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풀다는 독일 헤센주에 위치한 도시로, 풀다 강에서 유래된 이름을 가지고 있다. 744년 성 보니파티우스의 제자인 성 스투름에 의해 풀다 베네딕트 수도원이 설립되었고, 중세 시대에는 학문과 종교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18세기에는 바로크 양식의 건축 사업을 통해 "바로크 도시"로 불리게 되었으며, 풀다 대성당과 슈타트슐로스가 대표적이다. 정치적으로는 보수적인 가톨릭 도시이며, 독일 기독교민주연합(CDU)의 강세 지역이다. 냉전 시대에는 풀다 갭으로 인해 군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며,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상업, 문화, 교육의 중심지로서 다양한 산업과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센주 - 프랑크푸르트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은 독일 헤센주에 있는 세계적인 금융 중심지이자 유럽중앙은행을 비롯한 주요 국제기구의 본거지이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을 거쳐 유럽 최대의 고층빌딩 도시이자 국제적인 교통 허브로 성장한 다문화 도시이다. - 헤센주 - 비스바덴
비스바덴은 독일 헤센주의 주도로 라인강 우안에 위치한 온천으로 유명한 도시이며, 역사적 건축물과 문화 시설을 갖춘 관광 도시이자 주요 공공기관이 소재한 행정 중심지이다. - 독일의 도시 - 프랑크푸르트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은 독일 헤센주에 있는 세계적인 금융 중심지이자 유럽중앙은행을 비롯한 주요 국제기구의 본거지이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을 거쳐 유럽 최대의 고층빌딩 도시이자 국제적인 교통 허브로 성장한 다문화 도시이다. - 독일의 도시 - 함부르크
함부르크는 독일 북부의 자유 한자 도시이자 연방 주로, 중세 한자 동맹의 주요 항구 도시로 번영했으며 현재는 유럽 주요 항구 도시이자 국제적인 대도시이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풀다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도시 |
문장 | Wappen Fulda.svg |
좌표 | 50° 33′ 3″ N, 9° 40′ 31″ E |
위치 지도 | Fulda in FD.svg |
주 | 헤센주 |
행정 구역 | 카셀 |
군 | 풀다 군 |
고도 | 261m |
면적 | 104.04 km² |
자치 단체 코드 | 06631009 |
우편 번호 | 36001–36043 |
지역 번호 | 0661 |
차량 번호판 | FD |
웹사이트 | www.fulda.de |
시장 | 하이코 빙엔펠트 |
시장 임기 | 2021–27 |
시장 직책 | 상급 시장 |
정당 | CDU |
설립 연도 | 744년 |
독일어 명칭 | Fulda |
로마자 표기 | Fulda |
인구 | |
인구 | 68,586 명 |
인구 조사 년도 | 2018년 |
종교 | |
종교 | 풀다 수도원, 풀다 교구 |
주요 건축물 | |
주요 건축물 | 성 살바토르 대성당 |
2. 역사
풀다(Fulda)라는 지명은 그 유래가 명확하지 않다. 750년경부터 ''Uulta'', ''Uulthaha'', ''Fulda'', ''Fulde'' 등 다양한 표기로 기록되었다. 가장 유력한 설은 '풀다 강'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 'die Fulda'는 고대 작센어 ''folda''(''들판, 땅, 토지, 토양''을 의미)와 고대 고지 독일어 ''aha''(''물''을 의미)로 구성되어 "들판의 강"이라는 뜻으로 해석된다.[23] 게르만어의 *''ahwô''(추정형)에서 유래하며, 라틴어 ''aqua''와 어근이 같아 "물"을 나타낸다.[23]
인도-게르만어 ''*pel-'' / ''pol-''을 어원으로 하는 단어가 많은 점을 고려하면, 풀다가 인도-게르만어 ''polta''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있다.
풀다는 구석기 시대 유적이 발견된 곳으로,[25] 최초의 정착은 기원전 5000년경으로 추정된다.[25] 민족 대이동 시기 새로운 정착지가 형성되었고, 켈트족 마을도 있었다. 로마 제국 붕괴 후 프랑크 왕국이 중앙 유럽의 패권을 장악했고, 클로비스 1세의 세례와 함께 광범위한 기독교화가 시작되었다. 보니파티우스는 이 지역 게르만족에게 로마 가톨릭교회를 전파했다.
744년 풀다 수도원이 설립되면서 마을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751년 수도원은 교황 자카리아스로부터 주교권 면제와 로마 교회 직속을 인정받았다.[26] 754년 수도원에 매장된 보니파티우스는 이 수도원의 수호 성인이 되었다.[26] 765년 수도원은 왕립 수도원이 되었고, 774년 카롤루스 대제는 수도원장 자유 선출권과 면제권을 부여했다. 이후 귀족들의 기증이 이어지면서 수도원의 영지는 알프스 산맥에서 북해에 이르기까지 확장되었다.[28] 수도사 수도 781년 364명에서 825년/826년 600명 이상으로 증가했다.
791년부터 819년까지 알프스 북쪽에서 가장 큰 교회 건축물인 라트가르 바실리카가 건설되었다. 이 시기 농민과 장인들이 수도원 주변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풀다 수도원에서는 라틴어 종교 문서 필사 외에도 『힐데브란트의 노래』, 『타티안』 등 독일어사, 독일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작품들이 기록되었다.[29] 또한, 열과 암에 대한 『(바젤의) 처방전』도 이 지역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30]
풀다 수도원 부속 학교는 라바누스 마우루스 시대에 프랑크 왕국 최고의 지위를 누렸으며, 그는 "게르마니아의 스승"이라는 칭호를 받았다.[31] 풀다 수도원은 타키투스의 『소품집』과 『연대기』 제1-6권, 스베토니우스의 『문법학자에 관하여』 등 고전 텍스트 계승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32]
2. 1. 중세
744년 성 보니파시오의 제자인 성 스투름(Saint Sturm)이 풀다 베네딕트 수도원(Benedictine monastery of Fulda)을 설립했다.[2] 수도원 설립 초기 증여서는 아우스트라시아의 궁재(Mayor of the Palace)였던 카를로만(재위 741~747년)이 서명했다.[3] 풀다는 카롤링거 시대의 많은 유력 가문으로부터 지원을 받았다.751년 보니파시오와 그의 제자이자 후계자인 룰루스(Lullus)는 풀다를 교황청(Papal See) 직속으로 두어 주교나 속세의 군주들로부터 독립시키는 면제권을 얻었다. 수도원 학교는 명성 있는 학문의 중심지가 되었다.[4]
754년 프리스인들에게 순교한 후, 성 보니파시오의 유해는 풀다로 가져왔다. 이로 인해 수도원의 위상이 높아졌다.
790년에서 819년 사이에 공동체는 유물을 더욱 적절하게 보관하기 위해 주요 수도원 교회를 재건축했다. 그들은 로마의 4세기 오래된 성 베드로 대성당(Old St. Peter's Basilica)을 모델로 삼아, 그 위대한 순례 교회의 트랜셉트(transept)와 암막(crypt) 설계를 사용하여 자기들의 성인을 "게르만인들의 사도"로 묘사했다.

원래 수도원 교회의 지하 묘실에는 여전히 그 유물이 보관되어 있지만, 교회 자체는 바로크 양식(Baroque)으로 개조되었다. 9세기 소규모 예배당이 교회에서 도보 거리 내에 남아 있으며, 후대 여성 수도원의 기초도 남아 있다. 라바누스 마우루스(Rabanus Maurus)는 822년부터 842년까지 풀다 수도원장으로 재임했다.[5] 풀다 수도원은 4세기 로마 역사가 아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Ammianus Marcellinus)의 저서 ''레스 게스타에''(Res Gestae), 풀다 사본(Codex Fuldensis)뿐만 아니라 키케로(Cicero), 마우루스 세르비우스 호노라투스(Maurus Servius Honoratus), 베다(Bede), 술피키우스 세베루스(Sulpicius Severus)의 작품들을 소장하고 있었다.

