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마바자우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마바자우어군은 9개의 언어로 구성된 언어군으로, 필리핀 남부, 동비사야스,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보르네오 사바 지역 등지에 분포한다. 이 언어군은 보르네오섬 동남부에서 기원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필리핀 계열과 인도네시아 계열 언어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다. 사마바자우어군은 다양한 방언과 독특한 음운론적 특징을 가지며, 능동/수동 교체, 격 표시, 어순 등 문법적인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마바자우어군 - 야칸어
    야칸어는 필리핀 바실란 섬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5개의 모음과 다양한 자음으로 이루어진 음운 체계를 가지며 일부 자음은 장음으로 나타나고 특정 문자 조합이 특정 발음을 나타내는 철자 규칙을 가진다.
사마바자우어군
개요
언어 계통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어파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어군(확대 바리토어군)?
조어Proto-Sama–Bajaw
글롯토로그sama1302
글롯토로그 명칭Sama–Bajaw
사용 지역
주요 사용 지역술루 제도와 빌리란주, 필리핀, 보르네오, 술라웨시, 말루쿠, 인도네시아

2. 언어

사마바자우어군의 분류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있다. Pallesen (1985)은 사마바자우어를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3]


  • '''사마바자우어'''
  • * 아바크논어
  • * 야칸어: 북부 야칸어, 남부 야칸어
  • * 시부게이어 (사마 바투안)
  • * 술루-보르네오어
  • ** 서술루어: 사마 팡우타란어, 사마 우비안어
  • ** 내부 술루어

북술루어: 타그타분 발랑기기크어, 통킬 발랑기기크어, 린군간어, 파니가얀 발랑기기크어, 란당-구악어, 마티어, 사마 다옹동어, 카윗 발랑기기크어, 카룬둥어, 필라스어
중술루어: 사마 카울룽간어, 사마 딜라우트어, 사마 카빙간어, 사마 무수크어, 사마 라미누사어, 사마 발림빙어, 사마 반나라어, 사마 방아우-방아우어, 남부 우비안어
남술루어: 사마 탄두크-바아스어, 사마 시문룰어, 사마 파후트어, 사마 시부투크어, 사마 삼풀나크어
사마 루탕간어, 사마 시부쿠크어

  • ** 보르네오 해안

자마 마푼어
사바 육지 바자우어: 코타 벨루드 바자우어, 카왕 바자우어, 파파르 바자우어, 방기 바자우어, 푸타탄 바자우어
인도네시아 바자우어: 술라무어, 카조아어, 로티어, 자야 박티어, 포소어, 토기안 1, 왈라세어, 토기안 2, 미나하사

한편, 에스놀로그(Ethnologue)는 상호 이해 가능성을 기준으로 시나마어를 7개의 언어로 분류한다. 이 7개 언어는 북부 시나마어, 중부 시나마어, 남부 시나마어, 팡우타란 섬에서 유래한 시나마 팡우타란어, 마푼어, 사바 서해안 바자우어, 인도네시아 바자우어이다. 과거 카가얀 데 술루로 알려졌던 마푼 섬의 언어인 자마 마푼어는 관련 언어이며 때때로 시나마어로도 불린다. 이러한 분류는 사마인들이 자신들의 언어를 기원하는 마을이나 섬에 따라 분류하는 방식과는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실룸팍, 라미누사, 타바완과 같은 사마인의 언어 분류는 일반적으로 에스놀로그가 제시하는 7개 시나마 또는 바자우어의 다른 방언으로 간주된다.

에스놀로그는 서안 바자우어, 인도네시아 바자우어, 마푼어를 묶어 '보르네오 해안 바자우어' 분기로 분류한다.

2. 1. 주요 언어

Grimes (2003)에 따르면 사마바자우어군에는 9개의 언어가 속한다.[26] 이 언어들과 주요 사용 지역은 다음과 같다.

언어주요 사용 지역
발랑잉이어 (북사마어)필리핀 술루 지방
중앙 사마어필리핀 술루 지방
남사마어필리핀 술루 지방
팡우타란 사마어필리핀 술루 지방
마푼어필리핀 술루 지방
야칸어필리핀 술루 지방
아바크논어필리핀 동비사야스 지방
인도네시아 바자우어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
서안 바자우어말레이시아 사바주 (보르네오섬)



처음 여섯 개 언어는 주로 필리핀 남부의 술루 지방에서 사용되며, 아바크논어는 필리핀의 동비사야스 지방에서 쓰인다. 인도네시아 바자우어는 주로 인도네시아술라웨시섬에서, 서안 바자우어는 말레이시아 사바주가 위치한 보르네오섬 서안에서 사용된다. 각 언어에는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26]

로버트 블러스트 (Robert Blust, 2006)는 어휘적 증거를 바탕으로 사마바자우어군이 보르네오섬 동남부의 바리토강 지역에서 기원했지만, 기존의 바리토어군 하위 분류에는 속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27] 언어학 데이터베이스인 에스놀로그는 이러한 견해를 받아들여, 바리토어군과 사마바자우어군을 묶어 '확대 바리토어군'(Greater Barito)으로 분류한다.

2. 2. 언어 사용 지역

Grimes (2003)에 따르면 사마바자우어군에는 9개의 언어가 속하며[26], 이 언어들은 주로 필리핀 남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보르네오섬 등지에 분포한다. 각 언어에는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1] 각 언어의 주요 사용 지역은 다음과 같다.

