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서 버뱅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서 버뱅크는 1870년대부터 1920년대까지 800개 이상의 새로운 식물 품종을 개발한 미국의 육종학자이다. 그는 감자, 과일, 채소 품종 개량에 기여했으며, 캘리포니아 기후에 적합한 작물을 개발했다. 특히, 버뱅크 감자를 개발하여 널리 재배되도록 했으며, 앤드루 카네기의 지원을 받아 연구를 지속했다. 그는 식물 육종 과정에서 자연선택과 교배를 활용했으며, 미국 우생학 운동에 참여하여 라마르크주의적 신념을 보였다. 버뱅크는 대량 선발 방식을 통해 다양한 품종을 개량했고, 1930년 미국 식물 특허법 제정에 영향을 미쳤다. 그의 업적은 멕시코 화가 프리다 칼로의 초상화, 기념 우표 발행, 그의 이름을 딴 여러 장소들을 통해 기념되고 있다.
루서 버뱅크는 매사추세츠주 랭커스터의 농가에서 15남매 중 13번째로 태어나 성장했다. 그는 정식 교육을 많이 받지는 못했지만(랭커스터 카운티 아카데미 졸업), 어린 시절 어머니의 정원에서 식물에 대한 깊은 관심을 키웠다.[4] 18세에 아버지를 여의고 받은 유산으로 매사추세츠주 러넨버그 인근에 약 17acre의 땅을 구입하여, 1872년부터 1874년 사이에 그의 첫 주요 업적인 버뱅크 감자를 개발했다. 그는 이 감자의 권리를 150USD에 판매한 자금으로 1875년 캘리포니아주 산타로사로 이주하여 본격적인 식물 육종 연구의 기반을 마련했다.[5][6]
2. 생애와 업적
산타로사에서 버뱅크는 4acre 규모의 부지에 온실과 실험 농장을 설립하고, 찰스 다윈의 저서 ''동식물 변이''에서 영감을 받아 수많은 교배 실험에 착수했다. 이후 인근 세바스토폴에도 18acre 규모의 골드 리지 농장을 추가로 마련하여 연구 규모를 확장했다.[7] 그는 평생에 걸쳐 자두, 감자, 블랙베리, 샤스타 데이지, 가시 없는 선인장 등 800가지가 넘는 새로운 식물 품종을 개발하며 농업과 원예 분야에 혁신적인 기여를 했다.[31] 특히 그가 개발한 감자에서 파생된 러셋 버뱅크 감자는 오늘날 미국에서 가장 널리 재배되는 감자 품종으로 남아있다.[6]
버뱅크의 혁신적인 연구는 1893년부터 시작된 스타크 브라더스 육묘장 및 과수원과의 협력 및 재정 지원, 그리고 1904년부터 1909년까지 이어진 카네기 재단의 연구 보조금을 통해 더욱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었다.[8][12] 또한, 그의 작업을 지지하는 루서 버뱅크 협회도 설립되어 그의 연구 성과를 알리고 사업 운영을 도왔다.[11]
버뱅크는 1926년 4월 11일, 산타로사에서 심부전으로 세상을 떠났으며[27], 그의 유해는 루터 버뱅크 홈 앤 가든의 레바논 삼나무 아래 묻혔다. 그의 사후, 방대한 연구 자료와 개발된 품종들은 아내 엘리자베스 버뱅크에게 상속되었고, 이후 스타크 브라더스 등에게 일부 매각되어 계승되었다.[8] 버뱅크의 선구적인 육종 작업과 그 결과물들은 현대 농업과 식물 과학 발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매사추세츠주 랭커스터에서 태어나 농장에서 자랐다. 15명의 자녀 중 13번째였으며,[4] 어머니의 큰 정원에서 식물을 접하며 성장했다. 교육은 랭커스터 카운티 아카데미에서 고등학교 과정까지만 마쳤다. 18세 때 아버지가 세상을 떠났다.[5]
2. 2. 버뱅크 감자의 개발
매사추세츠주 랭커스터에서 태어난 루서 버뱅크는 농장에서 자랐으며, 18세에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유산을 사용하여 매사추세츠주 러넨버그 인근에 17acre의 땅을 구입했다.[4][5] 그는 이곳에서 1872년부터 1874년 사이에 버뱅크 감자를 개발했다.
버뱅크는 개발한 감자의 권리를 150USD에 판매하였고, 이 돈으로 1875년 캘리포니아주 산타로사로 이주했다. 이후 버뱅크 감자에서 껍질이 적갈색(russet)을 띠는 자연적인 변이체가 발견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러셋 버뱅크 감자이다. 오늘날 러셋 버뱅크 감자는 미국에서 가장 널리 재배되는 품종이며, 아이다호주가 주산지이다. 이 감자는 다른 품종에 비해 쉽게 상하지 않아 인기가 높으며,[6] 맥도날드의 프렌치 프라이를 만드는 데 주로 사용된다.
2. 3. 산타로사에서의 실험 농장
매사추세츠주 러넨버그에서 1872년부터 1874년 사이에 개발한 버뱅크 감자의 권리를 150USD에 판매한 자금으로, 버뱅크는 1875년 캘리포니아주 산타로사로 이주했다.[6]
산타로사에서 버뱅크는 4acre 넓이의 부지를 구입하여 온실, 묘목장 및 실험 농장을 설립했다. 이곳에서 그는 찰스 다윈의 저서 ''동식물 변이''에서 영감을 받아 다양한 교배 실험을 수행했다. 이 부지는 현재 루터 버뱅크 홈 앤 가든이라는 이름의 도시 공원으로 일반에 공개되어 있다. 이후 버뱅크는 인근 도시인 캘리포니아주 세바스토폴에 18acre 크기의 부지를 추가로 매입하여 골드 리지 농장(Gold Ridge Farm)이라고 명명했다.[7]
버뱅크는 1893년에 발간한 "과일과 꽃의 새로운 창조"와 같은 식물 카탈로그, 만족한 고객들의 입소문, 그리고 20세기 초반 그를 뉴스에 등장시킨 언론 보도를 통해 점차 명성을 얻었다.
같은 해, 스타크 브라더스 육묘장 및 과수원은 '딜리셔스' 사과를 발견했는데,[8] 독특한 모양의 이 사과는 유명한 식물 접목가이자 눈접(budding) 전문가였던 버뱅크의 관심을 끌었다. 그는 새로운 '딜리셔스' 품종을 "세계에서 가장 맛있는 사과"라고 평가했다.[9] 1893년은 스타크 브라더스가 루터 버뱅크 및 그가 개발한 새로운 과일 품종들과 협력을 시작한 해이기도 하다.
버뱅크의 작업 가능성을 알아본 이들 중 한 명인 클래런스 맥도웰 스타크(Clarence McDowell Stark)는 캘리포니아로 가서 버뱅크를 만났다. 그의 실험 결과를 직접 본 클래런스는 버뱅크의 방식이 옳다고 확신했다. 그러나 버뱅크가 생계와 실험 자금 마련을 위해 작은 종묘 사업을 힘겹게 운영하는 것을 보고, 이러한 환경에서는 그의 잠재력이 실현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클래런스는 버뱅크에게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 "당신은 육묘 사업에서 진정한 성공을 거두기 어려울 것입니다. 당신의 마음은 거기에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당신이 하고 있는 교배 육종 방식을 계속한다면, 그 분야에서 크게 성공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당신의 작업에 대한 우리의 진심 어린 믿음을 보여주기 위해, 우리 회사는 당신이 보여준 새로운 과일 중 세 가지를 선택하는 대가로 9천달러를 드리겠습니다."[8]
버뱅크는 종종 스타크 가문 덕분에 자신의 연구가 경제적으로 지속 가능해졌다고 언급했다. 그는 나중에 토머스 에디슨과 함께 식물 육종가를 위한 특허 법안 통과를 위해 폴 스타크 시니어(Paul Stark Sr.)를 지원하며 이에 보답했다.[10] 이러한 지원 외에도, 버뱅크에게는 일종의 팬클럽인 루서 버뱅크 협회가 있었다.[11] 이 단체는 그의 발견을 출판하고 사업 관리를 도우며 추가적인 생계 수단을 제공했다.
