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회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래회충은 해양 포유류를 최종 숙주로 삼고, 갑각류, 어류, 오징어 등을 거쳐 생활사를 진행하는 기생충이다. 사람에게는 덜 익힌 해산물을 통해 감염되어 위장관계 질환인 아니사키스증을 유발하며,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기도 한다. 아니사키스증은 위내시경으로 유충을 제거하여 치료하며, 예방을 위해서는 어류를 충분히 가열하거나 냉동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쌍선충강 - 회충
회충은 사람 소장에 기생하는 대형 선충으로, 암수딴몸이며 분변-구강 경로를 통해 감염되어 복통, 설사 등을 유발하고, 약물 치료와 위생 개선으로 관리된다. - 쌍선충강 - 원선충아목
원선충아목은 척추동물에 기생하며 소화기, 호흡기, 혈관계 감염을 일으키는 다양한 상과와 과를 포함하는 선형동물 분류군이다. - 기생물 - 스피노코르도데스 텔리니
죄송합니다. 제공된 페이지의 개요가 비어 있어,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한 문장 요약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 기생물 - 샤가스병
샤가스병은 Trypanosoma cruzi 원생동물 기생충에 의해 발생하며 빈대류를 통해 전파되고, 감염 초기에는 무증상일 수 있지만 만성으로 진행되면 심장이나 소화기 계통에 심각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주로 중남미 지역에서 발생하고 혈액 검사로 진단하며 벤즈니다졸이나 니푸르티목스로 치료한다.
| 고래회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아니사키스 (Anisakis) |
| 학명 명명자 | 뒤자르댕, 1845년 |
| 한국어 이름 | イルカウミカイチュウ (이루카우미카이추우) |
| 분류 | |
| 계 | 동물계 (Animalia) |
| 문 | 선형동물문 (Nematoda) |
| 강 | 쌍선충강 (Secernentea) |
| 목 | 회충목 (Ascaridida) |
| 상과 | 회충상과 (Ascaridoidea) |
| 과 | 아니사키스과 (Anisakidae) |
| 아과 | 아니사키스아과 (Anisakinae) |
| 하위 분류 | |
| 종 | 아니사키스 베를란디 (A. berlandi) 아니사키스 브레비스피쿨라타 (A. brevispiculata) 아니사키스 나스케티 (A. nascettii) 아니사키스 오세아니카 (A. oceanica) 아니사키스 파지에 (A. paggiae) 아니사키스 페그레피 (A. pegreffii) 아니사키스 피세테리스 (A. physeteris) 아니사키스 슈파코비 (A. schupakovi) 아니사키스 시밀리스 (A. similis) 아니사키스 심플렉스 (A. simplex) 아니사키스 티피카 (A. typica) 아니사키스 지피다룸 (A. ziphidarum) |
2. 어원
펠릭스 뒤자르댕은 칼 린네의 1758년 속 ''Ascaris''의 아속으로 ''Anisakis''속을 정의했다.[2] 뒤자르댕은 어원을 명시하지 않았지만, 수컷이 불균등한 스피큘을 가진 종("''mâles ayant des spicules inégaux''")을 아속에 포함시킨다고 언급했다. 따라서 ''Anisakis''라는 이름은 ''anis-''(다른, 다름을 뜻하는 그리스어 접두사)와 ''akis''(가시 또는 스피큘을 뜻하는 그리스어)를 기반으로 한다.
고래회충은 복잡한 생활사를 거치며 여러 숙주를 거친다. 충란은 바닷물에서 부화하여 제2기 유충이 되고, 이 유충은 제1중간숙주인 크릴과 같은 해산 새우류에 먹힌다. 제2기 유충은 해산 새우류의 체내에서 제3기 유충으로 성장한다. 감염된 갑각류는 제2중간숙주인 물고기나 오징어에게 먹히고, 유충은 이들의 내장을 뚫고 나가 내장 기관 표면에 붙어 있거나 근육, 피부 밑으로 이동한다.
3. 생활사
감염된 제2중간숙주가 고래, 물개, 돌고래와 같은 해양 포유류에게 먹히면 생활사가 완료된다. 유충은 이들의 위에서 성충으로 자라 알을 낳고, 알은 종숙주의 변과 함께 바닷물로 배출된다. 사람의 위장은 해양 포유류의 위장과 유사하여, 덜 익힌 물고기를 먹으면 고래회충에 감염될 수 있다.
