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취안장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취안장어는 중국 남부 푸젠성에서 유래하여 대만,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사용되는 민어 방언의 일종이다. 호키엔, 민난어, 타이완어 등으로 불리며, 중국어의 다양한 방언 중 하나로 분류된다. 음운 체계, 문법, 어휘 등에서 특징을 가지며, 특히 문어와 구어의 이중독 현상이 나타난다. 대만에서는 대만어,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에서는 호키엔어, 필리핀에서는 필리핀 호키엔어 등으로 불리며, 각 지역의 언어와 문화적 영향을 받아 차용어를 포함한 독자적인 어휘를 형성했다. 20세기 후반부터 대만에서 호키엔 문화가 발전하며 중요한 문화 중심지가 되었고, 2018년에는 대만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난어 - 백화자
    백화자는 타이완어(민난어)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식 중 하나로, 선교사들이 개발하여 교회에서 사용되었으며, 여러 이름으로 불리고, 19세기에 현재와 유사한 형태로 정립되어 보급되었으나 억압받기도 했지만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 민난어 - 광둥병음방안
    광둥병음방안은 중국에서 광둥어 발음을 로마자로 표기하기 위해 개발된 체계로, 성모, 운모, 숫자로 표기되는 6~9개의 성조를 포함합니다.
  • 싱가포르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싱가포르의 언어 - 타밀어
    타밀어는 드라비다어족 남부드라비다어파에 속하며 드라비다어족 중 가장 오래된 기록을 가진 언어로, 인도 타밀나두 주와 스리랑카를 중심으로 사용되고 세계 각지의 타밀 디아스포라 공동체에서도 사용된다.
  • 말레이시아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말레이시아의 언어 - 미낭카바우어
    미낭카바우어는 서수마트라를 중심으로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일부 지역에서 약 550만 명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이며, 여러 방언이 존재하고 아감-타나 다타르 방언이 표준어 역할을 한다.
취안장어
언어 정보
이름Hokkien (호키엔)
다른 이름민난어 (Mǐnnányǔ), 취안장어 (Quánzhāng), 아모이어 (Āmóiyǔ)
지역중국, 대만, 동남아시아
사용자수천만 명 (추정)
사용자 상세중국 본토 남부 민어 사용자 2770만 명 (2018년)
대만 1350만 명 (2017년)
말레이시아 반도 202만 명 (2000년), 사바주 및 사라와크주 불명
싱가포르 150만 명 (2017년)
필리핀 100만 명 (2010년)
인도네시아 76만 6천 명 (2015년)
캄보디아 35만 명 (2001년)
홍콩 7만 5백 명 (2016년)
베트남 4만 5천 명 (1989년)
태국 1만 7천6백 명 (1984년)
브루나이 1만 3천3백 명 (2004년)
어족중-티베트어족
어파중국어
어군민어
하위 어군연해 민어
분파민남어
방언샤먼 방언
취안저우 방언
장저우 방언
룽옌 방언
대만어 (민남어)
싱가포르 호키엔어
페낭 호키엔어
메단 호키엔어
필리핀 호키엔어
말레이시아 반도 남부 호키엔어
조상 언어원시 중-티베트어
추가 조상 언어고대 중국어
더 많은 조상 언어원시 민어
공용어 지정 국가대만 ("a natural language used by an original people group of Taiwan and the Taiwan Sign Language")}}
관리 기관대만 교육부
ISO 639-3nan
Glottologhokk1242
Glottolog 참조 이름Quanzhang
ISO 639-3 주석(민남어의 일부)
호키엔어 (짙은 녹색)를 포함한 민남어 분포도
호키엔어 사용자 수에 따른 국가별 분포
언어 표기
문자백화자 (Pe̍h-ōe-jī)
대만어 로마자 병음 (Tâi-lô)
대만어 병음 부호 (Taiwanese Phonetic Symbols)
언어 코드
Glottocodehokk1242

2. 명칭

호키엔어는 다양한 지역에서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동남아시아와 영어권에서는 푸젠성(福建, Hok-kiàn)의 발음에서 유래한 '호키엔'이라는 명칭이 주로 사용된다.[10] 역사적으로 샤먼(厦門, Ēe-mûi) 방언은 '아모이어'로도 알려져 있었으나,[11]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다음은 호키엔어가 불리는 다양한 명칭이다.

지역명칭설명
중국, 대만,[10] 말레이시아Bân-lâm-gú / Bân-lâm-gí / Bân-lâm-gír / Bân-lâm-ú|민남어nan'남부 민어'
중국, 대만, 필리핀, 말레이시아Bân-lâm-ōe / Bân-lâm-ōa / Bîn-lâm-ōe|민남화nan'남부 민어'
대만 또는 대만어 또는 '호클로어'
필리핀'우리 사람들의 말'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브루나이, 필리핀Hok-kiàn-ōe|복건화nan / Hok-kiàn-ōa|복건화nan'호키엔어'



월터 헨리 메드허스트는 1832년에 『중국어 호크킨 방언 사전, 읽기 및 구어체 관용구에 따름』을 저술했는데, 이는 영어 기반 최초의 호키엔 사전이자 POJ의 최초 주요 참고 자료로 여겨진다.[12] 1869년 존 맥고완은 『아모이 구어 매뉴얼』에서 POJ를 더욱 수정했다.[13] 카스테어스 더글라스는 1873년 『아모이의 구어 또는 구두 언어에 대한 중국어-영어 사전, 창저우 및 친저우 방언의 주요 변형 포함』을 출판했다.[12]

취안장어의 명칭은 푸젠어, 민난어, 타이완어, 푸라오어, 허라오어, 허뤄어 등 다수가 있으며 일정하지 않다.[75]


  • 허뤄어: 1955년 우화이 발표의 "허뤄어·민난어의 당송고사" 이후 사용.[76]
  • 학라오어: 하이루펑(광둥성 산웨이 시)에서 사용. 광둥어·객가어의 "hok-ló"(푸라오)를 음역.
  • 푸라오어: 광둥·푸젠·객가 사람들이 사용.
  • 허라오어: 광저우 사람들이 사용.
  • 타이완어, 타이위: 일본 통치 시대 일본 정부가 타이완에서 최다 화자 인구를 가진 언어 정의로 "타이완어"를 사용한 것에 유래. "초기 타이완어"는 서양·동양(일본)·남양의 영향을 받기 이전 타이완의 언어, 즉, 장·취안·차오 등의 민난어를 지칭.[77]
  • 자란어(자런화), 자춰어: 취안저우와 장저우 사람들이 사용.[78]

3. 지리적 분포

호키엔어는 푸젠성 남부에서 유래하여 해외로 퍼져나갔으며, 특히 대만동남아시아에 많은 화자가 분포한다.[10] 중국어 언어 지도에 따르면 남부 민어의 취안장 방언은 취안저우, 장저우, 샤먼 및 룽옌 (신뤄 및 장핑)의 동부 현에서 유래한 민어 변종으로 구성된다.[14]

호키엔어는 주로 다음 지역에서 사용된다.

지역상세 지역
중국푸젠성 남부 해안 지역, 남동부 저장성, 나모아의 동부
대만대만
필리핀메트로 마닐라, 메트로 세부, 메트로 다바오 및 기타 도시
싱가포르싱가포르
브루나이브루나이
인도네시아메단, 리아우 및 기타 도시
말레이시아페를리스, 케다, 페낭 및 클랑



대만에서는 취안저우, 장저우 방언에서 유래한 대만 호키엔어가 주로 사용되며,[10] 샤먼 방언은 현대 중국에서 권위 있는 대표 방언으로 간주된다.[10]

해외 화교 커뮤니티, 특히 동남아시아와 미국 (호클로계 미국인)에는 많은 민난어 사용자가 있다. 이 지역으로 이주한 많은 한족 이민자들은 푸젠성 남부 출신의 호클로인이었으며, 미얀마, 베트남, 인도네시아 (구 네덜란드령 동인도)와 현재의 말레이시아 및 싱가포르 (구 말라야 및 영국 해협 식민지)에 이 언어를 가져왔다. 호키엔어 사용자는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및 필리핀에서 가장 큰 해외 화교 그룹을 형성한다.

