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눈사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눈사람은 눈으로 만든 사람 모양의 조형물로, 겨울과 크리스마스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이미지이다. 눈사람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지만, 1380년경의 기록이 존재하며, 1853년에는 최초의 눈사람 사진이 촬영되었다. 눈사람은 기본적으로 눈덩이를 굴려 만들며, 북미에서는 3단, 영국에서는 2단으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눈사람은 크리스마스 카드, 캐럴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등장하며, '눈사람 프로스티'와 같은 유명 캐릭터도 존재한다. 또한, 세계 각지에서 눈사람을 활용한 축제나 문화 행사도 열리고 있으며, 유니코드 문자(☃)로도 표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소 - 흉상
    흉상은 머리, 목, 가슴 윗부분을 표현한 조각상으로,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되어 로마 시대에 인기를 얻었으며, 르네상스 시대에 다양한 재료로 다시 제작되어 예술적 표현, 인물 기념, 개인 숭배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 조소 - 밀랍 인형
    밀랍 인형은 밀랍을 주재료로 사람이나 사물의 모습을 실물과 유사하게 만든 조형물로, 고대 이집트 장례 의식에서 시작하여 예술 작품 모델, 현대 관광 명소의 피겨, 그리고 움직이는 로봇 기술까지 활용되고 있다.
  • 겨울 - 동지
    동지는 24절기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로, 한국에서는 작은설이라 하여 팥죽을 먹고, 중국과 일본에서도 가족과 함께 특별한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다.
  • 겨울 - 입동
    입동은 양력 11월 7일 또는 8일 무렵으로, 태양 황경이 225°에 이르러 겨울 기운이 시작되는 절기이며, 김장 풍습과 관련이 있지만, 기상학적 겨울 시작과는 다르고 천문학적으로 특별한 의미는 없다.
  • 눈 (날씨) - 눈송이
    눈송이는 습도가 높고 영하의 온도에서 육각형 모양으로 성장하는 얼음 결정이며, 온도와 습도에 따라 모양이 달라지고, 크리스마스와 겨울을 상징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징적으로 사용된다.
  • 눈 (날씨) - 삿포로 눈축제
    삿포로 눈축제는 1950년 삿포로시 오도리 공원에서 시작되어 육상자위대의 참여와 1972년 삿포로 동계올림픽 개최를 통해 세계적으로 알려졌으며, 국제 눈 조각 콘테스트와 스스키노 아이스 월드를 포함하여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을 거쳐 2024년 정상 규모로 개최되었다.
눈사람

2. 역사

최초의 눈사람에 대한 기록은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눈사람의 역사》(The History of the Snowman)라는 책의 저자 밥 에크스타인(Bob Eckstein)은 유럽 박물관, 미술관, 도서관에서 중세 시대 눈사람에 대한 예술적 묘사를 연구했다. 그가 찾은 최초의 문서는 헤이그 네덜란드 왕립도서관에서 발견된 1380년의 《기도서》(Book of Hours)라는 작품의 주변부 묘사였다.[35] 미켈란젤로가 1494년 피에로 데 메디치의 의뢰를 받아 눈사람을 만들었다는 기록도 있다.[5] 1853년에는 웨일스의 사진작가 메리 딜윈이 최초로 눈사람 사진을 촬영했으며, 이 사진은 웨일스 국립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36]

눈사람의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1511년 브뤼셀에서는 눈사람 축제가 열렸는데, 사람들은 눈사람 대신 도시 전체에 외설적인 조각품을 만들기도 했다.[6] 1690년 스케넥터디 학살 당시에는 경비병들이 술집에 가는 동안 문을 지키기 위해 두 개의 눈사람을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7] 1950년에는 "눈사람 프로스티"(Frosty the Snowman)라는 노래와 동명의 캐릭터가 발표되어 눈사람이 더욱 큰 인기를 얻는 계기가 되었다.[8][9]

눈으로 어떤 형태의 조형물을 만드는 것은 눈이 내리는 지역에서 관례적으로 행해졌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그 시작은 분명하지 않다. 고대부터 점토, 나무, 등으로 만든 인형이 있었던 것처럼, 눈으로 만든 인형도 이른 시기부터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눈이라는 일시적인 재료와 인형의 유희적 성격 때문에 정확한 시기는 알기 어렵다. 헤이그 왕립 도서관 소장의 기도서 (1380년경)에는 난외에 눈사람이 그려져 있는데, 이것이 현재 알려진 가장 오래된 시각 자료라고 한다.[20]

2. 1. 중세 시대

최초의 눈사람 기록은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눈사람의 역사》(The History of the Snowman)라는 책의 저자 밥 에크스타인(Bob Eckstein)은 유럽 박물관, 미술관, 도서관에서 중세 시대의 눈사람에 대한 예술적 묘사를 연구했다. 그가 찾은 최초의 문서는 1380년 헤이그 네덜란드 왕립도서관에서 발견된 《기도서》(Book of Hours)라는 작품의 주변부 묘사였다.[35] 미켈란젤로는 1494년 피에로 데 메디치의 의뢰를 받아 눈사람을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다.[5]

2. 2. 근대 이후

1853년경 눈사람을 만드는 남녀의 소금 인쇄 사진
1853년경 메리 딜윈 (Mary Dillwyn)의 작품.


