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철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 철학은 러시아의 독특한 역사와 문화적 배경 속에서 발전해 온 철학적 사상들을 포괄한다. 14세기부터 17세기에는 교회와 국가의 역할, 토지 소유 문제 등을 둘러싼 논쟁이 활발하게 전개되었고, 18세기에는 서양 철학의 유입과 함께 계몽주의 사상이 러시아에 영향을 미쳤다. 19세기에는 슬라브주의와 서구주의 간의 논쟁이 심화되었으며,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 레프 톨스토이 등 주요 철학자들이 등장했다. 20세기 초에는 러시아 철학의 황금기를 맞이하며 다양한 사상들이 나타났으나, 러시아 혁명 이후 마르크스-레닌주의가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며 철학은 분열되었다. 소련 붕괴 이후에는 이념적 제약에서 벗어나 새로운 모색이 이루어졌으며, 유라시아주의와 같은 사상이 부상하기도 했다. 러시아 철학은 전체주의 비판, 공동체주의적 사유, 역사 및 문화에 대한 성찰, 도덕적 가치 강조 등 한국 사회에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철학 |
|---|
2. 역사
러시아 철학사는 다양한 견해와 시대 구분을 포함하여 복잡한 역사를 지니고 있다. 전통적으로 19세기 이전의 '표트르 이전' 시대와 19세기 이후의 '표트르 이후' 시대로 구분하며, 현대에는 '소련' 시대를 추가하기도 한다.
러시아 철학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존재한다. 가브리엘 대주교는 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의 가르침을 기원으로 보았지만, 많은 역사가는 표트르 대제 시대에 독립적인 현상으로 형성되었다고 주장한다. 현대 역사 기술법에서는 키예프 루스 시대의 신학적, 교훈적인 문학에 뿌리를 둔 러시아 지적 문화 현상으로 간주하며, 클리멘트 스몰랴티치, 키릭 노브고로데츠, 투로프의 키릴 등을 초기 철학자로 꼽는다.
니콜라이 로스키는 러시아 철학의 특징으로 러시아 우주론, 소피올로지(지혜에 대한 가르침), 소보르노스트, 형이상학, 종교성, 직관주의, 실증주의, 현실주의를 제시했다. 세묜 프랑크는 러시아 사상가들에게 내재된 합리적, 도덕적 의미의 불가분성을, 니콜라이 베르자예프는 진리와 정의가 결합된 전체론적 세계관을 개발하려는 노력을 강조했다.[1]
안드레이 수호프 교수는 러시아 철학이 국가 운명에 대한 성찰을 많이 담고 있다고 평가했으며,[2] 마리아 바를라모바는 러시아에서 플라톤이 아리스토텔레스보다 중요하다고 언급했다.[3] 니나 드미트리에바 교수는 19세기 말~20세기 초 러시아 철학이 문학 비평과 저널리즘을 중심으로 사회 정치적, 윤리적 문제에 집중했으며, 이후 신비주의적, 종교적 사상가들이 주도했다고 설명한다.[4] 나탈리아 보로뵤바 교수는 현대 연구자들이 독창적인 슬라브-러시아 철학 체계가 없다고 가정하고, 러시아 철학 체계를 인류 역사의 현대 시기 현상으로 간주한다고 지적한다.[5]
드미트리 리하초프는 러시아 철학이 문학, 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미하일 로모노소프, 가브릴라 데르자빈, 표도르 튜체프,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레프 톨스토이, 니콜라이 체르니셰프스키 등을 함께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6]
2. 1. 고대 러시아 시대 (11세기 ~ 13세기)
키예프 루스 시대의 신학적, 교훈적 문학은 고대 러시아 국가의 철학적 사상과 문제점의 뿌리로 여겨진다. 클리멘트 스몰랴티치, 키릭 노브고로데츠, 투로프의 키릴 등이 최초의 러시아 철학자 중 하나로 꼽힌다.[1]고대 러시아 철학의 존재 여부는 논쟁의 대상이지만, 일부 연구자들은 고대 러시아 문학에 철학적 사상과 문제가 존재한다고 주장한다.[8] "헬레니즘 현자들"의 철학적 사상은 번역된 자료를 통해 고대 러시아 문학에 유입되었다. 종교적 세계관의 틀 안에서 인간 본성 문제(스뱌토슬라프의 이즈보르니크(Svyatoslav's Izbornik), 투로프의 키릴, 닐 소르스키), 국가 권력(요셉 볼로츠키), 보편적 가치(키예프의 일라리온의 "율법과 은총에 관한 설교", 그는 때때로 "최초의 고대 러시아 철학자"라고 불린다)가 다루어졌다.[10]
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의 가르침에는 윤리적 이상이 담겨 있으며, 《과거 연대기》는 역사 철학(바벨탑에 대한 처벌로서의 민족 기원) 외에도 종교 철학의 요소(속성(위격), 육체(물질), 시각(형태), 욕망과 꿈(상상력)의 개념)를 담고 있다.
