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시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시민은 1959년 경상북도 경주 출생으로, 정치인, 작가, 언론인, 그리고 노무현재단 이사장을 역임했다. 서울대학교 총학생회장, 보건복지부 장관 등을 지냈으며, 2002년 개혁국민정당을 창당하고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이후 열린우리당, 국민참여당, 통합진보당 등에서 활동했고, 2013년 정계 은퇴 후에는 작가 및 방송인으로 활동하며, 유튜브 채널 '알리레오'를 진행했다. 그는 여러 논란에 휩싸였으며, 2020년 김정은을 "계몽 군주"라고 언급하여 논란이 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수성초등학교 동문 - 김정민 (1989년)
    김정민은 2003년 광고 모델로 데뷔하여 드라마 《반올림》으로 연기를 시작한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코미디 빅 리그》와 《SNL 코리아》 등 예능 프로그램에서 활약한 방송인이다.
  • 대구수성초등학교 동문 - 손예진
    손예진은 2000년 영화 《비밀》로 데뷔하여 여러 드라마와 영화에 출연하며 대중적 인기를 얻고, 폭넓은 연기력으로 평론가와 대중에게 호평받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마인츠 대학교 동문 - 클라우스 코흐
    클라우스 코흐는 독일의 성서학자이자 신학자로, 형식 비평 방법론을 통해 구약성서 해석, 종교사, 묵시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 기여했으며, 주요 저서를 통해 성서 해석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묵시 문학의 중요성을 부각했다.
  • 마인츠 대학교 동문 - 말루 드라이어
    말루 드라이어는 독일 사회민주당 소속 정치인으로, 2013년부터 라인란트-팔츠주의 총리를 맡아 주 최초의 여성 총리가 되었으며, 독일 연방상원 라인란트팔츠 주 대표와 ZDF 이사회 의장 등 다양한 직책을 수행하며 높은 지지율로 2016년과 2021년 주 선거에서 승리했다.
  • 심인고등학교 동문 - 김재원 (1964년)
    김재원(1964년)은 경상북도 의성군 출신의 법조인 출신 정치인으로,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후 국회의원, 대통령정무특별보좌관 등을 역임했으며, 여러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 심인고등학교 동문 - 윤두현
    윤두현은 언론인 출신 정치인으로 서울신문, YTN 기자, YTN 보도국장, 디지털YTN 대표이사 사장, 청와대 홍보수석비서관을 거쳐 제21대 국회의원, 국민의힘 미디어 관련 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고 현재 그랜드코리아레저 사장으로 재직 중이다.
유시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류시민
이름류시민
한글유시민
한자柳時敏
로마자 표기Yu Simin
출생일1959년 7월 28일
출생지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북부동
거주지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본관풍산
국적대한민국
배우자한경혜
자녀딸 유수진, 아들 유지현
형제자매누나 유시춘, 동생 유시주
서명
학력
대학교서울대학교 경제학 학사
대학원마인츠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
정치 경력
정당무소속 (2018년 이후)
정의당 (2012년-2018년)
통합진보당 (2011년-2012년)
국민참여당 (2009년-2011년)
무소속 (2008년-2009년)
대통합민주신당 (2007년-2008년)
열린우리당 (2003년-2007년)
개혁국민정당 (2002년-2003년)
국회의원제16대 국회의원 (2003년 4월 25일 - 2008년 5월 29일)
경기 고양시 덕양구 갑
보건복지부 장관제53대 보건복지부 장관 (2006년 2월 10일 - 2007년 5월 22일)
노무현 대통령
전임 김근태
후임 변재진
군 복무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 전역 (1980년-1983년)
주요 경력개혁국민정당 대표집행위원
국민참여당 대표
통합진보당 공동대표
기타 정보
직업정치인, 작가
대한민국헌정회대한민국헌정회

2. 생애

유시민은 1959년 경상북도 경주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마인츠 대학교에서 경제학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자신의 이념적 지향은 진보적 자유주의, 사회자유주의로 규정하고 있다.[14]

1980년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대의원회 의장을 맡아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으며, '서울역 회군'에 반대했다. 1985년 '서울대 민간인 감금 폭행 사건'의 주모자로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나, 항소이유서를 제출해 이름을 알렸다. 1988년부터 1991년까지 이해찬 의원 보좌관을 지냈고, 이후 독일 유학을 거쳐 1997년부터 언론인으로 활동했다. 1997년 언론인으로 활동하면서 '97대선 게임의 법칙'등을 저술하며 "김대중의 대통령 당선 확률은 제로에 가깝다"고 주장했다.[45] 1999년 12월 6일자 《동아일보》 칼럼 <유시민의 세상읽기-김대중 대통령님께> 에서는 "대통령에 대한 국민의 지지는 바닥을 치고 있으며 집권당 국민회의는 '수평적 정권교체'의 기쁨을 맛본 지 불과 2년 만에 간판을 내리게 됐다"고 비판했다.

