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잡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돌잡이는 아기의 첫 번째 생일에 아기의 미래를 점치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문화권의 전통 의례이다. 아기 앞에 다양한 물건을 놓고 아기가 고르는 물건에 따라 아기의 미래를 예측하며, 한국에서는 실, 쌀, 돈, 붓 등 전통적인 물건과 함께 시대의 변화에 따라 마이크, 스포츠 용품, 컴퓨터 관련 물건 등 현대적인 물건도 사용된다. 중국에서는 남북조 시대부터, 일본에서는 에라비토리(Erabitori)라는 이름으로 행해졌으며, 베트남, 카자흐스탄, 아르메니아, 인도, 몰타 등에서도 유사한 풍습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과의례 - 졸업
졸업은 학교의 교육 과정을 마치는 것으로, 학위 취득과 연관되며 졸업식에서는 학위 수여, 송별사, 학사복 착용 등의 절차가 진행되고, 중세 유럽 대학에서 유래되어 현대에는 다양한 졸업 문화가 존재한다. - 통과의례 - 입학
입학은 학교나 교육 기관에 학생이 등록하는 것을 의미하며, 각국은 다양한 입학 제도를 운영하고 초등학교 입학 나이는 만 5세에서 7세까지 차이가 있으며 학년 시작 시기도 다르다. - 한국의 문화 - 장기
장기는 두 사람이 10줄 x 9줄의 판에서 각 16개 기물을 사용하여 상대방의 궁을 잡는 한국 전통 보드 게임으로, 다양한 기원설이 존재하며 삼국시대부터 기록이 있고 조선시대에는 상희라고도 불렸으며, 현대에는 주로 노년층 남성이 즐기고 대한장기협회에서 보급 및 관리를 한다. - 한국의 문화 - 본관
본관은 한국 씨족의 발상지를 나타내는 지명으로, 신라 말기부터 고려 초기에 형성되어 문벌 귀족의 권력 유지에 기여했으나 조선 시대 이후 관념적 혈연 의식으로 변화하였으며, 현재는 다양한 성씨와 함께 존재하나 사회적 중요성은 감소하고 있다.
| 돌잡이 | |
|---|---|
| 개요 | |
![]() | |
| 유형 | 통과의례 |
| 문화권 | 한국 |
| 시기 | 첫 번째 생일 |
| 관련 의례 | 돌잔치 |
| 상세 정보 | |
| 목적 | 아이의 미래 운세 예측 |
| 방법 | 상징적인 물건 선택 |
| 일반적인 물건 | 실 돈 붓 책 활 |
| 현대적인 물건 | 마이크 청진기 골프공 마우스 (컴퓨터) |
| 다른 문화권 | |
| 유사 의례 | 주아저우 (중국) 에라비토리 (일본) |
2. 유래
돌잡이의 유래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 중 하나는 남북조 시대 북제의 안지추가 쓴 안씨가훈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책에는 돌잡이 의식에 대한 명확한 기록이 남아있다.[1] 여러 문헌에 따르면, 돌잡이 풍습은 적어도 남북조 시대 강남(양쯔강 이남 지역)에서 유행했으며, 수나라와 당나라 시대를 거치면서 점차 중국 전역으로 확산되었다고 한다.[1]
