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의 행정 구역은 6가지 종류로 구분되며, 2022년 9월 30일 기준 89개의 연방 주체로 구성되어 있다. 연방 주체는 공화국, 주, 변경주, 연방시, 자치주, 자치구로 나뉘며, 이 중 크림 공화국,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 루간스크 인민 공화국, 헤르손주, 자포리자주, 세바스토폴은 국제적으로 우크라이나의 일부로 인정받고 있다. 각 연방 주체는 고유의 자치권을 가지며, 러시아 연방 내에서 다양한 행정 구역과 자치 단체를 운영한다. 러시아는 연방 주체를 8개의 연방관구로 나누어 관리하며, 경제적 목적에 따라 12개의 경제 지역으로 묶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행정 구역 | |
|---|---|
| 개요 | |
| 유형 | 연방 구성 주체 |
| 위치 | 러시아 |
| 설립일 | 1993년 12월 12일 |
| 현재 개수 | 국제적으로는 83개, 전체 89개 |
| 인구 범위 | 41,431명 (네네츠 자치구) ~ 13,010,112명 (모스크바) |
| 면적 범위 | 864 km2 (세바스토폴) ~ 3,103,200km2 (사하 공화국) |
| 정부 형태 | 지방 정부, 국가 정부 |
| 하위 행정 구역 | 라욘 |
| 정치 체제 | 연방제, 준 대통령제, 입헌 공화제 |
| 지도 | |
![]() | |
| 범례 | |
2. 연방주체의 종류
연방국가인 러시아는 공식적으로 89개의 '''연방주체'''(субъекты федерацииrus)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연방평의회(상원)에 각각 2명의 대표의원을 동등하게 파견한다.[8][27][28] 그러나 이 연방주체 중 6개, 즉 크림 공화국,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 헤르손주, 루간스크 인민 공화국, 세바스토폴, 자포리자주는 2014년과 2022년에 러시아가 일방적으로 병합한 지역으로, 국제 사회 대다수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우크라이나의 영토로 간주하고 있다.[72][8][9][10][11][12][24][25][26]
연방주체는 누리는 자치권의 정도에서 차이를 보이며, 법적으로는 6가지 종류로 나뉜다. 각 종류별 특징은 아래 표와 같다.
| 종류 | 설명 |
|---|---|
| 주 (Область|오블라스티rus) | 연방 대통령이 임명하는 주지사와 지역 주민이 선출하는 입법부를 가진 가장 일반적인 연방주체 유형이다. 러시아는 총 49개가 있다고 주장하나, 이 중 헤르손주와 자포리자주는 2022년 러시아가 병합을 선언한 지역으로, 국제적으로는 우크라이나 영토로 인정되며 그 지위가 분쟁 중이다. 따라서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주는 47개이다. |
| 공화국 (Республика|레스푸블리카rus) | 명목상 자치권을 가지며[30][31], 고유의 헌법, 공용어, 입법부를 가진다. 주로 특정 소수 민족("기반 민족")의 자치를 위해 설립되었다. 러시아는 총 24개 공화국이 있다고 주장하나, 크림 공화국,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 루간스크 인민 공화국 3곳은 국제적으로 우크라이나 영토로 인정되며 지위가 분쟁 중이다. 따라서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공화국은 21개이다. |
| 변경주 (Край|크라이rus) | 법적으로 주와 동일한 지위를 가진다. 크라이(край)라는 명칭은 경계 또는 영토를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러시아 제국 시대 국경 지대에 위치했던 데서 유래한다. 총 9개의 변경주가 있다. |
| 자치구 (Автономный округ|아프토놈니 오크루크rus) | 특정 소수 민족을 기반으로 하는 연방주체이다. 추코트 자치구를 제외한 3개 자치구(한티-만시 자치구, 네네츠 자치구, 야말로-네네츠 자치구)는 다른 주(아르한겔스크주, 튜멘주)의 하위 행정 구역이면서 동시에 독립적인 연방주체라는 독특한 지위를 가진다. 총 4개의 자치구가 있다. |
| 연방시 (Город федерального значения|고로트 페데랄노고 즈나체니야rus) | 주변 지역과 분리되어 독립적인 연방주체로 기능하는 주요 도시이다.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세바스토폴 3곳이 있다. 그러나 세바스토폴은 2014년 러시아가 병합한 크림반도에 위치하며,[32] 국제적으로는 우크라이나 영토로 인정되어 지위가 분쟁 중이다. 따라서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연방시는 2개이다. |
| 자치주 (Автономная область|아프토놈나야 오블라스티rus) | 현재 유대인 자치주가 유일한 자치주이다. 소비에트 연방 시기에는 여러 자치주가 존재했다. |
2. 1. 공화국 (Республика)
공화국(республикаrus)은 러시아 연방을 구성하는 연방주체의 한 종류이다.러시아 연방에는 총 24개의 공화국이 있다. 그러나 이 중 크림 공화국,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 루간스크 인민 공화국 3곳은 2014년과 2022년에 러시아가 일방적으로 병합을 선언한 지역이다.[9][11][25][26] 이들 지역은 국제법상 우크라이나의 영토로 인정받고 있으며, 러시아의 병합은 국제 사회 대다수로부터 승인받지 못하고 지위는 여전히 분쟁 중이다.[72][8][10][12][24] 따라서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러시아의 공화국 수는 21개이다.
공화국은 명목상의 자치권을 가지며[30][31], 각자 고유의 헌법, 언어, 입법부를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국제 외교 관계에서는 연방 정부가 공화국을 대표한다. 공화국은 주로 특정 소수 민족의 자치를 보장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해당 민족(이른바 "기반 민족")의 이름이 공화국 명칭에 반영되는 경우가 많다.
