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뮬러 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뮬러 투(Formula Two, F2)는 포뮬러 원(F1)의 하위 레이싱 카테고리로, 모터스포츠 계단에서 F1으로 진출하기 위한 단계로 여겨져 왔다. 1948년 처음 시작되어, 엔진 규격 변화에 따라 여러 차례 부활과 폐지를 반복했다. 1960년대에는 1.6리터 엔진, 1970년대에는 2.0리터 엔진 시대를 거쳤으며, 1985년 포뮬러 3000으로 대체되었다가, 2009년 FIA 포뮬러 투 챔피언십으로 부활했다. 이후 GP2 시리즈를 인수하여 2017년 FIA 포뮬러 2 챔피언십으로 재출범했다. 현재는 3.4L V6 터보 엔진과 달라라 F2 2024 섀시를 사용하며, 샤를 르클레르, 조지 러셀, 오스카 피아스트리 등 많은 F1 드라이버를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픈 휠 경주 - 레이싱 카트
    레이싱 카트는 소형 엔진과 낮은 차체를 가진 모터스포츠 차량으로, 자동차 경주 입문 단계에서 널리 사용되며, 1950년대 후반 미국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고, 섀시, 엔진 등으로 구성되어, 저렴한 비용으로 모터스포츠를 즐길 수 있어 교육 도구로 활용된다.
  • 오픈 휠 경주 - 포뮬러 E
    포뮬러 E는 국제 자동차 연맹의 주관으로 도심 스트리트 서킷에서 열리는 싱글 시터 전기 자동차 경주 대회로, FIA 월드 챔피언십으로 승격되어 전기차 레이싱 기술 발전과 지속 가능한 모터스포츠에 기여한다.
  • 포뮬러 자동차 경주 시리즈 - 인디카 시리즈
    인디카 시리즈는 1996년 인디 레이싱 리그로 시작하여 2003년부터 현재 명칭을 사용하는 북미 오픈휠 자동차 경주 시리즈로, 규격 섀시와 2.2리터 V6 트윈터보 엔진을 사용하는 원메이크 시리즈이며, 오벌 트랙 외에 로드/스트리트 코스에서도 경주가 진행된다.
  • 포뮬러 자동차 경주 시리즈 - GP2 시리즈
    GP2 시리즈는 2005년에 시작되어 F1 등용문 역할을 했으며, 루이스 해밀턴과 같은 챔피언을 배출했으나, 문제점으로 인해 2017년 FIA 포뮬러 2 챔피언십으로 변경되었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포뮬러 투
기본 정보
포뮬러 2 로고
로고
종류포뮬러 카
국가/지역국제
첫 시즌2017년
드라이버 수22
팀 수11
섀시 제조사달라라
엔진 제조사메카크롬
타이어 제조사피렐리
현재 시즌2024년 FIA F2 챔피언십
공식 웹사이트fiaformula2.com
현재 챔피언
드라이버 챔피언테오 푸르셰르(프랑스)
팀 챔피언ART 그랑프리(프랑스)

2. 역사

포뮬러 원은 오픈 휠 자동차 경주의 정점으로 여겨져 왔지만, 차량의 고성능과 시리즈 관련 비용 때문에 이 정점에 도달하기 위한 단계가 필요했다. 포뮬러 원 역사 대부분 동안, 포뮬러 투는 모터스포츠 계단의 마지막 단계를 대표해왔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그랑프리 레이서보다 작고 덜 강력한 차량을 위한 레이싱 구분인 부아튀레트("소형차") 레이싱이 있었다. 전쟁 발발 시 부아튀레트 레이싱 규정은 1.5L 슈퍼차저 엔진을 허용했으며, 그랑프리 차량은 3.0L 슈퍼차저 또는 4.5L 자연 흡기 엔진을 허용했다.

1946년, 3.0L 슈퍼차저 규정이 폐지되었고, 1947년 1월 1일부터 포뮬러 A와 B(이후 1과 2)가 도입되었다. FIA는 1948년 1월 1일부터 그 시대의 그랑프리 차량을 보완하는 더 작고 저렴한 포뮬러 투(원래 포뮬러 B)를 공식화했다.

규정은 엔진을 2리터 자연 흡기 또는 500cc 슈퍼차저로 제한했다. 이로 인해 차량들은 포뮬러 원 차량보다 작고 가벼우며 저렴했다. 이는 쿠퍼와 같은 새로운 브랜드가 알파 로메오와 마세라티와 같은 대형 제조사와 경쟁하기 전에 포뮬러 투로 진출하도록 장려했다. 포뮬러 원은 초기에 참가자가 너무 적어 1952년과 1953년에는 인디애나폴리스 500을 제외한 모든 세계 선수권 그랑프리 모터 레이싱 레이스가 포뮬러 투로 진행되었다.

1954년 2.5리터 F1이 도입되면서 F2는 쇠퇴했지만, 1957년에 1.5리터 자동차를 위한 새로운 포뮬러 투가 도입되었다. 이 포뮬러는 후방 엔진의 쿠퍼가 지배했고, 포르쉐도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 F2 쿠퍼의 약간 확대된 버전은 1958년 처음 두 번의 포뮬러 원 그랑프리에서 우승하여 포뮬러 원의 후방 엔진 시대를 시작했다. 1.5리터 포뮬러는 수명이 짧았고, 포뮬러 주니어는 1963년까지 포뮬러 3과 포뮬러 투를 효과적으로 대체했지만, 1961년 1.5리터 포뮬러 원은 이 포뮬러 투의 연장이었다.

포뮬러 주니어는 1959년에 도입되었으나, 곧 두 개의 새로운 포뮬러로 나눌 필요가 있었다. 포뮬러 2와 포뮬러 3는 1964 시즌을 위해 다시 도입되었으며, 포뮬러 2는 1.0L 엔진 크기를 가졌지만, 순수 레이싱 엔진을 허용했다. 포뮬러 2는 주로 포뮬러 1 스타들이 쉬는 날에 참여하는 분야였다.

