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공식 제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공식 제국은 공식적인 식민 지배 없이 한 국가가 다른 국가에 행사하는 광범위한 영향력을 의미한다. 고대 아테네, 머스코비 회사, 레반트 회사 등에서 그 기원을 찾아볼 수 있으며, 특히 대영 제국은 중국, 남아메리카 등지에서 치외 법권, 자유 무역, 군사력 등을 통해 비공식 제국을 구축했다. 미국은 20세기 외교 정책에서 비공식 제국을 통해 영향력을 확대했으며, 프랑스, 독일, 일본, 러시아, 소련 등도 각자의 방식으로 비공식 제국을 형성했다. 비공식 제국은 경제, 정치, 사회문화 등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치며, 연구를 통해 제국주의의 다양한 양상을 이해하고 그 역사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팽창주의사 - 콘도르 작전
콘도르 작전은 1970년대 남미 군사 독재 정권들이 '마르크스 혁명 세력 제거'를 명분으로 자행한 초국가적 비밀 공작으로, 납치, 고문, 살해 등 극심한 인권 유린을 초래했으며 미국의 묵인 또는 지원 의혹이 있는 잔혹한 작전이다. - 미국의 팽창주의사 - 미국의 영토 변천
미국의 영토 변천은 독립 선언 이후 파리 조약, 루이지애나 매입, 멕시코-미국 전쟁, 하와이 합병, 알래스카 매입 등을 통해 북아메리카 대륙과 태평양, 카리브해 지역으로 확장되었고, 준주 제도 활용, 주 편입, 독립 부여, 신탁통치령 관리, 영토 반환, 배타적 경제 수역 선포 등 다양한 변화를 거쳐 현재 미국 국경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일본식민제국 - 욱일기
욱일기는 태양 문양 주위로 햇살을 그린 깃발로, 일본에서 경사스러운 상징으로 여겨져 왔으나, 일본 제국주의의 상징으로 여겨져 한국 등 피해 국가에서는 사용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다. - 일본식민제국 - 대동아공영권
대동아공영권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이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를 지배하에 두기 위해 내세운 슬로건이었으나, 실제로는 일본의 제국주의적 침략을 정당화하고 자원 수탈과 억압을 자행한 계획이었다. - 대영 제국의 역사 - 미국 독립선언
1776년 7월 4일 제2차 대륙 회의에서 채택된 미국 독립선언은 영국으로부터 13개 식민지가 독립된 주권 국가임을 선언하고, 토머스 제퍼슨이 초안을 작성하여 존 로크의 자연권 사상에 기초, 생명, 자유, 행복 추구권을 천명하며 정부의 권리 침해에 대한 국민의 저항권(혁명권)을 명시한 문서이다. - 대영 제국의 역사 - 밸푸어 선언
밸푸어 선언은 1917년 영국 외무장관이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민족 국가 건설을 지지하는 서한을 보낸 것으로, 비유대인의 권리 침해 금지 단서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 건국과 아랍-이스라엘 분쟁의 배경이 되었다.