=== 공화국 목록 ===
# 아디게 공화국
# 알타이 공화국
#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 부랴티야 공화국
# 다게스탄 공화국
# 잉구셰티야 공화국
#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
# 칼미크 공화국
# 카라차예보-체르케스 공화국
# 카렐리야 공화국
# 코미 공화국
# 마리옐 공화국
# 모르도비야 공화국
# 사하 공화국
# 북오세티야 공화국
# 타타르스탄 공화국
# 투바 공화국
# 우드무르트 공화국
# 하카스 공화국
# 체첸 공화국
# 추바시 공화국
# 크림 공화국 (국제적으로 우크라이나 영토로 인정, 러시아와 영유권 분쟁 중)
#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 (국제적으로 우크라이나 영토로 인정, 러시아와 영유권 분쟁 중)
# 루간스크 인민 공화국 (국제적으로 우크라이나 영토로 인정, 러시아와 영유권 분쟁 중)
2. 2. 주 (Область)
주는 러시아 연방을 구성하는 연방주체의 가장 일반적인 유형이다. 연방 대통령이 임명하는 주지사와 주민이 직접 선출하는 입법부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해당 행정 중심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다.현재 러시아는 49개의 주가 있다고 주장하지만, 이 중 2개 주는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 일방적인 합병 투표를 거쳐 병합했다고 주장하는 헤르손주와 자포리자주는 국제 사회 대다수로부터 우크라이나 영토로 인정받고 있으며, 러시아의 완전한 통제 하에 있지도 않아 그 지위가 분쟁 중에 있다.[11][12][24] 따라서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주는 47개이다.
=== 러시아의 주 목록 ===
| 번호 | 주 이름 | 비고 |
|---|---|---|
| 1 | 아무르주 | |
| 2 | 아르한겔스크주 | |
| 3 | 아스트라한주 | |
| 4 | 벨고로드주 | |
| 5 | 브랸스크주 | |
| 6 | 첼랴빈스크주 | |
| 7 | (폐지됨) | 치타주 (2008년 자바이칼 지방으로 통합) |
| 8 | 이르쿠츠크주[33] | |
| 9 | 이바노보주 | |
| 10 | 칼리닌그라드주 | 러시아의 월경지 |
| 11 | 칼루가주 | |
| 12 | 케메로보주 | |
| 13 | 키로프주 | |
| 14 | 코스트로마주 | |
| 15 | 쿠르간주 | |
| 16 | 쿠르스크주 | |
| 17 | 레닌그라드주 | |
| 18 | 리페츠크주 | |
| 19 | 마가단주 | |
| 20 | 모스크바주 | |
| 21 | 무르만스크주 | |
| 22 | 니즈니노브고로드주 | |
| 23 | 노브고로드주 | |
| 24 | 노보시비르스크주 | |
| 25 | 옴스크주 | |
| 26 | 오렌부르크주 | |
| 27 | 오룔주 | |
| 28 | 펜자주 | |
| 29 | 프스코프주 | |
| 30 | 로스토프주 | |
| 31 | 랴잔주 | |
| 32 | 사할린주 | |
| 33 | 사마라주 | |
| 34 | 사라토프주 | |
| 35 | 스몰렌스크주 | |
| 36 | 스베르들로프스크주 | |
| 37 | 탐보프주 | |
| 38 | 톰스크주 | |
| 39 | 트베리주 | |
| 40 | 툴라주 | |
| 41 | 튜멘주 | |
| 42 | 울리야노프스크주 | |
| 43 | 블라디미르주 | |
| 44 | 볼고그라드주 | |
| 45 | 볼로그다주 | |
| 46 | 보로네시주 | |
| 47 | 야로슬라블주 | |
| 48 | 헤르손주 | 우크라이나와 영유권 분쟁 중 (국제사회 불인정) |
| 49 | 자포리자주 | 우크라이나와 영유권 분쟁 중 (국제사회 불인정) |
2. 3. 변경주 (Край)
법적으로 주( Область|오블라스티ru )와 동일한 기능과 목적을 가진다. 변경주를 의미하는 크라이( край|크라이ru )라는 명칭은 '경계' 또는 '영토'를 뜻하며, 역사적으로 러시아 제국 시대 국경 지대에 있던 지방 구분에서 유래했다. 현재 러시아에는 9개의 변경주가 있다.| 번호 | 명칭 | 비고 |
|---|---|---|
| 1 | 알타이 변경주 | |
| 2 | 캄차카 변경주 | [34] |
| 3 | 하바롭스크 변경주 | |
| 4 | 크라스노다르 변경주 | |
| 5 | 크라스노야르스크 변경주 | [35] |
| 6 | 페름 변경주 | [36] |
| 7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 연해주 지방 |
| 8 | 스타브로폴 변경주 | |
| 9 | 자바이칼 변경주 | [37] |
2. 4. 연방시 (Город федерального значения)
연방시는 주변 주에서 독립하여 단독으로 연방 구성 주체로 기능하는 주요 도시를 의미한다. 연방시는 도시 자체이면서 동시에 연방을 구성하는 주체로서의 지위를 가진다.현재 러시아 연방에는 법적으로 3개의 연방시가 존재한다.
이 중에서 세바스토폴은 2014년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병합하면서 연방시로 편입하였다고 주장하는 곳이다.[9][25][26][32] 그러나 국제 사회의 대다수 국가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여전히 우크라이나의 영토로 간주하고 있어 그 법적 지위에 대한 분쟁이 계속되고 있다.[10] 따라서 국제적으로는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 2개의 연방시만 인정받고 있다.
2. 5. 자치주 (Автономная область)
러시아의 연방주체 중 하나로, 러시아 헌법에 따른 공식 명칭은 автономная областьru이다.[23] 현재 러시아에는 유대인 자치주 단 하나만이 자치주로서 존재한다. 과거 소비에트 연방 시대에는 여러 개의 자치주가 존재했었다. 자치주는 다른 공화국, 변경주, 주, 연방시, 자치구와 마찬가지로 동등한 연방 구성 주체의 지위를 가진다.[23]2. 6. 자치구 (Автономный округ)
자치구( автономный округru )는 러시아를 구성하는 연방주체의 한 종류로, 총 4개가 존재한다. 자치구는 경우에 따라 '자치 지구'라고도 불린다.자치구는 주로 특정 소수 민족이 거주하는 지역에 설치되며, 실질적 또는 지배적인 소수 민족을 가진다. 추코트 자치구를 제외한 3개 자치구(한티-만시 자치구, 네네츠 자치구, 야말로-네네츠 자치구)는 다른 주(아르한겔스크주, 튜멘주)의 행정 구역에 속하면서도 동시에 독립적인 연방주체로서의 지위를 가지는 독특한 특징이 있다.[23] 반면, 추코트 자치구는 다른 연방주체에 속하지 않고 독립적인 지위를 가진 유일한 예외이다.
