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황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황제는 천황을 중심으로 하는 일본의 국가 체제를 의미하며, 좁은 의미로는 대일본제국 헌법 하의 군주제를, 넓은 의미로는 일본국 헌법 하의 상징 천황제와 고대 천황 제도를 포함한다. 이 용어는 쇼와 시대 초 마르크스주의 용어로 등장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사회 과학 용어로 정착되었으며, 보수파와 존황주의자들은 황실이나 국체 등의 용어를 선호한다. 천황제는 일본 역사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근대 국가 체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현재는 일본국 헌법에 따라 상징적인 지위를 가지며, 국민의 지지를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천황제 | |
---|---|
지도 | |
개요 | |
명칭 | 일본국 (日本国) |
로마자 표기 | Nihon-koku / Nippon-koku |
표어 | 平和と繁栄 |
정치 체제 |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
상징 천황제 | 일본의 정치 체제는 상징적인 천황을 중심으로 하며, 실질적인 권한은 내각에 있음 |
국가 원수 | 천황 |
정부 수반 | 내각총리대신 |
천황 | |
현 천황 | 나루히토 (徳仁) |
로마자 표기 | Naruhito |
즉위일 | 2019년 5월 1일 |
내각 | |
현 내각총리대신 | 기시다 후미오 (岸田文雄) |
로마자 표기 | Kishida Fumio |
취임일 | 2021년 10월 4일 |
입법부 | |
의회 | 국회 |
구성 | 참의원 (상원) 및 중의원 (하원) |
사법부 | |
최고 재판소 | 최고재판소 |
역사 | |
주요 사건 | 메이지 유신 태평양 전쟁 일본국 헌법 제정 |
현재 체제 확립 | 일본국 헌법 공포 이후 |
기타 정보 | |
공용어 | 일본어 |
수도 | 도쿄도 |
통화 | 일본 엔 (JPY) |
국가 코드 | JPN |
도메인 | .jp |
국제전화 | +81 |
2. 용어
'천황제'라는 용어는 쇼와 초기 (일본 자본주의 논쟁, 1932년 논문 등)에 마르크스주의 용어로 등장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사회 과학 용어로 정착했다. 1945년 이후 신문과 국회에서 '천황제' 용어 사용이 점차 일반화되었다.
보수파와 존황주의자들은 천황제라는 용어를 기피하고 황실이나 국체 등의 용어를 사용한다. 타니자와 에이이치는 천황제라는 용어가 황실을 폄하하기 위한 용어라고 말했다.[58] 소설가 시바 료타로는 천황제라는 말에 악의가 들어있다고 했다.
2. 1. 용어의 의미
"천황제"라는 용어는 대부분 천황을 중심으로 한 일본의 국가체제를 의미한다.[4] 좁은 의미로는 대일본제국 헌법 하의 군주제인 천황제를 가리키며, 넓은 의미로는 일본국 헌법 하의 상징천황제와 고대 천황 제도까지 포함한다.[4]"천황제"에 대한 여러 사전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사전 | 정의 |
---|---|
『일본사광사전』 | 천황을 중심으로 하는 일본의 국가체제[4] |
『이미다스』 | 천황을 국가의 군주 또는 상징으로 하는 정치 체제[4] |
『이와나미 일본사사전』 | 넓은 의미로는 전근대 천황제와 상징천황제를 포함하며, 좁은 의미로는 메이지 유신부터 패전까지의 근대 천황제를 가리킨다.[4] |
『백과사전 마이페디아』 | 넓게는 천황을 군주로 하는 국가 제도. (중략) 대개 좁은 의미로 사용되며, 메이지 유신부터 1945년까지의 근대 천황제를 가리킨다.[4] |
『대사림 제3판』 | 넓은 의미로는 천황을 최고 권력자로 하는 일본의 국가 체제. 고대 천황제. 좁은 의미로는 대일본제국헌법에 의해 확립된 천황을 정치적·정신적 최고 권위로 하는 일본적인 전제 군주제. 근대 천황제[4] |
『일본대백과사전 닛포니카』 | 좁은 의미로는 천황을 군주 또는 정치 지배의 권위의 근원으로 하는 국가 제도를 가리키고, 넓은 의미로는 그러한 국가 제도를 떠받치는 사회 구조와 지배 이데올로기를 포함하여 천황제라는 말이 사용되고 있다.[4] |
『정선판 일본국어대사전』 | 천황이 군주가 되어 있는 통치 체제. 특히 대일본제국헌법 하의 정치 체제를 말한다. 또한 현행 헌법 하에서 국가의 상징으로서의 천황의 제도를 천황제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4] |
『세계대백과사전 제2판』 | 일본 특유의 군주제를 가리키는 용어. 좁은 의미로는 메이지 유신부터 제2차 세계 대전 패전까지의 근대 천황제를 가리키지만, 넓은 의미로는 고대 천황제, 전후의 상징 천황제도 포함된다.[4] |
"천황제(天皇制)"라는 용어는 쇼와 초기 (일본 자본주의 논쟁, 1932년 테제 등)에 일본 공산당이 마르크스주의 용어로 사용하기 시작했다.[5]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에는 사회과학 용어로 자리 잡았다.[4] 본래 독일의 군주제에 비유하여 타도해야 할 대상으로 만들어진 단어였으며, 반정부 용어였다.[5] 궁내청은 이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현재도 “황실 제도(皇室制度)”라고 부른다.
1945년 이후, 신문과 국회에서 “천황제”라는 용어의 사용이 점차 일반화되었다.
