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생존 페르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존 페르스는 프랑스령 과들루프에서 태어나 프랑스에서 교육받은 외교관이자 시인이다. 그는 외교관으로서 프랑스 외무부에서 근무하며 로카르노 조약, 켈로그-브리앙 조약 체결에 참여하고, 외무부 사무총장으로 재직하며 국제 연맹을 통한 평화적 해결을 지지했다. 시인으로서 1924년 『아나바스』를 발표하며 문학적 명성을 얻었고, 망명 생활 중에도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1960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주요 작품으로 『찬가』, 『아나바스』, 『망명』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들루프의 작가 - 마리즈 콩데
    마리즈 콩데는 1934년 과들루프에서 태어나 인종, 젠더, 문화적 문제를 탐구하는 작품을 쓴 소설가, 극작가, 에세이 작가이며, 2018년 뉴 아카데미 문학상을 수상하고 2024년에 사망했다.
  • 보르도 대학교 동문 - 프랑수아 모리아크
    프랑수아 모리아크는 보르도 지방의 풍물을 배경으로 개인, 가정, 신앙, 욕망 간의 갈등을 다룬 소설을 통해 심리 소설가로서 입지를 다진 프랑스의 소설가, 시인, 극작가, 평론가이며, 노벨 문학상과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상했고 레지스탕스 운동 참여 및 사회, 정치적 활동에도 적극적이었다.
  • 보르도 대학교 동문 - 조제프이냐스 기요탱
    조제프이냐스 기요탱은 프랑스 혁명기에 인도주의적 사형 집행 방법으로 단두대 사용을 제안한 의사이자 정치인이며, 사형 제도가 존속하는 한 고통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신념으로 기계식 참수 장치 도입을 주장했다.
  • 푸앵타피트르 출신 - 야니크 보렐
    프랑스의 펜싱 에페 선수 야니크 보렐은 올림픽, 세계 선수권, 유럽 선수권에서 다수의 금메달을 획득하고 2016년 리우 올림픽 단체전 금메달, 2024년 파리 올림픽 개인전 은메달을 획득한 세계적인 선수이다.
  • 푸앵타피트르 출신 - 릴리앙 튀람
    프랑스 축구 역사상 최다 출전 기록을 보유한 수비수 릴리앙 튀람은 프랑스 국가대표로 월드컵과 유로 우승에 기여했으며, 명문 클럽에서 다양한 우승컵을 들어올린 후 사회 운동가로 활동하고 있다.
생존 페르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출생 이름알렉시 레제
다른 이름상-존 페르스
출생일1887년 5월 31일
출생지과들루프 포앵타피트르
사망일1975년 9월 20일
사망지프로방스 지에앙 반도
국적프랑스
직업시인, 외교관
모교보르도 대학교
수상
수상노벨 문학상(1960)
수상 이유우리 시대의 상황을 선견지명으로 반영한, 그의 시의 고상한 비상과 환기적인 형상에 대해
생존 페르스 1960년 사진
1960년의 페르스

2. 유년 시절과 교육

알렉시스 레제(Alexis Léger)는 과들루프의 푸앵트아피트르에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변호사 가문이었으며, 증조부 프로스페르 루이 레제는 1815년 과들루프에 정착했다. 할아버지와 아버지는 모두 변호사였고, 아버지는 시의회 의원이기도 했다. 레제 가문은 커피 농장(라 조세핀)과 설탕 농장(부아드브) 두 곳을 소유한 부유한 집안이었다. 생 레제는 과들루프에서의 어린 시절을 "식민지인만이 프랑스인인 것처럼 프랑스인 가문의 아들"이라고 묘사했다. 그는 차갑고 거리를 두는 아버지보다 따뜻하고 다정한 어머니에게 더 친밀감을 느꼈다. 서인도 제도의 풍부한 동식물 속에서 자라며 자연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고, 특히 새에 매료되어 조류학에 관심을 보였다.

