부터 7세기에 걸쳐 베이징에서 상하이에 이르는 중국을 통치했다”, “신라의 영토는 만주에 있으며, 통일신라의 국경은 베이징에 있었다”, “고구려·백제·신라 특히 백제가 일본의 문화를 건설했다”는 “국사 교과서 내용 시정 요구에 관한 청원서”를 국회에 제출했고,[28] 공청회가 열렸다.[16] 이기백(이기백한국어, 서강대학교)는 “학문의 진리를 존중하는 입장에서 보면, ‘역사교과서 파동’은 심각한 문제를 역사학자들에게 던져주었다고 생각한다. 중요한 문제가 된 것은 단군 문제였는데, 단군에 관한 전승을 신화로 만들지 말라고 역사학자들을 공격하고, 왜 학생들에게 단군을 신화로 가르치는가 하고 비판했다”, “단군의 아버지 환웅이 하늘에서 내려왔다는 것을 신화가 아니라 역사적 사실로 학생들에게 가르칠 수는 없다”라고 말했다.[16] 이기동(이기동한국어, 동국대학교)는 “1980년대에 ‘역사교과서 파동’이라는 사회운동이 있었다. 전두환 정권 말기였지만, 윤보선 전 대통령을 총재로 내세운 ‘역사교과서 파동’이라는 극우 단체가 주도하여, 대한민국 정부가 국사교육심의회라는 것을 만들었다. 나는 관여했기 때문에 잘 알고 있다. 이들은 ‘단군신화의 역사성을 강조하자’, ‘한사군은 부끄러운 일이니 조선의 역사에서 제외하자’고 주장했다. 그것은 잘못된 주장이다. 그때 역사 교과서를 국정 교과서에서 검정 교과서로 전환하는 부대 의견을 붙였다. 그런데 최근 다시 그런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얼마 전 황우석 교육부 장관이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처하기 위해 역사 교과서의 상고시대와 고대사의 비중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는데, 그것은 그들의 논리와 같다. 매우 걱정이다”라고 말했다.[29]
'''자본주의 맹아론'''은 조선 후기에는 자본주의의 맹아가 존재했으나 일본의 식민지 지배로 싹이 잘려버렸다는 설이다. 1950년대 후반 북한에서 처음 제기되었고, 1960년대 일본에 소개되어 1970년대에 영향력을 얻었다. 한국에는 1980년대 일본을 거쳐 퍼졌다. 그러나 그 이후 실증 연구의 발전으로 부정되고 있다.[20] 카터 에커트는 “한국인들이 그들의 역사에서 산업혁명의 씨앗(자본주의 맹아)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것은 오렌지 나무에서 사과를 찾는 것과 같다”고 비꼬았고, 이영훈은 “환상”이라고 말했다.[21]
'''내재적 발전론'''은 일본의 식민지 지배와 관계없이 조선은 경제 발전을 할 수 있었다는 견해이다. 이것은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대한 굴욕을 씻어주는 위안이 되고,[22] 일본 제국주의 학자들의 '''정체성론'''에 대한 반발이 숨겨져 있다. '''정체성론'''에 대한 반발, 무엇이든지 거부하면 만족한다는 이데올로기적 사고방식에 빠져, 상대의 틀에서 싸우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22] 그러나 일본 제국주의 학자들의 틀린 주장을 비판한다고 해서 '''내재적 발전론'''이 옳은지는 별개의 문제이다.[22]
1970년대까지는 일제강점기 시대에 교육을 받은 세대가 한국 역사학계의 중심을 이루어 조선의 근대화 저해 요인을 중시하는 실증적인 연구를 수행했다. 그러나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역사학자 세대교체로 주관적인 민족사관이 대두하여 기존 연구를 식민사관적이라고 비판하고, 침략이 없었다면 조선은 자립적으로 발전했을 것이라는 견해가 주류가 되었다.[23]
2010년대 이후 역사 교과서 국정화 논란은 한국 사회의 역사관 갈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이다.
