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양극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회 양극화는 경제 환경 변화, 산업 구조, 정책 대응 미흡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 현상으로, 특히 한국에서는 IMF 외환 위기 이후 심화되었다. 산업 및 기업 간, 고용 및 소득 간의 격차 확대, 저출산·고령화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일본에서는 1980년대부터 격차 확대가 지적되었으며, 교육 및 지역 격차, 세제 변화 등이 논의되었다. 세계적으로도 소득 격차가 확대되는 추세이며, 미국, 프랑스, 중국 등 각국의 특수한 상황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사회 양극화 해결을 위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 사회 이동성 제고, 사회 안전망 구축 등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회 문제 - 프라이버시
프라이버시는 사생활 보호 및 자기 정보 통제권으로, 철학적, 역사적 기원을 가지며 기술 발전과 함께 침해 가능성이 커져 법적,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지만, 여전히 인간 존엄성과 자유를 위한 철학적, 사회적, 기술적 과제로 남아있다. - 사회 문제 - 자해
자해는 자살 의도 없이 스스로에게 상처를 입히는 행위로, 정신적 고통 완화나 도움 요청의 수단이 될 수 있으며, 다양한 정신 질환과 관련이 있고, 정신사회적 치료법으로 치료하며,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어 예방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사회학 - 거버넌스
거버넌스는 사회적 통치 시스템을 의미하며, 정부, 시민사회, 시장의 파트너십을 통해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며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며, 경제 성장, 부패 감소, 정치적 안정 강화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사회학 - 세계화
세계화는 상품, 서비스, 정보, 자본, 사람들의 국경을 초월한 흐름과 상호연결 증대를 의미하는 복합적인 현상으로, 경제, 문화, 정치적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영향에 대한 논쟁을 야기하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적 협력이 요구된다. - 사회학 용어 - 근대화
근대화는 18세기 후반 영국의 산업혁명을 기점으로 시작되어, 과학기술 발전에 기반한 생산력 향상과 환경 통제 능력 증대를 특징으로 하며, 네덜란드의 독립과 번영, 영국 의회 정치와 산업혁명, 미국 독립 혁명과 프랑스 혁명 등 다양한 사건들을 통해 나타났다. - 사회학 용어 - 책임
책임은 법률 위반 행위에 대한 법적 제재를 포괄하며, 고의, 과실 등을 고려하여 형사 책임, 민사 책임, 행정 책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자기 책임론은 사회적 약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사회 양극화 |
|---|
2. 배경
1970년대부터 1980년대 일본에서는 "1억 총 중류" 의식 하에 격차 문제가 잊혔다.[13] 1985년 오자와 마사코는 저서 『신「계층 소비」의 시대』에서 중류 계급 내에서도 소비 내용에 차이가 생기고 있음을 지적하며 격차 확대가 시작되었음을 처음으로 지적했다.[14]
1988년 일본 정부는 『국민 생활 백서』에서 고도 경제 성장기부터 버블 경제 시대까지 일본 사회의 경제적 격차 확대에 대해 언급했다.[15]
2003년 "승리자 그룹"이라는 단어가 일본 잡지 기사에 급증했고,[16] 2004년 야마다 마사히로의 저서 『희망 격차 사회』는 격차 사회 관련 출판물의 효시로 여겨진다.[17] 2001년 카리야 타케히코의 『계층화 일본과 교육 위기 불평등 재생산에서 의욕 격차 사회로』는 선행 연구이다.[18]
2. 1. 역사적 배경 (일본)
와세다 대학 교수 하시모토 켄지에 따르면, 1970년대부터 1980년대의 일본에서는 "1억 총 중류" 의식 하에 격차 문제가 잊혔다고 한다.[13] 1985년 오자와 마사코는 저서 『신「계층 소비」의 시대』에서 중류 계급 내에서도 소비 내용에 차이가 생기고 있음을 지적하며 격차 확대가 시작되었음을 처음으로 지적했다.[14] 이후 1980년대 말까지 "계급"을 키워드나 제목으로 포함하는 잡지 기사의 수가 늘었다.[14]일본 정부는 1988년에 발표한 『국민 생활 백서』에서 고도 경제 성장기부터 버블 경제 시대까지 일본 사회의 경제적 격차 확대에 대해 언급했다.[15] 이 정부 발표 다음 날인 1988년 11월 19일, 아사히 신문의 사설이 "''''격차 사회''''''여도 괜찮은가"라는 제목으로 다룬 것이, 경제적 불평등·사회적 불평등에 대해 "격차 사회"라는 단어가 의식적으로 사용된 최초의 예로 여겨지고 있다.[15]
2003년에는 "승리자 그룹"이라는 단어의 용례가 일본 잡지 기사에서 급증했고,[16] 이듬해 2004년에는 신문 기사에서도 급증했다.[16] 2004년 야마다 마사히로의 저서 『희망 격차 사회』는 "승리자 그룹" "패배자 그룹"의 격차 확대를 지적하며 격차 사회에 관한 출판물의 효시로 여겨지지만,[17] 2001년에 카리야 타케히코 저 『계층화 일본과 교육 위기 불평등 재생산에서 의욕 격차 사회로』가 출판되었으며, 이것이 선행 연구가 된다. 야마다의 저작은 일반 독자를 위한 통속적인 사회학적인 저작이었으나, 카리야의 저작은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일본교직원조합의 교육 연구 전국 집회의 기록에서 교육 인식의 변천의 역사를 추적하는 등, 본격적인 교육 연구서였다.[18]
2. 2. 한국의 특수한 상황
대한민국은 IMF 외환 위기 이후 급격한 경제 구조 변화와 신자유주의 정책 도입으로 인해 양극화가 심화되었다. 글로벌화, 중국의 급부상, IT 기술 발전 등 외부 요인과 함께, 중소기업 및 자영업의 어려움, 사회안전망 미흡 등 내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양극화가 심화되었다.[96]저출산, 고령화는 생산가능인구 감소와 저축률 하락을 초래하여 잠재 성장률을 둔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산업, 기업 간 양극화의 양상은 다음과 같다.
