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ere-to-be-born 인덱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here-to-be-born 인덱스는 출생하기에 가장 적합한 국가를 평가하기 위한 지수로, 삶의 질을 나타내는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다. 2013년에는 80개 국가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10가지 삶의 질 요소와 미래 1인당 GDP 예측을 통해 지수를 산출했으며, 2006년에는 130개 국가의 삶의 만족도 점수를 갤럽 여론조사를 통해 분석하여 11개의 지표를 확인했다. 1인당 GDP, 기대 수명, 가족 생활의 질, 정치적 자유, 고용 안정, 기후, 개인적 신체 안전, 공동체 생활, 거버넌스, 성 평등 등이 주요 고려 요소이다. 2013년에는 스위스가 1위를, 대한민국은 19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 순위 - V-Dem 민주주의 지수
V-Dem 민주주의 지수는 민주주의 다양성 연구소에서 발표하는 지표로, 선거, 자유, 참여, 숙의, 평등 민주주의 등 다섯 가지 핵심 지수를 포함하여 민주주의의 다양한 측면을 측정한다. - 국제 순위 - 세계 언론 자유 지수
세계 언론 자유 지수는 국경 없는 기자회에서 발표하는 보고서로, 각국의 언론 자유 수준을 평가하고 순위를 매기며, 설문 조사와 데이터 결합을 통해 산출되고 정치, 법 등 5가지 범주를 기준으로 평가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언론 자유도가 높다. - 생활 - 생활 양식
생활 양식은 개인의 태도, 가치관, 세계관을 반영하는 삶의 방식이며, 소비, 정치, 종교 등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받고, 사회적 위치, 행동 양식 등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된다. - 생활 - 동거
동거는 결혼하지 않은 성인 커플이 함께 사는 관계로, 사회, 문화, 경제적 변화와 관련되어 증가하고 있지만, 종교적 비판과 법적, 사회적 차이가 존재하며, 동거에 대한 사회적 수용도와 법적 지위는 국가별로 다르다.
Where-to-be-born 인덱스 | |
---|---|
개요 | |
지수 유형 | 삶의 질 지수 |
개발 주체 |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 (이코노미스트 산하) |
다른 명칭 | 삶의 질 지수 (QLI) |
영어 명칭 | Where-to-be-born Index (태어날 곳 지수) |
목적 | |
목적 | 각 국가의 삶의 질 수준을 평가하고 순위를 매김 |
평가 요소 | 1인당 GDP 기대 수명 정치적 자유 직업 안정 기후 물리적 안전 삶의 질 등 |
평가 방식 | |
평가 방식 | 경제, 사회, 정치적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각 국가의 점수를 산출 |
특징 | |
특징 | 객관적인 지표와 주관적인 설문조사 결과를 결합하여 평가 미래의 삶의 질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됨 |
최신 정보 | |
최신 업데이트 | 2013년 (2017년 4월 업데이트 요청) |
추가 정보 | |
관련 링크 | WorldAtlas: "태어날 곳 지수": 최고 및 최저 점수 국가 |
2. 조사 방법
Where-to-be-born 인덱스는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는 복합적인 지표이다. 2013년 조사에서는 10가지 삶의 질 요소와 미래 1인당 GDP 예측을 사용했고,[2] 2006년 조사에서는 갤럽 여론조사를 통해 얻은 삶의 만족도 점수를 다변량 회귀 분석하여 11개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지표를 확인했다.[4] 2005년에는 생활의 질에 관한 9가지 요인을 바탕으로 지수를 산출했다.
2. 1. 주요 고려 요소
2013년 조사는 80개 국가 및 영토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10가지 삶의 질 요소와 미래 1인당 GDP 예측치를 고려하여 각 국가의 점수를 결정했다.[2]2006년에는 갤럽 여론조사를 통해 130개 국가의 삶의 만족도 점수를 다변량 회귀 분석하여, 삶의 만족도 점수 변동의 약 85%를 설명하는 11개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지표를 확인했다. 예측 점수는 국가의 삶의 질 지수를 나타내며, 계수는 서로 다른 요소의 중요성을 자동으로 가중한다.[4]
2006년 추정 방정식의 독립 변수는 다음과 같다.
