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개발 협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 개발 협회(IDA)는 최빈국에 대한 장기 무이자 차관을 제공하기 위해 설립된 세계은행 산하 기구이다. 1960년 출범하여, IBRD보다 유리한 조건으로 개발도상국을 지원하며, 173개 회원국이 자본을 분담한다. IDA는 1인당 국민총소득이 일정 기준 이하인 저소득 개발도상국에 자금을 지원하며, 융자 조건은 대상국의 경제 상황에 따라 다르다. IDA는 회원국의 기여금, IBRD와 IFC의 지원금 등으로 재원을 조달하며, 3년마다 재원 보충 회의를 통해 자금을 확보한다. 아프리카와 아시아 지역에서 다양한 개발 프로젝트를 지원해왔으며, 차관 자격을 졸업한 국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계은행 - 스탠리 피셔
스탠리 피셔는 신케인즈 경제학에 기여한 저명한 경제학자로서 세계은행, IMF, 씨티그룹 등에서 활동하고 이스라엘 중앙은행 총재와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부의장을 역임했으며, 수많은 경제학자를 배출한 인물이다. - 세계은행 - 국제부흥개발은행
국제부흥개발은행(IBRD)은 1944년 브레튼우즈 협정으로 설립되어 1946년부터 운영된 국제 금융 기구로, 초기에는 유럽 재건을 지원했으나 이후 개발도상국의 경제 개발 지원으로 역할을 확대하며 인프라 개발 등에 장기 저리 대출을 제공하지만, 선진국 영향력과 정책 강요 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개발 - 국제개발연구센터
국제개발연구센터는 개발도상국의 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 기술 및 지식 연구를 지원하며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캐나다의 연구 지원 기관이다. - 개발 - 도시화
도시화는 인구가 도시로 이동하고 도시적 생활 방식이 확산되는 현상으로, 경제적 기회와 사회적 이동성을 제공하지만 주택, 교통, 환경 문제 등의 부작용도 발생시키며 지속 가능한 미래 도시를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 빈곤 - 구걸
구걸은 가족이나 국가의 지원 없이 타인으로부터 물건이나 금전을 받아 생계를 유지하는 행위로, 빈곤층과 연관되어 있으며, 불교에서는 수행의 한 형태, 이슬람에서는 노동 가능한 자의 금지, 역사적으로 빈곤과 연결, 현대에는 법으로 금지되지만 예외도 존재하며, 고수입 역편견과 달리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 빈곤 - 밀레니엄 개발 목표
밀레니엄 개발 목표(MDGs)는 2000년 유엔에서 채택된 8개의 주요 목표와 21개의 세부 목표로 구성된 국제 개발 목표로서, 절대 빈곤과 기아 퇴치, 보편적 초등 교육 실현, 양성평등, 아동 사망률 감소, 모성 보건 증진, 주요 질병 퇴치, 지속 가능한 환경 확보, 개발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을 목표로 2015년까지 달성을 추구했으나, 목표 달성에 국가별 차이와 비판이 있었으며, 이후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로 대체되었다.
