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FA 월드컵의 역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IFA 월드컵은 1930년 시작된 국제 축구 토너먼트 대회로, 4년마다 개최된다. 1872년 최초의 국제 경기 이후 축구의 세계적인 인기에 발맞춰 FIFA가 창설되었고, 1930년 우루과이에서 첫 월드컵이 열렸다. 초기에는 13개 팀이 참가했으며, 1934년과 1938년 대회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회가 재개되었고, 1998년 프랑스 월드컵부터는 32개국 체제로 확대되었다. 2022년 카타르 월드컵까지 총 22번의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2026년 대회부터는 48개국이 참가할 예정이다. 대회 방식은 리그전과 토너먼트를 혼합하여 사용되었으며, 우승팀, 주장, 감독은 매 대회마다 달랐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축구의 역사 - 축구 전쟁
축구 전쟁은 1969년 엘살바도르와 온두라스 간의 월드컵 예선 축구 경기 결과가 기폭제가 되어 발생한 무력 충돌로, 이민, 경제적 불균형, 국경 문제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으며, 막대한 피해와 함께 사회·정치적 후유증을 낳았으나, 국제 기구의 중재와 판결을 통해 국경 분쟁을 해결하고 갈등을 종식시켰다. - 축구의 역사 - 축구 이적시장의 세계화
축구 이적시장의 세계화는 1990년대 이후 유럽 공동체의 발전, 보스만 판결, 통신 기술의 발달로 선수 이동의 자유가 확대되면서 클럽 운영 방식과 선수들의 활동에 변화를 가져왔으며, 사회적 문제와 FIFA의 규제 강화로 이어졌다. - FIFA 월드컵 - FIFA 월드컵 트로피
FIFA 월드컵 트로피는 월드컵 우승팀에게 수여되는 트로피로, 쥘 리메 컵과 FIFA컵이 있으며, 쥘 리메 컵은 승리의 여신 니케를, FIFA컵은 두 선수가 지구를 들고 있는 모습을 형상화했다. - FIFA 월드컵 - FIFA 월드컵 드림팀
FIFA 월드컵 드림팀은 2002년 FIFA 월드컵을 앞두고 팬 투표를 통해 선정된 역대 최고의 월드컵 선수들로 구성된 가상의 팀이다.
FIFA 월드컵의 역사 | |
---|---|
FIFA 월드컵 역사 | |
![]() | |
세부 정보 | |
창설 | 1930년 |
지역 | FIFA (국제 축구 연맹) |
참가 팀 수 | 32 (결승 토너먼트) |
현재 챔피언 | 아르헨티나 (3번째 타이틀) |
최다 우승팀 | 브라질 (5회) |
기록 | |
최다 득점 | 미로슬라프 클로제 (16골) |
웹사이트 | FIFA.com |
2. 역사
FIFA 월드컵은 1930년 우루과이에서 처음 개최된 이후,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축구 대회로 성장했다.
1932년 하계 올림픽이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당시 미국에서 축구의 인기가 낮아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지 않았다. 또한 FIFA와 IOC는 아마추어 선수 자격에 대해 의견이 달라 축구는 올림픽 종목에서 제외되었다.[36] [15] 이에 FIFA 회장 쥘 리메는 첫 번째 월드컵 대회를 1930년 우루과이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각 국가의 축구 협회들은 대회 참가 초청을 받았지만, 유럽 지역의 팀들에게는 우루과이가 대서양을 횡단해야 하는 먼 나라였기 때문에 큰 지출과 오랜 여정이 불가피했다. 그런 이유로 대회 두 달 전까지도 팀을 보내겠다는 약속을 한 유럽 국가는 없었다.[16] 결국, 쥘 리메는 벨기에, 프랑스, 루마니아, 유고슬라비아를 설득하여 대회에 참가시켰다.[17] 이리하여 유럽에서 4팀, 북중미에서 2팀, 남미에서 7팀, 총 13개 팀이 대회에 참가하였다.
1라운드는 조별 리그로 진행하되 각 조 1위만 2라운드인 준결승에 진출했으며, 준결승부터는 토너먼트로 진행되었다. 월드컵 개막식은 두 경기가 동시에 열렸으며, 프랑스와 미국이 각각 멕시코를 4-1로, 벨기에를 3-0으로 꺾고 승리했다. 월드컵 사상 첫 번째 득점은 프랑스의 루시앙 로랑이 기록했으며, 미국의 버트 페이트노드는 4일 뒤에 열린 파라과이와의 경기에서 월드컵 사상 첫 번째 해트트릭을 기록, 미국의 3-0 승리를 이끌었다. 한편 개최국 우루과이는 몬테비데오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93,000명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아르헨티나를 4-2로 꺾으며 첫 번째 FIFA 월드컵 우승 팀이 되었다.[18]
1934년 FIFA 월드컵과 1938년 FIFA 월드컵 두 대회에서는 나치 독일과 월드컵과의 관련성 때문에 본선 경기는 무조건적인 단판 토너먼트로 개최되었다. 즉, 패하면 무조건 탈락이 되었다. 그러나 준결승까지 올라가서 패할 경우가 참작이 되어 월드컵 역사상 최초로 3, 4위전이라는 패배 팀들끼리의 경기가 만들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42년 FIFA 월드컵과 1946년 FIFA 월드컵은 개최되지 못했다. 전쟁 이후 1950년 FIFA 월드컵이 브라질에서 개최되면서 월드컵이 재개되었다. 이후 월드컵은 흥행을 위해 경기 방식을 여러 차례 변경했다.
