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해빌런드 뱀파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더 해빌런드 뱀파이어는 영국에서 개발된 최초의 제트 전투기 중 하나이다. 1941년 영국 공군의 요구에 따라 개발이 시작되어, 제2차 세계 대전 후인 1946년부터 실전 배치되었다. 초기에는 단발 제트 엔진을 사용했지만, 이후 엔진 개량을 통해 성능을 향상시켰다. 다양한 파생형이 제작되어 영국 공군, 해군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었으며, 특히 훈련기 모델은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뱀파이어는 항공모함 이착륙에 성공한 최초의 제트기이며, 여러 국가에서 면허 생산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3년 첫 비행한 항공기 - 아라도 Ar 234
아라도 Ar 234는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독일에서 개발된 세계 최초의 실용 제트 폭격기로, 빠른 속도로 연합군의 요격을 피했으나, 늦은 개발 시기로 인해 전황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 1943년 첫 비행한 항공기 - 글로스터 미티어
글로스터 미티어는 영국 최초의 제트 전투기이자 연합군 유일의 실전 배치 제트 전투기로,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 수에즈 위기 등 다양한 분쟁에 참전하며 여러 파생형으로 개발 및 운용되었다. - 함재기 - 그러먼 F6F 헬캣
그러먼 F6F 헬캣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 해군의 주력 함상 전투기로, 견고한 구조와 강력한 엔진을 바탕으로 뛰어난 운동 성능과 방어력을 갖춰 일본 항공 전력 격멸에 기여하고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으며, 높은 격추 대 손실 비율을 기록하며 태평양 전쟁에서 맹활약, 수많은 에이스를 배출했다. - 함재기 - 호커 허리케인
호커 허리케인은 1930년대 호커 항공에서 개발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초 영국 본토 항공전에서 활약하며 독일 공군에 맞서 싸운 롤스로이스 멀린 엔진을 장착한 단엽 전투기로, 다양한 파생형으로 전투기, 요격기, 전투폭격기 등 다방면에서 활약했다.
더 해빌런드 뱀파이어 | |
---|---|
기본 정보 | |
![]() | |
기종 | 전투기 |
원산지 | 영국 |
제작사 | 드 하빌랜드 잉글리시 일렉트릭 |
최초 비행 | 1943년 9월 20일 |
도입 | 1946년 |
퇴역 | 1990년 (스위스 공군) |
주요 사용자 | 영국 공군 |
기타 사용자 |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공군 호주 왕립 해군 영국 해군 캐나다 왕립 공군 |
생산 대수 | 3,268대 |
파생형 | 드 하빌랜드 베놈 |
명칭 | |
영어 | de Havilland Vampire |
역사 | |
최초 단발 제트기 | 영국 공군 최초 단발 제트기 |
2. 개발
영국 공군(RAF)은 1941년 제트 엔진 전투기 개발을 위한 규격 E.6/41을 발표했다. 제트 엔진 기술 초기에는 엔진을 기체에 어떻게 배치할지에 대한 표준적인 방식이 정립되지 않아 다양한 설계가 시도되었다. 드 하빌랜드사는 제트 엔진의 배기 가스를 효율적으로 뒤로 내보내고 기체 무게를 줄이기 위해, 동체 뒤쪽에 엔진을 장착하고 짧은 동체와 꼬리 날개를 연결하는 쌍둥이 붐 형식을 채택했다. 이 독특한 설계는 이후 시 빅센까지 이어지는 드 하빌랜드 제트 전투기의 특징이 되었다. 또한 모스키토 폭격기 개발 경험을 살려 조종석 주변 구조물에 목재 합판을 사용하는 등,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기술을 적용했다.
뱀파이어의 원형기는 1943년 9월 20일에 첫 비행에 성공했다.[60] 이는 영국의 첫 제트 전투기인 글로스터 미티어보다 약 반 년 늦은 기록으로, 뱀파이어는 영국에서 두 번째로 개발된 제트 전투기가 되었다. 시험 비행 결과 성능이 만족스러워 영국 공군은 1944년 5월에 120대의 생산·배치를 결정했으며, 이후 주문량은 300대로 증가했다.[58]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기존 항공기 생산이 우선시되어, 양산형 뱀파이어 Mk I이 첫 비행을 한 것은 1945년 4월이었고 실제 부대에 배치된 것은 전쟁이 끝난 후인 1946년부터였다.[58]
초기 생산 모델에는 추력 1,225kg의 고블린 I 엔진이 장착되었으나, 생산 과정에서 추력을 높인 고블린 II(1,410kg)와 고블린 III(1,520kg) 엔진으로 순차적으로 교체되었다. 또한 가압식 조종석과 물방울 형태의 캐노피를 채택하는 등 초기 생산 단계부터 지속적인 개량이 이루어졌다. 뱀파이어는 단발 엔진 전투기였기 때문에 쌍발 엔진을 장착한 글로스터 미티어보다 최고 속도는 다소 느렸다. 하지만 엔진을 동체 중앙에 배치하고 쌍둥이 붐 구조를 채택한 덕분에 기동성 면에서는 미티어보다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2. 1. 기원
1941년 1월, 헨리 티저드 경은 드 하빌랜드 항공사에 비공식적으로 접근하여 당시 개발 중이던 혁신적인 새로운 제트 추진 기술을 사용하는 전투기를 설계할 것을 제안했다. 공식적인 사양은 발표되지 않았지만, 드 하빌랜드는 날개 뿌리에 공기 흡입구를 설치하여 중앙에 장착된 원심 압축기를 사용하는 엔진에 공기를 공급하는 단일 엔진 항공기 설계를 시작했다.항공기 엔진 설계자인 프랭크 핼퍼드 소령은 프랭크 휘틀의 가스 터빈에 대한 선구적인 연구를 접할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제트 추진 전투기를 위해 당시 높은 추력으로 여겨졌던 3,000lb의 추력을 발생시키는 "직통형(straight-through)" 원심 엔진 설계를 진행했다. 핼퍼드의 엔진은 핼퍼드 H.1으로 개발되었다. 1941년 4월 엔진 설계 작업이 완료되었고, 1년 후 시제품 H.1 엔진이 첫 시험 운행을 수행했다.[59]
초기 제트 엔진의 낮은 출력 때문에 처음에는 쌍발 엔진 설계만이 실용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핼퍼드의 H.1(이후 드 하빌랜드 고블린으로 명명됨)과 같이 더 강력한 제트 엔진이 빠르게 개발되면서 단일 엔진 제트 전투기의 실현 가능성이 높아졌다. 드 하빌랜드는 독일이 영국에 제트 폭격기를 사용할 가능성에 대비하여 H.1 엔진을 탑재할 기체를 생산하도록 요청받았는데, 이는 드 하빌랜드가 제안했던 고속 제트 폭격기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졌다.[60]
최초 설계안인 DH.99는 1941년 6월 6일자 소책자에 제시되었다. 이 설계안은 4문의 기관포로 무장하고, 전체가 금속으로 제작된 트윈붐 형태에 삼륜 착륙 장치를 갖춘 항공기였다. 트윈붐 구조는 제트 파이프를 비교적 짧게 유지하여 기존 동체 설계에서 긴 파이프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추력 손실을 방지하고, 배기 가스로부터 꼬리 날개를 보호하는 장점이 있었다. 성능은 해수면 기준 732km/h로 추정되었고, 초기 상승률은 2,700lb 추력에서 분당 1,400m로 예상되었다. 항공기 생산부(MAP)는 세부 설계 부족, 성능 추정치 및 구조 중량 예측의 낙관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지만, 1941년 7월 프로젝트 진행을 승인했다.
DH.99 설계는 MAP의 권고에 따라 목재와 금속을 결합한 구조를 사용하도록 곧 수정되었고, 1941년 11월에는 설계 번호가 DH.100으로 변경되었다.[59] 이 항공기는 단일 엔진을 사용하고 일부 독특한 특징을 가졌기 때문에, 초기부터 생산이 결정된 글로스터 미티어와 달리 실험적인 성격이 강한 설계로 간주되었다.[59] 1942년 2월, MAP는 폭격기 프로젝트 중단을 제안했지만, 드 하빌랜드는 MAP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트윈붐 구조가 극복 가능한 공학적 문제라고 주장했다. 1942년 4월 22일, 두 대의 원형기(일련번호 ''LZ548''과 ''LZ551'') 제작이 승인되었고, 이 작업을 위해 E.6/41 규격이 제정되었다. 회사는 1942년 초 DH.100의 상세 설계 단계에 착수했다.