1967년, FIA는 최대 엔진 배기량을 1600cc로 늘렸다.[2] 포뮬러 원의 "권력 복귀"로 포뮬러 원과 포뮬러 투 사이의 격차가 너무 크다고 느껴졌고, 새로운 1600cc 양산형 엔진 규정이 도입되면서 포뮬러 투는 포뮬러 원의 육성 시리즈로서 본래의 역할을 되찾았다. FIA는 또한 1967년에 유럽 포뮬러 투 선수권 대회를 도입했다.

1972년, 규정이 변경되어 2.0리터 생산 기반 엔진 사용이 허용되면서 출력이 증가했다. 코스워스 BD 및 BMW 4기통 엔진이 초창기를 지배했고, BMW 엔진을 탑재한 마치가 점차 우위를 점했다. 1976년에는 경주 전용으로 개발된 엔진의 참가가 허용되었으며, 르노는 특히 강력한 V6 엔진을 개발했다.

혼다는 1980년대 초 강력한 V6 엔진을 가지고 포뮬러 투에 복귀했지만, "워크스" 엔진이었기 때문에 워크스 랄트-혼다 팀과 경쟁하는 데 드는 비용이 과도해졌다. 그 결과, 그리드의 규모가 줄어들었고, 시리즈에 대한 관심이 감소하면서 멸망 위기에 놓였다.

1984 시즌 이후, 국제 자동차 연맹(FIA)은 경쟁 비용 절감을 위해 새롭게 창설된 포뮬러 3000 카테고리로 포뮬러 2를 대체했다.

25년의 공백기를 거쳐 2009년 FIA에 의해 포뮬러 투 챔피언십이 부활했다.[3] 이전과는 달리, FIA 포뮬러 투 챔피언십은 모든 참가자가 동일한 섀시와 엔진을 사용하는 원 메이크 레이싱 시리즈였다. 이 시리즈는 2012 시즌 이후 FIA와 MSV에 의해 중단되었다.

2015년, 국제 자동차 연맹(FIA)은 슈퍼 라이센스 시스템을 개편하여 포뮬러 투 카테고리의 부활 계획을 발표했다. FIA는 2017년 초 GP2 시리즈의 이름을 ''FIA 포뮬러 2 챔피언십''으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2. 1. 초기 (1948년–1953년)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그랑프리 레이서보다 작고 덜 강력한 차량을 위한 레이싱 구분인 부아튀레트(프랑스어로 "소형차") 레이싱이 있었다. FIA은 1948년 1월 1일부터 그 시대의 그랑프리 차량을 보완하는 더 작고 저렴한 포뮬러 투(원래 포뮬러 B로 알려짐)를 처음으로 공식화했다. 포뮬러 투의 첫 해에 열린 레이스 중 하나는 1948년 스톡홀름 그랑프리였다.

페라리 166 F2


규정은 엔진을 2리터 자연 흡기 또는 500cc 슈퍼차저로 제한했다. 결과적으로, 이 차량들은 포뮬러 원에서 사용되는 차량보다 작고 가벼우며 저렴했다. 이는 쿠퍼와 같은 새로운 브랜드가 알파 로메오와 마세라티와 같은 대형 제조사와 경쟁하기 전에 포뮬러 투로 진출하도록 장려했다.

초기 포뮬러 원은 참가자가 너무 적어 1952년과 1953년에는 인디애나폴리스 500을 제외한 모든 세계 선수권 그랑프리 모터 레이싱 레이스가 포뮬러 투로 진행되었다.[4]

2. 2. 1.5리터 시대 (1957년–1960년)

1957년, 엔진 규정이 1,500cc 이하의 자연 흡기 엔진으로 변경되었다. 이 포뮬러는 포뮬러 3와 "밥테일" 스포츠카를 기반으로 한 후방 엔진의 쿠퍼가 지배하게 되었고, RSK 스포츠카를 기반으로 한 포르쉐도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 페라리는 원래 프런트 엔진 그랑프리 자동차를 경주하면서 "샤크노즈" 디노 156을 포뮬러 투 자동차로 개발했다. 이 포뮬러의 지배적인 엔진은 코벤트리 클라이맥스 FPF 4기통이었고, 드물게 보르그바르트 16밸브 유닛도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1]

1.5리터 포르쉐 718


F2 쿠퍼의 약간 확대된 버전은 1958년 처음 두 번의 포뮬러 원 그랑프리에서 우승하여 포뮬러 원의 후방 엔진 시대를 시작했다. 1.5리터 포뮬러는 수명이 짧았고, 포뮬러 주니어는 1963년까지 포뮬러 3과 포뮬러 투를 효과적으로 대체했지만, 1961년 1.5리터 포뮬러 원은 이 포뮬러 투의 연장이었다. 1960년에는 새로운 포뮬러 원을 준비하기 위해 포뮬러 투 컨스트럭터 챔피언십과 포뮬러 투 드라이버 챔피언십이라는 두 개의 국제 챔피언십이 열렸다. 드라이버 챔피언십은 잭 브라밤이 우승했고, 제조사 챔피언십은 포르쉐와 쿠퍼가 공동으로 우승했다.[1]

2. 3. 포뮬러 주니어 (1961년–1963년)와 1리터 포뮬러 2 (1964년–1966년)

