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 함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리 함수는 집합 X의 원소 간의 거리를 정의하는 함수이다. 이는 두 원소 사이의 거리를 실수 값으로 나타내며, 식별불가능자 동일성, 대칭성, 삼각 부등식의 세 가지 공리를 만족해야 한다. 이러한 공리는 거리가 음수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하며, 직관적인 거리 개념의 성질을 수학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거리 함수는 유클리드 거리, 맨해튼 거리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이산 공간, 노름 공간 등에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초거리, 길이 거리, 평행이동 불변성, 절대동차성과 같은 다양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거리 함수의 개념은 유사거리, 준거리, 반거리, 전거리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일반화될 수 있으며, 확장 거리, 메타거리, 부분 거리와 같은 변형된 개념도 존재한다. 이러한 일반화된 거리 개념은 다양한 수학적, 과학적 분야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거리 - 민코프스키 거리
민코프스키 거리는 n차원 공간에서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정의하는 일반화된 방법으로, p값에 따라 맨해튼 거리, 유클리드 거리, 체비셰프 거리 등을 포함하며, 기계 학습에서 데이터 유사성 비교에 활용된다. - 거리 - 맨해튼 거리
맨해튼 거리는 좌표축에 평행하게 측정한 거리 차이의 절댓값 합으로, 택시 기하학이라고도 불리며, 체스 룩의 이동이나 격자 도시 이동 거리 측정에 활용된다. - 계량기하학 - 거리
거리는 수학에서 두 점 사이를 측정하는 함수, 물리학에서 물체의 위치 변화량, 일상생활에서 두 지점 사이의 길이를 의미하며, 국제단위계에서는 길이로 표현된다. - 계량기하학 - 코시 열
코시 열은 무한수열에서 항들이 뒤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수열로, 수렴열은 항상 코시 열이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을 수 있으며, 실수의 완비성 정의 및 무한급수 수렴성 판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개념이다. - 위상수학 - 뫼비우스의 띠
"상상력" 한가 아닌 답변을 바랍니다. - 위상수학 - 공간
공간은 물체의 위치와 운동을 기술하는 배경으로, 시간과 함께 시공간을 구성하며, 학문 분야에 따라 정의와 관점이 다르지만, 현대 물리학에서는 고차원 공간을 가정하기도 한다.
거리 함수 | |
---|---|
일반 정보 | |
분야 | 수학 |
하위 분야 | 해석학, 기하학, 위상수학 |
정의 | 집합의 두 원소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함수 |
정의 | |
공식 명칭 | 거리 함수 |
다른 명칭 | 메트릭 |
성질 | |
비음성 | d(x, y) ≥ 0 |
식별 불가능성 | d(x, y) = 0 ↔ x = y |
대칭성 | d(x, y) = d(y, x) |
삼각 부등식 | d(x, z) ≤ d(x, y) + d(y, z) |
예시 | |
유클리드 거리 | 평면 또는 공간에서의 두 점 사이의 최단 거리 |
맨해튼 거리 | 각 축 방향 거리의 합 |
민코프스키 거리 | 유클리드 거리와 맨해튼 거리를 일반화한 거리 |
해밍 거리 | 길이가 같은 두 문자열에서 서로 다른 문자의 개수 |
2. 정의
집합 X의 거리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 d : X × X → [0,∞)로 정의된다. 여기서 [0,∞)는 음이 아닌 실수의 집합이다. 이 함수는 '거리 함수' 또는 단순히 '거리'라고 불린다.
거리 함수는 다음의 성질들을 갖는다.
- ''d''(''x'', ''y'') ≥ 0 (음이 아닌 성질)
- ''d''(''x'', ''y'') = 0 if and only if ''x'' = ''y'' (동일성)
- ''d''(''x'', ''y'') = ''d''(''y'', ''x'') (대칭성)
- ''d''(''x'', ''z'') ≤ ''d''(''x'', ''y'') + ''d''(''y'', ''z'') (삼각 부등식)
이 조건들은 거리 개념이 가지고 있는 직관적인 성질을 추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두 점 사이에는 양의 거리가 있으며, 거리에 의해 식별할 수 없다면 같은 점(불가식별자 동일)이다. 또한, 어떤 점 ''x''에서 다른 점 ''y''로 가는 거리와, 반대로 ''y''에서 ''x''까지 가는 거리는 같다. 유클리드는 "두 점 사이의 최단 거리는 직선이다"라고 말했는데, 이는 유클리드 기하학에서의 삼각 부등식을 나타낸 것이다.
