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복되신 동정 마리아 탄생 축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복되신 동정 마리아 탄생 축일은 성모 마리아의 탄생을 기념하는 기독교 축일로, 9월 8일에 기념되며, 6세기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축일은 로마 가톨릭, 성공회, 동방 정교회 등에서 기념하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풍습과 기념 방식이 존재한다. 정교회에서는 마리아의 부모인 요아킴과 안나를 함께 기억하며, 가톨릭 도상학에서는 아기 마리아의 탄생을 묘사한 예술 작품이 많이 나타난다. 또한 이슬람교에서도 꾸란을 통해 마리아의 탄생을 언급하고 있다. 한국 가톨릭 교회에서도 9월 8일에 이 축일을 기념하며, 사회적 약자를 위한 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월 8일 - 국제 문해의 날
    국제 문해의 날은 유네스코가 문맹 퇴치 운동을 장려하고 문해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1967년부터 매년 9월 8일에 기념하는 날로, 매년 특정 주제 관련 행사가 진행되며 문맹 퇴치에 기여한 개인이나 단체에게 유네스코 문해상을 수여한다.
  • 9월의 세시 - 추분
    태양이 황도상 추분점을 지나 낮과 밤의 길이가 거의 같고 곡식을 수확하는 시기인 추분은 24절기 중 백로와 한로 사이에 위치하며 천문학적으로는 춘분과 함께 태양이 천구 적도와 황도가 교차하는 지점을 지나는 때이다.
  • 9월의 세시 - 안거
    안거는 승려들이 참선을 통해 깨달음을 얻기 위해 외부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정해진 기간 동안 한 곳에 머무르며 수행하는 방법이다.
  • 천사의 발현 - 예수의 승천
    예수의 승천은 기독교 신학에서 부활한 예수가 하늘로 올라간 사건으로,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에 기록되었으며, 승천 장소와 시기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기독교 미술에서의 중요한 주제, 교회력 절기인 승천 축일 기념, 이슬람에서의 다른 관점 해석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 천사의 발현 - 바드르 전투
    바드르 전투는 624년 3월 13일에 무함마드가 이끄는 메디나 세력과 메카 쿠라이시족 사이에 벌어진 전투로, 무함마드의 메카 대상단 습격 계획에 대한 쿠라이시족의 대응으로 발생했으며,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무함마드 군대가 승리하여 이슬람 세력 확장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복되신 동정 마리아 탄생 축일
축일 정보
이름복되신 동정 마리아 탄생 축일
다른 이름생신녀탄생제
로마자 표기Bokdoesin Dongjeong Maria Tansaeng Chukil
축일9월 8일: 서방 기독교 및 일부 동방 기독교 교회
: 대부분의 오리엔트 정교회 및 모든 동방 정교회 교회
5월 9일: 콥트 정교회 및 에티오피아 정교회 기독교인
관련 장소리히텐슈타인, 바티칸 시국
기념 형태천주교의 연중 행사
조토 디 본도네 - 성모 마리아의 탄생 - 스크로베니 07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탄생 조토, 스크로베니 예배당 파도바, 이탈리아 ()
칭호죄 없음
무염시태
속성성녀 안나에 의한 마리아의 탄생
수호셍글레아, 몰타 (탄생의 성모)
멜리에하, 몰타
나사르, 몰타
샤그라, 고조
쿠바 (코브레의 성모)
보롱간, 필리핀
바일란칸니, 인도 (건강의 성모)
팜팡가, 필리핀 (팜팡가의 치유의 성모)
이집트 (자이툰의 성모)
원죄 없는 아기 예수의 노예회
마리아 밤비나 자선 수녀회
케랄라 마나르카드 성 마리아 시리아 정교회 성당
필리핀 라구나 판길 성모 탄생 성당

2. 역사적 배경

12세기 독일의 "마리아 탄생" 그림. 아버지 요아킴은 유대인 모자를 쓰고 있다.


