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가(Nāga)는 뱀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단어로, 인도 코브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으며, 힌두교와 불교를 비롯한 여러 문화권의 신화와 민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힌두교에서는 코브라의 형상을 한 신들의 집단으로 묘사되며, 지하 세계의 보물을 지키는 존재로 여겨진다. 불교에서는 붓다를 보호하는 수호신으로 등장하며, 티베트 불교에서는 물과 관련된 영적 존재로 숭배된다. 나가의 개념은 동남아시아, 특히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각 지역의 문화와 신화에 영향을 미쳤다. 나가의 이야기는 다양한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문학 작품, 게임 등 대중문화에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힌두교 예배 - 아슈바메다
아슈바메다는 고대 인도 왕이 권력, 영광, 영토 확장 등을 위해 수행했던 말 희생 의식이며, 굽타 제국 시대 금화에도 나타나고 복잡한 절차를 거쳤으며 비판도 받았으나 현대에는 상징적인 의미로 재해석되기도 한다. - 나가 - 나가라자
나가라자는 힌두교와 불교 경전에 등장하는 뱀 또는 용의 왕으로, 힌두교에서는 셰샤 등이, 불교에서는 무찰린다 등이 중요하게 묘사되며 인도 곳곳에 이들을 기리는 사원이 존재한다. - 나가 - 파탈라
파탈라는 힌두교와 불교 신화에 등장하는 지하 세계로, 힌두교에서는 스바르가보다 아름다운 곳으로, 불교에서는 나가와 아수라가 사는 지하 낙원으로 묘사된다. - 물의 신 - 네레우스
네레우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바다의 신으로, 폰토스와 가이아의 아들이며 도리스와의 사이에서 네레이데스를 낳았고, 변신술과 예언 능력을 가진 정직한 인물로 묘사된다. - 물의 신 - 에르사
나가 | |
---|---|
개요 | |
![]() | |
분야 | 힌두교, 불교 |
거주지 | 파탈라 |
텍스트 | 마하바라타, 푸라나 |
어원 | |
설명 | |
설명 | 나가(산스크리트어: नाग, Nāga)는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에서 나타나는 신화적인 존재다. 주로 뱀의 형상으로 묘사되며, 강력한 힘과 신성한 능력을 지닌 것으로 여겨진다. |
특징 | |
특징 | 나가의 이미지는 문화권과 종교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코브라와 같은 뱀의 머리를 여러 개 가지고 있거나, 인간의 몸에 뱀의 꼬리를 가진 모습으로 묘사된다. 나가는 물과 땅을 지배하는 존재로 여겨지며, 종종 보물과 비밀스러운 지식을 지키는 수호자로 등장한다. 불교에서는 부처를 보호하고 불법을 수호하는 존재로 나타나기도 한다. |
신화와 전설 | |
신화와 전설 | 힌두 신화에서 나가는 카드루와 카샤파 사이에서 태어난 자손으로 여겨진다. 중요한 나가로는 아난타, 바수키, 탁샤카 등이 있다. 나가와 관련된 많은 이야기와 전설이 인도 신화와 민간 신앙에 등장한다. |
숭배 | |
숭배 | 나가는 인도 아대륙 전역에서 숭배의 대상이다. 나가 숭배는 풍요와 번영, 보호를 기원하는 의미를 지닌다. 나가 숭배는 사찰이나 신성한 장소에서 행해지며, 특별한 의식과 제물을 바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특히 나가판차미와 같은 축제는 나가 숭배의 중요한 부분이다. |
문화적 의미 | |
문화적 의미 | 나가는 인도 문화에서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나가는 힘, 지혜, 보호, 풍요 등을 상징하며, 예술, 건축,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영감을 제공한다. 나가의 이미지는 사찰, 조각, 그림, 민속 예술 등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
기타 | |
기타 | 나가라는 이름은 현대의 나가족이라는 민족 집단을 가리키기도 한다. |
2. 어원
산스크리트어 '나가/nāgása'(नागsa)는 뱀을 의미하며, 가장 흔하게 인도 코브라 (''Naja naja'')로 묘사된다.[4] ''나가/nāgása''의 동의어는 ''파닌/phaṇinsa'' (फणिन्sa)이다. "뱀"을 뜻하는 단어는 여러 개가 있는데, 매우 흔히 사용되는 단어 중 하나는 ''사르파/sarpása'' (सर्पsa)이다. 때로는 ''나가/nāgása''라는 단어가 일반적인 의미로 "뱀"을 뜻하기도 한다.[4] 이 단어는 영어 'snake'와 어원을 공유하며, 게르만어: ''*snēk-a-'', 인도유럽조어: ''*(s)nēg-o-'' (s-이동성 포함)와 관련이 있다.[5]
나가(Nagas)는 코브라 형태로 자주 나타나는 뱀 모양의 신들의 집단으로, 힌두교 도상학, 힌두 경전(특히 마하바라타의 첫 번째 책)과 지역 민간 신앙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7] 히말라야 일부 지역에서는 나가들이 그 지역의 신성한 통치자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쿨루 계곡, 베리나그, 그리고 아홉 배의 나이니 데비가 지배한다고 여겨지는 핀다르 강 계곡이 그러하다.[8] 카슈미르의 닐라마 푸라나와 카트만두의 스와얌부 푸라나에서는 각 지역이 나가가 살고 있는 호수로 시작되며, 나중에 물이 빠진다고 설명한다.[8]
또는, "털 없는, 벌거벗은 동물"을 의미하는 인도유럽어 어원을 통해, 산스크리트어 단어 ''nāga''가 "구름", "산" 또는 "코끼리"를 뜻할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할 수 있다.[6]
3. 힌두교
마하바라타, 라마야나, 푸라나와 같은 고대 산스크리트어 경전은 나가들을 강력하고 화려하며 자부심 강한 반신적 존재로 묘사한다. 이들은 인간(주로 머리 뒤에 코브라 후광이 있는 형태), 부분적으로 인간인 뱀, 또는 완전한 뱀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나가들의 영역은 보석, 금 및 기타 지상의 보물로 가득 찬 마법의 지하 세계인 '나가-로카' 또는 '파탈라-로카'이다. 또한 강, 호수, 바다, 우물을 포함한 물과 자주 연관되며 보물의 수호자 역할을 한다.[9] 나가들의 힘과 독은 인간에게 잠재적으로 위험할 수 있지만, 힌두 신화에서 이들은 종종 자비로운 역할을 수행한다. 사무드라 만탄에서 시바의 목에 머무는 나가라자인 바수키는 우유의 바다를 휘젓는 밧줄이 되었다.[10] 나가들의 영원한 숙적은 전설적인 반신 조류인 가루다이다.[11]
비슈누는 원래 세샤나가에 의해 보호되거나 세샤에 기대는 형태로 묘사되었지만, 이러한 도상학은 다른 신들에게도 확장되었다. 뱀은 가네샤 도상학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특징인데, 목 주위,[12] 신성한 실(산스크리트어: ''야즈뇨파비타/yajñyopavītasa'')[13]로 사용, 배를 감싸는 벨트, 손에 들린 모습, 발목에 감긴 모습, 또는 왕좌의 형태로 나타난다.[14] 시바 역시 종종 뱀으로 장식된 모습으로 나타난다.[15]
3. 1. 민간 신앙
남인도에서는 흰개미 언덕이 여성 나가마스(Nagammas)의 거주지로 여겨진다.[16][17][18] 반면, 핀다르 계곡의 나이니 데비와 같은 히말라야 나가스와 나기니스는 지하 세계의 존재로서 물 자원과 마을 및 계곡의 안녕을 보호하는 존재로 숭배받는다.[19][20]
3. 2. 문헌
마하바라타 서사시는 나가족을 처음 소개하는 텍스트로, 그들을 자세히 묘사하고 그들의 이야기를 서술한다.[21] 코스믹 뱀 쉬샤, 나가라자(나가 왕)인 바수키, 탁샤카, 아이라바타, 카르코타카, 그리고 공주 울루피가 모두 마하바라타에 묘사되어 있다.
