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둥간 혁명 (1862년~1877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둥간 혁명 (1862-1877)은 청나라 말기에 중국 북서부에서 발생한 종교적, 민족적 갈등과 계급 투쟁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대규모 반란이다. 명나라에 저항했던 무슬림 세력의 후예들이 청나라에 저항하며 시작되었으며, 수피교 종파 간의 갈등, 청나라 관리의 부패, 소수 민족에 대한 차별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혁명은 섬서성과 간쑤성을 중심으로 신장 지역까지 확산되었으며, 야쿠프 베크가 이끄는 세력의 등장으로 더욱 복잡해졌다. 청나라는 좌종당의 지휘 아래 군대를 투입하여 혁명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무슬림 지도자들을 처형하고 가족을 노예로 삼는 등 강경한 탄압을 가했다. 이로 인해 막대한 인명 피해가 발생했고, 회족 사회는 분열되었으며, 둥간족의 러시아 이주라는 결과로 이어졌다. 둥간 혁명은 청나라의 서북 지역 통치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회족과 한족 간의 갈등을 심화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의 이슬람교 - 야쿱 벡의 난
    야쿱 벡의 난은 1860년대부터 1870년대에 청나라 신장 지역에서 야쿱 벡이 서북 무슬림 대반란의 혼란을 틈타 신장 대부분을 점령하고 독립을 선포하며 시작되었으나, 청나라가 좌종당을 파견하여 재정복하면서 진압된, 외세 개입과 민족 갈등이 얽힌 중앙아시아 역사상 중요한 사건이다.
  • 닝샤의 역사 - 보바이의 난
    보바이의 난은 1592년 명나라 만력제 시기 영하에서 푸베이가 탐관오리의 횡포와 부당한 대우에 불만을 품고 유동양 등과 함께 일으킨 반란으로, 명나라 멸망의 간접적인 원인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닝샤의 역사 - 북지군
    북지군은 기원전 271년 진나라가 의거족의 영토를 병합하여 설치한 군으로 현재의 간쑤성 칭양시 일대에 위치했으며, 여러 왕조를 거치며 행정 구역과 관할 지역에 변화가 있었고 당나라 대에 빈주로 불리다 군제가 폐지되어 사라졌다.
  • 청나라의 반란 - 흑기군
    흑기군은 19세기 후반 류영복이 이끌던 중국 남부의 의용군으로, 통킹 지역에서 청나라에 저항하고 응우옌 왕조를 도와 프랑스에 맞서 싸웠으나 청불 전쟁 이후 해산되었으며, 검은 바탕에 북두칠성이 그려진 깃발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 청나라의 반란 - 소도회
    소도회는 1850년대 중국에서 반청을 기치로 푸젠성 샤먼에서 조직되어 광둥성과 푸젠성 출신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한 비밀결사 조직으로, 한때 샤먼과 상하이 등을 점령했으나 진압되었고 태평천국 운동에 영향을 주는 등 중국 근대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둥간 혁명 (1862년~1877년) - [전쟁]에 관한 문서
분쟁 개요
분쟁명둥간 혁명
시기1862년 – 1877년
장소산시 성, 간쑤성, 닝샤성 및 신장
원인대나무 막대 가격에 대한 흥정 분쟁
결과청나라의 승리
세부 결과러시아 제국과 리바디아 조약 및 일리 조약 체결
야쿱 벡 정권의 붕괴
교전 세력
교전국 1청나라
지원 세력후이족 충성파
간쑤성의 마잔아오 휘하 쿠피야 (1872년–1877년)
산시성의 11개 거디무 대대 (1872년–1877년)
추이 웨이의 대대 (1872년–1877년)
화 다차이의 대대 (1872년–1877년)
러시아 제국
교전국 2카슈가리아 (야쿱 벡 휘하의 코칸트 우즈베크 안디잔인)
지원 세력영국
오스만 제국
일리의 타란치 술탄국
야르칸드의 둥간 반군
우루무치의 이슬람 왕국
호탄 반군
카슈가르의 둥간 반군
키르기스 반군
타청의 둥간 반군
교전국 3후이족 반군
상세 교전국 3산시성의 거디무 18개 대대 (대대장 중 11명은 항복하여 청나라에 투항, 6명은 사망, 1명인 백언호는 러시아로 도주)
추이 웨이의 대대 (1862년–1872년)
화 다차이의 대대 (1862년–1872년)
백언호의 대대
간쑤성의 마화룽 휘하 자흐리야
간쑤성의 마잔아오 휘하 쿠피야 (1862년–1872년)
지휘관 및 지도자
청나라좌종당
도롱가
류진탕
왕 다구이
둥푸샹
마잔아오 (1872년–1877년)
마안량 (1872년–1877년)
마첸링 (1872년–1877년)
마하이옌 (1872년–1877년)
추이 웨이 (1872년–1877년)
화 더차이 (1872년–1877년)
예티샤르야쿱 벡
쉬 쉬에쿵
백언호
후이족 반군추이 웨이 (1862년–1872년)
화 더차이 (1862년–1872년)
백언호
마화룽
퉈밍
마잔아오 (1862년–1872년)
마안량 (1862년–1872년)
마첸링 (1862년–1872년)
마하이옌 (1862년–1872년)
병력 규모
청나라후난 군대, 좌종당의 120,000명 군대 및 쿠피야 중국 무슬림 부대
야쿱 벡 군대안디잔 우즈베크 군대와 아프간 지원군, 야쿱 군대에 강제 징집된 한족과 후이족, 별도의 한족 민병대
후이족 반군산시성과 간쑤성의 반군

2. 역사적 배경

둥간 혁명은 단순히 종교적 이유뿐만 아니라, 민족 간의 반목과 계급 갈등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였다.[15]

청나라 초기, 명나라에 충성하던 회족을 포함한 무슬림 세력은 청나라에 맞서 저항을 시도했으나 결국 진압되었다. 이후 청나라는 서북부 지역의 무슬림 사회를 통치하게 된다. 건륭제 시대(1735–1796)에는 일부 학자들이 무슬림의 잠재적 위협을 경고하기도 했으며, 청나라 당국은 특정 수피즘 분파에 대해 경계심을 나타냈다.

18세기 회족 사회 내부에서는 서아시아와의 교류를 통해 전래된 수피즘의 영향력이 커졌다. 간쑤성 출신 지도자들이 메카예멘 등지에서 수학한 후 돌아와 나크슈반디 교단을 전파하면서, 마라이치(1681–1766)를 중심으로 한 온건파 카피야와 마밍신(1719?–1781)이 창시한 보다 급진적인 자히르야 분파가 형성되었다. 이들은 지역 모스크 중심의 전통적인 비수피 수니파 관행인 게디무와 공존했다. 청 당국은 카피야와 게디무를 '구교'라 부르며 비교적 용인했지만, 자히르야는 '신교'라 부르며 의심하고 경계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러한 종파 간의 갈등, 청나라 관리들의 부패와 특정 분파에 대한 탄압은 긴장을 고조시켰다.[25] 결국 1781년1783년에 자히르야를 따르는 회족과 살라르족이 봉기를 일으켰으나, 청나라는 카피야 세력의 도움을 받아 이를 진압했다.[26]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19세기 중반 대규모 봉기로 이어지는 역사적 배경을 형성했다.

2. 1. 청나라의 서북부 통치

명나라가 멸망하고 청나라가 들어선 초기, 중국 무슬림들은 청나라에 저항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646년 간쑤성에서는 밀라인이 이끄는 무슬림 명나라 충성파[16]와 딩궈동이 1646년 반란을 일으켜 청나라를 몰아내고 명나라 연창왕 주시촨을 황제로 다시 세우려 시도했다.[17] 이들의 저항에는 하미의 술탄 사이드 바바와 그의 아들 투룸타이 왕자도 지원을 보냈다.[18][19][20] 또한 한족티베트인 역시 이 반란에 참여했다.[21] 치열한 전투와 협상 끝에 1649년 평화 협정이 맺어졌고, 밀라인과 딩궈동은 형식적으로 청나라에 충성을 맹세하고 청나라 군대의 일원으로 편입되었다.[22] 하지만 청나라가 남중국에서 다시 일어난 명나라 충성파와 싸우기 위해 간쑤성에서 군대를 이동시키자, 밀라인과 딩궈동은 투룸타이의 지원을 받아 다시 청나라에 대항하여 봉기했다.[23] 이 반란은 결국 청나라에 의해 진압되었으며, 밀라인, 딩궈동, 투룸타이를 포함한 약 10만 명이 전투 과정에서 목숨을 잃었다. 유교 학자이자 회족 무슬림이었던 마주(1640–1710) 역시 청나라에 맞서 남명 충성파와 함께 활동했다.[24]

건륭제 시대(1735–1796)에 학자 웨이수(魏塾)는 장퉁(江统)의 글 '시롱룬'(徙戎论)을 논평하며, 만약 무슬림들을 다른 곳으로 이주시키지 않으면 과거 오호십육국 시대의 오호처럼 서진을 멸망시키고 민족 갈등을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건륭제 통치 기간 동안 청나라 당국은 자히르야 수피교도들과 충돌했지만, 다수를 차지하는 비수피 수니파나 카피야 수피교도들과는 큰 마찰이 없었다.

중국 무슬림들은 오랫동안 서아시아 지역과 교류를 이어왔다. 18세기에는 간쑤성 출신의 여러 저명한 무슬림 성직자들이 메카예멘에서 나크슈반디 수피교 스승 밑에서 수학했다. 이 과정에서 두 명의 카리스마 있는 회족 셰이크에 의해 두 가지 형태의 수피즘이 중국 북서부로 전파되었다. 하나는 마라이치(1681–1766)와 관련된 카피야(خفية|카피야ar)였고, 다른 하나는 마밍신(1719?–1781)이 창시한 보다 급진적인 자히르야(جهرية|자히르야ar)였다. 이들은 지역 모스크를 중심으로 한 전통적인 비수피 수니파 관행, 즉 게디무(格底目 또는 格迪目)와 공존했다. 카피야 학파와 비수피 게디무 전통은 청나라 당국에 의해 용인되어 "구교"(老教, 老教|라오자오중국어)로 불렸고, 당국의 의심을 받던 자히르야는 "신교"(新教, 新教|신자오중국어)로 알려졌다.

카피야와 자히르야 신자들 간의 불화, 청나라 관리들의 부패, 그리고 수피교에 대한 반대 태도 등은 1781년과 1783년에 신교(자히르야)를 따르는 회족과 살라르족의 봉기로 이어졌으나, 이 봉기들은 즉시 진압되었다.[25] 자히르야 반란 당시, 나크슈반디 수피교의 두 분파인 자히르야 수피교도와 그들의 경쟁 관계인 카피야 수피교도 간의 종파적 폭력 사태가 발생했으며, 이 반란은 카피야 수피교도의 도움을 받은 청나라에 의해 진압되었다.[26] 이러한 수피교 집단 간의 적대 행위는 1862년에서 1877년 사이의 둥간 혁명 발발 이전의 폭력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일조했다.[25]

2. 2. 회족 사회의 특징

회족은 중국어를 사용하는 이슬람교 신자 공동체를 가리키며, 한족과 많은 문화적 유사점을 공유한다. 유럽인들은 이들을 주로 "둥간" 또는 "퉁간"이라고 불렀다.