언론사 및 기관 | 사용 예시 |
---|---|
요미우리 호치 | 1945년 10월 20일 “천황제 국민의 의지로 결정”[6] |
아사히 신문 | 1945년 10월 20일 “천황제의 운명, 선거에 묻는 것도 한 방안”[9] |
일본경제신문 | 1978년 6월 9일 “무거운 천황제 논의”[12] |
중일신문 | 1988년 5월 22일 “천황제는 74%가 지지”[13] |
마이니치 신문 | 1990년 1월 20일 “천황제 금기시하지 않고 있다”[14] |
산케이 신문 | 1995년 5월 9일 “(주장) 헌법을 생각하다 천황제와 국민주권”[15] |
귀족원 본회의 | 1945년 11월 29일 니아라 요시노리 “오늘은 천황제를 논하여 그것을 부정한다는 듯한 사상이 나오고 있다”[17] |
귀족원 특별위원회 | 1945년 11월 29일 야마다 산료 “그 결과로서, 천황제를 이리저리 말할 뿐만 아니라, 공산주의적인 것을 공공연히 주장하고 있다”[18] |
내각총리대신 | 카타야마 테쓰 - 1947년 9월 20일 “(인간 천황에 대해) 거기에 새로운 우리나라의 천황제의 모습이 나타나 있는 것이다.”[19] |
최고재판소 | 1948년 5월 26일 플래카드 사건 판결문 “(일본의 통치 형태는) 천황제의 존폐도 국민의 자유로운 의지에 따라 결정되어야 할 문제였다.”[26] |
자유민주당 | 2011년 당대회 당정보고 “(헌법 개정에 대해) 헌법 전문, 천황제, 국기·국가, 9조, 일원제인가 이원제인가, 지방자치, 개정 조항 등 더욱 논의를 심화시켜야 할 논점을 제시했다.”[27] |
일본유신회 | 2017년 성명 “앞으로도, 천황제, 황실 제도에 대해 국회에서 논의를 계속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28] |
공명당 | 2019년 뉴스 “상징 천황제는 국민 사이에 정착했습니다.”[29] |
일본공산당 | 2004년 창립 81주년 기념 강연 “우리는, 목표로서는 민주주의의 정신, 인간 평등의 정신에 따라, 천황제를 없애는 입장에 섭니다.”[30] |
2. 2. 용어의 역사
'천황제'라는 용어는 쇼와 초기의 국가 논쟁 (일본 자본주의 논쟁, 1932년 테제 등)에서 마르크스주의 용어로 등장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사회 과학 용어로 정착했다. 원래는 독일의 군주제에 비유하여 타도해야 할 대상으로 만들어진 단어였으며, 반정부 용어였다. 궁내청은 이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현재도 “황실 제도(皇室制度)”라고 부른다. 1945년 이후 신문과 국회에서 '천황제' 용어의 사용이 점차 일반화되었다.보수파와 존황주의자들은 천황제라는 용어를 기피하고 황실이나 국체 등의 용어를 사용한다. 谷沢永一는 천황제라는 용어는 황실을 폄하하기 위한 용어라고 말했다.[58] 소설가 시바 료타로는 천황제라는 말에 악의가 들어있다고 했다.
다음은 1945년 이후 신문에서 "천황제"라는 용어를 사용한 사례이다.
신문 | 사용 예시 |
---|---|
요미우리 호치 | 1945년 10월 20일 “천황제 국민의 의지로 결정”[6], 동년 12월 7일 “(사설) 천황제 논의의 자유”[7], 동년 12월 18일 “(사설) 신도와 천황제”[8] |
아사히 신문 | 1945년 10월 20일 “천황제의 운명, 선거에 묻는 것도 한 방안”[9], 동년 11월 15일 “천황제에 관한 세계의 목소리”[10], 동년 11월 23일 “천황제의 여론조사”[11] |
일본경제신문 | 1978년 6월 9일 “무거운 천황제 논의”[12] |
중일신문 | 1988년 5월 22일 “천황제는 74%가 지지”[13] |
마이니치 신문 | 1990년 1월 20일 “천황제 금기시하지 않고 있다”[14] |
산케이 신문 | 1995년 5월 9일 “(주장) 헌법을 생각하다 천황제와 국민주권”[15], 2013년 8월 16일 “(편집 일지) 종전의 날과 천황제”[16] |
다음은 국회에서 "천황제"라는 용어를 사용한 사례이다.
기관 | 사용 예시 |
---|---|
제국의회 귀족원 본회의 니아라 요시노리 | 1945년 11월 29일 “오늘은 천황제를 논하여 그것을 부정한다는 듯한 사상이 나오고 있다”[17] |
제국의회 귀족원 특별위원회 야마다 산료 | 1945년 11월 29일 “그 결과로서, 천황제를 이리저리 말할 뿐만 아니라, 공산주의적인 것을 공공연히 주장하고 있다”[18] |
내각총리대신 카타야마 테쓰 | 1947년 9월 20일 “(인간 천황에 대해) 거기에 새로운 우리나라의 천황제의 모습이 나타나 있는 것이다.”[19] |
내각총리대신 하토야마 이치로 | 1955년 1월 24일 “(헌법 개정에 대해) 천황제에 대해서는, 이것은 매우 중대한 문제이며”[20] |
내각총리대신 키시 노부스케 | 1957년 3월 11일 “(천황을 원수라고 부르는 것에 대해) 천황제를 부활시킨다거나, 또는 천황의 정치적 권력을 증가시킨다는 의미에서 원수로 한다는 의미는 절대로 아니다”[21] |
내각총리대신 이케다 하야토 | 1964년 1월 29일 “(헌법 개정에 대해) 천황제의 부활이나, 징병제도, 구가족제의 재건 같은 것은 전혀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을 우리 당은 분명히 말하고 있다”[22] |
내각총리대신 오히라 마사요시 | 1979년 6월 5일 “(쇼와의 연호는) 두 가지 관점에서 천황제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23] |
내각총리대신 나카소네 야스히로 | 2004년 11월 11일 “우리는, 동북아시아의 섬들에 역대 상속되어, 천황제 아래에서, 독자적인 문화와 고유의 민족 생활을 형성해 왔다.”[24] |
내각총리대신 고이즈미 준이치로 | 2006년 2월 28일 “국민 통합의 상징인 천황제를, (중략) 일본의 역사와 전통의 천황제가 유지되는 형태로 만들고 싶다”[25] |
최고재판소 | 1948년 5월 26일 플래카드 사건 판결문 “(일본의 통치 형태는) 천황제의 존폐도 국민의 자유로운 의지에 따라 결정되어야 할 문제였다.”[26] |
다음은 정당에서 "천황제"라는 용어를 사용한 사례이다.
