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굴토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굴토끼는 토끼과에 속하는 종으로, 유럽이 원산지이며,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굴을 파는 습성이 있으며, 고기, 털, 애완동물로 이용하기 위해 가축화되었다. 명칭은 영어의 "rabbit"과 "cony"가 사용되며, 어원은 다양하다. 굴토끼는 다양한 아종으로 분류되며, 서식지, 사회 행동, 번식, 식성, 포식자 등 생태적 특징을 갖는다. 최근 서식지 감소와 질병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한국에서는 주로 애완용으로 길러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보베르데의 포유류 - 날씬몽구스
    날씬몽구스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 분포하며 가늘고 긴 몸과 꼬리를 가진 몽구스 종으로, 곤충을 주식으로 하지만 다양한 작은 동물과 과일, 심지어 죽은 고기까지 섭취하는 기회주의적인 잡식성이며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대상으로 분류된다.
굴토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럽 토끼
유럽 토끼
학명Oryctolagus cuniculus
명명자Linnaeus, 1758
이명Lepus cuniculus Linnaeus, 1758
분포원산지: 주황색
도입종: 보라색
한국어 이름아나우사기 (穴兎)
영어 이름European rabbit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토끼목
토끼과
아나우사기속 (Oryctolagus)
보존 상태
IUCNEN (멸종 위기)
IUCN 3.1Oryctolagus cuniculus
형태적 특징
몸길이약 40 cm
무게약 1.2-2.0 kg
귀 길이약 6.5-7.5 cm
생태
서식지
고생물학적 정보
화석 범위치바절-현세 (~0.6–0 Ma)

2. 명칭 및 어원

굴토끼는 영국 기원의 종이 아니므로, 영어나 켈트어에는 "토끼"에 해당하는 고유한 이름이 없다. "cony"와 "rabbit"이라는 일반적인 용어는 외래 차용어이다. "Rabbit"은 ''rabbidge'', ''rabbert'' (노스데본) 및 ''rappit'' (체셔 및 랭커셔)로 발음된다.[4] 더 오래된 철자법으로는 ''rabbette'' (15~16세기), ''rabet'' (15~17세기), ''rabbet'' (16~18세기), ''rabatte'' (16세기), ''rabytt'' (17세기), ''rabit'' (18세기) 등이 있다.[4] 어근리에주에서 흔히 사용되었던 왈론어 rabett|라베트wa이다. Rabett|라베트wa는 중세 네덜란드어 robbe|로버dum에서 접미사 ''-ett''가 추가되어 파생되었다.[4]

"Cony" 또는 "coney"라는 용어는 "rabbit"보다 먼저 사용되었으며, 13세기에 동물의 가죽을 지칭하기 위해 처음 등장했다. 이후 "cony"는 성체, "rabbit"은 어린 동물을 지칭했다. "Cony"의 어원은 고대 프랑스어 connil|코닐fro 또는 counil|쿠닐fro이며, 라틴어 cuniculus|쿠니쿨루스la에서 유래했다.[5] 이는 그리스어 κόνικλος|코니클로스el에서 유래했으며, 아일리안은 3세기에 이 단어를 켈트이베리아어와 연결했다. 이후 작가들은 바스크어의 ''unchi''와 연관시켰다. 바로와 플리니우스는 쐐기를 의미하는 cuneus|쿠네우스la와 연결하여 굴을 파는 능력을 언급했다.[4] 켈트이베리아어에서 "개"를 뜻하는 어근(cun–|쿤xce)의 축약형 또는 형용사 형태에서 유래한 것으로 밝혀졌다.[6]

속명 ''Oryctolagus''는 (, "굴을 파는")와 λαγώς|라고스grc (, "토끼")에서 유래되었다.[8]

이 종의 서식지는 warren 또는 cony-garth라고 불린다. "Warren"은 고대 영어 wareine|와레이너ang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다시 고대 프랑스어 warenne|와렌fro, varenne|바렌fro, 또는 garenne|가렌fro에서 파생되었다. 어근은 저 라틴어 warenna|와렌나la로, 원래는 일반적인 보호 구역을 의미했지만 나중에 토끼와 산토끼를 위해 특별히 지정된 울타리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7] "Cony-garth"는 중세 영어 conygerthe|코니거스enm에서 유래되었으며, ''connynge''+''erthe''(cony+earth)의 합성어일 수 있다. 이 용어는 고대 프랑스어 conniniere|코니니에르fro 또는 coninyere|코니녜르fro에서 유래되었으며, 나중에 conilliere|코닐리에르fro로 바뀌었다. 어근은 저 라틴어 cunicularia|쿠니쿨라리아la로, 형용사 cunicularius|쿠니쿨라리우스la의 여성형이며, 토끼와 관련된 것이다(예: 종명인 cuniculus|쿠니쿨루스la처럼).[6].[4]