고래회충 유충은 연어, 정어리와 같은 바다 및 소하성 어류, 오징어, 갑오징어 등에서 흔히 발견된다. 민물 생선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데, 이는 생활사에 필요한 중간숙주인 해산 새우류가 없기 때문이다. 북해 남부와 같이 고래목 동물이 드문 곳에서도 잘 발견되지 않는다.[79]
남반구에서는 드물게 바닷새, 상어, 바다뱀 등에서도 고래회충 유충이 보고된다.[28] 주요 최종 숙주는 돌고래, 고래, 바다표범 등의 해양 포유류이며,[33] 성충은 이들의 장관에 서식한다. 알은 분변과 함께 바다로 배출되어 부화하고, 크릴새우 등의 갑각류에 기생하여 제3기 유충까지 자란다. 먹이 사슬 상위의 어류나 오징어를 중간 숙주로 삼아 성장한다. 중간 숙주가 최종 숙주에게 먹히면 소화관에서 성충이 된다.
사람의 체내에서는 성충이 될 수 없고,[34] 중간 숙주도 아니므로 며칠 내에 죽거나 배설된다.
3. 1. 생식
성적 생식은 유충이 최종 숙주에 도달하여 마지막 탈피를 완료한 후에 발생하며, 이때 생식 기관이 발달한다.[3] 암컷은 종과 성숙 시 크기에 따라 최대 260만 개의 알을 낳을 수 있다.[4]
4. 형태
고래회충은 선형동물의 전형적인 형태를 가진다. 가늘고 긴 원통 모양이며, 단면은 둥글고 체절은 없으며 원체강을 가지고 있다. 입은 앞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음식을 먹거나 감각을 받아들이는 데 사용하는 돌기가 이를 둘러싸고 있다. 항문은 끝부분보다 약간 앞쪽에 위치한다. 편평상피 세포는 큐티클을 분비하여 숙주의 위장에서 분비하는 각종 소화액으로부터 충체를 보호한다.
고래회충의 생활사는 여러 숙주를 거치는데, 숙주와 생활환 단계에 따라 형태가 다르다. 물고기를 감염시키는 단계에서는 특징적인 용수철 모양을 하고 있으며, 펼쳤을 때 약 2cm이다. 종숙주에서는 포유류의 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더 길고 두꺼운 형태를 가진다.
5. 인체에 미치는 영향
고래회충은 인체에 기생하거나, 분비 물질로 인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켜 건강에 위해를 끼친다.[66]
조리되지 않은 물고기를 섭취하면 고래회충이 위장에 기생할 수 있다. 고래회충과 유사한 물개회충(''Pseudoterranova'' spp.) 등은 어류를 감염시킬 때 여러 물질을 주변 조직으로 방출하는데, 충체가 생선 살코기와 함께 통째로 삼켜지기도 한다. 기생충은 장벽을 뚫고 들어가려 하지만, 관통할 수 없어 갇혀 죽는다. 이때 면역 반응으로 면역 세포가 벌레를 둘러싸 덩어리 구조를 형성하여 소화 기관을 막아 심한 복통, 영양실조, 구토를 유발하며, 때때로 유충이 역류하기도 한다. 유충이 소장이나 대장으로 지나가면 감염 후 1~2주 후에 심한 호산구성 육아종 반응이 발생하여 크론병과 유사한 증상을 유발할 수도 있다.[12][13]
기생 부위에 따라 위 아니사키스증, 장 아니사키스증, 장관 외 아니사키스증으로 나뉜다.
- 위 아니사키스증: 식후 수 시간 이내에 격렬한 복통과 구토가 발생한다. 토사물이 위액뿐이고 설사가 없는 것이 일반적인 식중독과 다르다.
- 장 아니사키스증: 장중첩증을 일으킬 수 있다.
- 장관 외 아니사키스증: 췌장 아니사키스증이나, 기생충성 육아종을 유발한다.
