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배 함수 (통계역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분배 함수는 통계역학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함수로, 계의 열역학적 특성을 계산하는 데 활용된다. 닫힌 계의 모든 미시상태에 대해 정의되며, 각 미시상태의 에너지와 온도에 따라 확률을 할당한다. 분배 함수는 고전적, 양자역학적 시스템 모두에 적용 가능하며, 이산계와 연속계에 따라 다른 형태로 표현된다. 분배 함수를 통해 에너지, 엔트로피, 열용량 등 다양한 열역학적 변수를 계산할 수 있으며, 헬름홀츠 자유 에너지와 같은 열역학적 함수와 직접적인 관련을 갖는다. 또한, 분배 함수는 큰 바른틀 분배 함수와 같은 일반화된 형태로도 확장되어 열린계를 다루는 데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계역학 - 볼츠만 상수
볼츠만 상수 k는 온도와 에너지를 연결하는 상수이며, 기체 상수와 아보가드로 상수의 비로 정의되고, SI 단위계에서 1.380649×10⁻²³ J/K의 값을 가지며, 거시 물리학과 미시 물리학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통계역학 - 상태 밀도
상태 밀도는 계에서 특정 에너지 준위에 존재할 수 있는 상태의 수를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계의 종류, 차원, 분산 관계 등에 따라 달라지며, 고체 물리학과 양자역학적 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물리학 개념 - 절연체
절연체는 전기 전도성을 막아 전기의 흐름을 제어하고 안전을 확보하며, 밴드 이론에 따라 큰 띠틈을 가져 외부 전압이 띠틈을 넘어서면 절연 파괴가 발생하며, 유리에서 세라믹, 고분자 복합 재료 등으로 제작되어 전선, 케이블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 물리학 개념 - 전기 전도체
전기 전도체는 전기를 잘 통하는 물질로, 금속, 전해질, 초전도체, 반도체 등이 있으며, 구리, 은, 알루미늄 등 다양한 재료가 전선 등에 사용된다.
| 분배 함수 (통계역학) | |
|---|---|
| 개요 | |
| 학문 분야 | 통계역학, 열역학 |
| 목적 | 계의 통계적 속성 결정 |
| 변수 | 온도 (T) 부피 (V) 입자 수 (N) |
| 관련 개념 | 앙상블 자유 에너지 상태 밀도 |
| 정의 | |
| 정의 | 모든 가능한 미시 상태에 대한 지수 함수의 합 |
| 수식 | }} |
| 변수 설명 | Eᵢ: i번째 미시 상태의 에너지 β: (kBT)⁻¹ 역온도 (볼츠만 상수 kB, 절대 온도 T) |
| 활용 | |
| 확률 계산 | 특정 에너지 상태를 가질 확률 계산에 사용 |
| 자유 에너지 | 헬름홀츠 자유 에너지 계산 |
| 종류 | |
| 정준 분배 함수 | 고정된 N, V, T 하에서 계의 행동을 기술 |
| 미시 정준 분배 함수 | 고정된 N, V, E 하에서 계의 행동을 기술 |
| 거대 정준 분배 함수 | 고정된 μ, V, T 하에서 계의 행동을 기술 (μ는 화학 퍼텐셜) |
| 관계식 | |
| 자유 에너지 | F = −kBT ln Z (Z는 분배 함수) |
| 기타 | |
| 다른 이름 | 상태 합 상태 총합 |
2. 정의
바른틀 앙상블에서 분배 함수는 모든 미시 상태에 대한 볼츠만 인자를 더한 값으로 정의된다. 볼츠만 인자는 주어진 미시 상태의 에너지와 온도의 함수이다. 분배 함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여기서 ''β''는 열역학적 베타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T''는 계의 온도를 뜻하며, ''kB''은 볼츠만 상수이다. 미시상태에 겹침(degeneracy) 상태가 존재할 경우, 분배함수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여기서 는 겹침 인자이다.
