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스델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스델기는 페르시아 제국의 아하수에로 왕 시대에 일어난 사건을 다룬 성경의 한 권으로, 유대인 학살 음모를 막고 민족을 구원한 에스더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에스델은 페르시아 왕의 왕비가 되어 유대인 박해를 막기 위해 노력하며, 이 이야기는 유대 민족의 절기인 부림절의 기원을 설명한다. 에스델기는 역사적 사실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칠십인역에는 내용이 추가되어 있다.

2. 역사적 배경



페르시아 제국아하수에로스 황제는 인디아페르시아 지역을 다스렸다. 에스델기는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의 수도 수사에서 일어난 일을 그리고 있으며, 이는 아하수에로 왕 통치 제3년에 해당한다. '아하수에로'라는 이름은 '크세르크세스'와 동일하며[5] (둘 다 고대 페르시아어 ''Khshayārsha''에서 유래함)[6], 현대 자료에서 일반적으로 크세르크세스 1세로 식별된다.[7][8] 그는 기원전 486년부터 465년 사이에 통치했다.

기원전 586년, 예루살렘은 신 바빌로니아에 의해 멸망하고, 많은 유대인들이 "포로"가 되어 바빌로니아 각지로 강제 이주되었다. (바빌론 유수, 이때부터 "유대인"이라는 말이 사용되기 시작한다). 바빌로니아를 멸망시킨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키루스 2세 (히브리어로 "코레쉬", 페르시아어로 "쿠르쉬")는 기원전 539년 칙령을 내려 유대인들이 이스라엘 땅으로 돌아가도록 촉구했다(이는 역사적 사실이다).

실제로 귀환한 사람들은 극소수였으며, 바빌로니아 지방과 페르시아 등에 그대로 잔류한 사람도 많았다(최초의 디아스포라 시작). 페르시아의 종교는 조로아스터교였지만, 다른 민족에게 조로아스터교를 강요하지 않고 관용 정책을 취하는 경우가 많았다. 유대인 중에서도 에스라, 느헤미야, 그리고 이 이야기에 등장하는 모르데카이처럼 제국 내에서 높은 지위에 오른 사람도 나타났다.

페르시아 역대 왕은 다음과 같다.

재위 기간주요 업적
키루스 2세 (코레쉬 2세)기원전 559년 - 기원전 530년메디아 왕국, 이란 고원, 아르메니아, 아나톨리아 각지, 리디아, 인도, 바빌로니아, 킬리키아, 페니키아 정복. 오리엔트를 페르시아화함.
캄비세스 2세기원전 530년 - 기원전 522년이집트 정복. 에티오피아, 카르타고 등의 정복에 실패.
다리우스 1세기원전 521년 - 기원전 486년유대인에게 성전 재건 허락. 이집트인에게도 관용 정책.
크세르크세스 1세 (아하수에로스 1세)기원전 486년 - 기원전 465년인도, 유럽에 출병. 마라톤 전투, 페르세폴리스 건조 등. 역시 관용 정책.



그 후 6명의 왕이 나온 후, 알렉산드로스 대왕에 의해 정복된다.

에스델기의 역사적 신빙성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입장이 있다.

입장설명
역사성을 완전히 부정하는 픽션 설에스델기는 역사적 사실이 아닌 허구의 이야기이다.
다양한 상상력으로 각색된 역사 소설이라고 보는 설에스델기는 역사적 사건을 바탕으로 하지만, 작가의 상상력이 가미된 역사 소설이다.
모든 것이 사료에 근거한다는 설에스델기는 역사적 틀을 가지고 기록되었으며, 고고학적으로도 역사적으로도 그 정확성이 증명되었다.



"역사 소설" 설에 따르면, 실제 『에스더기』 저자의 페르시아에 대한 지식은 정확성을 결여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 픽션 소설도 어떤 역사적 사건, 적어도 "상황"을 반영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모르드개에 의해 유대인의 적을 살해하는 것을 허락하는 명령이 내려지는데, 이 묘사는 『에스더기』의 묘사의 신빙성에 문제를 제기한다고 여겨진다. 많은 학자들은 이 부분은 사료가 아닐 것이라고 생각한다.

2. 1. 페르시아 제국과 유대인

페르시아 제국아하수에로스 황제는 인디아와 페르시아 지역을 다스렸다. 에스델의 사촌이었던 모르드개는 페르시아 제국에 잡혀 온 유대인들 중 하나였다. 에스델은 고아로, 모르드개의 보호를 받았다.

모르드개는 고관 대신이었던 하만에게 절하는 것을 거부하였다. 하만은 아말렉 출신이었다. 이에 분을 느낀 하만은 황제에게 고하여 전 제국의 유대인을 학살할 수 있는 권한을 얻었다. 모르드개는 이것을 먼저 알아채고 에스델에게 이야기하여 황제에게 간청해 이 명을 거둬 달라고 요청한다.

에스델은 전 유대인들에게 삼일간 금식을 선포하고 본인도 같이 금식한 후, 황제에게 나아간다. 황제는 에스델을 부르게 되고, 모든 명을 다 들어 주겠다고 약속한다. 황제에게 하만을 초청하도록 간청하고, 하만 앞에서 하만이 왕비를 포함한 모든 유대 민족을 말살하려는 것을 황제에게 고하였다. 이에 하만은 처형되고, 하만의 모든 소유는 에스델에게 주게 된다. 그리고, 유대인 학살의 명을 거두도록 청하고, 모르드개에게 관련 내용의 전권을 위임한다. 그들은 황제의 이름으로 유대인들이 모여서 스스로를 방어하고, 위해하려는 자를 죽일 수 있도록 하는 조서를 각지에 내리게 된다. 하만이 유대인을 죽이려던 아달월 13일에 유대인들이 유대인 혐오세력을 몰아내게 되었다.

