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라마우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드라마우트는 아라비아 반도 남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예멘 동부에 해당하며, 고대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문화를 간직하고 있다. 이름의 기원은 여러 설이 있으며, "죽음이 왔다"는 의미로 해석되기도 한다. 하드라마우트 왕국은 기원전부터 존재했으며, 샤브와가 수도였다. 2세기에는 유향과 몰약 무역으로 번성하며 아라비아 반도, 메소포타미아, 동아프리카, 로마 제국을 연결하는 역할을 했다. 7세기에는 이슬람교가 전파되었고, 16세기에는 포르투갈, 17세기에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1882년부터 1967년까지는 쿠아이티 술탄국이 영국 보호령 하에 있었으며, 1967년 남예멘에 합병되었다가 1990년 예멘 통일로 예멘 공화국에 속하게 되었다. 현재 하드라마우트는 석유 생산이 주요 경제 활동이며, 전통적인 요리, 음악, 건축 양식 등 독특한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멘의 지리 - 아덴만
아덴만은 아라비아 반도와 아프리카 대륙 사이의 해역으로, 석유 수송로로서 세계 경제에 중요하며, 해적 활동과 환경 오염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곳이다. - 하드라마우트주 - 시밤
예멘의 시밤은 "사막의 맨해튼"으로 불리는 독특한 고층 건물 건축 양식으로 유명하며, 고대 하드라마웃 왕국의 수도이자 콰이티 술탄국의 주요 도시였으나, 현재는 내전과 자연재해로 인해 유네스코 "위험에 처한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보호가 필요한 도시이다. - 하드라마우트주 - 무칼라
무칼라는 예멘의 하드라마우트 주의 주도로, 역사적으로 안전한 항구이자 인도와 아프리카 사이의 무역 중심지였으며, 쿠아이티 술탄국의 수도였으나 예멘 내전으로 알 카에다 점령을 겪었고, 현재는 활발한 상업 활동과 역사적인 볼거리가 있는 도시이다. - 아덴만 - 아프리카의 뿔
아프리카의 뿔은 아프리카 대륙 북동부의 반도로, 건조한 기후와 고산지대가 특징이며, 인류의 발상지 중 하나로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에리트레아, 지부티 등의 국가들이 위치해 다양한 문화와 생태계를 지니고 있지만 여러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아덴만 - 아덴만 여명 작전
아덴만 여명 작전은 2011년 1월 대한민국 해군 특수전여단이 소말리아 해적에게 피랍된 삼호 주얼리호 선원 21명을 구출하는 과정에서 교전 끝에 해적 사살 및 생포에 성공했으나, 석해균 선장이 중상을 입었고 엠바고 위반, 부상 경위 의혹, 과도한 홍보 논란 등이 있었다.
하드라마우트 - [지명]에 관한 문서 |
---|
2. 어원
하드라마우트라는 이름의 기원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그 의미에 대한 다양한 가설들이 존재한다. 일반적인 민간 어원에 따르면, 이 지역 이름은 와 에서 비롯되어 "죽음이 왔다"라는 뜻을 가진다고 한다.
하드라마우트의 역사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왕조와 제국의 흥망성쇠를 거쳐왔다.
하드라마우트는 성경 속 하살마벳 (창세기 10:26[2], 역대기서 1:20[3])과 동일시되기도 한다. 하살마벳은 요단의 아들이자 이슬람 전통에서 남부 아라비아 왕국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카흐탄과 동일 인물로 간주된다. 여러 성경 사전에서는 "하살마벳"이라는 이름이 "죽음의 법정"을 의미한다고 해석하며, 이는 아랍 민간 어원과 유사한 의미를 내포한다.
이름의 기원에 대한 학술적인 분석도 존재한다. 카말 살리비는 이름 속 이중 모음 "aw"가 부정확한 발음이라고 주장하며, "-ūt"가 하드라마우트 지명에 흔히 사용되는 어미라는 점을 고려할 때, "Ḥaḍramūt"는 구어체 발음이자 고대 발음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4] 그는 이 이름의 정확한 표기가 "ḥḍrm의 장소"여야 하며, 주변의 높은 사막 고원과 대비되는 잘 관개된 와디의 비옥함을 나타내는 "푸른 장소"를 의미한다고 해석했다.
유리스 자린스는 과거 오만에서 고대 향 무역로의 중심지였던 우바르를 재발견한 인물이다. 그는 이 이름이 그리스어 단어 ὕδρευματαgrc (와디의 밀폐되고 요새화된 급수 시설)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시했지만, 현재는 이 어원이 기각되었다.[5] 이 주장은 이슬람 이전 아라비아의 와디 하드라마우트 정착지 구조를 정확하게 묘사하지만, 시대착오적이고 음성적으로 일치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았다.
하드라마우트라는 이름의 변형은 기원전 1천년기 중반부터 나타났다. ''ḥḍrmt'' (𐩢𐩳𐩧𐩣𐩩) 및 ''ḥḍrmwt'' (𐩢𐩳𐩧𐩣𐩥𐩩)라는 이름은 고대 남부 아라비아어 텍스트 (하드라미트어, 미나어, 카타반어, 사바어)에서 확인되지만, 두 번째 형태는 하드라미트 비문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6] 이러한 형태들은 지명, 부족 이름, 또는 하드라마우트 왕국의 이름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기원전 4세기 말 또는 기원전 3세기 초, 테오프라스토스는 Άδρραμύταgrc라는 이름을 사용했는데, 이는 셈족 이름을 그리스어로 직접 표기한 것이다.[7]
하드라마우트 왕국은 기원전부터 존재했지만, 정확한 건국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다.[8] 수도는 샤브와였으며, 테만(카타반 왕국의 수도)과 가까운 거리에 위치했다.[8] 왕국은 신 신에 대한 공동 숭배로 결속된 여러 부족의 연맹체였으며, 하드라마우트는 원래 부족 중 하나의 이름이었다. 하드라마우트와 그들의 신 신에 대한 기록은 기원전 700~680년경 사바의 작가 카리빌 와타르 1세가 쓴 수르와의 비문에 등장한다.
