샐러드 드레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샐러드 드레싱은 샐러드에 풍미를 더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스로, 기원전부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왔다. 서양에서는 식초와 오일을 섞은 비네그레트, 마요네즈 기반의 크리미 드레싱, 조리한 드레싱이 기본이며, 각 지역과 문화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미국에서는 랜치 드레싱이 인기가 높고, 일본에서는 차조기, 간장, 참깨 등을 활용한 드레싱이 개발되었다. 8월 24일은 일본에서 샐러드 드레싱의 날로 기념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샐러드 드레싱 - 시저 샐러드
시저 샐러드는 로메인 상추, 크루통, 파르메산 치즈를 주재료로 1924년 시저 카르디니가 멕시코 티후아나에서 처음 만들어 할리우드 유명인사들을 통해 알려진 샐러드이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 샐러드 드레싱 - 비네그레트
비네그레트는 오일과 식초를 기본으로 소금, 후추, 허브 등으로 맛을 낸 유화 소스로, 샐러드 드레싱으로 주로 사용되며 다양한 오일, 식초, 부재료와 지역 특색을 담아 변형되기도 한다. - 소스 - 오타후쿠소스
오타후쿠소스는 1952년 오코노미야키 소스 출시를 시작으로 다양한 소스, 식초, 건조 과일 등을 생산·판매하는 일본 식품 회사로, 데이트를 활용한 건강 지향적인 제품 개발과 체험 시설 운영 등 다각적인 사업을 전개하며 해외 시장으로 확장하고 있다. - 소스 - 땅콩 소스
땅콩 소스는 전 세계 여러 지역의 요리에서 다양한 이름과 형태로 사용되며 딥, 소스, 드레싱 등으로 활용되는 소스이다.
샐러드 드레싱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소스 |
기원 | 유럽 |
성분 | |
주재료 | 식물성 기름 식초 유화제 |
특징 | |
활용 | 샐러드 첨가 |
2. 역사
바빌로니아 사람들은 기름과 식초를 섞은 드레싱을 샐러드에 넣어 먹었다.[12][13][14] 고대 이집트인들은 샐러드에 기름, 식초, 포도주 등을 섞은 드레싱을 사용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올리브 기름, 레드 와인 식초, 레몬 주스, 디종 겨자, 다진 마늘 정향, 말린 오레가노, 소금과 후추를 섞은 드레싱을 사용했다.[15]
샐러드 드레싱의 종류는 문화와 사람에 따라 매우 다양하며, 크게 서양식, 동양식, 기타로 나눌 수 있다.
20세기 이전에는 가공되어 준비된 드레싱이 없었고, 요리사들은 직접 이를 만들어야 했다. 재료의 차이, 냉동 기술의 부족 등의 문제로 인해, 만들어진 드레싱들은 서로 큰 차이가 있었다. 20세기 미국인들은 기름, 식초, 향신료 등의 재료를 이용해 샐러드 드레싱을 만들었고, 이때 여러 브랜드에서 샐러드 드레싱을 만들어 시중에 팔기 시작하면서 샐러드 드레싱 산업이 시작되었다.[14]
3. 종류
3. 1. 서양식 드레싱
서양식 드레싱은 크게 세 가지 기본 유형으로 나뉜다.
북아메리카에는 다양한 샐러드 드레싱이 있으며, 프랑스의 전통 드레싱은 비네그레트이다. 마요네즈는 동유럽 국가들과 러시아에서 많이 쓰인다. 남유럽에서는 식초나 올리브유를 샐러드에 바로 뿌려 먹는다. 미국에서는 버터밀크 기반의 랜치 드레싱이 가장 인기가 많으며, 비네그레트와 시저 샐러드 스타일의 드레싱이 그 뒤를 잇는다.[2]
다음은 서양식 샐러드 드레싱의 일부 예시이다.
점성은 높은 것부터 낮은 것까지 다양하며, 식초·기름·소금을 기본으로 하여 향신료·허브·술·설탕 등을 첨가하여 만들어진다.