내부적으로 DH.100으로 지정되고 원래 "스파이더 크랩(Spider Crab)"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던 이 항공기는 전적으로 드 하빌랜드의 프로젝트였으며, 주로 하트퍼드셔주 해트필드의 회사 시설에서 개발되었다. 항공기 제작에는 드 하빌랜드가 고속 폭격기 드 하빌랜드 모스키토 생산에서 얻은 성형 합판 사용 경험이 활용되었다. DH.100은 달걀 모양의 동체에 단일 제트 엔진을 장착했으며, 동체 전방은 주로 합판, 후방은 알루미늄으로 구성되었다. 날개는 전통적인 직선형 중앙익 형태였고, 속도 감속을 위해 날개에 에어 브레이크가 설치되었는데, 이는 글로스터 미티어에도 적용된 기능이었다. 무장은 동체 하단 전방에 20mm 이스파노 Mk V 기관포 4문으로 구성되었다. 설계 초기 단계부터, 심지어 항공기가 공식적으로 실험용으로만 계획되었을 때에도 기관포 탑재를 고려했다.

1943년 9월 20일, 최초의 DH.100 원형기인 일련 번호 ''LZ548/G''가 해트필드 비행장에서 초도 비행에 성공했다. 조종은 회사 설립자의 아들이자 수석 시험 조종사인 제프리 드 하빌랜드 주니어가 맡았다. 이 첫 비행은 글로스터 미티어의 첫 비행 이후 약 6개월 만에 이루어졌다. 첫 비행은 원래 계획보다 지연되었는데, 이는 미국 XP-80 시제기의 지상 엔진 시험 중 파손된 엔진을 교체하기 위해 유일하게 비행 가능한 H.1 엔진을 미국으로 보내야 했기 때문이었다. 총 3대의 원형기(''LZ548/G'', ''LZ551/G'', ''MP838/G'')가 제작되어 개발 시험에 투입되었다. 시험 비행 결과, 주요 문제점으로 방향 불안정성(소위 "뱀처럼 움직이는 현상", snaking)이 지적되었으며, 이는 꼬리 부분 설계를 변경하여 해결되었다.
2. 2. 생산 및 후속 개발

1944년 5월 13일, 영국 공군은 120대의 뱀파이어 Mk I 항공기 생산을 처음 주문했으며, 이후 주문량은 300대로 빠르게 증가했다.[58] 양산된 뱀파이어 Mk I은 1945년 4월이 되어서야 첫 비행을 할 수 있었다. 당시 드 하빌랜드의 생산 시설은 기존 항공기 생산 부담으로 여력이 부족했기 때문에, 잉글리스 일렉트릭이 랭커셔주 프레스턴에 있는 공장에서 뱀파이어 생산을 대신 담당하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생산된 항공기는 6대에 불과했지만, 종전 후에도 생산은 계속되었다.[58]
드 하빌랜드는 수출 시장을 겨냥하여 자체 자금으로 야간 전투기 모델인 DH.113을 개발했다. 이 모델은 모스키토 야간 전투기의 조종석을 바탕으로 한 2인승 조종석과 AI Mk X 레이더를 탑재하기 위해 동체 앞부분을 길게 늘린 것이 특징이었다. 원래 이집트 공군에 공급될 예정이었으나, 영국 정부가 이집트에 대한 무기 금수 조치를 시행하면서 수출이 무산되었다. 대신 영국 공군이 이 기체를 인수하여, 드 하빌랜드 모스키토 야간 전투기의 퇴역과 글로스터 미티어 야간 전투기의 본격적인 도입 사이의 공백을 메우는 중간 기종으로 운용했다. 이 야간 전투기 모델에서 레이더를 제거하고 이중 조종 장치를 장착한 제트 훈련기 모델인 DH.115 뱀파이어가 개발되었고, 영국에서는 "뱀파이어 T.11"로 운용되었다. 이 훈련기는 영국 공군 및 수출용으로 대량 생산되었다.
기존 고블린 엔진을 대체할 수 있는 롤스로이스 닌 엔진이 개발되면서, 닌 엔진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3대의 뱀파이어 실험기가 제작되었고 "뱀파이어 Mk III"라는 명칭이 붙었다. 영국 공군은 이 중 한 기를 평가했지만, 최종적으로는 고블린 엔진을 뱀파이어의 주력 엔진으로 선택했다. 다른 한 기는 오스트레일리아 왕립공군이 뱀파이어 개발을 시작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58] 닌 엔진은 고블린 엔진보다 추력이 높았지만, 수평 비행 속도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닌 엔진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조종석 뒤에 추가 흡입구를 설치했으나, 이로 인해 승강타 역전 현상과 난기류로 인한 진동이 발생하여 항공기의 마하 한계가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61] 오스트레일리아 왕립공군의 뱀파이어는 닌 엔진을 탑재했는데, 초기에는 등쪽 흡입구를 사용하다가 나중에는 동체 하부로 흡입구를 옮겼다.[62] 프랑스 역시 자국에서 생산한 뱀파이어 파생형인 "미스트랄"(fra)에 닌 엔진과 볼턴 폴이 설계한 흡입구를 사용했다.[62]
"뱀파이어 III"는 다양한 운용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발된 첫 번째 모델이었다.[58] 100갤런(약 378리터) 및 200갤런(약 757리터) 용량의 날개 밑 연료 드롭 탱크를 장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꼬리 수평 안정판의 위치를 낮추고 수직 안정판의 형태를 재설계하는 등의 변경이 이루어졌다. 하드포인트에 드롭 탱크를 장착하기 위한 설계 변경은 다양한 외부 장비 탑재를 가능하게 하여 지상 공격 임무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부수적인 효과도 가져왔다.[58] 낮은 고도에서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날개도 대폭 수정되었는데, 날개 끝을 사각형으로 잘라 길이를 약 0.61m 줄였고, 날개 표면을 더 두껍게 만들었으며, 증가된 중량을 견딜 수 있도록 착륙 장치도 강화되었다.[58]
2. 3. 달성한 기록들
1946년 6월 8일, 영국 전투기 사령부의 제247비행대가 승리의 날 기념식에서 런던 상공을 비행하며 더 해빌런드 뱀파이어를 영국 대중에게 처음으로 선보였다. 뱀파이어는 여러 항공 기록을 세웠는데, 최고 속도가 시속 800km를 초과하는 최초의 영국 왕립공군 전투기이기도 했다.1945년 12월 3일, 에릭 "윙클" 브라운 기장이 조종한 시 뱀파이어(Sea Vampire)는 항공모함에 착륙하고 이륙한 최초의 순수 제트기가 되었다.[63]
1948년 3월 23일, 존 커닝엄은 날개 끝을 확장하고 고스트 엔진을 장착하여 개조한 뱀파이어 Mk I을 조종하여 고도 18119m까지 상승하며 세계 신기록을 세웠다.
1948년 7월 14일, 제54비행대 소속 뱀파이어 F.3 6대가 대서양을 횡단한 최초의 제트기가 되었다. 이들은 스코틀랜드 아우터헤브리디스의 스토노웨이 공항을 출발하여 아이슬란드의 케플라비크, 그린란드의 블루웨스트 1을 거쳐 래브라도 구스 베이에 도착했다. 이후 제54비행대는 캐나다 몬트리올로 이동하여 편대 곡예 비행을 선보이며 RAF의 연례 친선 투어를 시작했다.[64] 같은 시기, 미 공군 대령 데이비드 C. 실링은 록히드 F-80 슈팅 스타 편대를 이끌고 독일의 퓌르스텐펠트브루크 공군기지로 이동 중이었다. 일부 기록에 따르면, 미 공군이 뱀파이어 편대가 "대서양을 횡단하는 첫 번째 제트기"라는 기록을 세울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부대 이동 완료를 늦췄다는 주장이 있다.[65]
3. 설계
더 해빌런드 뱀파이어는 제트 엔진을 동력으로 사용하는 쌍동기 형태의 항공기이다. 가장 두드러진 설계 특징은 동체 뒤에서 시작하여 꼬리 날개를 지지하는 두 개의 붐(Boom)이 뻗어 있는 독특한 쌍발 붐(twin-boom) 구조이다. 이는 동시대 다른 전투기들과 비교했을 때 뱀파이어만의 비전통적인 외형적 특징이었다.
전반적으로 레이더를 탑재하지 않았고, 조종 계통 역시 수동 방식을 채택하는 등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가졌다. 제트 추진 시스템을 제외하면 설계 대부분에 기존 항공기의 전통적인 기술이 적용되었다.