샤르-알-쿠라이마트 왕이 이끄는 왕국은 마인 왕국 및 카타반 왕국과 동맹을 맺고, 기원전 330년경 힘야르 왕국이 사바 왕국을 통치하던 시기에 사바 왕국으로부터 독립했다.[9][10] 하드라마우트 왕국과 힘야르 왕국은 무역로와 영토를 두고 경쟁하며 긴장 관계를 유지했다.[11] 하드라미족은 고대 그리스 문헌에서 차트라모티타이로 언급된다. [[파일:Ruins6.JPG|thumb|코르 로리의 유적
에라토스테네스는 샤브와를 "대도시"라고 묘사했으며, 이곳은 중요한 숭배 중심지였다. 초기에는 남아라비아 다신교가 널리 퍼져 있었으며, 특히 바빌론 달의 신 신 숭배가 두드러졌다. 6세기에는 라흐마난의 유일신 숭배가 지역 사원에서 행해졌다.[12] 왕국은 3세기 말에 힘야르 왕국에 합병되면서 멸망했지만, 하드라마우트는 사바ʾ 및 두 레이단(힘야르) 왕들의 전체 칭호에 계속 사용되었다.[12] 2세기에는 하드라마우트가 유향과 몰약 무역으로 명성을 떨쳤으며,[14] 아라비아 반도, 메소포타미아, 동아프리카, 로마 제국의 문화를 연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6]
7세기, 이슬람이 하드라마우트에 전파되었고, 점차 칼리파 국가에 통합되었다. 11세기에는 하드라마우트 지역이 바누 하드라미 출신의 마흐디드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17] 그들은 수 세기 동안 이 지역을 통치한 카시미 왕조를 세웠다.[17]
미크다드 이븐 아스와드는 무함마드의 동료로, 하드라마우트 출신으로 알려져 있다.[18] 후드는 아드에 속하며 이 지역에 거주했던 이슬람의 예언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그의 무덤은 카브르 후드(쉬브 후드라고도 함)에 있다고 전해지지만,[19][20] 이 주장은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지는 않는다.[21][22]
16세기, 포르투갈인들이 하드라마우트에 진출하여 남부 해안에 여러 정착지를 건설했지만, 17세기까지 예멘 이맘에 의해 축출되었다.[23] 이후 하드라마우트는 오스만 제국의 영향력 아래 놓였으며, 오스만 제국은 20세기 초까지 이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했다.[23]
쿠아이티 술탄들은 1882년부터 1967년까지 영국의 보호령인 아덴 보호령 아래에서 하드라마우트의 넓은 지역을 통치했다. 1967년, 하드라마우트는 남예멘에 합병되었다. 쿠아이티 왕조는 19세기 후반 니잠 오브 하이데라바드(en:Nizam of Hyderabad)의 군대에서 세습 젬마 다르(Jemadar) 직책을 맡아 부를 축적한 야파이 부족 출신 우마르 빈 아와드 알-쿠아이티에 의해 세워졌다. 그는 1882년 영국으로부터 이 지역에서의 지위를 인정받았다.
1967년, 이전 영국 아덴 식민지와 하드라마우트를 포함한 이전 아덴 보호령은 독립적인 공산주의 국가인 남예멘 인민 공화국(이후 예멘 인민 민주 공화국)이 되었다. 남예멘은 1990년 예멘 통일을 통해 예멘 아랍 공화국과 통합되어 예멘 공화국이 되었다.[24] 하드라마우트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는 항구 도시 무칼라이다.
3. 역사
시밤을 수도로 하는 하드라미인의 하드라마우트 왕국(기원전 8세기 - 3세기)은 교역의 중계지로서 번성했다. 이슬람 수용 후에는 예멘의 여러 왕조(라술 왕조)나 자이드파 이맘(예멘의 이맘)의 지배를 받았다.
7세기에 이슬람이 전파되면서 점차 칼리파에 통합되었으며, 정통 칼리파 시대와 우마이야 칼리파조 동안 중요한 역할을 했다. 11세기에는 바누 하드라미 출신의 마흐디드가 이 지역을 지배했고, 이후 카시미 왕조가 수 세기 동안 통치했다.[17] 킨다 부족은 원래 하드라마우트 출신으로 여겨진다.[12] 무함마드의 동료였던 미크다드 이븐 아스와드 역시 하드라마우트 출신이다.[18] 후드는 카브르 후드에 묻힌 것으로 전해진다.[19][20]
16세기에는 토착의 카시리 왕국이 일어났고, 19세기에는 쿠아이티 왕국이 등장하여 하드라마우트 지방은 양 왕국의 지배 지역으로 나뉘었다. 이후 양 왕국 모두 영국의 보호를 받아 영국 보호령의 술탄국이 되었다. 1935년 1월에는 프레야 스타크가 무칼라에서 와디 도안의 하자레인, 사이윤과 타림을 답사했고, 1936년부터 1937년에 걸쳐 존 필비가 일대를 탐사했다.
16세기에 포르투갈인들이 도착하여 남부 해안에 정착지를 건설했으나, 17세기까지 예멘 이맘들에 의해 축출되었다.[23] 이후 오스만 제국의 영향력 아래 놓였다.[23]
쿠아이티 술탄들은 1882년부터 1967년까지 아덴 보호령 아래 하드라마우트의 광대한 지역을 통치했다. 쿠아이티 왕조는 니잠 오브 하이데라바드(en:Nizam of Hyderabad)의 무장 세력의 세습 젬마 다르(Jemadar)였던 우마르 빈 아와드 알-쿠아이티에 의해 창건되었다.