포뮬러 주니어는 1959년에 도입되었는데, 이는 포뮬러 3를 대체하는 훈련용 포뮬러이자 포뮬러 1 아래의 국제적인 상위 카테고리로서 포뮬러 2를 대체하는, 모든 이의 요구를 충족시키려는 시도였다. 그러나 곧 포뮬러 2와 포뮬러 3, 두 개의 새로운 포뮬러로 나눌 필요성이 분명해졌다. 1964 시즌을 위해 포뮬러 2와 포뮬러 3가 다시 도입되었으며, 포뮬러 3는 튜닝이 매우 제한된 1리터 생산 기반 엔진을 필요로 하는, 포뮬러 주니어와 유사한 규정을 따랐다. 포뮬러 2 역시 1.0L 엔진 크기를 가졌지만, 순수 레이싱 엔진을 허용했다. 포뮬러 2는 주로 포뮬러 1 스타들이 쉬는 날에 참여하는 분야였다. 엔진은 대부분 코스워스(Cosworth, 포드 블록 기반)와 혼다(Honda)에서 제작되었지만, 피아트(Fiat) 기반 유닛, 영국 모터 코퍼레이션(BMC, British Motor Corporation), 영국 레이싱 모터스(BRM, British Racing Motors)의 전용 레이싱 엔진을 포함한 다양한 엔진도 등장했다.

1961년 F1의 엔진 규격이 1,500cc로 축소됨에 따라 F2는 일시적으로 폐지되었다. 1964년부터 1,000cc 이하 NA 엔진 규정으로 부활했으며, 1966년에는 혼다 엔진을 탑재한 브라밤 팀이 개막 11연승을 달성했다.

2. 4. 1.6리터 시대와 드라이버 등급 시스템 (1967년–1971년)

1967년, 국제 자동차 연맹(FIA)는 포뮬러 투의 최대 엔진 배기량을 1600cc로 늘렸다.[2] 코스워스(Cosworth) FVA 엔진이 널리 사용되었는데, 이는 4기통 코티나(Cortina) 블록에 16밸브 헤드가 장착된 것으로, 9000rpm에서 220bhp의 출력을 냈다. BMW, 디노 페라리 등 다른 엔진들도 사용되었다.

포뮬러 원 드라이버들이 포뮬러 투에 참가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드라이버 등급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A'' 등급을 받은 드라이버는 챔피언십 포인트를 획득할 수 없었다. 이 시스템은 경험이 부족한 드라이버들이 챔피언십을 위해 경쟁하고 경력을 쌓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고참 드라이버들은 그랑프리 사이의 긴 휴식 기간 동안 실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

브라밤, 로터스가 많은 컨스트럭터를 보유했지만, 페라리도 간헐적으로 워크스 팀을 출전시켰고, BMW도 롤라(Lola)와 도르니에(Dornier)가 제작한 섀시를 사용했다. 마트라, 테크노, 셰브론(Chevron)과 같은 소규모 컨스트럭터도 성공을 거두었다. 프랑스 회사 마트라는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처음 세 번 우승했고, 테크노가 네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같은 해 FIA는 유럽 포뮬러 투 선수권 대회를 창설했다.[19] 초대 챔피언은 자키 익스(Ickx)가 마트라(Matra) MS5를 몰고 차지했다.[18]

2. 5. 2.0리터 시대 (1972년–1984년)

1972년, 엔진 규정이 2.0리터 생산 기반 엔진을 사용하도록 변경되면서 출력이 증가했다. 코스워스 BD와 BMW 4기통 엔진이 초반을 지배했고, BMW 엔진을 탑재한 마치가 점차 우위를 점했다. 1976년부터는 경주 전용 엔진 참가가 허용되었고, 르노는 특히 강력한 V6 엔진을 개발했다. 석유 회사 엘프의 후원과 함께 프랑스 팀과 드라이버들이 잠시 F2를 지배했다. BMW는 워크스 마치 팀을 지원하며 경쟁을 심화시켰다. 페라리 엔진도 잠시 복귀했지만 큰 성공은 거두지 못했다. 하트 420R 엔진(궁극적으로 코스워스 BDA에서 파생)은 마치에서 잠시 성공을 거두었고, 1972년 팀 서티스는 하트 엔진과 드라이버 마이크 헤일우드를 통해 유럽 F2 챔피언십에서 우승했지만, 특히 워크스 톨먼 팀 차량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이 시대의 지배적인 섀시는 마치와 랄트였으며, 셰브론, 프랑스 엘프, 마티니, 독일 마우러가 잠시 성공을 거두었다.

혼다는 1980년대 초 강력한 V6 엔진으로 포뮬러 투에 복귀했지만, 워크스 엔진이었기 때문에 워크스 랄트-혼다 팀과 경쟁하는 데 드는 비용이 과도해졌다. 그 결과, 그리드의 규모가 줄어들었고, 시리즈에 대한 관심 감소로 이어져 멸망 위기에 놓였다.[18][19][20]

2. 6. 포뮬러 3000으로 대체 (1985년–2008년)

1985년, F2는 포뮬러 3000으로 대체되었다. 초기 규정은 F2 스타일의 섀시에 당시 터보차저를 사용하는 포뮬러 1에서 구식이 된 3000cc 자연 흡기 코스워스 DFV V8 엔진을 결합한 것이었다.[20] 주요 시리즈는 FIA 포뮬러 3000 인터내셔널 챔피언십이었지만, 여러 다른 선수권 대회도 포뮬러 3000 규정에 따라 진행되었다.

1970년대 중반부터 F1 그랑프리 개최 수가 증가함에 따라 F1 드라이버의 F2 참가는 감소했고, F2는 참가 대수가 점차 줄어들었다. F3에서 뛰어난 성적을 낸 유망주가 F2를 거치지 않고 F1으로 발탁되는 경우도 늘어나면서, F2의 존재 의의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F2는 F1의 전야제(서포트 레이스)로는 격이 높고, 단독 개최로는 F1만큼의 집객력을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1980년 혼다가 F2 엔진 공급을 재개했지만, 공급 대상은 극소수 팀으로 한정되었고, 혼다 엔진 탑재 차량이 연승을 거두는 상황이 발생했다. 1984년에는 BMW가 F2에서 철수하면서,[20] 이러한 요인들이 겹쳐 1984년을 끝으로 유럽 F2 선수권은 폐지되었고, 1985년부터 F3000 규격의 국제 F3000 선수권으로 전환되었다.

