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Jock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크(Jock)는 1960년대부터 운동선수를 지칭하는 용어로, 특히 미국 문화에서 체육계 남성의 전형적인 특징과 고정관념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된다. 조크는 종종 지적 능력보다는 운동 능력이 뛰어나고, 외모가 수려하며, 사회적으로 우월한 지위를 누리는 인물로 묘사되며, 이러한 특성은 학교 사회의 계층 구조와 관련되어 너드와 대조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조크 문화는 학교 폭력, 차별 등의 사회 문제를 야기하기도 하며, 대중 매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묘사된다.

2. 유래

남성 운동선수를 뜻하는 '조크(Jock)'라는 표현은 1963년경부터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22][2] 이는 운동 경기 중 남성의 생식기를 보호하고 지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속옷인 작스트랩(jockstrap)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4]

이후 미국 문화에서 '조크'는 체육계 남성의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조크'는 종종 또 다른 고정관념인 너드(Nerd)와 대조되는데, 이러한 이분법은 많은 미국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서적에서 다루어지는 주제이다.

'조크'라는 개념은 학교 문화(School culture|스쿨 컬처영어), 특히 고등학교 문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미국 학교, 특히 고등학교 사회에서는 학생들의 특성에 따라 일종의 사회 계층이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13] 이러한 계층 구조는 학생의 학교생활에 영향을 미치며, 그 정점에는 주로 운동부 남학생들과 그들을 보조하는 치어리더 여학생들이 위치한다.[13][14]

운동부 남학생들을 '조크'라고 부르며, 이들이 속한 집단을 '조크스(Jocks)'라고도 한다. '조크'는 육체를 중시하는 인기 집단 또는 파벌(Popular group|파퓰러 그룹영어 또는 Popular clique|파퓰러 클리크영어)로 여겨진다. 미국 사회의 일부에서는 자녀가 이러한 집단에 속하기를 바라며 어릴 때부터 경쟁이 시작되기도 한다. 이는 소위 미국인의 삶에서 성공적인 모습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문화는 계층에 속하지 못한 학생들에게는 배타적이고 위압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컬럼바인 고등학교 총기 난사 사건과 같은 비극적인 사건의 배경 요인 중 하나로 지적되기도 한다.[13]

3. 특징 및 고정관념

조크(Jock)는 미국의 학교 문화, 특히 고등학교 문화와 밀접하게 연관된 개념이다. 미국 고등학교 내에서 형성되는 사회 계층 구조에서, 조크는 주로 정점에 위치하는 운동부 남학생 집단을 가리킨다.[13] 이들은 육체 지향적인 인기 집단으로 여겨지며, 종종 치어리더 여학생들과 함께 학교 내 최상위 계층을 형성한다.[13][14]

매체에서 묘사되는 조크의 일반적인 고정관념은 다음과 같다.[25][5]


  • 신체: 근육질, 큰 키(최소 약 1.83m≒183cm), 뛰어난 운동 신경, 잘생긴 외모.
  • 성격 및 태도: 심한 잘난 체, 자기중심적 사고, 공격성, 호전성, 무례함, 거만함, 과시적 남성성.[6]
  • 행동: 약자(너드, 외톨이 등) 괴롭힘, 술과 약물 남용, 빠르고 일상적인 성 경험, 강한 차별 의식(호모포비아, 남존여비), 비하 슬랭(예: Faggot|패것영어) 사용.
  • 지능: 다소 우둔하게 그려짐.
  • 사회적 위치 및 특혜: 여성에게 높은 인기, 카리스마와 지위를 통한 용이한 사회/성적 접근, 운동 능력만으로 주어지는 부당한 특혜(징계 감면, 과분한 학점 등).


