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밀 시오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밀 시오랑은 루마니아 출신의 프랑스어로 활동한 철학자이자 수필가이다. 1911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트란실바니아에서 태어나 루마니아에서 활동하다가 1937년 프랑스로 건너가 파리에서 평생을 보냈다. 그는 염세주의적이고 비관적인 사상을 바탕으로, 자살, 인간 소외, 역사, 문명 비판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경구와 에세이를 주로 썼다. 주요 저서로는 『절망의 극치에서』, 『붕괴 개론』, 『실존의 유혹』, 『역사와 유토피아』, 『태어나는 것의 불편함』 등이 있으며, 수전 손택 등 많은 작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마니아의 철학자 - 디미트리에 칸테미르
    디미트리에 칸테미르는 몰다비아 공국의 귀족이자 공이었으며, 언어학, 역사, 철학, 음악 등 다방면에 걸쳐 학문적 업적을 남긴 계몽주의 시대의 박식가이다.
  • 루마니아의 철학자 - 미르체아 엘리아데
    미르체아 엘리아데는 루마니아 출신의 종교학자, 신화학자, 소설가, 철학자로, 종교사 연구, 특히 연금술, 샤머니즘, 요가, 영원 회귀에 대한 연구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나, 극우 정치 조직인 철위대에 공감을 표했던 과거로 인해 논란이 되기도 했다.
  •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루마니아인 - 페트루 그로자
    페트루 그로자는 루마니아의 정치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후 소련의 지원을 받아 총리 및 국가평의회 의장으로서 권력을 행사하며 공산주의 체제 강화, 정적 제거 등의 행보를 보였으나, 언론 탄압과 정치적 탄압으로 독재 정권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루마니아인 - 호리아 시마
    루마니아의 극우 정치인이자 철위대 지도자였던 호리아 시마는 부쿠레슈티 대학교에서 문학철학을 전공하고 철위대에 가입하여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 사후 철위대 사령관이 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국가 군단 국가 수립 후 축출, 나치 독일 괴뢰 정부 참여, 스페인 망명 후 반공주의 활동을 하다 마드리드에서 사망하여 극우 정치, 반유대주의, 전후 반공주의 운동과 관련된 논쟁적인 평가를 받는다.
  • 루마니아의 수필가 - 미하이 에미네스쿠
    미하이 에미네스쿠는 루마니아 문학을 대표하는 시인, 소설가, 저널리스트로, 낭만주의적 경향과 철학적 사유를 바탕으로 자연, 사랑, 역사 등을 다룬 작품을 통해 루마니아어 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 루마니아의 수필가 - 트리스탕 차라
    루마니아 태생의 프랑스 시인이자 수필가, 행위예술가인 트리스탕 차라는 다다이즘 운동의 핵심 인물로서, 취리히에서 다다 운동을 시작하고 파리에서 앙드레 브르통과 활동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 레지스탕스 참여 후 프랑스 공산당에 입당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에밀 시오랑
기본 정보
1947년경 루마니아의 치오란
1947년경 루마니아의 치오란
본명에밀 미하이 치오란
출생1911년 4월 8일
출생지오스트리아-헝가리 레시나르 (현재의 루마니아 러시나리)
사망1995년 6월 20일
사망지프랑스 파리
국적루마니아, 프랑스
배우자없음
파트너시몬 부에
에밀 치오란 서명
에밀 치오란 서명
학력
모교부쿠레슈티 대학교
베를린 대학교
경력
주요 관심사미학
반출생주의
윤리학
성인전
문학 평론
음악
허무주의

종교
자살
영향이마누엘 칸트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쇠렌 키르케고르
프리드리히 니체
조제프 드 메스트르
마르틴 하이데거
루트비히 클라게스
게오르크 지멜
오스발트 슈펭글러
나에 이오네스쿠
레프 셰스토프
영향을 받은 인물토마스 리고티
닉 랜드
페르난도 사바테르
주요 저서(정보 없음)
수상카롤 2세 재단 젊은 작가상
Prix Rivarol
Prix Rogier Namier (거부)
그랑프리 드 리테라튀르 폴 모랑 (거부)
철학적 배경
지역서양 철학
루마니아 철학
프랑스 철학
학파/전통대륙 철학
철학적 비관주의
실존주의
비합리주의

2. 생애

1937년 부쿠레슈티에 있는 프랑스연구 기관에서 장학금을 받아 파리로 간 후, 시오랑은 이후의 인생을 그곳에서 살았다.[29] 그는 "나는 지식인으로서의 내 위치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국적이라는 것을 가지고 있지 않다", "우리는 어느 나라에 사는 것이 아니라, 어느 국어에 산다. 조국이란 국어다. 그 외에 아무것도 아니다" 등의 명언을 남겼다. 그의 초기 작품은 루마니아에서, 후반 작품은 프랑스에서 이루어졌고, 그 대부분은 격언과 짧은 에세이의 형식을 취했다.[29]

시오랑은 평생 동안 은둔 생활을 하며 대중과의 접촉을 피했지만, 미르체아 엘리아데, 외젠 이오네스코, 파울 첼란, 사무엘 베케트, 앙리 미쇼, 페르난도 사바테르 등 많은 친구들과 교류했다.[29] 1986년 인터뷰에서 시오랑은 건강상의 이유로 더 이상 담배를 피우거나 커피나 술을 마시지 않는다고 말했다.