고대 러시아에서는 비잔틴 철학 기념물의 번역 문학이 널리 유통되었으며,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격언집 "벌"과 필립 더 허미트(Philip the Hermit)의 "디옵트라"였다. 철학적으로 중요한 작품을 남긴 가장 유명한 저자로는 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 페체르스키의 테오도시우스, 클림 스몰랴티치, 키리크 노브고로데츠, 투로프의 키릴, 다니일 자토치니크가 있다.
2. 2. 14세기 ~ 17세기 러시아 서기관들의 철학적 문제
요세프 볼로츠키와 닐 소르스키는 "요세프파"와 "무소유파" 간의 광범위한 논쟁을 벌였다. 이 논쟁의 중심 문제는 교회와 국가의 역할, 토지 소유와 장식의 중요성에 관한 것이었다. 교회의 장식과 토지 문제는 철학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었지만, 성서 및 교부 문학의 맥락에서 교회의 소유 문제를 고찰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11] 이 논쟁에서는 그레고리 시나이트, 시므온 신학자, 요한 클리마쿠스, 시리아의 이사악, 로마의 요한 카시안, 시나이의 닐, 바실 대제 등이 인용되었다.[11] 이는 궁극적으로 러시아 땅에서 통치자의 "카리스마"라는 생각으로 해결된 신앙과 권력의 연결 의미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졌다. 이 철학적 문제는 이반 뇌제와 쿠르브스키 공의 서신, 표도르 쿠리친의 "보예보다 드라큘라의 일화", 이반 페레스베토프의 메시지에서 더욱 발전되었다.요세프 볼로츠키와 닐 소르스키는 노브고로드 지역에 퍼진 유대교 이단과 스트리고르니키에 맞선 투쟁으로도 알려져 있다. 유대교 이단이 러시아 지식 환경에 퍼지면서 가짜 아리스토텔레스의 작품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스트리고르니크들의 입장은 후스파와 유사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교부 문학뿐만 아니라 게나디 서클의 일원인 드미트리 게라시모프(드미트리 스콜라스티크)가 번역한 라틴 스콜라 학문의 기념비도 필요했다. 요세프 볼로츠키는 이단을 파괴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닐 소르스키와 바시안 파트리케예프는 칼이 아닌 말로 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요세프파와 무소유파 간의 논쟁은 러시아에서 권력과 자유사상가 간의 긴장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며, 이후 러시아 철학사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났다.[11]
콘스탄틴 오스트로즈스키 공작이 설립한 오스트로그 학파는 러시아 철학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오스트로그 학파에서는 고대 그리스어, 라틴어, 고대 교회 슬라브어 등 언어 연구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반 표도로프와 표트르 므스티슬라베츠가 근무한 인쇄소가 있었으며, 안드레이 쿠르브스키 공작도 학교 발전에 참여했다. 신학 문헌과 더불어 스콜라 철학이 연구되었다. 이 아카데미 졸업생으로는 멜레티 스모트리츠키, 옐리세이 플레테네츠키, 크리스토퍼 필랄레트 등이 있었다. 오스트로그 학파의 활동은 키예프-모길라 및 모스크바 슬라브-그리스-라틴 아카데미의 철학 및 신학 과정의 방향을 결정했다.[12]
러시아 차르국 시대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 통치 기간 동안 표도르르티셰프의 주도로 설립된 러시아 최초의 교육 기관인 Rtishchevsky School (Rtishchevsky Brotherhood, Andreevsky School)은 1648년부터 모스크바에서 운영되었다. 이 학교는 모스크바 최초로 철학 및 수사학 과정을 공식적으로 포함시켰다. 키예프 신학 아카데미 출신 에피파니 슬라비네츠키가 책임자로 임명되었다.