- 추코트 자치구
- 한티-만시 자치구
- 네네츠 자치구
- 야말로-네네츠 자치구
3. 행정 구역
각 연방주체 하의 행정 구역들은 주로 연방주체의 책임 하에 있기 때문에 종류, 이름, 구조가 주체들마다 크게 다를 수 있다.
1993년 러시아 헌법 채택 이전에는 러시아의 행정-영토 구조가 1982년 8월 17일자 RSFSR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령 "RSFSR 행정-영토 구조 문제 처리 절차에 관한" 법령에 의해 규제되었다.[13] 그러나 1993년 헌법은 행정-영토 분할 문제를 연방 정부의 책임이나 연방 정부와 주체의 공동 책임으로 명시하지 않았다. 이는 연방 주체 정부가 행정-영토 분할 문제를 전적으로 자신들의 책임으로 해석하는 계기가 되었다.[13] 그 결과, 현재 러시아 연방 주체의 행정-영토 구조는 각 주체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3. 1. 1급 행정구역
러시아의 최상위 행정 구역은 '''연방주체'''(субъект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이다. 연방주체의 종류는 공화국, 변경주, 주, 자치주, 자치구, 연방시로 나뉜다.2022년 9월 30일부터 러시아 연방은 89개의 연방주체로 구성되어 있다.[8] 그러나 이 중 크림 공화국,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 헤르손주, 루간스크 인민 공화국, 연방시 세바스토폴, 자포로제주 6개 연방주체는 국제 사회에서 우크라이나의 영토로 인정받고 있다.
모든 연방주체는 연방회의에 각각 두 명의 대표를 파견하는 등 동등한 연방 권리를 갖지만, 자치권의 정도에는 차이가 있다.
법적으로는 러시아가 점령한 우크라이나 영토를 제외하고 다음과 같은 6가지 유형의 연방주체가 있다.
자치구는 연방주체이면서 다른 연방주체의 행정 구역에도 속하는 독특한 지위를 갖는다. 축치 자치구만이 유일하게 다른 연방주체에 속하지 않는다.
3. 2. 2급 행정구역
각 연방주체 하의 행정구역들은 주로 연방주체의 책임 하에 있기 때문에 종류, 이름, 구조가 주체들마다 크게 다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유형의 2급 행정 구역이 존재한다.- '''군''' (район|라욘ru)
- 연방주체 하위의 '''시''' (город|고로트ru)
- 연방주체 하위의 '''도시형 정착지''' (посёлок городского типа|포숄로크 고로드스코고 티파ru)
- 연방주체 하위의 '''촌락형 인구 밀집지''' (сельский населённый пункт|셀스키 나셀료니 푼크트ru)
- '''폐쇄 행정구역''' (закрытое административно-территориальное образование / ЗАТО|자크리토예 아드미니스트라티브노-테리토리알노예 오브라조바니예 / 자토ru)
- '''관구''' (округ|오크루크ru)
- 시내 관구, 연방시 하위 군
3. 3. 3급 행정구역
- 군(또는 동등한 행정구역) 하위의 '''시'''(город|고로트rus) 및 도시형 행정구역 단위
- 군(또는 동등한 행정구역) 하위의 '''도시형 거주지'''(посёлок городского типа|포숄로크 고로츠코보 티파rus) 및 거주지/정착지형 행정구역 단위: 거주지(посёлок|포숄로크rus), 정착지(поселение|포셀레니예rus) 등
- 군(또는 동등한 행정구역) 하위의 촌락형 행정구역 단위: 촌락형 정착지, 촌위원회( сельсовет|셀소비에트rus) 등
- 시내 행정 구역: 시내군, 시내관구
- 모스크바 연방시의 군 및 정착지
3. 4. 4급 행정구역
러시아의 4급 행정구역은 населённые пункты|나셀룐니예 푼크티rus (인구 밀집지)이다.4. 자치 구역
'''자치 단체'''(муниципальные образования|무니치팔니예 아브라조바니야ru)는 행정 구역과는 별개로 지방 자치권을 가지는 지역 구분을 의미한다. 2004년부터 2005년까지 진행된 행정 구역 개편을 통해 러시아 연방은 각 연방주체들에게 하위 자치 단체들을 러시아 헌법에 규정된 일률적인 구조에 따라 정비하도록 하였다.
이 개혁은 각 연방 주체가 2005년 1월 1일까지 통일된 지방 자치 단체 구조를 갖추도록 의무화했으며, 관련 법률은 2006년 1월 1일부터 효력이 발생했다. 이 법에 따라 지방 자치 단체의 기본적인 단위들이 규정되었다.[14]
4. 1. 1급 자치체
- '''자치군'''(муниципальный районru): 보통 행정 군(라이온)의 경계 하에 형성된다.
- '''자치관구'''(муниципальный округru): 자치체가 없는 영토를 묶은 것으로, 2019년 새로 도입되었다.
- '''도시관구'''(городской округru): 군의 하위에 놓이지 않는 시를 말하며, 흔히 연방주체 지정시에 설치된다.
- '''연방시 시내 영토'''(внутригородская территория города федерального значенияru): 연방시의 하위에만 편성된다. "시내 자치 단체"(внутригородское муниципальное образованиеru)의 일종이다.
4. 2. 2급 자치체
- '''도시 정착지'''(Городское поселениеru): 도시 또는 도시형 정착지로, 인접한 농촌 및/또는 도시 지역과 함께 구성될 수 있다.[14] 행정구역 상으로는 독립된 시이거나 군의 일부일 수 있으나, 지방 자치 단체로서는 자치군의 하위에 편성된다.