1995년, 시오랑은 알츠하이머병으로 사망하여 몽파르나스 묘지에 묻혔다.[29]

시오랑과 시몬 부에의 묘

2. 1. 초기 생애 (1911-1933)

시오랑은 헝가리 왕국 세베니 군의 러시나르(오늘날 루마니아 시비우 주의 러시나리)에서 태어났다.[1] 그의 아버지 에밀리안 시오랑은 동방 정교회 사제였고, 그의 어머니 엘비라는 '기독교 여성 연맹'의 수장이었다.[2] 시오랑은 삼남매 중 둘째로, 장녀는 버지니아, 장남은 에밀, 막내는 아우렐이었다.[47]

10세 때 시오랑은 시비우에 있는 리세(게오르게 라자르 학교)에 다니기 시작했다.[1][52] 17세에는 부쿠레슈티 대학교 문학철학과에 입학하여 외젠 이오네스코, 미르체아 엘리아데와 친구가 되었다.[1] 1928년 부쿠레슈티 대학교 문학부에 입학했다.[57]

미래의 루마니아 철학자 콘스탄틴 노이카와 미래의 루마니아 사상가 페트레 츠체아는 그의 가장 가까운 학문적 동료였으며, 세 사람 모두 투도르 비아누와 나에 이오네스쿠 밑에서 공부했다. 시오랑, 엘리아데, 츠체아는 이오네스쿠의 'Trăirism' 사상을 지지했다.

시오랑은 어릴 때부터 독일어를 배워 능숙하게 구사했으며, 루마니아어로는 구할 수 없었던 독일어 철학 서적을 읽었다. 그의 청소년기 메모에는 프리드리히 니체, 오노레 드 발자크,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등의 연구가 나타났다.[3] 그는 "존재의 불편함"을 공리로 삼는 불가지론자였다. 대학 재학 중에는 게오르크 지멜, 루트비히 클라게스, 마르틴 하이데거의 영향을 받았지만, 삶이 임의적이라는 믿음을 그의 핵심적인 사고 체계에 기여한 러시아 철학자 레프 셰스토프의 영향도 받았다. 시오랑의 졸업 논문은 앙리 베르그송에 관한 것이었지만, 후에 베르그송이 삶의 비극을 이해하지 못했다고 주장하며 그를 거부했다.

20세부터 시오랑은 평생 동안 불면증에 시달렸고, 이는 그의 저작에 스며들었다.[4] 불면증 에피소드에서 비롯하여 그의 첫 번째 저서인 ''절망의 고봉에서''에서 자신의 경험에 대해 쓰기로 결심했다.[5] 1934년 출판된 이 책은 카롤 2세 왕립 재단 출판에서 출판되었고, 위원회로부터 상을 받아 지식인으로서 데뷔했다.

2. 2. 루마니아 시기 (1933-1940)

1933년, 시오란은 베를린 대학교에서 장학금을 받아 요한 고틀리프 피히테, 헤겔, 에드문트 후설, 임마누엘 칸트, 게오르크 짐멜, 쇼펜하우어, 니체를 공부했다.[3] 베를린에서 그는 클라게스와 니콜라이 하르트만을 만났다. 나치 정권의 정책에 관심을 갖게 된 그는 ''Vremea''에 "현재 시점에서 히틀러보다 더 호감가고 존경스러운 정치인은 없다"는 칼럼을 기고했고,[6] 장검의 밤을 옹호하며 "몇몇 바보들의 목숨이 희생된 것이 인류에게 무슨 손실이 있겠는가"라고 썼다.[7] 또한 페트루 코마르네스쿠에게 보낸 편지에서 스스로를 "히틀러주의자"라고 묘사했다.[8] 이탈리아 파시즘에 대해서도 비슷한 견해를 보이며,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의 승리를 환영했다.[9]

1934년, 루마니아에서 시오란의 첫 책인 ''Pe culmile disperării''(절망의 정점에서)가 출판되었다. 이 책은 미출판 신인 작가가 쓴 최고의 책으로 선정되어 '위원회 상'과 '젊은 작가 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시오란은 나중에 이 책을 "스타일도 없이, 매우 형편없이 쓰인 책"이라고 평가했다.[10] 이후, ''환상의 책''(1935), ''루마니아의 변모''(1936), ''눈물과 성자들''(1937)이 루마니아에서 출판되었다. ''눈물과 성자들''은 매우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고, 시오란의 어머니는 책이 자신에게 공개적인 수치심을 안겨준다며 책을 철회하라는 편지를 보냈다.[11]