1853년 웨일스의 사진작가 메리 딜윈이 최초로 눈사람 사진을 촬영했으며, 이 사진은 웨일스 국립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36] 이후 눈사람은 크리스마스 카드나 겨울 풍경을 묘사하는 그림 등에 자주 등장하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1950년에는 "눈사람 프로스티"(Frosty the Snowman)라는 노래와 동명의 캐릭터가 발표되어 눈사람이 더욱 큰 인기를 얻는 계기가 되었다.[8][9]

3. 형태 및 제작

눈사람은 기본적으로 눈을 이용하여 만들며, 나뭇가지, 나뭇잎, 또는 상점에서 구입한 액세서리 등을 추가로 사용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눈사람은 아래쪽 눈덩이가 더 큰 두 개의 눈덩이로 만들어지며, 위쪽 눈덩이는 머리, 아래쪽 눈덩이는 몸통을 이룬다. 하지만, 두 눈덩이의 크기를 같게 하거나 위쪽 눈덩이를 더 크게 만들 수도 있다. 눈은 녹는점에 가까워 촉촉하고 빽빽할 때 만들기 가장 좋다. 가루눈은 서로 잘 붙지 않아 눈사람을 만들기 어렵기 때문에, 충분한 양의 눈이 내린 직후 따뜻한 오후가 적합하다.[1] 빽빽한 눈을 사용하면 원하는 크기만큼 굴려 큰 눈덩이를 만들 수 있다. 이때 눈덩이가 풀밭에 닿으면 풀, 자갈, 흙 등이 묻을 수 있다.

북미에서는 머리, 몸통, 하체의 세 덩어리로, 영국에서는 몸통과 머리의 두 덩어리로 눈사람을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1] 완성 후에는 돌이나 석탄으로 눈을, 당근으로 코를 만들고, 막대기로 팔을 표현하는 등 다양한 장식을 하고 옷을 입히기도 한다.[1]

노래 "눈사람 프로스티"에 나오는 눈사람은 옥수수 속대 파이프, 단추 코, 석탄 눈, 낡은 실크 해트(탑 해트로 묘사)로 장식되어 있는 등 다양한 형태의 눈사람이 존재한다.[2]

3. 1. 기본 형태

눈사람은 기본적으로 눈과 여러 가지 재료를 사용하여 만든다. 보통 두 개 이상의 눈덩이를 사용하는데, 가장 흔한 형태는 두 개의 눈덩이로 만들어진 눈사람이다. 이때 아래쪽 눈덩이가 더 큰 경우가 많다.[1] 두 개의 눈덩이로 만든 눈사람에서 위의 눈덩이는 머리, 아래 눈덩이는 몸통을 나타낸다. 하지만, 두 눈덩이의 크기를 같게 하거나, 위쪽 눈덩이를 더 크게 만들 수도 있다.

독일의 눈사람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나뭇가지나 나뭇잎을 사용하여 눈사람을 꾸밀 수 있다. 나뭇가지는 팔을 만들기에 좋고, 나뭇잎으로는 눈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나뭇잎이나 나뭇가지를 머리에 꽂아 뿔이나 머리카락처럼 보이게 할 수도 있다. 솔잎은 눈썹을 만드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1]

눈은 녹는점에 가까워 촉촉하고 빽빽할 때 눈사람을 만들기에 가장 좋다. 가루눈은 서로 잘 붙지 않아 눈사람을 만들기 어렵다. 충분한 양의 눈이 내린 직후, 따뜻한 오후가 눈사람을 만들기 좋은 시간이다.[1] 더 빽빽한 눈을 사용하면 원하는 크기가 될 때까지 굴려서 큰 눈덩이를 만들 수 있다. 눈덩이가 풀밭에 닿으면 풀, 자갈, 흙 등이 묻을 수 있다.

북미에서는 일반적으로 머리, 몸통, 하체의 세 덩어리로 눈사람을 만든다.[1] 반면 영국에서는 몸통과 머리를 나타내는 두 덩어리만 사용한다. 눈사람을 만들고 나면 보통 장식을 하고 옷을 입히기도 한다. 팔에는 막대기를 사용하고, 눈은 돌이나 석탄, 코는 당근으로 얼굴을 만드는 것이 전통적인 방식이다.[1] 어떤 사람들은 스카프나 모자 같은 옷을 눈사람에게 입히는 것을 좋아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쉽게 훔쳐가거나 녹는 얼음 아래에 갇힐 수 있는 물건을 밖에 두는 것을 꺼려한다.