국제 개발 협회 | |
---|---|
국제 개발 협회 | |
![]() | |
설립일 | 1960년 |
유형 | 개발 금융 기관 |
지위 | 조약 |
목적 | 개발 원조 빈곤 감소 |
본부 | 워싱턴 D.C., 미국 |
회원국 | 174개국 |
모기관 | 세계은행 그룹 |
웹사이트 | worldbank.org/ida |
개요 | |
설명 | 국제 개발 협회(IDA)는 세계은행의 일원으로, 저소득 국가에 자금 지원을 제공하는 국제 금융 기관이다. |
목적 | 경제 성장 촉진 빈곤 감소 생활 수준 개선 |
주요 활동 | 개발 프로젝트 자금 지원 기술 지원 제공 정책 자문 |
대상 국가 |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들 |
역사 | |
설립 배경 | 저소득 국가의 개발 자금 수요 증가 기존 세계은행 대출의 한계 극복 필요 |
설립 연도 | 1960년 |
자금 조달 및 재정 | |
재원 | 회원국 기여금 세계은행 차입금 상환금 |
자금 지원 방식 | 무상 원조 장기 저리 융자 |
융자 조건 | 국가별 경제 상황에 따라 차등 적용 |
운영 및 관리 | |
운영 구조 | 세계은행 이사회 감독 |
주요 의사 결정권자 | 회원국 대표 |
성과 및 영향 | |
지원 분야 | 교육 보건 인프라 농업 환경 |
영향 | 수백만 명의 삶 개선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달성에 기여 |
기타 | |
회원국 | 174개국 |
지원 대상 | 저소득 국가 |
역할 | 개발 지원 및 빈곤 감소 |
추가 정보 | |
결과 보고서 | 결과 한눈에 보기 |
2. 역사
1940년대와 1950년대, 저소득 개발도상국들은 국제부흥개발은행(IBRD)의 대출 조건보다 더 유리한 조건이 필요하며, 더 이상 자본을 차입할 여력이 없다고 인식하기 시작했다.[10] 1949년 미국 대통령 해리 S. 트루먼은 포인트 4 프로그램 달성을 위해 자문단을 구성했는데, 이는 동구권 국가들의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 위한 노력이었다. 자문단은 대출과 무상 자금의 중간 형태의 국제적 지원 체계를 권고했다.[11] UN과 미국 정부는 최빈개발도상국을 위한 다자간 양허성 대출 프로그램 창설을 지지하는 보고서를 발표했지만, 미국은 한국 전쟁 등으로 인해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11]
개발도상국들은 IBRD 대출 조건에 불만을 느끼고 마셜 플랜과 같이 관대한 지원을 제공하는 국제연합(UN) 산하 개발 기구 설립을 요구했다. 그러나 미국은 이러한 제안에 반대했다.[11] 냉전 심화에 따라 미국은 1954년 국제금융공사(IFC) 설립을 지원했지만, 개발도상국들은 여전히 양허성 자금 조달 메커니즘을 요구했고, 이 아이디어는 IBRD 내에서 지지를 얻었다.[11] 당시 IBRD 총재 유진 R. 블랙은 국제연합이 관리하는 특별 국제연합 경제개발 기금(SUNFED) 대신 국제개발협회(IDA) 설립을 제안했다.[12] 민주당 상원의원 A. S. 마이크 모노니는 IDA 설립 연구 결의안을 제안했고, 1958년 상원을 통과, 1959년 세계은행 이사회는 IDA 설립 협정 조항 초안 작성을 승인했다.[10]
1960년 1월, 15개국이 IDA 설립 협정 조항에 서명했고, 같은 해 9월 IDA는 9.13억달러의 초기 예산으로 출범했다.[14][15] 출범 후 8개월 동안 IDA는 51개 회원국으로 성장했고 4개 개발도상국에 1.01억달러를 대출했다.[10]
2. 1. 설립 배경
1940년대 말, 저소득 개발도상국들은 국제부흥개발은행(IBRD)의 대출 조건이 자국의 경제 상황에 적합하지 않다고 인식하기 시작했다.[10]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 국가들이 미국의 마셜 플랜을 통해 비교적 유리한 조건으로 지원받는 것을 보면서, 개발도상국들은 국제연합(UN) 차원에서 기술 지원과 양허성 자금 조달을 위한 새로운 개발 기구 설립을 요구했다.[11]1949년,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은 포인트 4 프로그램을 제안하며 개발도상국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고, 이는 IDA 설립의 초기 배경이 되었다.[11] 미국은 초기에는 소극적이었으나, 냉전 심화와 동구권 국가들의 공산주의 확산 우려로 인해 1950년대 중반부터 입장을 선회하여 국제금융공사(IFC) 설립을 지원하는 등 양보적인 태도를 보였다.[11]
