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소방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소방관은 화재 진압, 구조,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위험물 관리, 화재 예방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이다. 소방의 역사는 고대 이집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현대에는 공무원으로서 급여를 받으며 재난 대응 및 안전 업무를 수행한다. 소방관은 화재 진압을 위해 물, 거품, 건조제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며, 사다리차, 펌프차 등 다양한 장비를 활용한다. 또한 건물 붕괴, 유해 물질 노출, 정신적 스트레스 등 직업적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개인 보호 장비와 자력 구조 장비를 통해 안전을 확보한다. 전 세계적으로 소방 서비스의 조직 방식, 상근 소방관과 자원봉사자의 비율, 장비와 전술 등이 다양하게 운영되며, 소방관을 소재로 한 다양한 작품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방관 - 소방간부후보생
    소방간부후보생은 소방공무원법에 따라 중앙소방학교장이 매년 시행하는 선발시험을 통해 선발되며, 교관의 명령에 복종하고 품위를 유지하며 명예자치위원회를 통해 자치 활동을 수행한다.
  • 소방관 - 여성 소방관
    여성 소방관은 화재 진압과 구조 활동을 수행하는 여성이며, 과거부터 소방 활동에 참여해 왔으나, 현대에는 여성주의 운동과 법률의 영향으로 진출이 확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낮은 비율과 여러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 소방 - 화재
    화재는 가연물, 산소, 점화원의 조합으로 인해 발생하는 통제되지 않은 연소 현상으로, 원인과 연소 물질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인명 및 재산에 막대한 피해를 초래한다.
  • 소방 - 소방선
    소방선은 해상 화재 진압 및 구조 활동을 위해 설계된 선박이며, 방수총, 소화 설비 등을 갖추고 항만, 하천 등에서 운용되며, 대한민국에서는 해양경비와 소방안전본부 소속 소방정대가 24시간 선박 및 연안 화재, 수난구조 등에 출동한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인류학
    인류학은 인간의 생물학적, 문화적, 사회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형질인류학, 문화인류학, 고고학, 언어인류학 등의 분야로 나뉘어 인간의 진화, 문화적 다양성, 사회 조직, 언어의 기원과 발전을 탐구하며,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소방관
직업 정보
불타는 헛간을 진압하기 위해 협력하는 소방관 팀
불타는 헛간을 진압하기 위해 협력하는 소방관 팀
동의어소방수 (복수: 소방수들)
여성 소방관 (복수: 여성 소방관들)
활동 분야구조
화재 방지
공무원
공공 서비스
공공 안전

2. 역사

역사적 기록상 최초의 소방대는 고대 이집트에서 나타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많은 사람이 불을 끄는 일에 적극적이었으나, 직업적인 소방관이었는지는 불분명하다. 고대 로마 초기에는 노예가 소방 업무를 담당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로마 공화정 시기에는 사적으로 조직되고 자금이 조달된 소방 단체가 활동했다. 이는 공공 서비스라기보다는 기업과 유사한 형태였다. 그러나 원수정 시대에 아우구스투스는 훈련되고 급여를 받으며 국가에서 장비를 지급하는 소방대, 즉 비길레스(Vigiles)를 창설하여 최초의 공공 전문 소방 서비스를 확립했다. 비길레스는 소방 임무 외에도 야간 경비와 도시 경찰 역할도 수행했다.

1910년 캐나다 밴쿠버 소방관들의 화재 출동 모습


미국에서는 뉴욕의 전신인 뉴암스테르담에서 자원봉사 소방대가 처음 조직되었다.[119] 이들은 지역 사회 보호를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한 시민들로 구성되었다. 이후 미국 내 여러 지역에서 자원봉사 소방대가 생겨났다. 1853년에는 오하이오주 신시내티에 미국 최초의 정규 소방서가 설립되었고, 1857년에는 세인트루이스 소방서가 뒤를 이었다. 대도시를 중심으로 출동 건수가 늘어나면서 유급 전임 소방관을 두는 소방서가 증가했다.[120]

현대에 이르러 소방관의 역할은 크게 확장되었다. 과거에는 주로 화재 진압에 집중했지만, 현재는 화재뿐만 아니라 지진, 태풍 등 각종 재난 대응 및 현장 관리, 응급의료 서비스 제공, 긴급 구조 활동 등 다양한 안전 업무를 수행한다. 또한, 현대 소방관은 대부분 공무원 신분으로 급여를 받으며, 시민 누구나 긴급 상황 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 해방 이후 초기 소방관들은 주로 화재 진압 임무를 수행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업무 범위가 넓어져, 현재는 화재 진압은 물론 각종 재난 대응, 인명 구조, 응급 환자 이송 등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3. 업무

소방 조직에 소속된 공무원으로, 흔히 '''소방대원'''이라고도 부른다. 주요 업무는 발생한 화재를 진압하고 위험에 처한 사람을 구하는 인명 구조 활동이다.

화재 진압을 위해 평소 화재 예방을 위한 홍보나 소방시설 점검 등을 수행하며, 실제 화재 시에는 소방차를 타고 현장으로 출동하여 펌프을 끌어올려 방수하거나 소화기를 사용하여 불을 끄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한다. 인명 구조 활동은 화재 현장이나 각종 재난 현장에 남아 있는 사람들을 안전하게 구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때로는 사다리차와 같은 특수 장비를 활용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각종 재난 대응, 구조 활동, 구급대에 의한 구급 이송, 화재 예방을 위한 지도 및 홍보 활동 등 사회 안전을 위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한다.

3. 1. 화재 진압

사다리 슬라이딩을 하는 소방관


불은 연료, 산소, 그리고 이라는 세 가지 요소가 존재할 때 발생하며, 이를 흔히 화재 삼각형이라고 부른다. 때로는 특정 유형의 화재를 지속시키는 화학 연쇄 반응을 네 번째 요소로 추가하여 화재 사면체라고도 한다. 화재 진압의 목표는 이러한 요소 중 하나 이상을 제거하는 것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을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하지만, 일부 화재는 거품이나 건조제와 같은 다른 방법을 필요로 한다. 소방관들은 이 목적을 위해 사다리차, 펌프차, 탱크로리, 소방 호스, 소화기 등 다양한 장비를 갖추고 있다.

구조 화재 시, 화재가 건물의 작은 부분에 국한되더라도 연기, 물, 타는 불씨로 인한 광범위한 부수적 피해가 발생하기 쉽다. 현장에 도착한 소방대는 초기 우선순위로 가스 및 전기와 같은 유틸리티를 차단한다. 또한 건물에 접근하기 위해 강제 진입이 필요할 수 있다. 위험물질이 사용되거나 저장되는 건물에는 특정 절차(NFPA 704)[4]와 장비가 필요하며, 일부 건물 화재 진압에는 해당 건물 구조에 특화된 추가적인 훈련과 전술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립주택 화재는 위험을 줄이기 위해 특정 전술이 필요한 구조 화재 유형 중 하나이다.

구조 화재는 내부 또는 외부 자원, 혹은 둘 다를 사용하여 진압할 수 있다. "2인 2출" 규칙에 따라 내부 진입 대원은 건물 내부에 소방 호스 라인을 설치하고 화재 지점을 찾아 물로 냉각시킨다. 외부 대원은 창문이나 다른 개구부, 또는 초기 화재에 노출된 주변 연료에 물을 뿌릴 수 있다. 다만, 외부에서 건물 개구부를 통해 내부로 직접 물을 분사하는 것은 내부 진압 대원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목재와 같은 가연성 물질로 지어진 건물은 콘크리트 등 비가연성 자재로 지어진 건물과 화재 양상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내화성" 건물은 화재를 특정 구역이나 층으로 제한하도록 설계되어 연기 흡입과 피해를 막고 다른 층의 안전을 유지하는 데 유리하다. 그러나 화재 등급과 관계없이 화재가 의심되거나 발생한 모든 건물은 즉시 대피해야 한다.

구조 화재 대응 시 우선순위는 생명 안전, 사고 안정화, 재산 보호 순이다. 성공적인 화재 진압을 위해 사용되는 전술에는 현장 상황 파악, 문 제어, 조정된 환기, 진입 전 외부 공격 등이 포함된다.