군 ''G''의 거리 ''d''가 모든 ''x'', ''y'', ''z''에 대해 를 만족하면 "왼쪽 불변"이라고 한다. (반대 개념은 "오른쪽 불변" )
가환 덧셈군 의 거리 는 모든 에 대해 인 경우 또는 모든 에 대해 인 경우에 평행변환불변이라고 한다. 모든 벡터 공간은 가환 덧셈군이며, 실수벡터공간 또는 복소벡터공간에서 노름에 의해 유도되는 거리는 항상 평행변환불변이다.
실수벡터공간 또는 복소벡터공간에서 거리 는 평행변환불변이고 "절대동차"인 경우에만 노름으로 유도된다. 여기서 절대동차라는 것은 모든 스칼라 ''s''와 모든 에 대해 임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함수 는 에 대한 노름을 정의하고 에 의해 유도된 노름 거리는 와 같다.
2. 1. 거리 함수의 공리
집합 X의 거리 함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는 음이 아닌 실수의 집합이며, 모든 에 대해 다음 세 가지 공리가 충족된다.
번호 | 공리 | 설명 |
---|---|---|
1 | 식별불가능자 동일성 원리 | |
2 | 대칭성 | |
3 | 삼각 부등식 |
이 공리들은 거리가 음수가 아니라는 "분리 조건"을 함의한다. 즉, 모든 에 대해 이다.
이는 1번, 3번, 2번 공리를 순서대로 적용하면 이므로, 이기 때문이다.
함숫값이 음이 아니라는 조건과 1번 공리는 양의 정부호 함수를 정의한다.
두 점 사이에 다른 점이 들어갈 수 없도록 삼각 부등식보다 강한 조건을 만족하는 거리를 초거리라고 한다.
: 모든 에 대해 이다.
2. 2. 초거리
삼각 부등식보다 강한 조건인 모든 x, y, z ∈ X에 대해 를 만족하는 거리를 초거리라고 한다.2. 3. 길이 거리
X영어의 임의의 두 점 x영어와 y영어에 대해, 두 점을 이으면서 그 길이가 d(x, y)영어에 임의로 가까운 곡선이 존재하는 경우, d영어를 X영어의 길이 거리라고 부른다.[1]3. 거리의 성질
집합 의 거리는 다음과 같은 함수("거리 함수" 또는 단순히 "거리"라고 부름)로 표현한다.
:
여기서 는 음이 아닌 실수의 집합이며 모든 에 대해 다음 3가지 공리가 충족된다.
정의 | 설명 | ||
---|---|---|---|
1. | 식별불가능자 동일성 원리 | ||
2. | 대칭성 | ||
3. | 삼각 부등식 |
이 공리들은 거리가 음수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즉, 모든 에 대해 이다. 왜냐하면 위의 1번, 3번, 2번 공리를 순서대로 적용하면 이고, 따라서 이기 때문이다. 함수값이 음이 아니라는 조건과 1번 공리는 양의 정부호 함수를 정의한다.
두 점 사이에 다른 점이 들어갈 수 없도록 다음과 같이 삼각 부등식보다 강한 조건을 만족하는 거리를 초거리라고 한다.
: 모든 에 대해 .
의 임의의 두 점 와 에 대해, 두 점을 이으면서 그 길이가 에 임의로 가까운 곡선이 존재하는 경우, 를 의 길이 거리라고 부른다.
이러한 조건들은 거리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를 반영한다. 예를 들어 구별되는 점 사이의 거리는 양수이고, ''x''에서 ''y''까지의 거리는 ''y''에서 ''x''까지의 거리와 같다. 삼각 부등식은 ''x''에서 ''y''를 거쳐 ''z''까지 가는 거리가 적어도 ''x''에서 ''z''까지 직접 가는 거리만큼 길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에우클레이데스는 《원론》에서 두 점 사이의 최단 거리는 직선이라고 했는데, 이는 유클리드 기하학에 대한 삼각 부등식이다.