정당 | 사용 예시 |
---|---|
자유민주당 | 2011년 당대회 당정보고 “(헌법 개정에 대해) 헌법 전문, 천황제, 국기·국가, 9조, 일원제인가 이원제인가, 지방자치, 개정 조항 등 더욱 논의를 심화시켜야 할 논점을 제시했다.”[27] |
일본유신회 | 2017년 성명 “앞으로도, 천황제, 황실 제도에 대해 국회에서 논의를 계속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28] |
공명당 | 2019년 뉴스 “상징 천황제는 국민 사이에 정착했습니다.”[29] |
일본공산당 | 2004년 창립 81주년 기념 강연 “우리는, 목표로서는 민주주의의 정신, 인간 평등의 정신에 따라, 천황제를 없애는 입장에 섭니다.”[30] |
2. 3. 용어에 대한 비판
보수파와 숭실(尊皇)주의자들은 "천황제"라는 용어가 천황과 황실을 폄하하는 용어라고 비판하며, 황실이나 국체와 같은 용어를 선호한다. 타니자와 에이이치는 "천황제"라는 용어가 황실을 폄하하기 위한 용어라고 말했으며,[58] 소설가 시바 료타로는 "천황제"라는 말에 악의가 들어있다고 했다.[31]2. 4. 관련 용어
; 천황제 절대주의대일본제국 헌법 아래의 천황제를 절대주의로 간주하는 용어이다. 1930년대 사회주의 강좌파가 사용했다. 강좌파는 메이지 유신을 불완전한 부르주아지 혁명으로 보았으며, 반봉건적 지주제를 타파하고 사회주의·공산주의 혁명을 해야 한다는 이단계혁명론을 주장했다. 노농파는 메이지 유신이 부르주아 혁명이며, 자본주의·제국주의에 대한 사회주의, 공산주의 혁명을 해야 한다는 일단계혁명론을 주장했다. 일본공산당은 2020년 개정된 강령에서도 천황이 모든 권한을 가진 절대주의적 천황제라고 명시했다.[59]
역사가 이시이 다카시(石井孝)는 메이지 유신으로 봉건제인 막번체제가 해체되고 절대주의 천황제 정권과 국가가 성립되었다고 기록했다.[60]
; 천황제 파시즘
천황제를 파시즘의 일종으로 간주하는 용어이다.
; 상징 천황제
일본국 헌법 아래에서 상징으로서의 천황을 중심으로 하는 제도를 말한다.
3. 역사
3세기경, 원시 공동체가 해체되면서 원시 종교의 사제로서 신에 가까운 존재로 여겨지던 지도자들이 군사 및 정치적 통치자로 군림하게 되었다. 이러한 원시적인 군주제에서 고대 군주제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일본 각 지역에는 강력한 수장을 왕으로 하는 체제가 형성되었다. 그중 畿内의 권력 수장이 여러 정권의 연합체 지도자로서 "오키미"라 불리며 야마토 정권을 형성하였다.[1]
689년(지토 천황 시대) "천황(天皇)"이라는 칭호가 일본의 왕에게 붙여졌다.[1] 8세기 초 율령이 확립되면서 천황은 외교, 군사, 통치, 관료 임명, 형벌 권한을 가진 중국식 황제로서의 지위를 확립하였다.[1] 그러나 12세기 말, 源頼朝가 平氏를 멸망시키고 가마쿠라 막부를 개설하면서 천황의 통치권은 사실상 박탈되었고, 이후 메이지 유신 이전까지 막부 체제가 일본의 사실상 통치자로 유지되었다.[1]
에도 시대 말엽, 존왕양이 운동이 확산되면서 천황은 倒幕運動일본어 (막부 반대 운동)의 중심으로 부상하였다. 메이지 유신으로 에도 막부가 타도되고 메이지 헌법이 제정되면서 천황은 국가 원수로 확립되었다.
메이지 시대 일본 정부는 자유민권운동의 성장 속에서 의회 제도 도입을 인정하였다.[1] 독일 제국을 모델로 한 정부 형태 하에서 일본은 근대 국가가 되었고, 천황을 신성시하는 문화는 통일에 도움이 되었다.
쇼와 시대에는 극우 민족주의가 군국주의자들과 국가주의 정치인들에 의해 이용되었고, 이들은 신성시되는 천황의 권위를 내세워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켰다.