소방대가 구조 화재 현장에 처음 도착하면, 적절한 전략(공세적 또는 방어적)과 전술을 수립하기 위해 현장 상황 파악(Site Size-up)을 실시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내부 진입의 위험성을 평가하는 위험 평가도 수행된다. 상황 파악 결과와 위험 관리 계획이 공세적 전략을 지지할 경우, 사고 지휘관은 건물 진입을 위한 구체적인 전술 목표를 설정하고 표준 공격적 전술 우선순위에 따라 실행 계획을 수립한다.

'''구조 화재 시 사고 우선순위 및 고려 전술'''
구분내용
사고 우선순위생명 안전 – 1차 및 2차 "전부 안전(All Clear)(A/C)" 확인
사고 안정화
재산 보호 – "손실 중지(Loss Stopped)(L/S)" 확인
화재 후 소방관 오염 제거(Decon) 및 고객 안정화 (소방서가 비상 상황 중 제공하는 고객 서비스로, 배차 시점부터 사고 안정 시까지 고객의 안녕을 보장하는 것을 포함)
주요 전술현장 상황 파악 (Site Size-up)
문 제어 (Door Control)
조정된 환기 (Coordinated Ventilation)
진입 전 외부 공격 (Exterior Attack before Entry)



일부 화재 진압 전술은 파괴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특정 목적을 위해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환기는 소방관이 건물의 지붕이나 바닥에 구멍을 내거나(수직 환기), 창문과 벽을 개방하여(수평 환기) 건물 내부의 연기와 뜨거운 가스를 제거하는 작업이다. 이는 내부 가시성을 향상시켜 피해자를 더 빨리 찾는 데 도움을 주며, 유독 가스를 배출하여 갇히거나 의식을 잃은 사람의 생존 가능성을 높인다. 특히 수직 환기는 플래시오버나 역화 상황에서 소방관의 안전 확보에 매우 중요하다. 지붕을 통해 가연성 가스를 배출하면 역화 가능성을 없애고, 열을 제거하여 플래시오버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플래시오버는 강렬한 열(약 482.2°C ~ 약 648.9°C)과 폭발적인 성격으로 인해 소방관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창문을 미리 깨는 등의 조치는 소방관이 건물에 진입하기 전에 역화 가능성을 확인하고 대비할 수 있게 한다. 소방관의 안전은 모든 활동에서 최우선으로 고려된다.

구조 화재 중 재산 보호를 위해 가능한 한 물품들을 방 가운데로 옮기고 방수포 등으로 덮는다. 진압 및 정리 과정에서 발견된 귀중품을 보호하고, 물을 배출하며, 파손된 창문과 지붕을 막는 등의 조치를 통해 추가적인 재산 손실을 막는다.

산불(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부시파이어로 불림)은 일반 화재와 다른 독특한 전략과 전술을 필요로 한다. 오스트레일리아나 미국 같은 나라에서는 의용소방대가 산불 진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산불은 때때로 새로운 식물 성장을 촉진하는 생태적 역할을 하기도 하여, 상황에 따라서는 자연적으로 연소되도록 두기도 한다.[5] 산불 진압의 우선순위는 인명과 재산 손실 방지, 그리고 생태계 피해 최소화이다.

항공기 구조 및 소방(ARFF)은 공항에서 발생하는 비상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전문 분야이다. 항공 사고는 대규모 인명 피해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비상 대응 장비와 인력의 신속한 현장 도착이 매우 중요하다. 공항 소방대는 비상 상황 발생 시 항공기, 승무원, 승객을 화재를 포함한 모든 위험으로부터 신속하게 보호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이들은 항공 연료 화재 진압에 사용되는 특수 소화 약제(발포제, 건조 화학물질, 청정 소화 약제 등) 사용에 대한 고급 훈련을 받는다.

3. 2. 구조

차량 구조 훈련


소방관의 주요 업무 중 하나는 화재 진압과 더불어 위험에 처한 사람을 구하는 인명 구조 활동이다. 소방관은 건물화재 현장이나 교통사고 현장 등 각종 위험한 상황에서 사람들을 구조한다.

때로는 붕괴된 건물이나 밀폐된 공간에서의 구조처럼 복잡하고 특수한 상황에 투입되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전문적인 훈련과 장비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전문성의 중요성 때문에 영국을 포함한 많은 국가의 소방 조직은 스스로를 '소방 구조대'(fire and rescue serviceeng)라고 칭하기도 한다. 뉴욕시 소방국이나 런던 소방청과 같은 대규모 도시의 소방 조직에서는 고급 기술 구조를 전담하는 전문팀을 별도로 운영하기도 한다.

미국과 같은 일부 선진국에서는 건축 기술의 발달과 안전 규정 강화 등으로 건물 화재 발생 건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화재 진압 임무 외에 다른 유형의 구조 활동이 소방관 전체 업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다.[6]

3. 3. 응급 의료 서비스

소방관은 빈번하게 응급의료 서비스를 어느 정도 제공한다. 일부 관할 구역에서는 응급처치가 소방관이 받는 유일한 의료 훈련이며, 의료 관련 출동은 별도의 응급의료기관(EMS)이 책임진다. 다른 곳에서는 소방관이 의료 관련 출동에 대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배경에는 의료 응급 상황의 증가와 화재 발생의 감소라는 중요한 요인이 있다.[6]

이러한 소방서에서는 소방관이 종종 응급구조사 자격을 취득하여 기본 생명 유지술을 제공하고, 드물게는 응급구급사 자격을 취득하여 고급 생명 유지술을 제공하기도 한다. 영국에서는 소방 서비스와 응급의료기관(EMS)이 별도로 운영되는데, 최근에 소방 서비스 공동 대응이 도입되었다.[7] 또 다른 차이점은 소방관이 소방차량으로 출동할지 아니면 응답 차량으로 출동할지 여부이다.[8]

3. 4. 위험물 관리

화학물질 유출 사고 이후의 오염 제거


소방서는 일반적으로 위험물질 사고에 대응하는 주요 기관이다. 위험물질 기술자로 알려진 특수 소방관들은 화학 물질 식별, 누출 및 유출 통제, 오염 제거에 대한 훈련을 받는다.[9]

3. 5. 화재 예방

소방관들이 학교와 지역 행사에서 자주 소방 예방 교육을 실시한다


소방서는 가정과 직장 환경에서 화재를 예방하는 방법에 대한 조언을 대중에게 자주 제공한다. 소방 검사관이나 소방 감독관은 건물이 최신 소방법을 준수하는지 직접 사업장을 검사한다.[10][11] 이는 건물이 화재 확산에 충분히 저항하고 잠재적 위험 요소가 확인되며, 위험도에 상응하는 안전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시행된다.

스프링클러와 같은 화재 진압 시스템은 원치 않는 화재를 제어하고 소화하는 데 효과가 입증되었다. 많은 소방 당국에서는 주택을 포함한 모든 건물에 스프링클러 시스템 설치를 권장한다.[12] 주택에 제대로 작동하는 스프링클러는 화재로 인한 사망 위험을 크게 줄인다.[13] 주택의 일반적인 작은 방은 스프링클러 한두 개로 대부분 감당할 수 있다. 미국에서는 일부 주택 산업 단체가 이익을 위해 1~2가구 주택에 대한 스프링클러 설치 의무화를 막으려고 주 정부 차원에서 로비를 벌이기도 했다.[14][15]

그 외에도 알려진 위험 요소를 줄이고 위험한 행동을 미리 막기 위한 다양한 예방 활동을 펼친다. 발표회 개최, 안전 홍보물 배포, 언론 기고, 공익광고(PSA) 제작, 유동 인구가 많은 장소에 홍보 전시물 설치 등이 그 예이다. 모든 가정에 제대로 작동하는 연기 감지기를 설치하고, 주민들이 적절한 화재 안전 교육을 받으며, 비상시 대피 경로와 집결 장소를 미리 숙지하도록 하는 것은 소방서 예방팀의 중요한 대중 교육 목표이다.