시오란은 철위대 회원은 아니었지만, 이 시기 루마니아에서 극우 단체인 철위대의 사상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초기까지 철위대의 민족주의 이념을 지지했지만, 폭력적인 방식에는 반대했다. 시오란은 훗날 파시즘을 비난하며, 1970년에는 "내 젊은 시절의 최악의 어리석음. 내가 한 가지 병에서 치유되었다면, 그것은 바로 그것일 것이다."라고 묘사했다.[12]

''루마니아의 변모''는 1990년대에 출판된 두 번째 판에서 대폭 수정되었는데, 시오란은 자신이 극단주의적이거나 "허세 부리고 멍청하다"고 여긴 많은 구절들을 삭제했다. 원본에서 이 책은 전체주의에 대한 동정을 표현했으며,[13] 이는 당시 시오란이 쓴 여러 기사에서도 나타났다.[14] 그는 "떠오르는 민족의 두 가지 강박관념"으로 "도시화산업화"를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5]

그러나 그의 초기 근대화 요구는 철위대의 전통주의와 조화를 이루기 어려웠다.[16] 1934년, 그는 "나는 루마니아에서 유일하게 비옥하고 창조적이며 활력을 불어넣는 민족주의는 전통을 무시할 뿐만 아니라 부정하고 물리치는 것뿐이라고 생각한다"고 썼다.[17] 그가 특정한 루마니아적 특성이라고 여긴 것에 대한 반감은 그의 작품에 나타났으며 ("어떤 격언에서도, 어떤 속담에서도, 어떤 반성에서도, 우리 민족은 삶 앞에서 똑같은 수줍음, 똑같은 망설임과 체념을 표현한다...[...] 평범한 루마니아의 [자명한 진리]는 어리둥절하다."),[18] 이는 극우 성향의 ''Gândirea''로부터 비판을 받았다.[19] 편집자 니키포르 크라니치는 ''루마니아의 변모''를 "오늘날의 루마니아에 대한 피 묻고 무자비한 학살로, 모친 살해와 신성 모독에 대한 두려움조차 없다"고 비판했고, 다양한 철위대 신문들로부터도 비판을 받았다.[20]

2. 3. 프랑스 시기 (1940-1995)

1937년, 시오랑은 부쿠레슈티에 있는 프랑스 연구소(Institut Français) 지부의 장학금을 받아 파리로 떠났고, 이는 1944년까지 연장되었다. 그는 소르본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 논문을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그렇게 할 의도가 없었는데, 학생이라는 신분이 그에게 대학교 구내식당에서 저렴한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해주었기 때문이다. 그는 27세 이상 학생의 등록을 금지하는 법이 통과된 1951년까지 이 생활을 계속했다.[21]

잠시 고국에 머문 후(1940년 11월 – 1941년 2월), 시오랑은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다.[22] 루마니아에서 보낸 이 마지막 기간은 그가 당시 권력을 잡은 철위대와 더 가까운 관계를 보인 시기였다(''국가 군단 국가'' 참조). 11월 28일, 국영 루마니아 라디오에서 시오랑은 이 단체의 전 지도자인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의 초상화를 중심으로 한 연설을 녹음하여 그와 철위대를 칭찬했는데, 그 이유는 무엇보다 "루마니아인에게 목적을 제시했다"는 것이었다.[23]

그는 나중에 철위대에 대한 지지뿐만 아니라 그들의 민족주의 사상도 포기했고, 이에 정서적으로 연루된 것에 대해 자주 후회와 회개를 표명했다. 예를 들어, 1972년 인터뷰에서 그는 이를 "복잡한 운동, 그 이상으로 정신 나간 종파이자 당"이라고 비난하며, "나는 그때 [...] 조금의 확신도 없이 파도에 휩쓸려 간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게 되었다. [...] 나는 이제 그것에 면역이 되었다"고 말했다.[24]

시오랑은 1940년에 《열정의 개요》를 쓰기 시작하여 1945년에 완성했다. 이 책은 그가 루마니아어로 쓴 마지막 책이었지만, 서정적인 격언을 통해 비관주의와 인간 혐오를 다룬 마지막 책은 아니었다. 그 이후 시오랑은 프랑스어로만 책을 출판했다. 바로 이 시점에서 시오랑이 루마니아 국민에 대해 분명한 경멸을 드러냈다. 그는 친구에게 "부제 '루마니아 국민만을 위한'으로 《실패의 철학》을 쓰고 싶다"고 말했다.[25] 더욱이 그는 파리로의 이주를 자신이 한 "가장 지적인 행동"이라고 묘사했으며, 《태어난 불행》에서 "나는 조상에 대한 끊임없는 반항 속에서, 스페인, 러시아, 식인종 - 내가 아닌 다른 무엇이든 되기를 바라며 평생을 보냈다"고 말했다.[26]