2. 1. 명칭

굴토끼는 영국 기원 종이 아니므로, "토끼"는 영어나 켈트어에 고유한 이름이 없으며, "cony"와 "rabbit"이라는 일반적인 용어는 외래 차용어이다. "Rabbit"은 ''rabbidge'', ''rabbert'' (노스데본) 및 ''rappit'' (체셔 및 랭커셔)로 발음된다.[4] 더 오래된 철자법으로는 ''rabbette'' (15~16세기), ''rabet'' (15~17세기), ''rabbet'' (16~18세기), ''rabatte'' (16세기), ''rabytt'' (17세기), ''rabit'' (18세기) 등이 있다.[4] 어근리에주에서 흔히 사용되었던 왈론어 rabettwa이다.[4] Rabettwa는 중세 네덜란드어 robbedum에서 접미사 ''-ett''가 추가되어 파생되었다.[4]

"Cony" 또는 "coney"라는 용어는 "rabbit"보다 먼저 사용되었으며, 13세기에 동물의 가죽을 지칭하기 위해 처음 등장했다.[5] 이후, "cony"는 성체 동물을, "rabbit"은 어린 동물을 지칭했다.[5]

2. 2. 어원

"Cony"의 어원은 고대 프랑스어 connil|코닐fro 또는 counil|쿠닐fro이며, 라틴어 cuniculusla에서 유래했다.[5] 이는 그리스어 κόνικλοςel ()에서 유래했으며, 아일리안은 3세기에 이 단어를 켈트이베리아어와 연결했다. 이후 작가들은 이 단어를 바스크어의 ''unchi''와 연관시켰다. 바로와 플리니우스는 이 단어를 쐐기를 의미하는 cuneusla와 연결하여 동물의 굴을 파는 능력을 언급했다.[4] 켈트이베리아어에서 "개"를 뜻하는 어근(cun–xce)의 축약형 또는 형용사 형태에서 유래한 것으로 밝혀졌다.[6]

속명 ''Oryctolagus''는 (, "굴을 파는")와 λαγώςgrc (, "토끼")에서 유래되었다.[8]

3. 분류

토끼속(''Lepus'')에 속했던 유럽 토끼는 미성숙한 새끼, 굴을 파는 습성, 그리고 수많은 골격적 특징 때문에 1874년에 오릭톨라구스속으로 분리되었다.[25] 겉모습은 북아메리카의 솜꼬리토끼 (''Sylvilagus'')와 비슷하지만, 두개골 특징이 다르고 솜꼬리토끼는 굴을 파지 않는다.[9] 분자 연구에 따르면 이 유사성은 수렴 진화의 결과이며, 유럽 토끼의 가장 가까운 친척은 털토끼(''Caprolagus hispidus''), 강토끼(''Bunolagus monticularis''), 아마미토끼(''Pentalagus furnessi'')이다.[10]

3. 1. 아종

2005년에는 세계 포유류 종에서 6종의 아종이 인정되었다.[12]

  • '''일반 토끼''' ''O. c. cuniculus''
  • '''이베리아 토끼''' ''O. c. algirus''
  • '''지중해 토끼''' ''O. c. huxleyi''
  • '''크레타 토끼''' ''O. c. cnossius''
  • '''카마르그 토끼''' ''O. c. brachyotus''
  • '''아프리카 토끼''' ''O. c. habetensis''


그러나 2008년에 실시된 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이베리아 반도에 서식하는 두 개의 현존하는 아종, 즉 ''O. c. algirus''와 ''O. c. cuniculus''만 발견되었으며, 이베리아 반도는 유럽 토끼의 진화 역사의 중심지이다.[13] 2023년 현재, 이 두 아종만 인정된다.[1] ''O. c. algirus''와 ''O. c. cuniculus''는 각각 반도의 남서부와 북동부 지역에 서식하며, 자연적으로 북서부에서 남동부에 걸쳐 접촉하며, 약 2백만 년 전 제4기 빙하기 동안 분화되었을 가능성이 높다.[15]

