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라미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미라미스는 신화적 인물로, 역사적 모델은 기원전 9세기의 아시리아 섭정 샴무라마트로 추정된다. 디오도로스의 기록에 따르면 아스칼론의 여신 데르케토의 딸로 태어나 비둘기에게 길러졌으며, 니누스 왕의 고문 오네스와 결혼 후 왕의 아내가 되어 통치했다. 그녀는 바빌론을 건설하고 아시아와 리비아, 에티오피아를 정복했으며, 인도 원정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세미라미스는 아르메니아 전설, 중세 및 르네상스 시대의 묘사, 문학 및 예술 작품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하며, 현대 문화에서도 호텔, 소행성, 지명 등의 이름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9세기 여자 통치자 - 디도 (카르타고)
디도는 카르타고를 건설한 전설적인 인물로, 오빠 피그말리온에 의해 남편이 살해된 후 아프리카 해안으로 도망쳐 카르타고를 건국했으며,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서 아이네이아스와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가 묘사된다. - 기원전 9세기 여자 통치자 - 아달리야
아달리야는 열왕기 하와 역대기 하에 등장하는 인물로, 유다 왕국의 태후이자 6년간 왕위를 찬탈하여 바알 숭배를 강요하다가 요아스 즉위 후 살해당했다. - 아시리아 - 아시리아력
아시리아력은 아시리아인들이 사용하는 달력으로, 기원전 4750년을 원년으로 하여 12개의 달로 구성되며, 봄의 시작인 니산월 1일에 새해를 시작하고 윤달을 사용한다. - 아시리아 - 마르딘
마르딘은 터키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이자 마르딘 주의 중심지로, 메소포타미아 평원이 내려다보이는 언덕 위에 자리 잡아 다양한 문명의 교차로 역할을 해왔으며, 다양한 문화적 유산을 간직하여 '야외 박물관'이라고도 불린다.
세미라미스 |
---|
2. 역사적 배경
세미라미스의 업적은 신화적인 페르시아, 아르메니아, 그리스의 역사에 속하는 부분이 많지만, 그 전설의 바탕이 된 역사적 인물 Šammu-ramāt|샴무라마트akk는 실제로 존재했다. 그녀는 신아시리아 제국의 여왕이었으며, 남편 샴시-아다드 5세 사후 아들 아다드-니라리 3세의 섭정으로서 제국을 통치했을 가능성이 있다.[10][15] 샴무라마트의 구체적인 생애와 업적에 대해서는 아래 '실존 인물: 샴무라마트'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2. 1. 실존 인물: 샴무라마트

세미라미스의 업적은 신화적인 페르시아, 아르메니아, 그리스 역사에 속하는 부분이 많지만, 역사적 인물인 Šammu-ramāt|샴무라마트akk는 실제로 존재했던 인물이다. 그녀는 남편인 샴시-아다드 5세가 사망한 후, 어린 아들 아다드-니라리 3세를 대신하여 섭정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0]
만약 샴무라마트가 섭정으로서 통치했다면, 그 당시 그녀는 북쪽의 코카서스 산맥에서 남쪽의 아라비아 반도, 동쪽의 서부 이란에서 서쪽의 키프로스까지 이르는 광대한 신아시리아 제국(기원전 911–605년)을 다스렸을 수 있다.[15]
티그리스 강변의 도시 아수르에는 샴무라마트가 자신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오벨리스크가 발견되었으며,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비문이 새겨져 있다. "전 우주의 왕, 아시리아의 왕, 아다드 니라리의 어머니, 아시리아의 왕, 샴시-아다드의 여왕, 살마네세르의 며느리, 세계의 네 지역의 왕인 샴무라마트의 비문."[15]
3. 디오도로스의 전설
기원전 1세기의 그리스 역사가 디오도로스는 그의 저서 《역사총서》에서 세미라미스에 대한 전설을 상세하게 기록했다. 디오도로스에 따르면, 세미라미스는 아스칼론의 물고기 여신 데르케토와 인간 사이에서 태어난 고귀한 혈통의 딸이었다. 그러나 데르케토는 아기를 낳은 후 버렸고, 아기는 비둘기들의 보살핌을 받다가 왕실 양치기 심마스에게 발견되어 길러졌다.
성장한 세미라미스는 아시리아 왕 니누스의 장군인 오네스(또는 메노네스)와 결혼하여 왕의 조언자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박트라 공성전에서 직접 군대를 이끌고 도시 함락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자, 니누스 왕은 그녀의 능력과 미모에 감탄하여 사랑에 빠졌다.[15][16] 니누스 왕은 오네스에게 세미라미스를 넘기라고 강요했고, 결국 오네스는 왕에 대한 두려움과 아내를 향한 열정 사이에서 갈등하다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후 니누스 왕은 세미라미스를 왕비로 맞이했다.[15][17]
디오도로스는 세미라미스와 니누스 왕 사이에 아들 니니아스가 태어났다고 기록했다. 니누스 왕이 아시아 정복 중 화살에 맞아 치명상을 입자, 세미라미스는 군대의 복종을 유지하기 위해 아들 니니아스로 변장하고 통치를 시작했다. 그녀는 42년 동안 아시리아를 다스리며 아시아의 많은 지역을 정복하고 위대한 업적을 남겼다고 전해진다. 그녀는 고대 바빌론을 재건하고 도시를 높은 성벽으로 둘러쌌으며, 엑바타나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 궁전을 건설했다.[18] 또한 리비아와 에티오피아까지 영토를 확장했다.
