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베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베선은 서일본 여객철도에서 관할하는 일본 야마구치현의 철도 노선으로, 신야마구치역과 우베역을 잇는 33.2km 구간이다. 1914년 우베 경편 철도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의 노선 변경과 국유화를 거쳤으며, 현재는 전 구간이 단선으로 운행된다. 2023년부터 모든 열차가 운전사 1인으로 운행되며, 신야마구치역, 우베신카와역, 우베역을 포함한 18개의 역이 있다. 과거에는 쾌속 열차와 화물 열차도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전동차만 사용하며, 버스 노선과의 경쟁으로 BRT 전환이 검토되었으나 동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마구치현의 철도 - 산요 신칸센
    산요 신칸센은 신오사카역에서 하카타역까지를 잇는 JR 서일본의 신칸센 노선으로, 1972년 개통되어 1987년 JR 서일본에 계승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차량과 여러 등급의 열차가 운행된다.
  • 야마구치현의 철도 - 오노다선
    오노다선은 서일본 여객철도에서 관할하는 철도 노선으로, 이노역과 오노다역 사이, 스즈메다역과 나가토모토야마역 사이 구간을 운행하며, 1067mm 궤간에 전 구간 단선으로 전철화되어 105계 전동차 등을 사용하고 우베선과 직결 운행한다.
  • 191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원선
    경원선은 일제강점기에 개통된 서울과 원산을 잇는 철도 간선으로, 광복 후 남북 분단으로 인해 현재는 남한 구간만 운행 중이며, 남북 관계 개선에 따라 북한 구간 운행 재개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
  • 191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호남선
    호남선은 대전에서 목포를 잇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 쌀 수송을 위해 건설되어 복선화 및 전철화 사업을 거쳐 KTX 운행과 호남고속선 개통으로 운행 시간이 단축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서대전~논산 구간 직선화 사업이 추진 중이다.
  • 주고쿠 지방의 철도 노선 - 산요 신칸센
    산요 신칸센은 신오사카역에서 하카타역까지를 잇는 JR 서일본의 신칸센 노선으로, 1972년 개통되어 1987년 JR 서일본에 계승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차량과 여러 등급의 열차가 운행된다.
  • 주고쿠 지방의 철도 노선 - 우노선
    우노선은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역에서 우노역을 잇는 총 연장 32.8km의 서일본 여객철도 노선으로, 시코쿠와 혼슈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우노미나토선"이라는 브랜드명으로 특급, 쾌속, 보통, 관광 열차가 운행된다.
우베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JR 서일본 105계 전동차, 2010년 1월
JR 서일본 105계 EMU, 2010년 1월
노선 종류간선 철도
노선 시스템중량 철도
노선 위치야마구치현
기점신야마구치역
종점우베역
역 수18
노선 길이33.2 km
궤간1,067 mm
전철화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최고 속도85 km/h
사용 차량105계
쿠모하 123형
운영 정보
소유자서일본 여객철도
운영자서일본 여객철도
역사
개업1914년 1월 9일
전체 개통1925년 3월 26일
노선 약칭
전보 약호우헤세
노선 색상
노선 색상'#a52f5d'

2. 노선 정보

서일본 여객철도(제1종 철도 사업자)가 관할하며, 신야마구치역 - 우베역 구간의 노선 거리는 33.2km이다.[6] 일본 화물철도 관할의 우베미사키역 - 우베역 구간은 9.5km이다. 궤간은 1,067mm이고, 역 수는 총 18개이다. 우베 선 소속 역으로 한정하면, 산요 본선에 속하는 신야마구치 역과 우베 역을 제외한 16개이다.[6] 전 구간이 단선이며, 직류 1500V로 전철화되어 있다. 폐색 방식은 자동 폐색식(특수)이고, 최고 속도는 85km/h이다. 운전 사령소는 중국 종합 사령소 히로시마 사령소이다.

3. 역사

1914년(다이쇼 3년)에 우베 경편 철도(우베 철도로 개칭)에 의해 우베역 - 우베신카와역 구간이 개업[18]하였고, 1925년(다이쇼 14년)에 우베역 - 우베신카와역 - 오고리역(현재의 신야마구치역) 간의 전 노선이 개통되었다. 우베 철도는 석탄 등 중요 물자 수송 노선으로서 1943년(쇼와 18년)에 국유화되어, 우베역 - 우베신카와역 - 오고리역 간이 우베 동선이 되었다. 그 후, 우베선으로 개칭. 우베역 - 이와하나역 간의 경로는 후지마게 경유에서 이노 경유로 변경되었다.

한편, 우베신카와역은 1943년부터 1964년까지 우베역을, 그동안 산요 본선의 우베역은 니시우베역을 칭하고 있었다.

=== 우베 경편 철도 · 우베 철도 시대 (1914년 ~ 1943년) ===

우베 경편 철도는 1914년 1월 9일 우베 ~ 우베신카와 구간(6.60km)을 개통했으며[18], 개작, 이와하나, 후지야마, 우베신카와(초대) 역이 개업했다[20]. 1916년 12월 20일에는 죠다 정류장이 개업했다.