3. 2. 동양식 드레싱
일본에서는 간장 등이 첨가되는 경우가 있다(일본식 드레싱).유지를 전혀 포함하지 않고, 증점 다당류로 걸쭉함을 더한, 지질을 전혀 또는 거의 포함하지 않는 저칼로리 샐러드 드레싱, 논오일 드레싱도 대량 생산되는 가공 식품으로 판매되고 있다. 다만 논오일 드레싱은 JAS 규격상 '드레싱 타입 조미료'로 분류된다.
샐러드 드레싱은 국가, 지역, 각 가정, 레스토랑마다 맛이 다르기 때문에, 판매되는 가공식품의 상품 명칭은 "…풍"을 의미하는 단어가 된다.
- '''일본식 드레싱''' : 차조기 풍미, 간장참깨 맛, 와사비 간장 맛, 유자, 와사비, 참깨, 시치미 등 일본 특유의 식재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진다(발명자는 일본인으로 추정된다).
- '''참깨 드레싱''' : 참기름 등으로 달콤하고 짭짤하게 간을 하여, 샐러드에 어울린다.
3. 3. 기타
샐러드 드레싱의 종류는 문화와 사람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양식에서는 기본적으로 3가지 종류가 있다.
- 비네그레트: 식초와 대두유, 카놀라유, 올리브유 등 식용유를 섞은 것이다. 허브나 향신료 등으로 맛을 내기도 한다.
- 크리미 드레싱: 마요네즈가 기본이지만 요구르트나 사우어크림, 우락유 등을 첨가한다.
- 조리한 드레싱: 크리미 드레싱과 유사하지만 계란을 첨가하여 더 진하거나 살짝 데워 먹는다.
북아메리카에는 다양한 샐러드 드레싱이 있으며, 프랑스의 전통 드레싱은 비네그레트이다. 마요네즈는 동유럽 국가들과 러시아에서 많이 사용된다. 남유럽에서는 식초나 올리브유를 샐러드에 바로 뿌려 먹는다.
다음은 샐러드 드레싱의 일부이다.
점성은 높은 것부터 낮은 것까지 다양하며, 식초·기름·소금을 기본으로 향신료·허브 등을 첨가하여 만든다.
일본에서는 간장 등이 첨가되는 경우도 있다(일본식 드레싱). 유지를 전혀 포함하지 않고, 증점 다당류로 걸쭉함을 더한 저칼로리 샐러드 드레싱, 논오일 드레싱도 판매되고 있다. 다만 논오일 드레싱은 JAS 규격상 '드레싱 타입 조미료'로 분류된다.
샐러드 드레싱은 국가, 지역, 각 가정, 레스토랑마다 맛이 다르기 때문에, 판매되는 가공식품의 상품 명칭은 "…풍"을 의미하는 단어가 된다.
;프렌치 드레싱
: 앵글로 아메리카의 달콤하고 시큼한 드레싱으로, 플레인한 흰색과 토마토 풍미의 빨간색이 있다. 프랑스 본국에서 샐러드 드레싱으로 사용되는 '''소스 비네그레트'''는 일본에서는 "프렌치 드레싱 세퍼레이트"[4]", "세퍼레이트 드레싱"[5]" 등의 명칭으로 판매되고 있다.
: 프랑스어에는 드레싱에 해당하는 단어가 존재하지 않고, 종류별로 소스 비네그레트, 베이컨 소스, 마요네즈 소스 등으로 불린다.[6]
;이탈리안 드레싱
: 물, 식초 또는 레몬즙, 기름, 소금, 후추, 설탕, 잘게 썬 양파, 피망, 마늘, 오레가노, 회향, 딜 등을 섞은 것이다. 노란색을 띠며 투명하다. 앵글로 아메리카에서 생겨난 드레싱으로, 이탈리아 본국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이탈리아에서는 샐러드에 직접 올리브 오일, 식초, 소금, 후추 등을 넣어 섞어 먹는다.