태평양 전쟁에서 패전한 일본을 점령한 연합군 최고사령부는 "천황제"를 해체하였다. 히로히토 천황은 인간 선언을 발표하였고, "천황제"는 정치적 권력이 없는 국가 상징으로서의 천황을 중심으로 한 "상징 천황제"로 대체되었다.[1]
3. 1. 고대
645년 대화개신(大化の改新)으로 천황 중심의 정치가 시작되었고, "천황"이라는 칭호도 사용되기 시작했다.[1] 7세기 후반부터 중국의 정치 체제를 본뜬 율령제(律令制) 도입이 진행되어, 701년 대보율령(大宝律令)으로 율령제가 확립되었다. 국호(일본)와 연호(대보)가 공식적으로 정해졌고, 역대 천황에게 한풍(漢風) 시호(諡)가 일괄 선정되었다. 이렇게 천황을 중심으로 한 중앙집권 체제가 확립되어 친정(親政)이 이루어졌다.3. 2. 중세
가마쿠라 막부가 성립되면서, 천황·상황을 중심으로 한 조정과 쇼군을 중심으로 한 막부의 이중 정권 양상을 보였다. 조큐의 난에서는 막부 측이 승리했지만, 천황 측 세력도 여전히 강하여 가마쿠라 막부가 멸망하자 고다이고 천황이 천황 친정을 부활시켰다(겐무 신정).무로마치 막부 성립 후 천황은 남조와 북조로 분열되었다(남북조 시대). 오랜 전란 끝에 무로마치 막부의 3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에 의해 남북조가 통일되었다(1392년). 요시미쓰는 막부 권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일본 국왕”으로서 명 황제에게 조공하는 형식으로 감합무역을 하였다. 요시미쓰 사망(1394년) 시 조정은 “녹원원 태상법황” 칭호를 증정하였다(이러한 이유로 요시미쓰가 황위를 찬탈하려는 의도를 가졌다고 보는 사가도 있다).
3. 3. 근세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천황의 존재와 권위를 부정하지 않고, 정치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자신의 권위를 높여 갔다.[1] 에도 막부 아래에서도 천황의 권위는 유지되었지만, 금중병공가제법도에 "천자 제연예의 일, 제일 어학문야"라고 규정되어 조정의 입장은 크게 제약을 받게 되었다.[1] 자의사건 등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연호 칙정 등 몇몇 예외를 제외하고는 정치 권력은 거의 없었다.[1]막부가 학문에 유학의 주자학을 채택하면서, 패자인 도쿠가와 가문보다 '천황'이 정당한 지배자라는 존황론이 미토 도쿠가와 가문을 중심으로 성행하게 되었다.[1]
에도 시대 말에는 존황양이론이 일어나, 천황은 척막 운동의 중심으로 추앙받았다.[1] 존황양이론은 천황을 중심으로 한 정치 체제를 구축하고 대외적으로 독립을 유지하려는 정치 사상으로, 막말의 정치 상황을 크게 뒤흔들었다.[1] 요시다 쇼인이 주창한 일군만민사상은 유사한 평등 사상이며, 막부의 권위를 부정하는 이데올로기가 되었다.[1] 그러나 존황양이파 지사 일부는 천황을 '옥'(ぎょく)이라 부르며 정권을 잡기 위한 수단으로 인식하기도 했다.[1]
3. 4. 메이지 유신 이후
메이지 유신을 계기로 천황을 중심으로 한 근대 국가 건설이 진행되었다. 1889년(메이지 22년) 대일본제국헌법이 발포되어 천황을 통치권의 총괄자로 규정하고, 통치권이 헌법 조항에 따라 행사되어야 함을 명시하였다. 이에 따라 군주 주권과 입헌주의를 병존시킨 천황제 국가가 수립되었다. 이토 히로부미는 천황에게 절대권력을 기대한 것이 아니라 군림하되 통치하지 않는 것을 지향했다. 처음에는 번벌 정부가 천황의 권위에 기대어 정치를 했고, 이후 의회주의가 시도되었다. 하지만 점차 천황은 군주이자 원수가 되었다.[58]일본 제국 헌법은 프로이센 왕국과 벨기에의 헌법을 모델로 만들어졌다. 이토 히로부미는 유럽 정치체제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의회 제도뿐만 아니라 국민 통합을 위한 종교로 기독교가 있음을 파악하고, 천황이 일본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해주길 기대했다.
제국헌법에서는 천황이 원수라고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었다.
의회와는 별개로 추밀원의 힘이 강력했고, 헌법에도 없는 원로나 내대신 등이 정치에 개입했으며, 헌법상 국민의 기본권도 침해가 가능하여 허울뿐인 입헌주의로 보는 학자도 있다. 중의원이 정부에 반하게 될 것을 우려하여 귀족원을 두어 권한을 분산했다.
실제로 통치한 쪽은 천황이 아니라 원로와 내각이었다. 내각총리대신은 국무대신과 헌법상 대등한 지위였다.
쇼와 시대에 들어와 군부는 군 통수권이 천황에게 있으므로 내각의 방침에 따르지 않아도 된다며 헌법을 확대 해석하면서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했다. 군대가 천황을 내세워 쿠데타를 일으켜도 저지할 방법이 없었다. 2·26 사건과 統帥権干犯問題을 참고하라. 마루야마 마사오는 이러한 주체성이 결여된 통치 체계를 무책임의 체계라고 불렀다. 이 시기 천황제는 절대주의적 천황제로 불리기도 했으며 일본 파시즘의 한 축을 담당했다.[59]
3. 5. 제2차 세계 대전 종결 후
연합군 최고 사령부는 태평양 전쟁에서 패전한 일본을 점령한 후 "천황제"를 해체하였다. 그 결과 당시 재위 중이던 히로히토 천황이 인간 선언을 발표하였다. "천황제"는 정치적 권력이 없는 국가 상징으로서의 천황을 중심으로 한 "상징 천황제"로 대체되었다.[1]1947년 일본국 헌법에서는 천황의 국정에 대한 권능이 부정되었고, 국민 주권 하의 상징 천황제가 형성되었다.[1]
4. 제도
고대에 종교적 권위를 배경으로 천황을 중심으로 한 율령제 국가가 형성되었으나, 무가 정치 시대(특히 에도 시대)를 거치면서 천황의 정치적 권력은 상실되었다. 메이지 유신을 계기로 그 전통적 권위를 배경으로 천황을 중심으로 한 근대 국가 건설이 진행되었다. 1889년(메이지 22년) 발포된 대일본제국헌법은 천황을 통치권의 총괄자로 규정하고, 통치권이 헌법의 조항에 따라 행사되어야 함을 명시하였다. 이에 따라 군주 주권과 입헌주의를 병존시킨 천황제 국가가 수립되었다.
