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성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趙)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1,055,567명으로 조사된 한국의 성씨이다. 본관은 200여 본이 문헌에 기록되어 있으나 한양, 풍양, 함안 등을 포함한 20본이 시조와 계대를 알 수 있다. 조씨는 본관별로 시조와 유래가 다르며, 한양 조씨가 인구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조(曺)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398,260명으로 조사되었다. 조씨 성을 가진 인물은 정치인, 스포츠 선수, 예술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 (성씨) | |
|---|---|
| 성씨 정보 | |
| 한글 | 조 |
| 한자 | 趙 또는 曺 |
| 로마자 표기 | Jo |
| 매큔-라이샤워 표기 | Cho |
| 기타 표기 | |
| 영어 표기 | Jo, Cho, Cho, Cao, Joe, Joh, Jou |
| 일본어 (히라가나) | そう |
| 일본어 (가타카나) | チョ |
| 기원 및 분포 | |
| 한자 (趙) | 趙 |
| 한자 (曺) | 曺 |
| 통계 (2000년) | 趙: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서 본관별 가구 및 인구는 다음과 같다. 한양 조씨 (漢陽 趙氏) 124,249가구, 404,343명 풍양 조씨 (豊壤 趙氏) 48,433가구, 156,985명 평양 조씨 (平壤 趙氏) 8,726가구, 28,276명 임천 조씨 (林川 趙氏) 5,434가구, 17,497명 함안 조씨 (咸安 趙氏) 4,276가구, 13,784명 옥천 조씨 (玉川 趙氏) 2,869가구, 9,195명 배천 조씨 (白川 趙氏) 2,594가구, 8,319명 직산 조씨 (稷山 趙氏) 1,241가구, 3,972명 김제 조씨 (金堤 趙氏) 1,148가구, 3,629명 횡성 조씨 (橫城 趙氏) 946가구, 3,038명 수원 조씨 (水原 趙氏) 824가구, 2,682명 양주 조씨 (楊州 趙氏) 795가구, 2,580명 영흥 조씨 (永興 趙氏) 634가구, 2,051명 그 외 조씨 1,673가구, 5,465명 曺: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서 본관별 가구 및 인구는 다음과 같다. 창녕 조씨 (昌寧 曺氏) 48,789가구, 155,969명 능성 조씨 (綾城 曺氏) 10,885가구, 34,685명 함안 조씨 (咸安 曺氏) 341가구, 1,075명 그 외 조씨 338가구, 1,092명 |
| 통계 (2015년) | 2015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에서 조(趙)씨는 683,934명, 조(曺)씨는 192,647명으로 나타났다. |
| 참고 | |
| 관련 단어 | 법조 (법률가) 조조 (曹操, 삼국지의 영웅) |
2. 조(趙)씨
조선 현종 때까지 동성이본도 통혼을 금했기 때문에 현재까지 같은 성씨끼리 결혼하지 않는 관례가 있다.[7] 한편, 조선왕조실록 등에서 서로 본관이 혼동되어 기록된 경우가 더러 있었다.[8]
2000년 인구조사에서 각 본관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
- 함안 조씨는 2015년 인구는 282,890명이다.[10]
- 배천 조씨는 2015년 인구는 75,978명이다.[10]
- 한양 조씨는 2015년 호적상 332,580명이다.
