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 민족 국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일 민족 국가는 문화, 언어, 가치관을 공유하는 주민 집단인 민족을 기반으로 하는 국가를 의미한다. 영어의 Nation State에 해당하며, 한국에서는 민족이라는 어휘가 일본 메이지 시대에 유입되어 사용되기 시작했다. 세계적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단일 민족 국가가 존재하며, 대한민국, 일본, 중국, 이스라엘 등 각국은 역사적, 사회적 배경에 따라 단일 민족 국가를 바라보는 시각과 정책에 차이를 보인다. 단일 민족 국가는 국정 안정에 기여할 수 있지만, 소수 민족의 차별 문제, 이민과 난민 유입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 그리고 민족주의적 갈등과 분쟁을 야기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일 민족 국가 | |
|---|---|
| 지도 정보 | |
| 개요 | |
| 정의 | 특정 지역이나 국가에 단 하나의 민족 집단만이 존재하는 상태. |
| 특징 | 민족적 동질성이 높음, 다문화주의와 대비됨. |
| 관련 개념 | 국민국가, 민족주의, 다문화주의 |
| 역사적 관점 | |
| 이상적인 국가 형태 | 19세기 민족주의 시대에 등장. 모든 국민은 같은 민족적 배경을 가져야 한다는 이상을 추구. |
| 현실적 어려움 | 진정한 단일 민족 국가는 거의 존재하지 않음. 역사적, 지리적 요인으로 인해 다민족 사회가 형성되는 경우가 많음. |
| 민족 다양성 | |
| 현대 사회의 추세 | 세계화로 인해 국가 간 이동 증가.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는 추세. |
| 문제점 | 차별과 인종주의 심화 가능성. 소수 민족의 권리 침해 가능성. |
| 단일 민족 국가의 사례 (주장) | |
| 국가 예시 | 대한민국 (논란 있음) 일본 (논란 있음) 아이슬란드 (소수 폴란드 인) 북한 (논란 있음)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논란 있음, 보스니아인,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존재) 독일 (논란 있음, 외국인 거주자 증가 추세) |
| 논란 | 실제로는 다민족 사회인 경우가 많음. 특정 민족의 지배를 정당화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 |
| 참고 사항 | |
| 한국 | 2023년 초 외국인 비율 5%를 넘어서며, OECD 기준 '다인종·다문화 국가' 진입 가능성 언급. 외국인 노동자 수 증가 추세. |
| 일본 | 2012년 말 기준 외국인 등록자 200만 명 이상 (일본 인구의 약 1.6%). |
2. 어휘 및 개념
영어에서 단일민족국가는 'Nation State'에 해당한다. 여기서 'Nation'은 문화, 언어, 가치관을 공유하는 주민 집단을 의미한다. 한국에서 민족이라는 어휘가 오늘날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 것은 일본 메이지 시대에 'Nation'을 '국민' 또는 '민족'이라는 한자어로 번역하고, 그 어휘가 구한말 이후 한국에 유입되면서부터이다.[1]
일본에서는 'Nation'을 '국민'이라고 번역하는데, 이는 일본에서는 국가와 민족이 동일하다는 전제가 널리 인정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보면 일본과 같은 예는 드물기 때문에, 'Nation'이라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국민'이 아닌 '민족'의 개념으로 보는 것이 옳다.
세계에는 미국, 중화인민공화국이나 아프리카 여러 나라, 남극대륙처럼 복수의 민족으로 구성되는 국가도 있고, 중동 아랍 국가들, 중화민족 등과 같이 하나의 민족이 복수의 국가에 분포하는 경우도 있다. 쿠르드인이나 집시처럼 국가를 갖지 못한 채 여러 나라에 흩어져 있는 민족도 있다.[1] 유대인의 경우 대부분이 이스라엘이 아닌 다른 국가의 국민이다. 그리스의 그리스인과 키프로스의 그리스인은 별개의 국민이지만 동일한 민족으로 여겨진다. 아랍 민족에 의한 통일국가를 형성하려는 'Arab Nationalism'은 '아랍민족주의'라고 번역된다.