아달월 13일 부림절은 하만이 유대인을 죽이려던 순간에 오히려 유대인이 대적자들을 물리치게 된 날이다. 유대인에게는 목숨을 건지고, 대적을 이긴 기쁜 날로써, 유대인들은 그 날을 기념하여 연간 절기인 부림절로 정하였다. 또한 모르드개는 황제 다음가는 사람이 되었으며, 그는 유대인들에게 큰 존경을 받았다고 한다.

에스델기는 수사 (페르시아)의 수도에서 일어난 일을 그리고 있으며, 이는 페르시아 왕 아하수에로의 통치 제3년에 해당한다. ''아하수에로''라는 이름은 ''크세르크세스''와 동일하며[5] (둘 다 고대 페르시아어 ''Khshayārsha''에서 유래함)[6], 아하수에로는 현대 자료에서 일반적으로 크세르크세스 1세로 식별된다.[7][8] 그는 기원전 486년부터 465년 사이에 통치했다.

기원전 586년, 예루살렘은 신 바빌로니아에 의해 멸망하고, 많은 유대인들이 "포로"가 되어 바빌로니아 각지로 강제 이주되었다. (바빌론 유수, 이때부터 "유대인"이라는 말이 사용되기 시작한다). 바빌로니아를 멸망시킨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키루스 2세 (히브리어로 "코레쉬", 페르시아어로 "쿠르쉬")는 기원전 539년 칙령을 내려 유대인들이 이스라엘 땅으로 돌아가도록 촉구했다(이는 역사적 사실이다).

실제로 귀환한 사람들은 극소수였으며, 바빌로니아 지방과 페르시아 등에 그대로 잔류한 사람도 많았다고 한다(최초의 디아스포라 시작). 페르시아의 종교는 조로아스터교였지만, 다른 민족에게 조로아스터교를 강요하지 않고 관용 정책을 취하는 경우가 많았다. 유대인 중에서도 에스라, 느헤미야, 그리고 이 이야기에 등장하는 모르데카이처럼 제국 내에서 높은 지위에 오른 사람도 나타났다고 한다.

페르시아 역대 왕은 다음과 같다.

재위 기간주요 업적
키루스 2세 (코레쉬 2세)기원전 559년 - 기원전 530년메디아 왕국, 이란 고원, 아르메니아, 아나톨리아 각지, 리디아, 인도, 바빌로니아, 킬리키아, 페니키아 정복. 오리엔트를 페르시아화함.
캄비세스 2세기원전 530년 - 기원전 522년이집트 정복. 에티오피아, 카르타고 등의 정복에 실패.
다리우스 1세기원전 521년 - 기원전 486년유대인에게 성전 재건 허락. 이집트인에게도 관용 정책.
크세르크세스 1세 (아하수에로스 1세)기원전 486년 - 기원전 465년인도, 유럽에 출병. 마라톤 전투, 페르세폴리스 건조 등. 역시 관용 정책.



그 후 6명의 왕이 나온 후, 알렉산드로스 대왕에 의해 정복된다.

2. 2. 아하수에로 왕 (크세르크세스 1세)

에스더가 왕관을 쓰는 모습은 1860년 율리우스 슈노어 폰 카롤스펠트의 목판화에 묘사되어 있다.
]]

모르드개가 존경받는 모습은 1860년 율리우스 슈노어 폰 카롤스펠트의 목판화에 묘사되어 있다.


페르시아 제국아하수에로스 황제는 인디아와 페르시아 지역을 다스렸다. 아하수에로스 황제는 축제에서 술을 마시다가 왕비 와스디의 미모를 자랑하고자 불렀으나, 와스디는 이를 거부하였다. 이에 황제는 새로운 황후를 찾게 된다.

에스델의 사촌 모르드개는 페르시아 제국에 잡혀 온 유대인 중 한 명이었다. 고아였던 에스델은 모르드개의 보호 아래 있었다. 황후를 찾는 황제의 명령에 따라 에스델은 왕궁으로 불려갔고, 높은 직책에 올랐지만 검소한 생활을 하였다. 황제는 에스델과 사랑에 빠져 그녀를 황후로 삼았다.

모르드개는 아말렉 출신 고관 하만에게 절하는 것을 거부하였다. 이에 분노한 하만은 황제에게 고하여 전 제국의 유대인을 학살할 수 있는 권한을 얻었다. 모르드개는 이를 먼저 알아채고 에스델에게 알려 황제에게 간청하여 이 명을 거두도록 요청했다. 그러나 에스델은 황제가 부르지 않았는데 임의로 나아가면 죽음을 당할 수 있는 당시 규칙 때문에 주저하였다.