언어주요 사용 지역상세 분포 지역 (Ethnologue 기준)
발랑잉이어 (북사마어)필리핀 (술루 지방)민다나오 서부, 술루 제도의 홀로 북동쪽, 삼보앙가 해안 반도와 섬, 바실란 섬.
* 북부 사마어 방언: 루손, 수빅 만 근처 화이트 비치.
* 루탕안 방언: 올루탕가 섬. 아마도 루손과 팔라완에도 존재.
중앙 사마어필리핀 (술루 지방 등)술루 및 타위타위 주 (시아시, 타바완, 봉가오, 시탕카이, 카가얀 데 술루 섬), 바실란 섬 (말루소, 말라마위, 보헤' 롭봉), 삼보앙가 델 수르 주 (리오 혼도, 바투안 룸바야우, 탈루크 상가이, 상갈리), 삼보앙가 델 노르테 주 (올루탕가), 다바오 시 (이슬라 베르데, 사사), 카가얀 데 오로, 세부, 타그빌라란, 푸에르토 프린세사, 팔라완, 바탕가스.
남사마어필리핀 (술루 지방), 인도네시아 (동 칼리만탄)타위타위 섬 주 (타위타위, 시무눌, 시부투, 기타 주요 섬), 동 칼리만탄 (베라우).
팡우타란 사마어필리핀 (술루 지방, 팔라완)홀로 서쪽에 위치한 팡구타란 섬, 남부 팔라완의 카가얀 데 타위타위.
마푼어필리핀 (술루 지방)필리핀 타위타위의 카가얀 데 술루 (마푼) 섬.
야칸어필리핀 (술루 지방)바실란 섬과 주변의 작은 섬, 사콜 섬, 삼보앙가 동부 해안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내륙에 집중되는 경향).
아바크논어필리핀 (동비사야스 지방)북사마르 주, 카풀 섬. (사마르와 루손의 비콜 반도 사이 산 베르나르디노 해협에 위치).
인도네시아 바자우어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 누사 틍가라, 말루쿠 우타라)술라웨시와 누사 틍가라 전역. 또한 할마헤라 섬 남서쪽 바칸 제도, 오비 제도, 카요아, 술라 제도의 말루쿠 우타라 주.
서안 바자우어 (서부 해안 바자우)말레이시아 (사바주)말레이시아 사바주의 서부 해안 파파르 지역에서 쿠닷 지역까지 분포 (주로 투아란 및 코타 벨루드 마을), 쿠닷 지역 (방기 섬 텔루투 마을), 피타스 지역 (서부 해안과 멩쿠바우 라우트, 멩카폰 등 여러 마을). 사바의 바자우 동부 해안과 상호 이해도를 가짐.


3. 기원 및 분류

Grimes (2003)에 따르면 사마바자우어군은 9개의 언어로 구성된다.[26] 이 언어들은 주로 필리핀 남부의 술루 지방, 동비사야스 지방, 인도네시아술라웨시섬, 말레이시아 보르네오섬사바주 등지에 분포하며[26], 각 언어는 다양한 방언을 가지고 있다.[26]

언어학자 로버트 블러스트는 2006년 어휘적 증거를 통해 사마바자우어군이 보르네오섬 동남부 바리토강 유역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을 제기했으나, 기존의 바리토어군 하위 분류에는 직접 속하지 않는다고 보았다.[27] 에스놀로그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바리토어군과 사마바자우어군을 묶어 확대 바리토어군(Greater Baritoeng)으로 분류하기도 한다.[27] 사마바자우어군의 상세한 내부 분류에 대해서는 여러 학자들의 연구가 있으며, 대표적인 분류 체계는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Pallesen의 분류

Pallesen(1985:18)은 사마바자우어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사마바자우어'''
  • * ''아바크논어''
  • * ''야칸어'': 북부 야칸어, 남부 야칸어
  • * 시부게이어 (''사마 바투안'')
  • * 술루-보르네오어
  • ** ''서술루어'': 사마 팡우타란어, 사마 우비안어
  • ** 내부 술루어

''북술루어'': 타그타분 발랑기기크어, 통킬 발랑기기크어, 린군간어, 파니가얀 발랑기기크어, 란당-구악어, 마티어, 사마 다옹동어, 카윗 발랑기기크어, 카룬둥어, 필라스어
''중술루어'': 사마 카울룽간어, 사마 딜라우트어, 사마 카빙간어, 사마 무수크어, 사마 라미누사어, 사마 발림빙어, 사마 반나라어, 사마 방아우-방아우어, 남부 우비안어
''남술루어'': 사마 탄두크-바아스어, 사마 시문룰어, 사마 파후트어, 사마 시부투크어, 사마 삼풀나크어
''사마 루탕간어'', ''사마 시부쿠크어''

  • ** 보르네오 해안

''자마 마푼어''
''사바 육지 바자우어'': 코타 벨루드 바자우어, 카왕 바자우어, 파파르 바자우어, 방기 바자우어, 푸타탄 바자우어
''인도네시아 바자우어'': 술라무어, 카조아어, 로티어, 자야 박티어, 포소어, 토기안 1, 왈라세어, 토기안 2, 미나하사

''에스놀로그''는 상호 이해 가능성을 기반으로 시나마어를 7개의 언어로 나눈다. 7개의 시나마어는 북부 시나마어, 중부 시나마어, 남부 시나마어, 졸로 섬 인근 팡우타란에서 유래된 시나마 팡우타란어, 마푼어, 사바 서해안 바자우어, 인도네시아 바자우어이다. 과거에는 카가얀 데 술루로 알려졌던 마푼 섬의 언어인 자마 마푼어는 관련 언어이며 때때로 시나마어로도 불린다. 이러한 분류는 사마인들이 자신들의 언어를 기원하는 마을이나 섬에 따라 분류하는 대신 거의 인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실룸팍, 라미누사, 타바완과 같은 사마인의 언어에 대한 에믹 분류는 일반적으로 7개의 시나마 또는 바자우어의 다른 방언을 형성한다.

웨스트 코스트 바자우어, 인도네시아 바자우어, 마푼어는 함께 ''에스놀로그''에서 ''보르네오 해안 바자우어'' 분기를 구성한다.

3. 2. Ethnologue의 분류

Grimes (2003)가 제시하고 에스놀로그가 따르는 사마바자우어군의 9개 언어 목록은 다음과 같다.[26][1]

  • 발랑잉이어 (북사마어)
  • 중앙 사마어
  • 남사마어
  • 팡우타란 사마어
  • 마푼어
  • 야칸어
  • 아바크논어
  • 인도네시아 바자우어
  • 서안 바자우어


이 중 처음 6개 언어는 필리핀 남부의 술루 지방에서 주로 사용된다. 아바크논어는 필리핀동비사야스 지방에서, 인도네시아 바자우어는 주로 술라웨시섬에서, 서안 바자우어는 보르네오섬사바주에서 사용된다.[26][1] 각 언어에는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26][1]

에스놀로그로버트 블러스트 (2006)의 연구 결과를 받아들여[27][2], 사마바자우어군이 보르네오섬 동남부 바리토강 유역에서 기원했지만 기존의 바리토어군에는 직접 속하지 않는다고 본다. 대신 바리토어군과 사마바자우어군을 묶어 확대 바리토어군(Greater Baritoeng)으로 분류한다.[27][2]

또한 에스놀로그는 시나마어(Sinama)를 상호 의사소통 가능성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7개 언어로 나눈다. 이는 사마족 사람들이 자신들의 언어를 출신 마을이나 섬에 따라 구별하는 방식과는 차이가 있다.

  • 북부 시나마어 (발랑잉이어)
  • 중부 시나마어
  • 남부 시나마어
  • 시나마 팡우타란어 (팡우타란 사마어)
  • 마푼어 (자마 마푼어)
  • 사바 서안 바자우어
  • 인도네시아 바자우어


이 분류 체계에서 서안 바자우어, 인도네시아 바자우어, 마푼어는 '보르네오 해안 바자우어'(Borneo Coast Bajaw)라는 하위 분류를 형성한다.