미국-스페인 전쟁 이후 카리브해의 프랑스 식민지에 대한 미국의 점령 가능성에 대한 소문과 인종적 긴장이 고조되던 1899년, 레제 가족은 프랑스 본토로 이주하여 피레네자틀랑티크주 에 정착했다. 어린 알렉시스는 프랑스 본토에서 스스로를 망명자처럼 느꼈고, 하이킹, 펜싱, 승마, 대서양 항해 등 야외 활동에 많은 시간을 보냈다. 학창 시절 가장 뛰어난 과목은 자연 과학이었다. 그는 스스로를 대서양 양쪽 문화에 익숙한 "대서양의 남자"로 여겼으며, 본토보다는 섬과 반도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그가 프랑스 본토에서 느낀 이질감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리세 루이-바르투에 입학하여 우수한 성적으로 바칼로레아를 통과했고, 이후 보르도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대학 시절에는 지역 신문 ''포-가제트''(Pau-Gazette)의 음악 평론가로 활동하기도 했다.

과들루프에서 어머니, 여동생들과 함께한 1896년의 어린 시절 알렉시스 레제


1904년 오르테즈에서 시인 프랑시스 잠을 만나 가까운 친구가 되었다. 그는 문화 클럽에 자주 드나들며 폴 클로델, 오딜롱 르동, 발레리 라르보, 앙드레 지드 등 당대의 문인 및 예술가들과 교류했다. 로빈슨 크루소 이야기를 소재로 한 짧은 시를 썼고, 핀다로스의 번역을 시작했다. 1910년에는 그의 첫 시집인 Éloges|엘로쥬fra(찬가)를 출판했다. 이 시집은 그가 어린 시절을 보낸 과들루프에 대한 향수를 반영하고 있으며, 상실된 낙원으로서의 유년 시절과 농장에 대한 그리움을 몽환적이면서도 우수 어린 분위기로 그려낸다.

1907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가족의 재정 상황이 어려워져 학업을 잠시 중단하기도 했으나, 결국 1910년에 법학 학위를 취득했다.

3. 초기 문학 활동

1904년 오르테즈에서 시인 프랑시스 잠을 만나 가까운 친구가 되었다. 그는 문화 클럽에 자주 드나들며 폴 클로델, 오딜롱 레동, 발레리 라르보, 앙드레 지드 등 당대의 문인 및 예술가들과 교류했다. 이 시기 로빈슨 크루소 이야기를 소재로 한 짧은 시 '크루소에게 바치는 이미지'(Images à Crusoé프랑스어)를 썼고, 고대 그리스 시인 핀다르의 작품 번역을 시작했다.

1910년, 첫 시집 Éloges|엘로쥬프랑스어(찬가)를 출판했다. 이 시집은 그가 어린 시절을 보낸 과들루프에 대한 깊은 향수를 반영하고 있다. Éloges|엘로쥬프랑스어는 화자가 '다른 해안', 즉 바다 너머의 장소(outre-mer프랑스어)와 꿈 너머의 장소(outre-songe프랑스어)를 탐색하는 내용을 다룬다. 시는 상실된 낙원처럼 묘사된 어린 시절 농장에 대한 그리움을 반영하며, 몽환적이면서도 우수 어린 분위기를 자아낸다. 또한 시간이 흘러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과거 세계의 기억을 포착하려는 시도를 보여주는데, 생 레제가 자란 집은 정글에 잠식되고 가족 서재의 책들이 썩어가는 모습으로 그려지며 쇠락의 이미지를 담고 있다. Éloges|엘로쥬프랑스어는 출간 당시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마르셀 프루스트와 같은 일부 작가들은 그의 시적 재능을 높이 평가했다.

1912년, 생 레제는 발레리 라르보, 앙드레 지드와 함께 시의 혁신을 추구하는 런던의 존 던 클럽(John Donne Club)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클럽 회원 선출을 기념하여 런던을 방문했을 때, 폴란드계 영국인 소설가 조지프 콘래드를 만났고, 그로부터 시인의 길을 계속 걸으라는 격려를 받았다. 생 레제는 시인의 역할이 과학자와 같이 우주와 인간 의식을 포착하는 것이며, 당시 문학계의 유행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생각했다.

4. 외교관 경력

생존 페르스의 연도 미상의 사진


생존 페르스는 오랜 기간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프랑스 외교 정책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1935년 체코슬로바키아 대통령이 된 오랜 외무장관 에드바르트 베네스와 절친한 사이였으며, 체코슬로바키아를 강력하게 지지하는 입장을 견지했다. 캐나다 역사가 존 케언스는 생존 페르스를 자신이 반대하는 정책 구상을 때로는 적극적으로 훼손하기도 하는 인물로 평가했다.