1967년, 남예멘이 독립하면서 그 일부가 되었고, 1990년 남북 예멘 통합 후에는 하드라마우트 주가 되었다. 1967년 이전 영국 아덴 식민지와 하드라마우트를 포함한 이전 아덴 보호령은 독립 공산주의 국가인 남예멘 인민 공화국이 되었고, 이후 예멘 인민 민주 공화국이 되었다. 남예멘은 1990년 예멘 통일로 예멘 아랍 공화국과 예멘 공화국으로 통일되었다.[24]
하드라마우트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는 항구 도시 무칼라이다. 이 지역의 역사적으로 중요한 도시 중 하나는 이슬람 학문의 중심지인 타림이다.[25]
3. 1. 고대
[[파일:Ruins6.JPG|thumb|코르 로리의 유적
하드라마우트 왕국은 기원전부터 존재했지만, 정확한 건국 연도는 확인되지 않았다.[8] 수도는 샤브와였으며, 테만(카타반 왕국의 수도)과 멀지 않았다.[8] 이 왕국은 신 신에 대한 공동 숭배로 연합한 여러 부족으로 구성된 부족 연맹이었다. 하드라마우트는 원래 부족 중 하나의 이름이었다. 하드라마우트와 그들의 신 신에 대한 언급은 기원전 700~680년경 사바의 작가 카리빌 와타르 1세가 쓴 수르와의 비문에 등장한다.
샤르-알-쿠라이마트 왕이 이끄는 왕국은 마인 왕국 및 카타반 왕국과 동맹을 맺고, 기원전 330년경 힘야르 왕국이 사바 왕국을 통치하던 시기에 사바 왕국으로부터 독립했다.[9][10] 하드라마우트 왕국과 힘야르 왕국 간의 관계는 긴장 상태를 유지했으며, 양측은 이 지역의 무역로와 영토를 차지하기 위해 서로 전쟁을 벌였다.[11]
하드라미족은 고대 그리스 텍스트에서 차트라모티타이로 언급된다. 하드라마우트어 텍스트는 사바어 텍스트보다 늦게 나타나며, 하드라마우트에서 발견된 일부 사바어 텍스트도 알려져 있다. 그리스어, 라틴어, 사바어 및 하드라마우트어 텍스트는 하드라마우트의 많은 왕들의 이름을 보존하고 있지만, 아직 그들의 통치에 대한 확실한 연대기는 없다. 그들의 수도는 왕국의 북서쪽 구석, 향 무역로를 따라 위치한 샤브와였다. 에라토스테네스는 이곳을 "대도시"라고 불렀다. 이곳은 중요한 숭배 중심지이기도 했다. 처음에는 남아라비아 다신교가 유행했는데, 특히 바빌론 달의 신 신을 숭배하는 것이 특징이었다. 6세기에는 라흐마난의 일신교 숭배가 지역 사원에서 행해졌다.[12]
하드라마우트의 정치사는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하드라마우트와 관련된 수많은 전쟁이 사바어 텍스트에 언급되어 있다. 그들의 비문에서 하드라미족은 힘야르에 대항하여 리브나(현재 )를 요새화하고, 주 누와스의 죽음(525/7년) 이후의 시기에 악숨 왕국에 대항하여 (''Ḥiṣn al-Ghurāb'')를 요새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왕국은 3세기 말에 힘야르 왕국에 병합되면서 멸망했다. 하드라마우트는 사바ʾ 및 두 레이단(힘야르) 왕들의 전체 칭호에서 계속 사용되었다.[12]
2세기에는 하드라마우트가 유향과 몰약 무역으로 유명했다.[14] 하드라마우트 남부를 통과하는 향 무역로(남부 향 무역로)는 이 지역의 경제적, 문화적 번영에 기여했다.[15] 하드라마우트 왕국은 아라비아 반도, 메소포타미아, 동아프리카, 로마 제국의 문화를 연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6]
예멘의 역사 참조
시밤을 수도로 하는 하드라미인의 하드라마우트 왕국(기원전 8세기 - 3세기)이 번성했다. 이슬람교 이전 시대부터 아랍인에 의한 왕국도 존재했으며, 교역의 중계지로서 번성했다.
3. 2. 이슬람 시대
7세기에 이슬람이 하드라마우트에 전파되었고, 점차 칼리파에 통합되었다. 이 지역은 정통 칼리파 시대와 우마이야 칼리파조 동안 이슬람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1세기에는 하드라마우트 지역이 바누 하드라미 출신의 마흐디드의 지배하에 들어갔다.[17] 그들은 수 세기 동안 이 지역을 통치한 카시미 왕조를 세웠다.[17]
초기 이슬람 작가들은 중앙 아라비아에 킨다 왕국을 세운 유목 부족 킨다가 원래 하드라마우트 출신이라고 믿었지만, 정착한 하드라미 인구와는 구별되었다.[12]
미크다드 이븐 아스와드는 무함마드의 동료였으며, 하드라마우트 출신으로 알려져 있다.[18] 그들 이전의 여러 이슬람의 예언자들이 이곳에 거주한 것으로 믿어지며, 후드가 아드에 속한다. 그는 카브르 후드에 묻힌 것으로 여겨지며,[19][20] 이는 ''쉬브 후드''라고도 불리지만,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지는 않는다.[21][22]
예멘의 역사 참조 | 자힐리야
3. 3. 포르투갈 및 오스만 제국의 영향
16세기에 포르투갈인들이 하드라마우트에 도착하여 남부 해안을 따라 여러 정착지를 건설했지만, 예멘 이맘들이 17세기까지 그들을 몰아냈다.[23] 그 후 하드라마우트는 오스만 제국의 영향력 아래 놓였으며, 오스만 제국은 20세기 초까지 이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했다.[23]
3. 4. 현대
쿠아이티 술탄들은 1882년부터 1967년까지 느슨한 영국의 보호령인 아덴 보호령 아래 하드라마우트의 광대한 지역을 통치했으며, 1967년 하드라마우트는 남예멘에 합병되었다. 쿠아이티 왕조는 19세기 후반 니잠 오브 하이데라바드(en:Nizam of Hyderabad)의 무장 세력의 세습 젬마 다르(Jemadar)로서의 부와 영향력으로 쿠아이티 왕조를 세울 수 있었던 야파이 부족 출신 우마르 빈 아와드 알-쿠아이티에 의해 창건되었으며, 1882년 이 지역에서 그의 최고의 지위를 영국으로부터 인정받았다. 영국 정부와 전통적이며 학문적인 술탄 알리 빈 살라는 1937년 조약을 체결하여 영국 정부를 하드라마우트의 "고문"으로 임명했다. 영국은 그를 1945년 아덴으로 추방했지만, 보호령은 1967년까지 지속되었다.