결과적으로 유럽 F2 선수권 챔피언 중 F1 월드 챔피언은 탄생하지 않았으며, 이 징크스는 국제 F3000 선수권 시대에도 이어졌다.

2. 7. FIA 포뮬러 2 챔피언십 (2009년–2012년)

25년의 공백기를 거쳐 2009년 FIA에 의해 포뮬러 투 챔피언십이 부활했다.[3] 이전과는 달리, FIA 포뮬러 투 챔피언십은 모든 참가자가 동일한 섀시와 엔진을 사용하는 원 메이크 레이싱 시리즈였다. 조나단 팔머의 모터스포츠 비전 회사가 챔피언십을 관리했으며, 드라이버를 대신하여 차량을 운영하고 유지 보수했다.[4] 챔피언십에는 팀이 없었다. 다른 전문 모터스포츠 시리즈와 달리 각 드라이버는 모터스포츠 비전에서 제공하는 엔지니어와 함께 작업했다. 차량은 윌리엄스 그랑프리 엔지니어링에서 설계했으며, 425bhp의 마운튠 레이싱이 개발한 1.8L 터보차지 아우디 엔진으로 구동되었다. 차량의 성능은 포뮬러 원과 포뮬러 쓰리에 중간 수준이었으며, 각 드라이버는 한 시즌에 195,000파운드를 지불했다.[5]

2009년 챔피언십은 5월부터 11월까지 유럽에서 8번의 경기로 구성되었다. 주말마다 두 번의 레이스가 있었으며, 각 레이스는 110km(약 40분)였다. 두 번의 30분 연습 세션과 두 번의 30분 예선 세션이 두 레이스 전에 진행되었다.[6] 초대 챔피언십은 앤디 소우첵이 우승했지만, 헨리 서티스가 브랜즈 해치에서 열린 4라운드에서 사망하는 사고로 얼룩졌다.[7]

이 시리즈는 2012 시즌 이후 FIA와 MSV에 의해 중단되었다.[8] 챔피언십은 마지막 해에 충분한 수의 드라이버를 유치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단일 팀 개념은 더 전통적인 방식으로 운영되는 챔피언십에 비해 인기가 없었다.[9] 포뮬러 원의 하위 시리즈로 홍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경쟁 GP2 시리즈 및 포뮬러 르노 3.5 시리즈는 훨씬 더 강력한 차량을 가지고 있었으며,[9] 2016년 포뮬러 원 시즌에 르노 F1 팀과 함께 졸리언 팔머가 포뮬러 원 팀으로 진출하기 전까지는 포뮬러 투 드라이버는 포뮬러 원 팀으로 진출하지 못했다.

2. 8. FIA 포뮬러 2 챔피언십 (구 GP2, 2017년–현재)

2015년, 국제 자동차 연맹(FIA)은 슈퍼 라이센스 시스템을 개편하여 드라이버가 보다 선형적인 진행 시스템을 따르도록 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포뮬러 투 카테고리의 부활 계획이 포함되었으며, 이는 다른 모든 경쟁 카테고리보다 우선시되었다.[10] 이 시리즈는 FIA 글로벌 패스웨이의 일부가 될 것이었다.

FIA는 2017년 초 GP2 시리즈의 이름을 ''FIA 포뮬러 2 챔피언십''으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그 이후로 샤를 르클레르, 조지 러셀 및 오스카 피아스트리가 F1으로 진출했다. 11개 팀 모두 메카크롬 엔진으로 구동되는 Dallara F2 2024 섀시를 사용한다.

3. 기타 포뮬러 2 시리즈



1946년, 3.0L 슈퍼차저 규정이 폐지되고 1947년 1월 1일부터 포뮬러 A와 B(이후 포뮬러 1과 포뮬러 2)가 도입되었다. 포뮬러 A는 구형 4.5L 자연 흡기 엔진 차량을 허용했지만, 3.0L 슈퍼차저 차량이 훨씬 우세했고, 구형 1.5L ''부아튀레트'' 포뮬러가 3.0L 슈퍼차저 차량을 대체하여 성능을 동등하게 맞추려고 시도했다.

FIA는 1948년 1월 1일부터 그 시대의 그랑프리 차량을 보완하는 더 작고 저렴한 포뮬러 2(원래 포뮬러 B)를 공식화했다. 포뮬러 2의 첫 레이스 중 하나는 1948년 스톡홀름 그랑프리였다.

1948년 스쿠데리아 페라리는 페라리 166 F2를 제작, 1948년 9월 26일 피렌체 그랑프리에서 레이싱 데뷔를 했다.

포뮬러 2 규정은 엔진을 2리터 자연 흡기 또는 500cc 슈퍼차저로 제한했다(매우 드물게 사용). 이 차량들은 포뮬러 1 차량보다 작고 가벼우며 저렴했다. 이는 쿠퍼와 같은 새로운 브랜드가 알파 로메오와 마세라티와 같은 대형 제조사와 경쟁하기 전에 포뮬러 2로 진출하도록 장려했다.

1952년과 1953년에는 참가자가 너무 적어 독특한 인디애나폴리스 500을 제외한 모든 세계 선수권 그랑프리 모터 레이싱 레이스가 포뮬러 2 규정으로 진행되었다.