비공식 제국 | |
---|---|
개요 | |
개념 | 비공식 제국은 공식적인 식민지 지배나 정치적 통제를 통해서가 아니라 경제적, 군사적, 문화적 영향력을 통해 다른 나라나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국가 또는 제국을 의미함. |
특징 | 공식적인 식민지 지배 없이 영향력 행사 경제적, 군사적, 문화적 우위를 통해 영향력 확대 영향력 하에 있는 국가의 자율성을 부분적으로 인정 |
역사적 사례 | |
대영제국 | 19세기 대영제국은 공식적인 식민지 외에 비공식적인 영향력 행사 남아메리카 국가들과 자유 무역 협정을 통해 경제적 영향력 확대 아르헨티나는 영국의 비공식 제국의 일부로 간주됨 |
미국 | 20세기 이후 미국은 경제력과 군사력을 바탕으로 전 세계에 영향력 행사 특히 라틴 아메리카에서 비공식적인 영향력 행사 바나나 공화국은 미국의 경제적 영향력 하에 있는 국가를 지칭하는 용어 |
소련 | 소련은 동유럽 국가들에 대해 군사적, 정치적 영향력 행사 바르샤바 조약 기구를 통해 동유럽 국가들을 통제 |
현대 중국 | 중국은 일대일로 정책을 통해 개발도상국에 대한 경제적 영향력 확대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한 투자와 차관 제공을 통해 영향력 강화 |
이론적 배경 | |
종속 이론 | 개발도상국이 선진국의 경제적 영향력 하에 종속된다는 이론 선진국은 경제적 우위를 통해 개발도상국의 자원을 착취하고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 |
신제국주의 | 제국주의가 공식적인 식민지 지배 외에 경제적, 문화적 영향력을 통해 지속된다는 이론 다국적 기업과 국제 기구를 통해 선진국은 개발도상국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 |
쟁점 | |
주권 침해 | 비공식 제국은 영향력 하에 있는 국가의 주권을 침해할 수 있다는 비판 존재 |
불평등 심화 | 경제적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개발도상국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 존재 |
책임 소재 불분명 | 공식적인 지배 관계가 아니기 때문에 책임 소재가 불분명하다는 문제 제기 |
2. 비공식 제국의 기원과 개념
아테네는 기원전 5세기에 델로스 동맹을 통제했는데, 이는 비공식적인 제국을 통해 이루어졌다.[1] 역사가 제러미 블랙에 따르면, 머스코비 회사, 레반트 회사, 동인도 회사, 허드슨 베이 회사와 같이 공식적인 국가 채널을 벗어나 운영되는 특허 회사의 역할은 "비공식 제국" 개념의 선구자였다.[2]
2. 1. 초기 개념
아테네는 기원전 5세기에 델로스 동맹을 통제했는데, 이는 비공식적인 제국을 통해 이루어졌다.[1] 역사가 제러미 블랙에 따르면, 머스코비 회사, 레반트 회사, 동인도 회사, 허드슨 베이 회사와 같이 공식적인 국가 채널을 벗어나 운영되는 특허 회사의 역할은 "비공식 제국" 개념의 선구자였다.[2]2. 2. 자유 무역 제국주의
존 갤러거(John Gallagher)와 로널드 로빈슨(Ronald Robinson)은 1953년 논문 "자유 무역의 제국주의"에서 자유 무역 제국주의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은 온라인에서 확인할 수 있다. A. H. Imlah는 1952년 '영국의 국제 수지 및 자본 수출, 1816-1913'에서 관련 내용을 언급했다. G.A. 바튼(Barton)과 B.M. 베넷(Bennett)은 2010년 연구에서 임업이 외교 정책에 미친 영향과 영국-샴 관계, 그리고 1883-1925년 북부 시암의 티크 숲에서 영국의 비공식 제국 기원을 다루었다.3. 주요 국가별 비공식 제국
3. 1. 영국