1967년, 이전 영국 아덴 식민지와 하드라마우트를 포함한 이전 아덴 보호령은 독립적인 공산주의 국가인 남예멘 인민 공화국이 되었고, 이후 예멘 인민 민주 공화국이 되었다. 남예멘은 1990년 예멘 통일로 예멘 아랍 공화국과 예멘 공화국으로 통일되었다.[24]
하드라마우트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는 항구 도시 무칼라이다. 무칼라는 1994년 인구 122,400명에서 2003년 174,700명으로 증가했으며, 아쉬 시흐르 항구 도시는 같은 기간 동안 48,600명에서 69,400명으로 성장했다. 이 지역의 역사적으로 중요한 도시 중 하나는 타림이다. 이슬람 학문의 중요한 중심지이며, 세계 어느 곳보다 무함마드의 후손이 가장 많이 밀집되어 있는 곳으로 추정된다.[25]
4. 지리
하드라마우트는 아라비아 반도 남단부에 위치하며 아라비아 해와 접해 있다. 동쪽으로는 오만, 북쪽으로는 루브알할리 사막을 경계로 사우디아라비아의 나지드 지방과 이어진다. 깊은 와디(건천)가 발달한 지형적 특징을 지닌다.
예멘 동부에 자리 잡은 하드라마우트는 좁은 해안 평야와 평균 해발 1,370m의 고원이 절벽 위에 펼쳐져 있다. 북쪽으로는 루브알할리 사막으로 이어진다. 고원을 깎아내린 와디의 오아시스를 중심으로 취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밀, 대추야자, 코코넛 등을 재배하고 양과 염소를 기른다.
지리적으로 하드라마우트는 '내부 하드라마우트'와 '해안 하드라마우트'로 나뉜다.[29] 내부 하드라마우트는 와디 하드라마우트와 그 남쪽의 작은 지류 와디들로 구성된다. 해안 하드라마우트는 좁고 건조한 해안 평야이며, 평균 1,370m의 넓은 고원의 가파른 절벽으로 경계가 지어진다. 이 지역은 '자울'로도 불린다.[29] 하드라마우트의 북쪽 경계는 하드라마우트 고원 또는 고지(هَضْبَة حَضْرَمَوْت)가 아라비아 해의 아덴 만과 만나는 루브알할리 사막으로 경사지면서 고도가 급격히 낮아지는 지점이다.[30]
내부 하드라마우트는 와디와 고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와디 하드라마우트와 와디 아마드는 비옥한 토양을 제공하여 농업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고원은 척박하여 유목민들의 방목지로 활용된다. 시밤, 타림, 알카트 등의 역사적인 도시들은 독특한 건축 양식과 풍부한 문화유산을 자랑하며 예멘의 중요한 관광 자원이다.
해안 하드라마우트는 아라비아해로 흘러나가는 와디 계곡에 위치한 좁고 건조한 평원이다. 이 지역은 부롬에서 라시르까지 뻗어 있으며, 주요 도시로는 알무칼라, 시아르, 알슈크르, 겔라흐, 알 가이다 등이 있다. 해안선은 험준하고 바위가 많으며, 타이프와 같은 화산 지형도 찾아볼 수 있다.