브라마 푸라나는 파탈라에서 뱀들의 왕으로서 아디세샤의 통치를 설명한다.[22] 아디세샤는 천 개의 후드를 가지고 있으며 순수함이 없는 스바스티카 장식으로 분명히 장식되어 있고 그의 후드에 천 개의 보석으로 모든 구역을 비춘다고 묘사된다.
캄바 라마야나는 사무드라 만타나에서 바수키의 역할을 설명한다.[23] 데바와 아수라가 바다를 휘저어 아므리타 (불멸의 천상의 꿀)를 얻는 과정에서 바수키가 줄로 사용되었다.
데비 바가바타 푸라나는 마나사의 전설을 설명한다.[24] 마나사는 카샤파의 마음에서 태어난 딸이며, 비슈누의 신봉자이자 시다 요기니이다. 그녀는 뱀의 독을 제거하는 능력을 가졌다고 묘사된다.
4. 불교
힌두교에서와 마찬가지로, 불교의 나가도 때때로 뱀 또는 용이 머리 위로 뻗어 있는 인간으로 묘사된다.[25] 한 나가(nāga)는 인간의 모습으로 승려가 되려고 했고, 그러한 서임이 불가능하다고 들었을 때, 붓다는 그에게 인간으로 다시 태어나 승려가 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었다.[26]
나가들은 다른 작은 신들과 함께 나가로카에 살고 있다고 여겨지며, 인간이 거주하는 지구의 여러 부분에도 산다. 그들 중 일부는 물에 사는 존재로, 시내나 바다에 살고, 다른 일부는 땅에 사는 존재로, 동굴에 산다.
나가들은 사천왕 중 서쪽을 지키는 비루팍샤(Pāli: Virūpakkha)의 추종자이다. 그들은 수미산을 지키며, 아수라의 공격으로부터 데바 도리천을 보호한다.
불교 전통에서 주목할 만한 나가 중 하나는 붓다의 수호자이자 나가라자인 무찰린다이다. 비나야 수트라(I, 3)에서, 붓다는 깨달음을 얻은 직후 숲에서 명상하고 있을 때 큰 폭풍이 일어났지만, 무찰린다 왕은 붓다의 머리를 일곱 개의 뱀 머리로 덮어 붓다를 폭풍으로부터 보호했다.[27] 그런 다음 왕은 젊은 브라만의 모습으로 붓다에게 경의를 표했다.[27]
금강승과 마하싯다 전통에서, 반인반수 형태의 나가들은 나가 보석, 암리타의 쿰바, 또는 수행자들이 원소적으로 인코딩한 테르마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티베트 불교에서, 나가들은 ''클루'' 또는 ''클루-모''로 알려져 있으며, 바다, 강, 호수, 샘에 살면서 환경이 방해받거나 오염되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에 물과 청결과 관련이 있다.[28]
붓다의 두 수제자, 사리푸타와 목갈라나는 모두 ''마하나가'' 또는 "위대한 나가"로 불린다.[29] 불교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 일부는 디그나가, 나가세나, 그리고 다른 어원이 그의 이름에 할당되지만 나가르주나와 같이 자신의 이름에서 나가를 상징한다.
4. 1. 문헌
팔리 경전의 나가 상윳타는 나가의 본성에 대해 설명하는 수트라로 구성되어 있다.''법화경''의 "제바달다" 장에서 용왕의 딸인 여덟 살 용녀 (龍女, 나가칸야/nāgakanyāsa)는 문수보살이 법화경을 설법하는 것을 들은 후, 남성 보살로 변신하여 즉시 완전한 깨달음을 얻는다.[30][31][32] 어떤 이들은 이 이야기가 중생이 깨달음에 이르기 위해서는 남성 신체를 필요로 한다는 대승 경전에 널리 퍼진 견해를 강화하는 것처럼 보인다고 말한다. 설령 그 존재가 자신의 몸을 마음대로 변형하고 육체의 무상함을 증명할 수 있을 만큼 깨달음에 이르렀다고 할지라도 말이다.[33] 그러나, 많은 불교 종파와 고전적이고 중요한 중국의 주석가들은 이 이야기를 이 견해를 반박하는 것으로 해석하며, 이 이야기는 여성도 현재의 모습으로 붓다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한다.[30]
전통에 따르면, 반야바라밀다 경전은 부처가 바다에서 그것들을 지키는 위대한 나가에게 주었으며, 나중에 용수에게 전해졌다고 한다.[34][35]
티베트 불교 문헌에서, 나가들은 단순히 부나 초자연적, "영적" 보물이 될 수 있는 물속 보물의 수호자 또는 소유자로 묘사된다.[28]
5. 다른 전통
태국과 자바에서 나가(nāga)는 부유한 지하 세계의 신이다. 말레이시아 선원들에게 나가는 여러 개의 머리를 가진 용의 일종이다. 라오스에서는 부리가 달린 물뱀이다. 티베트에서는 수로와 지하에 존재한다고 하며, 인간의 부주의로 인한 자연 환경에 대한 고통에 취약하다고 한다.