변수 | 설명 |
---|---|
1인당 GDP | 2006년 불변 PPP 달러로 측정된 물질적 웰빙 |
기대 수명 | 출생 시 기대 수명 |
가족 생활의 질 | 주로 이혼율을 기반으로 함 |
정치적 자유 | 정치적 자유의 상태 |
고용 안정 | 실업률로 측정 |
기후 | 두 가지 변수로 측정: 월별 최저 및 최고 기온의 14도 섭씨 평균 편차, 강수량 30mm 미만인 달의 수 |
개인적 신체 안전 등급 | 주로 기록된 살인율과 범죄 및 테러 위험 등급을 기반으로 함 |
공동체 생활의 질 | 사회 단체 가입을 기반으로 함 |
거버넌스 | 부패에 대한 등급으로 측정 |
성 평등 | 국가 의회에서 여성 의원 비율로 측정 |
2005년 조사에서는 생활의 질에 관한 9가지 요인을 고려했다.
요인 | 설명 및 출처 |
---|---|
건강 | 평균 수명 (국가의 평균 수명 순위), 출처: 미국 인구조사국 |
가족 | 이혼율, 출처: UN, 유로모니터 |
커뮤니티 | 교회 출석률이나 노동 조합 참여, 출처: 세계 가치관 조사 |
물질적 풍요 | 구매력 평가에 기초한 1인당 국내 총생산(국가별 국내 총생산 순위 (1인당 명목)), 출처: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 |
정치적 안정성과 안전 | 정치적 안정성과 안전, 출처: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 |
기후와 지리 | 위도와 한난의 차이, 출처: CIA 월드 팩트북 |
일 | 실업률, 출처: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 |
정치적 자유 | 정치적 자유와 시민의 자유, 출처: 프리덤 하우스 |
남녀 평등 | 남성과 여성의 임금 격차, 출처: UNDP 인간 개발 보고서 |
2. 2. 측정 지표 (영어 문서 참고)
2013년 조사는 80개의 국가 및 영토 데이터를 사용하여 10가지 삶의 질 요소와 미래 1인당 GDP 예측을 고려하여 점수를 결정했다.[2]2006년에는 130개 국가의 삶의 만족도 점수(1~10점 척도)를 갤럽 여론조사를 통해 다변량 회귀 분석했다. 연구자들은 국가 간 삶의 만족도 점수 변동성의 약 85%를 설명하는 11개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지표를 확인했다.[4] 2006년의 추정 방정식은 시간 경과 및 국가 간 비교를 가능하게 한다.[4]
2006년 추정 방정식의 독립 변수는 다음과 같다.
변수 | 설명 |
---|---|
물질적 웰빙 | 1인당 GDP (2006년 불변 PPP 달러) |
기대 수명 | 출생 시 기대 수명 |
가족 생활의 질 | 주로 이혼율을 기반 |
정치적 자유 | 정치적 자유의 상태 |
고용 안정 | 실업률로 측정 |
기후 | 월별 최저 및 최고 기온의 14도 섭씨 평균 편차, 강수량 30mm 미만인 달의 수 (두 가지 변수로 측정) |
개인적 신체 안전 등급 | 주로 기록된 살인율과 범죄 및 테러 위험 등급을 기반 |
공동체 생활의 질 | 사회 단체 가입을 기반 |
거버넌스 | 부패에 대한 등급으로 측정 |
성 평등 | 국가 의회에서 여성 의원 비율로 측정 |
2005년 조사에서는 생활의 질에 관한 9가지 요인에 의해 지수가 산출되었다.