외무부 내에서 그는 나치 독일이 내부적으로 불안정하며, 영국과 프랑스가 단호하게 맞선다면 히틀러가 물러설 것이라고 믿는 낙관론자 그룹을 이끌었다.[5] 1936년 10월, 파리에 새로 부임한 미국 대사 윌리엄 크리스천 불리트 주니어를 환영하면서,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이 프랑스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친구를 대사로 보낸 것에 대한 프랑스 측의 긍정적인 반응과 미국과의 관계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의 외교관 경력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부터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후까지 이어졌으며, 특히 1933년부터 1940년까지 외무성 사무총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아리스티드 브리앙의 평화 구상을 계승하려 노력했으며, 점증하는 나치 독일의 위협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프랑스 외교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다.

4. 1. 초기 경력 (1914-1921)

1911년 프랑스 외무성에 들어가 1년 동안 스페인, 독일, 영국 등지에서 근무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정부의 보도 담당관으로 활동했다. 1916년부터 1921년까지 베이징 주재 프랑스 대사관에서 서기관으로 근무했으며, 이 시기 중국에서 장시 ''아나바스''를 집필했다. 1921년 워싱턴 D.C.에서 열린 군축 회의에 참석했다.

4. 2. 아리스티드 브리앙의 비서 (1921-1932)

1921년 워싱턴 D.C.에서 열린 세계 군축 회의에 참석했을 때, 당시 프랑스 총리였던 아리스티드 브리앙의 눈에 띄어 그의 비서로 발탁되었다. 파리로 돌아온 알렉시 레제는 동료 지식인이자 시인인 발레리 라르보를 알게 되었고, 라르보는 레제가 중국 체류 중 쓴 시 Anabase|아나바스프랑스어의 출판에 도움을 주었다. ''누벨 르뷔 프랑세즈''의 편집자였던 앙드레 지드는 레제를 직접 찾아와 출판할 만한 시가 있는지 물었고, 레제의 트렁크에서 ''아나바스'' 원고를 발견했다. 레제는 클래식 음악에도 조예가 깊어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나디아 불랑제, 레 식스와 같은 음악가들과 교류했다. 파리의 지적이고 예술적인 사회에서 레제는 주목받는 시인이었으며, 특히 마르셀 프루스트와는 가까운 친구 사이였다. 프루스트는 자신의 대작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후속 권을 집필하는 동안 레제로부터 조언과 격려를 받았다.

레제는 중국에서 첫 장편 시 ''아나바스''를 썼고, 1924년 평생 사용할 필명인 '생존 페르스'로 이 시를 출판했다. 외교관이 시를 출판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그는 이후 20년 동안 이 작품을 재출판하지 않았다. 출판 당시 ''아나바스''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T. S. 엘리엇, 주세페 운가레티, 휴고 폰 호프만스탈, 라이너 마리아 릴케와 같은 저명한 시인들은 이 시를 매우 선구적인 작품으로 높이 평가했다. 생존 페르스는 프랑스어로만 글을 썼지만, 그의 시에 대한 평가는 프랑스 국내보다 해외에서 더 긍정적인 경향이 있었다. 그의 시 스타일은 모더니즘적이었으나 당시 프랑스 시의 주류와는 다른 독특함을 지녔다.

1925년, 생존 페르스는 브리앙의 내각 책임자(''Chef de Cabinet'')가 되었다. 그는 브리앙을 "상식의 요구에 의해 조절된... 꿈의 대담함"을 가졌으며 "성공의 남용에 무관심"하면서도 신속하게 사고하는 능력을 지닌 인물로 평가했다. 또한 브리앙에 대해 "승리하기 위해 속임수나 폭력이 필요하지 않았고... 어리석음, 비겁함, 서투름, 저속함을 똑같이 싫어했으며... 가장 가벼운 무기로 사냥하고 가장 가는 낚싯줄로 낚시하는... 예술가의 세련됨을 지녔다"고 긍정적으로 묘사했다. 생존 페르스는 독일과의 관계 개선을 추구하는 브리앙의 '로카르노 정책'을 지지했다. 브리앙의 수석 보좌관으로서 그는 1925년 로카르노 조약과 1928년 켈로그-브리앙 조약 체결로 이어진 협상 과정에 깊이 관여하며 전후 유럽의 평화 정착 노력에 기여했다.