회족 사회는 이슬람교 신앙을 기반으로 하며, 특히 수니파가 다수를 차지한다. 18세기에는 서아시아와의 교류를 통해 수피즘이 회족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간쑤성 출신의 여러 회족 성직자들이 메카예멘에서 나크슈반디 수피교 스승 밑에서 공부하고 돌아와 이를 전파했다.

이 과정에서 주요 수피즘 분파들이 형성되었다.

  • 카피야(후피야교단): 마라이치(1681–1766)와 관련된 온건파로, 청나라 당국이 용인하여 "구교"(老教|lǎo jiào중국어)라고 불렸다.
  • 자히르야(자프리야교단): 마밍신(1719?–1781)이 창시한 분파로, 카피야보다 급진적인 성향을 띠었다. 청나라는 이들을 의심하며 "신교"(新教|xīn jiào중국어)라고 불렀다.
  • 게디무(格底目 / 格迪目|gedimu중국어): 지역 모스크를 중심으로 한 전통적인 비(非)수피 수니파 관행을 따르는 집단이다. 원어는 아랍어 'قديم|qadīmar'에서 유래했다. 이들 역시 청나라 당국에 의해 용인되었다.


카피야와 자히르야 신자들 사이에는 종종 불화가 있었으며, 이는 청나라 관리들의 부정부패 및 특정 수피즘 분파(특히 자히르야)에 대한 탄압과 맞물려 긴장을 고조시켰다. 이러한 갈등은 1781년1783년에 자히르야를 따르는 회족과 살라르족의 봉기로 이어졌으나, 청나라는 카피야의 도움을 받아 이를 진압했다.[26] 이러한 수피즘 분파 간의 적대 행위와 청나라와의 충돌은 1862년 둥간 혁명 발발 이전의 불안정한 사회 분위기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25]

2. 3. 혁명 이전의 갈등

둥간 혁명의 배경에는 종교적 갈등뿐만 아니라 민족적 반목과 계급 투쟁적 요소도 복합적으로 작용했다.[15]

청나라 초기, 명나라에서 청나라로의 전환 과정에서 후이족 무슬림들은 청나라에 저항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1646년 간쑤성에서는 밀라인과 딩궈동이 이끄는 무슬림 명나라 충성파가 명나라 황족 주시촨을 복위시키기 위해 반란을 일으켰다.[16][17] 이들은 하미 지역 투르판 칸국의 지원을 받았으며,[18][19][20] 한족티베트인도 반란에 가담했다.[21] 치열한 전투 끝에 1649년 평화 협정이 체결되기도 했으나,[22] 결국 이들의 저항은 청나라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다.[23]

건륭제(1735–1796) 시대에는 일부 학자들이 무슬림의 집단 이주 필요성을 거론하며 잠재적 갈등을 경고하기도 했다. 청나라 당국은 수피즘의 특정 분파, 특히 자히르야(Jahriyya)를 경계하는 태도를 보였다.

18세기 중국 서북부 후이족 사회에는 여러 이슬람 분파가 공존했다. 지역 모스크를 중심으로 한 전통적인 비수피 수니파 관행인 '게디무'(قديم|게디무ar)가 있었고, 메카예멘 등지에서 유학한 나크슈반디 수피교 지도자들에 의해 새로운 분파들이 전래되었다. 대표적으로 마라이치(1681–1766)가 전파한 카피야(Khufiyya)와 마밍신(1719?–1781)이 창시한 자히르야(Jahriyya)가 있었다. 청 당국은 기존 질서에 비교적 순응적인 카피야와 게디무를 '구교'(老教|lǎo jiào중국어)라 부르며 용인했지만, 상대적으로 급진적인 성향을 보인 자히르야는 '신교'(新教|xīn jiào중국어)라 부르며 의심하고 경계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카피야와 자히르야 신자들 간의 갈등, 청나라 관리들의 부패, 그리고 특정 종파에 대한 당국의 압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긴장이 고조되었다.[25] 결국 1781년과 1783년, 자히르야를 따르는 후이족과 살라르족이 봉기를 일으켰다. 이 봉기는 카피야 세력의 도움을 받은 청나라 군대에 의해 신속하게 진압되었지만,[26] 이는 이후 대규모 봉기의 전조가 되었다.

3. 혁명의 전개 과정

둥간 혁명 지도


둥간 혁명은 1862년 섬서성에서 시작되어 간쑤성신장 지역으로 확산된 대규모 회족 무슬림 봉기이다. 혁명의 발단은 태평천국 운동의 영향과 현지 한족과의 갈등에서 비롯되었다. 1862년 봄, 태평군이 섬서성 동남부에 접근하자 한족 민병대(용영)가 조직되었고, 이에 위협을 느낀 무슬림들도 자체 민병대를 조직하면서 긴장이 고조되었다.[27] 사소한 충돌과 소문들이 겹치면서[28][29] 봉기는 위수 유역을 시작으로 섬서성 전역으로 빠르게 확산되었고, 1862년 6월에는 서안이 포위되기에 이르렀다.

청나라 조정은 만주족 장군 도로가(多隆阿)를 파견하여 섬서성의 반란을 진압하고 반군을 간쑤성으로 몰아냈다.[31] 섬서성에서 피난 온 무슬림 난민들은 간쑤성 동부에서 세력을 규합하여 저항을 이어갔다. 한편, 1865년코칸트 칸국 출신의 야쿱 벡이 카슈가르 지역에 등장하여 신장 지역의 타림 분지를 장악하고 독립적인 세력을 구축했다.

1867년, 청나라는 태평천국 진압에 공을 세운 좌종당을 섬서-간쑤 총독으로 임명하여 본격적인 반란 진압에 나섰다. 좌종당은 군사적 공세와 함께 안정화 정책을 병행하며 막대한 군자금과 병력을 동원했다.[33][34] 그는 먼저 간쑤성의 주요 반군 거점들을 차례로 공략했다. 1871년 닝샤 지역의 지도자 마화룽의 거점 진지바오를 함락시키고,[43][44][45] 1872년에는 허저우(현재의 임하)의 마잔아오 세력의 항복을 받아내고 그들을 회유하여 청군에 편입시켰다.[47][48] 이후 시닝을 점령하고[38], 1873년 간쑤성 내 마지막 저항 거점인 수저우(현재의 주천)를 함락시키며 간쑤성 지역을 평정했다.[53] 이 과정에서 좌종당은 반군 세력의 종파(신교/구교)에 따라 강온 양면책을 구사했으며[57], 반란에 가담했던 많은 회족들이 처형되거나 다른 지역으로 강제 이주되었다.

간쑤성 평정 이후, 좌종당은 1876년부터 신장 지역의 야쿱 벡 정권에 대한 공세에 나섰다. 마안량, 동복상 등 항복한 회족 및 한족 군대의 도움을 받은 청군은[107] 우루무치를 시작으로 신장의 주요 도시들을 차례로 점령했다. 1877년 야쿱 벡이 사망하고 카슈가르가 함락되면서 신장 지역은 다시 청나라의 통제하에 들어갔다.[109] 이로써 15년에 걸친 둥간 혁명은 청나라의 승리로 막을 내렸으며, 청나라는 1884년 신장성을 설치하여 이 지역에 대한 직접 통치를 강화했다.

3. 1. 산시성 봉기 (1862년)

위수 전투, 청나라 궁정의 그림


1862년 봄, 태평군섬서성 동남부로 접근해오자, 청나라 정부의 지시에 따라 현지 한족들은 자신들을 방어하기 위해 단련 또는 용영이라 불리는 민병대를 조직했다. 이에 위협을 느낀 회족 무슬림들 역시 자체적인 민병대를 조직하며 긴장이 고조되었다.[27]

일부 역사가들은 둥간 혁명이 처음부터 계획된 봉기가 아니라, 사소한 사건들로 인해 발생한 지역적 다툼과 폭동이 연쇄적으로 확산된 결과라고 본다.[27] 당시 회족이 태평천국 반군을 돕고 있다는 소문이 퍼졌으나,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회족 인물인 마샤오시(馬孝時)가 섬서성 무슬림 반란과 태평천국의 연관성을 주장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28]

봉기의 직접적인 도화선 중 하나로 한족 상인과 회족 간의 대나무 장대 판매 가격을 둘러싼 싸움이 언급되기도 한다. 이 사소한 충돌 이후 회족 폭도들이 한족과 봉기에 참여하지 않은 다른 회족들을 공격하면서 전면적인 반란으로 번졌다는 것이다. 그러나 당시 기록에 따르면, 회족은 창과 같은 무기를 만들기 위해 대나무 장대를 대량으로 구매하고 있었으며,[29] 이 사건 이전에도 이미 달리지(大荔縣)와 웨이난 현(渭南縣) 등 한족 현(縣)에 대한 공격이 있었다는 점을 지적하는 기록도 있다.[30] 일부에서는 회족 사회 내에서 중국 서부에 이슬람 국가를 세우려는 계획이 있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회족들은 모스크물라를 중심으로 조직적으로 대나무 장대를 구매하여 창을 만들 준비를 하고 있었다는 것이다.[30] 이러한 갈등과 불안 속에서 박해를 두려워한 섬서성의 한족들은 피난하거나 숨어야 했다.

청나라 왕조의 권위가 약화되고 군대가 다른 지역에 집중되어 있던 상황에서, 1862년 봄 위수 계곡에서 시작된 봉기는 섬서성 동남부 전역으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1862년 6월 말에는 조직화된 무슬림 반군이 서안을 포위하기에 이르렀다. 서안은 만주족 팔기 출신으로 호남성 군대를 이끌던 청나라 장군 도로가(多隆阿, Dorongga)가 1863년 가을에 구원할 때까지 포위 상태에 놓였다.[31]

당시 이 지역의 총독이었던 은린(En-lin)은 황실 정부에 무슬림들을 소외시켜서는 안 되며, 부당한 대우나 차별이 없어야 한다는 의견을 전달하며 "화해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일부 무슬림들이 퍼뜨린 '정부가 모든 무슬림을 학살할 것'이라는 거짓 소문으로 인해, 무슬림 반군은 링저우(현재의 링우)와 구위안 등지를 여러 차례 공격하기도 했다.[32]

3. 2. 간쑤성 확산 (1862년 ~ 1873년)



섬서성에서의 봉기가 진압되면서 1863년 가을, 만주족 팔기군 출신 청나라 장군 돌롱가(多隆阿)는 호남성 군대를 이끌고 무슬림 반군을 격파하여 간쑤성으로 몰아냈다.[31] 섬서성에서 탈출한 수많은 회족 난민들이 간쑤성으로 피신했으며, 이들 중 일부는 간쑤성 동부에서 고향 탈환을 목표로 "18개의 대대"를 조직했다.

