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항해시대 3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항해시대 3은 1480년대를 배경으로 하는 게임으로, 대항해시대를 반영하여 유럽 및 세계 정세를 구현했다. 세계를 탐험하며 유적과 보물을 발견하는 것이 주요 목표이며, 세계 일주를 가장 먼저 달성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전작들과 달리 자유도가 높고, 언어 시스템, 후원자 시스템, 결혼 및 후계자 시스템 등이 특징이다. 역사적 인물과 가공의 인물, 괴물 등이 등장하며, 출시 초기에 오류가 많았으나 패치를 통해 수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항해시대 시리즈 - 대항해시대 온라인
    대항해시대 온라인은 코에이 테크모 게임즈의 대항해시대 시리즈를 기반으로 탐험 시대를 배경으로 하여 모험가, 상인, 군인 등의 직업을 갖고 항해, 교역, 전투, 퀘스트 등을 수행하며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MMORPG이다.
  • 대항해시대 시리즈 - 대항해시대 2
    대항해시대 2는 코에이에서 제작한 항해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6명의 주인공 중 한 명을 선택하여 모험, 교역, 해전 등을 통해 명성을 쌓아 칙명을 받거나 작위를 얻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칸노 요코가 작곡한 OST와 다양한 플랫폼 이식으로 호평을 받았지만 식민주의적 요소 미화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 - 롤러코스터 타이쿤
    롤러코스터 타이쿤은 1999년에 출시된 놀이공원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 시리즈로, 롤러코스터 건설과 공원 운영을 특징으로 하며, 다양한 플랫폼으로 출시되어 인기를 얻었으나, 법적 분쟁과 소액 결제 논란을 겪기도 했다.
  •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 - 소녀 마법사 파르페
    소녀 마법사 파르페는 코가도 스튜디오에서 제작한 상점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주인공 파르페 슈크렐이 되어 1년 안에 빚을 갚고 흑묘 마법점을 번성시키는 것을 목표로 원자재 조달, 마법약 조제, 상품 판매를 반복하며 마을 사람들과 교류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 1996년 비디오 게임 - 포켓몬스터 레드·그린
    1996년 닌텐도에서 발매된 게임보이용 롤플레잉 게임 《포켓몬스터 레드·그린》은 151종의 포켓몬을 수집, 육성, 교환, 대전하는 게임으로,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첫 작품이자 게임 업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 1996년 비디오 게임 - 이 세상의 끝에서 사랑을 노래하는 소녀 YU-NO
    《이 세상의 끝에서 사랑을 노래하는 소녀 YU-NO》는 주인공이 '리플렉터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평행 세계를 탐험하며 비밀을 밝혀나가는 SF 판타지 어드벤처 게임으로, 'A.D.M.S'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루트와 엔딩을 제공하며 비주얼 노벨 장르에 큰 영향을 주었다.
대항해시대 3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대항해시대 3 커버
대항해시대 3 커버
제목대항해시대 III Costa del Sol
플랫폼Microsoft Windows 95 - XP
Macintosh
개발사광영
배급사광영
프로듀서시부사와 코우
작곡가고우기 쓰네요시
출시일



장르리코에이션 게임
플레이어 수1인
미디어CD-ROM[Win·Mac]

2. 시대적 배경

1480년부터 게임이 시작되며, 이는 대항해시대가 시작될 무렵이다. 게임은 플레이어가 개입하지 않는 한, 역사적 사실에 따라 진행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대항해시대 I보다 이전인 대항해시대 여명기 1480년부터 시작한다. 게임 시작 시점에는 레콩키스타가 완료되지 않아, 그라나다 등 이베리아 반도 일부가 이슬람 세력의 지배하에 있다. 이후 역사적 사실에 맞춰 국왕이나 영국의 지배 도시·식민지 관계 등이 변화하며, 신대륙 발견 등의 이벤트도 플레이어가 개입하지 않는 한 거의 역사적 사실대로 진행된다.