한민족의 경우 하나의 민족이 한반도 내에서 분단된 국가를 이루고 있고, 중국의 조선족, 중앙아시아의 고려인, 일본에 거주하는 재일조선인 등 하나의 민족이 복수의 국가에 분포하는 경우에 해당한다.[1]
2. 1. 민족(Nation)의 정의
영어에서 단일민족국가는 Nation State에 해당한다. 이 경우 Nation은 문화, 언어, 가치관을 공유하는 집단을 의미한다. 한국에서 민족이라는 어휘가 오늘날과 같이 쓰이게 된 것은 일본 메이지 시대에 Nation을 국민 또는 민족이라는 한자어로 번역하고, 그 어휘가 구한말 이후 한국에 유입되면서부터이다.[1]일본에서는 Nation을 국민이라고 번역하지만, 이는 일본에서는 국가와 민족이 동일하다는 전제가 널리 인정되기 때문이다. 세계적으로 보면 일본과 같은 예는 드물기 때문에, Nation이라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국민이 아닌 민족의 개념으로 보는 것이 옳다. 세계에는 복수의 민족으로 구성되는 국가(예를 들어 미국, 중화인민공화국이나 아프리카 여러 나라, 남극대륙) 혹은 하나의 민족이 복수의 국가에 분포되어 있는 경우(예: 중동 아랍국가들, 중화민족 등)가 있다. 또한 국가를 갖지 못한 채 다른 여러 나라에 흩어져 있는 민족(쿠르드인, 집시) 등 여러 가지 예가 존재한다.[1] 유대인의 경우 대부분이 이스라엘이 아닌 다른 국가의 국민이다. 그 외에도 그리스의 그리스인과 키프로스의 그리스인은 별개의 국민이지만 동일한 민족이라 여겨진다. 또 아랍 민족에 의한 통일국가를 형성하려는 Arab Nationalism은 '아랍민족주의'라고 번역된다. 한민족의 경우 하나의 민족이 한반도 내에서 분단된 국가를 이루고 있고, 또한 중국의 조선족과 중앙아시아의 고려인 그리고 일본에 거주하는 재일조선인 등, 하나의 민족이 복수의 국가에 분포하는 경우에 해당한다.[1]
2. 2. 단일민족국가의 다양한 양상
세계적으로 단일민족국가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단일민족성이 높은 나라들로는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아이슬란드, 알바니아, 폴란드, 덴마크, 포르투갈, 아르메니아 등이 있다.[45][46]일본은 Nation을 국민으로 번역하는데, 이는 국가와 민족이 동일하다는 전제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세계적으로는 미국, 중화인민공화국처럼 복수의 민족으로 구성된 국가, 쿠르드인처럼 여러 국가에 흩어져 있는 민족 등 다양한 사례가 존재한다. 한민족의 경우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분단되어 있고, 중국의 조선족, 중앙아시아의 고려인, 일본의 재일조선인 등 여러 국가에 분포되어 있다.
실질적인 단일민족국가가 아닌, 일민족주의를 국책으로 제정하는 경우도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다민족국가이지만 한족을 포함한 복수의 민족을 '중화민족'이라는 관념으로 규정한다. 프랑스나 터키는 헌법에 민족주의가 규정되어 이민족에 대한 동화주의를 장려한다. 폴란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다민족국가였지만, 전쟁 이후 단일민족국가가 되었다. 영국은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북아일랜드, 웨일스가 연합한 왕국이다.
교통과 IT, 무역의 발달로 국가 간 이주가 쉬워져 순수한 의미의 단일민족국가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아랍 국가들은 원유 발견 이후 이슬람교계 외국인 노동자를 받아들여 단일민족국가라고 보기 어렵다.
OECD 등은 동일 민족 비율이 95% 이상인 국가를 단일민족국가로 분류한다.[45][46] 다음은 그 예시이다.
'''주권 국가'''
| 순위 | 국가 | 인구 | 주요 민족 | % | 참고 |
|---|---|---|---|---|---|
| 1 | 이집트 | 111,247,248 | 이집트인 | 99.7% | [6] |
| 2 | 레소토 | 2,227,548 | 바소토족 | 99.7% | [7] |
| 3 | 알제리 | 47,022,473 | 아랍인-베르베르인 | 99% | 거의 모든 알제리인이 기원적으로 베르베르인이지만 아랍인으로 동화되었고, 소수만이 자신을 주로 베르베르인으로 인식한다.[8] |
| 4 | 방글라데시 | 168,697,184 | 벵골인 | 99% | [9] |
| 5 | 모로코 | 37,387,585 | 아랍인-베르베르인 | 99% | 서사하라 데이터는 포함하지 않음[10] |
| 6 | 바누아투 | 318,007 | 니바누아투인 | 99% | [11] |
| 7 | 아르메니아 | 2,976,765 | 아르메니아인 | 98.1% | [12] |
| 8 | 튀니지 | 12,048,847 | 아랍인 | 98% | [13] |
| 9 | 알바니아 | 3,107,100 | 알바니아인 | 98% | [14] |
| 10 | 일본 | 123,201,945 | 일본인 | 97.5% | [15] |