1904년부터 1909년까지 버뱅크는 카네기 재단으로부터 여러 차례 연구 보조금을 지원받았다. 이는 버뱅크의 방법이 "과학적이지 않다"고 비판했던 당시 일부 학계 인사들과 달리, 그의 실용적인 접근법을 높이 평가한 앤드루 카네기의 지지 덕분이었다.[12]
2. 4. 스타크 브라더스와의 협력
1893년, 스타크 브라더스 육묘장 및 과수원은 '딜리셔스' 사과를 발견했는데,[8] 이 품종은 루서 버뱅크의 관심을 끌었고, 그는 이를 "세계에서 가장 맛있는 사과"라고 칭찬했다.[9] 같은 해, 스타크 브라더스는 버뱅크와 협력하여 그의 새로운 과일 품종 개발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스타크 브라더스의 클래런스 맥도웰 스타크는 버뱅크의 작업 가능성을 알아보고 캘리포니아주 산타로사로 직접 찾아갔다. 버뱅크의 실험 결과를 본 클래런스는 그의 능력을 확신했지만, 버뱅크가 재정적 어려움 때문에 작은 종자 및 육묘 사업으로 생계를 유지하며 연구 자금을 마련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클래런스는 이런 상황에서는 버뱅크가 자신의 잠재력을 완전히 발휘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클래런스는 버뱅크에게 육묘 사업보다는 하이브리드화(교배 육종) 연구에 집중할 것을 제안하며, 그의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새로운 과일 품종 세 가지를 선택하는 대가로 9천달러를 지불하겠다고 제안했다.[8]
버뱅크는 종종 스타크 가문 덕분에 자신의 연구가 경제적인 성공을 거둘 수 있었다고 언급했다. 이에 대한 보답으로 그는 토마스 에디슨과 함께 폴 스타크 시니어를 도와 식물 육종가를 위한 특허 법안 통과를 지원하기도 했다.[10] 또한, 버뱅크를 지지하는 일종의 팬클럽인 루터 버뱅크 협회도 그의 발견을 출판하고 사업 관리를 도우며 재정적으로 지원했다.[11]
2. 5. 카네기 재단의 지원
1904년부터 1909년까지 버뱅크는 카네기 재단으로부터 여러 차례 보조금을 받아 교배에 대한 연구를 지속할 수 있었다. 이는 앤드루 카네기 본인이 버뱅크의 방법론이 "과학적"이지 않다고 비판하는 일부 학자들의 의견보다는 그의 실용적인 접근 방식을 높이 평가하며 직접 지원했기 때문에 가능했다.[12]
2. 6. 품종 개발
루서 버뱅크는 평생에 걸쳐 수백 가지의 새로운 식물 품종을 개발했다. 그는 과일(자두, 배, 건자두, 복숭아, 블랙베리, 라즈베리), 감자, 토마토, 관상용 꽃 등 다양한 식물을 개량했으며, 총 800가지가 넘는 새로운 품종을 세상에 선보였다.[20][13] 그가 개발한 품종들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분류 | 품종 수 | 상세 내용 |
---|---|---|
과일 | 300종 이상 | 자두 및 건자두 (113), 견과 (69), 열매 맺는 선인장 (35), 블랙베리 (16), 라즈베리 (13), 모과 (11), 플럼코트 (11), 체리 (10), 딸기 (10), 사과 (10), 복숭아 (8), 밤 (6), 천도복숭아 (5), 포도 (4), 배 (4), 호두 (3), 무화과 (2), 아몬드 (1) |
곡물, 잔디, 사료 | 9종 | - |
채소 | 26종 | 감자, 토마토 등 |
관상용 식물 | 91종 | 샤스타 데이지, 칼라 릴리 등 |
버뱅크의 품종 개발 방법은 개념적으로는 간단했지만, 실제 과정은 매우 고되고 어려웠다. 그는 원하는 형질을 얻기 위해 한 품종의 식물을 10,000개 이상 재배한 후, 그중에서 우수한 개체를 최대 50개 또는 단 한 개만 선별하는 과정을 반복했다. 이런 선택과 재배 과정을 원하는 결과를 얻을 때까지 끈기 있게 지속했다.[14] 예를 들어, 그가 연구를 시작할 당시 밤나무는 열매를 맺기까지 25년이 걸렸지만, 버뱅크의 노력 덕분에 3년 만에 열매를 맺는 품종으로 개량되었다.[15]
그의 대표적인 개발 품종으로는 1872년부터 1874년 사이에 개발한 버뱅크 감자가 있다. 특히 이 중에서 표면이 붉은 갈색을 띠는 러셋 버뱅크 감자는 오늘날에도 미국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감자 품종 중 하나이며, 주로 아이다호주에서 생산된다. 또한, 씨앗이 보이는 맑고 흰색의 블랙베리,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 크고 즙이 많은 자두, 가축 사료나 식용으로 활용 가능한 가시 없는 선인장,[16] 향기로운 칼라 릴리[17] 등도 그의 중요한 업적이다. 특히 가시 없는 블랙베리는 1910년대에 30년간의 시행착오 끝에 개발에 성공했으며, 이후 고품질의 열매를 맺는 품종 개발로 이어졌다.[31]
버뱅크는 주로 고전적 육종 방식을 사용했다. 이는 바람직한 특성을 가진 새로운 품종을 만들기 위해 가까운 종이나 먼 종의 개체를 의도적으로 교배(교잡)하는 방법이다. 특정 형질이나 유전자를 새로운 유전적 배경으로 도입하기 위해 교배를 이용하는데, 예를 들어 흰가루병에 저항성이 있는 완두를 수확량은 많지만 병에 약한 완두와 교배시키는 방식이다. 이 교배의 목표는 높은 수확량 특성을 유지하면서 흰가루병 저항성을 추가하는 것이다. 교배 후 얻은 자손 중에서 원하는 형질(높은 수확량과 저항성)을 가진 개체를 선별하고, 다시 수확량이 높은 부모 개체와 교배(역교배)하여 원하는 형질을 강화한다. 이 과정에서 상동 재조합을 통해 염색체 간의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버뱅크와 같은 고전적 육종가들은 때로는 원형질체 융합, 배아 구출, 돌연변이 유발 같은 시험관 내 기술을 활용하여 자연 상태에서는 얻기 힘든 다양성을 만들거나 잡종 식물을 생산하기도 했다.
지난 100년간 식물 육종가들이 작물에 도입하고자 했던 주요 형질은 다음과 같다.