열원 ''B''에 내장된 계 ''S''를 생각하자. 두 계의 총 에너지를 ''E''라 하고, ''pi'' 를 계 ''S''가 에너지 ''Ei'' 를 갖는 특정 미시 상태 ''i''에 있을 확률이라고 하자. 통계 역학의 기본 가정에 따르면 확률 ''p i''는 전체 닫힌 계의 미시 상태 수 (''S'', ''B'')에 반비례한다.
열역학적 관계 를 사용하면,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일부'' 미시상태(모든 ''pi''의 합)에서 계를 찾을 전체 확률은 1이여야 하므로, 분배 함수는 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정준 앙상블은 온도, 부피, 입자 수가 고정된 닫힌 계를 표현하는 앙상블이다. 볼츠만 인자는 이며, 열역학적 온도는 의 관계가 있으며, 역온도라고 불린다. 는 볼츠만 상수이다.
열평형 상태에서, 계가 에너지 의 상태를 가질 확률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물리량 의 기대값은 다음과 같이 분배 함수의 로그 미분으로 표현된다.
:
2. 1. 고전적 이산계
고전적이고 이산적인 계에서 분배 함수는 각 미시 상태의 볼츠만 인자를 더한 값이다. 정준 앙상블에서 고전적 이산계의 정준 분배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여기서 각 기호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 는 시스템의 미시상태에 대한 지표이다.
- 는 오일러 수이다.
- 는 열역학적 베타로, 로 정의된다. (는 볼츠만 상수이다.)
- 는 해당 미시상태에서 시스템의 총 에너지이다.
지수 인자 는 볼츠만 인자라고도 한다.
2. 2. 고전적 연속계
고전역학에서는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 변수가 연속적으로 변할 수 있으므로 미시 상태들의 집합은 실제로 비가산 집합이다. 따라서 고전적인 통계 역학에서는 분배 함수를 이산 항의 합으로 표현하는 것은 다소 부정확하며, 합이 아닌 적분을 사용하여 분배 함수를 설명해야 한다.고전적이고 연속적인 정준 앙상블의 경우, 정준 분배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여기서
무차원량으로 만들기 위해 사용된 는 작용과 같은 단위를 가지는 수량이다 (보통 플랑크 상수로 간주됨).
3차원에서 개의 동일한 고전 입자들의 기체의 경우 분배 함수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 는 플랑크 상수
- 는 로 정의되는 열역학적 베타
- 는 시스템의 입자에 대한 인덱스
- 는 해당 입자의 해밀토니안
- 는 해당 입자의 일반화 위치
- 는 해당 입자의 일반화 운동량
- 는 와 가 3차원 공간의 벡터임을 나타내는 약식 표기법
- 는 이전 섹션에 제공된 단일 입자의 고전적 연속 분배 함수
계승 인자 ''N''!이 사용된 이유는 입자를 구별할 수 없다는 것에 의한 상태의 과다 계수를 보정하기 위함이다. 분모에 추가 상수 인자가 도입된 이유는 이산 형태와 달리 위에 표시된 연속 형태가 무차원이 아니기 때문이다.
1차원 공간 내 1개의 입자로 이루어진 계에서는 양자 상태가 위상 공간에서 "면적"에 1개의 비율로 분포한다고 생각하고, 볼츠만 인자의 위상 공간상의 적분을 나눈 것을 분배 함수로 정의한다.
여기서 는 위상 공간상의 점 에서의 해밀토니안이다.
이는 계가 차원 공간 내의 개의 동일 입자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간단하게 확장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은 입자를 구별할 수 없다는 것에 의한 상태의 과다 계수를 보정하기 위한 항이다.
2. 3. 양자역학적 이산계
표준 앙상블이 양자 역학적이고 이산적인 경우, 표준 분배 함수는 볼츠만 인자의 대각합으로 정의된다.[11]:
여기서:
의 차원은 계의 에너지 고유 상태의 수이다.
양자계에서 계의 상태는 힐베르트 공간 상의 상태 벡터 로 표현된다. 어떤 상태에서의 물리량은 양자론적 연산자로 주어지며, 특히 에너지는 해밀턴 연산자 로 주어진다. 따라서 분배 함수는 다음과 같다.