요인 | 설명 | 출처 |
---|---|---|
건강 | 평균 수명(국가의 평균 수명 순위) | 미국 인구조사국(United States Census Bureau) |
가족 | 이혼율 | UN(국제 연합), 유로모니터(Euromonitor) |
커뮤니티 | 교회 출석률이나 노동 조합 참여 | 세계 가치관 조사(World Values survey) |
물질적 풍요 | 구매력 평가에 기초한 1인당 국내 총생산(국가별 국내 총생산 순위 (1인당 명목)) |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conomist Intelligence Unit) |
정치적 안정성과 안전 | 정치적 안정성과 안전 |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conomist Intelligence Unit) |
기후와 지리 | 위도와 한난의 차이 | CIA 월드 팩트북(CIA World Factbook) |
일 | 실업률 |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conomist Intelligence Unit) |
정치적 자유 | 정치적 자유와 시민의 자유 | 프리덤 하우스(Freedom House) |
남녀 평등 | 남성과 여성의 임금 격차 | UNDP(유엔 개발 계획) 인간 개발 보고서(Human Development Report)'' |
3. 삶의 질 지수 목록 (영어 문서 참고)
4. 연도별 순위
Where-to-be-born 인덱스는 시대별로 삶의 질을 평가하는 지표가 변화해 왔음을 보여준다. 1988년, 2005년, 2013년의 순위는 각 시대별 경제, 사회, 정치적 상황을 반영한다.
1988년에는 냉전 시대의 이념 대립과 경제 발전 수준이 국가 순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미국이 1위를 차지했으며, 프랑스, 서독, 이탈리아, 캐나다 등 서방 선진국들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대한민국은 10위로, 당시 경제 성장의 성과를 반영했다. 반면, 소비에트 연방은 21위, 중국은 32위에 머물렀다.
순위 | 국가 |
---|---|
1 | 미국 |
2 | 프랑스 |
3 | 서독 |
4 | 이탈리아 |
5 | 캐나다 |
6 | 일본(1947년 헌법) |
7 | 홍콩 |
7 | 영국 |
9 | 스웨덴 |
10 | 네덜란드 |
10 | 대한민국(1984년) |
12 | 오스트리아 |
13 | 노르웨이 |
13 | 스위스 |
15 | 벨기에 |
15 | 아일랜드 |
15 | 스페인 |
18 | 오스트레일리아 |
18 | 핀란드 |
18 | 뉴질랜드 |
21 | 아르헨티나 |
21 | 소비에트 연방 |
23 | 폴란드 |
24 | 덴마크 |
24 | 헝가리 |
24 | 필리핀 |
27 | 그리스 |
27 | 인도 |
27 | 멕시코 |
30 | 브라질 |
30 | 이스라엘 |
32 | 중국 |
32 | 포르투갈 |
32 | 아랍에미리트 |
32 | 베네수엘라 |
36 | 동독 |
36 | 싱가포르 |
38 | 말레이시아 |
39 | 유고슬라비아 |
40 | 남아프리카 공화국 |
41 | 터키 |
42 | 인도네시아 |
43 | 파키스탄 |
44 | 이집트 |
45 | 리비아 |
46 | 사우디아라비아 |
47 | 나이지리아 |
48 | 이란 |
48 | 이라크 |
48 | 짐바브웨 |
2005년에는 아일랜드가 1위를 차지하며, 경제 성장과 사회 복지 시스템의 발전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스위스, 노르웨이, 스웨덴 등 북유럽 국가들이 상위권에 올랐으며, 대한민국은 30위를 기록했다.[6]
순위 | 국가(혹은 지역) | 수치 |
---|---|---|
1 | 아일랜드 | 8.333 |
2 | 스위스 | 8.068 |