- 영흥 조씨는 후손이 모두 호적상 한양 조씨이므로 인구를 알 수 없다. 조영무는 조선 개국공신 3등에 책록되었으며, 태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조(趙)씨 성을 가진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조영무: 조선 개국공신, 태종 묘정 배향
- 조병화: 시인, 평론가, 수필가
- 조치훈: 시인, 평론가, 운동가
- 조치훈: 바둑 기사
- 조용기: 목사
- 조훈현: 바둑 기사
- 조재현: 배우
- 조진웅: 배우
- 조만식: 독립운동가
- 조남철: 바둑 기사
- 조PD: 음반 프로듀서, 래퍼
- 조성진: 피아니스트
- 조승우: 배우
- 조선진: 바둑 기사
- 조성원: 농구 코치, 전 해설가, 전 선수
- 조태열: 외교관
- 조원희: 축구 선수
- 조여정: 배우
- 조용필: 가수
- 조윤선: 변호사, 작가, 정치인
- 조장희: 신경과학자
- 태진아: 트로트 가수, 연예인
- 조보아: 배우
- 조병규: 배우
- 조광조: 조선 성리학자
- 조한철: 배우
- 조현재: 배우
- 조인성: 배우
- 조재윤: 배우
- 조정래: 소설가
- 조정석: 배우
- 조권: 가수, 연예인
- 조민수: 배우
- 조명록: 북한 군인
- 조세호: 코미디언
- 조수미: 소프라노
- 조성하: 배우
- 조성모: 가수
- 코드 쿤스트: 작곡가, 음악 프로듀서
- 조우찬: 래퍼
- 조우리: 배우
- 조영남: 싱어송라이터
- 조유리: 가수, 배우
- 규현: 가수, 슈퍼주니어 멤버
- 미연: 가수, (여자)아이들 멤버
- 진호: 가수, 펜타곤 멤버
- 조광민: 배우, 가수, 래퍼, 보이프렌드 멤버
- 미료: 래퍼, 브라운아이드걸스 멤버
- 조영민: 배우, 가수, 보이프렌드 멤버
그 외 인물로는 앨리나 초, 아든 초, 조병국, 에리카 초, 프랭크 초, 조규성, 헨리 초, 조혜리, 조현, 조현두, 조재진, 조자영, 존 조, 조기천, 조기향, 조기정, 조규홍, 리즈 초, 마가렛 조, 조미나, 조민우, 조명익, 조민행, 자오난치, 레이몬드 초, 샘 초, 조승희, 조승희, 조승연, 조소현, 조수향, 성원 초, 조이현, 조윤경, 조윤정, 조윤우, 조용미, 조유민, 조방헌, 조동혁, 조광일, 조혜주, 조현우, 조진규, 조정치, 조정은, 조정민, 조신애, 조수민, 조성희, 조연희, 조이진, 조용인, 조윤희, 조윤서, 금희 캐리에 초, 초평옥 등이 있다.
2. 1. 개요
조(趙)씨는 대한민국 통계청의 2015년 인구조사에서 1,055,567명으로 조사되었다. 조(曺)씨는 398,260명으로 조사되어, 두 성씨를 합치면 대한민국 인구 순위 6위에 해당한다.조(趙)씨는 문헌상 200여 본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시조와 계대를 알 수 있는 본관은 한양, 풍양, 양주, 배천, 임천, 함안, 순창, 옥천, 횡성, 평양, 직산, 김제 등 20본이다.
조(趙)씨는 본관별로 시조와 유래가 다르고 분적된 본관이 없어 동원동근을 주장하지 않는다. 그러나 조선 현종 때까지 동성이본도 통혼을 금했기 때문에 현재까지 같은 성씨끼리 결혼하지 않는 관례가 있다.[7] 조선왕조실록 등에서 서로 본관이 혼동되어 기록된 경우가 종종 있었다.[8]
인구는 한양 조씨가 31.2%로 가장 많고, 함안 조씨(26.3%), 풍양 조씨(12.6%), 배천 조씨(6.7%), 옥천 조씨(5.1%), 평양 조씨(4.2%) 순이다.
2. 2. 주요 본관
조(趙)씨는 시조와 계대를 알 수 있는 본관으로 한양, 풍양, 양주, 배천, 임천, 함안, 순창, 옥천, 횡성, 평양, 직산, 김제 등 20본이 있다.[7]조(趙)씨는 본관별로 시조와 유래가 다르고, 분적된 본관이 없기 때문에 동원동근(同源同根)을 주장하지 않지만, 조선 현종 때까지 동성이본도 통혼을 금했기 때문에 현재까지 같은 성씨끼리 결혼하지 않는 관례가 있다.[7]
인구는 한양 조씨가 31.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그 다음으로 함안 조씨(26.3%), 풍양 조씨(12.6%), 배천 조씨(6.7%), 옥천 조씨(5.1%), 평양 조씨(4.2%) 순이다.
- '''직산 조씨'''(稷山 趙氏) 시조 '''조성'''(趙成)은 백제 개국공신으로 전한다.
- '''풍양 조씨'''(豊壤 趙氏) 시조 '''조맹'''(趙孟)은 고려 개국공신이다. 그의 원래 이름은 바우(岩)로 풍양현(현 남양주시 진건면 송능리) 천마산 동굴에 은둔하여 농사를 짓던 사람이라고 한다. 조선 후기의 세도가문이다.
- '''함안 조씨'''(咸安 趙氏) 시조 '''조정'''(趙鼎)은 고려 대장군 원윤(元尹)이다.