좌종당이 1875년 란저우에서 섬서-간쑤 총독으로 재직하며 군복을 입고 긴 법정 구슬을 착용


1867년 청 정부는 태평천국 반란 진압에 큰 공을 세운 장군 좌종당을 섬서-간쑤 총독으로 임명하여 반란 진압을 맡겼다. 좌종당은 군사적 진압과 함께 농업 장려, 유교 교육 지원 등 안정화 정책을 병행했다. 그는 간쑤성 정복을 위한 군사 작전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동남부의 자원으로 북서부의 군대를 지원하라"고 요청하며 외국 은행으로부터 막대한 차관을 도입하고, 대규모 군수 물자를 확보하는 등 철저한 준비를 했다.[33] 증국번 휘하의 상군(湘軍) 출신 병력 1만 명을 포함하여, 호남성에서만 5만 5천 명의 군대를 모았으며, 사천, 안휘, 하남 등지의 군대도 합류했다.[34] 좌종당의 군대는 뛰어난 사격술과 전술 기동 능력을 갖춘 호남 병사들이 주축을 이루었다.[35] 그는 1872년 란저우에 병기창을 설립하여 광둥 출신 기술자들을 통해 서양식 총기와 포탄을 생산하게 했다.[37][38][39]

1875년 간쑤성 청나라 군대 주둔지


세 바퀴 수레에 실린 중국 포병


좌종당의 첫 목표는 닝샤 지역 자흐리야(Jahriyya, 新教) 수피즘 지도자 마화룽(馬化龍)이었다. 마화룽은 광대한 무역망을 통해 부를 축적하고 무기를 구매하며 세력을 키우고 있었다.[40] 좌종당은 1869년 류송산 장군을 보내 공격을 시작했으나, 류송산은 험준한 지형의 반군 요새 공략 중 전사했다. 그의 조카 류진탕(劉錦棠)이 지휘를 이어받았다.[41] 1870년 9월, 좌종당은 직접 크루프 공성포를 동원하여 마화룽의 거점인 진지바오(金积堡)를 포위했다.[43][44][45][46] 16개월간의 치열한 포위전 끝에 식량이 떨어진 마화룽은 1871년 1월 항복했고, 좌종당은 마화룽과 그의 관리 80여 명에게 능지처참 형을 내리고 수천 명의 무슬림을 다른 지역으로 강제 이주시켰다.

다음 목표는 란저우 서쪽의 회족 중심지이자 티베트와의 교역로 요충지인 허저우(河州, 현재의 임하)였다. 허저우는 카피야(Khafiyya, 舊教) 소속의 마잔아오(馬占鰲)가 지키고 있었다. 마잔아오는 반란 중에도 한족 피난민을 보호하는 등 상대적으로 온건한 입장이었다.[47] 그는 1872년 좌종당의 초기 공격을 성공적으로 막아낸 후, 청나라에 항복하고 협력할 것을 제안했다. 좌종당은 이를 받아들였고, 마잔아오와 그의 부하 장군들(마안량, 마첸링, 마하이옌 등)은 청군에 편입되어 다른 반군 진압에 참여했다. 동복상(董福祥)이 이끌던 한족 반군 세력도 이때 좌종당에게 투항했다.[48][49] 이 덕분에 허저우의 회족 공동체는 강제 이주를 피하고 보존될 수 있었으며, 대신 비무슬림 한족들이 이주하는 방식으로 처리되었다. 좌종당은 신교(자흐리야) 반군에게는 강경하게 대처했지만, 구교(카피야, 게디무) 반군에게는 항복을 받아들이는 차별적인 정책을 사용했다.[55][57]

허저우를 확보한 좌종당은 허시 회랑 진격을 계획했으나, 측면의 위협을 제거하기 위해 시닝을 먼저 공략하기로 결정했다. 시닝에는 대규모 회족 공동체와 함께 섬서성에서 온 난민들이 많았다. 1872년 말, 류진탕이 이끄는 청군은 3개월간의 치열한 전투 끝에 시닝을 함락시켰다. 류진탕은 포병을 효과적으로 운용하고 지형을 이용한 매복과 분할 격파 전술로 바이얀후(白彥虎) 등이 이끄는 반군의 저항을 분쇄했다. 이 과정에서 시닝 내부의 회족 지도자 마구이위안(馬桂源)이 봉기를 시도했으나, 한족 주민들이 성문을 봉쇄하면서 실패했다.[50] 시닝 함락 후 마구이위안은 체포되었고 수천 명의 반군이 사망했다.[38] 시닝의 기존 회족 주민들은 살아남았지만, 섬서성 출신 난민들은 간쑤성 동남부의 격리된 지역으로 재정착되었다.

안서 타운, 허시 회랑, 1875년에도 여전히 폐허


간쑤성 내 회족 반군의 마지막 주요 거점은 허시 회랑 서쪽의 수저우(肅州, 현재의 주천)였다. 시닝 출신 마원루(馬文祿)가 이끄는 이곳에는 섬서성에서 후퇴한 회족들도 다수 합류해 있었다. 1873년 9월, 좌종당은 1만 5천 명의 병력으로 수저우를 포위하고 공성포로 공격했다. 10월 24일 도시가 함락되자 좌종당은 마원루를 포함한 회족 7,000명을 처형하고, 생존자들은 간쑤성 남부로 강제 이주시켰다. 이는 란저우에서 둔황에 이르는 허시 회랑에서 회족을 제거하여 간쑤성과 신장 지역 무슬림 간의 연계를 차단하려는 목적이었다.[53]

반란 기간 동안 모든 회족이 참여한 것은 아니었다. 베이징이나 허난성 등 반란이 일어나지 않은 지역의 회족 공동체는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청나라에 충성한 회족 장교나 관리(마신이, 마룽 등)도 있었다.[69][70][71][72][76] 시안의 회족 공동체 역시 반란에 가담하지 않아 보호받을 수 있었다.[73] 청 당국은 반란에 가담한 회족을 '이단'으로 규정하며 모든 회족을 적으로 돌리지는 않는다는 입장을 보였고[58], 항복한 반군 중에서도 신교와 구교를 구분하여 처우를 달리했다.[59] 반란이 진압된 후, 산시성 회족들이 떠난 땅은 청나라에 협력한 한족과 회족에게 분배되었고, 원래 거주했던 산시성 회족들은 간쑤성의 잔자촨(張家川) 등지로 재정착되었다.[79]

3. 3. 신장 지역 봉기 (1864년 ~ 1877년)



섬서성에서 온 수많은 무슬림 난민들이 간쑤성으로 피신하면서 둥간 혁명의 여파는 신장 지역까지 미쳤다. 회족 반군이 간쑤성과 섬서성을 공격할 준비를 하는 동안, 코칸트 칸국 출신의 군사 지도자 야쿱 벡타슈켄트러시아에게 빼앗긴 후 1865년 또는 1866년에 코칸트 칸국을 떠나 카슈가르로 이동했다. 그는 곧 카슈가르의 통치자를 자처하며 신장의 타림 분지 대부분을 장악하게 된다.

라시딘 호자(Rashidin Khoja)의 주화. 쿠차(Kucha) 주조. 서기 1281년 및 RY 2 (서기 1864년) 이중 날짜. 앞면 문구: ''Said Ghazi Rashidin Khan''. ''Ithneen'' in Arabic. 뒷면: ''Zarb dar al-sultanat 쿠차, 1281'' in Arabic


야쿱 벡의 둥간족과 한족 ''타이푸르치''(사수)가 사격 훈련에 참여하고 있다.


야쿱 베그의 "안디잔" '타이푸치'(포수)--그림에는 "타이푸르치"라고 오기되어 있음


일부 무슬림 자료에 따르면, 카슈가르의 청나라 당국은 1864년 여름 지역 둥간족에 대한 선제적인 학살을 감행하려 했다고 한다. 이로 인해 지역 둥간 부대가 약화되었고, 이는 신장 지역 초기 반란이 다른 지방만큼 성공적이지 못했던 이유 중 하나일 수 있다. 둥간 반군은 양기사르를 점령했지만, 그들과 키르기스족 동맹인 시디크 베그는 양기사르와 카슈가르 외곽의 만주 요새나 청나라가 임명한 지역 무슬림 지도자 쿠틀루크 베그가 점령한 카슈가르의 성벽 도시를 함락시키지는 못했다.

스스로 지역을 장악할 수 없었던 둥간족과 키르기스족은 코칸의 통치자 알림 쿨리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1865년 초, 정신적, 물질적 지원이 도착했다. 정신적 지원은 호자 가문의 영향력 있는 인물인 부주르그 호자(부주르그 칸으로도 알려짐) 형태로 왔다. 그는 자한기르 호자의 아들이자 왈리 칸 호자의 형제로, 그의 종교적 권위는 반란군의 사기를 높일 것으로 기대되었다. 물질적 지원이자 카슈가르에서 코칸의 영향력을 행사할 통로로 기대된 인물은 젊지만 이미 명성이 높은 코칸 군 지휘관 야쿱 벡이었다. 그는 수십 명의 코칸 병사(카슈가르에서는 '안디잔인'으로 알려짐)와 함께 도착했다.

시디크 베그의 키르기스족이 부주르그 호자와 야쿱 벡 도착 시점에 이미 카슈가르의 무슬림 도시를 점령했지만, 그는 인기 있는 호자가 이전 총독 관저('우르다')에 정착하는 것을 허용해야 했다. 시디크가 자신의 지배력을 주장하려는 시도는 야쿱 벡과 부주르그 군대에 의해 좌절되었고, 키르기스족은 야쿱의 권위를 받아들여야 했다.

지역 둥간족, 카슈가르 투르크족(위구르족), 키르기스 동맹군, 야쿱 자신의 코칸족, 그리고 바다흐샨 통치자가 보낸 약 200명의 병사로 구성된 작지만 비교적 훈련되고 규율 잡힌 군대를 통해 야쿱 벡은 1865년 동안 만주 요새와 한족 마을 카슈가르를 점령했을 뿐만 아니라, 타림 분지 지역을 지배하려던 쿠차의 라시딘이 보낸 훨씬 더 큰 군대를 격파할 수 있었다.

