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쓰세 (전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쓰세는 1890년대 말 영국에서 건조된 일본 제국 해군의 시키시마급 전함으로, 러일 전쟁에 참전했다. 1901년 취역하여 여순항 해전 등에서 활약했으나, 1904년 5월 뤼순항 봉쇄 작전 중 기뢰에 의해 침몰하여 490명 이상의 사망자를 냈다. 하쓰세의 침몰은 일본 해군에 큰 손실을 입혔으며, 이후 해군력 증강과 기뢰전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키시마급 전함 - 미카사 (전함)
미카사는 러일 전쟁에서 활약한 일본 제국 해군의 전함으로, 쓰시마 해전에서 발트 함대를 격파하는 데 기여했으며 현재 요코스카에 기념함으로 보존되어 있는 세계 유일의 현존하는 전드레드노트급 전함이다. - 시키시마급 전함 - 아사히 (전함)
아사히는 일본 제국 해군이 해군력 강화를 위해 영국에 발주한 전함으로, 러일 전쟁에서 공을 세웠으며 해방함, 연습 특무함, 잠수함 구조함, 공작함 등으로 용도가 변경되어 중일 전쟁에 투입되었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중 침몰했다. - 동중국해의 침몰선 - 야시마 (전함)
야시마는 일본 해군이 최초로 발주한 근대적 전함 중 하나로, 러일 전쟁에 참전했으나 여순항 앞바다에서 기뢰에 의해 침몰하여 일본 해군에 타격을 주고 장갑순양함 국산화와 잠수함 건조를 추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 동중국해의 침몰선 - 도네 (방호순양함)
러일 전쟁 후 일본 해군이 자체 설계 능력을 입증하고자 엘스윅 크루저 요시노를 참고하여 건조한 2등 방호순양함 도네는 일본 순양함 중 왕복 기관을 탑재한 마지막 함선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중국 수역 경비 활동에 참여 후 1933년 격침되었다. - 기뢰에 침몰한 선박 - 야시마 (전함)
야시마는 일본 해군이 최초로 발주한 근대적 전함 중 하나로, 러일 전쟁에 참전했으나 여순항 앞바다에서 기뢰에 의해 침몰하여 일본 해군에 타격을 주고 장갑순양함 국산화와 잠수함 건조를 추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 기뢰에 침몰한 선박 - 다카사고 (방호순양함)
일본 제국 해군의 방호순양함 다카사고는 아르헨티나 해군 순양함 설계를 개선하여 건조되었으며 러일 전쟁에 참전했지만, 뤼순항 앞바다에서 기뢰에 의해 침몰했다.
하쓰세 (전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함선 정보 | |
![]() | |
함명 | 하쓰세 (初瀬) |
함종 | 전드레드노트 전함 |
등급 | 1등 전함 (1899년 10월 18일) |
소속 | 일본 제국 해군 |
기공 | 1898년 1월 10일 |
진수 | 1899년 6월 27일 |
준공 | 1901년 1월 18일 |
침몰 | 1904년 5월 15일, 기뢰에 맞아 침몰 |
제적 | 1905년 5월 21일 |
건조 조선소 | 암스트롱 휘트워스 엘스위크 조선소 |
조선소 야드 번호 | 680 |
계획 | 2기 확장 계획 |
동형함 | 시키시마급 전함 |
제원 (준공 시 계획) | |
공시 배수량 | 15,240 영국 톤 |
상비 배수량 | 15,000 영국 톤 |
전체 길이 | 133.75 미터 |
수선 길이 | 126.5 미터 |
수선 폭 | 23.4 미터 |
흘수 | 8.2 미터 |
추진축 | 2축, 120 rpm |
주기관 | 직립 3단 팽창 증기기관 2기 |
보일러 | 벨빌 보일러 25기 |
출력 (계획) | 14,500 마력 |
출력 (공시) | 16,117 마력 |
속력 (계획) | 18.0 노트 |
속력 (공시) | 19.1 노트 |
연료 | 석탄 1,643 톤 |
항속 거리 | 7,000 해리 (10노트 시) |
승무원 | 준공 시 정원: 836명 |
승무원 (1903년 12월 31일) | 849명 |
무장 | |
주포 | 40구경 12인치 (30.5cm) 연장포 2기 |
부포 | 40구경 6인치 (15.2cm) 단장포 14기 |
기타 포 | 40구경 3인치 (7.6cm) 단장포 20기 47mm 단장포 12기 |
어뢰 발사관 | 45cm 수중 어뢰 발사관 4문 |
장갑 | |
현측 장갑 | 9인치 (228.6mm) - 4인치 (101.6mm) HS 강 |
갑판 장갑 | 4인치 (101.6mm) - 2.5인치 (63.5mm) |
포탑 장갑 | 14인치 (355.6mm) - 8인치 (203.2mm) |
포곽 장갑 | 6인치 (152.4mm) - 2인치 (50.8mm) |
사령탑 장갑 | 14인치 (355.6mm) - 3인치 (76.2mm) |
2. 건조 배경 및 제원