3. 1. 개요
드 하빌랜드 뱀파이어는 제트 엔진을 탑재한 쌍동기로, 주로 전투기와 전폭기 역할에 사용되었다. 항공 작가 프랜시스 K. 메이슨은 드 하빌랜드 뱀파이어를 "영국 전투기 사령부에서 근무한 세련되지 않은 마지막 단일엔진 최전선 항공기"라고 언급했다. 드 하빌랜드 뱀파이어는 오직 수동으로만 조종할 수 있었고, 레이더가 없었으며, 단순한 기체만을 사용하는 비교적 간단한 비행기였으며, 프로펠러를 제외한다면 재래식 기술과 관습이 적용된 비행기였다. 뱀파이어의 독특한 쌍동기체 구성은 1940년대에서 1950년대의 다른 전투기와 비교했을 때 뱀파이어의 유일한 비재래식 특징 중 하나였다.
이후의 항공기에 비해 뱀파이어는 상대적으로 무질서한 조종석을 가지고 있어서 어떤 면에서는 인체공학적인 조치가 결여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조종사가 조종간을 뒤로 당기지 않고는 연료 게이지를 관찰하기 어렵다. 저압 연료 개폐판과 같은 몇 가지 제어 장치는 이동이 어렵거나 다른 제어 장치에 의해 방해를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조종사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기체 덕분에 상당히 유리한 외부 시야를 제공받았다.

드 하빌랜드 뱀파이어의 첫 엔진은 프랭크 핼퍼드가 설계하고 드 하빌랜드 엔진 회사가 제조한 핼퍼드 H1(생산명: 드 하빌랜드 고블린) 단일 엔진이었다.[66] 이 엔진은 원심식 압축기로, 1949년부터는 더 얇은 축류식 압축기로 대체되었다. 1947년, 플라이트 인터내셔널의 부편집장인 모리스 스미스는 그의 첫 제트 동력 비행기인 뱀파이어 Mk III를 조종하는 것에 대해 "랭커스터 제트 시험대의 승객으로 비행한 후에 제트 항공기를 조종함으로서 나는 내가 형성한 의견 중 하나를 확인했다. 제트 추진 수송기를 타고 비행한 사람이 있다면, 프로펠러로 추진되는 피스톤 엔진을 장착한 항공기의 소음, 진동과 그것이 수반하는 피로로 되돌아가기를 원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라고 언급했다.[67]
3. 2. 엔진
드 하빌랜드 뱀파이어의 첫 엔진은 프랭크 핼포드가 설계하고 드 하빌랜드 엔진 회사가 제조한 핼포드 H.1(생산명: 드 하빌랜드 고블린) 단일 터보제트 엔진이었다.[66] 이 엔진은 원심 압축기 방식이었으며, 1949년 이후 등장한 축류식 압축기 엔진들과는 다른 형태였다. 초기 고블린 I 엔진은 1,225kg의 추력을 냈으며, 이후 Mk I 후기형에는 추력 1,410kg의 고블린 II가, F.3 이후 모델에는 추력 1,520kg의 개선된 고블린 III가 사용되었다. 1950년대 중반에는 3,500 lbf 추력의 고블린 Mk. 35 수출용 엔진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1][68]
초기 고블린 엔진은 당시 제트 엔진들의 공통적인 문제였던 높은 연료 소모율 때문에 뱀파이어 초기형의 작전 범위가 제한적이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후기 모델에서는 내부 연료 용량을 상당히 늘렸다.[1] 고블린 엔진은 1941년 설계 이후 13년 동안 기본 형태가 크게 변하지 않았으며, 신뢰성이 높아 "세계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터보제트"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1][68] 플라이트 인터내셔널의 부편집장 모리스 스미스는 뱀파이어 Mk III를 조종한 후 제트 엔진의 정숙성과 적은 진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12][67] 다만, 엔진의 낮은 위치 때문에 지상에서 장시간 공회전 시 제트 배기열로 아스팔트 활주로가 녹을 수 있었으며, 비행 중 엔진이 멈추면 재점화 기능이 없어 불시착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10]
롤스로이스 닌 엔진 역시 대안으로 고려되었다. 닌 엔진은 고블린보다 더 높은 추력을 가졌지만, 공기 흡입 과정에서의 손실 때문에 수평 비행 속도는 크게 향상되지 않았다.[61] 닌 엔진을 탑재하기 위해 초기에는 동체 등 부분에 2개의 추가 흡입구를 설치했으나, 이로 인해 승강타 역전 현상과 난기류로 인한 기체 진동 문제가 발생하여 뱀파이어의 마하 한계가 감소했다.[61] 오스트레일리아 왕립공군(RAAF)은 닌 엔진을 탑재한 뱀파이어(FB30, FB31 모델)를 운용했는데, 처음에는 등 쪽 흡입구를 사용하다가 나중에 동체 하부로 흡입구를 옮겼다.[62] 프랑스에서 생산된 뱀파이어 파생형인 미스트랄 역시 닌 엔진과 볼턴 폴 항공기가 호커 시호크의 설계를 바탕으로 재설계한 흡입구를 사용했다.[62] 영국 공군은 닌 엔진을 장착한 시험기인 '뱀파이어 마크 III' 3대 중 1기를 평가했으며, 다른 기체는 오스트레일리아의 뱀파이어 개발을 지원하는 데 사용되었다.
3. 3. 조작
드 하빌랜드 뱀파이어는 오직 수동으로만 조종할 수 있었고, 레이더가 없었으며, 단순한 구조를 가진 비교적 간단한 비행기였다. 프로펠러를 제외하면 재래식 기술과 관습이 적용된 항공기였다.
메이슨에 따르면, 드 하빌랜드 뱀파이어는 조종이 비교적 가볍고 세심했으며, 균형 잡힌 에일러론 덕분에 높은 롤 속도를 낼 수 있었고, 효과적인 승강타 배치로 적은 조작으로도 충분한 가속이 가능했다. 승강타와 에일러론에 비해 방향타는 효과를 보기 위해 더 강한 조작이 필요했다. 피스톤 엔진 항공기에서 전환한 조종사들은 터보제트 엔진의 느린 가속에 적응해야 했고, 압축기 실속을 피하기 위해 급격한 스로틀 조작을 완화해야 했다.
뱀파이어는 비교적 우수한 추력 대 중량비를 가졌으며, 400mph에서 500mph 사이의 속도에서 매우 기동성이 뛰어났다. 느린 속도에서는 방향타를 많이 사용해야 했으며, 조종사들은 실속을 피하기 위해 완만한 선회 시 주의해야 했다. 실속은 승강타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비교적 쉽게 회복할 수 있었으므로, 위험하기보다는 당황스러운 상황으로 간주되었다. 마하 수 0.71을 초과하는 속도에서는 기체 떨림(버펫) 현상이 증가했다.
뱀파이어는 다양한 곡예 비행 기동에 적합했으며, 메이슨은 이 기종의 성능을 스포츠용 항공기에 비유했다. 해머헤드 스톨, 실속 턴, 윙오버와 같은 기동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마지막 영국 제트 전투기 중 하나로 평가된다.
이륙을 위해서는 트림 탭 중립 설정, 고압 및 저압 연료 코크 개방, 부스터 펌프 활성화, 플랩 설정, 에어 브레이크 해제 등 단 6가지 필수 조치만 수행하면 되었다. 외부 연료 탱크나 폭탄을 장착한 경우, 이륙 후 즉시 착륙 장치를 접어야 했다. 그렇지 않으면 항공기가 속도를 내면서 증가하는 기류가 착륙 장치 도어가 닫히는 것을 방해했기 때문이다. 착륙 절차도 마찬가지로 복잡하지 않았다: 휠 브레이크 해제, 착륙 장치 내리기, 플랩 최대로 내리기, 에어 브레이크 활성화. 일반적으로 엔진이 스로틀 변화에 느리게 반응했기 때문에 동력을 유지한 채 착륙(파워 온 랜딩)했으며, 자동 잠금 방지 제동 시스템(ABS)이 없었기 때문에 바퀴 잠김을 방지하기 위해 휠 브레이크를 조심스럽게 적용해야 했다. 훈련용 기체에는 던롭 맥사렛 미끄럼 방지 시스템이 장착되었다.
한편, 뱀파이어의 조종석은 이후 항공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돈되지 않았고, 어떤 면에서는 인체공학적 고려가 부족했다. 예를 들어, 조종사가 조종간을 뒤로 당기지 않고는 연료 게이지를 관찰하기 어려웠다. 저압 연료 개폐 장치와 같은 일부 제어 장치는 조작하기 어렵거나 다른 제어 장치에 의해 방해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체가 비교적 작아 조종사는 상당히 양호한 외부 시야를 확보할 수 있었다.