3. 3. 방언

Grimes (2003)에 따르면 사마바자우어군에는 9개의 언어가 속한다.[26][1]

# 발랑잉이어 (Bangingi'; 북사마어)

# 중앙 사마어 (Siasa Sama)

# 남사마어 (Sinama)

# 팡우타란 사마어

# 마푼어 (Kagayan)

# 야칸어

# 아바크논어 (Inabaknon)

# 인도네시아 바자우어

# 서안 바자우어

이 중 첫 여섯 개 언어는 필리핀 남부의 술루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아바크논어는 필리핀의 동비사야스 지방에서 쓰이며, 인도네시아 바자우어는 주로 술라웨시에서, 서안 바자우어는 보르네오섬사바에서 사용된다. 각 언어에는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26][1]

로버트 블러스트 (2006)는 어휘적 증거를 바탕으로 사마바자우어군이 보르네오섬 동남부의 바리토강 지역에서 기원했지만, 기존의 바리토어군 하위 분류에는 속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27][2] 에스놀로그는 이를 따라 사마바자우어군과 바리토어군을 묶어 확대 바리토어군으로 분류하기도 한다.[2]

Pallesen(1985:18)은 사마바자우어군을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사마바자우어'''
  • * ''아바크논어''
  • * ''야칸어'': 북부 야칸어, 남부 야칸어
  • * 시부게이어 (''사마 바투안'')
  • * 술루-보르네오어
  • ** ''서술루어'': 사마 팡우타란어, 사마 우비안어
  • ** 내부 술루어

''북술루어'': 타그타분 발랑기기크어, 통킬 발랑기기크어, 린군간어, 파니가얀 발랑기기크어, 란당-구악어, 마티어, 사마 다옹동어, 카윗 발랑기기크어, 카룬둥어, 필라스어
''중술루어'': 사마 카울룽간어, 사마 딜라우트어, 사마 카빙간어, 사마 무수크어, 사마 라미누사어, 사마 발림빙어, 사마 반나라어, 사마 방아우-방아우어, 남부 우비안어
''남술루어'': 사마 탄두크-바아스어, 사마 시문룰어, 사마 파후트어, 사마 시부투크어, 사마 삼풀나크어
''사마 루탕간어'', ''사마 시부쿠크어''

  • ** 보르네오 해안

''자마 마푼어''
''사바 육지 바자우어'': 코타 벨루드 바자우어, 카왕 바자우어, 파파르 바자우어, 방기 바자우어, 푸타탄 바자우어
''인도네시아 바자우어'': 술라무어, 카조아어, 로티어, 자야 박티어, 포소어, 토기안 1, 왈라세어, 토기안 2, 미나하사

에스놀로그는 상호 이해 가능성을 기준으로 시나마어를 7개의 언어(북부 시나마어, 중부 시나마어, 남부 시나마어, 시나마 팡우타란어, 마푼어, 서안 바자우어, 인도네시아 바자우어)로 나누기도 한다. 마푼 섬의 언어인 자마 마푼어(과거 카가얀 데 술루)도 관련 언어이며 때때로 시나마어로 불린다. 그러나 사마족 사람들은 자신들의 언어를 기원 마을이나 섬에 따라 분류하는 경향이 있어(예: 실룸팍, 라미누사, 타바완), 에스놀로그의 분류를 그대로 받아들이지는 않는다. 서안 바자우어, 인도네시아 바자우어, 마푼어는 에스놀로그에서 '보르네오 해안 바자우어' 분기를 구성한다.

다음은 Palleson (1985)[3]에스놀로그를 참고한 사마바자우어군 방언 목록이다 (별도 ISO 코드가 할당된 언어는 '''굵게''' 표시).