-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의 생산성 격차 확대: 한국은 57%로, 선진국의 93%에 비해 낮다.
-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성과 격차 심화: 수익률 측면에서 상위 기업 간에는 큰 차이가 없으나, 하위 기업 간에는 격차가 크다.
-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노동생산성 격차 확대와 함께, 각 부문 내부에서도 개별 업체 간 생산성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
고용 및 소득의 양극화는 산업 양극화와 함께 고임금-저생산성 부문의 고용 비중이 증가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제조업에서는 고임금 대기업 고용이 감소하고 저임금 중소기업 고용이 증가하는 반면, 서비스업은 저임금 부문의 고용 비중이 높고 고임금 부문의 고용 비중은 낮다. 특히 고용의 양이 정체된 가운데 고용의 질에서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취업자 증가도 비정규직 중심으로 진행됨)[96]
대한민국은 중간 일자리가 감소하고 상위, 하위 일자리가 증가하는 'U'자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선진국은 중상위 일자리 증가가 높은 'J'자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3. 구조와 원인
양극화는 경제 환경의 급변, 산업 고용 구조의 취약성, 과거 정책적 대응 미흡으로 인해 나타난 현상이다. 글로벌화, 중국의 급부상, IT 기술 발전, 중소기업 취약성, 핵심 자본재 및 중간재 부족, 자영업 비대화, 외환위기 이후 경제 구조 개혁 지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인력 투자 및 사회 안전망 대책 미흡, 저출산 및 고령화로 인한 생산 가능 인구 감소 역시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요인이다.[96]
이러한 요인들은 산업 및 기업 간 양극화, 소득 및 고용 양극화, 혁신 기반(대응 능력) 양극화를 초래했다.
사회적 지위 변화가 어렵고 사회 이동이 적으며 사회 폐쇄성이 강한 격차 사회는 사회 문제 중 하나로 여겨진다.
경제학의 부의 재분배 연구, 사회학의 사회 계층 연구, 교육 사회학의 불평등 연구 등이 사회 양극화와 관련된다.
격차 사회는 경제 활동 쇠퇴, 생활 수준 악화, 다중 채무자 및 노숙자 증가, 자살 증가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국민의 공정성 저하로 규범 의식이 약화되고 치안이 악화될 수 있다. 빈곤층 및 저소득층 증가는 혼인율 감소와 저출산을 초래하며, 이는 노동 인구 감소로 이어져 사회 보장 제도의 붕괴를 야기할 수 있다.
국제 사회 역학 조사에 따르면, 사회적 격차가 큰 국가일수록 국민 평균 수명이 짧고, 특히 빈곤층의 수명이 짧은 경향이 있다. 이는 절대적인 경제력보다 사회 격차가 건강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20]
스탠퍼드 감옥 실험은 인위적으로 조성된 격차가 인간의 잔혹성을 증가시키고, 정신 질환 및 사망을 유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평등한 사회만이 사회의 건전성, 안전, 도덕, 그리고 세계 평화를 유지하고 사람들이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3. 1. 경제적 요인
국제 통화 기금(IMF)은 기술 혁신과 금융 세계화를 격차 확대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하고 있다.[78][19] 뉴스위크는 세계화와 자유 무역이 격차 확대를 야기하는 불가피한 부산물이라고 지적한다.3. 2. 산업 및 기업 간 양극화 (한국)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 생산성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성과 격차도 심화되고 있는데, 특히 하위 기업 간 격차가 크게 나타난다.[96]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그리고 각 부문 내부에서도 개별 업체 간 생산성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96]3. 3. 고용 및 소득 양극화 (한국)
제조업에서는 고임금 대기업의 고용이 줄고, 저임금 중소기업의 고용이 늘어나는 반면, 서비스업에서는 저임금 부문의 고용 비중이 높다. 고용의 양이 정체된 가운데, 고용의 질에 있어서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비정규직 중심으로 취업자가 증가하고 있다.[96] 대한민국은 중간 일자리가 감소하고 상위, 하위 일자리가 증가하는 'U'자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 반면, 선진국은 중상위 일자리 증가가 높은 'J'자 형태를 보이고 있다.격차 해소를 위해 "교육 확대", "기술 혁신으로 임금 하락을 불가피하게 겪은 저숙련 노동자의 재훈련"을 제안하는 의견도 있다.[19] 국제 통화 기금(IMF)의 보고서 『World Economic Outlook Oct.2007』(세계 경제 전망, 2007년 10월판)에서는 격차 해소 수단으로 직업 교육·훈련 기회 증가를 언급하며, 이를 통해 고숙련자를 늘리고 소득 수준 향상, 격차 축소를 목표로 한다고 밝히고 있다.[19]
3. 4. 사회적 요인
빈곤 문화 및 빈곤의 악순환은 저소득층의 사회적 박탈감을 심화시키고, 계층 이동을 어렵게 만든다.[4] 정부 실패, 특히 공공 정책 기관의 분절적 대응은 빈곤층 문제 해결을 어렵게 한다.[4] 불평등한 자원/기회 분배, 계급 갈등, 하위 계층의 등장은 사회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4]3. 5. 미디어의 역할
디지털 미디어, 특히 소셜 미디어는 사회 양극화를 조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6][7]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미디어 사이트는 친구와 지인들을 동질적인 집단으로 묶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Digg와 같은 소셜 뉴스 사이트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편향된 뉴스 소비를 촉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극단적인 경우, "공통된 공론의 장" 부재는 고립되고 양극화된 집단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심지어 서로에게 적대적일 수도 있다.[8] 예를 들어, 아랍의 봄 봉기 동안 소셜 미디어가 이미 여러 아랍 국가에 존재했던 사회 계층화를 더욱 심화시킨다는 점이 관찰되었다.[6]마찬가지로, 대중 매체 보도는 특히 소셜 미디어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에서 사람들이 사회적 관계를 변경하게 함으로써 의도치 않게 사회 양극화를 조장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모델과 소셜 미디어 데이터는 뉴스 보도가 반대되는 정치적 성향의 뉴스 소스 간에 크게 다를 때, 사람들이 반대 정치 이념을 가진 친구들과의 사회적 관계를 잃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9] 즉, 양극화된 정보 생태계에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사람들이 친구의 정치적 성향을 알지 못하더라도 발생할 수 있는데, 사람들이 뉴스 관련 친구의 행동에 반응하기 때문이다. 친구가 자신과 다른 뉴스 매체를 이용하고, 따라서 매우 다른 뉴스 보도를 소비한다면, 친구의 행동이 동떨어져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양극화된 뉴스 보도는 사람들이 무의식적으로 자신의 소셜 네트워크를 정치적 노선에 따라 분류하도록 하여 사회 양극화를 조장할 수 있다.