1958년, 오클라호마 출신의 민주당 상원의원 A. S. 마이크 모노니는 IBRD와 제휴할 IDA 설립 가능성을 연구하는 결의안을 제안했고, 이는 미국 내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어 상원을 통과했다.[10]
2. 2. 설립 과정
1940년대와 1950년대에 저소득 개발도상국들은 국제부흥개발은행(IBRD)이 제공하는 것보다 더 유리한 대출 조건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기 시작했다.[10] 1949년, 미국 대통령 해리 S. 트루먼은 포인트 4 프로그램 달성을 위해 개발도상국 지원 방안을 제안하는 자문단을 구성했다. 자문단은 무상 자금과 대출 자금의 중간 형태의 국제적 지원 체계를 권고했다.[11] UN과 미국 정부는 최빈개발도상국을 위한 다자간 양허성 대출 프로그램 창설을 지지하는 보고서를 발표했지만, 미국은 한국 전쟁 등으로 인해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았다.[11]개발도상국들은 IBRD 대출 조건에 불만을 느끼고, 마셜 플랜과 같이 관대한 지원을 제공하는 국제연합(UN) 산하 개발 기구 설립을 요구했다. 그러나 미국은 이러한 제안에 반대했다.[11] 냉전 심화에 따라 미국은 1954년 국제금융공사(IFC) 설립을 지원했지만, 개발도상국들은 여전히 양허성 자금 조달 메커니즘을 요구했고, 이 아이디어는 IBRD 내에서 지지를 얻었다.[11] 당시 IBRD 총재 유진 R. 블랙은 미국이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세계은행 산하 저리 대출 기구인 국제개발협회(IDA) 설립을 제안했다. 민주당 상원의원 A. S. 마이크 모노니가 이 아이디어를 지지하여, IBRD와 연계된 IDA 설립 연구를 권고하는 결의안을 제안했다.[12] 이 결의안은 1958년 상원을 통과했고, 1959년 세계은행 이사회는 IDA 설립 협정 조항 초안 작성을 승인했다.[10]
1960년 1월, 15개국이 IDA 설립 협정 조항에 서명하며 IDA가 공식적으로 출범했다. 초기 예산은 9.13억달러였으며,[14][15] 출범 후 8개월 동안 51개 회원국으로 성장하고 4개 개발도상국에 1.01억달러를 대출했다.[10]
3. 거버넌스와 운영
IDA는 매년 회의를 개최하는 세계은행 이사회의 지배를 받으며, 각 회원국(대개 재무장관 또는 재무부 장관)마다 한 명의 이사로 구성된다. 이사회는 대출 및 운영과 같은 일상적인 업무에 대한 권한의 대부분을 이사회에 위임한다. 이사회는 25명의 집행이사로 구성되며, 세계은행그룹 총재가 의장직을 맡는다. 집행이사들은 세계은행의 모든 187개 회원국을 대표하지만, IDA 관련 사항에 대한 결정은 IDA의 172개 회원국만 관련된다. 총재는 IDA의 전반적인 방향과 일상적인 운영을 감독한다.[16] 2024년 5월 기준, 아제이 방가가 세계은행그룹 총재직을 맡고 있다.[17] IDA와 IBRD는 약 1만 명의 직원으로 운영된다.[18]
4. 회원국
국제개발협회(IDA)는 173개 회원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년마다 분담금을 납부하여 자본을 충원한다. 2008년 12월 12일, 사모아가 173번째 회원국으로 유엔산업개발기구(UNIDO)에 가입했다.[2]
4. 1. IDA 차입국
국제개발협회(IDA)는 75개 차입국에 자금을 대출하는데, 그중 절반 이상(39개국)이 아프리카에 있다.[24] IDA 회원 자격은 국제부흥개발은행(IBRD) 회원국에만 주어진다.[25] IDA 설립 이후 44개 차입국이 졸업했지만, 그중 9개국은 졸업 기준을 유지하지 못하고 다시 차입국이 되었다.[29]IDA 지원 자격을 얻으려면, 국가는 빈곤 수준과 상업 및 IBRD 차입에 대한 신용도 부족 여부를 평가받아야 한다.[26] IDA는 1인당 소득, 민간 자본 시장 접근 부족, 그리고 성장 촉진 및 빈곤 퇴치를 위한 경제 또는 사회 개혁 이행에 대한 정책 성과를 기준으로 국가를 평가한다.[7][27] 2019년 기준으로 IDA의 양허성 대출 프로그램에서 자금을 차입하려면, 국가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1145USD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24]