4. 분류

푸젠성 남부에는 장저우, 취안저우, 퉁안, 샤먼의 4가지 주요 호키엔 방언이 있다.[15] 샤먼 방언은 장저우 방언과 취안저우 방언이 혼합된 형태이나, 퉁안 방언을 기반으로 다른 방언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17] 19세기 후반, 샤먼은 난징 조약으로 개방된 항구 중 하나였고, 서구와 중국 간의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 서구인들이 자주 배우는 호키엔 방언이 되었다.[16]

타이난시 주변에서 사용되는 호키엔어는 퉁안 방언과 유사하다.[18][19] 타이완 전역의 호키엔 방언은 타이완 호키엔어 또는 호로어(Holo)라고 불리며, 사회 정치적 관점에서 언어 사용의 중요한 축을 형성한다.[20]

동남아시아의 호키엔 방언은 푸젠성 남부 방언에서 유래되었다. 현대에는 취안저우 방언, 샤먼, 장저우 방언에서 유래된 혼합 방언이 사용되며, 이는 퉁안 호키엔 방언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며 취안저우 방언에 가깝다. 이 방언은 싱가포르 화교, 말레이시아 남부 화교, 리아우 주와 리아우 제도의 인도네시아 화교가 사용하며, 싱가포르의 남부 말레이시아 반도 호키엔과 싱가포르 호키엔과 같은 변형이 있다.

말레이시아 북부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북부에서는 장저우 호키엔의 독특한 방언이 발전했다. 페낭에서는 페낭 호키엔이라 불리고, 메단에서는 메단 호키엔이라 불린다.

필리핀 호키엔은 취안저우 방언, 특히 진장, 취안저우와 난안, 푸젠 방언에서 파생되었으며, 샤먼 방언의 영향도 일부 받았다.

자바 섬과 자카르타를 포함한 인도네시아의 다른 지역, 태국, 미얀마, 동말레이시아, 브루나이, 캄보디아 및 남부 베트남에도 호키엔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분산되어 있다.

호키엔 방언은 취안저우와 장저우 방언에서 기원하며, 샤먼/아모이와 퉁안 방언은 취안저우와 장저우 방언의 혼합이다.

『福建省志』의 분류에 따르면 푸젠성[福建省]의 민난어[閩南語] 취안장[泉漳] 방언군은 4개의 방언군으로 분류된다.[79]


  • 동편(샤먼어 구역): 샤먼시 샤먼섬(스밍, 후리)에서 통용되며, 샤먼어로 통칭된다. 취안저우어를 기초로 취안저우어와 장저우어 억양이 섞여 있다.
  • 섬내어
  • 섬외어
  • 북편(취안저우어 구역): 취안저우시 내에서 통용된다. 취안저우 시구, 스스, 진장, 후이안, 난안, 융춘, 더화, 안시, 샤먼시 퉁안, 샹안, 지메이, 하이창, 중화민국의 진먼을 포함하며, 취안저우어로 통칭한다.
  • 퉁안어(진먼어 포함)
  • 난안어
  • 안시어
  • 진장어
  • 스스어
  • 후이안어: 후이안 현 내, 현재의 취안강구를 포함한다.
  • 반남북어
  • 남어
  • 후이안어
  • 후이난어
  • 터우베이어: 취안저우시 취안강구의 허우룽 진, 펑웨이 진, 난푸 진에서 통용되며, 푸셴어 셴유어의 영향을 받았다.
  • 남편(장저우어 구역): 장저우시 일대에서 통용된다. 장저우 시구, 룽하이, 장푸, 윈샤오, 둥산, 자오안, 화안, 창타이, 핑허, 난징을 포함하며, 장저우어로 통칭한다.
  • 룽시어
  • 장푸어
  • 난징어
  • 자오안어
  • 서편(룽옌어 구역): 룽옌시의 신뤄구와 장핑에서 통용되며, 룽옌어로 통칭된다. 객가어의 영향을 받았다.
  • 신뤄어
  • 장핑어


타이완어: 주로 취안저우어와 장저우어의 억양이 혼합되어 있다. 일본어 (일본식 외래어를 포함)와 기타 외래어의 어휘가 더해져 있다. 언어학자 훙웨이런(洪惟仁)은 타이완어의 억양을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세 가지 차이는 취안저우어·장저우어 간의 차이만큼 크지 않으며, 의사소통의 곤란도는 높지 않다. 다만, 세 가지(대강조) 각각의 하위에 분류되는 억양(소강조)끼리는 어휘나 발음의 차이가 있어, 의사소통의 장벽은 커진다.[80]

  • 혼합 억양 (장저우와 취안저우의 발음 혼합, 성조는 장저우어의 장취안란(漳泉濫)에 가깝다)
  • 장 억양 (이란 억양과 타오위안 억양 제외, 네이푸 억양과 총칭)
  • 취안 억양 (타이베이 억양과 루강 억양 제외, 하이커우 억양과 총칭)


동남아시아 민남어: 민남어 취안장어의 남양 지역 형태로, 푸젠, 타이완의 민남어와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 싱가포르 푸젠어(취안저우어에 가깝다)
  • 남부 말레이시아 푸젠어(취안저우어에 가깝다)
  • 북부 말레이시아 푸젠어(장저우어에 가깝다)
  • 페낭 푸젠어(장저우어와 찌아오저우어에 가깝다)

5. 역사

호키엔어는 고대 중국어에서 기원하여 민어(閩語)를 거쳐 민남어(閩南語)로 발전했다. 한족(漢族)의 푸젠성 이주는 주로 영가 대란(永嘉大亂) 이후 진(晉)나라 시기에 대규모로 이루어졌다. 이들은 중원에서 사용되던 고대 중국어를 푸젠성으로 가져왔고, 이것이 민어가 되었으며, 이후 여러 분파로 나뉘어졌고, 그중 민남어 분파에서 호키엔어가 파생되었다.

677년(당 고종 재위 기간) 진정은 아들 진원광과 함께 군대를 이끌고 사족의 반란을 진압했다. 885년(당 희종 재위 기간) 형제 왕조와 왕심지는 군대를 이끌고 황소의 반란을 진압했다.[21] 이 시기 북쪽으로부터의 이주 물결은 중고 중국어를 푸젠성 지역으로 가져와, 호키엔어를 포함한 민어의 문어에 영향을 주었다.

17세기 후반 해금 정책이 해제되면서, 샤먼 항구는 푸젠성의 주요 항구가 되었고, 샤먼 방언은 해외에서 사용되는 주요 방언이 되었다. 샤먼은 1912년까지 퉁안 현의 일부였다.[17]

5. 1. 초기 자료

16세기 후반에 여지경전과 같이 취안저우와 차오저우 방언이 혼합된 희곡 대본들이 남아있다.[22][23]

17세기 초, 필리핀스페인 수사들은 16세기 후반에 정착한 중국 상인 공동체가 사용하던 호키엔 방언을 기록한 자료들을 만들었다.[22][24]

  • ''중국 문자와 언어로 된 교리서''(1593), 교리서의 호키엔어 버전.[25][26][27]
  • ''스페인-중국 사전''(1604), 페드로 치리노 저.[28]
  • ''스페인어와 중국어 사전 / 스페인어와 중국어 사전''[28]
  • ''A.B.C. 문자를 사용한 상글레야 언어 사전''(1617), 스페인어-호키엔어 사전, 정의 포함.[28]
  • ''치오 치우 언어 예술''(1620), 스페인어-호키엔어 문법.[29]
  • ''스페인-중국 사전''(1626–1642), 주로 스페인어-호키엔어 사전(불완전한 만다린 부분 추가), 동등한 단어를 제공하지만 정의는 없음.[30]
  • ''중국 문자 사전''(1643), 프란시스코 디아즈 저.[28]

이 자료들은 주로 장저우 방언에서 파생된 방언을 기록한 것으로 보이며, 위에강 (현대 하이청, 현재 룽하이 시의 일부)에서 사용된 일부 취안저우 및 테오-스와 특징이 확인된다.[31]

19세기 초, 중국 학자들은 호키엔 방언을 설명하는 운서를 만들었다.[32]

  • 는 황첸이 1800년경에 작성했으며, 취안저우 방언을 설명한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판본은 1831년이다.
  • 은 셰슈란의 저작으로, 장저우 방언을 설명한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판본은 1818년이다.