4. 운용
더 해빌런드 뱀파이어는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개발된 영국의 초기 제트기로, 개발국인 영국을 포함하여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널리 운용되었다. 영국 공군과 영국 해군을 시작으로 오스트레일리아 왕립공군, 캐나다 왕립공군 등 영연방 국가들이 주요 운용국이었으며, 프랑스, 스위스, 이탈리아, 인도 등에서는 면허 생산을 통해 자국 공군력을 강화했다.[1][24][27][58][59]
뱀파이어는 기본적인 전투기 형태 외에도 지상 공격 능력을 갖춘 전투폭격기, 야간 전투기, 그리고 2인승 훈련기 등 다양한 파생형으로 개발되었다. 특히 훈련기 형식은 여러 국가에서 제트기 조종사 양성을 위해 오랫동안 운용되었다.[1][15][58] 유럽, 북미,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등 다양한 지역의 공군에서 운용되며 냉전 초기 여러 국가가 제트기 시대로 전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4. 1. 영국
영국은 더 해빌런드 뱀파이어의 개발국이자 주요 운용국으로, 영국 공군(RAF)과 영국 해군(Royal Navy) 모두 이 기체를 도입하여 제트기 시대를 열었다.영국 공군은 1946년 뱀파이어 Mk I을 최초의 제트 요격기로 도입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의 구형 전투기들을 대체하기 시작했다. 이후 연료 탑재량을 늘린 F.3, 전투폭격기로 개량된 FB.5, 열대 기후 작전에 맞춰 개량된 FB.9, 야간 전투기형 NF.10, 그리고 가장 많이 생산된 훈련기형 T.11 등 다양한 파생형이 개발되어 운용되었다.[58] 이들 기체는 영국 본토는 물론 유럽 대륙, 중동, 극동 등지에 배치되어 냉전 초기 영국의 공군력을 담당했으며, 말라야 비상사태 등 실전에도 투입되었다. 전투기 형식은 1950년대 중반부터 점차 퇴역했지만, 훈련기 형식은 1970년대 초까지 운용되었다.[1][15]
영국 해군은 항공모함 운용을 위해 개조된 '''시 뱀파이어'''(Sea Vampire)를 도입했다. 1945년 12월, 시 뱀파이어는 세계 최초로 항공모함에 착륙한 순수 제트기가 되는 중요한 기록을 세웠다. 그러나 초기 제트기의 기술적 한계와 짧은 항속거리 등의 이유로 실전 배치보다는 주로 제트기 운용 경험을 쌓기 위한 훈련용으로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16]
4. 1. 1. 영국 공군
1946년, 최초의 뱀파이어 Mk I 전투기가 요격기 역할로 영국 공군(RAF)에 도입되었다. 곧이어 상당수의 Mk I 기체는 독일에 주둔한 제2 전술 공군 예하 비행대대에 배치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의 호커 타이푼, 호커 템페스트, P-51 머스탱과 같은 프로펠러 전투기를 대체하였다. 1948년 7월 3일에는 영국 왕립보조공군(Royal Auxiliary Air Force)의 평시 부대가 장비한 최초의 제트기가 되었으며, 이 역할에서 점차 드 하빌랜드 모스키토를 대체하였다.연료 탑재량을 늘린 개량형 F.3는 1947년 4월 영국 내에 배치되기 시작하여 1952년까지 운용되었다[58]. 가장 많이 생산된 형식은 전투 폭격기형인 FB.5로, 1949년부터 부대 배치가 시작되었다. FB.5는 영국 본토뿐만 아니라 유럽 대륙, 중동, 극동 지역에 널리 배치되었으며, 1950년대 말라야 연방에서 발생한 비상사태(Malayan Emergency) 당시 지상 공격 임무 등에 투입되었다. 이 외에도 열대 기후에 맞춰 개량된 형식(FB.9)이나 야간 전투기형(NF.10), 연습기형(T.11) 등이 개발되었다.
특히 연습기형인 T.11은 1951년 영국 공군의 표준 연습기로 채택되어 대량 생산되었다. 뱀파이어 전투기 형식은 1950년대 중반에 점차 드 하빌랜드 베놈과 같은 후속 기체로 대체되며 일선에서 물러났지만, T.11 연습기형은 1966년까지 주력 훈련기로 사용되었고, 일부는 1970년대 초까지 운용되었다.
4. 1. 2. 영국 해군
영국 해군은 제트기에 관심을 가지고 뱀파이어 도입을 검토했다. 항공모함 운용을 위해 개조된 시제 1호기로 테스트가 진행되었고, 1945년 12월 3일 에릭 "윙클" 브라운 기장이 조종한 시 뱀파이어가 항공모함 오션에 착륙하고 이륙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세계 최초로 항공모함에 착륙한 순수 제트기가 되었다.[63]이에 따라 해군은 항공모함 운용을 위해 개조된 기체를 '''시 뱀파이어'''(Sea Vampire)로 채택했다. 시 뱀파이어는 항공모함에서 운용된 최초의 제트 함상 전투기로 기록되었으나, 해군이 도입한 기체는 20대에 불과했고 모두 제트기 훈련용으로 사용되었다. 이는 초기 제트기의 느린 스로틀 반응으로 착함이 어려웠고, 뱀파이어 초기형의 항속거리가 매우 짧았기 때문이었다.
한편, 1947년부터 1955년까지 뱀파이어와 시 뱀파이어는 항공모함의 유연한 갑판(flexible deck)에서 이착륙 장치 없이 항공기를 운용하기 위한 시험에 사용되었다. 이 방식은 항공기 중량을 줄이고 더 많은 연료를 탑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RAE 판버러와 항공모함 HMS 워리어의 유연 갑판에서 이착륙 장치를 접은 상태로 여러 차례 착륙 시험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 기술적 실현 가능성은 입증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방식은 실제 운용에는 채택되지 않았는데, 이를 지원하기 위해 선박과 해군 비행장 모두에 광범위한 시설이 필요했고, 구현의 복잡성과 비용 문제 때문이었다.
4. 2. 오스트레일리아
1946년, 오스트레일리아 왕립공군(RAAF)은 뱀파이어 전투기 50대의 구매를 승인했다.[69] 이 중 첫 세 대(F1, F2, FB.5 형식, 일련번호 A78-1 ~ A78-3)는 영국에서 제작되었다. 두 번째 기체인 F2(A78-2)는 표준 고블린 엔진 대신 더 강력한 롤스로이스 닌 제트 엔진을 탑재한 점이 특징이었다.
드 하빌랜드 오스트레일리아는 멜버른의 시설에서 닌 엔진을 면허 생산하여, 이를 탑재한 F.30 전투기와 FB.31 전폭기 뱀파이어 80대를 제작했다. 닌 엔진은 고블린 엔진보다 더 큰 공기 흡입 단면적을 필요로 했기 때문에, 초기에는 동체 상부에 보조 흡입구를 장착했다. 그러나 이 방식은 특정 상황에서 충격파를 발생시켜 조종사가 통제 불능 상태에 빠지는 문제를 일으켰고, 이로 인해 세 대의 항공기와 조종사를 잃었다. 이후 모든 닌 엔진 탑재 뱀파이어는 보조 흡입구를 동체 하부로 옮겨 이 문제를 해결했다.[59]
1949년 6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생산된 첫 뱀파이어 F.30 전투기(A79-1)가 첫 비행을 했다. F.30 형식 56대가 생산된 후, 날개 밑에 무장 장착점(하드포인트)을 추가하고 날개를 강화하며 짧게 자른 FB.31 형식 23대가 생산되었다.[70] F.30 기체들은 나중에 뱀파이어 FB.9와 거의 동일한 사양인 F.32 표준으로 개조되었다. 1인승 뱀파이어는 1954년 RAAF 정규 부대에서 퇴역했지만, 예비군 성격의 시민 공군(Citizen Air Force) 비행대대에서는 1960년대 초까지 운용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고블린 터보제트 엔진을 장착한 2인승 훈련기 버전인 뱀파이어 T.33도 생산했다. 이후 T.34와 T.35 모델이 개발되어 RAAF와 오스트레일리아 왕립해군(RAN)에서 사용되었다. 이 훈련기들 중 다수는 시드니에 있는 드 하빌랜드 오스트레일리아 시설에서 제조되거나 조립되었다.[59] Mk35W는 예비용 Mk33 날개를 장착한 Mk35 기체였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생산된 뱀파이어 훈련기는 총 110대였다. RAAF는 초기에 T.33 35대를 주문했고, 1952년에는 T.34 5대를 추가 주문하여 1954년에 인도받았다. 1950년대 중후반에는 영국에서 추가적인 뱀파이어 훈련기가 도입되었다.[59] 이 훈련기들은 RAAF에서는 1970년 9월까지, RAN에서는 1971년까지 운용되다가 에어마키 MB-326으로 대체되었다.[71]
4. 3. 캐나다
1946년, 뱀파이어 F.1 기종이 평가 목적으로 캐나다에서 처음 운용되었다. 이후 1948년 7월 14일에는 영국 제54비행대 소속 뱀파이어 F.3 6대가 대서양을 횡단하여 캐나다 래브라도의 구스 베이에 도착했는데, 이는 제트기로는 최초의 대서양 횡단 기록이었다. 이들은 몬트리올에서 편대 곡예 비행을 선보이며 캐나다와 미국에 대한 영국 공군의 친선 투어를 진행했다.[64][65]캐나다 공군은 뱀파이어 F.3를 주력 제트 전투기로 선정하였다. 뱀파이어는 캐나다 조종사들에게 제트 추진 방식뿐만 아니라 조종석 가압, 삼륜식 착륙장치와 같은 당시로서는 새로운 기술들을 소개하는 역할을 했다. 조종이 용이하고 성능이 우수하여 조종사들 사이에서 '핫 로드(hot rod)'라는 애칭으로 불리며 인기가 높았다. 캐나다 공군에서는 작전 비행대와 예비 비행대(제400, 401, 402, 411, 438, 442 비행대)에서 뱀파이어를 운용하였다. 1949년 5월 2일부터 1951년 8월 22일까지 약 3년간 캐나다 공군 곡예 비행팀 '블루 데블스(Blue Devils)'가 뱀파이어 편대를 운영하며 북미 전역에서 에어쇼를 펼치기도 했다.