'''나가족'''은 고대 부족으로, 스리랑카의 기원으로 여겨졌다.[36] 마하밤사, 마니메카라이와 같은 여러 고대 텍스트, 그리고 다른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 문헌에서도 그들에 대한 언급이 있다.[38] 그들은 일반적으로 지하 세계에 거주하는 뱀의 형태로 초인으로 묘사된다. V. Kanakasabhai에 따르면 남인도와 북동부 스리랑카 전역에 널리 퍼져 있던 Oliyar, Parathavar, Maravar, 그리고 Eyinar는 모두 나가족 부족이다.[37] 타밀 족장령의 나가족은 타밀어를 채택하여 주요 민족 집단에 동화되었다.[36]
캄보디아 프놈펜의 왕궁에 있는 캄보디아의 일곱 머리 나가.
나가(네악/នាគkm)에 대한 이야기는 수천 년 동안 크메르족 사회의 일부였으며, 푸난 시대(នគរភ្នំkm)로 거슬러 올라간다. 두 명의 중국 사신인 강태와 주영의 보고에 따르면, 카운디냐 1세(កៅណ្ឌិន្យទី១km)라는 인도 왕자가 소마 여왕(소마/សោមាkm 꼰 쁘레아 짠/កូនព្រះចន្ទkm; "소마, 달의 신의 딸"; 중국어: ''柳叶''; "버드나무 잎")라는 나가 공주와 결혼하면서 서기 1세기에 푸난이 건국되었다. 이 부부는 프레아 통과 네앙 네악의 이야기에서 상징된다.
전설에 따르면, 카운디냐는 꿈에서 사원에서 마법의 활을 가져다가 나가 공주이자 나가 왕의 딸인 소마를 물리치라는 지시를 받았다. 그 후의 전투에서 그들은 사랑에 빠져 결혼했고, 푸난 왕조의 왕족 계통을 세웠다. 카운디냐는 그 후 수도인 비야다푸라를 건설했고, 왕국은 ''캄부자데사'' 또는 캄보디아(캄푸치아/កម្ពុជាkm)로 알려지게 되었다.[39][40][41]
카운디냐와 소마의 사랑 이야기는 결혼식과 기타 의식을 포함하여 현대 크메르 문화의 많은 표준 관행의 기초가 된다.[42][43]
크메르족은 자신을 나가의 후손으로 여기며, 많은 사람들이 나가가 오늘날에도 존재하며 언젠가는 돌아와 그들의 사람들에게 번영을 회복할 것이라고 믿고 있다.
전쟁, 자연, 그리고 시간의 흐름으로 인해 푸난 시대의 많은 사찰들이 파괴되었지만, 나가는 첸라 및 앙코르 시대의 고대 사찰에서 여전히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뱀 사원"(쁘라삿 네악 포안/ប្រាសាទនាគព័ន្ធkm)이라고 불리는 사원은 이전에는 "황제의 재산 사원"(쁘라삿 리어 찌 쓰라이/ប្រាសាទរាជ្យស្រីkm)이라고 불렸다.[44]
크메르 문화에서 나가는 비를 상징하며, 인간계(탄 머누/ឋានមនុស្សkm)와 데바의 영역(천국; 탄 떼웨다/ឋានទេវតាkm/탄 수어/ឋានសួគ៌km) 사이의 다리를 나타낸다. 그들은 반 또는 완전한 인간으로 변신하여 보이지 않는 힘, 신 또는 악의적인 의도에 대한 보호자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캄보디아의 나가는 머리 수에 따라 수적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 홀수 머리 나가는 남성성, 무한, 영원함, 불멸을 구현하는데, 모든 홀수는 숫자 1(១)에서 파생되기 때문이다. 짝수 머리 나가는 여성성, 육체성, 필멸성, 시간성, 그리고 지구를 나타낸다. 홀수 머리 나가는 불멸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지며 캄보디아 전역에서 조각되어 사용된다.[45][46]
1-headed Nāga: 현대에 주로 보이며, 사찰, 수도원, 왕궁 및 신(អទីទេព)의 거주지에서 보호를 위해 조각된다. 이들은 세상의 모든 것이 사라져도 승리와 행복을 가져다주는 이 Nāga는 여전히 남아 있다는 것을 상징한다.
3-headed, Kalyak: 인간과 신의 영역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종종 악으로 묘사되는 재물의 수호자로서 바다 밑에서 산다(상징과는 무관). 그들은 힌두교의 트리무르티를 상징한다. (왼쪽 비슈누, 가운데 시바, 오른쪽 브라흐마)와 세 영역, 즉 하늘 (데바의 영역), 땅 (인간의 영역), 지옥 (노록의 영역)을 상징한다. 불교에서 중앙의 머리는 붓다, 오른쪽은 달마, 왼쪽은 승려를 나타낸다.
5-headed Anontak/Sesak: 지구적 요소에서 태어났으며 불멸자이다. 그들은 5개의 방향을 상징한다. 동, 서, 북, 남 및 중앙 (갠지스 강, 인더스강, 야무나 강, 브라마푸트라강 (브라흐마의 아들 강), 사라스바티 강). 불교에서 5개의 머리는 5명의 붓다, 즉 Kadabak, Kunsontho, Koneakumno, Samnak Koudom 고타마 붓다, Seare Metrey를 나타낸다.