프랑스는 1964년부터 1967년까지 자체적인 선수권 대회인 트로페 드 프랑스(Trophées de France)를 개최했다. 단 4시즌만 진행되었지만, 잭 브라밤(2회), 짐 클라크, 요헨 린트가 챔피언에 올랐다. 레이스는 포, 클레르몽페랑, 랭스-구 등 프랑스의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하지만 유럽 선수권 대회가 첫 시즌을 성공적으로 마친 후, 프랑스 선수권 대회는 폐지되었다.

3. 1. 소련 포뮬러 2 챔피언십

소련 중앙 자동차 클럽(CAMK)은 1956년 10월 영국 그랑프리 등 국제 자동차 경주를 관람한 후 소련 모터스포츠를 발전시키기 위해 FIA에 가입했다. 1959년 CAMK는 소련 경주차에 대한 새로운 분류 시스템을 도입했다. 그러나 적합한 표준 엔진이 없었고, 소련은 당시 특수 경주용 엔진을 생산하지 않았기 때문에 F2 차량은 1960년 소련 모터스포츠 챔피언십에 포함되지 않았다. 그 결과, F2 부문은 1962년에야 소련 자동차 경주 선수권 대회에 데뷔했다. 2년 후, 업데이트된 F2 규정이 도입되었다. 1971년이 되어서야 F2 차량이 소련 트랙에 정기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했고, 1977년까지 F2 시리즈가 소련 모터스포츠 챔피언십에 포함되었다.[11]

3. 2. 일본 포뮬러 2

일본은 1967년부터 1971년까지 1.6L 엔진을 사용하는 포뮬러 2 시리즈 챔피언십을 개최했다. 이 시리즈는 유럽의 레이스와 마찬가지로 단순히 포뮬러 2라고 불렸으며, 일본 팀들은 자체적으로 차체와 엔진을 제작했다. 미쓰비시 콜트가 이 시기 가장 잘 알려진 브랜드 중 하나였다. 1967년부터 1970년까지는 1600cc 배기량 엔진을 사용하는 FIA 규정에 따라 경주가 진행되었다.[30]

1973년부터 1977년까지는 "일본 포뮬러 2000 챔피언십"이 개최되었는데, 이는 2리터 F2와 유사한 규정을 따랐다. 생산 기반의 단일 캠 엔진은 2.4L까지 허용되었지만, 1970년대 중반 FIA 규정에 맞춰 조정되었다. 1978년부터 1986년까지는 "일본 포뮬러 2 챔피언십"이 개최되었다.

1987년부터 일본은 F3000 규정을 채택하여 전일본 F3000 선수권으로 전환하였다. 이 시리즈는 1996년부터 2012년까지 포뮬러 니폰이라는 이름을 사용한 후 현재는 슈퍼 포뮬러로 알려져 있다.

1973년에 전일본 F2000 선수권으로 F2 규정에 의한 시리즈가 시작되었다.[30] 1978년에 F2 규정이 개정되어 전일본 F2 선수권으로 개칭되었다. BMW, 혼다에 더해, 1985년부터 야마하가 참전하여 엔진 메이커 3사 간의 치열한 경쟁이 펼쳐졌다. 1984년에는 이 시리즈를 무대로 한 영화 『F2 그랑프리』(도호 작품)가 제작·공개되기도 했다.

1980년대 중반에는 일본에서도 한정 공급의 혼다 엔진 탑재 차량만 승리하는 상황이 되어, 관객들의 레이스에 대한 관심이 줄어든 시기가 있었다. 1986년까지 일본의 최고 카테고리로 개최되었지만, 유럽의 움직임에 맞춰 1987년부터 전일본 F3000 선수권으로 이행되었다.

3. 3. 오스트레일리아 포뮬러 2

오스트레일리아는 1964년부터 자체적인 오스트레일리아 포뮬러 2 카테고리를 운영해왔다.[12] 1978년부터 이 포뮬러는 배기량 1100cc에서 1600cc 사이의 생산 기반 싱글 캠 엔진으로 구동되는 차량으로 규정했다.[13] 엔진은 자연 흡기 방식이어야 하고, 흡기는 기화기를 사용해야 하며, 8500rpm의 회전수 제한이 적용된다.[14]

오스트레일리아 포뮬러 2 챔피언십은 오스트레일리아 자동차 스포츠 연맹에 의해 1964년부터 1965년까지, 1969년부터 1977년까지, 그리고 1979년부터 1988년까지 공인되었다.[15]

3. 4. 멕시코 포뮬러 2

멕시코는 1990년대 초 12년 동안 자체적인 포뮬러 투 시리즈(이전에는 포뮬러 K로 알려짐)를 운영했다. 사용된 차량은 2.2L 크라이슬러 엔진을 장착한 포뮬러 애틀랜틱 차량과 유사했다.[1]

3. 5. 영국 포뮬러 2

1940년대 후반과 1950년대 초, 영국에서 포뮬러 2 레이싱은 큰 인기를 끌었다.[16] HWM, 코넛, 쿠퍼와 같은 회사들이 이 클래스를 위한 차량을 제작했으며, 주로 브리스톨 엔진을 사용했다. 1956년 F2가 1.5리터 형태로 다시 시작되었을 때, 쿠퍼와 로터스는 코벤트리 클라이맥스 엔진을 활용하여 새로운 규격에 맞는 차량을 처음으로 제작했다.

영국 국내 챔피언십은 1956년부터 1960년까지, 1964년부터 1967년까지, 그리고 1972년에 다시 개최되었다.[16] 스털링 모스,[17] 잭 브라밤, 짐 클라크, 니키 라우다와 같은 유명 드라이버들이 이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영국 포뮬러 3000 시리즈는 대중에게 그 지위를 명확히 알리고자 잠시 "포뮬러 2"로 불리기도 했다. 그러나 이 시리즈는 이미 쇠퇴하고 있었고, 명칭 변경은 큰 효과를 보지 못했다. 한때 F3000 섀시에 4.2L TVR 엔진을 사용한 차량을 영국 F2로 사용하는 방안이 논의되기도 했지만, 이는 실현되지 않았다.