이러한 표준 형태에는 여러 변형이 있다. 예를 들어, 노래 "눈사람 프로스티"는 옥수수 속대 파이프, 단추 코, 석탄 눈, 낡은 실크 모자 (탑 해트로 묘사)로 장식된 눈사람을 묘사한다.[2] 이 외에도 눈 기둥에서 얼음 조각과 유사한 정교한 눈 조각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가 있다.

현대 일본에서는 눈덩이를 두 단으로 쌓은 형태가 일반적이다. 큰 덩이를 아래에, 작은 덩이를 위에 올려 머리로 삼고, 숯 등으로 눈썹, 눈, 코, 입 등을 만든다. 머리에는 모자 대신 양동이를 얹기도 한다. 막대기를 두 개 팔로 삼아 아래 덩이의 좌우에 꽂거나, 장갑이나 목도리를 달기도 한다.

서양의 눈사람은 세 단으로 된 것이 많지만, 두 단도 적지 않고 세 단 이상인 경우도 있다. 맨 위의 덩이는 머리이며, 눈, 코, 입을 붙인다. 코로는 당근을 꽂거나, 목도리나 보타이를 달거나, 단추를 달거나, 실크 해트나 뾰족한 모자를 씌우기도 한다. 빗자루를 들려주기도 한다.

일본의 일기 예보에서는 강설의 기호로 눈사람이 사용되며, 일본방송협회기상청의 일기 예보에서도 강설을 두 단의 눈사람 아이콘으로 표시한다.

약간의 수분을 포함한 눈이 눈사람을 만들기에 적합하다. 현대적인 눈사람 만드는 방법은 먼저 손바닥으로 작은 눈덩이를 만든 다음, 평평한 땅의 굳지 않은 눈 위에서 굴리는 것이다. 골고루 눈이 묻도록 굴리면 눈덩이가 점점 커지는데, 적당한 크기의 눈덩이 두 개를 만들어 위아래로 겹쳐서 장식하면 완성된다. 전체 크기는 마지막에 결정되며, 크기를 겨루는 경우도 많다.

겨울의 풍물시로서 눈나라의 어린이들에게 친숙한 눈사람 만들기는, 최근에는 교통 사고를 당할 걱정이 없는 안전한 장소에서 행해질 필요가 있다.

3. 2. 재료 및 장식

눈사람을 만드는 데에는 기본적으로 눈이 필요하며, 이외에도 나뭇가지, 나뭇잎, 또는 상점에서 구입한 각종 액세서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1]

눈사람을 만들기 가장 좋은 눈은 녹는점에 가까워 수분을 함유하고 빽빽한 눈이다. 가루 형태의 눈은 서로 들러붙지 않아 눈사람을 만들기 어렵다. 따라서 충분한 양의 눈이 내린 직후, 따뜻한 오후가 눈사람을 만들기에 좋은 시간대일 수 있다. 더 빽빽한 눈을 사용하면 원하는 크기가 될 때까지 굴려 큰 눈덩이를 만들 수 있다. 눈덩이가 풀밭 바닥에 닿으면 풀, 자갈, 흙 등이 묻을 수 있다.[1]

북미에서는 일반적으로 머리, 몸통, 하체의 세 덩어리로 눈사람을 만든다.[1] 반면 영국에서는 몸통과 머리, 총 두 덩어리로 만든다. 눈사람의 얼굴은 전통적으로 돌이나 석탄으로 눈을, 당근으로 코를 만든다. 막대기를 사용하여 팔을 표현하기도 한다.[1]

눈사람에게 스카프나 모자 같은 옷을 입히기도 하지만, 쉽게 도난당하거나 녹는 얼음 아래에 갇힐 수 있어 꺼리는 사람들도 있다.

일반적인 형태 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노래 "눈사람 프로스티"에서는 옥수수 속대 파이프, 단추 코, 석탄 눈, 낡은 실크 모자 (주로 탑 해트로 묘사)로 장식된 눈사람을 묘사한다.[2]

다양한 액세서리를 갖춘 아이다호주 보이시의 "눈 가족"


현대 일본에서는 눈덩이를 두 단으로 쌓은 형태가 일반적이다. 큰 덩이를 아래에, 작은 덩이를 위에 올려 머리로 삼고, 숯 등으로 눈썹, 눈, 코, 입 등을 만든다. 머리에는 모자 대신 양동이를 얹기도 한다. 막대기를 두 개 팔로 삼아 아래 덩이 좌우에 꽂거나, 장갑이나 목도리를 달기도 한다.

서양의 눈사람은 세 단으로 된 것이 많지만, 두 단이나 세 단 이상인 경우도 있다. 맨 위 덩이는 머리이며, 눈, 코, 입을 붙인다. 코에는 당근을 꽂거나, 목도리나 보타이를 달거나, 단추를 달거나, 실크 해트나 뾰족한 모자를 씌우기도 한다. 빗자루를 들려주기도 한다.