프랑크푸르트와 에르푸르트/라이프치히를 잇는 길목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 수도원과 왕권의 깊은 관계, 보니파티우스의 묘소 순례라는 세 가지 조건이 수도원 주변에 형성된 마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하인리히 2세는 1019년 이 마을에 수도원에 주화 발행권과 시장 개설권을 부여했고, 관세와 시장 수익은 왕권에서 수도원장의 손으로 넘어갔다. 1114년에는 "풀다 시"(≫Fulda civitas≪)라고 새겨진 화폐가 주조되었다. 수도원장 마르크바르트 1세(Markward I.; 1150-65)는 12개의 탑, 5개의 문을 갖춘 성벽과 해자를 정비했다. 13세기에는 시청사도 건설되었고, 교외에는 여관이 즐비했으며, 구빈원도 설치되었다. 도시의 경제는 주로 모직물 생산과 거래로 발전했고, 행정은 슐트하이스(Schultheiß)와 참심단(Schöffenkolleg)이 이끌었다. 도시 지도층은 거래와 혼인 관계를 통해 프랑크푸르트와 겔른하우젠의 도시 귀족들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33]
수도원장 마르크바르트 1세(재위: 1150년 - 1165년) 아래, 이 도시는 발전을 거듭했고, 많은 잃어버린 영토를 회복했다. 그러기 위해 중세에서 가장 유명한 문서 위조자 중 한 명인 풀다의 수도사 에버하르트가 수도원장을 도왔다. 수도원장 마르크바르트는 도적 기사를 몰아내고 성채를 획득했다. 1162년에 성벽, 12개의 탑, 5개의 문(헤어르 문, 페터스 문, 플로렌 문, 콜호이저 문, 프라우엔 소문)을 갖춘 방어 시설을 이 도시에 설치했다.
영주이자 수도원장인 하인리히 폰 바일나우는 1294년부터 1312년까지 수도원 성채를 건설하고 수도원 외부에 있는 그 성에 거주했다. 이 성채는 17세기에 영주이자 수도원장인 요한 프리드리히 폰 슈바르바흐에 의해 르네상스 양식의 성관으로 개축되었다.
영주이자 수도원장인 하인리히 5세 폰 바일나우(Heinrich V. von Weilnau; 1288-1313)는 1294년부터 1312년까지 수도원 성채를 건설하고 수도원 밖에 있는 그 성에 거주했다. 이 성채는 17세기에 영주이자 수도원장인 요한 프리드리히 폰 슈바르바흐에 의해 르네상스 양식의 성으로 개축되었다.
풀다 시는 수도원 근처에 성채를 소유한 수도원장의 간섭으로부터 그 권리를 보호해야 했다. 영주이자 수도원장인 하인리히 6세 폰 호헨베르크(Heinrich VI. von Hohenberg; 1315-53)는 1319년부터 1320년에 두 번째 성채를 시내에 건설했다. 시민들은 1331년 수도원 집정관인 치겐하인 백작(Graf von Ziegenhain, Schirmvogt des Klosters) 요한 1세의 협력을 얻어 수도원의 두 성채를 점령하고, 탑과 성벽을 포함한 새로운 성을 파괴했다. 도망친 수도원장의 고소로 황제는 시와 백작에게 국교 파문을 선고했다.[36] 시를 위해 트리어 대주교 발두인이 중재를 시도했지만, 시민들은 새로운 성의 탑과 성벽을 수리하고 상당한 금액의 보상금을 지불해야 했기에, 1332년에 다시 폭동이 일어났다. 중세 말기, 시벽 내부의 면적은 약 22ha, 시민의 인구는 약 2000명이었다.[37]
2. 2. 근대
발타사르 폰 데른바흐(Balthasar von Dernbach) 대공 수도원장은 반종교개혁 정책을 펼쳤다. 1571년 그는 예수회를 초청하여 학교와 대학을 설립하게 했다. 그는 장의 구성원들에게 수도원 생활 방식으로 돌아갈 것을 요구했다. 그의 전임자들은 프로테스탄티즘을 용인하여 풀다 시민 대부분과 공국 영토의 상당 부분이 루터교를 믿게 되었지만, 발타사르는 백성들에게 가톨릭 신앙으로 돌아오거나 영토를 떠날 것을 명령했다.[6] 그는 또한 풀다 마녀 재판(Fulda witch trials)을 지시하여 수백 명의 사람들(암묵적 프로테스탄트 포함)을 마녀 혐의로 체포했다.[7]풀다 수도원과 그 영토는 황제의 하사로 시작되었으며, 이 영주 공국은 오직 독일 황제에게만 종속되었다. 풀다는 1752년에 주교구가 되었고, 수도원장공작들은 주교공작이라는 칭호를 추가로 받았다. 수도원장공작(이후 주교공작)들은 1802년 나폴레옹 1세에 의해 주교구가 강제 해산될 때까지 풀다와 그 주변 지역을 통치했다.
18세기에 바로크 건축 사업을 통해 도시는 현재의 "바로크 도시" 지위를 얻게 되었다. 여기에는 요한 디엔첸호퍼가 개조한 ''슈타트슐로스''(풀다 성궁, 1707년~1712년)와 풀다 대성당(1704년~1712년)[8]의 재건축이 포함되었다. 도시 교구 교회인 성 블라시우스 교회는 1771년부터 1785년 사이에 건립되었다. 1764년 주교공작이자 수도원장공작인 하인리히 폰 비브라 치하에서 풀다에 자기 공장이 설립되었으나, 그의 후임인 주교공작이자 수도원장공작 아달베르트 폰 하르슈탈에 의해 1789년 폐쇄되었다.[9]
이 도시는 1803년 오렌지-나소 공작 빌헬름 프레드릭(후일 네덜란드의 국왕 네덜란드의 빌헬름 1세)에게 주어졌으나(단명한 나소-오렌지-풀다 공국의 일부), 1806년 베르크 대공국에 합병되었고, 1809년 프랑크푸르트 공국에 합병되었다. 1814년~1815년 빈 회의 이후, 대부분의 영토는 헤세 선제후국에 귀속되었고, 1866년 프로이센이 합병했다.[10]
삼십년 전쟁에서 이 도시는 1640년 6월 20일에 스웨덴군에 의해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수도원장이자 영주였던 플라키두스 폰 도르스테는 재임 기간 동안 풀다 수도원령의 재정을 근본적으로 재건했다. 그의 후임자 아달베르트 폰 슈라이프라스는 1700년에 요한 디엔첸호퍼를 풀다 수도원 건축 책임자로 임명하여, 로마네스크 양식의 라트가어-바실리카 자리에 현재의 풀다 대성당과 슈타트슈로스(도시 성관)를 바로크 양식으로 건설하도록 명령했다.[40]
1752년, 이 영주이자 수도원장은 주교 영주로 승격되었다. 7년 전쟁에서 풀다는 1762년에 루크너 지휘하의 하노버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프랑크푸르트와 풀다 사이의 도로는 1764년에 주교 영주 하인리히 폰 비플라의 지시에 따라 헤센에서 최초의 간선 도로로 확장되었다.

영주이자 수도원장 아돌프 폰 달베르크의 통치 시대에 풀다는 대학 도시가 되었다.[41] 1734년부터 1805년까지 가톨릭 풀다 대학교가 존재했다. 이 대학교는 4개의 학부(신학부, 철학부, 의학부, 법학부)를 가지고 있었다. 풀다의 영주이자 수도원장 궁정 건축가 안드레아스 갈라시니에 의한 바로크 건축은 1731년부터 1734년에 건설되었다.[42] 현재 이 건물에는 아돌프-폰-달베르크 기초 과정 학교가 들어서 있다.

1802년의 세속화는 주교령에도 미쳤다. 풀다(Fulda)의 소유권은 빌헬름 프레드리히 오라니예-나사우 공작의 것이 되었으나, 1806년 나폴레옹이 풀다주로 빼앗았다. 1810년 프랑크푸르트 대공국의 일부가 되었다. 1815년 빈 회의에 의해 이 주는 폐지되었고, 1년간 프로이센이 통치한 후, 헤센 선제후국에 병합되었다.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이후, 풀다와 헤센 선제후국은 프로이센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1850년 11월 2일 풀다는 프로이센군에 의해 점령되었으나, 11월 9일 브론츠엘 근교에서 오스트리아군과의 전투 후, 짧은 기간이었지만 바이에른의 소유가 되었다. 1866년 전쟁의 결과, 이 도시는 다시 프로이센의 것이 되었다.
풀다 시는 문화투쟁에서 독일 제국에서 교황청 중심주의 사상의 중심지였다. 병영(제11 야전포 기병부대)을 포함한 도시 인구는 12,226명이었다. 풀다는 주교, 성당 참사회, 구(區) 법원, 세무서의 소재지였다.
풀다 출신 이주민들은 미국에서 풀다 질병자 지원 협회를 설립했다.
풀다는 1927년에 군에서 독립시가 되었다.
풀다에서는 1933년 3월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가사회주의독일노동자당(NSDAP)이 4분의 1의 득표율을 얻지 못했고, 시의회에서도 부차적인 역할에 그쳤다. 강제적 동일화에 따라 1933년에 풀다 악티엔 인쇄소가 파괴되었고, 1938년 11월 9일 유대인 배척 운동(수정의 밤)에는 역사적인 유대인 묘지와 구 유덴가세(유대인 거리)의 시나고그가 파괴되었다. 전 풀다 시장 카를 에저는 나중에 카셀 가우의 선전 지도부가 풀다에도 공격을 가할 가능성을 각오하도록 지시했다고 진술했다. 그는 시나고그를 해체하도록 지시했다. 1940년에 프라우엔베르크 수도원에서 프란치스코회 수도사들이 추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풀다는 여러 번 공격 목표가 되었다. 처음으로 큰 피해가 발생한 것은 1944년 7월 20일로, 성당이 손상되고 80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같은 해 8월 30일의 공격은 30발의 소이탄에 의한 소규모 공격이었다.[43] 1944년 9월 11일과 12일, 그리고 1944년 12월 27일의 공습으로 도시의 3분의 1이 파괴되었고 많은 희생자가 발생했다. 풀다에서의 전쟁 사망자는 총 1,595명에 달했다. 그 외에도 많은 부상자와 실종자가 있었다. 교통과 산업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구시가지, 특히 게뮤제 시장 주변과 바로크 시가지의 역사적 건축물도 크게 훼손되었다.
2. 3. 현대
1938년부터 1943년까지 풀다는 나치의 강제 노동 수용소가 있던 곳이었다. 로마니족이 이 수용소의 희생자였다.[11]풀다는 전통적인 동서 침략 루트인 풀다 갭의 이름을 따왔으며, 냉전 기간 동안 이곳은 NATO와 소련군 간의 재래식 전쟁 시 침략 루트가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풀다의 다운스 병영은 미군 제14기갑 기병 연대의 본부였으며, 나중에 제11기갑 기병 연대로 교체되었다. 기병대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부터 1993년까지 최대 3,000명의 병력을 보유했다. 이들 병사 모두가 풀다에 주둔했던 것은 아니고, 감시 초소와 바트 키시젠 및 바트 헤르스펠트 도시에 분산 배치되었다. 동서독 국경 지역의 전략적 중요성으로 인해 미국과 소련 군대가 대규모로 주둔하게 되었다.[12]
풀다시는 1972년 헤센주의 지역 재편에 따라 현재 시구(市区)가 된 24개의 주변 마을을 합병하여 확장되었지만, 1974년 군 독립시(郡独立市)의 지위를 상실했다.[20] 이 때문에 인구 5만 명 이상의 헤센주 도시 6개 시와 함께 좀더슈타트슈타트(Sonderstatusstadt)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풀다는 여러 번 공격 목표가 되었다. 1944년 7월 20일, 성당이 손상되고 80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같은 해 8월 30일의 공격은 30발의 소이탄에 의한 소규모 공격이었다.[43] 1944년 9월 11일과 12일, 그리고 1944년 12월 27일의 공습으로 도시의 3분의 1이 파괴되었고 많은 희생자가 발생했다. 풀다에서의 전쟁 사망자는 총 1,595명에 달했다. 교통과 산업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구시가지, 특히 게뮤제 시장 주변과 바로크 시가지의 역사적 건축물도 크게 훼손되었다.