7-headed Muchlentak: 히말라야 산맥에서 유래되었으며, 인간에게 평화와 번영을 가져다준다. 그들은 'Seytontaraksatakboriphorn'이라고 불리는 7개의 대양과 7개의 산을 통제한다. 고타마 붓다를 7일 밤낮으로 보호했다 (무찰린]). 종종
5. 1. 스리랑카
'''나가족'''은 고대 부족으로, 스리랑카의 기원으로 여겨졌다.[36] 마하밤사, 마니메카라이와 같은 여러 고대 텍스트, 그리고 다른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 문헌에서도 그들에 대한 언급이 있다.[38] 그들은 일반적으로 지하 세계에 거주하는 뱀의 형태로 초인으로 묘사된다. V. Kanakasabhai에 따르면 남인도와 북동부 스리랑카 전역에 널리 퍼져 있던 Oliyar, Parathavar, Maravar, 그리고 Eyinar는 모두 나가족 부족이다.[37] 타밀 족장령의 나가족은 타밀어를 채택하여 주요 민족 집단에 동화되었다.[36]
5. 2. 캄보디아
캄보디아 프놈펜의 왕궁에 있는 캄보디아의 일곱 머리 나가.
나가(네악/នាគkm)에 대한 이야기는 수천 년 동안 크메르족 사회의 일부였으며, 푸난 시대(នគរភ្នំkm)로 거슬러 올라간다. 두 명의 중국 사신인 강태와 주영의 보고에 따르면, 카운디냐 1세(កៅណ្ឌិន្យទី១km)라는 인도 왕자가 소마 여왕(소마/សោមាkm 꼰 쁘레아 짠/កូនព្រះចន្ទkm; "소마, 달의 신의 딸"; 중국어: ''柳叶''; "버드나무 잎")라는 나가 공주와 결혼하면서 서기 1세기에 푸난이 건국되었다. 이 부부는 프레아 통과 네앙 네악의 이야기에서 상징된다.
전설에 따르면, 카운디냐는 꿈에서 사원에서 마법의 활을 가져다가 나가 공주이자 나가 왕의 딸인 소마를 물리치라는 지시를 받았다. 그 후의 전투에서 그들은 사랑에 빠져 결혼했고, 푸난 왕조의 왕족 계통을 세웠다. 카운디냐는 그 후 수도인 비야다푸라를 건설했고, 왕국은 ''캄부자데사'' 또는 캄보디아(캄푸치아/កម្ពុជាkm)로 알려지게 되었다.[39][40][41]
카운디냐와 소마의 사랑 이야기는 결혼식과 기타 의식을 포함하여 현대 크메르 문화의 많은 표준 관행의 기초가 된다.[42][43]
크메르족은 자신을 나가의 후손으로 여기며, 많은 사람들이 나가가 오늘날에도 존재하며 언젠가는 돌아와 그들의 사람들에게 번영을 회복할 것이라고 믿고 있다.
전쟁, 자연, 그리고 시간의 흐름으로 인해 푸난 시대의 많은 사찰들이 파괴되었지만, 나가는 첸라 및 앙코르 시대의 고대 사찰에서 여전히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뱀 사원"(쁘라삿 네악 포안/ប្រាសាទនាគព័ន្ធkm)이라고 불리는 사원은 이전에는 "황제의 재산 사원"(쁘라삿 리어 찌 쓰라이/ប្រាសាទរាជ្យស្រីkm)이라고 불렸다.[44]
크메르 문화에서 나가는 비를 상징하며, 인간계(탄 머누/ឋានមនុស្សkm)와 데바의 영역(천국; 탄 떼웨다/ឋានទេវតាkm/탄 수어/ឋានសួគ៌km) 사이의 다리를 나타낸다. 그들은 반 또는 완전한 인간으로 변신하여 보이지 않는 힘, 신 또는 악의적인 의도에 대한 보호자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캄보디아의 나가는 머리 수에 따라 수적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 홀수 머리 나가는 남성성, 무한, 영원함, 불멸을 구현하는데, 모든 홀수는 숫자 1(១)에서 파생되기 때문이다. 짝수 머리 나가는 여성성, 육체성, 필멸성, 시간성, 그리고 지구를 나타낸다. 홀수 머리 나가는 불멸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지며 캄보디아 전역에서 조각되어 사용된다.[45][46]
5. 2. 1. 홀수 머리 나가
1-headed Nāga: 현대에 주로 보이며, 사찰, 수도원, 왕궁 및 신(អទីទេព)의 거주지에서 보호를 위해 조각된다. 이들은 세상의 모든 것이 사라져도 승리와 행복을 가져다주는 이 Nāga는 여전히 남아 있다는 것을 상징한다.3-headed, Kalyak: 인간과 신의 영역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종종 악으로 묘사되는 재물의 수호자로서 바다 밑에서 산다(상징과는 무관). 그들은 힌두교의 트리무르티를 상징한다. (왼쪽 비슈누, 가운데 시바, 오른쪽 브라흐마)와 세 영역, 즉 하늘 (데바의 영역), 땅 (인간의 영역), 지옥 (노록의 영역)을 상징한다. 불교에서 중앙의 머리는 붓다, 오른쪽은 달마, 왼쪽은 승려를 나타낸다.
5-headed Anontak/Sesak: 지구적 요소에서 태어났으며 불멸자이다. 그들은 5개의 방향을 상징한다. 동, 서, 북, 남 및 중앙 (갠지스 강, 인더스강, 야무나 강, 브라마푸트라강 (브라흐마의 아들 강), 사라스바티 강). 불교에서 5개의 머리는 5명의 붓다, 즉 Kadabak, Kunsontho, Koneakumno, Samnak Koudom 고타마 붓다, Seare Metrey를 나타낸다.
7-headed Muchlentak: 히말라야 산맥에서 유래되었으며, 인간에게 평화와 번영을 가져다준다. 그들은 'Seytontaraksatakboriphorn'이라고 불리는 7개의 대양과 7개의 산을 통제한다. 고타마 붓다를 7일 밤낮으로 보호했다 (무찰린]). 종종
5. 3.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에서 나가는 왕관을 쓴 거대한 마법 뱀으로 묘사되며 때로는 날개가 달리기도 한다. 이는 자바 문화, 순다족, 발리 문화에서 나타나며, 시바-힌두교 전통과 자바의 애니미즘이 융합된 결과이다.[47] 인도네시아의 나가는 주로 인도 전통에서 유래되어 신성한 뱀에 대한 토착 애니미즘 전통과 결합되었다. 산스크리트어로 ''나가''(nāga)는 문자 그대로 뱀을 의미하지만, 자바에서는 일반적으로 물과 다산과 관련된 뱀 신을 지칭한다. 보로부두르에서 나가는 인간의 모습으로 묘사되지만, 다른 곳에서는 동물의 모습으로 묘사된다.[47]9세기경 중부 자바의 초기 묘사는 코브라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인도 나가와 매우 유사했다. 이 시기에는 나가-뱀이 요니-링감의 물받침을 지탱하는 거대한 코브라로 묘사되었다. 나가 조각의 예는 프람바난, 삼비사리, 이조, 자위를 포함한 여러 자바 찬디에서 찾을 수 있다. 동부 자바의 페나타란 사원 단지에는 힌두-자바 여상이 살찐 나가를 높이 들고 있는 특이한 나가-사원이 있다.[48]
그러나 15세기 이후의 묘사는 중국 용의 이미지에 약간 영향을 받았지만, 중국의 용과 달리 자바와 발리의 나가는 다리가 없다. 땅과 물의 작은 신으로서의 나가는 이슬람이 도입되기 전 힌두교 시대의 인도네시아에서 널리 퍼져 있었다.