1930년, 생존 페르스는 브리앙에게 다음 국제 연맹 회의에서 '유럽 연방' 구상을 제안하도록 촉구하는 메모를 작성했다. 이는 유럽 통합에 대한 선구적인 제안으로 평가받는다. 같은 해, T. S. 엘리엇이 ''아나바스''를 영어로 번역하여 출판하면서 생존 페르스의 작품이 영어권 독자들에게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그는 1932년 브리앙이 사망할 때까지 그의 곁을 지켰다.

4. 3. 프랑스 외무부 사무총장 (1932-1940)

아리스티드 브리앙이 사망한 1932년 이후, 생존 페르스는 프랑스 외무성의 핵심 인물로 부상했으며, 1933년부터 1940년까지 외무성 사무총장(Secrétaire général)을 역임하며 불안정한 시기 동안 프랑스 외교 정책에 깊이 관여했다.

루이 바르투가 외무장관으로 재임하던 1934년, 생존 페르스는 바르투를 "프랑스 외교의 위대한 규칙"을 실현할 비전을 가진 인물로 높이 평가했다. 그는 로카르노 조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으며, 이것이 지난 10년간 유럽에서 프랑스의 유일한 버팀목이자 히틀러의 존경심을 불러일으킨 유일한 구조라고 생각했다. 처음에는 바르투가 소련과의 동맹 정책에 반대한다고 여겨 생존 페르스를 해임하려 했으나, 곧 그가 소련과의 협상에 적임자임을 깨닫고 생각을 바꾸었다. 1934년 7월, 생존 페르스는 바르투, 런던 주재 대사 샤를 코르뱅, 정치 국장 르네 마실리, 롤랑 드 마르제리와 함께 런던을 방문하여 영국의 외무장관 존 사이먼, 외무성 상임 차관 로버트 반시타트 등과 만나 소련과의 동맹을 포함한 '동부 로카르노' 구상에 대한 영국의 지지를 얻고자 노력했다. 그는 프랑스가 영국과의 우정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며, 영국의 동의 없이는 어떤 행동도 원치 않는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나 같은 해 10월, 바르투가 마르세유에서 암살되자 생존 페르스는 이를 프랑스 외교에 큰 타격으로 여겼다.

바르투의 후임인 피에르 라발이탈리아와의 관계 개선을 우선시하며 아우주 지구를 이탈리아령 리비아에 넘겨 베니토 무솔리니의 환심을 사려 했다. 생존 페르스는 이러한 라발의 정책에 강하게 반대하며 사임을 고려하기도 했다. 그는 라발이 무솔리니와의 합의 자체에만 집착하여 세부 사항을 소홀히 한다고 비판했으며, 라발이 로마에서 무솔리니와 만나 에티오피아 침공을 사실상 용인하는 밀약을 맺을 때 배제되었다. 또한 라발이 요제프 스탈린과의 만남을 위해 모스크바 방문을 서두르는 것에도 비판적이었다. 1935년 5월, 생존 페르스는 라발과 함께 모스크바를 방문하여 프랑스-소련 동맹 조약에 서명하는 자리에 참석했다. 같은 해 말, 아비시니아 위기 국면에서 영국 외무장관 새뮤얼 호어와 라발이 호어-라발 협정을 통해 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 침략을 사실상 인정하려 하자, 생존 페르스는 이에 반대하여 협정 내용을 언론에 유출시켜 무산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1936년 3월 7일, 나치 독일이 라인란트 재무장을 단행하자 생존 페르스는 프랑스가 군사적으로 대응하여 독일군을 몰아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그는 라인란트 재무장이 프랑스 안보에 심각한 장기적 위협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당시 외무장관 피에르에티엔 플랑댕은 유화적인 태도를 보였고, 런던에서 열린 국제 연맹 회의에서 영국의 앤서니 이든이 제안한 미약한 약속(영불 참모 회담)을 받아들이며 사실상 재무장을 용인했다. 생존 페르스는 이를 "후퇴를 위한 벨벳 카펫"이라 비판하며, 프랑스가 단호하게 행동했다면 영국도 따랐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라인란트 재무장이야말로 뮌헨 협정보다 더 결정적으로 프랑스의 운명을 바꾼 사건이며, 이로 인해 전쟁은 불가피해졌다고 판단했다. 이후 그는 전쟁 대비에 최선을 다하는 정책을 추구했다.