"비공식 제국"이라는 용어는 주로 대영 제국의 공식적인 일부가 아니었던, 즉 식민지가 아니고 영국 정부에 의해 직접적으로 통치되지 않았던 지역과 국가에 대한 영국의 광범위한 영향력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3] 영국 비공식 제국의 가장 두드러진 요소 중 하나는 청나라와의 무역 관계였으며, 남아메리카에 대한 영국의 상업적 이익과 투자도 포함되었다.[4]비공식 제국은 치외 법권, 서방 열강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무역 시스템, 군사력과 외교관이 행사하는 비공식적인 권력과 같은 개입주의적 도구로 구성되었다. 중국에서 비공식적인 통제의 가장 중요한 원천은 상하이 조계였으며, 여러 불평등 조약이 중국과 서방 세계 사이에 체결되어 상하이 국제 조계와 같은 조계가 설정되었다.[5] 전쟁 배상금, 외국 은행, 준 독점, 중국 정부 수입 압류, 광업권, 외국 기술 또는 행정 통제를 규정하는 대출 계약, 시장 가격 이상의 공급 계약을 통해 "제국"의 재정적 존재가 확립되었다.[5] 이 시스템은 1916년 군벌 시대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중국이 분열된 후 붕괴되었다.[5] 다른 유럽 열강과 미국의 도전은 세기 전환기에 더욱 비공식적인 통제에서 공식적인 통제로의 전환을 가져왔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반환되었다.[6] 러시아 내전에 대한 영국의 군사 개입은 부분적으로 남부 러시아에서 정치적 영향력과 경제적 유대를 가진 비공식 제국을 건설하려는 욕망에 의해 동기 부여되었다.[7]
비공식 제국은 분류하기 어렵고 규범적인 정의로 축소하기 어렵다. 중국은 모든 외국 통제에 격렬하게 반대했으며, 아편 전쟁과 제2차 아편 전쟁 모두 중국과 여러 서방 열강 사이에 벌어져 중국이 패배하고 공식적 및 비공식적 외국 세력이 증가했다.[8] 남아메리카 정부는 종종 영국의 상업적 영향력 확장에 기꺼이 동참했지만, 때로는 군사적 조치가 취해지기도 했다.[8] 비공식 제국은 공식 제국과 구별되지만 종종 공식 제국의 이익과 묶여 있다. 예를 들어, 중국의 영국 비공식 제국은 인도 동인도 회사의 산물이었으며, 동인도 회사는 인도 영토를 사용하여 아편을 재배한 다음 중국 항구로 운송했다. 1850년까지 중국 아편 무역은 대영 제국 전체 수입의 최대 20%를 차지했다.[9] 티모시 브룩과 밥 와카바야시는 아편 무역에 대해 "대영 제국은 다른 어떤 상품이라도 은으로 바꿀 수 있는 물질인 가장 중요한 자본 원천을 박탈당하면 살아남을 수 없었을 것입니다."라고 적고 있다.[10]
경제 분야에서 영국 비공식 제국은 제국의 자유 무역 경제 시스템에 의해 주도되었다. 로널드 로빈슨과 존 "잭" 갤러거는 자유 무역의 제국주의 테제에서 대영 제국은 식민지에 대한 공식적인 지배권을 획득하는 것만큼이나 비공식 제국의 성장으로 확장되었다고 주장했다.[11] 1815년에서 1880년 사이에 1,187,000,000파운드의 신용이 해외에 축적되었지만, 6분의 1 미만이 공식 제국에 배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1913년까지도 외국 투자의 3,975,000,000파운드 중 절반 미만이 공식 제국 내에 있었다.[12] 영국의 역사가 데이비드 레이놀즈는 탈식민지화 과정에서 쇠퇴하는 공식 제국의 대안으로 경제적 유대와 방위 조약으로 특징지어지는 비공식적 영향력이 식민지에서 우위를 차지할 것으로 기대했다고 주장했다. 레이놀즈는 영연방의 설립이 새롭게 독립한 국가들에 대한 간접적인 영향력의 형태를 유지하려는 시도였다고 제안했다.[13]
3. 2. 미국
19세기 후반부터 그로버 클리블랜드, 시어도어 루스벨트, 우드로 윌슨과 뉴딜 지도자들과 같은 미국 대통령들의 통치 하에, 미국의 외교 정책은 "비공식 제국"으로 묘사되어 왔다.[14] 20세기 미국의 외교 정책은 우호적인 정권, 군사 기지 및 개입, 경제적 압력을 통해 국제적인 영향력을 구축하는 것으로, 유럽 식민 강대국의 비공식 제국과 비교되었다.[15]이 정책은 때로는 강제로 구축된 엘리트와의 종속 관계, 강대국의 이익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거부권 행사, 그리고 외교적 목표 달성을 위한 군사적 위협, 정권 교체 또는 다자간 압력의 사용을 포함했다. 이 정책은 수출과 투자를 위한 시장을 창출하고 자본가들의 수익성을 개선함으로써 강대국에 이익이 되는 국제 경제 질서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5] 이러한 개방 경제에 대한 약속은 선택적으로 적용되며, 자국 생산자에게 이익이 될 때만 적용된다. 필리핀, 베트남, 이라크, 이란, 칠레는 이러한 정책이 시행된 사례이다.[15]