3. 6. 트로페 드 프랑스 (Trophées de France)

프랑스는 유럽 선수권 대회가 창설되기 전인 1964년부터 1967년까지 자체적인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다.[2] 단 4시즌만 진행되었지만, 브라밤이 3번의 우승을 차지했으며, 챔피언은 잭 브라밤(2회), 짐 클라크, 요헨 린트에게 돌아갔다. 레이스는 포, 클레르몽페랑, 랭스-구 등 프랑스의 전설적인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하지만 유럽 선수권 대회가 첫 시즌을 성공적으로 마친 후, 프랑스 선수권 대회는 폐지되었다.

4. 주요 사망 사고

5. 챔피언 목록

포지션우승포디움가장
빠른 랩포인트차이 (점수)1960 잭 브라밤쿠퍼 카 컴퍼니(Cooper Car Company)
쿠퍼–클라이맥스12302021967 재키 익스티렐 레이싱(Tyrrell Racing)
마트라–코스워스224345111968 장-피에르 벨투아즈마트라 스포츠
마트라–코스워스235148171969 조니 서보즈-개빈마트라 인터내셔널(Matra International)
마트라–코스워스11213791970 클레이 레가조니테크노 레이싱 팀
테크노–코스워스23514491971 로니 피터슨마치 엔지니어링(March Engineering)
마치–코스워스746554141972 마이크 헤일우드팀 서티스
서티스–코스워스125255181973 장-피에르 자리에마치 엔지니어링(March Engineering)
마치–BMW478578371974 패트릭 드파일러마치 엔지니어링(March Engineering)
마치–BMW346254111975 자크 라피트에퀴리 엘프
마티니–BMW667460241976 장-피에르 자부일에퀴프 엘프
엘프 2J–르노43615311977 르네 아르누에퀴리 르노 엘프
마티니–르노136152121978 브루노 지아코멜리폴리팩 BMW 주니어 팀
마치–BMW8810682311979 마르크 수레르폴리팩 BMW 주니어 팀
마치–BMW22613821980 브라이언 헨턴톨레만 그룹
톨레만–하트239761191981 제프 리스랄트 레이싱 주식회사
랄트–혼다136551141982 코라도 파비마치 레이싱 주식회사
마치–BMW25735711983 조나단 파머랄트 레이싱 주식회사
랄트–혼다4610368171984 마이크 태크웰랄트 레이싱 주식회사
랄트–혼다678972282009 앤디 소우섹모터스포츠 비전(MotorSport Vision)
윌리엄스–아우디27113115512010 딘 스토너맨모터스포츠 비전(MotorSport Vision)
윌리엄스–아우디66136284422011 미르코 보르톨로티모터스포츠 비전(MotorSport Vision)
윌리엄스–아우디771473161212012 루치아노 바체타모터스포츠 비전(MotorSport Vision)
윌리엄스–아우디35105231.521.52017 샤를 르클레르프레마 레이싱
달라라-메카크롬87104282722018 조지 러셀ART 그랑프리
달라라-메카크롬57116287682019 닉 드 브리스ART 그랑프리
달라라-메카크롬54123266522020 믹 슈마허프레마 레이싱
달라라-메카크롬02102215142021 오스카 피아스트리프레마 레이싱
달라라-메카크롬56116252.560.52022 펠리페 드루고비치MP 모터스포츠
달라라-메카크롬541142651012023 테오 푸셰르ART 그랑프리
달라라-메카크롬21104203112024 가브리엘 보르톨레토인빅타 레이싱
달라라-메카크롬2282214.522.5


5. 1. 유럽 포뮬러 2 챔피언십 (1967년–1984년)

FIA은 1967년에 유럽 포뮬러 투 선수권 대회를 도입했다. 초대 챔피언은 자키 익스(Ickx)로, 마트라(Matra) MS5를 몰고 호주 출신 프랭크 가드너를 11점 차로 제치고 우승했다.[2]

1600cc 엔진 규정이 도입되면서, 포뮬러 투는 포뮬러 원의 육성 시리즈로서의 역할을 되찾았다. 가장 인기 있었던 엔진은 코스워스(Cosworth) FVA로, 4기통 코티나(Cortina) 블록에 16밸브 헤드가 장착되었으며, 9000rpm에서 220bhp의 출력을 냈다.[2] BMW, 디노 페라리 등 다른 엔진들도 사용되었다.

많은 포뮬러 원 드라이버들이 비 챔피언십 주말에 포뮬러 투 차량을 몰았으며, 특히 뉘르부르크링(Nürburgring)과 같은 긴 서킷에서는 포뮬러 원과 포뮬러 투 차량이 혼합되어 레이스를 펼치기도 했다.[2] 짐 클라크(Jim Clark)와 게르하르트 미터(Gerhard Mitter)는 포뮬러 투 레이스 도중 사망하기도 했다.

포뮬러 원 드라이버들의 포뮬러 투 참가는 독특한 등급 시스템 때문에 가능했다. 'A' 등급 드라이버는 챔피언십 포인트를 얻을 수 없었는데, 이 시스템은 경험이 적은 드라이버들이 챔피언십 경쟁을 하고, 고참 드라이버들은 감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

초창기에는 브라밤과 로터스가 주요 컨스트럭터였으며, 페라리, BMW, 마트라, 테크노, 셰브론 등도 참여했다. 마트라는 처음 세 번의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고, 테크노가 네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1972년에는 2.0리터 생산 기반 엔진 사용이 허용되면서 코스워스 BD와 BMW 엔진이 경쟁을 주도했고, BMW 엔진을 탑재한 마치가 점차 우위를 점했다. 1976년부터는 경주 전용 엔진 참가가 허용되면서 르노 V6 엔진이 강력한 성능을 보였다. 하트 420R 엔진도 톨먼 팀 차량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마치와 랄트가 지배적인 섀시였으며, 마티니, 마우러 등도 성공을 거두었다.