  • '''서해안 바자우''' (West Coast Bajau)
  • * ''코타 벨루드'' (Kota Belud): 코타키나발루 북쪽 60km 지점 코타 벨루드
  • * ''푸타탄'' (Putatan)
  • * ''파파르'' (Papar): 파파르, 코타키나발루 남쪽 50km 지점
  • * ''방기'' (Banggi): 쿠닷 북쪽 방기 섬, 사바 북부
  • * ''산다칸'' (Sandakan)
  • * ''피타스'' (Pitas)
  • * ''카왕'' (Kawang): 카왕, 코타키나발루 남쪽 40km 지점
  • * ''투아란'' (Tuaran)
  • * ''쿠닷'' (Kudat)
  • '''인도네시아 바자우어''' (Indonesian Bajau)
  • * ''잠페아'' (Jampea)
  • * ''사메'' (Same’)
  • * ''마탈라앙'' (Matalaang)
  • * ''술라무'' (Sulamu): 술라무, 쿠팡만, 남부 티모르. 화자 400명.
  • * ''카조아'' (Kajoa): 카조아 섬, 테르나테 남쪽 80km 지점 할마헤라 서해안
  • * ''로티'' (Roti): 로티 섬, 티모르 남서부. 화자 200명 미만.
  • * ''자야 박티'' (Jaya Bakti): 자야 박티, 방가이 현, 중앙 술라웨시. 화자 3,000명.
  • * ''포소'' (Poso): 폴란데, 포소 현, 술라웨시 중부 포소만 남동 해안
  • * ''토기안 1'' (Togian 1): 술라웨시 토기안 섬 남쪽 해안 바로 바깥의 풀라우 에나우
  • * ''토기안 2'' (Togian 2): 토기안 제도, 술라웨시 토미니만
  • * ''월리스'' (Wallace): 정확한 위치 불명, 아마도 중앙 말루쿠.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가 1860년경 수집한 117개 단어.
  • * ''토로시아제'' (Torosiaje), ''포파야토'' (Popayato), ''포후와토'' (Pohuwato): 고론탈로
  • '''이나바크논''' (Inabaknon): 필리핀 중부 사마르 북서쪽 해안에서 떨어진 카풀 섬
  • '''야칸어''' (Yakan): 남부 삼보앙가 반도 동부 바실란 섬. 화자 60,000명.
  • * ''북부 야칸'' (Northern Yakan):[3] 바실란 섬 동부 북부
  • * ''남부 야칸'' (Southern Yakan):[3] 바실란 섬 동부 남부
  • '''팡우타란 사마어''' (Pangutaran Sama) (''서부 술루 사마'' 분파)
  • * ''사마 팡우타란'' (Sama Pangutaran):[3] 팡우타란 섬, 홀로 시 북서쪽 50km 지점. 화자 12,000명. 일부는 팔라완에 거주.
  • * ''사마 우비한'' (Sama Ubihan):[3] 북우비안 섬, 팡우타란 남서쪽 몇 마일 지점. 화자 2,000명. ''a'a ubian, a'a sowang buna''' ('부나 채널 사람들')라고도 불림.
  • ''내부 술루 사마'' 분파 (Inner Sulu Sama)
  • * '''북부 사마''' (Northern Sama) (Pallesen (1985)의 ''북부 술루'')
  • ** ''루탕간'' (Lutangan / Lutango): 올루탕가 섬 맞은편 민다나오 본토
  • ** 시부코-비탈리 (Sibuku’): 삼보앙가 반도 건너 내륙 지역, 삼보앙가 시 북쪽 50km 지점. 화자 11,000명. ''sama bitali', sama nawan''이라고도 불림.
  • ** 시부게이 (Sibugey / Batuan): 올루탕가 섬과 만의 머리 사이의 시부게이만 동쪽에 있는 쿨라시한 강
  • ** ''발랑잉이'' (Balangingi)
  • ** ''다옹둥'' (Daongdung / Sama Daongdong): 홀로 섬 남동쪽 해안에서 떨어진 다옹둥 섬
  • ** ''카빙가안'' (Kabinga’an)
  • ** ''타그타분 발랑잉이'' (Tagtabun Balangingi’):[3] 삼보앙가 시 바로 동쪽에 있는 타그타분 섬. 1972년 기준 300명의 정기적인 인구. ''bahasa bāngingi' (bāngingi', a'a tagtabun)''라고도 불림.
  • ** ''통킬 발랑잉이'' (Tongquil Balangingi’):[3] 통킬 섬, 홀로 섬 동쪽 사말레스 군도. 화자 8,000명. ''sama tongkil''이라고도 불림.
  • ** ''리눙안'' (Linungan):[3] 린ungan (린ongan) 또는 코코스 섬, 바실란 섬 북동쪽 해안에서 떨어진 곳
  • ** ''파니가얀 발랑잉이'' (Panigayan Balangingi’):[3] 바실란 섬 서쪽 해안 바로 바깥의 말라마위 섬. 수백 명의 화자. ''bahasa balangingi' (sama bāngingi')''라고도 불림.
  • ** ''란당-구아'' (Landang-Gua’):[3] 삼보앙가 시 동쪽, 타그타분 섬 북쪽에 있는 사콜 또는 란당 섬. ''a'a landang-gua''' ('Landang-Gua’ 사람들')라고도 불림.
  • ** ''마티'' (Mati'):[3] 마티, 산 아구스틴 반도 바로 동쪽
  • ** ''카윗 발랑잉이'' (Kawit Balangingi’):[3] 카위트, 삼보앙가 시 서쪽 10km 지점
  • ** ''카룬둥'' (Karundung):[3] 카룬둥, 홀로 섬 남동쪽 해안
  • ** ''필라스'' (Pilas):[3] 필라스 제도, 바실란 섬 서쪽 15km 지점
  • * '''중앙 사마어''' (Central Sama)
  • ** ''사마 데야'' (Sama Deya)
  • ** ''사마 딜라우트'' (Sama Dilaut): 술루 전역, 특히 삼보앙가 시, 시아시, 시탕카이, 타위타위 섬 남부. 필리핀에서 화자 80,000명. ''sama to'ongan'' ('진정한 사마'), ''sama pagūng'' ('떠다니는 사마'), ''sama pala'u'' ('배에 사는 사마')라고도 불림.
  • ** ''사마 시아시'' (Sama Siasi)
  • ** ''사마 라미누사'' (Sama Laminusa): 라미누사 섬, 시아시 섬 북쪽 해안 바로 바깥. 화자 5,000명.
  • ** ''사마 타바완'' (Sama Tabawan)
  • ** ''사마 카울룽간'' (Sama Kaulungan):[3] 바실란 섬 동쪽 끝 바로 바깥의 카울루간 섬. 최소 1,000명의 화자.
  • ** ''사마 무수'' (Sama Musu’):[3] 시아시 섬 남쪽 해안. 화자 3,000명. Sama Dilaut와 혼인 관계. Sama Dilaut(바다 사마)는 ''Sama Lipid''(연안 사마)라고 부름.
  • ** ''사마 발림빙'' (Sama Balimbing):[3] 발림빙, 타위타위 섬 동해안 (Ethnologue에 ''남부 사마''의 일부로 등재됨)
  • ** ''사마 반나란'' (Sama Bannaran):[3] 사파-사파의 반나라안 섬.
  • ** ''사마 방아우-방아우'' (Sama Bangaw-Bangaw):[3] 사바 북동부 해안의 산다칸 근처
  • ** ''남부 우비한'' (South Ubihan):[3] 남우비안 섬, 타위타위 섬 북동쪽 끝 동쪽. 탄두바스 인구를 포함하여 27,000명의 인구 조사 수치.
  • ** ''마누발'' (Manubal)
  • ** ''실룸팍'' (Silumpak)
  • * '''남사마어''' (Southern Sama)
  • ** ''시부투'' (Sibutu’ / Sama Sibutu): 시부투 섬, 봉가오 섬 남서쪽. 화자 약 10,000명.
  • ** ''시문울'' (Simunul): 시문울 섬, 봉가오 섬 남쪽. 화자 10,000명. ''sama səddopan''이라고도 불림.
  • ** ''탄두바스'' (Tandubas / Tandu’-baas): 탄두바스 섬, 타위타위 섬 북동쪽 지점 바로 바깥. 탄두바스 인구를 포함하여 27,000명의 인구 조사 수치. ''a'a tandu'-bās'' ('Tandu-Bas 사람들'), ''a'a ungus matata'' ('Ungus Matata 사람들')라고도 불림. 술루 중앙의 사마는 그들을 ''obian, ubian, sama s'ddopan'' ('남부 사마')라고 부름.
  • ** ''오비안'' (Obian)
  • ** ''봉가오'' (Bongao) / ''상아-상아'' (Sanga-Sanga)
  • ** ''시탕카이'' (Sitangkai)
  • ** ''랑구얀'' (Languyan)
  • ** ''사파-사파'' (Sapa-Sapa)
  • ** ''사마 파후트'' (Sama Pahut):[3] 봉가오 섬. 화자 약 1,000명.
  • ** ''사마 삼풀나'' (Sama Sampulna’):[3] 셈포르나, 동부 사바
  • ** ''브라우'' (Berau): 동칼리만탄. 약 46,000명의 화자.
  • '''마푼어''' (Mapun): 필리핀에 43,000명; 말레이시아 사바에 15,000명의 마푼족 (2011 SIL)
  • * ''마푼'' (Mapun): 필리핀 타위타위의 카가얀 데 술루 (마푼 섬)에서 사용됨.
  • ** 마푼 섬에 20,000명
  • ** 팔라완에 5,000~10,000명의 마푼족