화재 원인 규명 전문가인 화재 조사관은 화재 현장에서 원인을 조사하여 사고인지 방화와 같은 고의적 행위인지 밝혀낸다. 일부 화재 조사관은 방화범으로 의심되는 사람을 직접 조사하고 체포할 수 있는 사법 권한을 갖기도 한다.

4. 직업적 위험

소방관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중요한 임무를 수행하지만, 그 과정에서 다양한 직업적 위험에 직면한다. 이러한 위험은 크게 물리적, 화학적, 정신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물리적 위험으로는 화재 현장의 뜨거운 열기로 인한 화상, 예기치 못한 건물 붕괴, 현장 활동 및 이동 중 발생하는 교통사고, 때로는 시민으로부터의 폭행 등이 포함된다.[21][22][23][24][25][26][27][127] 화학적 위험 요소로는 화재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시안화 수소와 같은 유독 가스와 건축 자재 등에서 나오는 석면,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AHs), 과불화알킬 및 폴리불화알킬 물질(PFAS) 등 각종 유해 물질 및 발암 물질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28][29][30][31][32][33][34][35][71][72][129][130][131] 드물지만 1986년 체르노빌 발전소 화재 진압 당시처럼 방사능 피폭과 같은 특수한 위험 상황에 처하기도 한다.[82]

정신 건강 측면에서도 소방관은 심각한 위험에 노출된다. 참혹한 재난 현장을 반복적으로 목격하면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비롯한 정신 질환을 겪을 위험이 높으며, 이는 우울증이나 자살 충동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92][93][94][95][96][97][98][133][134] 또한, 사이렌이나 각종 장비 소음으로 인한 소음성 난청 및 이명도 흔한 직업병 중 하나이다.[101][102][135][136]

이러한 복합적인 위험 요인들은 소방관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심혈관 질환과 각종 발병률을 높이는 주요 원인이 된다.[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81][128] 이 외에도 호흡기 질환, 정신 질환, 청력 손상 등 다양한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4. 1. 건강 및 안전

소방관은 업무 환경상 다양한 화학물질에 노출될 위험이 있다. 예를 들어, 화재 현장에서 종이, 면화, 플라스틱 등이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시안화 수소 등은 신체의 산소 공급을 방해할 수 있다. 연기나 분진 역시 심장 질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스트레스, 더위, 무거운 장비를 옮겨야 하는 상황도 심장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존 윌슨(John A. Wilson)의 보스턴 소방대 기념비(Firemen's Memorial (Boston))


물리적인 위험 요소도 상당하다. 화재 진압 중 불타는 건물의 벽, 바닥, 천장, 지붕, 트러스 시스템 등이 예기치 않게 붕괴하는 것은 소방관 사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21][22] 건물 붕괴는 종종 예고 없이 발생하여 소방관을 건물 안에 매몰시키거나 고립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모든 소방관은 현장 지휘관과 통신을 유지하고 개인 경보 안전 시스템(PASS) 장치를 착용해야 한다.[21][22] 또한, 미국에서는 소방관 사망 사고의 약 25%가 현장 출동 또는 복귀 중 발생하는 교통사고 때문이며, 현장에서 다른 차량에 의해 부상을 입거나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도로 작업 시 눈에 잘 띄는 반사 조끼 착용이 권장된다.[23] 드물지만 1986년 체르노빌 발전소 화재 진압 당시처럼 방사능 피폭의 위험도 존재한다. 당시 최초 투입된 소방관 중 일부는 현장에서 즉사했으며, 총지휘관 레오니트 텔랴트니코프는 후유증으로 암에 시달리다 사망했다. 현장 활동 중 시민으로부터 폭행을 당하는 경우도 발생하며, 이는 소방관의 안전을 위협하고 임무 집중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24][25][26][27] 화재 진압 후 잔해 정리 작업 시에도 잔불 재점화, 감전, 불안정한 구조물 붕괴 등의 위험이 따른다.[32][36]

소방관들은 이러한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개인 보호 장비(PPE)를 착용한다. 자급식 호흡기(SCBA)는 연기 흡입, 유독가스, 과열된 공기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며, 개인 경보 안전 시스템(PASS) 장치는 소방관이 움직이지 않거나 수동으로 작동시켰을 때 경보를 울려 위치를 알리는 데 도움을 준다. 고층 건물에서의 비상 탈출을 위한 개인용 자력 구조 로프 휴대도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약 9.14m 길이의 로프가 사용된다.[16]

과열로 인한 열 손상(고열)은 소방관들이 겪는 주요 문제 중 하나이다. 단열 성능이 높은 방화복을 착용하고 격렬한 신체 활동을 하기 때문에 체온 조절이 어렵다. 탈수와 열 스트레스는 인지 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어 조기 발견과 관리가 중요하다.[17][18] 생리 상태 모니터링 기술이 개발되어 소방관의 활력 징후, 피로도 등을 측정하여 조기 경고를 보내는 시스템도 연구되고 있다.[17] 또한, 열 노출, 높은 체온, 장시간의 강한 육체 활동은 근육 조직이 파괴되는 횡문근융해증의 위험을 높인다.[19][20]

소방관은 위험물 사고 대응 시 주요 역할을 담당하지만, 이 과정에서 난연제와 같은 유해 물질에 노출될 수 있다.[28] 특히 과불화알킬 및 폴리불화알킬 물질(PFAS)과 같은 화학물질은 신경계 이상 및 암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29] 과거 사용 금지된 유해 화학물질이 유사한 위험성을 가진 새로운 물질로 대체되는 경우도 있어 지속적인 노출 위험이 존재한다.[30] 화재 잔해 정리 작업 중에도 실리카(규폐증, 폐암 유발 가능), 석면(석면폐, 폐암, 중피종 유발 가능), 중금속(베릴륨, 카드뮴, 등),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AHs, 일부 발암성) 등 다양한 유해 물질에 노출될 수 있다.[31][32][33][34][35] 이러한 노출을 줄이기 위해 안전모, 보안경, 방진 마스크(N95) 등 적절한 개인 보호 장비 착용과 환기가 필수적이다.[36][37][38]

9·11 테러 당시 그라운드 제로에서 활동하는 소방관들


소방관의 직무 중 사망 원인 1위는 심장마비와 같은 심혈관계 질환으로, 미국에서는 약 45%를 차지한다.[39] 이는 개인적인 건강 요인 외에도 직업적 노출과 관련이 깊다. 일산화탄소, 시안화 수소와 같은 유독 가스는 체내 산소 운반을 방해하여 저산소증과 심장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연기 속 미세먼지에 대한 만성 노출은 동맥경화증과 연관되며, 소음 노출은 고혈압 및 허혈성 심장 질환에 기여할 수 있다. 스트레스, 열 스트레스, 과도한 신체 활동 역시 심혈관 질환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다.[40] 화재 진압 중 심박수가 급격히 상승하면(빈맥) 혈전이 발생하여 심근 경색을 유발할 수도 있다.[41] 하버드 대학교 공중보건대학원은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가장 높은 직업으로 소방관을 꼽기도 했다.[128]

연기는 소방관을 다양한 발암 물질에 노출시킬 수 있다


발병 위험 또한 중요한 문제이다. 다수의 연구에서 소방관이 특정 암(예: 중피종, 방광암, 전립선암, 폐암, 백혈병)의 발병 위험이 일반인보다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42] [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3] 특히 석면 노출로 인한 중피종 발병률은 일반인보다 두 배 높으며, 젊은 소방관에게서 방광암전립선암 발병률이 높게 나타났다.[61][62] 이는 화재 현장에서 발생하는 발암 물질(벤젠, 폼알데하이드 등 수십 종)[71][72], 석면, 다이옥신[129][130][131], 방사선(알파선, 베타선, 감마선)[82] 등에 반복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유해 물질은 방화복 등 보호 장비를 투과하여 피부로 흡수될 수도 있다.[73][74][75][76][77][78][79][60] 또한, 야간 근무를 포함하는 교대 근무 자체가 국제 암 연구 기관(IARC)에 의해 발암 가능 요인으로 분류되었다.[80] 2022년 IARC는 소방관으로서의 직업적 노출을 "인체에 발암성이 있음"(Group 1)으로 공식 분류했다.[81] 산불 진압 소방관 역시 연기 흡입으로 인한 폐암 위험 증가 가능성이 제기되었다.[84] 소방관의 암 발병률 연구는 데이터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미국에서는 2018년 소방관 암 등록 법안이 통과되어 CDC 주도로 관련 데이터 수집이 진행 중이다.[89][90][91]