- '''농촌 정착지'''(Сельское поселениеru): 하나 이상의 농촌 지역으로 구성된다.[14]
- '''시내 구역'''(внутригородской районru): 2014년 5월 27일 연방법 개정으로 도입된 유형으로[17], "시내 구획이 있는 도시 오크루그" 하위에 편성되는 지방 자치 단체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기존의 도시 구역(연방 중요 도시의 행정 구역) 경계 내에 설정된다. 첼랴빈스크가 2014년 6월 처음으로 시내 구역을 도입한 도시 오크루그가 되었다.[18]
위와 같은 하위 지방 자치 단체에 포함되지 않은 지역은 '''정착지간 영토'''(Межселенная территорияru)라고 하며, 2019년에 도입된 개념이다.[16][19]
5. 기타 구분
러시아는 공식적인 행정 구역 체계 외에도 특정 목적에 따라 지역을 나누는 여러 구분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러시아 대통령이 전권대표를 임명하여 연방 법률 준수 여부를 감독하는 연방관구, 경제 및 통계적 목적을 위해 연방주체들을 묶은 경제 지역, 그리고 러시아 연방군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군관구 등이 있다.
5. 1. 연방관구 (Федеральные округа)
연방관구(федеральные округа|페데랄니예 오크루가ru)는 러시아 연방을 크게 8개 지역으로 나누는 분류 체계이다. 이는 행정구역은 아니지만, 러시아 대통령이 각 관구에 전권대표를 임명하여 연방 정부와 연방주체 간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연방 법률 준수 여부를 감독하는 역할을 한다.[73] 연방관구 제도는 2000년 5월 13일에 도입되었으며, 러시아 헌법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다. 연방관구는 자체적인 관할권을 가지거나 지역 사무를 직접 관리하지 않으며, 주로 연방 법률과 지역 법률 간의 일관성을 확보하고 지역 내 연방 기관들에 대한 정부 통제를 유지하기 위해 운영된다.[1]
현재 러시아에는 총 8개의 연방관구가 있다.
| 연방관구[2][3] | 설립 날짜 | 면적[4] (km2) | 2021년 인구 조사 | HDI (2021)[5] | GRP (2022)[6] | 연방 주체 수 | 행정 중심지 | 지도 | |||
|---|---|---|---|---|---|---|---|---|---|---|---|
| 인구 | km2당 인구 밀도 | 총액 (₽) | 1인당 (₽) | ||||||||
| style="background:#aa6ca6;"| | 북캅카스 | 2010년 1월 19일 | 170400km2 | 10,171,000 | 60 | 0.793 | 3.111조러시아 루블 (440억달러) | 305334RUB (4362USD) | 7 | 퍄티고르스크 | |
| style="background:#fc8b8b;"| | 남부 (크림 공화국과 세바스토폴, 2014년 러시아에 병합, 그리고 도네츠크, 헤르손, 루간스크, 자포리자 포함, 2022년 합병. 대부분의 국제 사회는 이들을 우크라이나의 일부로 인정함.) | 2000년 5월 13일 | 427800km2 | 16,746,000 (2014년 크림 인구 조사 자료 포함.[7] 크림은 2010년 러시아 인구 조사 이후 2014년에 러시아에 병합됨.) | 39 | 0.799 | 9.816조러시아 루블 (1400억달러) | 588461RUB (8407USD) | 8 | 로스토프나도누 | |
| style="background:#ffff80; width:3em;"| | 중앙 | 2000년 5월 13일 | 650200km2 | 40,342,000 | 62 | 0.845 | 47.368조러시아 루블 (6770억달러) | 1176273RUB (16804USD) | 18 | 모스크바 | |
| style="background:#62d2c5;"| | 북서 | 2000년 5월 13일 | 1687000km2 | 13,917,000 | 8 | 0.833 | 18.929조러시아 루블 (2700억달러) | 1362907RUB (19470USD) | 11 | 상트페테르부르크 | |
| style="background:#37ce04;"| | 볼가 | 2000년 5월 13일 | 1037000km2 | 28,943,000 | 28 | 0.804 | 19.664조러시아 루블 (2810억달러) | 683355RUB (9762USD) | 14 | 니즈니노브고로드 | |
| style="background:#c7cb8f;"| | 우랄 | 2000년 5월 13일 | 1818500km2 | 12,301,000 | 7 | 0.839 | 20.073조러시아 루블 (2870억달러) | 1635678RUB (23367USD) | 6 | 예카테린부르크 | |
| style="background:#01bee7;"| | 시베리아 | 2000년 5월 13일 | 4361800km2 | 16,793,000 | 4 | 0.794 | 13.054조러시아 루블 (1860억달러) | 781580RUB (11165USD) | 10 | 노보시비르스크 | |
| style="background:#fece2c;"| | 극동 | 2000년 5월 13일 | 6952600km2 | 7,976,000 | 1 | 0.808 | 8.656조러시아 루블 (1240억달러) | 1090778RUB (15583USD) | 11 | 블라디보스토크 | |
5. 2. 경제 지역 (Экономические районы)
경제적 및 통계적 목적으로 연방주체들은 12개의 경제 지역으로 묶인다.[20] 경제 지역과 공통적인 경제사를 공유하는 그들의 부분들은 다시 경제 구역 및 매크로 구역으로 묶인다.
| 경제 지역 | 인구 (2021년) | 면적 (km²) | GDP (백만 USD)[21] |
|---|---|---|---|
| 중앙 | 33,276,581 | 482300km2 | 6115.5억달러 |
| 중앙 흑토 | 7,057,951 | 167900km2 | 620.98억달러 |
| 동시베리아 | 6,096,127 | 3371800km2 | 732.5억달러 |
| 극동 | 7,975,762 | 6952600km2 | 1002.86억달러 |
| 칼리닌그라드 | 1,029,966 | 15100km2 | 106억달러 |
| 북캅카스 | 22,642,000 | 381600km2 | 1451.1억달러 |
| 북부 | 4,101,852 | 1476600km2 | 697.54억달러 |
| 북서부 | 8,785,379 | 195200km2 | 1926.1억달러 |
| 우랄 | 18,416,392 | 823300km2 | 1540.34억달러 |
| 볼가 | 15,811,458 | 539800km2 | 1282.21억달러 |
| 볼가-뱌트카 | 6,968,440 | 264800km2 | 446.35억달러 |
| 서시베리아 | 16,281,060 | 2454000km2 | 2346억달러 |
5. 3. 군관구 (Военные округа)
러시아 연방군이 군부대의 효율적인 관리, 훈련 및 기타 작전 활동을 제공하기 위해 연방 구성 주체는 5개의 군관구로 묶여 있다.[22] 각 군관구는 구역 사령부의 지휘를 받으며, 구역 사령관이 지휘하고, 러시아 연방군 참모총장의 지휘를 받는다.