혼다는 1980년대 초 V6 엔진으로 포뮬러 투에 복귀했지만, 워크스 랄트-혼다 팀과 경쟁하는 데 드는 비용이 과도해져 그리드 규모가 줄어들고 시리즈는 멸망 위기에 놓였다.

1967년부터 1984년까지의 유럽 F2 챔피언십 챔피언 목록은 다음과 같다.

'''유럽 F2 선수권'''
연도챔피언국적
1967년자키 익스 벨기에
1968년장피에르 벨투아즈 프랑스
1969년조니 서보-가뱅 프랑스
1970년클레이 레가조니
1971년로니 페터손
1972년마이크 헤일우드 영국
1973년장피에르 자리에 프랑스
1974년패트릭 드패일러 프랑스
1975년자크 라피트 프랑스
1976년장피에르 자부이 프랑스
1977년르네 아르누 프랑스
1978년브루노 자코멜리 이탈리아
1979년마크 수레르
1980년브라이언 헨튼 영국
1981년제프 리스 영국
1982년코라도 파비 이탈리아
1983년조나단 파머 영국
1984년마이크 삭웰 뉴질랜드



유럽 F2 챔피언십은 1984년을 끝으로 폐지되었고, 1985년부터 국제 F3000 선수권으로 대체되었다. 유럽 F2 챔피언 출신 중에서는 F1 월드 챔피언이 나오지 않았으며, 이 징크스는 국제 F3000 시대에도 이어졌다.

5. 2. FIA 포뮬러 2 챔피언십 (2009년–2012년)

25년의 공백기를 거쳐 2009년 FIA에 의해 포뮬러 투 챔피언십이 부활했다.[3] FIA 포뮬러 투 챔피언십은 모든 참가자가 동일한 섀시와 엔진을 사용하는 원 메이크 레이싱 시리즈였다. 조나단 팔머의 모터스포츠 비전 회사가 챔피언십을 관리했으며, 드라이버를 대신하여 차량을 운영하고 유지 보수했다.[4] 챔피언십에는 팀이 없었고, 각 드라이버는 모터스포츠 비전에서 제공하는 엔지니어와 함께 작업했다. 차량은 윌리엄스 그랑프리 엔지니어링에서 설계했으며, 425hp의 마운튠 레이싱이 개발한 1.8L 터보차지 아우디 엔진으로 구동되었다. 차량의 성능은 포뮬러 원과 포뮬러 쓰리에 중간 수준이었으며, 각 드라이버는 한 시즌에 195,000파운드를 지불했다.[5]

2009년 챔피언십은 5월부터 11월까지 유럽에서 8번의 경기로 구성되었다. 주말마다 두 번의 레이스가 있었으며, 각 레이스는 110km(약 40분)였다. 두 번의 30분 연습 세션과 두 번의 30분 예선 세션이 두 레이스 전에 진행되었다.[6] 초대 챔피언십은 앤디 소우섹이 우승했지만, 헨리 서티스가 브랜즈 해치에서 열린 4라운드에서 사망하는 사고로 얼룩졌다.[7]

이 시리즈는 2012 시즌 이후 FIA와 MSV에 의해 중단되었다.[8] 챔피언십은 마지막 해에 충분한 수의 드라이버를 유치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단일 팀 개념은 더 전통적인 방식으로 운영되는 챔피언십에 비해 인기가 없었다.[9] 포뮬러 원의 하위 시리즈로 홍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경쟁 GP2 시리즈 및 포뮬러 르노 3.5 시리즈는 훨씬 더 강력한 차량을 가지고 있었으며,[9] 2016년 포뮬러 원 시즌에 르노 F1 팀과 함께 졸리언 팔머가 포뮬러 원 팀으로 진출하기 전까지는 포뮬러 투 드라이버는 포뮬러 원 팀으로 진출하지 못했다.

'''FIA F2 선수권'''
연도챔피언국적
2009년앤디 소우섹 스페인
2010년딘 스톤먼 영국
2011년미르코 보르톨로티 이탈리아
2012년루치아노 바체타 영국


5. 3. FIA 포뮬러 2 챔피언십 (구 GP2, 2017년–현재)

2015년, 국제 자동차 연맹(FIA)은 슈퍼 라이센스 시스템을 개편하면서 포뮬러 투 카테고리의 부활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드라이버들이 보다 선형적인 진행 시스템을 따르도록 하기 위함이었다.[10] 2017년 초, FIA는 GP2 시리즈의 이름을 ''FIA 포뮬러 2 챔피언십''으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2017년 제네바에서 개최된 세계 모터스포츠 협의회에서 GP2가 "FIA 포뮬러 2 챔피언십"으로 개칭되면서,[26] F2는 FIA가 정의하는 포뮬러 카 레이스 중 F1 바로 아래 카테고리로 부활했다. 이로써 카트에서 F4, F3, F2, F1으로 이어지는 피라미드형 시스템이 형성되었다.

첫 해에는 구 GP2에서 사용된 "GP2/11" 머신이 그대로 사용되었지만, 2018년부터 달라라(Dallara)제 신차 "F2 2018"이 도입되었다. 메카크롬(Mecachrome)제 3.4L V6 싱글 터보 엔진으로 변경되었고, 2018년부터 F1에도 도입된 콕핏 보호 시스템 "Halo"가 장착되었다.[27] F2 2018은 2023년 시즌을 끝으로 사용이 종료되었으며, 2024년부터는 달라라제 신형 섀시로 전환될 예정이다.