# 작물의 품질 및 수확량 증대
# 환경 스트레스(염분, 극한 온도, 가뭄)에 대한 내성 강화
# 바이러스, 곰팡이, 박테리아 등 병원균에 대한 저항성 증대
# 해충에 대한 내성 강화
# 특정 제초제에 대한 내성 강화
버뱅크의 이러한 노력과 성과를 기리기 위해 루서 버뱅크 협회가 설립되었으며, 이 협회는 회보 발간과 함께 그의 업적을 상세히 소개하는 12권의 서적을 출판했다.[31] 버뱅크는 1926년 사망할 때까지 800가지가 넘는 식물 품종을 개발하며 농업과 원예 분야에 큰 족적을 남겼다.[31]
2. 7. 사망과 유산
1926년 3월 중순, 버뱅크는 심장마비를 겪었고 위장 합병증과 심한 딸꾹질로 인해 마지막 2주 동안 건강이 급격히 악화되었다.[27] 결국 1926년 4월 11일, 캘리포니아주 산타로사에서 심부전으로 7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임종 시 그의 곁에는 아내 엘리자베스와 여동생이 있었다. 장례식에서는 판사 벤 린지가 추도사를 낭독했다.[27] 버뱅크는 루터 버뱅크 홈 앤 가든의 온실 근처, 거대한 레바논 삼나무 아래 표시 없는 무덤에 묻혔다.
버뱅크의 생애가 끝나갈 무렵, 그의 방대한 육종 연구를 누가 이어갈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버뱅크는 임종 전에 아내 엘리자베스에게 자신의 작업을 계속할 수 있는 조직은 전 세계에 12개 미만이며, 그중에서도 스타크 브라더스 육묘장 및 과수원이 가장 적합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버뱅크는 모든 재산(돈, 개인 재산, 부동산, 공공 유틸리티 채권, 식물과 씨앗 등)을 아내 엘리자베스에게 남겼다.[8] 엘리자베스는 처음에는 스탠퍼드와 버클리에 실험 농장 인수를 제안했지만, 이것이 실현되지 않자 스타크 브라더스에 판매하기로 결정했다. 1927년 8월 23일, 엘리자베스 버뱅크 부인은 스타크 브라더스와 계약을 맺고 버뱅크의 재산에서 필요한 자료를 가져갈 수 있도록 했다. 이 계약에는 사업명과 고객 정보의 소유권도 포함되었다. 1927년 9월 6일의 추가 계약을 통해 스타크 브라더스는 캘리포니아주 세바스토폴에 있는 버뱅크의 농장에서 진행 중이던 과일(로열 및 패러독스 품종 제외)에 대한 미완성 실험을 10년 동안 독점적으로 판매할 권리를 얻었으며, 갱신할 권리도 가졌다. 이 계약으로 엘리자베스 버뱅크 부인은 2.7만달러를 받았다.[8] 스타크 브라더스는 버뱅크가 개발했지만 생전에 판매하지 않았던 자두 120종, 복숭아 18종, 사과 28종, 하이브리드 장미 500종, 체리 30종, 배 34종, 글라디올리 52종 등 다양한 품종을 이후 자사 카탈로그를 통해 소개했다.[8]

1931년까지 실험 농장은 다소 관리가 부실해졌고, 스타크 브라더스는 가장 유망한 과일, 견과류, 관상용 관목 품종을 회수하기 위해 J. B. 케일을 파견하여 1931년부터 1934년까지 농장 관리를 맡겼다. 1931년에는 꽃, 채소, 씨앗 관련 권리를 버피 시드 회사(Burpee Seed Company)에 판매했다. 이후 몇 년 동안 엘리자베스는 스타크 브라더스와 협력하여 16개의 버뱅크 과일과 꽃 품종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 이 특허들에는 사망한 루터 버뱅크가 발명가로, 엘리자베스 워터스 버뱅크가 그의 재산 집행인으로 명시되었다. 1935년, 스타크 브라더스와 엘리자베스 버뱅크 부인 간의 계약은 종료되었다.
그 후 버뱅크 부인은 정원의 대부분을 분할하여 매각했다. 그녀는 남은 재산(집과 온실 제외)을 산타로사 주니어 칼리지(Santa Rosa Junior College)에 훈련장으로 사용하도록 판매했으며, 이는 1954년까지 지속되었다(J. B. 케일이 관리인으로 남음). 약 20년 후, 산타로사 시가 해당 부지의 소유권을 인수하여 오늘날까지 무료 공개 전시장으로 유지하고 있다. 이 정원에는 버뱅크가 개발한 가시 없는 장미, 가시 없는 선인장, 무지개 옥수수, 미국 실크 산업을 일으키려 했던 하이브리드 뽕나무, 그리고 그의 붉은 연소 식물(''Euonymus alatus'') 등이 남아 있다.
3. 육종 방법론
루서 버뱅크는 식물 육종 과정에서 접목, 교배, 잡종 교배와 같은 다양한 기술을 적극적으로 실험하고 활용했다. 그는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평생에 걸쳐 800가지가 넘는 새로운 식물 품종을 개발하는 데 기여했다.[31]
3. 1. 종내 교배
루서 버뱅크는 접목, 교배, 잡종 교배와 같은 다양한 식물 육종 기술을 실험했다. 그가 활동하던 시기와 그 이후, 식물 육종 기술은 크게 발전하며 작물 생산성 향상에 기여했다.종 내에서 서로 다른 개체를 교배하는 잡종화는 이미 찰스 다윈과 그레고어 멘델에 의해 그 원리가 밝혀졌으며, 이후 유전학자들과 육종가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
1908년, 조지 해리슨 셜은 잡종 강세(heterosis)라는 현상을 설명했다. 이는 특정 교배를 통해 태어난 자손이 양쪽 부모보다 더 우수한 형질을 나타내는 경향을 의미한다. 잡종 강세 현상은 육종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었는데, 특히 교배 시 수확량 증가 효과를 보이는 순수한 계통(순계)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옥수수는 잡종 강세 원리를 이용하여 상업적인 잡종 품종을 생산한 최초의 주요 작물 중 하나이다.
1920년대에는 유전자의 작용을 분석하고, 유전적으로 결정되는 변이와 환경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변이를 구분하는 통계적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1933년에는 마커스 모턴 로즈가 옥수수 연구를 통해 또 다른 중요한 육종 기술인 세포질 웅성 불임성(Cytoplasmic Male Sterility, CMS)을 발견했다. CMS는 모계를 통해 유전되는 특성으로, 식물이 수정 능력이 없는 꽃가루를 만들게 한다. 이 기술 덕분에 잡종 종자를 생산할 때 일일이 수술을 제거하는 힘든 과정(웅예 제거)을 생략할 수 있게 되어 육종의 효율성을 크게 높였다.
이러한 초기 육종 기술들은 20세기 초 미국에서 작물 수확량을 비약적으로 증가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나서야 다른 지역에서도 비슷한 수준의 수확량 증가가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1960년대에는 녹색 혁명을 통해 특히 개발 도상국의 식량 생산량이 크게 증대되었다.
전통적인 육종 방식, 즉 고전적 육종은 원하는 특성을 가진 새로운 작물 품종이나 계통을 만들기 위해 유전적으로 가깝거나 먼 개체들을 의도적으로 교배(교잡)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를 통해 한 품종이나 계통이 가진 특정 형질이나 유전자를 새로운 유전적 배경을 가진 개체에게 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흰가루병에는 강하지만 수확량이 적은 완두 품종과, 수확량은 많지만 흰가루병에 약한 완두 품종을 교배한다고 가정해보자. 육종의 목표는 높은 수확량이라는 장점은 유지하면서 흰가루병 저항성을 새로 도입하는 것이다. 이 교배를 통해 얻은 자손을 다시 수확량이 높은 부모 개체와 반복적으로 교배하는 과정(역교배)을 거치면, 자손이 수확량이 높은 부모의 특성을 더 많이 가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후 교배된 자손들의 수확량과 흰가루병 저항성을 면밀히 검사하여, 두 가지 특성 모두 우수한 개체를 선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품종을 개발해 나간다. 또한, 식물을 자기 자신과 교배시키는 자가 수분(자가 교배)을 통해 유전적으로 고정된 '계통' 품종을 만들기도 한다.