6. 연방 구성 주체 목록
연방국가인 러시아는 법적으로 89개의 '''연방주체'''(субъекты федерацииrus)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한다.[8] 이들은 연방평의회(상원)에 각각 2명의 대표의원을 동등하게 파견한다. 모든 연방 주체는 고유한 수반, 지방 의회, 헌법 재판소를 가지며, 고유한 헌법과 법률을 가지고 있다. 연방 정부 기관과의 관계에서 동등한 권리를 갖지만,[27][28] 누리는 자치권의 정도에는 차이가 있다.
현재 러시아의 행정 구역 체계는 소비에트 연방 내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시절 형성되었으며,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1992년, 러시아의 여러 지역은 연방 조약(Федеративный договорrus)에 서명하여[29] 현재의 내부 구성을 확립했다. 1993년 채택된 현행 러시아 헌법은 연방 주체의 자치권을 보장하는 한편, 소련 시절 존재했던 국가 탈퇴 권리는 인정하지 않았다. 2000년대 이후 블라디미르 푸틴 정부는 연방 당국의 권한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해왔다.
법적으로 연방주체의 종류에는 6가지가 있다.
| 범례 | 설명 |
|---|---|
| 49(국제적으로는 47)개의 주 (областьrus) | 연방 대통령이 임명하는 주지사와 지역 주민이 선출하는 입법부를 가진 가장 일반적인 연방 구성 주체. 일반적으로 해당 행정 중심지의 이름을 딴다. 러시아가 2022년 병합을 선언한 헤르손주와 자포리자주는 국제적으로 우크라이나 영토로 인정받고 있으며, 그 지위는 분쟁 중이다. |
| 24(국제적으로는 21)개의 공화국 (республикаrus) | 명목상 자치권을 가지며,[30][31] 각각 고유의 헌법, 공용어, 입법부를 가지고 있다. 외교 관계는 연방 정부가 대표한다. 주로 특정 소수 민족(기반 민족)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다. 러시아가 2014년 병합한 크림 공화국과 2022년 병합을 선언한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 루간스크 인민 공화국은 국제적으로 우크라이나 영토로 인정받고 있으며, 그 지위는 분쟁 중이다. |
| 9개의 변경주 (крайrus) | 법적으로는 주와 동일한 지위를 가진다. 크라이(변경 또는 영토)라는 명칭은 러시아 제국 시대 국경 지대에 위치했던 역사적 구분에서 유래한다. |
| 4개의 자치구 (автономный округrus) | 특정 소수 민족을 기반으로 하는 자치 행정 단위이다. 추코트카를 제외한 3개 자치구(한티-만시, 네네츠, 야말로-네네츠)는 다른 연방주체(각각 튜멘주, 아르한겔스크주, 튜멘주)의 하위 행정 구역이면서 동시에 독립적인 연방주체의 지위를 가지는 독특한 구조이다. |
| 3(국제적으로는 2)개의 연방시 (город федерального значенияrus) | 주변 주와 독립적으로 연방 구성 주체의 지위를 가지는 주요 도시이다. 러시아가 2014년 병합한 세바스토폴은[32] 국제적으로 우크라이나 영토로 인정받고 있으며, 그 지위는 분쟁 중이다. |
| 1개의 자치주 (автономная областьrus) | 현재 유대인 자치주가 유일하다. 소련 시대에는 여러 자치주가 존재했다. |
1993년 당시 러시아 연방은 89개의 연방 구성 주체로 구성되었으나, 몇 차례의 통합으로 2008년까지 83개로 감소했다.
2014년 크림반도 합병 이후 러시아는 크림 공화국과 세바스토폴을 각각 84번째, 85번째 연방 구성 주체로 편입했다고 주장한다.[9][25][26] 그러나 이 지역들은 국제 사회 대다수로부터 러시아 영토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으며, 우크라이나가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72][10]
또한 2022년 9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 점령한 도네츠크주, 헤르손주, 루한스크주, 자포리자주에서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한 합병 주민투표를 실시한 후, 러시아는 이들 지역을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 루간스크 인민 공화국, 헤르손주, 자포리자주라는 이름으로 86~89번째 연방 구성 주체에 추가했다고 일방적으로 선언했다.[11] 이들 4개 지역 역시 국제적으로 우크라이나 영토의 일부로 간주되며, 러시아의 완전한 실효 지배 하에 있지도 않다.[12][24]
칼리닌그라드주는 러시아 본토와 떨어진 유일한 월경지 연방 구성 주체이다.