세미라미스는 인도의 스타브로바테스 왕과 전쟁을 벌이기도 했는데, 이때 가짜 코끼리 부대를 만들어 초기에는 성공을 거두었으나 결국 패배하고 부상을 입었다.[19] 디오도로스는 세미라미스가 이집트의 아문 신전에서 "아들 니니아스가 자신에게 음모를 꾸밀 때 최후를 맞이할 것"이라는 신탁을 받았다고 기록했다. 이후 실제로 아들 니니아스가 반란을 꾀하자, 세미라미스는 그를 처벌하는 대신 왕위를 물려주고 홀연히 사라졌다고 한다. 일설에는 그녀가 비둘기로 변해 하늘로 올라갔다고 전해지며, 이것이 아시리아인들이 비둘기를 신성시하게 된 계기라고도 한다.[23]
디오도로스는 베히스툰 비문을 세미라미스의 업적으로 잘못 기록하기도 했는데, 이 비문은 실제로는 다리우스 1세가 제작한 것이다.[20][21][22] 그의 세미라미스에 대한 기록은 동시대 역사가 크테시아스의 저술에 큰 영향을 받았으나, 모든 내용이 크테시아스의 기록과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23]
3. 1. 탄생과 성장

기원전 1세기 그리스 역사가 디오도로스에 따르면, 세미라미스는 물고기 여신 데르케토와 인간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다.[57] 데르케토는 아슈켈론 출신으로, 어느 날 사랑의 여신 아프로디테[58]의 분노를 사 저주를 받게 되었다. 이 저주로 인해 데르케토는 여신의 젊은 신자 중 한 명과 사랑에 빠졌고, 관계를 맺은 후 수치심에 그를 죽이고 말았다. 이후 시리아에서 낳은 아기(세미라미스)를 바위 사막에 버린 뒤, 아슈켈론 근처의 호수에 몸을 던져 인면어의 여신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사막에 버려진 아기 세미라미스는 비둘기 떼의 보살핌으로 살아남았다. 비둘기들은 아기의 몸을 덮어 따뜻하게 해주고, 근처 목동들에게서 훔친 우유와 치즈를 물어다 주었다. 어느 날, 치즈가 계속 갉아 먹히는 것을 이상하게 여긴 목동들이 주변을 수색하다가 아름다운 아기를 발견했다. 아기는 왕실의 양치기인 신마스(Simmas)에게 보내졌는데, 자식이 없던 신마스는 아기를 자신의 딸처럼 정성껏 돌보며 '세미라미스'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이 이름은 시리아어로 '비둘기'를 의미한다.
세미라미스는 아름답게 성장했고, 아시리아 왕실의 장군이자 시리아 총독이었던 오네스(Onnes, 또는 메노네스)의 눈에 띄어 그와 결혼하게 되었다.[15][16] 두 사람은 수도 니누스에서 함께 살며 휴아파테스(Hyapates)와 휴다스페스(Hydaspes)라는 두 아들을 낳았다. 오네스는 세미라미스의 뛰어난 미모와 지혜에 깊이 빠져, 그녀의 조언에 따라 행동하며 모든 일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3. 2. 여왕 즉위
아시리아의 니누스 왕이 박트리아를 침공했을 때, 수도 박트라 공성전이 길어지자 왕의 장군이었던 오네스는 아내 세미라미스를 그리워하여 진영으로 불렀다. 세미라미스는 이때 남녀 구분이 어렵고 더위를 막는 실용적인 옷을 직접 고안하여 입고 갔는데, 이 옷은 훗날 메디아인과 페르시아인 사이에서 유행했다고 전해진다.박트리아에 도착한 세미라미스는 공성전 상황을 살펴보고, 공격이 평지에만 집중될 뿐 정작 견고한 고지 요새는 방치되고 있음을 간파했다. 그녀는 바위 타기에 능숙한 병사들을 선발하여 직접 이끌고 절벽을 통해 요새의 일부를 점령한 뒤, 아래쪽의 아시리아 군에게 신호를 보냈다. 갑작스러운 공격에 놀란 수비병들은 요새를 버리고 달아났고, 세미라미스의 지략 덕분에 난공불락이던 박트라 요새는 함락되었다.[15][16]
세미라미스의 뛰어난 지략과 용맹함, 그리고 아름다움에 니누스 왕은 깊은 감명을 받고 그녀에게 반했다. 왕은 오네스에게 자신의 딸 소사네스(Sosanê)를 아내로 주는 대신 세미라미스를 자신에게 넘기라고 요구했다. 오네스가 이를 거부하자, 니누스 왕은 그의 눈을 뽑아버리겠다고 위협했다. 왕에 대한 두려움과 아내를 향한 깊은 사랑 사이에서 갈등하던 오네스는 결국 광기에 사로잡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15][17]
오네스가 죽자 니누스 왕은 세미라미스와 결혼했고, 둘 사이에서 아들 니니아스(Ninyas)가 태어났다. 이후 니누스 왕은 아시아 정복 과정에서 화살에 맞아 치명상을 입고 사망했다고 디오도로스는 기록했다. (다른 기록에서는 박트리아 평정 후 사망했다고도 한다.) 남편이 죽자 세미라미스는 왕위를 계승하기 위해 계략을 사용했다. 그녀는 아들 니니아스로 변장하고 아들의 이름으로 명령을 내렸는데, 군대는 새로운 통치자의 명령이라 믿고 복종했다. 이를 통해 세미라미스는 순조롭게 권력을 장악하고 아시리아의 여왕으로 즉위했다. 그녀는 니누스 왕을 궁궐 부지에 묻고, 그 무덤 위에 높이 9스타디온(1.6km), 너비 10스타디온(1.8km)의 거대한 분구를 쌓아 왕의 업적을 기렸다.