| 11 | 폴란드 | 38,746,310 | 폴란드인 | 96.9% | 폴란드를 주요 민족으로 밝힌 사람들의 비율[16] |
| 12 | 통가 | 104,889 | 통가인 | 96.5% | [17] |
| 13 | 키리바시 | 116,545 | 키리바시인 | 95.78% | [18] |
| 14 | 마셜 제도 | 82,011 | 마셜 제도인 | 95.6% | [19] |
| 15 | 캄보디아 | 17,063,669 | 크메르인 | 95.4% | [20] |
| 16 | 솔로몬 제도 | 726,799 | 멜라네시아인 | 95.4% | [21] |
| 17 | 레바논 | 5,364,482 | 아랍인 | 95% | [22] |
| 18 | 포르투갈 | 10,207,177 | 포르투갈인 | 95% | [23] |
| 19 | 나우루 | 9,892 | 나우루인 | 94.6% | [24] |
| 20 | 아제르바이잔 | 10,650,239 | 아제르바이잔인 | 91.6% | [25] |
| 21 | 크로아티아 | 4,150,116 | 크로아티아인 | 91.6% | [26] |
| 22 | 중국 | 1,416,043,270 | 한족 | 91.1% | [27] |
| 23 | 사우디아라비아 | 36,544,431 | 아랍인 | 90% | [28] |
| 24 | 루마니아 | 18,148,155 | 루마니아인 | 89.3% | 2021년 인구조사에서 민족을 밝힌 사람들만 포함[29] |
| 25 | 투르크메니스탄 | 5,744,151 | 투르크멘인 | 87.6% | [30] |
| 26 | 조지아 | 4,900,961 | 조지아인 | 86.8% | [31] |
| 27 | 베트남 | 105,758,975 | 베트남인 | 85.3% | [32] |
| 국가 | 인구 | 주요 민족 | 비율 (%) | 참고자료 |
|---|---|---|---|---|
| 팔레스타인 | 5,483,450 | 팔레스타인 아랍인 | 91% | [33][34] |
| 북키프로스 | 265,100 | 터키계 키프로스인 | 99.2% | [35] |
| 소말릴란드 | 3,500,000 | 소말리아인 | 99% | [36] |
| 중화민국 | 23,347,374 | 한족 | 97% | [37] [38] |
| 홍콩 | 7,249,907 | 광둥인 및 타이산인 | 92% | [39] |
| 코소보 | 1,586,659 | 알바니아인 | 92% | [40] |
| 그린란드 | 55,877 | 이누이트 | 89.7% | [41] |
| 남오세티야 | 53,532 | 오세티아인 | 89.9% | [42] |
| 마카오 | 614,458 | 광둥인 및 마카오인 | 88.7% | [43] |
| 올란드 제도 | 30,696 | 올란드인 | 86.5% | [44] |
유럽 중세 전란이 종식된 이유 중 하나는 민족국가의 등장이었다. 문화와 가치관을 공유하는 공동체로서의 국가는 국정 안정에 기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일본에서도 자주 거론되는 이론이다.[6] 그러나 아프리카 국가들의 국경선은 식민지 종주국들의 편의에 따라 그어져 국가와 민족 간 통합성이 부족했고, 이는 아프리카 국가들의 정정 불안의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된다.[6]
3. 단일민족국가의 쟁점
근대 민주주의는 다수결 우선 제도이므로 소수민족은 불리한 위치에 놓이며, 이는 소수민족 독립운동과 내란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미국이나 전후 유럽 국가들처럼 많은 이민자를 저가 노동자로 받아들인 경우, 소수민족 거주지가 슬럼화되어 여러 문제가 발생한다. 높은 실업률과 범죄율로 인한 치안 악화, 생활보호비 지출로 인한 국가 재정 압박, 대규모 폭동 발생 등이 그 예시이다. 또한 코소보나 그루지야처럼 소수민족 독립운동으로 국가 주권이 위협받는 경우도 있다.[6]
3. 1. 단일민족국가의 장점과 문제점
문화와 가치관을 공유하는 공동체로서 국가가 존재한다는 것은 국정 안정에 기여한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근대 민주주의는 다수결 원칙을 따르기 때문에, 단일민족국가에서 소수민족은 불리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이는 소수민족의 독립운동과 내란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6]
아프리카 국가들의 국경선은 식민지 시절 종주국의 편의에 따라 그어졌기 때문에, 국가와 민족의 불일치가 발생하여 정정 불안의 원인이 되고 있다. 미국과 유럽 국가들은 저가 노동자로 이민자들을 받아들였는데, 이들 소수민족의 거주지가 슬럼화되면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높은 실업률과 범죄율로 인한 치안 악화, 생활보호비 지출로 인한 국가 재정 압박, 그리고 대규모 폭동 발생 등이 그 예시이다. 코소보나 조지아처럼 소수민족이 독립운동을 일으켜 국가 주권이 위협받는 경우도 있다.[6]
다음은 주요 단일 민족 국가의 예시이다:
| 순위 | 국가 | 인구 | 주요 민족 | % | 참고 | |
|---|---|---|---|---|---|---|
| 1 | 이집트 | 111,247,248 | 이집트인 | 99.7% | [6] | |