=== 주 ===
# 아무르주
# 아르한겔스크주
# 아스트라한주
# 벨고로드주
# 브랸스크주
# 첼랴빈스크주
# (삭제됨 - 이전 치타주)
# 이르쿠츠크주[33]
# 이바노보주
# 칼리닌그라드주
# 칼루가주
# 케메로보주
# 키로프주
# 코스트로마주
# 쿠르간주
# 쿠르스크주
# 레닌그라드주
# 리페츠크주
# 마가단주
# 모스크바주
# 무르만스크주
# 니즈니노브고로드주
# 노브고로드주
# 노보시비르스크주
# 옴스크주
# 오렌부르크주
# 오룔주
# 펜자주
# 프스코프주
# 로스토프주
# 랴잔주
# 사할린주
# 사마라주
# 사라토프주
# 스몰렌스크주
# 스베르들로프스크주
# 탐보프주
# 톰스크주
# 트베리주
# 툴라주
# 튜멘주
# 울리야노프스크주
# 블라디미르주
# 볼고그라드주
# 볼로그다주
# 보로네시주
# 야로슬라블주
# 헤르손주 (우크라이나와 영유권 분쟁 중)
# 자포리자주 (우크라이나와 영유권 분쟁 중)
=== 변경주 ===
# 알타이 지방
# 캄차카 지방[34]
# 하바롭스크 지방
# 크라스노다르 지방
#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35]
# 페름 지방[36]
# 프리모르스키 지방(연해주)
# 스타브로폴 지방
# 자바이칼 지방[37]
=== 연방시 ===
# 모스크바
# 상트페테르부르크
# 세바스토폴 (우크라이나와 영유권 분쟁 중)
=== 공화국 ===
# 아디게야
# 알타이 공화국
# 바시코르토스탄
# 부랴티야
# 다게스탄
# 잉구셰티야
# 카바르디노-발카리야
# 칼미키야
#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 카렐리야
# 코미 공화국
# 마리옐 공화국
# 모르도비야
# 사하 (야쿠티야)
# 북오세티야-알라니야
# 타타르스탄
# 투바
# 우드무르티야
# 하카시야
# 체첸 공화국
# 추바시야
# 크림 공화국 (우크라이나와 영유권 분쟁 중)
#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 (우크라이나와 영유권 분쟁 중)
# 루간스크 인민 공화국 (우크라이나와 영유권 분쟁 중)
=== 자치주 ===
=== 자치구 ===
# 추코트카
# 한티-만시 자치구
# 네네츠 자치구
# 야말로-네네츠
=== 상세 정보 ===
아래 표는 러시아 연방 구성 주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나타낸다. 크림 공화국, 세바스토폴 및 2022년 러시아가 병합을 선언한 4개 지역(도네츠크, 루간스크, 헤르손, 자포리자)은 국제적으로 우크라이나 영토로 인정받고 있으며, 해당 지역의 정보는 러시아 측 주장을 기반으로 하거나 분쟁 상황을 반영한다.
{| class="sortable wikitable" style="line-height:1.4em; font-size:95%;"
|- style="line-height:1.15em; white-space:nowrap;"
! 명칭
! 러시아어 명칭
! 수도
! 구분
! 연방관구
! 면적[38]
(km2)
! 인구[39]
(2021년 인구 조사)
! 인구 밀도
(명/km2)
! 설립 연도
!class="unsortable" | 비고
|-
| 아스트라한주 || Астраханская областьrus || 아스트라한 || 주 || 남부 || style="text-align: right;" | 49,024 || style="text-align: right;" | 960,142 || style="text-align: right;" | 19.59 || 1943 ||
|-
| 아디게야 || Республика Адыгеяrus || 마이코프 || 공화국 || 남부 || style="text-align: right;" | 7,792 || style="text-align: right;" | 496,934 || style="text-align: right;" | 63.77 || 1922 ||
|-
| 아무르주 || Амурская областьrus || 블라고베셴스크 || 주 || 극동 || style="text-align: right;" | 361,908 || style="text-align: right;" | 766,912 || style="text-align: right;" | 2.12 || 1932 ||
|-
| 알타이 공화국 || Республика Алтайrus || 고르노알타이스크 || 공화국 || 시베리아 || style="text-align: right;" | 92,903 || style="text-align: right;" | 210,924 || style="text-align: right;" | 2.27 || 1922 ||
|-
| 알타이 지방 || Алтайский крайrus || 바르나울 || 변경주 || 시베리아 || style="text-align: right;" | 167,996 || style="text-align: right;" | 2,163,693 || style="text-align: right;" | 12.88 || 1937 ||
|-
| 아르한겔스크주 || Архангельская областьrus || 아르한겔스크 || 주 || 북서 || style="text-align: right;" | 413,103 || style="text-align: right;" | 978,873 || style="text-align: right;" | 2.37 || 1937 || [40]
|-
| 이바노보주 || Ивановская областьrus || 이바노보 || 주 || 중앙 || style="text-align: right;" | 21,437 || style="text-align: right;" | 927,828 || style="text-align: right;" | 43.28 || 1936 ||
|-
| 이르쿠츠크주 || Иркутская областьrus || 이르쿠츠크 || 주 || 시베리아 || style="text-align: right;" | 774,846 || style="text-align: right;" | 2,370,102 || style="text-align: right;" | 3.06 || 1937 ||
|-
| 잉구셰티야 || Республика Ингушетияrus || 마가스 || 공화국 || 북캅카스 || style="text-align: right;" | 3,628 || style="text-align: right;" | 509,541 || style="text-align: right;" | 163.16 || 1992 ||
|-
| 볼고그라드주 || Волгоградская областьrus || 볼고그라드 || 주 || 남부 || style="text-align: right;" | 112,877 || style="text-align: right;" | 2,500,781 || style="text-align: right;" | 22.15 || 1937 ||
|-
| 볼로그다주 || Вологодская областьrus || 볼로그다 || 주 || 북서 || style="text-align: right;" | 144,527 || style="text-align: right;" | 1,142,827 || style="text-align: right;" | 7.91 || 1937 ||
|-
| 보로네시주 || Воронежская областьrus || 보로네시 || 주 || 중앙 || style="text-align: right;" | 52,216 || style="text-align: right;" | 2,308,792 || style="text-align: right;" | 44.22 || 1934 ||
|-
| 우드무르티야 || Удмуртская Республикаrus || 이젭스크 || 공화국 || 볼가 || style="text-align: right;" | 42,061 || style="text-align: right;" | 1,452,914 || style="text-align: right;" | 34.54 || 1920 ||
|-
| 블라디미르주 || Владимирская областьrus || 블라디미르 || 주 || 중앙 || style="text-align: right;" | 29,084 || style="text-align: right;" | 1,348,134 || style="text-align: right;" | 46.35 || 1944 ||
|-
| 울리야노프스크주 || Ульяновская областьrus || 울리야노프스크 || 주 || 볼가 || style="text-align: right;" | 37,181 || style="text-align: right;" | 1,196,745 || style="text-align: right;" | 32.19 || 1943 ||
|-
| 프리모르스키 지방 || Приморский крайrus || 블라디보스토크 || 변경주 || 극동 || style="text-align: right;" | 164,673 || style="text-align: right;" | 1,845,165 || style="text-align: right;" | 11.21 || 1938 ||
|-
| 옴스크주 || Омская областьrus || 옴스크 || 주 || 시베리아 || style="text-align: right;" | 141,140 || style="text-align: right;" | 1,858,798 || style="text-align: right;" | 13.17 || 1934 ||
|-
| 오룔주 || Орловская областьrus || 오룔 || 주 || 중앙 || style="text-align: right;" | 24,652 || style="text-align: right;" | 713,374 || style="text-align: right;" | 28.94 || 1937 ||