모스크바 슬라브-그리스-라틴 아카데미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은 시메온 폴로츠키였다. 그는 러시아 차르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와 마리아 밀로슬라프스카야의 자녀인 이반, 소피야, 표도르의 멘토였다. 그는 자이코노스파스키 수도원 학교의 설립자이자 실베스터 메드베데프의 스승이었다. 그 외의 중요한 인물로는 실베스터 메드베데프와 리후다 형제, 페오필라크트 로파틴스키, 팔라디 로고프스키 등이 있다.
스몰렌스크 컬리지움의 철학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은 게데온 비슈네프스키였다.
2. 3. 18세기 러시아 철학
표트르 1세의 개혁은 교회의 권한을 제한하고 고등 교육 시스템을 만들면서 서양 철학이 러시아에 들어오는 데 기여했다. 유신론은 가장 인기 있는 서양의 혁신이었으며, 미하일 로모노소프와 알렉산드르 라디셰프와 같은 러시아 계몽주의 사상가들이 이를 지지했다. 이 시기에 원자론과 감각주의가 러시아에 뿌리내리게 되었다.[13]유신론 사상은 반성직주의와 표트르 1세의 학문적 부대가 옹호한 세속 권력에 대한 정신적 권력 종속의 정당화로 표현되었다. 또한, 러시아 계몽주의 철학은 프리메이슨의 많은 사상(니콜라이 노비코프)을 수용했다. 그리고리 테플로프는 최초의 러시아 철학 사전 중 하나를 편찬했다.[13]
18세기 러시아의 중요한 철학자로는 테오판 프로코포비치, 스테판 야보르스키, 미하일 로모노소프, 그리고리 스코보로다, 러시아 마르티니스트, "내부 기독교인" 등이 있었다. 18세기 러시아 철학자들의 주요 저작으로는 바실리 타티시체프의 "두 친구의 대화", 안드레이 볼로토프의 "어린이 철학", 그리고리 테플로프의 "일반 철학에 관한 지식", 알렉산드르 라디셰프의 "인간, 그의 죽음과 불멸에 관하여"가 있다.
2. 4. 19세기 러시아 철학
19세기 러시아 철학은 셸링주의의 등장과 함께 시작되었다. 1823년 지혜의 학회가 창설되었다.[1]- 표트르 차다예프: 독창적인 철학의 기원에 서서 러시아를 별개의 문명으로 보고 그 의미를 질문했다. 세계의 기계론적 구조와 역사의 섭리적 본질에 대한 오래된 사상을 반복했다.[1]
- 알렉세이 호먀코프: 슬라브주의자로서 러시아의 의미에 대한 결정에 불만족하여 소보르노스트 개념을 옹호했다.[1]
- 이반 키레예프스키: 슬라브주의자로서 표트르 대제 이전의 가부장적 러시아 이상을 옹호했다.[1]
- 콘스탄틴 아크사코프: 국가와 사회를 구별했다.[1]
-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러시아 사상"과 "교양 사회"와 민중 사이의 국가적 "토양"에 기반한 관계 회복의 필요성을 선언했다.[1]
- 알렉산드르 게르첸[1]
- 비사리온 벨린스키[1]
- 니콜라이 도브롤류보프[1]
- 니콜라이 체르니셰프스키[1]
- 드미트리 피사레프[1]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1853–1900)는 동시대인들에게 러시아 철학의 중심 인물로 불렸다. 그는 추상성 때문에 이전의 철학을 비판했고, 경험론과 합리주의 같은 극단적인 형태를 수용하지 않았다. 그는 신이 주도하는 긍정적 전체 통일의 개념을 제시했다. 선을 의지의 표현, 진리를 이성의 표현, 아름다움을 감정의 표현으로 보았다. 그는 모든 물질 세계가 신에 의해 통제되며, 인간은 그가 창조했지만 완벽하지 않은 신과 자연 사이의 연결 고리라고 보았다. 인간은 그것을 완벽(영성화)하게 만들어야 하며, 이것이 삶의 의미(절대자로의 이동)이다. 인간은 신과 자연 사이의 중간 위치에 있으므로, 도덕적 활동은 다른 사람, 자연, 신에 대한 사랑으로 나타난다.[14] ''전체-통일'' 개념은 세묜 프랑크와 레프 카르사빈도 사용했다.[1]
레프 톨스토이(1828–1910)는 러시아 철학의 중심 인물 중 한 명이다. 그의 철학은 칸트, 루소, 아르투어 쇼펜하우어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톨스토이의 견해는 "톨스토이주의자"인 동시대인들과 추종자들이 공유했다. 간디는 그를 자신의 스승으로 여겼다.[1] 톨스토이는 종교의 도덕적 요소의 가치는 인정하지만, 모든 신학적 측면은 부정한다("진정한 종교"). 인식의 목표는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이다.[15]
- 드 로베르티[16]
- 비류보프[16]
- 레세비치[16]
- 라브로프[16]
- 미하일로프스키[16]
2. 5. 20세기 러시아 철학
20세기 초, 러시아 철학의 황금기에는 니콜라이 베르자예프, 세르게이 불가코프, 파벨 플로렌스키, 세멘 프랑크, 니콜라이 로스키, 바실리 로자노프, 레프 셰스토프, 구스타프 슈페트 등 저명한 철학자들이 활동했다.[4]20세기 초, 러시아의 가장 위대한 철학자들은 사회적, 정치적 변화의 영향을 받아 세 편의 철학적 선집을 출판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다.