1930년대에는 권력 기구의 일환인 군부가 정치적으로 비대해졌으나, 1945년(쇼와 20년)의 패전으로 “천황제 권력 기구”는 대체로 해체되었다. 1947년 시행된 일본국헌법에서는 천황의 국정에 대한 권능이 부정되었고, 국민 주권 하의 상징 천황제가 형성되었다.
메이지 신정부는 에도 막부를 무너뜨리고, 나라 시대 이후로 처음으로 태정관 제도를 왕정복고를 통해 부활시켰다. 당시 규슈 진무총감은 쇼군이 아닌 천황이 진정한 통치자임을 알리기 위해 “쇼군은 여러 번 바뀌었지만, 천자는 변함없이 혈통도 끊기지 않고 존재한다”는 취지의 문서를 백성들에게 배포했다. 교토부 역시 천황 통치를 알리기 위해 고유를 실시했고, 신정부는 행행을 자주 실시했다.[35]
메이지 정부는 유럽에 대항하는 독립 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중앙집권 체제를 만들었다. 이들은 불만을 가진 사족의 반란과 자유민권 운동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의회 제도의 필요성을 인식했다. 일본의 근대화를 위해서도 국민의 정치 참여를 어느 정도 인정하는 것은 필요했고, 근대적인 국가 체제가 모색되었다. 이때 모델이 된 것은 유럽의 입헌군주국이었으며, 특히 독일이었다.
4. 1. 대일본제국 헌법
대일본제국 헌법은 프로이센 왕국과 벨기에의 헌법을 모델로 만들어졌다. 이토 히로부미는 유럽 정치체제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의회 제도뿐 아니라 국민 통합을 위한 종교로 기독교가 있음을 파악하고, 종교를 대신할 "기축"(정신적 지주)으로써 천황에게 그 역할을 기대했다.[58]대일본제국 헌법에서 천황은 다음과 같이 규정되었다.
- 통치권을 총괄하는 국가원수이다.
- 육해군(=군대)을 통수한다.
- 제국의회의 협찬을 얻어 입법권을 행사하며, 제국의회가 의결한 법률을 재가하거나 거부한다.
- 국무대신에 의해 보좌된다.
- 사법권은 천황의 명의로 법률에 따라 법원이 행사한다.
기무육조의 체결과 대일본제국 헌법의 제정으로 일본은 입헌군주제가 되었다. 대일본제국헌법을 기초한 이토 히로부미도 천황에게 절대 군주의 역할을 기대하지는 않았다. 법문을 있는 그대로 해석하면 “만세일계의 천황이 이를 통치한다”, “신성하여 침범할 수 없다” 등 대일본제국헌법에서 천황은 큰 권력을 가진 것처럼 읽히지만, 메이지 이후에도 천황이 직접 명령하여 정치를 행하는 일은 거의 없었다.
일본 국회 중의원에서 정부에 반대하는 세력이 다수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하여 귀족원에 중의원과 동등한 권한을 부여하였다.
실제로 정치를 운영하는 것은 천황이 아니라 원로나 내각의 각 국무대신이었다. 행정권은 각 국무대신의 보필을 받아 천황에게 속하며, 권력 집행자로 여겨졌다. 대일본제국헌법에서는 국무대신을 천황을 보필하는 자(총리대신도 다른 대신과 동등)로 규정하였다. 그러나 최종적인 정치 결정을 내리는 자가 누구인지는 모호하게 남겨져 있었다.
쇼와 시대에 들어와 군부는 “군의 통수권은 천황에게 있으므로 정부의 방침을 따를 필요가 없다”는 식으로 헌법을 확대 해석하여 군이 큰 정치적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다(통수권 침범 문제). 군이 천황을 앞세워 쿠데타를 일으켜도 정부가 이를 제지하고 진압할 수단이 없었다(2·26사건, 통수권 침범 문제 참조). 이처럼 정치적 주체성이 결여된 통치 기구를 정치학자 마루야마 마사오는 “무책임의 체계”라고 불렀다.
4. 2. 일본국 헌법
일본국 헌법은 국민주권을 명시하고, 천황을 일본과 일본 국민 통합의 상징으로 규정했다.[61] 천황의 국정 개입은 제약되었고, 내각의 조언과 승인이 필요하게 되었다.[61]일본 법제국의 견해는 다음과 같다.
- 입헌군주제 국가인 것은 분명하지만 메이지 헌법처럼 통치권을 천황에게서 받는 형태는 아니다. (1973년 참의원 내각위원회)[62]
- 일본국 헌법 제1조의 규정대로 천황은 일본과 일본 국민의 상징이며 비정치적인 지위에 있다. 주권은 국민에게 있다.[62] (1975년 중의원 내각위원회)
- 천황은 원수가 아니다. 일본국 헌법 제7조에서 외국 대사나 특명전권공사를 맞이하는 것은 의례적인 것이다. 대사 · 특명전권공사등에게 신임장을 주는 것은 내각의 권한이며 천황은 이를 승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외교 관계에서 천황이 국가를 대표한다고 보기 어렵다. (1988년 참의원 내각위원회)[37]
일본 정부는 천황이 원수가 아니며, 외교 관계에서 국가를 대표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견해를 밝혔다.[37]
미국 중앙정보국의 월드 팩트북에서는 일본의 통치 유형을 상징군주제를 가진 의회제[63]로 적고 있다. 다른 나라도 외교상 천황을 원수로 두는 입헌군주제 국가로 본다.