한국과 중국의 여러 고문헌에도 돌잡이와 관련된 기록이 등장한다. 『국조보감』, 『정조실록』, 『합벽사류』, 『동경몽화록』, 『애일노총초』, 『사원』 등에는 수반, 시수, 고주, 시주 등 돌을 뜻하는 다양한 용어가 사용되어, 돌잡이 풍속이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4]
2. 1. 한국의 돌잔치
『국조보감』의 정조 15년 6월조에는 원자(元子)의 돌날 온갖 장난감을 담은 소반을 집복헌(集福軒)에 차려놓고 대신(大臣)과 경재(卿栽)에게 들어와 보도록 명했다는 기록이 있다. 여러 신하들이 다 축하의 말을 하고, 신하들로부터 서리, 하예(下隸), 군졸, 거리의 백성들에게까지 떡을 내렸으며, 특별히 조관(朝官)과 사서인(士庶人)으로서 유배 이하에 해당되는 죄를 지은 사람의 죄명을 씻어주었다고 한다.[4]『정조실록』에도 이와 관련된 기록이 있으며, 『합벽사류(合壁事類)』, 『동경몽화록』, 『애일노총초(愛日盧叢抄)』, 『사원(辭源)』에는 수반(邈盤), 시수(試邈), 고주(孤周), 시주(試周) 등의 말이 나오는데, 모두 돌을 뜻하는 말로 그 풍속이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4]
2. 2. 중국의 돌잡이
남북조 시대 북제의 안지추가 쓴 안씨가훈에는 돌잡이 의식에 대한 명확한 기록이 있다. 여러 문헌에 따르면, 적어도 남북조 시대 강남 ( 양쯔강 이남 지역)에서 이 풍습이 유행했으며, 수나라와 당나라 시대를 거치면서 점차 중국 전역으로 확산되었다고 한다.[1]당나라와 송나라 시대에 이 풍습은 양쯔강 남쪽에서 중국 전역으로 퍼져 점차 유행하게 되었다. 당시에는 시주이(Shizui) 또는 저우주이(Zhouzui)라고 불렸다. 왕족은 이러한 의례를 더욱 엄숙하게 거행했으며, 절차가 더 복잡하고 물건의 종류도 더 다양했다.
원나라와 명나라 시대에는 이 풍습이 더욱 유행하여 지양(Jiyang)이라고 불렸다. 청나라 시대에 와서야 주아저우(Zhuazhou)와 시저우(Shizhou)라고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황족과 민간 사이에는 큰 격차가 있었고, 예절 수준과 물건에도 큰 차이가 있었다.
청나라 말과 중화민국 초기에는 베이징을 비롯한 백성들 사이에서 이러한 종류의 주아저우 의례가 여전히 유행했다. 그러나 예절은 덜 엄숙해졌고, 주최자는 손님을 초대하여 연회를 열지 않았다. 친척들은 이날 자발적으로 집에 와서 작은 선물로 축하해 주었는데, 선물은 보통 음식과 장난감이었다.
20세기 이후 중국 남부의 일부 도시와 북부의 많은 도시에서도 여전히 주아저우 의례를 거행했다.
3. 돌잡이
돌잡이는 아기가 여러 가지 물건 가운데에서[5] 마음에 드는 물건을 골라잡게 하여 아기의 장래를 점치는 풍습이다. 아기의 첫 번째 생일에 부모는 아이를 깨끗하게 하고 조상에게 아이의 건강한 성장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낸다. 그런 다음 넓은 방에 상을 차리고 준비된 물건들을 놓고 아이가 물건을 잡게 한다. 부모는 아이가 잡은 물건에 따라 아이의 미래, 취미, 직업을 예측하며, 아이에게 좋은 말을 해준다. 이 의식은 어른들이 아이에게 거는 기대와 소원을 담고 있다.
돌잡이에는 주판, 돈, 붓 등이 전통적으로 사용되었지만, 지역이나 가정에 따라 다양한 물건이 사용된다.