4. 2. 대중 매체와 역사 인식
드라마, 영화, 소설 등 대중 매체는 대중의 역사 인식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한 작품의 경우, 역사관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사회적 논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안병직, 이영훈 등은 경제사를 중심으로 한 실증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일제강점기에 조선의 근대화가 진행되었다고 주장하는 식민지 근대화론을 제시했다.[78] 이들은 민족사관이 주장해 온 자본주의 맹아론, 내재적 발전론, 식민지 수탈론 등에는 실증적인 근거가 없다고 비판한다. 반대로 민족사관 측에서는 식민지 근대화론이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하는 것이라고 비난하고 있다.[79]최근 유튜브 등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역사 관련 콘텐츠가 생산, 유통되면서 역사 해석의 다양성이 확대되고 있지만, 검증되지 않은 정보나 편향된 역사관이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5. 비판적 고찰
민족주의 역사관은 민족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외세에 대한 저항 의식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지만, 지나치게 강조될 경우 국수주의나 배타적 민족주의로 이어질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63] 특히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는 현대 한국 사회에서 단일 민족, 순혈주의 등을 강조하는 민족주의 역사관은 시대착오적이라는 비판도 제기된다.[64]
5. 1. 민족주의 역사관의 한계
민족주의 역사관은 민족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외세에 대한 저항 의식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지만, 지나치게 강조될 경우 국수주의나 배타적 민족주의로 이어질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63] 특히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는 현대 한국 사회에서 단일 민족, 순혈주의 등을 강조하는 민족주의 역사관은 시대착오적이라는 비판도 제기된다.[64]예를 들어, 한국의 역사 교과서가 고구려와 발해가 다민족 국가였다는 사실을 제대로 다루지 않고, 고조선 건국 연대를 지나치게 오래전으로 설정하는 등 과도하게 민족주의적으로 서술되어 있다는 비판이 있다.[63][64][65][66]
또한,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걸쳐 다양한 이민족이 귀화하여 한국 사회에 기여했음에도 불구하고, 교과서에서는 이들의 존재와 역할을 충분히 다루지 않거나, 여진족과 같이 특정 민족을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64]
일부 역사학자들은 "5000년 단일 민족"이라는 개념이 과학적, 역사적 사실이 아니며, 오히려 다양한 문화와 민족이 융합되어 형성된 한국 사회의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고 비판한다.[75][76]
이러한 비판들은 민족주의 역사관이 한국 사회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저해하고, 역사적 사실을 왜곡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한다.
참조
[1]
서적
一気にわかる朝鮮半島
池田書店
2003-10
[2]
뉴스
日식민주의 역사학자들은 한국 고대사 어떻게 봤나
https://www.yna.co.k[...]
聯合ニュース
2016-03-25
[3]
서적
韓流時代劇と朝鮮史の真実
扶桑社
2013-08-08
[4]
서적
「満鮮史」の虚像―日本の東洋史家の朝鮮観―
鈴木俊教授還暦記念会
1964-10
[5]
학술지
「満鮮史観」の再検討:「満鮮歴史地理調査部」と稲葉岩吉を中心として
https://hdl.handle.n[...]
新潟大学大学院現代社会文化研究科
2007-07
[6]
서적
朝鮮史研究の課題
太平出版社
1966-11
[7]
서적
(정보 부족)
2005
[8]
서적
(정보 부족)
2005
[9]
서적
(정보 부족)
2005
[10]
서적
倭・倭人・倭国―東アジア古代史再検討
人文書院
1991-12-01
[11]
서적
(정보 부족)
2005
[12]
서적
(정보 부족)
2005
[13]
서적
(정보 부족)
2005
[14]
뉴스
増殖する韓国の「自尊史観」
http://www.sankei.co[...]
2008-12-17
[15]
뉴스
李朝=インカ帝国説
産業経済新聞社
2009-07
[16]
뉴스
역사학계의 식민사학 비판 우린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https://www.mk.co.kr[...]
2017-07-24
[17]
웹사이트
민족사학
http://kr.dictionary[...]
[18]
서적
国史教科書の波動
ヘアン
1999
[19]
서적
(정보 부족)
2012
[20]
뉴스
386世代論
http://www.ide.go.jp[...]
アジア経済研究所
2007-02
[21]
뉴스
이영훈 서울대 명예교수, “자본주의 맹아론은 대한민국 부정으로 이어지는 주장”
http://pub.chosun.co[...]
2017-03-31
[22]
서적
(정보 부족)
[23]
문서
日韓両国における歴史観と近代、そして近代的法秩序
http://www.jkcf.or.j[...]