5. 논쟁
'천황제'라는 용어는 쇼와 초기 국가 논쟁에서 마르크스주의 용어로 처음 등장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사회 과학 용어로 정착했다. 1945년 이후 신문과 국회에서 '천황제' 용어 사용이 점차 일반화되었다.
보수파와 존황주의자들은 '천황제'라는 용어를 기피하고 황실이나 국체 등의 용어를 사용한다. 다니자와 에이이치는 천황제라는 용어가 황실을 폄하하기 위한 용어라고 말했다.[58] 소설가 시바 료타로는 천황제라는 말에 악의가 들어있다고 했다.
천황제에 관한 주요 논쟁은 다음과 같다.
- 천황제 절대주의: 대일본제국헌법 아래의 천황제를 절대주의로 간주하는 시각이다. 1930년대 사회주의 강좌파가 사용했다. 일본공산당은 2020년 개정된 강령에서도 천황이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는 절대주의적 천황제라고 명시했다.[59]
- 천황제 파시즘: 천황제를 파시즘의 일종으로 간주하는 시각이다.
- 상징 천황제: 상징천황제에 관한 다양한 논의가 존재한다.
여러 여론 조사 결과, 상징천황제 지지율은 대체로 높게 나타났으며, 천황제 폐지나 권한 강화에 대한 의견은 상대적으로 적었다.[54][55][56][57]
언론사 | 조사 시기 | 상징 천황제 지지 | 천황제 폐지 | 천황 권한 강화 |
---|---|---|---|---|
마이니치 신문[54] | 1946년 5월 | 85% | 13% | |
마이니치 신문[54] | 1970년 7월 | 81% | 9% | 8% |
마이니치 신문[54] | 1975년 9월 | 81% | 10% | 7% |
마이니치 신문[54] | 1982년 4월 | 77% | 14% | 6% |
마이니치 신문[54] | 1987년 3월 | 81% | 11% | 5% |
마이니치 신문[54] | 1993년 4월 | 84% | 10% | 4% |
마이니치 신문[54] | 2001년 9월 | 80% | 13% | 3% |
마이니치 신문[54] | 2006년 2월 | 65% ("현상태 유지") | 9% ("천황제 자체에 반대") | 7% ("천황을 국가 원수로 명기") |
요미우리 신문[55] | 1990년 1월 | 73% | ||
아사히 신문[56] | 2002년 12월 | 86% | ||
일본방송협회 (NHK)[57] | 2009년 10~11월 | 82% | 8% | 6% |
5. 1. 메이지 유신 이후의 논쟁
메이지 정부는 천황을 중심으로 신도를 국교화하려 했으나, 1872년 시마지 모쿠라이 등 불교계와 서양 국가들로부터 정교분리 원칙에 어긋난다는 비판을 받았다.[40] 결국 신도 국교화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황실 숭배는 종교가 아닌 국민의 의무'라는 신도 비종교설이 등장하여 국가신토 형태로 천황 숭배가 이루어졌다.1874년 가토 히로유키는 천황 중심의 국체론을 비판하고, 국가, 군주, 국민의 권리와 의무를 주장했다.[40] 그러나 정부의 비판을 받은 후, 가토 히로유키는 정부를 옹호하는 입장으로 전향했다.
1876년 이후 일본 제국 헌법 초안 심의 과정에서, 이토 히로부미는 황실을 정신적 지주로 삼아 프로이센식의 강력한 입헌군주제를 채택했다.[64] 1889년 헌법 제정 후, 우에스기 신키치 등은 서양의 군주제를 일본에 적용한 천황주권론을 주장했고, 미노베 다쓰키치 등은 국가법인설에 기초한 천황기관설을 주장했다.[40] 초기에는 천황주권론이 우세했지만,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 이후에는 천황기관설이 주류가 되었다.
1891년 우치무라 간조의 불경 사건 이후, 이노우에 테츠지로는 국가주의적 입장에서 기독교를 비판했다.[40] 반면, 우에무라 마사히사는 기독교인의 입장에서 황실 숭배나 조상 숭배를 인정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1914년 요시노 사쿠조는 민주주의(democracy) 대신 민본주의(民本主義)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인민 다수를 위한 정치를 주장했다.[40] 이는 이후 다이쇼 데모크라시에 큰 영향을 주었다.
5. 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논쟁
일본국 헌법 제정 논의 과정에서 일본국헌법 제1조에 명시된 "국체"가 바뀌었는지 여부가 논쟁의 핵심이었다. 헌법 담당 국무대신 기네모리 도쿠지로는 "국가 체제는 변경되었지만, 천황을 동경의 중심으로 국민이 연결되어 국가가 존재한다는 의미의 국체는 변하지 않았다"라고 답변하여 비판을 받았다.[40] 오다카·미야자와 논쟁과 사사키·와츠지 논쟁도 발생했다. 상징천황제에서 일본의 군주나 원수 또한 논의되었다.1960년 풍류몽담 사건에서는 궁내청은 명예훼손을, 우익은 “불경”을, 출판사 측은 표현의 자유를 주장하며 국화 금기라고도 불렸다.
1964년부터 1974년까지 야스쿠니 신사 법안을 둘러싸고 논쟁이 벌어졌다. 일본유족회 등은 국가 보호를 주장한 반면, 다른 종교 단체와 좌파는 국가신도 부활에 반대하며 정교분리 원칙을 주장했다.