월터 헨리 메드허스트 목사는 1832년에 출판한 그의 사전, ''"중국어 호크키엔 방언 사전"''을 후자의 저작을 바탕으로 만들었다.[33]

19세기의 다른 인기있는 저작으로는 존 맥고완 목사의 1883년 사전, ''"아모이 방언의 영어 및 중국어 사전"'',[13]과 캐스 테어스 더글러스 목사의 1873년 사전, ''"아모이의 구어 또는 구어체의 중국-영어 사전, 창저우와 친저우 방언의 주요 변형 포함"'',[34] 그리고 토마스 바클레이 목사와 함께 1899년에 출판된 신판이 있다.[15]

문어와 구어의 이중독(二重讀)은 일부 호키엔 방언의 두드러진 특징이며, 실제로 남부의 많은 중국어 방언의 특징이기도 하다. 당나라 시대의 방언 발음을 기반으로 하는 문어체 (文讀|wéndú|원두중국어)는 주로 격식적인 구문과 문어체(예: 철학적 개념, 고유명사, 일부 지명)에 사용되는 반면, 구어체(또는 방언) (白讀|báidú|바이두중국어)는 일반적으로 구어, 속어, 성씨에 사용된다. 문어체는 구어체보다 당나라 표준 중국어의 발음과 더 유사하다.

호키엔 방언에서 발견되는 문어체와 구어체의 현저한 차이는 민어 어휘의 여러 계층의 존재로 기인한다. 가장 초기의 구어체는 한나라(기원전 206년 – 서기 220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두 번째 구어체는 남북조 시대(420–589 CE)에서 유래한다. 세 번째 발음 계층(일반적으로 문어체)은 당나라(618–907 CE)에서 유래했으며, 수도인 장안(오늘날의 시안)의 권위있는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54]

일반적으로 보이는 음운 대응(구어 → 문어)은 다음과 같다.

  • p- → h
  • ch-, chh- → s
  • k-, kh- → ch
  • -ⁿ → n
  • -h → t
  • i → e
  • e → a
  • ia → i


다음 표는 문어와 구어 모두에서 사용되는 호키엔의 몇몇 널리 사용되는 문자를 보여준다.[66][55]

한자발음구어 발음 / 설명영어
pe̍kpe̍hwhite
biānbīnface
suchubook
sengseⁿ / siⁿstudent
putnot
hóantńgreturn
ha̍ko̍hto study
jîn / lînlângperson
siàuchiófew
chóantńgto turn



이러한 특징은 호키엔 숫자에도 적용되며, 문어와 구어의 발음이 모두 존재한다.[55] 문어체는 일반적으로 숫자를 소리 내어 읽을 때(예: 전화번호, 연도) 사용되는 반면, 구어체는 항목을 셀 때 사용된다.

숫자발음숫자발음
문어구어문어구어
16
27
38
49
510


6. 음운

민남어는 중국어 방언 중 가장 다양한 음소 목록을 가지고 있으며, 표준 중국어와 광동어보다 더 많은 자음을 가지고 있다. 민남어는 다른 중국어 방언에서는 더 이상 찾아볼 수 없는 많은 발음을 유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竹'(/t/) 초성의 유지가 있는데, 이는 표준 중국어에서는 'zhú'(/tʂ/)로 바뀐 발음이다. (예: '竹'는 민남어에서 'tik'이지만 표준 중국어에서는 'zhú'이다.)[35] 이처럼 민남어는 중국어 중고음에서 직접 계통 언어로 분화되지 않은 다른 민어군과 마찬가지로, 역사 언어학자들이 고대 중국어를 언어 재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호키엔어는 기식음, 무기식음, 그리고 유성 자음 초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khui'(開, 열다)와 'kuiⁿ'(關, 닫다)는 같은 모음을 가지고 있지만 초성의 기식 여부와 모음의 비음화에서만 차이를 보인다. 또한 호키엔어에는 'miā'(命, life)의 'm'과 같은 순음 자음 초성이 있다.

다른 예시로는 'cha-po͘-kiáⁿ'(查埔囝, 소년)와 'cha-bó͘-kiáⁿ'(查某囝, 소녀)가 있는데, 이 중 'cha-po͘-kiáⁿ'과 'cha-bó͘-kiáⁿ' 발음은 자음 유성음과 성조의 두 번째 음절에서만 차이가 있다.

만다린어와 달리, 호키엔어는 중세 중국어에 해당하는 모든 종성 자음을 유지한다. 만다린어는 /n/과 /ŋ/ 종성만 보존하는 반면, 호키엔어는 /m/, /p/, /t/, /k/ 종성도 보존하며, 성문 파열음 /ʔ/을 발달시켰다.

호키엔어의 모음은 아래 표와 같다:[42]

호키엔어 종성
colspan="3" |구강비음파열음
중간음eioumnŋiuptkʔ
모음aa|ananai|ainanau|aunanã|ãnanãm|ãmnanãn|ãnnanãŋ|ãŋnanãĩ|ãĩnanãũ|ãũnanap|apnanat|atnanak|aknanaʔ|aʔnan
ii|inanio|ionaniu|iunanĩ|ĩnanĩm|ĩmnanĩn|ĩnnanĩŋ|ĩŋnanĩũ|ĩũnanip|ipnanit|itnanik|iknaniʔ|iʔnan
ee|enanẽ|ẽnanẽŋ|ẽŋnan*ek|eknan*eʔ|eʔnan
əə|ənanə̃m|ə̃mnan*ə̃n|ə̃nnan*ə̃ŋ|ə̃ŋnan*əp|əpnan*ət|ətnan*ək|əknan*əʔ|əʔnan*
oo|onanõŋ|õŋnan*ot|otnan*ok|oknan*oʔ|oʔnan
ɔɔ|ɔnanɔ̃|ɔ̃nanɔ̃m|ɔ̃mnan*ɔ̃n|ɔ̃nnan*ɔ̃ŋ|ɔ̃ŋnanɔp|ɔpnan*ɔt|ɔtnan*ɔk|ɔknanɔʔ|ɔʔnan
uu|unanue|uenanui|uinanũn|ũnnanũĩ|ũĩnanut|utnanuʔ|uʔnan
ɯɯ|ɯnan*ɯ̃ŋ|ɯ̃ŋnan*
이중 모음iaia|iananiau|iaunanĩã|ĩãnanĩãm|ĩãmnanĩãn|ĩãnnanĩãŋ|ĩãŋnanĩãũ|ĩãũnaniap|iapnaniat|iatnaniak|iaknaniaʔ|iaʔnan
ĩɔ̃|ĩɔ̃nan*ĩɔ̃ŋ|ĩɔ̃ŋnaniɔk|iɔknan
iə|iənanĩə̃m|ĩə̃mnan*ĩə̃n|ĩə̃nnan*ĩə̃ŋ|ĩə̃ŋnan*iəp|iəpnan*iət|iətnan*
uaua|uananuai|uainanũã|ũãnanũãn|ũãnnanũãŋ|ũãŋnan*ũãĩ|ũãĩnanuat|uatnanuaʔ|uaʔnan
기타m̩|m̩nanŋ̍|ŋ̍nan



(*) 특정 방언에만 해당


  • 구강 모음은 비음 자음 앞에 위치할 때 비음으로 실현된다.


전통적인 중국어 체계에 따르면, 호키엔 방언은 파열음 자음으로 끝나는 두 개의 입성(入聲)을 포함하여 7개 또는 8개의 뚜렷한 성조를 가지고 있다.[43] 입성은 변이음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5개 또는 6개의 음소 성조를 제공한다. 또한 많은 방언에는 특수 단어 또는 외래어에만 사용되는 추가 음소 성조("전통적인 계산에 따르면 9성조")가 있다.[43] 이는 호키엔 방언이 5개에서 7개의 음소 성조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성조 변화는 광범위하게 나타난다.[44] 취안저우와 장저우 성조 시스템 간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타이완 성조는 타이완 지역에 따라 샤먼 또는 취안저우의 패턴을 따른다.

사성평성상성거성입성
음평양평음상양상음거양거음입양입
성조 번호15263748
성조 윤곽샤먼, 푸젠˦˦˨˦˥˧˨˩˨˨˧˨˦
타이베이, 타이완˦˦˨˦˥˧˩˩˧˧˧˨˦
타이난, 타이완˦˦˨˧˦˩˨˩˧˧˧˨˦˦
장저우, 푸젠˧˦˩˧˥˧˨˩˨˨˧˨˩˨˩
취안저우, 푸젠˧˧˨˦˥˥˨˨˦˩˥˨˦
페낭, 말레이시아[45]˧˧˨˧˦˦˥˨˩˧˦



취안장어(취안장어)의 성조와 성조값 표[81]
성조명취안저우어장저우어샤먼어
음평 1333455
음상 2555353
음거 3312121
음입 4511
양평 5351335
양상 622colspan=2|colspan="2" |
양거 7311111
양입 823125


6. 1. 성모(聲母)

호키엔어는 기식음, 무기식음, 그리고 유성 자음 초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khui'(開, 열다)와 'kuiⁿ'(關, 닫다)는 같은 모음을 가지고 있지만 초성의 기식 여부와 모음의 비음화에서만 차이를 보인다. 또한 호키엔어에는 'miā'(命, life)의 'm'과 같은 순음 자음 초성이 있다.[38]

다른 예시로는 'cha-po͘-kiáⁿ'(查埔囝, 소년)와 'cha-bó͘-kiáⁿ'(查某囝, 소녀)가 있는데, 이 중 'cha-po͘-kiáⁿ'과 'cha-bó͘-kiáⁿ' 발음은 자음 유성음과 성조의 두 번째 음절에서만 차이가 있다.