에스델은 전 유대인들에게 삼일간 금식을 선포하고 자신도 금식한 후 황제에게 나아갔다. 황제는 에스델을 부르고 모든 명을 들어주겠다고 약속했다. 에스텔은 황제에게 하만을 초청하도록 간청하고, 하만 앞에서 그가 왕비를 포함한 모든 유대 민족을 말살하려 한다고 고발하였다. 놀란 하만은 에스텔 앞에 엎드렸으나, 황제는 이를 공격으로 오인하여 진노하였다. 하만은 처형되고 그의 모든 소유는 에스텔에게 주어졌다. 에스델은 유대인 학살 명령을 거두도록 청하고, 모르드개에게 관련 전권을 위임했다. 그들은 황제의 이름으로 유대인들이 스스로를 방어하고 위해하려는 자를 죽일 수 있도록 하는 조서를 각지에 내렸다. 하만이 유대인을 죽이려던 아달월 13일에 유대인들은 유대인 혐오 세력을 몰아냈다.

아달월 13일 부림절은 하만이 유대인을 죽이려던 순간에 오히려 유대인이 대적자들을 물리친 날이다. 유대인들은 이 날을 목숨을 건지고 대적을 이긴 기쁜 날로 기념하여 연간 절기인 부림절로 정하였다. 모르드개는 황제 다음가는 사람이 되었으며, 유대인들에게 큰 존경을 받았다.

에스델기는 수사 (페르시아)에서 일어난 일을 그리고 있으며, 이는 페르시아 왕 아하수에로의 통치 제3년에 해당한다. '아하수에로'라는 이름은 '크세르크세스'와 동일하며[5] (둘 다 고대 페르시아어 ''Khshayārsha''에서 유래함)[6], 현대 자료에서 일반적으로 크세르크세스 1세로 식별된다.[7][8] 그는 기원전 486년부터 465년 사이에 통치했으며, 에스더에 묘사된 사건들이 이 군주와 가장 밀접하게 일치한다고 여겨진다.[6][9]

만약 아하수에로가 실제로 크세르크세스 1세라면, 에스더에 묘사된 사건은 기원전 483–482년경에 시작되어 기원전 473년 3월에 끝났을 것이다.

요세푸스, 유대교 주석서 ''에스더 라바'' 및 기독교 신학자 바르 헤브라에우스와 같은 고전 자료,[10] 그리고 에스더의 코이네 그리스어 70인역 번역본은 아하수에로를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기원전 465년부터 424년까지 통치) 또는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 (기원전 404년부터 358년까지 통치)로 식별한다.[10]

그러나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가 즉위했을 때, 그는 이집트를 파라오 아미르타이오스에게 잃었고, 그 후 이집트는 더 이상 페르시아 제국의 일부가 아니었다. 페트루스 코메스토르는 ''Historia Scholastica''에서 아하수에로 (에스더 1:1)를 이집트를 재정복한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 (기원전 358–338년)로 식별했다.[11]

2. 3. 역사적 신빙성 논쟁

에스델기는 페르시아 제국수도 수사에서 일어난 일을 그리고 있으며, 아케메네스 왕조의 왕 아하수에로 통치 제3년에 해당한다. '아하수에로'는 '크세르크세스'와 동일하며[5], 현대 자료에서는 일반적으로 크세르크세스 1세로 여겨진다.[7][8] 에스더에 묘사된 사건들이 이 군주와 가장 일치한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6][9]

만약 아하수에로가 실제로 크세르크세스 1세라면, 에스더에 묘사된 사건은 기원전 483–482년경에 시작되어 기원전 473년 3월에 끝났을 것이다.

요세푸스, 유대교 주석서 ''에스더 라바'', 기독교 신학자 바르 헤브라에우스와 같은 고전 자료,[10] 그리고 에스더의 코이네 그리스어 70인역 번역본은 아하수에로를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또는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로 식별한다.[10] 그러나 ''Historia Scholastica''에서 페트루스 코메스토르는 아하수에로를 이집트를 재정복한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로 식별했다.[11]

에스델 두루마리(메길라)


《메길라트 에스테르》(에스델기)는 탈무드에 따르면 모르드개가 쓴 원본을 대 회의가 편집한 것이다.[14] 일반적으로 기원전 4세기로 연대가 추정된다.[15][16]

70인역에 포함된 그리스어 에스델서는 히브리어 에스델서의 번역이 아닌 사건의 재해석본이며, 전통적인 히브리어 판에는 나타나지 않는 추가적인 전승을 기록하고 있다. 기원전 2세기 말에서 1세기 초로 연대가 추정된다.[17][18] 콥트교 및 에티오피아 판본의 에스델서는 히브리어 에스델서가 아닌 그리스어 에스델서의 번역본이다.

에스델서의 라틴어 번역본은 제롬불가타를 위해 제작했다. 에스델서에 대한 여러 아람어 타르굼이 중세 시대에 제작되었으며, 그중 세 개가 남아 있다. 《타르굼 리숀》과 《타르굼 셰니》[20][21]는 기원후 500–1000년경에 제작되었으며,[22] 푸림과 관련된 추가 전설을 포함하고 있다.[20] 《타르굼 셸리시》는 베를리너와 고센-고트스타인이 다른 타르굼이 여기서 확장되었다고 주장한 원본 타르굼이다.[23][21]

손으로 쓴 에스더서 두루마리의 첫 장, 독자의 토라 포인터 포함


에스델기는 겉으로 드러나는 역사적 난점, 내부의 모순, 주제와 사건의 뚜렷한 대칭성, 인용된 대화의 풍부함, 숫자(시간, 돈, 사람)의 과장된 보도 등으로 인해 허구의 작품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24] 이야기에는 알려진 역사적 사건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 에스더 이야기는 푸림절의 기원을 제공하기 위해 지어낸 것이라는 일반적인 합의가 유지되어 왔으며, 아하수에로라는 이름은 일반적으로 허구화된 크세르크세스 1세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된다.[27]