3 | 노르웨이 | 8.051 |
4 | 룩셈부르크 | 8.015 |
5 | 스웨덴 | 7.937 |
6 | 오스트레일리아 | 7.925 |
7 | 아이슬란드 | 7.911 |
8 | 이탈리아 | 7.810 |
9 | 덴마크 | 7.796 |
10 | 스페인 | 7.727 |
11 | 싱가포르 | 7.719 |
12 | 핀란드 | 7.618 |
13 | 미국 | 7.615 |
14 | 캐나다 | 7.599 |
15 | 뉴질랜드 | 7.436 |
16 | 네덜란드 | 7.433 |
17 | 일본 | 7.392 |
18 | 홍콩 | 7.347 |
19 | 포르투갈 | 7.307 |
20 | 오스트리아 | 7.268 |
21 | 대만 | 7.259 |
22 | 그리스 | 7.163 |
23 | 키프로스 | 7.097 |
24 | 벨기에 | 7.095 |
25 | 프랑스 | 7.084 |
26 | 독일 | 7.048 |
27 | 슬로베니아 | 6.986 |
28 | 몰타 | 6.934 |
29 | 영국 | 6.917 |
30 | 대한민국 | 6.877 |
31 | 칠레 | 6.789 |
32 | 멕시코 | 6.766 |
33 | 바베이도스 | 6.702 |
34 | 체코 | 6.629 |
35 | 코스타리카 | 6.624 |
36 | 말레이시아 | 6.608 |
37 | 헝가리 | 6.534 |
38 | 이스라엘 | 6.488 |
39 | 브라질 | 6.470 |
40 | 아르헨티나 | 6.469 |
41 | 카타르 | 6.462 |
42 | 타이 | 6.436 |
43 | 스리랑카 | 6.417 |
44 | 필리핀 | 6.403 |
45 | 슬로바키아 | 6.381 |
46 | 우루과이 | 6.368 |
47 | 파나마 | 6.361 |
48 | 폴란드 | 6.309 |
49 | 크로아티아 | 6.301 |
50 | 튀르키예 | 6.286 |
51 | 트리니다드 토바고 | 6.278 |
52 | 에콰도르 | 6.272 |
53 | 페루 | 6.216 |
54 | 콜롬비아 | 6.176 |
55 | 쿠웨이트 | 6.171 |
56 | 엘살바도르 | 6.164 |
57 | 불가리아 | 6.162 |
58 | 루마니아 | 6.105 |
59 | 베네수엘라 | 6.089 |
60 | 중화인민공화국 | 6.083 |
61 | 베트남 | 6.080 |
62 | 바레인 | 6.035 |
63 | 리투아니아 | 6.033 |
64 | 자메이카 | 6.022 |
65 | 모로코 | 6.018 |
66 | 라트비아 | 6.008 |
67 | 오만 | 5.916 |
68 | 에스토니아 | 5.905 |
69 | 아랍에미리트 | 5.899 |
70 | 리비아 | 5.849 |
71 | 인도네시아 | 5.814 |
72 | 사우디아라비아 | 5.767 |
73 | 인도 | 5.759 |
74 | 파라과이 | 5.756 |
75 | 요르단 | 5.675 |
76 | 니카라과 | 5.663 |
77 | 방글라데시 | 5.646 |
78 | 알바니아 | 5.634 |
79 | 도미니카 공화국 | 5.630 |
80 | 이집트 | 5.605 |
81 | 알제리 | 5.571 |
82 | 볼리비아 | 5.492 |
83 | 튀니지 | 5.472 |
84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5.428 |
85 | 아르메니아 | 5.422 |
86 | 아제르바이잔 | 5.377 |
87 | 조지아 | 5.365 |
88 | 이란 | 5.343 |
89 | 마케도니아 공화국 | 5.337 |
90 | 과테말라 | 5.321 |
91 | 온두라스 | 5.250 |
92 | 남아프리카 공화국 | 5.245 |
93 | 파키스탄 | 5.229 |
94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5.218 |
95 | 가나 | 5.174 |
96 | 카자흐스탄 | 5.082 |