1942년, 시오랑은 평생을 함께 한 또 다른 불면증 환자인 시몬 보에를 만났다. 시오랑은 그들의 관계를 완전히 사적으로 유지했으며, 그의 글이나 인터뷰에서 보에와의 관계에 대해 언급한 적이 없다.[27]

1949년, 그의 첫 프랑스어 책인 《쇠퇴의 간략한 역사》가 갈리마르에 의해 출판되었고, 1950년에는 프랑스 출신이 아닌 작가가 쓴 최고의 책으로 인정받아 《리바롤 상》을 수상했다.[28] 시오랑은 그의 경력 전반에 걸쳐 그에게 수여된 대부분의 문학상을 거절했다.[29]

파리의 라틴 구역은 시오랑의 영구적인 거주지가 되었다. 그는 대부분의 생애를 은둔하며 대중과의 접촉을 피했지만, 미르체아 엘리아데, 외젠 이오네스코, 파울 첼란, 사무엘 베케트, 앙리 미쇼, 페르난도 사바테르를 포함한 수많은 친구들과 연락을 유지했다.

1986년 인터뷰에서 시오랑은 건강상의 이유로 더 이상 담배를 피우거나 커피나 술을 마시지 않는다고 말했다.

1995년, 시오랑은 알츠하이머병으로 사망하여 몽파르나스 묘지에 묻혔다.

3. 사상

에밀 시오랑은 철학적 염세주의를 바탕으로 경구를 통해 자신의 사상을 표현했다. 그의 사상은 자살, 원죄, 역사의 비극성, 문명의 종말 등 다양한 주제를 아우르며, 실존주의적인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 바흐의 음악을 통해 의 존재를 옹호하는 듯한 발언을 하는 등 신에 대한 독특한 관점을 제시하기도 했다.

수전 손택은 시오랑의 저작에서 마음은 자기 자신에 대한 관음증 환자라고 묘사하며, 시오랑이 사무엘 베케트처럼 사고의 절대적인 진실성에 관심을 갖는다고 평가했다.[40] 윌리엄 H. 가스는 시오랑의 『존재의 유혹』을 "소외, 부조리, 권태, 헛됨, 쇠퇴, 역사의 폭정, 변화의 속물성, 고통으로서의 인식, 질병으로서의 이성이라는 현대적 주제에 대한 철학적 로맨스"라고 평가했다.[39] 생존 페르스는 시오랑을 폴 발레리 이후 가장 위대한 프랑스 작가 중 한 명으로 평가하기도 했다.[41]

3. 1. 주요 주제

시오랑은 젊은 시절 전통적인 철학에 대한 무관심을 보이며, 추상적인 사변 대신 개인적인 성찰과 열정적인 서정성을 추구했다. 그는 "나는 아무것도 발명하지 않았다. 나는 내 감각의 유일하고도 전담 비서였다"라고 말했다.[32][33]

경구는 시오랑 저작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태어나는 불행』과 같은 그의 책들은 경구로만 구성되어 있다. 시오랑은 설명하는 것이 지루했기 때문에 경구를 썼다고 말하며, 경구는 순간적인 진실이며 칙령이 아니라고 했다. 그는 경구가 만남, 사건, 격노 등 원인을 가지고 있으며 불필요한 것이 아니라고 강조했다.[34]

철학적 염세주의는 시오랑 작품 전체의 특징이며, 많은 평론가들은 이를 그의 어린 시절 사건과 연관시킨다. 그의 어머니는 그가 불행할 줄 알았으면 유산했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35] 그러나 시오랑의 염세주의는 그 나름의 방식으로 즐겁게 유지되며, 단순한 기원으로 추적할 수 있는 종류가 아니다. 그는 어머니의 유산 발언이 존재의 본질에 대한 통찰력으로 이어졌다고 고백했다.[35]

그의 작품은 고통의 분위기를 묘사하며, 서정적이고 강렬하며 격렬한 감정 표현이 주를 이룬다. 루마니아어로 쓴 책들은 특히 이러한 특징을 보인다. 그는 죽음과 고통의 문제에 몰두하며 자살이라는 생각에 매료되었고, 그것이 삶을 계속 살도록 도울 수 있는 생각이라고 믿었다. 『절망의 정상에서』와 『새로운 신들』에서 자살에 대한 탐구를 볼 수 있다. 그는 인간 소외라는 주제를 실존주의 주제로 제시하며, "존재가 우리의 망명이고 무가 우리의 집일 수 있을까?"라고 표현했다.[36]