3. 1. 전통적인 돌잡이 물건
돌잡이는 아기가 여러 가지 물건 중에서[5] 마음에 드는 물건을 골라잡게 하여 아기의 장래를 점치는 풍습이다. 잡은 물건에 따라 다음과 같이 해석한다.| 물건 | 의미 |
|---|---|
| 실, 국수 | 장수, 무병장수. 현대에는 철밥통인 공무원을 의미하기도 한다. |
| 대추 | 자손 번성 |
| 쌀 | 유복한 재산가, 자산가 |
| 떡 | 튼튼하고 복이 많음 |
| 돈 | 부자 (억만장자, 백만장자). 카드(체크카드, 신용카드)나 외화(미국 달러, 중국 위안, 일본 엔)를 놓기도 하며, 외화를 잡으면 외화 벌이를 잘하거나 외국계 회사에 근무, 또는 외국 이민 가서도 돈을 많이 벌 팔자라고 해석한다. |
| 활, 모형 총, 경찰용품, 화살 (남아) | 직업군인 (장교, 부사관, 장군)이나 경찰관 |
| 칼 | 요리사 (요리연구가, 셰프, 조리사) |
| 자, 바늘 | 손재주가 뛰어남 |
| 책, 먹, 벼루, 붓, 종이, 연필, 공책 | 박사, 학자나 작가. 외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책을 잡으면 외국어에 능통할 팔자라고도 한다. |
| 연필 등 필기구 | 교사, 교수 혹은 수재 |
| 청진기, 약통, 주사기 | 의료인 (의사, 치과의사, 간호사 등) |
| 마이크 | 연예인, 방송기자, 가수, 아나운서 등 |
| 법봉 | 법조인 (판사, 검사, 변호사 등) |
| 계산기 | 금융업 종사 |
| 스포츠 용품 | 운동선수. 박세리가 히트 칠 땐 골프공, 박찬호 땐 야구공, 김연아가 뜨면 피겨 스케이팅 부츠가 인기였다. |
| 사과 | 먹을 복이 많음 |
| 마우스 | 컴퓨터 전문가. 닷컴 열풍 시기 인기였다가 IT 업계가 3D 취급받으면서 사라졌으나, 자수성가로 대박 나는 건 IT 산업뿐이라며 다시 등장하기도 한다. |
| 카메라 | 영화감독, 사진작가 등 예술 분야 |
| 신문, 카메라 | 언론인, 신문기자 등 |
| 지휘봉 | 직업군인, 지휘자, 사업가, 국회의원, 대통령 등 리더십이 필요한 직책 |
| 비행기(비행기모형) | 스튜어디스, 기장 등 항공 관련 직업 |
| 福자 한문이 새겨진 종이 | 복이 많음 |
| 미니카, 미니어처카 | 운전사, 버스기사, 택시기사, 카레이서 등 |
| 망치 | 건축가, 목수 등 |
| 게임기 | 프로게이머 |
| 바둑판(바둑돌), 보드게임 | 바둑 기사, 장기 기사 등 |
| 화투, 트럼프 카드 | 카지노딜러 |
| 대본 | 배우, 영화배우, 연극배우, 성우, 스턴트맨, 코미디언 등 |
| 선박(선박모형) | 선장, 선원, 조타수, 어부 등 |
| 스마트폰(태블릿) | 유튜버, 인플루언서 등 |
| 만화책, 펜 | 만화가 |
| 성인용품 | 호색한, AV 여배우, AV 남배우, 포르노 배우, 누드 모델, 카사노바 등 |
| 농기구 | 농부 |
| 지도 | 탐험가, 산악인 등 |
| 운동 기구 | 건강, 튼튼함 |
| 악보 | 작곡가, 작사가 등 |
| 소고, 악기 | 바이올리니스트, 피아니스트, 연주가, 예술가, 디자이너, 음악인 등 예술 분야 |
| 스케치북, 팔레트 | 화가 |
| 주판 | 상인 |
| 오토바이(오토바이모형) | 우체부 |
| 소화기 | 소방관 |
| 장난감, 피규어 | 키덜트, 오타쿠 |
과거에는 쌀과 실이 인기였지만, 현대에는 마이크나 스포츠 용품 등 부모들이 원하는 미래를 상징하는 물건들이 선호된다. 자손 번성을 상징하는 대추는 현대에 와서 선호도가 낮아졌다.