야쿱 벡이 카슈가르에 대한 권위를 확립하는 동안 코칸의 상황은 급변했다. 1865년 5월, 알림 쿨리는 러시아에 맞서 타슈켄트를 방어하다 전사했다. 그의 병사들 중 다수(주로 키르기스족과 킵차크족)는 카슈가르의 비교적 안전한 곳으로 피신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하여 1865년 9월 초 야쿱 벡 영토 경계에 나타났다. 아프간 전사들도 야쿱 벡을 도왔다.[95]

그러나 야쿱 벡의 통치는 현지인들 사이에서 인기가 없었다. 카슈가르 출신의 한 전사이자 추장의 아들은 "중국의 통치 아래에서는 모든 것이 있었지만, 지금은 아무것도 없다"고 말했으며, 무역도 쇠퇴했다.[96] 알티샤르(카슈가리아)의 지역 위구르족은 야쿱 벡을 코칸 출신 외국인으로 여겼고, 그의 코칸 동료들은 현지 위구르족에게 가혹하게 행동했다. 이에 위구르족은 야쿱 벡에 반대하는 시를 썼다.[97]

>

베이징에서 중국인이 하늘의 별처럼 나타났네.

안디잔족은 숲속의 돼지처럼 일어나 도망갔네.

헛되이 왔다가 헛되이 갔네, 안디잔족!

무서워하고 나른하게 떠나갔네, 안디잔족!

매일 처녀를 빼앗고

미인을 사냥하러 갔네.

춤추는 소년들과 놀았네.

거룩한 율법이 금지했네.

신장의 타란치 투르크계 무슬림은 처음에는 반란을 일으킨 둥간족과 협력했지만, 둥간족이 지역 전체를 지배하려 하자 그들을 버렸다. 타란치는 쿨자에서 둥간족을 학살하고 나머지를 탈크 고개를 통해 일리 계곡으로 몰아냈다.[98] 신장의 둥간족은 청나라 당국과 투르키스탄 무슬림 모두에게 신뢰받지 못했다.[99]

야쿱 벡의 코칸드 안디잔 우즈벡군은 토밍(T'o Ming, 다우드 칼리파라고도 함) 휘하의 둥간 반군에 대항하여 지하드를 선포했다. 신장에서는 둥간족과 코칸드 우즈벡 반군 사이에 전투가 벌어졌다. 야쿱 벡은 쉬쉐공 휘하의 한족 민병대를 모집하여 토밍 휘하의 둥간족 군대와 싸우게 했다. 토밍의 둥간족 군대는 야쿱 벡이 준가리아를 정복하고 모든 둥간족 영토를 장악하려는 계획의 일환으로 벌인 1870년 우루무치 전투에서 패배했다.[100][66] 야쿱 벡 군대가 한족과 둥간족을 상대로 거둔 승리에 대한 시가 쓰여졌다.[101] 야쿱 벡은 아크수를 둥간족 군대로부터 빼앗고 그들을 톈산 산맥 북쪽으로 몰아냈으며, 둥간족(퉁간족)을 상대로 대량 학살을 자행했다.[102] 청나라 정부와 관련 없는 독립적인 한족 민병대는 야쿱 벡 휘하의 투르크군과 둥간 반군 모두에 합류하기도 했다. 1870년 야쿱 벡은 우루무치에서 둥간족을 공격하는 투르크군과 함께 1,500명의 한족 병사를 거느렸다. 그러나 이듬해에는 한족 민병대가 투르크군에 맞서 싸우는 둥간족에 합류하기도 했다.[103]

=== 청나라의 신장 재정복 ===

청나라는 1870년대 후반 신장을 재정복하기로 결정했다. 이전 상군의 장군이었던 좌종당이 반란 진압에 참여한 모든 청나라 군대의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그의 부관은 한족 장군 유금당과 만주족 진순(金順)이었다.[106] 좌종당이 야쿱 벡 휘하의 무슬림 반군을 제압하기 위해 신장으로 진군할 때, 둥간족(후이족) 장군 마안량과 장군 동복상이 합류했다. 청나라 군대는 우루무치에 저항 없이 입성했다. 야쿱 벡의 군대가 무너지기 시작하면서 그의 부하들은 청나라에 투항하거나 도망쳤고,[107] 오아시스들은 청나라 군대에 쉽게 함락되었다.[108]

반군 부대의 대규모 후퇴로 그들의 통제 범위는 점점 좁아졌다. 야쿱 벡은 탈영이나 전투 사망으로 2만 명 이상을 잃었다. 1877년 10월 야쿱 벡이 사망한 후, 진순은 진격을 재개했고 심각한 저항에 부딪히지 않았다. 좌종당 장군은 카슈가르 동쪽 요새인 아크수 성벽 앞에 나타났고, 그 사령관은 첫 공격에 항복했다. 그 후 청나라 군대는 우치투르판으로 진격했고, 이곳 역시 교전 없이 항복했다. 12월 초, 모든 청나라 군대는 카슈가르 정권의 수도에 대한 마지막 공격을 시작했다. 반군 부대는 패배했고, 잔존 부대는 야르칸트로 후퇴하여 러시아 영토로 도망쳤다. 카슈가르 함락으로 신장에 대한 청나라의 재정복이 완료되었다. 더 이상의 반란은 없었고, 재건된 청나라 당국은 1884년 신장성 설립을 포함한 회복과 재조직 작업을 시작했다.[109]

반란 진압에 무슬림 군대를 활용한 것은 양증신에 의해 언급되었다.[110]

> 세 번째 이유는 광서 연간 초기에 투르크계 무슬림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지사 유금당이 관문을 통과하여 이끈 '5개의 정예 사단'이 모두 둥간 군대 [회대 回队]였다는 것입니다. 당시, 최위와 화대채와 같은 둥간 군 지휘관들은 재배치된 항복 부대였습니다. 이는 의심할 여지 없이 큰 공을 세우게 된 꼭두각시의 경우입니다. 잠수영이 운남의 군사 문제를 책임졌을 때, 그가 사용한 무슬림 군대와 장군에는 많은 반군이 포함되었으며, 운남에서 무슬림 반란이 진압된 것은 그들 때문이었습니다. 이는 무슬림 봉기가 여전히 진행 중일 때도 무슬림 군대가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예입니다. 더욱이, 중화민국 수립 이후, 둥간족은 그들이 믿을 수 없다는 것을 암시하는 일탈적인 행동을 조금도 보여주지 않았습니다.

상군과 다른 한족 남성 병사 및 체류자들은 좌종당의 신장 재정복 이후 투르크계 무슬림(위구르족) 소녀들을 부모로부터 아내로 사들였고, 한족과 위구르족은 종종 회족 중개인을 통해 결혼을 중개하고 통역했다. 성이 리(李)씨인 한족 남자는 1880년 두 명의 위구르족 남자가 납치한 젊은 위구르족 여성을 샀다. 그들은 피찬의 치안 판사에 의해 고용되었다. 1889년 키타이에서 12세의 투르판 위구르 소녀 루오상르(Luosang'er)가 30 타엘에 류윤(Liu Yun)이라는 젊은 산시성 한족 남자에게 팔렸다. 그녀는 1892년 그의 아이를 임신했다. 한족 남성은 위구르족 신부에게 지불한 은화 형태의 토이루크(toy luq)를 신부 값으로 간주했다.[111][112] 위구르 무슬림 여성들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신장에서 한족 남성과 결혼했다.[113] 한족 남성, 힌두 남성, 아르메니아 남성, 유대인 남성 및 러시아 남성은 남편을 찾을 수 없는 위구르 무슬림 여성과 결혼했다.[114] 위구르 상인들은 힌두 고리대금업자들에게 소리를 지르며 그들이 쇠고기를 먹는지 묻거나 그들의 구역에 암소 가죽을 걸어 힌두 고리대금업자를 괴롭혔다. 위구르족 남성들은 또한 1907년 포스캄과 야르칸드에서 위구르족 여성과 결혼한 힌두교도들을 공격하여, 디타 람(Ditta Ram)처럼 그들의 참수와 투석을 요구하며 반힌두교 폭력을 저질렀다.[115] 힌두 인도 고리대금업자들이 종교 행렬을 벌이자 무슬림 위구르족의 폭력으로 이어졌다.[116]

4. 주요 인물

둥간 혁명에는 다양한 배경과 입장을 가진 인물들이 관여했다. 혁명 과정에서 회족 내부에서도 입장이 갈렸는데, 일부는 처음부터 반군에 맞서 청나라를 위해 싸웠다. 친청 무슬림 회족 지도자였던 왕다구이(王大桂)는 회족 반군과 싸운 공로로 포상을 받았으나, 이후 다른 반청 회족 반군에게 살해당했다.[60] 이는 혁명 과정에서 회족 내부의 복잡한 분열상을 보여준다.

반란 지도자들은 대체로 지하드를 선포하거나 이슬람 국가 건설을 목표로 삼지 않았다. 이는 지하드를 외쳤던 신장위구르족 무슬림 반란과는 대조적인 모습이었다. 반군은 청나라 정부 자체를 전복하기보다는 부패한 지방 관리들과 자신들에게 불의를 행한 이들에 대한 복수를 추구하는 경향이 강했다.[14]

신장 지역에서는 쿠차의 라쉬딘 호자, 우루무치의 투오 밍과 수오 환장, 카슈가르의 굴람 후세인 등 여러 인물들이 반란을 이끌거나 지도자로 추대되었다. 외부 세력인 코칸트 칸국 출신의 야쿱 벡은 신장의 혼란 속에서 남부 지역을 장악하고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하며 주요 인물로 부상했다.

청나라 측 지휘관 중에서는 일리 장군 창칭(常清)이나 그의 후임자 밍쇼이(明緒) 같은 초기 인물들이 반란을 효과적으로 진압하지 못하고 실패했다. 창칭은 부패하고 압제적인 통치로 지역 주민들의 미움을 샀으며,[93] 밍쇼이는 결국 후이위안 청 요새가 함락될 때 자폭하여 사망했다. 이후 산시성간쑤성 총독으로 임명된 좌종당이 강력한 군사력과 회족 내부의 분열을 이용하는 전략을 통해 반란 진압을 주도했다.[66]

한편, 혁명에 참여하지 않은 지역의 회족들도 있었다. 베이징[69]이나 허난성[70] 등지에서는 회족과 한족의 관계가 비교적 평온하게 유지되었다. 마신이와 같이 청나라에 복무한 회족 관리도 있었으며,[71][72] 시안의 회족은 반란에 가담하지 않아 청나라의 보호 아래 전쟁의 참화를 피할 수 있었다.[73][74] 이처럼 둥간 혁명은 단일한 세력 간의 대결이 아니라, 다양한 민족, 종파, 지역 세력 및 개인들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힌 사건이었으며, 각 인물들의 행보는 이러한 복잡성을 반영한다.