3. 3. 통치와 건축
디오도로스에 따르면 니누스 왕이 박트리아 정복 후 화살에 맞아 사망하자, 세미라미스는 군대가 자신의 지시를 따르도록 아들 니니아스로 변장하여 통치를 시작했다고 한다. 그녀의 통치는 42년간 지속되었다.[18]여왕이 된 세미라미스는 니누스 왕의 업적을 뛰어넘겠다는 야심을 품고, 바빌로니아에 도시를 건설하기로 결심하여 전 세계에서 숙련된 장인과 200만 명의 남성을 모았다.[61] 그녀는 유프라테스강을 중심으로 고대 바빌론을 복원하고 도시 전체를 둘러싼 높은 벽돌 벽으로 보호했으며[18], 장대한 성벽과 탑, 다리, 궁전 및 사원을 건설했다. 도시 중앙은 유프라테스 강으로 양분되어 있었는데, 서쪽 왕궁은 삼중의 내벽에 다양한 동물과 니누스 왕과 세미라미스가 사냥하는 모습의 부조가 만들어졌다. 동쪽 왕궁에는 니누스, 세미라미스, 조정 대신 외에 현지에서 베로스[59]라고 불리는 제우스의 청동상이 늘어섰다. 동쪽 왕궁과 서쪽 왕궁 사이는 유프라테스 강을 통과하는 바빌론 강 밑 터널로 연결되었다. 또한,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강을 따라 도시를 건설하고 상인들을 위한 거래소를 설립했다. 게다가 아르메니아 산에서 거석을 잘라 바빌로니아에 오벨리스크를 세웠는데, 이는 디오도로스의 『역사총서』에서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세미라미스는 아시아를 효과적으로 통치했으며 리비아와 에티오피아를 제국에 추가했다.[19] 여러 건축 사업이 끝난 후 메디아 방면으로 출병하여 몇 개의 공원과 비문을 만들게 했다. 샤온(Chauon)시에 오래 머물며 종군한 자들 중에서 외모가 뛰어난 병사를 골라 관계를 맺고 나중에 그들을 죽였다는 기록도 있다[60]. 그 후, 엑바타나(현재 이란 서부 도시)로 향하여 자그로스 산맥에 도착하자 벼랑을 깎아내고 계곡을 메워 통행하기 쉬운 도로를 깔았으며, 도시에 도착하자 궁전을 짓고 치수 공사를 했다.[18] 그녀는 페르시아와 아시아의 모든 영지를 방문하여 도시를 건설하거나 도로를 정비했다. 또한 야영할 때 자신의 숙영지에 작은 언덕을 쌓아 전체 야영지를 조망하는 습관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이러한 결과, 아시아 전체에 그녀의 건축물이 오늘날까지 남아 있으며, 그것들은 "세미라미스의 작품"이라고 불리고 있다[61].
그녀는 인도의 스타브로바테스 왕(수프라티카)과 전쟁을 벌였는데, 장인들을 시켜 검은 피부의 물소를 조작한 가죽을 낙타에 씌워 가짜 코끼리 형태의 군사 더미 군대를 만들었다. 이 계략은 처음에는 성공했지만, 반격에서 부상을 입고 군대가 대부분 전멸하여 생존자들은 인더스 강을 다시 건너 서쪽으로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19]
이후 이집트 방면을 방문하여 리비아의 대부분을 정복한 후, 이집트의 시와 오아시스에 있는 제우스 아몬 신전[62]에서 자신의 최후에 대해 신탁을 구했다[63]. 신탁은 "세미라미스는 남자들 중에서 사라지고 아시아에서 불멸의 영전을 얻을 것이며, 아들 니니아스가 그녀에게 음모를 꾸밀 때가 최후가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 에티오피아에서 여러 일을 마친 후 박트라로 귀환했다.
한편, 디오도로스는 베히스툰 비문을 세미라미스의 작품으로 잘못 돌렸는데, 이는 현재 다리우스 1세가 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0][21][22] 디오도로스의 세미라미스에 대한 글은 크테시아스의 글에 강하게 영향을 받았지만,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23]
3. 4. 인도 원정과 최후
잠시 평화가 지속되자 세미라미스는 전쟁을 통한 영토 확장의 야심을 품게 되었고, 당시 세계 최대의 국가로 알려진 인도 원정을 계획했다. 인도 왕 스타브로베테스는 막강한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었는데, 수많은 병사와 코끼리 부대, 그리고 화려한 무구를 갖추고 있었다. 세미라미스는 인도의 강력함을 인지하고 3년에 걸쳐 전쟁 준비에 착수하여, 영토 내 국가들에게 장비 충실과 조선을 명령했다. 특히, 인도군의 코끼리에 대항하고 적에게 공포심을 주기 위해 극비리에 가짜 코끼리 부대를 만들었다. 이는 소가죽을 꿰매고 안에 짚을 채워 만든 거대한 인형으로, 사람과 낙타가 안에 들어가 움직이게 하여 멀리서 보면 진짜 코끼리처럼 보이도록 고안된 것이었다.[19]준비가 완료되자 세미라미스는 박트리아에 보병 300만 명, 기병 20만 명, 전차 10만 대를 집결시켜 인도로 출진했다. 스타브로베테스 왕 역시 아시리아 측의 전쟁 준비 소식을 듣고 배와 코끼리, 무기를 증강하여 대비했다. 그는 진군하는 세미라미스에게 사자를 보내 편지를 전달했는데, 편지에서 세미라미스를 침략자라고 비난하고 창부라고 모욕하며, 전쟁에서 승리하면 신들 앞에서 십자가형에 처하겠다고 협박했다. 세미라미스는 편지를 읽고 웃으며 "인도인들은 나의 용기를 시험하게 될 것이다"라고 응수하며 신경 쓰지 않았다.[19]