; 소스 비네그레트
: 식초 또는 레몬즙 등에 샐러드 오일을 섞은 것이 기본이며, 허브 기타 조미료를 섞기도 한다. 중동의 샐러드 드레싱은 비네그레트와 비슷하지만, 유럽의 비네그레트보다 기름에 대한 식초나 레몬즙의 비율이 높다.
; 사우전드 아일랜드 드레싱
: 마요네즈와 케첩을 베이스로, 잘게 썬 양파나 피망 등의 야채와 피클을 넣고, 향신료로 풍미를 낸다. 일본에서는 "사우전(아일랜드)"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 명칭의 유래에는 여러 설이 있다.
- 잘게 썬 야채나 약재가 드레싱에 떠 있는 것을 미국(뉴욕 주 북부)와 캐나다(온타리오 주 서부)의 국경에 있는 사우전드 아일랜드(Thousand Islands, "천 개의 섬")에 비유했다.
- 뉴욕의 월도프 아스토리아 호텔의 경영자 조지 볼트가, 낚시터 안내인의 아내 소피 라롱드가 전한 드레싱 레시피를 어떤 여배우에게서 들었는데, 그 장소가 사우전드 아일랜드의 별장이었기 때문이다.
- 1910년에 시카고의 블랙스톤 호텔에서 이 드레싱을 개발한 소피 라롱드의 출신지가 사우전드 아일랜드였기 때문에, 여배우 메이 어윈이 명명했다.
; 일본식 드레싱
: 차조기 풍미, 간장참깨 맛, 와사비 간장 맛, 유자, 와사비, 참깨, 시치미 등 일본 특유의 식재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 참깨 드레싱
: 참기름 등으로 달콤하고 짭짤하게 간을 하여, 샐러드에 어울린다.
; 랜치 드레싱
: 미국에서 볼 수 있다. 사워크림이나 버터밀크(발효유의 일종), 마요네즈 등에 식초를 섞어, 잘게 썬 파나 향신료를 더한 것이다. 보통 끈적한 농도이다.
; 러시안 드레싱
: 마요네즈와 케첩을 섞어 베이스로 하고, 홀스래디시, 체리페퍼, 차이브, 향신료를 추가하는 경우가 많다.[7][8]
4. 기념일
8월 24일은 일본 기념일 협회에 등록된 샐러드 드레싱의 날이다.[3]
참조
[1]
웹사이트
Vinaigrette
http://www.bbcgoodfo[...]
[2]
웹사이트
Top Ten Most Popular Salad Dressing Flavors
http://www.foodchann[...]
2010-04-08
[3]
웹사이트
8月24日は「ドレッシングの日」 一般社団法人 日本記念日協会に登録認定
http://www.kenkomayo[...]
ケンコーマヨネーズ株式会社
[4]
웹사이트
フレンチドレッシング(セパレート)
https://www.kewpie.c[...]
[5]
웹사이트
セパレートドレッシング
https://www.kewpie.c[...]
[6]
서적
フランス 食の事典(普及版)
株式会社白水社
[7]
서적
Lessons in Cookery
Rand McNally & Company
[8]
뉴스
Menus of the Day
Lewiston Morning Tribune
1941-04-24
[9]
웹인용
Definition of salad dressing
https://www.dictiona[...]
2021-01-03
[10]
웹인용
SALAD DRESSING meaning in the Cambridge English Dictionary
https://dictionary.c[...]
2021-01-03
[11]
웹인용
BBC Good Food
http://www.bbcgoodfo[...]
2011-09-19
[12]
웹인용
The History of Salad Dressing
https://nfhsraiderwi[...]
[13]
웹인용
Food Facts, Food History, Food Information
http://www.hungrymon[...]
[14]
웹인용
History of Salad Dressings
https://dressings-sa[...]
[15]
웹인용
Greek Salad Dressing (Better Than Store-Bought)
https://downshiftolo[...]
2021-0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