3. 3. 제작 과정

눈사람을 만드는 데에는 기본적으로 눈이 필요하며, 나뭇가지, 나뭇잎, 또는 상점에서 구입한 액세서리 등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눈사람은 보통 두 개 이상의 큰 눈덩이를 만드는 것으로 시작한다. 일반적으로 아래쪽 눈덩이가 더 큰 두 개의 눈덩이로 만들어진 눈사람이 많다. 이 경우 위쪽 눈덩이는 머리, 아래쪽 눈덩이는 몸을 형성한다. 하지만, 원하는 경우 두 눈덩이의 크기를 같게 하거나 위쪽 눈덩이를 더 크게 만들 수도 있다.

눈은 녹는점에 가까워지고 촉촉하며 빽빽할 때 만들기 가장 좋다. 가루눈은 서로 들러붙지 않고, 포장 눈의 온도가 떨어지면 밀도가 높은 가루눈 껍질이 형성되어 눈사람을 만들기 어렵다. 따라서 충분한 양의 눈이 내린 직후 따뜻한 오후가 눈사람을 만들기에 좋은 시간이다.[1] 더 빽빽한 눈을 사용하면 원하는 크기가 될 때까지 굴려서 큰 눈덩이를 만들 수 있다. 눈덩이가 풀밭에 닿으면 풀, 자갈, 흙 등이 묻을 수 있다.

북미에서는 보통 머리, 몸통, 하체의 세 덩어리로 눈사람을 만든다.[1] 영국에서는 몸통과 머리의 두 덩어리로 만든다. 눈사람을 만든 후에는 보통 장식을 하고 옷을 입히기도 한다. 팔에는 막대기를 사용할 수 있고, 전통적으로 눈은 돌이나 석탄, 코는 당근으로 얼굴을 만든다. 어떤 사람들은 스카프나 모자와 같은 옷을 입히는 것을 좋아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쉽게 훔쳐가거나 녹는 얼음 아래에 갇힐 수 있는 물건을 밖에 두는 것을 꺼린다.

일반적인 형태 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있다. 예를 들어, 노래 "눈사람 프로스티"는 옥수수 속대 파이프, 단추 코, 석탄 눈, 낡은 실크 모자 (탑 해트로 묘사됨)로 장식된 눈사람을 묘사한다. 다른 유형으로는 눈 기둥에서 얼음 조각과 유사한 정교한 눈 조각상까지 다양하다. 한 책에서는 전형적인 눈사람 부착물을 검은 펠트 탑 해트, 빨간 스카프, 석탄 눈 조각, 당근 코, 옥수수 속대 파이프로 묘사한다.[2]

현대적인 눈사람 제작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손바닥으로 작은 눈덩이를 만든다. 그런 다음, 평평한 땅의 굳지 않은 눈 위에서 굴린다. 골고루 눈이 묻도록 굴리면 눈덩이가 점점 커진다. 적당한 크기의 눈덩이 두 개를 만들어 위아래로 겹쳐서 장식하면 완성된다. 전체 크기는 마지막에 결정되며, 크기를 겨루는 경우도 많다.

눈사람 만들기는 겨울의 풍물시로서 눈나라의 어린이들에게 친숙하지만, 최근에는 교통 사고를 당할 걱정이 없는 안전한 장소에서 해야 한다.

4. 문화적 상징성

눈사람은 북반구의 여러 나라에서 겨울크리스마스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이미지로 사용된다.[10] 크리스마스 카드, 장식품, 캐럴 등에 자주 등장하며, 어린이들의 순수함과 겨울철 놀이의 즐거움을 상징하기도 한다. 눈사람 프로스티나 겨울왕국의 올라프와 같이 문학 작품이나 영화에서 어린 시절의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소재로 활용되기도 한다.[10]

눈은 시간이 지나면 녹아 사라지기 때문에 눈사람은 덧없는 아름다움과 일시성을 상징하기도 한다.

눈덩이를 언덕 위에서 굴리면 원주에 눈이 붙어 점점 커진다. 한 바퀴 회전할 때마다 붙는 눈의 양은 갈수록 많아지고, 지름이 커지는 정도도 점점 가속화된다. 구르는 속도도 빨라져서 멈출 수 없게 된다. 영어에서는 이렇게 가속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snowball(눈덩이)"이라는 명사이자 동사로 나타낸다. 일본어에서는 빚 등이 "'''눈사람식'''으로 늘어난다"는 표현을 사용한다.[1]

4. 1. 겨울과 크리스마스

북반구의 여러 나라에서 눈사람은 겨울크리스마스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이미지로 사용된다.[10] 크리스마스 카드, 장식품, 캐럴 등에 자주 등장한다. 유명한 눈사람 캐릭터로는 노래 "눈사람 프로스티"의 주인공 프로스티가 있으며, 그는 낡은 실크 모자 덕분에 마법처럼 생명을 얻게 된다.