발리 전통에서 나가는 종종 가루다와 싸우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정교하게 조각된 나가는 발리 사원, 우붓 원숭이 숲, 족자카르타의 타만 사리와 같은 다리나 계단의 난간에서 발견된다.
와양 극 이야기에서 상향 아난타보가 또는 안타보가라는 뱀 모양의 신(나가)은 땅의 내장 속에 있는 수호신이다.[49][50] 나가는 땅 또는 지하 세계의 저승을 상징한다.
5. 4. 라오스
나가()는 라오스의 메콩강이나 그 하구에 서식한다고 여겨진다. 라오스 신화에 따르면, 나가는 비엔티안의 수호자이며, 더 나아가 라오스 국가의 수호자이기도 하다.[51] 아누웡 통치 기간과 직후에 나가와의 연관성이 가장 명확하게 나타났다. 이 시기의 중요한 시인 *산 르푸선*()은 라오스와 태국의 관계를 나가와 가루다를 각각 라오스와 태국을 대표하여 은유적으로 묘사하고 있다.[51] 나가는 라오스 도상학에 광범위하게 통합되어 있으며, 라오스 전역의 문화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5. 5. 태국
'''파야 낙''' 또는 '''파야 나가''' (; 나가의 군주) 또는 태국 신앙에서 락카랏(; 나가의 왕)은 나가를 물의 수호신으로 여긴다.[52] 나가들은 물속이나 동굴에 산다고 믿어진다. 유명한 전설에 따르면, 메콩강은 이산 지역과 라오스를 지나가는 두 명의 나가라자가 지나가면서 생겨났다고 하며, 이로 인해 메콩강과 인근의 난강이 생겨났다고 한다. 메콩강은 오랫동안 강에 사는 나가들이 만들어낸 것으로 여겨지는 나가 불덩이 현상과 동의어이다.[53]2022년 11월, 태국 정부는 나가를 태국 국기의 상징으로 선포했다. 나가는 태국 국민과 오랫동안 믿음과 연결된 신화 속 존재이며, 국가 상징으로 지정된 것은 태국 문화를 보존하고 홍보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이다. 나가는 또한 물과 풍요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불교의 수호신 역할을 한다.[54][55][56]
물과 강력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태국 신앙에서의 나가는 비의 조절에도 역할을 한다. ''낙 하이 남'' (; lit. 나가가 물을 준다)의 개념은 연간 강수량 예측에 사용된다.[57]
싱하나라티 왕국은 나가와 강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왕국은 나가의 도움으로 건설된 것으로 믿어졌으며, 따라서 나가는 왕족에게 매우 존경받았다. 한동안 왕국은 ''요녹 나가 라지'' (lit. 요녹 the 나가라자)로 개명되었다.[58]
나가들은 또한 매우 존경받는다. 불교 사찰과 궁전은 종종 다양한 나가로 장식된다. ''나가''라는 용어는 ''낙 사둥'' (นาคสะดุ้ง, 나가 형태의 구조물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지붕 끝 부분), 그리고 ''낙 탄'' (นาคทันต์, 나가 모양의 받침대)을 포함한 다양한 태국 건축 용어에도 존재한다.[59] 또한 나가들은 때때로 의학과 연관된다. 스리나카린위롯 대학교 의과대학의 전 봉인과 태국 의학 학생회의 봉인은 뱀 대신 나가의 존재를 가진 헤르메스의 지팡이를 사용하는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예이다.[60]
5. 5. 1. 민속
태국 민속에서는 파야 나가(Phaya naga)를 불교 우주론과 힌두 우주론에서 묘사된 것처럼 초자연적인 힘을 가진 반신반수(半神半獸)의 존재로 여긴다.[62] 태국 전역에서 숭배와 두려움의 대상인 캄차노드 숲(ป่าคำชะโนด)은 반둥 구, 우돈타니 주에 위치해 있으며, 인간 세계와 저승의 경계로 여겨진다. 이 숲은 태국 민속에서 많은 유령이 출몰하는 장소로 자주 묘사되지만, 나가(Nāga)의 서식지로 더 자주 여겨진다.[61]샨족의 남조 왕국 (현재 중국 남부와 8, 9세기 동남아시아로, 현재 중국의 윈난에 중심지를 둠) 민속에 따르면, 나가(Nāga)는 Ěrhǎi 호수에 살았으며 메콩강의 창조자이다.[62] 중국에서 나가(Nāga)(중국어: '''那伽''')는 일반적으로 용으로 여겨진다.