다음은 국제개발협회(IDA) 차입국 목록이다.[28]
4. 2. IDA 졸업국
다음은 국제 개발 협회(IDA) 차관 자격을 상실한 국가들이다.[29]국가 | 연도 |
---|---|
알바니아 | 2008 |
아르메니아 | 2014 |
아제르바이잔 | 2011 |
보츠와나 | 1974 |
칠레 | 1961 |
중국 | 1999 |
콜롬비아 | 1962 |
코스타리카 | 1962 |
도미니카 공화국 | 1973 |
에콰도르 | 1974 |
이집트 | 1999 (81 회계연도에 자격 상실, 91 회계연도에 재분류, 99 회계연도에 다시 자격 상실) |
엘살바도르 | 1977 |
적도 기니 | 1999 |
인도 | 2014 |
인도네시아 | 2008 (80 회계연도에 자격 상실, 98, 99 회계연도에 재분류, 08 회계연도에 다시 자격 상실) |
요르단 | 1978 |
모리셔스 | 1975 |
몬테네그로 | 2008 |
모로코 | 1975 |
북마케도니아 | 2002 |
파라과이 | 1977 |
필리핀 | 1993 (79 회계연도에 자격 상실, 91 회계연도에 재분류, 93 회계연도에 다시 자격 상실) |
세인트키츠 네비스 | 1994 |
세르비아 | 2007 |
대한민국 | 1973 |
에스와티니 (스와질란드) | 1975 |
태국 | 1979 |
튀니지 | 1977 |
튀르키예 | 1974 |
4. 3. IDA 재차입국
카메룬, 콩고 공화국, 코트디부아르, 온두라스, 니카라과, 나이지리아, 파푸아뉴기니, 시리아, 짐바브웨는 국제개발협회(IDA) 차관 자격을 상실했다가 아직 재취득하지 못했거나, 부분적으로 자격을 취득한 국가들(혼합 국가라고도 함)이다.[29]
5. 재원 조달 및 운영 방식
1960년 1월, 15개국이 국제 개발 협회(IDA) 설립 협정 조항에 서명했다. 같은 해 9월 9.13억달러의 초기 예산으로 출범했으며,[14][15] 출범 후 8개월 동안 51개 회원국으로 성장했고 4개 개발도상국에 1.01억달러를 대출했다.[10]
IDA는 세계은행 이사회의 지배를 받으며, 각 회원국은 재무장관 또는 개발부 장관으로 구성된 이사 한 명을 임명한다. 이사회는 대출 및 운영 등 일상 업무 대부분을 집행 이사회에 위임한다. 집행 이사회는 25명의 이사로 구성되며, 세계은행그룹 총재가 의장을 맡는다. IDA 관련 결정은 IDA의 172개 회원국만 참여한다. 총재는 IDA의 전반적인 방향과 일상 운영을 감독한다.[16] 아제이 방가가 세계은행그룹 총재직을 맡고 있다.[17] IDA와 국제부흥개발은행(IBRD)는 약 1만 명의 직원으로 운영된다.[18]
IDA는 개발도상국의 기반 시설 개발, 교육, 보건 의료, 깨끗한 물과 위생 시설 접근, 환경 개선 등을 위한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하며,[33][42] 세계은행의 연성 대출 창구로 간주된다. IBRD는 경성 대출 창구로 간주된다.[43][44] IDA는 무상 원조와 저금리 대출을 제공하며, 대출 조건은 차입국의 상황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인 IDA 자격 대상 국가는 무이자 대출을 받을 수 있다.[45]
IDA는 세계은행의 국가 정책 및 제도 평가(CPIA)를 사용하여 각국의 자원 배분 지수를 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출 우선순위를 정한다.[27][46][47] 또한, 위기 대응 창구(2007년 설립)와 긴급 대응 메커니즘(2011년 채택)을 통해 위기 상황에 신속하게 자금을 지원한다.[48] IDA 자금은 일반적으로 3년마다 재충전된다. 18차 재충전은 2016년 12월에 완료되었고, 19차 재충전은 2019년 10월에 논의되었다.[49][50]
IDA는 자원의 약 절반을 아프리카 국가에 할당한다. 아시아 지역에서도 필리핀, 중국, 대한민국, 태국, 인도 등 많은 국가가 IDA 지원을 통해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53]
5. 1. 재원 조달