일본에서는 돌잡이를 '에라비토리'라고 부르며, 다음과 같은 물건들이 사용된다.
| 물건 | 의미 |
|---|---|
| 주판 | 상인 체질, 계산에 능함 |
| 돈 | 장래에 부유하고 곤란함이 없는 생활 |
| 붓 | 문학이나 예술 분야에서 활약 |
| 가위 | 손재주, 의상에 관심 |
| 자 | 꼼꼼함, 장래에 큰 집 |
| 젓가락, 쌀, 숟가락 | 먹는 것에 어려움 없음, 요리사 |
| 지갑 | 돈에 어려움 없음 |
| 사전 | 성적 우수, 박식 |
| 붓, 펜 | 예술가, 글 쓰는 사람 |
| 공이나 신발 | 스포츠 선수, 운동 신경 |
3. 2. 현대적인 돌잡이 물건
현대 돌잡이에는 다양한 물건들이 사용되며, 각각의 물건은 아이의 미래를 예측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물건 | 의미 |
|---|---|
| 실, 국수 | 무병장수. 현대에는 철밥통인 공무원을 뜻하기도 한다.[5] |
| 대추 | 자손 번성[5] |
| 쌀 | 유복한 자산가[5] |
| 떡 | 튼튼하고 복이 많음[5] |
| 돈 | 부자 (억만장자, 백만장자). 카드 (체크카드, 신용카드)나 외국 돈(미국 달러, 중국 위안, 일본 엔)을 놓기도 하며, 외국 돈을 잡으면 외화 벌이에 능하거나 외국계 회사 근무, 해외 이민 후 성공을 의미.[5] |
| 활, 모형 총, 경찰용품, 화살(남아) | 직업군인 (장교, 부사관, 장군) 또는 경찰관[5] |
| 칼 | 요리사 (요리연구가, 셰프, 조리사)[5] |
| 자, 바늘 | 손재주가 뛰어남[5] |
| 책, 먹, 벼루, 붓, 종이, 연필, 공책 | 박사, 학자나 작가 등 공부를 잘하는 문장가. 외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책은 외국어 능통을 의미.[5] |
| 연필 등 필기구 | 교사, 교수 또는 수재[5] |
| 청진기, 약통, 주사기 | 의료인 (의사, 치과의사, 간호사 등)[5] |
| 마이크 | 연예인, 방송기자, 가수, 아나운서 등[5] |
| 법봉 | 법조인 (판사, 검사, 변호사)[5] |
| 계산기 | 금융업 종사자[5] |
| 야구공, 골프공, 테니스공 등 각종 스포츠 용품 | 운동선수. 박세리, 박찬호, 김연아 등 유명 선수 영향으로 특정 용품 인기.[5] |
| 사과 | 먹을 복[5] |
| 마우스 | 컴퓨터 전문가. IT 업계 변화에 따라 인기 변동.[5] |
| 카메라 | 영화감독, 사진작가 등 예술 분야[5] |
| 신문, 카메라 | 언론인, 신문기자 등[5] |
| 지휘봉 | 직업군인, 지휘자, 사업가, 국회의원, 대통령 등 리더십 관련 직책[5] |
| 비행기(비행기모형) | 스튜어디스, 기장 등 항공 관련 직업[5] |
| 福자가 새겨진 종이 | 복이 많음[5] |
| 미니카, 미니어처카 | 운전사, 버스기사, 택시기사, 카레이서 등[5] |
| 망치 | 건축가, 목수 등[5] |
| 게임기 | 프로게이머[5] |
| 바둑판(바둑돌), 보드게임 | 바둑 기사, 장기 기사 등[5] |
| 화투, 트럼프 카드 | 카지노딜러[5] |
| 대본 | 배우, 영화배우, 연극배우, 성우, 스턴트맨, 코미디언 등[5] |
| 선박(선박모형) | 선장, 선원, 조타수, 어부 등[5] |
| 스마트폰(태블릿) | 유튜버, 인플루언서 등[5] |
| 만화책, 펜 | 만화가[5] |
| 성인용품 | 호색한, AV 여배우, AV 남배우, 포르노 배우, 누드 모델, 카사노바 등[5] |
| 농기구 | 농부[5] |
| 지도 | 탐험가, 산악인 등[5] |
| 운동 기구 | 건강하고 튼튼함[5] |
| 악보 | 작곡가, 작사가 등[5] |
| 소고, 악기 | 바이올리니스트, 피아니스트, 연주가, 예술가, 디자이너, 음악인 등[5] |
| 스케치북, 팔레트 | 화가[5] |
| 주판 | 상인[5] |
| 오토바이(오토바이모형) | 우체부[5] |
| 소화기 | 소방관[5] |
| 장난감, 피규어 | 키덜트, 오타쿠[5] |
과거에는 쌀과 실이 인기였지만, 현대에는 마이크나 스포츠 용품 등 부모들이 선호하는 물건을 놓는 경향이 있다. 자손 번성을 상징하는 대추는 덜 중요하게 여겨져 제외되기도 한다.