1970년 FIFA 월드컵에서는 쥘 리메 컵이 마지막으로 사용되었고, 1974년 FIFA 월드컵부터는 FIFA 컵이 사용되었다.
1986년 FIFA 월드컵부터 1994년 FIFA 월드컵까지 본선 진출팀은 24개국으로 유지되었지만, 경기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
1998년 FIFA 월드컵부터 본선 진출국이 32개국으로 늘어났고, 2026년 FIFA 월드컵부터는 48개국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2. 1. 국제 축구의 태동과 초기 월드컵 (1930년 이전)
최초의 공식 국제 축구 경기는 1872년 글래스고에서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 간에 치러졌다.[2] 이 당시에는 이 스포츠가 영국 밖에서는 거의 행해지지 않았다. 20세기에는 축구가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었고, 각국에 축구 협회가 설립되었다. 영국 제도 밖에서 최초의 공식 국제 경기는 1902년 7월 몬테비데오에서 우루과이와 아르헨티나 간에 치러졌다.[8]
국제 축구 연맹(FIFA)은 1904년 5월 22일 파리에서 창설되었으며, 프랑스, 벨기에(앞선 두 팀은 그 달 초에 첫 번째 국가 대항전을 치렀다), 덴마크, 네덜란드,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축구 협회로 구성되었으며, 독일도 참여를 약속했다.[9]
축구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IOC가 인정하는 올림픽 종목으로 1900년 하계 올림픽과 1904년 하계 올림픽, 그리고 1906년 중간 올림픽에서 채택되었으며, 1908년 하계 올림픽에서 공식적인 FIFA 관리 올림픽 경기가 되었다.[10] 잉글랜드의 축구 협회가 주최한 이 행사는 아마추어 선수만을 위한 것이었고, 경쟁보다는 쇼로 간주되어 의심을 받았다. 잉글랜드 아마추어 축구 국가대표팀은 1908년과 1912년 모두 이 대회에서 우승했다.
1906년 FIFA는 올림픽 틀 밖에서 국가 간 국제 축구 대회를 조직하려 시도했으며, 이는 스위스에서 열렸다. 이는 국제 축구의 초기였으며 FIFA의 공식 역사는 이 대회를 실패로 묘사하고 있다.[11]
1914년 FIFA는 올림픽 토너먼트를 "아마추어를 위한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로 인정하기로 합의하고[13] 이 행사를 조직할 책임을 졌다. 이는 1920년 하계 올림픽에서 벨기에가 우승한 세계 최초의 대륙 간 축구 대회를 여는 계기가 되었다.[14] 우루과이는 1924년 하계 올림픽과 1928년 하계 올림픽에서 이 대회에서 우승했다.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193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개최국 미국은 미식축구의 인기 탓에 축구의 인기가 낮아 정식 종목으로 채택될 계획이 없었다. 또한, FIFA와 IOC의 아마추어 선수의 지위에 관한 의견이 일치하지 않았고 이에 따라 축구는 올림픽에서 제외되었다.[36] 이어 당시 FIFA 회장이었던 쥘 리메는 첫 번째 월드컵 대회를 1930년 우루과이에서 개최하기로 했다. 각 국가의 축구 협회들은 대회 참가 초청을 받았지만, 유럽 지역의 팀들에게는 우루과이가 대서양을 횡단해야 하는 먼 나라였기 때문에, 큰 지출과 오랜 여정이 불가피했다. 그런 이유에 따라 대회 2달 전까지도 팀을 보내겠다는 약속을 한 유럽 국가는 없었다. 결국, 쥘 리메는 벨기에, 프랑스, 루마니아, 유고슬라비아를 설득하여 대회에 참가시켰다. 이리하여 유럽에서 4팀, 북중미에서 2팀, 남미에서 7팀, 총 13개 팀이 대회에 참가하였다.