뱀파이어는 1956년 11월 캐나다 공군에서 공식적으로 퇴역하였으며, 그 자리는 캐나다에어 세이버가 대체하게 되었다.
4. 4. 기타 국가
도미니카 공군은 1952년에 스웨덴에서 뱀파이어 25대를 구입했다. 이들 중 일부는 1959년에 쿠바 혁명가들의 상륙 시도를 저지하는 전투에 투입되었고, 이후 1965년 도미니카 내전에도 참전했다.[72][73]
프랑스 공군은 전후 재건 노력의 일환으로 1949년부터 다수의 고블린 엔진을 장착한 뱀파이어 FB.5를 도입했다. 이 기종은 이후 프랑스의 SNCASE에서 마리냥 공장에서 면허 생산되었다. 초기 67대는 영국에서 생산된 부품으로 조립되었으며 대부분 표준 사양이었다.[1] 이후 프랑스에서 생산된 부품의 비중을 높인 183대가 추가로 생산되었다.[24][27] 프랑스는 롤스로이스 네네 엔진을 장착한 FB.53 모델을 독자적으로 개발했는데, 이는 프랑스 남부에서 부는 바람의 이름을 따 '미스트랄'(Mistralfra)로 명명되었다. 네네 엔진 덕분에 미스트랄은 표준 뱀파이어보다 상승률과 최고 속도가 향상되었다고 알려졌다.[25] 총 250대의 미스트랄이 생산되었으며, 이 기체에는 히스파노-수이자에서 제작한 엔진, 프랑스식 사출 좌석, 확대된 주익 뿌리 공기 흡입구가 장착되었다. 한국 전쟁 발발에 대응하여 프랑스의 미스트랄 주문은 크게 확대되었으나, 1952년 말 생산 라인은 개선된 드 하빌랜드 시 베놈의 면허 생산으로 전환되었다.[26] 첫 미스트랄은 1951년 4월 2일에 초도 비행을 했다.[27]
인도 공군은 1948년에 F-3 기종을, 1949년부터 1950년 사이에 FB.9 기종을, 그리고 1957년부터 1959년 사이에 NF.54 야간 전투기형을 도입했다.[58] 인도는 뱀파이어를 라이선스 생산하기도 했다.
스위스와 이탈리아 역시 뱀파이어를 라이선스 생산했다. 특히 스위스에서는 연습기형이 1990년까지 현역으로 운용되었다.
일본의 항공자위대는 국산 제트 연습기인 T-1 (T1F1) 개발을 위한 기술 연구 목적으로 1956년(쇼와 31년)에 뱀파이어 T.55 연습기 1대를 구입했다. "뱀파이어 트레이너"라는 별칭으로 불린 이 기체는 나란히 앉는 방식(사이드 바이 사이드)의 좌석 배치를 연구하기 위해 도입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미국 규격과의 차이 등으로 인해 별다른 기술적 참고 가치가 없다고 판단되었다. 결국 짧은 기간 동안 몇 차례의 비행 테스트만 실시된 후 1960년(쇼와 35년)에 조기 폐기 처분되었다. 이후 잠시 지상 교육용 교재로 사용되다가 전시용 기체가 되었다. 일장기 마크가 부착된 이 기체는 하마마츠 기지에 보관되어 있다(2022년 9월 시점).
그 외에도 다음 국가들이 뱀파이어를 운용했다:
5. 파생형
'''뱀파이어'''
- '''F.1''' - 최초의 양산형.
- '''F.2''' - 롤스로이스 닌 엔진 탑재 시험형. 시제품만 제작.
- '''F.3''' - 주익 강화, 윙팁 단축, 연료 용량 증가형.
- '''FB.5''' - 전투폭격기형. 고블린 2 엔진 탑재.
- '''FB.6''' - FB.5의 엔진을 고블린 3 엔진으로 변경. 주로 스위스 수출형.
- '''FB.8''' - 주익 재설계 및 엔진 강화형. 이후 '베놈(Venom)'으로 개칭.
- '''FB.9''' - FB.5의 열대 기후 운용 개조형. 고블린 3 엔진 탑재 및 조종석 냉방 장치 추가.
- '''NF.10''' - 복좌 야간 전투기형. 병렬 좌석 및 레이더 장착.
- '''T.11''' - NF.10 기반 복좌 훈련기형. 초기 생산분 제외 사출좌석 장착.
- '''F.30/FB.31/F.32''' - 오스트레일리아 생산/운용 전투기 및 전투폭격기형. 닌 엔진 탑재.
- '''T.33/34/34A/35/35A''' - 오스트레일리아 생산/운용 훈련기형. 닌 엔진 탑재.
- '''FB.50''' - 스웨덴 수출형 (FB.6 기반).
- '''FB.52''' - FB.6의 일반 수출형.
- '''FB.52A''' - 이탈리아 수출형 (FB.6 기반).
- '''FB.53''' - 프랑스 수출형. 닌 엔진 탑재. 쉬드 에스트에서 ''미스트랄''(Mistral) 명칭으로 라이선스 생산.
- '''NF.54''' - NF.10의 수출형 야간 전투기.
- '''T.55''' - T.11의 수출형 훈련기.
'''씨 뱀파이어'''
- '''F.20''' - 뱀파이어 FB.5의 해군형.
- '''F.21''' - 뱀파이어 F.3 기반 시험기. 강화된 동체 및 착륙 장비 없이 고무 갑판 착함 시험용.
- '''T.22''' - 뱀파이어 T.11의 해군형 훈련기.
5. 1. DH.100 뱀파이어 단좌 주간 전투기/전투폭격기
DH.100 뱀파이어는 드 하빌랜드가 개발한 영국의 초기 제트 전투기이다. 독특한 쌍동기 구조와 단일 드 하빌랜드 고블린 터보제트 엔진을 특징으로 한다. 주로 주간 전투기와 전투폭격기 임무에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파생형이 개발되어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었다.
아래는 주요 단좌 주간 전투기 및 전투폭격기 형식이다.
- '''F.1''' (또는 F.Mk 1, Mk.1): 영국 왕립공군을 위한 첫 번째 양산형 단좌 전투기이다. 사양 E.6/41에 따라 3대의 프로토타입('''스파이더 크랩''')이 제작되었다.[1] 1944년 5월 13일, 120대의 Mk I 생산 주문이 이루어졌고 곧 300대로 증가했다. 첫 양산기는 1945년 4월에 비행했다. 드 해빌랜드의 생산 부담 때문에 잉글리시 일렉트릭이 프레스턴 공장에서 대부분의 F.1을 생산했다. 총 228대의 F.1이 생산되었으며,[44] 이 중 70대는 스웨덴에 '''J 28A'''라는 명칭으로 수출되어 훈련용으로 사용되었다.[44] 또한 1948년에는 퇴역한 영국 공군 F.1 30대가 프랑스 공군에 훈련용으로 이관되었고,[44] 1947년 5월에는 TG431 기체가 오스트레일리아 왕립공군(A78-1)에 훈련용으로 공급되었다.