고전적 육종은 염색체 사이에서 유전 정보가 섞이는 상동 재조합 과정을 통해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는 데 크게 의존한다. 더 나아가, 현대의 식물 육종가들은 원형질체 융합, 배아 구조(embryo rescue), 돌연변이 유발과 같은 다양한 시험관 내 기술(in vitro)을 활용하여 새로운 유전적 변이를 만들거나 자연 상태에서는 얻기 어려운 특성을 가진 잡종 식물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지난 100여 년간 육종가들이 작물에 도입하고자 노력해 온 주요 목표 형질들은 다음과 같다.
목표 | 설명 |
---|---|
품질 및 수확량 향상 | 작물의 영양 가치, 맛, 저장성 등 품질을 개선하고 단위 면적당 생산량을 늘리는 것 |
환경 스트레스 내성 강화 | 염분 농도가 높은 토양, 극한 온도(고온 또는 저온), 가뭄 등 불리한 환경 조건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는 것 |
병 저항성 강화 | 바이러스, 곰팡이, 박테리아 등 다양한 병원균에 의한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키우는 것 |
해충 저항성 강화 |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피해를 줄이는 것 |
제초제 내성 강화 | 특정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을 부여하여 잡초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 |
3. 2. 대량 선발
버뱅크는 접목, 교배, 잡종 교배와 같은 다양한 기술을 실험하며 식물 육종에 힘썼다. 그는 특히 손으로 직접 식물의 꽃을 교배하고 거기서 얻은 모든 씨앗을 심는 방식을 사용했다. 이후, 자라난 식물들 중에서 가장 유망한 특성을 보이는 개체를 선별하여 다른 식물과 다시 교배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대량 선발 방법을 활용했다. 이러한 꾸준한 선발과 교배를 통해 버뱅크는 평생에 걸쳐 800가지가 넘는 새로운 식물 품종을 개발하는 주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었다.[31]4. 우생학적 관점
루서 버뱅크는 식물 육종에서의 경험을 인간 사회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생각은 그를 우생학에 관심을 갖게 만들었다. 그는 1907년 "육아에 관한 에세이"라는 부제가 붙은 ''인간 식물의 훈련''(The Training of the Human Planteng)이라는 책을 출판했다.[19] 이 책에서 버뱅크는 아동에 대한 개선된 대우와 교육 방식의 변화를 주장하면서, 직접적인 용어를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우생학 및 환경 개선학적 관점에서 인간의 생식과 발달을 관리해야 한다고 옹호했다. 그는 자신의 식물 육종 방식, 즉 우수한 형질을 선택하고 열등한 형질을 제거하는 방식을 인간 사회에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를 통해 인류를 개선할 수 있다고 믿었다.[19]
버뱅크는 미국의 우생학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미국 육종가 협회의 명예 회원으로 활동하고 간행물에 글을 기고했으며,[20] 1906년에는 협회 내 우생학 위원회의 위원으로 선출되기도 했다.[20] 그는 우생학자로서 유전적 차별을 옹호하는 입장을 보였다.[21][20] 버뱅크의 우생학적 관점은 획득 형질의 유전을 믿는 라마르크주의[20]에 기반하고 있었는데, 이 때문에 그는 환경이 인간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강조했다. 이러한 점은 당시 인종 간의 혼혈에 반대하는 경향이 강했던 주류 우생학계의 시각과는 다소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었다.[19]
4. 1. 우생학 운동 참여
루서 버뱅크는 식물 개량뿐만 아니라 인간 역시 선택적으로 개량해야 한다고 믿었으며, 미국 우생학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는 명예 회원 자격으로 미국 육종가 협회 간행물에 글을 기고했으며,[20] 1906년에는 미국 육종가 협회 우생학 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기도 했다.[20] 버뱅크는 우생학자로서 유전적 차별을 옹호했다.[21][20]1907년 버뱅크는 "육아에 관한 에세이"인 ''인간 식물의 훈련''이라는 책을 출판했다. 이 책에서 그는 아동에 대한 개선된 대우, 문화적 동질화, 교육 방식의 변화 등을 주장하며, 직접적인 용어를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우생학 및 환경 개선학적 방식으로 인간의 생식과 발달을 관리해야 한다고 옹호했다. 그는 자신의 식물 육종 경험에 빗대어 인간 개량의 필요성을 설명했는데, 미국의 인구를 거대한 이종 교배 실험장으로 비유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는 세계 역사상 다른 어떤 국가보다 더 많은 교배를 거쳤으며, 여기에서 식물의 잡종에서 항상 볼 수 있는 것과 동일한 결과를 낳습니다. 즉, 각 품종의 최악의 특성과 최상의 특성이 모두 가장 강렬하게 나타납니다. 필요한 모든 교배가 완료되면 제거, 즉 정제의 작업이 시작되어, 가장 훌륭한 품종이 될 궁극적인 결과물을 얻게 될 것입니다."[19]
버뱅크는 ''인간 식물의 훈련''에서 식물과 인간 생명의 유사성을 거듭 강조하며, "나는 식물과 인간의 생명의 조직과 발달 사이의 유사성에 끊임없이 깊은 인상을 받아왔다. … 나는 현명하게 지시된 종의 교배와 선택에서 채소 왕국을 끊임없이 위쪽으로 이끄는 방향으로 변형시키기 위한 크고 강력한 도구를 발견하게 되었다. 종의 교배는 나에게 가장 중요하다. 그것은 최고를 엄격하게 선택하고 최악을 엄격하게 배제하는 현명한 지시와 함께 모든 진보의 희망에 달려 있다."라고 적었다.[19]
인간 "종"의 교배가 이롭다는 버뱅크의 믿음과 라마르크주의 유전(획득 형질의 유전)에 대한 그의 확고한 지지는[20] 당시 주류 우생학계의 시각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당시 많은 우생학자들은 인종 간의 혼혈에 반대하는 입장이었기 때문이다. 버뱅크는 획득된 형질이 유전된다는 라마르크주의적 믿음을 바탕으로, 여러 세대에 걸쳐 아동의 환경을 관리함으로써 인구를 개선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환경이 아동 발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보았는데, "유전은 반응적이고 끊임없이 움직이는 생명력에 대한 모든 과거 세대의 모든 환경의 모든 효과의 합일 뿐이다. 악한 성격을 가진 아이가 평화롭고 조용한 환경에 놓이면 성격이 변할 것이라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온순한 백인 부모에게서 태어난 소년을 인디언들 사이에 두면 그는 인디언처럼 자랄 것이다. 범죄자 부모에게서 태어난 아이에게 도덕성, 정직성, 사랑의 환경을 주면 그 아이는 범죄자가 아니라 정직한 사람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고 기술했다.[19]
4. 2. 라마르크주의적 신념
버뱅크는 획득 형질이 유전된다는 라마르크주의적 유전관을 확고하게 지지했다.[20] 이러한 믿음은 그의 우생학적 관점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다. 그는 식물을 개량하는 것처럼 인간도 선택적으로 개량해야 한다고 보았으며, 미국의 우생학 운동에 참여하여 우생학자로서 유전적 차별을 옹호하기도 했다.[21][20]그의 저서 ''인간 식물의 훈련''(1907)에서 버뱅크는 식물 육종과 인간 개량 사이의 유사성을 강조하며 다음과 같이 적었다:
: "나는 식물과 인간의 생명의 조직과 발달 사이의 유사성에 끊임없이 깊은 인상을 받아왔다. … 나는 현명하게 지시된 종의 교배와 선택에서 채소 왕국을 끊임없이 위쪽으로 이끄는 방향으로 변형시키기 위한 크고 강력한 도구를 발견하게 되었다. 종의 교배는 나에게 가장 중요하다. 그것은 최고를 엄격하게 선택하고 최악을 엄격하게 배제하는 현명한 지시와 함께 모든 진보의 희망에 달려 있다."[19]
그러나 버뱅크의 라마르크주의적 신념은 당시 주류 우생학자들의 견해와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주류 우생학이 종종 인종 간의 혼혈에 반대했던 것과 달리, 버뱅크는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획득 형질의 유전 가능성을 믿었기 때문에, 여러 세대에 걸쳐 아이들의 환경을 개선하고 관리함으로써 인구를 점진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관점은 그를 유토피아 운동과 연결시키기도 했다. 그는 환경이 아이의 발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믿었으며,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유전은 반응적이고 끊임없이 움직이는 생명력에 대한 모든 과거 세대의 모든 환경의 모든 효과의 합일 뿐이다. 악한 성격을 가진 아이가 평화롭고 조용한 환경에 놓이면 성격이 변할 것이라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온순한 백인 부모에게서 태어난 소년을 인디언들 사이에 두면 그는 인디언처럼 자랄 것이다. 범죄자 부모에게서 태어난 아이에게 도덕성, 정직성, 사랑의 환경을 주면 그 아이는 범죄자가 아니라 정직한 사람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19]
5. 고전적 육종
고전적 육종은 바람직한 특성을 가진 새로운 작물 품종이나 계통을 만들기 위해, 서로 가깝거나 먼 관계의 개체들을 의도적으로 교배(‘교잡’)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 과정은 특정 품종이나 계통이 가진 형질 또는 유전자를 새로운 유전적 배경으로 옮겨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를 들어, 흰가루병에 강한 완두 품종을 수확량은 많지만 병에 약한 완두와 교배시킬 수 있다. 이 교배의 목적은 높은 수확량이라는 장점을 유지하면서 흰가루병에 대한 저항성을 새로 도입하는 것이다.