3. 1. 평행이동 불변성
군 G의 거리 d가 모든 x, y, z ∈ G에 대해 d(zx, zy) = d(x, y)를 만족하면 "왼쪽 불변"이라고 한다. (곱셈 표기법 사용) 가환 덧셈군 X의 거리 D는 모든 x, y, z ∈ X에 대해 D(x, y) = D(x + z, y + z)인 경우 평행이동 불변이라고 한다. 모든 벡터 공간은 가환 덧셈군이며, 실수 또는 복소수 벡터 공간에서 노름에 의해 유도되는 거리는 항상 평행이동 불변이다.3. 2. 절대동차성
실벡터공간 또는 복소벡터공간에서 거리 가 평행변환불변이고 "절대동차"인 경우에만 노름으로 유도된다. 여기서 절대동차라는 것은 모든 스칼라 ''s''와 모든 에 대해 임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함수 는 에 대한 노름을 정의하고 에 의해 유도된 노름 거리는 와 같다.4. 예시
이산 거리, 유클리드 거리, 맨해튼 거리, 노름에서 유도되는 거리, 그래프 거리, 해밍 거리, 레벤시테인 거리, 리만 거리 등 다양한 거리 함수가 존재한다.
:
:이 거리는 동일한 위상을 정의한다. (여기서 는 합이 수렴하는 임의의 양항급수 로 바꿔도 된다.)
- 핀슬러 거리는 접다발 위에 정의된 음이 아닌 연속함수 F : TM → [0,+∞)를 이용해 거리를 정의한다.
- 그래프 편집 거리는 그래프 간의 거리를, 바세르시테인 거리는 두 확률 분포 사이의 거리를 정의한다.
다음은 중복집합에 대한 거리 함수의 예시이다.
4. 1. 이산 거리
이산 거리는 ''x'' = ''y''이면 ''d''(''x'',''y'') = 0이고, 그렇지 않으면 ''d''(''x'',''y'') = 1이 된다.4. 2. 유클리드 거리
유클리드 거리는 평행 이동과 회전 변환에 대해 불변이다.[1]4. 3. 맨해튼 거리
맨해튼 거리는 평행변환에 대해 불변이다.[1] 이 성질은 한국의 도시 계획, 특히 바둑판식 도로망을 가진 지역에서 이동 거리를 계산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4. 4. 노름 유도 거리
노름에서 유도되는 모든 거리는 평행이동에 대해 변하지 않는다.[3][7]4. 5. 그래프 거리
그래프 거리는 특정한 그래프 위의 거리이다. 소셜 네트워크 분석 등에서 활용될 수 있다.4. 6. 문자열 거리
해밍 거리는 부호 이론에서, 레벤시테인 거리는 문자열 편집 거리에서 활용된다.4. 7. 리만 거리
리만 거리는 매끄러운 다양체에 활용하기에 적합한 거리 함수이다. 이러한 다양체에 대하여, 각 점 ''p''에서의 접공간 Tp에서 양의 정부호 대칭 쌍선형 형식 L: Tp × Tp → ℝ를 매끄러운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형식은 다양체에서 접선 벡터 '''v'''의 길이를 로 결정한다. 그런 다음에 다양체의 모든 미분 가능한 경로에 대해, 그 길이를 각 점에서 경로에 대한 접선 벡터의 길이의 적분으로 정의하는데, 이때 적분은 경로 매개변수에 대해서 한다. 마지막으로 다양체의 두 점 ''x'', ''y'' 사이의 거리를 ''x''와 ''y''를 잇는 모든 경로의 길이의 하한으로 정의한다. 리만 거리가 주어진 매끄러운 다양체를 리만 다양체라고 부른다.푸비니-슈투디 계량은 복소수 사영 공간에 활용되는데, 리만 거리의 한 예이다.
4. 8. 기타
:
:이 거리는 동일한 위상을 정의한다. 여기서 는 합이 수렴하는 임의의 양항급수 로 바꿔도 된다.
- 핀슬러 거리: 접다발 위에 정의된 음이 아닌 연속함수 F : TM → [0,+∞)를 이용해 거리를 정의한다.