정신 건강 문제도 심각하다. 소방관들은 참혹한 재난 현장을 자주 목격하기 때문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발병 위험이 높다.[92][93][133][134]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불안, 과민성, 집중력 저하 등을 유발하며 우울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97] 이로 인해 자살 충동 및 실제 자살률도 높은 편으로 보고된다.[94][95][96][98] 불규칙하고 긴 근무 시간(예: 24시간 근무 후 72시간 휴식 등)[100]은 가족과의 관계나 개인 생활에 영향을 미쳐 스트레스를 가중시키고, 수면 장애를 유발하기도 한다.[76]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약물이나 알코올에 의존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99]

소음성 난청(NIHL) 및 이명 역시 소방관의 직업병 중 하나이다.[101][102][135][136] 사이렌, 화재 경보기, 각종 장비 작동음 등 높은 수준의 소음에 자주 노출되기 때문이다. 응급 차량 이동 시 소음은 103~114 dBA에 달하며, 사이렌 소리는 약 120 dBA에 이른다. 이러한 고강도 소음은 짧은 시간 노출되더라도 영구적인 청력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103][104] 청력 손실은 의사소통 장애를 유발하여 현장 활동의 안전 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101], 청력 보호구(귀마개, 통신 기능 내장 HPD 등) 사용과 정기적인 청력 검사가 중요하다.[102]

이 외에도 화상, 특히 손등이나 얼굴, 목 부위의 화상 위험이 높다.[127]

4. 2. 대한민국 소방관의 직업적 위험

소방관은 직무 수행 중 다양한 위험에 노출된다. 화재 현장의 고열로 인해 화상을 입기 쉬우며, 특히 손등이나 얼굴, 목, 기도 등 머리 부근에 자주 발생한다.[127] 또한, 화재나 재난 현장에서 건물 붕괴 위험에 노출된다.

신체적 질병 위험 또한 높다. 하버드대학교 공중보건대학원 연구 결과, 소방관은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가장 높은 직업군으로 나타났다.[128] 화재 시 발생하는 석면, 다이옥신과 같은 유해 물질이나 방사선 노출 빈도가 높아 악성종양(암) 발병 위험 역시 높으며,[129][130][131] 특정 상황에서는 이러한 위험이 더욱 커질 수 있다.[132]

정신 건강 문제에 노출될 위험도 크다. 재난 현장에서 참혹한 부상이나 사망 장면을 자주 목격하여 PTSD 등 정신질환 발병 가능성이 크다.[133][134] 또한, 사이렌, 화재경보기, 각종 소방 장비 작동음 등 지속적인 소음 노출로 인해 소음성난청이 발생할 수 있다.[135][136]

5. 계급

많은 국가의 소방 조직은 군대경찰과 유사한 계급 및 지휘 체계를 갖추고 있다. 소방관의 권한은 일반적으로 제한적이지만, 일부 국가나 특정 직책(예: 소방특별조사 담당자)의 경우 법 집행과 관련된 권한을 갖기도 한다. 일부 소방 안전 담당자(소방감 또는 소방 안전 검사관 등)는 규제 및 비상 상황에서의 집행 및 통제 업무와 관련하여 광범위한 경찰 권한을 가지기도 한다. 드물게 미국의 일부 소방감이나 모나코의 모나코 소방대처럼 화기를 소지하는 경우도 있다.

소방 조직의 기본 단위 명칭과 구조는 국가마다 다르다. 예를 들어, 미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는 기본 단위를 '중대(company)'라고 부르며, 같은 소방차에 근무하는 인원들로 구성된다. 중대는 다시 같은 교대 근무를 하는 '반(platoon)' 또는 '소대(squad)'로 나뉜다. 영국과 영연방 국가들의 소방서에서는 '근무(watch)' 패턴을 중심으로 조직되며, 여러 개의 근무조가 교대로 근무하고 각 소방차나 특수 장비별로 '반(crew)'을 구성하기도 한다.[118]

각 국가별 구체적인 소방관 계급 체계는 차이가 있다.

5.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소방 및 대한민국 소방공무원의 계급 목록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대한민국 소방공무원의 계급은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의 소방 조직은 다른 여러 국가들처럼 군대경찰과 유사한 지휘 체계를 갖추고 있다. 소방공무원은 일반적으로 경찰과 같은 광범위한 사법 권한을 가지지는 않지만, 화재 예방이나 안전 점검과 관련된 특정 업무(예: 소방특별조사)에서는 관련 법규에 따라 제한적인 조사 및 명령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 소방 활동의 기본 단위는 보통 '팀' 또는 '반'으로 구성되며, 교대 근무 형태로 운영된다.[118]

5. 2. 일본

일본 소방관의 계급은 다음과 같다.

일본의 소방공무원 채용은 소방본부 단위로 이루어진다. 도쿄 소방청 東京消防庁|도쿄 쇼보초일본어의 예를 들면, 모집은 대학교 졸업 수준을 대상으로 하는 I류, 전문대학 졸업 수준의 II류, 고등학교 졸업 수준의 III류, 그리고 법률, 건축, 전기, 화학 등의 전문 지식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전문 분야로 나뉘어 진행된다. 소방공무원 채용 시험은 1차 시험과 2차 시험의 두 단계로 실시된다. 1차 시험에서는 일반교양 시험과 논술 시험과 같은 필기 시험이 시행된다. 도쿄 소방청 東京消防庁|도쿄 쇼보초일본어 이외의 지자체 소방공무원의 일반교양 시험 출제 경향은 시·군·구청 직원 채용 시험의 일반교양 시험과 동일하며, 일반 행정직과 소방직의 1차 시험 시기가 같은 경우 일반교양 시험 문제도 같다. 도쿄 소방청 東京消防庁|도쿄 쇼보초일본어의 일반교양 시험은 자연과학 출제 비중이 높아, 일반교양 시험 45문항 중 9~10문항이 출제된다. 소방공무원 채용 시험의 난이도는 「경찰공무원 채용 시험」, 「시청 직원 채용 시험」과 거의 동일하다.[124]

채용 시험에 합격하면 모두 소방학교에 입교한다. 교육 기간은 전문 분야와 III류가 9개월, II류와 I류는 1년이다. 소방학교에서는 소방의 기초 지식, 기술, 체력 등을 익히는 동시에 소방 활동에 필요한 국가 자격증도 취득한다. 소방학교를 졸업하면 각 소방서에 배치되고, 일정한 실무 경험을 쌓은 후 "구급 업무를 하고 싶다", "소방차 운전을 하고 싶다" 등의 희망을 제출하면, 근무 실적 등을 고려하여 전문적인 교육을 받게 된다. 전문가를 양성하는 교육은 화학, 의학, 외국어, 헬리콥터 조종 등 총 80종류 이상이 있다고 한다.[124]

일본에서 "소방사"는 소방공무원 중에서 소화, 구급, 구조, 조사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소방관의 10개 계급 중 최하위 계급이다(경찰관의 계급으로 치면 순경에 해당한다). 소방관의 계급은 총무성 소방청이 정하는 소방관의 계급 기준 제1조에 규정되어 있으며, 전국의 소방본부를 설치하는 시정촌에서는 이 기준에 따라 소방관의 계급을 정하고 있다.

소방공무원은 소방서에 배치되기 전에 소방학교에서 학생으로서 소방 활동에 필요한 지식을 배우거나 훈련을 받게 되는데, 이때의 계급은 소방사이다. 학비는 무료이다. 소방사의 계급장은 검은 바탕에 금띠가 한 줄, 그 위에 소방 휘장이 하나 있다.