고래회충은 두드러기나 과민성 반응과 같은 급성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생선 가공업 종사자들은 천식, 결막염, 접촉피부염 등의 직업성 알레르기를 겪기도 한다.[75] 고래회충 항원에 대한 감작과 알레르기는 피부창문검사와 고래회충 항원에 대한 항체 검사로 확인한다. 과민증이 있는 사람은 감염된 생선을 먹으면 며칠 안에 IgE 농도가 급격히 상승한다.[72]
5. 1. 고래회충증(Anisakiasis)
고래회충증은 사람이 해산 포유동물에 기생하는 회충류의 유충을 가진 물고기를 날것으로 섭취할 경우 발생하는 위장관계 질환이다. 주로 *Anisakis simplex* (고래회충), *Anisakis physeteris* (향유고래회충), *Pseudoterranova decipiens* (물개회충) 유충이 인체 감염을 일으킨다.[72] 고래회충속에 의한 인체 감염은 네덜란드의 반 티엘(Van Thiel)이 급성 복통 환자에게서 해양 선형동물이 발견된 것을 보고하면서 처음 알려졌다.[72]고래회충증은 생선을 날것으로 먹거나 덜 익혀 먹는 지역에서 자주 보고된다. 가장 높은 유병률을 보이는 지역은 스칸디나비아(대구의 간), 일본(초밥 또는 사시미), 네덜란드(발효된 청어), 남아메리카의 태평양 연안(세비체) 등이다.[73] 미국에서는 1년에 10건 미만으로 발생한다.[73]
감염된 유충을 섭취하면 1시간 이내에 심한 복통, 메스꺼움, 구토가 나타날 수 있으며, 간혹 유충이 역류하는 경우도 있다. 유충이 장으로 넘어가면 감염 1~2주 후 크론병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심각한 호산구육아종이 발생할 수 있다.[12][13]
진단은 주로 위내시경을 통해 이루어지며, 2cm 크기의 유충을 발견하여 제거한다. 생검 혹은 수술 중 채취한 조직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관찰을 통해서도 진단이 가능하다.
고래회충은 60°C 이상에서 조리하거나 냉동하면 쉽게 예방할 수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날것으로 섭취할 어폐류를 -35°C 이하에서 15시간 동안 급속 냉동하거나, -20°C 이하에서 7일간 일반 냉동할 것을 권장한다.[73] 많은 국가에서 날로 섭취할 생선에 대해 냉동을 요구하고 있다. 네덜란드에서는 청어를 반드시 얼리도록 하여 고래회충 감염이 사실상 사라졌다.[74]

5. 1. 1. 대한민국
생선회 등 날것을 먹는 문화로 인해 대한민국은 고래회충 감염 위험이 높다고 여겨진다. 1999년 식품위생법상 식중독의 원인 물질로 고래회충(아니사키스)이 지정되었고, 2012년부터는 보건소에 신고가 의무화되었다.[38]DNA 분석 결과, 동해와 태평양에서 잡히는 고등어의 고래회충 종이 크게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태평양 쪽에서 많이 발견되는 *simplex* 종(고래회충증 원인 3종 중 하나)은 동해 쪽, 특히 남부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동해에서 많이 발견되는 *pegreffii* 종은 발병 위험이 *simplex* 종의 1/100 미만으로 낮기 때문에, 대한민국에서는 일본보다 고래회충 발생 건수가 적다.[43]
2018년 이후 대한민국에서 고래회충은 식중독 발생 원인 1위를 기록하고 있다. 2021년 식중독 발생 건수는 총 717건이었는데, 이 중 고래회충이 344건으로 약 절반을 차지했다. 2위는 캄필로박터(154건), 3위는 노로바이러스(72건)였다.[31]
5. 2. 알레르기 반응
고래회충 및 유사 종은 어류가 감염되었을 때 여러 물질을 방출하는데, 사람이 이를 섭취하면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66] 두드러기, 과민성 반응 같은 급성 알레르기 반응이 위장관계 증상 없이 발생하기도 하며, 생선 가공업 종사자들은 천식, 결막염, 접촉피부염 등의 직업성 알레르기를 겪기도 한다.[75]고래회충 항원에 대한 감작과 알레르기는 피부창문검사와 고래회충 항원에 대한 항체 검사로 확인한다. 과민증이 있는 사람은 감염된 생선을 먹으면 며칠 안에 IgE 농도가 급격히 상승한다.[72]