원정군이 인더스 강에 도착하자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초기 전투에서는 아시리아가 승리하여 약 1천 척의 인도 배를 파괴하고 여러 도시를 함락했으며, 10만 명의 포로를 잡았다. 스타브로베테스 왕은 패배를 가장하여 후퇴하는 척했고, 세미라미스는 강을 건너기 위한 다리에 6만 명의 병력을 남기고 가짜 코끼리 부대를 선봉에 내세워 추격했다. 그러나 아시리아 군에서 탈주한 병사들로부터 가짜 코끼리의 비밀을 알게 된 인도군은 전열을 가다듬고 반격을 준비했다.[19]
스타브로베테스 왕은 기병과 전차를 전방에 배치했지만, 가짜 코끼리가 방패 역할을 하고 그 안에 든 낙타 냄새에 인도 군마들이 놀라 혼란에 빠지면서 초반에는 아시리아 군이 우세를 점했다. 하지만 인도 왕이 실제 코끼리 부대를 전면에 내세우고 정예 보병과 함께 직접 전투를 지휘하자 전세는 역전되었다. 코끼리 부대의 맹공에 아시리아 군은 속수무책으로 무너졌다. 스타브로베테스 왕은 세미라미스를 발견하고 팔에 화살을 맞추고 등에 창을 던졌으나, 상처가 깊지 않았고 코끼리 부대의 발이 느렸기 때문에 세미라미스는 간신히 도망칠 수 있었다. 아시리아 군은 부교로 몰려들면서 큰 혼란이 일어나 많은 병사들이 강에 빠져 죽었지만, 세미라미스는 대부분의 병력이 강을 건너자 부교를 파괴하여 추격을 막았다. 이때 스타브로베테스 왕이 "강을 건너지 말라"는 신의 계시를 받고 추격을 멈추면서 세미라미스는 포로 교환 후 박트리아로 귀환할 수 있었다. 이 원정으로 세미라미스는 전체 병력의 3분의 2를 잃는 참패를 겪었다.[19]
얼마 지나지 않아 아들 니니아스가 환관들과 공모하여 어머니인 세미라미스를 몰아내려는 음모를 꾸몄다. 세미라미스는 이 사실을 알게 되었고, 과거 아문 신전에서 들었던 신탁을 떠올렸지만 아들을 처벌하는 대신 왕위를 넘겨주고 그에게 복종하라는 명령을 내린 뒤 홀연히 사라졌다. 디오도로스는 일부 사람들이 세미라미스가 비둘기로 변해 하늘로 날아갔다고 믿으며, 이것이 아시리아인들이 비둘기를 신성시하고 세미라미스를 숭배하게 된 유래라고 주장한다고 기록했다. 세미라미스는 42년간 여왕으로 군림했으며, 62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고 전해진다.[23]
4. 기타 고대 기록
헤로도토스, 스트라본,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를 비롯한 여러 고대 작가들의 기록에도 세미라미스에 대한 언급이 나타난다. 약 80명의 고대 작가들이 세미라미스에 관한 전설을 기록했는데, 여기에는 플루타르코스, 유세비우스, 폴리애누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 오로시우스, 유스티누스 등이 포함된다.[24]
기원전 5세기경의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세미라미스가 유프라테스 강에 홍수를 막기 위한 인공 둑을 건설했으며, 바빌론의 문 중 하나에 그녀의 이름이 붙여졌다고 기록했다. 기원전 1세기 말에서 서기 1세기 초에 활동한 그리스 지리학자이자 역사가인 스트라본은 세미라미스가 "거의 모든 대륙"에 걸쳐 토목 공사를 벌이고 여러 건축물을 세웠다고 언급했다.[27] 당시에는 유프라테스 강 유역이나 이란 지역에 있는 거의 모든 고대 건축물, 심지어 다리우스 1세의 베히스툰 비문까지도 세미라미스의 업적으로 여겨졌다.[28]
서기 4세기 후반의 로마 역사가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는 세미라미스를 어린 소년들을 거세하여 환관으로 만든 최초의 인물이라고 기록했다. "세미라미스는 남성 청소년을 어린 나이에 거세한 최초의 인물인 고대 여왕이다."[29]
1세기 로마의 역사가 발레리우스 막시무스는 세미라미스가 머리를 손질하던 중 바빌론에서 반란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듣자, 머리카락 절반을 묶지 않은 채 즉시 출정하여 도시를 포위하고 진압할 때까지 머리를 마저 묶지 않았다는 일화를 전한다. 이 때문에 바빌론에 세워진 그녀의 조각상은 머리카락이 반만 묶인 모습이었다고 한다.[68]
오로시우스는 니누스 왕 사후 세미라미스가 아들과 함께 40년간 잔혹하게 통치하며 에티오피아를 정복하고 인도를 침공했다고 기록했다. 그는 세미라미스가 아들과의 근친상간이 드러나자, 부모와 자식 간의 결혼을 허용하는 법령을 내렸다고 덧붙였다.
루키아노스는 그의 에세이 『시리아 여신에 대하여』에서 만비지(히에라폴리스)에 있는 사원의 창설자로 세미라미스를 언급하며, 그곳의 전설과 조각상에 대해 기록했다.[67]
5. 아르메니아 전설
아르메니아 전통에서 세미라미스는 부정적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그녀가 아르메니아를 상대로 벌인 군사 작전 때문일 수 있다.[15] 아르메니아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전설 중 하나는 세미라미스와 아르메니아의 왕 아라 더 핸섬에 관한 이야기이다.
전설에 따르면, 세미라미스는 아름다운 아르메니아 왕 아라에게 반해 결혼을 요청했다. 그러나 아라가 이를 거절하자, 세미라미스는 격분하여 아시리아 군대를 이끌고 아르메니아로 진격했다.[32][30] 일부 전설에서는 세미라미스가 흑마술에 능했다고도 묘사된다.