생존 페르스는 파시스트 이탈리아에 대해 강한 반감을 가졌으며, 무솔리니가 독일과의 동맹을 추구한다고 보아 이탈리아와의 관계 개선 노력에 회의적이었다. 레옹 블룸인민 전선 정부 하에서는 스페인 내전 발발 시 영국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스페인 공화국에 대한 무기 지원을 중단하고 불개입 정책을 지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37년 1월, 스페인령 모로코에 독일군이 주둔한다는 소문이 돌자 즉각 독일 대사 요하네스 폰 벨체크 백작에게 가장 강력한 어조로 항의하며 프랑스의 안보 이익에 대한 위협임을 분명히 했다. 그는 런던 주재 프랑스 대사 샤를 코르뱅을 통해 영국 외무부 차관 로버트 반시타트로부터 영국의 지원 약속을 받아냈다. 이 사건으로 그는 나치 독일로부터 더욱 적대시되었다.

1938년 뮌헨 회담에는 에두아르 달라디에 총리의 수행원으로 참석하여 체코슬로바키아주데텐란트를 독일에 할양하는 것에 반대했으나, 그의 의견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인 1939년 9월 13일, 달라디에 총리가 외무장관 조르주 보네를 해임하고 외무장관직을 겸임하게 되자, 생존 페르스는 1940년 5월까지 사실상 프랑스 외무장관 역할을 수행하며 달라디에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1940년 2월, 미국의 섬너 웰스 국무차관이 평화 사절로 파리를 방문했을 때, 생존 페르스는 프랑스가 고립된 상황을 토로하며 미국의 더 적극적인 지원을 촉구하려 했다. 웰스는 생존 페르스의 "훌륭한 명확성과 논리", 그리고 "그의 정치 철학의 타고난 자유주의적 본질"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기록했다.

그러나 1940년 3월 달라디에 정부가 물러나고 폴 레노가 새로운 총리가 되면서 생존 페르스의 입지는 약화되었다. 특히 레노 총리의 연인이었던 엘렌 드 포르테스 백작 부인은 생존 페르스를 강하게 반대하며 그의 해임을 종용했다. 프랑스 공방전 중 독일군이 스당에서 프랑스 방어선을 돌파하고 파리가 함락 위기에 처하자, 생존 페르스는 외무부 청사(케도르세) 정원에서 기밀문서를 소각하는 작업을 감독했다. 1940년 5월 19일 아침, 그는 신문을 통해 자신이 사무총장직에서 해임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식민지부 장관 조르주 만델은 나치 반대 성향으로 잘 알려진 그를 해임하는 것이 잘못된 메시지를 줄 수 있다며 반대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후 생존 페르스는 미국으로 망명길에 올랐다.

5. 망명과 문학 활동 (1940-1957)

1940년 5월 18일, 폴 레노 총리는 나치 독일의 프랑스 침공이 한창일 때 생존 페르스를 외무성 사무총장직에서 해임했다.[5] 이는 총리의 정부(情婦)였던 엘렌 드 포르테스 백작 부인이 레노에게 생존 페르스를 해임하도록 강력히 로비한 결과이기도 했다. 같은 해 7월 중순, 그는 미국으로 건너가 워싱턴 D.C.에서 오랜 망명 생활을 시작했다.

망명 직후, 비시 프랑스 정부는 그의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박탈하고 프랑스 시민권을 빼앗았으며(시민권은 전쟁 후 회복됨), 모든 자산을 몰수했다. 파리 아베뉴 드 카모엔스에 있던 그의 아파트는 베르마흐트에 의해 약탈당했고, 미발표 시 여러 편이 불태워지는 등 개인적인 고초를 겪었다. 그는 비시 정부에 반대했지만, 샤를 드골 장군이 이끄는 자유 프랑스 운동을 지지하지는 않았다.

워싱턴 망명 초기에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으나, 미국 의회 도서관 관장이자 시인이었던 아치볼드 맥리시가 개인 기부금을 모아 그를 고용하면서 안정을 찾았다. 그는 1947년 프랑스 공무원직에서 공식적으로 은퇴할 때까지 의회 도서관에서 근무했다. 하버드 대학교의 교수직 제안은 거절했다.