1921년 12월 20일, 우베 철도로 사명을 변경했다.[21] 1923년 8월 1일에는 죠다 ~ 우베신카와(초대) 구간(1.45km)이 폐지되고[22], 죠다 ~ 우베신카와(2대) ~ 도코나미 구간(9.17km)이 연장 개업하면서 히가시신카와, 우베미사키, 구사에, 도코나미 역이 개업했다. 1924년 8월 17일에는 도코나미 ~ 모토아지스 구간(8.69km)이 연장 개업하면서 마루오, 기와, 모토아지스 역이 개업했다.

1925년 3월 26일, 모토아지스 ~ 오고리 구간(10.14km)이 연장 개업하여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이와쿠라, 스오사야마, 후카미조, 에자키, 가미카와 역이 개업했다. 같은 해 6월 1일에는 도키와 정류장이 개업했다. 1926년 8월 15일에는 개작 정류장이 폐지되었다.

1928년 2월 25일, 에자키 정류장이 스오에자키 정류장으로 개칭되었다. 같은 해 9월 4일에는 도코나미 역에서 열차 정면 충돌 사고가 발생하여 9명이 부상당했다.[28] 1929년 10월 29일, 우베 ~ 오고리 구간이 직류 1500V로 전철화되었다. 같은 해 11월 29일에는 코토지, 시라도 정류장이 개업했다. 1930년 4월 1일, 영업 거리 단위가 미터로 변경되었다(33.2km).

1931년 7월 21일, 지선 우베신카와 ~ 오키노야마 구 광산(후의 우베코) 구간(1.2km)이 개업했으며, 중간에 카미마치 정류장이 개업했다. 1933년 5월 22일, 후지야마 역이 0.5km 우베신카와 방면으로 이전되었다. 1937년 10월 1일에는 카미마치 정류장이 폐지되었다. 1938년 5월 1일에는 쵸세이 탄광 정류장이 개업했다.

1941년 6월 1일, 죠다 정류장이 폐지되었다. 같은 해 6월 10일, 이와하나 정류장이 이와하나 역으로 변경되었다. 같은 해 12월 1일, 우베 전기 철도와의 합병으로 해산하고, 새롭게 우베 철도로 설립되었다.[23] 우베 ~ 오고리 구간이 본선이 되었다.

=== 우베 전기 철도 시대 (1929년 ~ 1941년) ===

1929년 5월 16일, 오키노야마 탄광(현재의 UBE)의 자회사인 '''우베 전기 철도'''에 의해 오키노야마 구 광업소역 - 이노역 - 신오키야마역 구간이 개업하였다. 이후 우베선에 해당하는 구간에 오키노야마 구 광업소역(후의 우베항역), 니시오키야마 정류장, 스케다 정류장(앞서 언급한 우베 철도의 것과는 다른 위치), 이노 정류장이 개업하였다.

1930년 4월 29일에는 지선 오키노야마 구 광업소역 - 오키노야마 신 광업소역 구간이 개업하였으며, 미나토마치 정류장, 발전소 앞 정류장, 오키노야마 신 광업소역이 개업하였다.

1938년 11월 6일에는 하나가와치 정류장이 폐지되었고, 이노 정류장이 이노역으로 변경되었다.

1941년 12월 1일, 우베 철도와의 합병에 따라 우베 전기 철도는 해산되었다.

=== 국유화 이후 (1943년 ~ 현재) ===

우베 철도 전 노선은 1943년 5월 1일에 국유화되었다.[25] 국유화 당시 우베선은 니시우베역(현재의 우베역) - 우베역(현재의 우베신카와역) - 오고리역 구간의 '''우베동선'''과, 우베항역 - 우베역 구간 및 우베항역 - 이노역 - 신오키야마역 구간, 우베항역 - 오키노야마신광역 구간 등의 '''우베서선'''으로 나뉘었다.[26] 이와 함께 우베신카와역이 우베역으로, 후지야마역이 후지마역으로, 우베역이 니시우베역으로, 오키노야마구광역이 우베항역으로 개칭되었고,[25] 스오에자키, 이와쿠라, 시라토, 초세이탄광 정류장이 역으로 변경되면서 폐지되었다.

1948년 2월 1일, 우베동선은 '''우베선'''으로, 우베서선은 오노다선으로 개칭되었다. 1952년 4월 20일, 우베선 이와하나역 - 후지마역 - 우베역 (현재의 우베신카와역) 간 (3.3 km)이 폐지되고, 이노역 - 우베역 간의 전철화 신선 (1.8 km)이 개업하면서 오고리역 - 니시우베역 간이 현재의 선형으로 완전히 개통되었다.[27] 또한 오노다선이노역 - 우베항역 - 오키노야마신광역 간 (4.0 km) 여객 영업이 폐지되고 우베선 화물 지선으로 편입되었으며, 해당 구간의 스케다역, 니시오키야마역, 미나토마치역, 발전소전역이 폐지되었다.