[24]
서적
朝鮮/韓国ナショナリズムと「小国」意識 - 朝貢国から国民国家へ
ミネルヴァ書房
2000
[25]
서적
朴正煕選集2 国家・民族・私
鹿島研究所出版会
1970
[26]
서적
朴正煕選集1 韓民族の進むべき道
鹿島研究所出版会
1970
[27]
서적
朴正煕選集1 韓民族の進むべき道
鹿島研究所出版会
1970
[28]
서적
国史教科書の波動
ヘアン
1999
[29]
뉴스
“검인정교과서 실체는 민중사학의 비틀린 허위의식”
https://www.donga.co[...]
2015-12
[30]
뉴스
韓国「反日」教科書の凄まじさ
https://web.archive.[...]
2001-04-16
[31]
뉴스
초등 4~6학년 교과서, 단일민족・혈통 지나치게 강조
https://megalodon.jp[...]
2007-08-21
[32]
서적
わかりやすい韓国の歴史――国定韓国小学校社会科教科書
明石書店
2001
[33]
서적
人文系高等学校世界史
乙酉文化社
[34]
뉴스
黒潮町夫妻の絵本を朝鮮語訳
http://www.kochinews[...]
2006-10-27
[35]
서적
新版韓国の歴史 国定韓国高等学校歴史教科書 V 近世社会の発達
https://web.archive.[...]
明石書店
2000
[36]
문서
王仁の名から6世紀ごろ、中国系百済人が先進文化を携えた博士として百済から倭に渡来した事実を想像させる。
[37]
문서
王仁は高句麗に滅ぼされた楽浪郡の漢人系統の学者らしく、朝廷の文筆に従事した西文首の祖とされている。「王の姓は楽浪出土の印章、漆器、せん、封泥、墓壁銘などに多く記されており、楽浪郡の有力豪族であったことが知られる。」
[38]
뉴스
フミヒト系諸氏の出自について
財団法人古代学協会
1997-07
[39]
백과사전
伝承によると、漢の高祖の子孫。
[40]
서적
漢文学概論
雄山閣
1982-06-01
[41]
서적
最終解答 日本古代史 神武東征から邪馬台国、日韓関係の起源まで
https://www.google.c[...]
PHP研究所
2015-02-04
[42]
서적
中国と日本がわかる最強の中国史
扶桑社
2018-09-04
[43]
서적
日鮮關係の史的考察と其の研究
四海書房
1939-07-15
[44]
서적
楽浪―漢文化の残像
中央公論新社|中央公論社
1972-01-01
[45]
뉴스
渡来人論・序章
青木書店
1988-07
[46]
서적
国語学史―日本人の言語研究の歴史
笠間書院
1999-01-01
[47]
서적
日本における中国伝統文化
勉誠出版
2002-04-01
[48]
서적
日本の古代国家と東アジア
雄山閣|雄山閣出版
1986-11-01
[49]
서적
古代から中世へ 上―政治と文化
吉川弘文館
1978-02-01
[50]
서적
歸化人の安置
岩波書店
1934-05
[51]
서적
韓国人に不都合な半島の歴史
PHP研究所
2012-10-26
[52]
서적
対外関係史辞典
吉川弘文館
2009-01-01
[53]
서적
日本的自然観の研究 変容と終焉
八坂書房
2006-07-01
[54]
서적
日本と中国の二千年〈上〉―人物・文化交流ものがたり
東邦出版社
1972-01-01
[55]
서적
日本思想と神仏習合
春秋社
1996-01-01
[56]
서적
万葉の諸相と国語学
おうふう
1999-01-01
[57]
서적
行基
吉川弘文館
1987-08-01
[58]
뉴스
4世紀の日韓関係
http://www.jkcf.or.j[...]
日韓歴史共同研究報告書(第1期)
2005-06
[59]
서적
日本人はビックリ!韓国人の日本偽史
http://www.shogakuka[...]
小学館
[60]
서적
「鳥羽之表」事件の背景
愛知県立大学
2008
[61]
뉴스
古朝鮮「神話」から「歴史」に…高校課程教科書修正
https://japanese.joi[...]
2007-02-23
[62]
뉴스
韓国・日本の歴史教科書の古代史記述
http://www.jkcf.or.j[...]