당시 정세 등의 이유로 기항이나 입국이 어려운 도시도 있는데, 이슬람권 도시(플레이어 캐릭터는 기독교도이므로)나 쇄국 정책을 펴던 명나라, 1494년 토르데시야스 조약 체결 후의 포르투갈 왕국·에스파냐 왕국 상호 간의 도시 등이 있다. 이들은 금전적인 협상이나 밀입국에 성공하거나, 도시를 점령하면 기항이나 입국이 가능하게 된다.

3. 게임 시스템

대항해시대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교역이나 해전도 있지만, 이 게임의 주요 목표는 전 세계를 모험하며 유적, 보물 등 다양한 "발견물"을 찾는 것이다. 발견물 수는 시리즈 중에서도 돋보이게 많다.

최종 목표는 "세계 일주 항로의 발견"이다. 경쟁자보다 먼저 세계일주를 달성하면 엔딩을 볼 수 있지만, 이후에도 게임을 계속할 수 있다. 플레이어 캐릭터의 "은퇴"가 진정한 게임의 끝이다. 플레이어에 따라서는 전 세계의 발견물을 수집하여 자택의 백과사전을 채우거나, 매우 까다로운 조건을 통해서만 발견 가능한 전설의 제국 무제국을 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도 한다.

대항해시대 3은 시리즈 중에서도 자유도가 매우 높지만, 자국 영토 외에서는 저장이 불가능하여 난이도가 높은 편이다.

3. 1. 주인공 및 캐릭터

플레이어는 초심자용 캐릭터를 선택하거나 직접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다. 초심자용 캐릭터는 이름과 능력이 정해져 있는 반면, 처음 시작할 때 어느 정도 기반이 잡혀 있다. 일반 캐릭터를 만드는 경우에는 얼굴, 이름, 나이, 능력치를 게임 시작 시점에 정할 수 있다. 나이가 적으면 배울 수 있는 특기가 적은 대신 체력과 무력이 뛰어나고, 나이가 많으면 배울 수 있는 특기가 많고 지력과 매력이 높은 대신 체력과 무력이 떨어진다. 일반 캐릭터를 만든 경우에는 게임을 진행하는 중 은퇴할 수 있으며, 은퇴한 이후에는 다른 캐릭터로 시작할 때 해당 캐릭터를 게임 속에 다시 등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주인공의 국적은 포르투갈 왕국 또는 에스파냐 왕국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능력치 중 "지력"은 습득 가능한 스킬의 상한을 결정하며, 주인공이나 부하가 필요한 스킬을 가지고 있으면 모험의 힌트를 얻을 수 있다. 스킬은 0(미습득)부터 3 레벨까지 존재하며, 같은 언어 스킬을 3 레벨로 습득하지 않은 상대와는 대화도 할 수 없다.[1]

3. 2. 언어 시스템

대항해시대 3에서 가장 특징적인 요소는 언어이다. 언어가 통하지 않는 곳에서는 의사소통 자체가 불가능하고, 통하지 않는 언어로 쓰여진 책은 읽을 수조차 없다.[1] 언어를 통하게 하기 위해서는 해당 언어에 능통한 항해사를 고용하거나, 조합이나 교회 등에서 해당 언어를 직접 배우는 수밖에 없다.[1] 게임 내에서 등장하는 언어는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로망스어, 게르만어, 슬라브어, 그리스어, 페르시아어, 위구르어, 아랍어, 중국어, 아프리카 토착어, 중남미 토착어, 동아시아 토착어, 동남아시아 토착어 등으로 다양하다.[1] 특히 게임 초반에는 몇몇 특정 언어는 이를 갖추고 있는 항해사가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언어의 장벽이 게임의 난이도를 높이고 있기도 하다.[1]