1983년 3월 8일에는 열차 집중 제어 장치(CTC)가 도입되었고,[33] 1990년 6월 1일에는 우베신카와 철도부가 발족하여 우베선 전 노선(오고리역, 우베역 구내 제외)을 관할하게 되었다.[35] 같은 날 우베신카와역 - 이노역 간에 운전사 단독 운전이 시작되었고,[36][37] 1992년 3월 14일에는 전 노선에서 운전사 단독 운전이 시행되었다.[36][38]

1999년 7월 1일, 우베역 - 우베코역 간 화물 열차 운행이 중단되면서 이노역 - 우베코역 간 화물 지선이 사실상 휴지 상태가 되었다.[39] 2003년 10월 1일, 오고리역이 신야마구치역으로 개칭되었다.[40] 2006년 5월 1일에는 화물 지선 이노역 - 우베코역 간 (2.2 km)이 완전히 폐지되었다.

2014년 4월 1일, 일본화물철도의 제2종 철도 사업 (우베자키역 - 우베역 간 9.5 km)이 정식으로 폐지되었다.[42] 2023년 3월 18일, 모든 열차가 원맨 운전으로 전환되었다.

=== 개선 사업 (국유화 이후) ===

전시 매수에 의한 국유화 이전부터 전철화되어 있던 노선 중 하나였지만, 매수 이전에는 중소 사철 3사(우베 철도・우베 전기 철도・오노다 철도)가 각 회사 독자적으로 수송을 실시하고 있었기 때문에 계통상 연락이 없고 설비도 열악하여, 일괄 매수한 국철이 통합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전후 개량 정비가 진행되었다[19]

여객 수송 면에서는 오노다시 방면과 우베시를 잇는 구 우베 전기 철도의 노선이 우베코 역을 터미널로 삼고 있었기 때문에, 구 우베 철도의 터미널인 우베역(당시, 후의 우베신카와역)과 도보 연락을 해야 했고, 오노다시내에서도 신오키야마역과 오노다항역 간의 연락이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19]。 화물선은 당시 최대의 수송량이 있었던 미네선 방면과의 연락에 있어서, 우베역에서 우베코역에 이르는 연락선(통칭 "우에마치선")을 경유하여 우베 중앙 긴텐가이 등의 번화가를 횡단해야 했고, 연선의 물자 수송에 불편이 생겼다[19]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1948년 3월에 국철은 "우베, 오노다선 긴급 정비 3개년 계획"을 수립, 오노다선 신오키야마역 - 오노다항역 간, 우베선 우베역(후의 우베신카와) - 이노역 간, 이노역 - 이와하나역 간에 각각 단락선을 신설한 외, 오노다선을 전철화・승압하여, 1952년 4월에 우베선오노다선의 직통 운전을 실현, 화물 수송상으로도 우회 해소 등 수송 계통이 합리화되었다[19]。 이들 단락선의 완성과 동시에, 이와하나역 - 우베역(후의 우베신카와) 간 3.3 km, 니시오키야마역 - 이노역 간 1.7 km, 미나토마치역 - 오키야마 신광역 간 1.3 km의 전차 운수를 폐지했다[19]

또한, 역 설비 등의 수송력 증강 공사도 이루어져, 유효 길이가 100 m에서 130 m 정도였던 후카미조역, 히가시신카와역, 우베미사키역의 각 역에서 180 m로 연장한 외, 우베코역의 확장, 우베역(후의 우베신카와) 역사의 개축 등을 실시했다[19]。 이 외에, 선로 궤조가 전쟁 피해로 인해 약화되어 입선 가능한 기관차가 제한되는 등의 폐해가 발생했기 때문에, 도상・침목의 강화, 교량의 보강, 분기기 개량, 배수 개량, 일부 산요 본선과 동일한 37 kg 궤조에 의한 선로 강화가 이루어졌다[19]

일련의 개량 사업에 이어, 수송 압박이 예상되었던 우베역(후의 우베신카와) - 이와하나역 간의 복선화, 산요 본선 급행 열차의 우베선 경유화, 우베미사키역 - 우베코역 간의 해안 화물선 신설에 의한 화객 분리, 우베미사키역 - 우베역(후의 우베신카와) - 이노역 간의 고가화가 계획되었지만[19] 실현되지 않았다. 또한 상기 우베역(후의 우베신카와) 역사의 개축은 이 고가화 계획을 상정하여 반 고가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19]

3. 1. 우베 경편 철도 · 우베 철도 시대 (1914년 ~ 1943년)

우베 경편 철도는 1914년 1월 9일 우베 ~ 우베신카와 구간(4.1M≒6.60km)을 개통했으며[18], 개작, 이와하나, 후지야마, 우베신카와(초대) 역이 개업했다[20]. 1916년 12월 20일에는 죠다 정류장이 개업했다.

1921년 12월 20일, 우베 철도로 사명을 변경했다.[21] 1923년 8월 1일에는 죠다 ~ 우베신카와(초대) 구간(0.9M≒1.45km)이 폐지되고[22], 죠다 ~ 우베신카와(2대) ~ 도코나미 구간(5.7M≒9.17km)이 연장 개업하면서 히가시신카와, 우베미사키, 구사에, 도코나미 역이 개업했다. 1924년 8월 17일에는 도코나미 ~ 모토아지스 구간(5.4M≒8.69km)이 연장 개업하면서 마루오, 기와, 모토아지스 역이 개업했다.