이러한 조크 중심의 문화는 컬럼바인 고등학교 총기 난사 사건과 같은 비극적 사건의 배경 요인 중 하나로 지목되기도 한다.[13]

또한 조크는 학교 졸업 후 정치적으로는 공화당과 같은 우파 정당을 지지하고, 종교적으로는 종교 우파를 신봉하는 등 사회적으로 보수적인 경향을 보인다는 인식이 있다.[15]

3. 1. 신체적 특징

전형적인 조크(Jock)는 건장한 신체적 특징을 가진 것으로 묘사된다. 근육질이며 키가 크고(최소 약 1.83m≒183cm), 운동 신경이 뛰어나며 스포츠에 능하다.[5] 외모는 잘생기고 단정한 것으로 그려지며, 성적 매력이 넘치는 것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또한 남성성을 과시하는 경향이 있어, 울거나 약점, 두려움을 드러내지 않으며,[6] 친구를 오래 껴안거나 잡는 등 신체 접촉을 꺼리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6]

3. 2. 성격 및 행동

매체에서 흔히 묘사되는 작(Jock)은 특정한 고정관념에 따른 성격과 행동 양식을 보인다.[25]

일반적으로 작은 심하게 잘난 체하고 자기중심적이며, 공격적이고 호전적인 성향을 보인다.[5][25] 다른 사람에게 무례하고 거만하며, 쉽게 불쾌감을 느끼고 성미가 급한 것으로 그려진다.[5][25] 또한, 울거나 약점, 두려움을 드러내는 것을 꺼리고, 친구를 오래 껴안거나 잡는 것을 어색해하는 등 과시적인 남성성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6] 강한 차별 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성소수자나 약자를 비하하는 '패것'(Faggot영어)과 같은 슬랭을 자주 사용하는 등 호모포비아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한다. 남존여비 사상을 가진 경우도 흔하다.

행동 면에서는 자신보다 약하다고 생각하는 대상을 괴롭히는 모습이 자주 나타난다. 특히 촌스럽거나 외톨이, 너드로 여겨지는 학생이나 운동 능력이 부족한 학생이 주된 대상이 된다.[25][5] 때로는 권력을 얻거나 유지하기 위해 괴롭힘을 이용하기도 한다.[5] 술과 약물을 남용하고,[25] 성적으로 경험이 빠르며 개방적인 생활을 하는 것으로 묘사되기도 한다.[25]

사회적으로 작은 잘생기고 근육질이며, 키가 크고(약 1.83m 이상) 운동 신경이 뛰어난 외모를 가진 것으로 그려진다.[5][25] 이러한 외모와 넘치는 성적 매력 덕분에 여성에게 인기가 많은 경우가 많다.[25] 학교 내에서는 수적으로 소수일지라도 학업 성적과 무관하게 높은 인기를 누리며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때로는 지배자처럼 군림하기도 한다. 운동 능력만으로도 부당한 특혜를 받는 경우도 흔하다. 예를 들어 잘못을 저질러도 학교 징계를 감면받거나, 실제 학업 능력에 비해 높은 점수를 받는 식이다.[25][5] 반면, 지능은 다소 부족하게 묘사되는 고정관념도 존재한다.[25]

개인적인 취향으로는 육감적이고 화려한 외모의 여성을 선호하며, 음악은 상쾌한 대중음악이나 을 즐겨 듣고, 경쟁을 좋아하는 성향을 보인다.[15] 사회적으로는 보수적인 경향이 강하여, 학교 졸업 후에는 공화당과 같은 우파 정당을 지지하고 종교 우파를 신봉하는 경우가 많다고 여겨진다.[15]

3. 3. 사회적 관계

조크(Jock)는 주로 미국고등학교 문화에서 형성되는 사회 계층 구조의 정점에 위치하는 운동부 남학생 집단을 지칭한다.[13] 이들은 뛰어난 운동 능력만으로도 학교 내에서 특별한 대우(잘못에 대한 처벌 감면, 실제 능력 이상의 학점 등)를 받는 경우가 많으며, 높은 카리스마와 사회적 지위를 바탕으로 인기를 누린다. 학교 내에서 일종의 인기 집단 또는 파벌로 여겨진다.

조크는 일반적으로 이성에게 인기가 많으며, 성적 경험이 빠르고 일상적인 것으로 묘사된다.[25] 넘치는 섹스 어필을 가졌으며, 주로 육체적으로 매력 있고 화려한 외모의 여성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15] 학교 계층 구조에서 조크와 함께 최상층을 이루는 치어리더 여학생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 경우가 많다.[13][14]