일반적으로 소방공무원 전체를 소방사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지만, 일본에서는 정확하게는 소방본부에 근무하는 공무원은 소방공무원이며, 그중에서 소화, 구급, 구조, 조사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이 소방관이고, 그 소방관의 가장 낮은 계급이 소방사이다. 경찰관이나 자위관과의 유추에서 "소방관"이라는 호칭이 당국의 공식 문서(예를 들어 소방본부의 직원 모집 포스터)에서도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5. 3. 미국

미국의 소방관 계급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나뉜다.

  • 소방국장(chief)
  • 소방부국장(deputy chief)
  • 소방방면대장(division chief)
  • 소방대장(battalion chief)
  • 소방경(captain)
  • 소방위(lieutenant)
  • 소방장(engineer/technician/sergeant)
  • 소방관(firefighter)


많은 미국의 소방관들은 군대 또는 경찰과 유사한 지휘 구조를 가진 선서된 구성원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인 경찰 권한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일부 소방관들은 소방 경찰처럼 제한적인 경찰 권한을 가지기도 한다. 또한, 일부 소방 안전 담당자(소방감 또는 소방 안전 검사관 등)는 규제 및 비상 상황에서의 집행 및 통제 업무와 관련하여 광범위한 경찰 권한을 가진다. 일부 국가에서는 소방관이 화기를 소지하거나 접근할 수 있는데, 미국 내 일부 소방감과 모나코의 군사 부대인 모나코 소방대(Corps des Sapeurs-Pompiers) (민간 소방 지원 제공)가 이에 해당한다.

미국에서 소방관의 기본 단위는 "중대(company)"로 알려져 있으며, 구성원들은 일반적으로 같은 소방차에서 근무한다. "반(platoon)" 또는 "소대(squad)"는 같은 교대 근무를 하는 중대의 하위 부서를 의미한다.[118]

6. 전 세계의 소방

국가별로 소방 서비스는 조직 방식, 상근 소방관과 자원봉사자의 비율, 사용하는 장비와 전술, 응급 의료 서비스(EMS) 관여 정도 등에서 다양한 차이를 보인다.

일반적으로 포괄적인 소방 서비스를 갖춘 국가에서는 어떤 시간이든 응급 상황 발생 시 소방관을 파견하여 몇 분 안에 현장에 도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운영한다. 도시 지역에서는 이를 위해 상근 유급 소방관들이 교대 근무를 통해 24시간 근무 체제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서비스 수요가 적은 작은 마을이나 외딴 지역에서는 상근 소방관을 고용하는 것이 비효율적일 수 있어, 평소에는 다른 직업을 가지면서 응급 상황 발생 시 호출을 받고 출동하는 자원봉사 소방관이나 호출 소방관(on-call firefighter) 제도를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107][108]

소방관의 유급 여부 및 상근/자원봉사 비율은 국가별로 큰 차이를 보인다. 미국독일에서는 민간 소방대가 시골 지역 소방의 상당 부분을 담당한다. 미국의 대도시 소방서는 거의 전적으로 상근 소방관으로 구성되지만,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는 베를린과 같이 인구가 많은 도시에서도 자원봉사 소방관들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110] 영국[107]아일랜드[109]에서는 순수한 의미의 자원봉사자는 드물다. 대신 "상근 소방관"(retained firefighter)이라 불리는 호출 소방관들이 사건 대응에 대한 급여와 장시간 대기에 대한 수당을 받는다.[107][108] 영국의 통합 소방 서비스는 약 18,000명의 이러한 호출 소방관을 유지하고 있으며[107], 영국과 아일랜드 모두 이들이 전체 소방 인력의 다수를 차지한다.[109] 이들의 훈련, 자격, 활동 범위는 전일제 상근 소방관과 유사하며[107], 소방서로부터 일정 반경 내(영국 약 1.61km[108], 아일랜드 약 3.22km[109])에 거주하거나 근무해야 하는 조건을 갖는다. 한편, 칠레페루에서는 모든 소방관이 자원봉사자로만 구성되어 있다.[111] 작은 도시 지역에서는 상근 소방관과 자원봉사/호출 소방관이 함께 근무하는 혼합형 소방서(미국에서는 combination fire department) 형태도 흔히 볼 수 있다.

소방 서비스의 조직 구조 또한 국가마다 다르다. 체코, 이스라엘, 뉴질랜드와 같은 국가는 단일 국가 소방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반면 호주, 영국, 프랑스 등은 지역 또는 하위 국가 단위(주, 지방 등)로 소방 서비스를 조직한다. 미국, 오스트리아, 독일, 캐나다에서는 소방서가 일반적으로 지방 자치 단체 수준에서 운영된다.

파리 소방대는 프랑스 육군 부대로, 파리와 특정 국가 전략적 중요 지역의 소방 서비스를 담당한다.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화재 진압 중인 소방대원들


자카르타에서 교통사고를 처리하고 있는 인도네시아 소방대원들


일부 국가에서는 특이한 방식으로 소방 인력을 확보하거나 운영하기도 한다. 싱가포르스위스의 많은 지역에서는 소방 서비스 징병(Compulsory Fire Service) 제도가 존재한다.[112][113] 독일에서도 필요한 경우 소방 서비스 인력 확보를 위해 징병제를 활용할 수 있다. 덴마크에서는 대부분의 소방 서비스를 민간 기업이 운영하며[115], 프랑스의 파리 소방대와 마르세유 해군 소방대대는 군대 소속이다. 마찬가지로 모나코의 국가 소방 서비스는 모나코 군대의 일부이며, 민방위 작전 중 소방관이 사용할 수 있도록 권총을 보유하고 있다.

소방 장비와 전술의 성격 역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하다. 예를 들어, 미국 소방서는 고가 사다리차(aerial appliances)를 더 많이 활용하며, 종종 엔진 소방대(화재 진압 주력)와 사다리 소방대(구조 및 환기 주력)로 역할이 나뉜다. 반면, 도로 폭이 좁은 경우가 많은 유럽에서는 고가 사다리차의 크기와 유용성이 제한되어 주로 구조 작업에 사용되며, 소방관들이 엔진과 사다리차 업무를 번갈아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114][115] 마지막으로, 소방관들이 응급 의료 서비스에 얼마나 관여하는지 그 범위와 역할도 국가별로 차이가 있다.

7. 소방 장비

소방관은 화재 진압, 구조, 구급 등 현장 활동을 위해 다양한 장비를 사용한다. 기본적인 개인 보호 장비부터 특수한 상황에 필요한 전문 장비까지 그 종류가 다양하다.

'''개인 보호 장비 (PPE)'''

소방관은 위험한 현장 환경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개인 보호 장비를 착용한다. 주요 개인 보호 장비는 다음과 같다.


  • 방화복: 열과 화염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특수 재질의 상하의. 방수 및 방열 기능이 중요하다.
  • 소방 헬멧: 낙하물이나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며, 안면 보호를 위한 마스크나 바이저가 부착되어 있다.
  • 소방두건: 방화복과 헬멧 사이의 노출 부위(목, 귀 등)를 보호하는 두건. 노멕스와 같은 난연성 소재로 만들어진다.
  • 안전화: 무거운 물체나 날카로운 물체로부터 발을 보호하고, 미끄럼 방지 및 방수 기능이 있는 특수 신발.
  • 소방장갑: 열, 절단, 찔림 등으로부터 손을 보호하는 장갑.
  • 자체 공기 호흡 장치 (SCBA): 유독 가스나 연기가 가득한 환경에서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는 장비. 공기통, 마스크, 압력 조절기 등으로 구성된다.
  • 개인 경보 안전 시스템 (PASS) 장치: 소방관이 일정 시간 움직이지 않거나 수동으로 작동시키면 큰 경보음을 울려 위치를 알리는 장치. 고립되거나 부상당했을 때 구조 신호 역할을 한다.


MOPP 4단계 보호 장비를 착용한 터키 소방관들(인저를릭 공군기지, 튀르키예)에서의 훈련 중


'''휴대용 공구 및 구조 장비'''

화재 진압 및 인명 구조를 위해 다양한 휴대용 공구를 사용한다.