''O. c. algirus''와 ''O. c. cuniculus'' 외의 아종들은 진화적 역사와 유전적 다양성이 거의 없고, 서식하는 지역에 자생종이 아닐 가능성이 높으므로 폐기하는 것이 권장된다. ''O. c. habetensis'' 아종의 일부로 간주되는 북아프리카 토끼 개체군은 지중해를 항해하는 페니키아인에 의해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13] 유럽 토끼가 유입된 대부분의 다른 지역의 개체군과 마찬가지로 ''O. c. cuniculus''로 간주된다.[1]

아종이명 학명두개골설명분포동의어
일반 토끼
O. c. cuniculus
(명명 아종)
Linnaeus, 1758
60 px
더 긴 귀와 뒷발, 전반적으로 더 큰 체질량, O. c. algirus에 비해 덜 두드러진 역 성적 이형성.[15]북동부 이베리아 반도와 남부 프랑스가 원산지.[16]
200 px
brachyotus
(Trouessart, 1917)
이베리아 토끼
O. c. algirus
로체 (Loche), 1858[17]
60 px
포르투갈과 남부 스페인이 원산지.[16]
200 px

아조레스 제도, 마데이라, 카나리아 제도로 유입됨.
huxleyi[18]
(Haeckel, 1874)


4. 형태

유럽 토끼는 유럽 멧토끼와 산토끼보다 작고, 검은색 귀 끝이 없으며, 다리가 상대적으로 짧다.[21] 몸길이는 35~50cm, 꼬리 길이는 4.5~7.5cm, 몸무게는 1.5kg에서 3kg 사이이다. 뒷발은 길이가 8.5cm에서 10cm이고, 귀는 후두골에서부터 6.5cm에서 7.5cm이다.[22]

크기와 몸무게는 먹이와 서식지 품질에 따라 다르며, 풀만 먹고 가벼운 토양에서 사는 토끼는 뿌리와 클로버가 풍부한 경작지에서 사는 토끼보다 눈에 띄게 작다. 순수한 유럽 토끼가 5kg 이상인 경우는 드물지만, 가끔 보고된다.[23]

털은 뻣뻣한 경모에 덮인 부드러운 솜털로 이루어져 있으며,[26] 일반적으로 회갈색이지만, 매우 다양하다. 경모는 갈색과 검은색 또는 회색으로 줄무늬가 있고, 목덜미와 음낭은 붉은색이다. 가슴 부분은 갈색이고, 나머지 아랫부분은 흰색 또는 회색이다. 등면의 털은 회색이며, 털 끝은 검은색이나 적갈색을 띤다. 복면의 털은 밝은 회색이다. 새끼의 이마에는 종종 흰색 별 모양이 나타나지만, 성체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수염은 길고 검으며, 발은 털로 완전히 덮여 있고 황갈색이다.[25] 꼬리 아랫면은 흰색이며, 위험에서 벗어날 때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는 다른 토끼에게 도망가라는 신호가 될 수 있다.[23]

털갈이는 일 년에 한 번 일어나며, 3월에 얼굴에서 시작하여 등 전체로 퍼진다. 솜털은 10월~11월까지 완전히 대체된다.[25] 유럽 토끼는 밝은 모래색에서 짙은 회색, 완전한 검은색까지 다양한 색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변화는 주로 일반적인 털에 비해 경모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 멜라닌증은 유럽 본토에서 드물지 않지만, 알비노증은 드물다.[27]



''O. cuniculus'' 두개골 측면도


다른 토끼류와 마찬가지로 유럽 토끼의 골격과 근육은 포식자로부터 빠르게 도망쳐 생존하는 데 적합하다. 뒷다리는 과장된 특징으로, 앞다리보다 훨씬 길고 더 많은 힘을 낼 수 있다.[28]

5. 생태

G. E. 로지의 ''모성 본능'' (1898년경).


굴 입구


굴토끼는 땅속에 복잡한 굴을 파서 생활하며, 위험을 느끼면 굴 안으로 도망친다. , 나무 껍질, 뿌리 등을 먹는 초식성 동물이다. 번식 형태는 태생으로, 임신 기간은 28-33일이며 한 번에 5~6마리, 최대 12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암컷은 공동체의 중심에 위치하며 모계 사회를 이룬다.[106]