File:146 Šibam.jpg|와디 하드라마우트에 있는 시밤, 배경에 산이 있다
File:BirAli Crater.JPG|샤브와 주의 비르 알리 분화구, 분화구의 너비는 약 1.3km이며 표면 너비가 약 800미터인 물이 있다
File:Aerial View of Haid al-Jazil - a Village in Wadi Doan, Hadramaut, Yemen.jpg|와디 다완의 하이드 알-자질
4. 1. 정치 지리
하드라마우트의 경계는 아덴과 도파르 주 사이의 영토를 포함하도록 변동되었지만, 항상 와디 하드라마우트, 와디와 해안 사이의 토지, 그리고 와디 북쪽의 빈 분기 사막 지역을 포함했다.[27] 이는 현재 하드라마우트 주와 마흐라 주 전체와 샤브와 주의 일부를 포함한다.[26][27] 현재 하드라마우트 주는 대략적으로 두 술탄국의 이전 영토를 포함한다.[27]하드라렘족은 와디를 따라 전통적인 급수 지점을 중심으로 밀집된 마을에 거주한다. 그들은 밀과 수수, 대추야자, 코코넛 숲을 수확하고 약간의 커피를 재배한다. 고원에서는 베두인족이 양과 염소를 기른다. 사회는 여전히 부족주의가 강하며,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의 후손인 옛 세이드 귀족은 전통적으로 교육을 받았으며, 이슬람 율법을 엄격히 준수하고 종교적, 세속적 문제에서 존경을 받는다.[28]
4. 2. 자연 지리
하드라마우트는 지리적으로 '내부 하드라마우트'(حضرموت الداخل)와 '해안 하드라마우트'(حضرموت الساحل)로 나뉜다. 내부 하드라마우트는 와디 하드라마우트와 주요 와디 남쪽의 작은 지류 와디로 구성되어 있다. 해안 하드라마우트는 좁고 건조한 해안 평야로, 평균 1,370m의 넓은 고원의 가파른 절벽으로 경계가 지어지며, 이곳은 지역적으로 '자울'(ٱلْجَوْل)로 알려져 있다.[29] 하드라마우트의 북쪽 가장자리는 하드라마우트 고원 또는 고지(هَضْبَة حَضْرَمَوْت)이 아라비아 해의 아덴 만과 만나는 루브알할리 사막으로 경사지며, 고도가 급격히 감소한다.[30]File:146 Šibam.jpg|와디 하드라마우트에 있는 시밤, 배경에 산이 있다
File:BirAli Crater.JPG|샤브와 주의 비르 알리 분화구, 분화구의 너비는 약 1.3km이며 표면 너비가 약 800미터인 물이 있다
File:Aerial View of Haid al-Jazil - a Village in Wadi Doan, Hadramaut, Yemen.jpg|와디 다완의 하이드 알-자질
아라비아 반도의 남단부를 차지하며 아라비아 해에 면해 있다. 동쪽은 오만, 북쪽은 루브알할리 사막을 사이에 두고 사우디아라비아의 나지드 지방이다. 깊은 와디(또는 와디: 건천)가 펼쳐지는 지형이다.
예멘 동부에 위치하며, 좁은 해안 평야와 절벽 위에 평균 해발 1,370m의 고원이 펼쳐져 있다. 북쪽은 루브알할리 사막으로 완만하게 이어진다. 고원을 깎아내린 와디의 오아시스를 중심으로 취락이 형성되어 있다. 밀, 대추야자, 코코넛이 재배되며, 양과 염소를 기르고 있다.
4. 2. 1. 내부 하드라마우트
내부 하드라마우트는 주로 와디(건천)와 고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와디로는 와디 하드라마우트와 와디 아마드가 있으며, 이 와디들은 비옥한 토양을 제공하여 농업 활동의 중심지가 된다. 고원은 대체로 척박하며, 유목민들의 방목지로 활용된다. 또한, 내부 하드라마우트에는 시밤, 타림, 알카트와 같은 역사적인 도시들이 위치해 있다. 이 도시들은 독특한 건축 양식과 풍부한 문화유산을 자랑하며, 예멘의 중요한 관광 자원이다.4. 2. 2. 해안 하드라마우트
해안 하드라마우트는 좁고 건조한 평원으로, 와디 계곡이 아라비아해로 흘러나가는 곳에 위치한다. 이 지역은 부롬에서 라시르까지 뻗어 있으며, 주요 도시로는 알무칼라, 시아르, 알슈크르, 겔라흐, 알 가이다 등이 있다. 해안선은 험준하고 바위가 많으며, 타이프와 같은 화산 지형도 나타난다.5. 문화
하드라마우트는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특히 지리적, 기후적 조건으로 인해 독특한 요리 문화가 발달했다. 해안 지역에서는 해산물을 주재료로 한 요리가, 내륙 지역에서는 대추야자, 곡물, 염소고기, 양고기 등을 이용한 요리가 많다. 향신료를 많이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요리로는 만디가 있다. 만디는 쌀과 고기(주로 양고기나 닭고기)를 향신료와 함께 조리한 찜 요리로, 하드라마우트 지역의 대표적인 잔치 음식이다. 아시ida라는 밀가루로 만든 죽과 비슷한 음식도 즐겨 먹는데, 주로 대추야자 시럽이나 꿀을 곁들여 먹는다.
하드라마우트의 커피 또한 유명하다. 예멘은 아라비카 커피의 원산지 중 하나이며, 하드라마우트 지역에서도 질 좋은 커피가 생산된다. 현지에서는 커피를 향신료와 함께 끓여 독특한 풍미를 내는 방식으로 즐긴다. 디저트로는 할와halwa가 유명하며, 할와는 밀가루, 설탕, 기름, 견과류 등을 섞어 만든 달콤한 과자로, 다양한 종류가 있다. 특히 라마단 기간 동안 많이 만들어 먹는다.
하드라마우트에는 풍부한 전통 음악과 춤이 존재하며, 건축 양식 또한 독특하다.
5. 1. 의상
하드라마우트의 전통 의상은 지역의 문화와 역사를 반영한다. 남성은 일반적으로 푸타(futa)라고 불리는 허리 천과 셔츠, 그리고 머리를 덮는 천을 착용한다. 푸타는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으로 제공되며, 사회적 지위나 특별한 행사와 같은 상황에 따라 선택된다. 여성은 화려한 색상의 드레스와 바지, 그리고 머리 스카프를 착용한다. 장신구는 의상의 중요한 부분이며, 은이나 금으로 만든 목걸이, 팔찌, 귀걸이를 착용한다. 의상은 종종 복잡한 자수와 구슬 장식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이는 가족의 부와 지위를 나타낸다. 현대에는 전통 의상이 특별한 행사나 축제에서 주로 착용되지만, 일부 사람들은 여전히 일상생활에서 전통 의상을 입는다.5. 2. 요리
하드라마우트는 독특한 지리적, 기후적 조건으로 인해 독특한 요리 문화를 가지고 있다. 해안 지역에서는 해산물을 주재료로 한 요리가 발달했으며, 내륙 지역에서는 대추야자, 곡물, 염소고기, 양고기 등을 이용한 요리가 많다. 특히 향신료를 많이 사용하여 독특한 풍미를 내는 것이 특징이다.대표적인 요리로는 만디(mandi)가 있다. 만디는 쌀과 고기(주로 양고기나 닭고기)를 향신료와 함께 조리한 찜 요리로, 하드라마우트 지역의 대표적인 잔치 음식이다. 또한 아시ida라는 밀가루로 만든 죽과 비슷한 음식도 즐겨 먹는다. 아시는 주로 대추야자 시럽이나 꿀을 곁들여 먹는다.