1라운드는 조별리그로 진행하되 각조 1위만 2라운드인 준결승에 진출했으며 준결승부터는 토너먼트로 진행이 되었다. 월드컵 개막식은 두 경기가 동시에 열렸으며, 프랑스와 미국이 각각 멕시코를 4-1로, 벨기에를 3-0으로 꺾고 승리했다. 월드컵 사상 첫 번째 득점은 프랑스의 루시앙 로랑이 기록했으며, 미국의 버트 페이트노드는 4일 뒤에 열린 파라과이와의 경기에서 월드컵 사상 첫 번째 해트트릭을 기록, 미국의 3-0 승리를 이끌었다. 한편 개최국 우루과이는 몬테비데오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93,000명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아르헨티나를 4-2로 꺾으며 첫 번째 FIFA 월드컵 우승 팀이 되었다.[37]
2. 2. 첫 번째 월드컵과 그 이후 (1930년 ~ 1938년)
1932년 하계 올림픽이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당시 미국에서 축구의 인기가 낮아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지 않았다. 또한 FIFA와 IOC는 아마추어 선수 자격에 대해 의견이 달라 축구는 올림픽 종목에서 제외되었다.[36] [15] 이에 FIFA 회장 쥘 리메는 첫 번째 월드컵 대회를 1930년 우루과이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했다.각 국가의 축구 협회들은 대회 참가 초청을 받았지만, 유럽 지역의 팀들에게는 우루과이가 대서양을 횡단해야 하는 먼 나라였기 때문에 큰 지출과 오랜 여정이 불가피했다. 그런 이유로 대회 두 달 전까지도 팀을 보내겠다는 약속을 한 유럽 국가는 없었다.[16] 결국, 쥘 리메는 벨기에, 프랑스, 루마니아, 유고슬라비아를 설득하여 대회에 참가시켰다.[17] 이리하여 유럽에서 4팀, 북중미에서 2팀, 남미에서 7팀, 총 13개 팀이 대회에 참가하였다.
1라운드는 조별 리그로 진행하되 각 조 1위만 2라운드인 준결승에 진출했으며, 준결승부터는 토너먼트로 진행되었다. 월드컵 개막식은 두 경기가 동시에 열렸으며, 프랑스와 미국이 각각 멕시코를 4-1로, 벨기에를 3-0으로 꺾고 승리했다. 월드컵 사상 첫 번째 득점은 프랑스의 루시앙 로랑이 기록했으며, 미국의 버트 페이트노드는 4일 뒤에 열린 파라과이와의 경기에서 월드컵 사상 첫 번째 해트트릭을 기록, 미국의 3-0 승리를 이끌었다. 한편 개최국 우루과이는 몬테비데오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93,000명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아르헨티나를 4-2로 꺾으며 첫 번째 FIFA 월드컵 우승 팀이 되었다.[18]
1934년 FIFA 월드컵과 1938년 FIFA 월드컵 두 대회에서는 나치 독일과 월드컵과의 관련성 때문에 본선 경기는 무조건적인 단판 토너먼트로 개최되었다. 즉, 패하면 무조건 탈락이 되었다. 그러나 준결승까지 올라가서 패할 경우가 참작이 되어 월드컵 역사상 최초로 3, 4위전이라는 패배 팀들끼리의 경기가 만들어졌다.
1934년 월드컵은 이탈리아에서 개최되었고, 예선 단계를 거친 첫 번째 월드컵이었다. 16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이 숫자는 1982년 본선 대회 규모가 확장되기 전까지 유지되었다. 1930년 대회 우승팀이었던 우루과이는 1930년 대회에 유럽 팀들이 적게 참가한 것에 불만을 품고 1934년 월드컵을 보이콧했다. 볼리비아와 파라과이 역시 불참하여,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은 예선 경기 없이 이탈리아 본선에 진출했다. 이집트는 최초의 아프리카 팀으로 참가했지만, 1라운드에서 헝가리에 패했다. 이탈리아가 우승을 차지하며, 최초의 유럽 팀 우승국이 되었다.
1938년 월드컵 대회 또한 많은 남미 국가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유럽(프랑스)에서 개최되었으며, 우루과이와 아르헨티나는 보이콧했다. 최초로, 전 대회 우승국과 개최국에게는 자동 출전 자격이 주어졌다. 라트비아와의 플레이오프 경기 후, 오스트리아는 공식적으로 본선 진출 자격을 얻었지만, 1938년 4월의 안슐루스로 인해 오스트리아 국가대표팀은 기권했고, 일부 오스트리아 선수들은 독일 대표팀에 합류했다(독일은 1라운드에서 탈락). 오스트리아의 자리는 잉글랜드에 제안되었지만, 잉글랜드는 거절했다. 이로 인해 본선에는 15개국이 참가했다. 프랑스가 개최했지만, 최초로 개최국이 우승하지 못했고, 이탈리아가 헝가리를 결승전에서 꺾고 타이틀을 방어했다. 폴란드 공격수 에르네스트 빌리모프스키는 폴란드가 브라질에 6-5로 패한 경기에서 월드컵 경기 사상 최초로 4골을 기록했다. 그의 기록은 이후 다른 선수들에 의해 동률을 이뤘지만, 56년 후인 1994년 월드컵 전까지 깨지지 않았다.