오징어, 고등어, 방어 등을 먹었을 때 발진, 두드러기 등 알레르기 증상을 보이지만 어패류 검사에서 양성 반응이 나오지 않는다면, 고래회충 알레르기가 원인일 수 있다.[61] 아니사키스나 그 분비물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증상이 심해지기 쉬우며, 멸치나 크릴새우를 사용한 소스나 요리에도 주의해야 한다.[32]
6. 치료
사람은 고래회충에게 적합한 숙주가 아니므로, 고래회충은 사람 몸 안에서 생존할 수 없어 결국 사망한다. 감염이 대증 치료만으로 해결된 사례가 있다.[76] 하지만 감염이 소장 폐쇄를 일으켜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77] 알벤다졸만으로 치료가 가능했다는 사례도 보고되었다. 장천공이 발생하면 응급 상황이다.[78]
증상 치료만으로 감염이 해결되기도 하지만,[21] 소장 폐쇄로 이어져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22] 알벤다졸 단독 치료(수술 회피)가 성공적이었다는 보고도 있다. 장 천공은 가능한 합병증이다.[23]
두드러기 및 아나필락시스와 같은 급성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어류 섭취와 관련된 알레르기 증상의 빈도는 위장 알레르기 아니사키스증이라는 개념으로 이어졌다.[14]
위 아니사키스증은 상부 소화관 내시경 수술로 유충을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제거하면 증상이 빠르게 사라진다. 주름 사이에 파고 들어가 대처가 어려운 경우, 조영제인 아미도트리조산(가스트로그래핀)[48]이나 멘톨[49]을 살포하여 유충을 장관 내로 돌아가게 하여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장 아니사키스증은 장폐색 등 심각한 증상일 경우 개복 수술[50][51][52]이 시행된다. 수술을 피하고 아미도트리조산 (회충의 충약)을 사용하여 구충을 시도하기도 한다.[53]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54]와 항알레르기제를 투여하면 구충은 되지 않더라도 증상이 호전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55].
7. 예방
아니사키스 중간 숙주를 생식하지 않는 것이 가장 확실한 예방법이다. アニサキス일본어 유충은 해양 어류나 연어, 정어리와 같은 소하성 어류, 오징어, 갑오징어 등에서 흔히 발견된다. 민물 생선에서는 생활사를 완결하는데 필요한 중간숙주인 해산 새우류가 없기 때문에 발견되지 않는다.[79]
70℃ 이상 또는 60℃에서 1분 이상 가열하거나, 장시간 냉동하여 살충할 수 있다.[56] 냉동 온도와 보존 시간에 관한 각국의 규정은 다음과 같다.
| 국가 | 규정 |
|---|---|
| 일본 | -20℃ 이하에서 24시간 이상 (후생노동성 지도) |
| 네덜란드 | 청어에 대해 -20℃ 이하에서 24시간 이상 (1968년 법률로 의무화) |
| 미국 | 생식용 어류에 대해 -35℃ 이하에서 15시간, 또는 -20℃ 이하에서 7일간 (FDA 권고) |
| EU | 생식용 해산어에 대해 -20℃ 이하에서 24시간 이상 (위생 관리 기준에 따른 지시 사항, 시각 검사도 의무화) |
최근에는 자외선이나 블랙 라이트를 사용하여 아니사키스를 발견하는 검사 장치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57][58] 일본에서는 냉동 살충 시 어육의 열화로 인해 상품 가치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전기를 이용한 살충 장치 개발이 시도되기도 했다.[31][56] 재팬 시푸즈는 후쿠오카 대학과 공동으로 개발을 진행했으나 중단되었고, 구마모토 대학과 협력하여 2021년 특허를 출원하고 공장에 도입했다.[31][56]
7. 1. 효과가 없는 예방법
- 잘 씹어 먹기: 고래회충은 꽤 강해서, 보통의 저작으로는 씹어 끊을 수 없다.[59]
- 얇게 썰기: 벌레를 절단하지 못할 위험이 높고, 육안으로 제거하는 것이 권장된다.
- 향신료(생강, 고추냉이, 마늘), 식초: 사람이 먹을 수 있는 농도에서는 살충 효과가 없다.[60]
(변경 사항 없음: 주어진 결과물이 이미 지시사항을 모두 준수하고 있습니다.)