사회적으로 조크는 자기중심적이고 오만한 태도를 보이는 경우가 많으며[5][25], 과시적인 남성성을 드러내기도 한다.[6] 또한, 왕성한 차별 의식을 가지고 있어[25] 남존여비 사상이나 호모포비아 성향을 보이기도 한다. 특히 Faggot|패것영어(게이나 약한 남성을 비하하는 속어)과 같은 욕설을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조크는 자신들과 다르거나 운동 능력이 부족한 학생들, 특히 너드(Nerd)로 분류되는 비주류 학생들을 괴롭힘의 대상으로 삼는 경우가 많다.[25][5] 너드는 스포츠를 못하거나 특정 취미에 몰두하는 학생들을 가리키며, 조크와 대립하는 존재로 여겨진다. 조크에게 괴롭힘을 당하는 너드는 종종 '패배자'로 취급받기도 한다.[13][14] 이러한 조크 중심의 문화는 컬럼바인 고등학교 총기 난사 사건과 같은 비극적인 학교 폭력 사건의 한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한다.[13]

조크는 졸업 후 사회적으로 보수적인 성향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고 여겨진다. 정치적으로는 공화당을 지지하고, 종교적으로는 종교 우파를 신봉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4. 대중 매체에서의 묘사

조크(Jock)는 대중 매체, 특히 미국고등학교나 대학교를 배경으로 하는 , 영화, 텔레비전 쇼 등에서 자주 등장하는 전형적인 인물 중 하나이다. 이들은 주로 미식축구농구와 같은 인기 스포츠 팀의 운동 선수로 그려지며, 뛰어난 신체 능력과 높은 인기를 가진 캐릭터로 묘사된다.

대중 매체는 종종 조크를 상대적으로 지적이지 않고 무지하지만, 사회적으로나 신체적으로는 풍족한 인물로 그리는 경향이 있다. 이들은 팀의 쿼터백이나 주장과 같은 높은 지위를 차지하고, 부유한 집안 배경을 가져 값비싼 자동차를 몰거나 유명 브랜드 옷을 입는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특징은 프레피 고정관념과 겹치기도 한다.

작품 속에서 조크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주인공으로 등장할 경우, 내적인 각성을 경험하고 자신의 가치를 변화시키는 역동적 인물로 그려지기도 한다. 이러한 변화는 종종 운동을 그만두거나 다른 사회적 희생을 동반하며 캐릭터가 더 이상 전형적인 조크로 여겨지지 않게 만들기도 한다. 반면, 적대자로 등장하는 조크는 주인공에게 공감하지 못하고 괴롭히는 평면적이고 정적인 인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너드(Nerd) 캐릭터와의 대립 구도에서 안티고니스트 역할을 맡는 경우가 흔하다.[13][14]

이처럼 조크라는 스테레오타입은 다양한 미디어에서 특정 인물 유형을 나타내는 데 활용되며, 미국 학교 문화와 사회 계층에 대한 인식을 반영하기도 한다.[13]

4. 1. 미디어 속 조크 캐릭터 예시

운동선수 캐릭터, 즉 '조크(Jock)'는 고등학교, 중학교, 대학교를 배경으로 하는 책, 영화, 텔레비전 쇼에 자주 등장하는 고정관념 중 하나이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영화에서 두드러지는데, ''대학'', ''아메리칸 파이'' 시리즈, ''너드 복수 작전'' 시리즈 등이 대표적인 예시다. 비디오 게임 ''불리''에서도 이러한 유형의 캐릭터를 찾아볼 수 있다. 이 고정관념은 고등학생이나 대학생뿐만 아니라, 더 어린 시청자를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에도 나타난다. 예를 들어, 니켈로데온의 만화 ''대니 팬텀''에 등장하는 고등학교 풋볼 쿼터백 대시 벡스터나 카툰 네트워크 시리즈 ''에드, 에디 앤 크래니''의 케빈 같은 캐릭터가 있다. 이 외에도 영화 ''캐리''(1976)의 인기 많은 운동선수 토미 로스, 드라마 ''The O.C.'' 시즌 1의 악당 루크 워드, 영화 ''가라데 키드''에서 주인공의 연인 알리 밀스의 전 남자친구인 조니 로렌스, 그리고 영화 ''가위손''에서 여주인공 킴의 남자친구인 짐 등이 조크 스테레오타입을 보여주는 사례로 꼽힌다.