1925년 3월 26일, 모토아지스 ~ 오고리 구간(6.3M≒10.14km)이 연장 개업하여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이와쿠라, 스오사야마, 후카미조, 에자키, 가미카와 역이 개업했다. 같은 해 6월 1일에는 도키와 정류장이 개업했다. 1926년 8월 15일에는 개작 정류장이 폐지되었다.

1928년 2월 25일, 에자키 정류장이 스오에자키 정류장으로 개칭되었다. 같은 해 9월 4일에는 도코나미 역에서 열차 정면 충돌 사고가 발생하여 9명이 부상당했다.[28] 1929년 10월 29일, 우베 ~ 오고리 구간이 직류 1500V로 전철화되었다. 같은 해 11월 29일에는 코토지, 시라도 정류장이 개업했다. 1930년 4월 1일, 영업 거리 단위가 마일에서 미터로 변경되었다(20.6M→33.2km).

1931년 7월 21일, 지선 우베신카와 ~ 오키노야마 구 광산(후의 우베코) 구간(1.2km)이 개업했으며, 중간에 카미마치 정류장이 개업했다. 1933년 5월 22일, 후지야마 역이 0.5km 우베신카와 방면으로 이전되었다. 1937년 10월 1일에는 카미마치 정류장이 폐지되었다. 1938년 5월 1일에는 쵸세이 탄광 정류장이 개업했다.

1941년 6월 1일, 죠다 정류장이 폐지되었다. 같은 해 6월 10일, 이와하나 정류장이 이와하나 역으로 변경되었다. 같은 해 12월 1일, 우베 전기 철도와의 합병으로 해산하고, 새롭게 우베 철도로 설립되었다.[23] 우베 ~ 오고리 구간이 본선이 되었다.

1943년 국유화되었다. 우베코행 여객 서비스는 1952년에 중단되었고, 두 지선은 1961년에 폐쇄되었다. CTC 신호 시스템은 1983년에 도입되었고, 화물 서비스는 1999년에 중단되었다. 1990년 6월 1일, 105계 및 123계 전동차를 사용하여 우베신카와이노 구간에서 운전사 단독 운전이 시작되었다.[1] 1992년 3월 14일에는 노선 전체가 운전사 단독 운전으로 전환되었다.[1]

3. 2. 우베 전기 철도 시대 (1929년 ~ 1941년)

1929년 5월 16일, 오키노야마 탄광(현재의 UBE)의 자회사인 '''우베 전기 철도'''에 의해 오키노야마 구 광업소역 - 이노역 - 신오키야마역 구간이 개업하였다. 이후 우베선에 해당하는 구간에 오키노야마 구 광업소역(후의 우베항역), 니시오키야마 정류장, 스케다 정류장(앞서 언급한 우베 철도의 것과는 다른 위치), 이노 정류장이 개업하였다.

1930년 4월 29일에는 지선 오키노야마 구 광업소역 - 오키노야마 신 광업소역 구간이 개업하였으며, 미나토마치 정류장, 발전소 앞 정류장, 오키노야마 신 광업소역이 개업하였다.

1938년 11월 6일에는 하나가와치 정류장이 폐지되었고, 이노 정류장이 이노역으로 변경되었다.

1941년 12월 1일, 우베 철도와의 합병에 따라 우베 전기 철도는 해산되었다.

3. 3. 국유화 이후 (1943년 ~ 현재)

우베 철도 전 노선은 1943년 5월 1일에 국유화되었다.[25] 국유화 당시 우베선은 니시우베역(현재의 우베역) - 우베역(현재의 우베신카와역) - 오고리역 구간의 '''우베동선'''과, 우베항역 - 우베역 구간 및 우베항역 - 이노역 - 신오키야마역 구간, 우베항역 - 오키노야마신광역 구간 등의 '''우베서선'''으로 나뉘었다.[26] 이와 함께 우베신카와역이 우베역으로, 후지야마역이 후지마역으로, 우베역이 니시우베역으로, 오키노야마구광역이 우베항역으로 개칭되었고,[25] 스오에자키, 이와쿠라, 시라토, 초세이탄광 정류장이 역으로 변경되면서 폐지되었다.

1948년 2월 1일, 우베동선은 '''우베선'''으로, 우베서선은 오노다선으로 개칭되었다. 1952년 4월 20일, 우베선 이와하나역 - 후지마역 - 우베역 (현재의 우베신카와역) 간 (3.3 km)이 폐지되고, 이노역 - 우베역 간의 전철화 신선 (1.8 km)이 개업하면서 오고리역 - 니시우베역 간이 현재의 선형으로 완전히 개통되었다.[27] 또한 오노다선의 이노역 - 우베항역 - 오키노야마신광역 간 (4.0 km) 여객 영업이 폐지되고 우베선 화물 지선으로 편입되었으며, 해당 구간의 스케다역, 니시오키야마역, 미나토마치역, 발전소전역이 폐지되었다.