8. 분류
현재 이 속에는 13종이 존재하며, 이 중 12종은 정식으로 기재되었고, 1종은 임시 명칭이 부여되었다. 종 불확정(taxon inquirendum)으로 분류된 3종, nomen dubium으로 분류된 1종이 있다.[29] 17개의 종명은 현재 존재하는 13종의 동의어로 간주된다.[29]
- 아니사키스속
- * ''Anisakis simplex'':밍크고래 등의 고래류
- * ''Anisakis physeteris'':이빨고래 (향유고래 등)
- ''Contracaecum'':고래류, 기각류, 조류 (물새) 등
- ''Hysterothylacium'':어류
- 슈도테라노바속 ''Pseudoterranova'':기각류
- ''Raphidascaris'':어류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돌고래바다회충'''이라는 イルカウミカイチュウ|돌고래바다회충일본어이 있다.
9. 유사 기생충
- 물개회충 Pseudoterranova (Phocanema, Terranova) decipiens영어
- Contracaecum영어 spp.
- Hysterothylacium (Thynnascaris)영어 spp.
- 대구 또는 물범 회충 가짜테라노바속 (Pseudoterranova) (Phocanema, Terranova) decipiens영어
- 콩트라케쿰속 (Contracaecum)영어 spp.
- 히스테로틸라키움속 (티나스카리스) (Hysterothylacium (Thynnascaris))영어 spp.
- Anisakis simplex영어:밍크고래 등 고래류
- Anisakis physeteris영어:이빨고래 (향유고래 등)
- Contracaecum영어:고래류, 기각류, 조류 (물새) 등
- Hysterothylacium영어:어류
- Pseudoterranova영어:기각류
- Raphidascaris영어:어류
10. 기타
아니사키스증에 걸린 환자의 위에서 발견되지 않은 초기 위암이 발견되었고, 거기에 아니사키스가 모여 있었다는 사실이 이마리 아리타 쿄리츠 병원에서 2014년에 보고되었다[62]。 이 보고에 주목한 규슈 대학 등의 연구 그룹은 예쁜꼬마선충을 사용하여 소변을 이용한 암 검진의 판별 실험에 성공했다[63][64]。
참조
[1]
서적
Human Parasitic Diseases Sourcebook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2]
간행물
Histoire naturelle des helminthes ou vers intestinaux
https://archive.org/[...]
1845
[3]
논문
Genera and Species of the Anisakidae Family and Their Geographical Distribution
2020
[4]
논문
Growth, fecundity and sex ratio of adult whaleworm ( Anisakis simplex ; Nematoda, Ascaridoidea, Anisakidae) in three whale species from the North-East Atlantic
2004-04-01
[5]
논문
Molecular systematics, phylogeny and ecology of anisakid nematodes of the genus ''Anisakis'' Dujardin, 1845: an update
2006-06-15
[6]
논문
Probable recognition of human anisakiasis in Brazil
[7]
웹사이트
About Consuming Raw Fish
http://www.13.waisay[...]
2009-04-14
[8]
웹사이트
Clonorchis sinensis – Material Safety Data Sheets (MSDS)
http://www.phac-aspc[...]
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
2009-04-14
[9]
웹사이트
Symptoms of Anisakiasis
http://www.wrongdiag[...]
WrongDiagnosis
2009-04-14
[10]
웹사이트
Diphyllobothriasis
https://www.nlm.nih.[...]
MedlinePlus
2009-04-14
[11]
웹사이트
Megaloblastic (Pernicious) Anemia
http://www.umm.edu/b[...]
University of Maryland Medical Center
2009-04-14
[12]
논문
Anisakis infestation: a case of acute abdomen mimicking Crohn's disease and eosinophilic gastroenteritis
2005-01
[13]
웹사이트
CDC - DPDx - Anisakiasis
https://www.cdc.gov/[...]
2023-02-17
[14]
논문
Anisakis Simplex: From Obscure Infectious Worm to Inducer of Immune Hypersensitivity
[15]
간행물
'Bad Bug Book: Foodborne Pathogens Microorganisms and Natural Toxins Handbook'
https://www.fda.gov/[...]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6]
논문
Anisakidosis: Perils of the deep
2010-10-01
[17]
논문
Human anisakiasis in Italy: a retrospective epidemiological study over two decades
2018-07-30
[18]
서적
Markell and Voge's Medical Parasitology
https://archive.org/[...]