대중 매체에서 조크는 종종 지적 능력은 부족하지만 사회적으로 인기가 많고 신체적으로 뛰어난 인물로 그려진다. 이들은 주로 풋볼이나 농구처럼 신체적 충돌이 잦은 스포츠 선수로 등장한다. 텔레비전 쇼에서는 시트콤 ''서버게토리''의 라이언 셰이(파커 영), 드라마 ''리버데일''의 레지 맨틀, 시트콤 ''핫 인 클리블랜드''의 지미 암스트롱(댄 코르테스) 등이 예시다. 조크 캐릭터는 종종 팀의 쿼터백이나 주장과 같이 높은 지위를 가진 인물로 설정된다. 많은 경우 부유한 가정 출신으로 묘사되어, 값비싼 스포츠카나 SUV를 몰고 다니며 유명 브랜드 옷을 입는 모습으로 그려지기도 한다. 이러한 특징은 프레피 고정관념과 겹치는 부분이 있다.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조크 캐릭터는 때때로 내적 각성을 경험하거나 새로운 가치관을 깨닫고 변화하는 입체적인 인물로 그려지기도 한다. 이러한 변화는 운동을 그만두거나 다른 사회적 관계를 희생하는 결과를 낳기도 하며, 이 과정에서 더 이상 전형적인 조크로 분류되지 않게 된다. 영화 ''멍하고 혼란스러운''의 랜들 "핑크" 플로이드나 ''브렉퍼스트 클럽''의 앤드류 클라크가 이러한 예에 해당한다. 텔레비전 드라마 중에서는 ''원 트리 힐''의 네이선 스콧, ''스몰빌''의 휘트니 포드먼, ''The O.C.''의 루크 워드 등이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반대로 적대자로서 등장하는 조크는 전형적인 인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주인공에 대한 공감 능력이 부족하며, 변화하지 않는 평면적이고 정적인 인물로 묘사된다. 특히 주인공이 학교에서 인기가 없는 설정의 코미디나 드라마에서는 조크가 주요 적대자가 되어 주인공을 괴롭히는 역할을 맡는다. 이들은 너드(nerd)나 다른 비주류 학생들에게 미움을 받으며, 종종 불행한 결말을 맞이하기도 한다. 영화 ''헤더스''의 커트와 램, ''스파이더맨'' 시리즈의 플래시 톰슨, 애니메이션 ''패밀리 가이''의 스콧과 더그, ''클리블랜드 쇼''의 올리버 윌커슨, ''엑스맨: 에볼루션''의 덩컨 매튜스, ''로이드 인 스페이스''의 로드니 글락서, 영화 ''웨딩 플래너''의 마시모 렌제티(저스틴 챔버스) 등이 이러한 예시다. 십대 드라마 ''프리티 리틀 라이어스''의 강간범 딘 월턴처럼 심각한 범죄를 저지르는 악역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다양한 작품에서 조크 캐릭터를 찾아볼 수 있다. 드라마 ''프리티 리틀 라이어스''의 에밀리 필즈는 주인공 그룹 내에서 운동을 담당하는 멤버이다. 1978년 영화 ''그리스''에서 대니 주코는 여자친구 샌디에게 잘 보이기 위해 자신의 그리서 이미지를 버리고 운동선수처럼 보이려 노력한다. 영화 ''나 홀로 집에'' 시리즈의 버즈 맥칼리스터는 농구를 좋아하고 마이클 조던시카고 불스의 팬이며 동생 케빈을 괴롭히는 모습에서 조크의 특징을 보인다. 2006년 영화 ''하이 스쿨 뮤지컬''의 트로이 볼튼은 이스트 고등학교의 농구 스타이며, 채드 단포스, 제이크 베일러, 트로이의 아버지 잭 볼튼 등도 운동선수 캐릭터이다. 2013년 애니메이션 영화 ''몬스터 대학교''의 조니 워싱턴은 인기 많은 동아리의 리더로 등장한다. 한편, 애니메이션 ''다리아''의 케빈 톰슨은 전형적인 '멍청한 운동선수' 고정관념을 따르지만, 주인공 다리아 모르겐도퍼나 친구 제인 레인에게 악의적으로 대하지는 않는다. 같은 작품의 또 다른 운동선수 캐릭터 맥 매켄지는 지적이고 예의 바른 모습을 보여주며, 케빈의 행동에 당황하면서도 그를 괴롭히지는 않는다.

다음은 미디어에 등장하는 조크 캐릭터의 추가적인 예시다.