1983년 3월 8일에는 열차 집중 제어 장치(CTC)가 도입되었고,[33] 1990년 6월 1일에는 우베신카와 철도부가 발족하여 우베선 전 노선(오고리역, 우베역 구내 제외)을 관할하게 되었다.[35] 같은 날 우베신카와역 - 이노역 간에 운전사 단독 운전이 시작되었고,[36][37] 1992년 3월 14일에는 전 노선에서 운전사 단독 운전이 시행되었다.[36][38]

1999년 7월 1일, 우베역 - 우베코역 간 화물 열차 운행이 중단되면서 이노역 - 우베코역 간 화물 지선이 사실상 휴지 상태가 되었다.[39] 2003년 10월 1일, 오고리역이 신야마구치역으로 개칭되었다.[40] 2006년 5월 1일에는 화물 지선 이노역 - 우베코역 간 (2.2 km)이 완전히 폐지되었다.

2014년 4월 1일, 일본화물철도의 제2종 철도 사업 (우베자키역 - 우베역 간 9.5 km)이 정식으로 폐지되었다.[42] 2023년 3월 18일, 모든 열차가 원맨 운전으로 전환되었다.

3. 4. 개선 사업 (국유화 이후)

전시 매수에 의한 국유화 이전부터 전철화되어 있던 노선 중 하나였지만, 매수 이전에는 중소 사철 3사(우베 철도・우베 전기 철도・오노다 철도)가 각 회사 독자적으로 수송을 실시하고 있었기 때문에 계통상 연락이 없고 설비도 열악하여, 일괄 매수한 국철이 통합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전후 개량 정비가 진행되었다[19]

여객 수송 면에서는 오노다시 방면과 우베시를 잇는 구 우베 전기 철도의 노선이 우베코 역을 터미널로 삼고 있었기 때문에, 구 우베 철도의 터미널인 우베역(당시, 후의 우베신카와역)과 도보 연락을 해야 했고, 오노다 시내에서도 신오키야마역과 오노다항역 간의 연락이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19]。 화물선은 당시 최대의 수송량이 있었던 미네선 방면과의 연락에 있어서, 우베역에서 우베코역에 이르는 연락선(통칭 "우에마치선")을 경유하여 우베 중앙 긴텐가이 등의 번화가를 횡단해야 했고, 연선의 물자 수송에 불편이 생겼다[19]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1948년 3월에 국철은 "우베, 오노다선 긴급 정비 3개년 계획"을 수립, 오노다선 신오키야마역 - 오노다항역 간, 우베선 우베역(후의 우베신카와) - 이노역 간, 이노역 - 이와하나역 간에 각각 단락선을 신설한 외, 오노다선을 전철화・승압하여, 1952년 4월에 우베선과 오노다선의 직통 운전을 실현, 화물 수송상으로도 우회 해소 등 수송 계통이 합리화되었다[19]。 이들 단락선의 완성과 동시에, 이와하나역 - 우베역(후의 우베신카와역) 간 3.3 km, 니시오키야마역 - 이노역 간 1.7 km, 미나토마치역 - 오키야마 신광역 간 1.3 km의 전차 운수를 폐지했다[19]

또한, 역 설비 등의 수송력 증강 공사도 이루어져, 유효 길이가 100 m에서 130 m 정도였던 후카미조역, 히가시신카와역, 우베미사키역의 각 역에서 180 m로 연장한 외, 우베코역의 확장, 우베역(후의 우베신카와역) 역사의 개축 등을 실시했다[19]。 이 외에, 선로 궤조가 전쟁 피해로 인해 약화되어 입선 가능한 기관차가 제한되는 등의 폐해가 발생했기 때문에, 도상・침목의 강화, 교량의 보강, 분기기 개량, 배수 개량, 일부 산요 본선과 동일한 37 kg 궤조에 의한 선로 강화가 이루어졌다[19]

일련의 개량 사업에 이어, 수송 압박이 예상되었던 우베역(후의 우베신카와역) - 이와하나역 간의 복선화, 산요 본선 급행 열차의 우베선 경유화, 우베미사키역 - 우베코역 간의 해안 화물선 신설에 의한 화객 분리, 우베미사키역 - 우베역(후의 우베신카와역) - 이노역 간의 고가화가 계획되었지만[19] 실현되지 않았다. 또한 상기 우베역(후의 우베신카와역) 역사의 개축은 이 고가화 계획을 상정하여 반 고가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19]

4. 운행 형태

2023년 3월 18일 개정 시점의 운행 형태는 다음과 같다.[44]

모든 열차가 종일 원맨 운전(도시형 원맨)을 실시하고 있으며[45], 신야마구치역 - 우베역 구간(일부는 우베신카와역에서 환승) 외에도, 우베미사키역·우베신카와역 - 우베역 구간 운행 열차도 있으며, 대략 1시간에서 1시간 30분에 1대 운행되고 있다. 또한, 아침 저녁의 일부 열차는 우베역에서 산요 본선으로 직통하여 시모노세키역 발착으로 운행되고 있다. 또한, 우베신카와역 - 이나오역 간에는 오노다선 열차가 운행되고 있으며, 이 중 아침 상행 1대가 우베신카와역을 넘어 신야마구치역까지 직통하고 있다.

2020년(레이와 2년) 3월 14일의 다이어 개정에서는, 아침의 휴일 운휴인 우베미사키역·우베신카와역 - 우베역 간의 열차 2왕복을 매일 운전으로 변경했다.