日韓歴史共同研究
2010-03
[63]
뉴스
초등 4~6학년 교과서, 단일민족·혈통 지나치게 강조
https://www.khan.co.[...]
2007-08-21
[64]
뉴스
초등교과서, 고려때 ‘23만 귀화’ 언급도 안해
https://m.khan.co.kr[...]
2007-08-21
[65]
뉴스
‘고대사파동’과 식민주의 사학의 망령
https://www.kci.go.k[...]
역사문제연구소
2017
[66]
뉴스
고조선(단군조선)의 건국 기원(서기전 24세기) 불신론의 실체
https://www.skyedail[...]
skyedaily
2021-04-08
[67]
문서
正統派の学者がこれらに異議を唱えた場合、在野の民族史観者は論破されても認めずに「親日派」や「講壇史学者」等の罵声を浴びせる可能性が高く、正統派の学者達にとって素人学説を論破しても学会で評価されず徒労に終わってしまう
[68]
뉴스
【コラム】韓国史学界の「恐るべき子どもたち」
http://www.chosunonl[...]
2016-09-11
[69]
뉴스
【コラム】韓国史学界の「恐るべき子どもたち」
http://www.chosunonl[...]
2016-09-11
[70]
뉴스
트렌드 돋보기 국사학계의 '무서운 아이들'
https://www.chosun.c[...]
2016-07-27
[71]
뉴스
大古朝鮮か小古朝鮮か、古代史論争が再び激化
http://japanese.join[...]
2016-06-28
[72]
뉴스
大고조선이냐 小고조선이냐 고대사 논쟁 다시 격렬해진다
https://news.joins.c[...]
2016-06-28
[73]
서적
大韓民国の物語
文藝春秋
2009-02
[74]
서적
韓洪九の韓国現代史 韓国とはどういう国か
平凡社
2003-12-17
[75]
학술지
韓国人の起源に関する中高生の意識と『国史』教科書との関係
https://yamagata.rep[...]
山形大学歴史・地理・人類学研究会
2012-03
[76]
서적
화석인골 연구와 한민족의 기원
일조각
2003
[77]
뉴스
〈朝鮮史から民族を考える 21〉植民地期の朝鮮人史学者たち
http://www1.korea-np[...]
2008-07-04
[78]
뉴스
〈朝鮮史から民族を考える 17〉「植民地近代化」論批判
http://www1.korea-np[...]
2008-05-09
[79]
뉴스
〈朝鮮史から民族を考える 19〉「植民地近代(性)」論の問題点
http://www1.korea-np[...]
2008-06-06
[80]
뉴스
허경영 “몽골과 통일해 고구려 옛땅을 되찾겠다”
https://news.joins.c[...]
2007-12-28
[81]
뉴스
특별기획 만주대탐사 2부작 2부 금나라를 세운 아골타, 신라의 후예였다!
http://www.kbs.co.kr[...]
2009-09-05
[82]
뉴스
韓国歴史書「上海も韓国の領土だった」中国紙が反論
http://news.searchin[...]
2006-05-10
[83]
뉴스
「上海は韓国領土だった?」の主張に中国ネチズンが激怒
https://japanese.joi[...]
2006-05-10
[84]
뉴스
“고구려사는 한국사도 중국사도 아니다”
http://www.mediatoda[...]
2004-09-02
[85]
뉴스
100뉴스-영상 어드북스, 단군이 세운 조선이 천축국이라는 ‘동방의 비밀1-조선천축’ 출간
http://nc.asiae.co.k[...]
2018-09-19
[86]
뉴스
“일제가 심어놓은 식민사학의 뿌리부터 캐내야 한다”
https://www.hani.co.[...]
2015-10-15
[87]
뉴스
韓国105代天皇尊影集
https://members.at.i[...]
[88]
뉴스
韓・日・モンゴルの共通のルーツは「ジュシン族」
http://japanese.dong[...]
2006-03-14
[89]
뉴스
【寄稿】「水」で見る北京・東京・ソウルの歴史
http://www.chosunonl[...]
2016-01-24
[90]
뉴스
【寄稿】「水」で見る北京・東京・ソウルの歴史
http://www.chosunonl[...]