그러나 미디어 청중 분열이 자신과 일치하는 콘텐츠만 소비하는 "앙클레이브"로 분열되어 이론적으로 사회 양극화를 촉진하는 현상인 사이버 발칸화는 생각만큼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제임스 G. 웹스터는 닐슨 텔레비전 및 인터넷 청중 데이터를 사용하여 미디어 사용자 간의 이념적 분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는 "심지어 잘 알려지지 않은 틈새 미디어의 소비자조차도 대부분의 관심을 더 폭넓게 어필하는 콘텐츠에 쏟았기" 때문이다.[10]
하지만 웹스터는 자신의 연구가 소비되는 주제의 특정 특성이나 그것이 미디어 시청자의 사회 인식에 얼마나 강력하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측정하지는 않는다는 점을 인정한다.[10]
특정 소셜 미디어 사이트에서 관찰된 양극화는 반드시 해당 플랫폼에서 발생하는 사건 및 토론의 결과일 필요는 없다. 따라서 온라인 소셜 미디어에서 관찰된 양극화 추세는 다른 온라인 플랫폼 또는 오프라인 활동의 사용자 활동에서 나타날 수 있다. 2019년 연구 사례로, 트위터에서 반 기후 변화 신념을 전파하는 메시지는 집단적으로 신뢰성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11] 따라서 신뢰성이 없는 이러한 메시지가 트위터에서 기후 변화에 대한 의견 양극화를 증가시킬 가능성은 매우 낮다.
4. 일본의 격차 사회 논의
와세다 대학 교수 하시모토 켄지에 따르면, 1970년대부터 1980년대의 일본에서는 "1억 총 중류" 의식 하에 격차 문제가 잊혀졌다.[13] 1985년 오자와 마사코는 저서 『신「계층 소비」의 시대』에서 중류 계급 내 소비 차이를 지적하며 격차 확대를 처음으로 제기했다.[14] 1980년대 말에는 "계급"을 키워드로 하는 잡지 기사가 증가했다.[14]
1988년 일본 정부는 『국민 생활 백서』를 통해 고도 경제 성장기부터 버블 경제 시대까지의 경제적 격차 확대를 언급했다.[15] 아사히 신문은 다음 날인 1988년 11월 19일 사설에서 "''''격차 사회''''여도 괜찮은가"라는 제목으로 경제적 불평등·사회적 불평등에 대해 "격차 사회"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했다.[15]
2003년에는 "승리자 그룹"이라는 단어가 일본 잡지 기사에서 급증했고,[16] 2004년에는 신문 기사에서도 많이 사용되었다.[16] 2004년 야마다 마사히로의 저서 『희망 격차 사회』는 격차 사회 관련 출판물의 효시로 여겨지지만,[17] 2001년 카리야 타케히코의 저서 『계층화 일본과 교육 위기 불평등 재생산에서 의욕 격차 사회로』가 먼저 출판된 연구이다.[18]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과 규모가 변화하면서, 좋은 대학을 졸업해도 좋은 기업에 취업하는 것이 보장되지 않게 되었다. 개인의 가치관 다양화로 학생들도 일류 대기업만을 선호하지 않게 되면서, "좋은 대학을 나와 좋은 기업에 들어가는" 시스템은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되었다. 입시 경쟁 과열로 학원이나 입시 학원 등이 보급되면서, 초·중·고등학교에서의 공립학교 지위는 국립학교·사립학교에 비해 낮아졌다. 일류 대학 진학을 위해서는 의무 교육이나 공립학교 수업만으로는 어려워, 보호자의 자산 정도에 따라 교육 비용 부담 능력에 차이가 생겼다.
지역에 따른 교육 격차도 존재하며, 지방 창생 회의에서는 대학의 도쿄 일극 집중 현상이 문제시되고 있다.[43] 지방은 산업 구조와 인구 분포 차이로 재정 상황에 차이가 있어, 공공 사업, 보조금, 지방 교부세 교부금 등을 통해 재분배가 이루어져 왔다.[44] 그러나 최근 공공 사업과 보조금 삭감, 국가의 지방 예산 및 지방 교부세 감소로 인해 지방채 부담이 커지면서 재정 상황이 어려운 지방 자치단체가 늘고 있다.