- 그래프 관련 거리:
- 그래프 거리: 특정한 그래프 위의 거리이다.
- 그래프 편집 거리: 그래프 간의 거리 함수를 정의한다.
- 확률 분포 사이의 거리:
- 바세르시테인 거리: 두 확률 분포 사이의 거리 함수이다.
- 해밍 거리: 부호 이론에서 활용된다.
- 리만 거리: 매끄러운 다양체에 활용하기에 적합한 거리 함수이다. 리만 다양체라고 부른다.
- 푸비니-슈투디 계량: 복소수 사영 공간에 활용되는데 리만 거리의 한 예이다.
- 레벤시테인 거리: 문자열 편집 거리의 일종으로, 문자열에 대한 거리를 정의한다.
5. 노름 유도 거리
실벡터공간 또는 복소벡터공간에서 거리 가 평행변환불변이고 절대동차인 경우에만 노름으로 유도된다. 여기서 절대동차라는 것은 모든 스칼라 ''s''와 모든 에 대해 임을 의미한다. 이 경우 함수 는 에 대한 노름을 정의하고, 에 의해 유도된 노름 거리는 와 같다.[1] 벡터 공간의 노름은 절대동차이고 평행변환불변인 거리와 동치이다. 즉, 모든 노름은 거리 함수를 결정하고, 어떤 거리 함수는 노름을 결정한다.[1]
5. 1. 노름으로부터 거리 유도
노름 공간 (X, ||·||)에서 거리 d는 d(x, y) := ||x - y||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d를 노름 (||·||)에 의해 유도된 거리 또는 노름 유도 거리라고 부른다.[1]반대로, 벡터 공간 X의 거리 d가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고 가정하자.
- 평행변환불변: d(x, y) = d(x + a, y + a)
- 절대동차성: d(αx, αy) = |α| d(x, y)
그러면 X의 노름을 ||x|| := d(x, 0)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노름에 의해 유도되는 거리는 원래 주어진 거리 d이다.[1]
마찬가지로, 반노름은 유사거리를 유도하고, 절대동차이고 평행변환불변인 유사거리는 반노름을 유도한다.[1]
5. 2. 거리로부터 노름 유도
벡터 공간 X의 거리 d가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고 가정하자.- 평행이동 불변: 모든 x, y, a ∈ X에 대해, d(x, y) = d(x + a, y + a)
- 절대동차성: 모든 x, y ∈ X와 모든 스칼라 α에 대해, d(αx, αy) = |α|d(x, y)
그러면 X의 노름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 ||x|| := d(x, 0)
이러한 노름에 의해 유도되는 거리는 원래 주어진 거리 d이다.
6. 일반화된 거리
거리 함수의 공리를 완화하여 얻어지는 다양한 거리 개념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개념들은 서로 결합될 수도 있으며, 용어는 아직 완전히 표준화되지 않았다. 특히 함수해석학에서 유사거리는 벡터 공간의 반노름에서 오는 경우가 많아 "반거리"라고도 불리지만, 이는 위상수학의 용어와 충돌한다.
{| class="wikitable"
|-
! 용어
! 설명
|-
| 유사거리(pseudometric)
| 식별불가능자 동일성 공리 대신 모든 ''x''에 대해 ''d''(''x'',''x'')=0라는 조건을 만족하고, 거리에 대한 나머지 공리를 만족하는 함수.
|-
| 준거리(quasimetric)
| 대칭성을 제외하고 거리에 대한 모든 공리를 만족하는 함수.[16][17]
|-
| 메타거리(metametric)
| 동일한 점들 사이의 거리가 0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모든 거리 공리를 만족하는 거리 개념.
|-
| 반거리(semimetric)
| 삼각 부등식을 만족할 필요는 없지만, 다음 세 공리를 만족하는 함수 ''d'' : ''X'' × ''X'' → '''R'''.