2. 3. 제2차 세계 대전과 전후의 월드컵 (1950년 ~ 1982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월드컵은 다시 시작되었고, 흥행을 위해 경기 방식을 여러 차례 변경했다. 처음에는 모든 경기를 리그 방식(라운드 로빈)으로 진행했지만, 1958년에는 1차 예선만 리그로, 본선은 토너먼트 방식으로 변경했다. 1978년과 1982년에는 결승전을 제외한 모든 경기를 다시 리그 방식으로 진행했고, 본선 진출국도 16개국에서 24개국으로 늘렸다.1970년 FIFA 월드컵에서는 쥘 리메 컵이 마지막으로 사용되었고, 1974년 FIFA 월드컵부터는 FIFA 컵이 사용되었다.
이 기간 동안의 우승국은 다음과 같다.
1950년 FIFA 월드컵은 브라질에서 개최되었고, 영국이 처음으로 참가했다. 영국은 1920년 FIFA에서 탈퇴했다가 1946년에 재가입했지만, 미국에 1-0으로 패배하는 등 부진한 성적을 거뒀다.[22] 1930년 챔피언 우루과이도 복귀했으며, 헝가리, 소련, 체코슬로바키아 등 동유럽 국가들은 정치적인 이유로 불참했다. 이탈리아는 수페르가 참사로 주축 선수들을 잃었음에도 참가했다. 1950년 월드컵은 결승전 없이 두 번의 조별 리그로 진행되었는데, 우루과이가 브라질을 2-1로 꺾고 우승했다. 이 경기는 마라카낭의 비극으로 불리며, 약 20만 명의 관중이 입장하여 스포츠 경기 최다 관중 기록을 세웠다.[23]
1954년 FIFA 월드컵은 스위스에서 개최되었고, 최초로 텔레비전으로 중계되었다. 스코틀랜드가 처음 출전했지만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서독은 결승전에서 헝가리를 3-2로 꺾고 우승했으며, 이 경기는 베른의 기적으로 불린다.
1958년 FIFA 월드컵에서는 브라질이 스웨덴을 꺾고 우승하여, 자국 대륙 밖에서 월드컵 우승을 차지한 최초의 팀이 되었다. 소련은 멜버른 1956 우승으로 참가했고, 4개의 모든 영국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웨일스는 이스라엘과의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본선에 진출했다. 이 대회에서는 펠레가 결승전에서 두 골을 넣으며 스타로 떠올랐다. 프랑스 공격수 쥐스트 퐁텐은 이 토너먼트의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1962년 FIFA 월드컵은 칠레에서 개최되었는데, 대회 2년 전 발생한 대지진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펠레는 부상으로, 레프 야신은 부진으로 활약하지 못했다. 이 대회는 폭력적인 전술로 얼룩졌으며, 이탈리아와 칠레의 경기는 산티아고 전투로 불린다. 브라질은 가린샤와 아마릴두의 활약으로 체코슬로바키아를 꺾고 2회 연속 우승했다. 콜롬비아의 마르코스 콜은 월드컵 역사상 유일하게 코너킥으로 직접 골을 넣었다.
1966년 FIFA 월드컵은 잉글랜드에서 개최되었고, 마스코트와 공식 로고를 처음으로 선보였다. 트로피는 도난당했다가 피클스라는 개가 찾았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아파르트헤이트로 인해 출전 금지되었고, 아프리카 국가들은 FIFA의 출전권 배분에 항의하여 예선을 기권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8강에 진출하여 이탈리아를 탈락시켰다. 잉글랜드는 우승했지만, 주앙 아벨란제는 1966년과 1974년 월드컵이 조작되었다고 주장했다.[24] 제프 허스트는 월드컵 결승전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했고, 포르투갈의 에우제비우는 9골로 득점왕이 되었다.
1970년 FIFA 월드컵 예선은 온두라스와 엘살바도르 간의 축구 전쟁과 겹쳤다. 멕시코에서 열린 본선에서 이스라엘은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으로 배정되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실격되었다. 잉글랜드와 브라질의 조별 리그 경기는 고든 뱅크스의 선방으로 기억된다. 이탈리아와 서독의 준결승전에서는 프란츠 베켄바우어가 팔이 부러진 채로 뛰었다. 이탈리아는 4-3으로 승리했지만, 결승전에서 브라질에게 1-4로 패했다. 브라질은 3회 우승으로 쥘 리메 트로피를 영구 소장하게 되었다.