하쓰세는 일본이 1896년부터 10개년 계획으로 추진한 제1, 제2기 해군 확장 계획에 따라 건조한 시키시마급 전함 중 하나이다.[1] 당시 일본은 자체적으로 전함을 건조할 기술과 능력이 부족했기에,[2] 청일 전쟁 패전국인 청나라로부터 받은 배상금 £30,000,000(3000만파운드)을 재원으로 활용하여[7] 영국 뉴캐슬어폰타인의 암스트롱 휘트워스 사 엘스윅 조선소에 발주하여 건조되었다. 함선의 이름은 나라현의 옛 지명이자 하세데라 사찰이 위치한 곳과 하쓰세 강에서 유래했다.[6]
하쓰세는 1898년 1월 10일 기공되어 1899년 6월 27일 진수되었고,[8] 1901년 1월 18일에 완공되었다.[9] 일본으로 회항하기 전인 1901년 2월 2일에는 메이지 천황을 대신하여 빅토리아 여왕의 장례식에 참석하기도 했다.[10] 이후 싱가포르에서 석탄 보급 및 선체 도색 변경(회색에서 검은색으로)을 거친 후,[11][12] 1901년 4월 3일 요코스카에 도착했다.[13]
하쓰세는 영국 해군의 마제스틱급 전함을 개량한 설계로 건조되었으며, 상세한 제원과 무장, 방호력 등은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1][5]
2. 1. 설계 및 특징
시키시마급 전함은 영국 해군의 마제스틱급 전함 설계를 개량한 것이었다.[1] 당시 일본은 자체적으로 전함을 건조할 기술과 능력이 부족했기 때문에 해외에 발주하여 건조해야 했다.[2] ''하쓰세''는 전장 약 133.50m, 폭 약 23.16m, 흘수는 만재 시 약 8.23m였다. 기준 배수량은 약 14541664.66kg였고, 기함으로 운용될 때는 849명의 장교와 수병이 탑승했다.이 함선은 2기의 험프리스 테넌트(Humphrys, Tennant and Dykes) 사의 수직 삼단 팽창 증기 기관으로 구동되었으며, 각 기관은 1개의 프로펠러 축을 구동했다. 증기는 25기의 벨빌 보일러에서 공급되었다. 엔진은 강제 통풍을 사용하여 14500ihp의 출력을 내도록 설계되었으며, 최고 속도는 18kn으로 계획되었다. 그러나 ''하쓰세''는 해상 시운전에서 16117ihp의 출력으로 19.1kn의 최고 속도를 기록했다.[5] 이 함선은 10kn의 속도로 5000nmi의 항속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석탄을 탑재했다.[3]
함선의 주포는 2기의 연장 포탑에 장착된 4문의 약 30.48cm 함포로 구성되었으며, 포탑은 함교 앞뒤에 각각 1기씩 배치되었다. 부포로는 14문의 속사포(QF) 약 15.24cm 함포가 있었으며, 이 포들은 선체 측면과 상부 구조물의 케이스메이트에 장착되었다.[1] 어뢰정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 다수의 소구경 함포가 탑재되었다. 여기에는 20문의 QF 12파운더(약 7.62cm) 12cwt 함포[4], 8문의 47mm 3파운더 함포, 그리고 4문의 동일 구경 2.5파운더 호치키스포가 포함되었으며, 모두 단일 포가에 설치되었다. 또한 각 현측에 2기씩, 총 4문의 수중 약 45.72cm 어뢰 발사관으로 무장했다.
시키시마급 함선의 수선 장갑대는 약 10.16cm 에서 약 22.86cm 두께의 하비 강철로 구성되었다. 포탑의 장갑은 최대 약 25.40cm 두께였으며, 갑판 장갑의 두께는 약 6.35cm 에서 약 10.16cm였다.[5]
2. 2. 무장
이 함선의 주포는 2기의 쌍열 포탑에 장착된 4문의 약 30.48cm 40구경장 포로 구성되었으며, 포탑은 함교 앞뒤에 각각 1기씩 설치되었다. 부포는 14문의 속사(QF) 약 15.24cm 40구경장 포로 구성되었으며, 이 포들은 선체의 측면과 함교에 있는 케이스메이트에 장착되었다.[1]어뢰정에 대한 방어를 위해 더 작은 구경의 여러 포들이 탑재되었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포들이 있었다.
- 20문의 QF 12파운더(약 7.62cm) 12cwt 포[4]
- 8문의 47mm 3파운더 포
- 4문의 2.5파운더 호치키스 포
이 소구경 포들은 모두 단일 포좌에 장착되었다. 또한 각 현측에 2기씩, 총 4문의 수중 약 45.72cm 어뢰 발사관으로 무장했다.
2. 3. 방호
하쓰세의 수선 장갑대는 약 10.16cm에서 약 22.86cm 두께의 하비 강철로 구성되었다. 포탑의 장갑은 최대 약 25.40cm 두께였으며, 갑판의 두께는 약 6.35cm에서 약 10.16cm 사이였다.[5]3. 함생애
함명은 나라현의 옛 지명에서 유래했으며,[6] 청일 전쟁 이후 청나라의 배상금을 재원으로 영국 암스트롱 휘트워스 사에 발주되어 1901년 완공되었다.[7][8][9]
러일 전쟁 발발 시 제1함대 제1전대에 배속되어 사령관 나시바 도키오키 소장의 기함으로 활동했다. 1904년 2월 9일 여순항 해전에 참가했으며,[14] 이후 여순항 봉쇄 작전에 투입되었다.