에스더서는 다른 성경 작품보다 아카드어아람어 차용어가 더 많다. 예를 들어 모르데개와 에스더와 같은 주요 등장인물의 이름은 마르두크이슈타르에 대한 암시로 해석되었다. "하만의 귀"라고 불리는 귀 모양의 빵이나 페이스트리를 먹는 것과 같은 푸림절 관습은 이슈타르의 우주적 승리를 기념하는 근동 의식 행사와 유사하다.[29]

성서학자 마이클 코건은 에스델기에 특정 주제(예: 페르시아 통치)에 대한 역사적으로 부정확한 세부 사항이 포함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코건은 에스더의 사촌(또는 다른 사람에 따르면 삼촌) 모르드개의 나이에 대한 부정확성을 논한다.[31][32] 에스더 2:5-6에서 모르드개 또는 그의 증조부 키시는 기원전 597년에 느부갓네살 2세에 의해 예루살렘에서 바빌론으로 추방된 것으로 확인된다. 만약 이것이 모르드개를 가리키는 것이라면, 그는 에스더서에 묘사된 사건들을 목격하기 위해 1세기 이상을 살았어야 했을 것이다. 그러나 이 구절은 모르드개가 바빌론으로 추방된 것이 아니라 그의 증조부 키시의 추방을 가리키는 것으로 읽을 수 있다.[33][34][35]

성서학자 아델 베를린은 에스더의 역사성에 대한 학자들의 우려의 근거를 논한다. 베를린은 에스더의 저자가 이 책을 역사적 저술로 간주하려는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역사적 소설로 썼다고 제안한다.[37] 에스더가 속하는 소설 장르는 페르시아와 헬레니즘 시대에 흔했다(예: 외경 유딧기 참조).

그러나 에스더서에는 역사적으로 정확한 요소도 있다.[38] 에스더서에 나오는 이야기는 아하수에로의 통치 기간에 일어난다. 그는 다른 사람들 중에서 5세기 페르시아 왕 크세르크세스 1세 (재위 기원전 486–465년)로 확인되었다. 저자는 또한 페르시아의 관습과 궁전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보여준다. 그러나 코건에 따르면, 텍스트 전체에 상당한 역사적 부정확성이 남아 있어, 에스더서는 역사적 사건을 묘사하지만 반드시 역사적 사실은 아닌 역사적 소설로 읽어야 한다는 견해를 뒷받침한다.

페르시아의 사료에서 존재의 증거가 인정되지 않아, 에스더는 가공의 인물이며, 역사적 사실이 아니라는 설도 있다. 또한 이 책에는 "신", "주"라는 종교적 용어가 사용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어, 정통성이 의심받아 역사적으로 성경 정경에서 제외하려는 움직임조차 있었다.

헤로도토스크세르크세스 1세가 페르시아 전쟁 후에 정비한 후궁에서 한 여성, 왕비 아메스트리스의 이름만을 언급하고 있다. Am-Estr-is의 이름과 Esther의 이름 유사성(-is는 그리스어의 격 변화 어미) 등으로 동일시하는 설도 있지만,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아메스트리스는 페르시아 장군의 딸로, 고아 유대인인 에스더와는 상황이 일치하지 않는다.

에스더의 양아버지 모르데카이는 페르시아의 신 마르두크의 전개라는 설도 있으며, 그 경우 다리우스 1세 치세에서 크세르크세스 1세 치세까지 최대 4명의 "마르두크"라는 이름의 고관이 확인되고 있으므로, 그 중 한 명일 가능성도 있다.

이 사건은 『에즈라기』의 6장과 7장 사이 시대에 해당한다고 여겨진다.

에스델기의 역사적 신빙성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입장이 있다.

입장설명
역사성을 완전히 부정하는 픽션 설에스델기는 역사적 사실이 아닌 허구의 이야기이다.
다양한 상상력으로 각색된 역사 소설이라고 보는 설에스델기는 역사적 사건을 바탕으로 하지만, 작가의 상상력이 가미된 역사 소설이다.
모든 것이 사료에 근거한다는 설에스델기는 역사적 틀을 가지고 기록되었으며, 고고학적으로도 역사적으로도 그 정확성이 증명되었다.



"역사 소설" 설에 따르면, 실제 『에스더기』 저자의 페르시아에 대한 지식은 정확성을 결여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 픽션 소설도 어떤 역사적 사건, 적어도 "상황"을 반영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모르드개에 의해 유대인의 적을 살해하는 것을 허락하는 명령이 내려지는데, 이 묘사는 『에스더기』의 묘사의 신빙성에 문제를 제기한다고 여겨진다. 많은 학자들은 이 부분은 사료가 아닐 것이라고 생각한다.