모리나가 타쿠로는 수도권·주쿄권과 같은 도시와 홋카이도, 도호쿠, 규슈 등의 지방 간 평균 급여, 실업률, 인구 증가율 등에서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45] 경제학자 모타니 코스케는 도쿄는 번성하고 있지만 지방은 정체되어 있다는 등 실태와 다른 이미지로 지역 격차가 논의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46]
야마다 마사히로는 사회가 리스크 사회가 되면서 '공부해서 좋은 대학에 들어가면 좋은 기업에 들어갈 수 있다'는 '파이프라인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되었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파이프라인 시스템이 완전히 멈춘 것은 아니어서, 공부하면 보상받는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공부를 통해 좋은 기업에 가는 경향이 있는 반면, 공부해도 효과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공부를 하지 않고 취업도 잘 안 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48]
우치다 타츠루는 상류 계층은 노력이 보상받는다고 믿고, 하류 계층은 노력을 해도 의미가 없다고 믿는다고 말한다. 하류 계층은 '공부해도 좋은 기업에 들어갈 수 있다는 보장이 없다. 그러니 공부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고, 상류 계층은 '공부를 하지 않으면 좋은 기업에 들어갈 수 없다. 그러니 공부를 한다'고 생각한다. 어린이는 자신이 속한 계층의 가치관을 따르므로, 상류 계층 어린이는 공부를 하고 하류 계층 어린이는 공부를 부정하는 데 가치를 두어 계층화가 가속화된다고 설명한다.[49]
일류 대학 진학은 사립 명문 중고등학교가 유리하지만, 학비가 비싸고 입학 시험 합격을 위한 학원비도 많이 든다. 공립 중고등학교는 학비가 저렴하지만, 후지타 히데노리는 초등학생이 멀리 있는 공립 중고등학교를 자발적으로 선택하는 것은 드물고, 부모의 관심과 선택이 우선시되므로 교육열이 높은 유복한 가정의 학생들만 다니게 된다고 지적한다.[50] 국립학교는 학비가 공립과 같이 저렴하지만, 학력 시험을 통해 입학자를 선발하므로 교육열이 높고 학원비를 감당할 수 있는 경제력을 가진 가정의 우수한 자녀들이 모이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도시 지역에서는 사립 명문 학교와 같이 엘리트 학교화되고 있다.
4. 1. 일본의 지표 및 통계
일본에서는 다양한 주체에 의해 사회 양극화, 즉 격차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후생노동성은 빈곤 및 격차의 실태를 종합적이고 지속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표에는 소득 금액 계층별 세대 수 분포, 평균 소득 금액, 빈곤율 추이 등이 포함되며, 이를 통해 격차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미쓰비시 종합 연구소는 일본에서 지니 계수가 상승하는 가장 큰 요인이 고령화라고 지적한다.[52] 일반적으로 젊은 세대는 소득 격차가 작고, 나이가 들수록 격차가 벌어지는데,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면 격차도 확대된다는 것이다. 경제학자 이토 오사무는 지니 계수 등의 숫자로 나타나는 격차의 크기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필요 최소한의 생활을 하지 못하는 빈곤층이 실존하고 있다는 사실이 문제라고 지적한다.[53]
경제학자 이다 야스유키는 1990년대 말 불황이 심화되면서 신규 졸업자 채용이 축소되어 격차 문제가 발생했다고 지적한다. 그는 고용 및 격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거시 경제 악화와 디플레이션의 영향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한다. 또한, 일본의 재분배 정책이 빈곤층에서 세금을 걷어 부유층에게 주는 측면이 있다고 비판하며, 20-30대는 가난한 상태에 놓여 있다고 지적한다.[54]
경제학자 하라다 야스시와 다이와 종합 연구소는 일본의 격차 확대 원인이 저임금 서비스 노동의 확대에 있다고 지적한다.[55] 이들은 디플레이션 탈피가 격차 확대의 대책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며,[59] 세이프티넷 확충의 필요성을 강조한다.[61]
경제학자 다나카 히데토미는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그리고 세대 간 경제적 격차가 발생했다고 지적한다.[64] 그는 "격차 사회"가 장기간의 경기 침체로 인한 고용 악화에 기인하며, 특히 젊은 세대에서 비정규직 증가로 소득 격차가 확대되었다고 설명한다.
다케나카 헤이조는 격차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격차가 고정되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한다. 그는 경쟁을 부정하기보다는 누구나 평등하게 경쟁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이케다 노부오는 격차 확대의 원인이 시장 원리주의나 구조 개혁이 아니라, 버블 붕괴 이후의 장기 불황이라고 지적한다. 그는 고용 규제 완화를 통해 노동 시장을 유연하게 만들어 기회의 평등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오타케 후미오는 일본의 소득 격차 확대 요인이 고령화이며, 현재 소득뿐만 아니라 자산과 장래 소득을 포함한 생애 소득의 격차가 중요하다고 지적한다.[69] 그는 시장 경쟁을 통해 효율성을 높이고, 빈곤 문제는 세이프티넷을 통한 소득 재분배로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경제학자 도이 다케로는 일본에서 결과의 평등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큰 경향을 우려한다.[70] 경제학자 다카하시 요이치는 일본의 격차가 앵글로색슨 국가에 비해 크지 않으며, 고령화로 설명할 수 있다고 말한다.[71]
경제학자 이와타 노리오는 장기적으로 금융 정책을 통한 거시 경제 안정화와 경제 개혁이 성장률을 높이고 격차 확대를 억제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토마 피케티는 일본의 낮은 성장률과 인구 감소가 경제 전체의 파이를 확대하지 못해 상속 자산의 중요성이 커지고, 일반인들이 부를 얻기 어려워져 격차가 확대된다고 지적한다.[79]
4. 2. 일본의 격차 해소 노력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일본에 대해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보호 격차를 줄이고, 동일 노동 동일 임금 원칙 도입을 권고했다. 사회 정책 관점에서는 부의 재분배를 통해 격차를 시정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소비세 도입, 상속세 경감 등 세제 변화는 격차 해소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78] [79]4. 3. 일본의 교육 및 지역 격차
기업이 원하는 사원의 모습과 규모가 변화하면서, 기업에 인재를 공급하는 학교를 둘러싼 상황도 변화했다. 기업이 다수의 정사원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면서, 좋은 대학을 나와도 좋은 기업에 채용될 수 있다는 보장이 없어졌다. 또한, 각 개인의 가치관도 다양해지면서, 학생 쪽에서도 반드시 일류 대기업이라고 불리는 기업을 바라지 않게 되었다. 이로 인해 "좋은 대학을 나와, 좋은 기업에 들어가는"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되었다.[48] 입시 경쟁의 과열로 학원이나 입시 학원 등이 보급되었고, 초·중·고등학교에서의 공립학교의 지위는 국립학교·사립학교에 비해 저하되었다. 일반적으로 일류라고 불리는 난이도와 사회적 평가가 높은 대학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의무 교육이나 공립학교에서 제공되는 수업만으로는 어려워, 보호자에게 어느 정도의 자산이 없으면 교육에 필요한 비용을 충분히 부담할 수 없게 되었다.