복되신 동정 마리아 탄생 축일을 기념하는 가장 오래된 기록은 6세기에 작성된 찬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축일은 6세기 초 시리아팔레스타인 지역에서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큰데, 이는 431년 에페소 공의회 이후 하느님의 어머니로서 마리아에 대한 공경이 특히 시리아 지역을 중심으로 강화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추정은 6세기 중반에 편찬된 예루살렘의 조지아 성가집에 이 축일을 위한 찬가가 수록되어 있다는 사실로 뒷받침된다.[2] 이 성가집의 찬송가 내용은 성가집 편찬 시기보다 더 오래된 것으로 여겨진다.[3]

초기 전례 기념은 예루살렘의 성 안나 교회(원래 명칭: Basilica Sanctae Mariae ubi nata est|바실리카 상타이 마리아이 우비 나타 에스트la, 마리아께서 태어나신 곳의 성 마리아 대성당)의 6세기 봉헌과 관련이 있다. 이 자리에 5세기에 세워졌던 원래 교회는 마리아의 부모인 요아킴안나의 집터로 전해지는 곳에 지어졌다. 7세기에는 비잔틴 제국에서 공식적인 축일로 기념되었다.

그러나 마리아의 탄생 이야기는 신약성경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고 외경에서만 전해지기 때문에, 라틴 교회(서방 교회)에서는 이 축일을 비교적 늦게 받아들였다. 로마에서는 7세기 말 동방 출신 수도사들에 의해 이 축일이 전해져 기념되기 시작했다.

오늘날 가톨릭교회와 성공회, 서방 정교회 등 서방 교회 전통에서는 9월 8일에 성모 탄생 축일을 기념한다. 동방 정교회에서는 율리우스력을 따를 경우 9월 21일에 해당하며(개정율리우스력 사용 시 9월 8일), 다음 날인 9월 22일에는 성모 마리아의 부모인 요아킴안나를 함께 기념한다. 동방 정교회에서는 마리아가 테오토코스(하느님의 어머니)이므로, 그의 부모인 요아킴과 안나를 '하느님의 조부모'로 부르기도 한다.

전 세계적으로 성모 마리아의 탄생을 기념하는 많은 성당이 있다.

2. 1. 전승

야고보 복음은 2세기 초에 최종적으로 기록된 것으로 추정되며, 마리아의 아버지 요아킴을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 중 부유한 일원으로 묘사한다. 그와 그의 아내 안나는 자녀가 없다는 사실에 깊이 슬퍼했다. 정교회 전승에 따르면, 요아킴은 다윗의 자손으로, 그의 후손을 통해 세상의 구원자가 태어나리라는 하나님의 약속과 예언이 성모 마리아의 탄생으로 이루어졌다. 요아킴과 안나는 선량하고 하나님의 계명을 지키며 헌물을 빠뜨리지 않는 의로운 사람들이었으나, 결혼한 지 50년이 넘도록 자녀가 없어 근심이 컸다. 당시 이스라엘에서는 자식이 없는 것이 큰 수치이자 죄로 여겨졌다.

어느 축제일, 요아킴이 하나님께 제사를 드리러 성전에 갔으나, 대제사장은 그에게 자식이 없는 죄를 꾸짖으며 헌물을 드리는 것을 금지했다. 크게 슬퍼한 요아킴은 홀로 광야로 나가 눈물을 흘리며 간절히 기도했다. 남편이 성전에서 모욕을 당하고 돌아오지 않자 안나 역시 비탄에 잠겨 하나님께 기도했다.

하나님은 이들의 기도에 응답하시어 천사를 보내셨다. 천사는 딸이 태어날 것이며, 그 딸을 통해 온 세상이 축복받고 구원이 주어질 것이라고 알리고, 이름을 마리아로 지으라고 일렀다. 부부는 크게 기뻐하며 태어날 아이를 하나님께 봉헌하기로 맹세했다.

예언대로 딸이 태어나자 부부와 사람들은 하나님의 인자하심을 찬미하고 감사했다. 마리아가 세 살이 되자, 요아킴과 안나는 맹세대로 마리아를 성전에 바쳤다 (이는 성모 봉헌 축일로 기념된다).