d(x, y) ≥ 0 | d(x, y) = 0임은 x = y와 동치 | d(x, y) = d(y, x) |
|-
| 전거리(premetric)
| 다음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
d(x, y) ≥ 0 | d(x, x) = 0 |
|-
| 유사준거리(pseudoquasimetric 또는 hemimetric)
| 무차별성 공리와 대칭성 공리를 모두 완화하여, 단순히 삼각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준거리.[27][28]
|-
| 부분거리(partial metric 또는 p 거리)
| 영역 이론에서 도입된 개념으로, 거리 공리에서 "동일점의 거리는 0이다"라는 공리를 제외한 것.[11][12]
|-
| 우카시크-카르모프스키 거리
| 확률 변수 또는 무작위 벡터 사이의 거리를 정의하는 함수.
|}
6. 1. 확장 거리
일부 저자들은 거리 함수 ''d''가 ∞ 값을 갖는 것을 허용한다. 즉 거리는 음이 아닌 확장된 실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함수를 "확장 거리" 또는 "∞ 거리"라고 부른다.[1] 모든 확장 거리는 똑같은 위상을 유도하는 유한 거리로 변환할 수 있는데, 0을 0으로 보내는 준가법 유계 증가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 ''d''′(''x'', ''y'') = ''d''(''x'', ''y'') / (1 + ''d''(''x'', ''y'')) 또는 ''d''′′(''x'', ''y'') = min(1, ''d''(''x'', ''y''))와 같이 변환할 수 있다.[2]거리가
6. 2. 유사거리
''X''의 '''유사거리'''(pseudometric)는 식별불가능자 동일성 공리 대신에 모든 ''x''에 대해 ''d''(''x'',''x'')=0라는 조건을 만족하고, 거리에 대한 나머지 공리를 만족하는 함수이다. 유사거리의 공리는 다음과 같다.# ''d''(''x'', ''y'') ≥ 0
# ''d''(''x'', ''x'') = 0 (그러나 어떤 x ≠ y의 경우 d(x, y) = 0일 수도 있다.)
# ''d''(''x'', ''y'') = ''d''(''y'', ''x'')
# ''d''(''x'', ''z'') ≤ ''d''(''x'', ''y'') + ''d''(''y'', ''z'').
어떤 맥락에서 유사거리는 반노름과의 관계 때문에 "반거리"(semimetric)라고도 불린다.
6. 3. 준거리
준거리(quasimetric)는 대칭성을 제외하고 거리에 대한 모든 공리를 만족하는 함수이다.[16][17] 이 개념의 이름이 완전히 표준화된 것은 아니다.[18]준거리는 다음 성질을 만족한다.
# ''d''(''x'', ''y'') ≥ 0 (음이 아님)
# ''d''(''x'', ''y'') = 0임은 ''x'' = ''y''와 동치 (양의 정부호성)
# ''d''(''x'', ''z'') ≤ ''d''(''x'', ''y'') + ''d''(''y'', ''z'') (삼각 부등식)
준거리는 실제 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촌의 집합 ''X''가 주어지면 언덕을 내려가는 것보다 언덕을 올라가는 것이 더 오래 걸리기 때문에 ''X''의 원소들 사이의 걷는 시간은 준거리를 이룬다. 또 다른 예시는 일방통행 도로가 있는 맨해튼 거리로서 여기서 ''A'' 지점에서 ''B'' 지점까지의 최단 경로는 ''B''에서 ''A''까지의 최단 경로와 다를 수 있다.
실수 집합 위의 준거리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d''(''x'', ''y'') = ''x'' − ''y'' (''x'' ≥ ''y''일 경우)
:''d''(''x'', ''y'') = 1 (그 밖의 경우). 1은 무한대 또는 1+10(y-x)|1+10의 (y-x)승영어으로 바꿀 수 있다.
이러한 준거리 공간에 대응하는 위상공간은 소젠프리 선이다. 이 공간은 금속 막대기를 자르는 과정을 묘사한다. 금속 막대기의 크기를 줄이는 것은 쉽지만 그것을 늘리는 것은 어렵거나 불가능하다.