:
상태 벡터는 파라미터로 지정되는 정규 직교 완전계 에 의해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
:
상태 벡터에 대한 합은 전개 계수에 관한 적분으로 대체되므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분배 함수의 크기 자체는 의미가 없으므로 계수 C를 제외하면,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트레이스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양자계에서는 일반적으로 해밀턴 연산자를 대각화하는 에너지 고유 상태를 사용하여 표현된다. 에너지 양자수와 대응하는 에너지 고유값에 의해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여기서 는 모든 에너지 고유 상태에 대한 합이며, 축퇴 등이 있는 경우에는 주의해야 한다.
동일한 에너지 ''Es''를 공유하는 여러 양자 상태를 갖는 계에서는 계의 에너지 준위가 축퇴된다고 한다. 축퇴된 에너지 준위의 경우, 에너지 준위(''j''로 표시)의 기여 측면에서 분배 함수를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다.
:
여기서 ''gj''는 축퇴 인자 또는 ''Ej'' = ''Es''로 정의된 동일한 에너지 수준을 갖는 양자 상태 ''s''의 수이다.
양자 역학에서 분배 함수는 상태 공간에 대한 추적으로 더 공식적으로 작성될 수 있다( 기저 선택과 무관함).
:
여기서 는 양자 해밀토니안 연산자이다. 연산자의 지수는 지수 거듭제곱 급수를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다.
2. 4. 양자역학적 연속계
정준 앙상블에서 양자역학적이고 연속적인 경우, 정준 분배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1]:
여기서:
- 는 플랑크 상수이다.
- 는 열역학적 베타로, 로 정의된다.
- 는 해밀토니안 연산자이다.
- 는 정준 좌표이다.
- 는 정준 좌표이다.
동일한 에너지 ''Es''를 공유하는 여러 양자 상태 ''s''가 있는 시스템에서, 시스템의 에너지 준위는 축퇴 에너지 준위라고 한다. 축퇴 에너지 준위의 경우, 에너지 준위(''j''로 색인됨)의 기여를 사용하여 분배 함수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여기서 ''gj''는 축퇴 인자, 즉 ''Ej'' = ''Es''로 정의된 동일한 에너지 준위를 갖는 양자 상태 ''s''의 수이다.
위의 처리는 입자 상자 내의 물리적 시스템이 일반적으로 위의 상태 ''s''로 사용할 수 있는 이산적인 에너지 고유 상태 집합을 갖는 ''양자'' 통계역학에 적용된다. 양자역학에서 분배 함수는 양자역학의 수학적 공식화의 트레이스(trace)로 더욱 형식적으로 작성할 수 있다(이는 기저의 선택과는 독립적이다).
:
여기서 는 해밀토니안 연산자이다. 연산자의 지수는 지수 멱급수를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다.
코히어런트 상태[1]로 표현하고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에서 양자역학적 불확정성 원리가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될 때 ''Z''의 고전적인 형태가 복구된다.
3. 분배 함수 유도
분배 함수는 정보 이론적 최대 엔트로피 방법을 통해 유도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제인스가 제안한 것으로, 더 강력하고 일반적인 접근 방식이다.
열역학 제2법칙에 따르면, 계는 열역학적 평형 상태에서 최대 엔트로피를 가진다. 다음 두 가지 제약 조건을 고려한다.
# 모든 상태의 확률 합은 1이다. (확률의 두 번째 공리):
:
# 정준 앙상블에서 평균 에너지는 일정하다. (에너지 보존):
:
이산 깁스 엔트로피를 최대로 만드는 상태의 확률 분포 를 찾는다. 깁스 엔트로피는 다음과 같다.
:
라그랑주 승수법과 변분법을 사용하여, 라그랑지안 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에 대해 을 변분하여 극대화하면 다음을 얻는다.
:
이 방정식은 임의의 변분 에 대해 성립해야 하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첫 번째 제약 조건 (확률의 합은 1)을 사용하여 을 구하면,
:
여기서 '''는 정준 앙상블 분배 함수'''이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에 대해 정리하면, 를 얻는다.
를 를 이용하여 다시 쓰면 다음과 같다.