  • 도끼: 문이나 벽을 파괴하여 진입로를 확보하거나 장애물을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 평두리 도끼와 곡괭이형 도끼가 있다.
  • 파이크 폴: 천장이나 벽을 부숴 내부 구조를 확인하거나 숨겨진 불씨를 찾는 데 사용되는 긴 장대 모양의 도구.
  • 할리건 바: 잠긴 문을 강제로 열거나, 창문을 깨거나, 무거운 물체를 들어 올리는 등 다용도로 사용되는 금속 지렛대.
  • 손전등: 어두운 현장에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필수 장비.
  • 절단 장비: 원형톱(일명 K-12), 체인톱 등은 금속 문, 철근, 콘크리트 등을 절단하여 구조 공간을 확보하는 데 사용된다.
  • 유압 구조 장비: 교통사고 현장 등에서 차량 문이나 구조물을 벌리거나(스프레더), 절단하거나(커터), 밀어내는(램) 데 사용하는 강력한 유압 장비.


시범에서 유압 커터를 사용하는 소방관


'''기타 장비'''

  • 소방 호스: 수원(소화전, 펌프차 등)과 연결하여 화재 현장에 물을 공급하는 장비.
  • 통신 장비: 휴대용 무전기, 호출기 등은 현장 지휘관과 대원 간, 또는 대원 상호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필수적이다.
  • 열화상 카메라: 연기 속에서도 열원을 감지하여 화점이나 요구조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
  • 가스 감지기: 현장의 유독 가스나 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위험 상황을 미리 파악하고 대처하는 데 도움을 준다.
  • 화재 진압 차량: 펌프차, 물탱크차, 사다리차 등은 화재 진압 및 구조 활동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소방차이다.


이 외에도 소방관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소화기, 로프, 들것 등 수많은 장비를 활용하여 임무를 수행한다.

8. 소방관 관련 작품

소방관을 소재로 하거나 주요 인물로 등장시키는 작품은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소설, 만화, 희곡, 아동 도서 등 다양한 매체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영화 ===


  • 미국 소방관의 삶 (1903)
  • 찰리 채플린의 소방관 (1916)
  • 거리의 등불의 높은 망루 (His First Flame영어) (1927) [137][138][139]
  • 푸른 불꽃 (Blue Blazes (1936 film)영어) (1936) [140][141][142]
  • 타워링 인페르노 (1974)
  • 소방관: 여성 소방관 이야기 (Firefighter (film)영어) (1986) [143]
  • 백드래프트 (1991)
  • 리베라 메 (2000)
  • 콜래터럴 데미지 (2002)
  • 불꽃의 추억 (2004)
  • 온리 더 브레이브 (2017)
  • 백드래프트 2: 파이어 체이서 (2019)
  • 모에카레는 오렌지색 (2022)
  • 노틀담 대성당 (2022)


=== 애니메이션 ===

  • 미키의 소방수 (The Fire Fighters영어) (1930) [144]
  • 미키의 소방대 (Mickey's Fire Brigade영어) (1935) [145]
  • 소방서의 대영웅 화재 현장의 바카야로 (1999) (OVA)
  • 파이어하트 (Fireheart영어) (2022) (영화)
  • 소방영웅 피닉스 (TV 시리즈)
  • * 1기 (2019)
  • * 2기 (2020)
  • * 3기 1쿨 (2025 예정)[146]
  • * 3기 2쿨 (2026 예정)[146]
  • 구조대원 오고 구국의 오렌지 (2023–2024) (TV 시리즈)


=== 드라마·특촬 ===

  • 소방관 이야기 바람에 서서 (1981년–1982년)
  • 긴급구조대 고고파이브 (1999년–2000년) (특촬)
  • 소방대원 여인
  • * 간사이TV판 (2000년)
  • * NHK판 (2004년)
  • 화재 조사관 홍련지로 (2003년–2015년)
  • 파이어 보이스 ~메구미의 다이고~ (2004년)


=== 소설 ===

  • 염상 남자들은 뛰어들었다 ― 「호텔 뉴 재팬」전설의 소방관들 (2002)[150]
  • 소방 여인!! 여성 소방관·고야나기 란의 탄생 (2012)
  • 화염의 탑 (2018)[147]
  • 화재 조사관 (2018)[148]


=== 만화 ===

  • 수르가의 라이타 (1991–1992)[149]
  • 메구미의 다이고 (1995–1999)
  • 소방수 처녀 (1998–2004)
  • 홍련지로·화염의 프로파일 (1998–2009)
  • 화재 조사관 나나세 (2005-2007)
  • 파이어 걸 (2013-2015)
  • 소방 여성!! (2013?)
  • 타케야부야케타 (2015?-?)[151]
  • 엔엔노 쇼보타이 (2015-2022)
  • 모에카레는 오렌지색 (2016–)
  • 손끝에서 본심의 열정~차라남 소방관은 똑바른 눈으로 나를 껴안았다~ (2018–)
  • 메구미의 다이고 구국의 오렌지 (2020–)
  • 소방관
  • * 소방관 (2020)
  • * 소방관 -파괴의 꽃, 창조의 소리- (2022)
  • * 소방관 -지하로부터의 탈환- (2022)
  • * 소방관 -다섯 번째 기둥- (2023)
  • 신명의 레스큐 (2023–)[152]


=== 희곡 ===

  • 오렌지 (2004)


=== 아동 도서 ===

  • 소방차 짚타 (1966)
  • 작은 소방차 (1970)[153]
  • 직업 이야기 소방관 비밀 특훈 (2016)[154]