지역에 따른 교육 격차도 있기 때문에, 지방 창생 회의에서는 대학의 도쿄 일극 집중이 문제시되고 있다.[43]
모리나가 타쿠로는 "수도권·주쿄권과 같은 도시와 홋카이도, 도호쿠, 규슈 등의 지방에서는, 평균 급여·실업률·인구 증가율 등 대부분의 분야에서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45]
경제학자 모타니 코스케는 "도쿄는 번성하고 있지만, 지방은 정체되어 있다", "나고야는 일본에서 가장 번성하고 있다" 등과 같이, 실태와 괴리된 이미지로 이야기되는 경우가 매우 많다고 지적했다.[46]
야마다 마사히로는 "공부를 해서 좋은 대학에 들어가면, 좋은 기업에 들어갈 수 있다는 사회 시스템('파이프라인 시스템')이, 사회가 리스크 사회가 됨으로써 충분히 기능하지 않게 되었다. 한편, 파이프라인 시스템은 기능 정지는 하지 않았기 때문에, 공부하면 보상받는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공부를 함으로써 좋은 기업에 가는 경향이 있는 반면, 공부해도 효과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공부를 하지 않고 취업도 잘 안 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48]
우치다 타츠루는 "상류 계층은 노력이 보상받는다고 믿고 있으며, 하류 계층은 노력을 해도 의미가 없다고 믿고 있다. 하류 계층은 '공부를 해도 좋은 기업에 들어갈 수 있다는 보장이 없다. 그러니 공부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반면, 상류 계층은 '애초에 공부를 하지 않으면 좋은 기업에 들어갈 수 없다. 그러니 공부를 한다'고 생각한다. 어린이는 자신이 소속된 계층의 가치관을 따르기 때문에, 상류 계층의 어린이는 공부를 하는 반면, 하류 계층의 어린이는 오히려 공부를 부정하는 데 가치를 찾는다. 이렇게 계층화는 가속적으로 진행되었다"고 말했다.[49]
일류 대학 진학은 사립 명문 중고등학교가 유리하지만, 학비가 고액이며 입학 시험에 합격하기 위한 학습 학원의 학비도 무시할 수 없는 금액이다. 이에 비해, 공립 학교 중에도 중고등학교가 있으며 학비는 저렴하지만, 후지타 히데노리는 "초등학생이 자발적으로 먼 곳의 공립 중고등학교를 선택하는 것은 있을 수 없고, 부모의 관심·선택이 우선시되기 때문에, 공립 중고등학교는 교육열이 높은 유복한 가정의 학생들만 다니게 된다"고 지적했다.[50] 국립학교는 학비가 공립과 마찬가지로 저렴하지만, 입학자의 선발에는 학력 시험이 있기 때문에, 그 입시를 향해 교육열이 높고, 학습 학원 등의 비용을 충당할 수 있는 경제력이 있는 가정의 우수한 자녀들이 모이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도시부에서는 사립 명문 학교와 마찬가지로 엘리트 학교화하고 있다.
4. 4. 일본의 격차 사회에 대한 논쟁
1970년대부터 1980년대의 일본에서는 "1억 총 중류" 의식 하에 격차 문제가 잊혀졌으나[13], 1985년 오자와 마사코의 저서 『신「계층 소비」의 시대』에서 격차 확대가 처음 지적되었다[14]。1988년 일본 정부의 『국민 생활 백서』에서도 고도 경제 성장기부터 버블 경제 시대까지의 경제적 격차 확대가 언급되었다[15]。아사히 신문은 1988년 11월 19일 사설에서 "''''격차 사회''''여도 괜찮은가"라는 제목으로 경제적 불평등·사회적 불평등에 대해 "격차 사회"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했다[15]。2003년 "승리자 그룹"이라는 단어가 일본 잡지 기사에서 급증했고[16], 2004년에는 신문 기사에서도 급증했다[16]。2004년 야마다 마사히로의 저서 『희망 격차 사회』는 격차 사회 관련 출판물의 효시로 여겨지지만[17], 2001년 카리야 타케히코의 저서 『계층화 일본과 교육 위기 불평등 재생산에서 의욕 격차 사회로』가 선행 연구이다[18]。
일본에서 격차 확대의 원인으로는 다양한 요인이 제기되고 있다.
- 비정규직 고용 증가: 오타 키요시는 젊은층 소득 격차의 원인으로 비정규직 고용 비율 증가를 지적하며, 1997년 이후 경기 침체와 고용 유동화 등의 구조적 요인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제시한다。다나카 히데토미는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기업들이 싼 채용 비용과 임금으로 노동자를 조달할 수 있게 되어 비정규직 고용이 늘어났다고 지적한다[63]。
- 고령화: 미쓰비시 종합 연구소는 일본에서 지니 계수가 상승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고령화를 지적한다[52]。오타케 후미오 역시 일본의 소득 격차 확대 요인이 고령화라고 주장한다[69]。
- 저임금 서비스 노동 확대: 하라다 야스시와 다이와 종합 연구소는 일본에서 격차가 확대되는 원인이 저임금 서비스 노동의 확대에 있다고 지적한다[55]。
- 불황: 이다 야스유키는 1990년대 말 불황 심화로 인해 신규 졸업자 채용이 축소되면서 격차 문제가 발생했다고 지적한다。게리 베커는 일본의 경제 격차 원인이 불황이며, 경기 회복이 계속되면 문제 대부분이 해소될 것이라고 주장한다。이케다 노부오는 격차 확대의 원인이 시장 원리주의나 구조 개혁이 아니라, 버블 붕괴 후의 장기 불황이라고 지적한다。
격차 해소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들이 제시되고 있다.