국제개발협회(IDA)는 지속적인 자원 보충이 필요한 세계은행의 특별한 기관이다. 회원국들은 국제부흥개발은행(IBRD)과 국제금융공사(IFC)에서 제공하는 지원금 외에 기여금을 통해 재원을 보충한다.[30][31] IBRD가 국제 금융 시장에서 자본을 조달하여 대부분의 자금을 조달하는 반면, IDA는 회원국의 기여금에 크게 의존한다.[5] IDA는 IBRD와 IFC로부터 30억달러를 받았다.[32]IDA 재원의 약 절반은 45개 기부 회원국에서 나온다.[33] 초기에는 영국과 미국에서 대부분의 보충금을 받았지만, 이들이 항상 안정적인 자금원이 아니었기 때문에 다른 선진국들이 경제적 격차를 메우기 시작했다.[34] 3년마다 IDA에 자금을 제공하는 회원국들이 모여 IDA 재원을 보충한다.[35] 이 자금은 주로 미국, 일본, 프랑스, 독일, 영국을 포함한 선진국에서 나온다.[36] 2016년 기준으로 18차례의 IDA 자원 보충이 있었다.[38]
IDA의 대출과 보조금은 일반적으로 처음부터 차입자에게 전액 지급되는 것이 아니라, 프로젝트가 필요에 따라 단계적으로 지급된다. 미국과 같은 대부분의 기부국은 IDA에 이자 없이 양도되거나 취소될 수 없는 신용장을 약정하며, 프로젝트 지급에 필요에 따라 현금으로 교환된다. 다른 국가들은 IDA에 대한 약정일에 기여금을 전액 지급하여 운영 경비를 충당한다. 기부자는 자금을 반환받지 않으며, 차입자로부터의 상환금은 다시 향후 프로젝트에 대출되어 기부자는 향후 해당 자금을 다시 약정할 필요가 없다.[40]
IDA 자금은 정기적으로 보충되지만, 기부국에게는 재정적 및 정치적 어려움이 없는 것은 아니다. 기부국들이 자원 보충을 협상하기 위해 모일 때, 협회의 목표와 목적을 재정의하거나 심지어 IDA를 개혁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종종 있다.[41]
5. 2. 운영 방식
IDA는 세계은행 이사회의 지배를 받으며, 각 회원국은 재무장관 또는 개발부 장관으로 구성된 이사 한 명을 임명한다. 이사회는 대출 및 운영과 같은 일상적인 업무 대부분을 집행 이사회에 위임한다. 집행 이사회는 25명의 이사로 구성되며, 세계은행그룹 총재가 의장을 맡는다. IDA 관련 결정은 IDA의 172개 회원국만 참여한다. 총재는 IDA의 전반적인 방향과 일상 운영을 감독한다.[16] 아제이 방가가 세계은행그룹 총재직을 맡고 있다.[17] IDA와 IBRD는 약 1만 명의 직원으로 운영된다.[18]IDA는 개발도상국의 기반 시설 개발, 교육, 보건 의료, 깨끗한 물과 위생 시설 접근, 환경 개선 등을 위한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한다.[33][42] IDA는 세계은행의 연성 대출 창구로 간주되며, IBRD는 경성 대출 창구로 간주된다.[43][44] IDA는 무상 원조와 저금리 대출을 제공하며, 대출 조건은 차입국의 상황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인 IDA 자격 대상 국가는 무이자 대출을 받을 수 있다.[45]
IDA는 세계은행의 국가 정책 및 제도 평가(CPIA)를 사용하여 각국의 자원 배분 지수를 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출 우선순위를 정한다.[27][46][47] 또한, 위기 대응 창구(2007년 설립)와 긴급 대응 메커니즘(2011년 채택)을 통해 위기 상황에 신속하게 자금을 지원한다.[48]
IDA 자금은 일반적으로 3년마다 재충전된다. 18차 재충전은 2016년 12월에 완료되었고, 19차 재충전은 2019년 10월에 논의되었다.[49][50]
IDA는 자원의 약 절반을 아프리카 국가에 할당한다. 아프리카 지역 개선 노력의 결과, 1997년 이후 6,600만 명 이상의 아프리카인에게 전기 공급, 24만 km의 포장도로 건설 및 복구, 2002년 이후 1,500만 명 이상의 아프리카 어린이 학교 입학 지원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51] 2012년 5월에는 에티오피아 여성 기업가 개발 프로젝트에 5000만달러의 신용을 제공했다.[52] 아시아 지역에서도 필리핀, 중국, 대한민국, 태국, 인도 등 많은 국가가 IDA 지원을 통해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53] 남아시아 지역에서는 교육, 보건, 교통, 농업, 에너지 분야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다.[55]
IDA는 미국 워싱턴 D.C.에 본부를 둔 세계은행그룹의 일원이며, 최빈국에 장기 무이자 또는 저금리 차관을 제공한다. IBRD보다 장기간 대출을 제공하기 때문에 "세계은행 최빈국 지원 기금" 또는 "제2의 세계은행"이라고도 불린다. IDA의 차관은 회원국 기부금과 IBRD 수익 등을 재원으로 한다.