3. 주요 등장인물


  • 에스델: 페르시아 제국아하수에로스 황제의 왕비로 간택된 유대인 여성이다. 고아로 사촌 모르드개의 보호 아래 자랐다. 히브리어 이름은 하다사(은매화)이다. 아하수에로스 황제의 새 왕비를 뽑는 과정에서 왕궁에 불려갔고, 황제의 사랑을 받아 왕비가 되었다.
  • 모르드개: 에스델의 사촌이자 양아버지로, 페르시아 제국에 잡혀 온 유대인 중 한 명이었다.
  • 아하수에로스: 인디아와 페르시아 지역을 다스리는 페르시아 제국의 황제였다.
  • 와스디: 아하수에로스 황제의 첫 번째 왕비였으나, 황제의 명령을 거역하여 폐위되었다.
  • 하만: 아말렉 출신의 고관 대신으로, 모르드개가 자신에게 절하지 않자 앙심을 품고 페르시아 제국 내 모든 유대인을 학살할 음모를 꾸몄다.
  • 마르두크: 모르드개의 이름은 페르시아의 신인 이 신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 아메스트리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크세르크세스 1세가 페르시아 전쟁 후에 정비한 후궁에서 언급된 유일한 왕비이다. 'Am-Estr-is'와 'Esther'의 이름 유사성(-is는 그리스어의 격 변화 어미)으로 동일시하는 설도 있지만,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아메스트리스는 페르시아 장군의 딸로, 고아 유대인인 에스더와는 상황이 일치하지 않는다.

4. 줄거리

페르시아 제국아하수에로스 황제는 인도페르시아 지역을 다스렸다. 아하수에루스 황제는 축제에서 술을 마시다가 왕비 와스디의 미모를 자랑하고자 황후를 불렀으나, 와스디가 이를 거부하자 새로운 황후를 찾는다.

에스델의 사촌 모르드개는 페르시아 제국에 잡혀 온 유대인 중 하나였다. 고아였던 에스델은 모르드개의 보호 아래 있었다. 황후를 찾는 명령에 따라 에스델은 왕궁으로 불려갔고, 높은 직책에 올랐지만 검소하게 생활하였다. 황제는 에스델에게 사랑을 느껴 그녀를 황후로 삼는다.

모르드개는 아말렉 출신 고관 하만에게 절하지 않아 하만의 분노를 샀다. 하만은 황제에게 유대인 학살 권한을 얻고, 모르드개는 에스델에게 황제에게 간청하여 이 명을 거두도록 요청한다. 에스델은 황제가 부르지 않으면 나아갈 수 없는 규칙 때문에 주저했지만, 유대인들과 함께 금식한 후 황제에게 나아간다.

황제는 에스델을 부르고, 그녀의 청에 따라 하만을 처형하고 유대인 학살 명령을 거둔다. 모르드개는 유대인들이 스스로를 방어하도록 하는 조서를 내린다. 아달월 13일, 유대인들은 유대인 혐오 세력을 몰아냈다. 이 날은 유대인의 기쁜 날로, 부림절로 기념된다. 모르드개는 황제 다음 가는 지위에 올라 유대인들에게 존경받았다.

4. 1. 와스디 폐위와 에스더의 등장 (1-2장)

페르시아 제국아하수에로스 황제는 인도페르시아 지역을 다스렸다.[39] 아하수에로스 황제는 축제에서 술을 마시다가 왕비 와스디의 미모를 자랑하고자 불렀으나, 와스디는 이를 거절하고 나타나지 않았다.[39] 이에 황제는 새로운 황후를 찾게 된다.

모르드개에스델의 사촌으로, 페르시아 제국에 잡혀 온 유대인 중 하나였다. 고아가 된 에스델은 모르드개의 보호 아래 있었다. 황후를 찾는 황제의 명령에 따라 에스델은 왕궁으로 불려갔고, 높은 직책에 올랐지만 검소하게 생활하였다. 황제는 에스델에게 사랑을 느껴 그녀를 황후로 삼았다.

4. 2. 하만의 음모와 모르드개의 저항 (3-4장)

페르시아 제국의 고관 대신이었던 하만은 아말렉 출신으로, 모르드개가 자신에게 절하지 않는 것에 분노했다. 이에 하만은 황제를 설득하여 제국 내 모든 유대인을 학살할 수 있는 권한을 얻었다.[42] 모르드개는 이 음모를 먼저 알아채고 에스델에게 알렸다. 그는 에스델에게 황제에게 간청하여 학살 명령을 철회하도록 요청했다.

하지만 에스델은 주저했다. 당시 규칙에 따르면, 황제가 부르지 않았는데 임의로 황제에게 나아가는 것은 죽음을 초래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에스델은 모르드개에게 왕에게 가까이 갈 수 없다고 답했다. 이에 모르드개는 "이때를 위해서 당신이 왕후의 자리에 오른 것이 아니겠소?"(4:14)라고 설득했다.

에스델은 모든 유대인에게 3일간 금식을 선포하고, 자신도 시녀들과 함께 금식한 후 황제에게 나아가기로 결심했다.

4. 3. 에스더의 용기와 하만의 몰락 (5-8장)

에스델은 전 유대인들에게 사흘간 금식을 선포하고 본인도 같이 금식한 후, 황제에게 나아갔다. 황제는 에스델의 미모에 에스델을 불렀고, 모든 명을 다 들어 주겠다고 약속한다.[67] 황제에게 하만을 초청하도록 간청하고, 하만 앞에서 하만이 왕비를 포함한 모든 유대 민족을 말살하려는 것을 황제에게 고하였다. 놀란 하만은 에스델 앞에 엎드렸으나, 황제는 그녀를 공격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더욱 진노하게 된다. 이에 하만은 처형되고, 하만의 모든 소유는 에스델에게 주게 된다. 그리고, 유대인 학살의 명을 거두도록 청하고, 모르드개에게 관련 내용의 전권을 위임한다. 그들은 황제의 이름으로 유대인들이 모여서 스스로를 방어하고, 위해하려는 자를 죽일 수 있도록 하는 조서를 각지에 내리게 된다. 하만이 유대인을 죽이려던 아달월 13일에 유대인들이 유대인 혐오세력을 몰아내게 되었다.[67]

에스더는 아하수에로스에게 알현하는 데 성공하여 하만과 함께하는 연회를 약속받는다. 알현에 실패하면 사형이었다. 하만은 자택에서 연회를 열고 에스더와 왕과의 연회에 대해 기뻐하며 이야기한다. 모르드개를 매달 기둥을 세운다.