순음치경구개연구개성문
파열음평음ptkʔ
기식음
유성음b
(m)
d[36]~l
(n)
rowspan="2" |ɡ
(ŋ)
rowspan="2" |
(비음화된)
파찰음평음ts
기식음tsʰ
유성음dz[37]~l~ɡ
마찰음sh
반모음wj


  • ʔ를 제외한 모든 자음은 비음화될 수 있으며, 유성 구두 파열음은 유성 비음 파열음으로 비음화될 수 있다.
  • 취안저우와 인근 지역에서는 j/dz를 l 또는 ɡ로 발음할 수 있다.
  • l은 여러 방언에서 n 및 j/dz과 자주 상호 교환된다.[39]
  • j는 때때로 dz로 바뀌어, 종종 매우 '두껍게' 발음되어 l로 변하거나 그에 가깝게 발음된다.[40]
  • 일부 방언에서는 l을 d 또는 그와 매우 유사한 소리로 발음할 수 있다.[36]
  • 접근음 w j는 단어 중간에서만 발생하며, 몇몇 중간 및 종결 환경에서 후두화된 w̰ j̰로 실현된다.[41]

6. 2. 운모(韻母)

만다린어와 달리, 호키엔어는 중세 중국어에 해당하는 모든 종성 자음을 유지한다. 만다린어는 /n/과 /ŋ/ 종성만 보존하는 반면, 호키엔어는 /m/, /p/, /t/, /k/ 종성도 보존하며, 성문 파열음 /ʔ/을 발달시켰다.[42]

호키엔어의 모음은 아래 표와 같다.

호키엔어 종성
colspan="3" |구강비음파열음
중간음eioumnŋiuptkʔ
모음aa|ananai|ainanau|aunanã|ãnanãm|ãmnanãn|ãnnanãŋ|ãŋnanãĩ|ãĩnanãũ|ãũnanap|apnanat|atnanak|aknanaʔ|aʔnan
ii|inanio|ionaniu|iunanĩ|ĩnanĩm|ĩmnanĩn|ĩnnanĩŋ|ĩŋnanĩũ|ĩũnanip|ipnanit|itnanik|iknaniʔ|iʔnan
ee|enanẽ|ẽnanẽŋ|ẽŋnan*ek|eknan*eʔ|eʔnan
əə|ənanə̃m|ə̃mnan*ə̃n|ə̃nnan*ə̃ŋ|ə̃ŋnan*əp|əpnan*ət|ətnan*ək|əknan*əʔ|əʔnan*
oo|onanõŋ|õŋnan*ot|otnan*ok|oknan*oʔ|oʔnan
ɔɔ|ɔnanɔ̃|ɔ̃nanɔ̃m|ɔ̃mnan*ɔ̃n|ɔ̃nnan*ɔ̃ŋ|ɔ̃ŋnanɔp|ɔpnan*ɔt|ɔtnan*ɔk|ɔknanɔʔ|ɔʔnan
uu|unanue|uenanui|uinanũn|ũnnanũĩ|ũĩnanut|utnanuʔ|uʔnan
ɯɯ|ɯnan*ɯ̃ŋ|ɯ̃ŋnan*
이중 모음iaia|iananiau|iaunanĩã|ĩãnanĩãm|ĩãmnanĩãn|ĩãnnanĩãŋ|ĩãŋnanĩãũ|ĩãũnaniap|iapnaniat|iatnaniak|iaknaniaʔ|iaʔnan
ĩɔ̃|ĩɔ̃nan*ĩɔ̃ŋ|ĩɔ̃ŋnaniɔk|iɔknan
iə|iənanĩə̃m|ĩə̃mnan*ĩə̃n|ĩə̃nnan*ĩə̃ŋ|ĩə̃ŋnan*iəp|iəpnan*iət|iətnan*
uaua|uananuai|uainanũã|ũãnanũãn|ũãnnanũãŋ|ũãŋnan*ũãĩ|ũãĩnanuat|uatnanuaʔ|uaʔnan
기타m̩|m̩nanŋ̍|ŋ̍nan



(*) 특정 방언에만 해당


  • 구강 모음은 비음 자음 앞에 위치할 때 비음으로 실현된다.

6. 3. 방언 간 음운 변화

민남어는 중국어 방언 중에서도 다양한 음소(音素)를 가지고 있으며, 표준 중국어나 광둥어보다 더 많은 자음을 가지고 있다. 특히, 민남어는 다른 중국어 방언에서는 사라진 옛 발음을 유지하고 있어, 옛 중국어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35]

호키엔어는 기식음(숨을 내쉬며 내는 소리), 무기식음(숨을 내쉬지 않고 내는 소리), 유성 자음(목청이 울리는 소리)을 모두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khui" (열다)와 "kuiⁿ" (닫다)는 모음은 같지만, 처음 자음의 숨 내쉬는 정도와 모음의 콧소리 여부로 뜻이 달라진다.[42]

다양한 방언 간 음운 변화
한자호키엔어테오체우어하이펑어
가극난안취안저우샤먼장저우장푸자오안차오저우차오양하이펑
중국어
'둘'
중국어
'앉다'
중국어
'피부'
중국어
'닭'
중국어
'아프다'
중국어
'밥'
중국어
'스스로'
중국어
'돼지'
중국어
'취하다'
중국어
'덕'
중국어
'우상'
중국어
'새우'
중국어
'은'
중국어
'향하다'



퉁안, 샤먼, 대만, 싱가포르 방언은 서로 잘 통하지만, 취안저우 방언, 장저우 방언과는 의사소통이 어렵다.[47]

타이완어는 주로 취안저우와 장저우 억양이 섞여 있으며, 일본어와 기타 외래어의 영향을 받았다. 언어학자 훙웨이런(洪惟仁)은 타이완어 억양을 크게 세 가지로 분류했다.[80]


  • 혼합 억양 (장저우와 취안저우 발음 혼합. 성조는 장저우어에 가까움)
  • 장 억양 (이란 억양과 타오위안 억양 제외, 네이푸 억양과 총칭)
  • 취안 억양 (타이베이 억양과 루강 억양 제외, 하이커우 억양과 총칭)


하지만, 이 세 가지 억양 차이는 크지 않아 서로 의사소통하는 데 큰 어려움은 없다. 그러나 각 억양 아래의 하위 분류 억양끼리는 어휘나 발음 차이가 있어 의사소통이 어려워질 수 있다.[80]

하문어와 대만어는 취안저우어와 장저우어의 혼합 형태인 "장취안람"이다. 두 방언은 발음과 어휘 사용에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문법은 같다. 대만어는 일본 통치의 영향으로 일본어 어휘가 많이 섞여 있다.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에서는 말레이어, 영어, 조주어, 광둥어의 영향을 볼 수 있다.

취안저우어, 장저우어, 하문어, 대만어, 메단 복건어(인도네시아), 페낭 복건어(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복건어는 서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6. 4. 성조(聲調)

호키엔어는 7개 또는 8개의 뚜렷한 성조를 가지며, 파열음 자음으로 끝나는 두 개의 입성(入聲)을 포함한다.[43] 입성은 변이음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5개 또는 6개의 음소 성조를 제공한다. 또한 많은 방언에는 특수 단어 또는 외래어에만 사용되는 추가 음소 성조("전통적인 계산에 따르면 9성조")가 있다.[43] 성조 변화는 광범위하게 나타난다.[44] 취안저우와 장저우 성조 시스템 간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타이완 성조는 타이완 지역에 따라 샤먼 또는 취안저우의 패턴을 따른다.