시오랑의 작품은 원죄, 역사의 비극적 감각, 문명의 종말, 신앙을 통한 위안의 거부, 절대에 대한 집착, 인간의 형이상학적 망명으로서의 삶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그는 역사에 열정적인 사상가였으며, "퇴폐 운동"과 연관된 작가들을 널리 읽었다. 오스발트 슈펭글러는 시오랑의 정치 철학에 영향을 준 작가 중 하나로, 인간과 문명의 운명에 대한 영지주의적 성찰을 제시했다. 시오랑은 인간이 자신의 기원과 접촉을 유지하고 자신으로부터 단절되지 않는 한, 퇴폐에 저항할 수 있다고 보았다.

에 대해 시오랑은 "바흐가 없었다면 신은 완전히 이류 인물이 되었을 것"이며 "바흐의 음악은 우주의 창조가 완전한 실패로 간주될 수 없다는 것을 증명하는 유일한 논거"라고 언급했다.[37] 또한, "바흐, 셰익스피어, 베토벤, 도스토예프스키 및 니체는 일신교에 대한 유일한 논거이다"라고 말했다.[38]

윌리엄 H. 가스는 시오랑의 『존재의 유혹』을 "소외, 부조리, 권태, 헛됨, 쇠퇴, 역사의 폭정, 변화의 속물성, 고통으로서의 인식, 질병으로서의 이성이라는 현대적 주제에 대한 철학적 로맨스"라고 평가했다.[39]

수전 손택은 시오랑의 주제가 "가장 높은 수준의 정교함에 맞춰진 마음, 의식인 것"이며, "시오랑의 저작에서... 마음은 관음증 환자다. 그러나 '세상'에 대해서가 아니라. 자기 자신에 대해서다. 시오랑은 사무엘 베케트를 연상시키는 정도로, 사고의 절대적인 진실성에 관심을 갖는다. 즉, 사고를 사고에 대해 생각하는 것으로 축소하거나 제한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40]

시오랑은 루마니아어가 아닌 프랑스어로 글을 쓸 때 가장 유명해졌는데, 젊은 시절부터 이 언어에 어려움을 겪었다. 생존 페르스는 그를 "폴 발레리가 죽은 이후 우리 언어를 기리는 가장 위대한 프랑스 작가"라고 칭송했다.[41]

3. 2. 스타일

에밀 시오랑은 젊은 시절 전통적인 철학에 대한 무관심을 보이며, 추상적인 사변 대신 개인적인 성찰과 열정적인 서정성을 추구했다. 그는 "나는 아무것도 발명하지 않았다. 나는 내 감각의 유일하고도 전담 비서였다"라고 말했다.[32][33]

경구는 시오랑 저작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태어나는 불행』과 같은 그의 몇몇 책은 경구로만 구성되어 있다. 시오랑은 설명하는 것이 지루하기 때문에 경구 형식을 택했다고 말하며, 경구는 순간적인 진실이며, 칙령이 아니라고 설명한다. 그는 경구가 사건이나 격노와 같은 원인에 의해 촉발되며, 불필요한 것이 아니라고 강조한다.[34]

철학적 염세주의는 시오랑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특징이며, 그의 어린 시절 어머니가 그가 불행할 줄 알았다면 유산했을 것이라고 말한 사건과 관련이 있다고 평가된다.[35] 그러나 시오랑의 염세주의는 단순한 기원을 넘어선 것이며, 그는 어머니의 말에서 존재의 본질에 대한 통찰력을 얻었다고 고백했다.[35]

그의 작품은 고통의 분위기를 묘사하며, 서정적이고 강렬한 감정 표현이 두드러진다. 특히 루마니아어로 쓴 책에서 이러한 특징이 강하게 나타난다. 그는 죽음과 고통의 문제에 몰두하며, 자살이라는 생각을 통해 삶을 지속할 힘을 얻는다고 믿었다. 『절망의 정상에서』와 『새로운 신들』에서 자살에 대한 그의 생각을 엿볼 수 있다. 그는 또한 인간 소외라는 실존주의적 주제를 다루며, "존재가 우리의 망명이고 무가 우리의 집일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졌다.[36]

시오랑의 작품은 원죄, 역사의 비극적 감각, 문명의 종말, 신앙을 통한 위안의 거부, 절대에 대한 집착, 인간의 형이상학적 망명 등 다양한 주제를 포괄한다. 그는 역사에 대한 열정을 가진 사상가였으며, 오스발트 슈펭글러와 같은 "퇴폐 운동" 작가들의 영향을 받아 인간과 문명의 운명에 대한 영지주의적 성찰을 제시했다.