냉전 시대 풀다는 풀다 갭이라는 개념에서 분명하게 드러나듯이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했다. NATO에 의해 만들어진 이 개념은 바르샤바 조약 기구군이 공격할 때 풀다 강 계곡을 통해 약 100km 떨어진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을 거쳐 남서 독일로 진격하려는 전략 모델이다. 이 시나리오에서는 제3차 세계대전이 발발할 경우 아마도 풀다가 최전선이 될 것이라고 예상되었다. 이 때문에 풀다에는 다운스 병영을 포함한 대규모 병영이 설치되었다. 1974년부터 이 병영에는 제11기갑기동여단(블랙호스 연대)이 주둔했다. 풀다 주둔 미군은 1994년에 철수했다.
풀다는 1945년 이후 독일연방공화국의 변방에 위치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현대적인 공업 도시로 발전했다. 1972년의 헤센주 지역 재편에 따라 8월 1일에 시 주변 24개 마을이 주법에 따라 합병되었다.[44] 이들은 현재 중심 시가지 이외의 24개 시구를 형성하고 있다. 이 도시는 1974년에 1927년부터 유지해 온 군(郡) 독립 도시의 지위를 잃었지만, 1980년부터 좀더 특별한 지위(Sonderstatus)를 부여받아 군 단위의 다양한 책임을 맡고 있다.
1980년 11월 17일부터 18일까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시내에 모인 10만 명 이상의 신자[45]들을 열광시키며 성당 광장에서 야외 미사에 참석했다.
1984년 9월 29일, 대규모 평화 시위가 풀다에서 열렸다. 약 3만 명의 평화 운동 참가자들은 동서의 군사 정책에 반대를 표명했다. 1989년 11월 9일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동서독 국경이 개방되자 하루에 수천 명의 동독 주민들이 이 바로크 도시를 방문했다.
1990년에 제30회 "헤센의 날"이 풀다에서 개최되었다. 이 도시는 1994년에 창설 1250주년을 기념하고 제1회 "헤센 주 정원 박람회" 개최지가 되었다. 2002년에는 "풀다 주교구 250주년"을 기념했다.
2004년은 성 보니파티우스 서거 1250주년으로 여겨졌다. 이를 기념하여 풀다 성곽 극장에서 "보니파티우스 - 더 뮤지컬"이 세계 초연되었다.
2019년은 네 가지 기념일이 겹치는 도시였다.
3. 지리
풀다시는 독일 중부 헤센주에 위치하며, 주변 산지로 둘러싸인 분지에 자리 잡고 있다. 풀다강 상류에 위치하며, 라인-마인 동부 지역에 속한다. 인근 대도시와는 100km 이상 떨어져 있으며, 페터스베르크, 퀴첼, 아이헨첼 등 3개 마을과 통합 도시권을 형성한다. 1970년대 아셴베르크에 새로운 시가지가 조성되었고, 2005년에는 문화·회의 센터인 "에스페란토"가 완공되는 등 도시 재개발도 진행 중이다.
풀다의 지명 유래는 명확하지 않으나, '들판의 강'을 의미하는 고대 고지 독일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750년경부터 ''Uulta'', ''Uulthaha'', ''Fulda'' 등 다양한 표기로 기록되었으며, 인도-게르만어 어원과의 관련성도 추측된다.
3. 1. 위치
풀다 시는 독일 중앙부 근처 헤센주에 위치해 있다. 바이에른주와의 주 경계는 남남동쪽으로 15km, 튀링겐주와의 주 경계는 동쪽으로 25km 떨어져 있다. 이 도시는 풀다강 상류 지역, 북쪽의 풀다-하나우 고원과 동쪽의 뢰네 산지, 서쪽의 포겔스베르크 산지에 둘러싸인 풀다 분지에 위치한다. 시 중심부의 고도는 261.5m이다.[18] 풀다는 라인-마인 동부 지역에 포함된다.가장 가까운 대도시는 모두 100km 이상 떨어져 있다. 남동쪽으로 104km 거리에 프랑크푸르트암마인, 남동쪽으로 110km 거리에 뷔르츠부르크, 북동쪽으로 168km 거리에 에르푸르트, 북쪽으로 106km 거리에 카셀이 있다.
3. 2. 기후
풀다는 중앙유럽에 위치하여 냉랭한 기후대에 속한다. 겨울은 1월 평균 기온이 0.6°C로 춥고, 여름은 7월 평균 기온이 17.7°C로 서늘하다. 하지만 여름에는 30°C를 넘는 더위가 찾아오기도 한다. 1963년 1월 17일 풀다에서는 헤센주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사는 마을에서 -27.5°C의 최저 기온 기록이 관측되었다.[21]
3. 3. 구성
풀다는 동쪽에서 남동쪽에 걸쳐 페터스베르크(헤센주), 퀴첼, 아이헨첼과 접하고 있으며, 이 3개 마을과 함께 약 10만 6천 명의 인구를 가진 통합된 도시권을 형성하고 있다. 이 외에도 그로센뤼더, 튈른펠트, 노이호프(풀다군), 슐리츠(포겔스베르크군)와도 접한다.풀다에는 중핵시가지 외에 다음과 같은 24개의 시가지가 포함된다.
시가지 | 인구 (명) | 시가지 | 인구 (명) |
---|---|---|---|
베른하르츠 | 499 | 레넬츠 | 1,683 |
베스게스 | 120 | 뤼더뮌트 | 235 |
브론츠엘 (치겔 포함) | 1,422 | 마르바첼 (트레츠호프 포함) | 1,740 |
디터스한 | 743 | 마르케스 | 163 |
에델첼 | 2,325 | 미텔로데 | 357 |
그라이저첼 | 1,139 | 니더로데 | 293 |
하임바흐 | 2,088 | 니지히 | 1,755 |
할멜츠 | 1,001 | 오버로데 | 519 |
이스타기젤 (니더레더・헤에 포함) | 375 | 로트게스 | 214 |
요하네스베르크 | 757 | 지켈스 | 1,121 |
켐멜첼 | 847 | 첼 | 270 |
콜하우스 | 1,097 | 질켄바흐 | 438 |
: 인구: 2017년 12월 31일 현재[19]
풀다 중핵시가지는 11개의 통계구역으로 더 세분화되지만, 이들은 독자적인 시가지를 형성하지 않는다.
구역 | 인구 (명) |
---|---|
아셴베르크 | 8,561 |
프라우엔베르크 | 2,829 |
풀다-갈레리 | 2,275 |
호라스 | 1,579 |
이넨슈타트 (내시가지) | 7,504 |
노르트엔트 | 4,687 |
오스트엔트 | 4,594 |
쥐트엔트 | 5,105 |
베스트엔트 | 4,212 |
치어스 노르트 | 2,110 |
치어스 쥐트 | 3,778 |
: 인구: 2017년 12월 31일 현재[19]
풀다시는 헤센주의 지역 재편에 따라 1972년 8월 1일 현재 시구(市区)가 된 상술한 24개의 주변 마을을 합병하여 확장되었지만, 1974년 7월 1일 군 독립시의 지위를 상실했다.[20] 이 때문에 인구 5만 명 이상의 헤센주 도시 6개 시와 함께 좀더슈타트슈타트(Sonderstatusstadt)가 되었다. 이것은 다른 군 소속시보다 많은 책임과 권리를 가지지만, 군 독립시보다 작은 지위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4. 정치
풀다는 전통적으로 보수적인 가톨릭 도시로, 독일 제국과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는 중앙당이 강세를 보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CDU가 헤세주 의회와 연방의회 (풀다 선거구)에서 꾸준히 의석을 차지하고 있다. 1946년 이후 지방 선거에서 CDU는 42.4% 미만의 득표율을 기록한 적이 없다.[13]
전후 풀다 출신의 가장 유명한 정치인으로는 14년간 풀다 시장을 역임하고 26년간 풀다 선거구 출신 연방의원을 지낸 알프레드 드레거가 있으며, 그는 CDU/CSU 연합 의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역대 헤센주 의회 의원 (CDU)[13]
기간 | 이름 | 비고 |
---|---|---|
1946년 ~ 1962년 | 쿠노 라아베 | 1946년, 1950년, 1954년, 1958년 선출 |
1962년 ~ 1972년 | 알프레드 드레거 | 1962년, 1966년, 1970년 선출, 연방의회 의원직 수락으로 사임 |
1972년 ~ 1999년 | 빈프리드 리퍼트 | 1972년 임명, 1974년, 1978년, 1982년, 1983년, 1987년, 1991년, 1995년 선출 |
1999년 ~ 2004년, 2009년 ~ 2018년 | 발터 아놀드 | 1999년, 2003년 선출; 2004년 사임; 2009년, 2013년 선출 |
2004년 ~ 2009년 | 마가레테 치글러-라슈도르프 | 2004년 임명, 2008년 선출 |
2018년 ~ 현재 | 토마스 헤링 | 2018년 선출 |
기간 | 이름 | 비고 |
---|---|---|
1949년 ~ 1957년 | 안톤 사벨 | 1949년, 1953년 선출 |
1957년 ~ 1976년 | 헤르만 괴츠 | 1957년, 1961년, 1965년, 1969년, 1972년 선출 |
1976년 ~ 1998년 | 알프레드 드레거 | 1976년, 1980년, 1983년, 1987년, 1990년, 1994년 선출 |
1998년 ~ 2005년 | 마르틴 호만 | 1998년, 2002년 선출; 반유대주의적 발언으로 2003년 CDU에서 제명 |
2005년 ~ 현재 | 미하엘 브란트 | 2005년, 2009년, 2013년, 2017년, 2021년 선출 |
풀다는 구(区) 법원의 소재지이며, 주(州) 변호사회 지방법원 관할구역의 하나인 본부 소재지이다.
4. 1. 시의회
독일 제국과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 풀다는 중앙당의 핵심 지역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풀다의 시장 및 풀다 선거구 의석은 CDU가 헤세주 의회와 연방의회에서 안정적으로 확보해 왔다. 1946년 이후 지방 선거에서 CDU는 42.4% 미만의 득표율을 기록한 적이 없다.[13]2016년 시의회 선거 이후 풀다에서는 CDU와 CWE(Christliche Wähler-Einheit, 기독교 유권자 연합)가 연대하고 있다. 풀다 시의회는 59석으로 구성되어 있다.[47]
4. 2. 시장
풀다는 전통적으로 보수적인 가톨릭 도시로, 독일 제국과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는 중앙당의 핵심 지역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풀다의 시장 선거와 헤세주 의회, 연방의회 (풀다 선거구) 의석은 CDU이 차지해왔다.[13] 1946년 이후 지방 선거에서 CDU는 42.4% 미만의 득표율을 기록한 적이 없다.[13]2016년 시의회 선거 이후 풀다에서는 CDU와 CWE (Christliche Wähler-Einheit)가 연대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풀다의 상급 시장(오베르뷔르거마이스터)은 다음과 같다.[13]
기간 | 이름 | 정당 |
---|---|---|
1945년 - 1946년 | 에리히 슈미트 (Erich Schmidt) | (미국 점령군 지명) |
1946년 - 1956년 | 쿠노 라베 (Kuno Labe) | CDU |
1956년 - 1970년 | 알프레드 드레거 (Alfred Dregger) | CDU |
1970년 - 1998년 | 볼프강 함베르거 (Wolfgang Hamberger) | CDU |
1998년 - 2003년 | 아로이스 리어 (Alois Rhiel) | CDU |
2003년 - 2015년 | 게르하르트 멜러 (Gerhard Möller) | CDU |
2015년 - 현재 | 하이코 빙겐펠트 (Heiko Wingenfeld) | CDU |
2015년부터 하이코 빙겐펠트(CDU)가 풀다 시의 상급 시장을 역임하고 있다. 그는 2015년 3월 15일 득표율 66.6%로 당선되었다. (투표율 33.3%)[48]
마기스트라트(Magistrat)는 상급 시장, 시장(일반적인 도시의 부시장에 해당), 전문직 도시 건축 감독관, 그리고 11명의 명예직 시의원으로 구성된다. 2019년 현재 명예직 시의원은 CDU 5명, SPD, Grüne, CWE, FDP, Die Linke, REP 각 1명씩이다.[49]
4. 3. 자매 도시
풀다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15][51][52]국가 | 도시 | 주(州) / 지역 | 체결년도 |
---|---|---|---|
이탈리아 | 코모 | 롬바르디아주 | 1960년 |
프랑스 | 아를 | 부슈뒤론주 | 1964년 |
러시아 | 세르기예프 포사드 | 모스크바주 | 1991년 |
미국 | 윌밍턴 (델라웨어주) | 델라웨어주 | 1997년 |
체코 | 리토메리체 | 우스티주 | 2001년 |
네덜란드 | Dokkum|도쿰nl | 프리슬란트주 | 2013년 |
영국 | Crediton|크레디턴영어 | 데번주 | 해당사항 없음 |
독일 | 바이마르 | 튀링겐주 | 해당사항 없음 |
풀다 시는 다음과 같은 도시 및 기관과 자매결연 또는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53][54]
대상 | 종류 | 지역/기관 | 체결년도 |
---|---|---|---|
글로구벡(Głogówek) | 도시 | 폴란드 오폴레주 | 1955년 |
리토미쉴리체(Litoměřice) | 도시 | 체코 우스트주 | 1961년 |
보잉 737-300 D-ABXP "풀다" | 항공기 | 루프트한자 | 1988년 |
소해정 "풀다" | 군함 | 독일 해군 | 1997년 |
인터시티익스프레스(ICE) "풀다" | 고속열차 | 도이체반 | 2001년 |
글라이더 ASW 28 D-KANZ ("슈타트-풀다") | 글라이더 | 요하니사우 글라이더 비행장 | 2007년 |
에어버스 A320-214 D-AIZF "풀다" | 항공기 | 루프트한자 | 2014년 |
기관차 193 477 "풀다" | 기관차 | SBB 카고 인터내셔널 | 2018년 |
5. 경제
풀다는 신성로마제국 시대에 주교령 내 작은 영토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당시 경제는 엄격한 길드 조직에 의존했다.[74] 프랑크푸르트암마인-라이프치히를 잇는 옛 교역로에 위치한 것은 중요한 경제적 요인이었다.[75] 나폴레옹 전쟁과 세속화 이후, 민주주의와 자유주의화는 경제적 문제를 야기했다. 1852년 산업 통계에 따르면, 풀다에는 다양한 직업군의 사람들이 있었으며, 특히 구두장이, 정육점 주인, 재봉사 등이 많았다.[76]
직업 | 인원 |
---|---|
구두장이 | 92 |
정육점 주인 | 43 |
재봉사 | 35 |
린넨 직조공 | 34 |
가구장이 | 27 |
제빵사 | 25 |
자물쇠장이 | 19 |
향신료 판매상 | 91 |
직물 판매상 | 20 |
철제품 판매상 | 3 |
장신구 판매상 | 4 |
식품 판매상 | 25 |
기타 상인 | 56 |
운송업자 | 38 |
음악가 | 40 |
여관 주인 | 8 |
상류층을 위한 여관 주인 | 5 |
레스토랑 주인 | 2 |
주점 주인 | 86 |
1866년 프랑크푸르트-베브라 철도 연결은 풀다의 경제 구조에 변화를 가져왔다.[75] 초기에는 섬유 산업이 주를 이루었으며, 발렌타인 멜러는 후일 멜러 AG를 설립했고, 그 제품은 수출도 되었다.[77] 19세기 후반에는 에나멜 제품 제조업체인 베링거사가 풀다 최대 고용주였다.[77]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군수품 생산으로 고용이 증가했지만, 1923년 초인플레이션과 세계 대공황으로 어려움을 겪었다.[79] 나치당의 집권 이후에는 유대인 사업가에 대한 탄압이 시작되었다.[80]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많은 기업이 전시 경제로 전환되었고, 러시아와 폴란드에서 온 강제 노동자들이 투입되었다.[80]
전후 독일의 경제 발전은 풀다에도 영향을 미쳤다. 독일 재통일 이후 풀다는 다시 독일 중앙에 위치하게 되었으며, 이는 새로운 시장과 경쟁이라는 기회와 위험을 동시에 가져왔다.[80] 현재 풀다에는 메라 AG와 필트 그룹을 비롯한 여러 방적 산업 기업들이 있다. 이 지역 또는 지역을 넘어 유명한 다른 제조업체로는 풀다 라이펜(옛 풀다 고무 공장)이 있다.[81]