하드라마우트의 커피 또한 유명하다. 예멘은 아라비카 커피의 원산지 중 하나이며, 하드라마우트 지역에서도 질 좋은 커피가 생산된다. 현지에서는 커피를 향신료와 함께 끓여 독특한 풍미를 내는 방식으로 즐긴다.
디저트로는 할와halwa가 유명하다. 할와는 밀가루, 설탕, 기름, 견과류 등을 섞어 만든 달콤한 과자로, 다양한 종류가 있다. 특히 라마단 기간 동안 많이 만들어 먹는다.
5. 3. 음악과 춤
하드라마우트에는 풍부한 전통 음악과 춤이 존재한다.5. 4. 건축
하드라마우트의 건축 양식은 독특하다.6. 경제
하드라마우트는 과거 유향의 주요 생산지로, 20세기 초에는 주로 인도 뭄바이로 수출되었다.[35] 이 지역에서는 센나와 코코넛도 생산되었다. 현재는 하루 약 26만 배럴의 석유를 생산하며, 1993년에 발견된 (14) 지역의 ''알 마실라'' 유전은 가장 생산성이 높은 유전 중 하나이다. 예멘 정부는 석유 생산량을 늘려 국부를 증진시키고자 유전 개발에 힘쓰고 있다. 석유는 국가 GDP의 30–40%, 총 국가 수입의 70% 이상, 그리고 국가 수출액의 90% 이상을 차지한다.[35]
6. 1. 석유와 가스
샤브와 남부 지방에서 발견된 소련의 유전은 다른 집단이 인수했음에도 불구하고 미미한 성공만을 거두었다. 서방 컨소시엄은 1993년 하드라마우트의 알-마실라에서 석유 수출을 시작했으며, 그곳의 생산량은 1999년에 67,000 배럴에 달했다. 자나(구 공동 석유 탐사 지역)와 동쪽 샤브와 블록에서도 새로운 유전이 발견되었다. 1995년 예멘의 석유 수출은 약 10억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예멘의 해상 석유 및 가스 매장량은 수십억 배럴의 석유와 가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마리브 유전에는 부생 천연 가스가 포함되어 있다.1995년 9월, 예멘 정부는 액화 천연 가스(LNG) 수출 프로젝트의 주도 회사로 프랑스의 토탈에너지스(TotalEnergies)를 지정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1997년, 예멘 가스 회사는 여러 민간 회사와 합류하여 예멘 LNG(Yemen LNG)(YLNG)를 설립했다. 2005년 8월, 정부는 세 개의 LNG 공급 계약에 대한 최종 승인을 내렸고, 이를 통해 YLNG은 아라비아 해 해안의 발하트에 이 나라 최초의 액화 플랜트를 건설하기 위해 20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국제 컨소시엄에 수여할 수 있게 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25년에 걸쳐 37억 달러가 투자되어 연간 약 670만 톤의 LNG를 생산하며, 미국과 대한민국으로의 선적이 예상된다. LNG 생산은 2009년 10월에 시작되었다. 예멘 정부는 LNG 프로젝트가 예산에 3억 5천만 달러를 추가하고 석유 화학 산업을 개발할 수 있게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36]
하드라마우트는 하루 약 25만 8,800 배럴을 생산한다.[37] 주요 유전 중 하나는 1993년에 발견된 마실라 분지 섹터(14)이다. 예멘 정부는 석유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유전 개발에 전념하고 있으며, 국가의 경제 및 사회 개발 요구에 대응하여 국부를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석유는 국내 총생산(GDP) 가치의 30%에서 40%를 차지하며, 국가 총 예산 수입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더욱이, 석유는 국가 수출 가치의 90% 이상을 차지한다.[38]
7. 정치
하드라마우트의 정치는 아직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가 없다. 19세기 초부터 하드라마우트에서는 대규모 인구 이동이 발생하여 인도양 주변 지역에 하드라미 소수 민족이 형성되었다.[42] 이들은 몸바사, 하이데라바드, 아우랑가바드, 마하라슈트라 콘칸[43][44], 망갈로르, 바트칼, 강골리, 말라바르, 실렛, 탄자니아, 말레이 제도, 스리랑카, 필리핀 남부, 싱가포르 등에 정착했다.[45] 하이데라바드와 아우랑가바드에서는 이들을 차우시라고 부르며, 주로 바르카스 인근에 거주한다. 구자라트주의 아흐메다바드와 수라트 등지에도 하드라미인들의 정착지가 존재하며, 남인도에서는 나와야트 공동체도 하드라미 상인들의 후손이다.