| 2 | 레소토 | 2,227,548 | 바소토족 | 99.7% | [7] | |
| 3 | 알제리 | 47,022,473 | 아랍인-베르베르인 | 99% | 거의 모든 알제리인이 기원적으로 베르베르인이지만 아랍인으로 동화되었고, 소수만이 자신을 주로 베르베르인으로 인식한다. | [8] |
| 4 | 방글라데시 | 168,697,184 | 벵골인 | 99% | [9] | |
| 5 | 모로코 | 37,387,585 | 아랍인-베르베르인 | 99% | 서사하라 데이터는 포함하지 않음 | [10] |
| 6 | 바누아투 | 318,007 | 니바누아투인 | 99% | [11] | |
| 7 | 아르메니아 | 2,976,765 | 아르메니아인 | 98.1% | [12] | |
| 8 | 튀니지 | 12,048,847 | 아랍인 | 98% | [13] | |
| 9 | 알바니아 | 3,107,100 | 알바니아인 | 98% | [14] | |
| 10 | 일본 | 123,201,945 | 일본인 | 97.5% | [15] | |
| 11 | 폴란드 | 38,746,310 | 폴란드인 | 96.9% | 폴란드를 주요 민족으로 밝힌 사람들의 비율 | [16] |
| 12 | 통가 | 104,889 | 통가인 | 96.5% | [17] | |
| 13 | 키리바시 | 116,545 | 키리바시인 | 95.78% | [18] | |
| 14 | 마셜 제도 | 82,011 | 마셜 제도인 | 95.6% | [19] | |
| 15 | 캄보디아 | 17,063,669 | 크메르인 | 95.4% | [20] | |
| 16 | 솔로몬 제도 | 726,799 | 멜라네시아인 | 95.4% | [21] | |
| 17 | 레바논 | 5,364,482 | 아랍인 | 95% | [22] | |
| 18 | 포르투갈 | 10,207,177 | 포르투갈인 | 95% | [23] | |
| 19 | 나우루 | 9,892 | 나우루인 | 94.6% | [24] | |
| 20 | 아제르바이잔 | 10,650,239 | 아제르바이잔인 | 91.6% | [25] | |
| 21 | 크로아티아 | 4,150,116 | 크로아티아인 | 91.6% | [26] | |
| 22 | 중국 | 1,416,043,270 | 한족 | 91.1% | [27] | |
| 23 | 사우디아라비아 | 36,544,431 | 아랍인 | 90% | [28] | |
| 24 | 루마니아 | 18,148,155 | 루마니아인 | 89.3% | 2021년 인구조사에서 민족을 밝힌 사람들만 포함 | [29] |
| 25 | 투르크메니스탄 | 5,744,151 | 투르크멘인 | 87.6% | [30] | |
| 26 | 조지아 | 4,900,961 | 조지아인 | 86.8% | [31] | |
| 27 | 베트남 | 105,758,975 | 베트남인 | 85.3% | [32] | |
| 국가 | 인구 | 주요 민족 | 비율 (%) | 참고자료 |
|---|---|---|---|---|
| 팔레스타인 | 5,483,450 | 팔레스타인 아랍인 | 91% | [33][34] |
| 북키프로스 | 265,100 | 터키계 키프로스인 | 99.2% | [35] |
| 소말릴란드 | 3,500,000 | 소말리아인 | 99% | [36] |
| 중화민국 (타이완) | 23,347,374 | 한족 | 97% | [37] [38] |
| 홍콩 | 7,249,907 | 광둥인 및 타이산인 | 92% | [39] |
| 코소보 | 1,586,659 | 알바니아인 | 92% | [40] |
| 그린란드 | 55,877 | 이누이트 | 89.7% | [41] |
| 남오세티야 | 53,532 | 오세티아인 | 89.9% | [42] |
| 마카오 | 614,458 | 광둥인 및 마카오인 | 88.7% | [43] |
| 올란드 제도 | 30,696 | 올란드인 | 86.5% | [44] |
3. 2. 소수민족 문제와 국제 분쟁
문화나 가치관을 공유하는 공동체로서 국가가 존재하면 국정이 안정된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특히 아프리카 국가들의 국경은 이전 식민지 종주국의 편의에 따라 그어졌기 때문에, 국가와 민족의 통합성이 부족하여 정정 불안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민주주의는 다수결 우선 제도이므로, 소수민족은 불리한 위치에 놓이게 되며, 이는 소수민족의 독립운동과 내란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또한, 노예나 저가 노동자로 유입된 소수민족의 거주 지역은 슬럼화되는 경우가 많다. 높은 실업률과 범죄율은 치안을 악화시키고, 생활 보호 비용 지출은 국가 재정을 압박하며, 대규모 폭동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최근에는 코소보나 그루지야와 같이 소수민족의 독립운동으로 국가 주권이 위협받는 경우도 있다.[40][42]
4. 각국의 사례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아이슬란드, 알바니아, 폴란드, 덴마크, 포르투갈, 아르메니아, 남태평양 제도의 폴리네시아계 섬나라 등이 단일민족성이 높은 나라로 꼽힌다.