전투는 세미라미스의 승리로 끝났지만, 아라를 산 채로 사로잡으라는 그녀의 명령에도 불구하고 아라는 전사하고 말았다. 아르메니아와의 지속적인 전쟁을 피하기 위해, 마법사로도 알려진 세미라미스는 아라의 시신을 가져와 신들에게 그를 부활시켜 달라고 기도했다.[32][30] 그러나 그녀의 시도는 실패했다. 아르메니아인들이 지도자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위해 진격하려 하자, 세미라미스는 자신의 애인 중 한 명을 아라로 변장시키고는 신들이 아라를 부활시켰다는 거짓 소문을 퍼뜨렸다. 이를 통해 그녀는 아르메니아인들이 전쟁을 계속하지 않도록 설득했다고 한다.[32][30]
이 전설에는 여러 변형이 존재하지만, 대부분 아라는 부활하지 않는다는 결말을 따른다. 하지만 일부 전통에서는 세미라미스의 기도가 성공하여 아라가 실제로 살아 돌아왔다고 전하기도 한다.[32][31] 19세기에는 터키 반 호수 근처의 레즈크라는 마을이 전통적으로 아라가 부활한 장소로 여겨졌다는 기록이 있다.[32]
한편, 아르메니아인 남성에게 흔한 이름인 '아람'은 이 아름다운 왕 아라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전해진다.
6. 중세 및 르네상스 시대의 묘사
기독교가 등장하기 전에는 비교적 긍정적으로 여겨졌으나,[15][33] 중세 시대에 들어서면서 세미라미스는 방탕과 탐욕의 상징으로 여겨지기 시작했다. 그녀가 아들과 근친상간 관계를 맺었으며, 이를 정당화하기 위해 부모와 자식 간의 결혼을 허용하는 법을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퍼졌다. 또한, 연적을 막기 위해 정조대를 발명했다는 설도 있다.[34][35] 이러한 부정적인 묘사는 아우구스투스 시대 폼페이우스 트로구스의 세계사(유스티누스의 요약본으로 전해짐)에서 처음 등장한 것으로 보이며, 5세기 오로시우스가 저술한 《이교도에 반대하는 7권의 역사》를 통해 널리 확산되었다. 이 책은 기독교적 관점에서 이교도를 비판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34][36]
단테는 그의 대표작 《신곡》의 '지옥편' 제5곡에서 세미라미스를 지옥의 두 번째 고리, 즉 음탕한 영혼들이 벌을 받는 곳에 배치하며 "그녀는 니누스의 뒤를 이었고 그의 아내였으며, 지금 술탄이 다스리는 땅을 소유했다"고 묘사했다. 페트라르카의 《사랑의 개선》(제3곡, 76절)에서도 그녀는 비블리스, 미르라와 함께 '사악한 사랑'을 대표하는 세 여성 중 한 명으로 등장한다.
하지만 세미라미스의 군사적, 정치적 업적에 대한 평가는 꾸준히 이어졌다. 조반니 보카치오는 1361년에서 1362년 사이에 저술한 《De Mulieribus Claris》(유명한 여성들에 관하여)에 세미라미스를 포함시켰다. 이 책은 서양 문학사상 최초로 여성의 전기만을 다룬 중요한 저작이다.[37]
중세 후기와 르네상스 시대를 거치면서 세미라미스의 평판은 부분적으로 회복되었다. 크리스틴 드 피잔은 1405년에 완성한 《여인들의 도시의 책》에서 그녀를 긍정적으로 다루었으며, 14세기부터는 여성 9인의 위인 목록에도 종종 포함되었다.[34][35] 발레리우스 막시무스가 전한, 머리 손질 중 바빌론 반란 소식을 듣고 머리를 반만 묶은 채 즉시 출정하여 도시를 진압했다는 일화는 보카치오의 저작에도 인용되어[68] 르네상스 시대에도 그녀의 결단력과 관련된 이야기가 계속 회자되었음을 보여준다.
7. 문학 및 예술 작품에서의 세미라미스
세미라미스는 다양한 문학 및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볼테르는 그녀를 주인공으로 한 비극 《세미라미스》(1748)를 썼고, 이는 조아키노 로시니의 오페라 《세미라미데》의 원작이 되었다. 페드로 칼데론 데 라 바르카는 드라마 《공기의 딸》에서 그녀를 다루었다. 또한 안토니오 비발디,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 도메니코 치마로사, 요제프 미슬리베체크, 자코모 마이에르베어, 로시니를 포함한 수십 명의 작곡가들이 세미라미스를 주제로 오페라를 작곡했다.[38] 1648년 오페라 《인도의 세미라미데》를 시작으로 1910년까지 65편 이상의 오페라가 제작되었다. 아르튀르 옹에게르는 폴 발레리의 1934년 "발레-판토마임" 《세미라미스》의 음악을 작곡했으며, 이 작품은 1992년에 다시 부활했다. 살바토레 비가노 역시 《공기의 딸, 또는 세미라미스의 상승》이라는 작품을 남겼다. 모차르트도 1778년 《세미라미스》를 위한 무대 작품을 구상했으나 분실되었거나 완성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며, 모리스 라벨의 1902년 칸타타 《세미라미스》 역시 분실되었다. 아메데 메로는 피아노 악곡 《세미라미스의 모티프에 의한 화려한 론도》를 작곡했다.