2002년 제16대 대선 당시 개혁국민정당(약칭 개혁당) 창당을 주도했고, 2003년 4월 24일 보궐선거[48]에서 당선되어 16대 국회의원이 되었다. 같은 해 11월 열린우리당 창당에 참여했다.[49] 국기에 대한 경례에 대해 국가주의적 이데올로기 강제 주입이라며 비판적인 입장을 표명하기도 했다.[18]

2005년 노무현 대통령이 한나라당과의 대연정을 제안했을 때, 유시민은 선거구제 개편을 위해 대연정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을 펼치며 옹호했다. 그는 지역주의 극복을 위해서는 독일식 정당명부 비례대표제가 가장 바람직하다고 말했다.[56]

2006년 2월부터 2007년 5월까지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하면서 기초노령연금법과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을 비롯한 아동 및 저소득층 지원 제도 등을 제정했다. 2007년 8월 18일 대통합민주신당이 창당되자, 유시민은 "우리당의 꿈을 접어 가슴 속에 담고 가지만 그 꿈을 포기하지 않겠다"며 합당에 찬성했다.[63]

2007년 제17대 대선에 출마했으나, 당내 경선에서 사퇴하고 이해찬 후보를 지지했다.[61] 2008년 제18대 총선에서 대구광역시 수성구 을무소속으로 출마했으나 한나라당 주호영 후보에게 패배했다.[19]

2010년 제5회 지방선거에서 경기도지사 야권 단일 후보로 나섰으나 김문수 후보에게 4% 차이로 낙선했다.[69]

2011년 12월 통합진보당 창당 후 공동대표를 맡았으나, 2012년 10월 21일 진보정의당 창당에 참여했다.[71] 2013년 2월 19일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2. 1.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

1959년 7월 28일 경상북도 경주에서 아버지 유태우와 어머니 서동필 사이에서 2남 4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38] 13대조는 임진왜란을 극복하는데 힘쓴 류성룡이다. 조부 대에 이르러 안동에서 처가가 있는 경주로 이주하였다고 한다. 아버지 유태우는 경주여자고등학교의 역사 교사였다. 큰아버지 유석우는 공무원으로 내남면 면장을 지내기도 했다.[40]

1980년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대의원회 의장이 되었다. 1980년 봄 민주화 운동이 거세어졌고, 5월 15일 서울역 시위에서 절정에 이르렀다. 서울역 광장에 모인 수만 명의 학생들은 계엄해제와 신군부 퇴진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는데, 18개 대학총학생회장단은 시위 지속 여부를 놓고 격론을 벌였다. 서울대학교 학생처장 이수성의 설득으로 대학총학생회장단은 철수를 결정했으며, 심재철 서울대학교 총학생회장은 대학총학생회장단 대표자격으로 교육부 장관과 담판을 통해 학생들의 안전귀가를 약속받았고, 서울역 철수를 학생들에게 알렸다.[41][42] 이 사건은 '위화도 회군'에 빗대어 '서울역 회군'이라고 불렸다. 이후, 신군부는 5·17 비상계엄 전국확대 조치를 내렸다. 유시민은 18개 대학총학생회장 중 철수를 반대한 신계륜 고려대학교 총학생회장 등과 함께 '서울역 회군' 반대파에 섰다.

1980년대 서울대 총학생회 복학생협의회 간부로 활동했으며, 1985년 민간인을 프락치로 몰아 감금 고문(물고문, 각목고문, 폭행 등)했던 '서울대 민간인 감금 폭행 사건'의 주모자로[43]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1심에서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이에 대해 항소심 재판부인 서울형사지방법원 항소 제5부에 항소이유서를 제출했고, 이 항소이유서를 계기로 세상에 이름을 널리 알리게 되었다. 이 항소이유서는 그의 저서 《아침으로 가는 길》에 실렸다.

6.29 선언으로 전두환 정권이 노태우 정권으로 넘어가던 당시 유시민은 수배 중이었고, 뽀글이 파마로 위장하고 방송사를 출입했다. '유지수'라는 가명으로 1988년 3월 7일부터 4월 11일까지 방송된 MBC 월화 미니시리즈 8부작《그것은 우리도 모른다》의 각본을 썼다. 유시민은 집필료에 대해 "회당 100만 정도 받았으며 불법 유인물 만드는데 다 썼다."라고 밝혔다. 1989년 3월 26일에는 《MBC 베스트셀러극장》〈신용비어천가〉의 각본도 썼다. 현길언 원작소설을 각색한 것으로 이때는 본인 이름으로 방송됐다. 해당 작품은 5공 신군부의 언론통제, 기자에 대한 협박, 회유 등을 다룬 것으로 영화배우 문성근의 텔레비전 드라마 데뷔작이기도 하다.[44]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겸임교수로서 활동했다. 제18대 총선때 대구 수성구에서 낙선한 이후 2008년부터 2009년까지 경북대학교에서 인문사회자율전공 개설 교양 과목이었던 '생활과 경제' 과목 강의를 맡았다.

대구 심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 진학하여 1980년대 학생회장을 역임했다. 전두환 군사정권에 적극적으로 반대하며 대한민국의 자유와 민주주의를 옹호했다. 이 기간 동안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84%9C%EC%9A%B8%EB%8C%80_%EB%AF%BC%EA%B0%84%EC%9D%B4_%EA%B0%90%EA%B8%88_%ED%8F%AD%ED%96%89_%EC%82%AC%EA%B1%B4&oldid=38262773 ''서울대학교 밀정사건'']과 관련하여 체포되어 비무장지대 근처에서 33개월간 군 복무를 강요받았다. 서울지방법원의 판결에 이의를 제기한 ''항소이유서''(항소이유서|한국어)가 출판된 후 대한민국 민주화 운동 내에서 두각을 나타냈다.[6]

1988년 11월, 유시민은 민주화 운동에 함께 참여했던 수학 전공의 서울대학교 졸업생 한경혜와 결혼했다.[7] 1991년 2월까지 2년 동안 이해찬 의원의 보좌관으로 활동했다. 1992년 유시민과 그의 아내는 각자의 분야에서 더 많은 연구를 하기 위해 독일로 갔다.[8]