4. 1. 회족 지도자

반군은 조직력이 부족했고 공동의 목표도 없었다. 일부 한족은 반란 동안 청나라에 반대하여 봉기했으며, 반란군끼리 서로 싸우기도 했다. 주요 회족 반군 지도자 중 한 명인 마화룽(馬化龍)은 반란 중 청나라로부터 군사 계급과 칭호를 받기도 했다. 이후 좌종당(左宗棠)이 이 지역을 진압하기 위한 군사 작전을 시작했을 때, 그는 항복한 반군 중 처형할 대상과 살려둘 대상을 구분했다.[55]

1865년, 청나라 장군 무투산(穆圖善)은 공식적으로 항복한 마화룽에게 차오칭(昭慶)이라는 칭호를 수여했지만, 좌종당은 이를 거짓 항복으로 간주했다.[56] 좌종당은 일반적으로 신교(新教) 자흐리야 반군은 항복하더라도 학살했지만, 구교(舊教) 카피야 및 순니 게디무 반군은 살려두었다. 마화룽은 신교 소속이었기에 좌종당에 의해 처형되었으나, 마첸링(馬千齡), 마잔아오(馬占鰲), 마안량(馬安良)과 같이 구교 파벌에 속한 회족 장군들은 사면을 받고 청나라 군대에서 승진하기도 했다. 또한 둥푸샹(董福祥)이 이끄는 한족 반군 군대도 항복하여 좌종당에게 합류했다.[55] 좌종당은 구교 소속 회족이 많은 양의 군사 장비와 물자를 넘기고 이주를 받아들이는 조건으로 항복을 수용했다. 그러나 신교 무슬림의 항복은 거부했는데, 청나라가 그들을 백련교와 유사한 위험한 이단 종파로 분류했기 때문이다. 좌종당은 "유일한 구분은 죄 없는 자와 반역자 사이에 있으며, 한족과 회족 사이에는 없다"고 말했다.[57]

청나라 당국은 폭력적인 공격에 가담한 회족 반군은 단순히 이단일 뿐 모든 회족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고 선포했는데, 이는 이단인 백련교가 모든 불교도를 대표하지 않는 것과 같다는 논리였다.[58] 청 당국은 회족 사회에 "구" 종교와 "신" 종교, 즉 두 개의 서로 다른 무슬림 종파가 있으며, 신교는 이슬람에서 벗어난 이단(백련교가 불교와 도교에서 벗어난 것처럼)이고 원래의 이슬람은 새로운 "이단"이 등장하기 전에는 통일된 종파였다고 알리면서, 소속 종파에 따라 무슬림 반군을 분리하겠다고 밝혔다.[59]

1875년 간쑤성의 친정부 군대


반란 기간 동안 일부 회족은 처음부터 반군에 맞서 청나라를 위해 싸웠다. 친청 무슬림 회족 지도자인 왕다구이(王大桂)는 회족 반군과 싸운 공로로 포상을 받았으나, 이후 다른 반청 회족 반군에게 학살당했다.[60] 또한 회족 반군 지도자들은 지하드를 선포하거나 이슬람 국가 건설을 주장한 적이 없었다. 이는 지하드를 외쳤던 신장위구르족 무슬림과는 대조적이었다. 반군은 정부 전복보다는 부패한 지방 관리들과 그들에게 불의를 행한 이들에 대한 복수를 목표로 삼았다.[14]

마화룽은 1866년 청나라 당국과 처음 협상했을 때 수천 개의 외국 무기, 창, 칼, 26문의 대포를 포기하는 "항복"에 동의했다. 그는 왕조에 대한 충성을 의미하는 새로운 이름 마차오칭(馬朝清)을 사용했다. 만주족 관료 무투산은 이를 통해 다른 무슬림들의 항복을 유도하려 했으나, 마화룽의 항복은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했고 반란은 계속 확산되었다.[61][62] 1871년 마화룽이 두 번째로 항복하여 모든 무기를 넘기자 좌종당은 사형 선고를 잠시 취소하고 다른 지도자들의 항복을 설득하도록 명령했다. 그러나 좌종당은 이후 마화룽의 진지파오(金積堡) 본부에서 숨겨둔 서양 무기 1,200정을 발견했고, 마화룽은 다른 이들을 설득하는 데 실패했다. 결국 마화룽은 그의 가족 남성 구성원들과 많은 장교들과 함께 처형되었다.[63] 이후 좌종당은 자신들의 교리에 속고 급진화되었으며 오도되었다고 인정하는 신교 무슬림의 항복은 받아들이겠다고 밝혔으나, 칼리파와 물라는 항복 대상에서 제외했다.[64][65]

마잔아오와 그의 아들 마안량은 둥간 반란 동안 청나라로 투항했다.[67] 좌종당은 마잔아오와 그의 추종자들이 항복하고 반군 진압을 위해 청나라에 합류한 것에 대한 보상으로 허저우(河州)에서 한족을 이주시켰다. 좌종당은 또한 산시(陝西) 출신 무슬림 난민들을 허저우에서 이주시키고 간쑤(甘肅) 출신 무슬림만 남겨두었다. 마잔아오와 그의 회족 군대는 이후 청나라 군대의 녹영군에 편입되었다.[68]

반란에 참여하지 않은 지역의 회족 무슬림들은 대체로 영향을 받지 않았다. 베이징[69], 허난성[70] 등지에서는 회족과 한족의 관계가 비교적 평온하게 유지되었다. 회족 장교이자 관리인 마신이(馬新貽)는 둥간 혁명 기간 동안 청나라를 위해 복무했다.[71][72] 시안의 회족은 산시성 회족 반란군에 합류하지 않았고, 청나라의 보호 아래 전쟁의 영향을 덜 받았다.[73][74] 판타이 반란 당시 윈난(雲南)으로 간 저장성쓰촨성 출신 회족 무슬림들은 평화 협상에 참여했으며 반란에 연루되지 않았다.[75] 항복하여 반란 진압에 참여한 무슬림 장군 마룽(馬龍)은 승진하여 윈난에서 강력한 군사 지도자가 되었다.[76][77] 청나라 군대는 반란을 일으키지 않은 윈난 북동부 자오퉁(昭通)과 같은 지역의 무슬림들은 그대로 두었다.[78]

신장의 반란은 간쑤와 산시에서 반란이 시작된 후, 현지 회족(둥간족) 사이에 청나라 당국이 선제적인 학살을 준비하고 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촉발되었다. 1864년 쿠차의 둥간족이 봉기한 것을 시작으로, 우루무치에서는 간쑤 출신 신교 아홍 투오 밍(Tuo Ming, 또는 투오 덜린)과 장교 수오 환장(Suo Huanzhang)이 이끄는 둥간족 군인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카슈가르 지역에서는 둥간족과 키르기스족이 코칸트 칸국의 알림 쿨리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1865년 부주르그 호자와 코칸트 군 지휘관 야쿱 벡(Yaqub Beg)이 도착했다. 야쿱 벡은 곧 카슈가르 지역의 실권을 장악하고 타림 분지로 세력을 확장했다.

야쿱 벡은 코칸트 출신의 우즈베크인이었으며, 그의 통치는 현지 위구르족 사이에서 인기가 없었다. 위구르족은 야쿱 벡을 외국인으로 간주했고, 그의 코칸트 동료들은 현지인들에게 가혹하게 행동하여 불만을 샀다. 무역 또한 쇠퇴했다.[96] 야쿱 벡에 반대하는 위구르족의 시도 남아 있다.[97] 신장의 타란치족 투르크계 무슬림은 처음에는 둥간족과 협력했으나, 둥간족이 지역 전체를 지배하려 하자 그들을 버리고 굴자에서 둥간족을 학살하고 나머지를 일리 계곡으로 몰아냈다.[98] 신장의 회족은 청나라 당국과 투르키스탄 무슬림 모두에게 신뢰받지 못했다.[99]

야쿱 벡의 코칸트 안디잔 우즈베크 군대는 투오 밍 휘하의 둥간 반군에 대항하여 지하드를 선포했다. 그는 쉬쉐공(徐學功) 휘하의 한족 민병대를 모집하여 투오 밍의 둥간족 군대와 싸우게 했다. 1870년 우루무치 전투에서 투오 밍의 둥간족 군대는 야쿱 벡에게 패배했다.[100][66] 야쿱 벡 군대가 한족과 둥간족을 상대로 거둔 승리에 대한 시가 쓰여졌다.[101] 야쿱 벡은 아크수를 둥간족 군대로부터 빼앗고 그들을 톈산 산맥 북쪽으로 몰아냈으며, 둥간족을 상대로 대량 학살을 자행했다.[102] 청나라 정부와 관련 없는 독립적인 한족 민병대는 때로는 야쿱 벡 휘하의 투르크군에, 때로는 둥간 반군에 합류하기도 했다. 1870년 야쿱 벡은 우루무치에서 둥간족을 공격하는 투르크군과 함께 1,500명의 한족 병사를 거느렸으나, 이듬해 한족 민병대는 투르크군에 맞서 싸우는 둥간족에 합류했다.[103]

4. 2. 청나라 지휘관

좌종당(左宗棠)은 1866년 산시성간쑤성 총독으로 임명되어[66] 둥간 혁명 진압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반란 세력을 효과적으로 진압하기 위해 분열 전략을 사용했다. 특히 회족 내부의 종파 갈등을 이용하여 신교(新教, 자흐리야)와 구교(舊教, 카피야 및 게디무)를 구분하여 다르게 대우했다. 좌종당은 신교 반군에 대해서는 항복하더라도 가혹하게 처벌하거나 학살하는 정책을 펼쳤지만, 구교 반군에 대해서는 항복을 받아들이고 심지어 청나라 군대에 편입시켜 활용했다.[55]

주요 신교 지도자였던 마화롱(馬化龍)은 1866년 청나라 장군 무투산(穆圖善)으로부터 '차오칭'(昭慶)이라는 칭호를 받고 형식적으로 항복했으나,[56][61][62] 좌종당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56] 마화롱이 1871년 다시 항복하며 많은 무기를 제출했을 때 좌종당은 처형을 잠시 보류했으나, 이후 마화롱의 본부에서 숨겨둔 서양 무기 1,200정을 발견하고 다른 반군 지도자들을 설득하지 못하자 결국 마화롱과 그의 가족, 부하들을 처형했다.[63] 좌종당은 신교도들이 자신들의 교리에 속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만 항복을 받아들였으며, 칼리파와 물라 같은 종교 지도자들은 항복 대상에서 제외했다.[64][65]

반면, 구교에 속했던 마잔아오(馬占鰲)와 그의 아들 마안량(馬安良) 등은 항복한 후 사면받고 청나라 군대에 편입되어 오히려 승진했다.[55][67] 좌종당은 마잔아오와 그의 추종자들이 청나라에 협력한 대가로 허저우(河州) 지역에서 한족을 이주시키고 그 지역을 맡겼다.[68] 또한, 둥푸샹(董福祥)이 이끌던 한족 반군 역시 항복한 뒤 좌종당의 군대에 합류했다.[55] 좌종당은 "유일한 구분은 죄 없는 자와 반역자 사이에 있으며, 한족과 회족 사이에는 없다"고 말했지만,[57] 실제로는 종파에 따라 차별적인 정책을 시행했다. 청나라 당국은 공식적으로 반란이 모든 회족이 아닌 일부 '이단' 신교도들의 소행이며, 이는 백련교가 모든 불교도를 대표하지 않는 것과 같다고 선언하며 회족 사회를 분열시키려 했다.[58][59]