성모 마리아의 탄생지에 대해서는 여러 전승이 있다. 세포리스가 탄생지라는 주장이 있으며, 이곳에서는 5세기 바실리카 유적이 발굴되었다. 다른 기록에서는 나자렛을 언급하거나, 예루살렘의 양문 근처 집이었다고 전한다. 요아킴과 같이 부유한 사람이 유대와 갈릴리 두 지역에 집을 소유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그러나 《가톨릭 백과사전》의 저자 Charles Souvay는 요아킴이 많은 가축을 소유했다는 생각은 "매우 의심스러운 가치"를 지닌 근거에 기반하므로 확실하게 단정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프랑스 앙제 교구에서는 성 마우리리우스가 430년경 계시를 받아 앙제에서 이 축일을 제정했다는 전승이 있다. 9월 8일 밤, 한 남자가 하늘에서 천사들이 노래하는 소리를 듣고 이유를 물었더니, 그날 밤 동정녀 마리아가 태어났기 때문에 기뻐하는 것이라는 대답을 들었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이 전승은 역사적 증거로 뒷받침되지는 않는다.

3. 정교회의 전승

정교회 전승에 따르면, 요아킴다윗의 자손이며, 세상의 구원자가 다윗의 자손에게서 태어난다는 하나님의 약속과 예언이 성모 마리아의 탄생을 통해 이루어졌다고 본다. 요아킴안나는 선량하고 하나님의 계명을 지키며 헌물을 빠뜨리지 않는 의로운 사람이었으나, 결혼 후 50여 년이 지나도록 자녀가 없어 깊이 근심했다. 당시 이스라엘 사회에서는 자녀가 없는 것을 큰 수치이자 죄로 여기는 분위기였다.

어느 축제일에 요아킴이 제사를 드리러 성전에 갔으나, 대제사장은 그에게 자식이 없음을 꾸짖으며 자녀를 얻기 전까지 헌물을 바치는 것을 금지했다. 이에 크게 슬퍼한 요아킴은 홀로 광야로 나가 눈물로 기도했고, 남편이 모욕을 당하고 돌아오지 않자 안나 역시 비탄에 잠겨 하나님께 기도했다.

하나님은 이들의 기도에 응답하시어 천사를 보내셨다. 천사는 요아킴과 안나에게 딸이 태어날 것이며, 그 딸을 통해 온 세상이 축복받고 구원을 얻게 될 것이라고 예고하며 이름을 마리아로 지으라고 일렀다. 부부는 크게 기뻐하며 태어날 아이를 하나님께 봉헌하기로 맹세했다.

예고대로 딸 마리아가 태어나자 부부와 주변 사람들은 하나님의 인자하심에 감사와 찬미를 드렸다. 마리아가 세 살이 되었을 때, 요아킴과 안나는 맹세대로 마리아를 성전에 봉헌했다. 이 사건은 성모 영보 대축일로 기념된다.

4. 기념 및 축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 탄생 축일은 전통적으로 전례적인 축일로, 12월 8일에 거행되는 원죄 없이 잉태되신 복되신 동정 마리아 대축일로부터 9개월 후인 9월 8일에 기념한다. 이 날짜는 로마 일반 전례력, 많은 루터교 성인력,[4] 대부분의 성공회 전례력, 그리고 트리덴틴 전례력에 따라 지켜진다. 또한 동방 정교회와 서방 전례 정교회, 시리아 정교회, 그리고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에서도 같은 날에 기념한다.

그러나 콥트 정교회와 에티오피아 정교회는 5월 9일(EC 1 기노트, 바샨스)에 이 축일을 기념한다. 러시아 정교회와 같이 옛 율리우스력을 따르는 교회에서는 축일을 율리우스력 9월 8일에 기념하며, 이는 현재 그레고리력으로는 9월 21일에 해당한다. 개정율리우스력을 사용하는 일부 동방 정교회에서는 그레고리력 9월 8일에 기념한다.

교황 비오 12세의 전례 개혁 이전, 1954년 로마 일반 전례력에서는 이 축일을 8일 축제로 지켰다. 이 8일 축제는 1243년 교황 인노첸시오 4세에 의해 제정되었다.

동방 정교회에서는 성모 마리아의 탄생 축일 다음 날인 9월 22일에 성모 마리아의 부모인 요아킴안나를 함께 기억한다. 요아킴과 안나는 신의 어머니인 마리아의 부모이기에 정교회에서는 "신의 조부모"라고 불린다.

성모 마리아의 탄생 이야기는 복음서를 포함한 신약성경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으며, 주로 정교회의 전승을 통해 전해진다. 정교회에는 가톨릭교회의 "원죄 없는 잉태" 교리와는 다른 원죄관이 있으며, 관련 전승도 존재하지 않는다.