Saunders
[19]
웹사이트
Anisakiasis FAQs
https://www.cdc.gov/[...]
2020-09-16
[20]
논문
Anisakiasis and Anisakis: An underdiagnosed emerging disease and its main etiological agents
https://www.scienced[...]
2020-10-01
[21]
논문
Enteric Anisakiasis Which Improved with Conservative Treatment
2009
[22]
논문
Laparoscopic Treatment for a Case of Ileal Anisakiasis
2008-04
[23]
논문
Albendazole for the Treatment of Anisakiasis Ileus
2005-12
[24]
논문
Exposure to the Fish Parasite Anisakis Causes Allergic Airway Hyperreactivity and Dermatitis
[25]
논문
A national retrospective survey of anisakidosis in France (2010-2014): decreasing incidence, female predominance, and emerging allergic potential
2018-04-11
[26]
논문
Studies on the life cycle and morphogenesis of Anisakis simplex (Rudolphi, 1809) (Nematoda: Anisakidae) cultured in vitro
1976-06-30
[27]
논문
Deep-water life cycle of Anisakis paggiae (Nematoda: Anisakidae) in the Irminger Sea indicates kogiid whale distribution in north Atlantic waters
2011-06
[28]
논문
Occurrence of ''Anisakis'' (Nematoda: Anisakidae) larvae in unusual hosts in Southern hemisphere
2017-12
[29]
웹사이트
Anisakis Dujardin, 1845
http://www.marinespe[...]
[30]
웹사이트
食中毒予防 アニサキスによる食中毒に気をつけましょう!
https://www.city.set[...]
2022-06-15
[31]
뉴스
刺身に高圧電流で「アニサキス」撲滅 苦節30年、社長の執念が実った開発秘話
https://www.itmedia.[...]
アイティメディア
2022-06-15
[32]
웹사이트
アニサキス症とアニサキスアレルギー
https://www.ntv.co.j[...]
日本テレビ放送網
2022-06-15
[33]
뉴스
【アニサキス症】食中毒激増!背景に2つの理由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
2022-08-20
[34]
웹사이트
寄生虫ミニ辞典 - アニサキス
http://www.jomf.or.j[...]
2015-03-12
[35]
웹사이트
アニサキスによる食中毒を予防しましょう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8-05-29
[36]
논문
"'Terranova decipiens' による急性胃炎の発見 拡大されるアニサキス症"
https://doi.org/10.1[...]
化学と生物
1972
[37]
웹사이트
IASR国内情報
https://www.niid.go.[...]
国立感染症研究所
2022-06-15
[38]
웹사이트
アニサキス症とは
https://www.niid.go.[...]
国立感染症研究所寄生動物部
[39]
뉴스
食中毒アニサキス生の魚介類で猛威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7-05-08
[40]
웹사이트
食品媒介の寄生虫疾患対策について 蠕虫類 - 生鮮魚介類により感染するもの
https://www.mhlw.go.[...]
[41]
웹사이트
アニサキス症とは
https://www.niid.go.[...]
[42]
문서
日本におけるAnisakidosisの発生状況の解析
石倉肇、臨床と研究
1995
[43]
뉴스
アニサキス症 日本で多い?その理由とは?
https://www3.nhk.or.[...]
NHK
2022-12-05
[44]
웹사이트
アニサキス症とサバのアニサキス寄生状況
http://www.tokyo-eik[...]
東京都健康安全研究センター
[45]
뉴스
アニサキス症はアレルギー 虫体摘出は不要、抗アレルギー薬投与で十分
https://medical.nikk[...]
日経メディカル
2010-05-25
[46]
웹사이트
腸重積を伴った腸アニサキス症の1例
http://www.jsgs.or.j[...]
日本消化器外科学会雑誌
1995-10
[47]
PDF
血清免疫学的検査で膵アニサキス症が疑われた1例
http://journal.jsgs.[...]
[48]
논문
胃アニサキス内視鏡下摘出におけるガストログラフィン散布の有用性
日本消化器内視鏡学会雑誌
1994
[49]
논문
当院におけるアニサキス症の現況とl-メントール補助下の虫体摘出
https://doi.org/10.1[...]