- '''F.2''': 롤스로이스 닌 엔진을 시험적으로 장착한 버전이다. 2대가 제작되었고 3대가 기존 기체에서 개조되었다.[44] 닌 엔진은 고블린보다 추력이 높았지만, 흡입구 설계 문제로 인해 수평 비행 속도 향상에는 한계가 있었고 오히려 마하 한계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했다.[4][61] F.2 중 한 대(TX807)는 1948년 8월 오스트레일리아 왕립공군(A78-2)에 훈련 및 기술 개발용으로 공급되었다.[44]
- '''F.3''': 더 긴 항속 거리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여 개발된 단좌 전투기이다. F.1 기체 2대를 개조하여 프로토타입을 제작했으며, 총 224대가 생산되었다.[44] 100갤런 및 200갤런 용량의 날개 하부 연료 탱크를 장착할 수 있었고, 수평 안정판의 위치를 낮추고 수직 꼬리날개 형상을 변경하는 등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하드포인트에 드롭 탱크를 장착할 수 있게 되면서 다양한 무장 탑재 및 지상 공격 임무 수행 능력도 향상되었다. 20대는 노르웨이에, 150대는 캐나다 왕립공군에 수출되었다.[44] 1948년 7월 14일, 영국 공군 제54 비행대 소속의 F.3 6대가 대서양을 횡단하여 래브라도 구스 베이에 도착함으로써 최초의 대서양 횡단 제트기가 되는 기록을 세웠다.[3]
- '''FB.5''': 고블린 2 엔진을 장착한 단좌 전투폭격기 버전이다. 날개 끝을 잘라 날개 길이를 줄이고 날개 구조를 강화했으며, 지상 공격 임무를 위해 무장 탑재 능력을 향상시켰다. 총 1,123대가 제작되었으며, 이 중 930대는 영국 공군용이었다.[44] 94대의 퇴역 영국 공군 FB.5가 1949년 프랑스 공군의 작전 비행대대에 이관되었고,[44] VV465 기체는 1949년 5월 오스트레일리아 왕립공군(A78-3)에 훈련용으로 공급되었다.
- '''FB.6''': 고블린 3 엔진을 장착하여 성능을 향상시킨 단좌 전투폭격기이다. 영국에서 175대가 제작되었고, 스웨덴에서 '''J 28B'''라는 명칭으로 310대, 스위스에서 103대가 면허 생산되었다.[44]
- '''FB.9''': FB.5를 기반으로 열대 기후 작전 능력을 강화한 전투폭격기 버전이다. 성능이 향상된 고블린 3 엔진을 탑재하고 조종석에 에어컨을 장착했다. 총 348대가 제작되었으며,[44] 주로 드 해빌랜드에서 생산되었고 일부는 페어리에서 제작했다.[44] 로디지아 공군은 1950년대 초 16대의 FB.9를 도입하여 아덴 위기 등에서 운용했으며, 1979년 로디지아 부시 전쟁이 끝날 때까지 사용했다.[75]
형식 | 엔진 | 주요 특징 | 생산/개조 수량 | 비고 |
---|---|---|---|---|
F.1 (Mk 1) | 드 하빌랜드 고블린 | 최초 양산형 전투기. 사양 E.6/41 기반. | 228대 생산[44] | 3대 프로토타입(스파이더 크랩) 제작.[1] 스웨덴(J 28A), 프랑스 공군, 오스트레일리아 왕립공군(A78-1) 등에서 운용.[44] |
F.2 | 롤스로이스 닌 | 닌 엔진 시험 장착형 | 2대 제작, 3대 개조[44] | 오스트레일리아 왕립공군(A78-2)에서 훈련 및 기술 개발용으로 사용.[44] |
F.3 | 고블린 | 항속거리 증가형 전투기 (연료 탱크 추가, 외형 변경 - 낮은 수평 미익, 재형성된 수직 미익). | 224대 생산[44] | F.1에서 2대 개조.[44] 노르웨이, 캐나다 왕립공군 수출.[44] 대서양 최초 횡단 제트기 (1948년).[3] |
F.4 | 닌 | 닌 엔진 탑재 계획 | 제작되지 않음[44] | - |
FB.5 | 고블린 2 | 단좌 전투폭격기, 날개 끝 잘림, 강화된 날개 구조. | 1,123대 제작 (영국 공군 930대 포함)[44] | 프랑스 공군, 오스트레일리아 왕립공군(A78-3) 등에서 운용.[44] |
FB.6 | 고블린 3 | 단좌 전투폭격기 | 영국 175대, 스웨덴(J 28B) 310대, 스위스 103대 제작[44] | - |
F.8 | 드 하빌랜드 고스트 | 드 해빌랜드 베놈 프로토타입 | F.1에서 1대 개조[44] | - |
FB.9 | 고블린 3 (열대화) | 열대화된 FB.5 전투폭격기, 에어컨 장착. | 348대 제작[44] | 로디지아 공군 등에서 운용. |
5. 2. 수출형
핀란드 공군은 1953년에 6대의 FB.52 뱀파이어를 도입했으며, 이 기체는 핀란드에서 "뱀피"(Vamppifi)라는 애칭으로 불렸다. 1955년에는 9대의 2인승 T.55 훈련기가 추가로 구매되었다. 이 항공기들은 처음 포리의 제2비행단에 배치되었으나, 1950년대 말 틱카코스키의 제1비행단으로 이전되었다. 핀란드 공군의 마지막 뱀파이어는 1965년에 퇴역했다.[76]
1940년대 후반, 이탈리아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공군 재건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뱀파이어 도입에 관심을 보였다. 당시 글로스터 미티어도 고려되었으나, 비용 문제로 뱀파이어가 선택되었다.[1] 1949년 9월, 이탈리아 공군의 초청으로 영국 뱀파이어가 이탈리아 에어쇼에서 시범 비행을 선보였다. 같은 해 10월 24일, 피아트와 뱀파이어 기종의 라이센스 생산 계약이 체결되어 토리노의 피아트 공장에서 생산이 이루어졌고, 마키는 바레세에서 추가 작업을 담당했다. 계약에는 영국에서 제작될 뱀파이어 FB.5 5대, FB.52 51대, NF.10 4대, NF.54 10대와 더불어, 이탈리아에서 라이센스 하에 생산될 FB.52 150대가 포함되었다.[34]
1950년 3월 11일, 첫 영국제 뱀파이어 FB.5 5대가 포자의 제트 비행 훈련 학교에 도착했다. 이탈리아의 생산 라인 구축에 시간이 더 필요했기 때문에 영국 제작분이 먼저 인도되었다. 1950년대 초, 이탈리아 뱀파이어는 이탈리아 공군의 전후 첫 공중 곡예 비행팀인 카발리노 람판테(Cavallino Rampante)에 의해 운용되기도 했다.[35] 한편, 영국이 이집트로의 군용기 판매를 금수 조치하자, 1956년 초 이탈리아 공군 소속의 뱀파이어 58대가 개조되어 이집트로 이전되었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 마키는 45대의 뱀파이어를 추가로 제작하여 이탈리아 공군에 납품했다.[36]
뱀파이어는 여러 형태로 각국에 수출되었다. 주요 수출형 모델은 다음과 같다.
형식 | 운용 국가/특징 | 엔진 | 생산 정보 |
---|---|---|---|
F.30 |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공군용 단좌 전투폭격기 | 롤스로이스 넨 | 드 하빌랜드 오스트레일리아 (DHA) 57대 제작[44][1][18] |
FB.31 | F.30 개량형 | 롤스로이스 넨 | DHA F.30 개조 28대, 신규 제작 23대[1][18] |
F.32 | F.30 기반 에어컨 장착형 | 롤스로이스 넨 | DHA 1대 개조[1][18] |
FB.50 | 스웨덴 수출형 (J 28B) | 고블린 | 310대 제작 (12대는 T.55로 개조)[1] |
FB.51 | 프랑스 수출형 | 고블린 | 드 하빌랜드 녹다운 키트 67대, 쉬드-에스트 20대 제작[44] |
FB.52 | FB.6 기반 수출형 | 고블린 3 | 총 546대 제작 (핀란드 도입, 힌두스탄 항공 주식회사 247대 포함)[44] |
FB.52A | 이탈리아 공군용 FB.6 수출형 | 고블린 3 | 영국 제작 51대 수입, 마키/피아트 150대 라이센스 생산[44] |
FB.53 | 프랑스 공군용 단좌 전투폭격기 (미스트랄) | 롤스로이스 넨 | SNCASE 라이센스 생산[44] |
5. 3. DH.113 뱀파이어 야간 전투기
드 하빌랜드는 수출용으로 자체 자금을 투입하여 야간 전투기 모델인 DH.113을 개발했다. 이 기체는 드 하빌랜드 모스키토 야간 전투기의 조종석을 기반으로 한 2인승 조종석과 AI Mk X 레이더를 탑재하기 위해 길어진 동체 앞부분을 특징으로 삼았다. 원래 이집트 공군에 공급될 예정이었으나, 영국 정부가 이집트에 대한 무기 금수 조치를 내리면서 무산되었다. 대신 영국 공군이 이 주문을 인수하여, 드 하빌랜드 모스키토 야간 전투기의 퇴역과 글로스터 미티어 야간 전투기의 전면 도입 사이의 과도기적 기체로 운용하게 되었다.- '''NF.10''': 영국 공군용으로 제작된 고블린 엔진 장착 2인승 야간 전투기 버전이다. 3대의 프로토타입을 포함하여 총 81대가 생산되었다.[1]
- '''NF.54''': NF.10의 수출형 모델이다. 이탈리아 공군이 14대를 구매했으며, 인도 공군은 개조된 NF.10 30대를 도입했다.[44]
5. 4. DH.115 뱀파이어 훈련기

드 해빌랜드는 수출용으로 자체 자금을 투자하여 야간 전투기인 DH.113을 개발했다. 이 모델은 드 하빌랜드 모스키토 야간 전투기의 조종석 설계를 바탕으로 나란히 앉는 2인승 조종석을 갖추고, 기수 부분을 늘려 AI Mk X 레이더를 탑재할 공간을 마련했다. 처음에는 이집트 공군이 주문했으나, 당시 이집트에 대한 영국의 무기 금수 조치로 인해 인도가 무산되었다. 대신 영국 공군이 이 주문을 인수하여 '뱀파이어 NF.10'으로 명명하고, 모스키토 야간 전투기의 퇴역과 글로스터 미티어 야간 전투기의 본격적인 도입 사이의 공백을 메우는 임시 기종으로 운용했다.