에 대해 시오랑은 바흐가 없었다면 신은 이류 인물이 되었을 것이며, 바흐의 음악은 우주 창조가 완전한 실패가 아니라는 유일한 논거라고 언급했다.[37] 그는 바흐, 셰익스피어, 베토벤, 도스토예프스키, 니체를 일신교에 대한 유일한 논거로 제시했다.[38]

윌리엄 H. 가스는 시오랑의 『존재의 유혹』을 "소외, 부조리, 권태, 헛됨, 쇠퇴, 역사의 폭정, 변화의 속물성, 고통으로서의 인식, 질병으로서의 이성이라는 현대적 주제에 대한 철학적 로맨스"라고 평가했다.[39]

수전 손택은 시오랑의 주제가 "가장 높은 수준의 정교함에 맞춰진 마음, 의식인 것"이며, 그의 저작에서 마음은 자기 자신에 대한 관음증 환자라고 묘사했다. 손택은 시오랑이 사무엘 베케트처럼 사고의 절대적인 진실성에 관심을 갖는다고 평가했다.[40]

시오랑은 프랑스어로 글을 쓰면서 유명해졌으며, 생존 페르스는 그를 폴 발레리 사후 프랑스어를 빛낸 가장 위대한 프랑스 작가 중 한 명이라고 칭송했다.[41]

4. 영향 및 평가

시오랑의 오랜 동반자 시몬 부에가 사망한 후, 2005년 한 매니저가 시오랑의 원고(노트 30권 이상)를 부부의 아파트에서 발견하고 경매에 부치려 했다. 파리 항소법원의 결정으로 이 원고의 상업적 판매는 중단되었다.[42] 그러나 2011년 3월, 항소법원은 판매자가 원고의 정당한 소유자라고 판결했다. 이 원고는 루마니아 사업가 조지 브래일로이우에게 405000EUR에 구매되었다.[42]

나이든 시오랑은 루마니아 극작가이자 배우인 마테이 비슈니에크의 연극 '파리 다락방, 죽음을 바라보다'(Mansardă la Paris cu vedere spre moarte)의 주인공이다. 비슈니에크와 시오랑의 가상 만남을 그린 이 연극[43]은 2007년 라두 아프림의 연출과 루마니아 및 룩셈부르크 배우들의 캐스팅으로 처음 무대에 올려졌으며, 시오랑 역은 콘스탄틴 코조카루가 맡았다.[44] 이 연극은 루마니아 도시 시비우[43][44]와 룩셈부르크 에슈쉬르알제트에서 공연되었다(시비우와 룩셈부르크 시 모두 그 해의 유럽 문화 수도였다).[43] 2009년, 루마니아 아카데미는 시오랑에게 사후 회원 자격을 부여했다.[45]

수전 손택은 시오랑의 열렬한 팬이었으며, 그를 "오늘날 글을 쓰는 가장 섬세한 정신 중 하나"라고 불렀다. 그녀는 1967년 출판된 '존재의 유혹'의 영어 번역판 서문으로 그의 작품에 대한 에세이를 썼다. 이 에세이는 손택의 1969년 컬렉션 ''급진적 의지의 양식''에 포함되었다.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치하에서 시오랑의 작품은 금지되었다.[25] 1974년, 프랑코 정권 스페인은 '악의의 데미우르그'가 "무신론적이고, 신성 모독적이며, 반기독교적"이라는 이유로 금지했는데, 시오랑은 이를 "그의 부조리한 삶에서 가장 큰 농담 중 하나"라고 생각했다.[1]

미국 전자 음악가 Oneohtrix Point Never는 2009년 발매된 앨범 ''Zones Without People''에 시오랑의 이름을 딴 곡을 수록했다.[46]

덴마크 네오포크 음악가 킴 라르센은 2021년 앨범 ''Your Love Can't Hold This Wreath of Sorrow''의 커버에서 시오랑의 목 조르기 팔 사진을 재현했다.

2023년 멕시코/미국 영어 영화 Rotting in the Sun에서 배우이자 캐릭터(그리고 감독) 세바스티안 실바는 해변에서 시오랑의 책 '태어나는 것의 어려움'(The Trouble with Being Born)을 읽고 구절을 인용하는 모습이 나온다.

5. 저작 목록

시오랑의 저작 목록은 크게 루마니아어 저작과 프랑스어 저작으로 나뉜다.