제목등장인물배우
13 Reasons Why몽고메리 데 라 크루즈티모시 그라나데로스
Back to School채스 오스본윌리엄 자브카
백 투 더 퓨처비프 테넌토마스 F. 윌슨
코브라 카이엘리 "호크" 모스코위츠제이콥 배트런드
유포리아네이트 제이콥스제이콥 엘로디
고스트버스터즈 (2016)케빈 백만크리스 헴스워스
글리노아 퍼커먼마크 샐링
나는 지금 괜찮지 않아브래드 루이스리처드 엘리스
존 터커는 죽어야 한다존 터커제시 메트칼프
러브, 빅터앤드류 스펜서메이슨 굿딩
파라노만미치 다운케이시 애플렉 (목소리)
쉬즈 더 맨듀크 오시노채닝 테이텀
기묘한 이야기제이슨 카버메이슨 다이
틴 울프잭슨 휘트모어콜튼 헤인즈
The DUFF웨슬리 러시로비 아멜
트링킷 (드라마)브래디 핀치브랜든 버틀러



미국의 영화텔레비전 드라마에서는 청춘물을 제외하면 조크 캐릭터가 악당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호러 영화에서는 살해당하는 역할로 자주 소비된다. 이러한 경향은 텔레비전 디렉터나 영화 감독 중에 너드 출신이 많다는 점, 그리고 수용자 다수가 비(非)조크라는 점을 고려한 마케팅 전략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조크 캐릭터를 다루는 작품은 매우 많으며, 비교적 최근 작품으로는 ''퀸카로 살아남는 법'', ''가십걸'', ''글리'', ''너드의 복수'', ''하이 스쿨 뮤지컬'', ''버피와 뱀파이어'', ''분노의 질주: 도쿄 드리프트'', ''RWBY''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작품들에서는 종종 조크와 대비되는 너드 캐릭터도 함께 등장한다.

반대로 너드 캐릭터에 초점을 맞춘 사례로는 코미디뮤지션 알 얀코빅의 노래 "''White & Nerdy''"가 있다[18]. 이 곡의 영상은 전형적인 "촌스럽고 허약한 백인기크"와 그들과는 거리가 먼 갱스터래퍼들을 함께 등장시켜 큰 호응을 얻었고, 싱글과 앨범 모두 빌보드HOT 100 등 여러 음악 차트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18][19].

인기 없고 외모나 신체 능력이 부족한 너드/기크 캐릭터가 주인공이 되어 영웅적인 면모를 통해 인정받고 사랑을 얻는 이야기도 흔하다. 영화 ''워 게임'', ''다이 하드 4.0'', ''스파이더맨'', ''백 투 더 퓨처'', ''트랜스포머'' 등이 그 예이다.

5. 학업과 운동

운동선수는 지능이 부족하다는 고정관념은 종종 운동 능력과 학업 성취가 양립하기 어렵다는 생각에서 비롯된다. 1990년대 이전에는 많은 연구자들이 과외 활동, 특히 운동이 학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졌다. 이른바 '제로섬 게임 모델'은 한정된 학생의 시간을 두고 학업과 과외 활동이 경쟁한다고 보았다. 하지만 이후의 연구들은 학교에서의 운동이나 문화 관련 과외 활동이 학생들의 출석률, 자신감, 때로는 성적 향상 및 대학 진학률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강력한 증거를 제시했다. 반면, 이러한 활동이 표준화 시험 성적을 낮출 수 있다는 결과도 있다.[7][8]

많은 대학에서는 운동 능력이 뛰어난 학생들을 특기생으로 선발하며, 이들이 장학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학점을 취득하도록 요구한다. 학교는 운동팀을 위해 학생을 모집하지만, 장학금을 계속 받으려면 학생은 특정 평점 평균(GPA)을 유지해야 한다. 이는 특히 스스로 고등 교육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젊은 운동선수들에게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이들은 선수 자격을 유지하기 위해 학업과 운동 사이의 균형을 맞추려 노력한다.[9]

미국 대학 스포츠를 관장하는 NCAA는 고등학생이 디비전 I에 속한 대학에서 선수로 활동하고 장학금을 받기 위한 학업 기준을 마련해두고 있다. 2016년 입학하는 신입생부터 적용된 최신 기준에 따르면, 학생 운동선수는 고등학교에서 16개의 핵심 과목을 이수해야 하며, 이 중 7개는 수학, 과학 또는 영어 과목이어야 한다. 또한 16개 과목 중 10개는 고등학교 졸업 전에 완료해야 한다. 더불어 학생들은 최소 2.3의 GPA로 고등학교를 졸업해야 하는데, 이는 기존의 2.0 GPA 기준보다 상향된 것이다.[10] 이러한 학업 요건은 수년간 지속적인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11]