이렇게 교배하여 얻은 자손은 다시 수확량이 높은 부모 개체와 교배하는데, 이를 역교배라고 한다. 역교배를 통해 자손이 원하는 형질(여기서는 높은 수확량)을 가진 부모와 최대한 유사해지도록 유도한다. 이후 자손 세대에서 수확량과 흰가루병 저항성을 검사하여, 두 가지 특성을 모두 가진 우수한 개체를 선발하고 추가적으로 개발해 나간다. 또한, 식물을 자가 교배시켜 유전적으로 고정된 ‘계통’ 품종을 만들기도 한다.
고전적 육종은 염색체 사이에서 상동 재조합이 일어나는 원리에 크게 의존하여 유전적 다양성을 만들어낸다. 고전적인 식물 육종가들은 이러한 자연적인 과정 외에도 원형질체 융합, 배아 구출, 돌연변이 유발과 같은 다양한 시험관 내 기술을 활용하기도 한다. 이를 통해 새로운 유전적 다양성을 창출하고, 자연 상태에서는 존재하기 어려운 새로운 잡종 식물을 만들어낼 수도 있다.
지난 100년 동안 육종가들이 작물에 도입하고자 노력해 온 주요 형질들은 다음과 같다.
- 작물의 품질 및 수확량 향상
- 염분, 극한 온도, 가뭄과 같은 환경적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강화
- 바이러스, 곰팡이, 박테리아 등 병원체에 대한 저항성 확보
- 해충에 대한 내성 증진
- 제초제에 대한 내성 부여
5. 1. 대량 선발
매사추세츠주 랜캐스터에서 태어난 루서 버뱅크는 초등학교 수준의 교육을 받았지만, 농장과 어머니의 정원에서 식물과 가까이 지내며 성장했다.[31] 그는 21세에 아버지의 유산으로 매사추세츠주 루넨버그 근처에 69000m2 정도의 땅을 구입하여 육종가로서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1872년부터 1874년까지 그는 '버뱅크 감자'로 알려진 감자 품종을 개발했다. 이 감자의 권리를 판매한 자금으로 그는 캘리포니아주 산타로자로 이주하여 더 넓은 농장과 온실을 마련하고 본격적인 육종 연구에 몰두했다.[31]산타로자에서 버뱅크는 수많은 채소와 과수를 대상으로 광범위한 교배와 육종 실험을 진행했다. 그의 작업은 특정 품종 개량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식물에서 원하는 형질을 발현시키기 위한 대규모 시도였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1910년대에는 30년간의 시행착오 끝에 가시 없는 블랙베리 품종 개발에 성공했으며, 이후 고품질의 열매를 맺는 품종 개발에도 착수했다.[31] 1926년 사망할 때까지 버뱅크는 무려 800개 이상의 새로운 식물 품종을 개발하는 성과를 이루었다.[31] 이는 그의 육종 방식이 소수의 특정 품종 개량보다는, 가능한 한 많은 교배와 선발을 통해 유용한 품종을 대량으로 만들어내는 데 초점을 맞추었음을 보여준다.
그가 개발한 품종 중 '러셋 버뱅크 감자'는 오늘날에도 미국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감자 품종 중 하나이며, 특히 아이다호주의 주요 생산 품종으로 자리 잡았다.[31]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루서 버뱅크 협회가 설립되어 활동하기도 했다.[31]
6. 개인적인 삶
매사추세츠주 랭커스터에서 태어난 버뱅크는 농장에서 자랐으며, 랭커스터 카운티 아카데미에서 고등학교 교육을 마쳤다. 그는 15명의 자녀 중 13번째였다.[4] 18세에 아버지가 돌아가시자[5] 받은 유산으로 매사추세츠주 러넨버그에 17acre의 땅을 구입했다. 이곳에서 그는 유명한 버뱅크 감자를 개발했다. 버뱅크는 이 감자의 권리를 150USD에 판매한 자금으로 1875년 캘리포니아주 산타로사로 이주했다. 이후 버뱅크 감자의 자연적인 영양 변이가 선택되어 러셋 버뱅크 감자로 명명되었는데, 오늘날 미국에서 가장 널리 재배되는 감자이다.[6] 맥도날드의 프렌치 프라이 상당 부분이 이 품종으로 만들어진다.
산타로사에서 버뱅크는 4acre의 부지를 구입하여 온실, 육묘장, 실험장을 갖추고 찰스 다윈의 ''동식물 변이''에서 영감을 받아 교배 실험을 시작했다. 이 장소는 현재 루터 버뱅크 홈 앤 가든이라는 공원으로 일반에 공개되어 있다. 그는 또한 인근 도시인 캘리포니아주 세바스토폴에 18acre 규모의 골드 리지 농장을 추가로 마련했다.[7]
버뱅크는 1893년의 "과일과 꽃의 새로운 창조"를 비롯한 식물 카탈로그, 만족한 고객들의 입소문, 그리고 언론 보도를 통해 점차 명성을 얻었다. 같은 해, 스타크 브라더스는 '딜리셔스' 사과 품종을 발견했고[8], 버뱅크는 이를 "세계에서 가장 맛있는 사과"라고 극찬했다.[9] 이 시기부터 스타크 브라더스는 버뱅크와 협력 관계를 맺기 시작했다.