1974년 FIFA 월드컵에서는 새로운 트로피가 제작되었고, 서독에서 개최되었다. 소련은 칠레와의 UEFA/CONMEBOL 대륙간 플레이오프 경기에서 무승부를 기록한 후, 정치적 이유로 산티아고로의 원정 경기를 거부했고, 규정에 따라 칠레가 승리했다. 동독 축구 국가대표팀, 아이티 축구 국가대표팀, 호주 축구 국가대표팀, 자이르 축구 국가대표팀이 처음으로 결선에 진출했다. 서독은 결승전에서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을 2-1로 꺾고 우승했지만, 네덜란드의 혁명적인 토탈 풋볼이 주목받았다. 폴란드는 브라질을 꺾고 3위를 차지했다.
1978년 FIFA 월드컵은 아르헨티나에서 개최되었는데, 군사 쿠데타로 인해 논란이 있었다. 요한 크루이프는 불참했다.[25] 헝가리는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본선에 진출했고, 잉글랜드는 골득실 차이로 탈락했다.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과 튀니지 축구 국가대표팀이 처음으로 참가했고, 튀니지는 월드컵에서 승리한 최초의 아프리카 팀이 되었다. 아르헨티나는 페루를 6-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는데, 뇌물 의혹이 제기되었다. 아르헨티나는 결승전에서 네덜란드를 3-1로 꺾고 우승했다.
2. 4. 24개국 체제와 톱시드 도입 (1986년 ~ 1994년)
본선 진출팀은 24개국으로 유지되었지만, 경기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 반복되는 경기를 줄이고 더 많은 팀에게 기회를 주기 위해 1차 예선에만 리그 방식을 적용하여 각 조 최하위 팀만 탈락시켰다. 조 1, 2위는 본선에 직행하고, 조 3위는 승점과 골득실차를 따져 상위 4팀이 16강에 진출했다. 16강부터는 다시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톱시드 제도가 정착되지 않아 강팀들이 같은 조에 몰리는 현상이 발생했다. 1986년 FIFA 월드컵 A조에서는 1978년 FIFA 월드컵 우승팀 아르헨티나와 1982년 FIFA 월드컵 우승팀 이탈리아가 같은 조에 편성되어 디펜딩 챔피언끼리 맞붙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24]- 우승국
2. 5. 32개국 체제와 새로운 변화 (1998년 ~ 2022년)
1998년 FIFA 월드컵부터 본선 진출국이 24개국에서 32개국으로 늘어났다. 이전의 완전 무작위 선정 방식[38]과 달리 대륙 및 실력별로 나누어 조를 편성하는 시드 방식이 도입되었다. 각 조마다 할당된 시드 중 톱시드는 바로 전 대회 우승국과 해당 월드컵 개최국 외에 실력순으로 6개국이 선정되었다.1998년 이후 단 한 번도 톱시드 자리를 잃지 않았던 팀은 다음과 같다.
2. 6. 48개국 체제로의 확대 (2026년 ~ )
2026년 FIFA 월드컵부터 본선 진출국이 32개국에서 48개국으로 늘어 16개국이 더 출전할 수 있게 되었다. 경기 수는 64경기에서 104경기로 40경기 늘어나고, 대회 기간도 4주에서 5~6주로 늘어난다.3. 역대 대회 방식 변천사
FIFA 월드컵은 대회 방식에서 많은 변화를 겪었다. 대부분의 대회는 리그전 방식과 토너먼트전 방식을 혼합한 형태였다.[39]
대회 | 연도 | 개최국 | 참가팀 수 | 1라운드 | 2라운드 | 결승전 | |
---|---|---|---|---|---|---|---|
1회 | 1930년 | 13 | 조당 3~4팀, 4개조 | 4강 토너먼트 (조별 리그전 각 조 승자)1 | |||
2회 | 1934년 | 16 | 토너먼트 | ||||
3회 | 1938년 | 162 | 토너먼트 | ||||
4회 | 1950년 | 163 | 4개조, 4개팀씩3 | 1조 4개팀 (조별 리그전 각 조 승자) | |||
5회 | 1954년 | 16 | 4개조, 4개팀씩 | 8강 토너먼트 (조별 리그전 각 조 승자, 2위팀) | |||
6회 | 1958년 | 16 | 4개조, 4개팀씩 | 8강 토너먼트 (조별 리그전 각 조 승자, 2위팀) | |||
7회 | 1962년 | 16 | 4개조, 4개팀씩 | 8강 토너먼트 (조별 리그전 각 조 승자, 2위팀) | |||