굴토끼는 변덕스럽고 인상에 민감하며, 동료와 같은 행동을 하려는 경향이 있다. 성적 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고, 서로를 자극하기도 한다. 호기심이 많아 관찰하며, 싸움에서 이길 수 있으면 싸우고, 질 것 같으면 도망치는 모습을 보인다.[107]

5. 1. 서식지

유럽토끼는 주로 배수가 잘 되는 경사면과 둑에서 굴을 파고 서식한다. 굴 입구는 보통 지름이 10cm에서 50cm 정도이며, 입구 주변에 흙이 드러나 있어 쉽게 찾을 수 있다.[21] 토끼들이 굴을 드나들면서 주변 식물의 성장을 막는다. 큰 굴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깊이가 수 미터에 이를 수 있다. 굴은 특정한 계획 없이 여러 세대에 걸쳐 확장되거나 개선된다. 굴을 팔 때는 앞발로 흙을 뒤로 당기고 뒷다리로 흙을 흩뿌리는 방식을 사용한다. 대부분의 굴은 외부에서 파지만, 일부는 지하 포식자로부터 도망칠 때 비상 탈출구 역할을 하는 내부 구멍을 가지고 있다. 이 구멍은 보통 1m에서 1.2m 깊이로 수직으로 뻗어 있으며, 입구에는 흙이 드러나 있지 않다. 새끼들은 풀과 털로 덮인 방에서 잠을 자지만, 어른들은 젖는 것을 피하기 위해 흙 위에서 잠을 자며, 옹기종기 모여 따뜻함을 유지한다.[46] 암컷과 수컷 모두 굴을 파지만, 암컷이 더 능숙하고 오래 굴을 판다.[47]

유럽토끼는 먹이를 구할 수 있는 곳 근처에 안전한 은신처(굴, 바위, 산울타리, 관목, 숲 등)가 있는 짧은 초원 지대를 선호한다. 땅의 배수가 잘 되고 은신처가 있다면 수목 한계선까지 서식할 수 있다. 굴의 크기와 분포는 토양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토끼는 느슨한 토양에서는 굴 붕괴를 막기 위해 나무 뿌리나 관목과 같이 지지 구조가 있는 곳을 선택한다. 백악 지형에서는 모래 지형보다 굴이 더 크고 터널이 더 많이 연결되는 경향이 있다. 대규모 침엽수 재배지에서는 주변 지역과 방화선, 산책로를 따라 나타난다.[50]

5. 2. 사회 행동

유럽 토끼는 2~10마리의 다른 개체들이 소규모 무리를 지어 굴에서 서식하며, 이는 번식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31] 영역성과 공격성은 토끼의 성숙 과정에 크게 기여하며, 개체군의 생존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32] 암컷은 수컷보다 더 영역성을 띠는 경향이 있지만, 암컷이 가장 자주 드나드는 구역은 방어하지 않는다.[33] 영역은 배설물 언덕으로 표시된다.[34]

유럽 토끼는 사교적인 동물로, 암컷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사회 집단을 이루며 하나 이상의 굴 시스템을 공유하며 생활한다. 굴 건설이 비교적 쉬운 지역에서는 사회 구조가 느슨해지는 경향이 있다. 수컷과 암컷 모두에게 우열 관계가 존재한다. 수컷 사이에서 지위는 암컷에 대한 접근을 통해 결정되며, 우세한 수컷이 집단의 대부분의 새끼를 낳는다. 우세한 암컷은 가장 좋은 둥지 자리에 우선적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그러한 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과정에서 심각한 부상이나 죽음에 이르기도 한다. 하위 암컷은, 특히 대규모 집단에서, 일반적으로 주요 굴에서 멀리 떨어진 단일 입구 번식 장소를 사용하게 되며, 이로 인해 여우나 유럽 오소리의 포식에 취약해진다.[36]

5. 3. 번식

유럽 토끼의 짝짓기 시스템에서 우세한 수컷은 일부다처제를 보이며, 지위가 낮은 개체(수컷과 암컷 모두)는 종종 일부일처제 번식 관계를 형성한다. 토끼는 샘을 통해 분비되는 냄새 물질로 다른 동물과 무생물을 표시하여 짝짓기 준비 신호를 보내는데, 이를 "턱질"이라고 한다.[37] 수컷 유럽 토끼는 때때로 서로 친밀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가을에 시작하여 봄까지 이어지는 번식기 동안 수컷 사이에서 격렬한 싸움이 일어날 수 있다.[38] 때로는 짝짓기 계절이 여름까지 연장되기도 한다. 남반구에 도입된 개체군은 달력 연도의 다른 절반 동안 번식기를 경험한다.[39]