사성평성상성거성입성
음평양평음상양상음거양거음입양입
성조 번호15263748
성조 윤곽샤먼, 푸젠style="border-left: 3px;"|style="border-left: 3px;"|style="border-left: 3px;"|style="border-left: 3px;"|
타이베이, 타이완style="border-left: 3px;"|style="border-left: 3px;"|style="border-left: 3px;"|style="border-left: 3px;"|
타이난, 타이완style="border-left: 3px;"|style="border-left: 3px;"|style="border-left: 3px;"|style="border-left: 3px;"|
장저우, 푸젠style="border-left: 3px;"|style="border-left: 3px;"|style="border-left: 3px;"|style="border-left: 3px;"|
취안저우, 푸젠style="border-left: 3px;"|style="border-left: 3px;"|colspan=2 style="border-left: 3px;"|style="border-left: 3px;"|
페낭, 말레이시아[45]style="border-left: 3px;"|style="border-left: 3px;"|colspan=2 style="border-left: 3px;"|style="border-left: 3px;"|



취안장어(취안장어)의 성조와 성조값 표[81]
성조명취안저우어장저우어샤먼어
음평 1333455
음상 2555353
음거 3312121
음입 4511
양평 5351335
양상 622colspan=2|colspan="2" |
양거 7311111
양입 823125


7. 방언

호키엔어는 민난 지역 전역에서 다양한 억양과 방언으로 사용된다. 장저우 남부 세 현의 대부분 지역에서 사용되는 호키엔은 종결 자음 -n과 -ng를 -ng로 병합했다. 초성 자음 j (dz)는 취안저우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호키엔 방언에 존재하지 않으며, d 또는 l 초성으로 병합되었다.[46]

다음 표는 다양한 방언 간에 더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음운 변화의 일부를 보여준다. 발음은 백화자IPA로 제공된다.

한자호키엔어테오체우어하이펑어
가극난안취안저우샤먼장저우장푸자오안차오저우차오양하이펑

'둘'
lī|리nanlī|리nanlī|리nanlī|리nanjī|지nanjī|지nanjī|지nanjĭ|지nanjĭ|지nanjĭ|지nan
[li⁴¹][li³¹][li⁴¹][li²²][dʑi²²][dʑi²²][dʑi²²][dʑi³⁵][dʑi⁵³][dʑi³⁵]

'앉다'
chěr|체르nanchěr|체르nanchěr|체르nanchē|체nanchē|체nanchē|체nanchēr|체르nanchǒ|초nanchǒ|초nanchě|체nan
[tsə²²][tsə²²][tsə²²][tse²²][tse²²][tsɛ²²][tsə²²][tso³⁵][tso⁵³][tsɛ³⁵]

'피부'
phêr|페르nanphêr|페르nanphêr|페르nanphê|페nanphôe|포에nanphôe|포에nanphôe|포에nanphôe|포에nanphôe|포에nanphôe|포에nan
[pʰə²⁴][pʰə²⁴][pʰə²⁴][pʰe²⁴][pʰuɛ¹³][pʰuɛ³¹²][pʰuɛ³⁵][pʰuɛ⁵⁵][pfʰuɛ³³][pʰuɛ⁵⁵]

'닭'
kire|키레nankoe|코에nankoe|코에nankoe|코에nanke|케nankei|케이nankei|케이nankoi|코이nankoi|코이nankei|케이nan
[kɯe³³][kue³³][kue³³][kue⁴⁴][ke³⁴][kiei⁴⁴][kei⁴⁴][koi³³][koi³¹][kei³³]

'아프다'
pīⁿ|피nanpīⁿ|피nanpīⁿ|피nanpīⁿ|피nanpēⁿ|페nanpēⁿ|페nanpēⁿ|페nanpēⁿ|페nanpēⁿ|페nanpēⁿ|페nan
[pĩ⁴¹][pĩ³¹][pĩ⁴¹][pĩ²²][pɛ̃²²][pɛ̃²²][pɛ̃²²][pɛ̃²¹][pɛ̃⁴²][pɛ̃³¹]

'밥'
pn̄g|프nanpn̄g|프nanpn̄g|프nanpn̄g|프nanpūiⁿ|푸이nanpūiⁿ|푸이nanpūiⁿ|푸이nanpūng|푸nanpn̄g|프nanpūiⁿ|푸이nan
[pŋ̍⁴¹][pŋ̍³¹][pŋ̍⁴¹][pŋ̍²²][puĩ²²][puĩ²²][puĩ²²][puŋ²¹][pŋ̍⁴²][puĩ³¹]

'스스로'
chīr|치르nanchīr|치르nanchīr|치르nanchū|추nanchū|추nanchū|추nanchīr|치르nanchīr|치르nanchū|추nanchū|추nan
[tsɯ⁴¹][tsɯ³¹][tsɯ⁴¹][tsu²²][tsu²²][tsu²²][tsɯ²²][tsɯ²¹][tsu⁴²][tsu³¹]

'돼지'
tir|티르nantir|티르nantir|티르nantu|투nanti|티nanti|티nantir|티르nantir|티르nantu|투nanti|티nan
[tɯ³³][tɯ³³][tɯ³³][tu⁴⁴][ti³⁴][ti⁴⁴][tɯ⁴⁴][tɯ³³][tu³¹][ti³³]

'취하다'
chhú|추nanchhú|추nanchhú|추nanchhú|추nanchhí|치nanchhí|치nanchhír|치르nanchhú|추nanchhú|추nanchhí|치nan
[tsʰu⁵⁵][tsʰu⁵⁵][tsʰu⁵⁵][tsʰu⁵³][tɕʰi⁵³][tɕʰi⁵³][tsʰɯ⁵³][tsʰu⁵³][tsʰu⁴⁵][tɕʰi⁵³]

'덕'
tirak|티락nanterk|테륵nantiak|티악nantek|텍nantek|텍nantek|텍nantek|텍nantek|텍nantek|텍nantek|텍nan
[tɯak⁵][tək⁵][tiak⁵][tiɪk³²][tiɪk³²][tɛk³²][tɛk³²][tɛk³²][tɛk⁴³][tɛk³²]

'우상'
giró|기로nangió|교nangió|교nanngó͘|오nanngó͘|오nanngóu|오우nanngóu|오우nanngóu|오우nanngóu|오우nanngóu|오우nan
[ɡɯo⁵⁵][ɡio⁵⁵][ɡio⁵⁵][ŋɔ̃⁵³][ŋɔ̃⁵³][ŋɔ̃u⁵³][ŋɔ̃u⁵³][ŋou⁵³][ŋou⁴⁵][ŋou⁵³]

'새우'
hê|헤nanhê|헤nanhê|헤nanhê|헤nanhê͘|헤nanhê͘|헤nanhê͘|헤nanhê|헤nanhê|헤nanhê|헤nan
[he²⁴][he²⁴][he²⁴][he²⁴][hɛ¹³][hɛ³¹²][hɛ³⁵][hɛ⁵⁵][hɛ³³][hɛ⁵⁵]

'은'
girêrn|기레른nangêrn|게른nangûn|군nangûn|군nangîn|긴nangîn|긴nangîn|긴nanngîrng|응이릉nanngîng|응잉nanngîn|응인nan
[ɡɯən²⁴][ɡən²⁴][ɡun²⁴][ɡun²⁴][ɡin¹³][ɡin³¹²][ɡin³⁵][ŋɯŋ⁵⁵][ŋiŋ³³][ŋin⁵⁵]

'향하다'
hiòng|히오nanhiòng|히오nanhiòng|히오nanhiòng|히오nanhiàng|히아nanhiàng|히아nanhiàng|히아nanhiàng|히아nanhiàng|히아nanhiàng|히아nan
[hiɔŋ⁴¹][hiɔŋ³¹][hiɔŋ⁴¹][hiɔŋ³¹][hiaŋ²¹][hiaŋ¹¹][hiaŋ¹¹][hiaŋ²¹²][hiaŋ⁵³][hiaŋ²¹²]


8. 문법

호키엔어는 분석어이며, 문장에서 단어의 배열이 그 의미에 중요하다.[49] 기본적인 문장은 주어-동사-목적어 어순(SVO)을 따르지만, 주제 우선 언어이기 때문에 이러한 어순이 자주 무시된다. 굴절어와 달리, 단어가 시간, 복수를 굴절로 표시하는 경우는 드물다. 대신 이러한 개념은 부사, 상 지시어, 문법적 조사로 표현되거나 문맥에서 추론된다. 다양한 조사가 문장에 추가되어 상태 또는 억양을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동사 자체는 문법적 시제를 나타내지 않는다. 시간은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로 명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동사의 의미에 대한 실용적인 해석에 따라 특정 예외가 존재한다. 또한 선택적인 상 조사를 동사에 추가하여 동작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의문형 또는 감탄형 조사를 문장에 추가하면 진술문이 질문으로 바뀌거나 화자의 태도를 보여준다.