보건·의료 분야에는 프레제니우스 SE & Co.에 속한 헬리오스 클리닉이 있었다.[81] 클리니쿰 풀다[82]는 마르부르크 필립스 대학교 및 풀다 응용과학대학교의 임상 교육 병원 중 하나이다.
5. 1. 산업
풀다는 신성로마제국 시대에 주교령 내 작은 영토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당시 경제는 엄격한 길드 조직에 의존했다.[74] 풀다는 주교령 영주의 토지 행정을 통해 주변 농촌 지역의 상위 중심지 역할을 했다. 이 도시에는 무두장이, 정련방적, 면직물 직조, 다마스크 직조 및 삼베 직물 공장, 플러시 공장, 펠트 공장, 양초 공장, 모직물 공장, 초석 공장, 관악기 공장 등 많은 장인들이 있었다.프랑크푸르트암마인-라이프치히를 잇는 옛 교역로에 위치한 것은 중요한 경제적 요인이었다.[75]
나폴레옹 전쟁과 세속화로 1802년부터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었다. 민주주의와 자유주의화는 궁정 기능과 여러 정치적 부수 기능 상실로 이어졌다. 주도의 지위를 얻고 고위 관리를 맞이했지만, 19세기 전반의 궁정 상실에 따른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이 도시 경제는 지방 수요만으로는 상품과 서비스 공급 과잉에 빠졌다. 1802년에 약 7,000명, 50년 후에는 8,900명까지 인구가 증가했지만, 1847년에는 구두 장인이 130명, 대장장이가 53명이나 있었다.[74]
직업 | 인원 |
---|---|
구두장이 | 92 |
정육점 주인 | 43 |
재봉사 | 35 |
린넨 직조공 | 34 |
가구장이 | 27 |
제빵사 | 25 |
자물쇠장이 | 19 |
향신료 판매상 | 91 |
직물 판매상 | 20 |
철제품 판매상 | 3 |
장신구 판매상 | 4 |
식품 판매상 | 25 |
기타 상인 | 56 |
운송업자 | 38 |
음악가 | 40 |
여관 주인 | 8 |
상류층을 위한 여관 주인 | 5 |
레스토랑 주인 | 2 |
주점 주인 | 86 |
지역 시장의 공간적 제약으로 수공업에서 공업 생산으로의 이행은 더뎠다. 1852년 산업 통계는 풀다에서 약 600명의 마이스터 장인과 거의 같은 수의 순회 장인, 총 234명의 상인과 51명의 기타 종사자를 보여준다. 총 214명(그 중 절반은 여성)이 독립적인 수공업에 종사했다. 하인 계층에는 636명의 쿠네히트, 하녀, 가사 도우미가 있었고, 그중 527명이 여성이었다.[75]
이 통계에서 수공업자 중 14곳이 "Fabrik"(공장)으로 기록되었다. 그중 1822년에 설립된 요한 하인리히 슈미트의 린넨 직조 공장이 최대 고용주였으며, 284대의 직기로 456명이 일했고, 그중 60명이 14세 미만이었다. 또 다른 대규모 고용주는 정신병원의 "빈곤자 구제 수공업소"였다. 여기서는 바느질과 직조가 이루어졌고, 350명이 일했다. 종업원 수 135명인 회사가 1곳, 50명인 회사가 1곳 있었다. 다른 8개 회사는 종업원 수가 20명 미만이었다. 총 900명의 공업 노동자 중 800명이 섬유 산업에 종사했다.[75]
1866년 프랑크푸르트-베브라 철도가 연결되면서 공업 도시 프랑크푸르트와 카셀이 연결되어 풀다의 경제 구조에 변화가 생겼다. 시의회가 헤센 선제후에게 시와 주민들의 빈곤 확대를 막을 필요성을 호소하여 철도가 풀다를 경유하게 되었다. 그 후 경제적 번영이 일어났다.[75] 이 도시는 시벽으로 제한된 중세 지역을 넘어 확장되었다. 공업용지를 포함한 도시의 최초 확장은 우니베르지테츠 광장과 역사 사이, 병영 주변 지역(현재 단과대학 부지)에서 일어났다.[77]
초기 기업가들은 수공업을 확장한 지역 주민들이었다. 초기에는 주로 섬유 산업에 종사했다. 발렌타인 멜러는 후일 멜러 AG를 설립했고, 그 제품은 수출도 되었다. 현재의 프리츠파브리크는 1888년 플러시 직조 공장으로 설립되었다. 약 12개의 섬유 업체가 설립되었고, 그중에는 3자릿수의 종업원 수를 가진 회사도 있었다. 1852년 최대 고용주였던 요한 하인리히 슈미트는 기계 직조로 전환하지 않았고, 회사는 1885년 매각되었다.[77]
다른 분야에서 공업 생산 규모의 회사는 거의 없었다. 1867년에 설립된 에나멜 제품 제조업체인 베링거사는 20세기 전반에 풀다 최대 고용주였다. 1863년에는 주석 세공사 가정에서 현재도 존속하고 있는 금속 제품 공장인 바이젠제가 설립되었다.[77] 풀다의 주요 제조업은 밀랍 제품이었다. 아이카, 기스 켈체, 베르타, 뤼프잠(1886년 창업, 1900년 당시 60명의 종업원을 거느렸다)이 그 업체들이었다. 요한 페르디난트 뮐러는 궁정 자물쇠 장인이었고, 1864년 풀다에서 최초의 기계 공장 및 주철 공장을 설립했지만, 1886년에 폐쇄되었다. 지역 대장장이에 의해 설립된 기계 공장이 바로 파울 카일이었다.[78]
19세기 후반에는 중심부 이외의 지역에서도 기업 설립이 시작되었다. 그 설립자는 이전부터의 지역 주민이 아니라 다른 곳에서 이주해 온 기업도 있었다. 풀다 상인 가정 출신인 막스 슈테른과 에마누엘 슈테른 형제는 1892년에 페인트 공장을 설립했다. 이 회사는 로디우스를 거쳐 테크노스 그룹 산하가 되었다. 1874년 이후 아른슈타트 등지에서 설립한 회사들이 이 도시로 이전했다. 20세기 초 직전에는 기계 제조업체, 담배 제조업체, 현재 존재하는 베어링 공장의 전신이 되는 건물도 설립되었다.[78]
세기말 무렵, 회사 설립은 높은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경영학적 고려를 필요로 하는 새로운 단계에 접어들었다. 그 한 예가 풀다 라이펜(고무 공장)이다. 게른하우젠 출신의 기술자 구스타프 베커와 렘샤이트 출신의 투자자 모리츠 하젠크뢰퍼는 새로운 회사의 설립지로 풀다를 선택했다. 그 이유는 철도 접근성이 좋고 이 지역의 임금이 낮았기 때문이다.[79] 이 고무 공장의 종업원 수는 1901년 15명에서 제1차 세계 대전 전에는 300명을 넘는 수준으로 증가했다. 목공 기계를 전문으로 하는 기계 제조업체인 클라인 & 슈티펠사도 이 시대에 이미 존재하던 5개의 기계 제조업체에 더해 설립되었다.[79]
풀다의 발전은 자동차 수리 공장(1866년), 가스 공장(1863년), 발전소(1912년)에 의해서도 촉진되었다. 공공 상수도는 1892년부터 건설되었고, 1903년부터 하수도가 설치되었다. 1904년에 최초의 산업 박람회가 개최되었다.[79]
제1차 세계 대전 전의 발전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인구는 1852년 8,900명에서 23,226명으로 증가했다.
- 1913년 주소록에는 57개의 공장이 기록되어 있다.
- 1914년에는 12개의 방적 공장에 1,450명이 일했다.
- 베링거 에나멜 공장에서만 1,200명이 일했다.
- 5개의 기계 공장에서 400명이 일했다.
- 5개의 밀랍 제품 공장의 종업원 수는 소수였다.
공장 노동자는 총 약 4,000명이었다. 방적업자는 급속히 중요성을 잃어갔다. 1880년에는 300개의 업체가 있었지만, 1914년에는 겨우 12개 업체로 줄어들었다.[79]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산업 구조가 근본적으로 변화했다. 필츠사 등 일부 기업은 일시적으로 문을 닫아야 했고, 많은 대기업(예: 베링거, 메러, 고무 공장)은 수류탄, 군복 등의 군수품을 생산해야 했다. 이로 인해 풀다의 고용 인구는 증가했다. 1920년대 초반 짧은 호황 이후, 1923년 초인플레이션과 세계 대공황의 결과로 1920년대 말 풀다의 산업도 지속적인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섰다. 1927년부터 1932년 사이에 노동자 수는 9,355명에서 6,960명으로 26%나 감소했다. 생활 보조금 수혜자 수는 1929년 1월 1일 513명에서 1930년 1월 1일 855명, 1932년 12월 31일에는 인구의 6%에 해당하는 1,694명으로 증가했다.[79]
하지만 상황은 다른 도시나 공업 지역보다 안정적이었다. 일부 중소기업과 두 곳의 방직업체는 영업을 중단해야 했지만, 대규모 공장은 경제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도산하지 않았다.[79]
나치당의 집권 이후, 가톨릭 조직 구조와 풀다 지역의 중앙당 세력 때문에 다른 도시보다 느렸지만 변화가 찾아왔고, 특히 유대인 사업가에 대한 탄압이 시작되었다. 가장 유명한 예는 메러사의 대주주이자 회장으로 1938년 독일 탈출 중 사망한 아르투르 카이저였다. 그는 1933년 모자용 직물 공장주인 샐리 크레베와 슈바프스 신발 판매업자 에밀 카안과 함께 풀다 상공회의소에서의 지위를 포기해야 했다. 1933년 유대인 출신 소유주가 운영하는 회의소에 속한 200개 기업 중 거의 대부분이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전까지 아리아화되었다.[80]
1930년대의 현저한 실업률 감소를 수반한 레이프 계획에 의한 호황에 대해서는 이 조치가 우선 전쟁 준비에 기여했다는 사실을 숨겨서는 안 된다.[80]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많은 기업은 다시 전시 경제로 전환해야 했다. 많은 노동자가 징병되었기 때문에 전반적인 원자재와 노동력 부족이 만연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주로 러시아와 폴란드에서 온 강제 노동자들이 공업, 수공업, 공공 기관 및 농업 노동에 투입되었다.[80]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풀다는 오랫동안 공습을 거의 받지 않았다. 생산품이 군사적으로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었다. 1944년 7월 20일부터 1945년 3월 25일 사이에 대규모 공격 4회와 많은 소규모 공격이 있었고, 풀다 라이펜, 베링거, 베르타, 철도 수리 공장, 기계 공장 뤼프삼과 바이젠제가 큰 피해를 입었다. 비극적인 것은 메러사에 대한 공격으로, 직원들을 위한 대피소로 확장된 크레츠바흐 터널 입구에 폭격이 명중했다. 풀다의 공습 사망자 1,600명 중 700명이 이 공격으로 사망했다. 이 중 350명은 강제 노동자였다.[80]
1945년 4월 1일, 미군이 풀다에 진주하여 나치즘으로부터 해방된 후, 우선 인프라를 복구해야 했다. 20만 m³의 잔해 제거 외에도 가스와 전력 공급 복구가 우선되었다. 난민을 수용하기 위해 1950년대까지 주택과 학교 건설이 이루어졌다.[80]
1946년 풀다의 사업 등록부에는 70개의 공업 기업과 총 331명의 종업원이 등록되어 있다. 1947년에는 등록된 회사 1,442개에 16,000명이 일하고 있었다. 이 중 324개 회사는 종업원이 기업 소유주뿐이었고, 나머지 780개 회사는 종업원 수가 5명 이하였으며, 50명 이상을 고용하는 대기업 33개 중에서 약 1,200명을 거느린 메일러사가 가장 큰 회사였다. 베링거사는 480명, 전쟁으로 완전히 파괴된 고무 공장은 곧 재건되어 650명을 고용하고 있었다.[80]
이후 수십 년 동안은 국경 지역에 위치한 풀다의 입지가 특징으로 자리 잡았다. 교통은 불편해진 반면, 국경 육성 정책에 따라 기업들이 새롭게 정착해갔다. 소련 점령 지역에서 추방된 기업가 중에는 풀다에 후계 기업을 설립한 사람도 있었다. 예를 들어 요프하임, 바그너 & Co 자동차 부품, 리폼 기계 공장, 라벤자이프너 등이다. 1948년에는 마그데부르크 화재 보험 회사가 본사를 풀다로 이전했다.[80]
전후 독일의 급격한 경제 발전은 풀다에도 몇몇 기업을 불러들였다. 듀라 투프팅 GmbH(1955년 설립, 1967년 종업원 수 861명)나 1970년부터 이 도시의 두 번째 공장에서 생산을 시작한 아돌프 야스 제지 공장 등이다. 풀다에서는 소형차 풀다모빌도 개발되어 일부 생산이 이루어졌다. 경제 성장기에 따른 노동 시장의 영향으로 사실상 완전 고용이 실현되었다. 1968년, 이 도시에는 풀다 군을 포함하여 928명의 공석과 427명의 실업자가 있었다.[80]
1973년 석유 파동과 그에 따른 경제 위기는 풀다의 전통 있는 많은 기업, 특히 방직 부문을 생산 중단으로 몰아넣었다. 1970년대부터 1980년대에 걸쳐 새로운 생산 방식으로의 전환이나 새로운 제품으로의 변경이 이루어졌지만, 그 어느 때보다도 가속화되는 적응 압력에 따라가지 못한 많은, 대부분 자본력이 취약한 중소기업들이 폐업했다.[80]
독일 재통일 이후 풀다는 다시 교통이 편리한 독일 중앙에 위치하게 되었다. 이는 새로운 시장이라는 기회와 비교적 가까운 동유럽 국가들의 경쟁이라는 큰 위험을 동시에 가져왔다. 제조업 구조 변화는 1971년부터 2003년까지 기업 수가 166개에서 171개로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고용 인원은 21,700명에서 19,044명으로 감소했다.[80] 같은 기간 방직업 종사자는 9,000명 이상에서 1,900명으로 감소했다.[81]
기계 제조업, 식품 산업, 화학 공업, 자동차 제조업 (Edag 등), 전자 기술 산업 (R+S 솔루션 홀딩 등) 분야에서는 고용 인원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서비스업과 회의 도시로서 풀다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81]
라인-마인 지역과 가까운 것은 풀다에게 유리한 점이다. ICE와 지역 철도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풀다에게 라인-마인 지역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풀다의 통근자들은 대부분 라인-마인 지역이나 프랑켄 지역의 뷔르츠부르크에서 일하고 있으며, 카셀 방면으로 통근하는 사람은 적다.
풀다에는 메라 AG와 필트 그룹을 비롯한 여러 방적 산업 기업들이 있다. 펠트 제조업체인 필츠파브리크 풀다와 카펫 제조업체인 두라 로우프팅도 여기에 포함된다.
이 지역 또는 지역을 넘어 유명한 다른 제조업체로는 풀다 라이펜(옛 풀다 고무 공장)이 있다. 또한 풀다에는 식료품 판매업체 테구트와 제지업체 아돌프 야스 GmbH & Co. KG의 본사가 있으며, 계량·계측 기술 분야에는 JUMO GmbH & Co. KG가 있다. EDAG GmbH & Co. KGaA는 자동차 차체 및 생산 라인을 개발하고 있다(예: 스마트 개발 등).
보건·의료 분야에는 프레제니우스 SE & Co.에 속한 헬리오스 클리닉이 있었다. 이 그룹의 본사는 이전에는 풀다에 있었지만, 2007년 초 베를린으로 이전했다. 인력 서비스 업체 아데코의 독일 센터도 2006년 12월 풀다에서 뒤셀도르프로 이전했다.
최대 에너지 공급업체이자 지역 교통 운영업체는 라인 에너지 풀다(옛 뤼버란트베르크 풀다 AG 및 풀다 가스 및 수도 공급 GmbH)이다.
클리니쿰 풀다[82]는 1976년 2월 23일에 현재의 형태를 갖추었다. 이 병원은 풀다에서 최초의 세속 영주인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오라니엔=나사우가 1805년 설립 문서에 서명하여 현대적인 병원 건설의 선구자 역할을 했다. 이 병원은 마르부르크 필립스 대학교 및 풀다 응용과학대학교의 임상 교육 병원 중 하나이다. 이 병원은 28개의 진료과를 보유하고 있으며, 인구 50만 명에 해당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2,500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클리니쿰 풀다는 2004년부터 풀다 시가 운영하는 공익 법인(gAG)이다. 또한 1984년 ADAC 항공 구조대의 헬리콥터 "크리스토프 28"이 풀다에 배치되어 활용되고 있다.
- 헤르츠=예주스 병원(성심병원)
- 성 엘리자베트 클리닉
- 닥터 알=하미 척추센터
- 달베르크 클리닉
5. 2. 교통