4. 분포

Grimes (2003)에 따르면 사마바자우어군에는 다음 9개의 언어가 속한다.[26]


  • 발랑잉이어 (북사마어)
  • 중앙 사마어
  • 남사마어
  • 팡우타란 사마어
  • 마푼어
  • 야칸어
  • 아바크논어
  • 인도네시아 바자우어
  • 서안 바자우어


처음 여섯 개 언어는 필리핀 남부의 술루 지방에서 주로 사용된다. 아바크논어는 필리핀의 동비사야스 지방에서 쓰이며, 인도네시아 바자우어는 주로 술라웨시섬에서, 서안 바자우어는 보르네오섬사바주에서 사용된다. 각 언어에는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26]

로버트 블러스트 (2006)는 어휘적 증거를 바탕으로 사마바자우어군이 보르네오섬 동남부의 바리토강 지역에서 기원했지만, 기존의 바리토어군 하위 분류에는 속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27] 에스놀로그 역시 이 주장에 동의하며, 바리토어군과 사마바자우어군을 묶어 확대 바리토어군으로 분류한다.

각 언어의 구체적인 분포 지역은 다음과 같다(에스놀로그 기준).

  • 서안 바자우어 (보르네오 해안 바자우): 말레이시아 사바주의 다음 지역에 분포한다.
  • 파파르 지역부터 쿠닷 지역까지 이어지는 서부 해안을 따라 흩어져 있으며, 특히 투아란 및 코타 벨루드 마을에 집중되어 있다.
  • 쿠닷 지역의 방기 섬 텔루투 마을.
  • 피타스 지역: 서부 해안과 멩쿠바우 라우트, 멩카폰, 달리마', 마판-마판, 판타이 라우트, 라약-라약, 마우사르, 잠방안, 시바얀 라우트, 카니붕안 마을 등.
  • 코타 벨루드, 쿠닷, 투아란 지역에서 사용되며, 사바의 동부 해안 바자우어와 상호 이해도를 가진다.

  • 북부 사마어 (발랑잉이어): 민다나오 서부, 술루 제도의 홀로 북동쪽, 삼보앙가 해안 반도와 인근 섬들, 바실란 섬에 분포한다.
  • ''북부 사마어'' 방언: 루손, 수빅 만 근처 화이트 비치.
  • ''루탕안'' 방언: 올루탕가 섬. 루손과 팔라완에도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 중앙 사마어: 다음 지역에 분포한다.
  • 술루타위타위 주: 시아시, 타바완, 봉가오, 시탕카이, 카가얀 데 술루 섬.
  • 바실란 섬: 말루소, 말라마위, 보헤' 롭봉.
  • 삼보앙가 델 수르 주: 리오 혼도, 바투안 룸바야우, 탈루크 상가이, 상갈리.
  • 삼보앙가 델 노르테 주: 올루탕가.
  • 다바오 시: 이슬라 베르데와 사사.
  • 카가얀데오로.
  • 세부타그빌라란.
  • 푸에르토 프린세사, 팔라완.
  • 바탕가스.

  • 팡구타란 사마어: 홀로 서쪽의 팡구타란 섬과 남부 팔라완의 카가얀 데 타위타위에서 사용된다.

  • 야칸어: 바실란과 주변 작은 섬들, 사콜 섬, 삼보앙가 동부 해안에서 사용된다. 야칸족은 주로 해안에서 떨어진 내륙 지역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 아바크논어 (이나바크논): 북사마르카풀 섬에서 사용된다. 카풀 섬은 사마르루손의 비콜 반도를 가르는 산 베르나르디노 해협에 위치한다.

5. 인구

''Ethnologue''는 보르네오 해안 바자우족의 다음과 같은 인구 통계를 기록하고 있다.[2]

''Ethnologue'' 기록 기준 사마-바자우족 인구 통계
집단국가세부 지역인구조사 시기/출처
서해안 바자우족말레이시아사바주55,000명2000년 SIL
인도네시아 바자우족인도네시아총 150,000명Mead 외 2007
북말루쿠5,000명 이상Grimes 1982
남술라웨시8,000명 ~ 10,000명Grimes 1987
북술라웨시 및 고론탈로7,000명Ethnologue
중술라웨시36,000명Ethnologue
동남술라웨시40,000명Mead 외 2007
누사텡가라수천 명Wurm과 Hattori 1981, Verheijen 1986
마푼족필리핀총 43,000명2011년 SIL
마푼 섬20,000명Ethnologue
팔라완5,000명 ~ 10,000명Ethnologue
말레이시아사바주15,000명2011년 SIL


6. 문법

사마바자우어군은 서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이 어족의 특징 중 하나인 대칭적 능동/수동 교체를 보인다.[4] 이는 행위자를 주어로 하는 구문(행위자 능동태, AV)과 피행위자를 주어로 하는 구문(피행위자 능동태, UV)이 문법적으로 동등한 지위를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마바자우어군의 능동/수동 체계는 필리핀 계열 언어와 인도네시아 계열 언어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어 복합적인 양상을 보인다.[1][5] 일부 언어는 필리핀 계열처럼 여러 종류의 피행위자 능동태를 사용하는 반면, 다른 언어는 인도네시아 계열처럼 명확한 수동태 구문이나 적용태 접미사를 가지기도 한다.

명사 자체에는 별도의 격 표시가 없지만, 대명사는 문법적 기능(주어, 행위자 등)에 따라 다른 형태를 사용한다.[1] 어순은 비교적 유연하여, 속하는 언어나 구문의 종류에 따라 동사-초두 어순, SVO, VOS 등 다양한 패턴이 나타난다.[6] 이러한 어순의 변화는 문장에서 어떤 정보를 강조하는지와 같은 정보 구조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1]

6. 1. 능동/수동 교체

서부 오스트로네시아어는 대칭적인 능동/수동 교체를 특징으로 한다. 이는 능동태와 수동태처럼 비대칭적인 교체와는 다른데, 능동/수동 구문이 모두 동등하게 타동사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이다.[4] 이런 이유로 '행위자 능동태'와 '피행위자 능동태'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 '''행위자 능동태'''(AV): 행위자 또는 행위자 역할의 논항이 주어로 나타나는 구문이다.
  • '''피행위자 능동태'''(UV): 피행위자 또는 환자 역할의 논항이 주어로 나타나는 구문이다.


능동/수동 구문은 동사의 형태론적 표지를 통해 구분된다.