5. 5. 2. 외형
많은 사람들, 특히 이산 (태국 북동부 지역) 사람들은 나가가 인근 강이나 호수에서 발생하는 부자연스러운 파도 현상의 원인이라고 믿는다. 또한 뱀과 같은 반신이 자동차 후드나 집 벽과 같은 일반적인 물건에 자국을 남기는 원인이라고 자주 주장된다.[53]경찰서 또한 나가와 연락을 취하고 있다고 주장했지만, 이 연락의 의미는 충분히 설명되지 않았다.[63]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려는 시도에서, 쭐라롱꼰 대학교 이과대학의 과학자들과 연구원들은 이러한 겉보기에는 초자연적인 현상을 물속의 정상파로 돌리고, 파야 나가의 존재는 스코틀랜드의 네스호의 괴물이나 캐나다의 오고포고에 대한 믿음과 유사하다고 주장하며, 파야 나가의 뱀과 같은 자국은 인간에 의해 위조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주장한다.[64]
5. 6. 말레이시아
말레이 및 오랑 아슬리 전통에서, 파항주에 위치한 치니 호는 스리 구뭄이라는 나가의 서식지이다. 전설에 따르면, 스리 구뭄의 전임자인 스리 파항이나 그녀의 아들이 호수를 떠나 나중에 스리 켐보자라는 나가와 싸웠다고 한다. 켐보자는 캄보디아의 말레이어 이름이다. 치니 호에는 고대 제국에 대한 이야기가 전해지지만, 이 이야기는 나가 전설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5. 7. 필리핀
필리핀 신화에서 뱀과 같이 달을 삼키는 존재로 알려진 토착 바쿠나와는 나가와 혼합되었다.[67] ''바쿠나와''는 일식, 지진, 비, 바람의 원인으로 여겨지며,[67] 그 움직임은 고대 필리핀인들에게 지상학적 달력 시스템 역할을 했고, ''바바일란''의 무속 신앙 의식의 일부였다.[68] 바쿠나와는 일반적으로 특징적인 고리 모양의 꼬리를 가지고 묘사되며, 바다, 하늘 또는 저승에 서식한다고 믿어졌다.[68] 바쿠나와는 일식의 나바그라하인 힌두 신 라후와 케투와도 혼합되었을 수 있다.[69]6. 대중문화
여러 볼리우드 영화에서 여성 나가에 관해 다루어졌으며, ''Nagin'' (1954), ''Nagin'' (1976), ''Nagina'' (1986), ''Nigahen'' (1989), ''Jaani Dushman: Ek Anokhi Kahani'' (2002), ''Hisss'' (2010)가 포함된다.[72] 나가들은 또한 텔레비전 시리즈인 ''Naaginn'' (2007-2009), ''Naagin'' (2015) 및 Adhuri Kahaani Hamari (2015-2016)에 등장한다. 1998년 영화 ''정글 보이''에서 나가는 거대한 코브라 신으로 묘사된다. 1999년 텔루구 영화 ''Devi''에서 프레마가 연기한 나기니는 뱀의 모습일 때 그녀를 구한 여성을 보호하기 위해 지구로 온다.
많은 락콘(태국 텔레비전 연속극)이 파야 나가 전설을 기반으로 하며, 예를 들어 2008년의 ''Poot Mae Nam Khong'' (ภูติแม่น้ำโขง),[72] 2013년의 ''Manisawat'' (มณีสวาท),[73] 2016년의 ''Nakee'' (นาคี)가 있다.[74] 파야 나가에 대한 탐험은 SyFy (구 Sci-Fi 채널) 시리즈의 ''Destination Truth'' 에피소드 시즌 01 (에피소드 02)에서 다루어졌다.[75] 2021년 영화 ''Raya and the Last Dragon''에 등장하는 용들은 파야 나가를 기반으로 한다. 나가라는 뱀 신은 2021년 애니메이션 영화 ''Batman: Soul of the Dragon''에 등장한다. 파키스탄 영화로는 ''Naag aur Nagin'' (2005) 등이 있다.
나가들은 만화 ''The Secret Saturdays''의 적대자이다.
N. D. 윌슨의 애슈타운 매장 시리즈 네 번째 책인 ''침묵의 종들''에 나가(Naga)가 등장한다. 일본 애니메이션 및 만화 시리즈인 ''슬레이어즈''에는 나가 더 서펀트라는 주요 등장인물이 있다. J. K. 롤링의 마법 세계에서 내기니는 볼드모트의 호크룩스 중 하나이며, 2018년 영화 ''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에서 블러드 커스를 지닌 멜레딕투스이다. 그녀의 저주는 그녀가 뱀으로 변신했다가 다시 인간으로 돌아올 수 있게 하지만, 결국 뱀의 형태가 영구적이 된다. 피어스 앤서니의 잰스 시리즈에서 나가는 사람 머리를 가진 뱀 종족으로, 인간 형태와 뱀 형태로 변신할 수 있으며, 뱀의 모든 종과 크기를 포함한다. 로버트 E. 하워드의 오리지널 코난 더 바바리안 이야기 중 하나인 그릇 속의 신에서 제목의 신은 나가와 같은 생물일 가능성이 있다.
나가는 던전 앤 드래곤 롤플레잉 게임에 등장하며, 인간의 머리를 가진 거대한 뱀으로 묘사된다.[76]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의 여러 프랜차이즈에서 나가는 고대 나이트 엘프로 묘사되며, 고대 신들에 의해 변형되었다. 그들의 여왕 아즈샤라는 반신으로 묘사된다. 디지털 카드 게임 하스스톤은 2022년 5월 10일에 나가를 하수인 유형으로 통합했다.[76]
나가는 웨스노스 전투에 등장하며, 종종 머포크에 대한 뱀과 유사한 존재로 묘사된다. 매직 더 개더링의 2014–2015 블록은 타르키르 평원을 배경으로 하며, 인간형 뱀인 나가들을 특징으로 한다.[77][78] 이들은 타르키르의 칸, 운명의 재창조, 타르키르의 용 세트에서 특정 클랜과 연합한다.[79]
나가는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 III의 유닛이다. 기가배시는 플레이 가능한 생물 중 하나로, 파야 나가에서 영감을 받은 괴수인 라와를 특징으로 한다.
6. 1. 영화 및 텔레비전
여러 볼리우드 영화에서 여성 나가에 관해 다루어졌으며, ''Nagin'' (1954), ''Nagin'' (1976), ''Nagina'' (1986), ''Nigahen'' (1989), ''Jaani Dushman: Ek Anokhi Kahani'' (2002), ''Hisss'' (2010)가 포함된다.[72] 나가들은 또한 텔레비전 시리즈인 ''Naaginn'' (2007-2009), ''Naagin'' (2015) 및 Adhuri Kahaani Hamari (2015-2016)에 등장한다. 1998년 영화 ''정글 보이''에서 나가는 거대한 코브라 신으로 묘사된다. 1999년 텔루구 영화 ''Devi''에서 프레마가 연기한 나기니는 뱀의 모습일 때 그녀를 구한 여성을 보호하기 위해 지구로 온다.많은 락콘(태국 텔레비전 연속극)이 파야 나가 전설을 기반으로 하며, 예를 들어 2008년의 ''Poot Mae Nam Khong'' (ภูติแม่น้ำโขง),[72] 2013년의 ''Manisawat'' (มณีสวาท),[73] 2016년의 ''Nakee'' (นาคี)가 있다.[74] 파야 나가에 대한 탐험은 SyFy (구 Sci-Fi 채널) 시리즈의 ''Destination Truth'' 에피소드 시즌 01 (에피소드 02)에서 다루어졌다.[75] 2021년 영화 ''Raya and the Last Dragon''에 등장하는 용들은 파야 나가를 기반으로 한다. 나가라는 뱀 신은 2021년 애니메이션 영화 ''Batman: Soul of the Dragon''에 등장한다. 파키스탄 영화로는 ''Naag aur Nagin'' (2005) 등이 있다.