6. 사회 계층 및 너드(Nerd)와의 관계

조크(Jock)라는 개념은 미국 학교 문화, 특히 고등학교 문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미국 학교 사회에서는 학생들의 특성에 따라 일종의 사회 계층이 형성되는 경우가 많은데,[13] 조크는 주로 이 계층 구조의 최상위에 위치한다. 이들은 주로 운동부 남학생들을 지칭하며, 학교 내에서 인기 있는 집단(Popular cliqueeng)을 형성한다. 조크는 종종 학교 내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며, 때로는 지배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조크의 주요 특징으로는 큰 키(최소 6피트≒183cm), 근육질 몸매, 뛰어난 운동 신경, 잘생긴 외모 등이 꼽힌다. 성격적으로는 자신감이 넘치지만 오만하고, 차별 의식이 강하며, 호모포비아적 성향(게이나 약자를 비하하는 "패것(Faggoteng)"과 같은 슬랭 사용)과 남존여비 사상을 보이기도 한다. 정치적으로는 공화당과 같은 우파 정당을 지지하고, 종교적으로는 종교 우파 성향을 보이는 등 보수적인 경향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위 '아웃사이더'나 '루저(패배자)'의 전형으로 여겨지는 고스


이러한 조크의 반대편에는 너드(Nerd)라는 존재가 있다. 너드는 명확한 정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스포츠에 능하지 않고 특정 취미나 학업에 몰두하는 학생들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 능숙한 (Geek), 문화계 동아리 활동을 하는 학생, 특정 음악(펑크, 메탈 등)에 심취한 학생, 고스, 공부벌레(Brain) 등이 너드로 분류될 수 있다. 미국 학교 문화에서는 스포츠 외의 취미에 열정적인 사람을 별난 사람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으며, 특정 분야에 대한 지식이 깊을수록 너드로 인식될 가능성이 높아진다.[13][14][16]

조크는 종종 너드를 괴롭힘의 대상으로 삼거나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너드는 조크가 대표하는 '주류'에서 벗어난 존재, 때로는 '패배자'로 여겨지기도 한다.[13][14] 이러한 조크와 너드의 대립 구도는 단순히 학교 내의 문제를 넘어 미국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틀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정치적으로 리버럴(좌파) 성향의 인물 중에는 너드 출신이 많고, 영화 감독을 비롯한 많은 문화예술인 역시 너드 출신인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미국 대중 문화, 특히 영화에서는 너드가 특별한 능력을 얻어 영웅이 되고, 반대로 조크는 조롱의 대상이나 위험 앞에서 희생되는 역할로 그려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많은 동성애자 학생들은 조크에게 성적인 관심이나 동경을 느끼는 동시에, 그들로부터 괴롭힘이나 무시를 당하는 경험을 하기도 한다. 이는 조크가 미국의 성소수자 학생들이 자신의 사회적 입장을 처음으로 마주하게 되는 상대가 되기도 함을 의미한다.

한편, 조크 중심의 위계적인 학교 문화는 컬럼바인 고등학교 총기 난사 사건과 같은 비극적인 사건의 배경이 되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13]

6. 1. 학교 내 계층 구조 (미국)

파랑: 남성, 분홍: 여성, 녹색: 남녀 모두 해당.
모양이 피라미드 형태인 것은 편의상 표현이며, 실제 각 층의 규모 비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폴 그레이엄 등은 대체로 서양배와 같은 형태일 것으로 추측한다.[14]||right||300px]]

미국 학교(특히 고등학교) 사회에서는 각 학생의 특성에 따라 일종의 사회 계층이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어떤 계층에 속하는지가 학생의 학교생활 양상을 결정하며, 반대로 학교생활의 양상이 그 학생이 속할 수 있는 계층을 결정하는 경향이 있다.[13]

대부분 5단계 정도로 나뉘는 이 계층 구조는 다른 계층 간의 교류가 주종 관계나 대립 관계 같은 상하 관계에 기반한 것 외에는 거의 없는 경향을 보이며, 때로는 "엄연한 계급 사회"로 표현되기도 한다.[13][14] 일반적으로 운동부 남학생들(조크)과 그들을 보조하는 치어리더 여학생들이 속한 계층이 정점에 위치한다.