풀다 역은 독일 철도망의 지역 및 장거리 교통 간의 교통 중심지이자 환승 지점이며, 독일 철도에 의해 2등급 역으로 분류된다.[14] 이 역은 하노버-뷔르츠부르크 고속철도에 위치하며, 풀다 북쪽의 베브라-풀다선과 남쪽의 킨치크 계곡 철도 및 풀다-마인 철도를 포함하는 북-남 노선, 서쪽의 포겔스베르크 산자락과 연결되는 포겔스베르크 철도, 그리고 동쪽의 뢰온 산맥에 있는 게어스펠트로 향하는 풀다-게어스펠트 철도(뢰온 철도)가 있다.
풀다는 분데스아우토반 7호선(BAB 7)에 위치한다. 분데스아우토반 66호선은 BAB 7과의 분기점에서 시작하여 남쪽으로 프랑크푸르트를 향하고 있다. 풀다는 분데스슈트라세 27호선에도 위치한다.
풀다는 독일 중앙부에 위치하여 도로 교통과 철도 교통 모두 독일 전역으로 뻗어나가는 광대하고 현대적인 노선망에 편리하게 연결된다. 이 도시는 연방 아우토반 A7호선(뷔르츠부르크 - 카셀)에 접해 있으며, 총 3개의 인터체인지가 시내에서 접근 가능하다. 또한 풀다 남부는 연방 아우토반 A66호선을 통해 노이호프 터널을 지나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과 라인-마인 지역과 연결된다. 철도의 경우, 풀다 역은 독일 중부의 철도 환승역이며, ICE 정차역이기도 하다. 이 역은 독일 철도역 카테고리에서 두 번째로 높은 등급에 속한다.
이 도시는 뢰네 지역과 포겔스베르크 지역으로 가는 버스의 출발지이다. 풀다역 앞 중앙 버스 터미널(ZOB)은 지역 버스 노선의 중심적인 환승 지점이다. 시내 대중교통은 풀다 중앙 버스 정류장 "슈타트슈로스"에서 뢰네 에너지 풀다의 노선이 운행된다.