97 | 시리아 | 5.052 |
98 | 우크라이나 | 5.032 |
99 | 몰도바 | 5.009 |
100 | 벨라루스 | 4.978 |
101 | 우간다 | 4.879 |
102 | 투르크메니스탄 | 4.870 |
103 | 키르기스스탄 | 4.846 |
104 | 보츠와나 | 4.810 |
105 | 러시아 | 4.796 |
106 | 우즈베키스탄 | 4.767 |
107 | 타지키스탄 | 4.754 |
108 | 나이지리아 | 4.505 |
109 | 탄자니아 | 4.495 |
110 | 아이티 | 4.090 |
111 | 짐바브웨 | 3.892 |
112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889 |
4. 1. 2013년 순위

순위 | 국가 | 점수 (10점 만점) |
---|---|---|
1 | 스위스 | 8.22 |
2 | 오스트레일리아 | 8.12 |
3 | 노르웨이 | 8.09 |
4 | 스웨덴 | 8.02 |
5 | 덴마크 | 8.01 |
6 | 싱가포르 | 8.00 |
7 | 뉴질랜드 | 7.95 |
8 | 네덜란드 | 7.94 |
9 | 캐나다 | 7.81 |
10 | 홍콩 | 7.80 |
11 | 핀란드 | 7.76 |
12 | 아일랜드 | 7.74 |
13 | 오스트리아 | 7.73 |
14 | 대만 | 7.67 |
15 | 벨기에 | 7.51 |
16 | 독일 | 7.38 |
16 | 미국 | 7.38 |
18 | 아랍에미리트 | 7.33 |
19 | 대한민국 | 7.25 |
20 | 이스라엘 | 7.23 |
21 | 이탈리아 | 7.21 |
22 | 쿠웨이트 | 7.18 |
23 | 칠레 | 7.10 |
23 | 키프로스 | 7.10 |
25 | 일본 | 7.08 |
26 | 프랑스 | 7.04 |
27 | 영국 | 7.01 |
28 | 체코 | 6.96 |
28 | 스페인 | 6.96 |
30 | 코스타리카 | 6.92 |
30 | 포르투갈 | 6.92 |
32 | 슬로베니아 | 6.77 |
33 | 폴란드 | 6.66 |
34 | 그리스 | 6.65 |
35 | 슬로바키아 | 6.64 |
36 | 말레이시아 | 6.62 |
37 | 브라질 | 6.52 |
38 | 사우디아라비아 | 6.49 |
39 | 멕시코 | 6.41 |
40 | 아르헨티나 | 6.39 |
40 | 쿠바 | 6.39 |
42 | 콜롬비아 | 6.27 |
43 | 페루 | 6.24 |
44 | 에스토니아 | 6.07 |
44 | 베네수엘라 | 6.07 |
46 | 크로아티아 | 6.06 |
46 | 헝가리 | 6.06 |
48 | 라트비아 | 6.01 |
49 | 중국 | 5.99 |
50 | 타이 | 5.96 |
51 | 터키 | 5.95 |
52 | 도미니카 공화국 | 5.93 |
53 | 남아프리카 공화국 | 5.89 |
54 | 알제리 | 5.86 |
54 | 세르비아 | 5.86 |
56 | 루마니아 | 5.85 |
57 | 리투아니아 | 5.82 |
58 | 이란 | 5.78 |
59 | 튀니지 | 5.77 |
60 | 이집트 | 5.76 |
61 | 불가리아 | 5.73 |
62 | 엘살바도르 | 5.72 |
63 | 필리핀 | 5.71 |
63 | 스리랑카 | 5.71 |
65 | 에콰도르 | 5.70 |
66 | 인도 | 5.67 |
66 | 모로코 | 5.67 |
68 | 베트남 | 5.64 |
69 | 요르단 | 5.63 |
70 | 아제르바이잔 | 5.60 |
71 | 인도네시아 | 5.54 |
72 | 러시아 | 5.31 |
73 | 시리아 | 5.29 |
74 | 카자흐스탄 | 5.20 |
75 | 파키스탄 | 5.17 |
76 | 앙골라 | 5.09 |
77 | 방글라데시 | 5.07 |
78 | 우크라이나 | 4.98 |
79 | 케냐 | 4.91 |
80 | 나이지리아 | 4.74 |
4. 2. 2005년 순위
2005년 기준 순위는 다음과 같다.[6]