연간 4~5개의 연속적인 번식(보통 각 번식당 3~7마리의 새끼,[40] 평균 5마리)이 이루어지지만,[35] 과밀 지역에서는 임신한 암컷이 자궁 내 흡수로 모든 배아를 잃을 수 있다.[40] 출산 직전 암컷은 일반적으로 주요 토끼굴에서 떨어진 열린 들판에 "스톱" 또는 "스태브"라고 알려진 별도의 굴을 짓는다. 이러한 번식 굴은 일반적으로 길이가 몇 피트이며, 암컷의 배에서 뽑아낸 털뿐만 아니라 풀과 이끼로 덮여 있다. 번식 굴은 새끼를 성체 수컷과 포식자로부터 보호한다.[41]

유럽 토끼의 임신 기간은 30일이며,[42][35] 수컷과 암컷 새끼의 성비는 1:1인 경향이 있다. 수컷에게 더 많은 모성 투자는 수컷의 더 높은 출생 체중을 초래할 수 있다.[40] 더 나은 둥지와 먹이를 즐기는 우세한 수컷과 암컷에서 태어난 새끼는 부하 토끼에서 태어난 새끼보다 더 크고 강하게 자라며 더 우세해지는 경향이 있다.[43] 드물지 않게, 유럽 토끼는 출산 직후 다시 짝짓기를 하며, 일부 개체는 임신한 상태에서 이전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 것이 관찰되었다.[42] 암컷 유럽 토끼는 생후 3개월에 임신할 수 있지만, 2세가 될 때까지 완전한 생식 능력을 갖지 못하며, 그 후 4년 더 번식할 수 있다.[39]

암컷 유럽 토끼는 밤에 한 번, 단 몇 분 동안만 새끼에게 젖을 먹인다. 수유가 끝나면 암컷은 흙과 식물로 스톱 입구를 봉한다. 원산지인 이베리아와 프랑스 남부 지역에서 유럽 토끼 새끼는 하루에 5g의 성장률을 보이지만, 비원산지 지역에서는 새끼가 하루에 10g 자랄 수 있다. 출생 시 체중은 30g에서 35g이며 이유기 동안 21~25일이 되면 150g에서 200g으로 증가한다.[40] 유럽 토끼 새끼는 눈이 멀고, 귀가 안 들리며, 거의 털이 없는 상태로 태어난다. 귀는 생후 10일이 되어야 움직일 수 있고, 13일 후에 세울 수 있다. 눈은 출생 후 11일에 뜬다.[42][39] 18일이 되면 새끼는 굴을 떠나기 시작한다. 수컷의 성적 성숙은 4개월에 도달하며, 암컷은 3~5개월에 번식을 시작할 수 있다.[40]

5. 4. 식성

굴토끼는 다양한 을 먹으며, 특히 을 선호하고 그중에서도 영양가가 높은 종, 특히 겨이삭새의 어린 잎과 싹을 선호한다. 혼합 경작지에서는 옥수수쌍떡잎식물보다 겨울 밀을 선호한다.[51] 겨울철 배고픈 토끼는 나무 껍질을 먹기도 한다. 블랙베리도 먹으며, 사육된 유럽 토끼는 가시나무도토리로 구성된 사료를 먹여 상당한 체중 증가를 유발할 수 있다.[52] 뿌리 채소를 먹을 때 토끼는 통째로 먹는다.[53]

다른 토끼과 동물과 마찬가지로 굴토끼는 부드럽고 점액으로 덮인 배설물을 생성하며, 이를 항문에서 직접 섭취한다.[51] 부드러운 배설물은 단백질이 풍부한 박테리아로 채워져 있으며, 광택이 나는 덩어리로 직장으로 내려가면 토끼는 막을 뚫지 않고 통째로 삼킨다.[54]