1988년 쇼와 천황 서거 당시에는 "과도한 자숙" 분위기와 쇼와 천황의 전쟁 책임 문제가 논의되었다.[41]
5. 3. 학자와 정당의 견해
와타나베 쇼이치는 천황가가 만세일계의 존재이고 신도는 특정한 종교가 아니며, 생전퇴위와 여성 천황 등은 좌익의 음모라고 비판했다.[65]마루야마 마사오는 전전의 일본을 천황제 파시즘이라 불렀고 누구도 책임지지 않는 무책임의 체계라고 비판했다.[66]
요시모토 다카아키는 역사적으로 천황제의 대부분은 종교적 권위이고 천황의 세습과 제사의 본질은 신과 함께 먹는 것, 신과의 성행위이므로 근저에는 농경제의가 있다고 했다. 따라서 일본이 농경사회에서 거의 벗어나면 천황의 정치적 역할은 끝날 것이라고 서술했다.[67]
미시마 유키오는 쇼와 천황의 인간선언을 유감이라고 했고 고이즈미 신조 등이 추진하는 천황제의 민주화는 대중사회에 아부하는 주간지적 천황제라고 비판했다.[68]
니시베 스스무는 정치와 종교는 근본적으로 연결되어있고 천황은 가치의 원천이자 국인성의 상징이므로 상징을 성스럽게 취급하지 않는 일본국헌법에는 모순이 있다고 했다.[69]
우메하라 다케시는 천황이라는 단어가 8세기 스이코 천황 시절부터 종교적 색채가 강했고, 율령 시대에도 천황의 정치적 권력은 배제되었어서 중국의 황제와 동일하게 emperor라고 번역되는 것은 틀렸다고 했다. 천황은 실제 권력이 없었기 때문에 존속 가능했다. 따라서 천황은 원래 상징적이고 메이지 헌법에서 유럽식 국가체제를 모방해 천황의 위치를 결정한 것은 틀렸다고 했다.[70]
호리우치 사토시, 하시즈메 다이사부로, 고타니 아쓰시 등은 천황제 폐지를 주장했다.[71][72]
자유민주당은 강령에서 자주헌법제정을 명시했고 2012년에는 천황을 원수로 기재했다.
이케다 다이사쿠는 책에서 도다 조세이의 말처럼 불교에서 보면 천황제의 문제는 규정이 불가능하다. 대대로 이어진 천황의 존재를 파괴할 필요도 또 특별히 취급할 필요도 없다. 어느 입장이어도 불쌍하다고 적었다.[73][74]
일본공산당은 2004년 강령에서 '군주제의 폐지'를 삭제하고 천황제의 존속을 인정하는 헌법강령은 민주주의의 실현에 약점이 되므로 국민주권의 원칙을 일관되게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적었다.[75]
5. 4. 여론 조사
여러 여론 조사 결과, 상징천황제 지지율은 대체로 높게 나타났으며, 천황제 폐지나 권한 강화에 대한 의견은 상대적으로 적었다.[54][55][56][57]언론사 | 조사 시기 | 상징 천황제 지지 | 천황제 폐지 | 천황 권한 강화 |
---|---|---|---|---|
마이니치 신문[54] | 1946년 5월 | 85% | 13% | |
마이니치 신문[54] | 1970년 7월 | 81% | 9% | 8% |
마이니치 신문[54] | 1975년 9월 | 81% | 10% | 7% |
마이니치 신문[54] | 1982년 4월 | 77% | 14% | 6% |
마이니치 신문[54] | 1987년 3월 | 81% | 11% | 5% |
마이니치 신문[54] | 1993년 4월 | 84% | 10% | 4% |
마이니치 신문[54] | 2001년 9월 | 80% | 13% | 3% |
마이니치 신문[54] | 2006년 2월 | 65% ("현상태 유지") | 9% ("천황제 자체에 반대") | 7% ("천황을 국가 원수로 명기") |
요미우리 신문[55] | 1990년 1월 | 73% | ||
아사히 신문[56] | 2002년 12월 | 86% | ||
일본방송협회 (NHK)[57] | 2009년 10~11월 | 82% | 8% | 6% |
참조
[1]
웹사이트
天皇制
https://kotobank.jp/[...]
2024-03-14
[2]
서적
日本史広辞典
2020-04
[3]
웹사이트
天皇制 -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https://kotobank.jp/[...]
[4]
웹사이트
『百科事典マイペディア』(平凡社)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5]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6]
뉴스
(제목 없음)
読売報知新聞
1945-10-20
[7]
뉴스
(제목 없음)
読売報知新聞
1945-12-07
[8]
뉴스
(제목 없음)
読売報知新聞
1945-12-18
[9]
뉴스
(제목 없음)
朝日新聞
1945-10-20
[10]
뉴스
(제목 없음)
朝日新聞
1945-11-15
[11]
뉴스
(제목 정보 없음)
朝日新聞
1945-11-23
[12]
뉴스
(ニュースの周辺)元号法制化、及び腰 - 気重い天皇制論議
日本経済新聞
1978-06-09
[13]
뉴스
天皇制は74%が支持 - 東海3県住民 本社意識調査
中日新聞
1988-05-22
[14]
뉴스
(제목 정보 없음)
毎日新聞
1990-01-20
[15]
뉴스
(제목 정보 없음)
産経新聞
1995-05-09
[16]
뉴스
(제목 정보 없음)
産経新聞
2013-08-16
[17]
간행물
「今上陛下の御人格と云ふものを國民に知らしめ得なかつたか、と云ふ所に今日或は天皇制を論じて之を否定すると云ふやうな思想が出て來て居るのであります」
国会図書館 帝国議会会議録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
[18]
간행물
「其の結果として、天皇制を彼此言ふのみならず、共産主義的のことを公然と主張して居る、現行刑法の規定の下に於ては明かに不敬罪を構成するやうな言論を勝手にすると云ふことも、現に行はれて居る次第であります」
国会図書館 帝国議会会議録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
[19]
회의록
衆議院 司法委員会
1947-09-20
[20]
회의록
衆議院 本会議
1955-01-24
[21]
회의록
1957年3月11日 参議院 予算委員会
1957-03-11
[22]
회의록
1964年1月29日 衆議院 予算委員会
1964-01-29
[23]
회의록
1979年6月5日 参議院 内閣委員会
1979-06-05
[24]
회의록
2004年11月11日 衆議院 憲法調査会公聴会
2004-11-11
[25]
회의록
2006年2月28日 衆議院 予算委員会
2006-02-28
[26]
판례
昭和22年 不敬事件 最高裁判所 全文
https://www.courts.g[...]