중국은 다민족 국가이지만, 한족을 포함한 여러 민족을 '중화민족'이라는 개념으로 묶어 일민족 국가처럼 규정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프랑스나 터키는 헌법에 민족주의가 명시되어 있어, 비프랑스계나 비튀르크계 이민족에 대한 동화주의를 국책으로 장려한다. 프랑스는 유럽 지방언어・소수언어헌장을 위헌으로 판결하기도 했다.
폴란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다민족 국가였으나, 전쟁 중 나치의 유대인 학살과 독일계 주민 강제 추방 등으로 현재는 폴란드계가 97%를 차지하는 단일민족 국가가 되었다. 영국은 잉글랜드 왕국이 웨일스, 스코틀랜드, 아일랜드를 흡수, 병합하며 확대되었지만, 표면상으로는 스코틀랜드, 북아일랜드, 웨일스를 포함한 '연합 왕국'이라는 형태를 내세운다.
이슬람 국가들은 이슬람교 이외의 종교로의 귀화를 인정하지 않고, 아랍어와 아랍 문화가 국정을 주도하여 종교와 민족이 융합된 단일민족 국가로 여겨지기도 한다.
현대에는 교통, 무역, 이민의 증가로 순수한 의미의 단일민족 국가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과거 단일민족이었던 아랍 국가들도 원유 발견 이후 이슬람교계 외국인 노동자를 받아들이면서 다수가 단일민족 국가라고 보기 어렵게 되었다. 다만, 쿠웨이트처럼 외국인이 국내 정치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경우도 있어, 다문화 사회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에 대한 논란도 있다.
일본은 야마토 민족이 대다수이지만, 류큐 민족, 아이누 민족등의 선주민족도 존재한다.[48]
4. 1. 대한민국
한국은 역사적으로 한민족이 압도적 다수를 차지해온 국가로, 현대에도 단일민족성을 중시하는 인식이 계속되어 왔다.[62] 그러나 이러한 단일민족 의식은 순혈주의와 혼혈에 대한 차별을 낳을 수 있다는 점에서 국제연합 인종차별철폐위원회로부터 여러 차례 권고를 받았다.[62]1991년 중국계나 베트남계 한국인의 지위에 대해 지적받았을 때, 한국 정부는 “한국은 단일민족 국가이며 인종차별은 없다”고 주장했다.[62] 2007년에도 한국 정부는 “한국은 단일민족이며 한국에는 소수민족 차별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단일민족성에서 자연 발생한 ‘순혈’을 자랑하는 한국인의 자부심이 ‘혼혈’에 대한 차별을 유발하고 있다.”고 보고했다.[62] 이에 대해 유엔 인종차별철폐위원회는 “순혈 대 혼혈이라는 말은 인종적 우열주의를 퍼뜨린다는 점에서 우려스럽다”, “인종차별을 없애도록 노력하라”고 권고했지만, 한국 내에서는 “내정 간섭이 아니냐”는 반발의 목소리도 많이 들렸다.[62]
하지만 한국인의 HLA 유전자 분석에 따르면, 한국인은 일본인보다 다민족일 가능성이 높다는 보고가 있다.[63] 이는 한반도가 과거에 중국인이나 몽골 민족 등 다양한 민족 국가의 지배를 받았고, 동아시아계 민족과의 혼혈을 통해 비교적 최근에 형성된 “민족”이라는 점 등이 주된 이유로 제시된다.[63]
21세기에 들어 외국계 주민의 인구가 급증하면서 한국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2023년 11월 기준 체류 인구의 4.86%가 외국인으로 추산되며, 내년에는 5%를 넘어 다민족 국가가 될 가능성이 높다.[47]
4.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민의 절대다수가 한민족(조선민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체사상을 비롯한 국시도 극단적인 한민족주의 및 인종주의를 따른다고 평가받는다. 2006년 노동당 기관지는 남한의 다문화 정책을 '민족의 순수 혈통을 더럽힌다'라고 비난하는 논평을 게재하였다.[69]4. 3. 일본
일본은 야마토 민족이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지만, 아이누 민족, 류큐 민족 등 소수민족도 존재한다.[48] 일본 내에서는 '단일민족국가'라는 인식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며, 소수민족 문제를 둘러싼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48]나카소네 야스히로는 1986년 9월 24일 수상 재임 중 "미국은 다민족 국가이기 때문에 교육이 용이하지 않고, 흑인, 푸에르토리코인, 멕시코인 등의 지적 수준이 아직 높지 않다. 일본은 단일 민족 국가이기 때문에 교육이 잘 되어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53] 아소 다로는 2005년 10월 15일 총무대신 재임 중 "일문화, 일문명, 일민족, 일언어의 국가는 일본 외에는 없다"고 발언했고,[57] 2020년에도 "2000년의 긴 세월 동안 하나의 국가에서, 하나의 장소에서, 하나의 언어로, 하나의 민족, 하나의 천황이라는 왕조가 계속되고 있는 나라는 여기밖에 없다"고 발언했다.[58]