망명 기간 동안 그는 왕성한 문학 활동을 이어갔다. 장시 Exil|망명프랑스어, Vents|바람프랑스어, Pluies|비프랑스어, Neiges|눈프랑스어, Amers|아메르프랑스어, Chronique|연대기프랑스어 등을 집필했다. 특히 1942년 시카고 잡지 "Poetry"에 발표된 『망명』은 프랑스를 다시 보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 속에서 조국에 대한 깊은 갈망을 표현한, 그의 가장 개인적인 시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그는 맥리시에게 보낸 편지에서 La France est moi-même et tout moi-même|프랑스는 나 자신이고 모든 것프랑스어이며, 프랑스어는 le seul refuge imaginable|상상할 수 있는 유일한 피난처프랑스어라고 토로했다. 이 시기 그의 시는 점차 자연을 주요 주제로 삼았는데, 『비』(1943), 『눈』(1944), 『바람』(1946), 『아메르』(1957), 『연대기』(1959) 등이 대표적이다. 스웨덴 시인 에릭 린데그렌은 그의 시에서 자연 요소를 분류하는 것을 좋아하여 그를 "현대 시의 린네"라고 부르기도 했다.

문학 활동 외에도, 그는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의 프랑스 문제에 대한 비공식 자문관으로 활동했다. 국무부 내 서머 웰스와 윌리엄 크리스천 불리트 주니어 사이의 갈등 속에서도 양측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려 노력했다.

전쟁이 끝난 후에도 그는 오랫동안 미국에 머물렀고, 이로 인해 프랑스에서는 le grand absent|위대한 부재자프랑스어로 불리기도 했다. 1950년 프랑스의 권위 있는 문예지 ''Cahiers de la Pléiade''는 앙드레 지드, 폴 클로델, 스티븐 스펜더, 아치볼드 맥리시 등 저명한 문인들의 글을 모아 생존 페르스에게 헌정하는 특별호를 발간하며 그의 귀환을 독려했다. 그는 미국에서 프랜시스 비들 미국 법무부 장관 부부, 자선가 비어트리스 챈들러,[6] 작가 캐서린 개리슨 채핀 등과 교류하며 자연을 관찰하고 여행하는 시간을 보냈다. 1955년에는 유엔 사무총장 다그 함마르셸드와 만나 깊은 우정을 쌓기 시작했다. 함마르셸드는 생존 페르스의 시, 특히 Anabase프랑스어를 높이 평가했으며, 그의 노벨 문학상 수상을 위해 노력했다. 1957년, 마침내 프로방스에 별장을 제공받아 프랑스와 미국을 오가는 생활을 시작하게 되었다.

6. 프랑스 귀국과 노벨 문학상 수상 (1957-1975)

1957년 미국의 친구들로부터 프랑스 프로방스 지앙에 있는 별장을 선물받았다. 이후 그는 프랑스와 미국을 오가며 시간을 보냈다. 1958년에는 미국인 도로시 밀번 러셀과 결혼했다. 1960년 "그의 시의 높이 솟아오르는 비행과 환기시키는 이미지는 우리 시대의 상황을 환상적인 방식으로 반영한다"는 평가와 함께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노벨 문학상 수상 이후 그는 장편 시 "연대기", "새"(Oiseaux프랑스어), "춘분 찬가"와 단편 시 "야상곡", "가뭄" 등을 집필했다. 1962년에는 화가 조르주 브라크가 판화가 알도 크롬멜링크와 협력하여 페르스의 시 "새" 텍스트와 함께 "새의 질서"(L'Ordre des Oiseaux프랑스어)라는 제목의 에칭 및 아쿠아틴트 연작을 제작하여 출판했다.[7] 1965년에는 단테 탄생 700주년 기념식에서 강연했다. 사망하기 몇 달 전, 그는 자신의 서재, 원고, 개인 서류 등을 엑상프로방스의 시립 도서관 내에 설립된 생존 페르스 재단(Fondation Saint-John Perse프랑스어)에 기증했다. 이 재단은 그의 삶과 작품 연구를 위해 설립되었으며 현재까지 활동 중이다. 1975년 프로방스 지앙에 있는 별장에서 사망했으며, 인근에 안장되었다.