겨울 야외 장면에서 눈사람을 둘러싼 아이들의 그림
1867년의 삽화에서 눈사람은 아이들에게 둘러싸여 있다.

4. 2. 순수와 동심

눈사람은 어린이들의 순수함과 겨울철 놀이의 즐거움을 상징한다. 눈사람 프로스티와 같이 문학 작품이나 영화에서 어린 시절의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소재로 활용되기도 한다. 겨울왕국의 올라프도 유명한 눈사람 캐릭터 중 하나이다.[10]

4. 3. 일시성과 덧없음

눈사람은 눈으로 만들어져 시간이 지나면 녹아 사라지기 때문에, 덧없는 아름다움과 일시성을 상징하기도 한다.

눈덩이를 언덕 위에서 굴리면 원주에 눈이 붙어 커지고, 커진 원주에 다시 눈이 붙어 커지는 식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한 바퀴 회전할 때마다 붙는 눈의 양은 나중에 갈수록 점점 더 많아진다. 지름이 커지는 정도도 나중에 갈수록 점점 가속화되고, 구르는 속도도 빨라져서 멈출 수 없게 된다. 영어에서는 이렇게 가속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눈사람(snowman)"이 아닌 명사 "snowball(눈덩이)"과 같은 철자의 동사 "snowball"로 나타낸다. 일본어에서는 빚 등이 "'''눈사람식'''으로 늘어난다"는 표현을 사용한다.[1]

5. 예술 작품 속 눈사람

예술 작품에서 눈사람은 다양한 형태로 등장한다.

다카하시 루미코의 만화 시끌별 녀석들 중 "여행의 눈사람 정화" 에피소드는 코믹스 (신장판) 제12권에 수록되어 있으며,[34] 애니메이션 제1작 제94회 (제117화)로도 제작되었다.

눈사람은 장난감, 의상, 장식의 소재로도 활용되며, 러시아 등 구소련 국가에서는 새해 우표에 등장하기도 한다. 크리스마스 및 겨울 시즌에는 눈사람 테마 장식이 흔하며,[11] 관련 공예 책에서는 흰 장갑, 리본 등으로 작은 눈사람 인형을 만드는 방법을 소개한다.[11] 눈사람을 주제로 한 책에서는 아이스크림, 마시멜로, 마카롱 등 눈사람 테마의 과자와 제과류도 언급한다.[12]

우샨카를 쓰고 가르몬을 연주하는 눈사람, 2019년 러시아 새해 우표

5. 1. 회화

우타가와 히로시게의 작품 「에도 명소 도게이진 22 어장 앞의 눈」[29], 가쓰시카 호쿠사이의 작품 「광가 화보 요코야산」에 눈사람이 등장한다. 기쿠카와 에이잔의 작품 「청루 미인 설월화 선화」, 「눈놀이」[30], 이토 타카유키의 작품 「눈사람을 만드는 동북 지방의 아이들 (가제)」[31]에도 눈사람이 그려져 있다.

5. 2. 문학

5. 3. 영화 및 애니메이션


  • 눈사람 프로스티: 인기 있는 휴일 노래 제목이자, 이후 영화와 텔레비전 스페셜로 각색된 작품의 주인공이다. 머리에 쓴 낡은 실크 모자 덕분에 마법처럼 생명을 얻었다.
  • 불리: 마법의 장소에서 눈사람의 모험을 그린 프랑스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다.
  • Der Schneemann: 1943년 독일에서 제작된 애니메이션 단편 영화이다.
  • 닥 맥스터핀스: 칠리라는 봉제 눈사람이 등장한다.
  • 피너츠: 등장인물들이 겨울에 눈사람을 만드는 여러 만화가 있다.
  • 잭 프로스트: 연쇄 살인범이 눈사람으로 변하는 1997년 공포 영화이다.
  • 잭 프로스트: 마이클 키튼이 출연하여 자동차 사고 후 눈사람으로 깨어나는 1998년 영화이다.
  • 오스왈드: 아이스크림 가게를 운영하는 조니라는 눈사람이 등장한다.
  • 눈사람: 레이먼드 브리그스가 쓰고 다이앤 잭슨이 연출한 영국의 그림책(1978)이자 애니메이션(1982)이다. 눈사람을 만들어 생명을 얻어 그를 북극으로 데려가는 소년의 이야기이다.
  • 타발루가: 시리즈의 메인 악당은 아르크토스라는 사악한 눈사람이다.
  • 겨울왕국: 여름을 보고 싶어하는 올라프라는 살아있는 눈사람이 등장한다.
  • 프로스티 더 스노우맨: 1950년 크리스마스 캐롤의 대표곡으로, 『프로스티 더 스노우맨 - 따뜻한 눈사람』(1969)이라는 애니메이션 작품도 존재한다.
  • 스노우맨: 레이먼드 브리그스 작. 1978년 일본 평론사에서 출판되었을 때의 번역 제목은 "눈사람"이다.
  • 잭 프로스트: 비디오의 번역 제목은 『잭 프로스트/아빠는 눈사람』이다.
  • 눈사람: 2003년 한국 드라마다.
  • 시끌별 녀석들: 애니메이션 제1작 제94회 (제117화)에 "여행의 눈사람 정화"라는 에피소드가 있다.