[27]
웹사이트
自由民主党 党大会 党情報告 平成23年
https://www.jimin.jp[...]
[28]
웹사이트
2017年12月1日 本日の皇室会議の決定に関して - 日本維新の会
https://o-ishin.jp/n[...]
2017-12-01
[29]
웹사이트
2019年5月3日 公明党が憲法記念日アピール - 公明당
https://www.komei.or[...]
2019-05-03
[30]
웹사이트
天皇をどうする - 日本共産党
https://www.jcp.or.j[...]
[31]
서적
「天皇制」という呼称(ことば)を使うべきでない理由
PHP研究所
2001
[32]
논문
野呂栄太郎の天皇制国家論(二) : 野呂栄太郎論(2の中・一)
https://doi.org/10.1[...]
静岡大学人文学部
[33]
웹사이트
日本共産党綱領(2020年1月改訂)
https://www.jcp.or.j[...]
[34]
서적
明治維新論 - 学説批判
吉川弘文館
1961
[35]
서적
皇室報道と敬語
三一新書
[36]
간행물
大衆天皇制論
中央公論
1959-04
[37]
웹사이트
象徴天皇制に関する基礎的資料(平成15年2月、衆議院憲法調査会事務局作成)
https://www.shugiin.[...]
衆議院憲法調査会
2003-02
[38]
일반
主権の存ずる日本国民
[39]
웹사이트
CIA Factbookの各国要覧のJapanの項
https://www.cia.gov/[...]
[40]
뉴스
天皇「現人神から象徴へ」
朝日新聞
2019-04-29
[41]
뉴스
国会開会式 日本共産党出席へ
https://www.jcp.or.j[...]
日本共産党
[42]
서적
日本興国論
致知出版社
2012
[43]
서적
現代政治の思想と行動
未来社
1956
[44]
간행물
天皇制および天皇について
[45]
서적
対話・日本人論
番町書房
1966
[46]
웹사이트
「フィクション」としての天皇
http://gekkan-nippon[...]
2017
[47]
서적
政治と哲学: 日本人の新たなる使命を求めて
PHP研究所
[48]
서적
天皇と民主主義
春秋社
2004
[49]
서적
天皇制批判の常識
洋泉社
2010
[50]
간행물
さわやかな風のように‐福祉のまなざしを求めて
キリスト新聞社
1990
[51]
서적
人間革命
[52]
간행물
希望の源泉 - 池田思想を読み解く
第三文明
2019-06
[53]
웹사이트
日本共産党綱領 - 2004年
https://www.jcp.or.j[...]
[54]
뉴스
あの日を今に問う 新憲法案要綱(その3)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06-03-05
[55]
뉴스
読売新聞
1990-01-06
[56]
뉴스
全国面接方式の世論調査
朝日新聞
2002-12-22
[57]
웹사이트
平成の皇室観
https://www.nhk.or.j[...]
NHK
2012-05-20
[58]
서적
「天皇制」という呼称(ことば)を使うべきでない理由
PHP研究所
2001
[59]
웹사이트
日本共産党綱領(2020年1月改訂)
https://www.jcp.or.j[...]
[60]
서적
明治維新論 - 学説批判
吉川弘文館
1961
[61]
간행물
大衆天皇制論
中央公論
1959-04
[62]
텍스트
主権の存ずる日本国民
[63]
웹인용
CIA Factbookの各国要覧のJapanの項
https://web.archive.[...]
2020-08-08
[64]
뉴스
天皇「現人神から象徴へ」
朝日新聞
2019-04-29
[65]
서적
日本興国論
致知出版社
2012
[66]
서적
現代政治の思想と行動
未来社
1956
[67]
간행물
天皇制および天皇について
[68]
서적
対話・日本人論
番町書房
1966
[69]
웹사이트
「フィクション」としての天皇
http://gekkan-nippon[...]
2017
[70]
서적
政治と哲学: 日本人の新たなる使命を求めて
PHP研究所
[71]
서적
天皇と民主主義
春秋社
2004
[72]
서적
天皇制批判の常識
洋泉社
2010
[73]
서적
人間革命
[74]
간행물
希望の源泉 - 池田思想を読み解く
第三文明
2019-06
[75]
웹사이트
日本共産党綱領 - 2004年
https://www.jcp.or.j[...]
[76]
뉴스
毎日新聞1946:新憲法の政府草案を歓迎 改憲論争、50年代に原形
http://mainichi.jp/a[...]
毎日新聞
2016-05-03
[77]
뉴스
読売新聞
1990-01-06
[78]
뉴스
毎日新聞
2000-09
[79]
뉴스
全国面接方式の世論調査
朝日新聞
2002-12-22
[80]
웹인용
平成の皇室観
http://www.nhk.or.jp[...]
NHK
2012-05-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