5. 5. 포식자

굴토끼는 여우, 딩고, 늑대, 스라소니, 울버린, 등 다양한 포식자들의 먹이가 된다. 굴토끼는 굴 등으로 빠르게 도망칠 수 있어 성체 굴토끼가 잡히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적지만, 어린 굴토끼는 기습에 취약하다.[55] 스페인에서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굴토끼는 자신을 잡아먹은 포식자의 분변 냄새를 감지하고 해당 지역을 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6]

오소리는 얕은 굴에 있는 새끼 굴토끼를 파내어 잡지만, 성체는 너무 빨라 잡기 힘들다. 들고양이와 집고양이는 굴에서 나오는 어린 굴토끼를 주로 노리며, 스코틀랜드 동부에서는 굴토끼가 들고양이 먹이의 90% 이상을 차지하기도 한다.[22] 대부분의 집고양이는 건강한 성체 굴토끼를 사냥하기 어렵지만, 약하거나 병든 개체는 잡을 수 있다. 어미 굴토끼는 새끼를 보호하기 위해 족제비과 동물들을 쫓아내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족제비과 동물을 보면 도망치며, 본능적인 두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55]

굴토끼는 유럽족제비 먹이의 85%를 차지하며, 아메리카밍크 암컷의 번식 성공에도 영향을 미친다.[22] 갈색쥐는 여름철 굴토끼 굴에 서식하며 무리 지어 새끼를 공격하는 심각한 위협 요인이다.[57][58] 금수리나 바다수리와 같은 대형 맹금류는 굴토끼를 둥지로 운반할 수 있지만, 작은 맹금류는 굴토끼를 운반하기 어렵다. 올빼미는 주로 아주 작은 새끼만 사냥한다.[55] 이베리아 반도에서 굴토끼 개체 수가 감소하면서 이베리아스라소니와 스페인제국수리의 개체 수도 함께 감소했다.[59][60]

6. 인간과의 관계

유럽 토끼는 가축화된 유일한 토끼 종으로, 네덜란드 드워프에서 플레미쉬 자이언트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 305가지 품종이 모두 유럽 토끼의 후손이다. 문화에 따라 식량, 애완동물, 또는 해충으로 취급될 수 있다. 일부 도시 지역에서는 애완용에서 파생된 야생 유럽 토끼의 침입이 문제가 되기도 한다.



유럽 토끼는 여러 환경에 외래종으로 도입되었으며, 종종 식생과 지역 야생 동물에게 해로운 결과를 초래하여 침입종이 되었다. 세계의 침략적 외래종 100 (IUCN)에 선정되어 있다.

  • '''오스트레일리아''' : 1859년 토마스 오스틴이 빅토리아에 유럽 토끼 24마리를 들여왔다. 천적이 없고, 광범위한 농경지에 적합한 서식지를 제공하며, 일 년 내내 번식이 가능한 온화한 기후로 인해 그들의 후손들은 급증하여 전국으로 퍼져나갔다. 호주의 토착종인 빌비는 토끼에 의해 빠르게 밀려났다. 1901년에서 1907년 사이, 호주는 굴토끼의 서쪽 확산을 막기 위해 "토끼 방지 울타리"를 건설했지만, 높이 뛸 수 있고 땅속에 굴을 팔 수 있는 토끼에게는 무용지물이었다. 1950년대에 점액종증 바이러스의 의도적인 도입은 호주에서 어느 정도 효과를 보았지만, 오늘날 야생 토끼들은 대부분 점액종증에 면역력을 가지고 있다. 토끼 출혈성 질병 (RHD)은 생물학적 방제 제제로 호주에서 승인되어 수백만 마리의 유럽 토끼를 죽였다.
  • '''칠레''' : 유럽 토끼 도입은 18세기 중반에 처음 언급된다. 19세기에는 칠레 중부에 토끼와 토끼 우리가 존재했다는 기록이 있다. 농민에게 저렴한 식량 공급원으로 여겨져 국가 차원에서 토끼 수입과 사육을 장려했다. 20세기 초 야생 토끼의 위험성에 대한 경고가 제기되었고, 1920년대 후반에는 칠레 중부, 티에라델푸에고, 후안 페르난데스 제도에서 급격히 번식했다. 현대에도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지만, 티에라델푸에고에서 의도적인 점액종 발병으로 지역 토끼 개체수가 감소했다.