- '''횡성 조씨'''(橫城 趙氏) 시조 '''조익'''(趙翌)은 965년(광종 9) 고려에서 처음 실시한 과거에 장원급제하여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역임하고, 광종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올랐으며, 횡성군(橫城君)에 봉해졌다.
- '''순창 조씨'''(淳昌 趙氏) 시조 '''조자장'''(趙子長)은 고려 때 순창호장(淳昌戶長)을 지냈다. 그의 5세손인 조인평(趙仁平)이 1177년(명종 7)에 망이·망소이 난을 진압하는 데 큰 공을 세워 금오위낭장(金吾衛郎將), 대장군(大將軍)에 올랐다.
- '''배천 조씨'''(白川 趙氏) 시조 '''조지린'''(趙之遴)은 고려 목종(穆宗) 때 이부시랑 지은대사(吏部侍郞 知銀臺事)로 임명되었고, 1011년(현종 2년)에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참지정사(叅知政事)에 이르렀다.[10]
- '''임천 조씨'''(林川 趙氏) 시조 '''조천혁'''(趙天赫)은 본명은 조수강(趙守康)이고 송 태조 조광윤의 손자인 기왕(冀王) 조유길(趙惟吉)의 다섯째 아들이라 한다. 그는 송나라에서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고 서두공봉관(西頭供奉官)이 되었으나, 979년 조광의(趙匡義)가 황위를 찬탈한 이후 고려로 도망쳐 와서 임천(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에 정착하여 살았다고 한다.
- '''평양 조씨'''(平壤 趙氏) 시조 '''조춘'''(趙椿)은 고려 예종 때 고려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로서 남송에 가서 금나라를 토평하였다.
- '''옥천 조씨'''(玉川 趙氏) 시조 '''조장'''(趙璋)은 고려시대 광록대부(光祿大夫) 검교대장군(檢校大將軍)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냈다. 옥천(玉川)은 전라북도 순창군(淳昌)의 마한시대 지명이다.
- '''양주 조씨'''(楊州 趙氏) 시조 '''조잠'''(趙岑)은 고려 후기에 호장(戶長)을 지내고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에 추증되었다.
- '''김제 조씨'''(金堤 趙氏) 시조 '''조연벽'''(趙連壁)은 고려 고종 때 상장군(上將軍)을 지냈다.
- '''한양 조씨'''(漢陽 趙氏) 시조 '''조지수'''(趙之壽)는 덕원부(德源府) 용진현(龍津縣 : 현 함경남도 문천시, 원산시 일대)에 세거해 온 사족(士族)의 후예로 고려 조에 조순대부 첨의중서사(朝順大夫 僉議中書事)를 지냈다. 그의 독자 조휘(趙暉)의 후손들이 쌍성총관부의 총관을 계승했다. 후손들이 조선이 개국하자 한양(漢陽)으로 이거하여 한양을 본관으로 하여 세계를 이어왔다.
- '''영흥 조씨'''(永興 趙氏)는 함경남도 영흥군에 세거하던 가문으로 조인재(趙麟才)의 증손 '''조영무'''(趙英茂)는 조선 개국에 공을 세우고 판전중시사(判殿中寺事)에 올라 개국공신 3등에 책록되었으며, 죽은 뒤 태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 '''신창 조씨'''(新昌 趙氏) 시조 '''조영규'''(趙英珪)는 조선 개국공신이며 이방원을 도와 개국공신 2등에 책봉되었다. 현존하지 않는 문중이다.
3. 조(曺)씨
조(曺)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398,260명으로 조사되었다. 본관은 창녕, 청양, 강릉, 함평, 가흥, 능성, 남평, 영암, 영광, 장흥, 화순 등 20본이 있다.
창녕 조씨 시조 '''조계룡'''(曺繼龍)은 경상남도 창녕군에서 비롯되었다. 전설에 따르면 신라 진평왕 때 예향(禮香)이라는 여성이 하늘에 기도를 올려 태기가 있어 아들을 낳았는데, 겨드랑이에 조(曺)자가 새겨져 있었다고 하며, 진평왕이 아이에게 조(曺)씨 성과 계룡(繼龍)이라는 이름을 지어주었고, 성장하여 진평왕의 부마가 되었다고 한다.