이 야간 전투기 모델(NF.10)에서 레이더를 제거하고 이중 조종 장치를 설치하여 제트 훈련기 모델인 DH.115 뱀파이어 훈련기가 개발되었다. 이 기종은 영국 공군에서 뱀파이어 T.11이라는 제식명으로 운용되었으며, 영국 공군과 해외 수출용으로 대량 생산되었다. 핀란드, 로디지아 등 여러 국가에서 훈련기로 운용되었다.[76][37]
DH.115 계열의 주요 파생형은 다음과 같다.
형식 | 설명 | 생산/개조 대수 |
---|---|---|
NF(T).10 | NF.10 기반 항법 훈련기 | 36대 개조[44] |
T.11 | 드 해빌랜드 고블린 35 엔진 탑재 2인승 훈련기 (DH.115). 드 해빌랜드와 페어리 항공에서 생산. 일부 기체 사출 좌석 장착. | 시제기 1대 포함 526대[44] |
T.22 | 영국 해군용 T.11 훈련기 | 73대[44] |
T.33 | 오스트레일리아 드 해빌랜드에서 생산한 초기 사양 T.11 기반 훈련기. 고블린 엔진 탑재. | 36대[18][44] |
T.33A | T.33을 후기 T.11 사양으로 개량 | [44] |
T.34 |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해군용 해상화 T.22 훈련기. 오스트레일리아 드 해빌랜드에서 생산. | 5대 (6번째는 T.34A로 인도)[18][44] |
T.34A | T.34에 사출 좌석 추가 | [1] |
T.35 | 후기 T.11 사양 2인승 훈련기. 오스트레일리아 드 해빌랜드에서 생산. | 68대[18][1] |
T.35A | T.33을 T.35 사양으로 개량 | [18][1] |
T.55 | 수출용 T.11 훈련기. 스위스, 인도 등에서 운용. | 322대 (스위스 30대, 인도 힌두스탄 항공 유한회사 (HAL) 60대, T.11 개조 6대 포함)[44] |
PR.55 | 인도에서 T.55를 사진 정찰용으로 개조한 형식 | 최소 5대[44] |
5. 5. 시 뱀파이어
드 하빌랜드 뱀파이어의 해군용 파생형으로 개발되었다. 영국 해군은 제트기의 항공모함 운용 가능성을 시험하기 위해 뱀파이어를 활용했다.1945년 12월 3일, 에릭 "윙클" 브라운 기장이 조종한 시 뱀파이어 프로토타입(`LZ551/G`)이 항공모함 HMS 오션에 착륙하고 이륙하는 데 성공하면서, 이는 역사상 최초로 항공모함에서 운용된 순수 제트기가 되었다.
1947년부터 1955년까지 뱀파이어와 시 뱀파이어는 항공모함의 유연한 갑판에서 착륙 장치 없이 항공기를 운용하기 위한 시험에 사용되었다. 이 시험은 항공기 복구 및 갑판 처리 절차와 장비 개발을 목표로 했다. 착륙 장치를 제거하면 항공기 중량을 줄이고 더 많은 연료를 탑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RAE 판버러와 항공모함 HMS 워리어의 유연한 갑판에서 여러 차례 착륙 시험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이 방식은 채택되지 않았다. 제프리 쿠퍼는 메리어트의 말을 인용하여, 고무 갑판 시스템이 "...그것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선박과 해군 비행장 모두에 광범위한 시설이 필요했을 것이다. 항공기 성능의 향상은 구현의 복잡성과 비용 때문에 취소된 것이 아니다."라고 언급했다.
주요 파생형은 다음과 같다.
- '''F.1''': 갑판 시험용으로 제작된 최초의 시제품으로, 뱀파이어 F.1 1대를 개조하여 만들었다.
- '''F.20''': 해군용으로 개조된 FB.5 모델이다. 잉글리시 일렉트릭에서 총 18대가 개조되었다.[44]
- '''F.21''': 강화된 동체와 착륙 제동 후크를 갖춘 F.3 기반의 시험기이다. 유연한 갑판에 착륙 장치 없이 착륙하는 시험을 위해 제작되었으며, 2대[44] 또는 6대[45]가 개조되었다.
- '''T.22''': 영국 해군용으로 개발된 2인승 훈련기 모델이다. 드 하빌랜드에서 총 73대를 제작했다. 뱀파이어 T.11을 기반으로 한 해군형이다.
5. 6. SNCASE (Sud-Est) 미스트랄
프랑스는 뱀파이어 FB.53 형식을 기반으로 닌 엔진을 탑재하고 볼턴 폴이 설계한 공기 흡입구를 적용한 파생형을 개발했다.[62] 이 기체는 쉬드 에스트(SNCASE, Sud-Est)사에서 '미스트랄'(Mistral)이라는 이름으로 라이선스 생산했으며, 다음과 같은 세부 모델이 있다.- '''SE.530 미스트랄'''(Mistral): 히스파노에서 면허 생산한 닌 엔진을 장착한 프로토타입. 총 4대가 제작되었다.[44]
- '''SE.532 미스트랄'''(Mistral): SE.530을 기반으로 한 초기 양산형. 총 93대가 제작되었다.[44]
- '''SE.535 미스트랄'''(Mistral): SE.532의 개량형. 총 150대가 제작되었다.[44]
5. 7. 플뤼그바프넷
- '''J 28A''': 스웨덴 공군(Flygvapnet)에서 운용한 뱀파이어 F.1 기종이다. 이후 F.5와 유사하게 날개가 잘린 형태로 개조되었으며, 총 70대를 수입했다.[46]
- '''J 28B''': 스웨덴 공군에서 운용한 FB.6 기종으로, 총 310대를 제작했다.[44]
- '''A 28B''': J 28B/FB.6 기종이 공격 임무로 전환되면서 부여된 명칭이다.[44]
- '''J 28C-1''': 1952년에 30대를 구매한 초기 사양의 T.55 뱀파이어 훈련기이다. 도입 초기에는 전투기 역할로도 사용되었다.[44]
- '''J 28C-2''': 1955년에 15대를 구매한 후기 사양의 T.55 훈련기이다.[44]
- '''J 28C-3''': 기존의 J 28B 단좌 전투기를 1956년 드 해빌런드(de Havilland)사에서 T.55A 복좌 훈련기로 개조한 기종으로, 총 12대가 개조되었다.[44]
5. 8. 드 하빌랜드 오스트레일리아
롤스로이스 닌 엔진의 성능 평가를 위해 제작된 뱀파이어 마크 III 실험기 중 한 대가 오스트레일리아 왕립공군(RAAF)에 제공되어, 오스트레일리아에서의 뱀파이어 개발 착수에 기여했다.오스트레일리아 왕립공군이 운용한 뱀파이어는 롤스로이스 닌 엔진을 탑재한 것이 특징이다. 초기에는 엔진 공기 흡입구가 동체 등쪽에 있었으나, 이후 동체 아래쪽으로 위치가 변경되었다.[62] 이는 닌 엔진이 요구하는 더 많은 공기량을 충족시키기 위한 개조였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드 하빌랜드 오스트레일리아(De Havilland Australia, DHA)를 통해 뱀파이어를 라이선스 생산했으며, RAAF의 요구에 맞춰 개량된 여러 파생형을 운용했다. 주요 오스트레일리아 생산 및 운용 형식은 다음과 같다.