잠 못 이루는 왕은 궁정 일지를 가져오게 하여 읽게 했는데, 여기서 모르드개가 왕의 암살을 막은 기록을 처음 알게 된다. 에스더는 자신이 유대인임을 왕에게 고한다. 하만은 모르드개 살해용으로 세운 그 기둥에서 처형된다. 하만의 재산은 에스더와 모르드개의 것이 된다.

4. 4. 유대인의 구원과 부림절 제정 (9-10장)

모르드개는 하만이 유대인을 학살하려는 음모를 알게 된 후, 에스델에게 황제에게 간청하여 이 명을 거두도록 요청한다. 하지만 에스델은 황제가 부르지 않았는데 나아가면 죽을 수도 있다는 규칙 때문에 주저한다. 에스델은 유대인들에게 3일간 금식을 선포하고 자신도 금식한 후 황제에게 나아간다. 황제는 에스델을 부르고, 그녀의 청을 들어 하만을 처형하고 유대인 학살 명령을 거둔다. 모르드개는 유대인들이 스스로를 방어하고 대적을 죽일 수 있도록 하는 조서를 내린다.[39] 하만이 유대인을 죽이려던 아달월 13일, 유대인들은 오히려 유대인 혐오 세력을 몰아내게 된다.

아달월 13일 부림절은 유대인이 대적을 물리치고 목숨을 건진 기쁜 날로, 유대인들은 이 날을 기념하여 연간 절기인 부림절로 정하였다.[40] 모르드개는 황제 다음 가는 높은 지위에 오르고 유대인들에게 존경받는 인물이 된다.

5. 70인역(그리스어 번역) 추가 부분

70인역에 포함된 그리스어 에스델서는 히브리어 에스델서의 단순 번역이 아닌, 사건을 재해석한 판본이다. 여기에는 히브리어 판본에는 없는 추가적인 전승이 기록되어 있다. 특히 아하수에로 왕을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로 동일시하고, 다양한 서신에 대한 세부 사항을 기록하고 있다.[17][18] 그리스어 에스델서는 기원전 2세기 말에서 1세기 초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17][18] 콥트교 및 에티오피아 판본의 에스델서는 히브리어 에스델서가 아닌 이 그리스어 에스델서를 번역한 것이다.

70인역 그리스어판 에스델기는 히브리어판 에스델기와 큰 줄거리는 일치하지만, 다음과 같은 많은 추가 부분 및 차이점이 있다.


  • 서두와 마지막에 모르드개가 꾼 꿈과 그 해석이 실려 있다.
  • 3장과 8장에 왕의 칙서 전문 사본이 기록되어 있다.
  • 4장과 5장 사이에 모르드개와 에스더의 기도가 삽입되어 있다. 히브리어판에서는 에스더가 왕 앞에 나오자 왕이 바로 허락하지만, 그리스어판에서는 3일 동안 신에게 기도한 후 화려한 의상을 입고 두 시녀와 함께 왕 앞에 나아간다. 그러나 왕이 격노한 표정을 짓자 에스더는 비틀거리며 시녀에게 쓰러지고, 이를 본 왕은 당황하여 에스더를 껴안고 용서한다.
  • 유대인이 살해한 사람 수는 히브리어판에서는 7만 5천 명이지만, 그리스어판에서는 1만 5천 명이다. 축제 날짜는 수사에서는 아달월 15일이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14일로 기록되어 있다.


그리스어판에서는 전체적으로 신의 개입이 더 크다. 예를 들어 왕이 궁정 일지를 확인한 것은 "주께서 왕에게 잠을 빼앗았기" 때문이며, 왕이 에스더를 용서한 것도 "신이 왕의 마음을 바꾸어 부드럽게 하셨기" 때문이라고 기술되어 있다.

그리스어판 에스더기는 예술의 소재로 자주 사용되었으며, 특히 왕 앞에서 에스더가 쓰러지는 장면은 라신의 희곡 『에스더』 등에 사용되었다.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의 『아하수에로 왕 앞의 에스더』. 왕 앞에서 기절하는 에스더를 그렸다.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

6. 기독교적 해석

칠십인역에 처음 등장한 이후, 헬라어 부가물의 정경성에 대한 문제는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마르틴 루터는 히브리어 원본의 가치조차 의심스럽게 여겼다.[70]

피렌체 공의회는 1431년에서 1445년 사이에 에스델기의 정경성을 확인했다.[71] 트리엔트 공의회는 히브리어 본문과 헬라어 부가물을 모두 포함하여 책 전체를 정경으로 재확인했다.[72] 에스델서는 가톨릭 렉시오나리에서 두 번 사용되는데, 두 경우 모두 헬라어 부가물에서 가져온 본문을 사용한다.[73] 이 독서에는 모르드개의 기도가 포함되어 있으며, 에스더의 말은 사용되지 않는다. 동방 정교회는 에스델서의 칠십인역 버전을 사용한다.