6. 융자 조건
융자 대상국은 주로 저소득 개발도상국(1인당 국민총소득 1165USD 이하)이다.[33][42] 융자 조건은 대상 국가의 경제 상황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 융자와 혼합 융자로 구분된다.
일반 융자 | 혼합 융자 | |
---|---|---|
대상국 | IDA 가맹국 | IBRD 지원대상국 혹은 2년 연속 1인당 국민총소득 기준을 초과하는 IDA 가맹국 |
금리 | 2.0%(11~202년) / 4.0%(21~40년) | 3.3%(6~15년) / 6.7%(16~25년) |
상환기간 | 40년 | 25년 |
거치기간 | 10년 | 5년 |
약정수수료 | 추후확정 | 추후확정 |
서비스수수료 | 0.75% | 0.75% |
IDA는 세계은행의 연성 대출 창구로 간주되며, IBRD는 경성 대출 창구로 간주된다.[43][44] 일반적인 IDA 자격 대상 차입국은 무이자 대출을 이용할 수 있다.[45]
7. 비판 및 과제
세계은행의 독립평가단은 IDA 대출로 지원되는 프로젝트에서 사기 및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통제 시스템의 약점을 지적했다.[19] 2011년, 독립평가단은 세계은행이 파리 선언의 원칙을 이행하는 직원과 경영진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국가의 재정 관리 시스템이 사용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여 해당 국가가 결점을 해결하도록 권고했다. 또한 개발 지원 조정에 대한 국가 차원의 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해 개발 파트너와 협력할 것을 권고했다.[20]
윌리엄 이스터리와 같은 개발 경제학자들은 IDA가 개발 원조 기증자들 중 가장 투명성과 모범 사례를 갖추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21][22]
세계개발센터의 연구원들은 IDA의 대출 자격이 있는 국가 수가 2025년까지 절반으로 감소하고, 남은 차입국은 주로 아프리카 국가로 구성될 것이며 상당한 인구 감소를 겪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러한 변화는 IDA가 재정 모델과 사업 운영을 신중하게 검토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이 센터는 세계은행 지도부가 IDA의 장기적인 미래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것을 권고했다.[23]
참조
[1]
웹사이트
Association internationale de développement
http://www.banquemon[...]
[2]
웹사이트
What is IDA?
http://ida.worldbank[...]
World Bank Group
2019-06-13
[3]
서적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Disaster Management, 2nd Edition
Butterworth-Heinemann
[4]
논문
World Bank: IDA Loans or IDA Grants?
https://digital.libr[...]
[5]
논문
Development aid and international politics: Does membership on the UN Security Council influence World Bank decisions?
[6]
웹사이트
World Bank (IBRD & IDA) Lending
http://www.bicusa.or[...]
Bank Information Center
2012-07-01
[7]
논문
Double-standards, debt treatment, and World Bank country classification: The case of Nigeria
http://www.cgdev.org[...]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2012-07-02
[8]
웹사이트
Building a Better IDA
http://www.cgdev.org[...]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2012-07-02
[9]
웹사이트
Results At-a-Glance
https://www.worldban[...]
World Bank Group
2012-07-15
[10]
웹사이트
History of IDA
https://www.worldban[...]
World Bank Group
2012-07-01
[11]
백과사전
U.S. Relations with the World Bank, 1945-1992
https://archive.org/[...]
The Brookings Institution
[12]
서적
The United Development Programme: A Better Wa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웹사이트
CPI Inflation Calculator
http://www.bls.gov/d[...]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2012-06-20
[14]
웹사이트
IDA: Historic Timeline
http://go.worldbank.[...]
World Bank Group
2012-07-01
[15]
보고서
IDA Articles of Agreement
http://siteresources[...]
World Bank Group
2012-07-01
[16]
보고서
World Bank
http://cgdev.org/con[...]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2012-06-05
[17]
웹사이트
Ajay Banga
https://www.worldban[...]