경상북도 경주시 출신이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서독으로 유학하여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대학교 경제학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2. 2. 민주화 운동 참여

1980년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대의원회 의장이 된 유시민은 1980년 봄 민주화 운동에 적극 참여했다. 5월 15일 서울역 시위에서 학생들은 계엄 해제와 신군부 퇴진을 요구했고, 18개 대학총학생회장단은 철수 여부를 놓고 격론을 벌였다. 서울대학교 학생처장 이수성의 설득으로 대학총학생회장단은 철수를 결정했고, 심재철 서울대학교 총학생회장은 학생들의 안전 귀가를 약속받고 서울역 철수를 알렸다. 이 사건은 '서울역 회군'으로 불렸다. 5·17 비상계엄 전국확대 조치 이후, 유시민은 '서울역 회군' 반대파에 섰다.[41][42]

1980년대 그는 서울대 총학생회 복학생협의회 간부로 활동했으며, 1985년 '서울대 민간인 감금 폭행 사건'의 주모자로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1심에서 징역형을 선고받았다.[43] 이에 대해 항소이유서를 제출하여 세상에 이름을 널리 알렸다. 이 항소이유서는 그의 저서 《아침으로 가는 길》에 실렸다. 그는 전두환 군사정권에 적극적으로 반대하며 대한민국의 자유와 민주주의를 옹호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84%9C%EC%9A%B8%EB%8C%80_%EB%AF%BC%EA%B0%84%EC%9D%B4_%EA%B0%90%EA%B8%88_%ED%8F%AD%ED%96%89_%EC%82%AC%EA%B1%B4&oldid=38262773 ''서울대학교 밀정사건'']과 관련하여 체포되어 이후 비무장지대 근처에서 33개월간 군 복무를 강요받았다.[6]

2. 3. 작가 및 언론인 활동

1988년 유시민은 '유지수'라는 가명으로 MBC 월화 미니시리즈 8부작《그것은 우리도 모른다》의 각본을 썼다. 집필료는 회당 100만 원 정도였으며, 불법 유인물을 만드는 데 사용했다고 밝혔다.[44] 1989년에는 MBC 베스트셀러극장 《신용비어천가》의 각본을 썼는데, 이때는 본명으로 참여했다. 이 작품은 5공 신군부의 언론통제와 기자에 대한 협박, 회유 등을 다룬 것으로, 영화배우 문성근의 텔레비전 드라마 데뷔작이기도 하다.[44]

1997년 언론인으로서 활동하면서 '97대선 게임의 법칙'등을 저술하며 "김대중의 대통령 당선 확률은 제로에 가깝다"고 주장했다.[45] 당시 책에서 그는 "김대중은 직접 출마하기보다는 제3의 후보인 조순 서울시장을 대리전으로 내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1999년 12월 6일자 《동아일보》 칼럼 <유시민의 세상읽기-김대중 대통령님께> 에서는 "대통령에 대한 국민의 지지는 바닥을 치고 있으며 집권당 국민회의는 '수평적 정권교체'의 기쁨을 맛본 지 불과 2년 만에 간판을 내리게 됐다"며 "대통령의 눈과 귀를 가리는 '인의 장막'을 경계하는 지식인들의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이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1988년부터 1991년까지 이해찬의 보좌관을 지낸 후 다시 독일로 유학하여, 귀국 후 1997년부터 언론인으로 활동했다.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겸임교수로 활동했다. 제18대 총선때 대구 수성구에서 낙선한 이후 2008년부터 2009년까지 경북대학교에서 인문사회자율전공 개설 교양 과목이었던 '생활과 경제' 과목 강의를 맡았다.

2000년부터 2002년까지 MBC 《MBC 100분 토론》의 MC를 맡았고, 2000년에는 MBC 표준FM 《MBC 초대석 유시민입니다》를 진행했다. 2016년 1월 14일부터 2018년 6월 28일까지 JTBC 《썰전》에 고정 패널로 출연했다.

작가로서는 1988년 초판이 출판된 『』(1995년 개정판을 거쳐 2016년 절판, 2021년 전면 개정판 재출판)가 유명하며, 누적 판매량이 100만 권을 넘는 스테디셀러이다.[15]

2019년부터는 유튜브 쇼와 팟캐스트 ''알리레오''(알려드리고 싶어요)를 진행하고 있다.

이 외에도 JTBC 《비정상회담》(2016년), KBS 《언니들의 슬램덩크》(2016년), MBC 《마이 리틀 텔레비전》(2017년), tvN 《알아두면 쓸데없는 신비한 잡학사전》 시리즈(2017년, 2018년), MBC 《무한도전》(2017년), tvN 《수요미식회》(2018년), KBS 《대화의 희열2》(2019년), KBS 《정치합시다》(2019년, 2020년) 등 다수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출연했다.