호키엔 방언은 고대 중국어의 광범위한 단계에서 연상되는 특정 문법적 반사 및 패턴을 보존한다. 여기에는 동사구의 연쇄 (동사와 동사구의 직접 연결)와 명사화의 드문 사용이 포함되며, 이는 모두 고대 중국어 문법과 유사하다.[50]

많은 동아시아 언어와 마찬가지로, 계수사는 숫자, 지시사 및 유사한 양화사를 사용할 때 필요하다.

문법적 기능어의 선택 또한 호키엔 방언들 간에 상당히 다양하다. 예를 들어, 사동, 피동, 여격을 나타내는 (乞|khit중국어)은 진장과 제양에서 사용되지만, 룽시와 샤먼에서는 互/予|hō͘중국어를 사용한다.[51]

8. 1. 대명사

咱|lánnan2
我儂|góa-lângnan1,32인칭汝|lí, lír, lúnan恁|línnan
汝儂|lí-lâng, lú-lângnan33인칭伊|inan𪜶|innan
伊儂|i-lângnan3



:1 배타적

:2 포괄적

:3 儂|lângnan은 일반적으로 동남아시아 민난어 방언에서 접미사로 사용된다(필리핀 민난어 제외).

소유 대명사는 일반 명사와 마찬가지로 입자 的|ênan)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부 방언에서는 소유 대명사가 비음 접미사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소유 대명사와 복수 대명사가 동음이의어임을 의미한다.[52]

가장 일반적인 재귀 대명사는 家己|ka-kīnan이다. 격식을 갖춘 문맥에서는 自己|chū-kínan도 사용된다.

민난어 방언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지시 대명사를 사용한다.



의문 대명사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8. 2. 계사(繫辭)

상태와 속성은 일반적으로 'be' 동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상태 동사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명사 보어와 함께, 동사 는 'to be' 동사 역할을 한다.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중국 언어학에서 위치 대명사 또는 때로는 공통 동사로 알려진 단어 , , 가 '(~에) 있다'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51]

8. 3. 부정(否定)

민남어 방언은 수정하는 동사에 접두사 또는 접미사로 붙는 다양한 부정 입자를 가지고 있다. 민남어 방언에는 6개의 주요 부정 입자가 있다(어떻게 한자로 쓰이는지에 약간의 변형이 있음):[52]

다른 부정 입자에는 다음이 포함된다.[52]

입자 (, , )는 일반적이며 거의 모든 동사를 부정할 수 있다.[52]

입자 ()는 의 연결이며 명령형 명령을 부정하는 데 사용된다.[52]

입자 는 과거 시제를 나타낸다.[52]

동사 '가지다', 는 부정될 때 로 대체된다(not ).[52]

입자 은 드물게 사용되며 주로 문어체 복합어와 구문에서 발견된다.[52]

9. 어휘

호키엔어 어휘는 대부분 단음절이다.[53] 많은 호키엔어 단어는 다른 중국어 방언과 동족어 관계에 있지만, 호키엔어 고유의 단어도 많다. 이러한 단어들은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일부는 다른 민어 방언들과 공유된다 (예: '죽'은 다른 방언에서는 가 아닌 이다).

만다린어와 비교했을 때, 호키엔어는 접미사 없이 단음절 형태의 단어를 선호한다. 예를 들어, 만다린어의 명사 접미사 는 호키엔어 단어에서는 발견되지 않지만, 다른 명사 접미사 는 많은 명사에서 사용된다.



다른 이음절 단어에서는 만다린어와 비교하여 음절 순서가 뒤바뀌는 경우가 있다.

동일한 단어가 호키엔어와 만다린어에서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호키엔어가 사용되는 지역에 따라 현지 언어나 다른 중국 방언의 차용어가 호키엔어 어휘에 통합되기도 한다.

9. 1. 문어와 구어

민난어중국어 방언 중 가장 다양한 음소 목록을 가지고 있으며, 표준 중국어와 광동어보다 더 많은 자음을 가지고 있다. 민난어는 다른 중국어 방언에서는 더 이상 찾아볼 수 없는 많은 발음을 유지하고 있다.[35]

문어와 구어의 이중독(二重讀)은 호키엔 방언의 두드러진 특징이다. 당나라 시대의 방언 발음을 기반으로 하는 문어체는 주로 격식적인 구문과 문어체에 사용되는 반면, 구어체는 일반적으로 구어, 속어, 성씨에 사용된다. 문어체는 구어체보다 당나라 표준 중국어의 발음과 더 유사하다.[54]

호키엔 방언에서 발견되는 문어체와 구어체의 현저한 차이는 민어 어휘의 여러 계층의 존재로 기인한다. 가장 초기의 구어체는 한나라(기원전 206년 – 서기 220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두 번째 구어체는 남북조 시대(420–589 CE)에서 유래한다. 세 번째 발음 계층(일반적으로 문어체)은 당나라(618–907 CE)에서 유래했으며, 수도인 장안(오늘날의 시안)의 권위있는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54]

일반적으로 보이는 음운 대응(구어 → 문어)은 다음과 같다.

다음 표는 문어와 구어 모두에서 사용되는 호키엔의 몇몇 널리 사용되는 문자를 보여준다.[66][55]

한자발음구어 발음 / 설명영어
pe̍kpe̍hwhite
biānbīnface
suchubook
sengseⁿ / siⁿstudent
putnot
hòantńgreturn
ha̍ko̍hto study
jîn / lînlângperson
siàuchiófew
chóantńgto turn



이러한 특징은 호키엔 숫자에도 적용되며, 문어와 구어의 발음이 모두 존재한다.[55] 문어체는 일반적으로 숫자를 소리 내어 읽을 때(예: 전화번호, 연도) 사용되는 반면, 구어체는 항목을 셀 때 사용된다.

숫자발음숫자발음
문어구어문어구어
16
27colspan="2" |
38
49
510


9. 2. 표준 중국어 및 기타 한자음과의 비교

민남어는 고대 중국어의 특징을 많이 간직하고 있으며, 표준 중국어에서 의미가 변하거나 다른 단어로 대체된 경우도 많다. 또한, 민월어(閩越語)에서 유래한 단어도 존재한다.[56][57][58]

다음 표는 고전 중국어에서 유래된 호키엔어 단어와 문어체 표준 중국어를 비교하여 보여준다.

의미호키엔어표준 중국어
한자POJ한자병음
'눈'ba̍k-chiunanyǎnjīng중국어
'젓가락'tī, tīr, tūnankuàizi중국어
'쫓다'jiok, lipnanzhuī중국어
'젖은'tâmnanshī중국어
'검은'nanhēi중국어
'책'chhehnanshū중국어



다음 표는 호키엔어와 표준 중국어 모두에서 사용되지만, 표준 중국어에서의 의미가 변경된 단어를 보여준다.

단어호키엔어표준 중국어
POJ의미
(및 고전 중국어)
병음의미
cháunan'도망가다'zǒu중국어'걷다'
sè, sòenan작은, '어린'중국어얇은, '가느다란'
tiáⁿnan'가마'dǐng중국어'솥'
chia̍hnan'먹다'shí중국어먹다 (吃|chī중국어)에 의해 대체됨)
kôan, koâiⁿ, kûiⁿnan'높은'xuán중국어걸다, '매달다'
chhùinan'입'huì중국어'부리'



민어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단어 중 일부는 고대 월어에서 유래했으며, 이 언어들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한다고 추정된다. 일부 용어는 타이카다이어족 및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의 단어와 동계어일 것으로 생각된다.

단어호키엔 POJ푸저우 로마자 표기의미
khanancdo'발과 다리'
kiáⁿnangiāngcdo아들, 아이, 강아지, '적은 양'
khùnnankáungcdo잠자다
phiaⁿnanpiăngcdo, '배면'
chhùnanchuó, chiócdo, '가옥'
thâinantàicdo죽이다, '도살하다'
()bahnan'고기'
suínan'아름다운'
soāiⁿnansuôngcdo망고 (오스트로아시아어족)


9. 3. 차용어

호키엔어는 다양한 언어와의 접촉으로 인해 여러 언어에서 차용어를 받아들였다.

타이완 호키엔어는 일본어[59] 및 타이완 원주민어와의 언어적 접촉으로 인해 이 언어들에서 많은 차용어를 포함한다. 많은 단어들은 또한 만다린어에서 모사어로 형성되었으며, 화자들은 종종 코드 스위칭을 통해 만다린어 어휘를 직접 사용한다.