  • 루마니아어 저작 (프랑스어 번역본을 기준으로 번역)
  • 1934년, 김정환 역, 『절망의 극치에서』, 서해문집
  • 1936년, 김정환 역, 『기만의 서』, 법정대학출판국
  • 1936년, 김정환 역, 『루마니아의 변용』, 법정대학출판국
  • 1937년, 김정환 역, 『눈물과 성자』, 서해문집
  • 1940년, 김정환 역, 『사상의 황혼』, 서해문집
  • 1940년-1944년, 김정환 역, 『패배자의 기도서』, 법정대학출판국
  • 1991년, ''Singurătate și destin'' (『고독과 운명』, 미번역, 1931년부터 1943년까지 루마니아 잡지에 발표한 논문 모음)
  • 2011년, ''Despre Franța'' (『프랑스에 대하여』, 미번역, 1941년 루마니아어로 쓰여진 유고)
  • 2011년, ''Îndreptar pătimaș II'' (『패배자의 기도서 2』, 미번역, 『패배자의 기도서』 속편으로 발견된 유고)

  • 프랑스어 저작
  • 1949년, 김붕구 역, 『붕괴 개론』, 문학동네
  • 1952년, 이정임 역, 『고뇌의 삼단논법』, 문학동네
  • 1956년, 오정환 역, 『실존의 유혹』, 문학동네
  • 1960년, 송기정 역, 『역사와 유토피아』, 서해문집
  • 1964년, 김정환 역, 『시간의 추락』, 문학동네 (2004년 개정판)
  • 1969년, 김정환 역, 『악한 조물주』, 법정대학출판국 (원제: Le mauvais démiurge, 『악한 데미우르고스』)
  • 1970년, 송기정, 이정임 역, 『심연의 열쇠』, 문학동네
  • 1973년, 송기정 역, 『탄생의 재앙』, 서해문집
  • 1977년, ''Essai sur la pensée réactionnaire. À propos de Joseph de Maistre'' (1957년 조제프 드 메스트르 저작집 서문, 한국어 번역은 『심연의 열쇠』에 수록)
  • 1979년, 김정환 역, 『사분오열』, 법정대학출판국
  • 1986년, 김정환 역, 『오마주 시도』, 법정대학출판국
  • 1987년, 송기정 역, 『고백과 저주』, 서해문집
  • 1995년, 김정환 역, 『시오랑 대담집』, 법정대학출판국
  • 1997년, 김정환 역, 『카이에』, 법정대학출판국
  • 2000년, ''Cahier de Talamanca'' (미번역, 1966년 여름 스페인 이비사섬 휴가 때의 노트)

  • 초고


1997년 시오랑의 반려자 시몬 보에가 사망한 후, 시오랑이 쓴 약 30권 분량의 초고 노트가 발견되었다. 이 초고에는 1972년 이후의 일기를 포함하여, 『카이에』 이후 시오랑의 사상을 엿볼 수 있는 내용이 담겨 있어 주목받았다. 2005년 12월 발견자에 의해 경매에 부쳐졌으나, 파리고등법원의 결정으로 매매가 중단되었다. 이후 2011년 3월 11일, 고등법원은 발견자의 소유권을 인정하는 판결을 내렸고, 초고는 다시 경매에 부쳐져 루마니아인 실업가에게 405000EUR에 낙찰되었다. 초고는 루마니아 과학 아카데미 도서관에 기증되었다.

5. 1. 루마니아어 저작


  • Pe culmile disperăriiro (번역: "절망의 정상에서"), 부쿠레슈티 "문학과 예술 재단" 출판사, 1934년
  • Cartea amăgirilorro (번역: "The Book of Delusions"), 부쿠레슈티, 1936년
  • Schimbarea la faţă a Românieiro (번역: "The Transfiguration of Romania"), 부쿠레슈티, 1936년
  • Lacrimi şi Sfinţiro (번역: "Tears and Saints"), "저자 출판사" 1937년
  • Îndreptar pătimaşro (번역: "The Passionate Handbook"), Humanitas, 부쿠레슈티, 1991년[1]

5. 2. 프랑스어 저작

시오랑의 주요 프랑스어 저서들은 모두 리처드 하워드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었다.

출판 연도제목출판사
1949쇠퇴의 짧은 역사 (분해의 개요)갈리마르
1952모든 쓴맛은 나뉜다 (쓴맛의 삼단논법)갈리마르
1956존재의 유혹갈리마르
1960역사와 유토피아갈리마르
1964시간 속으로의 추락갈리마르
1969새로운 신들 (나쁜 데미우르고스)갈리마르
1973태어나는 것의 불편함갈리마르
1979사분오열갈리마르
1986경탄의 연습갈리마르
1987고백과 저주갈리마르
1995작품집 (전집)갈리마르-콰트로
1996나의 나라/Țara mea (프랑스어로 쓰였으며, 루마니아에서 바이링구얼 판으로 처음 출판됨)휴머니타스
1997노트 1957–1972갈리마르



1986년에 출간된 《경탄의 연습》과 1987년에 출간된 《고백과 저주》는 "저주와 경탄"으로 묶여 번역되기도 하였다.[1]