3. 정치 활동

제16대 대선 당시 노무현 후보를 지지하며 정계에 입문했다. 개혁국민정당 창당을 주도했고, 2003년 4월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되어 국회에 입성했다. 열린우리당 창당에 참여했으며, 이라크 전쟁 파병 문제에 대해 처음에는 반대했으나 이후 찬성으로 입장을 바꿨다.[50][51] 2004년 총선에서 민주노동당과의 후보 단일화 문제로 갈등을 빚기도 했다.[52] 노무현 대통령의 한나라당과의 대연정 제안을 옹호했으나, 당내외 반발로 좌절을 겪었다.[54]

2006년부터 2007년까지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하며 여러 복지 정책을 추진했다. 장관직 사임 후 제17대 대선에 출마했으나, 낮은 지지율로 당내 경선에서 사퇴하고 이해찬 후보를 지지했다. 제18대 총선에서는 무소속으로 대구광역시 수성구 을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2010년 제5회 지방선거에서 경기도지사 야권 단일 후보로 나섰으나 김문수 후보에게 패배했다.[69] 이후 국민참여당 창당에 참여했고, 민주노동당과의 합당을 통해 통합진보당을 창당, 공동대표를 역임했다. 제19대 총선에서 통합진보당 비례대표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통합진보당 내분 사태 이후 진보정의당 창당에 참여했으나, 2013년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유시민의 주요 정치 활동 요약
연도사건내용
2002년제16대 대선노무현 후보 지지, 개혁국민정당 창당 주도
2003년국회의원 당선경기도 고양시 덕양갑 재보궐선거 당선, 열린우리당 합류
2004년총선민주노동당과의 후보 단일화 갈등
2006년-2007년보건복지부 장관 역임기초노령연금법, 노인장기요양보험법 등 제정
2007년대선 출마열린우리당 경선 사퇴, 이해찬 후보 지지
2008년총선대구광역시 수성구 을 무소속 출마, 낙선
2010년지방선거경기도지사 야권 단일 후보, 낙선
2011년통합진보당 창당국민참여당, 민주노동당 등과 합당, 공동대표 역임
2012년총선통합진보당 비례대표 후보, 낙선
2013년정계 은퇴진보정의당 창당 참여 후 정계 은퇴 선언


3. 1. 개혁국민정당 창당 및 국회의원 당선

2002년 대통령 선거에서 유시민은 언론인 활동을 중단하고 노무현 후보 지지 활동에 나섰다.

2003년 3월 18일, 개혁당원들과 함께 이라크 파병 반대 운동을 펼치면서 "이라크 다음은 북한입니다. ... 저도 인간방패가 되어 북으로 갈 작정입니다."라고 연설했다.[79] 그러나 이후 파병 찬성으로 입장을 바꾸었고, 김선일 씨 피랍 사건 당시에는 "사람 하나 죽는다고 국가 정책을 바꿔야 하느냐?"는 발언으로 논란이 되었다.

2003년 4월 24일, 경기도 고양시 덕양갑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개혁국민정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고,[16] 같은 해 11월 열린우리당 창당에 참여했다.[17]

16대 총선 당시 사전선거운동 혐의로 기소되었으며, 2006년 4.24 재선거에서도 공식 선거운동 기간 전에 홈페이지에 지지를 호소하는 글을 올려 선거법 위반으로 다시 문제가 되었다.[79] 대법원은 이를 "당선을 위한 적극적 선거운동"으로 판단했다.[79]

태극기에 대한 경례국가주의적 이데올로기 주입이라며 비판했다.[18]

2005년 보궐선거 참패 후 노무현 대통령이 한나라당에 대연정을 제안하자 "지구상에서 멸절시켜야 한다"고 강하게 반발했으나, 이후 한나라당과의 연대를 지지해 당내외 비판을 받았다.

3. 2. 열린우리당 활동 및 보건복지부 장관 역임

2003년 3월 18일 유시민은 개혁당원들과 함께 이라크 파병 반대 운동을 펼쳤다. 그러나 후에 입장을 바꿔 파병을 찬성했다. 특히, 김선일 씨가 인질로 잡혀 목숨이 위태로운 상황에서도 "사람 하나 죽는다고 국가가 정책을 바꿔야 하느냐?"며 파병을 옹호하는 모습을 보였다.[82]

2006년 2월부터 2007년 5월까지 노무현 정부의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하면서 기초노령연금법과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을 비롯한 아동 및 저소득층 지원 제도 등을 제정하였다. 한편, 의료보험 개혁에도 적극적으로 나섰으나, 당시 야당이었던 한나라당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2007년 8월 25일, 열린우리당에서 탈당한 의원들을 중심으로 결성된 통합민주신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 출마했으나, 9월 15일 사퇴를 선언했다. 2008년 1월 16일, 소속 당이었던 민주신당에서 탈당을 선언했고, 같은 해 4월에 치러진 제18대 총선에서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을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했으나, 한나라당 주호영 후보에게 큰 표차로 패배했다.[19]

3. 3. 대선 출마 및 통합민주신당 합류

2003년 3월 18일 유시민은 개혁당원들과 함께 이라크 파병 반대 운동을 펼쳤다. 그는 "노무현 대통령으로 하여금 우리 국민들이 원하지 않기 때문에 이라크 전쟁에 파병할 수 없다고 말할 수 있도록 확실한 명분을 쥐어주어야 합니다."라고 주장하며, 이라크 다음은 북한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한, 미군이 영변 핵 시설과 평양을 폭격한다면 자신도 인간 방패가 되어 북으로 가겠다고 밝혔다.[84] 하지만 이후 입장을 바꿔 이라크 파병을 찬성했다. 특히, 김선일 씨가 인질로 잡혀 목숨이 위태로운 상황에서도 "사람 하나 죽는다고 국가가 정책을 바꿔야 하느냐?"며 파병을 옹호하는 모습을 보였다.