3. 1. 개요
조(曺)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398,260명으로 조사되었다. 본관은 창녕, 청양, 강릉, 함평, 가흥, 능성, 남평, 영암, 영광, 장흥, 화순 등 20본이 있다.'''창녕 조씨'''(昌寧曺氏) 시조 '''조계룡'''(曺繼龍)의 득성설화지는 경상남도 창녕군이다. 전설에 따르면 신라 진평왕 때 예향(禮香)이라는 여성이 하늘에 기도를 올리니 태기가 있어 아들을 낳았는데, 겨드랑이에 조(曺)자가 새겨져 있었다고 한다. 진평왕은 그 아이에게 성은 조(曺), 이름은 계룡(繼龍)으로 지어주었으며, 성장하여 진평왕의 부마가 되었다고 한다.
3. 2. 주요 본관
조(曺)씨는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2015년 기준으로 398,260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관은 창녕, 청양, 강릉, 함평, 가흥, 능성, 남평, 영암, 영광, 장흥, 화순 등 20본이 있다.[3]'''창녕 조씨'''(昌寧曺氏)의 시조 '''조계룡'''(曺繼龍)은 경상남도 창녕군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진다. 전설에 따르면, 신라 진평왕 때 예향(禮香)이라는 여성이 하늘에 기도를 올려 아들을 낳았는데, 아이의 겨드랑이에 조(曺)자가 새겨져 있었다고 한다. 진평왕은 이 아이에게 조(曺)라는 성과 계룡(繼龍)이라는 이름을 지어주고, 성장 후에는 자신의 사위로 삼았다고 한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조(曺)씨의 본관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3]
| 씨족(지역) | 시조 | 인구(2015년) | 비고 |
|---|---|---|---|
| 강릉 조씨 | 54 | ||
| 거창 조씨 | 36 | ||
| 경성 조씨 | 5 | ||
| 경주 조씨 | 62 | ||
| 고령 조씨 | 9 | ||
| 곡산 조씨 | 6 | ||
| 광주 조씨 | 44 | ||
| 김녕 조씨 | 8 | ||
| 김해 조씨 | 46 | ||
| 나주 조씨 | 10 | ||
| 남양 조씨 | 30 | ||
| 남원 조씨 | 8 | ||
| 남평 조씨 | 19 | ||
| 엽산 조씨 | 11 | 녑산조씨 | |
| 단양 조씨 | 17 | ||
| 달성 조씨 | 7 | ||
| 대구 조씨 | 23 | ||
| 덕산 조씨 | 53 | ||
| 무안 조씨 | 6 | ||
| 밀양 조씨 | 133 | ||
| 백천 조씨 | 57 | ||
| 복산 조씨 | 11 | ||
| 봉계 조씨 | 13 | ||
| 삭녕 조씨 | 88 | 삭녕조씨 | |
| 삭령 조씨 | 11 | 삭령조씨 | |
| 삭영 조씨 | 9 | 삭영조씨 | |
| 상양 조씨 | 10 | ||
| 성산 조씨 | 16 | ||
| 성주 조씨 | 16 | ||
| 소령 조씨 | 21 | 소령조씨 | |
| 소영 조씨 | 13 | 소영조씨 | |
| 수원 조씨 | 25 | ||
| 순창 조씨 | 29 | ||
| 순천 조씨 | 16 | ||
| 순화 조씨 | 24 | ||
| 신안 조씨 | 22 | ||
| 안동 조씨 | 15 | ||
| 안산 조씨 | 11 | ||
| 안양 조씨 | 9 | ||
| 안의 조씨 | 37 | ||
| 양천 조씨 | 11 | ||
| 언양 조씨 | 30 | ||
| 엽산 조씨 | 15 | 엽산조씨 | |
| 영광 조씨 | 8 | ||
| 영월 조씨 | 26 | ||
| 영천 조씨 | 8 | ||
| 영춘 조씨 | 9 | ||
| 영해 조씨 | 19 | ||
| 옥천 조씨 | 25 | ||
| 울산 조씨 | 5 | ||
| 웅천 조씨 | 8 | ||
| 월성 조씨 | 11 | ||
| 은진 조씨 | 11 | ||
| 의령 조씨 | 77 | ||
| 이천 조씨 | 18 | ||
| 인산 조씨 | 12 | ||
| 인천 조씨 | 30 | ||
| 일녕 조씨 | 10 | ||