Progress of Digestive Endoscopy.
2015
[50]
논문
小腸アニサキス症により腸閉塞をきたした1切除例
日本腹部救急医学会雑誌
2011
[51]
논문
食餌性イレウスで発症した小腸アニサキス症の1例
日本腹部救急医学会雑誌
2012
[52]
논문
腸アニサキス症で小腸穿孔をきたした1例
日本腹部救急医学会雑誌
2013
[53]
학술발표
鉤頭虫の小腸寄生例を含む7例における発見契機、診断法、治療法に関する検討
第13回日本消化管学会
2017
[54]
PDF
わが国におけるアニサキス症とアニサキス属幼線虫
http://www.tokyo-eik[...]
東京都健康安全研究センター 究年報
2011
[55]
논문
アニサキス症のユニークで簡便な治療法
https://doi.org/10.1[...]
日本医科大学医学会雑誌
2012
[56]
보도자료
【プレスリリース】パルスパワーを用いた新しいアニサキス殺虫方法を開発 ―アニサキス食中毒リスクのない刺身―
https://research-er.[...]
熊本大学
2021-06-22
[57]
뉴스
【生で食べるをたどって】(3)アニサキスとの闘い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8-05-24
[58]
뉴스
「アニサキス」見逃さず イシダ、水産加工用検査装置 切り身に紫外線、光らせ検出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7-07-05
[59]
웹사이트
喰われる前に喰う!寄生虫界の裏番長・アニサキスを積極果敢に食べてみた
http://www.outdoorfo[...]
野食ハンマープライス
[60]
PDF
アニサキス症と天然物由来の有効化学物質の検索
http://www.tokyo-eik[...]
東京都健康安全研究センター
[61]
웹사이트
アニサキスアレルギーによる蕁麻疹・アナフィラキシー
https://www.niid.go.[...]
国立感染症研究所 IASR
2017-04
[62]
학술지
An anisakis larva attached to early gastric cancer: report of a case
http://link.springer[...]
Springer Japan
2014-08-17
[63]
웹사이트
がん診断、尿1滴で=線虫の習性利用−10年後の実用化目指す・九大など
http://www.jiji.com/[...]
時事ドットコム
2015-03-12
[64]
보도자료
尿1滴で短時間・安価高精度に早期がんを診断!
http://www.kyushu-u.[...]
九州大学
2015-03-12
[65]
서적
Human Parasitic Diseases Sourcebook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2006
[66]
저널
Probable recognition of human anisakiasis in Brazil
http://www.scielo.br[...]
2007
[67]
웹사이트
WaiSays: About Consuming Raw Fish
http://www.13.waisay[...]
2009-04-14
[68]
웹사이트
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 > Clonorchis sinensis - Material Safety Data Sheets (MSDS)
http://www.phac-aspc[...]
2009-04-14
[69]
웹사이트
WrongDiagnosis: Symptoms of Anisakiasis
http://www.wrongdiag[...]
2009-04-14
[70]
웹사이트
MedlinePlus > Diphyllobothriasis
http://www.nlm.nih.g[...]
2009-04-14
[71]
웹사이트
University of Maryland Medical Center > Megaloblastic (Pernicious) Anemia
http://www.umm.edu/b[...]
2009-04-14
[72]
논문
Anisakis Simplex: From Obscure Infectious Worm to Inducer of Immune Hypersensitivity
[73]
간행물
Bad Bug Book: Foodborne Pathogens Microorganisms and Natural Toxins Handbook
http://www.fda.gov/F[...]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74]
서적
Markell and Voge's Medical Parasitology
Saunders
[75]
논문
Exposure to the Fish Parasite Anisakis Causes Allergic Airway Hyperreactivity and Dermatitis
[76]
논문
Enteric anisakiasis which improved with conservative treatment
http://joi.jlc.jst.g[...]
[77]
논문
Laparoscopic treatment for a case of ileal anisakiasis
http://meta.wkhealth[...]
[78]
논문
Albendazole for the Treatment of Anisakiasis Ileus
[79]
논문
Studies on the life cycle and morphogenesis of Anisakis simplex (Rudolphi, 1809)(Nematoda: Anisakidae) cultured in vitr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