2016-01-24
[91]
뉴스
「金、清、韓国史に編入を」…東北工程対応策提案
http://japanese.join[...]
2006-09-15
[92]
뉴스
안중근,왜 장군보다 의사를 선호할까?
http://www.fntoday.c[...]
ファイナンス・トゥデイ
2010-03-27
[93]
뉴스
특별기획 만주대탐사 2부작 2부 금나라를 세운 아골타, 신라의 후예였다!
http://www.kbs.co.kr[...]
2009-09-05
[94]
뉴스
卷頭 특별 인터뷰 韓國史新論의 著者 李基白 선생이 말하는 韓國史의 大勢와 正統
http://monthly.chosu[...]
2001-11
[95]
뉴스
"여진족 역사, 한국사에 넣어야"
https://www.yna.co.k[...]
2012-07-15
[96]
뉴스
『高句麗史는 고구려 사람의 눈으로 다시 보아야 한다』
http://monthly.chosu[...]
2005-10
[97]
뉴스
"12세기 중국 북부 장악한 금나라 시조는 신라계 고려인"
https://www.yna.co.k[...]
聯合ニュース
2021-11-18
[98]
뉴스
“12세기 여진족의 金나라 시조는 신라계 고려인”
https://www.chosun.c[...]
2021-11-23
[99]
뉴스
『高句麗史는 고구려 사람의 눈으로 다시 보아야 한다』
http://monthly.chosu[...]
2005-10
[100]
간행물
日中関係学会研究会(2019年11月28日)講演者:中兼和津次先生(東京大学名誉教授、東洋文庫研究員)
https://www.mmjp.or.[...]
日中関係学会
[101]
서적
日本人の知らない韓国「独立戦争」史観--付・韓国中学校教科書の「日本統治と『がんばった史観』」
産経新聞社
2005-12
[102]
서적
大韓民国の物語
文藝春秋
2009-02
[103]
간행물
松本厚治 著『韓国「反日主義」の起源』
http://harc.tokyo/wp[...]
モラロジー研究所
2019
[104]
서적
韓国「反日主義」の起源
草思社
2019-02-27
[105]
서적
韓国「反日主義」の起源
草思社
2019-02-27
[106]
뉴스
日中関係学会研究会(2019年11月28日)講演者:中兼和津次先生(東京大学名誉教授、東洋文庫研究員)
https://www.mmjp.or.[...]
日中関係学会
[107]
문서
이 思想은 조선 독특한 것으로, 반대로 중국 왕조로부터 일본이 격상으로 취급된 것은, 외신으로 최고위 금인자수를 받고 있다는 것으로 명백하다. 금인자수를 받은 것은 일본과 대월지국 두 나라 뿐이다.류큐는 은인. [[인수]] 참조.
[108]
뉴스
데스크칼럼 '독도왜란'에 즈음하여
http://news.imaeil.c[...]
2008-10-08
[109]
서적
한 vs 일 「위사」 월드
소학관
[110]
뉴스
SBS스페셜, '한일병탄 100주년특집 역사전쟁'
https://www.yna.co.k[...]
2010-08-26
[111]
뉴스
【その時の今日】永遠に癒やされない傷、庚戌国辱
https://japanese.joi[...]
2010-08-27
[112]
뉴스
기고 일본에 맞대응 할 길을 찾아보자
https://www.kgnews.c[...]
2010-04-06
[113]
뉴스
'쪽바리'와 돼지 족발
https://www.newdaily[...]
2010-04-26
[114]
뉴스
「棚ぼた式独立」の傷うずく韓国
http://sankei.jp.msn[...]
2013-11-08
[115]
뉴스
「中華世界」復活を喜ぶ韓国人 韓国の異様な行動を岡本隆司准教授と読む(2)
http://business.nikk[...]
2013-06-20
[116]
뉴스
「百済、新羅が日本作った」が韓国の定説 東アジアにも領土
http://www.news-post[...]
2016-03
[117]
뉴스
「百済、新羅が日本作った」が韓国の定説 東アジアにも領土
http://www.news-post[...]
2016-03
[118]
간행물
「相互認識」 東アジア・イデオロギーと日本のアジア主義
https://www.jkcf.or.[...]
일한역사공동연구
2005-06
[119]
서적
역사와 오늘
신서원
1999-03-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