나가들은 만화 ''The Secret Saturdays''의 적대자이다.
6. 2. 문학
N. D. 윌슨의 애슈타운 매장 시리즈 네 번째 책인 ''침묵의 종들''에 나가(Naga)가 등장한다. 일본 애니메이션 및 만화 시리즈인 ''슬레이어즈''에는 나가 더 서펀트라는 주요 등장인물이 있다. J. K. 롤링의 마법 세계에서 내기니는 볼드모트의 호크룩스 중 하나이며, 2018년 영화 ''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에서 블러드 커스를 지닌 멜레딕투스이다. 그녀의 저주는 그녀가 뱀으로 변신했다가 다시 인간으로 돌아올 수 있게 하지만, 결국 뱀의 형태가 영구적이 된다. 피어스 앤서니의 잰스 시리즈에서 나가는 사람 머리를 가진 뱀 종족으로, 인간 형태와 뱀 형태로 변신할 수 있으며, 뱀의 모든 종과 크기를 포함한다. 로버트 E. 하워드의 오리지널 코난 더 바바리안 이야기 중 하나인 그릇 속의 신에서 제목의 신은 나가와 같은 생물일 가능성이 있다.6. 3. 게임
나가는 던전 앤 드래곤 롤플레잉 게임에 등장하며, 인간의 머리를 가진 거대한 뱀으로 묘사된다.[76]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의 여러 프랜차이즈에서 나가는 고대 나이트 엘프로 묘사되며, 고대 신들에 의해 변형되었다. 그들의 여왕 아즈샤라는 반신으로 묘사된다. 디지털 카드 게임 하스스톤은 2022년 5월 10일에 나가를 하수인 유형으로 통합했다.[76]나가는 웨스노스 전투에 등장하며, 종종 머포크에 대한 뱀과 유사한 존재로 묘사된다. 매직 더 개더링의 2014–2015 블록은 타르키르 평원을 배경으로 하며, 인간형 뱀인 나가들을 특징으로 한다.[77][78] 이들은 타르키르의 칸, 운명의 재창조, 타르키르의 용 세트에서 특정 클랜과 연합한다.[79]
나가는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 III의 유닛이다. 기가배시는 플레이 가능한 생물 중 하나로, 파야 나가에서 영감을 받은 괴수인 라와를 특징으로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Lord Shiva
http://sanskritdicti[...]
2018-09-27
[2]
간행물
Nāgas
[3]
서적
Hinduism and the Religious Arts
Cassell
[4]
서적
The student's English-Sanskrit dictionary
https://archive.org/[...]
Motilal Banarsidass
1997
[5]
웹사이트
Indo-European etymology
http://starling.rine[...]
2010-08-09
[6]
서적
Etymologisches Wörterbuch des Altindoarischen
Winter
1996
[7]
논문
Cobra Deities and Divine Cobras: The Ambiguous Animality of Nāgas
2019
[8]
서적
Miscellanae Nepalica. The Foundation Legend of Nepal in Its Trans-Himalayan Context
LIRI
2016
[9]
간행물
Naga {{!}} Hindu mythology
https://www.britanni[...]
2018-05-11
[10]
웹사이트
Why was vasuki used in Samudra Manthan great ocean Churning
https://hinduism.sta[...]
2018-05-11
[11]
간행물
Garuḍa {{!}} Hindu mythology
https://www.britanni[...]
2018-05-11
[12]
서적
Gaņeśa: Unravelling An Enigma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13]
문서
For text of a stone inscription dated 1470 identifying Ganesha's sacred thread as the serpent Śeṣa
[14]
서적
Gaņeśa: The Enchanter of the Three Worlds
Project for Indian Cultural Studies
[15]
서적
An Introduction to Hinduism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문서
Das Tor zur Unterwelt. Mythologie und Kult des Termitenhügels in der schriftlichen und mündlichen Tradition Indiens.
[17]
문서
Fear, Reverence and Ambivalence. Divine Snakes in Contemporary South India. Religions of South Asia 7: 230–48.
[18]
문서
Snakes in the Dark Age. Human Action, Karmic Retribution, and the Possibilities for Hindu Animal Ethics. In Asian Perspectives on Animal Ethics. Rethinking the Nonhuman. Edited by Neil Dalal and [[Chloë Taylor]].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19]
논문
Western Himalayan Nāgs as Guardians of Water Resources
2017
[20]
서적
Images and Stories of the Origin(s) of the World and Humankind
Mohr Siebeck
2024
[21]
논문
Cobra Deities and Divine Cobras: The Ambiguous Animality of Nāgas
2019-07-26
[22]
웹사이트
The Magnitude of Netherworlds [Chapter 19]
https://www.wisdomli[...]
2022-08-05
[23]
웹사이트
Story of Vāsuki
https://www.wisdomli[...]
2022-08-05
[24]
웹사이트
On Manasā's story [Chapter 47]
https://www.wisdomli[...]
2022-08-05
[25]
서적
The Illustrated Book of Dragons and Dragon Lore
Cognoscenti Books
[26]
웹사이트
VINAYA The Ordination Ceremony of a Monk
http://www.budsas.or[...]
2012-10-12
[27]
문서
How Buddhism Began: The Conditioned Genesis of the Early Teachings
[28]
서적
The Tibetan Book of the Dead
Viking Press
[29]
문서
How Buddhism Began: The Conditioned Genesis of the Early Teachings
[30]
논문
Changing the Female Body: Wise Women and the Bodhisattva Career in Some Mahāratnakūṭasūtras
https://journals.ub.[...]