|-
| 오렌부르크주 || Оренбургская областьrus || 오렌부르크 || 주 || 볼가 || style="text-align: right;" | 123,702 || style="text-align: right;" | 1,862,767 || style="text-align: right;" | 15.06 || 1934 ||
|-
| 카바르디노-발카리야 || Кабардино-Балкарская Республикаrus || 날치크 || 공화국 || 북캅카스 || style="text-align: right;" | 12,470 || style="text-align: right;" | 904,200 || style="text-align: right;" | 72.51 || 1936 ||
|-
| 캄차카 지방 || Камчатский крайrus ||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 변경주 || 극동 || style="text-align: right;" | 464,275 || style="text-align: right;" | 291,705 || style="text-align: right;" | 0.63 || 2007 ||
|-
|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 Карачаево-Черкесская Республикаrus || 체르케스크 || 공화국 || 북캅카스 || style="text-align: right;" | 14,277 || style="text-align: right;" | 469,865 || style="text-align: right;" | 32.91 || 1957 ||
|-
| 칼리닌그라드주 || Калининградская областьrus || 칼리닌그라드 || 주 || 북서 || style="text-align: right;" | 15,125 || style="text-align: right;" | 1,029,966 || style="text-align: right;" | 68.10 || 1946 ||
|-
| 칼루가주 || Калужская областьrus || 칼루가 || 주 || 중앙 || style="text-align: right;" | 29,777 || style="text-align: right;" | 1,069,904 || style="text-align: right;" | 35.93 || 1944 ||
|-
| 칼미키야 || Республика Калмыкияrus || 엘리스타 || 공화국 || 남부 || style="text-align: right;" | 74,731 || style="text-align: right;" | 267,133 || style="text-align: right;" | 3.57 || 1957 ||
|-
| 카렐리야 || Республика Карелияrus || 페트로자보츠크 || 공화국 || 북서 || style="text-align: right;" | 180,520 || style="text-align: right;" | 533,121 || style="text-align: right;" | 2.95 || 1956 ||
|-
| 북오세티야-알라니야 || Республика Северная Осетия — Аланияrus || 블라디캅카스 || 공화국 || 북캅카스 || style="text-align: right;" | 7,987 || style="text-align: right;" | 687,357 || style="text-align: right;" | 86.06 || 1924 ||
|-
| 키로프주 || Кировская областьrus || 키로프 || 주 || 볼가 || style="text-align: right;" | 120,374 || style="text-align: right;" | 1,153,680 || style="
참조
[1]
논문
Russia's constitutional structure
https://www.europarl[...]
European Parliament
2015-10
[2]
웹사이트
Russia: Federal Districts and Major Cities
http://www.citypopul[...]
City Population
2019-04-18
[3]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globaldatala[...]
2021-07-20
[4]
웹사이트
1.1. ОСНОВНЫЕ СОЦИАЛЬНО-ЭКОНОМИЧЕСКИЕ ПОКАЗАТЕЛИ в 2014 г.
http://www.gks.ru/bg[...]
Russian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16-07-26
[5]
웹사이트
Subnational Human Development Index (SD-201) (Russian Federation)
https://globaldatala[...]
Radboud University Nijmegen
2019-04-18
[6]
간행물
Валовой региональный продукт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в 2016–2022 гг.
https://rosstat.gov.[...]
rosstat.gov.ru
[7]
웹사이트
Results of Census: Population of Crimea is 2.284 Million People
http://en.krymedia.r[...]
2016-02-13
[8]
문서
Constitution, Article 65
[9]
뉴스
"Договор между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ей и Республикой Крым о принятии в Российскую Федерацию Республики Крым и образовании в составе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новых субъектов"
http://kremlin.ru/ne[...]
Kremlin.ru
[10]
뉴스
Putin signs Crimea treaty, will not seize other Ukraine regions
https://www.reuters.[...]
Reuters
2014-03-18
[11]
웹사이트
"'Referendums' on joining Russia under way in occupied Ukraine"
https://www.theguard[...]
2022-09-24
[12]
뉴스
Putin declares annexation of Ukrainian lands in Kremlin ceremony
https://www.reuters.[...]
2022-09-30
[13]
문서
"Энциклопед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конституционного права". Статья "Административно-территори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ост. А. А. Избранов. — Мн.: Изд. В.М. Суров, 2001.
[14]
Russian law
[15]
문서
Law #17-ZS
[16]
문서
The concept of inter-settlement territory in the Russian Federation
https://www.research[...]
[17]
Russian law
[18]
Russian law
[19]
Russian law
[20]
문서
Общероссийский классификатор экономических регионов" (ОК 024-95) введённый 1 января 1997 г., в ред. Изменения № 05/2001. Секция II. Экономические районы
[21]
웹사이트
Валовой региональный продукт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в 2016-2022гг.
https://rosstat.gov.[...]
2023-08-21
[22]
Russian law
[23]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Russian Federation: Chapter 3, The Federal Structure
http://www.constitut[...]
2013-04-28
[24]
뉴스
Putin to annex seized Ukrainian land, U.N. Warns of 'dangerous escalation'
https://www.reuters.[...]
2022-09-29
[25]
뉴스
Договор между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ей и Республикой Крым о принятии в Российскую Федерацию Республики Крым и образовании в составе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новых субъектов
http://kremlin.ru/ne[...]
Kremlin.ru
[26]
웹사이트
Putin signs Crimea treaty as Ukraine serviceman dies in attack
https://www.reuters.[...]