외젠 이오네스코의 희곡 《의자들》에서는 노부인 캐릭터가 세미라미스로 언급된다.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타이터스 앤드러니커스》(II.1)와 《말괄량이 길들이기》(서론.2)에서 세미라미스를 언급했다. 《말괄량이 길들이기》에서는 영주가 "세미라미스 여왕의 쾌락의 침대보다 더 좋은 침대를 준비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하며, 《타이터스 앤드러니커스》에서는 타모라 여왕을 "세미라미스"에 비유하며 요부의 대명사처럼 사용했다. 제프리 초서의 《캔터베리 이야기》 중 "법률가 이야기"에서는 술탄의 어머니를 세미라미스에 비교하며 그녀의 사악함을 암시했다. 단테의 《신곡》 지옥편 제2곡에서도 애욕자의 지옥에 등장한다.
세미라미스는 때때로 여성 통치에 대한 은유로 사용되었다. 잉글랜드의 엘리자베스 1세와 비교될 때는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기도 했지만, 훌륭하게 통치한 여성의 사례로서 정치적 논쟁에서 언급되기도 했다.[33] 강력한 여성 군주였던 덴마크의 마르그레테 1세와 예카테리나 2세는 북방의 세미라미스라는 별칭을 얻었다.[39][40]
세미라미스를 그린 미술 작품으로는 조반니 프란체스코 바르비에리 (구에르치노)의 《바빌론 반란 소식을 듣는 세미라미스》(1624)와 《군대를 소집하는 세미라미스》(1645), 안톤 라파엘 멩스의 《바빌론 반란 소식을 접하는 세미라미스》(1756), 에드가 드가의 《바빌론을 건설하는 세미라미스》(1861), 체사레 사카치의 《세미라미데 여왕》(1905) 등이 있다.
세미라미스에 얽힌 전설(미모와 지혜, 사치와 잔혹함, 바빌론의 공중 정원 건설[52][53], 비둘기에 의한 양육[54], 니누스 왕 독살, 아들 니뉴아스에 의한 피살[55] 또는 비둘기로 변해 승천 등)은 유럽에서 연극이나 오페라의 소재로 즐겨 다루어졌다. 특히 조아키노 로시니 작곡의 오페라 《세미라미데》(1823년 초연)가 유명하다.
- 로시니 오페라 《세미라미데》 줄거리: 바빌로니아의 여왕 세미라미데는 과거 아수르와 공모하여 남편 니노 왕을 독살하고 15년이 흘러 새로운 왕을 지명해야 할 때를 맞는다. 젊은 장수 알사체를 남몰래 사랑하는 여왕은 그를 왕이자 자신의 남편으로 지명한다. 아수르는 알사체에게 복수를 꾀하지만, 알사체는 자신이 세미라미데와 니노 왕의 아들 니냐임을 제사장 오로에에게 듣게 된다. 세미라미데 역시 이 사실을 알고 절망하며 알사체에게 자신을 죽여 아버지의 원수를 갚으라고 한다. 알사체는 어머니와 화해하고 아수르에게 복수하러 가지만, 어두운 지하 묘소에서 실수로 어머니 세미라미데를 찌르게 된다. 아수르는 체포되고, 어머니를 죽인 알사체는 자신의 운명을 한탄하지만, 백성들은 이를 신의 뜻으로 여기고 그를 새로운 왕으로 추대한다.
20세기에는 여러 편의 검과 샌들 영화에 세미라미스가 등장했다. 론다 플레밍은 이탈리아 영화 《바빌론의 여왕》(1954, 원제: Semiramis Esclave et Reine, 한국 개봉명: 풍운의 바빌론)에서, 이브 본느포는 《나는 세미라미스다》(1963)에서 세미라미스를 연기했다.
- 영화 《풍운의 바빌론》(바빌론의 여왕) 줄거리: 아시리아 숲에 사는 소녀 세미라미스는 바빌론 왕 아슈르의 병사들에게 쫓기던 젊은 추장 아마르를 구해주고 사랑에 빠진다. 그러나 세미라미스는 아마르를 숨겨준 죄로 바빌론으로 끌려가 왕의 눈에 띄어 후궁이 된다. 왕궁에 잠입한 아마르와 재회한 세미라미스는 다시 만날 것을 약속하지만, 왕을 모셔야 하는 날과 겹쳐 약속을 지키지 못하고 아마르는 포로가 된다. 세미라미스는 왕에게 정식 왕비가 되는 조건으로 아마르의 석방을 요구하고, 왕은 아마르가 악어와의 결투에서 이기면 허락하겠다고 한다. 아마르는 결투에서 승리하지만 사원 건설 노역에 보내진다. 세미라미스는 몰래 아마르를 만나 사랑을 확인하지만, 바빌론으로 돌아오자 왕이 암살당하고 그 누명을 쓰게 된다. 왕의 전 애첩 리지아의 도움으로 위기에서 벗어난 아마르는 죄수들을 이끌고 세미라미스를 구출하고 간신들을 몰아내 바빌론에 평화를 가져온다.
8. 현대 문화 속 세미라미스
- 카이로에 있는 세미라미스 인터컨티넨탈 호텔은 그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곳은 1921년 카이로 회담이 열렸고, 윈스턴 처칠이 주재했다.[46]
- 세미라미스는 '페이트' 프랜차이즈의 일본 라이트 노벨 및 애니메이션 시리즈 ''Fate/Apocrypha''에서 붉은 암살자(Assassin of Red)로 등장한다. 그녀는 또한 같은 프랜차이즈의 모바일 게임인 ''Fate/Grand Order''에도 등장한다.
- 세미라미스는 이탈리아의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로, 1개의 LP, ''Dedicato a Frazz''(1973)를 제작했다.
- 세미라미스는 일본 비주얼계 록 밴드 Malice Mizer의 노래 "Illuminati"(1998)에서 언급된다.