3. 3. 시대에 따른 변화
과거에는 아기가 돌잡이에서 여러 물건 중 실, 국수를 잡으면 무병장수한다고 여겼고, 쌀을 잡으면 유복한 재산가가, 대추를 잡으면 자손이 번성한다고 해석했다. 떡은 튼튼하고 복이 많음을, 돈은 부자가 될 운명을 상징했다.[5]하지만 시대가 변하면서 돌잡이 품목과 그 의미도 달라졌다. 무병장수는 흔한 일이 되면서 실과 국수는 공무원을 뜻하기도 한다. 돈 외에도 카드, 외국 돈을 놓아 외화 벌이나 외국계 회사 근무, 해외 이민 후 성공을 기원하기도 한다. 마우스는 컴퓨터 전문가를 상징하며 IT 업계의 부침에 따라 인기가 오르내렸다.[5]

부모들은 자녀가 연예인이 되기를 바라며 마이크를, 운동선수가 되기를 바라며 스포츠 용품을, 법조인이 되기를 바라며 법봉을, 의료인이 되기를 바라며 청진기를, 컴퓨터 전문가가 되기를 바라며 마우스 등을 가까이 놓기도 한다.[5]
당나라와 송나라 시대에 돌잡이 풍습은 중국 전역으로 퍼져 유행했다. 원나라와 명나라 시대에는 더욱 유행했으며, 청나라 시대에 와서 주아저우(Zhuazhou)와 시저우(Shizhou)라고 불리게 되었다. 20세기 이후에도 중국 남부와 북부의 여러 도시에서 여전히 돌잡이 의례를 거행하고 있다.
돌잡이에서 예로부터 전해지는 물건은 주판, 돈, 붓이지만, 지역이나 가정에 따라 준비하는 물건은 다양하다.
4. 기타 국가
베트남에서는 ''Thôi nôi''라고 부른다.[3]
일본에서는 ''Erabitori'' (選び取り|에라비토리일본어)라고 부른다.[3]
카자흐스탄에서는 아이의 첫 걸음을 기념하는 투사우케세르(тұсаукесер|투사우케세르kk)를 할 때 돌잡이와 비슷한 행사를 한다. 이는 많은 북한 사람들이 소련으로 추방되었을 때 카자흐스탄으로 유입되면서 유래되었다.[3]
아르메니아 문화의 첫 번째 생일 의식인 Agra Hadig에서도 비슷한 행사를 하는데, 여기서는 행운의 물건을 고른다.[3]
인도의 케랄라 주 코지코드와 말라푸람 지역에서는 ''Pallada''라는 비슷한 행사를 한다. Pallada는 첫 번째 이가 났을 때 하는 행사이다.[3] 행사에서 사용되는 품목 중에는 바나나 잎으로 감싼 달콤한 덤플링인 아다(Ada)가 있는데, 이 행사 이름은 여기서 유래되었다.
몰타 제도에서도 유사한 전통이 행해지는데, Il-Quċċija라고 부른다. 아이의 첫 번째 생일에 다양한 상징적인 물건들을 놓아두고, 아이가 가장 먼저 고른 물건이 미래의 직업이나 생활 방식을 예측한다고 한다.[3]
참조
[1]
웹사이트
Yanshi jiaxun 顏氏家訓 "The Family Instructions of Master Yan"
http://www.chinaknow[...]
[2]
뉴스
The tradition of Zhuazhou
http://www.chinadail[...]
China Daily
2011-02-15
[3]
웹사이트
Pallada
https://m.vanitha.in[...]
[4]
웹사이트
http://www.kwnews.co[...]
[5]
서적
국어
동아출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