- 세제 개혁: 와카타베 마사토모는 세제뿐만 아니라 교육, 입법을 통한 기회의 불평등 격차 시정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72]。이다 야스유키는 일본의 재분배 정책이 빈곤층에서 세금을 걷어 부유층을 지원하는 측면이 있다고 비판하며, 재분배 시스템 개혁을 주장한다[54]。
- 교육 기회 확대: 하라다 야스시는 저소득층 자녀에게 학원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의 정책이 유효한 격차 대책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59]。다케나카 헤이조는 경쟁에 평등하게 참여할 수 있는 환경 정비가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 경제 성장: 하라다 야스시는 격차 축소를 위해 경제 성장을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언한다[60]。이와타 노리오는 장기적으로 금융 정책을 통한 거시 경제 안정화와 경제 개혁이 성장률을 높이고 격차 확대를 억제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사회 보장 정책 강화: 하라다 야스시는 일본의 사회 보장 정책이 빈곤층에 무거운 부담과 낮은 급여, 비빈곤층에 가벼운 부담과 두터운 급여를 제공하여 격차를 축소하지 못한다고 지적하며, 개선을 요구한다[58]。오타케 후미오는 세이프티넷 확충을 통한 소득 재분배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5. 세계적 경향
국제 통화 기금(IMF)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년간 대부분의 국가에서 소득 격차가 확대되었다.[78][19] IMF는 격차 확대의 주요 원인으로 "기술 혁신"과 "금융의 세계화"를 지적하고 있다. 『뉴스위크 일본어판』 2007년 12월 5일호에서는 "경제학의 통설에서는 격차의 확대가 세계화와 자유 무역의 불가피한 부산물이라고 여겨지고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토마 피케티는 저서 21세기 자본에서 자본주의 하에서는 자본 수익률이 소득 성장률보다 높아 격차가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한다.[92][93] 피케티는 부유층의 자산 증가 속도가 일반인의 임금 증가 속도를 넘어서는 것이 문제의 근본이며, 상속, 결혼 등이 자산을 축적하는 주요 수단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79] 그는 자산을 가진 자가 더욱 자산을 축적하는 경향이 있으며, 불평등은 세습을 통해 확대된다고 결론 내린다.[79]
유럽과 미국은 불평등에 대한 인식에 차이를 보인다. 정치경제학자인 알베르토 알레지나 등의 연구에 따르면, 유럽에서는 불평등감이 높아지면 사람들의 행복감이 저하되는 반면, 미국에서는 불평등감이 높아져도 행복감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는 미국에서는 소득 계층 간 이동률이 높기 때문에 현재의 가난이 미래의 가난을 의미하지 않지만, 유럽에서는 소득 계층 간 이동률이 낮아 소득 불평등이 더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5. 1. 주요 국가별 현황
미국에서는 레이거노믹스 이후 경제적 격차가 확대되었으며, 이에 대한 반발로 월가를 점령하라 시위가 발생하기도 했다.[5]프랑스는 고용 격차가 심각한 상황이다. 특히 청년층과 이민자의 실업률이 높아 사회 문제로 이어지고 있으며, 2005년 파리 교외 폭동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82] 프랑스는 노동자를 두텁게 보호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이것이 오히려 고용 격차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비판도 있다.[82]
- 해고 제한에 따른 취업 기회 감소: 경영자는 노동법에 의해 보호받는 노동자를 해고하기 어렵기 때문에, 경기 변동에 따른 고용 조정이 쉽지 않다. 이는 신규 고용의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82]
- 최저 임금의 높이에 따른 취업 기회 감소: 프랑스의 최저 임금은 유럽에서도 높은 수준이어서, 기술 수준이 낮고 경험이 적은 청년층의 고용을 어렵게 만든다.[82]
대한민국은 IMF 외환 위기 이후 경제적 격차가 심화되었다. 젊은 층 사이에서는 저소득층 출신을 의미하는 "흙수저" 계층과 부유한 가정의 자녀를 나타내는 "금수저" 계층이라는 용어가 등장하며, 계층 이동의 어려움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89]
중화인민공화국은 개혁개방 이후 연안부와 내륙부 간의 경제적 격차가 심화되었다. 1989년의 육사 천안문 사건은 이러한 소득 격차를 배경으로 발생한 사건 중 하나이다. 2010년 기준으로 상하이, 베이징, 광저우 등 대도시 및 연안부의 4억 명 지역과 내륙 농촌부의 9억 명 지역 사이에 큰 경제 격차가 존재하며,[90] 주요 도시와 내륙 농촌부 간의 임금 격차는 10배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인도는 카스트 제도의 영향으로 경제적 격차가 여전히 존재하며, 선진 산업 종사자를 제외한 인구의 3분의 2가 저소득층에 속한다.
6. 문제 해결의 방향 (한국)
일차적으로 사회경제적 가치의 기본이 되는 양질의 일자리를 시장을 통해 창출하는 것이 양극화 해소의 최우선 정책이며, 특히 고용 흡수력이 높은 서비스 산업을 적극 육성해야 한다.[1]
빈곤의 대물림을 방지하고 직업의 원활한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사회의 수직적, 수평적 이동성을 제고해야 한다. 사회경제적 지위의 세습을 막기 위한 교육 혁신과 사회보험 사각지대 해소 및 내실화가 필요하다.[2]
소외계층 및 경쟁 낙오자에 대한 사회적 보호 및 자립, 자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보편적 사회안전망 구축 및 질적 내실화가 이루어져야 한다.[3]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the City
Routledge
[2]
서적
Divisions of Labour
Blackwell
[3]
서적
The Globalized City: Economic Restructuring and Social Polarization in European Cities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Urban Social Geography: An Introduction
https://archive.org/[...]