참조

[1] 웹사이트 BBC in sexism row over cartoon hippo in Hey Duggee who wants to be a fireman https://www.express.[...] 2018-01-04
[2] 웹사이트 London Fire Brigade accuses BBC of sexism over use of term 'fireman' in children's show Hey Duggee https://www.standard[...] 2018-01-03
[3] 웹사이트 Fire Academy http://publicsafetye[...] 2016-03-10
[4] 웹사이트 Hazardous Materials identification https://www.nfpa.org[...] 2023-11-29
[5] 웹사이트 Forest Fire in Canada http://fire.cfs.nrca[...] Natural Resources Canada 2008-06-05
[6] 뉴스 Plenty of firefighters, but where are the fires? https://www.bostongl[...] 2017-09-22
[7] 웹사이트 News http://www.london-fi[...] 2018-05-05
[8] 웹사이트 Surrey firefighters called to almost 300 medical emergencies during co-responding trial https://www.getsurre[...] Surrey Advertiser 2018-09-03
[9] 웹사이트 NFPA 1072 Hazardous Materials Technician https://festi.ca/eme[...] 2023-12-13
[10] 웹사이트 NFPA 5000 Building Construction and Safety Code https://www.nfpa.org[...] 2018-07-08
[11] 웹사이트 Overview of the International Fire Code https://www.iccsafe.[...] 2015-03-20
[12] 웹사이트 NFPA Fire Sprinkler Initiative https://www.nfpa.org[...] 2018-07-08
[13] 뉴스 Research Shows Residential Sprinklers Save Lives https://www.firehous[...] SAGE Journal 2018-07-08
[14] 뉴스 The Fire Sprinkler War, State by State https://www.propubli[...] 2018-07-08
[15] 웹사이트 Anti-sprinkler legislation https://www.nfpa.org[...] 2018-07-08
[16] 뉴스 3 Firefighters Die in Blazes in Brooklyn and Bronx https://www.nytimes.[...] 2005-01-24
[17] 웹아카이브 BioHarness BT http://www.zephyr-te[...] Zephyr Technologies 2010-04-07
[18] 웹사이트 OSHA Technical Manual (OTM) - Section III: Chapter IV: Heat Stress https://www.osha.gov[...] Osha.gov 2012-12-10
[19] 웹사이트 What structural fire fighters need to know about rhabdomyolysis. https://www.cdc.gov/[...] NIOSH 2018-05-01
[20] 웹사이트 What wildland fire fighters need to know about rhabdomyolysis. https://www.cdc.gov/[...] 2018-05-01
[21] 간행물 Preventing Injuries and Deaths of Fire Fighters due to Structural Collapse https://www.cdc.gov/[...]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1999-08
[22] 간행물 Preventing Injuries and Deaths of Fire Fighters Due to Truss System Failures https://www.cdc.gov/[...]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2005-05
[23] 문서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DOT 23CFR634 Worker Visibility
[24] 웹사이트 Rapid Response: Firefighters describe alarming moments during riots https://www.fireresc[...] 2020-12-05
[25] 학술지 A Systematic Review of Workplace Violence Against Emergency Medical Services Responders 2019-12-16
[26] 학술지 Workplace violence and mental health of paramedics and firefighters http://hdl.handle.ne[...] 2019-04-02
[27] 학술지 A Systematic Review of Workplace Violence Against Emergency Medical Services Responders 2020-02
[28] 학술지 Impact of "healthier" materials interventions on dust concentrations of per- and polyfluoroalkyl substances,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and organophosphate esters 2021-05
[29] 학술지 Organophosphate Flame Retardants and Perfluoroalkyl Substances in Drinking Water Treatment Plants from Korea: Occurrence and Human Exposure 2021-03-05
[30] 학술지 Associations between polyfluoroalkyl substance and organophosphate flame retardant exposures and telomere length in a cohort of women firefighters and office workers in San Francisco 2021-12
[31] 웹사이트 Evaluation of fire debris cleanup employees' exposure to silica, asbestos, metals, and polyaromatic hydrocarbons https://www.cdc.gov/[...] 2019-08
[32] 웹사이트 Worker Safety and Health During Fire Cleanup https://www.dir.ca.g[...] 2020-03-27
[33] 웹사이트 Health effects of occupational exposure to respirable crystalline silica. https://www.cdc.gov/[...] NIOSH 2017-05-13
[34] 법규 Code of Federal Regulations 29 CFR 1910.1001
[35] 문서 IARC 2002
[36] 웹사이트 Worker Safety During Fire Cleanup https://www.cdc.gov/[...] 2012-12-27
[37] 웹사이트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During Fire Cleanup Operations https://www.dir.ca.g[...] 2020-03-28
[38] 웹사이트 Respiratory Protection During Fire Cleanup https://www.dir.ca.g[...] 2020-03-28
[39] 논문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11-07-17
[40] 간행물 Preventing Fire Fighter Fatalities Due to Heart Attacks and Other Sudden Cardiovascular Events https://www.cdc.gov/[...]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2007-07
[41] 웹사이트 CardioChemRisksModernFF_InterimReport2016 https://www.fsi.illi[...] University of Illinois
[42] 논문 Mortality and cancer incidence in a pooled cohort of US firefighters from San Francisco, Chicago and Philadelphia (1950–2009) 2014-06
[43] 논문 Cancer Risk Among Firefighters: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32 Studies http://journals.lww.[...] 2006-11
[44] 서적 Painting, Firefighting, and Shiftwork. https://www.worldcat[...]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2010
[45] 논문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among Firefighters: An Overview of Epidemiologic Systematic Reviews 2021-03-03
[46] 논문 Health Risks of Structural Firefighters from Exposure to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1-01
[47] 논문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among firefighters 2019-11-15
[48] 논문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in Firefighters: A State-of-the-Art Review and Meta-َAnalysis http://journal.waocp[...] 2019-11-01
[49] 논문 Cancer risks of firefighte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secular trends and region-specific differences 2020-10
[50] 논문 Cancer risk among career male and female Florida firefighters: Evidence from the Florida Firefighter Cancer Registry (1981-2014) 2020-04
[51] 논문 Mortality in a cohort of US firefighters from San Francisco, Chicago and Philadelphia: an update 2020-02
[52] 논문 Cancer morbidity of professional emergency responders in Korea http://oem.bmj.com/c[...] 2012-09
[53] 논문 French firefighter mortality: Analysis over a 30-year period 2015
[54] 논문 Mortality and cancer incidence in a cohort of male paid Australian firefighters https://oem.bmj.com/[...] 2016-11-01
[55] 논문 Mortality and cancer incidence among male volunteer Australian firefighters https://oem.bmj.com/[...] 2017-09
[56] 논문 Mortality and cancer incidence among female Australian firefighters https://pubmed.ncbi.[...] 2019-04
[57] 논문 Surveillance of cancer risks for firefighters, police, and armed forces among men in a Canadian census cohort 2018-10
[58] 논문 Long-term follow-up for cancer incidence in a cohort of Danish firefighters https://oem.bmj.com/[...] 2018-04
[59] 논문 Mortality in a cohort of Danish firefighters; 1970–2014 http://oem.bmj.com/c[...] 2018-08
[60] 논문 Cancer incidence among firefighters: 45 years of follow-up in five Nordic countries https://oem.bmj.com/[...] 2014-06
[61] 웹사이트 Is There a Link Between Firefighting and Cancer? – Epidemiology in Action http://blogs.cdc.gov[...]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2014-12-17
[62] 웹사이트 Study of Cancer among U.S. Fire Fighters https://www.cdc.gov/[...]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2014-07-25
[63] 논문 Exposure-response relationships for select cancer and non-cancer health outcomes in a cohort of US firefighters from San Francisco, Chicago and Philadelphia (1950-2009)
[64] 논문 Wood smoke exposure of Portuguese wildland firefighters: DNA and oxidative damage evaluation 2017-08-03
[65] 논문 Hydroxylate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as biomarkers of exposure to wood smoke in wildland firefighters 2015-11-11
[66] 논문 Association between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exposure and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DNA damage in human volunteers during fire extinction exercises https://academic.oup[...] 2018-02-24
[67] 논문 Elevated Exposures to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and Other Organic Mutagens in Ottawa Firefighters Participating in Emergency, On-Shift Fire Suppression https://pubs.acs.org[...] 2017-11-07
[68] 논문 515 Use of urinary biomarkers and bioassays to evaluate chemical exposure and activation of cancer pathways in firefighters https://oem.bmj.com/[...] 2018-04-01
[69] 논문 MicroRNA Changes in Firefighters https://journals.lww[...] 2018-05