현재 11개 팀 모두 Mecachrome 엔진으로 구동되는 Dallara F2 2024 섀시를 사용한다.

5. 3. 1. 드라이버 챔피언

2015년, 국제 자동차 연맹(FIA)은 슈퍼 라이센스 시스템을 개편하면서 포뮬러 투 카테고리의 부활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드라이버들이 보다 선형적인 진행 시스템을 따르도록 하기 위함이었다.[10] 2017년 초, FIA는 GP2 시리즈의 이름을 ''FIA 포뮬러 2 챔피언십''으로 변경했다. 그 이후로 샤를 르클레르, 조지 러셀, 오스카 피아스트리 등이 F1으로 진출했다.

연도챔피언국적
2017년샤를 르클레르
2018년조지 러셀영국
2019년닉 데 브리스
2020년믹 슈마허
2021년오스카 피아스트리오스트레일리아
2022년펠리페 드루고비치브라질
2023년테오 푸르셰르프랑스
2024년가브리엘 보르톨레토브라질


5. 3. 2. 팀 챔피언

연도챔피언국적
2017년러시안 타임 러시아
2018년카린 영국
2019년DAMS 프랑스
2020년프레마 레이싱 이탈리아
2021년프레마 레이싱 이탈리아
2022년MP 모터스포츠
2023년ART 그랑프리 프랑스
2024년인비크타 레이싱 영국


5. 3. 3. 앙투안 위베르 상

앙투안 위베르 상은 2019년 스파-프랑코르샹에서의 레이스 중 사고로 사망했으며[28], 그 해에 2번 우승한 유일한 신인이었던 앙투안 위베르를 기념하여 명명되었다. 이 상은 포뮬러 2의 루키 시즌에서 최고 순위의 드라이버에게 수여된다. 다른 스포츠의 "루키, 신인, 올해의 신인상"에 해당한다[29].

년도챔피언국적
2019년저우관위중국
2020년츠노다 유키일본
2021년오스카 피아스트리오스트레일리아
2022년이와사 아유무일본
2023년빅토르 마르탱스프랑스


참조

[1] 서적 Autocourse Review of International Motor Sport 1960 Part Two 1961
[2] 웹사이트 Formula 2 (1967–1984) http://www.oldracing[...] 2011-02-01
[3] 웹사이트 World Motor Sport Council – Decisions http://fia.com/en-GB[...]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l'Automobile 2015-01-22
[4] 웹사이트 Palmer's MSV wins F2 contract http://www.itv-f1.co[...] ITV Sport 2015-01-22
[5] 웹사이트 F2: A closer look http://www.racecar-e[...] Chelsea Magazines 2015-01-22
[6] 뉴스 How Formula 2 can work http://www.grandprix[...] grandprix.com 2008-07-18
[7] 뉴스 Henry Surtees dies after F2 crash http://www.autosport[...] Haymarket Media 2009-07-19
[8] 웹사이트 MotorSport Vision cancels Formula 2 championship http://www.autosport[...] Haymarket Media 2015-01-24
[9] 웹사이트 Formula 2 cancelled for 2013 http://www.espn.co.u[...] ESPN 2015-01-24
[10] 웹사이트 FIA begins work on new Formula 2 feeder category for Formula 1 http://m.autosport.c[...] 2015-03-21
[11] 웹사이트 Soviet Formula 2 http://www.teamdan.c[...] 2023-07-01
[12] 간행물 Racing Car News 1963-12
[13] 서적 The Macquarie Dictionary of Motoring 1986
[14] 웹사이트 Specifications of Automobiles – Australia Formula 2 http://www.camsmanua[...] 2009-08-02
[15] 웹사이트 Australian Titles http://www.camsmanua[...] 2009-08-02
[16] 웹사이트 British F1, F2, F3000, F5000 & F.Atlantic – 1957–1994 http://www.dlg.speed[...]
[17] 웹사이트 The story of Stirling Moss' participation in the first ever F1 race weekend https://www.insidef2[...] 2021-12-28
[18] 문서 賞金とは別に、レースへのエントリーに対して支払われる「出走約束料」。人気ドライバーの参戦は観客動員を左右するため、ネームバリューのある選手ほど好待遇になる。
[19] 문서 1968年には[[ジム・クラーク (レーサー)|ジム・クラーク]]がF2出場中に事故死している。
[20] 문서 BMWはホンダと異なり、代金さえ払えばどのチームにもエンジンを供給していた
[21] 문서 GP2シリーズにフル参戦するためには、年間数億円の予算が必要と言われている。
[22] 웹사이트 Palmer submits F2 tender http://www.autosport[...]
[23] 웹사이트 FIA Formula Two Championship http://www.fia.com/e[...]
[24] 웹사이트 Soucek: Williams test a dream chance http://www.autosport[...]
[25] 웹사이트 MSV and FIA agree not to run F2 in 2013 http://www.formulatw[...]
[26] 웹사이트 FIA ANNOUNCES FIA FORMULA 2 CHAMPIONSHIP http://www.fia.com/n[...]
[27] 뉴스 FIA F2、2018年から導入の新型マシンを初公開。V6ターボエンジン&ハロ採用 http://www.as-web.jp[...] オートスポーツ 2017-08-31
[28] 웹사이트 【訃報】F2ドライバーのアントワーヌ・ユベール、スパのクラッシュで他界 https://jp.motorspor[...] jp.motorsport.com 2022-12-14
[29] 웹사이트 F2、故アントワーヌ・ユベールの名を冠した新人賞を創設。周冠宇が初代受賞者に https://jp.motorspor[...] jp.motorsport.com 2022-12-14
[30] 문서 ただし、エンジンの最低生産台数規定は適用されなかっ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