1904년 5월 15일, 여순항 외곽 해역에서 러시아 해군이 부설한 기뢰에 두 차례 접촉하여 침몰했다.[17] 이 사고로 승무원 496명이 사망했으나,[18] 나시바 소장과 함장 나카오 유우 대령 등 334명은 구조되었다. 침몰 지점은 북위 38도 37분, 동경 121도 20분이다.[9] 같은 날 전함 야시마도 기뢰로 침몰했다.[19]
3. 1. 러일 전쟁 이전
하쓰세는 1896년부터 시작된 10개년 계획인 '제1, 2기 해군 확장 계획'에 따라 건조된 전함 중 하나이다. 이 계획은 청일 전쟁(1894년-1895년)에서 승리한 후 청나라로부터 받은 배상금 3000만파운드를 재원으로 사용했다.[7] 함명은 나라현의 옛 지명이자 하세데라 사찰과 하쓰세 강에서 유래했다.[6]
건조는 영국 뉴캐슬어폰타인에 위치한 암스트롱 휘트워스 사의 엘스윅 조선소에서 이루어졌다. 1898년 1월 10일에 기공되었으며,[8][38] 같은 해 3월 21일 제정된 해군 군함 및 어뢰정 분류 표준에 따라 배수량 10000ton 이상의 전함으로서 '일등 전함'으로 분류될 예정이었다.[42][43][44] 4월 27일, 제3호 장갑 전함은 공식적으로 '하쓰세'로 명명되었다.[45][35]
1899년 6월 27일에 진수되었고,[8][38] 같은 해 10월 18일에는 미카사, 이즈모, 이와테 등과 함께 군함 및 어뢰정 분류 등급표에 정식으로 등재되었다.[46][36] 1901년 1월 18일에 준공되었다.[9][38][47]
일본으로 회항하기 전인 1901년 2월 2일, 메이지 천황을 대신하여 빅토리아 여왕의 장례식에 참석하기 위해 포츠머스를 출발, 플리머스 군항으로 이동했다.[10][47] 2월 12일 플리머스를 출항하여[48] 일본으로 향했다. 항해 도중 3월 28일 싱가포르에 도착하여 석탄을 보급받고 함체 색상을 기존의 회색에서 검은색으로 변경한 후,[11][12] 4월 3일 요코스카로 출항했다.[13] 1901년 4월 15일, 요코스카에 도착하여[49] 일본 해군에 정식으로 인도되었다.
3. 2. 러일 전쟁
1904년 러일 전쟁이 발발하자, '''하쓰세'''는 제1함대 제1전대에 소속되어 사령관 나시바 도키오키 소장의 기함으로 참전했다.[14] 2월 9일부터 여순항 해전에 참가했으며,[14][50] 이후 여순항 포위 작전에도 투입되었다. 그러나 5월 15일, 여순항 앞바다에서 러시아 해군이 부설한 기뢰에 두 차례 접촉하여 후방 화약고가 유폭, 대폭발을 일으키며 침몰했다.[17][9] 이 사고로 나시바 소장을 포함한 334명은 구조되었으나, 승무원 496명이 사망했다.[18] 훗날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아내가 되는 쓰카모토 후미의 아버지, 쓰카모토 젠고로(제1함대 제1전대 선임 참모)도 이때 전사했다. '''하쓰세'''는 1905년 5월 21일 퇴역 처리되었다.[68]3. 2. 1. 여순항 해전
러일 전쟁이 시작되었을 때, 유 나카오(대령)이 지휘하는 ''하쓰세''는 나시바 도키오키 소장의 기함으로서 제1함대 제1사단에 배속되었다. 1904년 2월 9일, 도고 헤이하치로 중장이 이끄는 제1함대가 여순항 외곽에 정박 중이던 러시아 태평양 함대를 공격하면서 시작된 여순항 해전에 참가했다.[14]도고는 일본 구축함들의 야간 기습 공격이 실제보다 훨씬 성공적이었을 것으로 예상하고 러시아군이 크게 약화되었을 것이라 판단했지만, 러시아군은 기습에서 회복하여 방어 준비를 마친 상태였다. 일본 함대는 해안 경계를 순찰하던 러시아 순양함 보야린(Boyarin (1901))에 의해 발견되어 러시아 방어군에 경고가 전달되었다. 도고는 주포로 러시아 해안 방어 시설을 공격하고 부포로 러시아 함선을 상대하기로 결정했으나, 이는 효과적이지 못했다. 일본의 8인치 및 6인치 포는 러시아 함선에 거의 피해를 주지 못했고, 오히려 러시아군은 일본 함선에 포격을 집중하여 어느 정도 효과를 보았다. 이 전투에서 ''하쓰세''는 두 차례 피격당하여 7명의 승무원이 사망하고 17명이 부상을 입었다.[14] 양측 모두 많은 함선이 피격되었지만, 러시아 측 사상자는 17명에 불과했고 일본은 도고가 교전을 중단하기 전까지 60명의 사망자와 부상자를 냈다.[14]
3. 2. 2. 여순항 봉쇄 작전과 침몰