유럽 토끼는 점액종증에 의해 치명적인 공격을 받는 유일한 종이다. 토끼 출혈성 질환(RHD)은 유럽 토끼에게만 나타나며 급성 괴사성 간염,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출혈(주로 폐에서)을 유발한다. 감염에 취약한 개체는 감염 후 30시간 이내에 사망할 수 있다.[84][62]

6. 1. 한국에서의 굴토끼

한국에서는 굴토끼를 주로 애완용으로 기르며, 네덜란드 드워프부터 플레미쉬 자이언트까지 다양한 품종이 존재한다. 그러나 유기되거나 방치되는 굴토끼가 늘어나면서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유기된 굴토끼는 야생에서 생존하기 어렵고, 질병에 취약하며, 로드킬 등의 위험에 노출된다.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유기 굴토끼 구조 및 보호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7. 보존 상태

유럽 토끼는 도입된 많은 지역에서 번성하지만, 원산지인 이베리아반도에서는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 2005년, 포르투갈 자연 보전 및 산림 연구소(Institute for Nature Conservation and Forests)는 포르투갈에서 ''O. cuniculus''를 "취약 근접"으로 분류했고,[103] 2006년, 스페인 당국(SECEM)은 스페인에서 이를 "취약"으로 재분류했다.[104] 2018년, 국제 자연 보전 연맹(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은 스페인, 포르투갈, 프랑스에서 ''O. cuniculus''를 최근 감소 추세를 이유로 위기로 재분류했다. 전 세계적으로 이 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1]

참조

[1] 논문 2020
[2] 논문 2005
[3] 논문 2006, 2024
[4] 논문 1910
[5] 논문 https://anglo-norman[...] 2024
[6] 논문 2002
[7] 논문 1898
[8] 논문 1962
[9] 논문 1910
[10] 논문 2008
[11] 논문 2004
[12] 논문 2005
[13] 논문 2008
[14] 논문 2022
[15] 논문 2015
[16] 논문 2023
[17] 논문 1858
[18] 논문 2014
[19] 논문 2008
[20] 논문 2017
[21] 논문 2008
[22] 논문 2008
[23] 논문 1898
[24] 논문 1910
[25] 논문 2008
[26] 논문 2013
[27] 논문 2008
[28] 논문 2011
[29] 논문 1958
[30] 논문 2016
[31] 논문 1981
[32] 논문 1977
[33] 논문 1987
[34] 논문 1972
[35] 논문 2022
[36] 논문
[37] 논문
[38] 논문
[39] 논문
[40] 논문
[41] 논문
[42] 논문
[43] 논문
[44] 논문
[45] 논문
[46] 논문
[47] 논문
[48] 논문
[49] 논문
[50] 논문
[51] 논문
[52] 논문
[53] 논문
[54] 논문
[55] 논문
[56] 논문
[57] 논문
[58] 논문
[59] 논문
[60] 논문
[61] 논문
[62] 논문
[63] 논문
[64] 논문
[65] 논문
[66] 논문
[67] 논문
[68] 논문
[69] 논문
[70] 논문
[71] 논문 1975
[72] 논문 2007
[73] 논문 2011
[74] 논문 2021
[75] 논문 The rabbit in Britain https://doi.org/10.1[...] 1994
[76] 논문 2001
[77] 논문 2009
[78] 논문 2022
[79] 논문 2023
[80] 논문 2021
[81] 논문 1962
[82] 논문 2008
[83] 논문 1910
[84] 논문 2008
[85] 논문 1976
[86] 논문 2021
[87] 논문 2008
[88] 논문 2006
[89] 논문 Introduction http://www.cabidigit[...] 2022
[90] 논문
[91] 논문 2018
[92] 논문 2004
[93] 논문 2015
[94] 논문
[95] 논문 2017
[96] 논문 2020
[97] 논문 Rabbit Breeds http://www.cabidigit[...] 2022
[98] 논문 Angora Wool Production http://www.cabidigit[...] 2022
[99] 논문 1898
[100] 논문 1914
[101] 논문 1910
[102] 논문 1910
[103] 논문 2005
[104] 논문 2006
[105] 웹사이트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 2008
[106] 서적 アナウサギの生活 1973
[107] 서적 アナウサギの生活 1973
[108] 웹사이트 24匹が8億匹に! ウサギで豪大陸を侵略した英国人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日本版 2021-05-03
[109] IUCN Oryctolagus cuniculus https://www.iucnredl[...]
[110] 웹사이트 Oryctolagus cuniculus European rabbit http://animaldivers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