미국 학교 사회에서 형성되는 계층 구조의 서열은 대략 다음과 같이 파악된다.[13] 이 구조와 각 구성원의 유형은 미국 사회의 일반적인 스테레오 타입으로, 대중 문화 속 학원을 무대로 하는 작품 등에서 흔히 소재로 사용된다.

'''승자 (Winner) 그룹'''

  • '''조크''' (Jockeng): 운동부 남학생. 계층 구조의 정점.
  • '''퀸 비''' (Queen Beeeng): 직역하면 "여왕벌", 의역하면 "학원 여왕/공주". 뛰어난 카리스마와 미모를 지녔으며, 대부분 치어리더의 주전 멤버나 주장, 드물게는 연극부의 주연급 부원이다. 통칭 "퀸스"(Queenseng).[17]
  • '''사이드킥스''' (Sidekickseng): 퀸 비의 측근. 보통 1명의 퀸 비에 2명으로 구성된다.
  • '''플리저''' (Pleasereng): 여성의 경우 퀸 비 및 사이드킥스의 측근이면서 조르기(Please)도 가능한 위치. 남성의 경우, 하위 계층 학생들에게 갈취(Please)를 일삼는 조크의 부하.
  • '''워너비''' (Wannabeeng): 퀸 비 및 사이드킥스의 측근으로, 지위 상승(사이드킥스가 되는 것)을 꿈꾸는(Wanna be) 입장.
  • '''메신저''' (Messengereng): 심부름꾼 (파발꾼).
  • '''프렙스''' (Prepseng): 문화계의 엘리트, 남성의 경우 부잣집 도련님. 프레피(Preppyeng)라고도 한다.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프렙 스쿨(Prep school, 사립 고등학교)에서 유래했다.


'''패자 (Loser) 그룹'''

  • '''슬래커''' (Slackereng): 얼간이, 바보.
  • '''프릭''' (Freakeng): 매니아, 괴짜.
  • '''''' (Geekeng): 오타쿠 등. 너드에 속한다.
  • '''고스''' (Gotheng): 고스. 너드에 속한다.
  • '''브레인''' (Braineng): 공부벌레. 너드에 속한다.
  • '''피학자''' (Targeteng): 괴롭힘의 표적이 되는 학생. 반드시 너드에 속하는 것은 아니다.


'''계층 외 (The Out of caste)'''

  • '''불량배''' (Bad boys & girlseng): 불량 소년 및 불량 소녀, 갱 등.
  • '''불가사의 소녀''' (The Floatereng): 부랑아. 항상 도서관에 있는 학생 등이 전형적인 예.

7. 사회적 문제

조크(Jock)라는 개념은 학교 문화(School cultureeng), 특히 고등학교 문화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미국 학교 사회에서는 학생들의 특성에 따라 일종의 사회 계층이 형성되는 경우가 많으며, 어떤 계층에 속하는지가 학생의 학교생활에 큰 영향을 미친다.[13] 이러한 계층 구조는 대개 5단계 정도로 나뉘며, 각 계층 간의 교류는 상하 관계에 기반한 것 외에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엄연한 계급 사회"로 묘사되기도 한다.[13][14]

이 계층 구조의 정점에는 주로 운동부 남학생들, 즉 '조크'와 그들을 보조하는 치어리더 여학생들이 자리 잡는다. 조크는 신체 능력을 중시하는 인기 집단 또는 파벌(Popular groupeng 또는 Popular cliqueeng)로, 미국 사회의 주류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다. 많은 부모가 자녀가 조크가 되기를 바라며, 이를 위한 경쟁은 어린 시절부터 시작된다.

그러나 이러한 조크 중심의 문화는 경쟁과 차별을 조장하며, 조크가 되지 못한 학생들에게는 불쾌감과 소외감을 안겨줄 수 있다. 심한 경우, 이는 학교 폭력과 같은 심각한 사회 문제로 이어지기도 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1999년 4월 20일에 발생한 컬럼바인 고등학교 총기 난사 사건이다.[13]

> 흰 모자나 야구 모자를 쓴 놈들, 전부 일어나! 조크 놈들도 전부 일어나!