| 출판년도 | 제목 | 설명 |
|---|---|---|
| 1902 | 이상주의의 문제들 (The Problems of Idealism) | 해당 선집은 사회적, 정치적 변화에 영향을 받아 출판되었다. |
| 1909 | 이정표. 러시아 지식인에 관한 논문집 (Vekhi|Milestones. Collection of Articles About the Russian Intelligentsia) | 러시아 지식인에 대한 내용을 담고있다. |
| 1918 | 깊이로부터 (From the Depth. Collection of Articles About the Russian Revolution) | 러시아 혁명에 대한 내용을 담고있다. |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의 러시아 종교 철학은 슬라브주의와 서구주의의 종합이었다.[17]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와 다니일 안드레예프는 소피올로지와 ''세계의 장미''를 통해 지구상에 하느님의 왕국을 건설하려는 계획을 제시했다. 종교와 정신적, 도덕적 쇄신은 정의로운 사회 건설의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졌으며, 소피올로지의 아이디어는 부분적으로 볼셰비즘(공산주의)과 우주론(노오스피어)에 계승되었다.
20세기 러시아 철학은 러시아 마르크스주의와 러시아 디아스포라 철학으로 나뉘었다. 일부 철학자들은 해외로 추방되었지만, 파벨 플로렌스키와 알렉세이 로세프 등은 소련에 남아 러시아 철학의 전통을 이어갔으며, 세르게이 아베린체프와 블라디미르 비비힌이 그 정신적 계승을 받았다.
니콜라이 베르자예프(1874–1948)는 러시아 실존주의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초기에는 마르크스주의적 견해를 가졌으나, 이후 마르크스주의를 비판하고 정신과 자연의 대립을 강조했다. 베르자예프는 신은 정신이며, 영적 경험과 창의적 경험을 통해 신의 존재를 알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세 가지 유형의 자유(기본적인 비합리적 자유, 합리적 자유, 신의 사랑으로 스며든 자유)를 구별하고, 자유가 신에 의해 창조되지 않았으므로 신은 악에 대한 책임이 없다고 주장했다.
베르자예프는 인격이 코스모스의 일부가 아니라 창조적 행위라고 보았다. 그는 "러시아 사상"을 정립하려 했으며, 러시아인은 잔혹함과 인간성,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신에 대한 탐구와 무신론 등 양극화된 특징을 지녔다고 보았다. 베르자예프는 러시아 혁명이 사회주의적일 수밖에 없었으며, 러시아 사상은 민족들의 형제애라는 생각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베르자예프의 주요 저작은 다음과 같다.
| 출판년도 | 제목 |
|---|---|
| 1911 | 자유의 철학 |
| 1916 | 창조성의 의미. 인간의 정당화 경험 |
| 1923 | 불평등의 철학. 사회 철학의 적들에게 보내는 편지 |
| 1937 | 러시아 공산주의의 기원과 의미 |
| 1946 | 러시아 사상. 19세기와 20세기의 러시아 사상의 주요 문제 |
2. 6. 소련 철학
10월 혁명 이전에도 러시아에서는 마르크스주의 철학이 발전했다. (게오르기 플레하노프, 블라디미르 레닌)소련 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질문은 물질과 의식의 관계였으며, 주요 방법은 세 가지 법칙으로 구별되는 변증법이었다. 철학은 구조적으로 변증법적 유물론과 역사 유물론으로 나뉘었는데, 이는 각각 자연 철학과 역사 철학을 의미했다. 물질과 객관적 현실로 해석되는 자연은 시간과 공간적으로 영원하고 무한한 것으로 여겨졌다. 의식은 "고도로 조직된 물질의 속성"으로 해석되었다.