''d''가 ''X''의 준거리이면 ''X''의 거리 ''d′''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d′''(''x'', ''y'') =
6. 4. 메타거리
메타거리는 동일한 점들 사이의 거리가 0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모든 거리 공리를 만족하는 거리 개념이다. 준거리에 대한 공리는 다음과 같다.# ''d''(''x'', ''y'') ≥ 0
# ''d''(''x'', ''y'') = 0이면 ''x'' = ''y''이다. (그러나 역은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 ''d''(''x'', ''y'') = ''d''(''y'', ''x'')
# ''d''(''x'', ''z'') ≤ ''d''(''x'', ''y'') + ''d''(''y'', ''z'')
메타거리는 그로모프 쌍곡 거리 공간과 그 경계에 대한 연구에 나타난다. 그러한 공간에서 "시각적 메타거리"(visual metametric)는 경계에 있는 점 ''x''에 대해 ''d''(''x'', ''x'') = 0을 만족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d''(''x'', ''x'')는 대략 ''x''에서 경계까지의 거리이다. 메타거리는 유시 비시슬래(Jussi Visisllä)가 처음 정의하였다.[19]
6. 5. 반거리
''X''의 '''반거리'''(semimetric)는 함수 ''d'' : ''X'' × ''X'' → '''R'''로서 다음 세 공리를 만족하지만 삼각 부등식을 만족할 필요는 없다.# ''d''(''x'', ''y'') ≥ 0
# ''d''(''x'', ''y'') = 0임은 ''x'' = ''y''와 동치
# ''d''(''x'', ''y'') = ''d''(''y'', ''x'')
일부 저자들은 다음과 같은 약한 형태의 삼각 부등식을 추가한다.
:''d''(''x'', ''z'') ≤ ρ (''d''(''x'', ''y'') + ''d''(''y'', ''z'')) (ρ-완화 삼각 부등식)
:''d''(''x'', ''z'') ≤ ρ max(''d''(''x'', ''y''), ''d''(''y'', ''z'')) (ρ-하위 거리 부등식)
ρ-하위 거리 부등식은 (첫 번째 공리를 가정할 때) ρ-완화 삼각 부등식을 함의하며, ρ-완화 삼각 부등식은 2ρ-하위 거리 부등식을 함의한다. 서로 동치인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반거리는 때때로 "유사거리"(quasimetric)[20], "근거리"(nearmetric)[21] 또는 "하위 거리"(inframetric)라고 불린다.[22]
ρ-하위 거리 부등식은 인터넷에서 왕복 지연 시간을 모델링하기 위해 도입되었다.[22] 삼각 부등식은 2-하위 거리 부등식을 함의하며 초거리 부등식은 정확히 1-하위 거리 부등식과 같다.
6. 6. 전거리
전거리(premetric)는 다음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이다.1. ''d''(''x'', ''y'') ≥ 0
2. ''d''(''x'', ''x'') = 0
이는 표준 용어가 아니며, 유사반거리[23] 또는 유사거리[24]와 같은 다른 개념을 가리키는 용어로도 사용된다. 러시아어 서적의 번역본에서는 "prametric"이라는 표기도 등장한다.[25] 경우에 따라서는 거리(distance)라고 부르기도 한다.[26]
모든 전거리는 다음과 같은 위상을 생성한다. 양의 실수 ''r''에 대해 점 ''p''를 중심으로 한 ''r''-공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Br''(''p'') = { ''x'' | ''d''(''x'', ''p'') < r }
집합에 포함된 각 점 ''p''에 대해 ''p''를 중심으로 한 ''r''-공이 그 집합에 속하면 이 집합을 열린 집합이라고 한다. 모든 전거리는 이렇게 위상 공간, 나아가 점렬 공간을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r''-공 자체는 이 위상에서 열린 집합일 필요가 없다. 거리 함수의 경우와 같이, 두 집합 ''A''와 ''B'' 사이의 전거리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d''(''A'', ''B'') = inf''x''∊''A'', ''y''∊''B'' ''d''(''x'', ''y'')
이것은 전거리 공간의 멱집합에 대한 전거리를 정의한다. 유사반거리 공간에서 출발하면 유사반거리, 즉 대칭적인 전거리가 얻어진다. 임의의 전거리는 다음과 같은 전폐포 작용소(preclosure operator) ''cl''을 낳는다.