1870년대 후반, 청나라는 신장 지역을 재정복하기 위한 대규모 군사 작전을 개시했다. 이 작전의 총사령관은 좌종당이었으며, 그의 주요 부관은 한족 장군 유금당(劉錦棠)과 만주족 진순(金順)이었다.[106] 좌종당의 군대에는 이전에 항복했던 회족 장군 마안량과 한족 장군 동복상이 합류하여 야쿠브 벡이 이끄는 반군 세력 진압에 참여했다.[107] 청나라 군대는 큰 저항 없이 우루무치에 입성했으며, 야쿠브 벡의 군대는 급격히 와해되었다. 많은 반군 병사들이 투항하거나 도주했고, 아크수, 우치투르판 등 주요 오아시스 도시들이 차례로 청나라 군대에 함락되었다.[107][108] 1877년 12월, 청나라 군대는 반란의 중심지였던 카슈가르를 공격하여 함락시켰고, 이로써 신장 지역에 대한 청나라의 통치가 회복되었다.[109] 이후 청나라는 1884년 신장성을 설치하며 이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공고히 했다.[109]

청나라가 반란 진압 과정에서 항복한 무슬림 군대를 적극적으로 활용했음은 후대의 기록에서도 확인된다. 양증신은 광서 연간에 유금당이 이끌었던 군대의 상당수가 회족(둥간족) 군대였으며, 이들 중에는 항복한 반군 출신 지휘관들도 포함되어 있었다고 언급했다.[110]

4. 3. 기타 인물


  • '''압드 알라'''(عبد الله|압둘라uig): 청나라가 임명한 우추르판의 위구르족 하킴 베그. 자신의 지위를 이용해 주민들을 착취했으며, 1765년 우스 반란 때 살해당했다.[83][84][85][86]
  • '''수청'''(蘇誠|쑤청zho): 만주족 관리. 1765년 우스 반란의 직접적인 계기를 제공한 인물 중 하나로, 240명의 남자를 베이징으로 징발하려다 반란이 일어나자 다른 만주족 관리들과 함께 살해당했다.[89][90][91][92]
  • '''자한기르 호자''': 코칸트 칸국 출신의 아파키 호자. 1820년대에 신장을 여러 차례 침입하여 아파키 호자 반란을 일으켰다.
  • '''왈리 칸''': 코칸트 칸국 출신의 아파키 호자. 1857년에 신장을 침입하여 혼란을 야기했다. 그의 침입 역시 아파키 호자 반란의 일부로 간주된다.
  • '''루스탐 베그'''(رۇستەم بەگ|루스탐 베그uig): 호탄 출신으로, 2,000 얌부를 지불하고 야르칸의 지사직을 얻었다. 이는 당시 청나라의 관직 매매와 부패가 만연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 '''사이드 베그'''(سەئىد بەگ|사이드 베그uig): 1,500 얌부를 지불하고 쿠차의 지사직을 얻었다. 루스탐 베그와 마찬가지로, 관직을 돈으로 산 후 투자 비용을 회수하기 위해 주민들을 착취했을 가능성이 높다.
  • '''동치제''': 청나라 황제. 1864년 9월 25일 칙령을 통해, 청나라 당국이 신장의 회족을 학살하려 한다는 소문은 "터무니없는" 것이라고 일축했다. 그러나 무슬림 역사가들은 중앙 정부가 아니더라도 지역 관리 차원에서 학살 계획이 실제로 존재했을 수 있다고 본다.

5. 혁명의 영향과 결과

둥간 혁명은 통일된 목표 없이 복잡하게 전개되었다. 반란군은 조직력이 부족했고 때로는 서로 교전했으며, 일부 한족도 청나라에 반대하여 봉기했다. 회족 지도자 마화롱(馬化龍)은 반란 중에도 청나라로부터 군사 직위를 받는 등[55] 모순적인 행보를 보였다. 1866년 청나라 장군 무투산(穆圖善)은 마화롱에게 '차오칭'(昭慶) 칭호를 수여했으나, 이는 이후 반란 진압을 이끈 좌종당(左宗棠)에 의해 위장 항복으로 간주되었다.[56]

좌종당은 회족 내부의 종파 갈등을 이용하여 신교(新教, 자흐리야) 반군에게는 가혹하게 대처하고 구교(舊教, 카피야 및 게디무) 반군은 회유하는 전략을 사용했다. 신교 지도자 마화롱은 처형되었으나, 구교 지도자 마잔아오(馬占鰲), 마안량(馬安良) 등은 투항 후 청나라 군대에 편입되었다.[55] 둥푸샹(董福祥)이 이끄는 한족 반군도 항복 후 좌종당 군대에 합류했다.[55] 좌종당은 신교를 백련교와 같은 이단으로 규정하며[57], 청 당국은 반란 가담자를 일부 이단으로 치부하고 이슬람 내부에 '구교'와 '신교'의 구분이 있다고 선언했다.[58][59]

모든 회족이 반란에 가담한 것은 아니었다. 일부는 청나라 편에서 싸우다 반군에게 살해되기도 했다.[60] 간쑤와 산시의 회족 반군은 지하드나 이슬람 국가 건설보다는 부패 관리 처단 등 지역적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췄다는 점에서 신장의 위구르족 반군과 차이가 있었다.[14]

마화롱은 두 차례 항복했으나 결국 처형되었다.[61][62][63] 좌종당은 신교도라도 잘못을 인정하면 받아들였으나 지도자급은 예외였다.[64][65]

혁명의 영향은 지역마다 달랐다. 허난성 등 비참여 지역은 평온을 유지했고,[70] 시안의 회족은 반란에 불참하여 보호받았다.[73][74] 윈난성에서는 판타이 반란과 별개로 일부 회족이 평화 협상에 기여했고, 반란 진압에 협력한 마룽은 승진했다.[75][76][77] 반면, 반란에 가담했던 산시성 회족은 간쑤성 등으로 강제 이주되고 토지를 빼앗겼다.[79]

신장에서는 청나라의 오랜 통치에 대한 불만과 민족 갈등이 누적되어 대규모 반란으로 폭발했다. 특히 태평천국의 난 이후 중앙 정부의 지원이 약화되자 세금 부담과 관리 부패가 심화되었고,[80][81][82] 이는 1765년 우스 반란과 같은 저항을 낳았다.[83][84][85][86] 1864년, 청 당국의 선제 학살 소문이 퍼지면서 쿠차, 우루무치, 카슈가르, 일리 등지에서 동시다발적인 반란이 일어나 신장 전역으로 확산되었다.[89][90][91][92]

신장 반란에는 투르크계 민족들도 합세했으며, 청나라 군대는 곳곳에서 패퇴했다. 일리 지역에서는 1866년 후이위안 청 함락으로 청의 통치가 일시 중단되기도 했다.[94] 카슈가르에서는 코칸트 칸국에서 파견된 야쿠브 베크가 실권을 장악하고 독립 정권을 세우려 했으나,[105] 그의 외세 통치는 현지 주민의 반감을 샀고[96][97] 다른 반군 세력과도 충돌했다.[100][66][103]

결과적으로 청나라는 좌종당을 파견하여 신장을 재정복했으며, 이 과정에서 투항한 회족 군대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혁명 진압 이후 청나라에 협력한 회족 군벌들의 영향력은 커졌으며, 이들은 이후 1895-1896년 둥간 반란 진압과 의화단 운동에서도 청나라를 위해 싸웠다.[54][146] 또한 혁명의 여파로 러시아 제국과의 국경 문제가 발생하여 조약을 통해 해결되었으며, 일부 회족은 러시아령 중앙아시아로 이주하는 배경이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 참고)

5. 1. 인구 변화

좌종당 휘하의 청나라 군대가 둥간 혁명을 진압한 후, 혁명에 가담했던 이들과 그 가족들에게 가혹한 처벌이 내려졌으며, 이는 해당 지역의 인구 구성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청나라는 닝샤, 간쑤, 칭하이 등지에서 봉기를 주도한 후이족 및 살라족 지도자들의 아들들을 처벌 대상으로 삼았다. 마본원(马本源), 마계원(马桂源) 등 반란 지도자들의 아들들은 11세가 되면 청나라 내무부에 의해 거세되었고, 신장 지역 주둔군의 환관 노예로 보내졌다.[117][118][119][120] 거세된 소년들 중에는 마산허(马三和), 마치스즈(马七십자), 마샤창(马沙枪), 마수어(马锁), 마유종(马由宗), 마페이페이(马飞飞), 마우십구(马五十九), 마우십류(马五十六) 등이 포함되었다.[121][122] 후이족 나크쉬반디 수피즘 지도자였던 마화룡의 아들 마진청 역시 거세형을 피하지 못했다.[123][124] 이미 12세가 된 마계원의 아들 9명은 즉시 거세되어 신장의 군인들에게 환관 노예로 보내졌으며, 마진원(马侦源), 마본원, 마계원의 아내들은 남편이 처형된 후 지방 주둔군의 군인과 관리들에게 노예로 팔려나갔다.[125][126] 마위룽(马玉龙), 마정방(马定邦), 마청룽(马成龙) 등 다른 지도자들의 아들들 역시 거세형을 선고받았다.[127][128][129][130][131][132] 반란에 가담한 무슬림 남성들은 능지형(신체를 여러 조각으로 잘라 죽이는 잔혹한 형벌)으로 처형되었고, 그들의 여성 친척들은 노예가 되었다.[133] 10세 미만의 어린 소년들, 예를 들어 6세의 가류(尕六), 8세의 가취안(尕全) 및 마시에르(马希儿) 등은 11세가 될 때까지 감옥에 갇혔다가 이후 내무부에 의해 거세되었다.[134]

카슈가르를 중심으로 세력을 떨쳤던 야쿠브 베그와 그의 가족 역시 비극적인 최후를 맞았다. 야쿠브 베그와 그의 아들 이샤나의 시신은 공개적으로 불태워졌으며, 이는 현지 주민들의 반발을 사기도 했으나 청나라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다. 야쿠브 베그의 살아남은 가족들(아들 4명, 손자 4명, 아내 4명)은 란저우 감옥에서 사망하거나 청나라 정부에 의해 살해되었다. 1879년까지 생존해 있던 미성년 아들 이마 쿨리, 카티 쿨리, 마이티 쿨리와 손자 아이산 아훙은 재판에 넘겨져, 유죄 판결 시 고통스러운 죽음을, 무죄 판결 시 거세 후 환관 노예가 될 운명이었다. 결국 1879년, 야쿠브 베그의 아들들과 손자들은 거세형을 받고 황궁에서 일하는 환관이 되었다. 당시 붙잡힌 야쿠브 베그의 아들과 손자 중에는 10세 미만의 아이신 아홍주(爱散阿洪俱), 카디훌리(卡底胡里)와 10세의 이마훌리(依玛胡里)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 봉기는 한족과 회족 모두에게 막대한 인명 피해를 남겼다. 특히 간쑤성산시성의 인구는 급격히 감소했다.