1904년 5월 14일, 제1함대 제1전대 사령관 나시바 도키오키 소장은 기함인 전함 '''하쓰세'''를 포함하여 시키시마, 야시마, 방호순양함 카사기, 통보함 류타를 이끌고 여순항 앞바다의 일본 봉쇄 함대를 지원하기 위해 출항했다.[16][38][41][51][52]다음 날인 5월 15일 아침, 함대는 여순항 봉쇄 작전 중 여순항 외곽 라오톄산(老鐵山) 해역에서 러시아 해군의 기뢰부설함 아무르가 전날 밤 비밀리에 부설한 기뢰밭과 마주쳤다.[17] 오전 10시 50분경(다른 기록에는 11시경)[53], '''하쓰세'''는 좌현 함저에 기뢰 1발과 접촉했다.[17][53] 이 폭발로 조향 장치가 파괴되고 기관이 정지되어 항해 불능 상태에 빠졌으며, 배는 좌현으로 기울고 함미부터 침수되기 시작했다.[53][59] 당시 날씨가 맑아 승무원들은 경계를 소홀히 하고 있었다고 전해진다.[53]
'''하쓰세'''를 구조하기 위해 동료함 야시마가 접근하던 중, 야시마 역시 기뢰에 접촉하여 큰 손상을 입었다.[54][55][56] 시키시마는 위험 지역을 벗어났다.[57] 일본 함대는 이것이 기뢰 또는 잠수함의 공격이라고 판단했다.[39][61]
카사기가 '''하쓰세'''에 접근하여 예인을 거의 준비했을 무렵인 오후 12시 33분, '''하쓰세'''는 두 번째 기뢰에 접촉했다.[58][59] 이 폭발은 후방 화약고를 유폭시켜 대규모 폭발을 일으켰고, 함선은 함미부터 급격히 가라앉아 약 2분 만에 완전히 침몰했다.[17][58][59] 침몰 지점은 북위 38도 37분, 동경 121도 20분 해역이다.[9]
'''하쓰세'''와 야시마가 기뢰에 접촉했을 때, 뤼순 요새에서 러시아 해군의 구축함과 어뢰정들이 출격했다.[41] 이에 카사기, 류타, 아카시, 지요다, 아키쓰시마, 오시마, 아카기, 우지, 다카사고 등 구조에 나선 함정들은 러시아 함정들을 격퇴하면서 생존자 구조 작업을 벌였다.[55][59][39]
이 침몰로 '''하쓰세'''의 승무원 834명 중 495명(다른 기록에는 496명 또는 492명 및 고용인 12명)이 전사했다.[18][60][38] 나시바 도키오키 소장, 함장 나카오 유우 대령, 항해장 치사카 치지로, 기관장 사토 카메타로, 어뢰장 코바야시 케이치로 등 주요 지휘관을 포함한 337명(다른 기록에는 334명)은 구조되었다.[38][61] 구조된 나시바 소장은 류타에 자신의 기를 게양했으나, 제1전대 사령부 요원의 대부분은 전사했다.[61] 전사자 중에는 훗날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아내가 되는 쓰카모토 후미의 아버지인 제1함대 제1전대 선임 참모 쓰카모토 젠고로도 포함되어 있었다.[62]
이날 일본 해군은 당시 보유했던 주력 전함 6척(후지, 야시마, 시키시마, 아사히, '''하쓰세''', 미카사) 중 3분의 1에 해당하는 '''하쓰세'''와 야시마(야시마는 기뢰 접촉 후 약 8시간 만에 침몰)를 단 몇 시간 만에 잃었다.[63][19] 또한 같은 날 새벽에는 방호순양함 요시노가 아군 장갑순양함 카스가와의 충돌 사고로 침몰하는 사건도 발생했다.[41][64] 심지어 '''하쓰세'''와 야시마의 생존자들을 태우고 있던 류타마저 좌초하는 등,[65] 1904년 5월 15일은 일본 해군에게 '재앙의 날'로 기록되었다.[65][66]
'''하쓰세'''는 1905년 5월 21일(다른 기록에는 6월 15일)[67]에 공식적으로 함적에서 제적되었다.[68]
4. 침몰 이후 영향
하쓰세의 침몰은 단순히 함선 한 척의 손실을 넘어, 당시 러일 전쟁을 수행 중이던 일본 제국 해군의 전력과 이후의 군사 작전, 심지어 사회 인식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4. 1. 일본 해군에 미친 영향
러일 전쟁 중이던 당시 일본 제국 해군은 전함 6척(후지, 야시마, 시키시마, 하쓰세, 아사히, 미카사)을 보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여순항 포위 작전 중 기뢰에 접촉하여 하쓰세와 야시마 2척을 같은 날 동시에 잃는 사건이 발생했다.[69] 이는 보유 전함의 3분의 1을 한꺼번에 상실한 것으로, 일본 해군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이 손실을 메우기 위해 해군은 함정의 긴급 보충 필요성을 제기했고, 5월 23일 장갑순양함의 국산화와 잠수함 건조 계획이 승인되었다. 이 계획에 따라 건조된 장갑순양함이 바로 쓰쿠바급 순양전함 2척(쓰쿠바, 이코마)이다.[70] 또한 잠수함 전력 확보를 위해 미국 일렉트릭 보트사로부터 홀랜드급 잠수함 5척을 수입하여 제1형 잠수함으로 운용하게 되었다.