7. 주요 작품


  • ''찬가'' (Éloges|엘로주프랑스어, 1911) - 1910년 시집으로 출판되었다. (영어 번역: 유진 졸라스, 1928; 루이즈 바레즈, 1944; 엘리너 클라크와 로저 리틀, 1965; 킹 보슬리, 1970)
  • ''아나바스'' (Anabase|아나바즈프랑스어, 1924) - 베이징 주재 프랑스 대사관 서기관으로 재직하던 시절 집필한 서사시이다.[4] 표면적으로 베이징에서 고비 사막을 거쳐 바다에 이르는 탐험을 다루지만, 시간, 공간, 의식을 통과하는 인간의 행진과 경계를 넘어선 탐험을 상징한다. 생존 페르스는 이 시가 특정 장소나 시대에 국한되지 않고 절대적인 것에 의해 지배되는 보편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영어 번역: T.S. 엘리엇, 1930; 로저 리틀, 1970)
  • ''망명'' (Exil|엑실프랑스어, 1942) - 나치 독일의 프랑스 침공 이후 미국으로 망명하여 쓴 시이다. 1942년 3월 시카고 잡지 "Poetry"에 게재되었으며,[4] 프랑스에 대한 깊은 그리움과 망명자의 고독을 담은 개인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영어 번역: 데니스 데블린, 1949)
  • ''비'' (Pluies|플뤼프랑스어, 1943) - 미국 망명 시기 자연을 주제로 쓴 시 중 하나이다. (영어 번역: 데니스 데블린, 1944)
  • ''이방인에게 바치는 시'' (Poème à l'étrangère|포엠 아 레트랑제르프랑스어, 1943) (영어 번역: 데니스 데블린, 1946)
  • ''눈'' (Neiges|네주프랑스어, 1944) - 미국 망명 시기 자연을 주제로 쓴 시 중 하나이다. (영어 번역: 데니스 데블린, 1945; 월터 J. 스트라찬, 1947)
  • ''바람'' (Vents|방프랑스어, 1946) - 미국 망명 시기 자연을 주제로 쓴 시 중 하나이다. (영어 번역: 휴 치좀, 1953)
  • ''아메르'' (Amers|아메르프랑스어, 1957) - 미국 망명 시기 바다를 주제로 쓴 시이다. (영어 번역: 월러스 파울리, 1958; 조지 허퍼트 발췌, 1956; 새뮤얼 E. 모리슨, 1964)
  • ''연대기'' (Chronique|크로니크프랑스어, 1960) - 미국 망명 시기 지구를 주제로 쓴 시이다. (영어 번역: 로버트 피츠제럴드, 1961)
  • ''시'' (Poésie|포에지프랑스어, 1961) (영어 번역: W. H. 오든, 1961)
  • ''새'' (Oiseaux|우아조프랑스어, 1963) (영어 번역: 월러스 파울리, 1963; 로버트 피츠제럴드, 1966; 로저 리틀, 1967; 데릭 마혼, 2002)
  • ''단테를 위하여'' (Pour Dante|푸르 당트프랑스어, 1965) - 단테 알리기에리 탄생 700주년 기념 강연 내용을 담고 있다. (영어 번역: 로버트 피츠제럴드, 1966)
  • ''그곳에 있었던 사람에 의해 불려진 노래'' (Chanté par celle qui fut là|샹테 파르 셀 퀴 퓌 라프랑스어, 1969) (영어 번역: 리처드 하워드, 1970)
  • ''춘분 찬가'' (Chant pour un équinoxe|샹 푸르 앵 에키녹스프랑스어, 1971)
  • ''야상곡'' (Nocturne|녹튀른프랑스어, 1973)
  • ''가뭄'' (Sécheresse|세슈레스프랑스어, 1974)
  • ''선집 시집'' (Collected Poems, 1971) - 볼링겐 시리즈,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 ''전집'' (Œuvres complètes|외브르 콩플레트프랑스어, 1972) - 플레야드 문고, 갈리마르 출판. 생존 페르스가 직접 디자인하고 편집한 결정판으로, 그의 삶의 상세한 연대기, 연설, 헌사, 편지, 메모, 2차 문헌 목록, 작가에게 영향을 준 문학 작품 발췌문 등을 포함한다. 1982년 증보판 출간.

8. 유산

생존 페르스의 시는 20세기 프랑스 문학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1924년, 그는 평생 사용할 필명인 "생존 페르스"로 첫 장편 시 『''Anabase|아나바스프랑스어''』를 출판했다. 외교관 신분으로 활동했기에 문학 작품 출판을 부적절하다고 여겨, 이후 20년 동안 이 작품을 재출판하지 않았다. 출판 당시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으나, T. S. 엘리엇, 주세페 운가레티, 휴고 폰 호프만스탈, 라이너 마리아 릴케와 같은 저명한 시인들은 이 작품을 매우 선구적인 시로 높이 평가했다. 그의 시는 프랑스어로만 쓰였음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내에서보다는 해외에서 더 긍정적인 비평을 받는 경향이 있었다. 그의 시 스타일은 모더니즘에 속했지만, 당시 프랑스 시의 주류 경향과는 구별되는 독창성을 지녔다. 1930년에는 T. S. 엘리엇이 『아나바스』를 영어로 번역하여 생존 페르스를 영어권 독자들에게 처음으로 소개하기도 했다.