:''cl''(''A'') = { ''x'' | ''d''(''x'', ''A'') = 0 }
6. 7. 유사준거리
'''유사준거리'''(pseudoquasimetric 또는 hemimetric)는 무차별성 공리와 대칭성 공리를 모두 완화하여, 단순히 삼각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준거리이다.[27][28] 유사준거리 공간의 경우 열린 ''r''-공은 열린 집합의 기저를 이룬다. 유사준거리 공간의 매우 간단한 예로는 ''d''(0,1) = 1과 ''d''(1,0) = 0으로 주어진 전거리가 있는 집합 {0,1}이 있다. 이에 대응하는 위상 공간은 시에르핀스키 공간이다.확장된 유사준거리를 갖춘 집합은 윌리엄 로베어가 "일반화된 거리 공간"이라는 이름으로 연구한 바 있다.[27][28] 범주론의 관점에서 보면, 비확장사상(nonexpansive map)이 주어진 확장된 유사거리 공간 및 확장된 유사준거리 공간들은 거리 공간 범주들 중 가장 좋은 성질을 가지는 것들이다. 이러한 범주 안에서는 임의 개수의 곱과 쌍대곱을 취하고 몫대상을 정의할 수 있다. '확장'이라는 조건을 빼면 유한 곱과 유한 쌍대곱만 취할 수 있다. '유사'라는 조건을 빼면 몫대상을 정의할 수 없다. 접근 공간(approach space)은 이런 좋은 범주론적 특성을 유지하는 거리 공간의 일반화이다.
6. 8. 부분거리
'''부분 거리'''(''partial metric'') 또는 '''p 거리'''(''pmetric'')는 영역 이론에서 S. G. 매튜스가 도입한 개념이다.[11][12] p 거리는 거리 공리에서 "동일점의 거리는 0이다"라는 공리를 제외한 것으로, 각 점은 0이 아닌 크기(혹은 가중치)를 가질 수 있다. 집합 위의 p 거리는 음이 아닌 실수 값 함수 이며, 다음 공리를 만족한다.# 라면
#
#
#
삼각 부등식의 마지막 항은 에서 의 크기 가 중복 측정되는 것을 보정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p 거리 공간 에는, 열린 공
:
을 근방 기저로 하여 자연스럽게 위상을 정할 수 있다. 이 유도 위상은 T0 공간이지만, T1 분리 공리는 만족하지 않는 T0 공간이다. 즉, 는 대칭(R0)이 아닌데, 이는 열린 공 정의에서 와 가 동치가 아니기 때문이다.
6. 9. 우카시크-카르모프스키 거리
우카시크-카르모프스키 거리는 확률 변수 또는 무작위 벡터 사이의 거리를 정의하는 함수이다. 이 함수의 공리는 다음과 같다.- ''d''(''x'', ''y'') ≥ 0
- ''d''(''x'', ''y'') = ''d''(''y'', ''x'')
- ''d''(''x'', ''z'') ≤ ''d''(''x'', ''y'') + ''d''(''y'', ''z'').
이 거리 함수가 식별불가능자 동일성 원리를 만족할 필요충분조건은 두 인수 ''x''와 ''y'' 모두의 확률밀도함수가 디랙 델타 함수인 것이다.
7. 거리의 동치
주어진 집합 ''X''와 그 위의 거리 함수 ''d''1, ''d''2에 대해, 거리 공간 사이의 항등 사상
:id: (''X'',''d''1) → (''X'',''d''2)
가 위상동형사상이면, ''d''1과 ''d''2가 '''위상적으로 동치'''라고 한다. 추가로, id가 균등동형사상이면 두 거리 함수가 '''균등 동치'''(uniformly equivalent영어)라고 한다. (어떤 함수가 균등동형사상이라는 것은 균등연속이면서 그 역함수도 균등연속이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d''가 거리이면 min(''d'', 1) 및 ''d''/(1 + ''d'')는 ''d''와 동치인 거리이다.