스타크 가문의 클래런스 맥도웰 스타크는 버뱅크의 잠재력을 알아보고 캘리포니아로 찾아가 그를 만났다. 버뱅크가 재정적 어려움 속에서 연구를 이어가는 것을 본 클래런스는 그의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새로운 과일 품종 세 가지에 대한 권리를 9천달러에 구매했다.[8] 버뱅크는 스타크 가문 덕분에 자신의 연구가 경제적으로 지속 가능해졌다고 종종 언급했다. 그는 이후 토머스 에디슨과 함께 식물 육종가를 위한 특허법 제정을 위해 폴 스타크 시니어를 지원하기도 했다.[10] 또한, 그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루서 버뱅크 협회라는 지원 단체가 결성되어 그의 발견을 출판하고 사업 관리를 도왔다.[11] 1904년부터 1909년까지는 카네기 재단으로부터 여러 차례 연구 지원금을 받기도 했다.[12]
버뱅크는 말년에 위장 합병증과 심한 딸꾹질로 고생하다가 1926년 4월 11일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캘리포니아주 산타로사에 있는 루터 버뱅크 홈 앤 가든의 거대한 레바논 삼나무 아래, 표식 없는 무덤에 안장되었다.
사망 전 버뱅크는 자신의 작업을 이어갈 적임자로 스타크 브라더스를 염두에 두었으나, 법적으로 모든 유산(돈, 개인 재산, 부동산, 식물 및 종자 등)은 아내 엘리자베스에게 상속되었다.[8] 엘리자베스는 처음에는 스탠퍼드나 버클리에 실험 농장 인수를 제안했지만 성사되지 않자, 1927년 8월 23일 스타크 브라더스와 계약을 맺고 버뱅크의 재산에서 원하는 자료를 가져갈 권리와 사업 이름 및 고객 정보 소유권을 넘겼다. 이 계약에는 세바스토폴 농장의 미완성 과일 실험(로열 및 패러독스 제외)에 대한 10년간의 독점 판매권도 포함되었다. 스타크 브라더스는 엘리자베스에게 2.7만달러를 지불한 것으로 추정된다.[8] 이 계약을 통해 스타크 브라더스는 버뱅크가 개발했지만 생전에 판매하지 않았던 자두 120종, 복숭아 18종, 사과 28종, 하이브리드 장미 500종 등 수많은 품종을 확보하여 이후 카탈로그를 통해 소개했다.[8]
1931년까지 실험 농장이 다소 황폐해지자, 스타크 브라더스는 유망한 과일, 견과류, 관상용 관목을 회수하고, 꽃, 채소, 씨앗 관련 권리는 버피 시드 회사에 판매했다. 이후 수년 동안 엘리자베스는 스타크 브라더스와 협력하여 사망한 버뱅크의 이름으로 16개의 식물 특허를 받았다. 1935년, 스타크와 엘리자베스 간의 계약은 종료되었다. 그 후 엘리자베스는 정원의 대부분을 분할 매각하고 남은 재산(집과 온실 제외)을 산타로사 주니어 칼리지에 훈련장으로 사용하도록 판매했다. 이 부지는 1954년까지 칼리지에서 사용하다가 이후 산타로사 시가 소유권을 인수하여 오늘날까지 무료 공개 전시장으로 유지하고 있다.
6. 1. 인간적인 면모
버뱅크는 뛰어난 원예 기술뿐만 아니라 겸손함, 너그러움, 그리고 친절한 마음씨로 많은 사람들에게 칭찬과 존경을 받았다.[22] 그는 교육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지역 학교에 기부하는 등 사회 환원에도 힘썼다.
그는 두 번 결혼했는데, 1890년 헬렌 콜먼과 결혼했으나 1896년에 이혼했고, 1916년에는 엘리자베스 워터스와 재혼했다. 친자식은 없었지만 딸을 입양했다.
버뱅크의 인간적인 면모는 그의 검소한 생활 방식에서도 드러난다. 한 기록은 그를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 그의 마음은 헤아릴 수 없이 깊었고, 오랫동안 겸손, 인내, 희생을 알고 있었다. 장미 사이에 있는 그의 작은 집은 매우 검소했다. 그는 사치의 무가치함, 적은 소유의 기쁨을 알았다. 과학적 명성을 겸손하게 드러내는 그의 모습은 익어가는 열매의 무게에 낮게 숙이는 나무를 연상시켰다. 머리를 높이 들고 빈 허세를 부리는 것은 열매를 맺지 못하는 나무다.[23]
1926년 샌프란시스코의 제1회 회중 교회에서 행한 연설에서 버뱅크는 자신의 삶과 자연에 대한 사랑을 다음과 같이 표현했다.
: 나는 77년간의 인생 동안 끊임없이 나를 기쁘게 해준 인류를 사랑하고, 시간과 공간 속에서 우리 앞에 펼쳐지는 꽃, 나무, 동물, 그리고 모든 자연의 작품들을 사랑한다. 당신이 자연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맺고, 인류의 이익을 위해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꽃의 새로운 형태, 색상, 향기를 생산하는 데 도움을 주고, 이전에 지구상에서 볼 수 없었던 형태, 크기, 맛을 가진 과일을 만들고, 풍성한 곡물을 생산하여 살찐 곡물에 더 많고 더 나은 영양분을 채우는 기쁨은 무엇인가? 이는 앞으로 영원히 전 세계의 수많은 사람들을 위한 완벽한 음식의 진정한 저장고이며, 새로운 음식이다.[24]
버뱅크는 미국 사회 전반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1905년 9월, 캘리포니아주의 주요 인사들이 모인 캘리포니아 상공 회의소 주최 연회에서 페킨스 상원의원은 버뱅크가 정부에 귀중한 교훈을 줄 수 있으며, "그는 정원 일을 가르치고, 관심을 갖게 하고, 대중화하는 데 그의 시대의 어떤 사람보다 더 많은 일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25] 같은 자리에서 소노마 군 고등 법원 판사 앨버트 G. 버넷은 버뱅크가 지역 사회를 발전시켜 사람들이 그의 영감을 얻기 위해 찾아오는 곳으로 만들었으며, 그의 활동은 항상 "부유한 사람들의 궁전뿐만 아니라 가난한 사람들의 오두막에도 더 많은 편안함과 행복의 햇살을 가져다주기 위해" 이루어졌다고 말했다.[25]
1924년, 버뱅크는 파라마한사 요가난다의 "요고다" 훈련 시스템을 지지하는 편지를 썼는데, 이는 당시 학교 교육의 한계를 넘어서는 대안으로 보았기 때문이다.[26] 그는 1926년 사망하기 몇 달 전, ''샌프란시스코 게시판''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의 종교적 신념에 대해 솔직하게 밝혀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 나는 오늘날 불신자다. 나는 나에게 믿으라고 주어진 것을 믿지 않는다. 나는 의심하는 자, 질문하는 자, 회의론자다. 불멸이 있다는 것, 죽음의 문을 넘어 부활이 있다는 것이 증명될 수 있을 때, 나는 믿을 것이다. 그때까지는 안 된다.[27]
파라마한사 요가난다는 그의 저서 ''요가의 자서전''에서 버뱅크가 자연과의 깊은 교감을 통해 무한한 정신적 경외심을 가졌다고 언급했다. 버뱅크는 요가난다로부터 크리야 요가를 배웠으며, "저는 그 기법을 독실하게 수행합니다... 때때로 저는 무한한 힘에 매우 가까이 있다고 느낍니다... 그러면 저는 제 주변의 아픈 사람과 많은 병든 식물을 치료할 수 있었습니다"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 또한 그는 돌아가신 어머니의 모습을 환상 속에서 보았다고 이야기하기도 했다.[28]
6. 2. 결혼과 가족