3. 4. 국민참여당 창당 및 경기도지사 출마

2009년 10월 19일, 유시민은 친노(親盧) 세력이 창당을 추진하던 국민참여당에 참여할 것을 밝혔고, 민주당 중심의 야당 세력 통합에는 참여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20] 2010년 1월 국민참여당이 창당되었고, 같은 해 6월에 치러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기도지사 선거에 국민참여당 후보로 출마했다. 전국동시지방선거 후보자 등록이 시작된 13일에 민주당 등 야당 세력의 단일 후보가 되었다.[21] 선거전에서는 한나라당 지사 후보이자 현직인 김문수 후보에게 지지율에서 계속 앞서갔고, 투표일 직전 진보신당 심상정 후보의 출마 포기와 유시민 후보 지지 선언으로[22] 거세게 추격했지만, 최종적으로 5%p 정도의 차이로 김문수 후보에게 패했다.[23] 지사 선거에서는 4%p가 넘는 무효표가 나왔는데, 이 무효표의 대부분은 유시민 후보에 대한 반감을 가진 민주당 지지자들이 투표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24]

3. 5. 통합진보당 활동 및 정계 은퇴

2011년 3월 19일 참여당 전당대회에서 제2대 당 대표로 선출되었다.[26] 대표 취임 직후인 4월 27일 경상남도 김해시 을구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야당 통합 후보로 참여당 후보가 한나라당의 김대호 후보에게 근소한 차이로 패배하면서, 2012년에 예정되어 있던 대통령 선거에서의 입지가 불안해질 가능성도 제기되었다.[27] 이후 노무현 정부 시절에는 적대 관계였던 좌파 정당인 민주노동당(민노당)과 통합 협상을 추진했다.

민주노동당, 참여당, 통합연대( 심상정, 노회찬진보신당 탈당파가 결성) 3당은 12월 5일 합당을 공식 결의하고 통합진보당을 발족했다. 유시민은 이정희(민주노동당 대표)와 노회찬(통합연대 대표)과 함께 공동대표를 맡게 되었다.[28] 2012년 4월 예정인 총선에서 비례대표 명부 12위[29]로 출마했으나, 총선에서 진보당의 비례대표 획득 의석이 6석에 그치면서 낙선했다.[30]

선거 후 5월에 공동대표직에서 물러났다.[31] 비례대표 후보자 선출을 둘러싼 부정 사건을 계기로 진보당 내부에서 당내 갈등이 발생했고, 부정을 주도한 구 민주노동당 계열 중심의 그룹(당권파)에 반발한 그룹(비당권파)에 속했던 유시민은 9월에 진보당을 탈당했다.[32]

탈당 후, 심상정, 노회찬 등 당권파와 결별한 그룹과 함께 진보정의당을 결성하고 중앙위원이 되었다. 12월에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았다.[33] 2013년 2월 19일, 트위터를 통해 정계 은퇴를 전격적으로 발표했다.[34]

4. 정계 은퇴 이후

유시민은 정계 은퇴 이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정의당 일반 당원이었으나, 2018년 6월경 탈당했다.[35]

2016년 1월 14일부터 2018년 6월 28일까지 JTBC썰전》에 고정 패널로 출연하여 정치평론가로 인기를 얻었다. 2017년 문재인 대통령 당선 이후에는 그를 위한 진보 편향적인 지식인이 되겠다는 농담을 하기도 했다.

2017년에는 다큐멘터리 영화 《노무현입니다》에 출연하였다.

2019년부터는 '알리레오'라는 유튜브 방송과 팟캐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2020년 9월 25일에는 북한 지도자가 탈북을 시도했다고 주장되는 대한민국 공무원의 살해에 대해 공식 사과한 후 김정은을 "계몽 군주"라고 언급하여 대한민국에서 논란을 일으켰다.[9][10]

2019년과 2020년 유튜브라디오 방송 등을 통해, 후에 법무부 장관이 된 한동훈의 명예를 훼손한 것에 대해, 2022년과 2023년 재판에서 유죄 선고를 받고 벌금형을 선고받았다.[36]

한편, 유시민의 누나인 유시춘 EBS 이사장의 아들 신모 씨는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죄로 2018년 10월 대법원으로부터 징역 3년 실형을 선고받고 확정되었다.[86]

5. 논란

유시민은 1980년대 서울대학교 학생회장으로서 전두환 군사정권에 맞서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다. 서울대 민간인 감금 폭행 사건에 연루되어 체포되었고, 비무장지대 근처에서 33개월간 군 복무를 했다.[6] 이 사건은 유시민 등이 저술한 《광주민중항쟁》[1]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는 '항소이유서'를 통해 민주화 운동의 상징적인 인물로 떠올랐다.[6]

2020년 9월 25일, 유시민은 북한 김정은이 대한민국 공무원 피격 사망 사건에 대해 사과하자 그를 "계몽 군주"라고 칭하여 논란이 되었다.[9][10]

5. 1. 성폭력 옹호 발언

주어진 소스에는 '성폭력 옹호 발언'과 관련된 내용이 없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5. 2. 이라크 파병 입장 번복

유시민 공동대표는 서기호가 통합진보당 비례대표가 되는 것에 대해 반대했다. 이에 대해 이정희 공동대표는 유시민 대표와 갈등을 벌였다. 이정희가 사법 개혁을 내세우며 직접 영입한 서기호는 유시민의 검증 미비를 근거로 한 반대 때문에 비례대표에서 탈락했다.[82] 그러나 2008년 민주노총 조합원 성폭력 미수 사건 당시 사건을 은폐하려 했다는 의혹을 제기받은 정진후전국교직원노동조합 위원장은 영입했다고 당내 논란이 일어났다. 훗날 정진후는 성폭력 사건과 관련해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한편, 이에 대해 통합진보당의 한 관계자는 "개방형 비례대표 후보 영입은 전문성을 고려해야 하는 데, 서 전 판사의 탈락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해 서기호의 낙마를 놓고 당내 논란도 일어났다.[83]