4. 2. 사회적 영향
러일 전쟁 중이던 1904년 5월 15일, 당시 일본 해군이 보유한 6척의 전함(후지, 야시마, 시키시마, 하쓰세, 아사히, 미카사) 중 하쓰세와 야시마 두 척이 동시에 침몰한 사건은 일본 해군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69] 이러한 손실에 대응하여 일본 해군은 함정 긴급 보충 계획을 세워 5월 23일 승인을 받았다. 이 계획에 따라 장갑순양함의 국산화와 잠수정 건조가 추진되었고, 그 결과 쓰쿠바형 순양전함인 쓰쿠바와 이코마가 건조되었으며[70], 잠수함으로는 일렉트릭 보트사에서 수입한 홀랜드형 잠수함을 도입했다.1935년 10월 2일, 쇼와 천황은 동생인 미카사노미야 다카히토 친왕의 칭호로 '하쓰세'를 고려했으나[71], 나중에 '미카사노미야'로 변경하였다.[72]
태평양 전쟁 중 과달카날 전투가 한창이던 1942년 11월, 일본 해군은 과달카날 섬의 헨더슨 비행장에 대한 함포 사격을 계획했다(헨더슨 비행장 함포 사격). 금강형 전함 히에이와 기리시마를 동원한 이 작전 계획을 보고받은 쇼와 천황은 러일 전쟁 당시 하쓰세와 야시마가 함께 기뢰에 침몰했던 사건을 상기시키며, 동일한 작전을 반복하다가 같은 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경계를 철저히 할 것을 당부했다. 당시 조 에이이치로의 일기(1942년 11월 8일 자, 노무라 미노루 편저 『조 에이이치로 일기』 204페이지)에는 쇼와 천황의 우려가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1550, 전황상 문. 7일의 d×9의 수송 성공, 단 적기 20기 내습, 수상기 10기 상공 직위에서 전투, 어제까지 미귀환기 7기. 가도(비행기)장에 대해, B×2에 의한 포격의 예정에 대해, 동일 작전을 반복하여 "하쓰세", "야시마"[일로 전쟁 당시의 전함으로 뤼순 항 작전에서 함께 적 기뢰에 접촉하여 폭침했다]와 같은 일이 없도록 경계를 요한다고 말씀하셨다. 미영군, 모로코 대서양 연안 및 지중해 연안에 상륙했다는 보도가 있다."
그러나 미군은 일본 함대를 기다리고 있었고, 11월 12일 밤부터 사보 섬 근해에서 벌어진 야간 수상 전투와 공습으로 일본군은 히에이와 기리시마 두 척의 전함을 포함한 다수의 구축함과 수송선을 잃었다(제3차 솔로몬 해전). 결국 쇼와 천황의 우려는 현실이 되고 말았다.
5. 평가 및 역사적 의의
러일 전쟁 중이던 1904년 5월 15일, 여순항 포위 작전에서 전함 야시마와 함께 기뢰에 접촉하여 침몰한 사건은 당시 일본 해군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69] 보유 전함 6척 중 최신예함 두 척(하쓰세, 야시마)을 한꺼번에 잃은 것은 심각한 전력 손실이었기 때문이다.
이 사건은 일본 해군이 함정 긴급 보충의 필요성을 절감하는 계기가 되었고, 5월 23일 함정 긴급 보충안이 승인되었다. 그 결과, 일본 최초의 국산 장갑순양함인 쓰쿠바형 순양전함 2척(쓰쿠바, 이코마) 건조와[70] 미국 일렉트릭 보트사로부터 홀랜드형 잠수함 도입이 추진되는 등 해군력 증강으로 이어졌다. 또한, 최신예 전함이 기뢰에 의해 격침된 이 사건은 기뢰전의 위협과 중요성을 실감하게 한 사례로 평가된다.
하쓰세와 야시마의 침몰은 이후에도 일본 해군에게 중요한 교훈으로 남았다. 태평양 전쟁 중 과달카날 전투가 한창이던 1942년 11월, 쇼와 천황은 헨더슨 비행장 함포 사격을 위해 전함 히에이와 기리시마를 투입하는 계획을 보고받고, 러일 전쟁 당시 여순항 포위 작전에서 하쓰세와 야시마가 기뢰에 함께 침몰했던 사례를 언급하며, 동일한 작전을 반복하다 같은 실패를 겪지 않도록 경계해야 한다고 우려를 표했다. 천황의 우려는 제3차 솔로몬 해전에서 현실이 되어, 일본군은 히에이와 기리시마를 포함한 다수의 함선을 잃는 큰 피해를 입었다.
6. 함장 목록
구분 | 이름 | 계급 | 재임 기간 |
---|---|---|---|
회항 위원장 | 우에무라 나가타카 | 대좌 | 1899년 3월 22일 - 1900년 8월 1일 |
함장 | 우에무라 나가타카 | 대좌 | 1900년 8월 1일 - 1901년 7월 5일 |
나시와 도키오키 | 대좌 | 1901년 7월 5일 - 1902년 7월 18일 | |
시마무라 하야오 | 대좌 | 1902년 7월 18일 - 1903년 10월 27일 | |
나카오 유우 | 대좌 | 1903년 10월 27일 - 1904년 5월 24일 |
참조
[1]
서적
Chesneau & Kolesnik, p. 221
[2]
서적
Evans & Peattie, p. 60
[3]
서적
Jentschura, Jung & Mickel, p. 17
[4]
기타
"Cwt" is the abbreviation for [[hundredweight]], 12 cwt referring to the weight of the gun.