Pearson Prentice Hall
[5]
서적
The Globalized City: Economic Restructuring and Social Polarization in European Cities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Our western Spring: The Battle Between Technology and Democracy, Moment of Truth Kindle Edition
https://www.amazon.c[...]
Sela-Meir Publishing house
[7]
간행물
How the Media Trashed the Transitions
2015-10
[8]
간행물
The Duality of Media: A Structurational Theory of Public Attention
2011-02-01
[9]
간행물
Polarized information ecosystems can reorganize social networks via information cascades
2021-12-14
[10]
간행물
The Dynamics of Audience Fragmentation: Public Attention in an Age of Digital Media
2012-02-01
[11]
간행물
Credibility of climate change denial in social media
2019-10-29
[12]
웹사이트
2006年 新語・流行語大賞
http://singo.jiyu.co[...]
[13]
문서
"橋本健二「第9章 新しい階級社会の形成 2000年代」「階級社会の認識」"
[14]
문서
"橋本健二『「格差」の戦後史』「7章 格差拡大の始まり 1980年代」「格差に関する言説の出現」"
[15]
뉴스
日本の格差拡大が昭和末期に始まっていた証拠 国民は容認したが現実には階級社会が進行した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
2020-08-12
[16]
간행물
階層意識としての勝ち組・負け組 準拠集団に関するインターネット調査結果の分析 (2)
https://cir.nii.ac.j[...]
2013-09
[17]
뉴스
社会学の手法で分析する「階層化する日本」
http://www.nikkeibp.[...]
日経BP社
2006-10-27
[18]
뉴스
論争ウォッチング 格差問題の論争 - 書評:苅谷剛彦著『階層化日本と教育危機』
https://www.rieti.go[...]
経済産業研究所
[19]
뉴스
所得格差拡大論の誤謬
http://business.nikk[...]
日経ビジネスオンライン
2007-10-25
[20]
서적
不平等が健康を損なう
日本評論社
[21]
웹사이트
What Are Positive Core Self-Evaluations and How Can they Help You Succeed and Make More Money, Too - The Power of Beliefs
https://www.coursera[...]
2023-04-02
[22]
문서
貧困の文化
[23]
문서
Goode and Eames, 1996
[24]
서적
日本の経済格差
岩波書店
[25]
문서
第II部 構造転換期の雇用・賃金と高齢化への対応
https://www.mhlw.go.[...]
[26]
간행물
法人企業統計調査
財務省
[27]
뉴스
Japan Real Time 日本でも格差は広がる-欧米で話題『21世紀の資本論』
http://realtime.wsj.[...]
WSJ
2014-05-13
[28]
문서
企業経営者が、人件費削減と雇用調整要員(いつでも解雇できる要員)確保のために、新規採用を抑制するとともに、正社員より安い賃金体系のアルバイト・パートタイマー・契約社員・派遣社員などの非正社員の採用を進めていったとされる。
[29]
간행물
産業別にみた賃金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30]
간행물
企業規模別にみた賃金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31]
간행물
学歴別にみた賃金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32]
간행물
労働力調査
総務省
[33]
웹사이트
"Wealth #inequality is twice the level of #income inequality: The wealthiest 10% of households hold 52% of total net wealth compared w/ 24% of total income held by the top 10% http://bit.ly/2KmB99R"
https://twitter.com/[...]
経済協力開発機構
2018-07-01
[34]
웹사이트
社会保障審議会>生活保護基準部会>第2回社会保障審議会生活保護基準部会>資料2-2 貧困・格差、低所得者対策に関する資料(p.16)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1-08-08
[35]
웹사이트
平成25年国民生活基礎調査の概況>II 各種世帯の所得等の状況>7 貧困率の状況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36]
웹사이트
令和4年国民生活基礎調査の概況>II 各種世帯の所得等の状況>6 貧困率の状況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政策[[統括官]]付[[参事官]]付世帯統計室
2023-11-23
[37]
웹사이트
2022(令和4)年 国民生活基礎調査の概況 用語の説明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22-11-23
[38]
웹사이트
令和4年国民生活基礎調査の概況>所得の状況(第21表~第35表)>第21表 世帯数の相対度数分布-1世帯当たり平均所得金額-世帯人員1人当たり平均所得金額-中央値-平均所得金額以下の世帯の割合,世帯類型-児童のいる世帯-65歳以上の者のいる世帯-標準4人世帯・所得金額階級別
https://www.e-stat.g[...]
厚生労働省政策統括官付参事官付世帯統計室
2023-11-23
[39]
웹사이트
令和4年国民生活基礎調査の概況>用語の説明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政策統括官付参事官付世帯統計室
2023-11-23
[40]
웹사이트
平成19年版国民生活白書>資料編>2.家計、資産格差・所得格差>(2)資産格差・所得格差
https://warp.da.ndl.[...]
内閣府
2011-08-07
[41]
웹사이트
Japan could do more to help young people find stable jobs 日本は若者が安定した仕事につけるよう、もっとやれることがある
http://www.oecd.org/[...]
経済協力開発機構
[42]
뉴스
読売新聞
2007-04-15
[43]
뉴스
東京への大学集中、是正検討=地方創生で有識者会議
http://www.jiji.com/[...]
時事通信
2017-02-06
[44]
문서
「我が国の経済格差の実態とその政策対応に関する研究会」報告書
財務総合政策研究所
[45]
서적
「騙されない!」ための経済学 モリタク流・経済ニュースのウラ読み術
PHP研究所
2008
[46]
서적
実測!ニッポンの地域力
日本経済新聞出版社
2007-09
[47]
웹사이트
地域間格差拡大論のウソ
http://business.nikk[...]