5. 3. 선거법 위반 혐의

2003년 3월 18일 유시민은 개혁당원들과 함께 이라크 파병 반대 운동을 펼쳤다. 그는 "우리 국민들이 나서야 합니다. 노무현 대통령으로 하여금 우리 국민들이 원하지 않기 때문에 이라크 전쟁에 파병할 수 없다고 말할 수 있도록 확실한 명분을 쥐어주어야 합니다."라고 말하며 파병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이라크 다음은 북한입니다. [...] 미군이 영변 핵 시설과 평양을 폭격한다면, 저도 인간방패가 되어 북으로 갈 작정입니다."라며 반전 평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그러나 이후 유시민은 이라크 파병 찬성으로 입장을 바꾸었다. 특히, 김선일 씨가 인질로 잡혀 목숨이 위태로운 상황에서도 "사람 하나 죽는다고 국가가 정책을 바꿔야 하느냐?"며 파병을 옹호하는 듯한 발언을 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

5. 4. '서울대 민간인 감금 폭행 사건' 관련 논란

1984영어년에 발생한 서울대 민간인 감금 폭행 사건은 유시민이 연루된 사건이다. 이 사건에 대한 내용은 유시민 등이 저술한 《광주민중항쟁》[1]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5. 김정은 '계몽 군주' 발언 논란

2020년 9월 25일, 유시민은 북한 지도자가 탈북을 시도했다고 주장되는 대한민국 공무원의 살해에 대해 공식 사과한 후 김정은을 "계몽 군주"라고 언급하여 대한민국에서 논란을 일으켰다.[9][10]

6. 학력

7. 경력

TV 프로그램한국어에 출연하였는데, 2016년부터 JTBC 썰전에 진보 진영을 대표하는 역할로 출연하고 있다.[72] 보수 진영을 대표하는 전원책 변호사와 사회자 김구라와 함께 출연하였으나 2017년 6월 29일 방송을 끝으로 하차한 전원책에 이어 이명박 정부에서 정무수석을 지낸 박형준이 출연하고 있다.

2018년 9월 26일 노무현재단 이사장에 내정되었다. 4년 6개월간 이사장을 맡았던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사퇴하고 유시민을 차기 이사장으로 추천했다.[73] 10월 15일 제5대 노무현재단 이사장에 취임했다.

2019년 1월에는 팟캐스트 채널 <유시민의 알릴레오>를 열고 방송을 시작하였다.[74] 해당 방송은 유튜브 채널 <사람사는세상노무현재단>과 팟캐스트 채널 <유시민의 알릴레오>에 업로드된다. 방송 하루만에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의 구독자 수가 10만에서 43만으로 급등했다.[75] 일부에서는 홍준표자유한국당 대표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인 와의 대결 구도(?)로 평가되기도 한다.[76] <유시민의 알릴레오>는 전문가를 초청해 현안을 이야기한다는 <알릴레오>와 '가짜뉴스'를 정정한다는 <고칠레오>로 구성된다. 문정인 통일외교안보특별보좌관이 출연한 영상은 조회수 265만 회를 기록하였다. (2019년 1월 19일 기준)[77]

학력



주요 경력


8. 저서


  • 그것은 우리도 모른다한국어, MBC 월화 드라마, MBC, 1988년 3월 7일~4월 11일, 필명 '''유지수'''
  • MBC 베스트셀러극장한국어 〈신용비어천가〉, MBC, 1989년 3월 26일[88]
  • 거꾸로 읽는 세계사한국어 (1988년 초판 출판, 1995년 개정판, 2016년 절판, 2021년 전면 개정판 재출판), 누적 판매량 100만 권 이상의 스테디셀러이다.[15]