서부 오스트로네시아어는 일반적으로 능동/수동 체계를 기준으로 필리핀 계열과 인도네시아 계열 언어로 나뉜다.[5]

필리핀 계열인도네시아 계열
다수의 피행위자 능동태가 서로 다른 의미 역할을 주어에 매핑두 개의 대칭적인 능동/수동: 행위자 능동태와 피행위자 능동태
AV는 전이성이 낮음진정한 수동태 구문
명사 논항의 격 표시적용 능동태 접미사



사마바자우어의 능동/수동 교체는 필리핀 계열 언어와 인도네시아 계열 언어의 특징을 모두 보여준다.[1]

Miller (2014)는 사마바자우어에 세 가지 주요 능동/수동 교체가 있다고 주장한다.[6]


  • 비음 접두사로 표시되는 AV 구문.
  • 동사 원형을 사용하는 타동사 비 AV 구문.
  • 동사에 대한 형태론적 표지와 행위자에 대한 격 표시가 있는 또 다른 비 AV 구문.


많은 필리핀 언어에서는 UV 구문이 기본 구문으로 여겨진다. 이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이들 언어를 능격-절대격 언어로 분석하기도 한다.[7] 이러한 분석은 사마 남부,[8] 야칸어,[9] 사마 방기기,[10] 사마 팡구타란[11] 등 필리핀 계열 능동/수동 체계를 가진다고 여겨지는 언어들에 대해 제안되었다.

그러나 서해안 바자우어는 두 개의 타동사 능동/수동, 진정한 수동 구문 (''-in-'') 및 적용 접미사 (''-an'')를 가지고 있어 인도네시아 계열 능동/수동 체계를 가진 것으로 분석된다.[1] 이는 서해안 바자우어가 사바의 다른 언어들보다 사라왁이나 칼리만탄의 언어들과 더 유사한 특징을 보이게 한다.[12]

인도네시아 바자우어 역시 인도네시아 계열 능동/수동 체계를 따르며, 다음 예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13]

  • '''행위자 능동태:''' ''ng-ita uggo' aku'' (AV-보다 돼지 1인칭단수) - '나는 돼지를 보았다'
  • '''원형 피행위자 능동태:''' ''kita-ku uggo''' (보다-1인칭단수 돼지) - '나는 돼지를 보았다'
  • '''수동태:''' ''di-kita-ku uggo''' (PASS-보다-1인칭단수 돼지) - '돼지는 나에 의해 보였다'
  • '''우연 수동태:''' ''ta-kita uggo' ma aku'' (ACC.PASS-보다 돼지 OBL 1인칭단수) - '돼지는 우연히 나에 의해 보였다'


일부 사마바자우어에서는 비 AV 구문에서 행위자가 실현되는 방식에 제약이 있다. 예를 들어, 사마 방기기에서는 비 AV 행위자가 주로 1인칭 또는 2인칭 대명사 약어 형태로 나타난다.[6]

사마바자우어의 능동/수동 교체는 대명사의 격 표시 변화나 어순 변화를 동반하기도 한다.[1]

6. 2. 격표시

사마-바자우어군은 명사 논항에 대한 격 표시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명사는 문법적 기능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갖는다. 사라왁(Sarawak)의 언어들과 마찬가지로,[14] 서부 해안 바자우어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대명사 집합을 가지고 있다:[1]

  • '''집합 1:''' 비-주어 행위자
  • '''집합 2:''' 그 외 모든 대명사

반면, 사바(Sabah)의 대부분의 언어는 세 개의 대명사 집합을 가지고 있다:[1]

  • '''집합 1:''' 비-주어 행위자
  • '''집합 2:''' 주어
  • '''집합 3:''' 비-주어, 비-행위자

서부 해안 바자우어에서는 비-주어 피동자는 집합 1과 집합 2 대명사 모두를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1]

영지시는 UV 행위자를 제외하고, 고도로 화제적인 논항에 대해 가능하다. UV 행위자는 삭제될 수 없다.[1] 이는 서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에서 흔하다.[15]

6. 3. 어순

술루 제도의 사마바자우어군은 필리핀 언어와 마찬가지로 동사-초두 어순을 보인다.[6] 그러나 대부분의 언어에서 어순은 유연하며 능동태 구성에 따라 달라진다. 술루 지역 언어에서는 SVO 어순은 특정 문법적 맥락(선행 부정사, 상 표지)에서만 나타난다. 반면, 서해안 바자우어에서는 SVO 어순이 일반적인 중립적 맥락에서도 쓰인다.[6] 이러한 특징 때문에 서해안 바자우어는 사마바자우어군 내 다른 언어보다 사라왁 지역 언어와 더 유사한 면을 보인다.

소순다 열도에서 쓰이는 바자우어는 주어 위치는 유동적이지만 VO 어순은 고정되어 있다는 주장이 있다(Verheijen 1986).[16] 이 언어는 VO 어순과 관련된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보인다:[16]

주요 사마바자우어군 언어 5개의 선호 어순은 아래 표와 같다. 어순은 의미 역할, 즉 행위자(Agent, A)와 피행자(Undergoer, U)를 기준으로 표시한다.[6]

언어AV 어순Zero UV 어순접사 부착 비AV 어순
사마 방기기'V A U
중앙 사마V A U (A = 대명사)
V U A (A = 완전 명사)
V A UV U A 또는 V A U
남부 사마V A U (A = 대명사)
V U A (A = 완전 명사)
V A UV U A (V A U도 가능)
팡구타란 사마V A UV A UV A U 또는 V U A
서해안 바자우A V UV A U 또는 U V AU V A (V A U는 덜 흔함)



모든 사마바자우어군 언어에서, 행위자는 제로 UV(Undergoer Voice) 구문에서는 동사 바로 뒤에 고정적으로 나타난다. 다른 구문에서는 행위자와 피행자의 순서가 논항의 생물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6] 이는 필리핀 계열 언어들이 절 안에서 행위자를 먼저 두려는 경향과 유사하다.[17]

문법적 기능(주어 S, 목적어 O)으로 보면, 많은 사마바자우어군 언어는 VOS 언어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주어(S)는 AV(Actor Voice) 구문에서는 행위자, UV(Undergoer Voice) 구문에서는 피행자에 해당하며, 목적어(O)는 주어가 아닌 핵심 논항을 가리킨다.

사마바자우어군 언어는 다양한 어순을 허용하며, 각 어순은 구의 음성(voice)과 정보 구조에 따라 다른 의미 해석을 갖는다.