[5]
서적
Brook 1999, p. 125
[6]
서적
Jane, p. 399
[7]
서적
Evans & Peattie, pp. 57–58, 60
[8]
서적
Brook 1985, p. 274
[9]
서적
Jentschura, Jung & Mickel, p. 18
[10]
서적
Brook 1999, p. 127
[11]
뉴스
Arrival of the Japanese battleship – Hatsuse
https://eresources.n[...]
2019-12-25
[12]
뉴스
Friday, March 29, 1901
https://eresources.n[...]
2019-12-25
[13]
뉴스
Untitled article
https://eresources.n[...]
2019-12-25
[14]
서적
Forczyk, pp. 41–44
[15]
서적
Forczyk, pp. 45–46
[16]
서적
Warner & Warner, p. 279
[17]
서적
Brook 1999, p. 124
[18]
서적
Forczyk, p. 46
[19]
서적
Forczyk, pp. 46–47
[20]
서적
[[#艦艇写真集(2005)戦艦]]p.29
[21]
서적
[[#海軍制度沿革巻八]]p.62『明治三十二年十月十八日(達一八七) 明治三十一年達第三十五號軍艦及水雷艇類別等級表中別紙ノ通追加ス (別紙略)』
[22]
서적
[[#海軍制度沿革巻八]]pp.66-68『明治三十八年十二月十二日(達一八二) 艦艇類別等級別表ノ通定ム (別表略)』
[23]
서적
[[#日本の戦艦(上)2001]]p.38
[24]
서적
[[#日本の戦艦(上)2001]]p.19
[25]
서적
[[#海軍制度沿革8(1971)]]p.9
[26]
서적
[[#昭和造船史1]]pp.776-777、附表第2 艦艇要目表 1.主力艦要目表
[27]
서적
[[#日本の戦艦(上)2001]]p.106、≪3-7表≫主要寸法一覧
[28]
서적
[[#帝国海軍機関史(1975)]]別冊、表8 列国製艦一覧表 其ノ一
[29]
서적
[[#帝国海軍機関史(1975)]]下巻p.263、戦役中艦艇石炭搭載成績表
[30]
서적
[[#帝国海軍機関史(1975)]]下巻p.278、戦役従軍艦艇及其の最近高力運転成績。
[31]
기타
『日本戦艦物語I』による。ただし括弧書きで記載され、その説明はない。『昭和造船史』では空欄となっている。
[32]
서적
[[#海軍制度沿革10-1(1972)]]pp.356-357『明治三十二年七月六日(内令六二) 海軍定員令第二條別表定員表ノ次ニ別表ノ通り敷島、朝日、初瀬、出雲、八雲、吾妻定員表ヲ追加セラル (別表略)』准士官以上51人、下士135人、卒650人
[33]
서적
[[#帝国海軍機関史]]下巻p.245(二〇九頁)、開戦前艦団体配置人員
[34]
서적
[[#日本の戦艦(上)2001]]p.218
[35]
서적
[[#達明治31年4月]]p.25『達第七十六號 英國ニ於テ製造中ノ第三號甲鐡戰艦及第六號一等巡洋艦左ノ通命名セラル 明治三十一年四月二十七日 海軍大臣 侯爵西郷從道|第三號甲鐡戰艦
[36]
문서
達明治32年10月]]pp.6-7『達第百七十八號 明治三十一年達第三十五號軍艦及水雷艇類別等級表中別紙ノ通追加ス 明治三十二念十月十八日 海軍大臣 山本権兵衛 |軍艦|戰艦|一等|初瀬 三笠|/|巡洋艦|一等|出雲 磐手|』
[37]
문서
河川の名が付いた日本海軍戦艦は当艦のみである。
[38]
문서
幕末以降帝国軍艦写真と史実]]第60コマ(原本87頁)『初瀬(はつせ) 艦種戰艦 二檣(戰闘檣あり)艦名考川名に採る、初瀬川は大和國磯城郡上之郷小を夫の山中に發し、南流長谷寺の傍を過ぎ西流、朝倉三輪を過ぎ、西北に屈折し、山邊郡二階堂村に至りて佐保川となる、長さ凡そ十里。艦歴明治37・8年日露戰役に從軍:第一戰隊司令官少将梨羽時起の旗艦として行動中、同37年5月15日旅順口外に於て2回に亙り敵の機械水雷に觸れて沈没、副長中佐有森元吉外准士官以上35名、下士卒443名、傭人12名殉難。司令官及び艦長大佐中尾雄以下337名救助せらる。―要目― 長400呎/幅75呎/吃水27呎/排水量15,000噸/機關 三聯成汽罐2基、ベルビル罐25臺/馬力1,000/速力18/乗組人員741/船材 鋼/兵装 12吋砲4/6吋砲14/3吋砲20/3听砲8/2.5听砲6/發射管4/起工 明治31-1-10/進水 同32-6-27/竣工 同34-1-18/建造所 英國エルスウィック安社』