이 정책은 브라이언 국무장관에 의해 "모든 약소국의 문을 미국 자본과 기업의 침략에 개방했다"라고 요약되었다.[16] 비공식 제국 하에서, 미국과 원자재를 공급하는 국가들과의 관계는 매우 불균형해졌으며, 그들의 부의 대부분이 미국으로 회수되었다. 이는 또한 지역 개발을 희생하면서, (종종 권위주의적인) 친미 정권 지도자들에게 불균형적으로 이익을 주었다.[17] 미국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공식적인 제국주의에서 비공식적인 제국주의로 전환했는데, 이는 미국인들의 식민주의에 대한 열망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변화된 국제 정세 때문이었다. 세계 대부분이 이미 식민지로 조직되어 있었기 때문에, 미국의 정책 입안자들은 새로운 식민지를 건설하는 대신 기존의 식민 제국 네트워크를 활용하기로 결정했다. 미국은 또한 반제국주의 민족주의 운동이 부상함에 따라 소련에 대항하기 위한 동맹국을 확보하기 위해 이에 적응해야 했다.[18]
3. 3. 프랑스
프랑스의 멕시코 개입(1838년, 1861년)과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등 라틴 아메리카의 다른 지역에서의 개입 또한 "비공식 제국"으로 묘사되어 왔다.[19] 프랑스는 영토를 점령할 의도로 개입하지 않았으며, 대신 제국 관계는 조약에 의해 규정되었다. 개입은 프랑스 이상과 프랑스 권력을 자아 실현의 수단으로 삼았던 지역 인구의 상당 부분에 근거했다.[20] 아프리카의 탈식민화는 많은 옛 식민지를 ''프랑스아프리크''(Françafrique)로 알려진 프랑스 비공식 제국 하의 종속국으로 전환시켰다. 아프리카 문제 담당 비서실장 자크 포카르는 프랑스 정부와 새로운 아프리카 엘리트 간의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인물이었다. 이 네트워크의 목적은 프랑스의 자본 축적을 돕는 것이었다.[21]3. 4. 독일
19세기, 1871년에 결성된 독일 제국의 지도부는 식민 제국을 획득하려 했으나, 세계 대부분 지역에서 이미 영국의 상업적 영향력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독일 제국은 공식적인 독일 식민 제국이 된 다양한 식민지를 정복했지만, 1914년 이전에도 영국 모델을 기반으로 한 비공식 제국을 건설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남아메리카에서 독일의 무역과 영향력은 이 계획된 비공식 제국에서 중요한 요인이었다.[22] 비공식 제국 건설 시도는 라인 선교 협회를 포함하여 독일 제국 이전에 시작되었다.[22]1800년대 대부분 기간 동안, 카를 폰 코제리츠는 브라질에 독일인들의 "그리스 식민지화"를 옹호한 인물 중 한 명이었다.[22][23] 결국 브라질 제국으로의 독일 이민에 불과했지만, 이는 일종의 식민 공간으로 인식되었다.[23] 독일 기업들은 아르헨티나의 산업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독일 은행들은 남아메리카에서 영국의 은행들과 경쟁했으며, 인프라 건설은 비공식 제국을 확장하는 방법으로 여겨졌다.[22][24]
독일은 베를린-바그다드 철도에 투자했는데, 이는 아시아에서 공식적, 비공식적 제국을 건설하는 그레이트 게임을 벌이던 영국과 러시아와의 긴장을 유발했다. 1902-1903년 베네수엘라 위기는 영국과 독일이 주도하여 영향력 확장을 시도한 또 다른 사례였다.[25]
3. 5. 일본
1895년부터 제2차 세계 대전 발발까지 일본의 중국에 대한 외교 및 군사 개입은 비공식 제국으로 묘사된다.[26] 일본은 영토 확장에 대한 서방의 반대를 극복할 힘이 부족하여 비공식적인 조건하에 영토 야욕을 숨길 수밖에 없었다.[26] 일본은 서방의 이익을 자국의 이익과 함께 증진시키면서 중국 내에서 특권을 확대했다.[26] 일본은 중국에서의 비공식 제국을 통해 막대한 이익을 얻었으며, 일본 최초의 다국적 제조 기업들은 중국의 광대한 내수 시장과 원자재 공급으로 인해 일본의 공식 식민지가 아닌 중국에서 시작되었다.[26] 일본 제국주의 기관을 몰아내려는 중국 민중의 압력은 일본이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비공식 제국주의에서 공식 제국주의로 전환하려는 시도로 이어졌고, 이는 아시아에서의 제2차 세계 대전의 시작을 알렸다.[26]3. 6. 러시아