2021-09-12
[18]
웹사이트
World Bank (IBRD & IDA) Structure
http://www.bicusa.or[...]
Bank Information Center
2012-07-01
[19]
뉴스
Forgotten sibling
http://www.economist[...]
2012-07-02
[20]
보고서
World Bank Progress in Harmonization and Alignment in Low-Income Countries
http://ieg.worldbank[...]
World Bank Group
2012-07-14
[21]
논문
The Money Trail: Ranking Donor Transparency in Foreign Aid
[22]
논문
Where Does the Money Go? Best and Worst Practices in Foreign Aid
[23]
보고서
IDA at 65: Heading Toward Retirement or a Fragile Lease on Life?
http://www.cgdev.org[...]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2012-07-02
[24]
웹사이트
Borrowing Countries
http://ida.worldbank[...]
World Bank Group
2019-06-13
[25]
웹사이트
Member Countries
http://www.worldbank[...]
World Bank Group
2019-06-13
[26]
보고서
IDA Eligibility, Terms and Graduation Policies
http://siteresources[...]
World Bank Group
2012-07-01
[27]
논문
A framework to measure the relative socio-economic performance of developing countries
[28]
웹사이트
Borrowing Countries
https://ida.worldban[...]
2024-04-25
[29]
웹사이트
IDA Graduates
http://ida.worldbank[...]
Internat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019-06-13
[30]
웹사이트
Demystifying Internat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IDA) replenishment
http://www.bicusa.or[...]
Bank Information Center
2012-07-01
[31]
뉴스
World Bank boosts lending to poor
http://www.ft.com/in[...]
2012-07-02
[32]
웹사이트
IDA Replenishments
http://go.worldbank.[...]
World Bank Group
2012-07-01
[33]
웹사이트
What is IDA?
https://www.worldban[...]
World Bank Group
2012-07-01
[34]
논문
Internat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in Retrospect
[35]
논문
Multilateral development aid for Africa
[36]
웹사이트
IDA - Internat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http://www.brettonwo[...]
Bretton Woods Project
2012-07-14
[37]
보고서
Aid Architecture: An Overview of the Main Trends i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Flows
http://siteresources[...]
World Bank Group
2012-07-14
[38]
웹사이트
Replenishments
http://ida.worldbank[...]
2019-10-13
[39]
보고서
IDA16: Delivering Development Results
http://siteresources[...]
World Bank Group
2012-07-01
[40]
학술지
Alternative ways to fund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IDA)
[41]
학술지
IDA Grants and HIPC Debt Cancellation: Their Effectiveness and Impact on IDA Resources
[42]
학술지
Impact of World Bank lending in an adjustment-led growth model
[43]
학술지
Performance criteria and multilateral aid allocation
[44]
학술지
The World Bank and the world's poor
[45]
보고서
IDA Terms
http://siteresources[...]
World Bank Group
2012-07-01
[46]
웹사이트
How IDA Resources are Allocated
http://go.worldbank.[...]
World Bank Group
2012-07-01
[47]
학술지
Good governance and good aid allocation
https://www.econstor[...]
[48]
웹사이트
Emergency and Crisis Financing Mechanisms
http://go.worldbank.[...]
World Bank Group
2012-07-01
[49]
웹사이트
Replenishments
http://ida.worldbank[...]
2019-11-27
[50]
뉴스
UK urges World Bank to channel more money into tackling climate crisis
https://www.theguard[...]
2019-11-27
[51]
웹사이트
Accelerating growth in Africa
http://www.worldbank[...]
World Bank Group
2012-07-15
[52]
뉴스
World Bank provides funding to unleash the economic potential of Ethiopian Women Entrepreneurs
http://microfinancea[...]
Microfinance Africa
2012-07-15
[53]
보고서
IDA in Asia
http://siteresources[...]
World Bank Group
2012-07-15
[54]
웹사이트
Borrowing Countries
https://www.worldban[...]
World Bank Group
2012-07-01
[55]
웹사이트
South Asia: IDA Supports Access to Key Services
http://www.worldbank[...]
World Bank Group
2012-07-15
[56]
웹사이트
History - What is IDA?
https://ida.worldban[...]
Internat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 World Bank
2021-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