8회 | 1966년 | 16 | 4개조, 4개팀씩 | 8강 토너먼트 (조별 리그전 각 조 승자, 2위팀) | |||
9회 | 1970년 | 16 | 4개조, 4개팀씩 | 8강 토너먼트 (조별 리그전 각 조 승자, 2위팀) | |||
10회 | 1974년 | 16 | 4개조, 4개팀씩 | 2개조, 4개팀씩 (조별 리그전 각 조 승자, 2위팀) | 결승전 (2차 조별 리그전 각 조 승자)4 | ||
11회 | 1978년 | 16 | 4개조, 4개팀씩 | 2개조, 4개팀씩 (조별 리그전 각 조 승자, 2위팀) | 결승전 (2차 조별 리그전 각 조 승자)4 | ||
12회 | 1982년 | 24 | 6개조, 4개팀씩 | 4개조, 3개팀씩 (조별 리그전 각 조 승자, 2위팀) | 4강 토너먼트 (2차 조별 리그전 각 조 승자) | ||
13회 | 1986년 | 24 | 6개조, 4개팀씩 | 16강 토너먼트 (조별 리그전 각 조 승자, 2위팀, 3위팀 중 상위 4개팀) | |||
14회 | 1990년 | 24 | 6개조, 4개팀씩 | 16강 토너먼트 (조별 리그전 각 조 승자, 2위팀, 3위팀 중 상위 4개팀) | |||
15회 | 1994년 | 24 | 6개조, 4개팀씩 | 16강 토너먼트 (조별 리그전 각 조 승자, 2위팀, 3위팀 중 상위 4개팀) | |||
16회 | 1998년 | 32 | 8개조, 4개팀씩 | 16강 토너먼트 (조별 리그전 각 조 승자, 2위팀) | |||
17회 | 2002년 | 32 | 8개조, 4개팀씩 | 16강 토너먼트 (조별 리그전 각 조 승자, 2위팀) | |||
18회 | 2006년 | 32 | 8개조, 4개팀씩 | 16강 토너먼트 (조별 리그전 각 조 승자, 2위팀) | |||
19회 | 2010년 | 32 | 8개조, 4개팀씩 | 16강 토너먼트 (조별 리그전 각 조 승자, 2위팀) | |||
20회 | 2014년 | 32 | 8개조, 4개팀씩 | 16강 토너먼트 (조별 리그전 각 조 승자, 2위팀) | |||
21회 | 2018년 | 32 | 8개조, 4개팀씩 | 16강 토너먼트 (조별 리그전 각 조 승자, 2위팀) | |||
22회 | 2022년 | 32 | 8개조, 4개팀씩 | 16강 토너먼트 (조별 리그전 각 조 승자, 2위팀) | |||
23회 | 2026년 | 48 | 16개조, 3개팀씩 | 32강 토너먼트 (조별 리그전 각 조 승자, 2위팀) |
1 3, 4위 결정전 없이 치러졌다.2 오스트리아가 예선을 통과한 뒤 독일에 합병되면서 15개 팀만이 대회에 참가했다.3 스코틀랜드, 인도, 터키가 예선을 통과한 후에 기권하면서 13개 팀만이 대회에 참가했다. 우루과이는 단 4경기만으로 우승했다.4 3, 4위 결정전은 2차 조별 리그전에서 각 조 2위를 한 팀들이 치렀다.
- 1930년: 4개 조 조별 리그 후 각 조 1위 팀 4강 토너먼트 (3, 4위전 없음).[37]
- 1934년 ~ 1938년: 조별 리그 없이 바로 토너먼트 진행.[39]
- 1950년: 1차 조별 리그 (16개 팀, 4개 조), 각 조 1위 2차 조별 리그, 2차 조별 리그 1위 팀 우승 (결승전 없음).[39]
- 1954년 ~ 1970년: 1차 조별 리그 (16개 팀, 4개 조), 각 조 1, 2위 8강 토너먼트.[39]
- 1974년 ~ 1978년: 1차 조별 리그 (16개 팀, 4개 조), 각 조 1, 2위 2차 조별 리그 (8개 팀, 2개 조), 각 조 1위 팀 결승전, 2위 팀 3, 4위전.[39]
- 1982년: 1차 조별 리그 (24개 팀, 6개 조), 각 조 1, 2위 2차 조별 리그 (12개 팀, 4개 조), 각 조 1위 4강 토너먼트.[39]
- 1986년 ~ 1994년: 조별 리그 (24개 팀, 6개 조), 각 조 1, 2위 및 3위 중 상위 4개 팀 16강 토너먼트.[39]
- 1998년 ~ 2022년: 조별 리그 (32개 팀, 8개 조), 각 조 1, 2위 16강 토너먼트.[39]
- 2026년 ~: 조별 리그 (48개 팀, 16개조), 각조 1, 2위 32강 토너먼트.
1982년 대회는 참가팀이 24개로 늘어 1차 조별 리그(6개 조), 2차 조별 리그(4개 조) 후 4강 토너먼트를 진행했다. 1986년부터 1994년 대회는 24개 팀 조별 리그, 각 조 1, 2위 및 3위 중 상위 4개 팀 16강 토너먼트 방식이었다.