풀다 역은 ICE 정차역이며, 하노버-뷔르츠부르크 고속선이 지나가는 중요한 환승역이다. 킨치히탈 철도, 풀다 - 베브라 선이 교차하며, 프랑크푸르트암마인, 카셀, 에르푸르트, 뷔르츠부르크 방면 노선이 연결된다. 지역 철도인 포겔스베르크 철도와 레네 철도는 포겔스베르크 산맥을 넘어 기센으로, 그리고 레네 산맥의 게어스펠트로 향한다.

풀다 시의 도로망 총 연장은 330700km에 달한다.
종류 | 길이 |
---|---|
시도 | 277679km |
군도 | 12276km |
주도 | 32909km |
연방도 | 7836km |
'''역사적 도로'''
풀다는 다음과 같은 역사적인 도로들이 교차하는 지점이었다.
- 비아 레기아: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에서 라이프치히로 이어지는 옛 왕의 길이자, 야고보 순례길이기도 했다.
- 안토사비아: 마인츠에서 튀링겐으로 이어지는 교역로
- 오르테스베크: 베테라우에서 함멜부르크 방면
'''연방 고속도로(아우토반)'''
- A7호선: 퓌센 - 울름 - 뷔르츠부르크 - 풀다 - 카셀 - 함부르크
- A66호선: 비스바덴 -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 하나우 - 풀다
- 풀다 분기점: A7호선과 A66호선의 분기점
- A7호선 인터체인지: Nr. 91 풀다 북부, Nr. 92 풀다 중앙
- A66호선 인터체인지: Nr. 53 풀다 남부
- 계획되었으나 건설되지 않은 아우토반 46호선
'''연방도'''
'''터널'''
- 바이마를러슈트라세 터널: 풀다는 헤센주에서 세 번째로 넓은 보행자 전용 구역을 가지고 있다. 2008년 2300만유로를 들여 서쪽 우회도로가 건설되었다. 이 도로는 시내 중심부, 특히 프랑크푸르터슈트라세의 교통량을 줄이고, 직접 이 도로와 연결되어 있다.
'''자전거 도로'''
다음과 같은 자전거 도로들이 시내를 통과한다.
- 바인라트베크 헤센: 하나우에서 출발하는 옛 철도 노선을 따라 이어지는 약 250km 길이의 자전거 도로로, 포겔스베르크 산지와 르네 산지를 지난다.[83]
- D-루트 9(베저-로만틱 가도): 북해에서 브레멘, 카셀, 풀다, 타우버탈을 거쳐 알고이의 퓌센까지 (1,197km)[84]
- 헤센 광역 자전거 도로 R1호선(풀다 자전거 도로): 르네 산지 고지대에서 풀다 강을 따라 베저 강변의 바트 카를스하펜까지 (250km)[85]
- 헤센 광역 자전거 도로 R2호선(4강 투어): 비덴코프를 기점으로 라인 강, 라우터 강, 뤼더 강, 풀다 강의 계곡을 지나 슈페사르트 산지의 진타르까지 (202km)[86]
- 헤센 광역 자전거 도로 R3호선: 라인-마인-킨치히 자전거 도로로 뤼데스하임 암 라인에서 르네 산지의 탄까지 연결한다.[87]
- 지역 테마 루트 "기프펠투어"는 르네 산지의 바사쿠페와 포겔스베르크 산지의 호어로츠코프프를 연결한다.[88]
6. 문화
풀다는 다양한 문화 행사를 제공한다.
1764년 프랑크푸르트와 풀다 사이의 도로가 주교 영주 하인리히 폰 비플라의 지시에 따라 헤센 최초의 간선 도로로 확장되었다.[40]
1980년 11월 17일부터 18일까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성당 광장에서 야외 미사에 참석했다.[45]
1984년 9월 29일, 풀다에서 대규모 평화 시위가 열려 동서 군사 정책에 반대하는 약 3만 명의 평화 운동 참가자들이 모였다. 1989년 11월 9일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동서독 국경이 개방되자 하루에 수천 명의 동독 주민들이 이 바로크 도시를 방문했다.
1990년 제30회 "헤센의 날"이 풀다에서 개최되었다. 1994년 풀다는 창설 1250주년을 기념하고 제1회 "헤센 주 정원 박람회"를 개최했으며, 2002년에는 "풀다 주교구 250주년"을 기념했다.
2004년 성 보니파티우스 서거 1250주년을 기념하여 풀다 성곽 극장에서 "보니파티우스 - 더 뮤지컬"이 세계 초연되었다.
2019년은 네 가지 기념일이 겹치는 해였다. 744년 3월 12일 슈투르미우스가 7명의 협력자와 함께 풀다 수도원을 창건하여 동헤센 전역에 사람들이 정착하는 기반을 마련한 지 1275년이 되었고, 1200년 전 라트가르 바실리카 건설, 819년 11월 1일 마인츠 대주교 하이스트루프에 의한 라트가르 바실리카 봉헌, 1100년 전 풀다 대성당에서 있었던 독일 왕 콘라트 1세의 장례식, 1000년 전인 1019년 7월 1일 황제 하인리히 2세에 의한 시장 개설권과 주화 주조권 수여는 풀다 역사의 획기적인 사건으로, 2019년에 기념 행사가 열렸다.[46] 시 기념제 기간 동안 대성당 앞 거대한 무대에서 "보니파티우스 - 다스 뮤지컬"의 7가지 새로운 연출이 공연되었고, 3만 5천 명이 관람했다.
- 출판
1874년 1월 1일부터 파르첼러 출판사에서 풀다 차이퉁(Fulder Zeitung)을 발행하고 있으며, 이 출판사는 고향 역사 관련 서적도 출판한다. 1974년 경쟁지였던 풀다 포크스차이퉁(Fulder Volkszeitung)은 발행을 중단했다.
안차이겐차이퉁 풀다는 풀다 시, 풀다군, 포겔스베르크군, 그리고 바르트부르크군 일부를 대상으로 발행되며, 각 가구에 11만 6천 부 이상 배포된다.
- 방송
헤센 방송은 풀다 라바누스 거리에 동헤센 대상 지역 스튜디오를, 민영 방송 히트 라디오 FFH는 프랑크푸르터 거리 파르첼러 하우스에 지역 스튜디오를 두고 있다.
“오페너 카날 풀다”는 케이블 텔레비전을 통해 방송된다.
2001년부터 메디엔콘트롤 풀다가 인터넷 지역 뉴스 포털 "Osthessen-News.de"를 운영하고 있다.
- 영화 촬영지
역사적인 구시가지와 바로크 건축물 지역은 독일 영화와 텔레비전 드라마 촬영지로 사용된다.
- 음악

풀다 성관극장은 슈타트슈로스(도시성관) 부속 건물로 690석 규모이며, 전속 극단은 없다. 2004년 6월 3일 "보니파티우스 - 다스 뮤지컬", 2011년 6월 3일 "디 페프스틴 - 다스 뮤지컬"이 초연되었다.
- 영화관
예술 영화를 상영하는 프로그램 영화관이 몇 군데 있으며, 질데크 센터의 시네스타 필름팔라스트는 풀다의 유일한 메인스트림 영화관이다.
- 박물관

- 독일 소방 박물관: 풀다-노이엔베르크에 위치하며 1,600m² 전시 공간에 독일 소방 역사를 전시한다.[61]
- 대성당 박물관: 예배 의식 의상과 유물, 은 제단, 18세기 제단 칸막이, 성 보니파티우스의 두개골과 그를 살해한 단검, 풀다 교구 성인 관련 성유물 등을 소장한다.[62]
- 블록플뢰테 체험 월드: 블록플뢰테 제조업체 콘라트 모렌하우어 GmbH의 체험 월드로, 악기 블록플뢰테 정보를 제공하며 관람객이 직접 연주할 수 있는 전시품도 있다.[63]
- 슈타트슐로스 페르디난트 브라운 컬렉션: 브라운관 발명가 페르디난트 브라운(1850년 - 1918년) 관련 전시가 마련되어 있다.
- 풀다 대학교·주립도서관 전시 컬렉션: 귀중한 서적을 전시실에서 순환 전시하며, 구텐베르크 성서도 포함된다.[64]
- 슈타트슐로스 역사적 공간: 원형에 가까운 역사적 공간과 예술 작품(그림, 회반죽, 도자기 등)을 관람할 수 있다.
- 요하네스베르거 공예품 컬렉션: 요하네스베르크 수도원 부지에 도구, 작업장, 창작·수리 기술, 길드 물품, 독일 최대 규모의 다양한 지역 역사적 목조 건축물 모형 컬렉션이 전시되어 있다.[65]
- 풀다 어린이 아카데미 - 벨크라움 박물관: 어린이를 위한 박물관으로, "통과할 수 있는 심장"이 중심 전시물이다.[66]
- 폰델라우 박물관: 향토 연구가 요제프 폰델라우의 이름을 땄으며, 선사 시대 유물, 풀다 주변 지역 켈트족 마을 유물, 플라네타륨이 있다.
- 건축물


- 1000년 이전 전로마네스크 양식의 성 미하엘 교회는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 중 하나이다(818년~822년 건축).
- 성 안드레아스 교회: 리우돌핑가(오토 왕조) 시대 암실은 알프스 북쪽에서 가장 오래된 벽화 중 하나이다.
- 풀다 성 살바토르 대성당은 도시의 상징적인 건축물로, 내부에 성 보니파티우스 묘소가 있다.
- 수석 사제관과 정원에는 비석 컬렉션이 있으며, 수석 사제관 일부는 대성당 박물관이다.
- 프라우엔베르크 수도원(1758년~1765년): 성 보니파티우스가 좋아했던 장소로 비숍스베르크(주교의 산)라는 이름이 붙었다. 1623년 3월 31일부터 현재까지 프란치스코회 수사들이 거주한다.
- 성 블라지우스 시 교구 교회: 1771년 낡은 교회 철거 후 바로크 교회 건설, 1785년 8월 17일 봉헌.
- 성령 교회: 13세기 고딕 교회가 있던 자리에 1729년~1733년 건설된 바로크 양식 교회.
- 제베리크 교회: 1438년~1445년 고딕 양식으로 건설.
- 베네딕트 수녀회 성 마리아 수도원: 1626년 풀다 시 중심부에 설립.
- 호라스의 성 보니파티우스 교회: 1885년 마르부르크 성 엘리자베트 교회를 모델로 건설.
- 요하네스베르크 수도원: 811년 최초 기록, 1500년경 후기 고딕 양식 건물, 1686년~1691년 바로크 양식 개축.

- 슈타트슈로스(도시 성곽): 14세기 초 건설된 수도원장 요새.
- 파사네리 성("아돌프제크"): 아이헨첼 마을에 위치한 과거 주교 영주, 헤센 선제후 여름 궁전(1730년~1757년 건설).