과거 말라카 술탄국[46], 폰티아나크 술탄국, 시아크 스리 인드라푸라 술탄국과 같은 말레이 제도의 여러 술탄국에서는 하드라미인의 후손들이 통치자로 등극하기도 했다. 19세기에는 하드라미 사업가들이 말레이 제도에서 대규모 해상 함대를 소유했다.[47] 현대에 이르러서는 알리 알라타스와 마리에 무하마드 등 여러 인도네시아 장관이 하드라미인의 후손이며, 2006년 동티모르 총리를 지낸 마리 알카티리 역시 하드라미 혈통이다.[48]
하드라미인들은 동아프리카 해안 지역에도 대규모로 정착했는데,[49] 케냐의 전직 장관인 샤리프 나세르와 나지브 발랄라도 하드라미 후손이다. 또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렘바족은 유전적 증거를 통해 하드라마우트 사람들과 연관성이 있음이 밝혀졌다.[50][51] 하드라마우트 지역 내에는 역사적인 유대인 인구도 존재했었다.[52][53][54]
8. 인구 통계
하드라마우트의 인구는 크게 하자렘, 사다, 마샤이크, 카바일 등으로 구성된다. 하자렘은 야루브 빈 카흐탄의 후손을 자처하는 남부 아라비아계 사람들이다.[39]
사다(Sadah, Sadah/سادةayh; 단수: Sayyid)는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의 후손으로, 특히 후세인 이븐 알리의 후손이다. 이들은 존경받는 귀족 계층을 형성하며, 가문별로 나뉘어 '문십'이라 불리는 지도자를 중심으로 활동한다. 문십은 종교 지도자로 존경받으며, 때로는 성인으로 추앙받기도 한다. 주요 가문으로는 아인아트의 셰이크 아부 바카르 빈 살렘 (), 시흐르와 와디 다완의 알-아이두루스 (العيدروسayh), 시밤의 빈 수마이트 (بن سميطayh), 그리고 세이윤의 사카프 (سقافayh) 등이 있다. 사다는 무기를 소지하지 않으며, 상업, 수공업, 농업 등에 직접 종사하지 않지만, 상당한 토지를 소유하고 노동자를 고용하여 경작한다. 이들은 높은 교육 수준과 엄격한 종교적 의무 준수를 통해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한다.[39][40]
마샤이크 (المشايخayh)는 사다 다음으로 존경받는 집단이다. 사다와 마찬가지로 무기를 소지하지 않으며,[41] '셰이크' (شيخayh)라는 명예로운 칭호를 받는다. 저명한 마샤이크 가문으로는 아무디 (العموديayh), 바 와지르 (با وزيرayh), 바 '아바드 (با عبّادayh) 가문 등이 있다.[41]
카바일 (القبائلayh), 즉 부족민은 인구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모든 성인 남성은 무기를 소지하며, 일부는 마을에 정착하고 다른 일부는 유목 생활을 한다. 부족은 구역 또는 가족으로 나뉘며, 각 구역은 족장의 지휘를 받는다. 족장은 '무카담' 또는 '술탄'이라고 불리며, 평화와 전쟁의 지도자 역할을 한다. 역사적으로 쿠아이티 부족은 하드라마우트에서 가장 강력한 부족이었으며, 야파'아 부족의 분파였다. 이들은 원래 정착지를 보호하기 위해 초청되었으나, 점차 세력을 확장하여 무칼라, 시흐르, 시밤 등 해안 지역을 지배하게 되었다. 쿠아이티 가문은 막대한 부를 축적했으며, 인도 하이데라바드 니잠의 군대에서 아랍 군대의 사령관으로 복무했다.[39][40]
도시민은 사다와 부족민과는 구별되는 자유로운 거주민으로, 무기를 소지하지 않는다. 이들은 상인, 기술자, 경작자, 하인 등으로 구성되며, 보호를 제공하는 부족과 족장에게 의존한다. 노예 계급은 과거 노예 무역이 성행했을 때 유입된 아프리카 출신 사람들로 구성된다. 이들은 이슬람 국가의 관습에 따라 비교적 좋은 대우를 받으며, 신뢰받는 위치에 오르기도 한다.[39][40]
8. 1. 하드라마우트 디아스포라
19세기 초부터 하드라마우트에서 대규모 인구 이동이 발생하여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동아프리카 등 인도양 주변에 상당한 규모의 하드라미 소수 민족이 형성되었다.[42] 이들은 몸바사, 하이데라바드, 아우랑가바드, 마하라슈트라 콘칸[43][44], 망갈로르, 바트칼, 강골리, 말라바르, 실렛, 탄자니아, 말레이 제도, 스리랑카, 필리핀 남부, 싱가포르 등에 정착했다.[45] 하이데라바드와 아우랑가바드에서는 이들을 차우시라고 부르며, 주로 바르카스 인근에 거주한다. 구자라트주의 아흐메다바드와 수라트 등지에도 하드라미인들의 정착지가 존재한다. 남인도에서는 나와야트 공동체도 하드라미 상인들의 후손이다.과거 말라카 술탄국[46], 폰티아나크 술탄국, 시아크 스리 인드라푸라 술탄국과 같은 말레이 제도의 여러 술탄국에서는 하드라미인의 후손들이 통치자로 등극하기도 했다. 19세기에는 하드라미 사업가들이 말레이 제도에서 바크, 브리그, 스쿠너 등 다양한 선박으로 구성된 대규모 해상 함대를 소유했다.[47] 현대에 이르러서는 알리 알라타스와 마리에 무하마드 등 여러 인도네시아 장관이 하드라미인의 후손이며, 2006년 동티모르 총리를 지낸 마리 알카티리 역시 하드라미 혈통이다.[48]
하드라미인들은 동아프리카 해안 지역에도 대규모로 정착했는데,[49] 샤리프 나세르와 나지브 발랄라 등 케냐의 전직 장관들도 하드라미 후손이다. 또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렘바족은 유전적 증거를 통해 하드라마우트 사람들과의 연관성이 입증되었다.[50][51]
하드라마우트 지역 내에는 역사적인 유대인 인구도 존재했었다.[52][53][54]
참조
[1]
웹사이트
حضرموت
https://yemen-nic.in[...]