1998년부터 참가팀이 32개로 늘어 8개 조 조별 리그 후 각 조 1, 2위 16강 토너먼트 방식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2026년부터는 참가팀이 48개로 늘어 16개 조 조별 리그 후 각 조 1, 2위 32강 토너먼트가 진행될 예정이다.
1990년 FIFA 월드컵까지 승리 시 승점 2점, 무승부 시 1점이었다. 1994년 FIFA 월드컵부터 승리 시 승점 3점, 무승부 시 1점이다.
녹아웃 스테이지 진출 기준:
# 조별 경기 승점
# 조별 경기 골득실
# 조별 경기 득점
# 위 기준 동률 시, 해당 팀 간 미니 그룹 형성 후 다음 기준 적용
## 동률 팀 간 승점
## 동률 팀 간 골득실
## 동률 팀 간 득점
# 위 기준 모두 동률 시 FIFA 추첨
2022년 월드컵까지 토너먼트 역사상 추첨은 한 번 있었다. 1990년 조별 리그에서 이미 진출 확정된 2위와 3위(아일랜드, 네덜란드)를 가리기 위해 사용되었다. 추첨으로 탈락한 팀은 없었다.
4. 역대 월드컵 톱시드
본선 진출국이 24개국에서 32개국으로 늘어나면서, 기존의 완전 무작위 선정 방식[38] 대신 대륙 및 실력순으로 조를 편성하는 '시드' 제도가 도입되었다. 각 조에는 시드가 배정되었는데, 그중 톱시드는 바로 전 대회 우승국과 해당 월드컵 개최국, 그리고 실력순으로 선정된 6개국에 주어졌다.
1998년 이후 톱시드 자리를 한 번도 잃지 않은 팀은 다음과 같다.
역대 월드컵 톱시드 배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회 | A조 (자동 진출국)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G조 | H조 |
---|---|---|---|---|---|---|---|---|
1998년 | (전대회 우승국) | (개최국) | ||||||
2002년 | (전대회 우승국) | (공동 개최국) | (공동 개최국) | |||||
2006년 | (개최국) | (전대회 우승국) | ||||||
2010년 | (개최국) | (전대회 우승국) | ||||||
2014년 | (개최국) | (전대회 우승국) | ||||||
2018년 | (개최국) | (전대회 우승국) | ||||||
2022년 | (개최국) | (전대회 우승국) |
5. 월드컵 우승팀, 주장, 감독
연도 | 개최국 | 우승팀 | 주장 | 감독 |
---|---|---|---|---|
1930 | Uruguay|우루과이es | Uruguay|우루과이es | 호세 나사치 | 알베르토 수피치 |
1934 | 이탈리아 | Regno d'Italia|이탈리아 왕국it | 지암피에로 콤비 | 비토리오 포초 |
1938 | 프랑스 | Regno d'Italia|이탈리아 왕국it | 주세페 메아차 | 비토리오 포초 |
1950 | 브라질 | Uruguay|우루과이es | 옵둘리오 바렐라 | 후안 로페스 폰타나 |
1954 | 스위스 | 서독 | 프리츠 발터 | 제프 헤어베어거 |
1958 | 스웨덴 | Brasil|브라질pt | 힐데랄두 벨리니 | 빈센트 페올라 |
1962 | 칠레 | Brasil|브라질pt | 마우루 호르헤 하모스 | 아임오레 모레이라 |
1966 | 잉글랜드 | 잉글랜드 | 보비 무어 | 알프 램지 |
1970 | 멕시코 | Brasil|브라질pt |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토헤스 | 마리우 자갈루 |
1974 | 서독 | 서독 | 프란츠 베켄바워 | 헬무트 쇤 |
1978 | 아르헨티나 | 아르헨티나 | 다니엘 파사레야 | 세사르 루이스 메노티 |
1982 | 스페인 | 이탈리아 | 디노 조프 | 엔초 베아르초트 |
1986 | 멕시코 | 아르헨티나 | 디에고 마라도나 | 카를로스 빌라르도 |
1990 | 이탈리아 | 서독 | 로타어 마테우스 | 프란츠 베켄바워 |
1994 | 미국 | 브라질 | 둥가 |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파헤이라 |
1998 | 프랑스 | 프랑스 | 디디에 데샹 | 에메 자케 |
2002 | 대한민국 / 일본 | 브라질 | 카푸 | 루이스 펠리페 스콜라리 |
2006 | 독일 | 이탈리아 | 파비오 칸나바로 | 마르첼로 리피 |
2010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스페인 | 이케르 카시야스 | 비센테 델 보스케 |
2014 | 브라질 | 독일 | 필리프 람 | 요아힘 뢰프 |
2018 | 러시아 | 프랑스 | 위고 요리스 | 디디에 데샹 |
2022 | 카타르 | 아르헨티나 | 리오넬 메시 | 리오넬 스칼로니 |
6.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The World Cup
Icarus Press
[2]
웹사이트
The first international football match
https://www.bbc.co.u[...]