이 외에도 야마자키 타쿠, 스즈키 무네오, 히라누마 다케오, 토리이 야스히코, 이부키 후미아키, 나카야마 시게아키 등 많은 정치인들이 '단일민족' 관련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4. 4. 중국
중국은 한족이 인구의 90% 이상을 차지하지만, 55개의 소수민족도 함께 존재하는 다민족 국가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중화민족'이라는 개념을 통해 이들 민족을 하나의 공동체로 통합하려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중화민족'이라는 용어는 장태염이 한족을 가리키는 새로운 명칭으로 제안했고, 위안스카이(원세개)가 외몽골 독립 당시 "외몽골은 수백 년 동안 한 집안을 이룬 중화민족의 땅이다"라고 말하면서 사용했다. 쑨원(손문)은 1912년 오족공화설을 바탕으로 "중국 내 모든 민족을 동화하여 하나의 중화민족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중화'는 본래 한족이 자신을 세계의 중심으로 여기는 의식에서 비롯된 개념으로, "황하는 중화민족의 요람이다", "중화민족은 염황자손이다" 등 '중화민족=한족'을 전제로 하는 표현도 사용된다. 이러한 이유로, '중화민족' 개념은 한족 중심주의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한편, 소수민족에게는 고등교육기관 및 공무원 채용 우선권 등의 우대 정책이 마련되어 있으며, 일자녀 정책의 적용 대상에서도 제외된다. 이러한 우대 정책 때문에 만주족 등 일부 소수민족의 경우, 실제 만주어 구사자는 소수임에도 불구하고 외견상 인구가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4. 5. 이스라엘
이스라엘은 1948년 건국 이후 스스로를 "유대인 국가"로 규정하고 있다. 이스라엘 건국 이전, 현재 이스라엘을 포함한 팔레스타인 지역에는 아랍인이 다수 거주하고 있었으나, 시온주의자를 자처하는 유대인 이주민들은 비유대인 주민 추방을 계획했다.[64] 다비드 벤구리온은 유대인 국가의 안정적인 기반을 위해 비유대인 주민의 비율을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실제로 1947–1948년 의무 팔레스타인 내전과 제1차 중동 전쟁을 거치며 약 70만 명의 아랍인이 추방되거나 탈출했다(나크바).이스라엘은 건국 후에도 유대인 이민을 장려하고 팔레스타인 난민의 귀환을 불허하는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은 팔레스타인 난민 문제를 야기하고 있으며, 이스라엘을 유대인 국가로 인정하는 것은 민족 청소를 긍정하는 것과 같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2010년 이스라엘 정부는 비유대인의 국적 취득에 "유대 국가"에 대한 충성을 요구하는 법안을 제출하여 인종 차별 논란을 일으켰다. 2018년에는 크네세트에서 유대인 국가 기본법(국적법)을 가결하여 이스라엘을 "유대인의 민족적 고토"로 규정하고, 유대인에게만 민족 자결권을 부여했다. 또한, 히브리어를 유일한 공용어로 지정하고, 아랍어를 공용어에서 제외하여 팔레스타인 아랍계 주민과의 차별을 명확히 했다.[65][66][67][68]
4. 6. 기타 국가
터키는 오스만 제국 붕괴 이후 터키 민족주의를 강조하며, 쿠르드인 등 소수민족 문제를 안고 있다. 터키 헌법에는 터키가 터키 민족 국가임을 명시하고 있으며, 터키 민족 및 건국의 아버지를 모욕하는 것은 모독죄에 해당한다. 오스만 제국은 몽골계 유목민족이 다른 민족의 영토를 정복하는 형태로 건국되었기에, 시작부터 다민족 국가였다. 동로마 제국의 헬레니즘 문화, 이란 문화, 아랍 문화뿐 아니라 그리스인, 아르메니아인, 튀르크인, 유대인, 아랍인, 쿠르드인이 칼리프 제도 아래 공존했고, 많은 비튀르크인들이 군부, 정부, 상업 분야에서 활약했다. 그러나 제국의 쇠퇴와 함께 비튀르크 민족의 독립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제국이 붕괴되었고, 그 잔해 위에서 강력한 터키 민족주의를 내세운 근대 터키가 형성되었다. 