:
를 로 다시 쓰면 다음과 같다.
:
를 얻기 위해, 를 평균 에너지 에 대해 미분하고 열역학 제1법칙 를 적용하면,
:
따라서 정준 분배 함수 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열역학적 베타이다.
확률 분포 와 엔트로피 는 각각 다음과 같다.
:
4. 확률론과의 연결
분배 함수는 확률 분포를 정규화하는 역할을 한다. 통계역학의 기본 가정에 따르면, 각 미시 상태의 확률은 볼츠만 인자에 비례한다.
열평형 상태에서, 계가 에너지 $E_i$의 상태를 가질 확률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여기서 $g_i$는 에너지 $E_i$인 상태의 축퇴도이며, 이는 $\mathcal{E}(\omega) = E_i$를 만족하는 상태 $\omega \isin \Omega$의 수이다. 계가 가질 수 있는 에너지 $E_i$에 대한 분자의 합은 다음과 같다.
:
확률 $P(E_i)$의 합은 분배 함수에 의해 1로 정규화된다.
열적 평형(heat bath) ''B''에 내장된 시스템 ''S''를 생각할 때, 두 시스템의 총 에너지를 ''E''라고 하고, ''pi''는 시스템 ''S''가 에너지 ''Ei''를 가진 특정 미시 상태 ''i''에 있을 확률을 나타낸다고 하자. 통계역학의 기본 가정에 따르면, 확률 ''pi''는 총 닫힌계(''S'', ''B'')의 미시 상태 수에 반비례한다. 이와 동등하게, ''pi''는 에너지 $E - E_i$를 가진 열적 평형 ''B''의 미시 상태 수에 비례한다.
:
따라서,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
시스템이 ''어떤'' 미시 상태에 있을 총 확률 (모든 ''pi''의 합)은 1과 같아야 하므로, 비례 상수는 정규화 상수여야 하며, 따라서 분배 함수를 이 상수로 정의할 수 있다.
:
5. 열역학적 변수와의 관계
분배 함수와 계의 다양한 열역학적 매개변수 사이의 관계는 이전 섹션의 방법과 다양한 열역학적 관계를 사용하여 도출할 수 있다.
열역학적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분배 함수의 로그 미분으로 표현된다.
::
에너지의 분산(변화)는 다음과 같다.
::
열용량은 다음과 같이 에너지 변동과 관련된다.
::
일반적으로 확장 변수 ''X''와 집중 변수 ''Y''가 켤레 변수 쌍을 이루는 경우, ''Y''가 고정된 앙상블에서 ''X''의 평균값은 다음과 같다. (부호는 ''X''와 ''Y''의 정의에 따라 달라진다.)
::
''X''의 분산은 다음과 같다.
::
엔트로피는 다음과 같이 분배 함수와 관련된다.
::
여기서 ''A''는 헬름홀츠 자유 에너지(Helmholtz free energy영어)이며, ''A'' = ''U'' − ''TS'' (''U''는 총 에너지, ''S''는 엔트로피)로 정의된다.
헬름홀츠 자유 에너지는 분배 함수를 통해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5. 1. 열역학적 총 에너지 계산
분배 함수의 유용성을 입증하기 위해 총 에너지의 열역학적 값을 계산해 볼 수 있다. 이는 단순히 에너지의 기댓값 또는 앙상블 평균이며, 확률에 따라 가중된 미시상태 에너지의 합이다.[1]::
위 식은 다음과 동등하다.
::[1]
5. 2. 부분 계의 분배 함수
계가 무시할 수 있는 상호작용 에너지를 갖는 ''N''개의 부분 계로 세분화된다고 가정하자. 즉, 입자가 본질적으로 상호작용하지 않는다고 가정할 수 있다. 부분 계의 분배 함수가 ''ζ''1, ''ζ''2, ...''ζ''N인 경우, 전체 계의 분배 함수는 개별 분배 함수의 ''곱''이다.:
부분 계가 동일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 경우 해당 분배 함수는 동일하다. ζ1 = ζ2 = ... = ζ, 이 경우
:
그러나 이 규칙에는 잘 알려진 예외가 있다. 부분계가 실제로 동일 입자라면 원칙적으로도 구별이 불가능하다는 양자 역학적 의미에서 전체 분배 함수를 ''N''! (''N'' 계승)으로 나눈다.