2024-11-14
[2]
Bible
Genesis
[3]
Bible
Chronicles
[4]
간행물
Ḥaḍramūt: A Name with a Story
1981
[5]
웹사이트
Lost City of Arabia
https://www.pbs.org/[...]
PBS
1996-09
[6]
웹사이트
General word list
http://dasi.humnet.u[...]
2016-05-01
[7]
문서
Historia Plantarum
[8]
서적
Western Arabia & The Red Sea
Routledge
2013
[9]
서적
Languages from the World of the Bible
Walter de Gruyter
2011
[10]
서적
The Ancient Languages of Syria-Palestine and Arab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서적
The Encyclopaedia of Islam
[12]
간행물
Ḥaḍramawt, I. Pre-Islamic Period
[13]
웹사이트
South Arabia
http://nabataea.net/[...]
2019-10-08
[14]
서적
Arabia and the Arabs: From the Bronze Age to the Coming of Islam
Routledge
[15]
서적
Arabic Geography in the Ninth and Tenth Centuries
Indiana University Press
1999
[16]
문서
Gazetteer of the Persian Gulf, Oman, and Central Arabia
Government of India
1908
[17]
서적
The Isma'ilis: Their History and Doctrines
[18]
웹사이트
Al-Isabah Fi Tamyiz Al-Sahabah by Ibn Hajr; al Istishaab by Shafii; al Bidayah wan Nihayah by Ibn Kathir; Kitab al Sahaba by Ibn Hibban
https://islamstory.c[...]
Story of Islam
2020-02-11
[19]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http://library.ut.ac[...]
Brill
1960–2007
[20]
서적
Hadramaut: Some of its mysteries unveiled
https://books.google[...]
E.J. Brill
1964
[21]
간행물
Hud and Other Pre-islamic Prophets in Hadhramawt
https://www.scribd.c[...]
Peeters Publishers
1954
[22]
서적
Kitab al-Isharat ila Ma rifat al-Ziyarat
[23]
서적
The Indian Ocean in the Making of Early Modern India
[24]
뉴스
2 Yemens Become One, and Celebrate
https://www.nytimes.[...]
1990-05-23
[25]
간행물
No Room at the Inn
http://www.newstates[...]
2007-10-18
[26]
문서
Arabian Boundaries: Primary Documents, 1853–1957
[27]
서적
Hadhramaut and its diaspora: Yemeni politics, identity and migration
I.B. Tauris
2017
[28]
서적
عادات وتقاليد حضرموت الغربية
https://archive.org/[...]
[29]
서적
On the Edge of Empire: Hadhramawt, Emigration, and the Indian Ocean, 1880s-1930s
http://dx.doi.org/10[...]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2
[30]
서적
Vegetation of the Arabian Peninsula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13-04-17
[31]
서적
بين مكة وحضرموت: رحلات ومشاهدات
https://books.google[...]
دار مكة
[32]
서적
World and Its Peoples: The Middle East, Western Asia, and Northern Africa
https://books.google[...]
Cavendish Publishing
[33]
서적
Gazetteer of Arabia: a geographical and tribal history of the Arabian Peninsula
https://books.google[...]
Akademische Druck- u. Verlagsanstalt
[34]
서적
From Cairo to Baghdad: British Travellers in Arabia
https://books.google[...]
I.B. Tauris
2014-08-25
[35]
서적
Arabia
http://www.wdl.org/e[...]
H.M. Stationery Office
[36]
간행물
Country Profile: Yemen
https://web.archive.[...]
Library of Congress – Federal Research Division
2006-12
[37]
웹사이트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https://www.eia.gov/[...]
2016-03-03
[38]
웹사이트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18-02-09
[39]
서적
Gazetteer of Arabia Vol. I (Qatar Digital Library)
https://archive.org/[...]
India Office
1917
[40]
서적
Encyclopædia Britannica 11 ed. Vol. 12 (Gichtel, Johann Georg to Harmonium)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11
[41]
서적
On the Edge of Empire: Hadhramawt, Emigration, and the Indian Ocean, 1880s-1930s
http://dx.doi.org/10[...]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2
[42]
서적
The Graves of Tarim: Genealogy and Mobility across the Indian Oce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3]
서적
Mediaeval Deccan History
Popular Prakashan
[44]
간행물
Hadramis in Hyderabad: From Winners to Losers
http://www.ingentaco[...]
Asian Journal of Social Science
[45]
뉴스
Singapore's Arab community traces ancestral roots to Yemen's Hadhramaut Valley
https://www.arabnews[...]
2023-12-11
[46]
서적
Hadhrami Traders, Scholars and Statesmen in the Indian Ocean, 1750s to 1960s
https://books.google[...]
Brill
1997
[47]
서적
The Hadhrami Diaspora in Southeast Asia: Identity Maintenance or Assimilation?
https://books.google[...]
BRILL
2009-03-16
[48]
뉴스
Agence France-Presse
[49]
서적
Sufis and Scholars of the Sea: Family Networks in East Africa, 1860–1925
https://books.google[...]
Routledge
[50]
간행물
Lemba origins revisited: tracing the ancestry of Y chromosomes in South African and Zimbabwean Lemba
https://pubmed.ncbi.[...]
2013-10-11
[51]
웹사이트
Tudor Parfitt's Remarkable Quest
https://www.pbs.org/[...]
PBS
2015-02-04
[52]
서적
Brave New Judaism: When Science and Scripture Collide
https://books.google[...]
UPNE
2004-01-01
[53]
서적
The Jews of the British Crown Colony of Aden: History, Culture, and Ethnic Relations
https://books.google[...]
BRILL
1994
[54]
서적
Encyclopaedia Judaica: Gos-Hep
https://books.google[...]
Macmillan Reference USA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