로마노프 왕조 치하의 러시아 제국은 공식적인 제국 외에도 비공식적인 제국을 발전시켰다. 카자르 왕조에 대한 러시아의 영향력[27][28]과 중국의 임대 특허지(concessions) 등이 그 예이다.[29]1828년 투르크만차이 조약 이후 러시아는 이란에서 영토 지배권을 얻었다. 로마노프 왕조는 약화된 카자르 왕조에 대한 '비공식적 지원' 정책으로 전환하여, 투르키스탄에서 진출하며 카자르 왕조의 중요한 변경 지역에 압력을 가했고, 이로써 러시아의 카자르 페르시아 지배는 거의 한 세기 동안 지속되었다.[27][30] 페르시아 군주는 러시아 외교관들이 이란의 실세가 되고, 군주가 영국과 러시아의 차관에 의존하게 되면서 상징적인 개념에 더 가까워졌다.[27] 1879년, 러시아 장교들이 페르시아 코사크 여단을 창설하면서 러시아 제국은 카자르 군대의 현대화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1890년대에 러시아인 가정교사, 의사, 장교들이 샤의 궁정에 나타나 정책에 개인적으로 영향을 미쳤다.[27][31] 러시아와 영국은 이란의 산업화에 대한 경쟁적인 투자를 했지만, 1907년까지 그레이트 게임의 경쟁이 너무 심해서, 상호간의 배타적 요구로 19세기 말 모든 철도 건설이 봉쇄되었다.[28] 1907년 영-러 협약에서 러시아 제국과 대영 제국은 공식적으로 경쟁을 종식하고 독일 제국에 대항하는 데 집중했다. 1907년 협약에서 러시아는 아프가니스탄과 이란 남부를 영국의 영향권으로, 영국은 중앙아시아와 이란 북부를 러시아의 영향권으로 인정했다.[32]
러시아 제국은 랴오둥 반도(뤼순커우 구 및 다롄)와 중국 동청 철도를 포함한 중국의 여러 특허지를 획득했다.[33] 러시아의 비공식 제국의 이 부분은 1905년 러일 전쟁으로 좌절되었고,[29] 그 후 중국의 러시아 특허지의 대부분은 일본의 비공식 제국으로 편입되었다.[34]
샐리 N. 커밍스(Sally N. Cummings)는 "러시아 제국주의는 결코 상업적인 측면이 우선적이지 않았고" "영국보다 국경 밖의 비공식 제국을 통제하는 능력이 덜했다"고 주장하지만, 간접 통치의 요소가 있는 여러 제국주의적 관계가 존재했다. 러시아 차르국 초기의 시베리아 "야사크 모피 제국"은 뉴 프랑스의 프랑스 북아메리카 모피 무역 제국과 매우 유사했고, 19세기 러시아의 중앙아시아 정복은 영국령 이집트의 면화 산업을 경제 모델로, 영국령 인도 제국의 번왕국에 대한 영국의 종주권을 영토 모델로 사용했다.[35]
3. 7. 소련
여러 학자들은 소련이 영향력 아래 있는 국가들을 지배하는 소련 제국으로 묘사했는데, 이는 민족주의와 제국주의에 반대한다는 소련의 공식적인 입장과는 상반된다.[36] "소련 제국"이라는 개념은 종종 혁명적 국가를 창조하기보다는 기독교나 군주제와 같은 기존 제국 이데올로기를 대체하는 공산주의를 가진 "고전적" 또는 "식민지적" 제국의 한 형태로 여겨진다.[36]특히 비 스탈린 시대에 대한 또 다른 견해는 소련의 압력과 군사적 주둔으로 인해 바르샤바 조약기구 내 명목상 주권 국가에 대한 소련 제국이 "비공식 제국"을 구성한다고 본다.[37] 소련의 비공식 제국은 모스크바의 보조금에 의존했으며,[38] 바르샤바 조약기구의 더 넓은 범위의 비공식 제국은 공산당 간의 연계도 포함했다.[39] 드미트리 트레닌은 1980년까지 소련이 공식 및 비공식 제국을 모두 형성했다고 썼다.[40]
비공식 제국은 소련의 경제적 투자, 군사 점령, 그리고 소련과 동맹 관계에 있는 국가에서의 비밀 작전을 포함했을 것이다. 비공식 제국에 대한 연구는 동독[39]과 1930년대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대한 소련의 영향력을 포함했다.[41][42] 중소 분쟁 (1929년) 이후 소련은 러시아 제국이 중국 동청 철도에 부여한 치외법권을 되찾았고, 이는 1952년 반환될 때까지 유지되었다.[43] 1920년대에 소련 제국은 위성 인민 공화국인 몽골 인민 공화국과 투바 인민 공화국을 포함하게 되었으며, 후자는 나중에 합병되었다. 코민테른이 아시아 공산당에 미치는 영향력은 소련의 비공식 제국을 확장하기 위한 잠재적인 디딤돌로 여겨졌다.[44]