2020-08-23
[31]
문서
The Lotus Sutra
[32]
문서
Soka Gakkai Dictionary of Buddhism, "Devadatta Chapter"
[33]
논문
Social Responsibility, Sex Change, and Salvation: Gender Justice in the ''Lotus Sūtra''
2002
[34]
서적
Iconography of the Buddhist Sculpture of Orissa: Text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2017-09-20
[35]
서적
Taranatha's History of Buddhism in Indi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2017-09-20
[36]
서적
The evolution of an ethnic identity: the Tamils in Sri Lanka c. 300 BCE to c. 1200 CE
https://books.google[...]
M.V. Publications for the South Asian Studies Centre, Sydney
2005
[37]
서적
The Tamils Eighteen Hundred Years Ago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1904
[38]
서적
Journal of the Ceylo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The Arya Kingdom in North Ceylon
Colombo apothecaries Co. Ltd
1961
[39]
간행물
Regional Geographic Influence on Two Khmer Polities
http://digitalcommon[...]
2005-04-01
[40]
웹사이트
The Asia-Pacific World
http://www.cambridge[...]
[41]
서적
The Ocean of Churn: How the Indian Ocean Shaped Human History
https://books.google[...]
Penguin UK
2016-08-10
[42]
웹사이트
C. 87 Stela from Mỹ Sơn B6
https://isaw.nyu.edu[...]
2020-11-20
[43]
웹사이트
Monk traditional ceremony Cambodia
https://www.angkorph[...]
2017-07-15
[44]
웹사이트
Neak Pean temple Angkor - "The entwined snakes"
https://www.renown-t[...]
2020-11-20
[45]
웹사이트
Nagas
https://www.cambodia[...]
2020-11-20
[46]
서적
The Mythical Creatures Bible: The Definitive Guide to Legendary Beings
https://books.google[...]
Sterling Publishing Company, Inc.
2009
[47]
서적
Borobudur: Golden Tales of the Buddhas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2012-11-13
[48]
서적
Worshiping Siva and Buddha: The Temple Art of East Jav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3
[49]
thesis
Lego-lego-Platz und Naga-Darstellung . Jenseitige Kräfte im Zentrum einer Quellenstudie über die ostindonesische Insel Alor
https://opus4.kobv.d[...]
1993
[50]
서적
Indische Mythen und Symbole
Diederichs, Düsseldorf
1981
[51]
서적
Paths to conflagration: fifty years of diplomacy and warfare in Laos, Thailand, and Vietnam, 1778-1828
http://www.cornellpr[...]
Southeast Asia Program Publications, Cornell University
[52]
웹사이트
ตำนานกำเนิด โขง-ชี-มูล-หนองหาน สายน้ำแห่งชีวิตของคนอีสาน
https://www.silpa-ma[...]
ศิลปวัฒนธรรม
2019-10-02
[53]
뉴스
ปริศนา?? บั้งไฟพญานาค: ต่างมุมต่างความคิด
http://www.manager.c[...]
2005-09-27
[54]
간행물
รัฐบาลกำหนด 'นาค' เป็นเอกลักษณ์ประจำชาติไทย ต่อยอดซอฟต์พาวเวอร์
https://thethaiger.c[...]
Thethaiger
2022-11-02
[55]
간행물
รัฐบาลกำหนดให้ "นาค" เป็นเอกลักษณ์ประจำชาติไทย ประเภทสัตว์ในตำนาน ต่อยอด Soft Power ขับเคลื่อนเศรษฐกิจสร้างสรรค์
https://www.thaigov.[...]
Thaigov
2022-11-01
[56]
뉴스
Naga named as national symbol
https://www.bangkokp[...]
Bangkokpost
2022-11-02
[57]
웹사이트
นาคให้น้ำ
https://www.thairath[...]
ไทยรัฐ
2011-09-08
[58]
웹사이트
สำรวจความเชื่อ "นาคสร้างเมืองมนุษย์" ที่ภายหลังคือเมือง "เชียงแสน"
https://www.silpa-ma[...]
ศิลปวัฒนธรiม
2018-10-25
[59]
웹사이트
Naka Cave, Thailand: The Truth Behind the Legends of Snake Rock
https://www.journeyi[...]
2020-06-28
[60]
문서
[61]
웹사이트
คำชะโนด เกาะลอยน้ำ เผยตำนานป่าลี้ลับป่าคำชะโนด
http://www.dmc.tv/pa[...]
2014-10-08
[62]
웹사이트
ปาฏิหาริย์...พญานาคราช มีปรากฏการณ์..เหนือธรรมชาติ
http://www.thairath.[...]
2014-06-01
[63]
Youtube
พญานาคบึงโขงหลงที่เป็นข่าว.mp4
https://www.youtube.[...]
2011-07-18
[64]
Youtube
พญานาค..วิทยาศาสตร์ กับ ความเชื่อ
https://www.youtube.[...]
2011-08-31
[65]
웹사이트
Legends
http://www.nici.ru.n[...]
[66]
웹사이트
Journey Malaysia » Tasik Chini
http://www.journeyma[...]
[67]
뉴스
A serpent, this earth and the end of the year
https://businessmirr[...]
2015-01-01
[68]
간행물
Baylan: animist religion and Philippine peasant ideology
1982
[69]
웹사이트
BAKUNAWA: The Moon Eating Dragon of Philippine Mythology
https://www.aswangpr[...]
2016-05-27
[70]
문서
Bhāgavata Purāṇa 10.1.24
[71]
서적
Bhāgavata Purāṇa 3.26.25
[72]
웹사이트
ละคร ภูตแม่น้ำโขง
http://movie.sanook.[...]
2008-10-13
[73]
AV media
สีสันบันเทิง 17-12-11#ฟิตติ้ง มณีสวาท
https://www.youtube.[...]
ammy wareerat
2011-12-17
[74]
웹사이트
Nakee – The Serpent Queen
https://lovefia.com/[...]
2016-11-01
[75]
IMDb title
"Destination Truth" Haunted Village/Naga (TV Episode 2007)
[76]
웹사이트
The Naga are coming to Hearthstone Battlegrounds on May 10
https://pcgamer.com/[...]
2022-05-05
[77]
웹사이트
Planeswalker's Guide to Khans of Tarkir, Part 1
http://magic.wizards[...]
[78]
웹사이트
Planeswalker's Guide to Fate Reforged
http://magic.wizards[...]
[79]
웹사이트
Planeswalker's Guide to Dragons of Tarkir, Part 1
http://magic.wizard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