- 존 마이어스 마이어스의 1949년 소설 ''실버록''에서 세미라미스는 젊은 루시우스를 유혹하려 행렬을 멈추는, 욕망에 찬 지배적인 여왕으로 등장하며, 루시우스는 당나귀로 변신한 상태이다.[47]
- 크리스토퍼 C. 도일의 ''The Secret of the Druids''(2017), ''마하바라타 시크릿'' 3부작의 세 번째 책은 세미라미스를 강력한 인도 왕 스타바르파티의 소원해진 딸로 묘사하며, 그녀는 암리타 (甘露, nectar)를 얻기 위해 아버지의 왕국을 공격한다. 그녀는 아들이 자신을 배반했다는 것을 알고 왕위를 포기하고 아일랜드로 이주하여 여신으로 숭배받는다.
- 콘스탄차 카사티의 저서 "바빌로니아"에서 세미라미스는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이 책은 세미라미스가 보잘것없는 시작에서 아시리아 제국의 위대한 왕좌에 오르기까지의 과정을 다룬다.
'''예술 및 문학 작품'''
- '''그림'''
- * 『바빌론 반란 소식을 접하는 세미라미스』 (Semiramis erhält die Nachricht vom Babylonischen Aufstandde) (1756년): 안톤 라파엘 멩스의 그림.
- * 『바빌론을 건설하는 세미라미스』 (1861년): 에드가 드가의 그림. 오르세 미술관 소장.
- * 『군대를 소집하는 세미라미스』 (Semiramide chiamata alle armiit) (1645년): 이탈리아 화가 구에르치노의 1645년 작품.
- '''음악'''
- * 『세미라미스』를 위한 음악 (1778년): 모차르트의 무대 작품. 그러나 분실되었거나 작곡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 * 칸타타 『세미라미스』 (1902년): 모리스 라벨의 분실된 악곡.
- * 『공기의 딸, 또는 세미라미스의 상승 (Die Tochter der Luft, oder: Die Erhöhung der Semiramisde)』: 살바토레 비가노의 작품.
- * 『세미라미스』 (1933년-1934년): 아르튀르 오네게르의 발레 음악.
- * 『세미라미스의 모티프에 의한 화려한 론도 (Rondo brillant sur un motif de Sémiramis프랑스어)』: 아메데 메로의 피아노 악곡.
- '''문학'''
- * 『세미라미스』 (1748년): 볼테르의 비극. 로시니의 오페라 『세미라미데』의 원작이 되었다.
- * 『신곡』: 단테의 서사시. 지옥편 제2곡 애욕자의 지옥에 등장한다.
- * 『말괄량이 길들이기』: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작품. 서막 제2장에서 영주가 "세미라미스 여왕의 쾌락의 침대보다 더 좋은 침대를 준비하고 있습니다"라고 언급한다.
- * 『타이터스 앤드러니커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작품. 등장인물이 타모라 여왕을 "세미라미스"라고 부르며, 요부의 대명사처럼 사용된다.
9. 세미라미스에서 유래한 명칭
- 소행성 명칭 - 소행성대에 있는 소행성 중 하나인 584 세미라미스
- 화성의 지형 - 세미라미디스 호(Semiramidis Lacus|세미라미디스 라쿠스la)
- 금성의 지형 - 샤미람 톨루스(Shamiram Tholus|샤미람 톨루스la), 세미라무스 코로나(Semiramus Corona|세미라무스 코로나la)
- 프랑스 해군 군함 - 증기 스크류 프리깃 Sémiramis|세미라미스프랑스어. 시모노세키 전쟁에 참가하였다.
- 마르그레테 1세 - 덴마크, 노르웨이, 북유럽 연합 왕국의 실질적인 지배자로, "북유럽의 세미라미스"라고 불렸다.
- 예카테리나 2세 - 러시아 제국의 황후이자 대제로, 볼테르로부터 "러시아의 세미라미스"라고 불렸다.
참조
[1]
서적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Longman
[2]
서적
Travelling Heroes: Greeks and their myths in the epic age of Homer
https://books.google[...]
Penguin UK
2008-09-04
[3]
서적
Fundstellen: gesammelte Schriften zur Ärchäologie und Geschichte Altvorderasiens; ad honorem Hartmut Kühne
Otto Harrassowitz Verlag
[4]
서적
The Historical Review
Longmans, Green, And Co.
[5]
서적
The Lifting of the Veil: Acts 15:20-21
Trafford Publishing
2011-06-07
[6]
서적
History of the Armenians
https://books.google[...]
Caravan Books
2006
[7]
문서
Diodorus Siculus: The Library of History, Book II, Chapters 1-22
[8]
서적
Diodorus Siculus and the world of the late Roman republic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9]
웹사이트
Assyrian Names and Meanings for Boys and Girls
http://www.atour.com[...]
2020-08-24
[10]
간행물
Sammu-ramat (queen of Assyria)
http://www.britannic[...]
2013-01-04
[11]
문서
See [[Strabo]] xvi. I. 2
[12]
문서
Diodorus Siculus ii. 3
[13]
문서
i. 184
[14]
문서
iii. 155
[15]
웹사이트
Sammu-Ramat and Semiramis: The Inspiration and the Myth
https://www.worldhis[...]
2016-04-13
[16]
문서
The Library of History by Diodorus Siculus
[17]
문서
The Library of History by Diodorus Siculus
[18]
문서
Diod. 2.16.
[19]
문서
Diod. 2.16.
[20]
문서
Diodorus Bibliotheke 2.13.2
[21]
서적
Beyond Alexandria : literature and empire in the Seleucid world
2020
[22]
간행물
Universale Weltherrschaft und die Monumente an ihren Grenzen.
http://dx.doi.org/10[...]