전 세계적으로 성모 탄생 축일을 기념하는 많은 성당이 있다.

4. 1. 지역별 풍습

프랑스프랑스에서는 '마리아 축일'이 포도 재배자들 사이에서 "포도 수확의 성모"로 알려져 있다. 가장 좋은 포도를 지역 교회로 가져와 축복을 받고, 포도송이 일부는 마리아 상의 손에 묶인다. 이 날에는 새로운 포도를 포함한 축제 음식이 함께 한다.
인도
푸네 마하라슈트라의 로마 가톨릭 신자들이 기념하는 마리아 축일

  • 케랄라: '날피라비'(നൽ‌പിറവി|날피라비mal)라고 불리는 마리아 탄생 축일이 성 토마스 기독교도 사이에서 주요 행사이며 항상 옥타브로 기념된다. 9월 1일부터 9월 8일까지 8일간의 금욕 기간(Ettu Nombu|에투 놈부mal) 동안 육류와 알코올을 금한다. 이 기간 동안 성 토마스 기독교도의 모든 가정에서 채식 음식이 준비되며, 교회는 성모 마리아를 기리기 위해 자선 활동, 복음주의 회의 및 특별 기도를 조직한다. 이 기간 동안 단체로 '콘타'(성 로사리오)를 기도하는 것은 중요한 관습이다. 마리아 축일에는 우유, , 자구리로 만든 '파초루'(പാച്ചോറ്|파초루mal)라는 의례용 푸딩을 교회에서 준비하여 축제 기념의 일환으로 오후에 신도들에게 나누어 준다. 집에서는 틴무라 (육류와 생선 요리를 포함한 축제 음식)를 준비한다.


인도 망갈로르에서 열리는 마리아 축일 행렬

  • 고아: '몽티 페스트'(Monti Fest|몽티 페스트kok)라고 불리는 마리아 탄생 축일이 주요 가족 행사이며, 새로운 작물의 수확을 축복하는 감사의 축제 역할을 한다. 수확한 곡물의 축복받은 곡물을 중심으로 한 축제 점심 식사와 함께 진행된다.
  • 콘칸 지역: 성모 마리아 조각상에 꽃을 뿌리는 것이 중요한 관습이다.[6][7]
  • 망갈로르: 마리아 탄생 축일을 "몽티 페스트"(Monti Fest|몽티 페스트kok)라고 부른다. 이 날 모든 망갈로르 기독교인은 콩과 채소를 먹는다. 사제는 음식에 첨가되는 곡물 가지를 축복한다. 9월 8일 축제 전에 9일간의 노베나가 있으며, 아기 마리아 조각상에 꽃을 바친다.[6][7]
  • 뭄바이: 마리아 탄생 축일을 일주일 동안 진행되는 반드라 박람회라는 행사로 기념한다. 이 행사는 9월 8일(일요일인 경우) 또는 그 날짜 이후의 일요일에 시작되며, 마운트 메리 성당 주변의 뭄바이 교외 지역인 반드라에서 개최된다.

몰타
몰타 센글레아에서의 성모 탄생 축일 기념 모습


몰타에서 동정 마리아 탄생 축일(Il-Bambina|일-밤비나mlt)은 승전 기념일 (Jum Il-Vittorja|윰 일-비토리아mlt)이라고 불리며, 이 날은 몰타 역사상 세 번의 주요 승리와 일치한다.[8] 즉, 1565년의 몰타 대공성전의 전황 전환, 1800년 섬을 점령한 프랑스 군대의 항복, 1942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몰타 포위전의 종식이다.[9]

밤비나(Bambina) 축제는 몰타의 나샤르, 센글레아, 멜리에하와 고조의 샤그라 등 4곳에서 전통적인 몰타 축제로 기념된다. 마리아는 또한 승리의 성모로 존경받는다. 이 축제를 위해 교회는 붉은 다마스크 천으로 장식된다. 축제의 구조는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금관 악대 콘서트/행진, 불꽃놀이, 그리고 밤비나의 형상을 가지고 하는 행렬과 같은 전례 의식으로 구성된다.[9] 성 안젤로 요새에서는 동정 마리아 탄생 경당에서 미사가 거행된 후, 성 안네 경당에서 두 번째 미사가 열린다.[8]

5. 가톨릭 도상학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탄생을 묘사한 성화.