인식론에서는 레닌의 반영 이론이 지배적이었다. 역사적 과정은 토대(경제)와 상부 구조(문화) 사이의 종속적 관계를 통해 이해되었으며, 원시 공산 사회, 노예제, 봉건제, 자본주의, 사회주의 (공산주의의 첫 번째 단계)와 같은 사회 체제가 차례로 교체되는 것으로 여겨졌다.[19]
소련 시대에는 이상적인 것의 본질(오직 "머릿속"에만 존재하는가, 아니면 그렇지 않은가? 다비드 두브롭스키 – 에발트 일리엔코프)과 정보의 본질에 대한 논쟁이 인기를 끌었다.
미하일 바흐친은 다성성, 대화, 카니발리즘의 개념을 발전시켰다. 알렉세이 로세프, 세르게이 아베린체프, 블라디미르 비비킨과 같은 철학자들은 소련 말기에 큰 인기를 얻었다. 소련 말기와 포스트 소비에트 시대에는 모스크바-타르투 기호학파의 아이디어가 널리 받아들여졌다.
2. 7. 포스트 소비에트 철학
소련 붕괴로 인해 이념적 금지가 해제된 후, 러시아 철학은 불확실한 상황에 놓였다. 철학 교육의 기존 구조를 유지하면서, 소련 철학이 인위적으로 고립되었던 철학 유산의 부분을 습득하는 과정이 시작되었다. 정치학, 문화학, 종교학, 철학적 인류학과 같은 철학적 사이클의 새로운 학문들이 생겨나 발전하기 시작했다.[18]유리 세묘노프, 다닐 다닌, 미하일 쿨라키 등의 의견에 따르면, 중단된 철학적 전통을 재개하고 러시아 종교 철학의 유산을 되돌리려는 시도는 실패로 끝났다.[18]
현재, 유라시아주의의 사상과의 연속성을 선언하는 여러 조직들이 있다. 그중 주요 조직으로는 유라시아 청년 연합, 신유라시아주의의 주요 이데올로그인 알렉산드르 두긴의 국제 유라시아 운동 등이 있다.[18]
게오르기 셰드로비츠키와 그가 창시한 방법론 학파(모스크바 방법론 서클)는 러시아 철학 발전에 매우 독창적이고 특별한[22] 기여를 했다. 이 학파는 "세 번째 러시아 철학은 실제로 방법론이다"라고 공식화되기도 했다.[23] 셰드로비츠키와 그의 학파가 창안한 철학적, 방법론적 체계는 포스트모더니즘 상황에서 독창적인 해결책을 제시한다. "'모더니즘 - 포스트모더니즘'의 대립에서 사고-활동 방법론 시스템은 몇 가지 조건과 제약 하에 위치할 수 있다".[24] 처음에는 반 지하 조직이었던 모스크바 방법론 서클이 소위 "포스트 비-고전" (포스트모던) 철학의 개념적 장치가 이미 그 능력을 소진했을 때, 현대 시대가 요구하는 개념들을 형성하고 연마했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25]
3. 주요 학파 및 운동
러시아 철학의 주요 학파 및 운동은 다음과 같다.