9. 가족 관계

배우자한경혜 (1964년생)
자녀딸 유수진, 아들 유OO
부모아버지 유태우, 어머니 서동필
형제자매누나 유OO, 유시춘, 유OO, 남동생 유시정


참조

[1] 뉴스 유시민 대선 출마 선언 https://www.hani.co.[...] 2007-08-19
[2] 뉴스 Opposition bloc fields joint candidate for Gyeonggi governor http://joongangdaily[...] JoongAng Daily 2010-05-25
[3] 웹사이트 Progressive parties unified https://archive.toda[...] Yonhap News Agency 2012-02-01
[4] 뉴스 The Kyunghyang Shinmun http://news.khan.co.[...] The Kyunghyang Shinmun 2013-02-19
[5] 웹사이트 유시민 정계은퇴 선언…"직업으로서의 정치 떠난다" https://news.naver.c[...] 2020-05-31
[6] 웹사이트 Do not become sensible like Rhyu Si-min http://h21.hani.co.k[...] Hankyoreh 2005-04-04
[7] 뉴스 [대통합신당주자 릴레이 인터뷰] 유시민 후보‥'남편 못지않은 秀才' 부인 한경혜씨 https://www.hankyung[...] 2007-09-12
[8] 뉴스 "남편은 겉에서 보기 보다 매우 가정적" https://www.jejusori[...] 2007-08-29
[9] 뉴스 Rhyu Si-min's remarks on Enlightenment monarch..."deepening" anger over the shooting of government officials. http://news.tf.co.kr[...] 2020-09-26
[10] 뉴스 Kim Jong-un Offers South Korea Rare Apology for Killing of Official (Published 2020) https://www.nytimes.[...] 2020-09-25
[1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3-13
[12] 웹사이트 총리 후보 유시민 유시천 유시주 3남매 기막힌 가족사, 일제시대 선친 행적 놓고...무슨 사연 안동 하회마을 서애 유성룡 13대손 https://www.g-enews.[...] 2016-11-08
[13] 웹사이트 유시민 가문의 놀라운 유전자, 누나 유시춘· 여동생 유시주 뛰어난 문필가라는데...고려대 서울대 넘나들면서 https://www.g-enews.[...] 2016-11-09
[14] 신문 “イ・ミョンバク政権, 文明逆走行 悲しい” http://www.hani.co.k[...] 한겨레 2009-03-14
[15] 웹사이트 유시민 '거꾸로 읽는 세계사' 전면 개정판 출간 https://www.yna.co.k[...] 2021-10-26
[16] 신문 ハンナラ党、再補欠選で「2勝1敗」 http://www.chosunonl[...] 조선일보 2003-04-24
[17] 신문 統合新党、来月9日党結成 http://www.chosunonl[...] 조선일보 2003-09-15
[18] 신문 「国旗に対する誓いは日帝の残物」 http://www.chosunonl[...] 조선일보 2003-05-21
[19] 웹사이트 동아일보 제18대 총선 특집 페이지의 대구광역시 각 선거 개표 결과(상위 2인만 기재) http://www.donga.com[...]
[20] 신문 유시민 "친노신당 입당할 것"(柳時敏“親盧新黨 入黨することに”)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09-10-20
[21] 뉴스 京畿道知事選、野党推薦候補は柳時敏氏に確定 http://japanese.yonh[...] 連合ニュース 2010-05-13
[22] 뉴스 〔경기지사〕‘심상정 사퇴 결단’막판 표심 흔들까 촉각 http://www.hani.co.k[...] 한겨레 2010-05-30
[23] 뉴스 差し替え:ソウル市長選で与党辛勝、民主党躍進の地方選挙に http://japanese.yonh[...] 連合ニュース 2010-06-03
[24] 뉴스 統一地方選:京畿道で大量無効票、民主党支持者が棄権か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日本語版サイト 2010-06-04
[25] 뉴스 여의도로 복귀한 유시민 "진보적 자유주의론으로 정책 주도" http://www.vop.co.kr[...] 민중의소리 2010-09-15
[26] 뉴스 국민참여당 '유시민호' 출범..."2기 진보개혁정권 세우겠다" http://www.dailiang.[...] 데일리중앙 2011-03-19
[27] 뉴스 ‘노무현의 고향’서…할말 잃은 유시민 http://www.hani.co.k[...] 한겨레 2011-04-28
[28] 뉴스 民主労働党など野党3党「統合進歩党」結成=韓国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1-12-05
[29] 뉴스 통합진보 비례대표 후보 확정..1번 윤금순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2-03-21
[30] 뉴스 <비례대표 당선자 명단>-통합진보당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2-04-12
[31] 뉴스 統合進歩党の共同代表団4人が一斉に辞任…韓国 https://japanese.joi[...] 2012-05-13
[32] 뉴스 統合進歩党、前職・現職代表・議員などが離党 http://www.labornetj[...] 2012-09-13
[33] 뉴스 韓国:進歩正義党、野党圏連帯交渉を本格化 http://www.labornetj[...] 2012-11-13
[34] 뉴스 유시민 정계은퇴 선언…"직업으로서의 정치 떠난다"(柳時敏政界引退宣言・・・“職業としての政治去る”) http://www.yonhapnew[...] 2013-02-19
[35] 웹사이트 [뉴스pick] 정의당 '탈당' 고백한 유시민…당적 정리한 이유는? https://news.sbs.co.[...] 2018-06-15
[36] 웹사이트 [2보] '한동훈 명예훼손' 유시민 2심도 벌금형 https://www.yna.co.k[...] 2023-12-21
[37] 웹사이트 심재철-유시민, 계엄군에 '학생운동 지도부 누설' 진실공방 https://www.jayupres[...] 2022-06-26
[38] 뉴스 남편은 겉에서 보기 보다 매우 가정적 http://www.jejusori.[...] 2007-08-29
[39] 뉴스 유시민, 부친 친일 의혹만은 끝내 은폐 http://www.bignews.c[...] 2015-08
[40] 뉴스 유시민의원 “부친 일제때 만주 소학교 근무” http://www.seoul.co.[...] 2004-09-09
[41] 뉴스인용 서프라이즈 및 라디오21 특별기획 ‘독고탁의 시사포인트-2007대선후보로부터 듣는다’ http://blog.naver.co[...]
[42] 뉴스인용 정신과 여의사 정혜신의 남성 탐구 http://livepoll.dong[...] 2000-09-01