참조

[1] 웹사이트 Obituary: Emil Cioran https://www.independ[...] 2011-10-23
[2] 서적 On the Heights of Despair
[3] 논문 Cioran's Nietzsche http://www.jstor.org[...]
[4] 논문 Cioran's Insomnia https://www.jstor.or[...]
[5] 논문 Cioran's Insomnia https://www.jstor.or[...]
[6] 문서 Cioran, 1933, in Ornea, p.191
[7] 문서 Cioran, 1934, in Ornea, p.192
[8] 문서 Cioran, 1933, in Ornea, p.190
[9] 문서 Cioran, 1936, in Ornea, p.192
[10] 논문 Wakefulness and Obsession: An Interview with E.M. Cioran https://www.jstor.or[...]
[11] 논문 Wakefulness and Obsession: An Interview with E.M. Cioran https://www.jstor.or[...]
[12] 서적 The Fall out of Redemption: Writing and Thinking Beyond Salvation in Baudelaire, Cioran, Fondane, Agamben, and Nancy Bloomsbury Academic
[13] 문서 Ornea, p.40
[14] 문서 Ornea, p.50-52, 98
[15] 문서 Cioran, in Ornea, p.98
[16] 문서 Ornea, p.127, 130, 137–141
[17] 문서 Cioran, 1934, in Ornea, p.127
[18] 문서 Cioran, 1936, in Ornea, p. 141
[19] 문서 Crainic, 1937, in Ornea, p.143
[20] 문서 Ornea, pp. 143–144
[21] 웹인용 The Philosopher of Failure: Emil Cioran's Heights of Despair https://lareviewofbo[...] 2016-11-28
[22] 논문 (Anti-)Semitism 1890s/1990s: Octave Mirbeau and E. M. Cioran https://www.jstor.or[...]
[23] 문서 Cioran, 1940, in Ornea, p.197
[24] 문서 Cioran, 1972, in Ornea, p.198
[25] 뉴스 E. M. Cioran, 84, Novelist And Philosopher of Despair https://www.nytimes.[...] 1995-06-22
[26] 서적 The Trouble with Being Born Arcade Publishing
[27] 논문 Cioran's Nietzsche http://www.jstor.org[...]
[28] 논문 Cioran's Insomnia https://www.jstor.or[...]
[29] 문서 A Short History of Decay, p. ix.
[30] 웹사이트 E. M. Cioran https://www.itinerar[...] 2024-06-03
[31] 웹사이트 The Philosopher of Failure: Emil Cioran's Heights of Despair https://lareviewofbo[...] 2016-11-28
[32] 웹사이트 Obituary: Emil Cioran http://www.independe[...] 1995-06-24
[33] 문서 Drawn and Quartered, p. 148.
[34] 웹사이트 E.M. Cioran https://www.itinerar[...]
[35] 서적 Writing At Risk: Interviews Uncommon Writer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Iowa Press 1991
[36] 서적 On the Heights of Despai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37] 뉴스 Cioran, 4 December 1989 Newsweek 1989-12-04
[38] 간행물 Cioran's Nietzsche http://www.jstor.org[...]
[39] 뉴스 The Evil Demiurge https://www.nybooks.[...] 2022-09-28
[40] 서적 Styles of Radical Will Farrar, Straus and Giroux 1969
[41] 문서 Searching for Cioran Indiana University Press
[42] 웹사이트 Manuscripts by Romanian Philosopher Cioran Fetch €400,000 https://balkaninsigh[...] 2021-03-22
[43] 웹사이트 Teatru românesc în Luxemburg https://archive.toda[...] HotNews.ro 2007-11-15
[44] 뉴스 Cronică de lângă teatre. A făcut Emil Cioran karate? Academia Cațavencu 2007
[45] 웹사이트 Membrii post-mortem al Academiei Române http://www.acad.ro/m[...] Romanian Academy
[46] 웹사이트 Zones Without People, by Oneohtrix Point Never https://oneohtrixpoi[...]
[47] 문서 2009
[48] 문서 1998
[49] 문서 1998
[50] 문서 2002
[51] 문서 2009
[52] 문서 2002
[53] 문서 1998
[54] 문서 2009
[55] 문서 2002
[56] 문서 2002
[57] 문서 2002
[58] 문서 2009
[59] 문서 2009
[60] 문서 1998
[61] 문서 1998
[62] 문서 2009
[63] 웹인용 Obituary: Emil Cioran https://www.independ[...] 2021-03-22
[64] 저널 Cioran's Nietzsche http://www.jstor.org[...]
[65] 웹인용 The Philosopher of Failure: Emil Cioran's Heights of Despair https://lareviewofbo[...] 2018-01-08
[66] 웹인용 Obituary: Emil Cioran https://www.independ[...] 2021-03-22
[67] 저널 (Anti-)Semitism 1890s/1990s: Octave Mirbeau and E. M. Cioran https://www.jstor.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