5. 4. 기타

눈사람은 장난감, 의상 및 장식의 주제가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러시아와 다른 구소련 국가에서는 새해 우표에 등장했다.

눈사람 테마 장식은 크리스마스 및 겨울 시즌 동안 흔하게 사용되며, 이 시기에 기념된다.[11] 한 공예 책에서는 흰 장갑, 리본 및 기타 공예 재료로 작은 눈사람 인형을 만드는 방법을 제안한다.[11]

실제 눈으로 작업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을 포함한 눈사람에 관한 한 책에서는 눈사람 테마의 과자와 제과류도 언급한다.[12] 눈사람 테마의 디저트 아이템으로는 아이스크림, 마시멜로, 마카롱 등이 있다.[12]

  • 회화
  • 우타가와 히로시게 작, 「에도 명소 도게이진 22 어장 앞의 눈」[29]
  • 가쓰시카 호쿠사이 작, 「광가 화보 요코야산」
  • 기쿠카와 에이잔 작, 「청루 미인 설월화 선화」
  • 기쿠카와 에이잔 작, 「눈놀이」[30]
  • 이토 타카유키 작, 「눈사람을 만드는 동북 지방의 아이들 (가제)」[31]
  • 문학
  • 오가와 미메이의 동화, 「눈사람」[32]
  • 에쿠니 가오리 저, 야마모토 요코 그림의 소설, 「눈사람의 유키코 짱」[33]
  • 만화
  • 다카하시 루미코의 만화 시끌별 녀석들 중 한 화, 「여행의 눈사람 정화」. 코믹스 (신장판) 제12권 수록.[34]
  • 애니메이션
  • 상기 만화의 애니메이션화, 「여행의 눈사람 정화」. 애니메이션 제1작 제94회 (제117화).

6. 세계의 눈사람 문화

세계 각지에서 눈사람은 다양한 문화적 의미와 형태로 나타난다.

스위스 취리히에서는 봄 축제인 Sechseläuten|체크세로이텐als에서 겨울을 상징하는 뵈그(Bööggde)라는 눈사람 인형을 태운다.

일본에서는 눈사람을 "유키다루마"(雪だるま|유키다루마일본어)라고 부르며, 다루마 인형과 비슷하게 두 부분으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18] 눈 토끼를 의미하는 "유키우사기"(雪うさぎ|유키우사기일본어)를 만드는 전통도 있다.[19] 현대 일본에서는 눈덩이를 두 단으로 쌓고, 숯으로 눈, 코, 입 등을 표현하며, 양동이 모자를 씌우거나 막대기 팔을 꽂는 형태가 주류이다. 일본방송협회기상청의 일기 예보에서는 눈사람이 강설의 기호로 사용된다. 이시카와현 하쿠산시 시라미네 지구와 쿠와지마 지구에서는 매년 2월 눈사람 축제가 열린다.

일본 눈사람("유키다루마"). 2단 구조에 양동이 모자를 썼다.


세계에서 가장 큰 눈사람 기록은 2008년 미국 메인주 베델에서 세워진 37.21m 키의 눈 여자 '올림피아'이다.[14][15] 1999년에는 같은 지역에서 35.05m 키의 '산의 왕 앵거스'가 만들어졌다.[16] 알래스카주 앵커리지에는 매년 겨울 "스노질라"라는 대형 눈사람이 건설된다. 2016년에는 웨스턴 온타리오 대학교에서 0.9 마이크론 크기의 작은 눈사람이 만들어졌다.[17] 일본 야마가타현 모가미군 오오쿠라촌에서는 1995년부터 매년 "오오쿠라 군"이라는 거대한 눈사람을 만들었으며, 한때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기도 했다.[21][22][23]

6. 1. 스위스 취리히

스위스 취리히에서 열리는 봄 축제인 Sechseläuten|체크세로이텐als에서는 겨울을 상징하는 뵈그(Bööggde)라는 눈사람 인형을 짚으로 만들어 장작더미 위에 세워 태운다. 이 눈사람은 두 팔과 다리가 있고 빗자루를 들고 있다.