순위 | 국가(혹은 지역) | 수치 |
---|---|---|
1 | 아일랜드 | 8.333 |
2 | 스위스 | 8.068 |
3 | 노르웨이 | 8.051 |
4 | 룩셈부르크 | 8.015 |
5 | 스웨덴 | 7.937 |
6 | 오스트레일리아 | 7.925 |
7 | 아이슬란드 | 7.911 |
8 | 이탈리아 | 7.810 |
9 | 덴마크 | 7.796 |
10 | 스페인 | 7.727 |
11 | 싱가포르 | 7.719 |
12 | 핀란드 | 7.618 |
13 | 미국 | 7.615 |
14 | 캐나다 | 7.599 |
15 | 뉴질랜드 | 7.436 |
16 | 네덜란드 | 7.433 |
17 | 일본 | 7.392 |
18 | 홍콩 | 7.347 |
19 | 포르투갈 | 7.307 |
20 | 오스트리아 | 7.268 |
21 | 타이완 | 7.259 |
22 | 그리스 | 7.163 |
23 | 키프로스 | 7.097 |
24 | 벨기에 | 7.095 |
25 | 프랑스 | 7.084 |
26 | 독일 | 7.048 |
27 | 슬로베니아 | 6.986 |
28 | 몰타 | 6.934 |
29 | 영국 | 6.917 |
30 | 대한민국 | 6.877 |
31 | 칠레 | 6.789 |
32 | 멕시코 | 6.766 |
33 | 바베이도스 | 6.702 |
34 | 체코 | 6.629 |
35 | 코스타리카 | 6.624 |
36 | 말레이시아 | 6.608 |
37 | 헝가리 | 6.534 |
38 | 이스라엘 | 6.488 |
39 | 브라질 | 6.470 |
40 | 아르헨티나 | 6.469 |
41 | 카타르 | 6.462 |
42 | 타이 | 6.436 |
43 | 스리랑카 | 6.417 |
44 | 필리핀 | 6.403 |
45 | 슬로바키아 | 6.381 |
46 | 우루과이 | 6.368 |
47 | 파나마 | 6.361 |
48 | 폴란드 | 6.309 |
49 | 크로아티아 | 6.301 |
50 | 튀르키예 | 6.286 |
51 | 트리니다드 토바고 | 6.278 |
52 | 에콰도르 | 6.272 |
53 | 페루 | 6.216 |
54 | 콜롬비아 | 6.176 |
55 | 쿠웨이트 | 6.171 |
56 | 엘살바도르 | 6.164 |
57 | 불가리아 | 6.162 |
58 | 루마니아 | 6.105 |
59 | 베네수엘라 | 6.089 |
60 | 중화인민공화국 | 6.083 |
61 | 베트남 | 6.080 |
62 | 바레인 | 6.035 |
63 | 리투아니아 | 6.033 |
64 | 자메이카 | 6.022 |
65 | 모로코 | 6.018 |
66 | 라트비아 | 6.008 |
67 | 오만 | 5.916 |
68 | 에스토니아 | 5.905 |
69 | 아랍에미리트 | 5.899 |
70 | 리비아 | 5.849 |
71 | 인도네시아 | 5.814 |
72 | 사우디아라비아 | 5.767 |
73 | 인도 | 5.759 |
74 | 파라과이 | 5.756 |
75 | 요르단 | 5.675 |
76 | 니카라과 | 5.663 |
77 | 방글라데시 | 5.646 |
78 | 알바니아 | 5.634 |
79 | 도미니카 공화국 | 5.630 |
80 | 이집트 | 5.605 |
81 | 알제리 | 5.571 |
82 | 볼리비아 | 5.492 |
83 | 튀니지 | 5.472 |
84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5.428 |
85 | 아르메니아 | 5.422 |
86 | 아제르바이잔 | 5.377 |
87 | 조지아 | 5.365 |
88 | 이란 | 5.343 |
89 | 마케도니아 공화국 | 5.337 |
90 | 과테말라 | 5.321 |
91 | 온두라스 | 5.250 |
92 | 남아프리카 공화국 | 5.245 |
93 | 파키스탄 | 5.229 |