언어는 습득한 정도에 따라 0~3레벨까지로 나뉘며, 3레벨의 언어가 갖추어져 있어야만 완벽하게 그 언어로 소통이 가능하다. 도시에서 통용되는 언어의 레벨이 0인 경우에는 그 도시에서의 모든 대사가 X로 가려져 읽을 수 없으며, 레벨이 1, 2인 경우에는 대사의 일부분만 읽을 수 있게 되어있다. 도서관에 있는 책은 적혀있는 언어를 3레벨로 완전히 갖추어야만 읽을 수 있다. 플레이어가 해당 언어를 모르고 있다면, 통역이 해당 언어를 알고 있어야만 그 대사를 해석할 수 있으며, 도서관에서 책을 읽을 때는 통역뿐 아니라 고용된 항해사 중 어느 항해사라도 그 언어 레벨이 3이라면 책을 읽을 수 있다.

타국의 도시를 점령한 경우에는 그 도시는 자국령이 되기 때문에, 사용하는 언어도 자국의 언어로 바뀌어서 통역이 필요 없게 된다. 그러나 그 도시를 점령하였다 하더라도 그 도시의 도서관의 책에 적혀있는 언어는 바뀌지 않기 때문에 여전히 통역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대항해시대 3에서는 배울 수 있는 언어가 한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무슨 수를 다 써도 에디터를 쓰지 않고는 모든 언어를 습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3. 3. 후원자 (스폰서)

게임을 시작하면 플레이어는 자신의 배가 없으므로, 모험을 위해서는 후원자와 계약하여 자금과 배를 지원받아야 한다.[1] 후원자와의 계약 과정은 다음과 같다.[1]

# 도서관에서 힌트를 얻는다.

# 힌트를 바탕으로 후원자를 찾아가 설득한다. 후원자의 기호, 취향, 플레이어의 화술이 설득에 영향을 미친다.

# 후원자에게서 선불금을 받고 배를 빌려 항해하며, 여러 곳에서 정보를 수집한다.

# 발견 후, 후원자에게 증거품을 가져가 보고하고 제출한다. 발견물의 가치에 따라 후원자에게 받는 사례금 및 명성 상승폭이 달라진다.

계약 없이도 발견은 가능하지만, 자금 및 배를 지원받을 수 없고, 발견물 발표 시 명성 상승 수치가 낮으며, 주점에서 정보를 얻을 수 없어 더 어렵다. 그러나 발견물 발표 시 이를 자신이 소유할 수 있으며, 증거품 중에는 강력한 무기나 선수상 등 게임에 도움이 되는 것도 있다. 후원자와 계약하고 발견물을 보고할 때 진품이 아닌 모조품을 증거품으로 줄 수도 있지만, 실패 시 악명이 상승하고 장기간 감옥에 있어야 하는 위험이 있다.[1]

또한, 서쪽 항로(신대륙) 발견 및 아프리카 남단 등 지리나 항로에 대한 발견은 후원자와 계약을 해야만 발견할 수 있다.[1]

3. 4. 결혼 및 후계자

이 게임에서는 세계 각국의 술집에 있는 여자와 결혼하여 플레이어의 집에서 같이 살 수 있다. 자녀는 아들과 딸 각각 1명씩 낳을 수 있으며, 오직 아들만을 후계자로 할 수 있다. 아들은 10세 이후에 직접 교육하는 것이 가능하며 18세가 되면 후계자로 삼을 수 있다. 아들로 세대교체를 하는 경우 아들은 아버지의 능력, 명성, 악명 등을 일부 계승한다.[1]

4. 주요 등장인물

게임에는 실존 인물과 가공의 인물이 등장한다. 인명 표기는 게임 내 표기를 따르는데, 스페인어(카스티야어)를 따르기 때문에 크리스토퍼 콜럼버스(크리스트발 콜론)처럼 일반적으로 알려진 이름과 다른 경우가 많다.[1]

'''실존 인물'''



'''가공의 인물'''