지역1861년 인구1880년 인구감소 인구감소율비고
간쑤성19,459,000명4,955,000명14,504,000명74.5%사망자 대부분은 한족으로 추정됨
산시성13,940,000명7,720,000명6,220,000명44.6%회족 인구는 전쟁 전 70만~80만 명에서 약 9만 명으로 급감



전쟁 전 산시성에 거주하던 회족 인구는 70만에서 80만 명에 달했으나, 전쟁 후 10년이 지난 시점에는 약 9만 명으로 크게 줄어들었다. 이는 혁명 과정과 진압 이후의 참상이 회족 공동체에 얼마나 파괴적인 영향을 미쳤는지를 보여준다.

5. 2. 정치적 변화

청나라는 1870년대 후반 좌종당을 총사령관으로 임명하여 신장 재정복에 나섰다. 상군 출신인 좌종당은 한족 장군 유금당과 만주족 진순 등의 부관들과 함께 작전을 수행했다.[106] 이 과정에서 회족 장군인 마안량과 동복상도 청나라 군대에 합류하여 야쿠브 베크가 이끄는 반군 세력 진압에 기여했다.[107] 청나라 군대는 큰 저항 없이 우루무치에 입성했으며, 야쿠브 베크 군대의 붕괴와 함께 여러 오아시스 지역을 순조롭게 장악했다.[108]

1877년 야쿠브 베크가 사망한 후 청나라 군대는 남은 반군 세력을 소탕하며 카슈가르까지 진격했다. 카슈가르 함락으로 신장 지역에 대한 청나라의 통제권이 완전히 회복되었다. 이후 청나라는 이 지역의 안정과 재조직에 힘썼으며, 그 결과 1884년 신장성이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109] 양증신은 청나라가 반란 진압 과정에서 마안량과 같은 회족 군대를 효과적으로 활용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는 당시 청나라의 군사 및 통치 전략의 일면을 보여준다.[110] 재정복 이후, 신장 지역에는 상군 병사를 비롯한 한족 남성들이 정착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위구르족 여성을 아내로 맞이하기도 했다. 이러한 민족 간 통혼은 당시 사회 변화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111][112][113]

신장 재정복 이후, 좌종당러시아 제국이 점령하고 있던 쿨자 지역의 반환을 강력히 요구하며 군사적 충돌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147] 양국 간 긴장이 고조되었으나, 군사적 부담을 우려한 러시아는 외교적 해결을 모색했다.[148] 완안충후가 러시아와의 협상을 위해 파견되었으나, 그가 체결한 리바디아 조약은 러시아에게 일리 지역 일부 할양, 치외법권, 배상금 등을 인정하는 등 중국에게 매우 불리한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에 중국 내 여론이 크게 반발하며 무력 사용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고, 청 정부는 상군 장교들을 중용하며 강경한 태세를 보였다.[149] 결국 러시아는 완안충후의 신변 보장을 조건으로 재협상에 응했고, 증기택이 새 협상가로 나섰다. 그 결과 체결된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은 리바디아 조약의 기본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았으나, 중국은 일리 지역 대부분의 영토를 회복하는 대신 더 많은 배상금을 지불하게 되었다.[150] 이 조약은 이후 청나라와 러시아 간 국경 문제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5. 3. 둥간족의 이주

반란이 실패하면서 일부 회족은 러시아 제국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1877년에서 1878년으로 넘어가는 겨울은 유난히 혹독했는데, 이 시기에 세 그룹의 회족이 톈산 산맥을 넘어 러시아 제국으로 피난했다.

그룹인솔자출신지이주 시기규모정착지
1차마다런(马大人중국어; 마다라오예(马大老爷중국어)라고도 불림)신장성 투루판1877년 겨울약 1,000명키르기스스탄 남부 오쉬
2차아홍 아 예라오렌(阿爷老人중국어)간쑤성 디다오저우(狄道州중국어)1878년 봄1,130명키르기스스탄 동부 야르디크 마을 (카라콜에서 15km 거리)
3차바이옌후(白彦虎중국어; 보 얀후라고도 표기; 1829?–1882)산시성1877년 겨울3,314명현대 카자흐스탄 잠빌 주의 카라쿠누즈 (현재 마산치) 마을. 이 마을은 추강 북쪽(카자흐스탄 측)에 있으며, 키르기스스탄 북서부 톡모크에서 북쪽으로 8km 떨어져 있다. 바이옌후를 따라 러시아로 이주한 이 회족의 후손들이 현재의 둥간인이다.



1880년대 초에는 또 다른 이주 물결이 있었다. 1881년 2월에 체결된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에 따라 러시아군은 상부 일리강 유역(쿨자)에서 철수해야 했고, 이 지역의 회족과 타란치(위구르족) 주민들은 국경 너머 러시아 측으로 이주할 수 있는 선택권이 주어졌다. 대부분이 이주를 선택했으며, 러시아 통계에 따르면 이 조약에 따라 4,682명의 회족이 러시아 제국으로 이주했다. 이들은 1881년부터 1883년 사이에 여러 소규모 그룹으로 나뉘어 이주했으며, 비슈케크에서 서쪽으로 30km 떨어진 소쿨루크 마을과 중국 국경과 소쿨루크 사이의 여러 지점, 즉 카자흐스탄 남동부와 키르기스스탄 북부에 정착했다.

이 반란군과 난민의 후손들은 현재 키르기스스탄러시아, 카자흐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의 인접 지역에 살고 있다. 그들은 여전히 자신들을 회족(回族중국어, 후이주)이라고 부르지만, 외부에서는 중국어로 '동간쑤'를 의미하는 둥간족으로 알려져 있다.

중소 분쟁 이후, 소련의 선전 작가들은 정치적인 목적으로 둥간 혁명(1862–1877)을 "민족 해방 운동"으로 묘사하기도 했다.

한편, 일본 육군의 중국 전문가로 알려진 히노 쓰요시 소좌는 1907년 12월, 신장으로 향하던 중 과거 회족 봉기가 일어났던 란저우에서 쑤저우 사이 지역을 통과했다. 히노는 이 지역에서 이슬람교도였던 마을 주민들이 한족에게 쫓겨나고 마을이 황폐화되어 폐허로 방치된 모습을 목격하며, 한족의 진출로 인해 고향을 잃은 이슬람교도들의 참상을 기록했다.[160] 그는 현지에 남아있는 이슬람교도들의 상황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160]

> 오늘 회민이 평온무사한 상태가 과연 진정한 평온무사인가. 나는 매우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유감스럽게도 한족은 회민을 모욕하는 것이 특히 심하고, 그들을 열등 인종으로 간주하여 대우하는 것이 매우 가혹하다. 더구나 그들은 비옥한 땅에서 쫓겨나, 현재는 황량한 산간의 척박한 땅에 살고 있다. 만약 한 가닥의 정신이 그들의 몸을 통과한다면, 어찌 기회를 보아 이것을 정문에 보답하지 않겠는가. 회민의 상황은 정말로 불쌍하고, 진심으로 분하고 답답한 마음 또한 알 수 있다. 여기서 그 표면적으로 평온한 상태는, 훗날 거대한 파도의 회란(회민 봉기)을 일으킬 조짐이 될 수밖에 없다.