버뱅크는 두 번 결혼했다. 1890년 헬렌 콜먼(Helen Coleman)과 결혼했으나 1896년에 이혼했고, 1916년에는 엘리자베스 워터스(Elizabeth Waters)와 재혼했다. 엘리자베스는 1926년 버뱅크가 사망할 때 그의 곁을 지켰다.[22] 버뱅크에게 친자식은 없었지만, 딸 한 명을 입양했다.[22]6. 3. 종교적 신념
버뱅크는 그의 정원 가꾸기 기술뿐만 아니라 겸손함, 너그러움, 친절한 정신으로도 칭찬과 존경을 받았다.[22]1926년 샌프란시스코의 제1회 회중 교회에서 행한 연설에서 버뱅크는 자연과 인류에 대한 깊은 애정을 표현했다.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나는 77년간의 인생 동안 끊임없이 나를 기쁘게 해준 인류를 사랑하고, 시간과 공간 속에서 우리 앞에 펼쳐지는 꽃, 나무, 동물, 그리고 모든 자연의 작품들을 사랑한다. 당신이 자연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맺고, 인류의 이익을 위해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꽃의 새로운 형태, 색상, 향기를 생산하는 데 도움을 주고, 이전에 지구상에서 볼 수 없었던 형태, 크기, 맛을 가진 과일을 만들고, 풍성한 곡물을 생산하여 살찐 곡물에 더 많고 더 나은 영양분을 채우는 기쁨은 무엇인가? 이는 앞으로 영원히 전 세계의 수많은 사람들을 위한 완벽한 음식의 진정한 저장고이며, 새로운 음식이다."[24]
그러나 1926년 사망하기 몇 달 전, ''샌프란시스코 게시판''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그의 신념에 대해 다음과 같이 답하며 큰 논란을 일으켰다.[27]
"나는 오늘날 불신자다. 나는 나에게 믿으라고 주어진 것을 믿지 않는다. 나는 의심하는 자, 질문하는 자, 회의론자다. 불멸이 있다는 것, 죽음의 문을 넘어 부활이 있다는 것이 증명될 수 있을 때, 나는 믿을 것이다. 그때까지는 안 된다."[27]
한편, 버뱅크는 동양 철학에도 관심을 보였다. 1924년에는 파라마한사 요가난다의 "요고다" 훈련 시스템을 지지하는 편지를 썼으며,[26] 요가난다로부터 크리야 요가 입문을 받기도 했다. 요가난다는 그의 저서 ''요가의 자서전''에서 "자연과의 친밀한 교감은 버뱅크에게 무한한 정신적 경외심을 주었다"고 썼다.[28] 버뱅크 자신도 요가난다에게 크리야 요가를 수행하며 "때때로 저는 무한한 힘에 매우 가까이 있다고 느낍니다"라고 말했으며, 사망한 어머니의 모습을 환상 속에서 보고 대화했다고 언급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28]
7. 유산
루서 버뱅크는 1926년 4월 11일, 위장 합병증과 심부전으로 사망했다.[5] 그는 캘리포니아주 샌타로사에 있는 루서 버뱅크 홈 앤 가든의 레바논 삼나무 아래 표시가 없는 무덤에 묻혔다.
사망 전 버뱅크는 자신의 작업을 이어갈 유일한 조직으로 스타크 브라더스 육묘장 및 과수원을 지목했다. 그의 사후, 아내 엘리자베스 워터스 버뱅크는 남편의 재산과 연구 자료를 상속받았다.[8] 엘리자베스는 처음에는 스탠퍼드와 버클리에 실험 농장 인수를 제안했으나 성사되지 않자, 1927년 스타크 브라더스와 계약을 맺고 버뱅크가 남긴 식물 자원과 사업 권리를 넘겨주었다.[8] 스타크 브라더스는 버뱅크가 개발했지만 미처 상품화하지 못한 자두 120종, 복숭아 18종, 사과 28종, 장미 500종 등 수많은 품종을 넘겨받아 카탈로그를 통해 소개했다.[8] 이후 엘리자베스는 스타크 브라더스와 협력하여 버뱅크의 이름으로 16개의 식물 특허를 받았다.[8]
버뱅크의 명성과 업적은 인간이 자연에 개입하는 방식과 그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불러일으켰으며, 자연과의 연결 및 식물 육종의 중요성을 보여준다.[22] 그의 연구는 사후 식물 특허법 제정에 영향을 주었다.[22]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미국 발명가 명예의 전당 헌액, 루서 버뱅크 홈 앤 가든스와 루서 버뱅크 골드 리지 실험 농장의 국립 역사 랜드마크 및 미국 국립사적지 지정, 캘리포니아주의 '나무의 날'(그의 생일인 3월 7일) 제정 등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졌다. 또한 그의 이름을 딴 장소, 기관, 식물 품종도 다수 존재한다. 매사추세츠주 랭커스터의 생가와 캘리포니아주의 정원 사무실은 헨리 포드에 의해 미시간주 디어본의 그린필드 빌리지로 옮겨져 보존 중이다.
7. 1. 식물 특허법
버뱅크의 연구는 그가 사망한 지 4년 후인 1930년 식물 특허법(Plant Patent Act)의 통과를 촉진하는 데 기여했다.[22] 이 법안은 괴경으로 번식하는 식물을 제외한 새로운 식물 품종에 대한 특허를 허용했다. 토머스 에디슨(Thomas Edison)은 이 법안을 지지하기 위해 미국 의회(Congress of the United States)에서 증언하며 "이 [법안]은 많은 버뱅크를 우리에게 가져다줄 것이라고 확신합니다."라고 말했다. 버뱅크 사후, 당국은 그의 이름으로 식물 특허 번호 12, 13, 14, 15, 16, 18, 41, 65, 66, 235, 266, 267, 269, 290, 291, 1041을 발급했다.7. 2. 문화적 영향
버뱅크의 명성과 그에 대한 평가는 인간이 자연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보여주며, 자연 세계와의 연결의 중요성과 식물 조작을 통해 창출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시사한다.[22] 그의 연구는 사후 4년 뒤인 1930년 식물 특허법 통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이 법은 새로운 식물 품종(괴경(덩이줄기)으로 번식하는 식물 제외)에 대한 특허를 허용했는데, 토머스 에디슨은 미국 의회에서 이 법안을 지지하며 "이 법안이 우리에게 많은 버뱅크를 가져다줄 것이라 확신한다"고 증언했다. 버뱅크 사후에도 그의 이름으로 식물 특허 번호 12, 13, 14, 15, 16, 18, 41, 65, 66, 235, 266, 267, 269, 290, 291, 1041이 발급되었다.1931년, 멕시코의 화가 프리다 칼로는 샌프란시스코 방문 중 버뱅크의 시신에서 나무가 자라나는 모습의 초상화를 그렸다.[29] 1940년에는 미국 우정청에서 그를 기리는 3센트 기념 우표를 발행했다.[30]
1986년, 버뱅크는 미국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그가 활동했던 루서 버뱅크 홈 앤 가든스는 캘리포니아주 샌타로사 시내에 위치하며 국립 역사 랜드마크로 지정되어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 또한 샌타로사 서쪽 세바스토폴에 위치한 루서 버뱅크 골드 리지 실험 농장은 미국 국립사적지에 등재되어 있다.
버뱅크가 태어난 매사추세츠주 랭커스터의 생가와 캘리포니아주에서 사용했던 정원 사무실은 헨리 포드에 의해 미시간주 디어본으로 옮겨져 그린필드 빌리지의 일부로 보존되고 있다.