  • 라몬 데 마르시아스: 포르투갈의 탐험가로, 초심자용 캐릭터이다.[1]
  • 에밀리오 알바레스: 에스파냐의 탐험가로, 초심자용 캐릭터이다.[1]
  • 파블리스 데 페레로: 리스본에 사는 포르투갈 귀족으로, 라몬의 첫 후원자이다.[1]
  • 레온 페레로: 파블리스의 아들이며, 대항해시대 I의 주인공이다.[1]
  • 로코 알렘켈: 페레로 가를 섬기는 항해사이다.[1]
  • 프란시스코 데 에란초: 세비야에 거주하는 에스파냐 귀족으로, 에밀리오의 첫 후원자이다.[1]


'''괴물'''

실제 대항해시대에는 괴물에 대한 여러 전설이 있었고, 게임에서는 이를 반영했다.

  • 크라켄: 거대한 문어처럼 생긴 괴물이다.
  • 시서펜트(바다뱀): 수룡처럼 생긴 괴물이다.
  • 백상아리(식인 상어): 흉폭한 상어이다.
  • 멘터(만타): 온순하지만 게임에서는 공격해 온다.

4. 1. 역사 속 인물

게임에는 실존했던 인물들이 등장한다. 인명 표기는 게임 내 표기를 따르는데, 스페인어(카스티야어)를 따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이름과 다른 경우가 많다.

4. 1. 1. 경쟁자

역사적으로 중요한 발견을 한 인물들이 경쟁자로 등장한다. 이들보다 먼저 발견물을 발견하거나 지리적 발견을 하는 것이 게임의 목표 중 하나이다. 에르난 코르테스알부케르크 등의 정복자는 특정한 시점에 도시를 정벌하여 그들이 속한 나라의 영토로 만들기 때문에 플레이어가 이들이 속한 국적인 경우 도움이 되며, 적대적인 국가인 경우 진행에 어려움이 있다. 만일 이들과 일기토를 하여 승리하면, 이들의 행동을 다소 늦출 수 있다. 또한, 역사대로 이들이 죽는 해부터는 게임에 등장하지 않는다 (알부케르크는 제외한다.).[1]

  • 바르톨로메우 디아스: 포르투갈의 항해자. 최초로 아프리카 남단에 도착한 유럽인이다.[1]
  • 크리스트발 콜론: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이며 게임상에는 이 이름으로 나온다. 제노바 출신의 항해자이며 이사벨 1세의 허가를 받아 스페인에서 출항하였다. 최초로 신대륙에 도착한 유럽인이다.[1]
  • 아메리고 베스푸치: 피렌체 출신의 항해자. 남미에서 신대륙을 여러번 항해하여 신대륙이 아시아와는 별개의 대륙임을 주장하였다. 게임에서는 플레이어가 콜론에게 일기토에서 이겨서 행동을 늦출 경우에 제일 먼저 신대륙을 발견할 가능성이 높다.[1]
  • 페르난도 마가랴네스: 페르디난드 마젤란이며 게임상에는 이 이름으로 나온다. 스페인의 지원을 받고 서회항로를 거쳐 세계항해를 목표로 삼았으나, 필리핀에서 원주민과의 교전 중 전사하였다(게임에서는 그가 사망했다는 사실을 술집 및 여관에서의 대화를 통해 알 수 있다.).[1]
  • 후안 세바스티안 엘카노: 스페인의 항해자. 마가랴네스의 부하로 세계일주에 동행했다. 마가랴네스가 사망한 후 남은 함대를 이끌고 스페인에 무사귀환하여 세계일주를 마쳤다. 게임에서 엔딩을 보기 위해서는 엘카노보다 먼저 세계일주를 해야 한다.[1]
  • 바스코 다 가마: 포르투갈의 항해자. 유럽에서 출발하여 아프리카남단을 거쳐서 인도까지 항해한 최초의 유럽인이다.[1]
  • 아폰수 드 알부케르크: 포르투갈의 식민지 정복자. 게임초기에는 정복자로 등장하며 인도를 정벌한 후에는 총독(후원자)으로 등장한다. 포르투갈 국적으로 게임을 하는 경우에는 큰 도움이 된다(총독 부임후에는 다른 정복자와는 달리 계속 등장한다.).[1]
  • 에르난 코르테스: 스페인의 콩키스타도르. 아즈텍 왕국을 정복하였다.[1]
  • 프란시스코 피사로: 스페인의 콩키스타도르. 잉카 제국을 정복하였다.[1]