8. 일반화된 거리의 중요한 예시
미분기하학의 계량 텐서는 "무한소" 크기의 거리 함수의 제곱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는 적절한 미분가능성을 가진 다양체의 접공간 위에서 정의된 비퇴화 대칭 쌍선형 형식으로 정의된다. 계량 텐서는 이 문서에서 정의한 거리 함수의 예는 아니지만, 다양체 위의 경로를 따라 계량 텐서의 제곱근을 적분하면 유사반거리 함수가 나온다. 계량 텐서의 내적이 양의 정부호성을 만족하는 경우 이는 리만 다양체가 되며, 경로 적분은 거리 함수를 낳는다.[29][30]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는 준 리만 다양체의 구조를 기술하는 계량 텐서 개념이 등장한다. 비록 "거리"라는 용어가 쓰이긴 하지만, 이러한 다양체의 접공간에는 영벡터가 아니면서 노름이 0인 벡터가 있고 노름의 제곱이 음수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근본적인 개념이 다르다. 이처럼 식별불가능자 동일성 원리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도 "거리"(metric)라는 용어를 쓰는 관습이 수학 문헌에도 일부 확산되었다.[29][30]
9. 중복집합에서의 거리
두 원소 사이의 거리 개념을 일반화하여 공집합이 아닌 유한 중복집합의 거리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중복집합은 원소가 2번 이상 발생할 수 있도록 집합의 개념을 일반화한 것이다. 가 중복집합 와 의 요소로 구성된 중복집합일 때, 라고 정의한다. 예를 들어 에 한 번, 에 한 번 나타나는 원소는 에 두 번 나타난다. 공집합이 아닌 유한 중복집합들의 집합 위의 함수 ''d''가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d''를 거리 함수라 한다.[14]
# 의 모든 원소가 동일하면 , 그렇지 않으면 (양의 정부호성)
# 는 의 모든 순열에 대해 불변이다. (대칭성)
# (삼각 부등식)
조건 1, 2에서 중복집합 가 두 원소 집합이고 조건 3에서 중복집합 가 각각 한 원소 집합인 경우 보통의 거리 함수에 대한 조건이 된다. 예를 들어 가 2개로 구성된 중복집합이면 조건 1에 따라 이 된다.
간단한 예시는 정수의 모든 공집합이 아닌 유한 중복집합 에 대한 거리인 이다. 더 복잡한 예시는 중복집합의 정보 거리(information distance)[14]와 다중 집합의 정규화된 압축 거리(normalized compression distance)이다.[15]
참조
[1]
문서
E.g. Steen & Seebach (1995).
[2]
Citation
Functional Analysis and Control Theory: Linear Systems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Springer
[3]
Citation
The Geodesic Problem in Quasimetric Spaces
[4]
Citation
The geodesic problem in nearmetric spaces
[5]
간행물
2008 IEEE INFOCOM - The 27th Conference on Computer Communications
http://citeseerx.ist[...]
2009-04-17
[6]
Citation
Metric characterization of random variables and random processes
[7]
citation
Lectures and exercises on functional analysis
[8]
서적
An introduction to geometrical physics
[9]
citation
Metric spaces, generalised logic, and closed categories
[10]
저널
Localic completion of generalized metric spaces I
http://www.tac.mta.c[...]
[11]
citation
Partial Metric Topology
[12]
citation
Partial metric spaces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University of Warwick
[13]
서적
Point Sets
[14]
저널
Information Distance in Multiples
[15]
저널
Normalized Compression Distance of Multisets with Applications
[16]
문서
E.g. Steen & Seebach (1995).
[17]
콘퍼런스
Quasi uniformities: reconciling domains with metric spaces
[18]
서적
Functional Analysis and Control Theory: Linear Systems
https://archive.org/[...]
[19]
저널
Gromov hyperbolic spaces
http://www.helsinki.[...]
[20]
저널
The Geodesic Problem in Quasimetric Spaces
[21]
저널
The geodesic problem in nearmetric spaces
[22]
서적
2008 IEEE INFOCOM - The 27th Conference on Computer Communications
[23]
서적
Metric characterization of random variables and random processes
https://books.google[...]
[24]
서적
Lectures and exercises on functional analysis
[25]
서적
An introduction to geometrical physics
[26]
서적
Geometry of Cuts and Metrics
https://archive.org/[...]
[27]
서적
Metric spaces, generalised logic, and closed categories
http://tac.mta.ca/ta[...]
[28]
저널
Localic completion of generalized metric spaces I
http://www.tac.mta.c[...]
[29]
문서
S. Parrott (1987) Relativistic Electrodynamics and Differential Geometry, page 4, Springer-Verlag
[30]
문서
Thomas E. Cecil (1992) Lie Sphere Geometry, page 9, Springer-Verla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