마리아 탄생 장면은 성모 마리아의 생애의 일부로서 예술 작품에서 자주 묘사되었다. 중세 시대 묘사에는 종종 성 안나가 마리아를 출산하는 장면이 포함되며, 후기 중세 시대 묘사에서는 부유한 가정을 배경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1730년, 이탈리아 로베레의 프란체스코회 수녀들 사이에서 아기 마리아에 대한 신심이 생겨났다. 그곳에서는 Santissima Maria Bambina|산티시마 마리아 밤비나ita라는 밀랍 조각상이 숭배되었고, 이 조각상은 나중에 밀라노로 옮겨져 자선 수녀회의 보살핌을 받았다. 프랑스 남부에서는 신혼 부부의 이상적인 소망 중 하나로 아이와 다산을 상징하는 아기 마리아를 쿠션 위에 놓는 Globe de Marièe|글로브 드 마리에fra라는 신부 지참금 결혼 관습에 이 신심이 영향을 주었다.

마리아 탄생, 스페인, 17세기. 트리 박물관


마리아의 유아기를 묘사하는 비슷한 신심은 주로 멕시코, 과테말라, 필리핀과 같이 과거 스페인 영토였던 지역에서 발전하기 시작했는데, 여기서 La Niña María|라 니냐 마리아spa는 사춘기 이전의 소녀로 묘사된다.

19세기 멕시코에서는 수태 고지 수녀회의 마그달레나 수녀가 손상된 성광에서 나온 천사(putti)의 머리 부분을 사용하여 산토(Santo) 이미지를 만들어 아기 성모에 대한 신심을 지지했다. 나중에, 마리아 환시가인 로사리오 아레빌라가는 ''무염의 어린이의 노예회''라는, 동일한 마리아 칭호에 헌신하는 종교 단체를 시작했다.

교황 베네딕토 15세는 1921년 9월 4일 마우로 카루아나 대주교에 의해 대관된 몰타 셍글레아의 마리아 이미지를 "승리의 성모"라는 마리아 칭호로 인정했다. 한때 가톨릭 갤리온을 장식했던 이 이미지는 1618년 달마티아 제도 근처에서 난파되었다가 현재의 도시로 구조되었으며, 이 도시 역시 9월 8일에 축제를 기념한다. 이 성상은 ''마리아 밤비나''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아기 마리아가 포대기에 싸여 있다. 필리핀 발렌수엘라 시 박물관.


필리핀의 독실한 가톨릭 신자들은 아기 성모에게도 비슷한 신심을 보이는데, 성모의 순결함과 순수함을 강조하기 위해 파스텔 색상의 옷을 입히고 꽃으로 관을 씌운다. 이는 성인들의 이미지에 사용되는 전통적인 왕관과는 대조적이다. 히스패닉 전통과 유사하게, 사탕과 케이크가 아기 성모의 영예를 기리며 널리 제공되어 그녀의 칭호인 La Dulce María|라 둘세 마리아spa (달콤한 마리아)를 강조한다. 2019년 8월 13일, 필리핀 두테르테 대통령은 복되신 동정 마리아 탄생 축일을 기념하기 위해 9월 8일을 전국적인 특별 근무 공휴일로 선포하는 ''공화국법 11370''에 서명했다.

마리아 신심이 있는 특정 장소에서는 마리아의 탄생일을 다음과 같은 지역 고유의 성모상과 함께 기념하기도 한다.

지역관련 성모상
쿠바자선 성모
필리핀팜팡가의 레메디오스 성모
필리핀팡길의 나티비다드 성모
인도건강의 성모
몰타승리의 성모


6. 이슬람 경전

마리아의 탄생은 꾸란의 세 번째 수라(장)에 묘사되어 있으며, 이 장의 이름은 마리아의 아버지인 임란에서 유래했고 어머니 한나에 대한 언급도 있다. 한나는 자녀를 갖기를 소망하며 신에게 기도했고, 기도가 받아들여지면 자신의 아이(처음에는 아들일 것이라고 생각했음)를 신을 섬기는 데 헌신하겠다고 맹세했다. 이는 구약성서의 한나와 직접적인 유사성을 보이는데, 구약의 한나는 판사이자 예언자인 사무엘을 낳았으며 비슷한 이야기 구조를 따른다. 그녀는 아이가 사탄(샤이탄)으로부터 보호받기를 기도했고, 무슬림 전통은 "사탄의 손길" 없이 태어난 유일한 아이가 마리아와 예수라고 언급하는 ''하디스''를 기록하고 있다.