[70] 논문 Levels of urinary biomarkers of exposure and potential genotoxic risks in firefighters CRC Press 2018-03-14
[71] 논문 Advisory Group recommendations on priorities for the IARC Monographs 2019-06-01
[72] 논문 Painting, firefighting, and shiftwork 2010-01-01
[73] 논문 Environmental study of firefighters
[74] 논문 Characterization of Firefighter Exposures During Fire Overhaul 2000-09-01
[75] 논문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Smoke at Municipal Structural Fires 2001-07-15
[76] 논문 Contamination of firefighter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nd skin and the effectiveness of decontamination procedures 2017-10-03
[77] 논문 Firefighter hood contamination: Efficiency of laundering to remove PAHs and FRs 2019-02-01
[78] 논문 Assessment of the toxicity of firefighter exposures using the PAH CALUX bioassay 2020-02-01
[79] 논문 Firefighters' absorption of PAHs and VOCs during controlled residential fires by job assignment and fire attack tactic 2020-03-01
[80] 웹사이트 IARC Monographs Volume 124: Night Shift Work – IARC https://www.iarc.who[...] 2022-09-01
[81] 논문 Carcinogenicity of occupational exposure as a firefighter 2022-07-01
[82] 논문 Painting, firefighting, and shiftwork 2010-01-01
[83] 웹사이트 Firefighters :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https://www.bls.gov/[...] 2022-02-01
[84] 논문 Wildland firefighter smoke exposure and risk of lung cancer and cardiovascular disease mortality 2019-06-01
[85] 논문 Mortality and cancer incidence at a fire training college 2016-10-01
[86] 논문 Risk of cancer among firefighters in California, 1988-2007 2015-05-06
[87] 논문 Cancer risk among career male and female Florida firefighters: Evidence from the Florida Firefighter Cancer Registry (1981-2014) https://pubmed.ncbi.[...] 2020-04-01
[88] 논문 Cancer incidence in Florida professional firefighters, 1981 to 1999 https://pubmed.ncbi.[...] 2006-09-01
[89] 웹사이트 Firefighter Cancer Registry Act of 2018 (2018 - H.R. 931) https://www.govtrack[...] 2022-05-09
[90] 웹사이트 National Firefighter Registry https://www.cdc.gov/[...] 2022-11-08
[91] 웹사이트 The National Firefighter Registry: An update on the plan to track firefighter cancer https://www.fireresc[...] 2022-03-17
[92] 뉴스 Fire fighters' battle with PTSD: "Every day is an anxious day" https://www.theguard[...] 2017-08-23
[93] 논문 Rescuers at risk: a systematic review and meta-regression analysis of the worldwide current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PTSD in rescue workers 2012-06-01
[94]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suicidal thoughts and behaviors among police officers, firefighters, EMTs, and paramedics
[95] 논문 Career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suicidal thoughts and behaviors among firefighters
[96] 논문 Why are suicide rates higher for farmers and firefighters than for librarians? http://www.nordiclab[...]
[97] 뉴스 Health & Wellness: How Firefighters Can Manage Stress https://www.firehous[...] 2018-09-11
[98] 뉴스 Stress takes heavy toll on firefighters, experts say https://www.usatoday[...] 2018-09-11
[99] 웹사이트 Special report: Firefighter behavioral health - NFPA Journal https://www.nfpa.org[...] 2018-09-11
[100] 웹사이트 9 sources of firefighter stress https://www.fireresc[...] 2019-11-26
[101] 논문 Hazardous Decibels: Hearing Health of Firefighters 2007-08-01
[102] 논문 Noise and Hearing Loss in Firefighting https://www.ncbi.nlm[...] 1995-01-01
[103] 웹사이트 NIOSH/Criteria for a Recommended Standard--Occupational Noise Exposure, 1998 http://www.nonoise.o[...]
[104] 웹사이트 Noise exposure computation - 1910.95 App 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https://www.osha.gov[...]
[105] 논문 Occupational exposure to chemicals and hearing impairment. The Nordic Expert Group for Criteria Documentation of Health Risks from Chemicals. 44 (4): 177. https://gupea.ub.gu.[...] 2010-01-01
[106] 논문 Firefighters' noise exposure: A literature review 2014-01-06
[107] 웹사이트 Retained Firefighters https://www.fireserv[...] UK Fire Service Resources Ltd 2021-08-12
[108] 웹사이트 Job Profile - Firefighter https://www.prospect[...] JISC (Joint Information Systems Committee) 2021-08-12
[109] 웹사이트 Firefighter https://gradireland.[...] GradIreland (GTI Ireland) 2021-08-12
[110] 웹사이트 Organisation – ÖBFV https://web.archive.[...]
[111] 뉴스 Chile's firefighters in spotlight after Valparaiso blaze https://www.bbc.co.u[...] 2014-04-29
[112] 웹사이트 Die Schweizer Feuerwehren https://web.archive.[...] 2016-08-23
[113] 웹사이트 SCDF Website - GENERAL: About Us https://web.archive.[...] 2018-08-28
[114] 웹사이트 United States vs. Europe https://www.fireappa[...] Fire Apparatus 2016-06-07
[115] 웹사이트 Fire Commentary: European Firefighting Operations https://www.fireengi[...] Fire Engineering 2008-06-12
[116] 웹사이트 Emergency Management in Australia - Triple Zero (000) http://www.triplezer[...] 2010-07-27
[117] 웹사이트 National Incident Management System http://www.fema.gov/[...] U.S.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2008-12
[118] 웹사이트 Humberside Fire and Rescue Service: Shift patterns http://www.humbersid[...]
[119] 문서 Essentials of Firefighting
[120] 웹사이트 The Difference Between a Fire Department and a Fire District. https://firefighterc[...] 2021-04-16
[121] 웹사이트 Volunteer Voices: Fundraising Ideas for Local Fire Departments https://www.nvfc.org[...] 2019-10-07
[122] 웹사이트 Pancake Breakfast – Tracy Firefighters Association https://www.tracyfir[...]
[123] 뉴스 Longtime Deadwood firefighter to be honored at annual chili feed Sunday https://www.bhpionee[...] 2018-11-02
[124] 웹사이트 消防官採用試験の特徴・レベル|公務員試験ラボ|公務員・就職試験対策の専門機関 上野法律セミナー https://koumuin-lab.[...]
[125] 뉴스 山火事と闘う受刑者たち、時給1ドルの消火プログラム 米加州 https://www.afpbb.co[...] AFP 2017-10-16
[126] 웹사이트 HAMBURGER FEUERWEHR-HISTORIKER E.V. http://feuerwehrhist[...]
[127] 웹사이트 消防活動時における輻射熱と温度に関する調査研究 https://www.tfd.metr[...]
[128] 뉴스 「心臓に最も危険な職業」、トップは消防士 - 米国 https://www.afpbb.co[...] AFP通信 2007-03-22
[129] 웹사이트 Is There a Link Between Firefighting and Cancer? – Epidemiology in Action http://blogs.cdc.gov[...]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2014-12-17
[130] 웹사이트 Study of Cancer among U.S. Fire Fighters https://www.cdc.gov/[...]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2014-07-25
[131] 논문 Painting, firefighting, and shiftwork
[132] 뉴스 NYの消防士、テロ救助でがん発症率高く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133] 뉴스 Fire fighters' battle with PTSD: "Every day is an anxious day"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7-08-23
[134] 논문 Rescuers at risk: a systematic review and meta-regression analysis of the worldwide current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PTSD in rescue workers https://link.springe[...] 2012-06-01
[135] 논문 Hazardous Decibels: Hearing Health of Firefighters 2007-08-01
[136] 논문 Noise and Hearing Loss in Firefighting https://www.ncbi.nlm[...] 1995
[137] 영화 His First Flame https://www.imdb.com[...] Mack Sennett Comedies 1927-05-03
[138] Youtube His First Flame (1927) Comedy Silent Film https://www.youtube.[...]
[139] 웹사이트 街の灯の見櫓 : 作品情報 https://eiga.com/mov[...]
[140] 영화 Blue Blazes https://www.imdb.com[...] Educational Films Corporation of America 1936-08-21
[141] 웹사이트 Buster Keaton - Blue Blazes (Laurel & Hardy) https://www.youtube.[...] 2023-09-15
[142] 웹사이트 青い炎 - 映画情報・レビュー・評価・あらすじ {{!}} Filmarks映画 https://filmarks.com[...] 株式会社つみき 2024-09-14
[143] 웹사이트 映画 ファイヤー・ファイター/女性消防士物語<未> (1986) - allcinema https://www.allcinem[...] 2024-10-19
[144] 웹사이트 ミッキーの消防夫 https://p-dy.jp/movi[...] 2023-10-27
[145] 웹사이트 ミッキーの消防隊 https://p-dy.jp/movi[...] 2023-10-27
[146] 웹사이트 「炎炎ノ消防隊」第3期は原作を最後までアニメ化、来年4月から分割2クールで放送(動画あり) https://natalie.mu/c[...] 2024-10-17
[147] 서적 炎の塔 https://honto.jp/ebo[...]
[148] 서적 火災調査官 https://honto.jp/ebo[...]
[149] 웹사이트 駿河の雷太 1 (ヤング・ジャンプ・コミックス・スペシャル) https://www.amazon.c[...] Amazon.com 2024-10-19
[150] 웹사이트 炎上男たちは飛び込んだ : 伝説の消防士たち (プロジェクトX挑戦者たち : コミック版) {{!}} NDLサーチ {{!}} 国立国会図書館 https://ndlsearch.nd[...] 2024-10-19
[151] 웹사이트 タケヤブヤケタ {{!}} 草間さかえ – 小学館コミック https://shogakukan-c[...] 2024-10-17
[152] 웹사이트 神命のレスキュー https://younganimal.[...] younganimal.com 2024-10-17
[153] 웹사이트 ちいさいしょうぼうじどうしゃ|福音館書店 https://www.fukuinka[...] 2024-10-17
[154] 웹사이트 『おしごとのおはなし 消防士 ひみつのとっくん』(佐川 芳枝,青山 雄一) 製品詳細 講談社BOOK倶楽部 https://bookclub.kod[...] 2024-10-1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