- 서구주의와 자유주의 – 19세기 중반
- 슬라브주의와 포치벤니체스트보 – 19세기 중반
- 나로드니чество – 19세기 후반
- 허무주의 – 19세기 후반
- 아나키즘 – 19세기 후반
- 코스미즘 – 19세기 말 ~ 20세기 전반
- 톨스토이주의 – 19세기 말 ~ 20세기 초
- 실증주의 – 19세기 말 ~ 20세기 초
- 베호프스토 – 20세기 초
- 소피올로지 – 20세기 초
- 유라시아주의 – 20세기 전반, 21세기 초
- 마르크스-레닌주의 – 20세기
- 불관용 – 20세기에 소비에트 정권 수립 이후
- 국가주의
- 전통주의
- 민족주의
유라시아주의는 중앙아시아 국가와의 통합을 선호하며 러시아의 유럽 통합을 거부하는 철학적, 정치적 운동이다. 1920년대와 1930년대 러시아 망명가들 사이에서 등장했으며, 21세기 초에 다시 인기를 얻었다.[18]
레프 구밀료프는 20세기 후반에 잊혀졌던 유라시아주의 사상을 부활시킨 역사학자이자 지리학자이다. 그는 "민족 기원과 지구의 생물권", "카스피해 주변의 밀레니엄", "루스에서 러시아까지" 등 여러 저서에서 유라시아 개념을 사용하여 민족 기원론을 제시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모든 민족은 특정 행동 양식으로 결합된 사람들의 공동체이다.
2. 민족과 그 행동 양식은 특정 지리적, 기후적 조건에서 형성되며, 오랜 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3. 초민족적 전체는 단일 초민족 집단의 서로 다른 민족 집단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일반화된 행동 양식을 바탕으로 형성된다.
4. 초민족적 통합체의 행동 양식은 특정 존재 조건을 충족하는 특정한 삶의 방식이다.
참조
[1]
간행물
Struggle for Truth (Berdyaev, Kant and Others)
https://cyberleninka[...]
Soloviev Studies
2014
[2]
웹사이트
Sukhov Andrey Dmitrievich
http://iph.ras.ru/su[...]
[3]
간행물
Dynamis as the Cause of Movement in Aristotle's Physics
http://dlib.rsl.ru/l[...]
[4]
간행물
Philosophy as a Science and Worldview: Towards the Question of Pacifism in German and Russian Neo–Kantianism
http://www.logosjour[...]
[5]
서적
History of Russian Spiritual Culture
[6]
간행물
Baptism of Rus and the State of Rus
http://likhachev.lfo[...]
Dmitry Likhachev
[7]
웹사이트
Ontological Status of the Name and Word in the Philosophical Culture of Ancient Russia
http://www.phil63.ru[...]
[8]
서적
Philosophically Significant Content of Old Russian Bookishness
http://www.philosoff[...]
History of Russian Philosophy
2008
[9]
웹사이트
The Influence of Ancient Philosophical Ideas on the Formation of Old Russian Book Literature on the Example of Svyatoslav's Izbornik
http://www.lunn.su/i[...]
[10]
서적
Philosophy: a Textbook for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UNITY–DANA
2010
[11]
웹사이트
Joseph Volotsky and Nil Sorsky. Russian Historical Library
http://rushist.com/i[...]
[12]
웹사이트
Ostrog School.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https://w.histrf.ru/[...]
[13]
웹사이트
Grigory Teplov. Runivers
https://runivers.ru/[...]
[14]
웹사이트
Vladimir Solovyov. Felitsyn Museum
https://felicina.ru/[...]
[15]
웹사이트
Nikita Kozlov. Leo Tolstoy's Intellectual, Philosophical and Social Quest
https://www.socionau[...]
[16]
서적
Positivism in Russia in the 19th Century
Moscow University Publishing House
1980
[17]
웹사이트
Russian Religious Philosophy. Moscow Institute of Physics and Technology
https://mipt.ru/educ[...]
[18]
웹사이트
Eurasianism.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https://w.histrf.ru/[...]
[19]
웹사이트
Formation Approach as a Methodology for Analyzing Social Development
https://science-educ[...]
[20]
웹사이트
On Russian Religious Philosophy of the Late 19th – Early 20th Centuries
http://scepsis.net/l[...]
Yuri Semyonov
[21]
웹사이트
"Neo–Eurasianism" of Alexander Dugin and Eurasianism
http://gefter.ru/arc[...]
Mikhail Nemtsev
[22]
서적
Systematic Research Methodology
The Latest Philosophical Dictionary
2003
[23]
간행물
The Third Russian Philosophy is Actually a Methodology. Report at the Seminar–Discussion on the Preparation of the 10th Readings in Memory of Georgy Shchedrovitsky. January 27, 2004. Moscow
https://www.fondgp.r[...]
[24]
서적
Systematic Research Methodology
The Latest Philosophical Dictionary
2003
[25]
서적
We Have a Philosophy
Georgy Shchedrovitsky. Philosophy. The Science. Methodology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