캘리포니아주에서는 그의 생일인 3월 7일을 '나무의 날'로 지정하여 기념하고 있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여러 장소와 기관, 식물 종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종류 | 명칭 | 위치 |
---|---|---|
예술 센터 | 루서 버뱅크 예술 센터 | 캘리포니아주 샌타로사 |
고등학교 | 루서 버뱅크 고등학교 (캘리포니아) |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 |
고등학교 | 루서 버뱅크 고등학교 (텍사스) | 텍사스주 샌안토니오 |
학군 | 루서 버뱅크 학군 | 캘리포니아주 샌호세 |
중학교 | 루서 버뱅크 중학교 (매사추세츠) | 매사추세츠주 랭커스터 |
중학교 | 루서 버뱅크 중학교 |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하일랜드 파크 |
중학교 | 루서 버뱅크 중학교 | 캘리포니아주 버뱅크 |
초등학교 | 루서 버뱅크 초등학교 | 위스콘신주 밀워키 |
초등학교 | 루서 버뱅크 초등학교 | 캘리포니아주 샌타로사 |
초등학교 | 루서 버뱅크 초등학교 | 일리노이주 버뱅크 |
초등학교 | 루서 버뱅크 초등학교 | 캘리포니아주 롱비치 |
초등학교 | 루서 버뱅크 초등학교 | 캘리포니아주 머세드 |
초등학교 | 버뱅크 초등학교 | 캘리포니아주 모데스토 |
공원 | 루서 버뱅크 공원 | 워싱턴주 머서 아일랜드 |
초등학교 | 버뱅크 초등학교 | 캘리포니아주 아테시아 |
인구 조사 지정 구역 | 버뱅크 (워싱턴주) | 워싱턴주 |
인구 조사 지정 구역 | 버뱅크 (캘리포니아주 샌타클라라군) | 캘리포니아주 샌타클라라군 |
인구 조사 지정 구역 | 버뱅크 (일리노이주) | 일리노이주 |
인구 조사 지정 구역 | 버뱅크 | 앨라배마주 |
금융 기관 | 루서 버뱅크 저축 은행 | 캘리포니아주 샌타로사 (본사) |
'''루서 버뱅크의 이름을 딴 식물 종'''
- ''칸나'' '버뱅크'
- ''국화 burbankii'' 마키노 (국화과)
- ''Myrica'' × ''burbankii'' A.Chev. (Myricaceae)
- ''Solanum'' × ''burbankii'' (''Solanum retroflexum'') (가지과)
7. 3. 루터 버뱅크의 이름을 딴 장소
여러 장소와 기관이 루터 버뱅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루터 버뱅크 예술 센터, 샌타로사에 있는 대규모 시설
- 루터 버뱅크 고등학교, 새크라멘토
- 루터 버뱅크 고등학교, 샌안토니오
- 루터 버뱅크 학군, 샌호세
- 루터 버뱅크 중학교, 랭커스터
- 루터 버뱅크 중학교, 로스앤젤레스 하일랜드 파크
- 루터 버뱅크 중학교, 버뱅크
- 루터 버뱅크 초등학교, 밀워키
- 루터 버뱅크 초등학교, 샌타로사
- 루터 버뱅크 초등학교, 버뱅크
- 루터 버뱅크 초등학교, 롱비치
- 루터 버뱅크 초등학교, 머세드
- 버뱅크 초등학교, 모데스토
- 루터 버뱅크 공원, 머서 아일랜드
- 버뱅크 초등학교, 아테시아
- 인구 조사 지정 구역 버뱅크
- 인구 조사 지정 구역 버뱅크, 샌타클라라 카운티
- 인구 조사 지정 구역 버뱅크
- 인구 조사 지정 구역 버뱅크
- 루터 버뱅크 저축 은행, 샌타로사에 본사를 둔 금융 기관
참조
[1]
웹사이트
Luther Burbank. Peach and Other Fruit. US Patent No. PP15. Inducted in 1986
http://invent.org/in[...]
National Inventors Hall of Fame
[2]
서적
The Garden of Invention : Luther Burbank and the business of breeding plants
https://books.google[...]
Penguin Group
2010
[3]
서적
The Garden of Invention : Luther Burbank and the business of breeding plants
https://books.google[...]
Penguin Group
2010
[4]
문서
Luther's father, Samuel Walton, had nine children with wife Hannah Ball, two children with wife Mary Ann Rugg and four children with wife Olive Ross. In addition the first birth with Olive did not survive a day, so is not counted among the fifteen.
[5]
웹사이트
Luther Burbank, Biography
http://www.altiusdir[...]
2012-12-17
[6]
웹사이트
Luther Burbank, California Studies Weekly
https://app.studiesw[...]
2021-05-26
[7]
웹사이트
Gold Ridge Luther Burbank's Experiment Farm
http://www.wschs-grf[...]
2018-03-14
[8]
서적
200 Years and Growing: The Story of Stark Bro's Nurseries & Orchards Co.
IngramSpark
[9]
간행물
Stark Delicious: The World's Best Apple
https://archive.org/[...]
1913
[10]
간행물
Luther Burbank: Plant Breeding Artist, Horticulturist, and Legend
https://hort.purdue.[...]
2015-02
[11]
웹사이트
Luther Burbank Society roster
http://library.duke.[...]
Luther Burbank Society
1912
[12]
백과사전
Luther Burbank
http://www.encyclope[...]
[13]
웹사이트
What If a Potato Could Change Agriculture
https://www.thehenry[...]
The Henry Ford
2019-06-11
[14]
서적
The Psychic Power of Plants
New American Library
1974-12-03
[15]
웹사이트
Image: Chestnut tree
https://calisphere.o[...]
2022-10-07
[16]
웹사이트
Spineless Cactus
http://www.lutherbur[...]
Luther Burbank Home & Gardens
2022-10-07
[17]
간행물
A Vast Array of Beauty: The Accomplishments of the Father of American Ornamental Breeding, Luther Burbank
https://journals.ash[...]
2015-02-01
[18]
문서
Smith, Jane S. "Faster, Better, Sweeter." The Garden of Invention: Luther Burbank and the Business of Breeding Plants. New York: Penguin, 2009. N. pag. Print.
[19]
서적
The Training of the Human Plant
http://reader.librar[...]
The Century Company, The de Vinne Press
1907
[20]
간행물
Luther Burbank: Honorary Member of the American Breeders' Association
2006-03
[21]
서적
The unfit : a history of a bad idea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2001
[22]
문서
Smith, Jane S. "Prologue." The Garden of Invention: Luther Burbank and the Business of Breeding Plants. New York: Penguin, 2009. Print.
[23]
서적
Autobiography of a Yogi
Self-Realization Fellowship
[24]
서적
Plant Breeding and Biotechnology: Societal Context and the Future of Agricultu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08-30
[25]
서적
The Garden of Invention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2009
[26]
웹사이트
Autobiography of a Yogi, Paramahansa Yogananda, Chapter 38
https://www.gutenber[...]
[27]
웹사이트
I Am An Infidel
https://ffrf.org/com[...]
Freedom From Religion Foundation
1993-08
[28]
문서
Paramahansa Yogananda, ''Autobiography of a Yogi'', Chapter 38-page 398 (ebook edition 2019)
[29]
웹사이트
Portrait of Luther Burbank, 1931 – by Frida Kahlo
https://www.fridakah[...]
[30]
웹사이트
Stamp Series
http://beyondtheperf[...]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2013-09-02
[31]
서적
ベリーの歴史
株式会社原書房
2020-11-30
[32]
웹인용
Invent Now | Hall of Fame | Search | Inventor Profile
http://www.invent.or[...]
2008-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