[39]
문서
日露戦争大本営公報集]]コマ36-37(原本51-52頁)『三、初瀬が敵の水雷に罹りしは老鐡山の南東約十海里の所にして當時同方面には霧なく又其附近に敵の驅逐艦もあらざりしと云ふ此事實より判断するときは敵は其附近に機械水雷を沈置したるか或は又潜水艇を利用したるものならん初瀬は約三十分間を隔て二回の被害にて瞬時に沈没したるも敷島、八島、笠置、龍田等にて梨羽少将中尾大佐以下三百名を救助収容せり初瀬沈没の頃的の驅逐艦十六隻旅順口内より出で來り我を追尾せしが會々其他に來りし明石、千代田、秋津洲、大島、赤城、宇治及高砂は前記諸艦と協力して之を撃退し初瀬生存者の収容を果たすことを得たり以上の報告は混信の爲め文意不明瞭なる無線電信と今朝遭難報告の爲め來し龍田の少尉並に八島の艦載水雷艇指揮官の口頭報告等を綜合して制作したるものなり當地近傍霧未だ霽れず(五月十六日午後四時三十七分大本營着電)』
[40]
문서
日露戦争大本営公報集]]コマ37(原本52-53頁)『五、昨朝濃霧霽れ各隊逐次入港す其報告により初瀬は全く敵の機械水雷に罹りしものなることを確かむることを得たり(五月十八日午後零時四十分大本營着電)』
[41]
문서
旅順附近海戦一覧]]p.5『五月十五日|夜|港口封鎖任務中濃霧ニ會シ我吉野ハ春日ト衝突ス|艦長以下三百十八名艦ニ殉セリ/敵驅逐艦「ウエマテリスイ」渤海灣ニテ坐礁放棄/晝|我「初瀬」及「八島」ハ敵監視中老鐡山ノ南東約十海里ノ地点ニテ敵機雷ニ觸レ此時敵驅逐艦十六隻大擧我艦隊ヲ襲撃セシモ我巡洋艦ノ爲撃退サル|初瀬八島沈没|五月初旬ヨリ海軍ノ援護ニヨリ續々我陸軍關東半島ニ上陸開始』
[42]
문서
達明治31年3月(1)]]pp.14-15『達第三十四號 海軍大臣ニ於テ別表ノ標準ニ據リ軍艦及水雷艇ノ類別及等級ヲ定メ若ハ其ノ變更ヲ行フコトヲ得セシメラル 明治三十一年三月二十一日 海軍大臣侯爵 西郷從道』
[43]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コマ50番『◎軍艦及水雷艇類別等級』
[44]
문서
達明治31年3月(1)]]pp.16-17『達第三十五號 軍艦及水雷艇類別等級別紙ノ通定ム 明治三十一年三月二十一日 海軍大臣侯爵 西郷從道|軍艦|戰艦|一等|富士、八島、敷島、朝日』
[45]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コマ198番『◎戰艦初瀬及一等巡洋艦出雲命名ノ件』
[46]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コマ50番『明治三十二年十月十八日(達一七八)明治三十一年達第三十五號軍艦及水雷艇類別等級表中別紙ノ通追加ス』
[47]
간행물
明治34年2月5日官報第5275号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48]
간행물
明治34年2月12日官報第5280号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49]
간행물
明治34年4月16日官報第5332号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50]
문서
日露役旅順港海海戦戦死者]]p.1『年月日:明治三七-二-九|別:晝|沈没艦艦名:/|戰死者乗艦船名:初瀬|戰死名:二|概要:我聯合艦隊主力港外残留ノ敵艦砲撃』
[51]
문서
日露戦争大本営公報集]]コマ36(原本51頁)『二、本艦は海軍に在て最大不幸の日にして茲に又最も不幸なる報告を通達するの止むを得ざるに遭遇せり、初瀬、敷島、八島、笠置、竜田は本日午前11頃旅順口沖にて敵を監視中初瀬は敵の水雷に罹り先づ舵機を破られ初瀬より曳船送れの電信に接したるを以て将に之を發送せんとする時更に敷島より初瀬は第二の水雷に罹り沈没せりとの悲報來れりも本職は之を報告するに臨み只遺憾至極と云ふの外なし善後の處置に就ては夫々出來る丈けの手段を盡し災厄を増大せざるに努め居れり當地付近濃霧未だ霽れず(五月十五日午後六時大本營着電)』
[52]
문서
戦袍余薫懐旧録第2輯]]コマ78-79(原本115-116頁)『龍田の遭難附初瀬八島の爆沈(龍田艦長海軍中佐)海軍中将釜屋忠道』
[53]
문서
戦袍余薫懐旧録第2輯]]コマ90(原本140-142頁)『初瀬の遭難(初瀬水雷長海軍少佐)海軍大佐小林惠吉郎』
[54]
문서
戦袍余薫懐旧録第2輯]]コマ97-98『八島の遭難(八島艦長海軍大佐)海軍中将坂本一』