반면, 이 부가물은 성경 외경에 포함되며, 개신교 성경에서는 별도의 섹션으로 인쇄되거나 아예 인쇄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에스더서의 나머지 부분"이라고 불리는 이 부가물은 잉글랜드 성공회의 39개조 신조 제6조에서 비정경으로 명시되어 있지만, "생활의 모범과 예절을 가르치기 위해 읽을 수 있다"고 되어 있다.[74]

에스델기는 하나님의 "섭리의 손길"을 가르치는 책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에스더가 왕비가 된 것(2:17), 모르드개가 왕의 암살 계획을 듣고 에스더에게 전한 것(2:21-23), 에스더가 왕에게 청하는 것을 하룻밤 미룬 것(5:8), 그 밤에 왕이 기록을 읽고 모르드개에게 영예를 주려고 생각한 것(6장) 등, 어느 하나라도 달랐다면 유대인 학살 계획을 막을 수 없었을 것이라는 점을 통해 이를 알 수 있다.

또한, 에스델기에는 하나님의 이름이 명시적으로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를 선명하게 그려내는 책이라는 평가도 있다.

에스더는 "규례를 어기는 일이지만, 저는 왕에게 나아가겠습니다. 만일 죽어야 한다면 죽겠습니다"(4:16)라고 결심한다. 기독교에서는 에스더의 이러한 "믿음"을 통해 "하나님의 역사"가 실현된다고 보며, "그리스도인은 죽음을 각오하고서라도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해야 할 때가 있다"는 해석을 하기도 한다.

7. 부림절

페르시아 제국의 하만이 유대인을 몰살하려던 아달월 13일에, 오히려 유대인들이 대적자들을 물리쳤다. 유대인들은 이날을 기념하여 연간 절기인 부림절로 정하였다. פורים|푸림he은 '제비뽑기'를 뜻하는 '푸르'(פור|푸르he)에서 유래한 단어로, 하만이 유대인 학살 날짜를 제비뽑기로 정한 것에서 비롯되었다.[66]

부림절은 유대력의 아달월 13일로, 유대인들이 하만의 계략에서 벗어나 생명을 구하고 대적을 이긴 기쁜 날이다. 모르드개는 황제 다음 가는 높은 지위에 올랐으며, 유대인들에게 큰 존경을 받았다.[66]