4. 1. 2. 기타 실존 인물


  • 이사벨 1세: 콜럼버스(콜론)의 항해를 지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게임 내에서는 최고의 자금력을 가진 후원자 중 한 명으로, 선호하는 범위도 넓다.[1]
  • 카를로스 1세: 이사벨 1세의 뒤를 이은 스페인 국왕이다. 게임에서는 가장 뛰어난 자금력을 자랑하며, 역사적 사실과는 달리 항상 세비야에 머무른다.[1]
  • 조안 2세: 게임 시작 시 포르투갈의 국왕이다. 역사에서처럼 지리적 호기심이 높고 자금력도 높지만, 일찍 퇴장하므로 만날 기회는 적다.[1]
  • 마누엘 1세: 행운왕으로, 바스코 다 가마의 인도 항로 발견과 알브케르케의 인도 정복을 지원했다. 자금력이 높고 영토에 대한 욕심이 많다.[1]
  • 레오나르도 다 빈치: 르네상스 시대의 천재로 알려진 인물이다. 게임에서는 잠수폭탄 등의 신무기를 개발하며, 특정 시기에 밀라노에 있는 그의 집을 방문하면 신무기를 받을 수 있다.[1]
  •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폴란드의 천문학자이다. 게임에서는 바르샤바에 있는 그의 연구소를 방문하면 지동설에 대한 의견을 묻는다. 그의 지동설을 지지하면 망원경을 받을 수 있다.[1]
  •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가이다. 게임에서는 성 베드로 성당에서 벽화를 그리는 일을 한다.[1]
  • 브라도 제페시: 루마니아와라키아 공이다. 게임에서는 부쿠레슈티의 성에 살고 있으며, 흡혈귀로 설정되어 있다.[1]
  • 도냐 마리아: 인디오 여성으로, 코르테스의 통역, 참모, 애첩 역할을 수행했으며, 아즈텍 왕국 정복에 큰 역할을 했다. 게임에서는 코르테스를 수행하지는 않지만, 이벤트를 통해 통역사로 플레이어의 항해에 합류한다. 게임 초반에는 중남미 토착어를 구사하는 몇 안 되는 통역관이다.[1]
  • 헤르니모 데 아기랄: 스페인의 수도사이다. 마야 족과 함께 생활하며 마야어 능력을 습득하여 도냐 마리아와 함께 통역 임무를 수행했다. 게임에서도 중남미 토착어 통역사로 등장한다.[1]
  • 사비엘 데 야소: 게임에서는 이 이름으로 등장한다. 게임 중반에 등장하는 인물 중 유일하게 중국어 및 동아시아 토착어를 구사하는 인물이다. 게임에서는 모든 등장인물 중 가장 늦은 시기인 1524년에 등장한다.[1]
  • 쓰카하라 보쿠텐: 일본의 무사이다. 게임에서는 플레이어가 어떤 발견물의 증거품을 가져오는 과정에서 일기토 상대가 되는 무사로 등장한다.[1]
  • 아흐마드 이븐 마지드: 바스코 다 가마가 인도에 도착할 때 통역 겸 안내인을 맡았던 아랍인 항해사이다. 뛰어난 항해술 지침서와 지식을 정리한 저서를 저술했다. 게임상에서는 항해술 3과 함께 다채로운 언어, 특히 희귀한 위구르어 스킬을 가진 매우 뛰어난 아랍인 항해사이다.[1]
  • 로도비고 바르테마: 볼로냐 출신의 모험가로 1500년경 여행을 떠난다. 이슬람교도로 변장하여 이집트에서 인도 방면으로 육로를 건너, 그 후 몰루카 제도에 도착한다. 1508년에 포르투갈 선박으로 유럽으로 귀환, 역사적으로 귀중한 여행기를 남겼다. 게임에서는 다채로운 유럽 방면을 포함한 다채로운 언어 외에, 과학, 역사학, 의학 등의 독서에 필요한 스킬을 갖추고 있어 발견물 컴플리트에 필수적인 인재이다.[1]