호키엔어다른 호키엔어 변형어원
piān-só͘nan () (), ()일본어
chū-tōng-chhianan (}})}} (), ()일본어
kám-simnan ()}} ()일본어
chúi-ké / chúi-kóe / chúi-kérnan ()ké-chí중국어 ( / / )만다린어 ()



싱가포르 호키엔어, 페낭 호키엔어 및 기타 말레이시아 호키엔어 방언은 주로 말레이어, 영어 및 기타 중국 방언, 주로 조주어에서 차용어를 가져오는 경향이 있다.

호키엔어다른 호키엔어 변형어원
ta-pinantān-sīnan ()말레이어
ló-kunnan ()i-sengnan ()말레이어 dukunms
bà-tûnanchio̍h-thâunan ()말레이어 batums
pa-satnan ()chhī-tiûⁿnan (), chhài-chhīnan ()말레이어 pasarms (페르시아어 (بازارfa)에서 유래)[60]
i-lângnan ()innan ()조주어 ()
chò-búnan ()chò-hóenan (), tâng-chênan () 또는 tàu-tīnnan ()조주어 ()
sap-bûnnan ()말레이어 sabunms (아랍어 (صابونar)에서 유래)[60][61]



필리핀 호키엔어는 필리핀어와 필리핀 스페인어와의 수 세기 동안의 접촉과 최근 20세기의 필리핀 영어와의 현대적 접촉으로 인해 이러한 언어들에서 단어를 포함한다. 오늘날 화자들은 또한 종종 필리핀 영어필리핀어 (타갈로그어) 또는 세부아노어와 같은 다른 필리핀어 어휘를 코드 스위칭을 통해 직접 사용한다. 원어민들이 이미 언어의 일부로 간주하는 차용어의 예는 다음과 같다.

호키엔어다른 호키엔어 변형어원
ba-sùnanpoe-ánan (), poenan ()타갈로그어 basotl 또는 스페인어 vasoes
o-pi-sínnanpān-kong-sek/pān-kong-siaknan ()타갈로그어 opisinatl (스페인어 oficinaes에서 유래)
sap-bûnnan타갈로그어 sabontl 또는 초기 근대 스페인어 xabones
ka-pénanko-pinan (), ka-pinan ()타갈로그어 kapetl (스페인어 cafées에서 유래)
pá-lânanhō͘-chîⁿnan (), hêng-chîⁿnan ()스페인어 pagares
lo-sinnantáⁿnan ()영어 dozen
chi̍p-nî-chhianan ()필리핀 영어 jeepney
go-ma-ôenan필리핀 영어 rubber shoes ("운동화")에서 유래, 타갈로그어 goma ("고무") 또는 스페인어 goma ("고무") + 호키엔어 鞋 (ôe, "신발") 사용



필리핀 호키엔어는 일반적으로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3자리의 힌두-아라비아 숫자 시스템을 따르지만, 여전히 중국 숫자 시스템에서 의 개념을 유지한다.

필리핀 호키엔어다른 호키엔어 변형
1만 1천 – cha̍p-it-chhengnan ()chi̍t-bān chi̍t-chhengnan ()
10만 – chi̍t-pah-chhengnan ()cha̍p-bānnan ()
백만 – chi̍t-thángnan () 또는 chi̍t-bīn-thángnan ()chi̍t-pah-bānnan ()
1억 – chi̍t-pah-thángnan ()chi̍t-iaknan ()


10. 문화

취안저우는 역사적으로 호키엔 문화의 중심지였으며, 남관 음악, 북관 음악, 인형극, 가오자 및 려원희와 같은 다양한 전통 호키엔 문화 관습이 호키엔 오페라 장르에서 유래되었다.[15] 이는 취안저우가 당나라 시대부터 중요한 무역 및 상업 항구가 되어 중요한 도시로 번성했기 때문이다. 1842년 아편 전쟁 이후 샤먼은 외부 세계와의 무역을 위해 개방된 주요 조약 항구 중 하나가 되었다. 19세기 중반부터 샤먼은 점차 중국의 호키엔어 사용 지역의 정치 및 경제 중심지로 발전했다. 이로 인해 샤먼 방언은 점차 취안저우 및 장저우 방언의 위치를 대체하게 되었다.

1980년대부터 대만의 대만 민남 팝 음악과 미디어 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호킨 문화의 중심지가 샤먼에서 대만으로 이동했다. 1990년대와 21세기 초 대만의 번성하는 대만 민난 엔터테인먼트 및 미디어 산업으로 인해 대만은 호키엔의 새로운 중요한 문화 중심지로 부상했다.

1990년대에 언어 개발 자유화와 대만의 모국어 운동이 시작되면서 대만 호키엔어가 빠르게 발전했다. 1993년 대만은 대만 학교에서 대만 호키엔어 교육을 시행한 세계 최초의 지역이 되었다. 2001년에는 현지 대만어 프로그램이 대만 내 모든 학교로 확대되었으며, 대만 호키엔어는 학교에서 배워야 하는 필수 현지 대만어 중 하나가 되었다.[64] 2007년에는 대만 교육부에서 호키엔어 표기를 위해 사용되는 한자를 표준화하고, 타이로를 표준 호키엔어 발음 및 로마자 표기 지침으로 개발했다.

11. 문자 체계

호키엔어는 한자(漢字)로 표기할 수 있지만, 문어체는 고전 중국어를 기반으로 한다. 호키엔어 고유의 비표준 문자(대체 문자)가 존재한다. 광둥어와 달리 호키엔어는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표준화된 문자 체계를 가지고 있지 않다. 2007년 중화민국 교육부는 대만 호키엔어를 위한 표준 한자 체계를 공식화하고 발표했다.[10] 로마자 표기법으로는 백화자(POJ), 대만 로마자 병음 방안(Tâi-lô), 반람 병음 등 한자와 로마자를 혼합한 혼합 표기도 사용된다.

문어와 구어의 이중독(二重讀) 현상은 호키엔어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이다. 당나라 시대의 방언 발음을 기반으로 하는 문어체는 주로 격식적인 구문과 문어체에 사용되는 반면, 구어체는 일반적으로 구어, 속어, 성씨에 사용된다. 문어체는 구어체보다 당나라 표준 중국어의 발음과 더 유사하다.[54]

일반적인 음운 대응(구어 → 문어)은 다음과 같다.



다음은 문어와 구어 모두에서 사용되는 호키엔어의 몇몇 문자를 보여주는 표이다.[66][55]

한자문어 발음구어 발음설명영어
pe̍kpe̍hwhite
biānbīnface
suchubook
sengseⁿ / siⁿstudent
putnot
hóantńgreturn
ha̍ko̍hto study
jîn / lînlângperson
siàuchiófew
chóantńgto turn



호키엔 숫자에도 문어와 구어의 발음이 모두 존재한다.[55] 문어체는 숫자를 소리 내어 읽을 때(예: 전화번호, 연도) 사용되는 반면, 구어체는 항목을 셀 때 사용된다.

숫자발음숫자발음
문어구어문어구어
16
27colspan="2" |
38
49
510


12. 정치적 지위

2002년, 대만 단결 연맹은 대만어를 제2 공식 언어로 지정하는 것을 제안했다.[71] 그러나 이 제안은 중국 본토 출신 단체뿐만 아니라, 자신들의 모국어가 무시될 것을 우려한 객가 및 대만 원주민 단체로부터도 강력한 반대에 부딪혔다. 이러한 반대 때문에, 이 조치에 대한 지지는 온건한 대만 독립 지지자들 사이에서도 미온적이었고, 결국 이 제안은 통과되지 못했다.

2018년, 집권 민주진보당 정부는 호키엔어를 대만의 공식 언어로 지정했다.