- 오랑주리와 플로라바제: 오랑주리는 1721년 막시밀리안 폰 벨슈 설계로 건설.[67]
- 풀다 대학교: 1734년 설립, 1805년 폐교.
- 구 시청사(1531년 외관 재건)
- 바로크 시가지 귀족 저택
- 파울루스 문: 1710년~1711년 건설, 1710년 요한 딘첸호퍼 설계, 1711년 현재 위치로 이동.
- 유대교 미크베
- 프란츠 에어하르트 발터 제작 길가 조각상
- 중세 도시 방어 시설 유적인 헥센탑(마녀의 탑)

- 정기 행사
- 풀다는 헤센주에서 가장 큰 사육제가 열리는 곳으로, 15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포아젯"은 풀다 카니발 협회를 중심으로 13개 카니발 클럽으로 구성된다. 장미의 월요일에는 헤센주 최대 전통 퍼레이드를 개최한다.
- 여름(4월~10월) 2주마다 야간 인라인 스케이트 체험 행사 개최.
- 2007년부터 매년 5월 말/6월 초 풀다 시내 약 6km 코스에서 "GWV 챌린지 레이스"(달리기, 노르딕 워킹) 개최.
- 1년에 한 번 여름 약 10일간 사격 및 시민 축제 개최(옥센비제).[69]
- 매년 9월 초 "풀다 마라톤" 개최.[70]
- 풀다 크리스마스 마켓은 역사적 구시가지에서 11월 말~12월 23일 개최.[71]

- 향토 음식
- 츠비벨슈프로츠는 풀다 전통 요리로, 금요일에 만들어 빵집에서 구웠으며, 감자 수프와 함께 제공된다. 풀다는 빵 종류가 풍부하며, 렌 산지 지방에서는 자가 도축(돼지, 소)이 널리 행해져 풀다어 슈발텐마겐, 플루어겐더(소시지) 등이 유명하다.
- 맥주: 라이프치거 거리 호호슈티프트리히셰스 브라우하우스 풀다(1848년 창업) 대표 제품은 "호호슈티프트 필스"이며, 브라우하우스 비젠미유레는 자연 탁주 제조에 특화, 유럽 최대 물레 보유.[72][73]
- 와인: 풀다는 문헌, 출토품으로 뒷받침되는 오래된 와인 제조 전통 보유.
- 스포츠 시설
풀다 시 스타디움 슈포르트파르크 요하니사우는 2만 명 이상 수용 가능.
- 스포츠 클럽
SC 볼리아 풀다 축구 클럽은 2017-2018 시즌 독일 5부 리그 헤센리가에서 활동.
풀다는 헤센 최대 카스텐라우프(맥주 랠리) 개최지.
당구 클럽 풀다(PBC)는 2006년 챔피언스리그 우승팀.
TTC 라인 슈프루델 풀다 마바첼은 탁구 분데스리가 1부 참가.
카누 클럽 풀다는 국내외 대회 여러 차례 출전.
풀다 요하네스베르크 지역에는 2005년부터 미식축구 팀 "풀다 세인츠" 활동.
6. 1. 종교
744년 성 보니파티우스의 제자인 슈트름(Sturm)이 풀다 수도원을 설립하면서 가톨릭 신앙이 풀다 지역에 뿌리내렸다.[26] 751년 교황 자카리아스는 풀다 수도원을 교황 직속으로 인정했다.[26] 754년 이 수도원에 매장된 보니파티우스는 이 수도원의 수호 성인이 되었다.[26]791년부터 819년까지는 당시 알프스 북쪽에서 가장 큰 교회 건축물인 라트가르 바실리카가 건설되었다. 풀다 수도원 부속 학교는 프랑크 왕국 제1급의 지위에 있었으며, 특히 수도원장 라바누스는 기독교 문헌에 정통하여 "게르마니아의 스승"이라는 칭호를 받았다.[31]
16세기 발타사르 폰 데른바흐(Balthasar von Dernbach) 대공 수도원장은 반종교개혁 정책을 펼쳐 예수회를 초빙하고, 주민들에게 가톨릭 신앙을 강요했다.[6]
2017년 12월 31일 현재, 풀다 주민의 44.6%가 가톨릭교회 신자이며, 18.7%는 복음주의 교회 신자이다.[55] 36.6%는 다른 종교(무슬림, 정교도 등) 신자이거나 무종교이다.[55]
풀다에는 오랜 유대인 공동체가 있었으며, 현재도 유대교 단체가 활동하고 있다. 또한 여러 이슬람교 모스크 단체가 있으며, 특히 터키 이슬람 협회와 아마디야 무슬림 자마트가 큰 조직이다. 2007년 6월부터는 무슬림 묘지가 조성되었다.[58]
6. 2. 교육
풀다는 수도원 설립 이후로 오랫동안 학교와 대학 도시로서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특히 풀다 주교령의 학교 개혁에 힘쓴 라바누스 마우루스와 하인리히 폰 비플라(Heinrich von Bibra)는 주목할 만하다. 1734년 아돌프 폰 달베르크(Adolf von Dalberg)는 풀다 대학교를 설립했으나, 이 종합대학교는 1805년에 폐지되었다.[60]1880년 당시 교육 기관으로는 김나지움 1개교, 실과 프로김나지움 1개교, 가톨릭과 복음주의의 고등여학교 각 1개교, 가톨릭 교원 세미나 1개교, 약 5만 권을 소장한 헤센 주립 도서관(1778년 창설)이 있었다.[60]
현재 풀다에는 프라이헬 폰 슈타인 슐레(Freyherr-vom-Stein-Schule), 빈프리트 슐레(Winfriedschule), 돔 김나지움(Domgymnasium), 마리엔 슐레(Marienschule), 오버슈투펜 김나지움 마리아눔(Oberschule Gymnasium Marianum) 등 많은 김나지움이 있다. 또한, 에두아르트 슈틸러 슐레(Eduard-Stieler-Schule), 페르디난트 브라운 슐레(Ferdinand-Braun-Schule), 리히하르트 뮐러 슐레(Richard-Müller-Schule) 등의 각 직업학교 센터에는 다른 형태의 학교와 함께 직업 김나지움이 존재한다. 이러한 학교 센터에는 합쳐서 4개교의 실과학교, 다수의 기초 과정/본 과정 학교, 상급/전문 오버슐레(Oberschule)와 특수학교가 있다. 종합학교는 시내에 없다. 풀다 응용과학대학교(Fachhochschule Fulda)에는 8,600명 이상의 학생이 재학 중이며, 풀다 신학부와 부속 신학교를 가지고 있다.[60]
2001년부터 풀다 대학교/주립 도서관은 2개관을 운영하고 있다. 하인리히 폰 비플라 광장과 마르크발트 거리의 대학 내에 위치해 있으며 총 장서 수는 52만 권을 넘는다.[60]
풀다 시립 문헌관은 보니파티우스 광장에, 교회 문헌관은 에두아르트 쉬크 광장의 주교립 신학 세미나 내에 있다.[60]

1968년에 설립된 풀다 시립 음악학교[60]는 유아 교육, 기악 및 성악 교육, 앙상블 연주 및 음악 이론 교육 외에도 전문 교육 과정을 제공한다. 학생은 1,300명, 교원은 약 40명이다. 음악학교 건물은 클레멘스 벤체슬라우스 쿠드레이(Clemens Wenzeslaus Coudray)가 1810년에 건설한 고전주의 건축 양식 건물이며, 1985년에 문화재 보호를 위해 음악학교의 필요에 따라 개축되었다.
보니파티우스하우스(풀다 주교구의 교육 시설)[89]는 가톨릭 아카데미로서 교외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보니파티우스하우스에 본부를 둔 주교구의 교육 시설은 가톨릭 성인 교육 - 헤센 주 작업 공동체의 일원이다.
6. 3. 관광
풀다는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제공하는 역사적인 도시이다.- 주요 명소:


- 박물관:
- 교회:
- 기타:
7. 인물
페르디난트 브라운을 비롯하여 여러 인물들이 풀다와 관련되어 있다.
7. 1. 출신 인물
- Adam von Fulda|아담 폰 풀다|en|Adam von Fuldade (1445년경 - 1505년) 작곡가, 음악 이론가
- Justus Menius|유스투스 메니우스|en|Justus Meniusde (1499년 - 1558년) 복음주의 신학자, 종교 개혁가
- 게오르크 폰 아델만 (1811년 - 1888년) 의학자, 외과의
- Hugo Staehle|후고 슈테일레|en|Hugo Staehlede (1826년 - 1848년) 낭만파 작곡가
- 알렉산드리네 폰 하르나우-호로비츠 (1830년 - 1871년) 하르나우 백작 부인
- 페르디난트 브라운 (1850년 - 1918년) 물리학자, 1909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브라운관 발명자

- Adalbert Ricken|아달베르트 리켄|en|Adalbert Rickende (1851년 - 1921년) 균학자
- 빌헬름 하이에 (1869년 - 1947년) 군인, 육군 병무국장, 육군 총사령부장 역임
- Anton Storch|안톤 슈토르히|en|Anton Storchde (1892년 - 1975년) 정치가, 연방 노동부 장관 역임