아르메니아인 학살도 이 무렵 발생했다. 터키 영토의 3분의 1은 쿠르드인 거주 지역이며, 과거에는 격렬한 독립 운동 탄압 및 쿠르드 문화 억압이 행해졌다. 터키의 그리스인들은 건국 당시 그리스와의 전쟁과 관련하여 그리스로 추방되었다.프랑스는 프랑스 혁명 이후 프랑스어와 프랑스 문화를 중심으로 동화 정책을 추진해 왔으며, 이는 소수 언어 축소로 이어졌다. 국가 탄생 이전 유럽에서는 귀족들은 주로 프랑스어를 사용했고, 평민들은 게르만계, 라틴계, 슬라브계, 앵글로색슨계 등 지역 방언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프랑스 혁명 당시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일드프랑스 및 센트르-부아르 지역 주민으로, 프랑스 인구의 30%를 약간 넘는 수준이었다. 그 후 프랑스 시민, 프랑스 문화, 프랑스어를 기반으로 한 공화제 아래 동화 정책이 시행되었다. 1951년 디크손ヌ 법(loi Deixonne)에 의해 공립학교에서 프랑스어 이외의 언어로 수업을 하는 것이 불가능해졌다. 이로 인해 브르타뉴, 알자스, 코르시카 섬 등에서 현지어가 축소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프랑스는 최근 유럽 지역 언어·소수 언어 헌장에 서명했지만, 프랑스 대법원은 조항의 내용이 위헌이라는 판결을 내렸기 때문에 헌장을 비준하지 못하고 있다.
아랍 국가들은 이슬람교와 아랍 문화를 중심으로 민족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으며, 외국인 노동자 유입으로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과거 단일민족이었던 아랍 제국은 원유 발견 이후 이슬람교계 외국인 노동자를 받아들였기 때문에 현재 아랍 제국의 다수는 단일민족국가라고 말하기 힘들다. 다만 외국인은 국내 정치에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이방인이기 때문에 다르게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쿠웨이트의 전 인구 300만 중 쿠웨이트 국적을 가진 사람은 100만 명이며, 민족별 내역은 57%가 아랍계, 39%가 인도계, 나머지가 베드윈 계라고 알려져 있다.
참조
[1]
서적
Refugee Law and Practice in Japan
Ashgate Publishing
2008
[2]
웹사이트
平成24年末現在における外国人登録者統計について
http://www.moj.go.jp[...]
[3]
뉴스
Trying to teach South Korea about discrimination
https://www.latimes.[...]
2009-02-24
[4]
서적
Exiting the Balkan Thicket
https://books.google[...]
Cato Institute
[5]
뉴스
How Bosnia and Herzegovina is enshrining discrimination
https://www.middleea[...]
2022-12-05
[6]
웹사이트
Egypt -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7]
웹사이트
Lesotho -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8]
웹사이트
Algeria -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24-11-25
[9]
웹사이트
Bangladesh -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24-11-25
[10]
웹사이트
Morocco -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24-11-25
[11]
웹사이트
Vanuatu -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CIA
2024-11-25
[12]
웹사이트
Armenia -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4-11-25
[13]
웹사이트
Tunisia -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4-11-25
[14]
웹사이트
Minority Rights and the Republic of Albania: Missing the Implementation
https://lup.lub.lu.s[...]