참조

[1] 웹사이트 Languages of Singapore – Ethnologue 2017 https://www.ethnolog[...] 2017-07-14
[2] 간행물 Chinese, Min Nan
[3] 논문 Tones and prosody in Middle Chinese and the origin of the rising tone
[4] 서적 Middle Chinese: A study in Historical Phonology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5] 학술지 Glottolog 4.8 - Min https://glottolog.or[...]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23-10-13
[6] 웹사이트 https://law.moj.gov.[...] 2019-05-22
[7] 웹사이트 Hokkien, adjective & noun https://www.oed.com/[...] 2023-09-14
[8] 웹사이트 Reclassifying ISO 639-3 [nan]: An Empirical Approach to Mutual Intelligibility and Ethnolinguistic Distinctions https://raw.githubus[...]
[9]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sia and Oceania Facts on File
[10] 간행물 Táiwān Mǐnnányǔ hànzì zhī xuǎnyòng yuánzé http://ws.moe.edu.tw[...] 2017-09-23
[11] 서적 Chinese–English Dictionary of the Vernacular or Spoken Language of Amoy Presbyterian Church of England
[12] 서적 Chinese–English Dictionary of the Vernacular or Spoken Language of Amoy Presbyterian Church of England
[13] 서적 English and Chinese Dictionary of the Amoy Dialect https://archive.org/[...] London Missionary Society
[14] 서적 Language Atlas of China Longman
[15] 서적 Chinese-English Dictionary of the Vernacular or Spoken Language of Amoy https://archive.org/[...] Presbyterian Church of England 1899
[16] 서적 Chinese-English Dictionary of the Vernacular or Spoken Language of Amoy https://archive.org/[...] Presbyterian Church of England 1899
[17] 서적 《第十屆閩方言國際學術研討會》 http://www.chinese.n[...]
[18] 서적 臺南市福建省同安方言的色彩較濃 https://www.ylib.com[...]
[19] 서적 經歷台南同安腔與員林漳州腔的異同 http://olddoc.tmu.ed[...] 2022-07-12
[20] 웹사이트 2010 Population and Household Census in Taiwan https://www.stat.gov[...] Ministry of Education (Republic of China) 2018-12-05
[21] 서적 Introduction to Chinese Dialectology LINCOM Europa 2006
[22] 서적 Linguistic Studies in Chinese and Neighboring Languages Institute of Linguistics, Academia Sinica 2006
[23]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Chinese Lingu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24] 서적 The Language of the Sangleys: A Chinese Vernacular in Missionary Sources of the Seventeenth Century BRILL 2011
[25] 학술지 Contemporary Studies on the Min Dialects Chinese University Press 1999
[26] 학술지 The Manila Incunabula and Early Hokkien Studies, Part 1 http://www2.ihp.sini[...] 2016-08-15
[27] 서적 Doctrina Christiana en letra y lengua China, compuesta por los padres ministros de los Sangleyes, de la Orden de Sancto Domingo http://bdh-rd.bne.es[...] Keng Yong 1593
[28] 웹사이트 1. Taiwan. Mesa Redonda. Fabio Yuchung Lee, José Regalado, Luisa Chang https://www.youtube.[...] 2023-08-12
[29] 서적 Arte de la Lengua Chiõ Chiu https://bipadi.ub.ed[...]
[30] 뉴스 World's Oldest and Largest Spanish-Chinese Dictionary Found in UST https://lifestyle.in[...] 2021-02-08
[31] 학술지 The Manila Incunabula and Early Hokkien Studies, Part 2 http://www2.ihp.sini[...] 2016-08-15
[32] 서적 Written Taiwanese Otto Harrassowitz 2005
[33] 서적 A Dictionary of the Hok-këèn Dialect of the Chinese Language, According to the Reading and Colloquial Idioms: Containing About 12,000 Characters. Accompanied by a Short Historical and Statistical Account of Hok-këèn https://archive.org/[...] The Honorable East India Company's Press, by G.J. Steyn and Brother
[34] 서적 Chinese-English Dictionary of the Vernacular or Spoken Language of Amoy, with the Principal Variations of the Chang-Chew and Chin-Chew Dialects https://archive.org/[...] Trübner & Co.
[35] 서적 The Chinese Language: Its History and Current Usage Tuttle Publishing 2006
[36] 서적 Chinese-English dictionary of the vernacular or spoken language of Amoy Presbyterian Church of England
[37] 서적 Chinese-English dictionary of the vernacular or spoken language of Amoy Presbyterian Church of England
[38] 서적 Spoken Hokkien SOAS 2010
[39] 서적 Chinese-English dictionary of the vernacular or spoken language of Amoy Presbyterian Church of England
[40] 서적 Chinese–English Dictionary of the Vernacular or Spoken Language of Amoy Presbyterian Church of England
[41] 간행물 Hokkien Phonological Structure 1970
[42] 서적 Spoken Hokkien SOAS 2010
[43] 서적 Mǐnnán fāngyán dà cídiǎn Fujian renmin chuban she 2006
[44] 웹사이트 Shēngdiào xìtǒng http://www.ntcu.edu.[...] 2010-09-16
[45] 문서 Complete and Not-So-Complete Tonal Neutralization in Penang Hokkien https://www.academia[...] 2013
[46] 웹사이트 Nán'ān fāngyán fùcí fēnxī https://max.book118.[...] Fujian Normal University 2019-01-31
[47] 웹사이트 Chinese, Min Nan https://www.ethnolog[...] 2018-06-12
[48] 웹사이트 German http://www.ethnologu[...] 2010-09-16
[49] 논문 A Dialectal and Phonological Analysis of Penghu Taiwanese http://sanders.phono[...] Williams College 2009
[50] 서적 Contributions to Sino-Tibetan Studies E. J. Brill 1986
[51] 간행물 http://intranet.ling[...]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 2011-07-03
[52] 서적 Written Taiwanese Otto Harrassowitz Verlag 2005
[53] conference Malay Lexicalized Items in Penang Peranakan Hokkien http://sealang.net/s[...] Pacific Linguistics 2007
[54] 간행물 The Analytic Causatives Of Early Modern Southern Min In Diachronic Perspective http://halshs.archiv[...] Centre de Recherches Linguistiques sur l'Asie Orientale
[55] 웹사이트 Táiwān Mǐnnányǔ chángyòng cí cídiǎn http://twblg.dict.ed[...] Ministry of Education, R.O.C. 2011
[56] 웹사이트 濕 https://en.wiktionar[...] 2022-09-17
[57] 웹사이트 檨 https://en.wiktionar[...] 2022-04-05
[58] 웹사이트 Teochew, another Minnan language – Oung-Heng HENG {{!}} PG 2019 https://www.youtube.[...] 2019-09-19
[59] 웹사이트 Táiwān Mǐnnányǔ wàilái cí http://twblg.dict.ed[...] Ministry of Education, R.O.C. 2011-07-08
[60] 서적 Pēi nán mì https://books.google[...] Hyweb Technology Co. 2006
[61] 서적 Essays on the Chinese Language https://archive.org/[...] Presbyterian Mission Press 1889
[62] 웹사이트 Tâi-bûn/Hôa-bûn Sòaⁿ-téng Sû-tián http://210.240.194.9[...] 2014-10-01
[63] 간행물 Education and National Colonialism in Postwar Taiwan: The Paradoxical Use of Private Schools to Extend State Power, 1944–1966 2020-05
[64] 웹사이트 http://www.nhu.edu.t[...] Nhu.edu.tw 2010-09-16
[65] 웹사이트 http://blog.sina.com[...] 2022-01-04
[66] 웹사이트 How to Forget Your Mother Tongue and Remember Your National Language http://www.pinyin.in[...]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1-07-02
[67] 서적 Written Taiwanese Otto Harrassowitz Verlag 2005
[68] 문서 Táiwān Mǐnnányǔ tuījiàn yòng zì (dì 1 pī) http://www.edu.tw/fi[...] Jiaoyu bu 2011-07-02
[69] 웹사이트 RFC 3066 Language code assignments http://www.evertype.[...] Evertype.com 2010-09-16
[70] 문서 See documents http://www.evertype.[...]
[71] 뉴스 Hokkien Should Be Given Official Status, Says Tsu http://www.taipeitim[...] Taipei Times 2002-03-10
[72] 문서 中国語言地図集
[73] 서적 臺灣話流浪記 臺灣語文研究發展基金會 1988
[74] 서적 厦門方言研究 福建人民出版社 1998
[75] 간행물 臺灣閩南語之淵源與正名 http://www.ntl.edu.t[...] 臺灣學研究中心 2008-06
[76] 웹사이트 臺灣話俗諺語典(上,下冊)‧序言 http://www.books.com[...]
[77] 서적 福爾摩沙的烙印:臺灣閩南語概要(上冊) 文建會 2001
[78] 웹사이트 「閩南話」往過叫啥物名 http://www.hokkienes[...]
[79] 웹사이트 福建概覧 方言 http://www.fjsq.gov.[...]
[80] 간행물 台灣的語種分布與分區 http://www.ling.sini[...] 中央研究院 2013
[81] 서적 閩南語辞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