日経ビジネスオンライン
2007-08-07
[48]
서적
希望格差社会
[49]
서적
下流志向--学ばない子どもたち、働かない若者たち
講談社
2007-01-30
[50]
서적
教育改革--共生時代の学校づくり
岩波書店
1997-06-20
[51]
서적
雇用大崩壊 失業率10%時代の到来
NHK出版
2009
[52]
서적
手にとるように経済がわかる本
かんき出版
2009
[53]
서적
日本の経済-歴史・現状・論点
中央公論新社
2007
[54]
서적
世界一シンプルな経済入門 経済は損得で理解しろ! 日頃の疑問からデフレまで
エンターブレイン
2010
[55]
서적
新社会人に効く日本経済入門
毎日新聞社
2009
[56]
웹사이트
なぜ日本のリベラルはリフレ政策が嫌いなのか
https://wedge.ismedi[...]
WEDGE Infinity(ウェッジ)
2014-09-05
[57]
웹사이트
誤った認識で3本の矢を狂わせるな
https://wedge.ismedi[...]
WEDGE Infinity(ウェッジ)
2014-03-03
[58]
웹사이트
日本のリベラルが考えるべき8つのこと
https://wedge.ismedi[...]
WEDGE Infinity(ウェッジ)
2014-10-06
[59]
웹사이트
賢者の知恵 『21世紀の資本』ピケティ教授が提唱「金持ちの財産にもっと課税せよ」 もし日本で実現したら、を考える 原田泰×田中秀臣
https://gendai.media[...]
現代ビジネス
2015-01-28
[60]
웹사이트
若者を見殺しにする日本経済
http://www.hitachi-h[...]
日立総合計画研究所
2014-03-14
[61]
서적
新社会人に効く日本経済入門
毎日新聞社
2009
[62]
서적
構造改革論の誤解
東洋経済新報社
2001
[63]
서적
日本建替論 〔100兆円の余剰資金を動員せよ!〕
藤原書店
2012
[64]
서적
デフレ不況 日本銀行の大罪
朝日新聞出版
2010
[65]
서적
はじめての経済学〈下〉
日本経済新聞出版社
2004
[66]
서적
新平等社会
文芸春秋
2006-09
[67]
서적
30語でわかる日本経済
日本経済新聞社
2000
[68]
서적
階層化日本と教育危機
有信堂高文社
2001-07
[69]
웹사이트
格差社会で損をしているのは誰か? 大竹文雄
http://www.chikumash[...]
PR誌ちくま
2008-07
[70]
서적
経済学の巨人 危機と闘う-達人が読み解く先人の知恵
日本経済新聞社
2012
[71]
뉴스
高橋洋一「ニュースの深層」 「ピケティ格差解説」TV番組に出たら、出演者がみんな「所得トップ1%に入る年収」だった
https://gendai.media[...]
現代ビジネス
2015-02-23
[72]
간행물
第9回 世界的格差拡大でマルクスとエンゲルスは復活するか?
http://www.yuhikaku.[...]
書斎の窓
[73]
간행물
経済学史の窓から 第7回 マルサスは陰鬱な科学者か?
http://www.yuhikaku.[...]
書斎の窓
[74]
서적
日本の経済
ナツメ社
2000
[75]
서적
格差病社会 日本人の心理構造
[76]
서적
格差病社会 日本人の心理構造
[77]
뉴스
雇用環境も福祉も欧米以下!日本は「世界で一番冷たい」格差社会
https://diamond.jp/a[...]
ダイヤモンド・オンライン
2008-06-30
[78]
뉴스
世界で格差拡大、解消策は教育 富裕層の所得増要因--分析公表
毎日新聞
2007-10-10
[79]
웹사이트
格差論争 ピケティ教授が語る
https://web.archive.[...]
NHK NEWS WEB
2014-10-17
[80]
웹사이트
Summaries of EU legislation>Employment and social policy>Social inclusion and the fight against poverty>Reinforcing the Open Method of Coordination for social protection and social inclusion
http://eur-lex.europ[...]
EU
2011-08-08
[81]
웹사이트
平成22年版 厚生労働白書>第2部>第3節 ナショナルミニマムの構築>図表2-3-6 EUにおける社会的保護と社会的包摂に関する指標(2008年)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1-08-08
[82]
간행물
週刊東洋経済
2007-10-06
[83]
서적
世界を変えた経済学の名著
日本経済新聞社
2013
[84]
서적
本当の経済の話をしよう
筑摩書房
2012
[85]
서적
格差は作られた
[86]
간행물
ジョセフ・E・スティグリッツ
http://shinsho.shuei[...]
kotoba(コトバ)
2013-06
[87]
간행물
アメリカにおける不平等の拡大――「金メッキ時代」の再来と民主主義の危機
http://www.suntory.c[...]
アステイオン
2011
[88]
웹사이트
教育不平等、性別・地域間で依然として格差存在
http://app.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08-01-28
[89]
웹사이트
文政権下で広がる格差、韓国「泥スプーン」組の絶望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19-12-01
[90]
서적
面白いほどよくわかる世界経済-日本を取り巻く世界経済の現状とその問題点(学校で教えない教科書)
日本文芸社
2010
[91]
뉴스
ジョセフ・スティグリッツ「貧富の格差に対処する国と対処しない国に世界は分裂しはじめた」
https://gendai.media[...]
現代ビジネス The New York Times
2013-11-18
[92]
뉴스
高橋洋一の俗論を撃つ! 全く退屈しないデータ満載の歴史書 ピケティの『21世紀の資本』を読む
https://diamond.jp/a[...]
ダイヤモンド・オンライン
2014-12-25
[93]
뉴스
高橋洋一「ニュースの深層」 ピケティ本『21世紀の資本』は、この図11枚で理解できる
https://gendai.media[...]
現代ビジネス
2014-12-29
[94]
뉴스
グローバル化に透明性を パリ経済学校教授・ピケティ氏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4-12-22
[95]
문서
양극화시대의 일하는 사람들
http://book.naver.co[...]
[96]
문서
상하위 10%계층간 근로소득 격차 - 통계청자료
http://kostat.g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