알렉산더 웬트는 스탈린의 일국 사회주의 정렬 시점에 사회주의적 국제주의가 소련 내부에서 사회주의적 국제주의라는 미명하에 "혁명보다는 통제의 이데올로기로 발전했다"고 시사했다. 냉전이 시작되면서 그것은 다시 국제적이지만 소련의 비공식 제국에 적용되는 "암호화된 권력 언어"로 발전했다.[39]
소련의 붕괴를 분석하면서 코즐로스키와 프리드리히 크라토흐빌은 바르샤바 조약기구로 대표되는 전후 소련의 "공식 제국"이 1970년대 후반부터 1989년까지 비공식적인 종주권 또는 "오스만화"로 발전했다고 주장했다.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1989년에 브레즈네프 독트린을 포기하면서 비공식 제국은 1991년 소련의 몰락까지 핀란드화와 유사하지만 옛 동구권 국가에 적용되는 보다 전통적인 영향권으로 압력이 감소했다.[45][46]
4. 비공식 제국의 영향과 결과
4. 1. 경제적 영향
4. 2. 정치적 영향
4. 3. 사회문화적 영향
4. 4. 대한제국과 비공식 제국
5. 비공식 제국 연구의 의의와 과제
5. 1. 비공식 제국 연구의 의의
5. 2. 비공식 제국 연구의 과제
참조
[1]
서적
The British Empire: A History and a Debate
Ashgate Publishing
2015
[2]
서적
The British Empire: A History and a Debate
Ashgate Publishing
2015
[3]
웹사이트
British Empire
https://www.britanni[...]
2023-12-05
[4]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British Empire: The nine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5]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BRITISH EMPIRE VOLUME III The Nineteenth Century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6]
서적
Encyclopedia of Chinese-American Relation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5
[7]
서적
The British Empire: A History and a Debate
Ashgate Publishing
2015
[8]
서적
The Opium War: Drugs, Dreams, and the Making of Modern China
https://books.google[...]
Overlook Press
2015-11-10
[9]
서적
The Canton Trade in the Opium War," in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 10, Late Ch'ing, 1800–1911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8
[10]
서적
Opium Regimes: China, Britain, and Japan, 1839–1952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0
[11]
웹사이트
John Gallagher and Ronald Robinson, "The Imperialism of Free Trade," the Economic History Review, Second series, Vol. VI, no. 1 (1953)
http://www.mtholyoke[...]
2008-12-25
[12]
문서
A.. H. Imlah, 'British Balance of Payments and Exports of Capital, 1816-1913', Econ. Hist. Rev. 2nd ser. V (1952), pp. 237, 239; Hancock, op. cit. p. 27.
[13]
웹사이트
Was British Decolonization after 1945 a Voluntary Process?
http://www.e-ir.info[...]