:
이는 미시 상태들의 수를 "과잉 계산"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이 이상한 요구 사항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그러한 계에 대한 열역학적 한계를 두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깁스 역설로 알려져 있다.
고전계에서는 상태 변수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므로 상태별 합을 취할 수 없다. 그래서 거시화를 수행하여 위치와 운동량이 "별로 변하지 않는" 상태를 동일한 상태로 간주한다.
예를 들어, 1차원 공간 내의 1개의 입자로 이루어진 계에서는 양자 상태가 위상 공간에서 "면적"에 1개의 비율로 분포한다고 생각하고, 볼츠만 인자의 위상 공간상의 적분을 나눈 것을 분배 함수로 정의한다.
:
여기서 는 위상 공간상의 점 에서의 해밀토니안이다.
이는 계가 차원 공간 내의 개의 동일 입자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간단하게 확장할 수 있으며,
:
여기서 은 입자를 구별할 수 없다는 것에 의한 상태의 과다 계수를 보정하기 위한 항이다.
계의 해밀토니안이
:
와 같이 독립적인 항으로 분리되고, 대응하는 에너지가
:
와 같이 부분합으로 표현될 경우, 분배 함수는
:
와 같이 곱의 형태로 표현된다.
입자 간의 상호 작용이 없는 입자 수 의 계에서는 분배 함수는 1입자의 분배 함수 에 의해,
:
와 같이 의 승의 형태로 표현된다.
6. 물리적 의미
분배 함수는 "상태의 합"을 의미하며, 각 미시 상태의 확률을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Zustandssumme|"상태의 합"de에서 Z라는 기호가 유래되었다.[1] 분배 함수는 각 미시 상태 j에 대한 확률 Pj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
여기서 는 볼츠만 인자이며, Z는 확률의 총합을 1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1]
분배 함수를 구하는 것은 상태 밀도 함수의 에너지 영역에서 β 영역으로 라플라스 변환을 수행하는 것과 같으며, 분배 함수의 역 라플라스 변환을 통해 에너지의 상태 밀도 함수를 얻을 수 있다.[1]
7. 큰 바른틀 분배 함수
큰 바른틀 앙상블은 열린계를 다루며, 입자 수와 에너지가 모두 변할 수 있다. 큰 분배 함수는 큰 퍼텐셜과 관련되며, 입자 수와 에너지에 대한 확률 분포를 제공한다. 페르미-디랙 통계, 보스-아인슈타인 통계 등 양자 기체의 통계를 유도하는 데 사용된다.[12]
큰 바른틀 분배 함수는 로 표시되며, 미시상태에 대한 다음 합이다.
:
여기서 각 미시상태는 로 표시되며, 총 입자 수 와 총 에너지 를 갖는다. 이 분배 함수는 다음 관계를 통해 큰 퍼텐셜, 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
이는 헬름홀츠 자유 에너지와 관련된 위의 정준 분배 함수와 대조될 수 있다.
큰 바른틀 앙상블의 미시상태 수는 에너지뿐만 아니라 입자 수의 변화도 고려하기 때문에 정준 앙상블보다 훨씬 클 수 있다. 큰 바른틀 분배 함수의 유용성은 시스템이 상태 에 있을 확률과 관련되어 있다.
:
큰 분배 함수는 때때로 다음처럼 대안적인 변수로 표현되기도 한다.[2]
:
여기서 는 절대 활성도 (또는 도피도)로 알려져 있으며 는 정준 분배 함수이다.
8. 독립적인 계로의 분해
계의 해밀토니안이 다음과 같이 독립적인 항으로 분리된다고 가정한다.
:
이에 대응하는 에너지가 다음과 같이 부분합으로 표현될 경우,
:
분배 함수는 다음과 같이 각 항의 분배 함수의 곱으로 표현된다.