그는 동시대 작가들과도 교류했는데, 특히 마르셀 프루스트와는 가까운 관계를 유지했다. 생존 페르스는 프루스트가 대작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후속 권들을 집필할 때 조언과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 프루스트는 이에 대한 화답으로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네 번째 권인 『소돔과 고모라』에서 생존 페르스의 시집 『찬가』를 등장시켜 그에게 경의를 표했다. 작중 인물이 그의 시를 난해하다고 평하는 장면이 나오지만, 이는 오히려 소수의 안목 있는 독자만이 그의 시의 진가를 알아볼 수 있다는 찬사로 해석된다.

외교관으로서 생존 페르스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프랑스 외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아리스티드 브리앙 총리의 측근으로 활동하며 그의 ''내각 책임자''를 지냈고, 독일과의 관계 개선을 목표로 한 브리앙의 "로카르노 정책"을 지지했다. 이 시기 그는 1925년 로카르노 조약과 1928년 켈로그-브리앙 조약 체결로 이어진 협상에 참여했으며, 1930년에는 브리앙에게 "유럽 연방" 구상을 제안하기도 했다.

나치 독일의 부상 이후, 그는 외무부 내에서 독일의 위협을 경고하며 영국과 프랑스가 히틀러에 맞서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했다.[5] 1937년, 스페인령 모로코에서 독일군 활동이 의심되자 즉각 독일 대사에게 강력히 항의하여 프랑스의 입장을 분명히 했으며, 이로 인해 나치 정권의 반감을 샀다. 에두아르 달라디에 총리 재임 중이던 1939년 9월부터 1940년 5월까지는 외무장관 공석 상태에서 사실상 외무장관 역할을 수행하며 달라디에에게 외교 정책을 조언했다.

그러나 1940년 5월, 나치 독일의 프랑스 침공이 진행되는 와중에 새로 총리가 된 폴 레노에 의해 해임되었다. 그의 반나치 성향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이유로 해임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는 조르주 만델과 같은 동료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강행되었다. 이후 프랑스를 떠나 미국으로 망명했으며, 비시 정권은 그의 레지옹 도뇌르 훈장 수훈 기록과 프랑스 시민권을 박탈했다.

생존 페르스의 문학적, 외교적 업적을 기리기 위해 여러 기념물과 명칭이 헌정되었다.

구분내용
기념물파리 국립 자연사 박물관 정원에 설치된 파트리스 알렉상드르의 청동 기념물 생존 페르스에게 바치는 헌사 (1992년 설치)
안드라스 베크가 제작한 청동 가면 (갈리마르 플레야드 문고 표지에 사용됨)
박물관그의 출생지 과들루프 푸앵트아피트르에 위치한 생존 페르스 박물관(Musée Saint-John Perse)
명명프랑스의 여러 거리와 도서관
2007년 프랑스 국립 문화재 연구소 문화재 큐레이터 양성과정
랭스 트램 역
포의 생존 페르스 고등학교[9]
우표1980년 프랑스 우체국 발행 기념우표
2001년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 발행 기념우표 (노벨상 100주년 기념)


참조

[1] 문서
[2]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1961 https://www.nobelpri[...]
[3] 문서
[4] 서적 Alexis Léger dit Saint-John Perse https://www.academia[...] Éditions Flammarion 2008-00-00
[5] 서적 Strange Victory Hill & Wang 2000-00-00
[6] 서적 Rambling on Saint Martin : a witnessing 2010-03-00
[7] 뉴스 Aldo Crommelynck, Master Printer for Prominent Artists, Is Dead at 77 https://www.nytimes.[...] 2009-01-29
[8] 웹사이트 L'ordre des oiseaux http://blogs.princet[...] 2011-11-30
[9] 웹사이트 À propos Lycée Saint-John Perse https://www.lycee-sa[...] 2022-11-19
[10] 웹사이트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인명사전/세계 인명/ㅍ#페르스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2018-01-23
[11] 웹사이트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언어II·세계문학·논술/남서 유럽 문학/프랑스 문학#생존 페르스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2018-0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