> -- 에릭 해리스(Eric Harris) & 딜런 클레보드(Dylan Klebold), 컬럼바인 고등학교 총기 난사 사건 현장에서

이 사건은 미국 역사상 최악의 학교 총기 난사 사건 중 하나로, 13명의 사망자와 24명의 부상자를 낳았다. 사건을 일으킨 에릭 해리스와 딜런 클레보드는 자신들을 '트렌치 코트 마피아'라는 자경단으로 칭하며, 조크들의 괴롭힘과 횡포에 맞서기 위해 범행을 저질렀다고 알려졌다.

사건이 발생한 콜럼바인 고등학교는 콜로라도주에 위치한 스포츠 명문 학교로, 체육계 학생들을 우대하고 조크가 아닌 학생들은 소외시키는 분위기가 강했다. 교사들조차 조크 학생들을 최고의 학생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소외감을 느끼고 괴롭힘을 당했던 해리스와 클레보드는 누적된 분노를 폭력적인 방식으로 표출하여 기 난사 후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20세기 말 미국 사회에 큰 충격을 준 이 사건은 총기 사회의 문제점뿐만 아니라, 조크를 정점으로 하는 학교 내 계층 구조와 경쟁적인 문화가 가진 심각한 문제점을 드러냈다. 이는 비단 콜럼바인 고등학교만의 문제가 아니라 미국 내 어느 학교에서든 발생할 수 있는 문제로 지적되었다[20][21]。 조크 중심의 학교 문화는 학생들 간의 갈등을 심화시키고, 소외된 학생들에게 깊은 상처를 줄 수 있는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Jock: definition of Jock in Oxford dictionary (American English) (US) http://www.oxforddic[...] 2015-10-08
[2]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on Jock http://www.etymonlin[...] Etymonline.com 2011-02-01
[3] 웹사이트 Princeton's WordNet entry on Jock http://wordnetweb.pr[...] Wordnetweb.princeton.edu 2011-02-01
[4] 서적 An Introduction to English Slang https://books.google[...] Polimetrica 2015-10-08
[5] 웹사이트 Jocks as a Youth Subculture http://smhp.psych.uc[...] Center for Mental Health in Schools, School Mental Health Project, Department of Psychology, UCLA, Los Angeles 2016-07-16
[6] 서적 21st century jocks : sporting men and contemporary heterosexuality Palgrave Macmillan
[7] 학위논문 Correlations Between High School Athletic Particip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http://digitalcollec[...] Dordt College
[8] 간행물 School Athletic Participation: Mostly Gain With Little Pain http://www.naspspa.o[...]
[9] 웹사이트 Black Voices Online http://media.www.bla[...] 2010-03-05
[10] 웹사이트 Eligibility vs. academic preparedness https://www.espn.com[...] 2012-12-31
[11] 서적 Pay for Play: A History of Big-Time College Athletic Reform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2] 웹사이트 jock|Search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Douglas Harper 2018-09-29
[13] 뉴스 The Truth About High School Newsweek 1999-05-10
[14] 웹사이트 WHY NERDS ARE UNPOPULAR http://www.paulgraha[...] 폴・グラハム
[15] Urban Dictionary Jock http://www.urbandict[...]
[16] 서적 GEEKS ギークス:ビル・ゲイツの子供たち 飛鳥新社 2001-04
[17] 문서 http://wanpaku-web.h[...]
[18] 빌보드 Discography - "Weird Al" Yankovic - Straight Outta Lynwood http://www.billboard[...]
[19] MySpace White & Nerdy https://myspace.com/[...] 알・ヤンコビック
[20] 웹사이트 At last we know why the Columbine killers did it. - By Dave Cullen - Slate Magazine http://slate.msn.com[...]
[21] 서적 コロンバイン・ハイスクール・ダイアリー 太田出版 2004-04
[22] 웹인용 Online Etymology Dictionary on Jock http://www.etymonlin[...] Etymonline.com 2011-02-01
[23] 웹인용 Herman and Julia Schwendinger's sociological study on youth subcultures http://web.tampabay.[...] 2013-08-23
[24] 웹인용 Princeton's WordNet entry on Jock http://wordnetweb.pr[...] Wordnetweb.princeton.edu 2011-02-01
[25] 문서 http://smhp.psych.u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