2002년(헤이세이 14년) 3월 23일의 다이어 개정까지는 23시대까지 열차가 운행되었지만, 이후에는 21·22시대에 막차가 되었다. 또한, 국철 시대에는 날짜를 넘는 막차가 설정되어 있었다. 2021년(레이와 3년) 3월 13일의 다이어 개정에서는, 신야마구치 발 우베신카와 행 최종 열차가, 22시대에서 21시대로 앞당겨져, 신야마구치역에 도착하는 도쿄 방면으로부터의 최종 "노조미"와 연결되지 않게 되었다.

과거에는 대략 월 1회 정도의 비율로, 선로 보수 점검을 위해 낮에 열차를 운휴시키는 경우가 있었지만, 현재는 행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운휴 시간대는 3시간 30분 - 4시간 정도 열차가 운행되지 않았으며, 버스 대행도 없었다.

산요 본선 우베역 - 아사역 간에 우베선에서 미네선으로 직통하는 화물 열차를 위한 단선 화물선이 있던 시대는, 우베선에서 산요 본선 아사·시모노세키 방면이나 미네선으로 직통하는 여객 열차도 이 화물선을 주행하고 있었다.

4. 1. 과거 운행 열차

2003년 10월 1일부터 2009년 3월 13일까지 산요 신칸센에 운행 중이던 노조미와 직결된 쾌속 열차 "노조미 릴레이 호"가 운행되었다.[48] 주로 신야마구치역우베신카와역까지 운행되고 있었으나, 일부 열차는 우베역이 기점이었다. 그러나 우베 역에서 산요 본선을 이용하는 것이 오히려 빨랐다. 당초에는 신야마구치 역과 우베신카와 역 구간에서는 아지스역도코나미역에 정차하고 있었으나,[48] 2008년 3월 15일에 시행된 개정으로 우베미사키역, 히가시신카와역, 고토지역에 정차하도록 변경되었다. 2009년 3월 14일에 시행된 재 개정으로 왕복 5회 중 왕복 3회로 변경되거나 폐지되었다.[49]

화물 열차는 우베 역 - 우베신카와 역 구간에서 미네선시게야스역과 우베미사키 역을 연결하는 전용화물 열차가 하루에 왕복 2회로 운행 중이었으나 2009년 10월 18일 폐지되었다. 견인 기관차는 DE10형 디젤 기관차이며, 화물열차는 호키 9500형 편성이었다.

2024년 시점에서 우베선에 정기 쾌속 열차는 설정되어 있지 않지만, 과거에는 다음과 같은 열차가 운행되었다.

  • 쾌속 "류오": 1959년 2월 15일부터 1961년 4월 30일까지, 오노다역 - 오고리역 (현재의 신야마구치 역) 간을 오노다선·우베선을 경유하여 연결하는 쾌속 열차로 운행되었다.[46]
  • 쾌속 "토키와": 1959년 2월 15일부터 1965년 9월 30일까지, 우베신카와 역 - 오고리 역 (현재의 신야마구치 역) 간을 잇는 쾌속 열차로 운행되었다.[46][47] 양 역간을 40분만에 연결했다.[46]
  • 쾌속 (애칭 없음): 1975년 3월부터, 오고리 역 (현재의 신야마구치 역) - 우베 역 간을 우베선을 경유하여 연결하는 쾌속 열차가 운행되었다. 일부는 가고시마 본선 미나미후쿠오카 등까지 직통하여, 가고시마 본선 내를 특별 쾌속으로 운행하는 것도 있었다.
  • 쾌속 "키라라호": 2001년 7월 14일부터 같은 해 9월 30일까지, 야마구치 키라라 박람회 관객 수송을 위해 오고리 역 (현재의 신야마구치 역) - 아지스역 간에 117계 전동차에 의한 임시 쾌속 열차 "키라라호"가 운행되었다.[39]
  • 쾌속 (임시 열차): 2024년 8월 23일, 24일, 25일에 걸쳐 개최된 야외 음악 이벤트 「WILD BUNCH FEST.2024」에 따른 임시 열차로 아지스 역 - 신야마구치 역 간에 3일 한정의 쾌속 열차가 운행되었다. 오전 중에 하행 2편, 20~22시대에 상행 4편의 총 6편이 운행되었다. 중간 정차역은 설정되지 않고, 논스톱 쾌속으로 운행되었다.

5. 사용 차량

현재는 모두 전동차로 운행되고 있으며, 시모노세키 종합 차량소 운용 검수 센터에 소속된 105계 2량 편성 전동차 및 모하 123형 1량 편성 전동차가 사용되고 있다. 모하 123형만으로 운행하는 열차는 오랫동안 화장실이 없는 상태였지만, 2013년 10월부터 일부 차량에 화장실이 설치되었고, 같은 해 12월에는 양쪽 개폐식 문을 갖춘 모하 123-5와 모하 123-6에도 화장실이 설치되었다. 2015년 5월 현재, 모든 차량에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다.