2016-05-07
[27]
웹사이트
Конституц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eng.constitut[...]
2016-05-07
[28]
문서
Chapter 1. The Fundamentals of the Constitutional System | The Constitution of the Russian Federation
http://www.constitut[...]
[29]
문서
This treaty consisted of three treaties, see also Concluding and Transitional Provisions
http://eng.constitut[...]
[30]
서적
The Territories of the Russian Federation 2012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9-10-06
[3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ian Federation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9-10-06
[32]
뉴스
プーチン大統領、クリミア・セヴァストーポリ編入関連法に調印
http://japanese.ruvr[...]
2014-03-21
[33]
문서
2008年1月1日に[[ウスチオルダ・ブリヤート自治管区]]を併合
[34]
문서
2007年7月1日に[[カムチャツカ州]]と[[コリャーク自治管区]]が合併して発足
[35]
문서
2007年1月1日に[[エヴェンキ自治管区]]と[[タイミル自治管区]]を併合
[36]
문서
2005年12月1日に[[ペルミ州]]と[[コミ・ペルミャク自治管区]]が合併して発足
[37]
문서
2008年3月1日に[[チタ州]]と[[アガ・ブリヤート自治管区]]が合併して発足
[38]
웹사이트
Распределение земель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по категориям в разрезе субъектов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на 1 января 2017 года, тыс. га)
https://rosreestr.go[...]
ロシア連邦国家統計庁
2022-10-24
[39]
웹사이트
RUSSIA: Administrative Division
http://citypopulatio[...]
Citypopulation.de
2022-10-24
[40]
문서
行政上は[[ネネツ自治管区]]を含める。なお表の人口・面積値はネネツ自治管区を除外している。
[41]
문서
ロシアが一方的に併合を宣言した地域。国際的にはウクライナの領土として扱われており、ロシアの構成体として認められていない。
[42]
문서
ロシアが実効支配する北方地域および南樺太を含む。
[43]
문서
日本が領有権を主張する[[北方地域]](北方領土)および帰属未定地域の[[南樺太]]を管轄する。
[44]
웹사이트
Временной столицей Запорожской области в составе России станет Мелитополь
https://www.rbc.ru/p[...]
rbc.ru
2022-10-28
[45]
웹사이트
UKRAINE: Provinces and Major Cities
http://citypopulatio[...]
Citypopulation.de
2022-10-28
[46]
문서
'{{lang|ru|Город федерального значен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サンクトペテルブルク連邦市)とも'
[47]
문서
'{{lang|ru|Город федерального значения Севастополь}}(セヴァストポリ連邦市)とも'
[48]
문서
行政上は[[ハンティ・マンシ自治管区・ユグラ]]、[[ヤマロ・ネネツ自治管区]]を含める。なお表の人口・面積値は2自治管区を除外している。
[49]
문서
行政上はアルハンゲリスク州に帰属しているが、1つの連邦構成体として扱われる。
[50]
문서
行政上はチュメニ州に帰属しているが、1つの連邦構成体として扱われる。
[51]
웹사이트
Власти Херсонской области заявили о временном переносе столицы региона
https://radiosputnik[...]
ラジオ・スプートニク
2022-11-13
[52]
문서
'{{lang|ru|Город федерального значения Москва}}(モスクワ連邦市)とも'
[53]
웹사이트
Устав Московской области
Устав Московской обл[...]
Интернет-портал Московской области
2022-10-30
[54]
웹사이트
Московский областной суд переехал в Подмосковье
https://vz.ru/news/2[...]
':ru:Взгляд (интернет-газета)'
2022-10-30
[55]
웹사이트
Правительство Подмосковья провело первое заседание в новом здании
https://ria.ru/20071[...]
RIAノーボスチ
2022-10-30
[56]
웹사이트
Мособлдума провела последнее заседание в здании на Проспекте мира
https://ria.ru/20210[...]
RIAノーボスチ
2022-10-30
[57]
웹사이트
Красногорск станет столицей Московской области через три года
https://архив.истра.[...]
Истра.Рф
2022-10-30
[58]
웹사이트
Красногорск может стать столицей Московской области
https://ria.ru/20180[...]
RIAノーボスチ
2022-10-30
[59]
웹사이트
Гатчина официально стала столицей Ленинградской области
https://ria.ru/20210[...]
RIAノーボスチ
2022-10-30
[60]
웹사이트
Переезд на фоне выборов
https://www.kommersa[...]
コメルサント
2022-10-30
[61]
웹사이트
"{{lang|ru|ОК 019-95 НАЦИОНАЛЬНЫЕ СТАНДАРТЫ}}"
http://protect.gost.[...]
2018-04-28
[62]
웹사이트
"{{lang|ru|Федеральная служба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статистики. Классификаторы}}"
http://www.gks.ru/me[...]
2018-04-28
[63]
웹사이트
"{{lang|ru|Предварительная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на 1 января 2020 года и в среднем за 2019 год}}"
https://www.gks.ru/s[...]
連邦統計局
2020-02-03
[64]
웹사이트
"{{lang|ru|Сведения о наличии и распределении земель в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на 01.01.2017 (в разрезе субъектов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s://rosreestr.ru[...]
rosreestr.ru
2020-02-03
[65]
웹사이트
"{{lang|ru|Регионы России. Социально-экономические показатели. 2017: Статистический сборник}}"
http://www.gks.ru/fr[...]
連邦統計局
2020-02-03
[66]
Russian law
[67]
문서
中華人民共和国の特別行政区
[68]
문서
[[ヨーロッパ]]にも分類され得る。
[69]
문서
一部は[[アフリカ]]に含まれる。
[70]
문서
[[ウラル山脈]]以東はアジアに分類されることもある。
[71]
문서
아시아에 분류되는 경우도 있음
[72]
웹인용
United Nations Official Document
http://www.un.org/en[...]
[73]
문서
Президент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Указ №849 от 13 мая 2000 г. «О полномочном представителе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в федеральном округе». Вступил в силу 13 мая 2000 г. Опубликован: "Собрание законодательства РФ", №20, ст. 2112, 15 мая 2000 г.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