Harrassowitz, O
2021-04-06
[23]
문서
Sabine Comploi: Die Darstellung der Semiramis bei Diodorus Siculus. In: [[Robert Rollinger]], Christoph Ulf (eds.): Geschlechterrollen und Frauenbild in der Perspektive antiker Autoren. Studien-Verlag, Innsbruck et al. 2000, {{ISBN|3-7065-1409-5}}, pp. 223–244; Kerstin Droß-Krüpe: Semiramis, de qua innumerabilia narrantur. Rezeption und Verargumentierung der Königin von Babylon von der Antike bis in die opera seria des Barock, Wiesbaden 2021, pp. 26–40.
[24]
문서
for an overview of the sources cf. DROSS-KRÜPE, K. 2020. Semiramis, de qua innumerabilia narrantur. Rezeption und Verargumentierung der Königin von Babylon von der Antike bis in die opera seria des Barock Wiesbaden: Harrassowitz, 588-596.
[25]
문서
[[Lucian]], De dea Syria, 14
[26]
문서
Lucian, De dea Syria, 33, 39
[27]
논문
Ctesias And the Semiramis Legend
[28]
논문
Alexander the Great and the Hanging Gardens of Babylon
[29]
문서
Lib. XIV.
[30]
서적
Studies in the Social Sciences: Armenian Legends and Festivals
https://books.google[...]
The University of Minnesota
[31]
서적
The Kingdom of Armenia: A History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32]
서적
The Heritage of Armenian Literature: From the oral tradition to the Golden Age
https://archive.org/[...]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33]
서적
Orientalism, Assyriology and the Bible
https://books.google[...]
Sheffield Phoenix Press
[34]
서적
Incest and the Medieval Imagination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01-05-24
[35]
서적
Virtue and Venom: Catalogs of Women from Antiquity to the Renaissanc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6]
서적
Seven Books of History Against the Pagans
http://attalus.org/t[...]
[37]
서적
Famous Women
Harvard University Press
2003
[38]
서적
L'Opera di Genova. Stagione Lirica 1980–81. Teatro Margherita
E.A. Teatro Comunale dell'Opera di Genova
1980
[39]
서적
Russia under Western Eyes: From the Bronze Horseman to the Lenin Mausoleum.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06-30
[40]
서적
The History of Modern Europe.
A. Small
1822
[41]
웹사이트
The Two Babylons
http://philologos.or[...]
Philologos.org
2013-01-04
[42]
서적
Can a 'History of Israel' Be Written?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1997
[43]
웹사이트
Man in Black ©2003 by Jack T. Chick LLC
http://www.chick.com[...]
Chick.com
2014-08-11
[44]
서적
This Is the Sun?: Zeitgeist and Religion (Volume I: Comparative Religion)
https://books.google[...]
Lulu.com
2012
[45]
간행물
"'THE TWO BABYLONS': A Case Study in Poor Methodology"
2000
[46]
서적
Sixty Minutes with Winston Churchill
1964
[47]
웹사이트
Tracking the Wild Allusions in Silverlock: The Way of Choice
http://www.anitra.ne[...]
2011-12-16
[48]
서적
『ブリタニカ百科事典』
1911
[49]
문서
ロッシーニ協会演奏会 歌劇《セミラーミデ》抜粋
[50]
문서
『ディオドロス「神代地誌」』訳注
[51]
서적
『ヘロドトス 歴史 上』
[52]
문서
日本ロッシーニ協会 オペラ《セミラーミデ》作品解説(水谷彰良著)
[53]
문서
『歴史叢書』の中では彼女より後世のシリア王によるものとはっきり書かれている
[54]
문서
ロッシーニ協会演奏会 歌劇《セミラーミデ》抜粋
[55]
문서
エウセビオス『年代記』が引用する歴史家のセファリオンの書によると、在位42年で息子のニニュアスに殺されたとある。
[56]
문서
いわゆる九偉人に対して、その女性版となる「九人の女傑」は時代により異なる。伊藤氏の「髪を梳く女傑」によると、騎士道的寓意文学作品『遍歴の騎士』ではデーイピュレー、シノーペー、ヒッポリュテ、メナリッペ、セミラミス、ランペト、トミュリス、テウタ、ペンテシレイアの9人。なおマンタ城のサーラ・バロナーレの壁面ではメナリッペの代わりに「エティオペ」が入るが、セミラミスの逸話に出る「エチオピア」の誤読から来たものといわれる。
[57]
문서
『ディオドロス「神代地誌」』訳注
[58]
서적
『ヘロドトス 歴史 上』
[59]
문서
彼女は地位を奪われることを恐れて正式な結婚をしなかった。
[60]
문서
『ディオドロス「神代地誌」』訳注
[61]
서적
『ヘロドトス 歴史 上』
[62]
문서
後の紀元前332年、アレクサンドロス3世も同様に神託を得るために訪れている。
[63]
문서
ジェームズ・フレイザー『金枝篇』によるとバビロニアにはサカエア(Sacaea)という新年の祭典があり、5日の間、主と従者、信徒と祭司、王と死刑囚などの立場を入れ替えるという風習があった。
[64]
서적
『ヘロドトス 歴史 上』
1971-12-16
[65]
서적
『ヘロドトス 歴史 上』
[66]
문서
데우칼리온説やアテス説、デュオニソス説などがあり、それぞれ祭られる女神もユーノー, 레아, 헤라など異なっている。また、ルキアノスの時代には最初の寺院は壊れ、現在残っているのはマケドニア王・デメトリオス1世 (マケドニア王)의 딸 스트라토니케によるものと伝わる。
[67]
문서
伊藤p35,p39-40
[68]
문서
日本ロッシーニ協会 オペラ《セミラーミデ》作品解説(水谷彰良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