2015-06-22
[14]
서적
The Tragedy of American Diplomacy
W. W. Norton & Company
2009
[15]
서적
Imperialism and the Developing World: How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Shaped the Global Periphery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16]
서적
The Tragedy of American Diplomacy
W. W. Norton & Company
2009
[17]
서적
The Tragedy of American Diplomacy
W. W. Norton & Company
2009
[18]
서적
Patterns of Empire: The British and American Empires, 1688 to the Pres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19]
서적
France, Mexico and Informal Empire in Latin America, 1820-1867: Equilibrium in the New World
Springer
2018
[20]
서적
France, Mexico and Informal Empire in Latin America, 1820-1867: Equilibrium in the New World
Springer
2018
[21]
서적
Crude Domination: An Anthropology of Oil
Berghahn Books
2011
[22]
간행물
German Informal Imperialism in South America before 1914
https://www.jstor.or[...]
1978
[23]
간행물
The Ambivalence of Slavery, The Certainty of Germanness: Representations of Slave-Holding and Its Impact Among German Settlers in Brazil, 1820–1889: Figure 1
2015-08-17
[24]
논문
Germany and Latin America – Developing Infrastructure and Foreign Policy, 1871-1914
https://oaktrust.lib[...]
2018-11-26
[25]
문서
Formal and Informal Empire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2-08
[26]
서적
The Japanese Informal Empire in China, 1895-1937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27]
간행물
"All Rulers are Brothers": Russian Relations with the Iranian Monarchy in the Nineteenth Century
https://www.jstor.or[...]
2013
[28]
서적
Russia and Iran in the great game : travelogues and Orientalis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9]
서적
The Treaty of Portsmouth and Its Legacies
https://books.google[...]
UPNE
2008
[30]
서적
The Small Players of the Great Game: The Settlement of Iran's Eastern Borderlands and the Creation of Afghanista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07-31
[31]
웹사이트
RUSSIA v. RUSSIANS AT THE COURT OF MOḤAMMAD-ʿALI SHAH
https://iranicaonlin[...]
2022-05-19
[32]
웹사이트
ANGLO-RUSSIAN CONVENTION OF 1907
https://iranicaonlin[...]
2021-08-22
[33]
간행물
Regionalisms and Imperialisms in the Making of the Russian Far East, 1903–1926
2018
[34]
서적
Japanese Imperialism 1894–1945
https://oxford.unive[...]
Oxford University Press
1991-04-04
[35]
서적
Sovereignty After Empire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2-09-11
[36]
서적
Struggle Over Identity: The Official and the Alternative "Belarusianness"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10-01-01
[37]
서적
The International Politics of Eurasia: v. 9: The End of Empire? Comparative Perspectives on the Soviet Collaps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9-16
[38]
서적
Empire and International Orde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5-06
[39]
간행물
Hierarchy under anarchy: informal empire and the East German state
https://www.cambridg[...]
1995
[40]
웹사이트
Russia's Post-Imperial Condition
https://carnegiemosc[...]
2022-02-08
[41]
간행물
The Spatial Legacy of Informal Empire: Oil, the Soviet Union, and the Contours of Economic Development in China's Far West
https://doi.org/10.1[...]
2015-10-01
[42]
간행물
Industrial Raw Materials and the Construction of Informal Empire
https://chicago.univ[...]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8
[43]
간행물
The Soviet Union's Secret Diplomacy Concerning the Chinese Eastern Railway, 1924–1925
https://www.cambridg[...]
1994
[44]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 in Asia: From Baku to Batav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12-30
[45]
서적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and the End of the Cold War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5
[46]
간행물
Understanding Change in International Politics: The Soviet Empire's Demise and the International System
https://www.jstor.or[...]
1994
[47]
간행물
A World History of Nineteenth-Century Archae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48]
간행물
European Informal Empire in China, the Ottoman Empire, and Egypt: Hierarchy and Informal Empire in Historical Context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49]
간행물
Informal Empire and the Middle East
https://doi.org/10.1[...]
Palgrave Macmillan UK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