[15]
웹사이트
Japan -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CIA
2024-11-25
[16]
웹사이트
Poland -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CIA
2024-11-25
[17]
웹사이트
Tonga -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CIA
2024-11-25
[18]
웹사이트
Kiribati -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CIA
2024-11-15
[19]
웹사이트
Marshall Islands-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
웹사이트
Cambodia-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1]
웹사이트
Solomon Islands-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2]
웹사이트
Lebanon -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4-11-25
[23]
웹사이트
Portugal -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4-11-25
[24]
웹사이트
Nauru -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4-11-25
[25]
웹사이트
Azerbaijan -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24-11-25
[26]
웹사이트
Croatia -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24-11-25
[27]
웹사이트
China -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24-11-25
[28]
웹사이트
Saudi Arabia -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24-11-25
[29]
웹사이트
Romania -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24-11-25
[30]
웹사이트
Turkmenistan -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24-11-25
[31]
웹사이트
Georgia -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24-11-25
[32]
웹사이트
Vietnam -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24-11-25
[33]
웹사이트
Gaza Strip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3-11-28
[34]
웹사이트
West Bank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3-11-14
[35]
웹사이트
Tablo – 8 : Yaş Grubu, Milliyet ve Cinsiyete Göre Sürekli İkamet Eden (de-jure) KKTC Vatandaşı Nüfus. TOPLAM
http://nufussayimi.d[...]
[36]
웹사이트
A look at Somaliland between clan politics, regional turmoil and November elections
https://newint.org/c[...]
2021-07-12
[37]
웹사이트
中華民國行政院全球資訊網
https://www.ey.gov.t[...]
2023-05-11
[38]
웹사이트
中華民國 內政部戶政司 全球資訊網
https://www.ris.gov.[...]
2023-05-11
[39]
웹사이트
Hong Kong
https://www.cia.gov/[...]
CIA
2020-02-16
[40]
문서
https://askapi.rks-g[...]
[41]
웹사이트
North America :: Greenland –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ww.cia.gov/[...]
2020-02-07
[42]
웹사이트
South Ossetia – Ethnic composition: 2015 census
http://pop-stat.mash[...]
2018-07-16
[43]
웹사이트
Macau
https://www.cia.gov/[...]
CIA
2020-06-09
[44]
웹사이트
Åland
https://www.asub.ax/[...]
2024-11-05
[45]
문서
https://dept.sophia.[...]
[46]
웹사이트
「過去史ジレンマ」に陥ったドイツ【朝鮮日報コラム】
https://www.chosunon[...]
2023-11-26
[47]
웹사이트
韓国が外国人労働者受け入れ拡大、2年で2.4倍に
https://www.chosunon[...]
2023-11-28
[48]
웹사이트
「戦前は混合民族説が通説だった」神奈川大学名誉教授・本誌前編集委員長 橘川 俊忠 | 特集/問われる民主主義と労働
http://gendainoriron[...]
2023-04-26
[49]
웹사이트
在留外国人最多282万人 7年連続増、大都市集中が課題
https://www.nikkei.c[...]
NHK
2020-03-29
[50]
웹사이트
沖縄の民意尊重を 国連人種差別撤廃委が日本に勧告
http://ryukyushimpo.[...]
2014-08-31
[51]
웹사이트
Committee on the Elimination of Racial Discrimination considers report of Japan
http://www.ohchr.org[...]
2014-08-31
[52]
웹사이트
国連見解「沖縄の人々は先住民族」に自民議員が猛反発「民族分断工作だ」 政府も「撤回働きかける」
https://www.sankei.c[...]
2020-10-28
[53]
간행물
衆議院会議録情報 第107回国会 本会議 第5号
https://kokkai.ndl.g[...]
[54]
문서
http://www.shse.u-hy[...]
[55]
웹사이트
http://www.alles.or.[...]
[56]
문서
http://www.shse.u-hy[...]
[57]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58]
웹사이트
切り取りなしの全容!麻生副総理「日本は2000年に渡って一つの民族」発言の文脈|FNNプライムオンライン
https://www.fnn.jp/a[...]
2023-04-26
[59]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60]
웹사이트
http://www.chugoku-n[...]
[61]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62]
뉴스
韓国はなぜ「人種差別国」と言われるのか(上)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7-08-27
[63]
뉴스
血液分析により民族の移動経路を判明する
http://japan.donga.c[...]
2008-04-14
[64]
서적
パレスチナの民族浄化 イスラエル建国の暴力
田浪亜央江、早尾貴紀
2017-11-01
[65]
뉴스
Israel passes Jewish state law, enshrining ‘national home of the Jewish people’
https://www.timesofi[...]
The Times of Israel
2018-07-19
[66]
문서
イスラエルは、単一の憲法を持たず、本法を含む12の法律を「基本法」として憲法に準じる扱いを行っている。
[67]
웹사이트
「ユダヤ人国家」法、イスラエル国会が可決 批判相次ぐ: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3-04-26
[68]
웹사이트
自らを「ユダヤ人国家」と定めたイスラエルは、建国の理念も捨て去った
https://www.newsweek[...]
2023-04-26
[69]
웹사이트
http://www.tongilne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