- 파울 다이히만 (1898년 - 1981년) 군인, 공군 대장
- 에른스트 쾨니히 (1908년 - 1986년) 군인, 육군 소장
- Karl Storch|카를 슈토르히|en|Karl Storchde (1913년 - 1992년) 육상 선수, 1952년 헬싱키 올림픽 해머던지기 은메달리스트
- Wilhelm Balthasar|빌헬름 발타자르|en|Wilhelm Balthasarde (1914년 -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전투기 조종사
- 마르틴 호만 (1948년 - ) 변호사, 정치가, 독일 연방의회 의원
- 토마스 프라이엔슈타인 (1960년 - ) 사이클 선수
- 데트레프 무슈 (1970년 - ) 농구 선수
- 이마누엘 블로흐 (1972년 - ) 물리학자
- Michael Brand (Politiker)|미하엘 브란트|en|Michael Brand (politician)de (1973년 - ) 정치가, 독일 연방의회 의원
- Tobias Sammet|토비아스 잠메트|en|Tobias Sammetde (1977년 - ) 뮤지션, 작곡가, 음악 프로듀서
- 제바스티안 케어 (1980년 - ) 축구 선수
- 파트릭 징케비츠 (1980년 - ) 사이클 선수
- Jan-Philip Glania|얀-필립 글라니아|en|Jan-Philip Glaniade (1988년 - ) 수영 선수
- 루이스 샤우브 (1994년 - ) 오스트리아 축구 선수
- Lukas Fröde|루카스 프뢰데|en|Lukas Frödede (1995년 - ) 축구 선수
7. 2. 관련 인물
-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
- 보니파티우스(672년/673년 - 754년) 풀다 대성당 안에 묘소가 있다.
- Sturmius|슈투르미우스de(706년경 - 779년) 선교사, 풀다 수도원 창설자.
- Eigil von Fulda|아이길 폰 풀다de(750년경 - 822년) 818년에 제4대 풀다 수도원장이 되었다.
- 아인하르트(770년경 - 840년) 풀다 수도원에서 교육받았다. 알쿠인의 제자로 샤를마뉴의 궁정 신하가 되었다.
- 라바누스 마우루스(780년경 - 856년) 풀다 수도원 학교를 확장시켰다.
- Hans Brosamer|한스 브로자머de(1495년 - 1554년) 화가, 판화가. 1536년경부터 1550년까지 풀다에서 활동했다.
- 아타나시우스 키르허(1601년 - 1680년) 예수회 신부, 대학교수. 풀다에서 교육받았다.
- Margot Käßmann|요한 딘첸호퍼de(1663년 - 1726년) 건축가, 풀다 대성당 및 슈타트슐로스 건설 책임자.
- 빌렘 1세(1772년 - 1843년) 1802년부터 1806년까지 풀다 후작, 1814년부터 네덜란드 왕.
- 프란츠 폰 딩겔슈테트(1814년 - 1881년) 시인, 극작가, 극장 관장. 1838년부터 1841년까지 김나지움 교사를 지냈다.
- Georg von Kopp|게오르크 폰 코프de(1837년 - 1914년) 풀다 주교(1881년 - 1887년), 브레슬라우 주교령 주교(1887년 - 1914년), 추기경(1893년). 풀다시 명예 시민.
- Alfred Dregger|알프레트 드레거de(1920년 - 2002년) 정치가, 독일 연방 의회 의원, 풀다 시장(1956년 - 1970년).
- Johannes Dyba|요하네스 디바de(1929년 - 2000년) 풀다 주교.
- Heinz Josef Algermissen|하인츠 요제프 알가르미센de(1943년 - ) 풀다 주교
- 발레리 니하우스(1974년 - ) 배우. 풀다에서 자랐다.
참조
[1]
웹사이트
Ergebnisse der letzten Direktwahl aller hessischen Landkreise und Gemeinden
https://statistik.he[...]
Hessisches Statistisches Landesamt
2022-09-05
[2]
간행물
The Monastery of Fulda
1878
[3]
서적
Encyclopedia of Barbarian Europe: Society in Transformation
https://books.google[...]
ABC-CLIO
[4]
문서
Hraban Maur in Monumenta Germaniae Historica Poetaes Latini Aevi Carolingi II, poem 13
[5]
백과사전
Hrabanus Maurus Magnentius
[6]
서적
Fürstabt Balthasar von Dermbach und seine Zeit. Studien zur Geschichte der Gegenreformation in Fulda
Parzeller
[7]
서적
Witchcraft and Magic in Europe, Volume 4: The Period of the Witch Trials
https://books.google[...]
[8]
서적
Der Dom zu Fulda
J. L. Ath
[9]
논문
Composition and technology of 18th century high magnesia faïences from Fulda
https://www.scienced[...]
2015-06-01
[10]
백과사전
Fulda
[11]
웹사이트
Fulda
http://www.tenhumber[...]
2021-10-30
[1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U.S. Arm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3]
웹사이트
Oberbürgermeister
https://www.fulda.de[...]
City of Fulda
2023-11-29
[14]
웹사이트
Stationspreisliste 2025
https://www.dbinfrag[...]
DB Station&Service
2024-11-28
[15]
웹사이트
Partnerstädte
https://www.fulda.de[...]
Fulda
2019-11-30
[16]
서적
Duden, Aussprachewörterbuch
Dudenverl
[17]
문서
Sonderstatusstadt
[18]
웹사이트
Fulda in Stichworten
http://www.fulda.de/[...]
[19]
웹사이트
Statistischer Bericht 2017 - Einwohnerdichte in den statistischen Bezirken
https://www.fulda.de[...]
[20]
서적
Historisches Gemeindeverzeichnis für die Bundesrepublik Deutschland. Namens-, Grenz- und Schlüsselnummernänderungen bei Gemeinden, Kreisen und Regierungsbezirken vom 27.5.1970 bis 31.12.1982
W. Kohlhammer
[21]
뉴스
Minus 23,4 Grad in Fulda: Nah dran am Kälte-Rekord
2009-01-09
[22]
웹사이트
MSN Weather
https://www.msn.com/[...]
[23]
서적
Duden, geographische Namen in Deutschland: Herkunft und Bedeutung der Namen von Ländern, Städten, Bergen und Gewässern
Bibliographisches Institut
[24]
서적
Duden, geographische Namen in Deutschland: Herkunft und Bedeutung der Namen von Ländern, Städten, Bergen und Gewässern
Bibliographisches Institut
[25]
웹사이트
Vorgeschichte – Geschichte der Stadt Fulda
https://www.pytlik.d[...]
[26]
백과사전
Lexikon des Mittelalters
Artemis
[27]
서적
修道院
近藤出版社
[28]
서적
修道院
近藤出版社
[29]
서적
[30]
서적
dtv-Atlas Deutsche Literatur
Deutscher Taschenbuch Verlag
[31]
서적
修道院
近藤出版社
[32]
서적
古典の継承者たち―ギリシア・ラテン語テクストの伝承にみる文化史―
国文社
[33]
백과사전
Lexikon des Mittelalters
Artemis
[34]
서적
Menschen im Schatten der Kathedrale. Neuigkeiten aus dem Mittelalter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35]
백과사전
Lexikon des Mittelalters
Artemis
[36]
웹사이트
Bis 1400 – Geschichte der Stadt Fulda
https://www.pytlik.d[...]
2019-10-31
[37]
서적
Lexikon des Mittelalters
Artemis
[38]
웹사이트
Bis 1600 – Geschichte der Stadt Fulda
https://www.pytlik.d[...]
2019-10-31
[39]
웹사이트
Namen der Opfer der Hexenprozesse Fulda
http://anton-praetor[...]
2019-10-17
[40]
서적
Dientzenhofer. Eine bayerische Baumeisterfamilie in der Barockzeit
Rosenheimer Verlagshaus
[41]
서적
Veröffentlichungen der Akademie für Raumforschung und Landesplanung. Forschungs- und Sitzungsberichte
Curt R. Vincenz Verlag
[42]
웹사이트
Historisches Lexikon der Schweiz
https://hls-dhs-dss.[...]
2019-10-17
[43]
웹사이트
Frankfurt am Maine, Frankfort on the Oder, Freiberg, Freiburg, Freudenstädt, Friederichshafen, Fulda, Geilenkirchen, Gelsenkirchen, Gera, Gey, Gladbach, Gotha, Göttingen, Graz, Grötzingen, Gubin, Hagen, Halberstadt, Halle and Hamburg Bombed
http://www.revisioni[...]
2019-10-17
[44]
웹사이트
Gesetz zur Neugliederung der Landkreise Fulda und Hünfeld und der Stadt Fulda
http://starweb.hesse[...]
2019-10-19
[45]
뉴스
Glockengeläut - Beten für das Kirchenoberhaupt
http://www.hr-online[...]
2019-10-19
[46]
웹사이트
Stadtjubiläum: Historie
https://www.stadtjub[...]
2019-10-19
[47]
웹사이트
Kommunalwahlen 2016 in Hessen - Fulda, Stadt
https://statistik-he[...]
2019-10-19
[48]
웹사이트
Oberbürgermeisterwahl in Fulda, Stadt am 15.03.2015
https://statistik-he[...]
2019-10-19
[49]
웹사이트
Stadt Fulda: Magistrat
https://www.fulda.de[...]
2019-10-19
[50]
서적
Buchonia: eine Zeitschrift für vaterländische Geschichte, Altertumskunde, Geographie, Statistik und Topographie
C. Müllersche Buchhandlung
[51]
웹사이트
Stadt Fulda: Partnerstädte
https://www.fulda.de[...]
2019-10-19
[52]
웹사이트
Stadt Fulda: Städtefreundschaften
https://www.fulda.de[...]
2019-10-19
[53]
웹사이트
Stadt Fulda: Patenschaften
https://www.fulda.de[...]
2019-10-19
[54]
웹사이트
Trains, Railways and Locomotives: Railcolor.net
https://www.railcolo[...]
2019-10-19
[55]
웹사이트
Statistischer Bericht 2017 - Religionszugehörigkeit
https://www.fulda.de[...]
2019-10-19
[56]
서적
Festschrift „200 Jahre evangelische Gemeinde in Fulda
[57]
웹사이트
Orthodoxe Kirche
http://www.orthodoxi[...]
2019-10-21
[58]
뉴스
Akt der Akzeptanz: Neues muslimisches Begräbnisfeld auf Westfriedhof eingeweiht
http://www.angelstei[...]
2019-10-21
[59]
웹사이트
Filming Location Matching "Fulda, Hessen, Germany", IMDb
https://www.imdb.com[...]
2019-10-22
[60]
웹사이트
Stadt Fulda: Musikschule
https://www.fulda.de[...]
2019-10-22
[61]
웹사이트
Deutsches Feuerwehr-Museum Fulda
http://www.dfm-fulda[...]
2019-10-23
[62]
웹사이트
Bistum Fulda - Dommuseum
https://www.bistum-f[...]
2019-10-23
[63]
웹사이트
Erlebniswelt Blockflöte
https://www.tourismu[...]
2019-10-23
[64]
웹사이트
Hochschul- und Landesbibliothek Fulda
https://www.hs-fulda[...]
2019-10-23
[65]
웹사이트
Arbeitsgruppe Restauratoren im Handwerk
http://www.denkmalpf[...]
2019-10-23
[66]
웹사이트
Kinder-Akademie Fulda
http://www.kaf.de/
2019-10-23
[67]
서적
Maximilian von Welsch und die Fuldaer Orangerie
[68]
웹사이트
Night Skating Experience - Skatenacht Fulda
https://www.die-skat[...]
2019-10-26
[69]
웹사이트
SCHÜTZEN- und VOLKSFEST Fulda!
https://www.schuetze[...]
2019-10-26
[70]
웹사이트
Fulda-Marathon – Leichtathletik Gemeinschaft Fulda
http://fulda-maratho[...]
2019-10-26
[71]
웹사이트
Weihnachtsmarkt Fulda
https://www.weihnach[...]
2019-10-26
[72]
웹사이트
Hochstift Brauerei
https://www.hochstif[...]
2019-10-26
[73]
웹사이트
Brauhaus Wiesenmühle Fulda
http://www.wiesenmue[...]
2019-10-26
[74]
서적
Maschinenbau in Fulda – Klein & Stiefel (1905–1979)
Imhof Verlag
[75]
서적
Maschinenbau in Fulda – Klein & Stiefel (1905–1979)
Imhof Verlag
[76]
서적
Maschinenbau in Fulda – Klein & Stiefel (1905–1979)
Imhof Verlag
[77]
서적
Maschinenbau in Fulda – Klein & Stiefel (1905–1979)
Imhof Verlag
[78]
서적
Maschinenbau in Fulda – Klein & Stiefel (1905–1979)
Imhof Verlag
[79]
서적
Maschinenbau in Fulda – Klein & Stiefel (1905–1979)
Imhof Verlag
[80]
서적
Maschinenbau in Fulda – Klein & Stiefel (1905–1979)
Imhof Verlag
[81]
서적
Maschinenbau in Fulda – Klein & Stiefel (1905–1979)
Imhof Verlag
[82]
웹사이트
Klinikum Fulda
https://www.klinikum[...]
2019-10-26
[83]
웹사이트
Bahnradweg Hessen - Radwandern - mit dem Fahrrad auf ehemaligen Bahntrassen
https://www.bahnradw[...]
2019-10-27
[84]
웹사이트
RADNETZ Deutschland » D-Route 9
http://www.radnetz-d[...]
2019-10-27
[85]
웹사이트
Fulda-Radweg R1 | Offizielle Website
https://www.fuldarad[...]
2019-10-27
[86]
웹사이트
Vier-Flüsse-Tour entlang der Flüsse Rems, Lein, Kocher und Aal | Urlaubsland Baden-Württemberg
https://www.tourismu[...]
2019-10-27
[87]
웹사이트
Radroutenplaner Hessen - Hessischer Radfernweg R 3
https://radroutenpla[...]
2019-10-27
[88]
웹사이트
Gipfeltour
https://www.vogelsbe[...]
2019-10-27
[89]
웹사이트
Bonifatiushaus Fulda
https://www.bonifati[...]
2019-10-27
[90]
뉴스
Sieg im letzten Heimspiel: Saints im Meisterziel
https://osthessen-ne[...]
2019-07-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