7. 기념 성당

전 세계적으로 성모 마리아의 탄생을 기념하는 여러 성당과 수도원이 있다.


  • 밀라노 대성당은 복되신 동정 마리아 탄생에 봉헌되었다.[10]
  • 미국 미시시피주 빌록시에는 복되신 동정 마리아 탄생 대성당이 있다.[11]
  • 미국 알래스카주 주노에는 복되신 동정 마리아 탄생 대성당이 있다.[12]
  • 미국 텍사스주 하이힐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 탄생 가톨릭 교회는 1906년에 지어진 유서 깊은 교회이다.[13]
  • 미국 오하이오주 로레인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 탄생 본당은 폴란드계 미국인 공동체를 위해 1898년에 설립되었다.[14]
  • 미국 미네소타주 블루밍턴에는 복되신 동정 마리아 탄생 가톨릭 교회와 학교가 있으며, 세인트폴-미니애폴리스 로마 가톨릭 대교구에 속해 있다.[15]
  • 싱가포르 후강에는 1852년에 지어진 싱가포르 복되신 동정 마리아 탄생 교회가 있다.[15]
  • 미국 일리노이주 매디슨에는 미국 정교회 중서부 교구에 속한 복되신 동정 마리아 탄생 정교회가 있다.[16]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색슨버그에는 테오토코스 탄생 수도원이 있다. 이 수도원은 피츠버그 북쪽에 위치하며, 1989년에 설립된 미국 최초의 그리스 정교회 여자 수도원이다.[17]

참조

[1] 웹사이트 THE NATIVITY OF THE BLESSED VIRGIN MARY (Sept. 8) http://www.liturgies[...]
[2] 간행물 "[Hymnography of the] Rite of Jerusalem" https://www.academia[...]
[3] 서적 The first Christian hymnal : the songs of the ancient Jerusalem church https://www.worldcat[...] 2018
[4] 웹사이트 St. Mary, Mother of Our Lord https://allthehouseh[...] All The Household 2021-08-02
[5] 뉴스 The nativity of the Mother of God https://timesofmalta[...] Times of Malta 2009-09-08
[6] 웹사이트 Monti Fest – A Unique Mangalorean Feast https://www.mangalor[...] 2016-09-12
[7] 뉴스 Mangalore / Udupi: Thousands flock to churches on Feast of Nativity http://www.daijiworl[...]
[8] 웹사이트 Victory Day celebrations at Fort St Angelo https://heritagemalt[...] Heritage Malta
[9] 웹사이트 Il-Vitorja (Victory Day) https://www.visitmal[...] Visit Malta, Malta Tourism Authority
[10] Citation Milan Cathedral https://en.wikipedia[...] 2023-05-18
[11] 웹사이트 Nativity of the Blessed Virgin Mary Cathedral, Biloxi http://nativitybvmca[...]
[12] 웹사이트 Cathedral of the Nativity of the Blessed Virgin Mary, Juneau, Alaska http://juneaucathedr[...]
[13] 웹사이트 Nativity of Mary, High Hill, Texas http://stmary-highhi[...]
[14] 웹사이트 Nativity of the Blessed Virgin Mary Parish, Lorain, Ohio http://nativitybvmlo[...]
[15] 웹사이트 Nativity of Mary Catholic Church, Bloomington http://nativitybloom[...]
[16] 웹사이트 Nativity of the Virgin Mary Orthodox Church, Madison, Illinois http://www.nativityo[...]
[17] 웹사이트 Nativity of the Theotokos Monastery http://www.nativityo[...]
[18] 문서 「至聖なる我が女宰生神女永貞童女マリヤの誕生祭」の読み…「しせいなるわがじょさいしょうしんじょえいていどうじょマリヤのたんじょうさ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