4. 2. 가공의 인물

라몬 데 마르시아스는 포르투갈의 탐험가로, 초심자용 캐릭터이다. 에밀리오 알바레스는 에스파냐의 탐험가로, 역시 초심자용 캐릭터이다.[1]

파블리스 데 페레로는 리스본에 살고 있는 포르투갈의 귀족이다. 라몬의 아버지와의 인연으로 라몬의 첫 번째 후원자가 된다. 항해 중 행방불명이 되었으며, 이는 페레로가의 몰락을 불러온다. 대항해시대 2에서 피에트로 콘티에 의해 의외의 장소에서 발견되기도 한다.[1]

레온 페레로는 파블리스의 아들이며, 대항해시대 I의 주인공이다. 파블리스가 실종된 후 페레로가의 부활을 위해 항해에 나선다. 이 게임에서는 항해자로 등장하며 플레이어의 부하가 될 수는 없다.[1]

로코 알렘켈은 페레로가를 섬기고 있는 항해사로, 이 게임에서는 부하로 삼을 수 있다. 검술 실력이 뛰어나 플레이어 대신 일기토를 펼칠 수도 있다. 대항해시대 I에서는 페레로가의 부활을 꿈꾸는 레온을 돕는 역할로 등장했으며, 대항해시대 II에서는 레온의 아들인 조안을 돕는 노항해사로 등장했다.[1]

프란시스코 데 에란초는 세비야에 거주하는 에스파냐의 귀족이며, 대항해시대 II에 등장하는 카탈리나 에란초의 아버지이다. 에밀리오의 아버지인 페드로와의 인연으로 에밀리오의 첫 번째 후원자가 된다.[1]

그밖에 대항해시대 II의 등장인물들이 이 게임에서도 많이 등장한다.[1]

4. 3. 괴물

실제 대항해시대 때는 괴물에 대한 여러 전설이 있었으며, 게임에서는 이를 반영하여 괴물과의 교전도 가능하게 하였다. 등장하는 괴물들은 다음과 같다.

  • 크라켄: 거대한 문어처럼 생긴 괴물. 그린란드 서해안 또는 대서양 북부의 래브라도해에서 등장한다.
  • 시서펜트(바다뱀): 수룡처럼 생긴 괴물. 인도양에서 등장한다.
  • 백상아리(식인 상어): 흉폭한 상어. 태평양에서 등장한다. 쓰러뜨리면 상어 뱃머리 조각을 얻을 수 있다.
  • 멘터(만타): 본래는 온순한 만타이지만, 게임에서는 어째서인지 덤벼든다. 오키나와 근해에서 등장한다.

5. 오류, 패치 및 버전 차이

출시 초기에는 여러 오류가 발견되어, 코에이에서 패치 파일을 배포하여 수정하였다. 패치를 적용하면 윈도우 외부 클릭 시 강제 종료, 아랍 해적과의 전투 후 강제 종료 등의 버그가 개선되었다.[1]

초기 버전에서는 제비뽑기를 통해 교역품 '노예'에 대한 힌트를 얻고 아프리카에서 노예 무역이 가능했으나, 윤리적인 문제로 이후 버전 및 패치 적용 버전에서는 삭제되었다. 그러나 게임 내 백과사전에는 노예 관련 내용이 남아있어,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백과사전을 모두 채울 수 없게 되었다.[1]

패치 적용 후 변경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1]

변경 사항
처음부터 모든 후원자와 면식이 있음
경쟁자와의 일기토를 통한 행동 지연 불가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