| 장림 조씨 | 7 | ||
| 장녕 조씨 | 9 | ||
| 전주 조씨 | 77 | ||
| 정선 조씨 | 8 | ||
| 제주 조씨 | 5 | ||
| 지평 조씨 | 14 | ||
| 진양 조씨 | 26 | ||
| 진주 조씨 | 28 | ||
| 진해 조씨 | 23 | ||
| 창녕 조씨 | 366,798 | 창녕조씨 | |
| 창릉 조씨 | 15 | 창능조씨 | |
| 창덕 조씨 | 5 | ||
| 창녕 조씨 | 9,837 | 창령조씨 | |
| 창릉 조씨 | 23 | 창릉조씨 | |
| 창밀 조씨 | 28 | ||
| 창산 조씨 | 810 | ||
| 창성 조씨 | 27 | ||
| 창수 조씨 | 9 | ||
| 창순 조씨 | 5 | ||
| 창안 조씨 | 7 | ||
| 창양 조씨 | 52 | ||
| 창연 조씨 | 18 | ||
| 창녕 조씨 | 12,924 | 창영조씨 | |
| 창룡 조씨 | 29 | ||
| 창원 조씨 | 1,185 | ||
| 창평 조씨 | 70 | ||
| 창해 조씨 | 5 | ||
| 청녕 조씨 | 7 | ||
| 청룡 조씨 | 8 | ||
| 청양 조씨 | 54 | ||
| 청주 조씨 | 22 | ||
| 청풍 조씨 | 37 | ||
| 춘천 조씨 | 6 | ||
| 칠원 조씨 | 6 | ||
| 평강 조씨 | 6 | ||
| 평산 조씨 | 13 | ||
| 평원 조씨 | 8 | ||
| 풍부 조씨 | 5 | ||
| 풍양 조씨 | 15 | ||
| 풍천 조씨 | 13 | ||
| 하산 조씨 | 276 | ||
| 하성 조씨 | 1,525 | ||
| 하양 조씨 | 18 | ||
| 하옥 조씨 | 8 | ||
| 한산 조씨 | 9 | ||
| 한성 조씨 | 13 | ||
| 한양 조씨 | 215 | ||
| 함안 조씨 | 100 | ||
| 함양 조씨 | 26 | ||
| 함평 조씨 | 20 | ||
| 합천 조씨 | 178 | 합천조씨 | |
| 혈성 조씨 | 9 | ||
| 협천 조씨 | 23 | 협천조씨 | |
| 화산 조씨 | 13 | ||
| 화순 조씨 | 146 | ||
| 황산 조씨 | 90 | ||
| 회산 조씨 | 10 |
4. 조씨 인물
조씨 성을 가진 인물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분야 | 인물 |
|---|---|
| 정치 및 행정 | 조규홍, 조태열, 조윤선, 자오난치, 레이몬드 초, 샘 초 |
| 스포츠 | 조병국, 조현, 조현두, 조재진, 조기향, 조민우, 조소현, 조성원, 조원희, 조윤정, 조유민 |
| 기타 | 조용기, 조남철, 조민행, 조장희, 금희 캐리에 초, 조승희, 조명록 |
- 위에 언급된 인물 외에도, 예술 및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활동하는 조씨 인물들은 하위 섹션인 '예술 및 엔터테인먼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정치 및 행정
- 초평옥 (1894–1960), 대한민국 정치인[1]
- 조만식 - 독립운동가.[2]
- 조봉암 - 독립운동가, 대한민국의 국회의원.[3]
- 조훈현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국회의원.[4]
- 조국 - 대한민국의 법학자, 전 법무부 장관.[5]
4. 2. 스포츠
- 조현우(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 조용인(예명: CoreJJ, 1994년 출생),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이다.
- 조훈현 (1953년 출생),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이다.
- 조귀재 (1969년 출생),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축구 지도자이다.
- 조범현 (1960년 출생),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이자, 야구 지도자이다.