BBC
2009-01-17
[3]
웹사이트
Sunderland's Victorian all-stars blazed trail for money's rule of football
https://www.theguard[...]
2020-04-25
[4]
간행물
When Sunderland met Hearts in the first ever 'Champions League' match | Nutmeg Magazine
https://www.nutmegma[...]
2017-09-01
[5]
웹사이트
Sat 27 April 1895 Hearts 3 Sunderland 5
http://www.londonhea[...]
2013-04-27
[6]
웹사이트
World Champions!
http://www.roker-roa[...]
2013-04-27
[7]
웹사이트
Most Successful Era Of Some Famous English Clubs
https://www.1sports1[...]
2018-01-04
[8]
웹사이트
ARGENTINA-URUGUAY Matches 1902–2009
https://www.rsssf.or[...]
RSSSF
2010-09-24
[9]
웹사이트
History of FIFA – Foundation
https://www.fifa.com[...]
2009-08-02
[10]
웹사이트
London, 1908
https://www.fifa.com[...]
FIFA
2009-01-17
[11]
웹사이트
1906 - Athens
https://web.archive.[...]
[12]
웹사이트
The First World Cup
http://www.westauckl[...]
West Auckland and St. Helen's community
2018-11-13
[13]
웹사이트
Where it all began
https://www.fifa.com[...]
FIFA official website
2006-04-10
[14]
간행물
VII. Olympiad Antwerp 1920 Football Tournament
https://www.rsssf.or[...]
RSSSF
2006-06-10
[15]
간행물
The Football World Cup - An Introduction
https://www.bbc.co.u[...]
h2g2
2006-03-01
[16]
웹사이트
FIFA World Cup – Classic Moments from FIFA World Cup History
http://fifaworldcup.[...]
2009-06-14
[17]
문서
Soccer: A History of the World's Most Popular Game
F. Watts
[18]
간행물
FIFA World Cup Origin
http://fifaworldcup.[...]
FIFA Media Release
2006-01-09
[19]
서적
FIFA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The Men, the Myths and the Money
[20]
서적
A History of the World Cup, 1930-2010
[21]
간행물
Scotland and the 1950 World Cup
https://www.bbc.co.u[...]
BBC
2006-03-01
[22]
뉴스
Copies of old newspapers reveal a World Cup myth
http://blog.britishn[...]
2014-06-11
[23]
웹사이트
Sambafoot.com: Maracanã, the largest stadium of the world
http://www.sambafoot[...]
sambafoot.com
2014-06-20
[24]
웹사이트
Goal.com 1966 & 1974 World Cups Were Fixed – Former FIFA President
http://www.goal.com/[...]
[25]
뉴스
Kidnappers made Cruyff miss World Cup
https://www.theguard[...]
2008-04-16
[26]
웹사이트
World Cup stunning moments: El Salvador humiliated in Spain
https://www.theguard[...]
Guardian News and Media
2018-05-17
[27]
웹사이트
World Cup scandal! The unbelievable plot to eliminate Brazil
http://edition.cnn.c[...]
CNN
2014-06-18
[28]
웹사이트
World Cup Moments, 1994: Penalties decide low key but financially successful American tournament - The Malta Independent
https://www.independ[...]
[29]
뉴스
U.S. Cup brimming with profits WORLD CUP 1994
1994-07-19
[30]
뉴스
World Cup History: 1994
https://www.espn.com[...]
2014-04-30
[31]
웹사이트
FIFA World Cup comparative statistics 1982-2014
https://digitalhub.f[...]
FIFA
2020-06-25
[32]
뉴스
U.S., Mexico and Canada Likely to Affirm Joint World Cup Bid
https://www.nytimes.[...]
2017-04-08
[33]
웹사이트
FIFA approves extra breaks to help players keep their cool
http://www.insidewor[...]
Inside World Football
2013-10-07
[34]
웹사이트
Goal Line Technology at Brazil 2014
https://www.fifa.com[...]
FIFA
2018-11-16
[35]
웹사이트
Formats of the FIFA World Cup final competitions 1930–2010
https://www.fifa.com[...]
2008-01-01
[36]
웹사이트
The Olympic Odyssey so far... (Part 1: 1908 - 1964)
http://www.fifa.com/[...]
FIFA.com
2008-01-08
[37]
웹사이트
FIFA World Cup Origin
http://www.fifa.com/[...]
FIFA.com
2007-11-19
[38]
문서
1986년 FIFA 월드컵 당시 1978년 FIFA 월드컵의 우승국인 아르헨티나와 1982년 FIFA 월드컵의 우승국인 이탈리아가 같은 조로 편성이 되었다
[39]
웹인용
Formats of the FIFA World Cup final competitions 1930–2010(1930년부터 2010년까지의 FIFA 월드컵 본선의 형식)
https://web.archive.[...]
2008-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