서해안 바자우어의 경우, UV 구문에서 동사-초두 어순은 내용을 강조하는 전경화(foregrounding)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Miller 2007).[1] 마지막 위치의 피행자는 특별한 실용적 지위가 없으므로, 이 어순이 기본 어순으로 간주된다. 반면, 앞에 오는 피행자는 정보적으로 더 중요하고 쉽게 인지될 수 있는 요소이다.[1] 이야기체 텍스트에서는 SVO와 VOS 어순이 비슷한 빈도로 나타나지만, 내용을 강조할 때는 VOS 어순이 훨씬 선호된다.[1]

AV 구문에서는 정보 구조와 관계없이 주어-초두 어순(SVO)이 우세하다.[1] 특히 종속절에서는 SVO가 유일하게 허용되는 어순이다. AV 구문에서 동사-초두 어순(VSO 또는 VOS)이 나타날 경우, 이는 주로 이야기의 핵심적인 사건 진행을 나타낸다.[1]

AV 동사-초두 어순에는 특정성 제약도 작용한다. 예를 들어, VOS 어순은 주어가 아닌 피행자가 비특정적일 때는 가능하지만, 특정적일 때는 허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1] 이는 정해성(definiteness)을 가진 피행자에도 유사하게 적용된다.[1] 하지만 어순이 VSO이고 피행자가 마지막에 오는 경우에는 이런 제약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때는 피행자의 정해성이나 특정성 여부와 관계없이 문법적으로 올바른 문장이 된다.

6. 4. 정보 구조

사마-바자우어군 언어는 다양한 어순을 허용하며, 이는 구문의 정보 구조 해석과 관련이 있다. 어순에 따른 의미 차이는 해당 구의 음성에 따라 달라진다.

밀러(Miller, 2007)는 서해안 바자우어 방언의 UV 구(피동사 구)에서 동사가 문장 처음에 오는 어순(VOS)이 정보를 강조하여 전달하는 '전경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1] 그는 피동사가 문장 마지막에 오는 어순(UV)이 특별한 실용적 의미를 갖지 않기 때문에 이를 기본 어순으로 본다. 반면, 문장 앞쪽에 오는 피동사는 매우 활동적이고 접근 가능한 정보임을 나타낸다.[1] 이야기 텍스트에서는 주어-동사-목적어(SVO) 어순과 동사-목적어-주어(VOS) 어순이 비슷한 빈도로 나타나지만, 정보를 강조하는 전경화된 구에서는 VOS 어순이 훨씬 선호된다.[1]

AV 구(능동사 구)에서는 근거나 절의 종류와 관계없이 주어가 문장 처음에 오는 어순(SVO)이 지배적이다.[1] 실제로 종속절에서는 SVO 어순만이 허용된다. AV 구에서 동사가 문장 처음에 오는 어순(VSO, VOS)이 사용되는 경우는 보통 이야기의 주요 사건 진행을 나타낼 때이다.[1]

AV 구의 동사-최초 어순에는 특정성과 관련된 제약이 있다. VOS 어순의 경우, 주어가 아닌 피동사가 비특정적일 때는 허용되지만, 피동사가 특정적이거나 정해진 대상일 때는 문법적으로 어색하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1] 그러나 VSO처럼 피동사가 문장 마지막에 오는 경우에는 이러한 제약이 나타나지 않는다. 즉, 피동사가 특정적이거나 정해진 대상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문법적으로 올바른 문장이 된다.[1]

6. 5. 화제와 초점

서부 해안 바자우어에서는 주어, 목적어 및 부가어가 동사 앞에 나타날 수 있다. 주어가 아닌 논항만 이 위치에 나타날 수는 없다. Miller (2007: 193)는 동사 앞에 두 개의 위치, 즉 화제와 초점이 있다고 제안한다. 화제는 전제된 정보를 나타내고 초점은 새로운 정보를 나타낸다. AV와 UV 절 모두에서 동사 앞의 주어는 화제 또는 초점이 될 수 있다. 반면에 목적어는 항상 초점이다.

결과적으로, Miller (2007: 211)은 서부 해안 바자우어의 절 구조를 다음과 같이 분석한다.[1]

'''서부 해안 바자우어의 화용 구조'''

초점화제술어



동사 앞의 초점 위치는 ''no''와 같은 초점 입자에 의해 뒤따를 수 있다.[1]

7. 음운론

사마바자우어군에 속하는 언어들은 음운적으로 유사하면서도 각기 다른 특징을 지닌다. 예를 들어, 시나마어의 경우 21개에서 24개의 음소를 가지며, 모든 방언에서 공통적으로 17개의 자음이 나타난다. 모음은 언어에 따라 5개에서 7개 사이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모음 길이의 대조나 특정 위치에서의 자음 변이 등도 관찰된다. 각 언어 및 방언의 구체적인 음운 체계는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7. 1. 시나마어

(내용 없음)

7. 1. 1. 자음

카우만 사마 온라인에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한 시나마어 읽기 포스터.


전통 매트를 만드는 이 여성은 말레이시아 셈포르나에 살고 있는 시아시 출신의 사마족이다.


시나마어는 21개에서 24개의 음소를 가지고 있다. 모든 시나마어는 17개의 자음을 가지고 있으며, 각 언어는 5개에서 7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다.

시부투 사마어 자음[18]
colspan="2" |순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nɲŋ
파열음무성음ptkʔ
유성음bdɡ
마찰음sh
설측음l
반모음wj



시나마어의 자음은 b, d, g, h, j, k, l, m, n, ng, p, r, s, t, w, y 및 ' 문자로 표기된다.

시나마어에서 성문 파열음(IPA [ʔ])의 표기는 아직 시나마어 화자들 사이에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언어학자들은 단어 끝소리 성문 파열음에 작은 따옴표 모양의 문자(')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중앙 시나마어는 모음 사이의 성문 파열음에도 이를 채택했다(예: a'a', '인간'을 뜻하는 시나마어 단어). 다른 시나마어는 타갈로그어 철자법을 따르기로 결정하고 이 모음 사이의 성문 파열음을 표기하지 않고 모호하게 남겨두었다. 시나마어 화자들은 단어 끝소리 성문 파열음을 단어 끝에 h를 사용하여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말레이시아의 시나마어 화자는 말레이어의 모음 연성화 패턴에 따라 모음 다음에 k를 사용하여 표기하기도 한다.

시나마어의 특정 방언에서는 /b/가 두 모음 사이에 있을 때 [β]가 되고 /ɡ/가 [ɣ]가 된다. /d, s, l/의 변이음은 [ɾ, ʃ, ɭ]로 들리기도 한다.[18]

7. 1. 2. 모음



시나마어는 21개에서 24개의 음소를 가지고 있으며, 모든 시나마어에는 17개의 자음이 있다. 각 언어는 5개에서 7개의 모음을 가진다.

사마바자우어군의 모든 언어와 방언에서는 a, e, i, o, u 모음이 발견된다. 이 다섯 개의 모음 외에도 ə와 ɤ가 하나 이상의 사마어에서 발견된다.

 aeiouəɤ
북부[19]aeiou
중부[20]aeiou'
남부[21]aeiou
팡구타란[22]aeiou'ō
자마 마푼[23]aeiou



/i, e, a, o, u/의 이음은 각각 [ɪ, ɛ, ʌ, ɔ, ʊ]와 같이 들릴 수 있다.