:
9. 열역학과 통계역학의 관계
분배 함수는 통계역학을 열역학에 관련시키는 데 중요한 함수이다. 계의 헬름홀츠 자유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온도의 함수로 나타낸 헬름홀츠 자유 에너지는 완전한 열역학 함수이며, 계의 열역학적 성질 전부를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식은 정준 앙상블에서 거시적인 열역학 함수를 미시적인 통계역학에 기초하여 유도하는 식이다.
대분배 함수를 사용하여 정의되는 그랜드 포텐셜은 다음과 같다.
:
온도와 화학 퍼텐셜의 함수로서의 그랜드 포텐셜도 완전한 열역학 함수이며, 그랜드 정준 앙상블에서 통계역학에 기초하여 열역학 함수를 유도하는 식이다.
다른 표현으로, 역온도 함수로 나타낸 다음 함수도 완전한 열역학 함수가 된다.
:
:
를 Massieu function|마슈 함수영어, 를 Kramers function|크라머스 함수영어라고 한다.
10. 상태 밀도, 분배 함수, 큰 분배 함수의 관계
상태 밀도, 분배 함수, 큰 분배 함수는 라플라스 변환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10]
:
등온 등압 앙상블에서 분배 함수를 이용해 다음과 같이 ''T''-''P'' 분배 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
이를 통해 깁스 자유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11. 분배 함수의 예시
이 섹션에서는 통계역학에서 다루는 분배 함수의 구체적인 예시들을 살펴본다.
하위 섹션에서는 조화 진동자와 단원자 분자 이상 기체의 분배 함수를 유도하는 과정을 자세히 설명한다.
11. 1. 조화 진동자
Harmonic oscillator영어는 통계역학에서 다루는 기본적인 모델 중 하나이다. 조화 진동자 모델의 분배 함수는 고전적인 경우와 양자적인 경우에 대해 각각 다르게 계산된다.; 고전계
N개의 독립적인 조화 진동자로 구성된 고전적인 계를 생각한다. 각 조화 진동자는 질량 m과 각진동수 ω를 가지며, 서로 구분 가능하다고 가정한다. 이 때, 각 조화 진동자는 상호작용하지 않으므로, 전체 분배 함수 Z(β, N)는 단일 조화 진동자의 분배 함수 Z(β, 1)의 N제곱으로 주어진다.
:
; 양자계
N개의 독립적인 조화 진동자로 구성된 양자계를 생각한다. 각 조화 진동자는 질량 m과 각진동수 ω를 가진다. 이 때, 단일 조화 진동자의 에너지 고유값은 다음과 같다.
:
전체 시스템의 분배 함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11. 2. 단원자 분자의 이상 기체
N한국어개의 단원자 분자 입자로 구성된 이상 기체의 고전계를 고려한다. 단원자 분자의 질량을 이라고 한다. 번째 입자의 정준 좌표를 , 정준 운동량을 로 하면, 계의 해밀토니안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
는 1입자의 해밀토니안이다. 이때, 분배 함수는 입자 간의 상호 작용이 없으므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즉, 의 곱으로 표현된다. 여기서 의 에 대한 적분은 부피 가 되고, 에 대한 적분은 가 되므로,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
:
참조
[1]
서적
Coherent States: Applications in Physics and Mathematical Physics
World Scientific
1985
[2]
서적
Exactly solved models in statistical mechanics
Academic Press Inc.
1982
[3]
문서
鈴木、荒船、和達、『物理学大辞典』(2005)
[4]
문서
物理学辞典編集委員会、『物理学辞典』(2005)
[5]
문서
에너지의 축퇴가 있는 경우는, 축퇴도의 고려가 필요하게 된다.
[6]
문서
W. グライナー(1999)
[7]
문서
IUPAC (2007)
[8]
문서
橋爪(1981)、第4章、§4
[9]
문서
伏見(2010)、§A.3.2
[10]
서적
統計熱力学の基礎
共立出版
[11]
서적
Coherent States: Applications in Physics and Mathematical Physics
https://archive.org/[...]
World Scientific
1985
[12]
서적
Exactly solved models in statistical mechanics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Inc.
198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