94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5.218 |
95 | 가나 | 5.174 |
96 | 카자흐스탄 | 5.082 |
97 | 시리아 | 5.052 |
98 | 우크라이나 | 5.032 |
99 | 몰도바 | 5.009 |
100 | 벨라루스 | 4.978 |
101 | 우간다 | 4.879 |
102 | 투르크메니스탄 | 4.870 |
103 | 키르기스스탄 | 4.846 |
104 | 보츠와나 | 4.810 |
105 | 러시아 | 4.796 |
106 | 우즈베키스탄 | 4.767 |
107 | 타지키스탄 | 4.754 |
108 | 나이지리아 | 4.505 |
109 | 탄자니아 | 4.495 |
110 | 아이티 | 4.090 |
111 | 짐바브웨 | 3.892 |
112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889 |
4. 3. 1988년 순위
wikitext순위 | 국가 |
---|---|
1 | 미국 |
2 | 프랑스 |
3 | 서독 |
4 | 이탈리아 |
5 | 캐나다 |
6 | 일본 |
7 | 홍콩 |
7 | 영국 |
9 | 스웨덴 |
10 | 네덜란드 |
10 | 대한민국 |
12 | 오스트리아 |
13 | 노르웨이 |
13 | 스위스 |
15 | 벨기에 |
15 | 아일랜드 |
15 | 스페인 |
18 | 오스트레일리아 |
18 | 핀란드 |
18 | 뉴질랜드 |
21 | 아르헨티나 |
21 | 소비에트 연방 |
23 | 폴란드 |
24 | 덴마크 |
24 | 헝가리 |
24 | 필리핀 |
27 | 그리스 |
27 | 인도 |
27 | 멕시코 |
30 | 브라질 |
30 | 이스라엘 |
32 | 중국 |
32 | 포르투갈 |
32 | 아랍에미리트 |
32 | 베네수엘라 |
36 | 동독 |
36 | 싱가포르 |
38 | 말레이시아 |
39 | 유고슬라비아 |
40 | 남아프리카 공화국 |
41 | 터키 |
42 | 인도네시아 |
43 | 파키스탄 |
44 | 이집트 |
45 | 리비아 |
46 | 사우디아라비아 |
47 | 나이지리아 |
48 | 이란 |
48 | 이라크 |
48 | 짐바브웨 |
5. 조사 대상 제외 국가 (일본어 문서 참고)
최빈국은 자료를 얻을 수 없어 조사 대상에서 제외된 국가가 많다. 또한 극소 국가도 대상이 되지 않았지만, 조사가 이루어졌다면 높은 수치를 나타냈을 것으로 보인다.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참조
[1]
웹사이트
The "Where-to-be-Born" Index: The Highest And Lowest Scoring Countries
https://www.worldatl[...]
2017-04-25
[2]
뉴스
The Lottery of Life: Where to be Born in 2013
https://www.economis[...]
2012-11-21
[3]
웹사이트
Where-to-be-born Index by Country/ Where to be born Index 2024
https://worldpopulat[...]
[4]
뉴스
The Lottery of Life Methodology: How we Calculated Life Satisfaction
https://www.economis[...]
2012-11-21
[5]
웹인용
The lottery of life - Where to be born in 2013
https://www.economis[...]
The Economist
2012-11-21
[6]
웹인용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s quality-of-life Index
http://www.economist[...]
이코노미스트
2007-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