체크세로이텐에서 불태워지는 짚으로 만든 눈사람 (2007년)

6. 2. 일본

일본에서 눈사람은 "유키다루마"(雪だるま|유키다루마일본어)라고 불리며, 그 모양이 다루마 인형과 비슷하여 보통 세 부분이 아닌 두 부분으로 만들어진다.[18] 일본에는 눈 토끼, 즉 "유키우사기"(雪うさぎ|유키우사기일본어)를 만드는 오랜 전통도 있다.[19]

현대 일본에서는 눈덩이를 두 단으로 쌓은 형태가 주류이다. (이는 에도 시대 그림과는 다르다.) 큰 덩이를 아래에 두고, 작은 덩이를 위에 올려 머리로 삼는다. 숯 등으로 눈썹, 눈, 코, 입 등을 만들고, 머리에는 모자 대신 양동이를 얹기도 한다. 막대기를 팔로 삼아 아래 덩이 좌우에 꽂거나, 장갑이나 목도리를 달기도 한다.

일본 일기 예보에서는 눈사람이 강설의 속된 기호로 통용된다. 일본방송협회기상청의 일기 예보에서도 강설을 두 단 눈사람 아이콘으로 표시한다.

6. 3. 기록

2008년 메인주 베델에서 세계에서 가장 큰 눈사람(눈 여자) 기록이 세워졌다. 이 눈 여자의 키는 37.21m였으며, 메인주를 대표하는 미국 상원의원 올림피아 스노우를 기려 올림피아라는 이름이 붙여졌다.[14][15]

1999년 2월에는 메인주 베델에서 이전 기록을 갱신하는 눈사람이 만들어졌다. 이 눈사람은 당시 메인 주지사였던 앵거스 킹을 기려 "산의 왕 앵거스"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키는 35.05m였고 무게는 4080ton 이상이었다.[16]

알래스카주 앵커리지에는 매년 겨울 "스노질라"라는 대형 눈사람이 건설되었다.

2016년 12월에는 웨스턴 온타리오 대학교의 나노 제작 시설에서 가장 작은 종류의 눈사람이 만들어졌다.[17] 이 눈사람은 실리카, 백금 팔과 코로 만들어진 대략 0.9 마이크론 크기의 구체 세 개와 이온 빔으로 만들어진 얼굴로 구성되었다.[17]

야마가타현모가미군오오쿠라촌은 호설 지대로 알려져 있는데, 1995년부터 매년 거대한 눈사람인 "오오쿠라 군"을 만들고 있다. 이는 주변에서 대형 트럭으로 눈을 모아 제작되었으며, 1995년 당시 기네스 세계 기록에 인정되었다. 이후 미국메인주에서 제작된 앤거스, 올림피아에 의해 기록이 갱신되었다.[21][22][23]

7. 눈사람 관련 캐릭터


  • 겨울왕국 - 올라프
  • 디지몬 시리즈 - 프리지몬
  • 록맨 X8 - 아이스노우 예팅거[37]
  • Snow Man - 2012년에 결성되어 2020년에 데뷔한 9인조 그룹[24]으로, "스노우맨"으로 읽는다.[25] 그룹 이름에서 착안하여 눈사람이 그룹의 상징이 되었으며, 눈사람을 본뜬 9색의 거대한 풍선이 등장하거나[26] 멤버 메구로 렌 출연 드라마에 9색 눈사람 봉제인형이 등장한 에피소드 등이 특히 유명하다.[27]
  •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동화 눈사람
  • 크리스마스 캐롤 대표곡 프로스티 더 스노우맨(1950), 애니메이션 프로스티 더 스노우맨 - 따뜻한 눈사람(1969)
  • 레이먼드 브리그스의 그림책/영화 『스노우맨 ''The Snowman''』 - 1978년 일본 평론사 출판 번역 제목은 "눈사람"
  • 영화 『잭 프로스트』 - 비디오 번역 제목은 『잭 프로스트/아빠는 눈사람』
  • 한국 드라마 『눈사람』 (2003년)
  • AKB48 멤버 카시와기 유키가 고안한 캐릭터 유키린 눈사람. 공식 굿즈, 카페 메뉴에도 등장
  • 「눈사람」 또는 「눈사람 택배」라고 불리는 눈사람 모양의 스티로폼천연 눈을 채워 일본 전역으로 유료 발송. 1986년부터 홋카이도이부리 지청 관내 유후츠 군아비라정에서 현지 관광 협회, 상공회, JA 후원으로 진행되는 마을 부흥 사업[28]
  • 일기 예보에서 눈을 나타내는 기호 중 하나

8. 유니코드

유니코드에서 눈사람은 U+2603으로 입력이 가능하다. (☃)

이 없는 눈사람은 U+26C4이다. (⛄)

검은 눈사람은 U+26C7이다. (⛇)