많은 사마어는 대조적인 모음 길이를 가지고 있다. 이는 모음 위에 장음 부호(ā, ē, ī, ō, ū)로 표시된다.

7. 1. 3. 강세

시나마어의 발음은 타우수그어타갈로그어 같은 주변 언어들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는 모든 시나마어에서 주요 강세가 단어의 두 번째 음절에 오기 때문이다.[3] 굴절 접미사를 포함한 접미사가 단어에 추가되어도 강세는 일반적으로 두 번째 음절에 그대로 유지된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북부 시나마어(발랑기기)에서는 두 번째 음절이 중성 모음 /ə/일 경우, 강세가 마지막 음절로 옮겨간다.

7. 1. 4. 후치 대명사

1인칭, 2인칭, 3인칭 단수 대명사 '-ku', '-nu', '-na', 1인칭 복수 포괄 대명사 '-ta'와 '-tam', 그리고 2인칭 복수 대명사 '-bi'는 모두 후치사이다.[24] 이 후치 대명사들은 단어에 붙어 음절을 추가함으로써 강세 위치를 이동시키고 발음을 변화시키는 특징이 있다. 이는 동사나 명사에 한 음절짜리 후치 대명사가 결합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사마바자우어의 여러 방언이나 표기법에 따라 후치 대명사를 표기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

  • 일부 표기법에서는 명사/동사와 후치 대명사를 하나의 단어로 붙여 쓴다. 예를 들어, 중앙 사마바자우어에서 '우리 집'은 luma'tasml로 표기한다.
  • 다른 표기법에서는 하이픈(-)을 사용하여 명사/동사와 후치 대명사를 연결한다. 예를 들어, 남부 사마바자우어에서 '우리 집'은 luma'-tassb로 표기한다.
  • 또 다른 표기법에서는 명사/동사와 후치 대명사를 띄어 쓴다. 예를 들어, 북부 사마바자우어에서 '우리 집'은 luma' ta로 표기한다.

7. 2. 서해안 바자우어

(내용 없음)

7. 2. 1. 자음

다음은 서해안 바자우어의 자음 음소이다.

colspan="2" |순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nɲŋ
파열음무성음ptkʔ
유성음bdɡ
마찰음s
R소리r
설측음l
반모음wj


  • 단어 끝에 오는 파열음 /p t k/는 파열되지 않은 [p̚ t̚ k̚]로 소리 나며, 유성 파열음 /b d ɡ/ 역시 [b̚ d̚ ɡ̚]로 소리 난다.
  • /l/은 단어 끝에서 권설 설측음 [ɭ]으로 소리 날 수 있다.
  • /r/은 모음 사이에서 탄음 [ɾ]으로 소리 날 수 있다.

7. 2. 2. 모음

wikitext



모음 소리 /i u e/는 닫힌 음절 내에서 [ɪ ʊ ɛ]로 들린다.[25]

8. 재구

원시 사마바자우어는 팔레센(Pallesen, 1985)에 의해 재구성되었다. 팔레센(1985)은 원시 사마바자우어의 기원을 서기 800년경 바실란 해협 지역으로 추정한다.

9. 문화적 참조

노래 ''키리링 파키리링''(흔히 ''다양 다양''으로 알려짐)의 가사는 남부 시나마어의 시무눌 방언으로 쓰였다.

필리핀의 2012년 드라마 영화 ''너의 자궁''(Thy Womb)에서는 중앙 시나마어와 남부 시나마어가 사용된 6개 언어 중 2개로 등장한다.

1991년에 발행된 필리핀 1,000 페소 지폐에는 시나마어가 사용되었다. 사마족 예배 장소 사진 아래에 '랑갈'이라고 쓰여 있는데, 이는 예배 장소를 뜻하는 시나마어이다.

참조

[1] 학위논문 A Grammar of West Coast Bajau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2007
[2] 서적 Current Issues in Philippine Linguistics and Anthropology Linguistic Society of the Philippines and SIL Philippines
[3] 학술저널 Culture Contact and Language Convergence http://www-01.sil.or[...] 1985
[4] 간행물 The Austronesian Languages of Asia and Madagascar: Typological Charactersistics Routledge 2005
[5] 서적 The many faces of Austronesian voice systems: some new empirical studies Pacific Linguistics
[6] 간행물 'A comparative look at the major voice oppositions in Sama-Bajau languages and Indonesian/Malay' Asia-Pacific Linguistics 2014
[7] 학위논문 Ergativity and Word Order in Austronesian Languages https://faculty.wash[...] Cornell University 2004
[8] 기타 ‘Ergative control of syntactic processes in Sama Southern’ 2006
[9] 서적 A Grammar of Yakan Linguistic Society of the Philippines 2002
[10] 기타 An ergative description of Sama Bangingi’ Linguistic Society of the Philippines 1999
[11] 서적 Sama verbal semantics: classification, derivation and inflection Linguistic Society of the Philippines 1986
[12] 간행물 The changing face of focus in the languages of Borneo Pacific Linguistics 1996
[13] 학술저널 Bajau: A Symmetrical Austronesian Language
[14] 간행물 ‘A preliminary typology of the languages of Middle Borneo’ Borneo Research Council 2014
[15] 학술저널 The Lack of Zero Anaphora and Incipient Person Marking in Tagalog 1999
[16] 서적 The Sama/Bajau Language in the Lesser Sunda Islands Pacific Linguistics
[17] 간행물 Ordering clitics and postverbal R-expressions in Tagalog: a unified analysis? John Benjamins 2005
[18] 서적 The phonology of Sibutu Sama: a language of the southern Philippines Studies in Philippine Linguistics 3
[19] 웹사이트 Bangingih Orthography Fact Sheet - Languages of the Philippines http://www-01.sil.or[...]
[20] 웹사이트 Description of the Sinama Alphabet (Central Sinama) http://sinama.org/ba[...] 2015-05-09
[21] 웹사이트 Guide to Using the Sama Sibutu' - English Dictionary http://www-01.sil.or[...]
[22] 웹사이트 Sama Pangutaran Orthography Fact Sheet - Languages of the Philippines http://www-01.sil.or[...]
[23] 웹사이트 Mapun Orthography Fact Sheet - Languages of the Philippines http://www-01.sil.or[...]
[24] 웹사이트 Hurupan Sama Bahagiꞌ 1: Angay sinugpat saga pronoun ni kabtangan ma bihingna? http://sinama.org/20[...] 2014-11-18
[25] 서적 A Grammar of West Coast Bajau University of Texas Arlington
[26] 서적 A grammar of West Coast Bajau
[27] 간행물 'The linguistic macrohistory of the Philippines'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