참조

[1] 서적 The Torah: Portion by Portion https://books.google[...] Torah Aura Productions
[2] 웹사이트 Where God is Not: The Book of Esther and Song of Songs http://www.js.emory.[...] 2016-04-19
[3] 서적 Esther Doubleday
[4] 서적 Esther, Book of Doubleday
[5] 서적 Encyclopaedia Judaica Macmillan Reference
[6] 서적 Ruth and Esther (Old Testament Guides) Sheffield Academic Press
[7] 서적 Women's Bible Commentary Westminster John Knox
[8] 서적 Between Evidence and Ideology https://books.google[...] Brill
[9] 서적 Esther (Anchor Bible) Doubleday
[10] 서적 The Chronography of Bar Hebraeus Gorgias Press
[11] 웹사이트 Historia Scholastica/Esther – Wikisource https://la.wikisourc[...] 2017-12-17
[12] 웹사이트 Esther – Chapter 8 https://www.chabad.o[...] 2018-10-20
[13] 웹사이트 Esther: Bible {{pipe}} Jewish Women's Archive https://jwa.org/ency[...] 2018-10-20
[14] 문서 Babylonian Talmud: Tractate Baba Bathra
[15] 서적 Introductions to the Books of the Bible, Esther Zondervan
[16] 서적 The Jewish Study Bibl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7] 서적 Eerdmans Dictionary of the Bible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23-06-23
[18] 문서 Additions to Esther Wesley Center for Applied Theology
[19] 간행물 The Old Latin book of Esther: An English translation https://journals.sag[...] 2021-02-05
[20] 문서 The Targums to the Book of Esther Bar-Ilan University 's Parashat Hashavua Study Center
[21] 문서 Cal Targum Texts, Text base and variants The Comprehensive Aramaic Lexicon, Hebrew Union College – Jewish Institute of Religion
[22] 서적 A History of Biblical Interpretation: The Ancient Period Wm. B. Eerdmans Publishing
[23] 간행물 The "Third Targum" on Esther and Ms. Neofiti 1 https://www.jstor.or[...] 2021-03-02
[24] 서적 The Oxford Bible Commenta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3-24
[25] 서적 The Esther Scroll: The Story of the Story https://books.google[...] A&C Black
[26] 서적 Esther in Diaspora: Toward an Alternative Interpretive Framework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27] 백과사전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4-17
[28] 서적 Silk Road Linguistics Harrassowitz Verlag
[29] 문서
[30] 문서
[31] 서적 A Brief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The Hebrew Bible in Its Context Oxford University Press
[32] 서적 Esther Abingdon Press
[33] 웹사이트 Esther 2:6 http://www.biblegate[...]
[34] 서적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Volume II Wm. B. Eerdmans Pub. Co.
[35] 서적 Bible Exposition Commentary: Old Testament History https://archive.org/[...] David C Cook
[36] 논문 The Book of Esther and Ancient Storytelling 2001
[37] 문서 Berlin, 2001: 6.
[38] 논문 Revisiting the Book of Esther: Assessing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Masoretic Version for the Achaemenid History
[39] 성경 Esther 1:19
[40] 논문 Vashti, Amestris and Esther 1,9
[41] 웹사이트 Note on two Greek versions of the book of Esther. http://ccat.sas.upen[...] 2014-03-27
[42] 서적 The Book of Esther in the Light of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923
[43] 웹사이트 Sanhedrin 61b https://www.sefaria.[...] 2021-02-17
[44] 웹사이트 Josephus: Antiquities of the Jews, Book XI https://penelope.uch[...] 2021-02-17
[45] 서적 Text, Theology, and Trowel: New Investigations in the Biblical World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21-02-17
[46] 서적 Handbuch der Orientalistik: Der Nahe und der Mittlere Osten https://books.google[...] Brill 2021-05-13
[47] 서적 Zoroastrian Theology: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Day https://books.google[...] s.l. 1914
[48] 웹사이트 The Name of Jehovah in the Book of Esther. http://www.therain.o[...] Companion Bible 2016-03-03
[49] 문서 These are Est 1:20; 5:4, 13 and 7:7. Additionally, Est 7:5 there is an acrostic referring to the title of God of Exodus 3:14.
[50]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Hebrew Bible): Lecture 24 Alternative Visions: Esther, Ruth, and Jonah http://oyc.yale.edu/[...] Yale University 2016-01-05
[51] 문서 Commentary of the Vilna Gaon to the Book of Esther 1:1
[52] 문서 Chullin 139b
[53] 성경 Deut. 31:18
[54] 웹사이트 HAMAN IN THE BOOK OF ESTHER https://kb.osu.edu/s[...] 1987
[55] 웹사이트 How Could Esther Marry a Non-Jewish King? https://www.chabad.o[...] 2020-10-23
[56] 서적 Veiling Esther, Unveiling Her Story: The Reception of a Biblical Book in Islamic Lands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57] 웹사이트 Esther 3 Barnes' Notes https://biblehub.com[...] 2024
[58] 웹사이트 Esther 9 Barnes' Notes https://biblehub.com[...] 2024
[59] 웹사이트 Esther 9 Gill's Exposition https://biblehub.com[...] 2024
[60] 웹사이트 Esther 9 Jamieson-Fausset-Brown Bible Commentary https://biblehub.com[...] 2024
[61] 웹사이트 Esther 9 Matthew Poole's Commentary https://biblehub.com[...] 2024
[62] 웹사이트 Esther 8 Gill's Exposition https://biblehub.com[...] 2024
[63] 웹사이트 Esther 9 Gill's Exposition https://biblehub.com[...] 2024
[64] 웹사이트 Tractate Megillah 16a https://www.sefaria.[...] 2018-07-15
[65] 뉴스 French bestseller unravels Nazi propagandist's cryptic last words about Purim http://www.timesofis[...] Times of Israel 2015-06-10
[66] 웹사이트 The Holy Bible – Knox Translation: The Book of Esther, Chapter 16 http://catholicbible[...] 2022-12-31
[67] 웹사이트 the NRSV online https://www.biblegat[...] 2022-04-29
[68] 논문 Lysimachus 2019
[69] 웹사이트 Bougaean – Encyclopedia of The Bible – Bible Gateway https://www.biblegat[...] 2021-03-01
[70] 논문 The Book of Esther: Opus non gratum in the Christian Canon https://biblicalstud[...] 1998
[71] 웹사이트 Council of Basel 1431-45 A.D. Council Fathers https://www.papalenc[...] 2024-01-31
[72] 웹사이트 General Council of Trent: Fourth Session https://www.papalenc[...] 2024-01-31
[73] 웹사이트 Lectionary: Scripture Index - Deuterocanonical Books https://catholic-res[...] 2024-08-24
[74] 웹사이트 Articles of Religion https://www.churchof[...] Church of England 2022-12-31
[75] 문서 "The Punishment of Haman"
[76] 서적 Encyclopedia of women in the Renaissance: Italy, France, and England
[77] 웹사이트 I Have A Song – Shannon Wexelberg http://www.booksofth[...] 2007-05-31
[78] 웹사이트 The Internet Antique Shop – The Web's largest antiques & collectibles mall serving collectors since 1995 http://www.earthling[...] 2007-05-31
[79] AV media Esther Pure Flix Entertainment 1999
[80] AV media The Maccabeats – Purim Song https://www.youtube.[...] YouTube 2011-03-08
[81] AV media The Book of Esther Lux Vide 2013-06-11
[82] AV media Megillas Lester Kolrom Multimedia 2014
[83] 웹사이트 First Ever Live Broadcast of a Sight & Sound Theater Show to Air Labor Day Weekend - Live! https://www1.cbn.com[...] 2022-10-13
[84] 웹사이트 Sight & Sound Theatres {{!}} Bible Stories Live on Stage https://www.sight-so[...] 2022-10-13
[85] 웹인용 Where God is Not: The Book of Esther and Song of Songs http://www.js.emory.[...] 2023-12-23
[86] 문서 Commentary of the Vilna Gaon to the Book of Esther 1:1
[87] 문서 Chullin 139b
[88] 문서 신명기 31:18
[89] 서적 The Oxford Bible Commenta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3-24
[90] 서적 The Esther Scroll: The Story of the Story https://books.google[...] A&C Black 1984
[91] 인용 Ahasuerus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12-23
[92] 논문 The Book of Esther and Ancient Storytelling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