유니코드HTML설명
U+2603☃눈사람
U+26C4⛄눈 없는 눈사람
U+26C7⛇검은 눈사람


참조

[1] 웹사이트 Snowmen: Slowly Melting Away Forever? http://www.newsshopp[...] 2012-02-21
[2] 서적 Snowman in a Box: Everything You Need to Build Classic and Cool Snow Creations Just Add Snow Even Works in Sand! https://books.google[...] Running Press Book Publishers 2002-01-01
[3] 서적 The history of the snowman: from the Ice Age to the Flea Market http://archive.org/d[...] Simon Spotlight Entertainment 2007
[4] 웹사이트 My Search for The First Snowman http://open.salon.co[...] 2008-12-02
[5] 서적 The Art of Florence Artabras 1994
[6] 웹사이트 The Snowman's Oddly Political History https://allthatsinte[...] John Kuroski 2017-01-05
[7] 웹사이트 The Fun and Frosty History of Snowmen https://www.farmersa[...] Almanac Publishing 2017-12-08
[8] 웹사이트 The Evolution Of The Snowman: From The Magical Frosty To The Exploding Böögg https://www.fatherly[...] 2016-12-05
[9] 웹사이트 Frosty the Snowman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22-04-07
[10] 웹사이트 Review: Do you want to build a snowman? http://huntnewsnu.co[...] 2014-02-13
[11] 서적 The Best Christmas Crafts Ever! https://books.google[...] Millbrook Press 2002-01-01
[12] 서적 Snowmen: Creatures, Crafts, and Other Winter Projects https://archive.org/[...] Chronicle Books 1999-09-01
[13] 웹사이트 Wisconsin man builds giant Olaf snowman http://fox2now.com/2[...] 2015-02-21
[14] 웹사이트 Topping 122 Feet, Snowman in Maine Vies for World Record https://www.foxnews.[...] Fox News (Associated Press) 2008-03-01
[15] 웹사이트 Tallest snowman http://www.guinnessw[...] Guinness World Records 2008-02-26
[16] 웹사이트 Angus, King of the Mountain — World's Largest Snowman http://www.sundayriv[...] Sunday River On-Line 1999-02-19
[17] 웹사이트 Researcher created the world's smallest snowman https://www.digitalj[...] 2016-12-23
[18] 웹사이트 Netsuke in the form of a boy rolling a yuki daruma, or snowman https://collections.[...]
[19] 웹사이트 Yuki Usagi: The Japanese Snow Hare {{!}} Folklife Today https://blogs.loc.go[...] 2018-01-14
[20] 웹사이트 My Search for The First Snowman http://open.salon.co[...] 2014-12-05
[21] 뉴스 巨大雪だるまいつ解ける? 少雪でも身長7メートル超、山形 https://www.sankei.c[...] 株式会社産経デジタル 2020-04-04
[22] 뉴스 “ドカ雪”を全国にアピール 名物の巨大雪だるま「おおくら君」が2023年も登場【山形発】 https://www.fnn.jp/a[...] 株式会社フジテレビジョン 2023-03-18
[23] 뉴스 【ギネス登録】日本の記録を塗り替えた、世界一「身長の高い雪だるま」 https://tabizine.jp/[...] 株式会社オンエア 2014-01-11
[24] 웹사이트 JO1、Snow Man、THE RAMPAGE、Da-iCE……勢い止まらぬダンス&ボーカルグループシーンの動向、各パフォーマンスから考察 https://realsound.jp[...] 2021-09-26
[25] 웹사이트 SixTONES、Snow Man、ジャニーズ事務所から2組同時にメジャーデビュー https://www.billboar[...] 2019-08-09
[26] 웹사이트 『それスノ』が赤坂サカスをジャック!Snow Manの9面ポスターが登場!季節外れの“雪だるま”=“すのすのだるま”も出現 https://topics.tbs.c[...] 2023-04-24
[27] 트윗 ◤#silentメイキング◢ 本格的なXmasの飾り付けがされていた佐倉家 雪だるまの並びは、特に美術スタッフがこだわったポイントとのことです 2022-12-22
[28] 웹사이트 雪ダルマでまちおこし http://www.kitaiti.c[...] 2013-06-03
[29] 웹사이트 江戸時代の雪だるまは「だるま」だったというお話|太田記念美術館 https://otakinen-mus[...]
[30] 웹사이트 雪あそび  |くもん子ども浮世絵ミュージアム https://www.kumon-uk[...]
[31] 웹사이트 伊藤孝之「雪だるまをつくる東北地方の子供たち(仮)」 {{!}} 山田書店美術部オンラインストア https://www.yamada-s[...]
[32] 웹사이트 雪だるま https://www.aozora.g[...]
[33] 웹사이트 江國香織、山本容子/銅版画 『雪だるまの雪子ちゃん』 {{!}} 新潮社 https://www.shinchos[...]
[34] 웹사이트 うる星やつら 〔新装版〕 12 |無料試し読みなら漫画(マンガ)・電子書籍のコミックシーモア https://www.cmoa.jp/[...]
[35] 웹인용 My Search for The First Snowman http://open.salon.co[...] Open Salon 2008-12-02
[36] 웹인용 First EVER snowman picture is uncovered 150 years after it was taken by pioneering woman photographer http://www.dailymail[...] Daily Mail 2016-12-23
[37] 문서 이름은 예티가 모티브이나 디자인은 아무리 봐도 눈사람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