형식 | 설명 | 엔진 |
---|---|---|
F.30 | 오스트레일리아 생산 전투기형 | 롤스로이스 닌 |
FB.31 | F.30 기반 전투폭격기형 | 롤스로이스 닌 |
F.32 | FB.31의 개량형 (1대만 개조) | 롤스로이스 닌 |
T.33 | 오스트레일리아 생산 훈련기형 | 롤스로이스 닌 |
T.34 | 오스트레일리아 생산 훈련기형 | 롤스로이스 닌 |
T.34A | T.34에 사출좌석 등 개량 적용 | 롤스로이스 닌 |
T.35 | 오스트레일리아 생산 훈련기형 | 롤스로이스 닌 |
T.35A | T.35 개량형 | 롤스로이스 닌 |
참조
[1]
서적
2006
[2]
웹사이트
De Havilland DH100 Vampire
http://www.baesystem[...]
2017-05-18
[3]
웹사이트
de Havilland Vampire
https://weaponsandwa[...]
2019-02-11
[4]
서적
2006
[5]
서적
1991
[6]
웹사이트
A philanthropic airshow
https://web.archive.[...]
2020-10-25
[7]
서적
2008
[8]
간행물
First Jet Landing
https://www.history.[...]
United States Navy
1946-03
[9]
간행물
How The Vampires Crossed
http://www.flightglo[...]
1948-07-22
[10]
웹사이트
Only Birds and Fools Fly
https://web.archive.[...]
2009-10-06
[11]
서적
1955
[12]
간행물
'Flight' Pilots a Jet
http://www.flightglo[...]
1947-11-27
[13]
간행물
Aero Engines 1954
https://www.flightgl[...]
1954-04-09
[14]
간행물
Mau Mau! A Case study in Colonial Air Power
1996-07
[15]
서적
1987
[16]
서적
1987
[17]
웹사이트
De Havilland Sea Vampire MK T.22 / T.34
https://www.navy.gov[...]
navy.gov.au
2022-06-09
[18]
간행물
The Vampire
2017-04
[19]
웹사이트
'[1.0] Vampire Variants'
http://www.airvector[...]
[20]
웹사이트
RAAF Museum: RAAF Aircraft Series 2 A79 DHA Vampire
http://www.airforce.[...]
2017-01-28
[21]
웹사이트
Republica Dominica Orbats
https://www.scramble[...]
2020-11-07
[22]
웹사이트
Vampire in Foreign Service
http://www.airvector[...]
2020-11-07
[23]
웹사이트
Attributed Israeli Air Combat Victories
http://www.aces.safa[...]
2016-07-07
[24]
뉴스
Vampires for France
1949-01-20
[25]
간행물
In Foreign Skies
https://books.google[...]
Flying
1952-05
[26]
간행물
France's Combat Planes
https://books.google[...]
1952-01
[27]
서적
1987
[28]
간행물
India News
https://books.google[...]
Office of the High Commissioner for India
[29]
웹사이트
Four Sorties over Goa
https://web.archive.[...]
2016-07-07
[30]
웹사이트
Pakistani Air-to-Air Victories
https://web.archive.[...]
Air Combat Information Group
2009-06-10
[31]
웹사이트
Tank Busting in the Chamb
https://web.archive.[...]
2016-07-07
[32]
웹사이트
The Irish Air Corps/Aer Chór na hÉireann at Scramble (magazine)
http://www.scramble.[...]
Scramble Magazine
[33]
서적
1987
[34]
서적
2013
[35]
서적
2013
[36]
문서
Watkins 2013
[37]
웹사이트
UK Arms Exports to Zimbabwe
http://www.caat.org.[...]
Campaign Against Arms Trade
2000-09
[38]
뉴스
Vampires to be built in Switzerland
The Times
1949-02-11
[39]
문서
Jackson 1987
[40]
웹사이트
De Havilland DH-100 Vampire
https://www.vtg.admi[...]
2015-05-25
[4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lw.admin.[...]
2015-05-25
[42]
문서
Lombardi 2007
[43]
간행물
Donnet World Air Power Journal
1995-04
[44]
웹사이트
'[2.0] Vampire In Foreign Service'
http://www.airvector[...]
2020-02-01
[45]
문서
Brown 1976
[46]
웹사이트
de Havilland Vampire in Swedish service
http://www.x-plane.o[...]
2018-01-18
[47]
웹사이트
ADF-Serials Vampire
http://www.adf-seria[...]
Adf-serials.com.au
2018-09-20
[48]
웹사이트
RAAF leased Vampire FB.9 and Meteor T.7
http://www.adf-galle[...]
Adf-gallery.com.au
2018-09-20
[49]
웹사이트
NZDF-Serials DH.100 Vampire
http://www.adf-seria[...]
Adf-serials.com.au
2018-09-20
[50]
웹사이트
De Havilland
http://www.goodall.c[...]
Geoffrey Goodall
2023-07-13
[51]
웹사이트
RARA Search Results
https://reports.airr[...]
Reno Air Racing Association
2023-07-13
[52]
웹사이트
2015 Jet Gold Results
https://reports.airr[...]
2023-07-13
[53]
문서
Illustrated Encyclopedia of Aircraft
1985
[54]
문서
Mason 1965
[55]
웹사이트
The Incomplete Guide to Airfoil Usage
https://m-selig.ae.i[...]
2019-04-16
[56]
문서
Jackson 1987
[57]
문서
Winchester 2012
[58]
문서
Smith 1994
[59]
문서
Gunston 2006
[60]
웹사이트
De Havilland DH100 Vampire.
http://www.baesystem[...]
2017-05-18
[61]
문서
Heyworth & Jackson 2006
[62]
문서
Gunston 1991
[63]
간행물
First Jet Landing
United States Navy
1946-03
[64]
간행물
How The Vampires Crossed
http://www.flightglo[...]
1948-07-22
[65]
서적
Only Birds and Fools Fly
http://www.bill-wood[...]
William 'Bill' Wood
2009-10-06
[66]
문서
Smith 1955
[67]
간행물
'Flight' Pilots a Jet
http://www.flightglo[...]
Maurice Smith
1947-11-27
[68]
간행물
Aero Engines 1954
https://www.flightgl[...]
1954-04-09
[69]
웹인용
De Havilland Sea Vampire MK T.22 / T.34
https://www.navy.gov[...]
navy.gov.au
2022-06-09
[70]
웹인용
'[1.0] Vampire Variants'
http://www.airvector[...]
[71]
웹인용
RAAF Museum: RAAF Aircraft Series 2 A79 DHA Vampire
http://www.airforce.[...]
2017-01-28
[72]
웹인용
Republica Dominica Orbats
https://www.scramble[...]
2020-11-07
[73]
웹인용
Vampire in Foreign Service
http://www.airvector[...]
2020-11-07
[74]
웹인용
Attributed Israeli Air Combat Victories
http://www.aces.safa[...]
2016-07-07
[75]
웹사이트
UK Arms Exports to Zimbabwe
http://www.caat.org.[...]
2000-09
[76]
웹인용
'[2.0] Vampire In Foreign Service'
http://www.airvector[...]
2020-02-01
[77]
뉴스
Vampires for France
1949-01-20
[78]
잡지
In Foreign Skies
https://books.google[...]
Flying
1952-05
[79]
잡지
France's Combat Planes
https://books.google[...]
1952-01
[80]
서적
[81]
잡지
India News
https://www.google.c[...]
Office of the High Commissioner for India
[82]
웹인용
Four Sorties over Goa
http://www.bharat-ra[...]
2016-07-07
[83]
인용
Pakistani Air-to-Air Victories
http://www.acig.org/[...]
Air Combat Information Group
2009-06-10
[84]
웹인용
Tank Busting in the Chamb
http://www.bharat-ra[...]
2016-07-07
[85]
웹인용
The Irish Air Corps/Aer Chór na hÉireann at Scramble (magazine)
http://www.scramble.[...]
Scramble Magazine
[86]
서적
[87]
뉴스
Vampires to be built in Switzerland
The Times
1949-02-11
[88]
서적
[89]
웹인용
De Havilland DH-100 Vampire
http://www.lw.admin.[...]
2015-05-25
[90]
웹인용
Archived copy
http://www.lw.admin.[...]
2015-05-25
[91]
서적
[92]
간행물
World Air Power Journal
1995-03
[93]
서적
[94]
서적
[95]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