[55]
문서
戦袍余薫懐旧録第2輯]]コマ98(原本154-155頁)
[56]
문서
日露役旅順港海海戦戦死者]]p.2『明治三七-五-一五|晝|八島|同上|/|初瀨ト共同動作中敵機雷ニ觸レ沈没』
[57]
문서
日露戦争大本営公報集]]コマ36-37(原本51-52頁)『三、敷島は初瀬遭難状況報告の爲め今當地に歸港しつヽあり驅逐隊全部及二個水雷艇は敵の驅逐隊に當り溺者救助の爲め午後一時三十分當地を發して旅順口方面に向へり霧未だ霽れず(五月十五日午後十時三十分大本營着電)』
[58]
문서
戦袍余薫懐旧録第2輯]]コマ104(原本166-167頁)
[59]
문서
戦袍余薫懐旧録第2輯]]コマ106-107(原本170-174頁)『笠置より見たる初瀬八島の遭難(笠置航海長海軍少佐)海軍中将内田虎三郎』
[60]
문서
日露役旅順港海海戦戦死者]]p.2『明治三七-五-一五|晝|初瀨|同上|四九五|敵監視中老鉄山南東方面約十里ノ地点ニテ敵機雷ニ觸レ沈没 乗員八三四名ノ内四九五名戰死』
[61]
문서
戦袍余薫懐旧録第2輯]]コマ81-82(原本121-123頁)『(略)収容した人の中には梨羽司令官もあり、頭の光るので著しく判つてゐた。此に於て龍田の檣頭には梨羽司令官の将旗を掲揚した。幕僚は一人も助かつてゐなかつた。孰れも墨水の中から出て來た人の如く、顔と云はず手足と云はず黒く染まつて、目玉計りピカゝすると云ふ有様で、地獄の黒鬼も斯くやと許りに思はれた。初瀬の機關長佐藤亀太郎君は龍田の艦橋に上り來て、『艦長残念』と叫んで落涙した。予も思はず落涙した。(略)龍田に収容した初瀬の乗員は梨羽司令官、中尾初瀬艦長、外准士官以上十五名、下士官卒百九十八名で、其の中重傷者十九名、輕傷者二十六名であつた。』
[62]
문서
海軍兵学校物語]]p.73
[63]
문서
戦袍余薫懐旧録第2輯]]コマ101『初瀬八島の遭難(敷島艦長海軍大佐)海軍中将寺垣猪三』
[64]
문서
亡失表]]p.2『二・三等巡洋艦|吉野|四,一五〇|春日ト衝突沈没|(濃霧中)五月十五日|』
[65]
문서
大戦余響]]コマ28-30(原本35-39頁)『〔十一〕吉野初瀬八島の沈没』
[66]
문서
戦袍余薫懐旧録第2輯]]コマ86(原本130-131頁)
[67]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コマ52番『明治三十八年六月十五日(達八三)軍艦及水雷艇類別等級別表中軍艦ノ欄内八島、初瀨、吉野、高砂、濟遠、海門、平遠、愛宕、大島、宮古、速鳥ヲ、水雷艇ノ欄内第三十四號、第三十五號、第四十二號、第四十八號、第五十一號、第五十三號、第六十九號ヲ削ル』
[68]
문서
達明治38年6月]]p.7『達第八十三號 軍艦及水雷艇類別等級別表中軍艦ノ欄内八島、初瀨、吉野、高砂、濟遠、海門、平遠、愛宕、大島、宮古、速鳥ヲ、水雷艇ノ欄内第三十四號、第三十五號、第四十二號、第四十八號、第五十一號、第五十三號、第六十九號ヲ削ル 明治三十八年六月十五日 海軍大臣男爵 山本権兵衛』
[69]
문서
亡失表]]p.1
[70]
문서
幕末史実|幕末以降帝国軍艦写真と史実]]第91コマ(原本144頁)「筑波(つくば)【二代】艦種一等軍巡洋艦 二檣(信號用)艦名考艦名の起源は初代「筑波」の項(p.3)参照。艦歴明治37年2月、日露開戰後僅かに數月ならずして我海軍は初瀬・八島兩艦沈没の不運に遭遇し、愈々之に代るべき大鑑の必要を痛感し筑波・生駒の建造を決し、呉海軍工廠に於て明治38年1月14日起工。同41年英國皇帝戴冠式に列する爲め同國に回航、次に欧米諸國を回航(筑波・千歳 第二艦隊司令長官伊集院五郎引率、艦長竹内平太郎)。大正元年8月巡洋戰艦に編入(昭和8年艦船類別標準改正により此の名稱廢され戰艦となる)、同3年乃至9年戰役從軍:同3年9月第一南遣支隊に属し南洋方面に行動、「マーシャル」・東「カロリン」群島の占領に任ず(艦長大佐竹内次郎)、同6年1月14日横須賀港に於て災禍の爲め爆沈。―要目― 長440呎/幅75呎/喫水26呎/排水量13,750噸/機關 往復機關2基、宮原式罐/馬力20,500/速力20.5/乗組人員830/船材 鋼(甲帶7吋)/兵装 12吋砲4/6吋砲12/4.7吋砲12/3吋砲6/機關砲4/發射管5/起工 明治38-1-14/進水 同38-12-16/竣工 40-1-14/建造所 呉工廠」
[71]
서적
昭和天皇実録六巻 789頁
[72]
서적
昭和天皇実録六巻 809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