> — 히노 쓰요시

6. 한국의 관점과 평가

(내용 없음 - 제공된 원본 소스가 비어 있어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近代史研究所集刊
[2] 서적 历史地理第19辑 Shanghai People's Press
[3] 서적 中国人口史 卷5 清时期
[4] 서적 历史地理第19辑 Shanghai People's Press
[5] 서적 中国人口史 卷5 清时期
[6] 뉴스 同治光绪年间陕西人口的损失
[7] 웹사이트 回族 - 广西民族报网 http://www.gxmzb.net[...] 2019-08-07
[8] 서적 Accidental Holy Land: The Communist Revolution in Northwest China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022
[9] 서적 Accidental Holy Land: The Communist Revolution in Northwest China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022
[10] 서적 China's Muslim Hui Community: Migration, Settlement and Sec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11]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12] 서적 Accidental Holy Land: The Communist Revolution in Northwest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2
[13] 서적 Macartney at Kashgar: New Light on British, Chinese and Russian Activities in Sinkiang, 1890-1918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14] 서적 Familiar strangers: a history of Muslims in Northwest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0-06-28
[15] 서적 Encyclopædia of religion and ethics https://books.google[...] T. & T. Clark 2010-11-28
[16] 서적 Beyond the Pass: Economy, Ethnicity, and Empire in Qing Central Asia, 1759–1864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4-04-24
[17] 서적 Familiar strangers: a history of Muslims in Northwest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4-04-24
[18] 서적 Familiar strangers: a history of Muslims in Northwest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4-04-24
[19] 서적 Beyond the Pass: Economy, Ethnicity, and Empire in Qing Central Asia, 1759-1864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4-04-24
[20] 서적 Salar: A Study in Inner Asian Language Contact Processes, Part 1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14-04-24
[21] 서적 Familiar strangers: a history of Muslims in Northwest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4-04-24
[22] 서적 GREAT ENTERPRIS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4-04-24
[23] 서적 GREAT ENTERPRIS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4-04-24
[24] 서적 Charities in the Non-Western World: The Development and Regulation of Indigenous and Islamic Char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4-24
[25] 서적 Magill's Guide to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Salem Press 2010-11-28
[26] 서적 Violence in China: Essays in Culture and Counterculture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7] 문서 Lipman (1998), p. 120–121
[28] 서적 Encyclopedia of Islam, Volumes 1–5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2011-03-26
[29] 서적 平回志 (Pinghui Records) https://ctext.org/wi[...] 1888
[30] 논문 马长寿同治回变《调查》序言一些偏说之辨析——读《同治年间陕西回民起义历史调查记录》 http://wap.cnki.net/[...] 2018-09-09
[31]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32]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33]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34]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35]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36]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37]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38]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39]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40]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41]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42]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43] 문서 Located in the town of Jinji (金积镇, Jinji Zheng), some 8 km southwest from [[Wuzhong, Ningxia|Wuzhong]] City in [[Wuzhong, Ningxia|Wuzhong]] prefecture of [[Ningxia Hui Autonomous Region]] (formerly part of Gansu).
[44] 웹사이트 Wuzhong map http://www.9654.com/[...] 2007-06-07
[45] 웹사이트 金积镇 (Jinji Town) mentioned as being 金积堡 (Jinji Fortress) in the past http://search.most.g[...] 2007-09-27
[46]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47] 간행물 Ethnicity and Politics in Republican China: The Ma Family Warlords of Gansu Sage Publications, Inc. 1984-07
[48] 서적 Last Stand of Chinese Conservatism the T'Ung-Chih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06-28
[49] 서적 Encyclopædia of religion and ethics, Volume 8 https://books.google[...] T. & T. Clark 2010-11-28
[50] 문서 《平定陕甘新疆回匪方略卷269》九月三十日辛亥条
[51] 문서 《平定陕甘新疆回匪方略卷271》十一月二十日辛丑条
[52] 문서 《平定关陇纪略卷11》
[53] 간행물 Ethnicity and Politics in Republican China: The Ma Family Warlords of Gansu Sage Publications, Inc. 1984-07
[54] 간행물 Ethnicity and Politics in Republican China: The Ma Family Warlords of Gansu https://www.jstor.or[...] 1984
[55] 웹사이트 From Yunnan to Xinjiang:Governor Yang Zengxin and his Dungan Generals http://www.ouigour.f[...] Pacific and Asian History,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10-07-14
[56] 간행물 From Yunnan to Xinjiang: Governor Yang Zengxin and his Dungan Generals http://www.ouigour.f[...]
[57]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6-28
[58] 서적 Verhandelingen der Koninklijke Nederlandse Akademie van Wetenschappen, Afd. Letterkunde, Volume 4, Issues 1–2 https://books.google[...] North-Holland 2010-06-28
[59] 서적 Sectarianism and religious persecution in China: a page in the history of religions, Volume 2 https://books.google[...] J. Miller 2010-06-28
[60] 서적 Familiar strangers: a history of Muslims in Northwest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0-06-28
[61] 서적 Modern Chinese warfare, 1795–1989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0-06-28
[62]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6-28
[63]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6-28
[64]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6-28
[65] 서적 Tso Tsung-tʼang and the Muslims: Statecraft in Northwest China, 1868-1880 https://books.google[...] Limestone Press 1978
[66] 서적 A History of Sino-Russian relations https://ia801609.us.[...]
[67] 서적 近三百年來的中國回族 https://books.google[...] 環球印刷所印 1953
[68]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6-28
[69] 서적 Hong Kong images: people and animals Hong Kong University Press
[70] 간행물 Notes on some joking relationships between Hui and Han villages in Henan http://chinaperspect[...] French Centre for Research on Contemporary China 2011-07-20
[71] 서적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Chinese Empire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and Company
[72] 서적 The period of submission, 1861–1893 https://books.google[...] Wen xing shu dian
[73] 서적 Familiar strangers: a history of Muslims in Northwest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98-07-01
[74] 서적 China Revolutionized https://books.google[...] Bobbs-Merrill Company 1913
[75] 서적 China's Muslim Hui Community: Migration, Settlement and Sect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76] 서적 The history of China https://archive.org/[...] W. Thacker & co.
[77] 간행물 From Yunnan to Xinjiang:Governor Yang Zengxin and his Dungan Generals http://www.ouigour.f[...] Études orientales 2010-07-14
[78] 서적 China's Muslim Hui Community: Migration, Settlement and Sec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2-16
[79] 논문 Ethnicity and Politics in Republican China: The Ma Family Warlords of Gansu https://www.jstor.or[...] 1984
[80] 문서 China marches west: the Qing conquest of Central Eurasia Belknap Press 2005
[81] 서적 The Edinburgh Review: Or Critical Journal, Volumes 150-151 https://books.google[...] Leonard Scott Publication Company 1879
[82] 서적 The Living Age ..., Volume 145 https://books.google[...] Living Age Company Incorporated 1880
[83] 이미지 https://pbs.twimg.co[...]
[84] 웹사이트 Chapter 3: Purging Xinjiang's Past https://www.thechina[...]
[85] 서적 Contradiction ANU Press 2022
[86] 웹사이트 THE MAZAR OF THE SEVEN MAIDENS: A SHRINE THAT ONCE LIVED BUT STILL STANDS IN PICHAN [Araştırma Makalesi-Research Article] - PDF Free Download https://docplayer.ne[...]
[87] 논문 The Mazar of the Seven Maidens: A Shrine That Once Lived but Still Standsin Pichan https://dergipark.or[...] 2020
[88] 서적 The Sacred Routes of Uyghur Histor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89] 서적 Eurasian Crossroads: A History of Xinjiang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7
[90] 서적 Beyond the Pass: Economy, Ethnicity, and Empire in Qing Central Asia, 1759-1864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8
[91] 서적 The Empire And the Khanate: A Political History of Qing Relations With Khoqand C1760-1860 https://books.google[...] BRILL 2005
[92] 논문 Between the "Ummah" and "China": The Qing Dynasty's Rule over Xinjiang Uyghur Society http://www.lib.kobe-[...] Kobe University 2019-06-01
[93] 서적 Holy War in China: The Muslim Rebellion and State in Chinese Central Asia, 1864-1877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4-02-25
[94] 문서 Sycee
[95] 서적 Community matters in Xinjiang, 1880–1949: towards a historical anthropology of the Uyghur BRILL
[96] 서적 The life of Yakoob Beg: Athalik ghazi, and Badaulet; Ameer of Kashgar https://archive.org/[...] W. H. Allen 2012-01-18
[97] 서적 Situating the Uyghurs Between China and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98] 서적 Accounts and papers of the House of Commons https://books.google[...] Ordered to be printed 2010-06-28
[99]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6-28
[100] 서적 Late Ch'ing, 1800–1911 Volume 11, Part 2 of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Se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1] 서적 Community matters in Xinjiang, 1880–1949: towards a historical anthropology of the Uyghur https://books.google[...] BRILL 2010-06-28
[102] 서적 Accounts and papers of the House of Commons https://books.google[...] Ordered to be printed 2010-12-28
[103] 서적 Holy war in China: the Muslim revolt and state in Chinese Central Asia, 1864–1877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06-28
[104] 서적 Eastern Turkestan and Dzungaria, and the revolt of the Tungans and Taranchis, 1862 to 1866 https://books.google[...] 2012-01-18
[105]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106]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107]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108]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109] 서적 Holy war in China: the Muslim revolt and state in Chinese Central Asia, 1864–1877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06-28
[110] 간행물 From Yunnan to Xinjiang:Governor Yang Zengxin and his Dungan Generals http://www.ouigour.f[...] Études orientales 2010-07-14
[111] 서적 Land of Strangers: The Civilizing Project in Qing Central Asia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0
[112] Doctoral dissertation The Muslim Emperor of China: Everyday. Politics in Colonial Xinjiang, 1877-1933 https://dash.harvard[...] Harvard null
[113] 학술지 Mission and Revolution in Central Asia The MCCS Mission Work in Eastern Turkestan 1892-1938 https://equmeniakyrk[...] null
[114] 학술지 Mission and Revolution in Central Asia The MCCS Mission Work in Eastern Turkestan 1892-1938 https://www.yumpu.co[...] null
[115] Doctoral dissertation The Muslim Emperor of China: Everyday. Politics in Colonial Xinjiang, 1877-1933 https://dash.harvard[...] Harvard null
[116] 학술지 Mission and Revolution in Central Asia The MCCS Mission Work in Eastern Turkestan 1892-1938 https://equmeniakyrk[...] null
[117] 서적 左宗棠全集 五 https://books.google[...] Beijing Book Co. Inc. 2009
[118] 서적 左宗棠全集 七 https://books.google[...] Beijing Book Co. Inc. 2009
[119] 서적 左宗棠全集 一二 https://books.google[...] Beijing Book Co. Inc. 2009
[120] 서적 左文襄公(宗棠)全集 https://books.google[...] 文海出版社 1979
[121] 서적 左宗棠全集: 奏稿, Volume 5 https://books.google[...] 岳麓书社 1987
[122] 서적 左宗棠全集: 奏稿, Volume 5 https://books.google[...] 岳麓书社 1987
[123] 서적 云南回族人物碑传精选, Volume 1 https://books.google[...] 云南民族出版社 2004
[124] 서적 云南回族人物碑传精选, Volume 1 https://books.google[...] 云南民族出版社 2004
[125] 서적 青海省志: 审判志 https://books.google[...] 青海人民出版社 1993
[126] 서적 左宗棠传 https://books.google[...] 海南国际新闻出版中心 1993
[127] 서적 回族人物志, Volume 1 https://books.google[...] 宁夏人民出版社 2000
[128] 서적 回族人物志, Volume 1 https://books.google[...] 宁夏人民出版社 2000
[129] 서적 宁夏审判志 https://books.google[...] 宁夏人民出版社 1998
[130] 서적 宁夏审判志 https://books.google[...] 宁夏人民出版社 1998
[131] 서적 Gansu Sheng zhi, Volume 7 https://books.google[...] ̇̈ð̃ðʻ̆̄ð ̇ Þ̇ 1989
[132] 서적 甘肃省志: 审判志. 第七卷, Volume 7 https://books.google[...] 甘肃文化出版社 1995
[133] 서적 左宗棠全集 五 https://books.google[...] Beijing Book Co. Inc. 2009
[134] 서적 青海省志: 审判志 https://books.google[...] 青海人民出版社 1993
[141] 서적 The Chinese times, Volume 5 https://books.google[...] THE TIENTSIN PRINTING CO. 2011-05-08
[142] 서적 How the national question was solved in Soviet Central Asia (a reply to falsifiers) https://books.google[...] Progress Publishers 2011-01-01
[143] 서적 Dragon lady: the life and legend of the last empress of China https://books.google[...] Knopf
[144] 서적 Travels of a Consular Officer in North-West China https://archive.org/[...] CUP Archive 2013-04-01
[145] 간행물 同治回民起义与陕西天主教的传播
[146] 간행물 Ethnicity and Politics in Republican China: The Ma Family Warlords of Gansu https://www.jstor.or[...] 1984
[147] 서적 The Canadian spectator, Volume 1 https://books.google[...] 2010-06-28
[148]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149]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150] 서적 Russia's March Towards India https://books.google[...] S. Low, Marston & Company 2018-02-22
[151] 서적 Appletons' Annual Cyclopaedia and Register of Important Events https://books.google[...] D. Appleton.
[152] 서적 Appletons' Annual Cyclopedia and Register of Important Events: Embracing Political, Military, and Ecclesiastical Affairs; Public Documents; Biography, Statistics, Commerce, Finance, Literature, Science, Agriculture, and Mechanical Industry https://books.google[...] Appleton
[153] 서적 Annals & Memoirs of the Court of Peking: (from the 16th to the 20th Century)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1914
[154] 서적 The Atlantic, Volume 112 https://books.google[...] Atlantic Monthly Company 1913
[155] 서적 The Atlantic Monthly, Volume 112 https://books.google[...] Atlantic Monthly Company 1913
[156] 서적 Manchus and Han: Ethnic Relations and Political Power in Late Qing and Early Republican China, 1861–192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0
[157] 서적 Manchus and Han: Ethnic Relations and Political Power in Late Qing and Early Republican China, 1861–192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0
[158] 서적 The Horizon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American Heritage Pub. Co. 1969
[159] 웹사이트 菅原純による「中国の聖戦」書評 http://www.uighur.jp[...]
[160] 서적 イスラム唯一の希望の国 日本 "[[PHP研究所]]" 2017-03-15
[161] 문서 빌마인에 의한 친・호족의 호칭이 「[[판제]]」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