4. 3. 예술 및 엔터테인먼트
- 앨리나 초(Alina Cho, 1971년 출생), 미국의 언론인
- 아든 초(Arden Cho, 1985년 출생), 미국 배우
- 조병화(1921–2003), 대한민국의 시인, 평론가, 수필가
- 조치훈(1920–1968), 대한민국의 시인, 평론가, 운동가
- 에리카 초(Erica Cho), 미국의 예술가
- 프랭크 초(Frank Cho, 1971년 출생), 한국계 미국인 만화가
- 헨리 초(Henry Cho, 1962년 출생), 미국 스탠드업 코미디언
- 조혜리(예명 왁스, 1972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 조재현(1965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조자영(예명 아영, 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걸그룹 달샤벳의 멤버
- 조진웅(1976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존 조(John Cho, 1972년 출생), 한국계 미국인 배우
- 조기천(1913–1951), 북한의 시인
- 조기정(1939–2007), 대한민국의 도예가
- 규현(1988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보이 그룹 슈퍼주니어의 멤버
- 리즈 초(Liz Cho), 미국의 뉴스 캐스터
- 마가렛 조(Margaret Cho, 1968년 출생), 미국 코미디언
- 미연(1997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걸그룹 (여자)아이들의 멤버
- 조미나(1960년 출생), 대한민국의 시인
- 마이키(Cho Myung-ik, 예명 Mikey, 1980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 조PD(Cho Joong-hoon, 예명 조PD, 1976년 출생), 대한민국의 음반 프로듀서 및 래퍼
- 조성진(Seong-Jin Cho, 1994년 출생), 대한민국의 피아니스트
- 조승희(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및 가수, 걸그룹 파이브돌스, 다이아의 전 멤버
- 조승우(1980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조승연(예명 우즈, 1996년 출생),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 조선진(1970년 출생),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 조수향(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성원 초(SungWon Cho, 1990년 출생), 미국의 유튜버이자 성우
- 조여정(198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조이현(1999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조용필(1950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 조윤우(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조용미(1962년 출생), 대한민국의 시인
- 태진아(1953년 출생),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이자 연예인
- 조보아(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조병규(1996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조동혁(1977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조광일(1996년 출생), 대한민국의 래퍼이자 작사가
- 조한철(1973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조혜주(1995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모델
- 조현재(1980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조인성(198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조재윤(1974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조정래(1943년 출생), 대한민국의 소설가
- 조진호 (예명: 진호, 1992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보이 그룹 펜타곤 멤버
- 조진규(1960년 출생),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 조정치(1978년 출생),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배우
- 조정은(1996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조정민(1986년 출생),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 조정석(1980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조광민(1995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가수, 래퍼, 보이 그룹 보이프렌드 멤버
- 조권(1989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연예인, 보이 그룹 2AM 멤버
- 조미혜 (예명: 미료, 1981년 출생), 대한민국의 래퍼, 걸 그룹 브라운아이드걸스 멤버
- 조민수(1965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조세호(1982년 출생), 대한민국의 코미디언
- 조성현(예명: 이루, 1983년 출생), 미국 출생의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
- 조신애(1982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모델
- 조수민(1999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조수미(1962년 출생), 대한민국의 콜로라투라 소프라노
- 조성하(1966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조성희(1979년 출생),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 조성모(1977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 조성우 (예명: 코드 쿤스트, 1989년 출생), 대한민국의 작곡가 겸 음악 프로듀서
- 조우찬(2005년 출생), 대한민국의 래퍼
- 조우리(1992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조연희(1977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조이진(1982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조용인(예명: CoreJJ, 1994년 출생),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 조윤희(1982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조영민(1995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가수, 보이 그룹 보이프렌드 멤버
- 조영남(1945년 출생),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 조유리(2001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
- 조윤서(1993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송가인(본명 조은심), 대한민국의 가수
- 조승연(가수), 대한민국의 가수
- 규현(본명 조규현),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 조유리(아이돌), 대한민국의 아이돌. 한일 합작 여성 아이돌 그룹 IZ*ONE의 전 멤버. WAKE ONE 엔터테인먼트 소속.
- 미연(본명 조미연), 대한민국의 아이돌
- 조훈현,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4. 4. 가공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성씨·본관별 가구 및 인구
http://kosis.nso.go.[...]
2006-01-05
[2]
웹사이트
행정구역(시도)/성씨·본관별 가구 및 인구
http://kosis.kr/stat[...]
KOSIS
2019-08-27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5
[4]
웹사이트
조 찾기 결과: 조7(曺)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
2023-10-29
[5]
웹사이트
법조1(法曹)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
2023-10-29
[6]
웹사이트
조-조4(曹操)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
2023-10-29
[7]
뉴스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 <48> 조(趙)씨와 한양조씨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3-05-01
[8]
문서
봉릉 도감에서 성릉 안에 고려조의 재상인 조맹의 묘가 있으니 옮길 것을 청하다
http://sillok.histor[...]
[9]
서적
《고려사》 권99, 열전12
http://db.history.go[...]
[10]
서적
《고려사》 권94 열전 권제7
http://db.history.go[...]
[11]
블로그
쌍성총관부에 대한 연구 성과와 반성
http://blog.daum.net[...]
2014-02-22
[12]
웹인용
한국학자료센서 - 인물관계정보
http://www.kostma.ne[...]
2016-03-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