[43] 뉴스인용 서울대 프락치 사건 피해자 유시민 장관 임명에 강력반발 https://news.naver.c[...] 2006-02-07
[44] 뉴스인용 유시민 멜로드라마 작가 이력 '화제'…문성근‧조용원 출연 http://www.newsface.[...] NEWSFACE 2012-02-20
[45] 뉴스인용 유시민은 '포스트 DJ'가 될 수 있을까 http://media.daum.ne[...] 2009-08-24
[46] 뉴스인용 이것이 진짜 개혁신당 http://h21.hani.co.k[...] 2002-09-12
[47] 뉴스인용 허무느냐, 후퇴하느냐… http://h21.hani.co.k[...] 2003-05-15
[48] 일반
[49] 뉴스인용 열린우리당- 죽느냐, 차별화하느냐 http://h21.hani.co.k[...] 2004-01-29
[50] 뉴스인용 유시민 "내 파병안 반대투표, 비겁했다" http://www.ohmynews.[...] 2005-11-15
[51] 뉴스 유시민“대통령과 같이 욕먹고 비맞는다” https://web.archive.[...] 브레이크 뉴스 2005-11-15
[52] 뉴스 <유시민 `민노당 死票론" 논란>(종합) http://media.daum.ne[...] 연합뉴스 2004-04-13
[53] 뉴스 여야 의원 ‘입심’ 먹이사슬 https://news.naver.c[...] 서울신문 2005-03-05
[54] 뉴스 노무현은 유시민의 운명이다 https://web.archive.[...] 서울신문 2006-01-09
[55] 뉴스 연정? 노회찬 "결혼이다" - 유시민 "데이트다" http://media.daum.ne[...] 오마이뉴스 2005-08-04
[56] 뉴스 유시민, “창조적 분열뒤 5당체제로 가자” http://media.daum.ne[...] 한겨레 2005-09-22
[57] 뉴스 유시민 장관깨지 "한나라당 집권가능성 99%" http://media.daum.ne[...] 연합뉴스 2007-02-20
[58] 뉴스 유시민 장관 "한나라당 집권가능성 99%"(종합) http://media.daum.ne[...] 연합뉴스 2007-02-20
[59] 뉴스 노대통령, 검찰 과잉수사 질책 http://media.daum.ne[...] 한겨레 2007-03-14
[60] 뉴스 할일은 하되, 저술활동 계속하겠다. https://news.naver.c[...] 오마이뉴스 2007-05-22
[61] 웹사이트 유시민 의원, 대선예비후보 등록 http://www.usimin.ne[...] 2007-08-21
[62] 뉴스 유시민의 ‘습관성 연체… 미납… 해명…’ https://news.naver.c[...] 한겨레 2006-02-06
[63] 뉴스 우리당 사수파 반발 속 민주신당과 합당 결의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8-01-22
[64] 뉴스 유시민 "盧지지자가 文지지하면 자기부정" http://www.pressian.[...] 뉴시스 2007-11-25
[65] 뉴스 유시민 “적장에 이렇게까지 모욕줘선 안된다“ http://news.kukinews[...] 쿠키뉴스 2009-04-21
[66] 뉴스 유시민 "졸렬한 정치보복, MB는 어리석은 대통령" http://www.ohmynews.[...] 서울신문 2009-04-30
[67] 뉴스 유시민 단일화, "민주당이 어뢰 맞았다" https://news.naver.c[...] 조선일보 2010-05-13
[68] 뉴스 동교동 방문한 유시민 "DJ 비판 사과, 큰 업적 이뤄"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0-05-24
[69] 뉴스 유시민 단일화 파장 주목 https://news.naver.c[...] mbn 2010-05-14
[70] 뉴스 유시민 통합진보당 대표, 사실상 당무 거부 http://www.newstomat[...] 뉴스토마토 2012-01-31
[71] 뉴스 유시민 "진보정의당 자체후보 선출… 정권교체 목표"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2-10-10
[72] 뉴스 [썰전] 전원책 對 유시민 확정…11일 첫 녹화, 긴장감↑ https://web.archive.[...] 조선일보 2016-01-11
[73] 뉴스 '노무현재단' 이해찬 후임 새 이사장에 유시민 작가 내정 http://news.jtbc.joi[...] JTBC 2018-09-26
[74] 뉴스 '유시민의 알릴레오' 오는 4일 첫 방송…첫 게스트는 문정인 http://news.hankyung[...] 한국경제 2019-01-03
[75] 뉴스 방송 하루만에 구독자수 43만 찍은 유시민 ‘알릴레오’…유튜브 전쟁 판도 바꾸나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19-01-06
[76] 뉴스 유시민 '알릴레오' vs 홍준표 'TV홍카콜라' 승자는? https://www.ytn.co.k[...] YTN 2019-01-03
[77] 뉴스 알릴레오 한 방에 1위 등극, 홍카콜라 ‘대도서관 룰’에 충실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9-01-19
[78] 웹인용 ≪일다≫ [블랙리스트] 유시민의 조개론 http://www.ildaro.co[...] 2020-04-10
[79] 뉴스 유시민 '진기록', 16~17대 선거법위반 동시재판 https://web.archive.[...] 프레시안 2004-11-25
[80] 뉴스 유시민, 17대 선거법 위반 재판 속개, 3월말 선고 전망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05-02-28
[81] 깨진 링크 http://news.hankooki[...] 2015-08-00
[82] 뉴스인용 서기호판사 비례 탈락..이정희·유시민 ‘격론’ https://web.archive.[...] 2012-03-05
[83] 뉴스인용 통합진보 비례후보 박원석ㆍ김제남..서기호 탈락 http://www.yonhapnew[...] 2012-03-04
[84] 웹인용 판사들도 돌려봤다는 26살 유시민이 쓴 항소이유서 전문 https://news.joins.c[...] 2020-03-04
[85] 웹인용 〈알릴레오〉패널 ‘성희롱 발언’ 논란…유시민 “깊게 반성” http://www.hani.co.k[...] 2020-03-04
[86] 웹인용 유시춘 EBS 이사장 아들·유시민 조카, 마약 밀수로 징역 3년형 https://web.archive.[...] 2020-03-04
[87] 뉴스 모교 찾은 유시민, '부드러운 선배' 되다 https://news.naver.c[...]
[88] 뉴스인용 유시민장관 드라마 썼었다 http://sports.khan.c[...] 경향신문 2006-08-24
[89] 일반
[90] 일반
[91] 문헌 2004년 유시민 선친 논란 관련 언급 2004
[92] 문헌 2004년 및 2007년 유시민 선친 생존 확인 관련 정보 2004-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