우베 선이 국철 노선이 된 초창기에는 우베 철도로부터 승계된 전동차를 사용했고, 전후에는 다른 매수 사철로부터 승계된 전동차 (매수 국전)도 전속되어 사용되었다. 1950년대 후반부터 이러한 매수 국전을 대신하여 모하 11형, 모하 12형, 쿠하 16형, 모하 40형·모하 41형·쿠하 55형, 모하 42형, 모하 51형 등의 구형 국전이 도입되어, 1981년에 105계로 대체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또한 한때는 미나미후쿠오카 전동차구에 소속된 교류 직류 전동차415·421·423계가 산요 본선을 경유하여 우베선에 운행했었다. 국철 분할 민영화 후, 이들이 규슈 여객철도(JR 규슈) 소속이 된 후에도 계속되었지만, 현재는 폐지되었다. 시모노세키 소속의 115계가 운행한 적도 있었다. 1980년대까지는 화물 열차와 마찬가지로 우베선에서 미네선으로 직통하는 기동차 열차도 운행된 적이 있었다.

6. 역 목록

거리영업
거리접속 노선선로소재지신야마구치新山口Shin-yamaguchi0.0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신칸센
산요 본선
야마구치 선∨야마구치현야마구치시가미카가와上嘉川Kami-kagawa2.82.8|후카미조深溝Fukamizo3.15.9◇스오사야마周防佐山Suō-Sayama1.67.5|이와쿠라岩倉Iwakura1.38.8|아지스阿知須Ajisu1.410.2◇기와岐波Kiwa2.512.7◇우베시마루오丸尾Maruo2.515.2|도코나미床波Tokonami3.718.9◇도키와常盤Tokiwa1.820.7|구사에草江Kusae1.822.5|우베미사키宇部岬Ubemisaki1.223.7◇히가시신카와東新川Higashi-shinkawa1.625.3◇고토시바琴芝Kotoshiba0.726.0|우베신카와宇部新川Ube-shinkawa1.127.1◇이노居能Inō1.828.9서일본 여객철도 오노다 선◇이와하나岩鼻Iwahana1.430.3◇기와나미 신호장際波信号場Kiwanami1.732.0◇우베宇部Ube1.233.2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



모든 역은 야마구치현에 위치해 있다.

신야마구치역, 우베신카와역, 우베역은 JR 서일본의 직영역이며, 아지스역은 간이 위탁역이고, 그 외의 역은 무인역이다.

=== 폐지 구간 ===



=== 폐역 ===

6. 1. 폐지 구간

우베 역 - 후나키 철도 주식회사가 1916년에 6km, 궤간 762mm의 노선을 개통했다. 이 노선은 1922년에 궤간 1067mm로 개조되었고, 1926년에는 기베까지 12km로 연장되었다. 마지막 8km 구간은 1944년에, 나머지 노선은 1961년에 폐지되었다.

화물 지선(2006년 폐지)은 이노 역 (0.0) - 우베코 역 (2.2) 구간이다.

화물 지선(1961년 폐지)은 우베코 역 (0.0) - 오키노야마신코 역 (1.8) 구간이다. 이 노선은 국철선으로 폐지된 후 우베흥산(현·UBE)에 매각되어, 동사의 전용 측선으로 사용되었다.

본선(1952년 폐지)은 우베신카와 역 (0.0) - 스케다 정류장 (0.9) - 후지마 역 (1.5) - 이와하나 역 (3.3) 구간이다. 스케다 정류장은 폐선 전인 1941년에 폐지되었고, 현재선의 우베신카와 역 - 이노 역 사이에 있었다. 후지마 역은 폐지 후, 전차 유치선이 정비되어 우베 전차구로 사용되었지만, 1996년에 전차구도 폐지되었다.

6. 2. 폐역

후나키 철도 주식회사가 1916년에 6km, 궤간 762mm의 노선을 개통했다. 이 노선은 1922년에 궤간 1067mm로 개조되었고, 1926년에는 기베까지 12km로 연장되었다. 마지막 8km 구간은 1944년에, 나머지 노선은 1961년에 폐지되었다.

7. 병행 교통

대부분의 노선에서 국도 제190호선이 병행하고 있으며, 국도를 운행하는 노선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50] 대략 우베신카와역(및 인근 우베중앙 버스 정류장)을 경계로, 동쪽은 우베시 교통국, 서쪽은 우베시 교통국·후나키 철도 (과거에는 선덴 교통의 지역이기도 했지만, 동사는 2022년 9월 30일을 기점으로 우베시로의 운행을 종료[51])의 지역이 되고 있다.

우베선 쪽이 운임은 저렴하지만, 버스가 운행 횟수가 많다. 우베시 교통국은 신야마구치역 - 우베신카와역 구간(신야마구치선)에서 국도 제190호선·카가와역 경유의 일반편 및 야마구치 우베 도로 경유의 특급편을 운행하고 있으며, 소요 시간은 일반편이 72분 - 77분, 특급이 41분이다(신칸센 구치 - 우베신카와역 구간)[52]。동 구간의 우베선의 소요 시간은 약 50분이므로[53], 특급편을 이용하면 우베선보다 소요 시간이 짧아진다.

8. BRT화 검토와 동결

2018년도에 우베시서일본 여객철도(JR 서일본)이 중심이 되어 오노다선과 함께 우베선을 간선급행버스(BRT)로 전환하는 가능성에 대해 검토를 시작했다.[54][55] 그러나 우베시가 시산한 결과, 우베선에 BRT를 도입할 경우의 개산 정비 사업비가 약 153억 엔이 될 것으로 판명되었다.[56] 이 때문에 채산성이 엄격하고 조기 실현이 어렵다고 하여 BRT화는 동결되었으며, JR 서일본과 연선 자치체(우베시, 야마구치시, 산요오노다시)의 4자 간담회는 휴지되었다.[56]

참조

[1]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04年版 JRR 2004-07-01
[2] 문서 下関総合車両所
運用検修センター新山口支所

[3] 뉴스 美祢線の石灰石列車“終着駅”18日最後に廃止 http://www.minato-ya[...] 山口新聞社 2012-01-01
[4]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
[5] PDF 広島エリア路線図 http://www.jr-odekak[...] JRおでかけネット 2016-03-28
[6] 서적 停車場変遷大事典 国鉄・JR編 JTB 1998
[7]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14: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13年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07-15
[8]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15: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14年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07-15
[9]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16: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15年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07-15
[10]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17: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16年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07-15
[11]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18: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17年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07-15
[12]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19: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18年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07-15
[13]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20: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19年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07-15
[14]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21: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20年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07-15
[15]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22: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21年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07-15
[16]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23: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22年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07-15
[17] 간행물 2023年度区間別平均通過人員(輸送密度)につい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08-02
[18] 서적 わが町の鉄道史 小野田線を歩く
[19] 논문 宇部・小野田地區の整備について https://dl.ndl.go.jp[...] 交通協力会 2023-11-30
[20] 서적 わが町の鉄道史 小野田線を歩く
[21] 서적 わが町の鉄道史 小野田線を歩く
[22] 간행물 山口線・美祢線・宇部線・小野田線・岩徳線 朝日新聞出版 2009-08-23
[23] 뉴스 宇部鉄道会社 昨日新生の祈願祭 関門日々新聞社 2012-01-01
[24] 뉴스 電鉄のスピード化 5日から実施 3停留所廃止 宇部時報社 2012-01-01
[25] 뉴스 宇部線が国鉄に移管 宇部時報社 2012-01-01
[26] 간행물 「鉄道省告示第84号」『官報』1943年4月26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7] 뉴스 20日から開通 宇部、小野田短絡線 宇部時報社 2012-01-01
[28] 웹사이트 過去の主な陸上交通災害 https://www.city.ube[...] 宇部市 2022-09-29
[29] 서적 日本鉄道旅行歴史地図帳 - 全線全駅全優等列車 新潮社 2011
[30] 뉴스 宇部・小野田線に扇風機取付け 広鉄 交通協力会 1960-07-14
[31] 서적 わが町の鉄道史 小野田線を歩く
[32] 서적 わが町の鉄道史 小野田線を歩く
[33] 서적 わが町の鉄道史 小野田線を歩く
[34] 간행물 宇部線に105系電車 鉄道ジャーナル社 1981-06
[35] 서적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 2001 西日本旅客鉄道
[36]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2011 交通新聞社 2011
[37]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91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91-08-01
[38]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92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92-07-01
[39] 서적 わが町の鉄道史 小野田線を歩く
[40] 간행물 平成15年秋 ダイヤ改正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 2012-01-01
[41] 간행물 「山口地域鉄道部」新設に伴う組織改正について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 2012-01-01
[42] 서적 平成二十六年度 鉄道要覧 電気車研究会
[43] 뉴스 JR西、3地域鉄道部廃止へ 来月1日、山口支社を新設 https://www.minato-y[...] 山口新聞 2019-05-11
[44] 서적 西日本時刻表別冊 中国版ポケット時刻表 交通新聞社 2023
[45] 웹사이트 2023 年春の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中国統括本部 2022-12-16
[46] 서적 わが町の鉄道史 小野田線を歩く
[47] 서적 わが町の鉄道史 小野田線を歩く
[48] 학술지 阿知須駅に快速「のぞみリレー号」停車 https://www.city.yam[...] 山口県阿知須町 2023-12-03
[49] 뉴스 のぞみ、徳山停車1本増 春のダイヤ改正 http://www.minato-ya[...] 山口新聞社 2012-01-01
[50] 웹사이트 宇部市公共交通マップ http://www.city.ube.[...] 宇部市
[51] 웹사이트 「下関~宇部中央線(小野田公園通~宇部中央)」の廃止について http://www.sandenkot[...] サンデン交通 2022-06-22
[52] 엑셀 宇部市営バス 新山口線[時刻表] http://www.ubebus.jp[...] 宇部市交通局
[53] 웹사이트 JR西日本 宇部線・小野田線時刻表 http://www.jr-odekak[...] 西日本旅客鉄道
[54] 뉴스 BRT導入の可能性探る、市がJR西日本と検討 http://ubenippo.co.j[...] 2019-01-13
[55] 뉴스 鉄道廃止しバス専用道 宇部市とJR西、BRT化検討 https://www.chugoku-[...] 2021-05-14
[56] 뉴스 宇部線BRT化計画凍結 https://www.minato-y[...] 山口新聞社 2021-01-27
[57] 문서 小野田線の列車は、運転系統上は宇部新川駅へ乗り入れ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